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다큐멘터리 <102개의 뼈, 왕의 귀환 : 백제사 복원 프로젝트>

  Рет қаралды 103,565

KBS Jeonju

KBS Jeonju

Жыл бұрын

KBS전주 특별기획 <102개의 뼈, 왕의 귀환 : 백제사 복원 프로젝트>
✅ KBS1 12월 9일(금) 방송
예부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던 익산 쌍릉.
일제강점기인 1917년 12월 조선총독부에 의해 처음으로 조사된 후 100년이 흐른 2017년 재발굴이 이뤄졌고, 조사 결과 대왕릉의 주인은 “백제 무왕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그렇다면 무왕은 왜 익산에 묻혔을까? 왜 그의 시호는 무왕일까? 성왕의 죽음 이후 위축되어 있던 백성들에게, 신라를 향한 끊임없는 공격으로 자신감을 심어주고, 왕궁과 미륵사 건립 등 익산을 백제 부흥의 새로운 전초기지로 삼아 백제 문화예술을 꽃피운 강한 군주 무왕.
무왕의 일대기를 통해 7세기 당시 한반도의 정세를 들여다보고 백제사에서 무왕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금 되새겨 본다.
내레이션 : 배우 이승준
#KBS전주 #특별기획 #역사다큐 #무왕 #익산 #쌍릉 #백제
#왕의귀환 #백제사 #역사복원 #미륵사지
 
🔗공식 링크 linktr.ee/KBSJJ

Пікірлер: 177
@user-il8ly5tz9n
@user-il8ly5tz9n Жыл бұрын
수신료의 진정한 가치입니다. 이 기회에 역사 다큐가 다시 헐성화 되기를 바랍니다.
@hgjeong9632
@hgjeong9632 Жыл бұрын
다큐의 퀄리티가 아주 좋네요.. 이런 방송 많이 만들어 주세요..
@user-yo8wj5sc8s
@user-yo8wj5sc8s Жыл бұрын
어디에서도 배울수없는 백제의 깊고 생생한 역사를 감동 깊게 배웠습니다
@user-us4fz8en5o
@user-us4fz8en5o Жыл бұрын
최근 본 역사다큐중 제일 인상깊네요!
@soyoung223
@soyoung223 Жыл бұрын
웅장하다 진짜 ㄷㄷㄷㄷㄷㄷㄷㄷㄷ
@user-et5bx7bc2b
@user-et5bx7bc2b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내용의 영상은 수신료가 아깝지 않습니다. 너무 유익하고 재밌고 배워갑니다.
@user-ds1vm2eo7e
@user-ds1vm2eo7e Жыл бұрын
찬란한 백제 문화를 꽃피운 주역인 무왕의 이야기... 몰입감 있게 보았습니다! 👍🏻 수신료의 가치를 증명하는 귀한 다큐멘터리네요!
@bonickalfan188
@bonickalfan188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나레이션이 너무 좋네요! 잘 보고갑니다!
@Youngcoolfly
@Youngcoolfly Жыл бұрын
좋은 다큐네요 감사합니다
@KBSJJ
@KBSJJ Жыл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m6pv1ty5r
@user-xm6pv1ty5r Жыл бұрын
아무생각없이 보게됐는데 몰입해서 끝까지 봤네요 정말좋아요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배우 이승준 나레이션 반갑습니다 💋 😁 💋 좋은아침입니다 일요일날 파이팅입니다
@user-or7bb9sv3l
@user-or7bb9sv3l Жыл бұрын
천년 넘은뼈가 아직도 잇다니.... 다큐 몰입력 대박이네요 이런 프로면 수신료 안아까움
@user-oe7fd2bg3z
@user-oe7fd2bg3z Жыл бұрын
백제사 복원이 아니라 백제사 날조죠 ㅋㅋㅋㅋ
@asdfhg256
@asdfhg256 Жыл бұрын
​@@user-oe7fd2bg3z 하여간 아는것도 없으면서 비난만 할 줄 알지
@user-xx2kn1lv8l
@user-xx2kn1lv8l 17 күн бұрын
6천년된 유골들도 있다네요
@69MadnezZ
@69MadnezZ Жыл бұрын
문화 유적이 많이 남지 못한게 진짜 마음이 너무 아프다 ㅜㅜ
@youngsang8do
@youngsang8do Жыл бұрын
15:30 이도학 선생님 ㅠㅠ 역사스페셜때 보았는데... 세월은 속일수가 없군요 ㅠㅠ
@-chocosong2792
@-chocosong2792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다 진짜 멋지네요 다큐 ,,, 고퀄 다큐를 이렇게 볼 수 있다니 감사합니다!!
@user-mh3tw9rk5y
@user-mh3tw9rk5y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user-ly9nc4cl5v
@user-ly9nc4cl5v 4 ай бұрын
감돔 그자채 입니다 몆번을 보고듣게 됌니다 모든 관개자분들 고생 하셨 읍니다
@yijh1212
@yijh1212 4 ай бұрын
이렇게나 멋지고 가슴 웅대해 지게 만드는 군주….. 무왕…❤ 이런 훌륭한 프로를 만드신 제작진에 경의와 감사를 🎉🎉🎉
@user-xm6pv1ty5r
@user-xm6pv1ty5r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너무좋네요
@KBSJJ
@KBSJJ Жыл бұрын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o7fy5cc8t
@user-yo7fy5cc8t Ай бұрын
알려 주셔서 감사 합니다 역사 공부 잘 했습니다
@user-ur9yb5jm5n
@user-ur9yb5jm5n Жыл бұрын
좋은 다큐 감사합니다
@Ryan-kb5vs
@Ryan-kb5vs Жыл бұрын
속이 다 시원한 다큐 오랜만이네요 ~ 캬
@yangy9189
@yangy9189 Жыл бұрын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무왕과 선화공주의 이야기는 나중에 만들어진 이야기 인건가? 어떻게 된 이야기인지 궁금합니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호동왕자(무왕) 선화공주 반갑습니다 💋 😁 💋
@ks22443385
@ks22443385 Жыл бұрын
굿
@yongilkwon7917
@yongilkwon7917 Жыл бұрын
대왕의 유해를 단순히 표본실에 보관한다는 사실은 문제가 크다고 봅니다. 100년전 일본 조차도 대왕의 유해를 왕릉에 그대로 안치 하였는데 후손인 우리가 대왕의 유해를 수습 하고도 왕릉이 아닌 표본실에 표본으로 보관 하고도 예의를 다할수 있다고 할수 있을까?
@user-fg7fc8fi8b
@user-fg7fc8fi8b Жыл бұрын
거기 두면 그대로 썩는다..표본으로 보존해두고 습도나 온도같은걸 맞추어 두어야 연구 가치가 있지
@user-di8et7wf7k
@user-di8et7wf7k 3 ай бұрын
@@user-fg7fc8fi8b ㄹㅇ 일본이야 왕가가 그대로 남아있으니 왕실 주관으로 관리하면 되는데 우리나라는 백제 왕가 유골 관리할 주체가 학자들밖에 없으니
@user-nq8jx7gd1t
@user-nq8jx7gd1t Жыл бұрын
삼국 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나라 백제에 대해서 앞으로도 많이 알고 싶네요 잘 보고 갑니다
@KBSJJ
@KBSJJ Жыл бұрын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gh1dw4py1c
@user-gh1dw4py1c Жыл бұрын
저두요~~~.. ❤️🧡
@user-uk7xv5it3z
@user-uk7xv5it3z 4 ай бұрын
저요저요
@user-ji2qf4uj4d
@user-ji2qf4uj4d Жыл бұрын
👍👍👍
@Lemon-ze6bw
@Lemon-ze6bw 29 күн бұрын
타임머신 타고1400년전 다녀온거같아요.너무훌륭한 프로그램입니다.
@user-vx9cq6oh2l
@user-vx9cq6oh2l 4 ай бұрын
젊은 역사 학자들이여 부디 깨어서 지혜로이 역사를 바로 잡아 우리나라의 유적과 역사를 바로잡아주오 이것이 우리 아래 세대에 남겨줄 위대한 유산이요 역사는 그대들 손에 달렸오 왜곡된 역사가되지않게해주시오 부디....
@maltiduru
@maltiduru Жыл бұрын
백제 찬란하다❤
@taehoon914
@taehoon914 Жыл бұрын
백제는 고대 삼한 즉 마한 때 부터 익산지역을 시성시 했었습니다. 그 이유는 고조선 유민들이 익산으로 내려놔서 터를 잡았고 백제는 그 지역을 중요하게 생각헸었습니다. 그리고 익산으로 수도를 옮길 수 있었던 이유도 이미 여라기지 시설 등이 유지되어 있었고 고조선이라는 전통성이 있었고 다시 부흥을 하겠다는 의지라고 봅니다.
@taehoon914
@taehoon914 Жыл бұрын
고조선의 준왕이 위만조선에게 패하고 남으로 내려왔고 정착한 곳이 익산이고 그 나라가 건마국 입니다. 목지국 이전에 마한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죠.
@taehoon914
@taehoon914 Жыл бұрын
이 매용은 나무위키에 없을텐데??
@taehoon914
@taehoon914 Жыл бұрын
없을텐데요?. 아직도ㅇ 가설에 대해서 논쟁중인데 이게 나무위키에?? 나무위키 자체를 보지도 않지만 신기하네요.... 추가로 더 설명하자면 건마국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명망 후 인구의 상당 수가 목지국으로 넘어갔고 또 목지국이 멸망 후 백제로도 흡수가 됩니다. 그리고 건마국과 목지국 멸망 후에도 현재 나주 지방에는 백데만큼 강력한 토착 국가가 있었는데 아직 신원미상 입니다. 단지 미힌의 한 국가정도로만 알 뿐이죠.. 중국의 역사서 중에서는 우리가 왜국이라고 밀하는 국가가 나주자방이고 멸망 후에 일존으로 건너갔고 그 후에 일본을 왜라고 불렀다는 주장이 있기도 합니다.
@user-og3rz2ud1f
@user-og3rz2ud1f Жыл бұрын
백제 마지막왕 의자왕이 당나라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수도 장안에서 수명을 다해 늙어죽은 것 같습니다 당시에 공주나 익산이 백제수도 였다면 멀어서 잡혀가다가 죽었을겁니다 당시 수도가 사비인데요 지금 사비를 차지 못한다고 합니다 충청도나 전라도 어디라면 금방 찾을수 있습니다 묘지가 있고 궁궐이나 관청터가 남아 있기에 찾을수가 있지요 아마 사비가 중국 요서지방 아닌가합니다 의자왕의 후손들도 살아남아서 딸들은 당나라 왕족들과 혼인을 하고, 백제 장군들은 당나라에서 장군으로 활약합니다 흑치상지가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PrettyT-rex
@PrettyT-rex Жыл бұрын
백제가 익산지역을 신성시?? 무슨 근거로??
@user-dj8ne7qx2x
@user-dj8ne7qx2x 4 ай бұрын
👍
@user-qf9pe3ie3q
@user-qf9pe3ie3q Жыл бұрын
👑👑👑
@user-zq6vk2yb1x
@user-zq6vk2yb1x Ай бұрын
오래댄 이야기... 화이팅... .
@skyfaraway
@skyfaraway Жыл бұрын
오라관 고증 좋네요. 무령왕릉 출토품이 그대로 재현되었네. 다른 다큐같은거 보면 신분 낮은 사람이나 쓰는 두건을 쓰고 있던데. 하다못해 새날개 모양 금동 조우관이라도 써야지 하호들이나 쓰는 천 두건을 무슨 왕이 쓰고 있는지..
@wenmi7786
@wenmi7786 Жыл бұрын
백제자체 기록이 거의 없는 게 안타깝..일본이나 중국기록에 의존하거나 발굴에서 나타나는 거에 의지해야되다니😢
@user-ri9dh9fn7x
@user-ri9dh9fn7x Жыл бұрын
익산에 쌍릉 있는데 막연히 무왕 능이라구만 전해 내려오는데 작년에 발굴조사해서 밝혀짐
@renovatio2946
@renovatio2946 8 ай бұрын
근거도 없이 쌍릉=무왕릉이라 하였죠. 역사에 그런게 어디 있습니까?
@user-ri9dh9fn7x
@user-ri9dh9fn7x 8 ай бұрын
@@renovatio2946 작년에 일제시대발굴후 백년만의 재발굴에서 뼛조각백여개가든목함탄소연대측정으로 무왕의사망시기와일치히여 무왕릉으로 확정정적이라는 방송 봄 대전Kbs 제작프로그램
@user-sg6fj2on8v
@user-sg6fj2on8v Жыл бұрын
선화공주님도 찾아주세요ㅠㅠ
@user-sj3dc6bk4s
@user-sj3dc6bk4s 10 ай бұрын
수신료의 가치는 이런 프로에서 더욱 갑진다
@user-je9ic5lp5v
@user-je9ic5lp5v Жыл бұрын
오늘백투더뮤직은안하나요?
@KBSJJ
@KBSJJ Жыл бұрын
네. 특집 관계로 쉽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user-sy2bj6yz6w
@user-sy2bj6yz6w Жыл бұрын
백제는 어이없을정도로 허망하게 망해버렸죠.
@user-fi8hm5fu1c
@user-fi8hm5fu1c Ай бұрын
선화공주가 단명하고 사택왕후가 온건가요?
@user-lw5tm5ij3w
@user-lw5tm5ij3w Жыл бұрын
쌍릉 - 신라 고유의 릉
@user-qh4jp7vg2f
@user-qh4jp7vg2f 4 ай бұрын
DNA 취출이 안되려나요
@user-ly9nc4cl5v
@user-ly9nc4cl5v 4 ай бұрын
❤😂
@user-zb3st2dd2f
@user-zb3st2dd2f Жыл бұрын
미륵사 사리봉안기에는 무왕에게 바친 "대왕폐하"라는 존칭이 보인다. 극의 연출중 신하들이 임금에게 "전하"라 표현한 것은 고증미비를 보여주는 실수입니다.
@yeon-hchoi8175
@yeon-hchoi8175 Жыл бұрын
사택지적 사택적덕 백제 귀족 이름이 4글자인걸봐서 섬나라는 백제계가 맞는듯
@user-zl5cr6st6j
@user-zl5cr6st6j Жыл бұрын
흑치상지 귀실복신 사마상여 부여사마 이런 고대 백제 장군 이름은 한국인은 사용하지 않는 이름 현재의 일본인 이름이고 무령왕도 일본 태생 구다라 노코니키니시씨 한자로 백제 왕씨 들이 지금도 일본에 살고 있어요 반면 전라도 지역 묘비명에 가장 많이 새겨진 성씨 김씨
@user-ik1xu7ft4z
@user-ik1xu7ft4z Жыл бұрын
전부 구라예요 야네... 일본 중국의 뿌락지들임 일제 조선편찬위원회 백제 왜의 외형적인 특징이 흑치인데 흑치를 할 때 씹는 과일은 동남아 북부에서만 나오는 빈낭이라는 과일 백제 왜는 대륙에 있던 나라임 중국 복건성에 임나성이 아직도 존재를 하는데 한반도의 임나 일본부를 주장하는 것들이나 백제는 우리꺼다 한반도에서 백제를 찾는 멍충이들이나 똑같음
@k3k856
@k3k856 Жыл бұрын
이게 뭐가 중한디~~ 아직도 삼천궁녀라고 배우는디~~~
@user-hy4ju5iv9q
@user-hy4ju5iv9q 4 ай бұрын
한국의 강단 역사학계 교수와 박사급 이상 이순신장군 동상앞에서 처단하는것만이 대한민국의 역사를 바로세우는길
@kimjy6612
@kimjy6612 Ай бұрын
익산 천도할라다 못한게 아니고 짧지만 천도 했던건 아닐지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미친다
@veritasetscientia6567
@veritasetscientia6567 Жыл бұрын
큐수 는 원래 백제 분국입니다. 일본 자체가 백제의 분국인 거죠
@stucov6064
@stucov6064 Жыл бұрын
환단고기보고왔나본데 환핀대전이나 알려주고가쇼
@joys2003
@joys2003 Жыл бұрын
일본이란 나라는 백제멸망후 탄생.. 백제왕족과 귀족들이 만든 것인듯
@Myunglee-vd7ul
@Myunglee-vd7ul 6 ай бұрын
일본엔 고구려 신라 백제 다 가서 살았단 기록이 있는데 무슨소릴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저기 왕궁이 있었다면 가라국 왕궁일거 같은데
@user-qk3kn2xc4r
@user-qk3kn2xc4r Жыл бұрын
우리 최완규 교수님 너무나 존경합니다....일생일대의 무왕릉 발굴!!!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Жыл бұрын
전북 익산 미륵사지, 백제역사복원프로젝트 목적으로 kbs 전주 방송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라서, 이해 못 할 바는 아니지만 백제 무왕을 전륜성왕 급으로 신격화 시킨 듯한 뉴앙스는 선을 넘으신 거 아닐까 걱정됩니다^^ 내용 전개 자체는 고퀄리티이고, 볼거리도 많지만요^^ 미륵사지 탑 해체과정에서 나온 사리함을 개봉하는 장면에서 나온 수천 점의 금붙이에 적힌 소원문을 읽는 나래이션에선 "인간은 변치 않는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누구 말이 생각납니다. 무왕의 미륵사 창건은 '백제판 사기 사건'이 아니었을까요? 백제 무왕의 익산 미륵사 창건의 배경엔 신라 진흥왕의 황룡사 창건을 벤치마킹한 정황이 엿보이고요. 진흥왕이, 인도 아쇼카왕을 뛰어넘는 전륜성왕이 되겠다는 포부로 야심차게 만든 아육왕육존상을 벤치마킹한 구도로 3탑3금당 체제로 지은 점도 그렇고, 진흥왕의 할아버지 (지증왕) 때 폐지한 순장 풍습이 백제 민간엔 여전히 남아서 비인간적인 건 물론 군인과 농경에 쓰일 인적 자원이 모자라게 하는 걸 막기 위해 고대로부터 천신신앙파의 성지이자 인신공양 장소로 쓰였던 연못 자리에 왕궁을 짓는다는 핑계로 궁전을 짓다가 황룡이 승천했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려 황룡사 절로 설계변경했던 걸 벤치마킹하여, 무왕은 날로 들어나는 신라 정벌로 필요한 군비 조달을 위해 '천도'라는 (사기성) 빅카드를 꺼내들고 익산으로의 천도한다는 9라를 치면서, 멀쩡한 땅들을 놔두고서 하필 백제로 갓 편입되었을 당시 익산 지방의 인신공양 장소로 이용되었다고 볼 익산 큰 연못을 지목하고, 삼존불이 나타났다는 여론조작용 9라를 쳐서 여론을 조작하여 절을 짓는다고 '성금' 명목으로 무지막지하게 돈을 거둬들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라 진흥왕이 써먹었던 방식이고, 무왕의 첫부인으로 추정되는 선화공주가 진평왕의 장녀였을 것으로 추정되기에 당시 백제 귀족. 백성들은 신라 진평왕이 죽으면 아들이 없으니 신라는 큰사위인 백제 무왕으로 상속되어 백제는 신라를 흡수할 것으로 예상하고 기대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막상 진평왕이 덕만(선덕여왕)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초강수를 두자, 무왕도 신라를 힘으로 빼앗아 오겠다는 전략수정을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선화공주는 의자왕을 낳다가 죽었거나, 싯다르타 모친 마야 부인 마냥 산후 조리 중에 죽었을 개연성도 크고요). 의자왕은 엄마 상속 몫을 찾기 위해 그리 모질게 신라를 밀어부치고, 백제ㅡ신라는 철천지원수로 싸운 게 아니었을까요(유럽에 그 흔한 왕위계승전쟁, 장미전쟁, 백년전쟁 등등)? 무왕은 장인인 진평왕이 사망하면 당대 상속제도에 따라 당연히 신라는 백제로 흡수될 것으로 생각하고, 그 준비차 익산 천도와 미륵사 창건을 했는데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안 했는데 김치국부터 마신 꼴"이 되어, 후계 구도 등 중흥 정책이 엉망진창이 되어갔던 게 아닐까요? 천주교는, 정약용 등이 모여서 천주실의 등을 공부하던 공부방이자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자들을 기리기 위해 천진암 절터 자리에 천주교 성지를 조성한다면서, "제대로 된 성지를 만들자"는 취지로 100년 대계로 짓는다고 계속 성금을 받고 성지순례를 시키면서 공사는 막상 터만 닦아 놓는 정도에서 머물고 있는데, 무왕은 이런 참을성이 없었나 봅니다. 아니면, 진신사리를 구해온다는 사기꾼들에게 너무 많은 돈을 사기 당했지 않나 싶기도 하고요. 불교 방송 스타강사 박사 학위 6개?, 8개? 자현 스님의 붓다로드 강의를 들으니, "전세계의 부처님 진신사리라는 사리들을 한 군데 다 모으면 백두산보다 더 큰 산이 된다"는데, 또 막상 "인도에 있는 사리탑에서 진신사리를 꺼내온다는 건 있을 수 없었다"던데요. 기원전 200년대에 "아쇼카왕이 7개의 진신사리탑을 해체해 사리들을 가루로 만들어 인도 전역에 팔만사천개의 사리탑으로 만들었는데, 사리탑이 석가탑이나 다보탑 규모가 아니라 왕릉급의 시멘트탑이라서 지금도 그대로 인도 전역에 보존되어 있다"는 취지의 강의를 유튜브에서 들은 적이 있습니다. 즉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진신사리라 칭하는 모든 사리는 9라이고, 누구 뼈인지 침팬지뼈나 이빨인지 족보 자체가 알 수 없는 지경"이라는 취지였었거든요. 자현 스님도, "진짜 진신사리냐 아니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신앙대상으로 친견하라"는데, 좀 아리송했었거든요 😳
@user-tm7qm3oe4u
@user-tm7qm3oe4u Жыл бұрын
흉노세요?
@VeritasLuxMea8
@VeritasLuxMea8 Жыл бұрын
흉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atuu2601
@batuu2601 Жыл бұрын
무령왕이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의 왕이고 본국으로 돌아와 백제의 왕이 됨
@user-wv3vb8vu8n
@user-wv3vb8vu8n Жыл бұрын
반도식민사관 지긋지긋하다 백제는 중국동부와 한반도 서남부에 이르는 드넓은 해양제국 이었다
@user-yi4en2rq6k
@user-yi4en2rq6k Жыл бұрын
가아니라.....다.....
@habana6
@habana6 Жыл бұрын
쌍릉 일제시대 일본학자가 신라거라는데, 일부사람들이 역사왜곡한다는 주장이 있던데 이렇게 올려도 되나요?
@user-sd4rr8um7y
@user-sd4rr8um7y 12 күн бұрын
신라가 불지러서없앴네요
@user-ox6ef8ww9d
@user-ox6ef8ww9d Жыл бұрын
경상도가 고향인 배달의 백성으로 이런 프로그램 응원합니다. 660년 백제 멸망.668년고구려 멸망이후 지속된 신라 중심의 역사관은 부셔야합니다.한민족이 웅비하지 못하게 친일역사관.헬조선등 외부.내부적으로 수많은 갈등이 있어 왔습니다.청룡의 눈물이여 한민족을 수호하소서.
@PrettyT-rex
@PrettyT-rex Жыл бұрын
모든 역사는 승리자 중심으로 쓰여지지. 친일역사관? 그런거 없다~ 청룡의 눈물은 또 뭐얔ㅋㅋ판타지 그만봐라ㅉㅉ
@civilengboy
@civilengboy Жыл бұрын
혹시 영화에서처럼 인간복제가 가능할까요???
@jonggulee4607
@jonggulee4607 10 ай бұрын
DNA검사를 해야하는데, 고고학 한다는 새끼들이 무왕의 뼈를 앞에 두고, 마스크도 안끼고 유물 앞에서 주댕이를 놀리는 처참함이란...저쉑이들 한테 욕을 한바가지 해주고 싶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아주 건장한 사람이 죽어 묻혓어도 100년 이상이면 뼈도 없을 거 같은데 백제인의 유골이라고 사기를 치냐
@user-di8et7wf7k
@user-di8et7wf7k 3 ай бұрын
일반인 무덤하고 왕 무덤하고 같나요...
@user-hs4kv2zm6b
@user-hs4kv2zm6b Жыл бұрын
웬 전하 ? 모시는 나라도 없는 백제에서 ... 조선 시대도 아니고
@max_7344
@max_7344 Жыл бұрын
어라하가 맞는 표현임.
@azure397
@azure397 Жыл бұрын
백제의 유물(왕관, 금동신발등) 들이 왜의 고분에서 출토되었다는 건.......왜는 백제의 지배하에 있었다는 걸 말해주는 거겠지 ㅎㅎ
@joys2003
@joys2003 Жыл бұрын
백제땅이었을듯여..
@user-hy4ju5iv9q
@user-hy4ju5iv9q 4 ай бұрын
왜는 백제의 식민지 였다는걸 왕과 귀족의 무덤이 증명하고있는데 단순히 왜와 백제가 교류했다고 왜곡하고있네
@user-or7bb9sv3l
@user-or7bb9sv3l Жыл бұрын
중간에 나오는 여자는 피디임가? 피디 맞다면 대단함
@annmoonlee8490
@annmoonlee8490 Жыл бұрын
광고가 스무개가 넘네 . 해도 너무 하신분들 일세
@user-hy4ju5iv9q
@user-hy4ju5iv9q 4 ай бұрын
역사왜곡의 극치네
@vvv2654
@vvv2654 Жыл бұрын
진흥왕의 배신과 잔인함 신라가 먼저 망했다면 경주 신라보다 찬란하고 걸작인 미륵사나 제석사 왕궁리는 온전히 보전되었을 것이다.
@user-op4ey2ys3l
@user-op4ey2ys3l Жыл бұрын
미륵사 건축할돈으로 국방,,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하는 ...국민을 잘먹고 잘살게 했어야...
@user-di8et7wf7k
@user-di8et7wf7k 3 ай бұрын
삼국시대 시대상으로는 절 짓는거로 국민 마음 하나로 모으는게 통하던 시대인거 감안하셔야 합니다.
@inorganicrider4201
@inorganicrider4201 Жыл бұрын
백제는 경기도, 충청도인데 왜 전라도가 적극적이지??
@nature5120
@nature5120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user-vb9sw6de9z
@user-vb9sw6de9z Жыл бұрын
어느 지역이고 어느 방송이면 어떻습니까 고대사 이렇게 다큐 만들어서 방송해주면 그저 좋던데요 백제,고구려 관련 방송 많았으면 좋겠네요 신라는 많으니까 제외합니다.
@user-oe7fd2bg3z
@user-oe7fd2bg3z Жыл бұрын
전라도 역사 날조는 유명하죠 ㅋㅋ
@user-oe7fd2bg3z
@user-oe7fd2bg3z Жыл бұрын
@북한강 살쾡이 무슨 일베요? 정치인 때문이야, 경상도 때문이야, 일베 때문이야 아무리 정승 해봐도 소용 없을거임 ㅋㅋㅋ 늬들 7시는 다 싫어 하거든, 앞에서 말을 안해서 그렇지 ㅋㅋㅋ
@user-oe7fd2bg3z
@user-oe7fd2bg3z Жыл бұрын
@북한강 살쾡이 7시 거리면 일베임? 그래그래 그렇게 정신승리 하라니까? ㅋㅋ 즐라도 티를 못내서 안달이네 으 그윽혐 ㅋㅋㅋㅋ
@user-xq3ug8lj7t
@user-xq3ug8lj7t Жыл бұрын
백제의 역사는 우리민족 특히 전라도 호남인들의 역사
@BSjung1
@BSjung1 Жыл бұрын
백제왕귀환이겠죠 ...일본스럽게..백제왕이. 한반도 왕도 아니고..고구려왕인 광개토 대왕의 귀환은 언제보나요? 전라도사람들은 백제왕이 자기왕이라고 생각하나봐..?
@user-tm7qm3oe4u
@user-tm7qm3oe4u Жыл бұрын
흉노세요?
@max_7344
@max_7344 Жыл бұрын
너 열도에 최초로 문명을 시작한게 신라랑 가야인건 알고 댓글다냐? 하여간에 적당히 아는것들이 문제야
@sunglee170
@sunglee170 Жыл бұрын
백제가 님의 조상들에게 핍박을 줘나??? 아니면...
@user-oh3gf5qf2u
@user-oh3gf5qf2u 5 ай бұрын
한국에 철천지 원수 식민사관 꼴도 보기 싫어요
@Seoul_Korea_
@Seoul_Korea_ Жыл бұрын
백제 = 일본, 일본 = 백제
@max_7344
@max_7344 Жыл бұрын
@I 중국 사서에도 적힌 사료입니다. 백제의 다른이름이 해동 그리고 일본임. 백제가 망하고 열도로 가서 국호가 일본으로 된거. 참고로 욱일기는 가야국기임
@kimjeonghuun8665
@kimjeonghuun8665 Жыл бұрын
진정 의문이다. 일제 때 만든 상자에 아무렇게나 담겨있는 뼈를 과연 무덤 주인으로 볼수 있을까? 일본인들이 이 뼈조각들을 그냥 버리고 간 이유는 무엇일까? 반면 금송 목관 속 치아 4점은 왜 챙긴 것일까? 이를 진짜 무덤 주인의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그러하기에 나는 오히려 무덤 주인이 무왕이 아니라는 전주박물관 학예사들의 주장에 표를 던지고 싶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백제 왕이라는 근거가 뭐냐고
@uhmmaa3
@uhmmaa3 Жыл бұрын
삼국사기 어디에도 서울과 한강은 없다. 오히려 중국에 그 모든 지명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계림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고 이런 개소리를 보자.
@max_7344
@max_7344 Жыл бұрын
나사 천문관측 프로그램에 삼국사기에 적힌 신라 일식기록 돌리니까 지명이 전부 다 중국으로 나옴 ㅋㅋㅋ
@max_7344
@max_7344 Жыл бұрын
다큐 고증 은근 엉망임. 백제는 어라하가 맞는데 이 영상에는 전하 ㅋㅋㅋ 뭔소리야.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일본서기 소설이야 판타지 소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대성팔족? 웃기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또ㅜ사기치네ㅡ이것들 저 뼈는 골다공증 심한 뼈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삼국사기 삼국유사 탄소연대측정해보고 말해라 그리고 미국 누구에게 연댜 측정 했냐 미국이라고 하면 다 믿어야 해
@user-di8et7wf7k
@user-di8et7wf7k 3 ай бұрын
삼국사기랑 삼국유사 책 자체는 고려시대에 쓰이고 저자도 분명히 있는데 뭔 탄소측정연대...?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사기꾼들 무더기 등장하네
@kilkongpark1963
@kilkongpark1963 Жыл бұрын
백제는 한반도가 아니다.유트브 "책보고"를 한번 보고 반론을 제시 하라.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반도는 하나의 국가가 있었다는 거야 모지리들아
@user-fg7fc8fi8b
@user-fg7fc8fi8b Жыл бұрын
정신병있나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광고 더렙게,해대네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익산 천도도 일본놈들 작품인가 보네
@user-ci6qw1ys7f
@user-ci6qw1ys7f Жыл бұрын
귀신이 온거 지. ㆍ문화탈쓴
@yoonsiklee6151
@yoonsiklee6151 Жыл бұрын
전라도 충청도만 갖고도 훌륭한 왕국을 가졌던 백제. 후세의 눈으로 판단할때, 조선보다도 훌륭한 나라였다.
@hgl2938
@hgl2938 Жыл бұрын
참 너도 한심하다 일반 백성들은 하루 하루가 편한 날이 없이 전쟁 걱정을 해야 되고 또 시도 때도 없이 전쟁을 하는 당시 상황이 그렇게 훌륭한 왕국이겠냐?? 백성들은 두렵고 전쟁 안하고 하루하루 걱정없이 살았으면 좋겠는데 조선을 2백년에 한번 큰 전쟁이 있었고 2백년 동안 걱정없이 편히 살았다 백년 넘게 너무 편히 살다 보니 상무정신 즉 국가안보 관념이 많이 흐려진 폐단은 있겠지
@user-di8et7wf7k
@user-di8et7wf7k 3 ай бұрын
@@hgl2938ㄹㅇ 조선 이전 국가들이 상무정신이 투철했다고 조선보다 낫다고 하는데 조선 이전 국가들은 군사력 영끌 안하면 진짜 망하는게 현실이었죠 그리고 군사력 길러서 쳐들어가면 영토, 백성이라는 리턴도 기대할 수 있었고 조선시대엔 주변국과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내기도 했고, 딱히 조선이 쳐들어가서 이기거나 뭘 얻을 수 있나? 라는 기댓값도 없었고요. 지금 우리나라도 주변국이 실제로 위협이 되니 군사력에 많이 투자하는거죠.
@K-Jkt
@K-Jkt 7 ай бұрын
배경음악이,너무시끄러워,지방방송의수준이.....
@franciskim
@franciskim Жыл бұрын
백제? 이거 전라도 자너 당장 치워라
@Werber_haas
@Werber_haas Жыл бұрын
백제는 애초에 고구려랑같은 부여계이고 시작이 지금 서울이고 주무대는 경기권 충청권이다
@user-ky2th3ee8y
@user-ky2th3ee8y Жыл бұрын
그냥 진시왕릉이라고 하시지요? 백제는 무신
@user-qw8ow2sm2l
@user-qw8ow2sm2l Жыл бұрын
왜 백제의 황궁터는 발견했다 말하지 않는가? 그것은 모두 고구려(고리)의 건물터다. 거짓말 작작해라. 일본의 앞잡이들아.
@user-du7st2zc8v
@user-du7st2zc8v Жыл бұрын
무슨 근거로..?
@hgjeong9632
@hgjeong9632 Жыл бұрын
진짜 병신들이 한둘이 아니네 ㅋㅋ
@user-di8et7wf7k
@user-di8et7wf7k 3 ай бұрын
아니 백제 왕가가 처음에 고구려계니까 고구려 양식이 안나오는게 더 이상한데? 백제 초기 무덤들 보면 고구려식이에요 죄다
@user-lj7sn1jy
@user-lj7sn1jy Жыл бұрын
백제는 산동에 있어지오 지금 현제한반도는 백제 담로지역이지요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KBS 역사스페셜 - 백제의 마지막 공주, 부여태비
55:34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805 М.
백제 역사를 새로 쓴, 무령왕릉 / YTN 사이언스
45:1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29 М.
Нищая спасла собаку🥺❤️
0:59
Trailer Fil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ЕГОР СЪЕЛ ИНСТРУМЕНТ? 😳😅  #shorts
0:19
Зубландия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Эта Мама Не Могла Поверить в То Что Нашла 😱
0:10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