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국의 충신 이색, 이성계는 왜 살려두었나 (역사의 라이벌) [역사실험] KBS 1995.04.15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86,798

KBS 실험실

KBS 실험실

2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86
@wellbeing1006
@wellbeing1006 2 жыл бұрын
저의 24대 할아버지 목은 이색선생님을 여기서 뵈옵네요~ 저는 한산이씨로 요즘도 나의 뿌리를 찾아서 충남 서천군 한산면과 기린산 자락의 목은선생님 묘소를 자주 찾고 있습니다. 목은 이색 선생은 나에게는 24대 직계 조상으로 중시조가 되시는 분입니다. 목은선생은 본관이 한산이씨로 고려말 조선초에 문장가이며 정치가였고 고려 삼은의 한분이셨다. 파란만장한 삶을 사시었고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중심이며, 조선초 주자 성리학의 대학자였다. 여말선초 최고의 지식인이었던 이색의 문하에는 당대의 내노라 하는 정도전, 조준, 이방원(태종), 정몽주, 이숭인, 길재, 하륜, 김종직, 변계량, 권근, 남은 등 수많은 유학자.정치가.문장가들을 길러 냈다. 고려말 문무에서 이색과 최영장군이 쌍벽을 이루었으며, 이성계도 존경하고 따르던 나라의 큰 어른이며 참 스승이었다. 고려말에 관직으로 나가 홍문관 대제학, 대사성, 문하시중(영의정)을 지냈으나, 조선건국 후에는 이성계가 깍듯이 예를 다해 모시며 삼고초려로 회유를 시도했지만, 끝까지 고려왕조에 대하여 절개, 충의을 지키며 모든 벼슬자리를 마다했다. 이런 과정에서 슬하에 아들셋 중 둘이나 자신에 앞서 죽임을 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조선건국 후 목은의 제자들이 두파로 나뉘어져 서로 다투는 것을 보고 세상을 멀리하며 전국을 정처없이 떠돌다가 여주 신륵사 정자에서 그가 그토록 아꼈던 수제자 정도전과 이방원이 서로 짜고 이성계가 내린 어주라고 속이고 제자들이 내린 독주를 마시고 급사하였다. 제자들 중에 정몽주, 길재, 이숭인 등은 스승의 뜻을 받들어 고려왕조에 끝까지 절개와 충성을 다했으나, 정도전, 조준, 남은, 하륜, 권근 등은 스승의 뜻과 다른길을 택하여 조선왕조 건국에 참여하여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같은 스승 문하에서 배운 제자들이 180도 다른 길을 택하였는데, 어느길이 옳고 그름은 역사적 평가에 맡겨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백설이 자자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온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셔이셔 갈 곳 몰라 하노라 멸망한 고려왕조의 수도 개경을 바라보며 지은 목은 이색의 윗 시조를 저는 좋아합니다. 또다른 목은 이색의 시조를 소개하면, "난을 내가 사랑하여 두눈이 밝아지네 엺고 푸른잎은 흐트러져 있고 새로 피어나는 싹은 엷게 푸르구나 고요히 않아 향기 오기를 기다리니 마음이 저절로 맑아지네" "洗心淨魂(세심정혼)" 마음을 깨끗이 하면 영혼도 맑아진다고 합니다. 책상앞의 난초를 보면서 맑은 정신과 지조를 깨우치며 부족한 나를 보듬어 짜매봅니다. 여러분도 난을 기르며 깨끗한 마음으로 해맑은 영혼을 만드시길 바랍니다. 오늘날까지도 목은 선생의 탄생지인 경북 영덕 괴시리마을, 한산이씨 종가집.묘소.문헌서원이 있는 충청도 서천지방, 계룡산 동학사, 고산서원 서산서원이 있는 경북 안동지방, 경기도 가평과 화성지방, 분당 중앙공원, 북한 황해도 해주지방, 개성지방, 여주 신륵사 경내를 방문하면 선생의 유적과 유품을 만나볼 수있고, 그 옛향기를 느껴 볼 수 있습니다.
@Jroad999
@Jroad999 2 жыл бұрын
역사의 라이벌 진짜 좋은 프로그램
@user-bc1ww3po5i
@user-bc1ww3po5i 6 ай бұрын
충청도 출신의 만고의 충신 이색..일신의 영달과 안위를 일삼던 말ㅈ로만 선비들과 달리 말과 행동이 일관된 삶을 살았던 충신 이색...존경스럽습니다.
@user-ck1tn5jo9q
@user-ck1tn5jo9q Жыл бұрын
나의 시조 할아버지가 자랑스럽습니다 그 고결한 인품이 나의 혈통임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할아버지 뵈올때 까지 편히 쉬십시요 아멘
@user-sx5yp9vc5b
@user-sx5yp9vc5b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산이씨로서 이색 선생의 후예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살고 있습니다.
@user-uk7xv5it3z
@user-uk7xv5it3z 4 ай бұрын
대단합니다 가문의 영광 목에 칼이 들어와도 지조와자존심 지키고 살아가는것은 큰일이 이라 않이할수 없습니다 충절과선비정신 이색 야은 두문동 고려의 망고의 충신입니다 이색 성리학의 대가 존경합니다
@user-xl2iy7zd5q
@user-xl2iy7zd5q 3 ай бұрын
니네 족보산거여~친일파야너네ㅋㅋ
@user-dd7gn7fm7z
@user-dd7gn7fm7z 11 ай бұрын
이성계 아들 이방원이 여주에서 목은을 목졸라 죽였다. 군사반란자 이성계가 목은을 왜 살려두었는지의 문제보다도 그 군사반란으로 조신시대가 엉망진창 외세침략에 한번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일본에게 망했다. 반면 고려 시대에는 외세침략에서 고려가 진 적이 거의 없다고 어느 역사학자는 평가했지.
@USA-TIGGER
@USA-TIGGER Жыл бұрын
이색과 조식 두분이 역사상 최고의 선비가 아닐지...
@loveItalia-py6gp
@loveItalia-py6gp 4 ай бұрын
정도전이 최고지요 정도전 아니었으면 조선 기틀을 못 잡았음
@user-uf8fd9vh4b
@user-uf8fd9vh4b 2 жыл бұрын
역대 목은 이색 중에서... 남아있는 초상화와 비쥬얼 상 가장 유사하십니다. 김진해 님께서... 그리고 목소리 톤도.. 정말 목은 선생님이 환생해 오신 것 같습니다... 역시 정상급 배우의 발성이십니다. 김진해 님이 삼국기 드라마에서 김서현 역(김유신의 아버지)도 맡으셨지요.
@hyunhoshin1583
@hyunhoshin1583 2 жыл бұрын
이색(李穡)역의 김진해 님 2005년도에 작고(作故)하셨는데... 이런 옛날 영상물 보며 부고(訃告)소식 들은 분들 연기 보면 감회가 참 새롭다. 딱 1년 뒤 '용의 눈물'에서 복길이 김지영씨 시부모 남일우씨가 이색役 했었는데.....
@user-ey2cv1fd4v
@user-ey2cv1fd4v 2 жыл бұрын
대하드라마 다시해야되는데 아쉬울뿐입니다.
@user-et7oq5ut8r
@user-et7oq5ut8r 2 жыл бұрын
전무송님도 잘하셨어요 개국에서
@user-ij2ck1ip6n
@user-ij2ck1ip6n 2 жыл бұрын
저런분들이 계셔야하는데...
@krosskim624
@krosskim624 2 жыл бұрын
현재 국가가 뻔히 있는데 멸하고 새로운 국가를 창업한 용기가 대단하다.무신정권처럼 왕은 두고 총리 정도의 직책으로 전권을 휘두르는 선에서 만족한 것이 아니라 국가 자체를 바꾸고 전혀 다른 나라로 다시 태어나야한다고 본 건가.러시아제국을 멸하고 소련으로 재탄생한 레닌시절의 열정 정도는 될 것 같다.
@soonha1428
@soonha1428 Жыл бұрын
송헌이라고 하니까 이성계 표정싹바뀌는거 웃기네요 ㅋㅋㅋ
@myskynet2
@myskynet2 2 жыл бұрын
유교탈래반의 시작인가..
@user-ey2cv1fd4v
@user-ey2cv1fd4v 5 ай бұрын
아자개님대단합네다
@user-et7oq5ut8r
@user-et7oq5ut8r 2 жыл бұрын
야은 길재역의 박영목님도 작고하셨죠 이대로님 같이 충신역 꽤하셨죠
@user-gk5ql2iu4m
@user-gk5ql2iu4m Жыл бұрын
김진해가 제 4공화국에 신현확역 김성겸이 최규하역이거 태조왕건에도 같이 나왔고 김진해가 2005년에 죽었조 김무생 등
@nomadlife4country
@nomadlife4country 2 жыл бұрын
아자개 중국최고의 명군 수문제도 맡았고 한국최고의 무인 이성계도 맡았었네
@ANS-so7on
@ANS-so7on 2 жыл бұрын
아재개(견훤 애빚). 성승(성삼문아버지) 경진 대장군vs 유장자
@user-uj9gk9jg4q
@user-uj9gk9jg4q 2 жыл бұрын
아재개X 아자개O 애빚X 애비O
@user-jt4fc1ps4c
@user-jt4fc1ps4c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존재하지 말았어야 했다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2 жыл бұрын
정작 조선의 병폐를 만들어낸건 고려에 충절 지킨다던 이들의 학문을 계승한 후예들...
@user-pp3sp8zm6b
@user-pp3sp8zm6b 2 жыл бұрын
그럼 한글은요~
@user-wy7od4fv6u
@user-wy7od4fv6u Жыл бұрын
왜요?
@HoSangYun.
@HoSangYun. Жыл бұрын
31:32 국명조차 중국황제가 정해준 나라가 조선이구나.. 하긴 저 시절엔 중국이 곧 로마라, 중국 눈치를 안 볼수가 없었겠지 ㅜ
@LJH33333
@LJH33333 2 жыл бұрын
일부러 죽을 생각으로 저렇게 했겠지 ㅋㅋ 자기가 아끼는 제자들 다 살해당하고 갖고있던 전시과랑 다 몰수당했고 나라가 망했는데 혼자 숨 붙어 살아 무슨의미가 있겠노
@brilliantachieveharmony2906
@brilliantachieveharmony2906 2 жыл бұрын
새왕조에게도 전왕조를 끝까지 지키는 충절은 필요하다.
@user-fn7pl7gp5c
@user-fn7pl7gp5c 2 жыл бұрын
死地圖生非丈夫 죽을곳에서 살을구하는것은 장부가아니다
@user-sn2qu6tb1e
@user-sn2qu6tb1e Жыл бұрын
조선이 고려보다 좋은 평가로 역사에 쓰여진것은 조선이 건국되었기때문이다. 😅 고려 역사가 500년인데 남은 문헌이 거의 읍다;;
@user-xq8kn9ql4u
@user-xq8kn9ql4u 2 жыл бұрын
존경 ! 스스로는 할 수 없는 인간계를 뛰어넘은 텐션을 갖고있기에... 이성계는 진짜 싸나이였다 상대를 인정할줄 아는 도량 겸손 그릇의 크기 !
@user-os9sy7ff3s
@user-os9sy7ff3s 2 жыл бұрын
설마 이성계 배역에 아자개..
@user-jr7wd5wy6d
@user-jr7wd5wy6d 2 жыл бұрын
모르긴 몰라도 그 전 에피소드인 고려 VS 조선 에피소드를 확인해야 될 거 같기는 하네요. 이 무렵부터 역사의 라이벌이 이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게 되면서 같은 인물을 같은 배우에게 지속적으로 맡기는 모습을 보였으니...
@user-uf8fd9vh4b
@user-uf8fd9vh4b 2 жыл бұрын
언뜻 기억에,... 말씀하시는 고려 VS 조선 에피소드가 혹시 정몽주 VS 정도전 시리즈 아닌가 합니다. 당시 제대로 시청은 못해서 가물가물한데.. 그 에피소드에서는 손호균 님이 젊은 이방원, 고 이신재 님이 정몽주, 안대용 님이 정도전 역이었지요.... 그리고 이방원이 글에다가 하여가를 적어서 정몽주에게 주는 장면이 좀 기억납니다.. 그 시리즈가 궁금합니다.
@user-jr7wd5wy6d
@user-jr7wd5wy6d 2 жыл бұрын
@@user-uf8fd9vh4b 아, 그게 초창기에 정몽주 VS 정도전 에피소드 방영하고, 이후에 조선시대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면서 다시 고려 VS 조선 에피소드를 방영했더라고요. 그걸 얘기한 거랍니다.
@user-uf8fd9vh4b
@user-uf8fd9vh4b 2 жыл бұрын
@@user-jr7wd5wy6d 아..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사의 라이벌 시리즈가 더 올라오면 좋겠습니다~~
@user-tx7hk3nu7v
@user-tx7hk3nu7v 2 жыл бұрын
바닥 돌 아님?...돌 위에 방석 깐건가
@user-gk5ql2iu4m
@user-gk5ql2iu4m Жыл бұрын
포은은 이방원일파가 죽이고 공양왕이 강제로 물러나고
@user-sl6be5le9s
@user-sl6be5le9s 2 жыл бұрын
93 탤런트 쇼에서 나왔던 그 사람
@sthe2437
@sthe2437 Жыл бұрын
이성계는 큰인물이다
@user-sl6be5le9s
@user-sl6be5le9s 2 жыл бұрын
도쿄 올림픽 끝나면 퀴즈 매니아가 돌아와서 업로드할 거예요
@MegaAmoled
@MegaAmoled 2 жыл бұрын
아자개 유장자 ㄷㄷ
@user-wy7od4fv6u
@user-wy7od4fv6u Жыл бұрын
아자개유장자 무슨뜻인가요
@MegaAmoled
@MegaAmoled Жыл бұрын
@@user-wy7od4fv6u 저 배우분들이 태조왕건에서 맡으신 배역이요
@user-ke4xo4gq4m
@user-ke4xo4gq4m 2 жыл бұрын
고려말에신진사대부들은모두목은이색의제자들이죠어떤이는고려를따르고어떤이는조선건국에참여하고
@vgbr2010
@vgbr2010 8 ай бұрын
오늘도 아자개 유니버스에 혀를 내두르고 간다.
@user-tl3mh7ym7u
@user-tl3mh7ym7u 2 жыл бұрын
아자개~머루주!ㅋㅋ
@user-gk5ql2iu4m
@user-gk5ql2iu4m Жыл бұрын
이성계.지지가 정도전 배극렴 조준이고
@jiyoonkim1582
@jiyoonkim1582 2 жыл бұрын
태조 아자개
@user-gk5ql2iu4m
@user-gk5ql2iu4m Жыл бұрын
정몽주 조식 곽재우 이성계.최영.정도전 위인이고
@user-ck1tn5jo9q
@user-ck1tn5jo9q Жыл бұрын
무식한 본인의 생각임 곽은중 듣고도 모르니 어리석도다
@user-gk5ql2iu4m
@user-gk5ql2iu4m Жыл бұрын
한산이씨가.이색.이지함.이상재 이개고 이산해등
@user-ck1tn5jo9q
@user-ck1tn5jo9q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선조들이 많이 계시온데 보잘것 없이 사는 인생이 부끄럽습니다 할아버지 조상님들이여 후손들이 지혜롭고 능력있게 빌어주소서 아멘
@j.c.s7762
@j.c.s7762 2 жыл бұрын
저 시절 고려가 망한게 천만 다행이죠 고려 왕실이 있는한 개혁에 한계가 뚜렷했기 때문임
@user-qz7cw7lz9b
@user-qz7cw7lz9b 2 жыл бұрын
고려는 초기엔 강력한 호족중심의 국가였다가 말기엔 철저한 귀족중심의 권문세족들이 고려의 중심이였죠 왕권은 더할나위없이 추락할때로 추락하였구요 ...이때 신진사대부가 새롭게 등장한것입니다 권문세족들의 부패와 무능 패단...등으로 고려는 더이상 나라를 지탱하기엔 역부족이였어요 일부 고려충신들이 버티곤 있었지만 신진사대부들이 뜻을 펼치기에는 고려는 맞지않는나라였죠 또 군부마저 이성계에게 들어가있구요 ,,,,신진사대부들은 이성계와 긴밀한관계였구요 군부를 움켜진이상 아무도 건들지못하죠 ,,,, 거기다 고려 마지막 공양왕은 어떻해든 살아남으려 눈치만 보고있었구요 이때 신진사대부들이 공양왕에게 억지 선위를 받아내고 이성계를 추대한거죠 그들의 세상이 이제 펼쳐진겁니다 ,,,,
@Tomi929
@Tomi929 2 жыл бұрын
좃선은 망국 그 자첸데?
@j.c.s7762
@j.c.s7762 2 жыл бұрын
@@Tomi929 저시절 국가중에 안망한 나라가 있나 ㅋㅋ
@user-jy9ov7nb5b
@user-jy9ov7nb5b 2 жыл бұрын
@@j.c.s7762 Japan.
@j.c.s7762
@j.c.s7762 2 жыл бұрын
@@user-jy9ov7nb5b 일본은 제일많이 바뀌었죠
@user-wi8bk5pu6y
@user-wi8bk5pu6y Жыл бұрын
이놈무 광고 오분단위로 하네
@user-gb4ic9kc2g
@user-gb4ic9kc2g 2 жыл бұрын
이색이 왕에 대해서는 충신일지 몰라도 국민들에게는 적폐중의 적폐라고 할 수 있지. 국민들이야 굶어 죽든 말든 오로지 왕에 대한 충성만 다하면 그만인 선비일 뿐.
@user-px7zg3ls2u
@user-px7zg3ls2u 2 жыл бұрын
이색이 배알이 꼬인겨..동기가 왕이되엇으니..
@user-uf8fd9vh4b
@user-uf8fd9vh4b 2 жыл бұрын
자그마치 자기보다 7살 이나 어리지요.. 이성계가 이색보다요. 게다가 이색은 요즘으로 치면 한국 행정고시 및 미국 SAT 거의 준 수석급인데, 이성계는 공무원 시험 응시한 경험도 없지요. 그냥 젊을 때부터 군대에 말뚝박았지요... 정말 말씀대로 배알도 꼴릴 만 합니다~~ 고려에 대한 충성이고 뭐고 그 이전에 말입니다. 인간적으로 배알 꼴릴 만 하죠. 그에 비하면 이방원은 엄연한 과거 급제자지요. 이 점에서 사람들이 이방원에게 모여들었나 봅니다. 이방원이 개인적인 무예가 뛰어났다는 객관적인 증거는 전혀, 정말 전혀 없더라구요. 수양대군 세조 같은 경우는 대군 시절 무용담(말에서 뛰어내려 점프 하는 쇼맨쉽 묘기.., 활솜씨 등) 등이라도 정사인 실록에 전하는데(비록 세조 과장하려는 퓔은 있지만 그대로 실록에.. 아예 있지 않은 일이 적히는 건 드물다고 하더라구요..) 이방원은 그런 것도 전혀 없지요. 사실 이성계 아들들 중에서 제일 이성계를 닮은 인물이 둘째 이방과입니다. 이방과야말로 젊을 때부터 아버지를 따라서 전쟁터에 나갔지요. 이성계가 아지발도를 무찌렀을 때 이방원은 겨우 14살.. 집에서 책이나 읽고 있었지요.
@wellbeing1006
@wellbeing1006 2 жыл бұрын
역사를 똑바로 알고 댓글 다세요~ 이색은 이성계보다 일곱살이 많고 동기는 더더욱 아닙니다. 이색은 여말선초 최고의 대학자이며 정치가였으며 그의 문하에는 정도전 정몽주를 수제자로 권근 남은 이방원 등 당대 내노라하는 신진사대부들이 망라되어 있었습니다. 고려말로 돌아가면 이색은 문하시중으로 지금의 총리였고, 이성계는 무인으로 전방 사단장 정도였으니, 당연히 동기도 이니였고 이성계도 이색을 나라의 큰어른 형님으로 받들기도 했습니다.
@user-px7zg3ls2u
@user-px7zg3ls2u 2 жыл бұрын
@@wellbeing1006 ㅎㅎ 나이가 중요하나요..내용이 중요하죠... 그럼 동생으로 바꾸죠
@wellbeing1006
@wellbeing1006 2 жыл бұрын
@@user-px7zg3ls2u 예 맞습니다. 내용이 중요하지요~ 내용에 있어서 팩트가 완전히 틀렸다는 것입니다. 이색과 이성계는 목은이 지은 방대한 목은시고나 조선왕조실록을 보더라도 어느면에서나 동기가 될수는 없다는 것이 팩트입니다.
@spr3118
@spr3118 2 жыл бұрын
여진족 조선의 시작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KBS HD역사스페셜 - 임꺽정, 조선의 로빈훗인가
58:14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KBS 역사의 라이벌 - 중종과 조광조 / KBS 1995.1.4 방송
58:57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22 М.
역사의 라이벌 - 정조와 붕당
59:08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305 М.
[조선26] 광해군은 개혁군주인가? (34분 순삭ver.)
34:29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854 М.
KBS 역사스페셜 - 고려부인 염경애 / KBS 19990619 방송
57:28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28 М.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