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렉팅한 작품만 150점! 아트 콜렉터 이소영 자기님!

  Рет қаралды 104,629

유 퀴즈 온 더 튜브

유 퀴즈 온 더 튜브

2 жыл бұрын

티빙 바로가기 : dooo.us/CKXXlj
#유퀴즈 #유재석 #조세호 #티빙에서스트리밍
유퀴즈온더블럭 YOU QUIZ ON THE BLOCK EP.124
#나는ㅇㅇ입니다
매주 (수) 저녁 8시 40분 tvN 방송

Пікірлер: 44
@Artmessenger
@Artmessenger 2 жыл бұрын
앗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추억이었습니다!
@kyungtackko8963
@kyungtackko8963 2 жыл бұрын
그럼 수입의 1%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하다는거네.... 개부럽다
@user-oo8yv4kb8b
@user-oo8yv4kb8b 2 жыл бұрын
흐음...수입이 월천이어도 1%면 10만원인데..
@2at21
@2at21 2 жыл бұрын
아마 집이 엄청 잘사실듯.생활비는 부모님? 부자가 돈쓰고 예술가후원하면 좋죠!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2 жыл бұрын
풀버전 존버합니다!! 너무재밌네요!!!!
@2gb285
@2gb285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이해를 못하고 비판하는 것도 예술 활동 중 일부인것 같아요
@user-ik8fq4zk3n
@user-ik8fq4zk3n Жыл бұрын
예술은 과한 의미 부여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가장 유명하고 위대했던 축구 선수가 몸이 더 늙기 전에 생애 마지막 슈팅을 공에 물감을 바르고 벽으로 차서 남기려고 한다고 했을 때 벽에 남겨진 얼룩들은 그 선수를 알고 배경 스토리를 안다면 감동적이게 보일 것이에요 근데 아무런 배경지식 없이 ”할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찬 공“으로만 알고 있는 사람들은 이딴 게 예술이야? 왜 여기에 의미 부여를 하고 감동하는 거야? 하며 감동을 느끼는 사람들을 비난하겠죠 이 사람들은 감동을 느끼는 사람들이 과한 의미 부여를 한다고 생각할 것이에요. 그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은 모르고 말이죠. 저는 예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에게 예술에 대해 깊게 고민해 보고 작품을 해석해 본 적이 있는지 묻고 싶어요. 지혜가 부족한 분야에 대해서 함부로 말하는 건 보기 안 좋아요
@user-ue1fh7et1n
@user-ue1fh7et1n 7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zzxzxx1584
@zzxzxx1584 2 жыл бұрын
성격이 엄청 사랑스러우시네여 ㅎㅎ 멋져요!!
@oow5811
@oow5811 2 жыл бұрын
이야기를 듣고 보니 너무 재밌네요
@offmyface0
@offmyface0 2 жыл бұрын
뱅크시 작품에 이야기가 더해지니까 더 의미있는거같아요
@user-nu2fy2oh7j
@user-nu2fy2oh7j 2 жыл бұрын
재밋다 ,,!
@sallytheshine
@sallytheshine 2 жыл бұрын
너를 편리하게 하는 모든 기술을 니가 이해할수 없는 것처럼 니가 보호받는 모든 법률을 알필요 없는 것처럼 너의 생명을 지키는 지키는 의학의 모든 과정을 모르는 것처럼 니가 이해하지 못하는 그 어떤 부분도 예술로 확장되어 가는 거지 뭐 세상 모든 일과 열정에 효용을 증명해야 하는거냐 불편해 하지 마라
@haon1244
@haon1244 2 жыл бұрын
여기 왜 이렇게 열등감에 찬 사람들이 많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부러우면 부럽다고 해요...뭔 관상에 현대미술에 여기서 토로를 해...;;;
@saehaekim
@saehaekim 2 жыл бұрын
아트메신저 이소영작가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어려운 현대미술은 쉽게 이야기해줘서 고마워요. 멋진 할머니 작가님들 많이 소개해줘서 좋아요.
@n.b6804
@n.b6804 Жыл бұрын
앗 빅피쉬 원장님이시네요!
@goatandmonkey
@goatandmonkey 2 жыл бұрын
전 인터넷에 현대미술 관련 글 올라올때마다 느끼는게. 맨날 그들만의 리그. 금수저. 돈놀이라며 엘리트, 부자들이 선민의식에 대중들을 이해시킬 생각은 안하고 배척하는 요즘 현대미술 참 별로죠? 하는 논조의 글들이 올라올때마다 과연 아트씬과 작가, 미술관계자들이 먼저 벽을 쳤는지. 네티즌들이 먼저 가상의 벽을 치고 멀리서 조롱하는건지 헷갈릴때가 많습니다. 맨날 대가의 추상화 일부 크랍해서 저화질로 꼬마아이 그림 옆에 편집해서 올리고. 앞뒤 사정 다 짜르고 점 하나 찍으면 수백억 하는식으로 일침인냥. 공감된 조롱을 바라는냥 올라오는 유행을 볼때마다. 마치 왕따 가해자들이 우리가 쟤를 따돌렸다고? 쟤가 우리 왕따하는거임이라고 말하는거 같아요. 모든 사람이 각자의 가치관과 무게의 지점이 달라요. 많은 돈을 술에 쓰는 사람도. 최신 기계에 쓰는 사람도 있고. 그림을 살 수 도 있죠. 자신의 관심 분야와 취향만 존중받길 원하는 사람이 되지 않아야겠다고 다짐합니다.
@juyi3490
@juyi3490 Жыл бұрын
이분 댓글은 너무 감동이네요 작업을 꿈꾸는 사람으로서 ...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9 ай бұрын
그들만의 리그라는 건 누가 뭐래도 사실이지. 미술계는 폐쇄적인 시장이고 이를 이끄는 건 소수니 말이다. 멍청한 걸 증명이라도 하듯 반박할 건 아니지? 먼저 벽 치지 말고 미술시장이 어떻게 돌아가고 어떤 사건사고가 숱하게 일어나는지 찾아봐라.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고서야 대중이 외면하는 작품이 미술관에 전시돼서 권위를 갖고 엄청난 가격을 형성하며 교과서에 실리지는 않지. 예술을 향유하는 사람들은 작품세계와 담겨진 뜻이 중요하다 말하지만 심지어 그 교과서에서도 그에 대한 설명은 없으니 대중이 현대미술을 이해하지 못하는 게 당연한 거고 지극히 자연적인 현상인 거다. 현대미술을 비난하며 금수저 운운하는 글은 찾아보지 못했다만 즐기는 스포츠나 예술적 취향 등으로 사회적 계층이 나뉘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돈놀이? 이것도 사실이지. 세계 갤러리를 줄 지으면 한두 손가락 안에 꼽히는 가고시안 갤러리도 가장 상업적인 갤러리로 평가 받으며 경매를 통해 노골적으로 작품가 띄우기를 하고 있다. 현대미술은 예술적 가치보다 절세 및 탈세, 투자 수단으로의 가치가 더 높다고 본다. 주요 선진국은 미술품 물납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부동산이나 주식처럼 소유주를 등록해야 하는 것도 아니니 증여세 및 범죄수익 탈세에도 용이하다. 심지어 고액 미술품은 담보대출까지 된다. 현대미술을 안지 얼마 안 됐지만 내가 너보단 현대미술을 더 잘 이해할 거라 확신한다. 생각 좀 하고 말하길 바란다.
@rynlim4773
@rynlim4773 2 жыл бұрын
For the Love of God는 데미안 허스트가 제작한 다이아몬드 해골의 작품명입니다. 디지털프린트를 사놓고 '판화'를 샀다고 얘기하는거가 좀 어이없네요. (당연히 시간이 지나면서 가격이 안오르죠) 원화를 복제해서 만들면 그건 판화가 아니라 그저 프린트입니다. 유퀴즈 제작진도, 이소영 콜렉터님도 용어에 대해 리서치를 다시 한번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런 영상들 때문에 판화는 "복제품"이며 저렴한 시장의 카테고리로 오해하기 딱 좋게 생겼습니다. 판화에는 원화가 존재하지 않으며 복제가 아닌 복수 미술입니다.
@Artmessenger
@Artmessenger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반갑습니다~ 여기에도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탈잉 강의에도 댓글 달아주셔서 잘 보았습니다 ^^ 단순히 이 영상만 보면 어이가 없으실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이 영상은 1시간정도를 녹화했으나 10분정도 나오기에 앞 뒤 맥락이 생략됫다는 점도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판화 시장이나 판화에 대한 편견이나 오해가 있는 사람이 아님을 밝힙니다. ^^ 제작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해당 영상은 가치가 오르지 않은 예로 '데미안 허스트'의 에디션을 (선생님이 쓰신 단어로 하면 디지털프린트)로 소개했고 더불어 '쿠사마야요이'의 오리지널 판화의 경우 가치가 높은 예라 설명되어졌는데요.(그래서 오랜 기간 소장후 팔때 가격이 올랐고요) 사실 복제물ㆍ복제판화ㆍ복제인쇄물이라는 단어를 쓰기가 다소 애매모호하여 축약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오해를 빚은 듯 합니다. 방송 분량도 있고 편집하는 과정에 분량이 줄어들고 줄어들어 뭉뚱그려 판화로 소개된 점 저도 그 누구보다 아쉽게 생각합니다. (더불어 자막도 제말과 다른 복제라는 단어가 쓰여 기분이 상하셨지요? ^^) 오히려 저 역시 국내와 해외 작가들의 모노타이프, 목판화 등을 행복하게 소장하고 있고 판화가 복수예술이고 모든 에디션이 그 자체만으로 원화의 가치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판화는 판 자체를 만드는 것이 원본이고 복수 예술이라 하나의 훌륭한 예술 장르지요. 제 친구 작가들 중에서도 판화예술을 하는 작가가 참 많습니다. 물론 점점 공방이 사라져가는 현실이 아쉽기도하고, 또 반면 한국에서의 상업화랑들은 디지털 프린팅도 그저 판화라고 둥그렇게 뭉뚱그려 설명하는 점 역시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영어로 단어를 나누지않고 복제물이라 부르지않고 '판화'라고 하니까요. 물론 복제 인쇄물이라고 하면서 파는 곳도 없지요. *1997년 규정에는 복제판화라고 이상하게 나와있기도 하고요. 또 요즘 작가들의 경우 오리지널 판화보다는 자신의 작품 즉 원화를 복제해서 에디션화 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도 있고, 반면 어떤 작가가 좋으면 저 역시 그런 디지털 프린팅도 기념으로 사기도 합니다. (해당 작가의 팬심으로요^^ ) 반면 작가들에게 물어보면 오리지널 판화를 하기까지 본인의 원화도 잘 팔리지 않는데 그렇게까지 하는게 내가 감당이 되는까? 하는 불안감과 걱정ㆍ 또 지클리 프린팅은 갯수가 많지 않아도 인쇄를 해주니 그 방식으로 에디션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습니다. 당연히 예술성과 시장성은 별개라 인기가 많은 화가의 경우 사후판화마저도 오르는 것이 미술시장이기도 하지요. 다만 선생님이 어이가 없다고 하신 부분 저 역시 매우 이해가 가능하기에 용기를 내어 긴 댓글을 남깁니다~ 그리고 지금 이 댓글을 앞으로 많은 분들이 보시리라 생각이 듭니다. 디지털 프린팅 기법으로 파는 인쇄물(한국에서는 복제판화라고 하는 모순적인 이름^^)이 당연히 오리지널 판화에 비해 가치가 없다는 것을 저 역시 잘 알기에 쿠사마 야요이 오리지널 판화(가치가 있음) 와 데미안 허스트의 에디션(가치가 없음)을 비교한 과정에서 디지털 프린팅이 판화라는 단어로 함께 소개되고 일부 편집되어 오해를 낳은점 그 밖에 그 과정이 더 자세히 영상에 소개되지 못한 점은 저 역시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다만 영상에서는 첫 컬렉팅을 무엇으로 했냐는 질문에서 데미안 허스트 에디션이 나온 것이고, 쿠사마 야요이의 판화는 판화 중 상당히 좋은 오리지널 판화였으니 가치가 오른 것으로 설명하다가 데미안 허스트의 에디션에 제한해 이야기가 된 것입니다. (두 점을 비슷한 시기에 컬렉팅을 했어요 ^^ ) 오해가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편집본은 촬영자가 매번 늘 확인할 수 없는 것이 영상이나 방송계의 상황인데요. 어떤 곳은 보여주고, 어떤곳은 보여주지 않습니다 ^^ 자막의 경우도 마찬가지고요 ~그래도 최대한 혹시나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생기면 안되니 늘 편집과정에서도 저도 꼭 보여주라고 최대한 이야기하고 있어요 ^^ 선생님께서 걱정하시는 부분들 저도 늘 더욱 조심하면서 제 유튜브나 강의에서 판화 작품의 예술성에 대한 설명이나 소개를 꾸준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user-kh5us8bk4c
@user-kh5us8bk4c 2 жыл бұрын
비난 할 사람은 하는거고 나는 사겠다 이 말이 왜 인상깊을까
@user-nt3tt4xy8g
@user-nt3tt4xy8g 2 жыл бұрын
우와..
@user-dj5tk3yp9i
@user-dj5tk3yp9i Жыл бұрын
현대예술은 점점 단순화되고 작품자체보다 그것이 가진 의미와 이야기로 이루어지는 듯. 근데 또 웃긴건 요즘 아트페어가보면 다시 복잡한 그림들이 각광을 받기도 하고.... 예술 어려워
@c6566
@c6566 2 жыл бұрын
오 꿀잼...
@user-vp9ri9os7k
@user-vp9ri9os7k 2 жыл бұрын
예술은사고파는것이아니다.그렇게따지면이세상모든것이예술이다.
@user-rp2kv8uj5l
@user-rp2kv8uj5l 2 жыл бұрын
그들만의 리그
@n_en.0
@n_en.0 2 жыл бұрын
왜 테이프 붙인 바나나 했는지 알겠다. 순수하게 그림이 좋아서도 아니고 그래서 보관도 철저히 하지않고, 사람들 옹기종기 있는 건 뭔 동숲에서 너굴상점에 재테크하러 온 유저들.. 본인들이 가치를 메길 만큼의 수준과 안목이 있으면 작품을 내놨겠지. 시건방지고 예술을 암호화폐처럼 거품으로 만들어버려서 안 좋음
@minginulee9925
@minginulee9925 Жыл бұрын
이분이 art-thegallery에서 근무하시는분이 맞나요?
@user-to8nw7bp1v
@user-to8nw7bp1v Жыл бұрын
수입의 99퍼를 예술품 수집에 사용하다니요.....걸어놓은 그림도 그렇고...내 취향은 전혀 어니지만...컬렉터이니..뭐..집에 돈이 있으니 뭘 못하겠습니까.. 근데 컬렉팅한 그림도 그렇고 말하는걸 듣고 있으면 그냥 자본의 노예같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습니다. 자본을 거세하고 남아 있는 내 안목은 무엇인가요?
@user-tj9ld4bt7u
@user-tj9ld4bt7u Жыл бұрын
바나나를 1억 4천에 샀다는게 뭔 소리임? 저작권을 샀다는거?
@huffhull9803
@huffhull9803 2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때문에 방향을 틀었다곤 하지만 유퀴즈는 맛이 갔다.
@Lily0bigday
@Lily0bigday 2 жыл бұрын
창가에, 해가 저리 드는 곳에 저렇게 작품을 걸어둔다고요???;;; ㅠㅡㅠ
@Artmessenger
@Artmessenger 2 жыл бұрын
아이쿠 저희집은 전부 유리에 차단 필름 시공 다하고 우드 블라인드도 했슈♡걱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m1tw8db1e
@user-mm1tw8db1e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작품은 투자상품으로써의 가치가 없음 -,.,- 갤러리에서 팔아버린 작품 웃돈주고 다시 매입해주지 않기때문에;;;
@user-jo3rb6lg4c
@user-jo3rb6lg4c 2 жыл бұрын
방송이미지 너무 믿지 말아요. ㅋㅋㅋ
@user-wt8th1xi7p
@user-wt8th1xi7p 2 жыл бұрын
할수있다면 좋아요 세번 누르고 싶다
@superiort93
@superiort93 2 жыл бұрын
금수저
@user-pg9sv8nf8e
@user-pg9sv8nf8e 2 жыл бұрын
로드토크쇼가 아니라 저런분를 섭외해서 하는 순간부터 유퀴즈 관심 떨어져서 안보는 중. 규제가 최대한 풀렸으면 좋겠네요.
@2gb285
@2gb285 2 жыл бұрын
전 이 방식도 다양한 분야에서 횔발하신 분들 이야기를 들을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ch0n_n0m
@ch0n_n0m Жыл бұрын
광고 존나 보내네
@abcdefghj12320
@abcdefghj12320 Жыл бұрын
판화투자는 안하시는게
@Rosa.CAT.
@Rosa.CAT. Жыл бұрын
예술작품 말도안되는 거품가격에 내가 인정하는 만큼의 금액을 지불하고 사는거다… 그냥 돈놀이라고 정확하게 집어주시네ㅋㅋ 예술계를 비판하는 사람을 잡아다가 이건 예술이야 라면서 돈쭐내서 사회풍자하는 예술가로 만들어놓고 ㅋㅋㅋ 바나나 하나붙인걸 1억ㅋㅋ 예술을 이제 이해못하는게 아니라 그냥 인정을 못하겟다 예술 이란것에 내가 이해하는 예술이란 옛날 돈은 쌓여가는데 쌓인돈을 놔둘데는 마땅하지않고 여기저기 써도 넘쳐나서 집안꾸미기에 돈쓰기좋은 그림 이게 비싸다면 돈대신 벽에 걸어놓으면 되니까 사서 수십억짜리 벽에 걸어놓고 하던거 아닐까싶음 거기에 예술을안다=귀족에 돈이많다 공식이니까 재력과시용으로도 좋고 예술모르는사람은 천민에 못배운사람 이런인식이니 몰라도 아는척하며 품위유지도하고ㅋㅋ 그래서 내린결론은 돈없으면 관심가질이유가없는종목 명품은 예술품의 하위호환정도 시장바닥 난닝구도 발망 로고박으면 최소 몇십만원일테니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
vfx editing #shorts #funny
0:10
Sj Animation 2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DO YOU HAVE FRIENDS LIKE THIS?
0:17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Её Страх Вполне Обоснован 😂
0:17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ОНО СУЩЕСТВУЕТ?? #shorts
0:19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