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파노라마 - 추사 김정희, 어느 가을날의 여정 / KBS 20131122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86,029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2 жыл бұрын

추사 김정희. 조선 말기에 태어난 문신, 서예가, 화가, 금석학자, 경학자, 불교학자.
자는 원춘(元春)이지만 호는 추사, 완당, 예당, 시암, 노과, 농장인, 천축고선생 등100여 가지에 이른다고 전한다. 추사와 동시대 인물인 초산 유최진(1791~1869)은 추사체의 특징에 대해 “마음을 격동시키고 눈을 놀라게 하여 이치를 따져보는 게 불가하다.”고 했고 ‘완당평전’을 쓴 유홍준 역시 ‘세상에는 추사를 모르는 사람도 없지만 아는 사람도 없다’ 했다. 그렇다면, 추사 김정희는 대체 누구인가?
- 조선 후기에 태어난 왕실 외척 가문의 천재
충청남도 예산에 위치한 53칸의 저택. 추사 김정희는 1786년(정조 10) 이곳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부터 유난히도 총명하여 그의 어머니가 24개월 간 회임을 했다는 이야기, 글씨를 잘 써서 지나가던 영의정 채제공이 미래를 예언했다는 이야기, 북학파의 거두 박제가가 8살 추사를 가르치고 싶다고 말했다는 이야기 등이 마치 전설처럼 내려온다.
- 10년간 만나고자 했고, 두 달로 평생을 살았던 마니아(Mania)
연행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는 것이 대유행이었던 시절 아버지를 따라 중국 연경(지금의 북경)에 다녀온 김정희는 새로운 세상을 본다. 그리고 새로운 서법 새로운 학문에 몰두한다. 열 네 살 이후, 스승 박제가를 통해 이야기만 들어왔던 중국 최고의 석학. 옹방강과 완원을 직접 만난 이후의 변화였다. 집 뒤에 있는 오석산 바위 곳곳에 스승에게서 받은 글씨를 새기고 벼슬을 위한 과거공부보다 조선에 없던 학문 ‘금석학(옛 비석을 연구하는 학문)’ 연구에 몰두하는 청년. 추사 김정희는 관심사를 끝까지 파고들어가는 그 시대의 ‘마니아(Mania)' 였다.
-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해 낸 예술가
제주 유배시절 자신의 내면세계를 그린 그림 세한도와 한가지 이론으로 규정할 수 없는 글씨 추사체. 조선 최초의 금석학자로, 조선 최고의 청조학 연구자로. 김정희가 이루어낸 업적은 다양하기만 하다. 학문의 뿌리를 끝까지 파고들어가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해 낸 추사 김정희.
- 중국통 김솔희 아나운서와 추사연구가 박철상씨가 떠나는 가을여행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중국어를 전공하고 KBS내 중국통인 김솔희 아나운서, 한학자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고문헌 연구가가 되어 추사연구에 빠진 은행원 박철상 부장. 두 사람이 함께 추사의 삶을 따라가 본다. 아름다운 어느 가을날, 학예일치 추사 김정희의 삶의 자취를 밞는 여행이 지금 시작된다.
KBS파노라마 - 추사 김정희, 어느 가을날의 여행 (2013.11.22.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64
@smilehappylife4087
@smilehappylife408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l3ry6je4g
@user-fl3ry6je4g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훌륭한 선생님이 역사 예기 잘 듣고감니다
@kimcs981
@kimcs981 2 жыл бұрын
제주도.유배길이.얼마나.멀고.험하,였는데.... 대단히.고생하셧어요
@hanun114
@hanun114 9 ай бұрын
귀한 영상 고맙습니다. 🍀🍀🍀
@user-tf4qk7jy3z
@user-tf4qk7jy3z 2 жыл бұрын
추사선생님 존경합니다
@user-ib5ys1tg8d
@user-ib5ys1tg8d 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존경합니다
@dudtladl
@dudtladl 2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시청했습니다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2 жыл бұрын
조선 시대의 미켈란젤로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업적을 기리며 지금 시대에 필요한 개혁이 무엇인지를 함께 생각해봅니다.
@life_law
@life_law 2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 잘 보았습니다..
@tv-kv5ws
@tv-kv5ws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추사선생님은 제일생과 비슷합니다
@user-nr7pe8sg1w
@user-nr7pe8sg1w 2 жыл бұрын
여성분 이쁘시고 중국어발음귀엽네요 ㅎㅎ저도처음중궈배울때발음같음
@user-uu3pr1hz1s
@user-uu3pr1hz1s Жыл бұрын
우리 5대조할아버님 ~ 덕산인...
@user-pt3eh6wh5f
@user-pt3eh6wh5f Жыл бұрын
추사선생을 사랑해주시는 모든이들 감사합니다🤵
@user-qg6pv6lr2c
@user-qg6pv6lr2c 2 жыл бұрын
그림에 여유가 있구나. 역시 공영 방송 이구나.
@user-zf7cy4el6s
@user-zf7cy4el6s Ай бұрын
제가 지금 46세인데. 보통 30대 중반으로 봅니다 그런데......... 이 영상을 보고 너무 너무 놀랐습니다......... 나오신 분 욕하는게 아니라...........나오신 남성분 60대처럼 보입니다...ㅠ.ㅠ...
@kijoonsong886
@kijoonsong886 2 жыл бұрын
아침마당의 신흥 안방마님 김솔희 아나운서가 당시에 추사 선생에 대한 연구를 하셨네요.
@forrestkim3718
@forrestkim3718 Жыл бұрын
" 조상의 빛난 얼을 오늘에 되살려 안으로 자주 독립의 자세를 확립하고 밖으로 인류 공영에 이바지 할때다. 이에 우리의 나아갈 바를 벍혀 교육의 지표로 삼는다 " ( 박정희 대통령 선포 국민 교육 헌장 )
@user-hz1ev3my2r
@user-hz1ev3my2r 2 жыл бұрын
시청료의 가치 ^~^
@user-re6ee2nj5b
@user-re6ee2nj5b 3 ай бұрын
추사사상으로세상을변화켜야합니다♡!❤
@user-cy6ju8dx7p
@user-cy6ju8dx7p 2 жыл бұрын
흥선군 스승 ㄷㄷ
@forrestkim3718
@forrestkim3718 Жыл бұрын
영조의 친필 놀라운 명필 !!! 조선의 자랑 .!..!...!........
@ugwangho02
@ugwangho02 Ай бұрын
추사 김정희, 어느 가을날의 여정
@user-mn7ic1pr1u
@user-mn7ic1pr1u 2 жыл бұрын
제주 대정향교에 서있는 앙상한 고목 소나무가 새한도를 완성한 소나무그림 인가요?
@user-ru6nj9jw1l
@user-ru6nj9jw1l Жыл бұрын
추사 는 호가 아니라 자이다 호는 완당이다.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2 жыл бұрын
자유
@user-rt2zo1hi2h
@user-rt2zo1hi2h Ай бұрын
보는 학식 시선마다. 다르구나
@Thanks-md8vo
@Thanks-md8vo Жыл бұрын
6:30 아무리 농으로 한 여담이지만, '여필종부'에 빗대어 요즘 여필종부란? "여자는 필히 '종부세 내는 남자'를 만나야 한다?" 라고라..? 청사에 빛나는 추사의 고택을 찾아 할 농은 아닌 듯 싶다. 그러잖아도 요즘 한국은 형태 만 있고 영혼은 없는 자들의 천국, 헬조선이란 말이 도는데.. 이렇듯 문화 관련 종사자의 농까지 한심한 지경을 잘 반영한다.
@user-js7dt3js2g
@user-js7dt3js2g 2 жыл бұрын
서예에 있어서 추사체라는 조형미학으로 한 높은 단계로 끌어올려다는 것이 첫째요 유불 학문을 통섭했다는 것이 둘째요 금석학이라 새로운 학문을 개창한 것이 세째요
@kangkang7404
@kangkang7404 2 жыл бұрын
[임나일본부의 망령의 부활] 소방관, 군인, 경찰관 은 우리의 삶을 지켜주는 영웅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시기 수많은 영웅을 우리는 늘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왜구를 존경하고 강도 일본인을 자랑스럽게 여겨야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 지고 말았습니다. 대학교의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의 왜구가 249년 신라를 정벌하고 가야를 멸망시키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646년 임나가 없어지는 그 날 까지 한강 이남을 일본의 식민지로 통치하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토왜의 임나소국의 수장이 합천 남원 김해 함안 등 한강 이남의 지역에 2,000 여기 이상의 고분에 묻혔다고 합니다. 전혀 근거 없는 사실 이지만 역사적 사실이라고 국민을 윽박 지르고 있습니다. 강단사학자 들은 역사를 왜곡하여 그 시체의 무덤을 영웅으로 모시고 가야를 침탈한 수장으로 그의 훌륭한 통치업적에 감사함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하여 2021년 3월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1차 자료를 등록 하였습니다. 2021년 말 2022년 초 유네스코 실사단의 현장방문을 마치면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문화유산 고분군이 됩니다. 강단사학자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무덤 앞에 정성과 존경의 뜻을 담아 한 잔의 술을 두 손 모아 왜구의 무덤에 바치라고 합니다. 이렇게 참담한 일은 강단사학자가 역사의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강단사학자의 뒤를 좀비와 같이 따르는 자가 문화재청, 남원시, 합천군청 입니다. 가야고분군은 우리의 조상 무덤입니다. 왜구의 수장층 무덤이 아닙니다. 일본서기의 기록은 일본열도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허구의 기사입니다. 우리가 독도의 이름 대신 일본이 주장 하는 죽도(다케시마)를 유네스코에 등재하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임나일본부는 정한론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일본제국의 논리 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35년을 정당화 시키고 가야의 영토를 침탈 하려는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의 가야를 지켜 주십시오. 역사의 권력을 장악한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를 신봉하고 무서워하지만, 역사의 주권을 가진 국민을 개돼지와 같이 무시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토착왜구가 아닙니다. 토착왜구의 자손이 아닙니다. 강단사학자와 맞서 싸워 주십시오.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남원의 기문국, 합천의 다라국을 삭제하여 주십시요•ㆍㅇㆍ
@user-zg4cs4mb5r
@user-zg4cs4mb5r Жыл бұрын
친구 김유근 이 빨리 죽지않았다면 … 김조순 아들 김유근과 절친이었다니 …
@jhftujjeyK-jt5hb
@jhftujjeyK-jt5hb 4 ай бұрын
안동김씨 집안의 악행은 끝이 없구나,, 뭐가 그리 무섭다고 제주시도 아니고 서귀포 산방산 근처까지 유배를 보내나 ㅎㅎ
@user-yg4gp2km5o
@user-yg4gp2km5o Жыл бұрын
추사 김정희 훌륭한 학자 였지만 당파 싸움박질에 제주도 유배생활 추사만의 탈란트 청나라의 교류 아까운 나라의 재목 이었지만 아품의 역사... 충남 예산 추사고택
@user-ox6uy9vw2t
@user-ox6uy9vw2t 2 жыл бұрын
추사 선생의 출생하신 곳을 후손들에게 탐문하신다면
@user-re6ee2nj5b
@user-re6ee2nj5b 3 ай бұрын
추사는우주의후천개벽.즉.우주의가을추요.후천개벽신천지역사창조❤추사드러마작가.만화가.시인.광산.김동수❤
@goodguy6844
@goodguy6844 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국대 추사선생
@user-dj2pg5oz2n
@user-dj2pg5oz2n 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정치는 예나 지금이나 재능인들을 망쳐놓는다..
@woojjasskka
@woojjasskka 2 жыл бұрын
여자는 필히 종부세를 내는 남자를 만나야 한다. 추사가 자기 이름이 저말을 하는 여자입에 오르는 것 보면 무덤에서 일어날 듯.
@illim1657
@illim1657 2 жыл бұрын
잘 감상했습니다. 그런데 여 아나운서의 얼굴을 너무 자주 보여주는 모습이 약간 눈에 거슬렸습니다.
@user-re6ee2nj5b
@user-re6ee2nj5b 3 ай бұрын
동서양사상가를아우를새.신천지후천개벽가을역사를재조몉해야지구촌기후위기를해결할수도!♡?
@user-jm6uh9hd3n
@user-jm6uh9hd3n Жыл бұрын
왜 그렇게 여자 아나운서를 클로즈 업해서 자꾸 보여주는지... 보기 불편하네
@user-pz2ze8dw4c
@user-pz2ze8dw4c 2 жыл бұрын
박씨도 제대로된 추사글씨나있나요
@-1129
@-1129 2 жыл бұрын
미친인간이자 독설가 추사................그는 누가인가....................참 가사롭다
@user-jy9ov7nb5b
@user-jy9ov7nb5b 2 жыл бұрын
서막이 유구라의 괴변🖕.
@user-cj4sm8hv9y
@user-cj4sm8hv9y 2 жыл бұрын
All New 개그콘서트
@Korea_Land_Dokdo
@Korea_Land_Dokdo 8 күн бұрын
kzfaq.info/get/bejne/fLydebGBl9uaj4E.htmlsi=oX3r33TKMWejdbk1 추사는 자고 호는 오담재
@Parkjiyeon72
@Parkjiyeon72 11 ай бұрын
추사이야기를 하면서 하울의 즈제곡을? kbs가 미쳤구나 정신 좀 챙기시길
@jsc3505
@jsc3505 2 жыл бұрын
중년과 20대여자의 데이트 여행 방송이였나 뭐냐
@msdigital7065
@msdigital7065 2 жыл бұрын
짐승 눈에는 동물적 모습 밖에 안보이죠 ? 저것이 늙은 건가 아닌가? 저것들이 남자여 여자여?
@user-ri4ev1eh2h
@user-ri4ev1eh2h 2 жыл бұрын
뭔 멍멍 소리인가요? 참 나~ 뭐 눈엔 뭐만 보인다더니
@user-hs1nb1sd4h
@user-hs1nb1sd4h Жыл бұрын
가짜 역사를 소개하는 곳...
@VitorJKhan
@VitorJKhan 2 жыл бұрын
여자 아나운서 참 가볍네요. 참 싸구려 스런 말투 이런 아이 며느리로 들어올까 겁난다
@user-tf4qk7jy3z
@user-tf4qk7jy3z 2 жыл бұрын
질투하나요 경건한마음으로 보아야하는데 당신이야말로 싸구려입이구려 ㅡ아나운서님은 대단한실력자 입니다 ㅡ
@davidkim9529
@davidkim9529 2 жыл бұрын
미쳤나 저런 대단한 분이 댁 며느리로 들어갈 일 없으니 걱정 마슈 괜히 똥이 밟을 일 있나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말하는 싸가지 초등학교 다시 들어가서 도덕이나 배우슈
@goodguy6844
@goodguy6844 2 жыл бұрын
이쁘고 멀쩡한 사람을...그대는 할일이 그렇게도 없나ㅜ
@user-mn7ic1pr1u
@user-mn7ic1pr1u 2 жыл бұрын
배우지못한 천한것들이 상식이죠..옛말에 '늙어도 곱게늙어라" 라는 말이있다.
@jsc3505
@jsc350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ihuh01
@ihuh01 Жыл бұрын
이황, 이이, 추사가 먼가 했냐? 근디 와닸지가 않네.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이 근처도 못간 동양의 동네 잔치지. 그냥 문과생들의 쇼지. 이러니 나라를 뺏겨도 정신을 못차리네
Became invisible for one day!  #funny #wednesday #memes
00:25
Watch Me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10 МЛН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KBS역사스페셜 - 윤두서 자화상의 비밀/ KBS 20110526 방송
43:46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49 М.
모든 것에 능통했던 조선 최고 천재 정약용 (KBS_1998.방송)
1:25:25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84 М.
KBS 역사스페셜 - 국보 180호, 세한도에 숨은 비밀
48:5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586 М.
조선의 태평성대를 이끈 두 명신, 황희와 맹사성 (KBS_1995.방송)
1:53:16
Became invisible for one day!  #funny #wednesday #memes
00:25
Watch Me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