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et Rectification & Shivering_ Cause?

  Рет қаралды 72,648

미소냉동

미소냉동

4 жыл бұрын

I've been working on the cold-
I've seen magnetism and tremors.
What can I check briefly?
It's a video. ^^
If you want to see it short and thick, see it from 5:52 a.m. ^^
--------------------------------
Magnetism
Magnet quivering
Magnet noise
-------------------------------

Пікірлер: 97
@electric7283
@electric7283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정리까지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eu1hj7hq8d
@user-eu1hj7hq8d Жыл бұрын
아주 설명을 간결하게 잘 해주셔서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k5ks7gd4v
@user-ok5ks7gd4v Жыл бұрын
저처럼 전기 지식 1도 없는 사람이 실무 활용할수있게 진심 설명 너무 잘하시네요
@user-su5vi9yb9n
@user-su5vi9yb9n 3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과 유익한 정보 공유에 감사합니다
@user-rt8qk2nt8u
@user-rt8qk2nt8u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un8266
@user-kun8266 Ай бұрын
너무도 깔끔한 설명 감동입니다. 그리고 목소리가 아주 매력이 있습니다. 저는 전문가는아니고 일반인이지만 평소에 전기 전자에 관심이많고 주의에서 저를 기리켜 맥가이버라고들 합니다. 물론 과한 칭찬이죠.ㅋ ㅋ ㅋ 아무튼 많이 배우고 갑니다.
@kshdoc
@kshdoc 4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user-pj2cm9tw2r
@user-pj2cm9tw2r 3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이외 다른 쪽 접촉불량도 더 드물게 있죠.
@user-un8kn6sx6k
@user-un8kn6sx6k 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갑니다.
@user-yc2jx2dr5f
@user-yc2jx2dr5f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봤군요 사우디 알바틴 현장에 있을때 고치러온 마그네틱은 주로 단자에 물렸는 플러그가 조여지지 않아서 일어나는 현상이고 배차플랜트에 있는 마그네틱 또한 그러했음, 물계량기나 시멘트 계량기에서 계속 떨림 현상이 일어 난다고 하여 가보면 거의 단자의 풀림 또는 꼭 조여지지 않아서 일어나는 현상.
@ricedory
@ricedory 2 жыл бұрын
좋은 공부하고 갑니다~감사합니다
@user-ps1gd2gk9o
@user-ps1gd2gk9o 3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baeyongkim7780
@baeyongkim7780 3 жыл бұрын
아주유효한설명이네요
@hanjk153
@hanjk153 Жыл бұрын
정상 운전 중에 마그네트가 채터링이 발생하는 경우는 순간전압강하가 -30% 이상 발생할 경우입니다. 이런 순간저전압에 마그네트 채터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발된 제품이 코일-로커입니다. 인버터 전단의 마그네트가 채터링이 발생하면 인버터는 정지가 되든지 내부 소자가 소손되어 인버터를 수리해야 하는 상황까지 가게 됩니다. 새그발생기에 의한 채터링 시험동영상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kzfaq.info/get/bejne/o9x6rJuYpqq9ip8.html
@user-jy1hi1yd5h
@user-jy1hi1yd5h 2 жыл бұрын
마그네틱 아래 코일 부분이 제대로고정이 안된경우에도 발생합니다
@TV-xt4si
@TV-xt4si 3 жыл бұрын
오늘 떨림현상이 있었는데 영상보고 잘해결 했습니다~~~감사합니다 찐이웃 맺고 손 꼭잡겠습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뿌듯하네요 감사합니다^^
@user_comment19
@user_comment19 Жыл бұрын
생생한 현장경험. 감사합니다. 압도적 감사!! 영상 후반부에 OCR은 수용가 인입부의 (51)OCR이 아니라 EOCR이나 THR인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후반부에 나온건 단상 마그네트입니다~!
@brakinglife
@brakinglife 4 жыл бұрын
순간적인 채터링 현상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컨트롤 부분이 문제가 있는 경우가...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다른 경우도 있었나요?
@user-ee6sp6jl7q
@user-ee6sp6jl7q 11 күн бұрын
L1L2L3로변경대엇씀니다
@jaewoonkim3172
@jaewoonkim3172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 주시어 이해가 잘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문의 드릴것은 인버터 출력 단자에 전선을 연결하면 접촉기가 붙었다가 떨어지기를 반복하고 떼면 정상 작동하는데 전선에 연결된 콘센트 등이 누전이 생겨 일어나는 것인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현장에 정확한 상황을 알 수가 없어 답변이 힘들긴하네요^^; 누전으로 인해 접촉기가 발정하진 않는것 같습니다.
@user-ik6qk4jw1g
@user-ik6qk4jw1g 3 ай бұрын
미소님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았습니다..!! 혹시 마그네트 접점이 간헐적으로 탈부착되는경우는 뭐가문제일까요?? 급탕탱크용 온수순환펌프 모터인데요 붙었다가 기동시(1마력정도) 다시 잠깐 떨어지고.. 일정온도 이하에 기동하게끔 설정해놨는데 일정온도보다 떨어져도 붙었다 떨어졌다는 지속됩니다 아 그리고 직입기동입니다 일단 전선은 접촉부분은 확인했는데 씹힌곳 없구요.. 절연 엠씨 1차 2차 다 좋고 모터나 엠씨 이물질 없구요 퓨즈 잘박혀있고 그냥 엠씨를 교체하면 될까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ай бұрын
마그네트 불량, 전압부족, 마그네트 전원에 전원을 인가하는 컨트롤러나 릴레이 등의 불량같습니다.
@user-ik6qk4jw1g
@user-ik6qk4jw1g 3 ай бұрын
@@user-ym4nz5en7h 정말 감사합니다 교체 함 해보겠습니다 ^^^
@tearsofryze
@tearsofryze 2 жыл бұрын
@ParkOZener
@ParkOZener 2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마그네트 작동시 (냉동기기는 정상작동중....) 떠는 증상은 먼지 제거 후 재사용 가능한가요? 아님 교체를 해야 될까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먼지때문이면 털고 사용 가능하더라고요^^
@ParkOZener
@ParkOZener 2 жыл бұрын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user-fm5go7xq1g
@user-fm5go7xq1g Жыл бұрын
저도 냉동기기에 전자접촉기가 한번씩 동작시 웅하는 소음이 날때가 종종있는데 한번 청소한다는게 큰소음이 아니다보니 자꾸 미루게되네요. 제의견은 전자접촉기는 통상 10년이상 사용하므로 새것으로 교체를하고 기존제품은 깨끗하게 청소해두면 갑자기 부품이 필요할때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de4iw2kg2w
@user-de4iw2kg2w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쇼트를 한 이유를 좀 가르쳐 주세요 ?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에 있긴할겁니다. OCR중간 접점들에 이상이 있는지 테스트하기 위함입니다.
@user-ji8gm1nv6g
@user-ji8gm1nv6g Жыл бұрын
마그네트 떨리지는 않은데 작동할때 전기스파크가 발생합니다 미세한 전기스파크 원래그런건가요?
@user-de4iw2kg2w
@user-de4iw2kg2w 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OCR 시작부분 끝부분 쇼트 시켰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요 ?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전선으로 연결하는겁니다. 전기가 통하게요.
@user-pr1xz3jj3m
@user-pr1xz3jj3m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저희 근무 장소에는 마그네트가 잘 붙지만, 영상에서 처럼 웅~~~ 소리가 나는데, 어떤 분은 접점이 잘 안 붙어서 그런거라며, 화재위험이 있으니 교체해야 한다라고 하시는데요... 일리가 있을까요? 그리고 저희 근무장소가 정전을 할 수가 없어서 그러는데, 전원이 들어오는데 접점에 드라이버로 조으는 작업을 해도 괜찮은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마그네트 안쪽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수 있어요. 그리고 전기가 흐르는데 조이다가 다른곳에 닿으면 스파크튀거나 차단기 떨어져서 위험합니다~!
@user-pr1xz3jj3m
@user-pr1xz3jj3m 2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현장 경험상 웅~~ 소리에 화재나는 경우는 없다는 말씀이신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오래쓰면 탄화되기도 하는데 그런마그네트 여러번 봤는데 화재난건 한번도 못보긴했습니다. 그래도 정상은 아니니 교체는 하시는게^^;
@user-fm5go7xq1g
@user-fm5go7xq1g Жыл бұрын
저 아무것도 모르는데요. 어떤분보니까 드라이버끝 조금만 남기고 절연테이프를감아서 조심해서 사용하는것봤어요.
@Hi-th3si
@Hi-th3si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LS 22A (MC-22b, MC-18b) 두 마그네틱 사용중입니다. 영상처럼 동일하게 확인 하면 될까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네 ㅎㅎ
@chanichanichani
@chanichanichani 4 жыл бұрын
쇼트를 잡았다는 뜻이 그 콘몽(?) 했다 그런뜻인가요? 직결 연결 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4 жыл бұрын
서로 연결됐다는 뜻입니다. :)
@yongtaeklee3734
@yongtaeklee3734 2 жыл бұрын
마그네틱이 1초 단위로 계속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원인은 뭘까요?? 압축기가 가동시작할때, 가동은 하는데 마그네틱이 영상처럼 빠르게 떨리는게 아니라 1-2초단위로 탁탁거리며 붙었다 떨어졌다 합니다. 원인이 뭘까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마그네트 전원 상위에(릴레이나 타 부품) 접점접촉이 그으름등에 의해 불량하면 스파크가 튀면서 그럴 수 있습니다.
@kim0335
@kim0335 2 жыл бұрын
주제넘지만.... 철심쪽에 녹이 발생 하여도 소음을 발생하면서 떨림 현상이 있는데 고운 사포로 녹을 제거하여 주면 해결이 됩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tvdongkibaetv1023
@tvdongkibaetv1023 Жыл бұрын
Mcc반에서 휴즈가10일사이에 2번이 나갔습니다 퓨즈가 나가는경우는 단락일때만 퓨즈가 나가나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과부하인 경우도 터집니다.
@user-so6yv5rl1j
@user-so6yv5rl1j 2 жыл бұрын
혹시 MC다른 내용에 관해서 질문해도 되나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네ㅎㅎ
@MONKEYBREAD84
@MONKEYBREAD84 2 жыл бұрын
220v전원부분에서 심하게 열이 발생하면서 연기가나는 이유는 뭔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접촉불량이거나 마그네트 사양이 안맞거나 아닐까요?
@user-fc9zb3pj2q
@user-fc9zb3pj2q Жыл бұрын
저는 냉동창고 마이너스 15°로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재상이 끝나면 실외기에서 우왕 하고 큰소리가 나 는데 무슨 이유 땜에 그러는지요 궁금합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보지않으면 판단이 어려울것 같아요. 잔자밸브가 없거나 열려있거나 밀린다면 액압축일수 있습니다.
@sg3743
@sg3743 3 ай бұрын
220전원이 안들어오거나, 들어와도 마그넷 동작 안되는 경우 마그넷 가운데를 피스로 꼽아 고정해 놓아도 될까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ай бұрын
그럼 멈춰야할때도 계속 운전 되죠. 마그네트 교체하고 하세요. 안전이 우선입니다. 해당 동력이 과전류여도 계속 운전되면 위험해요.
@sg3743
@sg3743 3 ай бұрын
@@user-ym4nz5en7h 첨언하자면 심야전기에 들어가는 마그넷. 타이머로 심야에만 들어가는데 밤에 당장 새 마그넷은 없고 고객은 춥고 임시로 쓸려고 피스로 강제 투입한경우 입니다 마그넷은 다음날 바로 교체하구요 3상이지만 심야보일러라 동력으로 쓰이지는 않구요 그래도 그행위는 위험하겠죠?! 빠른 답변 감사 합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안전이 우선이니 사람이 자리를 지키고 볼게 아니면 무섭네요ㅎㅎ
@user-nc1sj9zg2z
@user-nc1sj9zg2z 4 жыл бұрын
누전차단기가 가끔씩 내려가는데요. 마그네트랑 연결된 자동수동스위치때문에. 그런거같은데 마그네트스위치를 수동으로 해놓고. 차단기 다시올리면 정상으로 전원이들어옵니다 자동으로 해놓으면 차단기가 다시떨어지고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4 жыл бұрын
자동으로 했을때 전기가 흐르는 부분을 체크해보세요. 단자가 잘못 물렸는지 아니면 자동일때 가동 되는게 따로 있다면 절연을 체크해보세요
@user-nc1sj9zg2z
@user-nc1sj9zg2z 4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자동일때 차단기가 한번씩 내려가요 수동일때는 차단기 내려가는일이 없엇고요 차단기2차측 절연체크후 이상없음을 확인후 차단기올리면 다시 내려갑니다만 마그네틱측 수동으로 전환하고 차단기올리면 이상없네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4 жыл бұрын
음... 이건 봐야알것 같네요ㅠ
@hanjk153
@hanjk153 Жыл бұрын
이런 경우를 순시용량성 누설전류에 의해서 누전차단기가 트립이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게 위해서 개발된 누전차단기가 바로 IOP누전차단기입니다.
@user-mc9gq3gy6d
@user-mc9gq3gy6d 3 жыл бұрын
컨택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뭐가있나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마그네트 사용이유 말씀 하시는건가요?
@user-mc9gq3gy6d
@user-mc9gq3gy6d 3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네. 네 마그네티규전자석 스위치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평상시에노말 오픈 되어있다가 노말 클로즈가 되는데 어떤경우에 노말 클로즈가 되는지요? 전기가 코일에 닿지않으면 접척기가ㅜ단자에서 떨어지며 클로즈가 되는건 알겠는데 용도는 어디에 쓰는지 무슨 이유에서 쓰는지 알고싶습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user-mc9gq3gy6d 모터 같이 동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마그네트가 없다면 모터가 항시 작동 될겁니다. 수동으로 차단기를 ON OFF 하는건 말도안되구요^^; 릴레이 같은 경우는 허용전류가 낮아서 탈거구요. 380V전압 사용시 릴레이는 터집니다. 즉, 동력이 필요한 부분에 자동제어를 위해 사용합니다. 제 영상 중 냉동전기 시리즈를 보시면 대략 이해가 가실수도 있습니다^^
@user-mc9gq3gy6d
@user-mc9gq3gy6d 3 жыл бұрын
냅 답변감사합니다. ^^
@user-bg8em8uk6f
@user-bg8em8uk6f 3 жыл бұрын
아에 마그네틱이 붙지않는 경우는 무엇 때문인가요? 손으로 스위치 눌르면 모터 작동하면서 되는데 손떼면 바로 스위치도 위로 올라오면서 모터 작동이 멈춥니다. 전기가 통하니 마그네틱을 수동으로 눌러줬을때 되는것일텐데.. 왜 자동으로 안 붙어서 모터에 전기를 안 주는건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수동으로 누르는건 1차전기가 2차로 흐르는거구요. 마그네트에 220V전원이 들어가야하는데 제어상 들어가지 않는 것 같습니다.
@user-bg8em8uk6f
@user-bg8em8uk6f 3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기존 교류전자개폐기는 마그네틱이 반이라도 붙어서 손가락으로 누르면 붙으면서 억지로라도 써졌는데 근본적인 해결이 아니라 아에 새걸로 구매해서 바꿔봤는데 새 것은 아에 붙지도 않고 기존것처럼 반이라도 붙는것도 아니고 손가락으로 눌러야만되고 손떼면 바로 복귀합니다. 라바코리아 세차기에 들어가는 교류전자개폐기인데 도저히 원인을 모르고 고치고싶은데 답답합니다 ㅠㅠ 220V 안들어가고 있어서 그런걸까요? 전원도 콘센트에서 220V 따오는데 왜 그런걸까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user-bg8em8uk6f 마그네트가 콘센트 꽂는다고 바로 작동하는게 아니라 어느조건이 되어야 작동될거에요. 정확히는 마그네트 전원부에 테스터기로 220v를 체크해보는겁니다.
@hc297167
@hc297167 2 жыл бұрын
수배전반에서 5p타이머를 써야되는 상황에 4p타이머를 쓰면 마그네트 떨림현상생긴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아뇨 그건 상관없어요
@user-wk4gi9jo4q
@user-wk4gi9jo4q 4 жыл бұрын
원인 알수없는 채터링현상 어렵네요
@An-dz4ox
@An-dz4ox 2 жыл бұрын
항온항습기 실외기에서 떠는 소리가 나는것더 마그네 문제인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판끼리 부딪히거나 팬이 떨리는 소음도 자주 일어납니다~!
@An-dz4ox
@An-dz4ox 2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소리가 너무심해서 마그네트 불량으로 인한 떨림 문제인줄 알았는데, 정상적인 떨리는 소음이라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그 소음을 없애는 해결법은 없겠네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2 жыл бұрын
어떤소린지 들어봐야 알겠지만 소음은 없앨수있어요. 철판끼리 떠는건 보온테잎을 붙이면 되요. 일단 어떤 소음인지 파악이 우선인것 같네요
@An-dz4ox
@An-dz4ox 2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죄송하지만 제가 메일같은걸 보내면 확인이 혹시가능할까요 전기박사카페도 홯동하시는것 같던데
@user-lk8gp3zj9r
@user-lk8gp3zj9r 3 жыл бұрын
마그네틱이 붙으면 미세하게 웅하는 소리가 나는데 위에 동영상 강의 내용 처럼 그런 이유에서 그런건지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3 жыл бұрын
이물질이 침투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brakinglife
@brakinglife 3 жыл бұрын
원래 MC 자체 코일에서 웅 하는 소리가 좀 미세하게 납니다. 이거때문애 DC 전자접촉기를 간혹 쓰는 것 같더군요
@sodcreate
@sodcreate Жыл бұрын
터미널 압착방향 불편 ..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배 쪽에 납땜 안된건 등쪽 압착. 납땜 된건 배쪽을 압착하라고 하더군요ㅋㅋ
@sodcreate
@sodcreate Жыл бұрын
@@user-ym4nz5en7h 납땜 유무를 떠나서 배를 눌러주는 게 맞습니다. 대기업 자체 점검팀 전기담당으로 열화상 십만 컷 이상 찍으면서 발열이 있는 건 하나도 빠짐 없이 등쪽 압착 터미널이었습니다. 실제 경험에 근거한 데이터에요.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sodcreate 땜 안된건 배쪽이 갈라져서 선이 재대로 안물립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sodcreate 개인의 데이터는 표준이 될 수 없으며 M사의 경우 튀어나온 부분(SEAM)부분을 찍어야 하는걸 가이드로 제시 한게 맞으나 T사의 경우 180도 뒤집어 찍어도 괜찮다고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물론T사도 SEAM부분 찍는걸 우선시 하긴 합니다. 가장 중요한건 가운데를 찝어줘야 한다는겁니다.
@user-ym4nz5en7h
@user-ym4nz5en7h Жыл бұрын
@@sodcreate 저도 배쪽으로 배우긴 했습니다만 압착터미널이나 압착기에 따라 배를 찍으면 자꾸 갈라지는 것들이 있더라고요. 정중앙을 눌러도요. 저도 현장에서 가능하면 배를 찍긴합니다.
(전기실무) 차단기트립?? MC부터 보자...그리고 갈자!!!
16:56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마그네트 코일소손(고장) 분해하기
10:56
전기는 양경식 TV
Рет қаралды 11 М.
마그네트 접점의 떨리는 소음이  발생할때
1:55
좋은산천(A good Mountain Stream)
Рет қаралды 5 М.
전자접촉기(MC)의 이해-전기실무
11:42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10 М.
스위치 자리의 여러가닥 전선들을 테스터기없이 어떻게 찾을까?
9:45
고장 난 마그네트
5:34
전기는 양경식 TV
Рет қаралды 32 М.
[냉동관련팁]테스터기로 알람찾기
10:29
미소냉동
Рет қаралды 15 М.
The KINDER JOY Cookie 🍪😱
0:30
LosWagners ENG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Вечный ДВИГАТЕЛЬ!⚙️ #shorts
0:27
Гараж 54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Monster shops mini mart 👻🛒 #shorts
0:49
Yoeslan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Он самый молодой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й камнерез
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