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 비타민, 17종의 희귀 금속 원소, '희토류' 확보 전쟁! 중국의 패권을 무너트릴 수 있을까? (KBS 20110911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465,286

KBS 다큐

KBS 다큐

Жыл бұрын

KBS 스페셜 - 차이메리카의 자원전쟁, 중국의 반격 희토류
※ 본 영상은 2011년 작품으로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중국의 희토류 자원민족주의
세계 최대 희토류 광산 마운틴패스. 미국 정부에 의해 지난 10년간 폐쇄됐던 이곳이 최근 다시 문을 열었다. 제작진은 3개월에 걸친 설득 끝에 국내 최초로 마운틴패스 광산의 촬영을 허가 받았다. 미국은 왜 마운틴패스 광산의 문을 다시 열었을까?
작년 9월 중일간 국경분쟁지역인 센카쿠 열도에서 중국 어선이 일본에 나포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중국인 선장을 구속하며 강하게 대응하던 일본은, 중국의 경고에 백기를 들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희토류 공급 중단. 중국은 지금 희토류라는 자원을 무기로 세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 중국의 전략적 무기화, 이미 20년 전 시작되었다
전 세계 경제성장률 1위 도시, 중국의 바우터우. 과거 초원과 사막이 전부였던 이곳이 엄청난 경제성장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바우터우에는 중국 최대 희토 광산인 바이원어보가 있다. 때문에 1986년 등소평이 희토류 장기개발계획을 발표한 이후 국가 지정 희토하이테그 산업단지로 육성되었다. 제작진은 국내 최초로 바우터우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중국은 90년대 들어 희토류 인프라 구축에도 주목하기 시작한다. 1995년 세계 최초로 네오디뮴 자석을 개발한 GM의 자회사 마그네퀸치를 중국이 인수했던 것도 이 때문이었다. 반면 지난 20년간 미국의 희토류 산업은 답보 상태를 면치 못했고 현재까지 전문 연구인력과 기술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중국의 희토류 수출쿼터 감축 소식에 전 세계는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20년 전 등소평의 예언은 현실이 된 것이다.
■ 중국을 대체할 희토류 광산 개발에 나선 국가들
그러나 멀고 먼 희토류 생산
세계 3대 희토류 광산의 소유주 호주의 라이너스사, 올해 9월 말레이시아에 제련공장을 설립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주민들의 반대에는 이유가 있다. 30년 전 미쯔비시 희토류제련공장에서 배출된 폐기물로 인해 기형아 출산과 백혈병 발병 등 끔찍한 고통을 겪었기 때문이다. 전 세계 200여개 광산이 희토류 채굴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희토류 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이 같은 환경 재앙은 되풀이되고 말 것이다.
전기차, 풍력발전기 등 녹색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디스프로슘. 매장량이 적고 가격이 비싼 중희토류에 속한다. 문제는 ‘중희토류’의 대부분이 오직 중국에서만 생산된다는 것이다. 중국 중희토의 70%를 생산하는 간저우 광산에 불법 채굴업체들이 난립할 정도이다. 광산을 개발하며 대안을 모색하곤 있지만, 당분간 세계는 중국 희토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 희토류 확보 전쟁, 중국의 패권을 무너트릴 수 있을까?
중국의 희토류 독점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국가는 바로 일본. 중국에서 생산되는 희토류의 60%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그중 특히 비상에 걸린 분야는 역시 전기자동차 업계이다. 한편에선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모터 개발로, 다른 한편에선 중국으로 공장을 이전해 안정적인 수급망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 중이다. 하지만 완전한 해결책이 되기엔 보완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최근 미국에너지국은 향후 10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희토류 수요량에 공급중단 위기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미래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희토류, 석유 중심의 에너지 패권이 흔들리고 있다. 21세기 희토류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자원민족주의 아래 미국과 산유국 중심의 세계 패권은 지켜질 수 있을까?
#희토류 #자원전쟁 #차이메리카

Пікірлер: 225
@user-ir6wr6ok4m
@user-ir6wr6ok4m Жыл бұрын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한 상동광산(텅스텐)이 94년 폐광(저가 중국산)되었습니다.. 최근 희토류 관련하여 재개중입니다만. 외국계회사(알티몬)에서 체굴중입니다. 안타까운건 우리나라에서 나온 국산을 우리가 국산이 아닌 수입산으로 사와야 한다는 겁니다.. 텅스텐(중석)을 미국 또는 캐나다에서 제련을 거쳐 수입된다는 것이죠 . 국가는 국내 희토류에관한 정보가 있지만. 아직 국가적 광물 확보를 외국에 빼았기고 있다는것이 통감스럽습니다. 저는 상동광산에 종사하신 부친의 아들입니다. 매년 제 고향을 갈때마다 을씨년 스런 건물이 방치되고. 연로하신 분들이 대부분이라.고향 가기 쉽지 않네요. 무엇보다 7.80년대 산업전사인 분들을 한번쯤 재조명 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user-sv7tx7go4o
@user-sv7tx7go4o Жыл бұрын
네ㅡ부친께선 힘든시기 산업의 밑거름 마련에 종사 ㆍ기여하신 분이시군요ㅡ 끄덕 끄득ㅡ 종사하신 노력ㆍ수고에ㅡ 진심 감사드립니다 ㅡᆢ
@user-ih5hu6wx9x
@user-ih5hu6wx9x Жыл бұрын
폐광 이유는 경제성이 없어서임. 과거에 인건비와 환경비가 쌌을때는 광부가 땅을 파고 들어가 광물을 캘수 있었으나, 이제는 거의 불가능해요. 호주나 캐나다, 중국, 러시아등 대부분 자원대국들의 광산은 노천광산들이며, 인건비와 환경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중국이 희토류 생산을 가장 많이 함. 미국, 캐나다도 희토류가 많이 매장되어 있으나 채굴 및 정제비용이 높아서 안하다가, 최근에 중국과 무역전쟁하면서 생산을 재개.... 한국의 무연탄(연탄원료) 탄광도 추억이네요. 탄광에서 일하는 일이 얼마나 힘들면 막장인생이라는 말이 생겼을까요.
@user-cg7pw5hc6e
@user-cg7pw5hc6e Жыл бұрын
그 마음은 충분히 이해갑니다
@tv-lz2vg
@tv-lz2vg Жыл бұрын
10년전 영상이 3일전에 다시 올려졌다.. 희토류 같이 가치가 높은 영상이다.
@user-bo8yu9cr3p
@user-bo8yu9cr3p Жыл бұрын
친환경 에너지를 만든다고 하지만 그 시설을 만들기 위해선 핵심부품에 사용 되는 희토류 생산이 자연을 파괴 한다는게 아이러니..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Жыл бұрын
이런게 제일 바보같은소리. 지금 사용하는 휘발유차도 과거에는 말똥을 길거리에 뿌리고 다니는 마차에 비해 친환경이라는 장점덕분에 선호를 받았음. 그런데 석유가 오염있다고 마차로 돌아갈까? 말똥은 훨씬더 오염이 심하다. 마찬가지로 지금 주목받는 친환경 기술들도 상대적으로 좋은방향으로 나아가는건데 이것도 오염이라고 앵무새처럼 떠드는 일부 생각없는 사람들 보면 한숨만 나온다.
@sinabro5507
@sinabro5507 Жыл бұрын
@@user-ri73bdis88h7 두 분 다 철학적 고뇌.. 말똥 시대로 회귀하여 사는 사람들도 있슴.종교인 중.
@wpjong7126
@wpjong7126 Жыл бұрын
무식아 모르면 가만히 있어라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Жыл бұрын
@@user-ri73bdis88h7 자연파괴하는데 친환경이라고 말하는게 아이러니라고 말하는데...왜 이분은 딴소리를 할까..... 요세는 친환경 에너지라고하면 유럽에서 욕처먹어서 재생에너지라고 함... 님도 친환경기술이라고 하지말고 재생기술이라고 하세요... 자동차가 나왔는데...왜 당나귀를 타냐라고 말하는거같은데... 재생에너지가 무엇이 대세가 될지 아무도 모름...효율전쟁중임...
@userganada
@userganada 3 ай бұрын
중국덕에 님 스마프톤 컴퓨터 싸게 사는거임 ㅋㅋ 중국이 희토류 공급전에는 천만원 이상했음
@user-wr4zr4eu6y
@user-wr4zr4eu6y Жыл бұрын
10년전 다큐인제 현재시대에 취재한것처럼 생생하게 받아들여지네요 통찰력있는 취재 정말 잘보고갑니다
@kinamkim1117
@kinamkim1117 Жыл бұрын
일본 /미쓰비시 세계적 민폐가 따로 없고만
@user-ty3pk8dh6w
@user-ty3pk8dh6w Жыл бұрын
희토류가 있어도 제련기술이 없으면 무용 지물이구나 그기술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넘어갔다니 미국이 저지른 제일 큰실수네
@Pinetree4405
@Pinetree4405 Жыл бұрын
제련공정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니까, 어차피 미국이나 유럽은 희토류 광산에서 채굴을 한다해도 제련을 못한다는게 문제.
@KhAn-ql5wp
@KhAn-ql5wp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희토류걱정은 전혀 안하는듯 합니다.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면 중국은 더많은 반도체제재로 경제가 중단될것같군요. 미국은 반도체외에도 무기화할것이 많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식량을 무기화하면 중국은 폭동이 나겠지요.
@user-ty3pk8dh6w
@user-ty3pk8dh6w Жыл бұрын
@@KhAn-ql5wp 네.그런 방법도 있군요
@alphago410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희토류가 뭔가 했는데 란탄족(57La) 57~71 원소들을 말하는거네요
@user-mj2zx4wx4w
@user-mj2zx4wx4w Жыл бұрын
21:21 희토류 생산 중 알칼리/산 다수 이용, 중금속 배출 23:18 상세 수치 40:00 희토류 채굴 방법: 약산성 을 활용
@p.854
@p.854 Жыл бұрын
지금 희토류 제련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궁금...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9 ай бұрын
희토류 생산 및 채굴 과정에서 알칼리와 산 물질이 많이 이용되며 중금속도 배출될 수 있다는 환경에 관한 분석이 흥미롭게 느껴졌습니다. 요즘 화제되는 희토류와 관련된 기사 감사드립니다.
@user-qx6xn2yh4q
@user-qx6xn2yh4q Жыл бұрын
이거 생방으로 봤는데 벌써 시간이 .. 흑
@piesunny
@piesunny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과학기술 원천 기술을 반드시 지켜야 하고, 대한민국은 국토가 큰 개발도상국과의 협력으로 희토류 자원을 확보하고, 개발도상국에는 과학기술 산업 발전을 돕는 서로간에 협력을 해서 서로 발전하는 윈윈전략으로 대한민국과 함께하는 국가들과 함께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
@user-cn2xh4yj7x
@user-cn2xh4yj7x Жыл бұрын
말은 쉽지
@user-rz6ph4tb8q
@user-rz6ph4tb8q Жыл бұрын
말잘하는 석렬이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버리지는휘발유차에폐자석등중고컴퓨터등에사용되는반도체재활용하자
@multifinal4682
@multifinal4682 Жыл бұрын
채산성
@hyejinlee1916
@hyejinlee1916 Жыл бұрын
이 다큐의 십년뒤인 현재 2022년의 미국의 희토류 산업이 궁금하네요
@Pinetree4405
@Pinetree4405 Жыл бұрын
제련공정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니까, 어차피 미국이나 유럽은 희토류 광산에서 채굴을 한다해도 제련을 못한다는게 문제.
@user-in8lh1el4o
@user-in8lh1el4o Жыл бұрын
여전해요
@KhAn-ql5wp
@KhAn-ql5wp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희토류걱정은 전혀 안하는듯 합니다.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면 중국은 더많은 반도체제재로 경제가 중단될것같군요. 미국은 반도체외에도 무기화할것이 많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식량을 무기화하면 중국은 폭동이 나겠지요.
@donghoylee2882
@donghoylee2882 Жыл бұрын
세상은 어떻게 변해서 흘러갈지 특히 기술분야가 그렇겠지요, 지금은 희토류가 대세겠지만 이전엔 석유였고 또 그다음은? 변화는 늘 빨라지고 있으니 11년전 내용도 벌써 많이 변했을건데...,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중국을배워야한다재생에너지에많이투자해야한다
@sanha7007
@sanha7007 Жыл бұрын
중국시진핑은 중국을몰락으로 이끌서태후의 후예!
@kaizen8787
@kaizen8787 Жыл бұрын
10년이 지난 지금에서도 여전히 중국의 전략은 유효하다는게 아쉬울 따름이네요 대체자원이 없다는게
@KhAn-ql5wp
@KhAn-ql5wp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희토류걱정은 전혀 안하는듯 합니다.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면 중국은 더많은 반도체제재로 경제가 중단될것같군요. 미국은 반도체외에도 무기화할것이 많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식량을 무기화하면 중국은 폭동이 나겠지요.
@araby33
@araby33 Жыл бұрын
있음. 중국 희토류는 99프로 북한에 대량 묻혀있음요.
@user-rb9mp7jd2i
@user-rb9mp7jd2i Жыл бұрын
@@araby33 그런건가요 그런것 같 았으면 좋겠다는 건가요? 아니면 마음이 불편해서 인가요? 북한에 대한 정보가 극도로 제한되는 데 어떻게 아세요? 북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루트라도 있나요?
@user-rb9mp7jd2i
@user-rb9mp7jd2i Жыл бұрын
@@araby33 중국 네이멍구 희토류 광산, 호주 오웬 석탄광산이나 로이힐 철광석광산의 특징이 "노천광"이라는 점을 제외하더라도 인구밀집지역과 수 백km 또는 수천km 떨어진 "오지 중의 오지"야! 그래서 환경오염 등 사회적비용을 무 시하고 채광하는 거야! 니말대로 북한에 대량의 지하자원이 존재하더라도 인구밀집지역에서 수 백km 또는 수천km 떨어져 있어 환경 오염 등 "사회적 비용"을 무시하고 채 광할 수 있는 지역이 어디 있니? 니 댓글은 무조건 옳고, 남 댓글은 잘못 되었으니 증거를 내놔라는 식의 "내로 남불"! 너무 야비하다는 생각 안 드니?
@jihyun6489
@jihyun6489 Жыл бұрын
@@user-rb9mp7jd2i 신경 쓰지 마세요 ^^ 가짜 정보입니다 ㅎ 전라도 고향인 친구가 북에 금이 아주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마대를 10장 줄테니 가서 금을 퍼오면 9마대 준다고 했더니 주둥이 닫았슴 ㅎ
@zzinfo424
@zzinfo424 Жыл бұрын
다들 희토류가 포크레인으로 땅뚜지면 나와서 직접 수출하는걸로 생각하는데 제련에 기술이 필요하다 제련기술로 계산하면 미국이 중국에 15년 격차란다….. 아무나 제련할수 있는게 아님. 환경오염도 낮추고 순도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기술제고가 필요함.
@magekweon8335
@magekweon8335 5 ай бұрын
중국공산당이라 할 수 있는 제련 ㅋㅋㅋㅋㅋ 염산 황산 마구마구 부어라
@user-pi6kt7vr9r
@user-pi6kt7vr9r Жыл бұрын
결국 인간의편의성이 지구를망하게하고 인간의피해로돌아오는군
@BLACK-hh6ih
@BLACK-hh6ih Жыл бұрын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정말 부럽지!!! 한국은 좁은 땅덩어리에 아무것도 없다 그러니 매번 강대국 정책에 흔들리지
@ddw6851
@ddw6851 Жыл бұрын
희토류도 중요 하지만 첨단 소재 분야ㅡ자동차와 생활용품 .바이오 친환경 소재와 바이오 신약.반도체.차세대 통신 분야.전기차와 드론 ㆍ첨단 군사무기ㆍ우주개발 ㆍ자동차와 생활밀착형 AI ㆍ군사용AI.등등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 해야.
@user-fd3fd6ih2z
@user-fd3fd6ih2z Жыл бұрын
그모든분야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이 희토류
@tvshim4999
@tvshim4999 Жыл бұрын
@@user-fd3fd6ih2z 네ㅡㅡ맞는 말씀
@user-ob4pp5dg1b
@user-ob4pp5dg1b Жыл бұрын
너무 중국에 의존해서 ㅜ 천연가스는 러시아가 무기화 ㅜ
@paradigm759
@paradigm759 Жыл бұрын
원자재 자립이 안되고 외국에 의존하게 되면 식민지나 다름없다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유도자석엔진개발활발하게해야한다
@Hyuchan1002
@Hyuchan1002 Жыл бұрын
인류의 탐욕이 멈추기 전에는 중국이건 뭐건 자원 앞에 무릎 꿇을 수 밖에 없을 것 ㅋ
@user-ut3gv5bb9x
@user-ut3gv5bb9x 4 ай бұрын
한국에도. 있다
@ddw6851
@ddw6851 Жыл бұрын
장애인과 노년층의 생활 밀착형 로봇 연구도 집중 투자 해야
@user-dv4gw9df7c
@user-dv4gw9df7c Жыл бұрын
화가 물감도
@dssun6846
@dssun6846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내용인데 현장 음이 나래이션 목소리를 잠재워 듣기 어려움이 많네요..
@user-ig2bk3uj9c
@user-ig2bk3uj9c Жыл бұрын
중궈들 시위소리가 너무 커 듣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음량이 고르지 못함... 해설이 제일 크고 나머지 배경음은 작아야 하는데.
@user-ig2bk3uj9c
@user-ig2bk3uj9c Жыл бұрын
적확한 지적이십니다! 나레이션 소리보다 공장 소음, 시위대 소음에 깜짝깜짝 놀라게 되어 불쾌합니다.
@197One
@197One Жыл бұрын
2020년 기사를 보니까 결국 호주의 라이너스사는 주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운영을 하고 있네.
@Pinetree4405
@Pinetree4405 Жыл бұрын
중국 아니면 다른 나라는 생산 못하겠다.
@user-sv7mr1cb1e
@user-sv7mr1cb1e Жыл бұрын
돈앞에선 중국을 상대할 나라는 업다
@aikkw
@aikkw Жыл бұрын
바다속 깊은곳에 나는 돌을 부숴 가루로 만든 흰색가루인데 바니쉬롸 같이사용 적.녹.청. 모두 흰색으로보여 어떤 그림인지 모르지만 형광빛을비추면 색상이 나타난다 원해서 이것으로 그림을 그려준적이 있다 너무 오래전이다 지금은 생산되는지도 모르겠다
@user-mx2by1uk1r
@user-mx2by1uk1r Жыл бұрын
장기적 관점에서 중국은 어리석은 짓을 하는 것이다. 차츰차츰 희토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거나 대체하는 즉, 덜 의존하는 기술들이 속속 개발될것이고 각국이 희토류 탐사와 광산개발에 나설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에만 똑똑한 사람들이 있는 것은 아니다,
@dykim880220
@dykim880220 Жыл бұрын
가끔 오디오에 에코가 들어가있음... ㅠㅠ
@user-mk3mx5no2m
@user-mk3mx5no2m 7 ай бұрын
희토류 채취를 위해 환경오염(방사능물질 등)에 대한 대책은 있는건지?
@user-dx9ql3ki8d
@user-dx9ql3ki8d Жыл бұрын
히토류와 관련 연구인력은 대기업에서 필요치 않을까 ? 그들은 왜 관리하지 않는가 ?
@ihj2607
@ihj2607 Жыл бұрын
환경오염이 너무 심하고 원가가 너무 많이 올라갑니다 아마 자석 가격이 몇배는 우숩게 올라가고 지하수는 돌이킬수 없는 수준으로 오염되겠죠 인권문제도 심각합니다 노동자의 건강을 갈아넣어서 만들거든요
@chonghwang8028
@chonghwang8028 Жыл бұрын
음향 상태가 엉망이네 현장소음으로 알아듣기 힘들다.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재활용전기차배터리기술확보및배터리많이확보해야한다
@user-dy5nq5ch9b
@user-dy5nq5ch9b Жыл бұрын
이미 수소로 넘어가고 있는대 개솔
@user-nasanato
@user-nasanato Жыл бұрын
띄어쓰기 좀 해라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을열처리해서폐기름만들자
@uichunli3411
@uichunli3411 Жыл бұрын
그건 지금하고있다는데요 수입도 올리고.
@user-ut3gv5bb9x
@user-ut3gv5bb9x 4 ай бұрын
한국땅에도 많이 있다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환경오염싫고자원을이용하고싶어서중국을선택했지만자원무기하도록함
@KhAn-ql5wp
@KhAn-ql5wp Жыл бұрын
그론데 중국이 미국에겐 희토류를 무기화하진 못하지요.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전기차가꼭친환경차가아니다베터리때문에
@Newjeannam
@Newjeannam Жыл бұрын
내연이랑 비교하면 그래도 훨 낫다
@Newjeannam
@Newjeannam Жыл бұрын
@@aldebaran666 에너지효율이란게있잖소
@user-cm4sj1gd3q
@user-cm4sj1gd3q 7 ай бұрын
희토류광물 50킬로 잊써요 어디에 팔수잊나요
@luckeyman1664
@luckeyman1664 Жыл бұрын
경제 전쟁에 있어서 희토류는 정말 무서운 무기네요!! 우리나라도 여성부 통일부 없애고 "미래 에너지 개발부" 만들어야 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말 했듯이 신개념 에너지를 개발한 국가가 세계를 선도할 것입니다. 중국이 장난치는 희토류를 배제한 기술 개발이 필수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과희토류섞어서자석만들자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2 ай бұрын
금양
@crofle3356
@crofle3356 Жыл бұрын
언젠간 고갈될 자원이고 만들어지려면 소비보다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빨랑 우주로 진출해야겠네요
@user-db1qb3df6f
@user-db1qb3df6f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서로 다투고 싸우고 물질적으로 탐욕에 절어서 우주개발에 집중하지 않으니 쩝…
@crofle3356
@crofle3356 Жыл бұрын
@@user-db1qb3df6f 우주에서 자원을 캐러 진출해야죠
@user-eerrweewe12
@user-eerrweewe12 3 ай бұрын
요즘 저렇게 중국의 환경문제 취재하면 바로 구속된다.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수소와희토류섞고아연섞어자석을만들자
@user-un9hd7yw8h
@user-un9hd7yw8h Жыл бұрын
전용차로없이 외부로 못가는 한국소형전기차는 미래가없지
@heji9800
@heji9800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중국 유학생 받아서 가르치고 그 중국애는 돌아가서 미국의 등에 칼을 꽂아 버리는구나
@user-gl9do2rx5k
@user-gl9do2rx5k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중국과 교류/ 전략적으로 판단해야한다
@KhAn-ql5wp
@KhAn-ql5wp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희토류걱정은 전혀 안하는듯 합니다. 우리도 미국의 동맹으로 희토류걱정 안하나, 문정권같이 반미하면, 중국이 희토류금지해도 한국을 언도울겁니다.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면 중국은 더많은 반도체제재로 경제가 중단될것같군요. 미국은 반도체외에도 무기화할것이 많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식량을 무기화하면 중국은 폭동이 나겠지요.
@jungae_
@jungae_ Жыл бұрын
18세기 겨울모피의 털은 동물 입니다. 지금은 동물이 아니라도 인조털로 따뜻한 겨울을 보낼수 있습니다. 자원은 어짜피 바닥이고 쫌더 새로운 관점으로 광물이 아닌걸로 대체하는 연구를 필수로 해야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입니다.
@user-hj4ol7rh2h
@user-hj4ol7rh2h Жыл бұрын
환경오염에 심각한대가 치러야하는 희귀금속 무기화 하는거당연한거아닌가?반도체도무기화하는 마당에
@user-bs2tz7oi1e
@user-bs2tz7oi1e Жыл бұрын
썸네일 신호등치킨 인줄 알았다네 으흐흐흐
@koreazio8255
@koreazio8255 Жыл бұрын
그나마 다행인것이 한국은 자연파괴없는 희토류정제기술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얼마전 나와쓰ㅏ는것
@user-dl7mj2ck2t
@user-dl7mj2ck2t 11 ай бұрын
주렁주렁 연애사업해서 좋은환경에서 좋겠다
@sdp3800
@sdp3800 Жыл бұрын
미국은 과학기술 및 반도체 패권으로 중국목 조이니 중국도 부득히 희토류로 대적하는 방법 뿐이다
@donghoylee2882
@donghoylee2882 Жыл бұрын
KBS가 하필 이시기에 10년전에 올린 이런 유튜브 영상이 재탕이 되는건 재미있다. 그런데 자신들이 또 작년에 내놓은 영상 하나는 울산대 교수가 새로운 합금 자석이 더 구하기쉽고 값도 저렴하면서 높은 열에서도 더 잘견디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고 했는데 왜 이런걸 다시 올렸을까요?
@ihj2607
@ihj2607 Жыл бұрын
희토류가 중요한간 두말하면 잔소리 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언론노조 보면 다 친중인건 다 아는 사실이죠
@phkair
@phkair Жыл бұрын
미국에도 꽤나 많은 희토류가 있지만 일부러 개발을 안하고 있습니다. 희토류 광산을 한 뒤에는 그 지역은 다시는 사용할 수 없을정도로 심각한 환경오염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중국에게 의존도가 높은 것이구요. 아니러니한것은, 우리가 친환경으로 알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희토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겁니다. 전기자동차 영구모터 제작시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재료죠. 전기차를 무작정 친환경이라 볼 수 없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물론 기술발전으로 희토류를 대체할 무엇인가가 개발, 발견된다면 어찌될지는 모르겠네요.
@uicivfer
@uicivfer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좋은데 음향이 너무 성의없네요 일반 유튜버도 이렇게 제작안할텐데요 이상하네요
@CanU2009
@CanU2009 Жыл бұрын
친환경차량을 만들기위해 ㅋ 다른 자원을 파괴하는 ㅋ 아이러니 ㅋㅋ 전기차가 무슨 친환경이냐 ㅋㅋㅋ
@user-gp1zt9ng6i
@user-gp1zt9ng6i Жыл бұрын
미리 사재기 좀 해놓아야
@jj69674
@jj69674 Жыл бұрын
생산하는 쪽도 가격을 조절하기 때문에, 일부러 많이 만들지 않습니다.
@user-zw3vh2oz2o
@user-zw3vh2oz2o Жыл бұрын
자원은 북한에 많은데 통일되면 진짜 대박이긴함
@jj69674
@jj69674 Жыл бұрын
통일 안됨. 그 이점을 아는 다른 나라들이 방해함. 만약에 우리나라가 통일 될려고 하면, 다른 나라에서 개입이 들어와, 그 "자원" 지역을 떼어 내 줘야함.
@user-rb9mp7jd2i
@user-rb9mp7jd2i Жыл бұрын
대박은 커녕 중박만 돼도 다행!! 한반도 특히 북한은 70%이상이 산악 지형임. 경작지 사회인프라 및 인구밀 집지역인 저지대에서 절대 하지말아야 할 산업이 대표적인 환경오염산업인 "광산업"임. 그럼 산악지형에서 갱도식으로 채광해 야 하는데, 노천광인 외국산과 가격경 쟁력이 없을 뿐더러 안전사고시 수많 은 인명피해가 발생함. ㅡ 북한의 지하자원은 우라늄 등 몇 개 제외하면 경제성이 별로 없음.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Жыл бұрын
한반도 주변에 군사강국 1-6위까지 집결해 있음..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아연과희토류섞어서자석만들자
@gdol2033
@gdol2033 Жыл бұрын
포탄 . 미사일 만드는데도 희토류가 들어가야한다지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Жыл бұрын
무기 제일 많이 만들고 판매하는 나라는 알흠다운 나라임.
@FlowerSan
@FlowerSan Жыл бұрын
궁하면 만들지요. 우리도 그러지 읺앗나. 일본이 우릴 이겻나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풍력도 가능성낮고 태양광도 가능성낮다
@josephjoseph8404
@josephjoseph8404 3 ай бұрын
환경생각 1도 안하는 중국 언젠간 황폐지 되겠다
@scottcello418
@scottcello418 Жыл бұрын
방송 업데이트좀 해라. 10년도 지난 걸 사골방송.
@log-injoong
@log-injoong Жыл бұрын
일본 니들이 한국에 한짓은 생각안하나
@user-df1xn2mi2w
@user-df1xn2mi2w Жыл бұрын
희토류 중요한 소재지만, 없으면 대체제를 가지려고 새로운 개발을 하면서 발전하는거 아닐까! 석유 한 방울 안난다고 해도 잘 살잖아. 먼 곳 부러워 말고 내 있는 자리를 가치있는 곳으로 만들어야 선진국 아닐까. 언제까지 남 따라 할래.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희토류는 홍수나면 만들어짐.
@user-hk8qp6ko3n
@user-hk8qp6ko3n Жыл бұрын
미국이 지금부터 10년뒤에나 할지도 모름.
@user-nf7ei1vk2r
@user-nf7ei1vk2r Жыл бұрын
일반인도희토류찾을수있는지
@benkim2016
@benkim2016 Жыл бұрын
러시아처럼 자원무기화 하지 말자 ㅠㅠ
@user-me6pj1cz4w
@user-me6pj1cz4w Жыл бұрын
미국엔 중국 스파이가 많아ㅎ 첨단기술을 훔쳐야해서~우리나라두 중국 스파이가 많이있지만ㅎㅎ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Жыл бұрын
전세계엔 미쿡 스파이가 젤 많아.. 해외기지도 미쿡이 800여개로 젤 많아. 중국 ,러시아 합쳐봐야 5개 정도
@user-bk6be4vm8y
@user-bk6be4vm8y Жыл бұрын
차 디자인 거즘 우리나라거 배껴 조금씩 변형된거다 똑같이도 말들고 우리나라 자동차 회사는 어찌되었는지 해명해야될것이다 차 전자 또 중국에 전부 기술이전 할것인가 타 나라에 기술유출한 놈들은 최고형 사형에 처해야된다
@user-yt3uf1fv6j
@user-yt3uf1fv6j Жыл бұрын
전세계희토류매장25%북한 접수하는방법 밖에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북한에있는희토류광산도중국에넘어감
@tvshim4999
@tvshim4999 Жыл бұрын
그런가요?ㅡ중국은 도둑놈
@user-un6yt7ok1g
@user-un6yt7ok1g Жыл бұрын
증거 ㄱㄱ
@puregold7958
@puregold7958 Жыл бұрын
11년 전 방송을 보고 이러고들 있다...참;;;
@user-dl7mj2ck2t
@user-dl7mj2ck2t 11 ай бұрын
그럼 물부족 현상은 정부에 환경오염의 실태를 보여주고 공수로 해달라하면 돼지 다이아와 버금가는 채굴을 하는데 제발 아찌들아 머리두서 뭐하니?
@joncert4844
@joncert4844 Жыл бұрын
북한에 많다면서
@RiseHigh333
@RiseHigh33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내가 이온엔진을 발명해서 특허를 신청했는데도 받아주지를 않아. 거의 빛의 속도로 달리면 사고날 확률이 높대나 뭐래나.
@user-ds8sy5kc1v
@user-ds8sy5kc1v Жыл бұрын
병원 좀 가세요 아재
@user-ol3el3nk8c
@user-ol3el3nk8c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 선순위가 있어요
@user-wf6tn3pk1u
@user-wf6tn3pk1u Жыл бұрын
북한을 파보면 우리도 희토류 좀 많이 뽑을 수 있을 텐데.. 정은아 남쪽하고 뭔가 좀 같이해서 긴장감도 줄이고 서로 이익이 되는 것을 좀 해보면 안되겠니 ? 너도 후대에 이름을 진정한 영웅으로(니 아빠와 할아버지랑 좀 다르게) 남겨보면 어떨지?
@user-qi4zz4et9n
@user-qi4zz4et9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중국을 밀어줍시다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아연구리섞고플라스틱폐기름섞어서자석만들자
@user-dx9ql3ki8d
@user-dx9ql3ki8d Жыл бұрын
역시 등소평 ᆢ 뭔가 틀리네 ᆢ
@user-dv4gw9df7c
@user-dv4gw9df7c Жыл бұрын
하루빨리 북한과 경제 통일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아연50%과과거폐자석섞어서재활용자석만들자
@Fat7ance
@Fat7ance Жыл бұрын
개미들 고쳐쓴다고 워렌 버핏 되겠냐?
@z384csw
@z384csw Жыл бұрын
등소평이 미래를 잘보네 ㅎㅎ. 도광양회를 안하고 자꾸 나대니 결국 쭝국은 나락가는구나.
@user-jt8rr5ij6g
@user-jt8rr5ij6g 3 ай бұрын
단군의 헬포인트 스타팅포인틎선정 ㅅㅂㄹ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북한에미개발광산들을사야한다
@user-xf1mo2xr8l
@user-xf1mo2xr8l Жыл бұрын
제발 꿈에서들 깨자 북한과는 그 어떤협약도 단물만 빨곤 폐기된다 . 그동안 북과의 관계개선 하에 얼마나많은 유무상 원조를 하였나 문재인과 맺은 군사합의 조차도 우리군 손발만 묶어놓고 잉크도 마르기전에 폐기하는걸 보고도 ,, @ 모든 북한자원 이미 중국에 최저 50~100년이상 중국에 팔아넘기고 활발히 개발되어 재미보자 일방적으로 방해 중국이 매년 엄첨난 피해를 보고있다 . 개돼지 국민들 제발 정신들 차립시다 북한에 김일성 최고존엄과 그 결사옹위세력들이 있는한 그들과의 그 어떤 협상도 태평양에 물붙기다 정신들 차려라 !
@user-rb9mp7jd2i
@user-rb9mp7jd2i Жыл бұрын
북한의 미개발광산 중 경제성이 있는 게 어디 있나요? 갱도식이라 안전사고시 수많은 인명피 해가 발생하고, 지금처럼 북한주민을 노예수준으로 저임금을 주지 않는 이 상, 외국의 노천광과 가격경쟁력도 없 는데요!!
@user-mx1bt9yl5d
@user-mx1bt9yl5d Жыл бұрын
지금처럼 적개시 되는 현 시점에서 과연 북한이 그걸 용인할까요?
@araby33
@araby33 Жыл бұрын
@@user-rb9mp7jd2i 그런건가요 그랬으면 좋겠는 건가요? 아니면 그렇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할 끼봐 그런건가요? 북한에 대해 극도로 정보가 부족하면서 어찌 알까요
@user-rb9mp7jd2i
@user-rb9mp7jd2i Жыл бұрын
@@araby33 강명도TV에서 북한의 지하자원에 대해 언급한 적 있습니다. 70년대 울산앞바다 가스전발견에 자 극받아 김일성이 직접 공산권기술자 와 서방측 기업을 초청해 지하자원탐 색을 했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했 습니다. 최소한 남한에서 북한지하자원대박론 을 외치는 사람의 말보다 북한 고위층 으로 살았던 강명도의 말이 더 신빙성 이 가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international2319
@international2319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중국욕할 자격이있나. 니들은 우리한테 보복안했어?
@user-lq5tc5cs4i
@user-lq5tc5cs4i Жыл бұрын
북한에 많대요. 통일되면 개꿀
@user-bk6be4vm8y
@user-bk6be4vm8y Жыл бұрын
자석만 빼꼈나 중국도 머너쓴거지 자기내들 유리한조건으로 기술가저가 결국 등뒤에 칼이 있다는거 어찌보면 중국이 정치나 외교를 잘한거아니가 예전 인수합병때 싸용차 기술 중국에 빼꼈다는 말도 돌고있다 중국 이것저것 다 뺏어가서 부를 축적힌다 한국 기업들도 기업들도 얼마나 많은 기술과 노하우를 빼꼈는가ᆢ
@user-bz4yl7vu7m
@user-bz4yl7vu7m Жыл бұрын
희토류시대끝난다
@user-xf1mo2xr8l
@user-xf1mo2xr8l Жыл бұрын
대체 물질이 ....
@user-dl7mj2ck2t
@user-dl7mj2ck2t 11 ай бұрын
배가 불렀나 희귀한 광물 생산중단! 그 광물없인 첨단산업은 꿈도 꾸지말정도인데 stop what?친환경 수호 진짜 배부른 소리 하고 있네 우주로켓 군사위성 첨단전자 이모든것의 핵심가치란걸 모르고 하는행동인가?
@user-dl7mj2ck2t
@user-dl7mj2ck2t 11 ай бұрын
으이그 좋탄다
@kisangchoi9724
@kisangchoi9724 11 ай бұрын
몽골 열받겠네...내몽고지역 몽골땅이었는데...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포스코홀딩스가 발견한 염호 속 하얀 석유, 리튬✨
31:26
포스코 스튜디오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Не плавайте тут!😨🌊
0:26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ХЕЧ БУЛМАСА МЕХНАТГА БИТТА ЛАЙК БОСИНГ
0:12
Муниса Азизжонов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天使他们用各种东西打出节奏#short #angel #clown
0:22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