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무 97회 요약] "댐을 열면 서울은 끝납니다!" 강을 지킬 것인가, 댐을 지킬 것인가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SBS방송)

  Рет қаралды 2,107,055

달리 [SBS DALI]

달리 [SBS DALI]

8 ай бұрын

#꼬꼬무 #꼬꼬무요약 #서울대홍수
1984년 서울, 도시가 물에 잠겼다
잠겨버린 건물들과 고립된 사람들
그런데 이때, 서울의 운명을 쥐고 있는 곳은
다름 아닌 소양강댐이었다?
댐의 수문을 열 수도, 열지 않을 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
모두가 목숨을 걸고 고군분투했던 그날의 이야기
장도연, 장성규, 장현성, 세 이야기꾼이 전하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97회 - 우리가 살아남은 이유 (2023.10.12. 방송)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풀영상 다시보기
▶ 꼬꼬무 홈페이지 : programs.sbs.co.kr/thetail/main
▶ 웨이브(wavve) : www.wavve.com/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967
@user-vi3oc2ds7f
@user-vi3oc2ds7f 8 ай бұрын
이 때 진짜 난리도아니었지.. 아부지가 고무다라에 동동태워 쌩판 모르는 남의 집에 갔는데 "아이들 씻기고 밥부터맥입시다" 그집서 하루자고.. 이웃사촌이란 말이 괜히있는게 아녀..
@user-rn9td8vq3n
@user-rn9td8vq3n 7 ай бұрын
우왕..
@Latteholikkk
@Latteholikkk 7 ай бұрын
​​@@user-eb9ru1pd3s? 닌 어디가서 밥참 잘얻어 먹겠다
@user-zi6jh7do7o
@user-zi6jh7do7o 4 ай бұрын
그런데 넌요즘 왜그냐?
@user-vi3oc2ds7f
@user-vi3oc2ds7f 4 ай бұрын
@@user-zi6jh7do7o ㅂㅅ 뭐야? ㅋㅋ
@david19250
@david19250 3 ай бұрын
​@@_RED_FISH_ ㅋㅋㅋ
@user-sk5vc5ue6f
@user-sk5vc5ue6f 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도덕수업시간에 선플달기운동을 하고 있는 운산초등학교 5학년 학생입니다. 영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제가 모르던 소양강댐 이야기를 들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의 이런 재난이 있는줄 몰랐는데 꼬꼬무가 이야기를 해주니 귀에 쏙쏙들어오네요.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ash02244
@ash02244 6 ай бұрын
귀여워라❤
@user-ed9ci7xv8t
@user-ed9ci7xv8t 5 ай бұрын
으악 귀여워요♡♡
@user-nd3gh8xb3q
@user-nd3gh8xb3q 4 ай бұрын
나두 귀엽.ㅇ(?)
@roundlee
@roundlee 3 ай бұрын
어이구 귀여워라
@user-nd3gh8xb3q
@user-nd3gh8xb3q 3 ай бұрын
귀여워요? 귀욤? ㅎㅎㅎ
@0l_EH_LI
@0l_EH_LI 8 ай бұрын
소양강 댐을 계획하고,건설하고, 관리하고,재난을 극복하고.... 진짜 대한국민들 대단함~
@산들므흣자료
@산들므흣자료 Күн бұрын
👆👁
@user-gp1cq1cf9b
@user-gp1cq1cf9b 8 ай бұрын
저 당시 소양강댐 건설 시도조차 하지않았다면, 또 최고 수위 높이가 0.1m 더 낮거나 1cm가 모자르게 됐더라면 진짜 역사 자체가 바뀌고 삶의 터전 잃은 수많은 수재민들이 발생했겠지 위험을 무릅쓰면서 마지막까지 댐 지키고 발전소 또한 더이상 물 피해 안가게끔 지키셨던 모든 분들 정말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PP-nl2rs
@PP-nl2rs 8 ай бұрын
그분은 사람들이 욕만하지 전혀 고마워하지않음
@saefsef3862
@saefsef3862 8 ай бұрын
사기 1위 노ㅂI 민족 기생 민족 표절 민족 엽기 민족 소국 말살이 필요하다 !
@ryhd323
@ryhd323 8 ай бұрын
정주영 회장의 공을 높게 사야 함
@user-gp1cq1cf9b
@user-gp1cq1cf9b 8 ай бұрын
@@PP-nl2rs 그건 님과 같은 그 무리들만 그러는거고 올초 방영했던거 보고나 그런소리하는건지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8 ай бұрын
저걸 경험해서 금강산댐 방류하면 똑같이 당한다는 판단으로 평화의댐 만든건데, 그걸 좌파들은 욕하지. 그런데, 김대중이 정권잡은후, 지가 그렇게 욕하던 평화의댐 2배 높이로 증축했지. 지도 불안했기 때문이지.
@user-xw9tr4br4g
@user-xw9tr4br4g 8 ай бұрын
이 방송 참 잘봤다.소양강댐이 세계 5번째 큰 댐인것도 알았고 소양강댐 직원분들 멋져!
@kyo6558
@kyo6558 7 ай бұрын
꼬꼬무는 진짜 좋은 프로그램이다
@reppi7491
@reppi7491 7 ай бұрын
전체는 아니고 사력댐중입니다 다목적댐 중에서는 중국 샨사댐 다음으로 아시아에서는 두번째로 큰 댐이구요
@user-tm5fw8uk9k
@user-tm5fw8uk9k 6 ай бұрын
​@@reppi7491그렇군요 ~ 우리의 선배님들께서 온힘과 온마음 다해 만들어 주신 대한민국 ~ 625전쟁 후 미군을 따라다니며 초콜렛을 외치던 시대에서 빠져나와 다른 나라사람들의 부러운 눈빛을 모른 척하며 즐길 수 있었습니다 ~ 대한민국 만세 ~ 선배님들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 이 큰 감사를 어찌 다 올릴 수 있을지 ~
@user-nc4ej8ln9i
@user-nc4ej8ln9i 8 ай бұрын
정주영은 진짜 나라의 구세주였네 진짜 1세대 기업인들은 구국의 영웅들이다
@Luckygirlsfrancesvlogg
@Luckygirlsfrancesvlogg 8 ай бұрын
ㄹㅇ...나라 구함..
@user-yu9it8sg2w
@user-yu9it8sg2w 8 ай бұрын
​@@user-zj6ls1eb1n저때는 한창 우리나라의 전투력이 북한을 우세하지 못한시점으로 콘크리트 댐으로 지었다간 전시국가인 우리나라 안보에 큰 위협이되서 사력댐으로 지은겁니다 댐이 한번에 무너지면 서울은 잠기니까요^^
@user-hx9uv3tg8u
@user-hx9uv3tg8u 8 ай бұрын
@@user-zj6ls1eb1n혹시 부모가 현대에서 잘리셨어요? 왜캐 아니꼽지 ㅋㅋ
@user-yu9it8sg2w
@user-yu9it8sg2w 8 ай бұрын
@@user-zj6ls1eb1n 아니죠 어쨌던 저 사력댐이 버텨줬고 그 사력댐을 현대에서 지었는데
@ayj4858
@ayj4858 8 ай бұрын
​@@user-yu9it8sg2wㄹㅇ 논점 벗어남. 저 난리가 사력댐 때문인데.
@sky770107
@sky770107 8 ай бұрын
소양강댐 직원분들 참으로 감사합니다 ❤
@user-th6bk6uv3l
@user-th6bk6uv3l 8 ай бұрын
sns에서 한참 비가 허리까지 차도 출근하는 80년대 사람들 이라고 해서 당시 영상 같은 걸 본 거 같은데 그게 이때 홍수 난 영상이었구나........... 정말 그분들은 죽을 고비이셨네..
@johnlee.1755
@johnlee.1755 7 ай бұрын
84년 허리까지 차는곳을 버스내려서 건너다가 한명 휩쓸려 큰 개천구멍으로 사라져 포기하고 2교시중에 학교 등교했었어요.
@user-th6bk6uv3l
@user-th6bk6uv3l 7 ай бұрын
@@johnlee.1755 고생 너무 많으셨습니다..ㅠㅠ
@alexjung4617
@alexjung4617 2 ай бұрын
@@johnlee.1755 개천구멍 들어간 분은 살아계실지...ㅠㅠㅠ
@user-only1230
@user-only1230 Ай бұрын
부천에서 여의도로 그날 출근하면서 죽을고비 여러번 넘김 ...그날 츨근하니 반도 안오고 일찍 퇴근하면서 유일하게 문연 대방동 목욕탕에서 직장 언니와 회포를 품 😂
@Cccco708
@Cccco708 6 ай бұрын
너무 무서우면서 다들 한 마음으로 노력하는 모습이 너무 멋있다
@user-cq8je3nl4x
@user-cq8je3nl4x 8 ай бұрын
이당시 사람도많이 죽었어요. 그당시 남동생이 해병대헌병이였는데 동료한명과 상속장교.장교의 결혼할 여친ㆍ여친의 어린초등남동생(늦둥이외아들)포함해 5명이함께 소양강 아래 강천주변에서 휴가갔다가 갑자기열린댐 물류에 하천이불어나 맞은편 주택쪽으로 인간띠로 서로손을잡고 건너다 물살에 휩쓸려 남동생 만살고. 4명은익사한 가슴아픈 사고생각이 나네요 군병원에 누워있던남동생. 병문안을 가서 사고경위를 들었죠.남동생은 키도크고 수영을 엄청잘했어요. 강을 건너는데 물이갑자기 불어나면서 손을모두놓쳐서 휩쓸려떠내려가는순간 물위로는 힘이부족해 물속깊이 들어가야만 헤엄을칠수있을거같아 잠수했는데 힘이부족해 터내려가면서 이제 죽는구나 라는순간 커다란나무에 몸이걸려서 잡고 버텼는데 강가길쪽에 사람들이 줄을던져줘서 잡고 헤엄쳐나와 보니 혼자만살았더라는., 그남동생 결국은 제대하고 술로 살다가 일찍세상을 떠나갔어요.너무보고싶고 가슴아파요.
@wariji2094
@wariji2094 8 ай бұрын
우리들의 이런 평화로운 일상은 뒤에서 묵묵히 버텨주시는 분들 덕분에 영위되는 거네요 인터뷰 하시는 분들 아버지 세대라 더 짠했어요ㅠㅠ
@Alex-lh2ue
@Alex-lh2ue 8 ай бұрын
위기때 포기하지 않는 우리나라 국민들 너무 멋있네요 ㅎㅎ
@user-bu7ht4uc9f
@user-bu7ht4uc9f 6 ай бұрын
정주영회장님의 능력과 열정이 느껴집니다. 이분은 나라의 영웅이십니다. 존경합니다 ❤
@user-tm5fw8uk9k
@user-tm5fw8uk9k 6 ай бұрын
1984년 아직 어린 저는 정말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 그러나 나라 분위기와 부모님을 뵈면서 나라가 좋아진다는 느낌이었어요 ~ 저도 눈물 흘리며 이 영상 봅니다 ~
@borahkang7679
@borahkang7679 16 күн бұрын
네 저도 당시 여섯살이었는데 뉴스들이 너무너무 무서웠던 기억만 있네요. 부모님이 보시면 귀막고 눈감고 있었어요.
@sts9900
@sts9900 8 ай бұрын
물의 무서움과 소양강댐의 가치를 느끼게 해주는 좋은프로그램이네요 이런프로그램 더 많이 만들어 주세요~^^
@user-fy2ig3ks4d
@user-fy2ig3ks4d 8 ай бұрын
참고로 1990년에 소양강댐이 197미터 까지 올라 간적이 있었습니다. 위험 수위까지 근접한건 1984년 1990년 두번밖에 없었죠. 현재는 보조 여수로가 있어 최대 만톤까지 방류가 가능합니다. 충주댐도 143미터까지 간 경우는 1990년 2006년 이며 현재는 보조 여수로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sanmicheal6754
@sanmicheal6754 7 ай бұрын
어찌 이리도 유식하실까ㅎㅎ 부모님께서 흐믓해 하시겠어요☺️😚
@peacemaker50
@peacemaker50 5 ай бұрын
@@sanmicheal6754마흔두살이십니다
@user-jj9es8hj6t
@user-jj9es8hj6t 3 ай бұрын
ㅎㅎ 수방 관계자 분이시다 수방! 남들 보기엔 편해보이지만 한강 수계 7개댐 수문 동시 개방시 (소양 춘천 화천 의암 청평 충주 팔당) 인천간만까지 동시에 겹치면 한강 하류유역은 수방하기 힘듭니다 ~(영등포 마포 능곡 김포 부천 등등) 😅
@user-ih5ue4ww6h
@user-ih5ue4ww6h 2 ай бұрын
정말 똑똑하셔요😊
@zsdaxc4567
@zsdaxc4567 8 ай бұрын
올해가 소양강댐 50주년이라서 나온 방송이기도 하네요.감사합니다!
@user-fy7ti3dp8i
@user-fy7ti3dp8i 8 ай бұрын
헐 ………역시 꼬꼬무 덕분에 몰랐던 일도 알게됬어요! 꼬꼬무 화이팅 조현우 선수 화이팅!
@somuatv
@somuatv 5 ай бұрын
19:10 애초에 자존심때문에 지원제의를 거부할줄 알고 떠본거였다네요 저때 무리하게 지원해준 북한은 물자가 부족해서 그 해 농사를 망쳤다는 아름다운 후문이 있습니다.
@user-xv3ep3lj6s
@user-xv3ep3lj6s Ай бұрын
떠본건지 아닌지 어떻게 아나요?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Ай бұрын
​@@user-xv3ep3lj6s 지원 규모가 북한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으니까..
@user-np7sz2tm5z
@user-np7sz2tm5z Ай бұрын
저때 쌀의 질이 너무 안좋아서 밥은 못해먹고 떡을 만들어 먹었답니다
@user-xv3ep3lj6s
@user-xv3ep3lj6s 27 күн бұрын
@@user-rw3bk6wp4m 감당가능하니까 쌀준거아님?
@hggghdrhks
@hggghdrhks 27 күн бұрын
정치병자들 진짜 ㅋㅋㅋㅋㅋ음모론은 끝이없네
@user-jy5su2ib2r
@user-jy5su2ib2r 8 ай бұрын
저때 북에서 보내온 물자중 일부는 안보교보재로 일선 학교에 보내졌던 기억이... 옷감은 꺼끌하고 식량도 도정기술이 떨어져서 우리쌀과 다르다는걸 첨 알았던 시기...
@user-tc4ue7yt7e
@user-tc4ue7yt7e 8 ай бұрын
서울 대홍수 인간의 힘으로 이겨내서 너무 대단하지만 역시 자연재해는 인간의 힘으로 다 막아내기에는 역시나 역부족이죠 미리대비하고 관리하는게 좋죠
@dudtkddjqrpdmltls
@dudtkddjqrpdmltls 8 ай бұрын
빙하가 녹고 있으니....
@user-eg2vt5io7x
@user-eg2vt5io7x 8 ай бұрын
당장 여름만되도 강남역 걱정하기 바쁨..
@saefsef3862
@saefsef3862 8 ай бұрын
사기 1위 노ㅂI 민족 기생 민족 표절 민족 엽기 민족 소국 말살이 필요하다 !
@user-nx1pv3jp3v
@user-nx1pv3jp3v 7 ай бұрын
저때뿐아니라 80년대 후반 성내동 풍납동은 상습침수였죠. 철없이 수영장처럼 들어가서 놀기도했는데… 스티로폼 서너개엮은 뗏목으로 가재도구 꺼내시던 어른들도 생각나고
@user-lu7vi3xn3w
@user-lu7vi3xn3w 8 ай бұрын
우와...소름돋아요ㅠㅠ그때 태어나신분들 다들 고생했어요.
@user-me9hv8yj5z
@user-me9hv8yj5z 8 ай бұрын
진짜 옛날엔 저렇게 힘들면 도와주고 같이하고 했는데ㅠ 정이란게 있었는데 요즘은..ㅠㅠ 에휴..
@user-vp5bx3ug5h
@user-vp5bx3ug5h 8 ай бұрын
저때 다같이 마당하나 두고 살았었는데 나와보니 마당이 수영장이 되어있었고 길거리 나가면 초 2였던 내 옆구리까지 물이 차있어서 신나서 수영하고 놀았던 기억이~ 근데 그때 물에 화장실의 구더기도 떠나니고;;
@user-pl7yl4ft4m
@user-pl7yl4ft4m 7 ай бұрын
위기때 서로 돕고 하나로 똘똘 뭉치는건 진짜 한국인만의 고유한 특성이다 민족성에 특유의"정" 문화가 있어서 힘들땐 하나되어 정말 잘 도와준다 이 "정"문화를 터치해서 제대로 대박났던게 초코파이"정"광고 ㅋ 국뽕이 아니라 위기때 뭉쳐서 빨리빨리 위기에서 벗어나자 하는건 진짜 세계1등이다 Imf조기졸업이 가장 큰 예
@goodbyedpi
@goodbyedpi 8 ай бұрын
운 좋게 소양강댐 방류기간에 방문해 실제로 방류현장을 본적이 있는데 진짜 장관입니다
@gabofilmtv9858
@gabofilmtv9858 8 ай бұрын
그당시 성내동주민이었습니다. 국민학교도 다니기전인 5살이었는데 집은 물에 잠기고 도로는 엄마 허리높이 이상으로 물이 차서 엄마가 목마 태워서 윗층 주인집으로 대피한 기억이 납니다. 그랬던 엄마가 이제 70대 중반이네여 ㅠㅠ 엄마 사랑합니다
@user-ot4zh9oo1u
@user-ot4zh9oo1u 8 ай бұрын
군생활 하면서 항상 지나치던 소양강댐의 새로운 역사를 알게되었습니다
@j40220able
@j40220able 7 ай бұрын
이때 나의 고향이 물바다가 되었고 그로인해 고향을 버린고 다른 곳으로 강제 주하게 되었는데 어릴때 추억이 없어 진다는게 얼마나 잔인한건지 경험 안해. 본 사람은 모릅니다
@HI-tg3ji
@HI-tg3ji 19 күн бұрын
어차피나이 먹으면 거의없어지죠ㅜㅜ
@user-ht9qt7gy3q
@user-ht9qt7gy3q 8 ай бұрын
춘천에 있었습니다 소양강댐 방류 대단했습니다
@kimsujeong1284
@kimsujeong1284 8 ай бұрын
그 당시 뚝섬 근처에 살던 친구집이 아파트 1층이어서 집이 뼈대만 남기고 홍수로 사라졌었는데... 아직도 기억이 나네요.
@user-xe2me4fd9i
@user-xe2me4fd9i 7 ай бұрын
어휴.. 그날 얼마나 심장 떨렸을까....
@kbcnews9305
@kbcnews9305 8 ай бұрын
저도 신나게 물에서 놀았던 기억이... 다행히 울동네는 안잠겼었지만 모래주머니로 물 못들어 오게 막아두고 그때 난지도는 완전 잠기고 똥물인지도 모르고 신나게 놀았는데 피부병 안생긴게 신기 ㅋㅋㅋ 한강넘치지 않게 해달라고 피난가방 싸두고 기도하고 잤는데 아침에 있어나니 안넘쳤다고 유치원 가야한다고해서 다행이다 싶으면서도 가긴 또 싫었던 기억이.... 울엄마는 그때 밤 새 잠도 못자고 기도하면서 뉴스들으며 우리곁을 지키시고..... 지나고나니 추억이네. 수재의연금 엄청 걷었죠. 그리고 몇년후엔 또 북한에 대비한다고 평화의 댐건설한다고 성금도 걷었는데....
@SEXY_GIRL735
@SEXY_GIRL735 8 ай бұрын
북한도 어려웠을텐데 고맙네요 지금이라도 북한에게 물자 지원을 돌려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SEXY_GIRL735
@SEXY_GIRL735 8 ай бұрын
굥줄리가 할리 없지만요~~~~~~~~,,
@nanajam7777
@nanajam7777 8 ай бұрын
@@SEXY_GIRL735 지금까지 많이 줬는데 왜 또 줘요?
@SEXY_GIRL735
@SEXY_GIRL735 8 ай бұрын
@@nanajam7777 2찍 조용
@nanajam7777
@nanajam7777 8 ай бұрын
@@SEXY_GIRL735 논리적으로 반박 못하고 "2찍 조용"ㅋㅋㅋ
@hje2515
@hje2515 8 ай бұрын
우리 어무니가 비올때마다 자기때엔 돼지,소 들 둥둥 떠다녔다고 지금 내리는 비 별거 아니라 했는데 진짜였네 ;;
@kimbo_day
@kimbo_day 7 ай бұрын
춘양로 생기기 전 고부랑길보다는 소양강댐에서 양구 선착장까지 배를 자주 탔던 기억이 있네요.. 소양강댐에 이런 일이 있었다니.. 잘 보고 갑니다😊
@user-rb7ue9ve8w
@user-rb7ue9ve8w 8 ай бұрын
너무 아찔한 시절이였네요 항상 미래를 준비하고 예측해야한다는 교훈을 들려주는 방송 이였습니다
@user-lz7nk8zd7s
@user-lz7nk8zd7s 8 ай бұрын
나 국민학교 5학년때죠. 생생히 기억나죠. 이후로 6년뒤 90년도에도 심했었죠. 풍납동 또 잠겼고, 아산병원도 잠겼었고, 그때 정주영 회장이 열받아서 개인돈 몇십억 들여서 공사한사건, 그얘기도 다뤄주세요. 그뒤로 풍납동 제계발 잘됐었죠.
@user-lz7nk8zd7s
@user-lz7nk8zd7s 8 ай бұрын
지금, 재방송으로 제대로 보고 있어요. 제작진분들??? 6년뒤 90년도에 풍납동 비로인한 재난사건, 꼭좀 다뤄 주세요. 그땐 더 심했었거든요. 그리고 푹우가 끝나고, 정주영회장이 아산병원과 풍납동 주민들 위해서 그때당시 몇십억 들여서 공사한 사건도 세세하게 다뤄줘봐요. 그때당시 아산병원도 지하는 물론이고, 지상3층 까지 잠겨서 모터보트 타고 구명 했거든요.
@user-ew7zb9nc6o
@user-ew7zb9nc6o 8 ай бұрын
성수동 4살때인데 기억나요 물 넘친다고 한강구경갔다가 단독주택인데 옆 공장 2층으로 피난갔어요. 한강3수문에 모래주머니 쌓고 그거 구경했던거 기억남. 어릴때인데 생각나는 것도 신기함
@kristah7223
@kristah7223 8 ай бұрын
해외에서 시청중인데 눈물이나네요. 우리도 한때 너무 못살았는데 늘 노력하고 개선하고 협력해서 발전해왔으니까요. 심지어 북한도 도왔었구나!
@surva5487
@surva5487 8 ай бұрын
참고로 저때 북한은 남한이 자존심때문에 거절할줄알고 지원해줄까라고 말한거라고함...ㅋㅋ 자기네가 더잘산다고 선전하려고 "지원해줄까?" 한거라는데 우리가 받으려고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지원한거라고 합니다...ㅋㅋㅋㅋ
@yin_exig
@yin_exig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user-yp6zl1zd8b
@user-yp6zl1zd8b 8 ай бұрын
97년인가 98년에도 비 엄청 와서 한강고수부지 모두 잠겨 높이 3 미터 넘는 가로등까지 거의 잠겼음. 그때 반포대교 바로 옆 아파트 살아 복도에 나와 떠내려가는 가구, 물건들, 고수부지 보고 놀랐던 기억남. 밤중에 아파트에서 방송함 모래주머니 한강 굴다리쪽에 쌓는다고 남자분들 나와 도와달라던 기억도 남.
@user-ov9eu4is8l
@user-ov9eu4is8l 8 ай бұрын
96년일 거에요. 그때 전 철원에 군 복무 중이었는데... 막사 근처 언덕 무너지고 나무 다 쓰러지고 전봇대 쓰러져서 매인 전원 끊기고.. 식수 끊겨 빗물 받아 먹고;; 자다 말고 비상 터져서 뭔 일인가 했더니 군수창고 탄약창고 전부 물 차올라서 싹 다 옮기고 추억 돋네요.
@lododoss
@lododoss 4 ай бұрын
저도 기억납니다 당시 한강 고수부지 입구가 수문역할을 했었죠.. 지금은 한강을 안가본지 오래되서 아직도 입구 천장에 철문이 달려있는지는 모르겠네요 ㅎㅎ..
@hwan2016
@hwan2016 21 күн бұрын
@@user-ov9eu4is8l서울 기준으론 98년일거에요. 서울도 96년 비 많이오긴했는데 서울은 1998년이 훨 넘사급으로 왔어요. 8월 한달 동안 총 1,200mm인가 왔다고 봤네요.
@lIlIIlIl2
@lIlIIlIl2 8 ай бұрын
그 당시 현장에 계셨던 분들은 어떤 심정이셨을지 ㅠㅠ 감사합니다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8 ай бұрын
소양강댐 현대그룹 정주영회장이 만들었구나
@user-eg2cu1nr6f
@user-eg2cu1nr6f 8 ай бұрын
박정희대통령이 기획해서 현대건설이74년도에준공했읍니다
@lkm3668
@lkm3668 8 ай бұрын
영화로 만들어도 흥미진진할듯합니다..!
@cute._yueun
@cute._yueun 8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freestyle0803
@freestyle0803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그럼 벌써 영화 한편 다봤다 황정민, 하정우, 김혜수 나와서 신파 한판찍고 마지막엔 반일 국뽕 내용 섞어서 마무리하겠지 한명 죽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ys-zz3pk
@pys-zz3pk 8 ай бұрын
???:아버지 ㅜㅜ 죄송합니다
@Angkimozzi18
@Angkimozzi18 8 ай бұрын
@@freestyle080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영화다봤네진짜
@Uizhgccfbbnnn
@Uizhgccfbbnnn 8 ай бұрын
​@@freestyle0803글쎄요 니가 처만들어 라
@user-bw1ip6wm3d
@user-bw1ip6wm3d 6 ай бұрын
한국 국민 대단해요 멋져요❤
@c.j-win8039
@c.j-win8039 2 ай бұрын
보이지 않는 곳 에서 힘써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parkminho2890
@parkminho2890 29 күн бұрын
나 5살때 였는데 여의도 한강에 물이 넘쳐서 사람들이 스티로폼하고 고무다라이 타고 다녔음.
@user-hf8lx5fd5p
@user-hf8lx5fd5p 8 ай бұрын
이래서....내가 돌잔치부터 애기때 사진이 없음....ㅠㅠ😢
@nahyeon1482
@nahyeon1482 8 ай бұрын
단순히 댐이라는 구조물이 무너지는 문제가 아니었음 댐이 무너지면 춘천시 전체가 산사태+수몰 루트였어가지고.. 춘천시 전체 목숨이 걸린 문제라 무조건 안 열수는 없는 상황
@user-ss5jr5lx2b
@user-ss5jr5lx2b 5 ай бұрын
이해할 수 없네! 30억톤이면 춘천시만 문제가 아니라, 서울을 포함한 한강 전체가 잠기는데?ㅋㅋㅋ
@nahyeon1482
@nahyeon1482 5 ай бұрын
@@user-ss5jr5lx2b 한강 일대라면 서울의 일부이고 수량이 내려가는 동안 대피시간은 벌 수 있지요. 그런데 댐이 붕괴되면 춘천 시민 전체가 삽시간에 황천길 가는거구요. 당연히 서울도 타격입지만 30억톤이 흘러가면서 당연히 지류들로 빠지면서 여파가 줄기 때문에 춘천~서울 사이의 다른 지역들이 순차적으로 타격입겠죠 말씀하신거랑 반대로 서울만의 문제가 아닌 상황이었음
@range5582
@range5582 4 ай бұрын
비가 전국에 내렸고 한강이 좀 위해도 댐 터지는 것보다는 나았다고 봄. 댐 터지면 도시가 아예 죽음;;
@wh1910
@wh1910 3 ай бұрын
댐터지는것보다 수문개방이낫지;; 도대체어떻게생각해야 댐터지는게 낫다고생각을하지
@wh1910
@wh1910 3 ай бұрын
수문개방은 많은양이지만 비교적 천천히 개방이고 댐터지면 한방인데?
@user-xk9wi6en8x
@user-xk9wi6en8x 8 ай бұрын
초4때라....뉴스로만 봐서리 다만 .....저 보트타면서 사람들이 서로 도운거는 기억나네 또....매년 태풍때마다 이제민 수제민생기고 학교에선 돌림노래처럼 성금모금하고 그게 꼭 매년 반복된 행사였지 그래도 나름발전하긴했네 갑자기 쓸려가는건 많이 사라졌으니 예전엔....단위자체가 달랐죠 인명피해가
@woonphilkim
@woonphilkim 8 ай бұрын
저때 인천도 비가 많이 와서 저희 집도 잠기고 물길을 헤치면서 학교갔던 기억이네요
@user_user610
@user_user610 6 ай бұрын
휴교 안하고 학교 갔네요. 의지의 한국인
@Bz3Titanium
@Bz3Titanium Ай бұрын
미래 : (대량실상생화학무기 재난시) 지하벙커로 이동하세요
@Bz3Titanium
@Bz3Titanium Ай бұрын
사이버펑크 ㅋㅋ
@gomdori1089
@gomdori1089 8 ай бұрын
서로돕는거눈물난당 ㅠㅠ
@k.saju.spirit
@k.saju.spirit 8 ай бұрын
와 소양강댐 그래도 부실은 아니었네 😢
@JuJu_PaPa
@JuJu_PaPa 8 ай бұрын
정행님이 만드셨잖애
@user-ms2pv4xz9s
@user-ms2pv4xz9s 8 ай бұрын
4살때 코코블럭 젖어서 울던 한장면은 왜기억이나지.4살때인데 ㅠㅠ
@user-yc8cr7jl4l
@user-yc8cr7jl4l 8 ай бұрын
와 만약에수문개방안하고 그냥방치했더라면서울전체가 물바다가됬을거생각하니깐 끔찍하다 ;;;;
@user-ye6gg6ow9t
@user-ye6gg6ow9t 8 ай бұрын
수문 개방 안하면 당장 춘천시부터 날라갑니다
@user-rg8bg7po7e
@user-rg8bg7po7e 29 күн бұрын
시나리오상. 춘천, 서울 전부 날라간다더군요
@bbmania4274
@bbmania4274 8 ай бұрын
제가 중1이었고 저도 잠실에 살았지만 제가 산 동네는 멀쩡해서 너무 신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그때 반장이었던 저는 풍납동이랑 성내동 사는 반 아이들 집에 전화를 다 돌려서 상황 파악을 하라는 담임의 말에 따라 엄마랑 같이 애들 집에 전화를 막 하던 기억이 나네요. 정말 티뷔에서 눈을 못 떼고 보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그렇게 못 살때 아니에요.. 못 살아서 북한의 도움을 받은게 아니었죠. 그래도 빌렸던 구걸해서든 뭐던 저렇게 보낼 사정은 된 북한이었는데 지금 꼬라지를 보면 참 북한도 딱합니다. 하여튼 예전 생각많이 한 에피소드 였습니다.
@user-ri6eo3li9k
@user-ri6eo3li9k 5 ай бұрын
못살아서 북한의 도움을 받은게 아니라, 아웅산(버마) 테러 1년 직후 입니다. 국제적으로 완전 고립이 되었을 때 북한이 이걸 계기로 벗어났습니다. 정치적 의도도 매우 깔려 있는 도움이였죠.
@user-kq9nz5yj5c
@user-kq9nz5yj5c 8 ай бұрын
아 진짜 기억나네 제가 국민학교 1학년때 이층까지 물이 올라와서 옥상에서 헬기로 구해져서 사람들이랑 성내동 천호동으로 그때 북한에서 쌀 받아서 그걸로 밥먹고 그랬는데
@user-dd8tt2bh2v
@user-dd8tt2bh2v 8 ай бұрын
내 세대의 이야기로군
@ByungWooChung
@ByungWooChung 8 ай бұрын
제가 엄마 뱃속에 있을때 대홍수가 있다는건 들었는데 이정도일 줄이야...😮
@user-wf2ji6wn1r
@user-wf2ji6wn1r 8 ай бұрын
전태어났을때에요
@user-et7oq5ut8r
@user-et7oq5ut8r 8 ай бұрын
제가 춘천 살아서 알아요 소양댐 무너진다고 난리났었죠
@davidparnell2684
@davidparnell2684 8 ай бұрын
Good video
@user-li9zh6gn4j
@user-li9zh6gn4j 7 ай бұрын
대박.....ㅠㅠㅠㅠㅠ
@user-rb1kz7vz3h
@user-rb1kz7vz3h 8 ай бұрын
강한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던 낭만있는 시절……!
@TL-hu5hr
@TL-hu5hr 8 ай бұрын
레알이네..
@fulgidstone
@fulgidstone 6 ай бұрын
그당시 천호동에 살고 있었는데요. 천호사거리 전체가 물로 잠겨있는걸 봤었죠. 성내동은 물론이고 건너편 풍납1동에 살던 친구는 집이 침수되서 난장판이 된 집을 치우고 있었구요. 그 당시 천호동은 천호사거리 주변지역을 제외하곤 큰 피해는 입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당시 성내동과 풍납동 쪽은 배수펌프장 고장까지 겹쳐 난리가 났었지요.
@hyopenae
@hyopenae 8 ай бұрын
말은 제대로 하자, 북한이 도운거는 우리가 불쌍해서가 아니라 자기네들 선전용으로 도운거다... 제발 피디들 생각하고 이야기 짜라 진짜 저런건 미화하는거 아니다.
@user-uv4ig8uh2n
@user-uv4ig8uh2n 8 ай бұрын
어쨌든 도와줬으니 고마운거 맞아요.그당시 전 국민학생이었는데 받아본 저희는 그게 얼마나 고마운지 피해입고 재산피해 당해서 너무 힘든때인때 그때 북한에서 준 물자도 정말 고마웠습니다.물질적인 피해도 피해지만 정신적으로 패닉 상태였는데 북한에서 도와준다는 그 자체로 뭔가 정신적인 위로도 받았구요..
@user-dn6ef8ep3y
@user-dn6ef8ep3y 8 ай бұрын
아이구,,,, 나 그때 춘천 살아서 다 기억남.... ㅎㅎㅎㅎ 소양강땜 안무너지며 지금도 멀쩡히잘 있다~~
@makerchu
@makerchu 7 ай бұрын
정주영 회장은 전설적인 일화가 많답니다. 오늘 에피소드도 처음 듣네요.
@BBuReKi
@BBuReKi 8 ай бұрын
하.. 다음주 고시원방화구나 다음주 피가 거꾸로 솟겠네..
@kjmmuyouban24
@kjmmuyouban24 8 ай бұрын
이야~~~이제는 우리 철벽조현우행님도 대리고 오시네~~댐관련되서 그런가?
@user-pl7yl4ft4m
@user-pl7yl4ft4m 7 ай бұрын
그쵸 골키퍼를 보고 수문장 이라고 하잖아요
@ryhd323
@ryhd323 8 ай бұрын
전 이거 풀버젼은 못보고 한 11시 다 되어갈 무렵부터 봤는데 이때 밀당이 상당했던 걸로
@user-th7yj7lw9o
@user-th7yj7lw9o 8 ай бұрын
국민학교 2학년때인데 기억이 납니다 비가 얼마나 오던지 일주일 넘게 그치지도 않고 계속 왔어요 하늘에서 계속 들이 부었어요 그때 양천구 거주 했는데 신정 3동 물바다 되서 다 잠기고 거기 사는 친구들은 스티로폼이나 큰 다라이 타고 다니고 안양천 넘을지 모르니 대피 방송 나오고 난리도 아니었어요 저희 집은 신정4동 거주 했는데 지대가 높아서 물은 안찼어요...안양천 넘으면 집에 승용차 버리고 아버지 회사 트럭타고 이동할 예정 이었지요 하루종일 재난 방송에 아직도 그 기억이 생생 합니다
@user-mh4sr6fk3l
@user-mh4sr6fk3l 8 ай бұрын
어? 그럼 양명이나 양동 다니셨겠는데요?
@user-th7yj7lw9o
@user-th7yj7lw9o 5 ай бұрын
@@user-mh4sr6fk3l 양목 입니다
@TheLesleygore
@TheLesleygore 8 ай бұрын
이때 기억난다. 초딩도 아닌 국딩 3학년때 인데 xx동, xx동 등등 저지대에 사는 친구들은 지금 가방 싸서 집으로 빨리 가라고 방송이 나왔음. 이때 김xx, 구xx 두 친구는 집이 금강산댐이 폭파 되더라도 끄떡없을 고지대에 사는 친구들 이었는데 다른 친구들 틈에 묻어서 우루루 집으로 갔음. 다음날 이 두 친구들은 극대노한 담임선생님 한테 쳐맞았고, 우리는 비오는 날 먼지날리게 맞는다는것이 무엇인지를 생생히 잘 알게 되었음.
@user-lk2zz2il9c
@user-lk2zz2il9c 8 ай бұрын
역시 옛날은 개쎄다
@SANA-sana96
@SANA-sana96 8 ай бұрын
전자제품 고쳐준건 지금의 일류기업이 된 삼성입니다 ㅎㅎㅎㅎㅎ
@user-vs2dd6lt4v
@user-vs2dd6lt4v 8 ай бұрын
저시대나 지금이나 국민들이 힘든건 국민들끼리 위로하는구나 필요없는 국회는 여전하구나
@jin2696
@jin2696 8 ай бұрын
꼬맹이 코찔찔이었던 당시 허리춤까지 물이 올라왔었음 물에 뭐가 둥둥 떠다니길래 봤더니 땅강아지였음 ㅋㅋ 학교 끝나고 걸어왔는데 지름길 논밭쪽은 거의 한강이었고 길도 분별할 수 없었음
@stonestosto1939
@stonestosto1939 8 ай бұрын
저거 북한이 거절할줄알고 대외적으로 제안했다가 우리가 오케이해서 눈물을머금고 줬던 쌀 ㅋㅋ
@user-soda-
@user-soda- 8 ай бұрын
ㅋㅋ심지어 그 지원해준 쌀도 못먹을정도 수준이었음
@sun4001
@sun4001 5 ай бұрын
저때 강변도로에 물이 차오른 높이가 대략 1~2미터까지 차올랐죠... 뉴스에서 가양동쪽 도로툭방이 안터지면 자양동쪽 강변도로 뚝방이 허물어진다고 했고..가양동이 터지면서 그 일대가 물바다가 되버린... 그리고 장양동쪽 한강둔치에 아름드리 나무들과 비닐하우스 치고 살던 사람들의 집..이런게 다 쓸려나가고 뻘판이 되버려서 그때부터 아주 오랜기간 공사하면서 강가가 모래밭이던 강변ㅁ이 시멘트로 공구리친 강변으로 바뀐 계기가 되고..지금의 한강변으로 개발된거죠..
@user-yj1iw9gf6x
@user-yj1iw9gf6x 8 ай бұрын
잘보고 가요
@park9651
@park9651 5 ай бұрын
그당시 저 어렸을때 강 뚝방 물 넘치면서 논하고 밭 다 잠기고 동네도 잠긴다해서 울면서 유포리라고 윗동네까지 리어카 타고 올라갔던 기억이 생생하네요.......... 지금도 생각하면 다시는 생각하기도 싫은 기억입니다........
@user-fy8vh3yn3t
@user-fy8vh3yn3t 4 ай бұрын
전 율문리 살았어요 동향분을 뵙네요 ^^*
@park9651
@park9651 4 ай бұрын
@@user-fy8vh3yn3t 반갑습니다
@gupalsam1
@gupalsam1 8 ай бұрын
이때 신정동에 살았는데 아주 난리가 아니었음 대부분 재래식화장실이라 똥 떠다니고 ㅎㅎ 북괴에서 쌀하고 모포 보내준거 받은 기억이... 오목교 신정동 뚝방 밑에서 산 사람들 전부 허리 높히까지 물에 잠김~
@irtc2001
@irtc2001 7 ай бұрын
정주영 회장님 대단하심
@user-un3sh2hd6v
@user-un3sh2hd6v 7 ай бұрын
저때 파주 금성리에서 군복무중있는데 탄약고 점검때 스르르 무너지는 3미터 모래주머니가 뒷꿈치에걸려 죽을뻔 했지요 그해 가을 대민지원 벼베기 나가서 일반미 밥과 반찬등 먹은 기억이 나네요 금촌 성동리 잣골 오두산 추억입니다
@user-wu8tw1ph2e
@user-wu8tw1ph2e 8 ай бұрын
이런 사건이 있따는걸 처음 들어보네여....
@user-zj9ol3ms5k
@user-zj9ol3ms5k 8 ай бұрын
제주도는 친미리 내렸음,돌 굴려가는 소리 들리고,다리 침수,도로에 물이 찼으나 바다로 이동,제주도는 화산 암반석이라서 물이 빨리 흡수됌.
@user-bw1qo7pl8l
@user-bw1qo7pl8l 8 ай бұрын
살기 좋은 경남으로 오세요!!!!
@user-mc1yi4ni1u
@user-mc1yi4ni1u 7 ай бұрын
가슴이 따땃해진다..
@user-hy9ip8zs7b
@user-hy9ip8zs7b 8 ай бұрын
난 혹시라도 저 소양강댐이 균열이 나서 무너지는줄 알고 조마조마 했는데 😢
@umyum00
@umyum00 6 ай бұрын
단발 머리분 음, 네 이런거 안 하셨으면 ㅋㅋ큐ㅠㅠ
@user-subscribe1312
@user-subscribe1312 2 ай бұрын
다 하는데요
@aaaa372-1
@aaaa372-1 2 ай бұрын
근데 그러면 리액션을 어케 함
@umyum00
@umyum00 2 ай бұрын
@@aaaa372-1 적당히면 괜찮은데 음, 네 이런거 계속 그래서 몰입 방해됨
@minuiuiu
@minuiuiu 22 күн бұрын
계속 녜 녜 거려서 방해됨
@panjonglee776
@panjonglee776 7 ай бұрын
84년 저는 풍납동에서 조금더가면 천호동 암사동에 천호상고3학년 이었는데 기억나네요 천호대교 막고 있었던기억이 나네요..
@BangGood2
@BangGood2 4 ай бұрын
댐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또 최대로 적재할수도 없고...정말 아찔하네요
@user-uv4ig8uh2n
@user-uv4ig8uh2n 8 ай бұрын
국민학교때 홍수 났었는데 정확한 년도가 생각 안났는데 84년도였구나. 그때 우리 동네 잠겨서 우리집 거의 천장까지 물이 올라왔고 진짜 무서웠던게 집안에 물이 빠져나가야할 곳에서 반대로 물이 올라와서 무서웠음. 북한에서 쌀도 보내줬는데 쌀모양이 남한쌀이랑 모양이 약간 달라서 신기했었던 기억이..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8 ай бұрын
연배가 어찌되나요?
@user-sl7th4tx4n
@user-sl7th4tx4n 8 ай бұрын
맞아요..북한에서 쌀온거..ㅎㅎ 이게 북한사람들이 농사지은건가 하면서 신기해했던 ㅋㅋ
@user-zj9ol3ms5k
@user-zj9ol3ms5k 8 ай бұрын
60세 전후.
@user-fw1yx6qp5p
@user-fw1yx6qp5p 8 ай бұрын
ㄴㄴ 국민학교면 50대 전후
@eunyoungmoon6543
@eunyoungmoon6543 8 ай бұрын
나도 그때 국민학교 1학년, 집앞 골목으로 물이 차오르는데 아빠 등에 엎혀서 언덕배기 학교로 대피했음. 엎혔는데도 발에 물이 닿을정도로 물이 차올랐었는데 난 그게 좀 재밌었던 기억이.. 인근 주민 다 학교로 대피해서였겠지만, 어차피 동네 친구들 거기서도 다 모여 놀았음. 밤에도 같이 놀다 잠들었는데, 진짜 신났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게 아주 심각한 재난상황이었네.. 근데 난 아침부터 밤까지 친구들이랑 학교 교실에서 하루종일 같이 놀았던 기억밖에 없어. 라면도 먹고 ㅋㅋㅋㅋ
@Yookson
@Yookson 7 ай бұрын
갓주영 대단하십니다
@nayearang3667
@nayearang3667 8 ай бұрын
인창중학교 2학년때 기술실습실이 물에 잠겨 물펐던 기억나네요~~
@user-qs4yi2md7g
@user-qs4yi2md7g Ай бұрын
평화의 댐을 만든 것도 신의 한수임!
@SSSoooJJJ85
@SSSoooJJJ85 8 ай бұрын
태어나기도 전이구나...
@debsbig3580
@debsbig3580 8 ай бұрын
13:03 와 소름돕네... 저기 보이는 2층 조은미술학원을 85년도에 유치원 대신에 다녔는데....바로 앞에 우성아파트 살았습니다. 제 기억으론 86년도에도 홍수가 나서 우성아파트 1층 문턱까지 찼던 기억이 납니다.
@debsbig3580
@debsbig3580 8 ай бұрын
저 당시 토성국민학교 다녔던 분들...다들 잘 살고 계시죠? 어느덧 마흔이 넘은 나이에 예전 풍납동에서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다들 건강하고 행복하고 즐겁게 사시길!
@myd20R
@myd20R 8 ай бұрын
@@debsbig3580우와...전 지금 풍납동 살고 토성초 나왔는데 신기하네요
@goraebabb
@goraebabb 8 ай бұрын
84년 토성국민학교 1학년 입학생입니다. 우성아파트 살았었고 조은미술학원도 잠시 다녔었죠^^ 주신교회도요 ㅋㅋ 기억나는 담임 선생님으로는 반현숙 오기모 선생님 계십니다. 우일아파트 옆 풍납토성이라고 불리는 언덕과 자갈더미들, 논밭 스케이트장, 코팅 이름표, 오락실 모두 생생하네요. 가장 기억나는 학교 최대행사는 운동회 고싸움이었습니다. ㅎ 간만에 추억뒤지기 함 해봤네요^^
@user-zd2jy7ri9r
@user-zd2jy7ri9r 5 ай бұрын
그당시에 물이 굉장히 심하게 내렸었고 홍수도 났었던 날이 있었으며 어린나이에 장화까지 사서 싣기도 하였다! 그당시 우리집에도 물이 차서 가족끼리 바가지를 이용해서 물을 빼기도했었고 수재민 돕기선금도 하였던 기억이 난다!
@user-th3po3yn4m
@user-th3po3yn4m 5 ай бұрын
국딩 5학년때 입니다,추석 때 서울에서 내려온 큰집 식구들이 서울 물난리 났다고 말하는 기억이 나고 특히 풍납동이라고 언급하신 부분이 생생합니다. 당시 TV로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val4177
@val4177 8 ай бұрын
장성규씨랑 같이 있는 게스트분은 누구인가요? 리액션이 너무 기계적인 느낌..
@user-cb5bw4ik5b
@user-cb5bw4ik5b 8 ай бұрын
CLC맴버 장예은 이네요😊😊
@user-fz1fj4zk9z
@user-fz1fj4zk9z 8 ай бұрын
제 상사가 맨날 저 리액션 억지스럽다고 해서 스트레스 개많이 받았는데... 난 진심인데 아무튼 억지같음 하니까 답이 없더라고요 미치는줄알았어요
@filmjkim
@filmjkim 8 ай бұрын
그리고 반말 컨셉이랑 안맞음
@user-nw1js3iv8z
@user-nw1js3iv8z 8 ай бұрын
ㄹㅇ생긴거도 어벙하게 생겨서 나올때마다 답답해짐ㅋㅋㅋㅋㅋ
@dogtoe3438
@dogtoe3438 8 ай бұрын
​@@user-nw1js3iv8z 리액션 얘기에 굳이 외모까지 깔 필요는....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
ИНТЕРЕСНАЯ ПРИКОРМКА
0:19
KINO KAIF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42
Who will eat Nutella? 🥳 Challenge #shorts
0:18
Balashik show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