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의 땅: 지방은 어떻게 사라지나 [풀영상] I 시사기획 창 323회 (2021.04.04)

  Рет қаралды 903,418

KBS시사

KBS시사

3 жыл бұрын

'지방소멸', 지방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을 표현한 말이다. 일본의 전 총무대신 마스다 히로야가 펴낸 동명의 책에서 비롯됐다.
일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이 말이 자주 등장한다. 30년 뒤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는 전망도 나왔다. 헌법은 균형발전을 명령하지만 현실은 이와 충돌한다.
KBS [시사기획 창] 제작진은 장기간에 걸친 현장 취재와 빅데이터 분석 등으로 우리나라 지방 소멸의 실태를 심층 진단한다. 이를 통해 역대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비판한다.
특히 이번 다큐멘터리는 방송을 넘어, 디지털 기사와 동영상, 빅데이터 지도 등을 결합한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로도 제공된다.
somyeol.kbs.co.kr/
■ 전국 시군구 46%, 30년 후에는 '소멸 위험'
취재 기간 5개월, 총 이동 거리 922.1km. KBS 취재진이 국내외 현장 10여 곳을 취재하며 눈으로 확인한 것은 '국토 골다공증' 현상이다. 골밀도가 줄어 뼈 곳곳에 구멍이 생기는 골다공증처럼, 우리나라 지방에서 빈집과 폐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비단 시골 마을만의 일은 아니다. 중소도시를 넘어 부산이나 대구 등 대도시까지, 소멸의 위기는 점점 번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시군구 46%가 30년 뒤 사라질 수 있는 소멸 위험에 놓였다. 이 가운데 92%는 비수도권, 바로 지방이다.
■ 국토 11.8%에 인구 50%가 산다
지방의 인구 감소 문제는 사망 등 자연 인구 감소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KBS 취재진은 카이스트 박주용 교수 연구팀과 함께,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지난 반세기 동안 국내 인구가 얼마나 어떻게 이동해 왔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우리나라 인구의 상당수가 수도권으로 급속히 이동한 것을 확인했다. 1960년대 전체 인구의 20%에 불과했던 수도권 인구는 현재 절반을 넘긴 상태다. 그리고 이곳에 우리나라 경제력의 3분의 2, 국세 수입의 4분의 3 등이 쏠려있다.
■ 역대 정권, 국토 균형발전 정책 '헛구호'
역대 정부가 균형발전 정책에 신경 쓰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규제 완화'라는 재계 목소리에 무릎을 꿇게 되면서, 수도권 입주 공장 요건이 완화되고 산업단지가 확대되는 등 수도권 규제가 잇따라 풀렸다. 혁신도시는 쇠락했고 수도권 공화국의 위치는 더욱 단단해졌다.
현 정부 들어서도 마찬가지다. 균형발전은 이번 정부의 국정 과제 가운데 하나지만, 수도권 공공기관 추가 이전 문제는 여전히 "검토 중"이다. 임기 후반까지 구체적으로 마련된 정책은 없다. 지역에서는 정부가 당초의 공약과 달리 균형발전을 도외시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취재기자 : 이형관
#소멸의땅 #수도권공화국 #서울공화국 #서울민국 #지방소멸 #인구감소 #빈집쇼크 #서울 #균형발전 #혁신도시 #시사기획창 #kbs시사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bitly.kr/F41RXCerZip
페이스북 / changkbs
인스타그램 / window.sisa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소멸의 땅’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 somyeol.kbs.co.kr/

Пікірлер: 2 500
@kbssisa
@kbssisa 3 жыл бұрын
'소멸의 땅' 인터랙티브 뉴스 페이지 somyeol.kbs.co.kr/
@user-po6wu9ns2c
@user-po6wu9ns2c 2 жыл бұрын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가서 살고싶어도 요새 광역시들 집값이 국평 신축은 거짐 10억이 넘는다 차라리 수도권에서 빌라에서 거주하는게 이득이 크다.. 그리고 공기업 계속 이전해봐야 그 도시 경제 살아날수가 없다 공무원들 주말에 서울에 있는 가족들이랑 쇼핑몰에서 돈 쓰지 지방에서 돈 쓰지도 않고 집은 사지도 않는다 그리고 공공기관 대부분이 계약직이나 비정규직들이라 그런 채용 늘려봐야 지역 경제에 이바지도 못한다 결론은 대기업들이 여러개 들어와야 그 지역 먹여살릴수 있는건데 그러기엔 사실 대기업이 꼭 지방에 있을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대기업 유치는 힘들고 대기업이 내려가서 고용이 몇 만명씩 늘어나고 비정규직 말고 정규직으로 뽑을때 그렇게 되면 하청업체들도 따라 내려오고 그러면 그 지역 먹여살리게 되는거다 자꾸 공공으로 해봐야 세금만 낭비된다 제발 좌파 정부 말고 자유 민주주의 정부가 들어서서 지방 광역시 집값을 지금의 3분의 1수준으로 내리고 대기업 유치 시키면 수도권 젊은이들 너도나도 내려가서 정착한다. 지방이 왠만한 서울짒값 보다 비싼데 내려갈 이유가 없지않냐 결론은 집값이다
@mwengajcloud1591
@mwengajcloud1591 2 жыл бұрын
Kkkķii
@countrylife1726
@countrylife1726 6 ай бұрын
좌파/공산방송
@global987
@global987 3 жыл бұрын
정치가 해야 할 일이지만 모든 정치인들, 심지어 지방에서 선출된 정치인들도 서울 강남에 집을 갖고 있는 판에 그들이 자기 집값 떨어뜨릴 일을 할까? 참 안타깝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기득권을 가진자들이 국가보다는 자신의 이익에 더 집중하는, 그래서 국가와 국민이 우선 되지 않는 아주 슬픈 현실에서 살고 있다는 겁니다.
@user-ex4kq5fg4d
@user-ex4kq5fg4d 3 жыл бұрын
그 정치가는 어디서 딱 떨어진줄 아냐? 정치가 만큼 여론 의식 많이 하는 집단도 없는 줄 알지? 서울 사람들이 자기 인프라 누리고 싶고 세금 덜 내고 싶고 지방 가기 싫다는 메시지를 내닌깐 정치가들도 그 목소리 들어서 지방 지원 소원히 하다가 지금 이 사태 터진거야...
@user-yh3fh5jm7q
@user-yh3fh5jm7q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소신이고 뭐고 천박한 장사꾼 아닙니까.
@user-ds6bq8gc2t
@user-ds6bq8gc2t 2 жыл бұрын
그러면서 나라가 망하는거다?
@user-hf5hs9oj6x
@user-hf5hs9oj6x 2 жыл бұрын
투표똑바로해 십새키들아 그니깐
@young-zk2qy
@young-zk2qy 2 жыл бұрын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는분 있을까요.본인을 위한 정치를 하겠죠.
@user-yk6tf2go2x
@user-yk6tf2go2x 3 жыл бұрын
서울가서 잘사냐? 그것도 아니란게 더 큰 문제인거지. 서울은 일종의 블랙홀 같은 거다. 중력이 너무 커서 다른 별을 다 빨아들이지만 결국 그곳에서 죽을 수 밖에없는것 처럼. 지방에 살지 못해서 서울로 가지만, 결국 서울에 잘 살러 가는 것이 아닌 서울로 죽으러 가는 것 같다. 그래서 지방소멸은 곧 국가의 소멸로 이어진다는 것임.
@Kimsumi_ganjanggaejang
@Kimsumi_ganjanggaejang 2 жыл бұрын
진짜 말씀 기가막히게 하시네요. 정말 서울살이 3년동안 왜 여기서 이러고있지? 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였어요
@JJ-ro4jh
@JJ-ro4jh 2 жыл бұрын
말 잘하누
@akida416
@akida416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2006년 외국 학자가 소멸국가 1위로 한국을 지목했고 그러한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불편한 진실이지만요...
@user-ff5oq4pg5o
@user-ff5oq4pg5o 2 жыл бұрын
그쵸 극단적으로 생각해서 빈부격차는 커지고 양질의 일자리는 줄어들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하는데 한국이라는 나라는 제조업과 수출로 유지합니다 조금만 삐끗해도 나라가 망해버리죠 그럼 어떻게든 살려야 한다는 소리인데 저임금 고강도인 제조업을 누가 하려고할까요 외국인 노동자들입니다 지방이 소멸되가며 수도권으로 더욱 몰릴때 아마 미국처럼 지방 소도시는 외국인들로 넘칠꺼고 당연히 거기서 가져가는 국세도 지방세도 줄어서 인프라는 고사하고 현상유지도 힘들겁니다 점점 막장화가 되겠죠 디트로이트처럼
@TheRfm501
@TheRfm501 2 жыл бұрын
거꾸로 말하면 이미 소멸화가 끝나가는 지방에선 부모님이 물려주신 가업이나 기타 소득기반이 없다라고 한다면 결국 울며겨자먹기로 서울로 올라올 수 밖에 없는 거예요 먹고 살게 없으니까요 대표적으로 충청 전라가 그렇죠 그러면 노인네들은 앵무새처럼 시골에서 농사짓고 소키우면 되지 지방으로 귀농청년들 만더라 하던데 그들도 지인소개 받아서 사업을 일구거나 진짜 극소수의 선택받은 사람들만이 상품작물 재배해서 국가에서 주는 창업지원금이나 보조금 받으면서 업장을 이끌어가고 있는 정도..
@lionelmessi4739
@lionelmessi4739 2 жыл бұрын
지방에서 태어나는 것부터가 패널티 받고 시작하는거임. 서울에서 태어나는 것도 어떻게 보면 행운아임.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 Жыл бұрын
이게 심각한게 뭐냐면.. 대도시로 사람이 모일수록 경쟁력이 어마어마해짐 > 경쟁에서 진 사람들은 삶의 질이 떨어짐 > 삶의 질이 떨어지기에 결혼을 생각할수 없음 > 결국 인구감소로 이어짐 > 젊은층이 사라지면 국가적 위기로 이어짐…
@user-vy3le8ye6y
@user-vy3le8ye6y 3 жыл бұрын
세종시 공무원특별공급 받고 먹튀한 공무원들 이익금 환수합시다.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3 жыл бұрын
목표가 15조원..
@joedrtic0032
@joedrtic0032 3 жыл бұрын
대통령 국회의원부터 투기범들인데 뻔뻔히 배째라 중인데 밑에야 오죽하겠어요 ㅠ
@user-ol6st7xc6j
@user-ol6st7xc6j 3 жыл бұрын
가서 문재인이한테 따지세요
@minseongkang8746
@minseongkang8746 3 жыл бұрын
@ArenaRYUN 먹튀한것도 도덕성없는거죠;; 뭔잘못이없어
@user-ms6hi5kx3d
@user-ms6hi5kx3d 2 жыл бұрын
@@joedrtic0032 굿.그놈이.그놈.같은도둑인데.누가누굴단속할까요.~~
@user-hr1lb4zr5m
@user-hr1lb4zr5m 3 жыл бұрын
지방 어른 왈 : 요즘 젊은 사람들은 지방에서 안살라고 한다 그런 사람들이 본인 자식들에게는 너는 서울가서 꼭 성공해서 살길 바란다 서울, 경기 사람들이 지방에서 귀촌하려고하면 온갖 눈치와 적대시하는 행동 및 왕따시킴
@user-cd2c85fyujll
@user-cd2c85fyujll 3 жыл бұрын
합천조심ㅜㅜ황매산
@K.Song_0614
@K.Song_0614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젊은 사람이 시골에 귀촌하면 그 동네의 종이 된다고 하죠... 이곳 저곳 끌려다니며 ...
@k....3276
@k....3276 2 жыл бұрын
서울에 가는 지방사람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저는 지방에서 해외로 제동생은 서울로...타지에서 설움은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꼭 지방에 대한 환상들이 있으신지 인자한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푸근하게 웃으시며 허허 하시고있으실거란 기대를 하신건 아닌가요? 지방 사람들도 사기꾼은 사기꾼 도둑놈은 도둑놈 좋은 이웃은 좋은이웃인데... 지방사람들이 그렇게 행동하니 자업자득이라는 비난이 마음이 아프네요. 중학교때인가? 서울에서 길을 잘몰라 길을 길을 물어봤더니 지하철 역에서 대답도 안해주고 쌩 가버리셔서 놀란적이있어요.ㅠㅠ 어디든 타지는 힘든법....
@ik8319
@ik8319 2 жыл бұрын
@@k....3276 시골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푸근하게 웃으시며 허허 할거란 기대는 둘 째치고 개인 공간조차 제대로 확보가 안될거란 생각은 안합니다. 근데 시골은.. 특히 여자 있을 때ㅋㅋ... 할말하않
@user-sv7dg5ec3u
@user-sv7dg5ec3u 2 жыл бұрын
도를 아십니까라고 생각했을 가능성 99퍼..ㅋㅋㅋ
@user-wg9cq5lv8d
@user-wg9cq5lv8d 2 жыл бұрын
자기 집 자식은 서울로 보내고 남의 집 자식은 지방으로 오길 바란다.
@user-asd12a31kdar
@user-asd12a31kdar Жыл бұрын
일때문에 지방 오래 살아보면서 느낀점 -교통편이 너무 심하게 불편함 -일자리 다양성 부재 -인근 도시들과의 상생x. 내가 못먹으면 너도 죽어야돼 마인드 개심함 -법이 생각보다 멀다. 불이익을 당했을 때 경찰 등 공권력에 도움받는거 기대하면 안됨 -노인들 수준이 심각하다. 젊은 사람들,타지에서 온 사람들 빨아먹으려는 심보가 고약함. 케바케라지만 그 비율이 꽤 높음. 종로 광화문 시청쪽에 자주 보이는 무법생활 하는 노인만 싹다 긁어서 모아둔 느낌 장점이라면 뭐 공기좋고... 지역특색이나 지방만의 독특한 문화들 좀 있음 그리고 지방에 맛집이 정말 많음. 근데 맛집 다니는것도 이상한 외진곳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차있어야됨 10년간 타지 살면서 느낀게 종합적으로 득실 따지면 지방 살 이유가 없음
@user-hl5ej6wh1v
@user-hl5ej6wh1v 3 жыл бұрын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면 법인세 상속세를 절반정도 갂아주겠다는 식의 파격적인 대책이 필요한데 정치인들은 관심이없지 지역구가 지방임에도 서울에 집있는 인간들이 태반이니 지방소멸에 관심이나 있겠어?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법인세 상속 증여세도 마찬가지지만 일반 근로자들 개인사업자들 소득세도 대폭 인하해야됨... 소득세 안내고 사는 사람이 없으니..
@jospehsuh7263
@jospehsuh7263 3 жыл бұрын
그럼 수도권에 있는 시민들, 유권자들은 가만히 있겠어요..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혁신정도가 아니라 파격이 필요한정도... 솔직히 수도권은 대한민국 산업화 이후로 60년간 너무 비대해져서 지방이 말라비틀어질정도.. 지방이 또 안좋아지는게, 지역색이 강해지는 이유도, 저런 수도권이야 온갖 많은 지역출신 사람들이 많으니 그런다 치지만, 지방은 ㄹㅇ고인물화 되어서, 부정부패 근절도 안되고, 참 힘듬... 물이 돌아야 안썩는데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 충북대 제주대 강원대 전부 다 비상.... 빠르면 5년안에 지거국과 지방거점 사립대들 망할지경... 지방에 대학이 말라비틀어지면 대학 교육자체가 말라비틀어짐... 전부 학생들은 수도권으로 탈지방 하려 할테고, 마찬가지로 지방교수들도 위기이고, 결국 수도권 인근 원룸방, 고시원들, 투룸방만 월세만 폭증할테고... 전부 공멸입니다. 솔직히 이정도면 나라가 나라역할을 제대로 못하고있는 수준인데, 외국같으면 폭동일어나고 시위일어나도 안이상한 수준인데 다들 너무 조용함... 말만 있고 그리고 2020년대 기준으로 기존의 대학교육 시스템이 전부 20세기식이라 매우 비효율적이고 돈만 많이 잡아먹어서, 애들이 차라리 배달의민족 배달업 해서 돈벌고 말지, 4년 군생활 어쩌고 드는 학비, 월세, 교통비, 생활비 감당하면서 학교 안다니려고 합니다. 학자금 대출까지 받아서 학교다니는 리스크 감당 안함... 교재비용도 등록금에 포함이 안되니까 따로 청구고, 들어가는 돈이 너무나 많고, 시간도 길게는 군대에 대학원에 6년 7년씩 잡아먹으니... 학제개편도 상당히 필요함.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500년간 세뇌된 유교적 핏줄,조상 중시 . 서양은 20살이면 독립 오직 한국만 사교육비,등록금,결혼비,손자돌봄... 늙어 죽을때까지 핏줄에게 퍼줌. 주식회사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진보,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그래서 힘들어지면 핏줄을 한 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가 매우 흔한 나라. 핏줄중시로 미혼모 왕따,비난,차별 동거비율 세계 최저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비혼출산 oecd 평균 39%,핏줄 이기주의 한국은 1% 난임부부들도 핏줄중시로 입양 꺼림. 서양은 제사 없음. 한국은 명절도 제사(핏줄)로 인해 그 누구도 행복하게 지내지 못하는 나라.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핏줄 이기주의 ,핏줄 퍼주기->양육부담 ,양극화, 희망포기->비혼 급증->국가 소멸..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그저 공부하는 기계로만 학생 키우는 나라 강제 고자화 시키고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4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한국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활황 , 근데 한국은 다 불법인 나라.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합법적으로 정자 기증 받아 미혼모 출산. 근데 한국은 다 불법인 나라!!!! 그저 핏줄 이기주의 밖에 없고 윤리 , 도덕 따지기만 하고 선비질만 하다가 소멸 될 나라. 남의 나라 티끌에는 광분하고 자기 눈에 대들보는 안보는 국민성,,.
@sbsmilebox3928
@sbsmilebox3928 3 жыл бұрын
30대에서 본 현실. 수도권까지 안봐도 보이는 현상. 수도권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일자리수가 줄어듬.(근데 그 자리들은 경력직만 뽑음 -신입 잘 안뽑고 뽑아도 스펙을 희한하게 많이 봄) 수도권에서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일 자리수 늘어나는데 대우가 낮아짐.(니가 대단한줄 아나본데 너 말고 일할사람들 많아)
@user-xe8rg5bt4o
@user-xe8rg5bt4o 2 жыл бұрын
이거 많이 공감함. 한국 전체가 쥐어짜는 현실로 감
@user-us9wy9tw6b
@user-us9wy9tw6b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서울에 취직한다고 월급이 두배가 아님 ㅋㅋ 언제 집사?아효
@corleoneakkw
@corleoneakkw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공무원이 최고임
@user-xe8rg5bt4o
@user-xe8rg5bt4o 2 жыл бұрын
@@corleoneakkw 그 공무원이 되도 팍팍한 인생은 현실이 됨. 근데 그게 쭉 이어짐.
@user-kl6kt7im7f
@user-kl6kt7im7f 2 жыл бұрын
참으로 통찰이있는 글입니다^^
@user-zr2ob6ef9x
@user-zr2ob6ef9x 2 жыл бұрын
이프로그램 기획하시고 제작하시는분들께 감사드립니다.
@jinlee6355
@jinlee6355 2 жыл бұрын
이미 지방 국공립대학교가 붕괴하고 있습니다. 지방 부동산도 마찬가지에요. 청년이 떠나도 부모세대로 인한 가구수는 유지되고 있지만 1차 베이비붐 사망시점인 10~20년 후부터는 급속한 가구수 감소와 함께 지방경제와 부동산은 괴멸될 거에요.
@smithjack3497
@smithjack3497 4 ай бұрын
(맹지 땅 평당 30에 사줄 호구) 젊은이 많이 왔으면 좋겠어~ (내 자식 손주 빼고)
@frexhd
@frexhd 3 жыл бұрын
저 서울의 사람많은게 싫어서 본적이 서울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으로 일자리를 알아봤는데요 진짜.. 일자리가 없어요..
@user-ve4dl5fr6k
@user-ve4dl5fr6k 3 жыл бұрын
취업준비할때 오 여기 괜찮은데? 지역이 어디지? ------->강남, 판교 오 여기 괜찮은데? 지역이 어디지? ------->용산 오 여기 괜찮은데? 지역이 어디지? ------->여의도 오 여기 괜찮은데? 지역이 어디지? ------->판교 오 여기 괜찮은데? 지역이 어디지? -------> 종로 하... 여긴 괜찮긴한데 무슨 2명뽑는데 천명이나 지원하냐.... 지역이 어디지-----> 부산, 대구, 대전 등 그나마 살만한 광역시 와 c ㅋㅋ 이 회사는 진짜 평판도 안좋고, 꼰대기업에다가 연봉도 낮은거같은데ㅋㅋ, 지역이 어디지------> 기타 소도시
@user-xe8rg5bt4o
@user-xe8rg5bt4o 2 жыл бұрын
@@user-ve4dl5fr6k ㅇㄱㄹㅇ
@user-zd3pc5rn8e
@user-zd3pc5rn8e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게 ㄹㅇ 이에요.
@user-iv9fc1mk7j
@user-iv9fc1mk7j 2 жыл бұрын
지방 일자리 그나마 제대로된곳이 물류(사무직),제철소 딱 두가지뿐임 나머진 걍 공장 그러니 망하지
@user-zk9fw3hk2f
@user-zk9fw3hk2f 2 жыл бұрын
4년제졸 경력2-3년 일9시간근무 혹은 격주토요일근무 월200주는게 지방임 자차없다면 자차있어야한다고 압박은 덤 특히 애 학교보내는 기혼여자를 좋아함 돈은 급하지만 싸게 부릴수있으니까
@CanOpener0429
@CanOpener0429 3 жыл бұрын
공공기관 이전을 혁신도시가 아니라 기존 지방광역시/대도시에 했어야 했다고 생각합니다. 대전 은행동, 대구 동성로, 광주 금남로 등등에 공공기관을 이전했다면 직원들은 이미 잘 갖추어진 대도시의 인프라를 누릴 수 있기에 주말마다 수도권으로 가지 않아도 되고, 공공기관으로 인한 지방 일자리도 증가합니다. 근데 지금처럼 허허벌판에 공공기관만 떡하니 지어놓으니 혁신도시는 인프라가 없어서 사람들이 떠나고, 기존 지방 대도시들은 혁신도시로 인프라를 뺏기는 이도저도 아닌 꼴이 되버리니 경쟁력은 오히려 약해지죠. 혁신도시 이런거 말고 기존 지방 대도시의 힘을 키우는 것이 지역균형발전에 더 효과적이라 생각합니다.
@leeja1294
@leeja1294 2 жыл бұрын
지방 대도시 중심으로 지방 발전시키는 게 좋아보입니다
@leeja1294
@leeja1294 2 жыл бұрын
@Mc Ahri 인구 감소는 괜찮은데 너무 급격하게 줄어서 문제지. 이대로 두면 지금 젊은 세대는 세금 내느라 허리 휘고 고생하는데 정작 본인들은 나이들어서 연금 못받을 판임
@leeja1294
@leeja1294 2 жыл бұрын
@Mc Ahri 비자 조건 완화해서 외국인 겁나 들어오겠지. 국민들은 싫어하겠지만 안 그러면 나라 유지 안 돼서 어쩔 수 없을 듯.
@user-ib6hx1gu6w
@user-ib6hx1gu6w Жыл бұрын
그럼 또 그 지역 광역시만 살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i7zc2fc8k
@user-li7zc2fc8k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pz6ol2gq3p
@user-pz6ol2gq3p Жыл бұрын
인구가 감소하면 예식장 , 산부인과가 젤 먼저 없어진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 다큐에 문 닫은 예식장이 나오네요 ㅠㅠ ... 어쨋든 정말 지방소멸이야 말로 진정한 현실공포네요.. 내가 자란 지역이 사라져버린다는 건 너무나 슬플 듯...
@lionelmessi4739
@lionelmessi4739 2 жыл бұрын
이미 늦었음. 20대인 나도 어떻게든 기회만 된다면 서울로 갈거임. 이런 생각을 하는 20대가 나뿐만이겠음?
@user-oc5gf8cx8t
@user-oc5gf8cx8t 2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다른 것 같아요 저도 지방이 고향인 20대이지만, 제 주변에서 서울로 뛰어든 사람들은 지방에서 먹고살 방법을 못찾았거나, 저처럼 회사 발령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주하였거나 둘 중 하나의 이유인데 지방에 남아있는 사람들이 훨씬 많네요. 저도 먹고살 방법 찾아서 고향에 남은 친구들 보면 부럽습니다. 이미 지역 기반으로 정착했는데 당연히 떠나기 싫죠.. 일반 직장인들보다 돈도 훨씬 많이 벌고..
@user-oc5gf8cx8t
@user-oc5gf8cx8t 2 жыл бұрын
@@kuma96 사람마다 생각이 다 다른 것 같아요~ 막상 저는 신논현 5년째 살고있는데 먹고살 방법만 있으면 고향 가고싶어요.. 광역시라 있을건 다 있어서.. 서울이랑 딱히 차이를 못느껴요 오히려 복잡해서 싫지
@xlwpu0efdwer
@xlwpu0efdwer 2 жыл бұрын
@@kuma96 뭔 소리야 서울 살면 사람 자체가 징그럽게 싫어지는구만 지방에도 있을건 다 있어서 기회되면 지방 내려가서 집도 사고 싶은데 일자리가 없고 급여가 낮은게 제일 큰 문제임 대중교통이 편리하다고? 지옥철 안타봤나.. 일끝나고 피곤한데 더 피곤하고 끔찍하다.. 그렇다고 자차로 운전하면? 대중교통은 남이 운전해주지 그 드글드글하게 차막히는데 더 피곤함
@JIyuziyu
@JIyuziyu 2 жыл бұрын
서울이 아니라 해외에서 자리잡는게 나을듯 싶을 판인데..허허허
@iiilliilii8624
@iiilliilii8624 3 жыл бұрын
기업들이 지방에 못가는 이유중에 하나가 대관업무가 너무 어렵다 법 위에있는 공무원 지역유지 결착이 강해서 대기업 처럼 자본과 인력이 그걸 헤쳐나갈수 있는정도가 아니면 매우 힘들다...
@sj4891
@sj4891 6 ай бұрын
큰일이네요 영화에서나 나오는줄 알았는데 현실이네요
@user-iu5oo3yj7i
@user-iu5oo3yj7i 3 жыл бұрын
일자리를 분산시키는게 핵심인데 기업이나 정부기관 이전하고자하면 집값떨어진다고 반대하고 정치인들은 그에맞춰 부화뇌동이고 결국 자기것을 지키고자 하는 이기심이 공멸을 자초하는거지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그 욕심 때문에 자멸한다.
@user-bh4zy4rk7e
@user-bh4zy4rk7e 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그리고 몇 십년 뒤 국가 존재 조차도 붕괴 상황 까지도 보지 않을 까 싶은.........
@user-xs9hv4hd3e
@user-xs9hv4hd3e 3 жыл бұрын
모든 국민이 일자리 찾아서 서울로 서울로 향해서 지방이 사라지고 있지만 그 모인다는 서울도 인구가 계속 줄고 있어요 조금씩 네이버에서 서울인구 그래프 보면 수십년간 계속 하락하고 있어요 현재 950만명정도임..천만깨진게 수년전인데 점점더..
@user-iu5oo3yj7i
@user-iu5oo3yj7i 3 жыл бұрын
@@user-xs9hv4hd3e 서울에서 빠진 인구가 어디 멀리 가는게 아니라 바로 옆 도시를 갑니다. 집값때문에... 순 서울 거주인구가 아닌 수도권 거주 인구를 생각해야죠. 계속 늘고 있어요.
@kookheecookie
@kookheecookie 2 жыл бұрын
대공감
@kookheecookie
@kookheecookie 2 жыл бұрын
정부 당장 지방 이전 하고 지방 기업은 법인세 안받고, 써울 부동산 세금 존나게 부과, 대한민국 성공
@user-fy5hv2cz6y
@user-fy5hv2cz6y 2 жыл бұрын
20대 초반인데 지방 살고있지만 너무 막막 하네요..서울로 올라가자니 너무 높은 물가와 집값..하아..
@user-ir4ci9mh5i
@user-ir4ci9mh5i 2 жыл бұрын
이런 소중한 자료들...너무 잘봤습니다. 태어나고 자란 곳이 수도권이라 살고 있지만 제가 무엇을 해야 균형발전에 도움이 될까 생각하게되네요
@taetae3119
@taetae3119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해주는 기업들이 내려가면 따라 내려감 ㅋㅋ 서울이 인프라가 좋아서 가는 것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일자리 찾아가는거지
@user-jk4br9ox8f
@user-jk4br9ox8f 3 жыл бұрын
기업들이 서울에몰려있엇어서 그런게맞음 인프라때문에는아님
@user-kt6eg9ys7d
@user-kt6eg9ys7d 2 жыл бұрын
양질의 일자리 그런게 다 인프라에 포함되는거지 뭐 지방에 비하면 서울은 진지하게 반세기는 앞서있음 좀 심하게말하면 누가 과거세상으로 돌아가서 살고싶겠음 ..
@user-kd3wp3ip6h
@user-kd3wp3ip6h 2 жыл бұрын
결국 닭이 달걀 낳는거고 그런거지요..
@canshirou
@canshirou 2 жыл бұрын
옳소
@ILikeMyYT123
@ILikeMyYT123 2 жыл бұрын
과거 세상에 돌아가 현재 세상보다 스트레스 덜받고 살 수 있다면 그리 나쁘지만은 않지.
@user-vt2jh1kw6j
@user-vt2jh1kw6j 3 жыл бұрын
이 추세면 인구 90% 서울 경기도 집중 ㅋㅋㅋㅋㅋㅋ
@user-dh8cd1pv3g
@user-dh8cd1pv3g 2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북에서 한방이면 나라가 없어져버리겠네요 ㅎ
@user-sy6tr3gn9o
@user-sy6tr3gn9o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중국인 오백만 일본인 이백만 아프리카 오백만 이슬람인 오백만정도 받아드리면 가능함 ㅋㅋ
@user-fd3mn9hn9j
@user-fd3mn9hn9j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번 영상 덕분에 지방소멸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요즘도 현재진행형이라고 하더라구요.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KBS 뉴스9과 시사 프로그램 덕분에 저도 이슈에 대한 많은 것들을 배우게 되네요... 정말 은 선생님 같은 프로그램입니다.
@Episode5879
@Episode5879 2 жыл бұрын
44:08 ㅋㅋㅋ 세종시ㅋㅋㅋㅋㅋ 세종에서 배우자만 남겨놓고 출퇴근은 셔틀버스타고 수도권으로 하는 실정 개코메디 진정한 창조경제 ㅋㅋㅋㅋ
@Amnok
@Amnok 2 жыл бұрын
세종시야말로 정신분열 정부의 합동 코미디죠
@baeroy5472
@baeroy5472 2 жыл бұрын
집사서 돈벌리는 용의 지역이져
@baeroy5472
@baeroy5472 2 жыл бұрын
미친동네
@user-vj4yy8ek4u
@user-vj4yy8ek4u 3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 현실이다 지방은 갈수록 하루 하루 벌어 먹을 일자리가 없다~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3 жыл бұрын
ㄹㅇ 일본따라 가는거지. 국뽕들 ㄹㅇ 일본보다 우리가 양호하다고 나무라지만 현실은 정반대
@youtube_ungmeh8510
@youtube_ungmeh8510 3 жыл бұрын
@@user-ih5lp5qd6s 일본도 저렇게는 안됐음..한국은 인구 51%가 수도권인디..물론 면적에서 보자면 일본이 더 앞섰지만, 일본은 애초에 지방에 오사카, 고토 등 지방에 대도시들이 한국보다 많아서 그럭저럭한데..일본보다 인구 수도 적은 한국이..그것도 몰빵하니..그게 문제인거임;;
@user-mi8qq1mx5m
@user-mi8qq1mx5m 2 жыл бұрын
일본 나쁜점을 한국이 따라 간다는건데 일뽕이라네 ㅋㅋㅋ 난독증들인가 ㅋㅋㅋ
@user-ze9th1xy4r
@user-ze9th1xy4r 2 жыл бұрын
일자리가 없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회피도 많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고를 바꿔야 변화가 있을듯요, 남의 시선 기준 버리고 내중심 잡으면 작은일도 뿌듯하고 행복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소득은 따라 생기고, 먹고 살만해집니다.
@anallogenglish8408
@anallogenglish8408 3 жыл бұрын
머리는 사자만하고 팔다리는 닥스훈트보다 짧은 이상한 동물이 되어가고 있다.
@youtube_ungmeh8510
@youtube_ungmeh8510 3 жыл бұрын
대가리 북한한테 따일듯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3 жыл бұрын
@@youtube_ungmeh8510 문재인이 전국을 빙신 만들어 놨지
@ou0429
@ou0429 3 жыл бұрын
@@harvestmark3972 이 현상을 문대통령이 만들었냐...멍청아 ...민주당쪽에서 수도를 옮겨 인구분포를 할려하는데 국짐당에서 서울 집값때문에 반대했지 하여간 멍청한게 짜증나게한다
@user-en1ml5vu4p
@user-en1ml5vu4p 3 жыл бұрын
@@ou0429 행정기관 옮기는걸론 별도움안된다고 수도옮기면 인구가 따라가냐 브라질리아 캔버라 인구수봐라
@user-en1ml5vu4p
@user-en1ml5vu4p 3 жыл бұрын
@@ou0429 물론 시도자체는 괜찮았다고봄 방법론에서틀린거지만
@user-lb2jd6lw4t
@user-lb2jd6lw4t 9 ай бұрын
정작 이거 취재한 직원들도 지방갈생각 없다는거
@user-sj3ie7ul4x
@user-sj3ie7ul4x 2 жыл бұрын
보통 문제가 아님.. 내려와 살래도 뭘 어떻게 먹고 살아야할지 아파도 어디로 가야할지 너무 갈길이 멈.. 안타깝다..
@user-cc1uy5wg2n
@user-cc1uy5wg2n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어렴풋이 생각만 했었던게 영상으로 마주하니 참담하군요.
@user-ox3jf2rw1q
@user-ox3jf2rw1q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정말 곧 망할 것 같다. 내가 보기엔 지방소멸과 출산율 저하의 악순환 문제가 제일 큰데 정당들은 관심고 없고... 정말 나라를 위한 정치를 보고 싶다
@dkim9058
@dkim9058 3 жыл бұрын
띨수, 국짐당, 형주니 세후니 같은 쓰레기에 기레기... 토착왜구 짜장 까지... 슬프지만 망하는게 당연.
@alavu783
@alavu783 3 жыл бұрын
정당과 국개의원들을 찍어주는것은 결국 국민. 서울집값 떨어질까봐 행정수도 이전 반대하는 이기적인것들이 없어져야 지방지역도 살아 남을것인데. 틀렸어 이나라는.
@user-uu5uu4uq1p
@user-uu5uu4uq1p 3 жыл бұрын
일본 중국 러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까지 지방소멸은 전세계적인 추세임 어느나라의 젊은이도 시골에 있기는 싫지
@nopregnant
@nopregnant 3 жыл бұрын
이미 imf 이후 망하고 잇음 2차는 코로나부터고. 인구가 워낙 많고 수십년간 해온게 잇어서 그나마 지금 버티고 잇는거지ㅋㅋ 부동산 국가 투기 거의 종치면 더 볼만할거임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500년간 세뇌된 유교적 핏줄,조상 중시 . 서양은 20살이면 독립 오직 한국만 사교육비,등록금,결혼비,손자돌봄... 늙어 죽을때까지 핏줄에게 퍼줌. 주식회사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진보,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그래서 힘들어지면 핏줄을 한 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가 매우 흔한 나라. 핏줄중시로 미혼모 왕따,비난,차별 동거비율 세계 최저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비혼출산 oecd 평균 39%,핏줄 이기주의 한국은 1% 난임부부들도 핏줄중시로 입양 꺼림. 서양은 제사 없음. 한국은 명절도 제사(핏줄)로 인해 그 누구도 행복하게 지내지 못하는 나라.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핏줄 이기주의 ,핏줄 퍼주기->양육부담 ,양극화, 희망포기->비혼 급증->국가 소멸..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그저 공부하는 기계로만 학생 키우는 나라 강제 고자화 시키고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4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한국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활황 , 근데 한국은 다 불법인 나라.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합법적으로 정자 기증 받아 미혼모 출산. 근데 한국은 다 불법인 나라!!!! 그저 핏줄 이기주의 밖에 없고 윤리 , 도덕 따지기만 하고 선비질만 하다가 소멸 될 나라. 남의 나라 티끌에는 광분하고 자기 눈에 대들보는 안보는 국민성,,.
@jiyoonjang3692
@jiyoonjang3692 2 жыл бұрын
공공기관 이전이 아니라 지방 내려가는 기업에겐 완전 부담스러울 정도의 혜택을, 수도권에 남아있는 기업에게 그 비용을 청구하는 조치 정도 아니면 어림도 없지.
@user-su5pd8tz4t
@user-su5pd8tz4t 2 жыл бұрын
기업을 지방에 유치 했다 치자 거기서 일할 인재는??? 인서울 대학 나온 인재들이 지방 가려고 할까???
@user-joyew31jzwqi56
@user-joyew31jzwqi56 2 жыл бұрын
@@user-su5pd8tz4t 적어도 지방에서 서울쪽 대학 나온 인력은 많이오지
@user-ff5oq4pg5o
@user-ff5oq4pg5o 2 жыл бұрын
@@user-su5pd8tz4t 당연한거아님? ㅋㅋㅋㅋㅋ 삼성 본사를 대구로 롯데본사를 부산으로 현대본사를 울산 기아를 광주로 옮겼을때 서울대? mba 출신들도 그쪽으로 감 공대는 지금도 인서울 씹어먹는 스펙으로 지방가는데 뭔
@sh.8893
@sh.8893 2 жыл бұрын
지방출신들조차 서울가려고 안달이고 그런 지방인재들로는 대기업이 추구하는 역량을 전혀 만족시켜주지 못하니깐 수도권에 남아있을려고하지 그리고 정시 합격한 애들말고 지방에서 수시합격해서 인서울 온아이들은 애초에 고교시절 경쟁력 자체가 수도권애들하고 비비기가 힘들정도로 수준차이가 많이 벌어져버렸음...
@user-lo2eu9bi7v
@user-lo2eu9bi7v Жыл бұрын
이게 무슨 공산주의 같은 소리임ㅋㅋㅋㅋ 기업들 해외로 다 나가라고..?
@user-of8vk1po5y
@user-of8vk1po5y 2 жыл бұрын
90년대 초까지만해도 부산사상공단, 신발공장, 붐비던 사상터미널, 지하철 공사로 막히던 시내, 길게 늘어서 발 디딜 틈 없던 서면 먹자골목, 광복동, 남포동의 상가들, 사람, 사람들... 지금은 제2의 도시에서 제3의 도시가 되어가는 늙어가는 추억의 도시!!
@user-hv1pi2zc9z
@user-hv1pi2zc9z 2 жыл бұрын
부산이 늙었죠ㆍ초고령사회 대도시중 1호랍니다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2 жыл бұрын
관광객의 도시.죠
@user-lo2eu9bi7v
@user-lo2eu9bi7v Жыл бұрын
서면 골목은 밤되면 사람 넘치는데ㅋㅋㅋ
@user-of8vk1po5y
@user-of8vk1po5y Жыл бұрын
@@user-lo2eu9bi7v 그 시절에 비하면야ㅋ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7 ай бұрын
​@@user-lo2eu9bi7v서면의 30프로는 공실이 되고 있음 먼말인지 알겟음?
@ChaerinKim-iq5mz
@ChaerinKim-iq5mz 3 жыл бұрын
중간중간 젊은 사람들의 입장이 나올때 많이 공감됐습니다. 좋은 기획 감사합니다.
@user-zt3pr7ly8m
@user-zt3pr7ly8m 3 жыл бұрын
결국 시민들이라도 깨어있지 않으면 결국 출산률 0명에 서울과 지방이 공멸하게 되는거죠 국회는 좌.우파 따지기전에 나라살리는 정책에 제발 힘을 합해주세요
@maximum11245
@maximum11245 3 жыл бұрын
청년들이 깨어있으니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거임 무식하게 걍 좋아서 거지인데 애낳는다? 애가 커서 원망하는 시대예요 ㅎㅎ 초딩부터서도 사는곳으로 친구 나누고 경쟁하는 시대입니다
@user-gm8be1lj9p
@user-gm8be1lj9p 3 жыл бұрын
청년들이 현명하니 결혼 출산 안하는 거에요!!!
@machmax7
@machmax7 3 жыл бұрын
현 40대가 현명한거지 저출산만들고 비혼하는 1세대지...
@poco.7
@poco.7 3 жыл бұрын
@@maximum11245 뼈 아프다...
@user-xv4ku2nj9j
@user-xv4ku2nj9j 3 жыл бұрын
Imf 터지고 2002년 부터 20대에 돈 벌기 힘드니 좀 늦더라도 돈 모아서 결혼하자는 주의 였고(이 때 부터 40만명 때 까지 떨어짐) 2016년부터 돈 벌기도 모으기도 힘드니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말거나 해도 아이는 낳지 말고 낳아도 하나만 낳자는 주의 (40만명대에서 27만명까지 떨어짐) 이제 90년대생이 슬슬 결혼할 나이가 다가오는데 더 떨어지거나 20만명대 유지 할 듯 합니다
@user-bi5ul7pz1x
@user-bi5ul7pz1x 2 жыл бұрын
안타깝지만, 이미 저출산 스톱 시기를 놓친 것 같다. 이제 그 대가를 치를 일만 남았네 우리 모두가
@StarScream2023
@StarScream2023 2 жыл бұрын
결국 일자리로 귀결되는데 지방에 좋은 일자리가 있어야 젊은이들이 살고 싶어 할테고 장기적으로 좋은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으로 보입니다.
@jujaeyoun
@jujaeyoun 2 жыл бұрын
지방에 학교와 병원이 없습니다 고속버스나 지차체 중심으로 도로정비나 안전도 필요합니다 수도권은 매연이 많고 골고루 발전이 필요합니다
@user-ph4vr3rj3l
@user-ph4vr3rj3l 3 жыл бұрын
진짜 끔찍하네 이정도구나
@user-pk9fn1cq4y
@user-pk9fn1cq4y 3 жыл бұрын
지방 소멸에 대해서 짚어주는 좋은 기획이네요, 오랜만에 집중해서 잘봤습니다.
@user-ne4fw5zj9n
@user-ne4fw5zj9n 2 жыл бұрын
지방이 발전하려면 농작물 가격을 획기적으로 올려야 된다. 하지만 그건 불가능한 일이다. 정치인들이 원하지 않는다. 인구수가 많은 걸 좋아하니까 고농수산물을 원하지 않는다.
@RF50mm
@RF50mm Жыл бұрын
@@user-ne4fw5zj9n 도시에 농작물 타워를 짓는다는 이론도 있었습니다. 만약 지방 농작물 가격 획기적으로 올리면 시장의 논리로 도시에 농작물 타워 건설은 바로 추진됩니다. 구지 비싼 운송비 낼 필요도 없고 흉작 가능성도 제로라서 지방 농사는 제대로 망합니다. 그래서 추진 안하는 겁니다.
@smithjack3497
@smithjack3497 4 ай бұрын
(맹지 땅 평당 30에 사줄 호구) 젊은이 많이 왔으면 좋겠어~ (내 자식 손주 빼고)
@youngk3021
@youngk3021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해결할래야 해결이 안됨.. 일본같은 경우는 기계, 소재, 부품, 화학등 강한 산업 자체가 지역적인 기반이 단단하고 대학도 국립대 아래에 사립대로 서열화가 잘 이루어져있는데 우리나라는 대학, 기업 다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 기반 산업도 약함.. 아무리 공기업, 정부청사 이전한다고 해도 이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음
@jaegeunpark1006
@jaegeunpark1006 2 жыл бұрын
솔직하게 말해서 세금을 대도시에 다 쓰는데 당연히 도시로 몰리죠. 시범적으로 대전쯤에 세금 때려 부어서 환상의 도시를 만들어봐라. 지방에 돈 쓰는거 드럽게 아까워 하면서 뭘 해결 되기를 바라나.
@redk213
@redk213 2 жыл бұрын
대전이 완전 유령도시화 될거같더라구요..
@user-vkfvjfdl
@user-vkfvjfdl 2 жыл бұрын
@@redk213 대전이면 공기업도 꽤 있고 대학도 꽤 있는곳인데도 그런가요?
@seekingonlytruth4620
@seekingonlytruth4620 3 жыл бұрын
공공기관도 옮길거면 혁신도시를 새로 만들지 말고 지방도시들 구도심에 옮기는게 훨씬 효과적이었을거다.
@drk8260
@drk8260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차라리 기존 지방도시로 공공기관을 옮겼어야 하는데 굳이 혁신도시를 왜 만들었어야 했나 싶네요.
@user-is2ku6rc6u
@user-is2ku6rc6u 3 жыл бұрын
각 혁신도시 지도검색해서봐봐요 전부 구도심하고 붙어있는데 먼 뚱딴지같은말을하는거요ㅋ
@tpomusic3971
@tpomusic3971 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땅으로 해 먹을 수가 없자나. 노무현 때 이미 심각한 문제였다. 그래서 후임들이 혁신도시 줄인것도 있어.
@aromacandil6175
@aromacandil6175 3 жыл бұрын
건설회사 입김이 얼마나센데 서민들이야 떠들어봤자 귀족들 위주로 사회는 굴러가고 있는데 노예생산이나 중단합시다.
@user-xv4ku2nj9j
@user-xv4ku2nj9j 3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이긴 한데 구도심에 옮기면 보상문제 비용 문제가 너무 든다고 안 했다 하더라구요 실제로 구도심 근처 농지에 개발된 곳에 함
@petermoon6559
@petermoon6559 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본 다큐인데 수신료의 가치를 충분히 하고도 남네요 ㅋㅋ 만드신 분들 다 고생많으셨습니다 ㅎㅎ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영국 등 아마 미국 정도만 빼면 모든 주요 나라들이 겪는 문제가 아닐까 싶긴 합니다.. 균형있는 발전.. 어렵죠..
@user-pl5nz6cp9o
@user-pl5nz6cp9o 3 жыл бұрын
아무리 그래도 수신료 인상은 선 넘었죠. 수신료 2500원도 아깝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고 더군다나 2TV가 광고를 안받는 것도 아니죠
@machmax7
@machmax7 3 жыл бұрын
북유럽선진국 빼면 섭섭하지...
@user-f3d7bl47dn9
@user-f3d7bl47dn9 3 жыл бұрын
70원 수신료 받는 ebs가 다큐는 더 잘 만들어요
@user-vd2it5jd5u
@user-vd2it5jd5u 3 жыл бұрын
미국 출산율 낮아요
@user-ht3ve9ky9z
@user-ht3ve9ky9z 3 жыл бұрын
이거 kbc다른다큐에서 쓴거 재탕한거같은데...봤던영상들임ㅋㅋ
@user-lz7bb1ij6h
@user-lz7bb1ij6h 2 жыл бұрын
나도 지방 살다 서울와서 일하지만 수도권으로 사람 몰리는 이유가 있음. 첫째가 인프라 특히 병원시설. 지방 병원들은 시설도 의사도 열악하다보니 틀린진료나 여러 이유로 제대로된 치료가 안되서 대부분에 사람이 무조건 수도권 병원으로감. 둘째는 일자리 부족 젊은 사람들이 일할때도 없고 한다해도 공장아님 가게 아님 농사밖에 없음. 그 공장 일자리도 너무 열악한데가 많고 대기업 공장들은 정말 들어가기도 힘듬. 셋째는 지방민에 텃세 지역이 좀 크다보니 귀농하는 사람들 많은데 부모가 자식들 귀농한다면 말리는 입장임. 귀농으로 오게되면 젊은놈 왔다고 좋아라함. 마을 대소사 별거 다 시키고 별거 다 뜯어먹음. 이게 그 지역 출신애들도 은근 당하더라.
@SK-ed4ro
@SK-ed4ro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마음이 아프네요 ㅠ
@user-un3er9kj4i
@user-un3er9kj4i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user-sf3qc7rj1r
@user-sf3qc7rj1r 3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살지만 인터넷으로 뉴스를 보니, 서울뉴스만 보게되고, 그러다보니 지방현황에는 더 관심이 없게되고.. 이런상황에서 공멸이라는 말, 무섭습니다. 대안은 보이지 않아 더 우울하고요. 대안은 없는건가요?
@user-rf7lv7qr9w
@user-rf7lv7qr9w 3 жыл бұрын
우선은 지방으로 정부기관을 분산하는 것이 대안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기형적인 인구구조는 이미 제가 고3이던 2005년 부터 이야기가 나오고 있었습니다. 서울에 1천만이 몰려있고 나머지가 경남에 쏠려있다고요. 우선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 거론되던 행정수도를 실현시키고 정비기관도 지방으로 분산시켜야 합니다. 국방부는 강원도로 해양수산부가 제주도나 전남으로, 교육부가 충청남도나 충청북도로 같은 방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가장 중요한 남북경협과 남북간의 자유왕래가 실현되게 해야만 한다고 합니다. 문제가 지금같은 방식이면 2305년에는 한국이 인구부족과 고령화로 일본이나 중국보다 먼저 멸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만약에 남북통일만 되거나 분단이 되지 않은 상태였다면 2800년 까지는 버틸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영화 딥 임팩트에서 우주 비행사들이 두동강 난 울프-비더만 혜성 중에서 거대한 울프 혜성에 자폭공격을 가해서 막고 작은 비더만 혜성은 지구에 충돌하게 내버려 둘 수 밖에 없었던 것 처럼요. 즉 후손들에게 재건을 할 기회는 주자는 취지로 그렇게 한 겁니다. 다 막을 수 없으니까요. 또 경제학자이신 최배근 교수님께서도 한국의 고질적인 수출중심의 경제구조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남북통일은 필요하다고 강조하셨는데 내수시장의 확대와 재건을 위해서라도 남북통일은 필수입니다. 계속해서 종북몰이와 이러한 빨갱이 놀이에 군대똥별들과 기무사, 경찰과 국정원이 재벌들과 손잡고 유착해서 계속 때려잡자 공산당 놀이만 하면서 남북통일이나 경협이 실현되지 않는다면 정말로 한국서 짐싸서 나가야 합니다.
@drk8260
@drk8260 3 жыл бұрын
@@user-rf7lv7qr9w 통일이 말처럼 쉽습니까? 통일하려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조건이 김정은의 공산당이 몰락해야 되고 공산주의 독재자에 세뇌 된 북한주민들과 융화하려면 최소 몇 세대는 지나야합니다.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과 지구상 가장 잔악한 독재를 자행하고 있는 북한과 통일이라니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했습니까? 북한주민 인권이 개선 되었습니까? 전혀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뜬구름 잡듯이 평화와 통일을 주장하는 문재인이나 당신 같은 사람을 북한간첩이라 얘기 들어도 할말 없지요.
@lkkim6750
@lkkim6750 3 жыл бұрын
윗대가리들 대안 다 알고 있죠 근데 모르는 척 하는 것 뿐
@shc114
@shc114 3 жыл бұрын
@@user-rf7lv7qr9w 서울 천만, 나머지 경남에서 웃고 갑니다. 남북경협이요? 짐싸서 나갈 준비해야겠네요. ㅋㅋㅋ
@user-rk8kl2mp9p
@user-rk8kl2mp9p 3 жыл бұрын
@@user-rf7lv7qr9w 여기 또라이하나 더있네 ㅋㅋㅋ
@Ill_turn_it_off
@Ill_turn_it_off Жыл бұрын
요즘 다큐를 찾아보는데 재밌네요 수신료의 가치란 이런거라고 생각해요
@ssojxx
@ssojxx 2 жыл бұрын
생각이 많아져도 결국엔 나도 서울에 살고있고 결혼은 여전히 꿈도 못꾸는 세상에 살구이찡...
@2O20
@2O20 2 жыл бұрын
@두둥 탁
@user-hu7gr4gu7s
@user-hu7gr4gu7s 2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이나 다니다가 호구물어서 취집 ㄱㄱ
@user-to1gl5jt3d
@user-to1gl5jt3d 3 жыл бұрын
부모님 고향에 가보면 동네에 사람 보기가 힘들어요. 저희 아버님 연세가 78세 이신데 동네에서 막내라고 하시더라구요. 빈집도 많고, 아이들은 어디에도 볼 수가 없구요. 정말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될날이 얼마 안남은것 같아요 ㅠ ㅠ
@machmax7
@machmax7 3 жыл бұрын
통계청 드가보셈...지금 저출산세대의 절반수준 초저출산 세대가 10년뒤부터 펼쳐짐.지금 출산율은 초저출산율세대보다 더 낮음. 적어도 지금부터라도 세상을 안바꾸면 우리나라는 수십년뒤 자연 소멸됨.끝난거임.
@jololight8979
@jololight8979 3 жыл бұрын
@@machmax7 중국애들하고 동남아 애들 유입되는거봐서는 그렇게 쉽게 소멸되지는 않을거같다. 뭐 소멸되더라도 국가가 국가역할을 못해서 종속되면 그만임
@bart2865
@bart2865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외국인들이 이유가 있어서 잠시 온 것 뿐인데 우리나라가 출산율, 지방 인구 감소 등으로 상황이 안 좋아지면 외국인은 자연히 떠나가겠죠 동남아, 중국에서 온 사람들이 한국이 좋아서 이민 온 것도 아니구요
@machmax7
@machmax7 3 жыл бұрын
@@bart2865 정답.저거나라가면 우리나라서 불법체류함서 번돈으로 저거식구들 금수저생활가능...반면 헬조선서는 외노자 불법체류자 손가락질에 노예 3d직종일하면서 원룸생활함...갸들이 만다고 이민오겠음...
@user-th9sr7zm9v
@user-th9sr7zm9v 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2개의 나라지. 수도권 공화국과 비수도권 자치국.
@tkqkdl16
@tkqkdl16 3 жыл бұрын
서울도 강남 비강남 ㅎㅎ
@khop5681
@khop5681 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공화국 지방 식민지임. 지방 사람들이 알아서 올라가서 돈 갖다 바치거든요. 수도권은 지방 자본 및 인력 다 빨아드려서 부를 축적하고 지방은 죽어가고
@chungsae-rom5624
@chungsae-rom5624 3 жыл бұрын
@@khop5681 그렇게 말하기엔 서울사람들이 내는 세금이 훨씬 많을 거예요. 오히려 서울에서 거둔 세금을 지방에 뿌리죠.
@user-zu1lz1sm2f
@user-zu1lz1sm2f 3 жыл бұрын
@@chungsae-rom5624 서울에 들어가는 세금이 얼마인지 아시고 하시는 말씀이세요? 건국이래로 서울에 들어간 세금은 다른 여타 어떤 도시와 비교불가할 만큼 많습니다. 서울이 혼자 저렇게 큰 줄 아세요?
@futureforeveryone4687
@futureforeveryone4687 3 жыл бұрын
비수도권은 식민지임
@miny412
@miny412 7 ай бұрын
와닿는게 많은 다큐였습니다.
@tv6743
@tv6743 2 жыл бұрын
정말 심각한 인구감소... 어떡하면 되돌릴 수 있는지를 국가차원에서 연구 해야 할것 같은데...
@waiha499
@waiha499 3 жыл бұрын
부모님 중 한분이 군위 사람이어서 어릴 때부터 자주 찾아갔던 기억이 나네요. 군위에 사시던 할머니, 할아버지도 최근 다 돌아가셔서 이제는 묘지갈때 빼고는 군위도 안갑니다.. 당시에 장례식장도 없어서 굉장히 멀리에서 했던 기억이 납니다. 가끔 군위 가서 지나가는 학교 보면 대부분 폐교라서 마을 자체가 우울했어요. 어릴 때 그렇게 재밌게 뛰어놀던 곳이 이제는 어느새 소멸위기마을이 되었네요..
@user-tf8hu6cj8g
@user-tf8hu6cj8g 3 жыл бұрын
저도 부모님 고향이 군위라서 어릴때부터 자주 갔었던 곳이죠. 볼때마다 안타까운 곳입니다. 특히 제2석굴암 쪽으로 직선 도로가 생겼는데 팔공산 IC까지 연결이 될겁니다. 아마. 그게 생긴 덕분에 안그래도 죽어가던 대율이 직격탄을 맞았죠. 제2석굴암도 함께. 예전에는 구도로(헤어핀이 많은 도로)를 지나갔고 중간에 들러서 그나마 가게에서 사고 식당에서 먹고 그랬는데...이제는 그냥 패스. 제 시골은 가게들이 다 문을 닫아버렸습니다. 이제는 어릴 때 뛰어놀던 시골이 사라져가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픕니다. 이제는 대구에 편입된다는 이야기도 들은거 같네요..
@cats_meows
@cats_meows 3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들은 저출산이 문제니 뭐니 맨날 앵무새같이 누구나 다 아는 소리 반복하지 말고 애를 낳으면 아이들에게 개이득인 나라를 만들어봐라 애가 나오는 순간 모든걸 포기해야하는 세대인데 낳면 아이에게 민폐인 시대다. 결혼해서 2명 낳으면 현상유지고 3명 이상 낳아야 인구가 증가하는데 현 시대에 그렇게 낳고 싶겠는가??
@gatsbylee2773
@gatsbylee2773 2 жыл бұрын
누군가는 기회를 찾아 떠나고, 누군가는 기회를 만들어내기 위해 돌아온다. 각자에게 주어진 능력을 자기의 것이 아닌 우리의 것이라고 생각하며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 봐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user-ze9th1xy4r
@user-ze9th1xy4r 2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Mrheeje
@Mrheeje 3 жыл бұрын
이미 골든아워는 지나간 것 같습니다 바꾸려고 하기엔 관성때문에 이 큰 물결이 계속 흘러갈 것이고 수도권 집중현상은 더더욱 커질거라봅니다..work, play, life 도시의 3요소가 잘 갖추어진 경기ㆍ서울권에 사는게 스펙이자 꿈이 되버린 한국..먹고 살려면 수도권으로 움직여야죠 ㅜ 오래 전 정약용 선생님도 아들한테 한양 주변에서 떠나지 말라고 하셨는데 요즘 들어 너무 와닿습니다..
@user-lx1hi5vj9j
@user-lx1hi5vj9j 2 жыл бұрын
사회진화론인가요?
@user-lx1hi5vj9j
@user-lx1hi5vj9j 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수도권 집중 더 심화해야하나요?
@user-jf6xw6rl3j
@user-jf6xw6rl3j 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지방 소멸한다고 해도, 땅, 건물은 절대 싸게는 안팔더라 ㅋㅋ
@user-xe2cc9tv9s
@user-xe2cc9tv9s 3 жыл бұрын
팩트 ㅋㅋㅋ
@korean_cusine
@korean_cusine 3 жыл бұрын
땅주인도 다 서울살고있음
@user-ze9th1xy4r
@user-ze9th1xy4r 2 жыл бұрын
욕심들 좀 내려놓고 큰그림을 그려야는데 그게 안돼~
@rui8184
@rui8184 3 жыл бұрын
지방소멸,, 인구절벽... 식량 내수 수급불가... 아무리 긍정적으로 봐도 망하는 길밖에 없다....
@user-bg4gz3cv9o
@user-bg4gz3cv9o 2 жыл бұрын
지방으로 직장따라 내려가 살 수 있으면 당장 내려간다. 여기서는 내집마련 너무 힘들어요
@user-db2vu5dg6d
@user-db2vu5dg6d 2 жыл бұрын
일자리가 없어서 상경 → 수도권 밀집 채용 인재가 없어서 기업 연구소 및 생산 설비 이전 → 수도권 밀집 *수도권으로 교육 및 일자리가 서로 악순환으로 영향을 줘서 가속화 되는 것 같아요. 부산만 봐도 일자리가 없어서, 부산에서 살려는 친구들은 공단이나 공사에 눈돌리게 되고...
@user-ro2ne7om5v
@user-ro2ne7om5v 3 жыл бұрын
모든게 서울, 경기도에만 몰려 있는 부작용 입니다. 병원도 대학도 직장도... 지방으로 모든걸 서로 상생 할수 있도록 분산 시키는게 필요 합니다.
@user-vy3le8ye6y
@user-vy3le8ye6y 3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많은곳에 몰리는게당연하죠. 억지로 됩니까. 지방대생 서울기숙사 지어줄게아니라 서울학생 지방대기숙사 제공해주고 지방대생 취업가산점줘서 지방정착시켜야죠. 혁신도시라고 지방마다 신도시만들어 모공기업 투기장만들기만한거보세요. 공무원특별분양해줘봐야 홍남기처럼 다 살지도않고먹튀합니다.문정부균형발전 하는거 있네요. 영종도에서 강화도.신.시도 거쳐 북한으로가는 해상고속도로 예타도없이 진행중입니다.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인구가 1/4 넘어가서 줄어들지 않고 증가일로에 접어들면 그 나라는 반드시 망한다.. 그렇게 만든 주류들은 반국가사범이므로 엄한 벌을 받아야 한다..
@nopregnant
@nopregnant 3 жыл бұрын
완전 깡촌은 아니더라도 읍내 반경 5k 이내에 이마트나 다이소,롯데마트라도 하나 만들어서 직원 월급 무조건 300주면 인구 무조건 어떻게든 꼬임 대신 직원 절대 많이 뽑으면 안됨 돈없다고 징징대지만 말고 산책길도 잘 조성하면 금상첨화임
@nopregnant
@nopregnant 3 жыл бұрын
@@user-cd2c85fyujll 안그래도 주변 상인들이 엄청 반대한다네요ㅡㅡ 특히 시장..
@user-lh8es3ru1r
@user-lh8es3ru1r 3 жыл бұрын
그건 님 살아 있는 동안에 불가능하니까 도태된 대로 살든가 서울로 올라오세요
@user-rv3jn8zc5x
@user-rv3jn8zc5x 3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있는 기업들 잘 되도록 지원부터 해주세요. 반짝 이벤트성으로 기업유치하고 이후부터는 나몰라라 하니 어느 기업이 지속 투자할 수 있나요?
@latethirtieslife1815
@latethirtieslife1815 2 жыл бұрын
경북대 대구에서 최고대학인데도 저런고민들이 있네요. 저희시절만 해도 경대 그러면 좋다했었는데... 씁쓸한 현실이네요. 경대도 (일반적인) 지방대로 치부대는 현실일이라니... ㅠ
@user-zo4mt9ri3w
@user-zo4mt9ri3w 2 жыл бұрын
안타깝네요 균형이 현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게 지금도 팍팍하고 맘도 팍팍하고 계속 이리 살아가야하고...
@Always-gx1ru
@Always-gx1ru 3 жыл бұрын
중요한 팩트: 이 방송 만든 사람 다 서울에 살고 있음
@jaykaykay6534
@jaykaykay6534 3 жыл бұрын
응 아니야
@leesungmin8123
@leesungmin8123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해도 그게 뭔 상관인데 너같은 놈들 때문에 나라가 이래 ㅠㅠ 못배운 자식아
@jongbumpark5937
@jongbumpark5937 3 жыл бұрын
하긴 방송만든 사람들부터 지방가지 않으면 이런 프로더 진정성이 없지
@sinp-un2gg
@sinp-un2gg 2 жыл бұрын
이거 창원 케백수가 만든거 본사에서 방영한거임
@gypark6209
@gypark6209 3 жыл бұрын
37:09 다른 세계의 포항인가보네요 아파트답게 생긴건 2억은 그냥 넘던데...
@justdoitmoveit
@justdoitmoveit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지금 포항도 엄청 비싸던데..
@jungdragon235
@jungdragon235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지도한장이 큰 울림을 주네요. 다가오는 대선에선 획기적인 대안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aolong1383
@aolong1383 Жыл бұрын
어림도 없지
@greatmin1553
@greatmin1553 2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전국 대도시 서울 격차 줄어들길 바랍니다
@user-hv7ds2vl6o
@user-hv7ds2vl6o 3 жыл бұрын
이미 막을수 없는 지경이죠... 출산율도 못 올리는데... 아니 이젠 포기하는게 낫습니다.
@user-hv7ds2vl6o
@user-hv7ds2vl6o 3 ай бұрын
2024년 2월 11일 지금도 변하지 못했습니다.
@user-jz5hl1rv6c
@user-jz5hl1rv6c 3 жыл бұрын
KBS 본사부터 지방으로 옮기세요
@RkEm-ty8vt
@RkEm-ty8vt 3 жыл бұрын
평화의댐 버전2 아니냐? 우리나라보다 국토면적도 큰데 인구 적은 나라는 다 소멸이냐 ?! 불안조성해서 뭔 짓거리들을 하고 있는지ㅉㅉ
@user-vj7sh7jf1n
@user-vj7sh7jf1n 3 жыл бұрын
전국 방송이라는데 사실은 다 서울 방송이죠. 신문도 마찬가지고요. 다시 말하면 온 국민이 서울방송을 보고있고 서울에만 관심 갖고 있는거예요. 수도권 제외하고 비수도권만을 다루는 신문, 방송이 필요해요. 시 단위 조그마한 것들 말고요. 그래야 비수도권 힘을 응집시킬 수가 있어요.
@user-hi5pt4uf6j
@user-hi5pt4uf6j 3 жыл бұрын
@@RkEm-ty8vt 애초에 인구가 적었던 국가랑 운영을 못해서 망하게 만든거랑 동일시하면 안되죠.
@-mandoo-
@-mandoo- 3 жыл бұрын
서울대도 지방이전시켜야됨
@sobluebear
@sobluebear 3 жыл бұрын
현실에 안주하고 변화하지 않은 지방 국립대와 지역 지자체 그리고 기업들의 결과물이 지방소멸이라는 단어를 만든거죠
@veronica-9900
@veronica-9900 2 жыл бұрын
27:40 구미시 심각하구나 ㅠㅠ 안타깝네.. 힘내세요.
@DBON82
@DBON82 2 жыл бұрын
한화도 이제 떠난다고 하고, 삼성 핸드폰 생산라인은 그나마 남아 있는데 한화때문에 글쎄요? LG디플도 구미에 2개공장 아직 가동중인데, 조만간 그것도 파주로 올라갈 것 같네요..
@dm-bc7dz
@dm-bc7dz 2 жыл бұрын
이제 아파트는 지방부터해서 층간소음이 저절로 해결되는 시대가 곧 다가옵니다
@dannyjung3884
@dannyjung3884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유쾌해
@user-wc6sz3ey8x
@user-wc6sz3ey8x 3 жыл бұрын
금수저 아닌이상 서울에 가도 안가도 답이 없다
@hskim-nz8tk
@hskim-nz8tk 3 жыл бұрын
흑수저는 서울보다 지방생활이 훨신 편함
@sy132
@sy132 3 жыл бұрын
지방에는 아이티, 일자리가 아예 전멸 이어서 서울로 가는 것임
@user-cp9kj1ym3f
@user-cp9kj1ym3f 3 жыл бұрын
광역시급은 그나마 찾을거라도 있겠지만, 중소 시도는 진짜 답없는 곳이 한두개도 아닌것 같아요. 일본의 전철을 밟아 가는 것이겠지요.
@juliefielder8206
@juliefielder8206 3 жыл бұрын
@@user-cp9kj1ym3f ㅏ
@gamsagoodlife
@gamsagoodlife 3 жыл бұрын
한달전에 중소도시에 잠깐 살았는데 와 진짜 건물들이 90년대에서 멈췄더라. 그리고 버스 타면 90%가 노인들이야 진짜 개충격먹고 옴
@user-og1ih4lw7z
@user-og1ih4lw7z 3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프로그램... 지방균형발전이 곧 저출산 및 부동산문제 해결
@user-yx4yp3vo2f
@user-yx4yp3vo2f 2 жыл бұрын
자기 자식들은 돈벌러 도시로 내보내면서 다른 젊은이들만 들어오길 바라는 마을 사람들. 그마저도 들어오면 마을공동기금이니 발전기금이니 하면서 텃새부리고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용감하고 과감하게 귀농귀촌해도 더 어렵게 만드는 현실. 더구나 팔아도 돈도 안되고 가지고 있으면 협동조합같은데서 각 집당 수당이나 배당같은거 나온다고 해서 쓰러져가거나 빈집이라도 안팔기도 하고 또는 부모님들의 살아생전 터전이었던 곳을 팔면 뭔가 마지막 끈을 놓게 되는걸까봐 아쉬워서 안파는 빈집들 기존집 활용도 못하는 상황. 이래저래 참 쉽지않습니다.
@jjrirkfjvn
@jjrirkfjvn 2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지방 신축 아파트는 거품 오지게 껴서 어지간한 경기도 수도권 신축이랑 비등비등한 가격임... 젊은 부부들이 수도권 포기하고 지방을 가기엔 인프라도 부족
@kosorie
@kosorie 3 жыл бұрын
오래간에 본 양질의 다큐다. 이런게 수신료의 가치지. 현실의 현장을 보여준 수작이다.
@alohamaui6288
@alohamaui6288 3 жыл бұрын
수신료, 님처럼 가치 있게 본 사람만 냈으면 좋겠어요.
@guerlain-zg4zb
@guerlain-zg4zb 3 жыл бұрын
이건 양질의 다큐가 아니라, 표절방송이다. 궤백수가 할줄 아는건 표절말고 할줄아는게 없음.
@user-jg5si5qt7p
@user-jg5si5qt7p 2 жыл бұрын
지랄하네 은근슬쩍 정치 편향됬는데 개돼지들 다큐 유익하고 좋단다 ㅉㅉ
@user-zs9cp4ho3n
@user-zs9cp4ho3n 2 жыл бұрын
@@guerlain-zg4zb 어디가 표절이라는 건데요?
@user-zs9cp4ho3n
@user-zs9cp4ho3n 2 жыл бұрын
@@user-jg5si5qt7p 정치편향일 수도 있는데 어디가 어떻게 정치편향인데요?
@kwankim9179
@kwankim9179 3 жыл бұрын
연고지 없는 지방에 가보세요.. 텃세가 아니라 조폭집단이 따로 없어요.. 이장이 시키는 데로 안하면 왕따를 당하는 수준이 아니라 살해당할 수준입니다.
@aaaa-wf7hh
@aaaa-wf7hh 2 жыл бұрын
이장이 있을 정도면 깡시골인데.. 서울사람 입장에서는 서울아니면 다 깡시골인가..
@jin-seonpark4209
@jin-seonpark4209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상관 안해요
@user-ze9th1xy4r
@user-ze9th1xy4r 2 жыл бұрын
귀농인 이신가보죠?
@2O20
@2O20 2 жыл бұрын
정글에 사시는 수준인데 그정도면 인적 거의 없는데 아님?
@coco-fm7iy
@coco-fm7iy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 지방에 왜가셨어요?
@harusekim8300
@harusekim8300 2 жыл бұрын
사람 인명을 무시하는 안전사고가 이렇게 벌어지는데 인구 감소를 걱정하다니… 인구가 더 줄어봐야 사람 귀한것 알죠
@Underthepurple458
@Underthepurple458 2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살고 아파트를 가지고 있지만 수도 이전을 위한 헌법 개정이라면 기쁘게 찬성을 찍겠다. 진짜 여기서 말하는 그대로 이대로 가다간 수도권과 지방은 공멸한다.
@ur1541
@ur1541 3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 이주해오면 텃새질이나 하지 말지 정 떨어져서 왔다가도 욕하고 가지 가면 다신 안와,
@futureforeveryone4687
@futureforeveryone4687 3 жыл бұрын
역사상 최악의 헌법 판결 중 하나가 "서울은 한국의 영원한 수도이다"라는 판결. 서울 기득권 지키기 위해서 '관습헌법'이라는 어이 없는 개념까지 주장함. 그 당시 헌법재판관들 양심의 가책을 좀 느끼고 지금이라도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시오!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도대체가 즈그들이 뭘 잘났는지 서울이 거의 무슨 고려 개경, 북조선 평양처럼 최고존엄의 지역이 되어버리고, 그리고 적국 바로 밑에 인구 2천만이 넘게 사는게 이게 좋은건지 모르겠음
@user-sv7dg5ec3u
@user-sv7dg5ec3u 3 жыл бұрын
? 당연한건데 ㅋㅋㅋㅋ
@user-oq8lm2to9e
@user-oq8lm2to9e 3 жыл бұрын
헌재판관들이 엉터리 탄핵하는 ㄱㅅㄲ들이니..
@705aero7
@705aero7 2 жыл бұрын
근데 소멸되어 가는 지방 도시 아파트 가격은 왜 이따위로 쳐올라 가고 있는건가?
@NoRi_0627
@NoRi_0627 Жыл бұрын
무한경쟁, 빠른발전, 양극화, 이기주의, 정서적빈곤 여러 키워드가 떠오르네요 인구학 교수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엔 결국 저출산과 더불어 인구가 이동해 한국은 많은 사람들이 떠나있을것 같네요
@user-uy2kz2lw1m
@user-uy2kz2lw1m 3 жыл бұрын
얼마전 귀농을 하려고 부모님 두분이 양평에 땅을 샀습니다 이장이란 작자가 태클걸어서 다시 팔고 나오려고 하고 있습니다
@user-nj2xk1zs2m
@user-nj2xk1zs2m 3 жыл бұрын
양평 정도면 거의 도시에 가까운거 아닌가요
@ysg6992
@ysg6992 3 жыл бұрын
저희 시골에도 일자리 없어서 옛날부터 도시로 상경 하였습니다 기업들이 해외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기업 하기 좋은 나라 되게 해주세요
@user-lz5lp1mq8w
@user-lz5lp1mq8w Жыл бұрын
결국 재화의 집중이 문제이기도 한게 요즘 지방에서 서울 진입하는것 자체가 기존 서울에 있으신 분들과 소득분위가 차이가 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원래 보유자산 차이가 크다보니 점점 힘들어지는거 같아요ㅜ
@seoryeongim2535
@seoryeongim2535 2 жыл бұрын
세계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내놓은 데이터에 따라, 서울 인천 경기도가 태풍 홍수등에 우기일때 침수가 잦아질테니, 지방으로 옮겨놓아도 좋을 듯.
@live_strong
@live_strong 3 жыл бұрын
기득권들이 국가 정책을 세우고 운영하니 서민들의 삶엔 관심이 없음. 지방도시가 사라지던 말던. 지방도시가 소멸될수록 수도권 집값은 더욱 급등할테니까. 교육부터 뜯어 고쳐야 한다. 첫단추부터 잘못 끼워졌음. 하지만 지금의 양대 정당 마인드로는 대한민국을 대 개혁하진 못할 것. 고로 답이 없다. 알아챈 사람들은 부동산,코인,주식에 영혼까지 갈아 넣고 있다. 한번도 가보지 않은 길. 그 끝에 생존자는 결국 부자들과 노인들 뿐일 것이다. ioi 다음 세대가 문제네..ㅠ
@user-nv5ko4gl7h
@user-nv5ko4gl7h 3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의 지름길~~가진자 들의 욕심이 나중엔 저희들의 싸움으로...없으면 포기하고 즐겨라...말로만 균형발전!
@bodybalance153
@bodybalance153 2 жыл бұрын
현재의 문제이죠 잘 보고갑니다
@user-is6bn4dt3q
@user-is6bn4dt3q 2 жыл бұрын
너무 속상하네요..
@user-xw7vd9si1g
@user-xw7vd9si1g 3 жыл бұрын
왜 기업이 지방(예-구미)으로 안 갈까? 인재가 수도권에 몰려 있어서? 물론 맞다 근데 한 부분이다... 기업은 결국 원가 축소 매출 극대화가 지상 최대 목표다... 즉 수도권은 과밀도이니 일할 인구는 넘쳐난다 공급이 과잉인데ㅋ 임금을 올릴 필요가 없어 원가가 줄어든다(법으로 올리죠) 젊은이들? 임금이 오르지 않으니... 집도 출산도 낮아진다... 이왕 만든 혁신도시 살리고 균형발전 하려면... 진짜 공산당 식으로... 답은 어떻게든 기업을 지방으로 보내야 한다... 공무원들 보내봐야 한계이고... 각 혁신도시 하나하나에 대기업 하나하나씩 박아 넣고 거점 국립대를 해당 기업 특화 인재 양성 기관으로 지정해 주고 (일자리 만든다고 100조 쏟아부은 거는 아깝지만) 해당 기업에서 매년 일정 부분 정기 채용 못 박고... 하면 어느정도 해소되지 않을까 이 외 출산/거주/인프라 부족 등은 하나하나 정책으로 메워주고~ 라는 완전 개소리 함 해본다ㅋ 택도 읍따ㅋ 서울 강남에 집과 땅 가지고 계신 고메하신 정치인 분들 많은 나라에서... 진짜 극단적인 방법 알려줘? 정부가 맘 먹고 대기업에 세무조사 때려... 대기업 수장들 법정에 세우고... 몰래 쇼부쳐 구미에 공장 세울래 감방갈래ㅎ 인구 분산할 쏟아부을 세금 걷어 들이는 대신 법인세/부지 자금 그외 규제 풀어줘봐봐 (기업이 계산기 뚜드려서 확실히 이익이겠다 라는 인식 심어주고) 글고 물류와 수출 유통 비용까지 세세히 인프라 신설 및 정책 세우면 안가겠냐... 당장에 이재용 부회장 석방에 지방에 반도체 공장 하나 세우는 걸로 쇼부쳐도 되겠고만ㅋ 그나저나 국영방송 KBS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을 TV로 안 보고 유튜브에서 보는 것으로도 라이프 스타일과 인프라가 이동하고 있다는 증거하닌가... 시대가 변했으니 정책도 화끈하고 극단적 이어야 하는 거 아닌가?
@user-hu7gr4gu7s
@user-hu7gr4gu7s 2 жыл бұрын
못배운사람이 쓴 글 답네요
@user-er2sj7dr7o
@user-er2sj7dr7o 3 жыл бұрын
노무현이 그렇게 분산시킬려고 햇건만
@user-qj7qq8wh9j
@user-qj7qq8wh9j 2 жыл бұрын
나이가 60이 넘었는데 나라의 미래를 생각하니 왜 이리 가슴이 답답하지 ???
@Haaazzzz
@Haaazzzz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그나마 1명은 낳는데 한국은 0.5명이니 정말 답없지.. 애 낳으면 그 애는 무슨 죄야.. 앞으로 삶이 불보듯 뻔함
@singleorigin639
@singleorigin639 3 жыл бұрын
리틀 포레스트 = 현실판 남원에 내려가서 사기당한 사람들 있던데... 사기꾼들 처벌도 안받고
@21lcysteine83
@21lcysteine83 3 жыл бұрын
좋은 다큐 잘 보았습니다
@user-vc9pf8gu4g
@user-vc9pf8gu4g 2 жыл бұрын
재택 근무를 강력하게 밀면 되지않을까 정부 차원에서. 서울에 월 60 내도 거의 고시원 수준에서 살아야되니 재택 하게되면 그냥 고향 내려가서 일하고나 해도 되니깐
@user-kv3qp8qk1d
@user-kv3qp8qk1d 2 жыл бұрын
어디 사시는데 월60내고 고시원 수준일까?
@user-vc9pf8gu4g
@user-vc9pf8gu4g 2 жыл бұрын
전 미국 살고 제 친구들이 서울에서 일하는데 회사가 삼성동 이런곳이라 그런지 60내도 고시원 수준이라 하네요
@user-kv3qp8qk1d
@user-kv3qp8qk1d 2 жыл бұрын
@@user-vc9pf8gu4g 60에 고시원 같은 곳은 없어요 고시원이 어떤 곳이진 알고 말씀하시는지요? 있다면 무보증이겠죠 고시원이나 무보증이나 입주 조건은 같으니 60내도 고시원이란 말은 의미가 없네요
@hanspark1661
@hanspark1661 2 жыл бұрын
일자리도 일자리지만, 서울에 문화 같은게 다 몰려있음..단적으로 네이버에 뮤지컬 쳐보세요.. 서울에 현재 공연중인거 51개인데 반해, 대구 0개, 부산 1개, 대전, 광주는 예정되어 있는 공연도 없어요..
@user-kv3qp8qk1d
@user-kv3qp8qk1d 2 жыл бұрын
@@hanspark1661 나라는 좁은데 교통은 발달해 서울과 경기권으로 몰리는 건 어쩔수 없어요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it takes two to tango 💃🏻🕺🏻
00:1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