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탄vs메갈로돈|최강의 이빨고래 리비아탄은 메갈로돈을 이길 수 있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711,661

과학드림 [Science Dream]

과학드림 [Science Dream]

9 ай бұрын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신생대 바다에는 최강의 해양 포식자가
2종 있었습니다.
하나는 그 이름도 유명한 메갈로돈,
또 다른 하나는 바로 이빨고래 리비아탄이죠.
이 둘은 살았던 시기와 장소가 겹쳤기 때문에
아마 경쟁이 불가피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요.
과연, 리비아탄은 메갈로돈의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었을까요?
#리비아탄 #메갈로돈 #대결
=============================================
[참고 자료]
- en.wikipedia.org/wiki/Livyatan
- Olivier Lambert et al., (2010). "The giant bite of a new raptorial sperm whale from the Miocene epoch of Peru."
- Humberto G. Ferron, (2017). "Regional endothermy as a trigger for gigantism in some extinct macropredatory sharks."
- Jack A. Cooper et al., (2022). "The extinct shark Otodus megalodon was a transoceanic superpredator: Inferences from 3D modeling."
- Kenshu Shimada et al., (2023). "Tessellated calcified cartilage and placoid scales of the Neogene megatooth shark, Otodus megalodon (Lamniformes: Otodontidae), offer new insights into its biology and the evolution of regional endothermy and gigantism in the otodontid clade."
- Jessica L. Rudd et al., (2021). "High resolution biologging of breaching by the world’s second largest shark species."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Music: [Celerbration] by Alexander Nakarada (www.serpentsoundstudios.com)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BY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b...
(2)Buccaneers March
(3)Reflection
(4)Out law soft the old West
(5)Aint Looking back

Пікірлер: 946
@user-armyharu
@user-armyharu 9 ай бұрын
다른 과학 유튜버분들도 vs시리즈로 싸움 잘 붙이던데 과학드림님 버전이라니요 이거참 귀하군요
@kazamatai_1go
@kazamatai_1go 9 ай бұрын
2개월전에 연구된 것까지 조사하셔서 영상에 쓰시다니.. 진짜 너무 좋아...
@user-nq2pz6pu9i
@user-nq2pz6pu9i 9 ай бұрын
괴물끼리의 매치업은 언제나 두근거림을 유발하죠 특히나 이 둘은 동시대에 살았다는 점까지 있어서 더 흥미로운거 같네요 진짜 그 시절로 갈 수 있다면 가장 직접 보고 싶은 싸움ㅋㅋㅋ
@Nrg912
@Nrg912 4 ай бұрын
ㄴㄷㅆ
@eidje8ske8ckd
@eidje8ske8ckd 2 ай бұрын
근데 뭐 리바이탄이 먼저 멸종했으니 메갈로돈이 우세했겠지
@user-dz3ym5er4l
@user-dz3ym5er4l 9 ай бұрын
메갈로돈 vs 리비아탄... 과학드림 진짜 썸네일이랑 제목 치트키쓰지마라... 메갈로돈 리비아탄 애미애비도 못참고 궁금해서 클릭하겠다...
@user-gy6nf6hv2e
@user-gy6nf6hv2e 8 ай бұрын
ㅋㅋㅋ저도여 ㅋ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8 ай бұрын
이미 멸종되어 클릭 못함
@user-FRrendlif
@user-FRrendlif 6 ай бұрын
근데 영상 결과적으로보면 리비아탄 특징이랑 메갈로돈 특징 비교하는거보면 vs는 맡긴함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SF_707_MadNyang
@SF_707_MadNyang 9 ай бұрын
영상 업뎃 엄청 기다렸습니다~ ㅠㅜ
@ScienceDream
@ScienceDream 9 ай бұрын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9 ай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ㅋㅋㅋ
@user-ov2ws7mq4r
@user-ov2ws7mq4r 8 ай бұрын
모음집 만들어주ㅛㅔ여 자면서 보면 잠도 잘오고 재미도 있어여.!
@maldini1838
@maldini1838 9 ай бұрын
매번 재미있습니다! 다음 편 또 기대합니다...
@user-ll1zs4vy7n
@user-ll1zs4vy7n 9 ай бұрын
정말 흥미있고 매번 반복해서 봐도 재밌네요 심지어는 잠잘때 Asmr처럼 듣기도 해요 너무 고맙습니다
@ScienceDream
@ScienceDream 9 ай бұрын
어머낫! 후원 감사합니다ㅠ 너무 댓이 늦었네요ㅠ 좋은 주말 보내세요~!❤
@suribilee4886
@suribilee4886 9 ай бұрын
딱봐도 가급적 서로는 안건드렸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동물들만 봐도 체급이 비슷하면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면 리스크를 걸고 싸움을 하지 않죠.
@roymustang6822
@roymustang6822 9 ай бұрын
영상 편집도 재밌게 하시고 설명도 쏙쏙들어오고 목소리도 좋으시네
@user-ic9lb2pu2k
@user-ic9lb2pu2k 9 ай бұрын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zv6kv9rv5v
@user-zv6kv9rv5v 9 ай бұрын
몹시재미있읍니다.
@aigumoney
@aigumoney 9 ай бұрын
상위 포식자들이 서로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다면, 안싸우고 피한다는 진리를 동물의 세계에서 심심찮게 들었던지라.... 싸우고 이겨도 큰 상처가 남으면 나중에 죽을 뿐... 누가 항생제 놔주고, 뼈 맞춰줄것도 아닌데.
@jos7709
@jos7709 8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bb7fn3nj7w
@user-bb7fn3nj7w 8 ай бұрын
와 이 주제를 과학드림님깨서 다뤄주실 줄이야… ㄷㄷ 감사합니다 ㅠㅠ
@user-nu1dx1dd4b
@user-nu1dx1dd4b 9 ай бұрын
VS논쟁으로 유명한 티라노사우루스와 스피노사우루스는 살던 시기도 다르고 설령 마추친다해도 양쪽 다 물러날 가능성이 있는데 반해 이둘은 시기도 같고,당시 최상위 포식자였으니 좀더 흥미롭게 느껴지네요.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티라노는 수각류 공룡 부동의 원탑임 스피노가 비빌 레벨이 아님
@user-xn9ko3ir2p
@user-xn9ko3ir2p 9 ай бұрын
그거 이미 티라노 압승으로 바뀐지 오래됬어요 스피노 최근 복원 모습 보시면 납득 가실거임
@user-wk4sg9ii8t
@user-wk4sg9ii8t 9 ай бұрын
이젠 티라노 스피노보단 티라노 카르카로돈토나 기가노토쪽이 좀더 흥미로울듯
@linkseo3948
@linkseo3948 9 ай бұрын
@@user-wk4sg9ii8t 솔직히 최강체 기가노토랑 최약체 티라노랑 싸우면 기가노토가 이기겠지만 평균으로 따지면 티라노가 훨씬 쎔. 사람으로 따지면 같은 키인데 65kg과 85kg의 싸움
@user-vb9xv9un2u
@user-vb9xv9un2u 9 ай бұрын
결론이 이미 나서 그건... 제대로 된 치고 밖고 물고 드가기 전에 이미 스피노의 척추뼈 골절...
@user-fe1db3ty7x
@user-fe1db3ty7x 9 ай бұрын
제가 본 vs 영상들중 가장 흥미롭고 재미있었어요 과학드림님 👍굿
@rainmune
@rainmune 9 ай бұрын
와우, 대박! 클릭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호기심 자극 영상을 올리셨네요.
@cyphaspis_sp
@cyphaspis_sp 9 ай бұрын
혹시 고생대 초기에 등장하여 데본기에 자취를 감춘. 아노말로카리스로 대표되는 라디오돈타 목(Radiodonta) 생물들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Neky_Hina
@Neky_Hina 9 ай бұрын
싸우거나 할 때 체온 상승이 얼마나 일어날지도 관건이겠네요. 참치류의 경우엔 특히 몸집이 큰 참치류는 낚싯바늘에 걸리거나 해서 살려고 죽을힘을 다한 나머지 근육이 체온으로 익어 버리는 대참사가 이따금 일어난다고 하죠. 같은 일이 저들에게도 일어났다면 아마 서로 애초에 싸움을 피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user-fw1cl1zh5e
@user-fw1cl1zh5e 8 ай бұрын
과학드림님 덕분에 친구들에게 많은 정보를 알려줄수있었어요. 그래서 저도 뿌듣하네요. 감사합니다.
@user-dt3oy1jh7z
@user-dt3oy1jh7z 8 ай бұрын
영상좀 빨리 올려줘요...현기증나요..
@sunghoonjung9570
@sunghoonjung9570 9 ай бұрын
고대 해양생물 최강의 떡밥인 메갈로돈 vs 리비아탄이네.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 유튜브 봐도 장난아니던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YiNephu
@YiNephu 9 ай бұрын
정론으로 이끌 수 있을만큼 심도있는 분석이 아닌, 그저 재미로 해보는 분석이라 할지라도 주어진 정보 안에서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납득할 수 있을만한 분석이라면 충분히 과학의 영역 안에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ScienceDream
@ScienceDream 9 ай бұрын
ㅠㅠ감사합니다😂😂
@user-lovedog320
@user-lovedog320 8 ай бұрын
메갈로돈 리비아탄 보다 더 강력한 생물은 인간이다 인간은 못이기지 ㅋㅋ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8 ай бұрын
제가 보기에도 동의합니다. 저런 납득할 만한 이유로 분석을 한다면 당시 생태적 지위에 대한 연구로도 이어질 수 있겠죠.
@user-lf1md2tc5n
@user-lf1md2tc5n 5 ай бұрын
​@@ScienceDream메갈로돈 크기가18~25m정도 되요
@maenghoboodae
@maenghoboodae 3 ай бұрын
7:10 급소를 왕~ 너무귀엽네요 ㅋㅋㅋㅋ
@user-uk1fb5qq8x
@user-uk1fb5qq8x 6 ай бұрын
아르마딜로 진화에 대한 영상 만들어 주세여 ❤️
@CocoPhamHannie
@CocoPhamHannie 8 ай бұрын
3:39 와우 이 부분 출처 어딘가요?
@user-xf2ci7kv9m
@user-xf2ci7kv9m 9 ай бұрын
코모도 왕도마뱀도 되게 신기하고 멋진점 많던데 한번 자세히 다뤄봐 주세영!
@bms735
@bms735 9 ай бұрын
혹시 이상하게 빠져드는 과학책 2탄은 출시하실 생각은 없나요? 이번 주제가 더 자세한 내용으로 들어가면 재미있을 것 같네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9 ай бұрын
10월이나 11월 경에 나올 것 같습니다:)
@User-duehebwydurjejsh
@User-duehebwydurjejsh 9 ай бұрын
조물주쉨 낭만이 없어 향유고래랑 대왕고래 크기 바꿔서 출시했어야지
@user-wn7bz4ej9t
@user-wn7bz4ej9t 9 ай бұрын
우리가 이름을 바꾸면 되잖아
@zcxvcbvnb
@zcxvcbvnb 9 ай бұрын
@@user-wn7bz4ej9t제일 큰 생물이 이빨포식자여야 재밌지
@user-si1ot4wo3l
@user-si1ot4wo3l 9 ай бұрын
@@zcxvcbvnb 그럼 이미 인간에 의해 멸종함
@user-jg7og4lh4v
@user-jg7og4lh4v 9 ай бұрын
조물주가 센스가 있었으면 우리 뚜껑이 날라가겠니..
@Kuper_Khoe
@Kuper_Khoe 9 ай бұрын
조물주: 밸런스패치 한겁니다~~
@user-yz7wo9oc1f
@user-yz7wo9oc1f 9 ай бұрын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구독하고 갈께용
@whatthe797
@whatthe797 9 ай бұрын
데이노스쿠스 영상도 제작해주세용
@user-xd1yi2jn6y
@user-xd1yi2jn6y 9 ай бұрын
난 요새 형님 영상보는 낙으로 살어요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처럼 열심히 일하셔서 돈도 많이 버시고 좋은 영상도 더 만들어줘잉😊
@ScienceDream
@ScienceDream 9 ай бұрын
제가 감사하죠❤
@user-lu3ji5wc6j
@user-lu3ji5wc6j 9 ай бұрын
과학드림은 역시 고대생물이제잉
@Mr._Tarbosaurus
@Mr._Tarbosaurus 9 ай бұрын
썸네일부터 가슴이 웅장해지는 괴수 🐳 vs 괴수 🦈......... 플라이오세 기간 동안 바다의 패권을 두고 종종 충돌했을 두 포식자의 과학적 특징만 놓고 봐도 어느 쪽이 이기든 지든 결과는 영원한 수수께끼 그 자체로군요.
@user-qn9ce9wo9p
@user-qn9ce9wo9p 9 ай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user-ce6zo9zj6h
@user-ce6zo9zj6h 6 ай бұрын
심장이 두근두근 💓
@realkuuuu5457
@realkuuuu5457 9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그랬을 수 도 있다~ 이거지요?
@user-kt8uu8wr5o
@user-kt8uu8wr5o 9 ай бұрын
신생대 인류세. 우리는 미니멀리즘의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그러니 안전하죠. 우리가 어업하는데. 레비아탄과 메갈로돈이 붙으면. 괴물 싸움에 어업선 등 터지는 거.
@user-wt2gn2hq7l
@user-wt2gn2hq7l 9 ай бұрын
100만가자[저구독했어요.재미있게보고있어요]
@LK-99
@LK-99 9 ай бұрын
오 레비아탄에 대한 지식은 전무했는데 새롭게 알고 가네요
@user-sd6id5xw8j
@user-sd6id5xw8j 9 ай бұрын
고래가 파이트 IQ, 수영 능력, 공격 옵션, 맷집 등이 뛰어나서 유리해보이지만 상어의 한방도 무시할 순 없겠습니다
@user-vt1eu3ur4u
@user-vt1eu3ur4u 8 ай бұрын
한방이 쎄긴하지만 님은 만약 강한데 조금한 이빨보다 어느정도 쎄고 매우 긴 이빨인 레비아탄 과 IQ가 높은 얘라 저는 리비아탄거의 승리라고 생각합니당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7 ай бұрын
@@user-vt1eu3ur4u 싸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체급이고 체급과 살상력 둘 다 리비아탄보다 뛰어난 메갈로돈이 단독 1ㄷ1은 유리할 듯
@user-wx6xl8it5w
@user-wx6xl8it5w 6 ай бұрын
상어의 한방도 무시할 순 없는 수준이 아니라, 애초에 메갈로돈이 더 유리합니다
@jhs983
@jhs983 6 ай бұрын
​@@user-vt1eu3ur4u조그마한 이빨이 더 힘이 더 잘 실리고 뭉툭할수록 힘이 덜 실리는걸로아는데요?
@rememberpupu
@rememberpupu 5 ай бұрын
@@jhs983 어류하고 포유류하고 비교하는거 아니다 백상아리가 범고래랑 덩치 비슷하다고 상대가 될 거 같냐?
@3e._.
@3e._. 9 ай бұрын
이로써 저희는, 과학드림님은 친구들과 만나서 놀면 누가누가 더 쌔냐로 배팅하고 노신다~라는걸 알 수 있었습니다.^^
@nclslove
@nclslove 9 ай бұрын
미쳣다.... 과학드림님이 말아주는 VS
@namulnara
@namulnara 9 ай бұрын
이런건 진화생물학 공부하는 친구끼리 배팅하는거 보면 재미있을거 같아요😊
@user-yu4eu6ez4s
@user-yu4eu6ez4s 9 ай бұрын
멸종 시기가 리비아탄(500만년전)이 메갈로돈(360만년전)보다 빠른거 보면, 메갈로돈이 리비아탄보다 생태계에서 더 우위에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물론 번식방법이나 수명 등에서 차이도 발생했겠지만요..ㅎㅎ
@AppleTea-Hot
@AppleTea-Hot 9 ай бұрын
둘이 비슷한 최상의 포식자라 비교는 의미 없을겁니다 이기고 지는 것도 개체차이일뿐, 어느 한종이 이긴다 하긴 힘듬 갠적으로 서로 피해다녔을거 같은데 굳이 따지자면 메갈로돈보다 늦게 등장했고 더 먼저 멸종한 리비아탄이 판정패라 할 수 있겠음
@Eunpyeong-gu-bunongsaryinma
@Eunpyeong-gu-bunongsaryinma 4 ай бұрын
근데 과학드림 좀 편향적이라서 좀 싫긴 함 예전영상도 리비아탄이 훨씬 먼저 멸종했는데 리비아탄에게 밀려 멸종했다고 날조하고 싸움 붙이는것도 속도빼고 모든게 우월하고 지능도 미지수인 메갈로돈을 어거지로 지는것처럼 영상만들고 ㅋㅋㅋ 결국 범고래랑 먹이경쟁해서 패배한 화석들인데 굳이 지가 좋아하는거 이기게 한다고 고생물끼리 싸움놀이 하는 수준이 그냥 처참함 과학드림 영상이 초심을 많이 벗어났는데 그중에서도 범고래영상과 독단적으로 어그로용 썸넬이라 들어왔는데 역시는 역시ㅋㅋㅋ 걍 동물돋보기랑 다를게 없네
@DBP8829
@DBP8829 9 ай бұрын
순간 다른 채널인줄 알았네...이 채널에서 vs를 보는 날이 오네
@user-tw6se3zu8x
@user-tw6se3zu8x 9 ай бұрын
빨리 백만 되었으면 좋겠어요
@user-ho3je8ov5i
@user-ho3je8ov5i 9 ай бұрын
둘다 지금 없다는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할까요 ㄷㄷㄷ 지금까지 있었으면 진짜 무서웠겠네...
@user-rl9uh8et4j
@user-rl9uh8et4j 9 ай бұрын
지금도 향유고래 있지만, 암도 신경안쓰죠……. 사는 바다에 빠질일도 없고, 대부분의 상어 사고도 해안가라서….. 메갈로돈이 수심 낮은 곳까지 오진 않았을거라 … 그리고 지금 샥스핀 때문에 상어가 오질라게 죽어가는데… 저 덩치 큰놈이 사람에 위험하기 까지 하다? 작은 애도 아니고 1 년내에 멸절 시킬수 있 ㅋ
@user-ps2iq5ex2n
@user-ps2iq5ex2n 5 ай бұрын
잠수함들이 다 사냥하고 다니지 않았을까요 ㅋㅋ
@user-ct8pe8qp2y
@user-ct8pe8qp2y 9 ай бұрын
진짜 궁금해서 질문드리는데요 백상아리가 속한 상어는 연골 어류라서 턱힘이 상대적으로 약해서 치악력이 약하게 측정된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메갈로돈은 왜 치악력이 넘사벽으로 높게 나오는 것일까요?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상어 치악력은 매우 강한 편임 시물레이션 기준 6m 정도의 백상아리가 1.8t 이상의 치악력을 낼 수 있는 것만 봐도. 실측정치는 온 힘을 다해서 물었는지 판단할 수도 없을 뿐더러 물어뜯는 데 적합한 이빨 구조를 가진 상어가 굳이 큰 힘을 들어가며 물 필요도 없고. 애초에 연골 어류인 거랑 치악력은 상관 없는데ㅋㅋㅋㅋ 치악력에서 중요한 요소는 구강 구조지
@user-ct8pe8qp2y
@user-ct8pe8qp2y 9 ай бұрын
@@Bozizazizzamzi 백상아리가 연골 때문에 턱이 고정되지 않아서? 치악력이 형편 없다고 들었던 것 같은 데 잘못들었나 보군요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user-ct8pe8qp2y 치악력이 형편 없었으면 두꺼운 지방층을 가진 고래의 살점을 어떻게 그리 쉽게 뜯어내겠음
@user-hamburgerlover
@user-hamburgerlover 9 ай бұрын
실제로 메갈로돈은 체중 대비 치악력이 강한 편이 아님. 18t이라 해서 ㅈㄴ 높아보이지만,그 메갈로돈이 100+@t이란걸 생각하면… 다만 백상아리의 치악력은 결코 낮은 편이 아닌데,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알고 있는 수치인 수백키로그람대는 명백히 틀린 수치임.청상아리만 해도 1t은 나옴. 실제로 메갈로돈의 치악력을 연구한 연구결과에서는 3300kg대의 백상아리의 치악력이 1.8t정도로 나옴. 수백키로그람대는 아마도 400kg정도 나가는 백상아리의 치악력일꺼임
@user-lc1me4qj2w
@user-lc1me4qj2w 9 ай бұрын
07:11 왕~! 하는거 커엽
@user-nk4yt5mg4w
@user-nk4yt5mg4w 9 ай бұрын
앤드류사커스 한 번만 다뤄주세요 ㅜㅜㅜㅜㅜ
@jtyfvndf
@jtyfvndf 9 ай бұрын
오늘도 과학드림을 보러온 드리머들이 많구만~
@freefalling346
@freefalling346 9 ай бұрын
서로 치명타 입힐 관계면 싸움을 피하지 않을까 ??
@user-wx6xl8it5w
@user-wx6xl8it5w 4 ай бұрын
이게 가장 압도적으로 가능성 높긴 함 근데 굳이 둘이 붙는다면 메갈로돈이 더 유리할거라 생각함
@gailcha6466
@gailcha6466 3 ай бұрын
애초에 야생동물들은 영역다툼이나 짝짓기를 위해서가 아니면 싸움을 하지 않죠. 사냥할때도 자기보다 월등히 약한 개체를 노리지, 목숨을 걸어야 할 정도로 위험한 먹잇감을 노리지 않죠.
@user-gp8iz4jw6k
@user-gp8iz4jw6k 9 ай бұрын
어디서 말해도 안봐줄거 같지만 돌묵상어 같이 플랑크톤이 주식인 상어와 메갈로돈같이 큰고기,고래등이 주식인 상어들이랑 최대속도를 낼 수 있는 힘이 다를 것 같습니다.어디까지나 추측이지만요
@user-yl7ub7un7l
@user-yl7ub7un7l 9 ай бұрын
영화 메갈로돈2 보셨나요? 메갈로동 하니까 갑자기 생각났네요 ㅋㅋ
@Mriiiiiim
@Mriiiiiim 9 ай бұрын
마이오세 바다괴물들은 못참지 아 ㅋㅋ
@bkjeong4302
@bkjeong4302 9 ай бұрын
상어 대 해양 포유류 전투의 경우 중요한 것은 지능이 아니라 체급입니다. 범고래가 백상아리를 죽일 수 있는 것도 압도적인 체급 차이가 일등공신이지, 지능이 결정적 변수가 아닙니다 (그러니까 다른 돌고래들은 지능이 있어도 백상아리에게 잡아먹히지). 이 경우에서는 어느 쪽도 체급이 우위가 아니기 때문에 애매한데, 리비아탄이 작은 돌고래 수준으로 아주 빨랐다고 생각할 이유도 었기 때문에 속도도 애매합니다. 사실상 먼저 무는 쪽이 이기는 승리입니다. 물론 최후에 더 오래 살아남은 쪽은 메갈로돈이었지만…..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8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 지능이 뭔 의미노ㅋㅋㅋㅋㅋ
@skymars2069
@skymars2069 6 ай бұрын
이런 가상의 매치 너무 좋아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9 ай бұрын
이거 채널 영상 제작하는 분이 두분이신가요? 한번씩 완전 다른 사람 목소리처럼 들리는 경우가 있던데 이 영상은 또 예전 영상과 같은 목소리네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9 ай бұрын
저 한명입니다 전문 성우가 아니라서 그때 그때 목소리 컨디션에 따라 음질이 다른 것 같아요ㅠ
@memerestaurant1772
@memerestaurant1772 4 ай бұрын
웅장이 가슴해지는 리비아탄vs메갈로돈
@user-fg8sy4zj5j
@user-fg8sy4zj5j 9 ай бұрын
다음 메갈로돈 영화에는 진정한 메갈로돈의 라이벌 리비아탄이 나타나기를 바랍니다.
@user-pd4yf5mb3n
@user-pd4yf5mb3n 9 ай бұрын
자본이 중국이기에 가능할수도 있다고 봅니다 미국이였음 불가능할테고~
@jaguar3119
@jaguar3119 9 ай бұрын
같은 포유류인 리비아탄 한표 줍니다...
@seungminkim9173
@seungminkim9173 9 ай бұрын
메가로돈이 이길 것 같습니다
@6IXT4IL
@6IXT4IL 9 ай бұрын
현직 백상아리인데 같은 어류인 메갈로돈 지지합니다
@jungjjerry
@jungjjerry 9 ай бұрын
학연 지연 혈연 류연
@user-fo5xs1uy3c
@user-fo5xs1uy3c 9 ай бұрын
리비아탄
@user-oy9rt1lw8h
@user-oy9rt1lw8h 9 ай бұрын
포유류가 멸종은 시켰는데 레바이탄이 아닌 범고래가 멸종시켰어. 범고래 진화와 메갈로돈 멸종이 시간이 일치해 이게 우연일까? 그냥 배를 머리로만 받아도 메갈로돈은 즉사야. 더럽게 충격맷집이 상어는 약하거든?
@user-se5ty8uv3f
@user-se5ty8uv3f 9 ай бұрын
진짜 예전부터 항상 궁금했던 소재
@My_Zot_de_ro
@My_Zot_de_ro 9 ай бұрын
가장큰 공룡 내용도 다시 다룰수 있나요?
@leeva45
@leeva45 8 ай бұрын
현존생물인 호랑이와 사자도 최강자떡밥이 식지 않는데 고생물을 가지고 얘기하는 게 참 쉽진 않을 것 같네요 ㅋㅋㅋㅋㅋㅋ 그래도 굉장히 재미있는 주제였습니다!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7 ай бұрын
식육목 최강은 이미 곰이 원탑 먹고 있는데?
@BBang9909
@BBang9909 6 ай бұрын
1:1로 싸우면 호랑이가 씹압살이에요
@user-ro8eb3zi7x
@user-ro8eb3zi7x 6 ай бұрын
시베리아 호랑이 크기 모름? 사자 끔살당함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6 ай бұрын
@@user-ro8eb3zi7x 끔살은 뭔ㅋㅋㅋ 엄대엄 칠 수준은 된다
@user-wx6xl8it5w
@user-wx6xl8it5w 4 ай бұрын
​@@Bozizazizzamzi음
@user-ih6sw8jb9s
@user-ih6sw8jb9s 8 ай бұрын
이런 컨텐츠 더 나오면 좋겠다ㅋㅋ 어릴때 동물이나 공룡 대결 모아놓은 책 진짜 재미있게 읽었는데, 비슷한 채구의 동물끼리 가상대결 영상에 과학드림 나레이션 들어가면 재미조질듯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7 ай бұрын
동물이나 공룡? 존나 어폔데
@TGuardians
@TGuardians 9 ай бұрын
와.. 이게 진짜 웅장한 싸움이지 ㄷㄷㄷㄷ 새우는 남아나지 못했것네 ㄷㄷㄷ
@duri1108
@duri1108 9 ай бұрын
리비아탄이 향유고래와 체형이 비슷하다고 가정했을시 무는것보다는 박치기를 활용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목조선도 박살내는 향유고래 박치기 특성상 상어에 들이받으면 백프로 엄청난 타격을 줬을겁니다. 유영속도도 훨씬 빠르니 40km속도로 트럭이 들이받는다고 생각해보면 이쪽이 훨씬 데미지가 클듯
@Symbiotian
@Symbiotian 9 ай бұрын
자료영상 보니 그 초고퀄 개인제작 영상 보고 아이디어 나셨나봅니다 ㅋㅋ
@pinkgl
@pinkgl 9 ай бұрын
아무리 덩치차이가 있다지만 범고래가 백상아리 가지고 노는거 보면 개소름임.. 그래서 리비아탄에 한표
@user-nd7to2ci7b
@user-nd7to2ci7b 9 ай бұрын
범고래가 백상아리보다 2~5배 이상 큼 가지고 노는 것도 체급빨로 가능한거임
@Imperialis278
@Imperialis278 9 ай бұрын
사람도 50kg랑 90kg이랑 싸우면 90kg가 가지고 놀죠
@arcueid51211
@arcueid51211 9 ай бұрын
등빨차이가 있긴하지만 상어를 뒤집으면 기절한다는걸 알고 있는것도 신기하죠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그거야 백상아리 평균 0.5~1.1t 범고래 평균 4~6t이니깐 그렇지ㅋㅋㅋ 메갈로돈이 평체는 물론 최대 추정치도 압도적으로 커서 레비아탄이 이기긴 힘듦
@user-nd7to2ci7b
@user-nd7to2ci7b 9 ай бұрын
​@@arcueid51211상어도 고래를 누르면 숨 못 쉰다는건 암 그래서 그걸로 고래를 사냥하기도 하고
@user-eg2vy2yc6o
@user-eg2vy2yc6o 9 ай бұрын
이걸 어떻게 안들어오냐고 ㅋㅋ
@fefdfe
@fefdfe 9 ай бұрын
ㅇㅈㅋㅋㅋ
@user-sx9sf3uw2k
@user-sx9sf3uw2k 8 ай бұрын
닭머리 는 무슨원리로 고정되나요 이거 다뤄주세요 ㅎ
@user-pi9oc3oi2w
@user-pi9oc3oi2w 9 ай бұрын
재밌겠다
@SF_707_MadNyang
@SF_707_MadNyang 9 ай бұрын
결국 마지막까지 더 오래 살아 남은 놈이 승자가 아닐까요? 아무래도 야생에서 강자 대 강자의 싸움은 죽고 사는 일이라 서로 한창 번성 하던 시절엔 특별한 이유 없이는 안 붙었을 거 같고 두 종이 같이 서식 하던 지역에서 더 오래 살아 남은 종.. 최후의 먹이 경쟁에서 더 강한 종이 잡아 먹는 입장이 되었을 거 같습니다.. 그러니 메갈로돈이 승리 했을 듯..
@bearbeanie9222
@bearbeanie9222 9 ай бұрын
? 그 논리면 리비아탄이죠. 메갈로돈이 속한 상어과는 멸종했지만(백상아리랑 돌묵상어는 다른 과) 리비아탄은 향유고래라는 후손격이 남아있으니까요.
@user-nd7to2ci7b
@user-nd7to2ci7b 9 ай бұрын
​@@bearbeanie9222사실 그런 논리로 따지면 고세균이 생물 GOAT니까 의미없지
@AppleTea-Hot
@AppleTea-Hot 9 ай бұрын
​@@bearbeanie9222 향유고래가 직계후손도 아니고 좀 다르지 않을련지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bearbeanie9222 리비아탄속과 오토두스속 둘 다 멸종함 종끼리 비교하는 게 맞지
@user-pd4yf5mb3n
@user-pd4yf5mb3n 9 ай бұрын
@@bearbeanie9222 메갈로돈 후손이 청상아리라는 뉴스를 본적이 있는데???
@user-ck2rr1pc4z
@user-ck2rr1pc4z 9 ай бұрын
살았던 시기로 보면 리비아탄이 더 일찍 멸종했으니까 메갈로돈이 더 유리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함. 범고래와 혹등고래와 같은 관계였다고 추측한다면.
@superfriend-hl4up
@superfriend-hl4up 6 ай бұрын
여상진짜재미었다
@Quirkaboo
@Quirkaboo 9 ай бұрын
티라노사우루스의 35000N 치악력 추정치는 어디서 발췌하신 건가요? 출처 부탁드리겠습니다.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 9 ай бұрын
내가 볼때 리비아탄의 결정적 우세는 체력임. 지금의 범고래가 고래사냥을 할때도 보이는 모습인데 체력차이때문에 지쳐서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대형고래들의 마라톤실력이 특출나서인데 리비아탄은 향유고래의 형제뻘이고 역시 대형고래답게 체력이 장난아님. 아마 기습으로 갈비뼈나 꼬리지느러미에 치명타를 가하지 못했다면 메갈로돈에게 불리할 것.
@sis4878
@sis4878 9 ай бұрын
그 리비아탄 체력 관련 논문 있기는 한지?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 9 ай бұрын
@@sis4878 보존률 10%도 안되서 아직 제대로 연구도 안되는데 논문없다고 아무 말도 못꺼내게 한다? 선동날조 진영논리 감정싸움이라도 원하냐? 이러니 전세계적으로 반지성주의가 유행이지 유튜브댓글에서까지 트집잡고 꼬장꼬장하게 구는데 열받지
@user-cm6qg6kc2s
@user-cm6qg6kc2s 8 ай бұрын
​@@sis4878이렇게 따지면 메갈로돈도 정보가 부족하죠... 그래서 현생에 존재하는 비슷한 동물을 기준으로 예상하는 거구요
@sis4878
@sis4878 8 ай бұрын
@@user-cm6qg6kc2s 메갈로돈은 속력뺀 웬만한 정보는 다 있습니다. 치악력이 18t 가량이라는 것도 거의 맞다는 인식이고 무엇보다 메갈로돈의 추정치는 상당히 많은 논문이 있어서 정보 부족은 아니죠
@sis4878
@sis4878 8 ай бұрын
@@user-cm6qg6kc2s 그리고 메갈로돈은 현생물중 같은 과인 생물이 없어요.
@user-gq7rs4gs3h
@user-gq7rs4gs3h 8 ай бұрын
메갈이지
@user-cb4cc5un9c
@user-cb4cc5un9c 9 ай бұрын
7탄 이쎄요
@greenie21
@greenie21 4 ай бұрын
이건 이렇다 저건 저거다 식의 출처를 생략한 명쾌함이 이건 이럴 것으로 사료된다는 출처를 동반한 정확함보다 잘 팔리는 게 유튜브일텐데, 확인이 가능한 즉 자신이 혹시 틀렸다면 그것대로 검증이 용이하도록 시간정성 들여 출처를 잊지 않으시는 점 특히 인상깊게 잘 보고 있습니다. 논문 재미있게 읽어주시는 교수님 강의같아요. 오래오래 채널 유지해 주시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jamesyang4634
@jamesyang4634 9 ай бұрын
리비아탄은 고래 지능과 비슷하다고 가능했을때 협동 사냥을 했을 수 도 있을거 같음
@user-hv1ko6ec8g
@user-hv1ko6ec8g 9 ай бұрын
향유고래가 무리사냥을 하던가요
@hateout
@hateout 9 ай бұрын
보통 무리사냥을 하는 동물들은 화석 발견도 무더기로 되던데 리비아탄이 그런경우가 있었나요
@kingshark1016
@kingshark1016 9 ай бұрын
​@@hateout리비아탄은 두개골 화석 하나만 발견되었습니다
@user-vkfvjfdl
@user-vkfvjfdl 9 ай бұрын
​@@user-hv1ko6ec8g향유고래는 무리생활합니다 실제로 장애를 가져서 무리에서 버려진 돌고래를 무리로받아준 사례도 있습니다
@user-hv1ko6ec8g
@user-hv1ko6ec8g 9 ай бұрын
@@user-vkfvjfdl 작은 사회를 이루는 건 알고있습니다만 사냥을 무리지어서 전략적으로 하냐는거죠
@alsid_
@alsid_ 9 ай бұрын
일단 좁은 수역(1 큐빅 킬로미터)에 가둬놓고 1대1로 싸움을 하도록 유도하면 메갈로돈이 이길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리비아탄이 기동성으로 상당기간 도망다니겠지만,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어어만 하는 상황에선 기습이나 매복도 어렵기에 지능의 이점이 상쇄될겁니다. 자연 환경에서는, 설령 메갈로돈이 리비아탄을 한 번 급습하더라도 리비아탄은 그냥 그대로 도망갈 것입니다. 그리고 리비아탄이 절대 단독으로 메갈로돈에게 덤비진 않을것 같고, 정 메갈로돈을 죽여야겠다는 판단이 서면 둘 이상이 힘을 합쳐 협공을 할 것 같습니다. 지능의 이점은 단독 사냥을 하던 포식자들이 필요에 의해 협동하게 되었을 때 좀 더 유기적인 움직임을 할 수 있게 할 것이고, 따라서 리비아탄의 피냄새를 맡고 합류한 메갈로돈 무리가 리비아탄을 사냥할 확률보다는 같은 수가 모여서 메갈로돈을 사냥하기로 결정한 리비아탄 무리가 사냥을 성공할 확률이 더 높겠죠.
@user-be4oh1wo4u
@user-be4oh1wo4u 9 ай бұрын
리비아탄이 무리를 지어다님?
@alsid_
@alsid_ 9 ай бұрын
@@user-be4oh1wo4u 이빨고래 종류들이 하는 행동들 다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일단 음파로 의사소통 하는건 어지간한 고래나 돌고래들은 다 하는 일이라, 향유고래나 리비아탄이라고 딱히 못할 이유는 없어보입니다만…
@user-cro6sna1spi7
@user-cro6sna1spi7 8 ай бұрын
항유고래가 혼자 다니지않나 리비라고 다를거 같진얺는디
@alsid_
@alsid_ 8 ай бұрын
@@user-cro6sna1spi7 향유고래는 암컷과 새끼들이 따로, 그리고 젊은 수컷들이 따로 무리지어 다닙니다. 그런데 수컷 향유고래 무리는 개체의 덩치가 커질수록 서로 갈라서며, 종국에는 단독생활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미디어에 등장하는 포경선을 침몰시키는 향유고래는 당연히 최대급 개체고, 따라서 단독 생활중인 향유고래기에 향유고래가 단독생활을 한다는 이미지가 퍼진것 같습니다. 향유고래 3마리가 메가마우스 상어 한마리를 집단 린치하는 사례가 실제로 목격되기도 하였습니다. 리비아탄도 최대급 개체는 단독생활을 했었겠지만, 짝짓기를 위해서든 젊을때 무리 지을 당시의 경험을 살려서든 리비아탄간의 의사소통은 여전히 가능할테고 그 범위는 km 단위입니다. 따라서 최대급 개체들이 위험한 메갈로돈을 손봐주기 위해 소리로 소통하며 집단린치 팀을 구성하는게 불가능하진 않을겁니다. 자주 있지도 않겠지만요.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7 ай бұрын
수컷 향유가 단독생활하는 거 보면 포식성 강한 리비도 단독생활 할 듯 함
@user-kx1sg9hr7s
@user-kx1sg9hr7s 9 ай бұрын
vs버전은 너무 좋아요..이 시리즈 만들어주세요
@mars9991n
@mars9991n 9 ай бұрын
보통 정점 끼리의 대결은 그날 컨디션 좋은넘이 이깁니다
@user-du6me8xe8l
@user-du6me8xe8l 9 ай бұрын
나는 일단 정확한 결과 발표 전까지는 메갈로돈한테 한표 줄거 같음
@user-hq3xj6hk3t
@user-hq3xj6hk3t 9 ай бұрын
포유류에 지능이 높은 리비아탄이 우세했을 것으로 보이긴 하나 생존시기를 보면 메갈로돈이 더 오래 생존했다는 건 리비아탄에게 생존에 필요한 뭔가가 결여됐다는 걸로 보임 화석을 토대로 보면 메갈로돈이 아주 약간 크다고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메갈로돈이 느려도 조금 우세였을 것으로 보임 항유고래가 바닥사냥 위주인 건 저 체형으로 고속기동 사냥이 힘들어서라고 보임.따라서 메갈로돈의 약간 우세로 보이네여
@sigoljams
@sigoljams 9 ай бұрын
와!
@user-js8qb5le5o
@user-js8qb5le5o 7 ай бұрын
개미가 뛰는것과 사람이 뛰는게 같다는 소리처럼들리네요.
@user-gq7rs4gs3h
@user-gq7rs4gs3h 8 ай бұрын
메갈로돈 이빨화석이18cm인데당연히메갈1표
@GGGAGGA
@GGGAGGA 8 ай бұрын
영상 안 봄? 리비아탄 이빨 크기가 30cm가 넘는다고 떡하니 언급하는데?
@BABOSD
@BABOSD 8 ай бұрын
@@GGGAGGA두께가 메갈로돈이 훨씬 더 두꺼울 뿐더러 턱 힘이 메갈로돈 압승이죠 근데 저분은 뭔 18cm 드립을 치시는 거지 이빨 길이로 따지면 무조건 리비아탄 압승인데 ㅋㅋㅋ
@user-gq7rs4gs3h
@user-gq7rs4gs3h 7 ай бұрын
야그대신메갈로돈은치악력이강력해이김
@user-gq7rs4gs3h
@user-gq7rs4gs3h 7 ай бұрын
야그리고나메갈로돈2봄
@user-gq7rs4gs3h
@user-gq7rs4gs3h 7 ай бұрын
이상한소리임
@user-wm4dk5uy2x
@user-wm4dk5uy2x 9 ай бұрын
상어가 고래 지능을 이기기 힘들었을듯
@user-hv1ko6ec8g
@user-hv1ko6ec8g 9 ай бұрын
상어도 일부 종은 지능이 상당히 높음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지능은 언제나 같은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고려되는 거지 최대 크기를 기준으론 메갈로돈이 압도적으로 커서 유리할 듯함
@user-vkfvjfdl
@user-vkfvjfdl 9 ай бұрын
​@@user-hv1ko6ec8g높다해도 고래랑 비교했을때 낮음 원숭이,침팬치가 지능이높다해도 인간에 비하면 애기수준인거처럼
@adsfdgfh
@adsfdgfh 9 ай бұрын
홀로 생활하는 고래가 지능이 얼마나 높았을지는 미지수임. 상어의 감각이 고래보다 뛰어나니 기습도 불가능했을것이고
@max.T.
@max.T. 9 ай бұрын
​@@adsfdgfh예전에 다큐에서 고래가 피를 흘리지 않는한 고래가 초음파로 상어를 먼저 발견할 확률이 더 높고 상대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수 있는 감각기관의 정확도도 고래보다 떨어진다고 하던데요.
@michaelchoi898
@michaelchoi898 6 ай бұрын
리비아탄은 왜 멸종 했을까.... 그보다 당시에 다 거대 했었던 이빨고래들은 지금은 볼수 없는 것인가 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네요 ㅎㅎ
@monrang
@monrang 9 ай бұрын
사나이의 피를 끓어오르게 하는 제목과 썸네일.... 안누를 수 가 없지...
@dongsinkim371
@dongsinkim371 9 ай бұрын
저는 리비아탄의 손, 아니 지느러미를 들어주고 싶습니다 ㅎㅎㅎ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 9 ай бұрын
향유고래와 비슷한 리비아탄은 향유고래와 달리 위 아래턱 모두 이빨을 가지고 있고 만약에 메갈로돈과 리비아탄이 싸우게 된다면 포유류이자 지능이 더 뛰어나며 방어력도 더욱 높은 리비아탄이 왠지 이길것 같네요
@user-nd7to2ci7b
@user-nd7to2ci7b 9 ай бұрын
덩치 차이가 거의 두 배 이상 나는데요?
@user-po3ur9cj1i
@user-po3ur9cj1i 9 ай бұрын
​@@user-nd7to2ci7b그건 메갈로돈 최대 크기의 경우이고 메갈로돈이 약간 더 컸다고 하네요
@user-nd7to2ci7b
@user-nd7to2ci7b 9 ай бұрын
@@user-po3ur9cj1i 리비아탄도 최대 크기로 따진 결과인데요?
@user-po3ur9cj1i
@user-po3ur9cj1i 9 ай бұрын
@@user-nd7to2ci7b 리비아탄이 표본이 하나밖에 없는데 그 표본의 크기가 15m대로 향유고래정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메갈로돈은 평균 크기가 14~17m라는 것이 정설이고 20m 100톤급 개체는 매우 희귀한 개체라고 추정됩니다
@Bozizazizzamzi
@Bozizazizzamzi 9 ай бұрын
​@@user-po3ur9cj1i 덩치 차이도 크고 치악력도 매우 차이 남 애초에 고래류 구강 구조상 치악력이 셀 수다 없기에. 지능도 거의 동등한 조건에서나 고려해볼만 하지 스펙 차이가 꽤 나서
@asdf132456asdf213212
@asdf132456asdf213212 9 ай бұрын
왕 무는거 귀염
@user-ml2rs3rx8u
@user-ml2rs3rx8u 9 ай бұрын
굿
대왕고래는 어떻게 지구 역사상 가장 큰 동물이 됐을까?
10:04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格斗裁判暴力执法!#fighting #shorts
00:15
武林之巅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Octopus vs Underwater Maze
17:13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뱀은 왜 다리가 사라졌을까?|코브라가 독을 뱉게 된 진짜 이유!
7:18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B tv 영화 추천] B tv x 민호타우르스: ‘메가로돈 2’
10:26
B tv I SK브로드밴드
Рет қаралды 78 М.
케찰코아틀루스는 정말 날 수 있었을까?|어떻게 사냥했을까?
8:19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951 М.
How Mantises Became Nature’s Strangest Assassins
10:51
PBS Terra
Рет қаралды 130 М.
곰의 진화|지구에서 가장 거대했던 곰은 왜 멸종했을까?
7:46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어떤 심해 생물들은 왜 이토록 거대해졌을까?
9:02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С Какой Высоты Разобьётся NOKIA3310 ?!😳
0:43
Nokia 3310 versus Red Hot Ball
0:37
PressTube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НОУТБУК СОСЕДКИ😱
0:30
OMG DEN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