[정관용의 시사본부] 아무튼 경제 | 상계동 5억 원 아파트 분담금 5억 원? | 김원장 전 KBS 기자 | KBS 240519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1,435

KBS 1라디오

KBS 1라디오

Ай бұрын

#정관용의시사본부 #김원장
2024년 5월 19일
[정관용의 시사본부]
KBS 1 Radio FM 97.3MHz 토/일 12:10 - 13:56
아무튼 경제 | 김원장 전 KBS 기자
- 상계동 5억 원 아파트 분담금 5억 원?
- 분담금 해법은 용적률?…얼마나 올려주나?
- 용적률 높아지면 도시 과밀 문제는 어떻게?
- 용적률 형평성 관련 논란에 대한 대책은?
- 서울시가 내놓은 재건축 사업성 향상 방안은?
- 노후 아파트 재건축 사업성 하락…해법은?
#정관용의시사본부 #정관용 #아무튼경제 #경제 #상계동 #5억원 #아파트 #분담금 #해법 #용적률 #도시과밀 #형평성 #논란 #재건축 #서울시 #사업성 #노후아파트
KBS 1라디오의 공식 유튜브 24시간 라이브 방송 채널입니다.
#KBS1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특집라디오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신성원의뉴스브런치 #배종찬의시사본부 #라디오전국일주 #경제쇼 #KBS열린토론 #스포츠스포츠 #김성완의시사야

Пікірлер: 92
@myungsupkoo8736
@myungsupkoo8736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김원장 기자님. 앞으로 승승장구하세요.
@Mason-2012
@Mason-2012 Ай бұрын
10평짜리 아파트를 30평으로 받을라면 당연히 돈 더 내야하는거죠. 건축비가 늘어난게 아니라 이 늘어난거죠
@unchulkim1594
@unchulkim1594 15 күн бұрын
당연한것 인데...10평 다 낡은 주고 아파트를 32평 새집 받는데...처음 로또 잡았다. 생각했는데.
@thepeters75
@thepeters75 24 күн бұрын
10평으로 30평을 다른 사람들(일반분양분)에게 부담시키고 공짜로 바꾸고 싶다는 파렴치한 욕망. 애초에 상계동 10평짜리가 5억이란게 웃기는 일.
@okkim9506
@okkim9506 27 күн бұрын
앗!! 김원장 기자님 기사와 목소리 그리웠는데. 구독! 좋아요!! 무조건합니다.💞💞 이곳에서 매주 만날수 있네요.. 💞💞아주 반갑고 환영합니다 !!!💕💕
@user-rw3wj9qe3o
@user-rw3wj9qe3o Ай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정말 반갑습니다 ❤
@user-pw4xx4mr9s
@user-pw4xx4mr9s Ай бұрын
진짜 오랜만이네요. 프리로 나가신거 갔던데 전 사사건건 보면서 너무 인상 깊어서 앞으로도 좋은 소식 항상 소신있던 자세 응원합니다.
@johnny0320
@johnny0320 Ай бұрын
박종훈 홍사훈 김원장 자의반 타의반... 나가야될 자들은 안나가고 잡아야될 사람들은 바로 나가서 잘 나가고 있어요
@YCSong-os5tl
@YCSong-os5tl Ай бұрын
​@@johnny0320 최경영도.
@user-sp2vf8mr7x
@user-sp2vf8mr7x Ай бұрын
구축 16평 쓰레기를 34평 신축으로 바꾸는데 5억이면 공짜지... 34평 신축 시세가 10 ~ 11억 하는데.. 상계주공5단지 모두 거저 먹을려는 도둑놈들이네...
@user-mu5fx8gv3l
@user-mu5fx8gv3l 13 күн бұрын
재건축은 원주민들은 쫒겨 나게 되어 있습니다. 분담금이 6억이면 그돈내고 들어갈 주민은 거의 없습니다. 지금 수원에 34평 아파트의 분양가가 7억대인데 기존의 아파트가 지금 시세가 5억에서 6억이면 떡을 칩니다. 그런데 새 아파트는 용적율도 나쁘고 건폐율도 나쁘고 환경도 나쁩니다. 벌집형 아파트입니다. 그런데 20년전에 지은 구축아파트는 용적율 100% 건폐율 10%대입니다. 주거환경은 환상적입니다. 이런 좋은 아파트가 역세권이 5억도 안합니다! 그럼 누가 새아파트 구입하겠습니까?
@Enok5023
@Enok5023 Ай бұрын
3프로에서 보다가 다시 KBS에서도 보니깐 좋아요 여러곳에서 나와주세요
@jaeokyun1713
@jaeokyun1713 Ай бұрын
재건축 대지지분율이 많으면 추가분당금이 없다
@user-rm8gq7ty4i
@user-rm8gq7ty4i 17 күн бұрын
추가분담금은 내기싫고 좋은아파트는 살고싶고 무슨심보냐?
@user-dt4tu9yg9m
@user-dt4tu9yg9m Ай бұрын
5층짜리지만 12평대 세대수가 많기 때문에 32평대로 다 주면 분담금이 많이 날 수 밖에. 평수는 3배가까이 조합원세대수는 많고 ...
@ponlucy8026
@ponlucy8026 Ай бұрын
이게 당위의 문제로만 보기는 어려운게 30년 40년전의 대한민국과 지금의 대한민국은 완전히 다른 나라라는걸 인정하고 바라봐야 합니다. 우리나라 국민소득 처음으로 만불 돌파한게 김영삼 정부였습니다. 후진국, 개도국 시절에 지어진 아파트 단지는 단지 건물 노후도가 아니라 공동 주거로 살만한 공간 자체가 아닙니다. 은마아파트 가보시면..아..여긴 부수고 다시 짓지 않으면 방법이 없다고 느낄겁니다. 재초환, 분양가상한제도 제도가 과연 그 취지에 맞게 운영되는지 돌아봐야 합니다. 분양가상한제 걸었다고 강남 아파트 집값 안잡혔습니다. 오히려 조합원 부담금 상승으로 원주민들 다 떠나고 중간에 분양권 사서 들어온 갭투자자들만 십억이상 벌고 청양 로또 당첨자들만 15억에 분양받아 완공 즉시 30억이 되는 아파트를 가지게 되었지요. 그 로또 눈먼돈은 애꿎은 상가 분양자들이 다 짊어지고 가는거고.. 재개발 재건축은 어떻게 젠트리피케이션 없이 원주민 재정착율을 높일건지 그 근본부터 짚어봐야하고 주택 청약제도도 근본부터 생각해봐야합니다. 청약과 생애최초주택대출이 무주택 장기청약통장으로 한정되니 죽어도 첫 집은 신축 아파트 분양이어야하고 그 기회를 위해서 빌라는 절대로 매수해선 안돠고 그러니 전세가와 매매가가 역전된 빌라라도 매수대신 전세를 택하며 무주택 지위를 이어가야하고 게다가 전세는 종자돈 없이도 풀로 대출이 되고 청약 당첨은 로또보다 차익이 크고 오래 거주한 원주민들은 분상제로 사업성 제한 걸어두고 재초환이니 추가분담금이니 감당안되는 비용때문에 외지인들에게 팔고 타지역으로 쫒뎌나고 정작 새아파트가 지어질땐 이미 손바뀜이 일어나서 아예 외지인들만 들어와 살게되는 지금의 재건축 재개발 시장은 너무 이상합니다..
@user-ro1uj1nz7x
@user-ro1uj1nz7x Ай бұрын
부수고 다시 짓는걸 반대하는게 아니라 특정 아파트들 수익성이 안나오니 용적률을 올려달라는건데 결국 그냥 특정아파트 사는 사람들한테 현금 몇억씩 쥐어달라는 소리랑 똑같은거라고. 누가 부수고 짓지 말래?
@ponlucy8026
@ponlucy8026 Ай бұрын
@@user-ro1uj1nz7x 용적률 상한하면소 기부체납이나 임대주택 원가 이하로 공급받으며 충분히 공공기여분 챙겨갔는데도 시세 20억짜리 신축 아파트를 10억에 일반 분양하라고 아예 분양가상한제 같은걸로 막아버리니 결국 로또 청약 당첨자들만 반값 아파트 획득하는 이 구조를 단지 조합원 이기심으로 몰아가는건 무리가 있습니다. 왜 일반분양분을 시세의 반값에 분양해야 하나요..
@user-pm3yc3rb9i
@user-pm3yc3rb9i Ай бұрын
공감가는 글이네요..
@user-ij5px1jy2j
@user-ij5px1jy2j 27 күн бұрын
와우 아기다리고기다리 던 김원장기자님!!반갑습니다
@user-fg7py5ws2n
@user-fg7py5ws2n Ай бұрын
노인들이 돈이 어딧음... 답이 없는거지
@user-sl1hv7qg1e
@user-sl1hv7qg1e 12 күн бұрын
고층은 사람건강에 치명적이다 집근처 제일큰나무보다 놉은아파트에 오래살면 병생깁니다
@user-sl1hv7qg1e
@user-sl1hv7qg1e 12 күн бұрын
용적율 올려줘서 높이지면 누가살사람은 있나?
@user-ly3xz3ql3b
@user-ly3xz3ql3b Ай бұрын
김원장기자님. 반갑습니다. 우리나라에 계시니 얼굴이 희어지셨네요. 자주 많이 나오시길 ᆢ 그런데 kbs방송 안보는데.
@user-rm8gq7ty4i
@user-rm8gq7ty4i 17 күн бұрын
재건축 하려거든 평당 1300만원은 추가분담금 적정한 건축비
@user-yo1xr6cz8z
@user-yo1xr6cz8z 25 күн бұрын
정확하네
@user-fk2fm4os2s
@user-fk2fm4os2s 16 күн бұрын
서울수도권 과밀화는 이제 하양하고있다. 이제 서울인구는 무서운속도로 줄어들고있다. 서울로의 유출인구는 더이상 없다. 오히려 나는 비싼 서을에서 지방으로 이주했음. 앞으로도 계속 수도권이주할꺼라고 생각하다니
@bonbon.n9374
@bonbon.n9374 Ай бұрын
해결방법이 용적률이라고~~ㅋㅋㅋ
@user-sl2dp7pv4b
@user-sl2dp7pv4b Ай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이제 한국 오셨구나...😊😊😊
@user-uc5gh1bj2s
@user-uc5gh1bj2s Ай бұрын
용적율 올려줘봤자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사업성이 안 나옵니다. 되지도 않을 총선용으로 질러댄건데 별 걱정 다하십니다.
@user-lh1vw9uq5g
@user-lh1vw9uq5g Ай бұрын
ㅋ 용적률? 아직도 정신못차린듯..
@user-cm8xn3hx4h
@user-cm8xn3hx4h Ай бұрын
이제는 1:1 재건축으로 가는 시대의 입구에 있는듯
@user-fe9ob7uw4w
@user-fe9ob7uw4w 13 күн бұрын
나는 그돈주고 국평받으면 소리 지르겠다 나는 경기 평촌 사는데 리모델링아파트 시작하는 곳에 사는데 얼마 늘어나지않는 평수로 분담금이 얼마인줄아삼? 참 욕심이 끝이없네
@jaeillcha2687
@jaeillcha2687 26 күн бұрын
할배 오랜만입니다. 건강하시죠?
@jeongheonkim5274
@jeongheonkim5274 Ай бұрын
용적률도 구매하는 방식으로 가고 사업성 있다고 생각하면 조합만들어서 그 비용 다 내고 자유롭게 재건축 하던가 하고, 더 이상 소수에게만 혜택주던 방식의 로또 같은 공짜 재건축은 이제 기대차체를 안하게 해야 주택시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게됨...
@user-bw7ip7ey1z
@user-bw7ip7ey1z 29 күн бұрын
싸우지들 마시구요~~그냥다들 썪은 아파트에 살아요~~남 잘되는꼴 못보는거야 당연한 마음입니다~ 돈 있으신 분들만 일대일 재건축 하라고 하시구요 어차피 이런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면 다~ 나가리에요 신도시는 왜 특정지구에 지정해야 하나요~우리집앞마당은 왜 안해주나요 형평성에 어긋나요~~찡찡 찡찡~그냥 다들 썪은 아파트에~
@user-sl1hv7qg1e
@user-sl1hv7qg1e 12 күн бұрын
아무리 건설비가 올라도 나라망할징조
@user-xk9wt4rk9b
@user-xk9wt4rk9b 29 күн бұрын
당연히 5억은 분담 해야지 기레기들 그냥 선동질만 하냐 10평 짜리 3배가 넘는 새 아파트를 주는데 거기 애들 공짜로 받아 처먹을 려고 하는도둑들 이지 거기다 일반 분양 분도 없다고 하는데 이런건 말 안해
@user-wr3fc9iu7q
@user-wr3fc9iu7q 10 күн бұрын
노원주공 실거주민20% 세입자70% 투자화~~ 투기화~~
@user-id4bu9uk6q
@user-id4bu9uk6q Ай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해외 특파원 끝나고 복귀하셨나보네요^^
@user-ey7ju1bf7h
@user-ey7ju1bf7h Ай бұрын
KBS 퇴사 하셨습니다 오히려 여러 방송에서 볼수 있어서 더 좋네여
@hoonkim3739
@hoonkim3739 Ай бұрын
용적률을 멋대로 올리는 것도 큰 문제이지만, 건축비 상승 등으로 분양가가 천정부지로 오른 상황에서 선호도가 낮은 지역은 사업성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용적률 이야기도 결국 남의 돈으로 자기 집 짓겠다는 이야기인데, 누군가 사주어야 가능한 일인데 앞으로는 이런 사업성이 나오는 곳들은 선호도가 아주 높은 곳이어야 될겁니다.. 무작정 짓는다고 답 없습니다.
@user-kl4fh7us4n
@user-kl4fh7us4n Ай бұрын
요즈음 국민평수 25평입니다 상계주공5단지 단일평수 25평이 정답입니다
@user-db8cf6wv8s
@user-db8cf6wv8s 28 күн бұрын
목동아파트 사는사람인데 불편하게 많습니다.나무는 너무 아깝지만ㅠㅠ
@ThinkpadMania
@ThinkpadMania Ай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돌아오세요.
@user-ff5wd2hd8p
@user-ff5wd2hd8p 29 күн бұрын
서울시 용적률은 공평하게 일정하게 해야됩니다. 더 높이고 싶으면 공중권을 사오게 하면 되구요. 현재 인허가 청의 마음대로 용적률을 주는건 미래세대의 재산을 약탈하는 겁니다. 뭔든지 제값내고 짓게해야 됩니다. 건설원가 공개하면 될거 가지고 온갖것 건드리지 마시구요.
@user-wk2cc1vs1e
@user-wk2cc1vs1e Ай бұрын
팔고 빠져나오는게 최선
@user-yz9yw1mp5j
@user-yz9yw1mp5j Ай бұрын
미래세대 용적율까지 한꺼번에 싹쓸이 하겠다고 ?
@user-uj6jw9po8v
@user-uj6jw9po8v Ай бұрын
평수를 줄이면 돼지 전용 49로 만들어라. 11평을 34평 만드니 적자지 21평 만들면 어느정도. 가능함
@leegs5257
@leegs5257 Ай бұрын
용적률 부천은 230% 영등포는400%로
@gms8251
@gms8251 15 күн бұрын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 헌 집 부수고 새 집 지으면 돈을 내야하는 것이 당연하다.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다를 이유가 없다. 종상향 같은 인센티브도 규제도 모두 허울. 자기돈으로 새집 짓는 것이 일반화 되면 자연스러운 순환이 이루어 질 것. 결국 새 아파트는 비싸고 노후되면 건축물 가치는 떨어지고 가격이 많이 떨어지면 정비사업 투자가치가 생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순환이다. 인센티브 없이도 그대로 두면 결국 시장이 움직여 정비사업이 진행될 것. 물가상승 없다는 전제로 아파트도 감가상각이 10년에 10프로 이상은 되어야 정상이다. 40년이면 대략 새집 살 때보다 절반이 되는 것이고 그렇게되면 다른 인센티브 없이도 다시 재건축할 계산이 나온다. 10년에 10프로 감가상각이 과하다 할 수 없다. 물론, 땅은 다르다 그나마 땅 값을 고려해서 10프로인 것. 땅이 아니면 감가가 두배는 되야 할 것. 서두를 것 없다. 그냥 두면 20년 안에 자연스럽게 시장이 움직일 것.
@user-sl1hv7qg1e
@user-sl1hv7qg1e 12 күн бұрын
하늘에공간이 왜 서울시꺼냐?
@user-sl1hv7qg1e
@user-sl1hv7qg1e 12 күн бұрын
폭등은 못막아도 폭락은 막아야돼나?
@user-rm8gq7ty4i
@user-rm8gq7ty4i 17 күн бұрын
상계동 10평 2억이면 적정가 5억이 잘못된모순이지
@combi2535
@combi2535 25 күн бұрын
용적률 높이라고? 미쳤냐 끝없이 옆사람 후세대 빨아먹을라고 에라이
@user-ro1uj1nz7x
@user-ro1uj1nz7x Ай бұрын
좁은 땅에 높게 건물 올리게 해달라는건데 아니 왜 그땅만? 내땅 100평짜리도 20층 건물 올리게 해줘
@augustinyang9708
@augustinyang9708 Ай бұрын
용적율이 해법? 또 다시 30년 후에는요? 내 돈내고 내집 지어야지요.
@user-xb3oh3tl2x
@user-xb3oh3tl2x 29 күн бұрын
거기서 나오는 폐기물 쓰레기는??
@sdevi15764
@sdevi15764 15 күн бұрын
안전진단 면제? 면제가 아니라 나중에 한다는거 아닌가요? 바뀌었나요?
@Sy-vh7kc
@Sy-vh7kc Ай бұрын
민주당은 상계동에서 계속 당선 시킨 민의를 받들어서 재건축 책임지고 성공시켜라.
@user-rw3wj9qe3o
@user-rw3wj9qe3o 28 күн бұрын
이번주는 안하나요?
@kongsg2726
@kongsg2726 Ай бұрын
그럼 하지 말자는 거네 하지맙시다 말이야 싑지 정치가 끼면 암것도 안된다 필요에의해서 하는거지
@spigip5467
@spigip5467 Ай бұрын
분담금 얼마가 더 나오던 어떻게든 줄여줄라고 떠들일인가?
@user-ci7qk4rx5b
@user-ci7qk4rx5b Ай бұрын
용적률 높여서 높게 지으면 다음 세대들은 그거 다시 허물고 더 높게 지어야하는데 디음세대를 위해서라도 하늘공간은 남겨줘야한다.
@user-eg5cr8zg9e
@user-eg5cr8zg9e 28 күн бұрын
용적율 올리면안되지
@user-cs9ju9hq5o
@user-cs9ju9hq5o 22 күн бұрын
아니... 집이 낡았으면 돈드려서 다시 지어야지... 돈을받고 새거 지을려는 기적의 대한민국논리
@dasnarrenschiff11
@dasnarrenschiff11 Ай бұрын
용적률이 무슨 땅파서 나오냐? 왜 그걸 공짜로 나눠줌?
@jij4330
@jij4330 Ай бұрын
나라사회개인의발전을물고늘어지는배아파당놈들은문제다!!!
@spigip5467
@spigip5467 Ай бұрын
@@jij4330 당연히 혜택이니 거기만 주면 안됨
@user-uv3uh7xo5d
@user-uv3uh7xo5d Ай бұрын
부동산... 이런 식의 부동산 자산 욕망이 미래를 집어삼킵니다. 특히 먼 미래, 다음 세대의 몫을 강탈, 착취해서 지금 먹어버리는 지옥의 아귀와 같은 탐욕입니다. 젊은 세대는 이것을 직관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혼도 안하고, 아이도 안 낳죠.
@user-du4ld9se2z
@user-du4ld9se2z Ай бұрын
용적률을 무조건 올려주는것도 재개발투자를 부추기는 나쁜예가 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윤석렬이 무조건 재건축 재개발을 남발하는것도 무대책이라 보여지고요
@user-gh2cs2fw2h
@user-gh2cs2fw2h Ай бұрын
김원장 오랜만에 보네 퇴사 했구만... 역쉬
@sukchunkang5409
@sukchunkang5409 12 күн бұрын
닭장 아파트 헐
@leegs5257
@leegs5257 Ай бұрын
용적률 똑같이 해줘야지
@user-tl1fr3ws5c
@user-tl1fr3ws5c Ай бұрын
용적률 건폐률은 공공재입니다. 규제하거나 재건축시 10~20%로만 제한해야합니다. 누구도 동일해야합니다
@user-gb3ee2ew1p
@user-gb3ee2ew1p Ай бұрын
그나마 객관적인 시각에서 할 말 하는 기자들 김원장, 최경영, 홍사훈 등이 다 짤렷구나. 박민 이가 간 이 되게 큰놈일세
@user-oy1kd2vq5w
@user-oy1kd2vq5w Ай бұрын
모여서 바보소리들. 하고있어요~~~ㅋㅋ. 한심 하다
@Mason-2012
@Mason-2012 Ай бұрын
30년이 아니라 10년만 되어도 내부시설배관들이 썩어서 살지 못해요. 누수와의 전쟁입니다.
@user-nc1oi1gg7d
@user-nc1oi1gg7d Ай бұрын
수도배관이 PVC나 스텐레스로 시공하도록 법이 바뀌어 정확하진 않은데 1995년 이후 준공된 아파트는 배관 부식 문제는 없다고 봐야 합니다. 단, 생활 방식의 변화와 주차대수 부족 등등의 이유로 재건축으로 방향을 잡게 되는 겁니다.
@user-uf7tc8yv3d
@user-uf7tc8yv3d Ай бұрын
소규모 34년된 아파트는 어떻게하나요
@user-nc1oi1gg7d
@user-nc1oi1gg7d Ай бұрын
주변 단지와 함께 개발하거나, 주민이 알아서 개발해야죠.
@spigip5467
@spigip5467 Ай бұрын
아직25년은 더 살수 있음 니들 돈으로 새로 짓거나 아님 그냥 사세요 그 정도면 아직 멀쩡해요
@user-cb7hi5sw4y
@user-cb7hi5sw4y Ай бұрын
70대 ㅎ찍들은 자식들한테 사는것이 미안하지 안읅까
@user-ro1uj1nz7x
@user-ro1uj1nz7x Ай бұрын
호구들아... 용적률을 올릴테니 30평 아파트 15억에 사줭~ 난 공짜로 새집 받고 싶어 나는 얼마에 샀냐고? 나는 20년전쯤 2억에 샀징.
@user-mb1iw4oc7c
@user-mb1iw4oc7c Ай бұрын
망해가네 KBS
@James10023
@James10023 20 күн бұрын
좌파 왜 패널로 부르냐
@user-bp3mu9kz6x
@user-bp3mu9kz6x Ай бұрын
정관용 안 짤렸네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5 МЛН
국민의힘 지지층 63% “한동훈 당대표 적합” | 뉴스TOP 10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