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았는지 확인하는 방법 | 김성철 교수 | 뇌과학과 깨달음

  Рет қаралды 164,666

조현TV휴심정

조현TV휴심정

3 жыл бұрын

‘불경의 왕’이라는 60권본 화엄경을 의상대사가 7언30구·한자 210자로 요약한 '법성게'는 팔만사천경의 고갱이라고들 한다. 이를 해설한 '화엄경을 머금은 법성게의 보배구슬'(도서출판 오타쿠 펴냄)을 최근 낸 김성철(63)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불교학회 명예회장)를 만났다.
김 교수는 치과의사 출신이다. 서울대 치대를 나와 치과의사를 하다가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했다. ‘불교학’은 그에게 필연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는 서울대 사대 학장과 서울대 불교학생회 지도교수를 지낸 선친 김종서 교수가 가끔 모시고 온 탄허 스님을 어린 시절 집에서 만나곤 했다. 성인의 풍모지만 겸손하기 그지없이 ‘하심’(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으로 일관했던 탄허 스님의 모습은 어린 그에게 깊게 각인됐다.
그는 불교학 연구 열정을 불태워 가산학술상, 불이상, 청송학술상, 반야학술상 등을 휩쓸었다. 또 원효보다 150년이 앞서 우리나라 최초의 사상가로 꼽히는 고구려 승랑 스님에 대한 연구로 ‘한국연구재단 10년 대표연구성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는 2000년부터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로 재임하며 불교문화대학장,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티벳장경연구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이번 ‘법성게 해설서’는 그의 연구와 활동의 결집체라 할 수 있다. #김성철교수 #법성게 #깨달음
*김성철 교수 인터뷰 한겨레 기사
www.hani.co.kr/arti/well/peopl...
----------------------------
힐링&명상 콘텐츠 | 휴심정 www.hani.co.kr/arti/well/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 논설위원
한겨레신문 30년차 기자로 20년째 종교명상 전문기자로 활동 중.
40여년간 참선명상을 했고, 다양한 종교수행수도와 심리·치유 프로그램 체험.
히말라야·인도·네팔·티베트·동남아시아 성지와 수도처, 유럽·미주·남미 수도원 순례.
저서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누리꾼의 인문 책 1위(2000년), ‘우린 다르게 살기로 했다’가 중앙일보, 교보문고 올해의 책(2018년)에 선정. 그 밖에 ‘울림’ ‘은둔’ ‘하늘이 감춘 땅’ ‘인도 오지기행’ ‘그리스인생학교’ 등의 저서가 있다.
깨달음·명상·심리·공동체 관련해 서울대병원, 정신과의사모임, YMCA, 플라톤아카데미, 서울시청, 문화관광부 등에서 강연하며, 인도 순례와 티베트 순례모임, 치유모임 등을 이끌었다.
마음은 여의주.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은 받아들이는 평온을, 마땅히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는 용기를!’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Пікірлер: 181
@user-bc8kg7ih2s
@user-bc8kg7ih2s 6 ай бұрын
불교를 잘 모르는 사람도 불교가 어떤 종교인지를 가늠하게 해 주는 김교수님의 혜안에 탄복합니다.
@jakechoice4948
@jakechoice4948 2 жыл бұрын
참된 학자시다. 명민한 학자시다. 김성철 교수 책을 모두 사봐야겠다.
@hongyunable
@hongyunable 6 ай бұрын
탐진치, 번뇌, 무지가 없으면 깨달은 것. 모든 걸 쓸 수 있고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허공, 열반, 무위 깨달음은 체험이 아니다. 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 본능, 감정, 이성에서 벗어나는 것.- 이것이 열반 김성철 교수님- 감사합니다. 대열반도 이루셨겠지요- 삼가 명복을 빕니다.
@user-gj7ly2jb9j
@user-gj7ly2jb9j 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만 권의 책을 한 번에 읽은 느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최종원님, 깊이있게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gk2yo5ud5r
@user-gk2yo5ud5r Жыл бұрын
김성철 교수님은 저의 선지식 스승님 이십니다.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우리가 이렇게 빨리 기쁘게 된것은 교수님 덕분 입니다. 지금 자꾸 기뻐 지려 합니다. 부처님 들이 자꾸 살아납니다. 잠자고 있던 부처님 들도 다 일어 나셨습니다. 깜짝 놀라 일어 나셨습니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분이 신묘다라니경을 통해 모든 번뇌를 잠재우려고 오시고 계십니다. 신묘 다라니경은 한꺼번에 수많은 고통을 잠재우는 부처님이 나타나시게 된다는 것입니다. 교수님이 아닐까 싶습니다. 나무관세음보살 나무관세음보살
@kangbumi8427
@kangbumi8427 Жыл бұрын
김성철 교수님, 고맙습니다. _()_ 조현 기자님, 고맙습니다. _()_
@user-xc2zh1pr1k
@user-xc2zh1pr1k 2 жыл бұрын
물질만능 시대에 황폐된 정신 세계를 차원 높은 정신세계의 탐구로 마음을 정화해 주는 뜻깊은 대담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오상곤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cn3272
@bcn3272 Ай бұрын
교수님 극락왕생 하소서. 요즘 현상학과 뇌과학을 공부하다가 전세계가 가지니가 같은 학자의 견해를 추종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세상 떠나시기 전에 불교 현상학의 요체를 쉽게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머리가 시원해집니다.
@user-tb7bs7gq2q
@user-tb7bs7gq2q 2 ай бұрын
김성철교수님의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Pastime
@Pastime 2 жыл бұрын
인지적, 감성적 마음의 소멸 즉 부처님께서도 금강경에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하셨고요. 선이 지배하는 한국불교지만 잘못하면 아상의 연습이 될 뿐입니다~ 자기가 자신을 점검할 수 있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user-vk3rs9yl9n
@user-vk3rs9yl9n 2 жыл бұрын
김성철 교수님의 막힘없는 설명이 참 명쾌하셔서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Han-ws8he
@Han-ws8he 2 жыл бұрын
깨달았을때 번뇌가 사라진다는 말씀에 참 공감이 갑니다. 그런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거침없는 김교수님의 말씀에서 많은 것들을 접하게됩니다. 특히 객관의 발생에 대한 부분은 여러 생각을 일으키네요. 눈은 타자를 인식하게 되는 시작으로써의 감각으로 이해합니다.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Han님, 잘 경청해주시고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l2gf2mu1s
@user-vl2gf2mu1s 3 жыл бұрын
참 어렵지만 포기할 수 없는 것, 바로 수행이 아닌가 합니다. 유튜브 인공지능이 좋은 인연을 맺어 주네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임현숙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V-lh6tn
@TV-lh6tn 3 жыл бұрын
뇌에서 해방되는 것이 깨달음이라 , 참 좋은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enemarlin1
@lenemarlin1 3 жыл бұрын
세상이 무너지는 것.. 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 뭉클하네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eela21
@leela21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깊이 있는 내용을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시다니!!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릴라의여행님, 행복한 공부 함께 하니 반갑습니다.
@user-xb3jm9ec6t
@user-xb3jm9ec6t Жыл бұрын
참 좋아요 ~!^^
@user-vv6tl5pb1z
@user-vv6tl5pb1z 8 ай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dy2lc1nl6c
@user-dy2lc1nl6c Жыл бұрын
생각이 사라지는 경험을 체험햏읍니다 번뇌가 사라지는 신기한 체험이었는데요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현실로 돌아오고 나서는 예전상태로 되돌아 오더군요
@user-dc8xl6of6m
@user-dc8xl6of6m 4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cx7kp3wl8g
@user-cx7kp3wl8g 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감사합니디. 김성철 교수님 편 보고 구독합니다. 불자로서 정말 감사합니다. 인간 존재에 대해 성찰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사랑이님, 함께 해주시니 좋습니다.
@user-xw6pt2wk2c
@user-xw6pt2wk2c 2 жыл бұрын
*순수주관은 있어도 순수객관은 없다. 모든객관은 특수한 주관의 반영이다* “一微塵中含十方” 감동입니다.
@user-cu8yq2zh3f
@user-cu8yq2zh3f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Wqsmh
@Wqsmh 7 ай бұрын
정말 많이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ly2hc3xy5j
@user-ly2hc3xy5j Жыл бұрын
조현기자님 댓글에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이 갑자기 와닿네요 다들 살면서 인연되어 습득한것들 본인이 맞다 옳다 생각하는 내용을 댓글로 올리는데 똑같은 댓글에 왠지 자애로움이 느껴집니다
@user-xr9iy3pe9t
@user-xr9iy3pe9t 5 ай бұрын
최고의 불교학자이십니다. 존경합니다
@user-gy1tg6jd9u
@user-gy1tg6jd9u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습니다. 방안에서 이런 말씀 듣는건 감사한 일이에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희야님, 감사히 들어주시니 좋네요.
@user-lm1mu5er9b
@user-lm1mu5er9b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ejue
@hyejue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교수님 말씀을 알아듣고 싶은데 말씀이 너무 빨라요~~^^ 불교 기초용어를 몰라서 이해력이 많이 떨어지지만 많은 울림을 받았습니다.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두 분 모두요. 너무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hyeju eo님, 그러시군요. 함께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user-jz5bc6li9v
@user-jz5bc6li9v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wanikim8729
@wanikim8729 3 жыл бұрын
어제도 보고 오늘 다시 봤습니다. 오늘 오후에 김성철 선생님의 저서 ‘화엄경을 머금은 법성게의 보배구슬’ 서점에서 샀습니다. 화엄에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오, 그러셨군요. 절차탁마 정진 응원합니다.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wi4ed6ft5r
@user-wi4ed6ft5r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많이 되고 있네요
@user-tn4wu2xl6k
@user-tn4wu2xl6k 2 жыл бұрын
초기불교에서 선과 대승적 구도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돈오와 점수 모두 욕망안에 습과 관련된것, 그 안에서 참나를 찾아가는 여러 번복된 과정에 중도에서의 작용 이라는 매력적인 분석을 해주셔서 선문답에 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네요. 주옥같은 내용에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앤셜리님, 깊게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mrich84
@imrich84 Жыл бұрын
돌고돌아 다시 붓다의 가르침으로
@jswootheblackscreen
@jswootheblackscreen 3 жыл бұрын
참으로 명쾌하십니다. 좋은 대화 갖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담마 포에트리님, 경청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o7ie3gm9z
@user-yo7ie3gm9z 2 жыл бұрын
상상속의 슈퍼 히어로 이야기같네요. 학술적으로 다룰 수야 있지만, 그러다보니 일상이 아닌 책상위로 가버린 것 같군요. 부처님은 배설욕이 일어 나지 않어 대각이후 볼일도 보지 않은 듯한 언급, 번뇌가 일어나지 않고 등등의 이야기는 공상과학입니다. 밥을 먹어야 식욕을 해결하고, 잠을 자야 수면욕이 해결되는 것이 일상의 이치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일상 아외의 것을 오히려 경계하셨고, 수행자라면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수행자 인식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수행도 간화선을 할 사람은 간화선을, 염불할 사람은 염불을, 위파사나를 할 사람은 위파사나를 하면 되는 겁니다. 실상은 바느질로도, 노래로도, 춤으로도 수학문제풀이로 물리문제풀이로 컴퓨터 게임으로도 깨달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맑은공기님,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zevines
@zevines 3 жыл бұрын
아주 생각해볼만 한 주제의 인터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밀교와 선의 샤머니즘적 모습 등 시야가 열리는 느낌입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우성선생님, 경청해주시고 공감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bt5kh1wz1d
@user-bt5kh1wz1d 2 жыл бұрын
수행에 많은도움이 되고 지금쯤 들어야되는 내용의 강의 라서 너무고맙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최은순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b5uo4bc6l
@user-jb5uo4bc6l 3 жыл бұрын
감사! 이해의 폭을 넓혀 주셔서 고맙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김재석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q5od9fz3q
@user-jq5od9fz3q 2 жыл бұрын
귀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J바다님, 귀하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h7ir9zl7r
@user-nh7ir9zl7r 3 жыл бұрын
엄청 흥미롭게 잘들었습니다 제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u7mf9te6n
@user-xu7mf9te6n 3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교수님 나무 아미타불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김우주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elasticgirlj5870
@elasticgirlj5870 7 ай бұрын
삼가 명복을 빕니다
@user-hl5hp1xi3v
@user-hl5hp1xi3v 3 жыл бұрын
명확한 설명이 참으로 깊어 보이셔요. 가르침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이창현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v4so1qh1z
@user-uv4so1qh1z 3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예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duksoe
@duksoe 3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대담입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hasulsaju
@chasulsaju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차설사주학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o1kp7bi4b
@user-vo1kp7bi4b 2 жыл бұрын
속세인들의 근성으로 보면 말씀해 주신 내용은 정말 우리나라 사람들 같은 경우에 도움이 됩니다 믿기지 않을 만큼 과학적 이해가 교양이 된 것 같은 생활을 필요로 하거나 요구 받는 때에, 절에 다니는 사람들이 오해를 받거나 편견으로 인해 비과학적인 상식으로 이해될때, 설명하거나 이해 받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때가 있습니다 그시간 동안 공부하는 시간으로 채우게 되면 뒷처지는 것 같은때도 있고, 순발력이 부족한 사람처럼 보여서 생활에 조금 불편합니다 그래도, 찬찬히 잘 살아가려 노력하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으라챠챠님,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i2ti1jo5m
@user-di2ti1jo5m 3 жыл бұрын
어느 스님께서 존경하는 분이라고 해서 어떤 분이신지 궁금했는데 여기서 뵙게 되었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봄빛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q3uu1hz2r
@user-yq3uu1hz2r 2 жыл бұрын
우와!!! 귀에 쏙쏙 들어오게 쉽게 설명해주십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미래님, 오늘도 함께 해주시니 좋습니다.
@user-nv9vi3rs8q
@user-nv9vi3rs8q 3 жыл бұрын
스승과의 인연이 중요하군요! 간화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생겼습니다... ^^ 오늘도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경희성초원님,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san-fv5xo
@san-fv5xo 3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것을 많이 가르침 받았어요 감사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심재덕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am666boo
@sam666boo 2 жыл бұрын
평생 생각없이 살다 몇년전 종교철학책을 접하고나니 그 후론 세상이 너무 시시해보였다...친구.모임등 모두 탈퇴하고 그냥 시시한 직장생활을 합니다.남여가 붙어다녀도 성적인 매력보다는 그냥 발정난 고양이가 합일할려고 하는듯 보여서 성적인 매력도 사라졌다.근데......김교수님 얘기를 첨들었는데 오~~ 너무 잼잇는 겁니다..ㅎ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lea yea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oochangkim5697
@soochangkim5697 Жыл бұрын
중도가 곧 작용이다. 굳~
@user-rl2my8nh2n
@user-rl2my8nh2n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저 연세에도 말씀이 참 빠르시네요. 뇌와 근육이 아직 건강하신것 같아요^^ 들으면서 재생속도에 자꾸 손이 가네요 ㅎ 오늘도 평온한 날 되세요()
@bright_energy
@bright_energy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순간에 아무것도 덧없구나라고 깨달으면 그것도 깨달음 아닌가요?하지만 죽기전에 그것을 알고 남은시간을 알차게 보내면 그것이 진정한 깨달음인거 같아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밝은에너지님, 좋은 의견주셔서 고맙습니다.
@chae-okjeong9097
@chae-okjeong9097 3 жыл бұрын
선과 주-객관에 대한 해석이 흥미롭네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정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j4fm4dq1f
@user-vj4fm4dq1f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자리 마련해주셔서 고맙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rimehyang
@rimehyang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김영주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b592061
@bb592061 3 жыл бұрын
깨달은 분은 둘이 아닌 마음자리니 아라한을 볼수있다 생각이 듭니다 유위법에 똘똘 뭉쳐있어도 믿음은 무위법의 진동을 느낄수 있다 생각되고 돈수도 크게 걱정은 안됩니다 깨달음 그 의문 없음 감사히 듣고 갑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용진님,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jooyonghyun2240
@jooyonghyun2240 3 жыл бұрын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범아일여 사상이 잘못된 외도의 가르침이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받아들이니 이해가 갑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현주용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k4di4mg7z
@user-lk4di4mg7z 2 жыл бұрын
이근이 원래 공하였음을 알면 원통은 저절로
@user-ib1ll7fb4y
@user-ib1ll7fb4y 3 жыл бұрын
내용이획기적이네요감사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조인형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e1hw1kt6t
@user-ye1hw1kt6t 3 жыл бұрын
허공은 참말 가난 했기에 우주삼라만상을 품을수 있다는 탄허 스님 말씀을 참 좋아하는데 김교수님의 연이 그분과 닿아있군요 두분대담 눈감고 듣다 탄허스님 생각이 많이 났는데 더 들여다 보니 그렇군요 두분 대화 멋집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이 경청해주시고 함께 해주셔서 기쁩니다.
@sebastian9728
@sebastian9728 2 жыл бұрын
제생각입니다 저 교수님께서 하시는말씀과 통하는 이야기인지 모르겠지만 예를들어 큰방 작은방이있는것도 하나의 관점이있기때문에 큰방 작은방이있는것입니다 ``나``가 있기 때문에 큰방 작은방이있겠죠 그런데 이 나라는것을 없에게 되면 큰방 작은방도 사라집니다 그냥 1번 관점에서볼때 큰방 작은방이있고 2번의 관점에서 볼때 작은방이 큰방이되는것이고 3번관점에서볼때 큰방이 작은방이 되는것이죠 나를 없에면 아 그냥 이런 저런 관점에서 볼때 이것을 큰걸로 보고 저것을 작은걸로 본다는 생각이있구나 하는 것만 남게되는것같습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ㅎㅎ 맞는지 는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현대 사회에서는 어떤 객관적인시선으로 일들을 하기때문에 정신병환자나 누가 일이나 공부를 못하면 그냥 5감으로 인지되는것만 보기때문에 화학적 약물을 먹게한다든가 야단을치고 혼을내는것이지요 5감으로 관찰할수있는것 이외에도 세상이 분명히 존재하는데 말이죠 예를들어 공부하기싫어하는 아이가 하는행동들 (게임하고 공부는 안하고 딴짓하는것들)이런것들은 5감으로 인지가 가능한것들이죠 하지만 그 이면에 있는 공부가 하기싫다는생각은 보통 보이지 않죠 그래서 부모들이 공부안한다고 야단치고 게임못하게 컴퓨터를없에버리는 짓을 하는것입니다 사실 건드려야하는것은 그것이 아니라 생각을 건드려야하는것인데말이죠 생각도 연필이나 핸드폰 볼펜처럼 분명히 존재하는것이고 나무를깎아 테이블을 만들고 연필을 만드는것처럼 생각이란것도 가공을 할수있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연기설에서 이야기하는것처럼 모든게 영향을 주기떄문에 야단치거나 게임을 못하게 하는것이 그런 마음에 어느정도 영향을 줄수는 있겠지만 보통은 반발심이 들기 마련이죠 그 생각? 마음?이란것이 보이지 않기때문에 자꾸 쓸데없는 짓을 부모들이 하게되는것같습니다... 여기까지 전부 그냥 저의 생각에 불과하구요 제가 생각했을때는 저교수님이 하는이야기와 어느정도 통하는이야기같은데 정말 그런지는 잘모르겠습니다.. ㅎㅎ
@sebastian9728
@sebastian9728 2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나를 버린채로 계속 살아갈수있나요? 그렇지는 않죠 공으로 한번갔다가 색으로 다시 돌아온다고 들었습니다. 지금 보이는것이 나쁜것이라고 생각이들면 다른관점으로 이동해서 다시 그 나쁜것을 바라보면 어떻게 보일지 모릅니다.. 그렇게해서 관점을 이동시키면서 살아가는게 좋은걸까요??? 하.. 제가 공부를 체계적으로 한것이 아니라 감히 맞다고 말하기도 어렵고 너무 불교가 어려운것이라 남이 이렇다 저렇다 설명을 해줘도 그것을 이해하지못하니 정말 답답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Sebastian님, 연기법을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q1zz7cs8b
@user-zq1zz7cs8b 2 жыл бұрын
노다지가 쏟아집니다. 감사합니다💚💛 간화선을 하려면 감정정화 부정관 등이 되어있어야 한다!! 듣고 보면 간단한데? 개념이 안잡히고 혼돈이었죠.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이미유님,공감해주시니 좋습니다.
@user-lb2ci7zo6j
@user-lb2ci7zo6j 2 жыл бұрын
조현기자님 많은 선지식들 대담은 살아 있는 경전이고 법문이십니다 ()()() 꼭! 무심선원장님 월인선원장님 대담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문봉식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mnews00
@imnews00 2 жыл бұрын
어렵고도 흥미진지한 강연 감사 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MAUM님, 어려운데도 흥미진진하게 기꺼이 경청해주셔서 좋습니다.
@moonbj2182
@moonbj2182 Жыл бұрын
눈 앞이 내 머릿속의 일이면 사물이 있는 곳은 세계가 아니라 전혀 엉뚱한 곳이다.
@kookhacwon3054
@kookhacwon3054 Жыл бұрын
돈오돈수가 빠르게 일어난다면 최고겠어요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6 ай бұрын
교수님 너무 빨리 가셨네요. 더이상 말씀을 못들음
@bhlee4265
@bhlee4265 3 жыл бұрын
재밌있게 잘 듣었습니다. 갑자기 이게 떠서, 관련된 동영상도 같이 잘 봤네요. 많은 앞선 구도자들의 높은 내용들이 많은것 같아요. 그런데, 너무 지식적인 부분에만 파고들다 보면, 보이는것은 보이지 않는것으부터 비롯됐다같은 이런 말들이 왠지 낯설게 느껴질지도 모르겠어요. 그런것은 보다보면 자연스럽게 느껴지고 그냥 않보이던것이 확연하게 드러나 보이는 그런 경험인데..ㅎㅎ 논리의 세계안에서 노니는것도 잼나긴 할것 같아요. 공과 색이란것도, 공을 바로 알려고 하기 보다는, 색이 지금 순간의 인연들의 관계성에 의해 나타남이라고 하면, 공이란것은 그것이 이루어지게하는 공간장 그자체고 색의 인연들이 모두 풀어헤쳐저 없어지고 아무것도 없어보이지만 여전히 공은 공으로 그냥 있음이고 색만 보는 시각으로는 보여지지 않지만, 공은 자연스럽게 느껴지는것이고 그게 느껴지면 그냥 바로 확연하게 드러나 보이고, 저위의 보이는것은 보이지 않는것으로부터 비롯됬다는 말도 그냥 내가 지금 보고 있는것이라것. 어찌됬던 많은 사람들이 아웅 다웅 살아가는 이 인간세계에서의 다채로운 일들이 벌어지고 인간들이 여러가지 활동들을통해 , 인간계와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것들도 그에 따른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점에서,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셰계의 삶이 매우 소중하고 가치있다는것. 그래서, 주위 사람들과 잘 지내고, 행복하게 살아보자는것. 이 셰게의 일들이 색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그러나 어찌됬던 이 셰계에서의 일에 따라 변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것을 같이 살피며, 이 세계의 일들을 너무 가벼이 생각하는 우에 빠지지 않았으면...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이선생님, 생각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bhlee4265
@bhlee4265 3 жыл бұрын
@@koreainsight 오우, 완전 빠르시네요. ㅎㅎ 그냥 필 받아서 적어 본것인데, 좋은말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 되세요.
@lim.2263
@lim.2263 3 жыл бұрын
연연하지 않는것이 편한길이란걸 알지만 불의를 보고도 연연하지 않는것이 옳은길인지 누가 대답좀 해보시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KBLee-nk9zj
@KBLee-nk9zj 2 жыл бұрын
그른 길입니다
@picolrosancho8528
@picolrosancho8528 2 жыл бұрын
번뇌가 없으니 옳고 그름이 없는 것이지요.
@user-rh9ir4hf3q
@user-rh9ir4hf3q 3 жыл бұрын
원리를 보는것이 깨달음이죠 하여 원리는 유무에 연연치 않습니다 고로 깨달음은 유무를 초월한 무위의 실체를 만나는것이죠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김도현 선생님,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c3yi3xi2t
@user-sc3yi3xi2t 2 жыл бұрын
~^^🤗🤗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자유로움순리님, 늘 함께 해주시니 좋습니다.
@user-wv9of9eh9o
@user-wv9of9eh9o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 해야 인간의 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user-cg8pq7ml7j
@user-cg8pq7ml7j 3 жыл бұрын
어항속물고기가 결코 바깥세상을 알수 없듯이 장님이 코끼리 전체모습을 파악 못하듯이 우리의 이성과 지각으로는 결코 세상의 본질을 알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세계의 근거는 세계안에 없고 알수 없는 다른세계에 있지 않을까요 무수한 이론 다양한 철학과 종교 결국 공염불이죠 아는자는 말하지 아니하고 말하는자는 알지못한다는 노자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주종국선생님, 생각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picolrosancho8528
@picolrosancho8528 2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요즘 들어서는 깨달음보다는 기술이 먼저라고 봅니다. 깨달은 많은 각자들이 무엇을 남겼나요? 깨달음의 길만 열어두고 그 길에서 무엇을 인류에게 선사해 주었나요? 인간은 터럭 하나도 어찌 하지 못하는 존재일뿐, 1초에 100번만 변해도 알아채지 못하는 수준일뿐.. 그러면서 맨몸으로 우주를 이해하고 통달하거나 하나된다? 어불성설이지요. 번뇌가 사라지는 것은 죽으면 사라집니다. 죽는 순간 모두 다 깨닫게 되는 것이지요.
@user-cn2ut4hp2c
@user-cn2ut4hp2c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도 간화선은 가능성이 없다고 봅니다. 깔끔? 학자시니까 근거가 있으시겠지만 요즘같은 시대에 또 먼 옛날부터도 폐단이 있어오지 않았나요? 더구나 요즘같은 시대에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호흡법으로 시작해서 현대에 맞는 방법을 제시해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잘못 가르치면 괜한 시간낭비만 하게 만들까 두렵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라라님, 수행법도 기질과 근기에 따라 자기에게 맞는게 있고, 그게 높고 낮은건 아닙니다. 모두 견성 성불로 가는길입니다. 간화선도 수승한 수행입니다.
@user-ti3wy9xo1i
@user-ti3wy9xo1i 2 жыл бұрын
간화선으로 수도는 안되었지만 견도는 맛을 봤습니다 그렇게 긴시간은 아니였는데 진리에대한 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michaelyi2532
@michaelyi2532 3 жыл бұрын
범아일여는 종교의 요람인 인도대륙의 많은 인구 그리고 지성인들이 수천년간 갈고닦아온 불교보다 조금도 못하지 않은 진리입니다. 우열시비에 빠져 위대한 인류의 사상/종교를 배척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서양에서 알아주는 깨달은 자들은 힌두교에 그 근원을 가진 이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highpeak3518
@highpeak3518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탁하고 갈라저서 명확히 들리지 않는게 안타깝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전달이 명확히 되이않아 죄송합니다.
@leopardigiacomo480
@leopardigiacomo480 3 жыл бұрын
불교에 기초가 없는 일반인도 김성철선생님의 저서를 사서 읽어봐도 이해 가능한가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읽으시면 도움이 되라라 생각합니다.
@aaron00aaron00
@aaron00aaron00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저서 100문 100답 읽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user-jn5mq7xw7s
@user-jn5mq7xw7s 3 жыл бұрын
깨달음에 도달하기는 너무 힘드네요. 과연 몇분이나 깨달음의 경지에 다달을 수 있을까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또한 초발심시변정각이라고 했지요. 깨달음을 향해 처음 낸 순수한 그 마음이 바로 깨달음이라고요. 감사합니다.
@user-jb5uo4bc6l
@user-jb5uo4bc6l 3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한때 깊이 명상에 심취해 있을 때는 번뇌가 사라져 깨달음이 있다면 이런 것이겠구나 짐작했습니다만, 김교수님 말씀을 듣고보니 그게 아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식의 모호함도 없어야 한다니 이제 다시 마음을 다 잡고 정진해야겠습니다.
@user-fr4up2tc4z
@user-fr4up2tc4z 3 жыл бұрын
우리의것은. 무엇인가? 불교도우리것이아닌거같고~ 기독교는더더욱아니고~우리것이분명있을것인데~그게뭔고~ 샤머니즘적인것을생각해봄 옛적부터 민중속에 면면히이어져온것. 섞이지않은오리지날한 우리것은 분명히있다 각자찾아보는자만이알수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난초향기영란님,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breadlee7750
@breadlee7750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이고 좋은 댓글입니다. 혹 관심자인데, 무엇을 깨닫는다는 말을 하는지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BREAD lee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건 내용 안에 있습니다.
@user-fb5jz4nh9x
@user-fb5jz4nh9x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학계의 불교는 무아론 빠져 붓다의 진정한 깨달음과 거리가 멀어져 있습니다 부처님은 열반적정을 설하시기 위해 첫번째로 제행이 무상함을 관할하면 안의비설신의 관찰되는 모든것이 존재하지 않음을 관찰하게 되는데 이것이 제법무아 입니다. 양자역학의 마지막인 힉스까지도 존재 하지 않으므로 이세상은 바로 생겨난바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열반적정 입니다. 이것을 두고 바로 무생법이라고 합니다. 돌려서 나는 태어난바도 없느데 분명이 나는 존재 합니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내가 태어나기전 으로 돌아보면 정자와 난자 이었을 것이고 그것은 단백질 이었을 겁니다. 이것이 과연 '나 ' 라고 할수 있겠습니까? 이러한 것들은 연해서 생겨난 것일뿐 실체가 없는 것입니다. 자 과연 어느것이 나 이겠습니까? 그렇다고 나를 부정할수 있겠습니까? 무아에 빠지면 허망할 뿐입니다 나는 지금 왜 살고 있으며 윤리와 도덕은 왜 지키고 왜 선행을 해야 되는지 아무런 근거가 없게 됩니다.' 나' 라는 놈은 찾을 수 있는 놈은 절대 아닙니다 그러나 꾸준한 수행은 '나' 를 드러나게 합니다. 즉 찰나에 나타납니다. 즉 나타나는 것이지 찾는 것이 아니지요 분명 아트만 다르것 입니다. 무아는 열반적정을 바로 말하기 어려워 단계를 둔것입니다 이 세개를 따로 따로 보면 이러한 오류에 빠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무상도 열반적정이요 무아도 열반적정 입니다....무상함의 깊은관찰은 무아요. 무아의 깊은관찰은 열반적정입니다......더 깊은 관찰은 3법인 다 열반적정입니다....... 부처님은 4대문 밖을 나가서 생로병사를 보시고 이것을 해결하고자 수행정진 하셔셔 진리를 깨달으 신것이지 무아를 깨달으신것이 아닙니다. 진실한 ' 나' 즉 생사를 벗어나 이 우주법계의 주인인 ' 나 ' 를 발견하신 것입니다.....그래서 반야심경 마지막에 진실불허 라고 명백히 적혀있는 것이지요. 우리가 죽으면 끝이고, 뇌의 어떤 작용물 이라면 우리가 AI 로봇입니까^^ 또 죽으면 세상이 다 끝나면 지금 왜수행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가족을 부양하고 그렇게 열심히 살려고 합니까 그냥 하고 싶은대로 하고 살면되지 않겠습니까^^ 우리는 엄연히 자유의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존엄한 존재입니다...... 참으로 답답해서 적어봅니다. AI로봇 되라는 소리로 밖에 들리지 않습니다.......결단코 번뇌가 사라지는 것이 깨달음이 아닙니다.. 한번이라도 무엇이 존재하는지 고민해 보십시오.. 존재함이 있어야 깨달음도 있고 산도 있고 바다도 있고 우주가 있는 것입니다. AI 로봇이 되지 마시고 우주의 주인인 되십시오... 나무 관세음보살 ... 진실로 허망하지 않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임진수선생님, 생각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fb5jz4nh9x
@user-fb5jz4nh9x 3 жыл бұрын
@UCq1IlC3GGHp2KLf4BtXNkbQ 모든공부의 출발점은 나로 부터 시작되며 결국 나로 돌아오게 되어 있습니까^^ 결국 진정한 자신이 있어야 이 우주법계가 나의 마음에서 비롯되었다는것을 알게됩니다 그 마음이라는 것이 생하고 멸하는 것이라면 허망한 것이 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은 깨침을 통해 알수 있습니다^^ 결국 나의 존재를 안다는 것은 다른이도 나와 같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불교는 모든 식(마음) 있는것은 다 불성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모두가 평등무차별입니다 우리는 중도를 치우침이 없는것으로 생각되지만 이것의 바른 뜻은 우주의 중심인 바로 진정한 나를 가리키고 있는것입니다^^ 사실 아주 깊은 통찰이 필요한 내용입니다^^ 철학이나 불교를 아주 깊게 공부하지 않으면 알기 어려운 것이고 바로 존재에 대한 고찰이기 때문입니다^^
@user-eo2rl1og8c
@user-eo2rl1og8c 2 жыл бұрын
일체개공이라는 부처의 말씀을 ....
@user-lk4di4mg7z
@user-lk4di4mg7z 2 жыл бұрын
갑자기 달마대사의 말씀이 떠오르네요 양무제가 이렇게나 많은 보시 했으니 나의 공덕이 얼마나 많소 ? 묻자 달마대사님이 "무요"즉 하나도 없다라고 해서 죽임을 당하고 ....신발하나 석장에 끼어들고 다시 서쪽으로 가셨다는. .
@picolrosancho8528
@picolrosancho8528 2 жыл бұрын
잠자는 동안에 나는 어디에 있나요? 그것이 나의 실체 아닐까요? 잠자는 그 순간, 그 긴 시간 동안 나는 어디 어떻게 무엇을 하고 있나요? 허망하지요. 잠자는 동안의 나, 태어나기 전의 나, 죽은 후의 나, 그리고 오감으로 살아갈 때의 나 다 같은 나 라고 봅니다. 아주 허망하지요. AI로봇이 아니라 그냥 그런 것입니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듯이 사람은 사람입니다. 감히 다시 한번 잠자는 동안에 나는 ? 을 생각해 보심을 권해 봅니다.
@user-un9jg8rz1p
@user-un9jg8rz1p 7 ай бұрын
눈이 생기니 객관이 시작...이라 시지만, 눈으로 확인하는 것 자체도 주관적 관점이 아닌지요?
@user-lo9ut6zr7f
@user-lo9ut6zr7f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규정한 깨달음 모든 욕망이 사라진 상태라 하는데 그 기준으로 본다면 부처님도 깨달은게 아니네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말씀을 다르게 이해하신듯합니다. 함께 해주시고,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o9ut6zr7f
@user-lo9ut6zr7f 3 жыл бұрын
@@koreainsight 좋은 방송 들으면서 많이 배우고 있어 고맙습니다
@hyesookjun2041
@hyesookjun2041 3 жыл бұрын
객관적인 미시의 영역! 이해될 수 없어도!???? 그냥저냥..... 믿으며 살면 어떨까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전혜숙선생님, 경청해주시고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x6eo5wi4l
@user-hx6eo5wi4l 3 жыл бұрын
화를 없애고 욕망을 없애는 것은 죽을때까지 수행해도 안될듯 싶은데 이걸 완전히 없앤분이 있나요?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화와 욕망의 에너지를 보살의 서원으로 돌리면 좋을듯합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ebastian9728
@sebastian9728 2 жыл бұрын
객관은 없고 주관만있다? 맞나요? ``모든객관은 특수한 주관의 반영일뿐이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Sebastian님, 나름 잘 정리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gosimmugaaemugaaegomuugongpo
@gosimmugaaemugaaegomuugongpo 3 жыл бұрын
능가경 능가경 능가경 나무붓다야 나무달마야 나무상가야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osimmugaaemugaaegomuugongpo
@gosimmugaaemugaaegomuugongpo 3 жыл бұрын
@@koreainsight 아고^^ 선생님 호칭은 말도 안되십니다! 이제 반야심경 외우는 정도입니다! 올려주신 동영상 열심히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vante_hd_2010
@avante_hd_2010 Жыл бұрын
김성철 교수님이 주식하시면 떼돈 버실 듯.
@user-uv1gq9po7i
@user-uv1gq9po7i 7 ай бұрын
주식은 마음자리가 아니라 생각자리의 영역이라😂
@user-uh9oq7zj7j
@user-uh9oq7zj7j 3 жыл бұрын
깨달음에 대한 점검 1.나에게 번뇌가 있나? 2.탐욕.분노가 있나? 3.세상에 대해서 지적으로 모호한 점이 있나? 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
@koreainsight
@koreainsight 3 жыл бұрын
세하유님, 경청해주시고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l5gl3vc2y
@user-rl5gl3vc2y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lj6bw1bu7g
@user-lj6bw1bu7g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koreainsight
@koreainsight 2 жыл бұрын
최선님,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조회수 백만이상 즉문즉설 레전드 몰아보기 #8
2:33:57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1923. 마음이란 무엇입니까?
9:55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Рет қаралды 387 М.
조회수 백만이상 즉문즉설 레전드 몰아보기 #5
2:43:45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