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든든한 동반자? 은행의 배신 - 전반부 - PD수첩 2023년3월28일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566,630

MBC PD Note

MBC PD Note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알지 못한 금리의 비밀?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버는가
#PD수첩 #은행 #돈 #이자 #예금 #대출
✔시대의 정직한 목격자, MBC PD수첩 (화 밤9시)
✔PD수첩 본방을 놓쳤다면? 유튜브로 핵심을!
PD수첩 유튜브 공식계정 goo.gl/9tgdwM
✔PD수첩 본방을 다시보고 싶다면?
iMBC : bit.ly/2ELLAyh
WAVVE : bit.ly/2EXiZq5

Пікірлер: 3 700
@yjch2445
@yjch2445 Жыл бұрын
착각하고 계신게 은행은 서민의 동반자였던적이 없습니다. 널리퍼진 흔한 격언중에 하나가 “은행은 비가 오지 않을땐 우산을 빌려 주고, 비가 올땐 우산을 뺏는 존재이다”라는 격언이 있습니다.
@user-zo8py8rv3j
@user-zo8py8rv3j Жыл бұрын
👍
@user-bd1kc9ij7f
@user-bd1kc9ij7f Жыл бұрын
그럼 빌려가질 않으면 되잖아요. 금리 낮을땐 실컷 빌려다가 쓰거나 투자해놓고 갚으라하니까 안 갚고. 책임 못질행동하는고 배째라는 식이 안좋은거라는 생각은 안해보셧나요
@Gorechill
@Gorechill Жыл бұрын
ㄹㅇ 같은편인 적이 있어야 배신도 하지ㅋㅋ
@user-bf8ry9hu9k
@user-bf8ry9hu9k Жыл бұрын
오 들었던 명언이자 진실
@miru_ru
@miru_ru Жыл бұрын
비가 오지않는데도 우산을 빌려간 사람이 비가 그쳤는데도 안 돌려주면 은행입장에서 어떻게 생각할까요
@truelove9395
@truelove9395 Жыл бұрын
IMF때 금은 모아서 나라와 은행을 살렸는데 지금 은행은 국민의 피눈물살점까지 뜯어 모으는구나
@user-pu5bh1vu9v
@user-pu5bh1vu9v Жыл бұрын
그때 금 냈는데 못돌려 받은사람많음 금 냈는데 가난해진 사람은 후회하고있지
@rexkimj
@rexkimj Жыл бұрын
그때 금 모아 다른곳에 판 사람들 있었죠...
@mseonkim8804
@mseonkim8804 Жыл бұрын
​@@rexkimjㅛㅛㅛㅂㅂ
@user-ph9ks8ee5l
@user-ph9ks8ee5l Жыл бұрын
난치성 희귀병을 앓고 있어 선친의 재산을 물려받았습니다. 유전병에 속한지라 아파트와 땅팔아 예금해 병원비 충당하고 이자로 생활하라고 주신 것입니다. 그러던 중 산정특례라 병원비는 거의 안 나갔죠. 금리가 낮아 병원 검사(재발여부5년마다 검사)도 미루고 의원다니며 생활하던 중 2곳은행 행원들 공모로 선친의 재산 다 날렸습니다. 제가 부어놓았던 개인연금신탁까지. 은행을 횡령죄로 고소하기 위해 금감원의 충언을 듣고 소송하라해 서류발급하러 은행갈 때마다 기제와 성묘갈 때마다 도난을 당했습니다. 성동경찰서 강력계에 3건 접수. 후에 주민과 관리실과 은행들이 도난행각까지 한 것을 탐방 탐문 ,증거자료 수집해 놓아 강력계 팀에 연락했으나 다시112에 신고해 접수하라 하는데 지구대가 진술서를 안쓰고 도망갑니다. 접수를 할 수가 없습니다. 이상한 징후들 많이 수집해 놓았습니다. 경찰 수사 부진 으로 국민신문고 국민권익위원회에 적극행정 까지 얻어냈으나 다시 경찰서로 돌려 별 도움 못받았네요. 관리실의 잦은 직원 이직률과 경비와 청소부의 배치와 이직률과 교대시간 다르고, 아파트의 엘리베이터와 CCTV조작등등 잦은 공사와 수선충당금과 장가수선 충당금 마구 사용맟 우편과 통신관련등 수상한 점이 많습니다. 게다가 암투병 중 작고하신 선친의 유품과 마약이 없어져 수사 의뢰하였는데 절도사건은 제대로 하는척 하다 갑자기 종결 내려 황당합니다. 담당 형사들과 통화도 아니됩니다. 무단 주거 침입만 이제 미제로 남아있습니다. 증거자료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다. 취재해주십시요.
@user-gi5pz3zg5e
@user-gi5pz3zg5e Жыл бұрын
누칼협?ㅋㅋㅋ
@JW-7
@JW-7 Жыл бұрын
국민들이 정말 호구였음 IMF 때 은행 망하게 놔뒀어야 하는데 세금 들여서 살려놨더니...;;; 앞으로 은행 망하면 절대 지원해주지 말아야 함.
@hsj60-jr4nd
@hsj60-jr4nd Жыл бұрын
서민들 피빨아먹는 은행들 언젠가는 외면받고 피눈물 흘리면서 고통받는 날이 올것이다 예치금 이자는 얼마안되고 신용대출 이자는 세배로 높게 받아먹는 이런 불공정거래가 어디있나 금감원은 머하지 아~~불평등한 나라
@jinwookim7790
@jinwookim7790 6 ай бұрын
그렇지 않은게 현실입니다..
@yvonnena4768
@yvonnena4768 Жыл бұрын
사장님 말씀 10000% 동감 합니다..이익많이 남겼으면 은행니들이 힘들면 자책강구해야지 왜 국민혈세 나라돈을 받아 막냐.
@user-nv1cx8he3i
@user-nv1cx8he3i 7 ай бұрын
은행이 망해도 도울필요없다. 사채하고, 무엇이 다른가?
@chickim7299
@chickim7299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때부터 저축이 나라를 살린다고 귀에 박히게 배웠다. IMF때 방만한 운영으로 국민이 그 희생을 짊어지는 댓가를 치뤄야 했다. 지금, 은행은 자신들의 배만 불리는 도덕성 없는 집단이 되었다.
@elijahstonehan9566
@elijahstonehan9566 Жыл бұрын
순진학운 처음부터,ㅓ 그랬는데
@user-gx4od1iw9i
@user-gx4od1iw9i Жыл бұрын
은행이 은혜갚은 까치이길 바라는건 너무 무모하지..
@user-gd5pp1sp7f
@user-gd5pp1sp7f Жыл бұрын
허경영 이미예고했는데. 이정도면.누굴탓할게아니다
@bylee7189
@bylee7189 Жыл бұрын
장사치가 이윤을 남기는게 도덕성이 없는거냐? 금리가 오를 것을 대비 못한 무지한 서민이 바보인거다. 남탓하지말아. 니가 선택한 길이다
@chickim7299
@chickim7299 Жыл бұрын
@@bylee7189 손해를 입을땐 공공성을 강조하여 그 부담을 결국 공적 자금으로 투입하게 하고, 금리 상승으로 인한 대출금에 상승된 이자를 금융사가 예금자에게 얼마나 돌려주나 그 차이 좀 봐라. 금융사를 탓 하는 이유는 ,금융사의 경영 악화는 무슨 이유에서 오는지도 좀 알고… IMF는 개인 카드 부실 대출이 많아서 왔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doehyunglee1974
@doehyunglee1974 Жыл бұрын
은행 최대실적, 서민들의 피눈물 결국 돌고돌아 은행이 반드시 그 댓가를 받길 바랍니다
@user-sz5of6kr7s
@user-sz5of6kr7s Жыл бұрын
보면서 은행들의 만행에 분노를금할길없네요
@tmkim-rv6gr
@tmkim-rv6gr Жыл бұрын
은행은 원래 돈장사하는곳인데 당연한거임 절대 서민을 위한곳이 아님
@user-ug2zw4nw3f
@user-ug2zw4nw3f Жыл бұрын
와 슬퍼요 저같은심정이네요 자영업자들 불쌍하다
@merongi2
@merongi2 Жыл бұрын
은행은 절대로 아무것도 안합니다. 국민을 위해서.
@romulus4677
@romulus4677 Жыл бұрын
은행이 일반 사업자가 아닌 국가에서 허가/관리되는 곳 인데도 이 모양이니 아흐~ 금융 개혁이 필요하다~ 부정하고 부패한 정치인들은 같은 패거리들 이기에 그럴 생각이 없을 것 이고 바른 생각을 가진 정치인들과 국민들이 동참해 개혁을 추진하길 기원해 본다~
@rabbitred9919
@rabbitred9919 Жыл бұрын
댓글 보세요. 처참한 인식이 그대로임. 심지어는 좌파 사상 퍼뜨리지 말라는 글이 있음. 환장하는 거죠.
@jsb7168
@jsb7168 Жыл бұрын
길에 경차보기가 힘들정도로 중형차 이상 차할부, 카드할부, 집대출 저려면서 은행이벤트앱으로 10원씩 모으는거바...이거 모하자는거지??? 바보들인가
@user-bz9km2cf6n
@user-bz9km2cf6n Жыл бұрын
대출자는 이자로 죽어나고 예금자는 뱅크런 걱정해야 되는 나라. 정말 답답하기만 합니다
@user-bf8pc7pg4q
@user-bf8pc7pg4q Жыл бұрын
5천씩 분산하면 되죠.예금의 문제는 대출이자는 높이면서 예금이자는 낮췄다는겁니다.현금있는 사람들만 손해같아요.여러군데 분산해도 모자랄만큼 돈이 많으면 우체국예금하면 되구요
@user-ie2wd4sv7l
@user-ie2wd4sv7l Жыл бұрын
​@@user-bf8pc7pg4q 너같이 돈이 없으면 5천씩 분할 가능하겠지
@MP-tl5ri
@MP-tl5ri Жыл бұрын
@@user-ie2wd4sv7l 돈 많은가 보네?
@edm2756
@edm2756 Жыл бұрын
어느나라나 그래요… 미국이랑 스위스도 보세요.
@user-em2xg1ry9b
@user-em2xg1ry9b Жыл бұрын
​@@edm2756미국은 예금자는 보호해준다고 했음. 투자자보호를 안해주고. 한국은 반대임
@user-tp9yx1jd8w
@user-tp9yx1jd8w Жыл бұрын
고위 관료가 퇴직 후 어디에 가서 일을 하고 있는지 보면 답이 나오는 것이고 그런 자들은 퇴직 후 10년 동안 관련업계에 취업 할 수 없게 법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user-rv2fv5zh9g
@user-rv2fv5zh9g 7 ай бұрын
망할때는 국민세금으로 나라에서 막아주고 국민들 어려울때 등쳐먹어 지들끼리 돈파티하고 ... 세금으로 막은돈들 다시 걷어들여라
@user-mu1kg3pd4y
@user-mu1kg3pd4y Жыл бұрын
대출이자는높이고 예금금리는 쥐똥만큼주는 도둑놈들이다
@dbsrudtj
@dbsrudtj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은행이 예대마진이 가장 적은거 혹시 아십니까?
@birdbig9306
@birdbig9306 Жыл бұрын
​@@dbsrudtj그런것은 어디서 확인할수 있죠? 혹시 공개되는 곳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OoIlIlIl
@OoIlIlIl Жыл бұрын
근데 원래 우리나라 은행정도면 양반이긴함...ㅋㅋ 그냥 은행이나 금융권 자제가 전세계적으로 악질임.
@grit6398
@grit6398 Жыл бұрын
가구사장님은 이방송이 계기가 되어 다시 우뚝 일어날수있는 가구주문이 몰렸으면 좋겠네요.
@Jackssh
@Jackssh Жыл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이 방송을 계기로 더 추락하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almondinshanghai8682
@almondinshanghai8682 Жыл бұрын
가구브랜드이름 알려주세요
@Jackssh
@Jackssh Жыл бұрын
@@almondinshanghai8682 방송에 얼핏 나왔어요. 공개하기가 좀 그렇지만 방송에 나갈때는 전부 공개하려고 맘먹었기에 알려드릴께요~ "에그스타" 입니다.
@Jackssh
@Jackssh Жыл бұрын
@@user-jt3sp5zg1q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방송 잘 보셨다면 은행에서 받고 싶어도 과대출은 해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저의 회사 매출 규모에서 적게 받은 사업 융자 입니다. 저는 일하시는 분들 돈으로 예금, 적금 넣어 흥청망청 쓴 적 없습니다. 회사에서 번돈은 모두 회사에 재투자 하였습니다. 그랬으면 제가 집까지 팔고 개인 신용불량자까지는 안되었겠죠. 오히려 저의 예금, 적금, 보험 모두 깨면서 일하시는 분들 급여 대기 바뻤습니다. 대부분의 자영업자,중소기업 사장님들 대부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적어도 제 주변 사장님들 힘들어도 내색도 못합니다. 저희도 한국의 인원을 써서 만들고 싶습니다. 아직도 몇몇 품목은 한국에서 생산 중입니다. 그러나 현재 원가 구조상 한국에서 만드는 원목의자, 원목책상,식탁은 거의 없습니다. 식탁정도만 저희도 국내 생산 중입니다. 현재 마성님이 쓰시는 가구중에 메이드인 한국이 몇개나 있으신가요? 가구는 한국 인건비로는 현재 소비자의 3~5배를 내야 가능합니다. 마성님은 지금 가격의 3~5배를 내고 가구를 구매하실건가요? 한국 물량을 소화할만한 제작 공장도 국내에 없습니다. 저희는 공장을 옮긴게 아니고 해외 OEM을 주고 한국에서 잘하는 디자인과 품질 검수를 하고 인건비가 싼나라에서 생산하는 것 뿐입니다. 가구는 기술집약적인 산업이 아니라 노동집약적인 산업입니다. 신발도 마찬가지고 가방,의류 대부분의 공산품이 국제 무역의 흐름을 따르고 있습니다. 어느나라나 선진국과 인건비 싼 나라의 구조는 같습니다. 한국이 예전에 가난할때 가발,의류,신발등 노동집약적인 제품을 생산했습니다.저는 20년간 사업을 했는데도 힘드네요. 마성님이 현재 한국에서 신발, 의류, 가구 공장 운영해보세요. 아마 1년도 못 하실거에요.우리에게 일준 선진국들 때문에 오늘의 한국도 있다는 것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이쪽 산업에 대해 이해가 없으신 점은 이해합니다. 모든 분들이 산업구조까지 신경쓸 필요는 없으니까요.하지만 다른 분들이 오해 하실 수도 있어 팩트에 맞지 않는 사항이라 주제 넘게 한말씀 드렸습니다. 불쾌하셨자면 사과드립니다.
@user-xx2ep6ky1v
@user-xx2ep6ky1v Жыл бұрын
에그스타 흥해라! 은행은 버렸지만 국민이 살립시다! 창창한 젊은 가구회사를~~ㅜㅜ 이케아보다 더~~성장하길
@AncoachStudio
@AncoachStudio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홍보들 해주세요. 국민과 국가가 제공한 특혜를 받는 시스템에서 고금리 시기에는 기준금리 상승폭보다 훨씬 더 폭리를 취해서 돈 잔치를 벌이다니요.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런 시스템이라면 현재 시중 은행들이 가진 특혜를 모두 박탈해야합니다.
@suuu5978
@suuu5978 Жыл бұрын
깨달음을 주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haeun1206
@haeun1206 Жыл бұрын
은행만 배부르지...국민들은 죽어난다..
@user-oo2ys2ly7d
@user-oo2ys2ly7d Жыл бұрын
은행이 정말 배은망덕하죠 국민 세금으로 살려두니 분배와 투자는 없이 착취하고 갈취하려고 하는 악덕 사채업자와 뭐가 다릅니까
@user-vi9he5qj9v
@user-vi9he5qj9v Жыл бұрын
예금 이자는 왜 못 올리게하는걸까..... 너무 너무 속보인다...
@user-nf4wb4wo2l
@user-nf4wb4wo2l Жыл бұрын
은행한테 뜯기는게 참 안타깝다
@user-kz7ls3te1x
@user-kz7ls3te1x Жыл бұрын
이런 프로그램이 전국으로 퍼졌으면 합니다..진심입니다.
@cheesekiller
@cheesekiller Жыл бұрын
니가걱정안해도 피디수첩은 옜날부터대기업인데…
@user-cg9bs2iw1h
@user-cg9bs2iw1h Жыл бұрын
@se xy 돈은 정권때 다 받아먹고 윤짜장 탓하네 확실히 우리나라는 정치발전이 있을 수가 없다. 이재명하면 나라가 소멸되겠지 다 쳐 퍼준다고 미래에 대한생각이 없구만 후손들은 뭘로 쳐내냐
@user-bw7ky1yq2l
@user-bw7ky1yq2l Жыл бұрын
​@밤영 이게 편나누기인가ㅉㅉ
@tvvlog9812
@tvvlog9812 Жыл бұрын
당신 예금을 힘든 기업 사장님 대출해주는데 쓰겠습니까? 그냥 기부를 하시지요.
@user-rx8ic5ch1f
@user-rx8ic5ch1f Жыл бұрын
@@tvvlog9812 투자를해야죠 :)
@hanun114
@hanun114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시기입니다. 마음으로나마 응원합니다!
@stewarth2254
@stewarth2254 Жыл бұрын
부동산부자들만 세금깍아주는 정책을 비판해야지 응원만해서는 안됩니다
@JustinYim-wo2le
@JustinYim-wo2le Жыл бұрын
정부와 은행의 결탁이고 미친 정책을 펼치는데도 아무말 못하는 대부분 힘든 국민들이 바보인 것이다.
@user-iq8sl2jx2c
@user-iq8sl2jx2c Жыл бұрын
피디수첩 더 보게 되네요 엠비시 감사해요 피디수첩 항상 지금처럼 국민곁에 있어주세요
@user-cw2ee7mg5g
@user-cw2ee7mg5g Жыл бұрын
2찍이들은 윤석렬이 아닌 민병덕 민주당의원 덕에 불필요한 이자가 줄었단 사실을 알까? 받아드릴까?
@jaesokjay
@jaesokjay Жыл бұрын
시중은행은 자선단체가 아니다 미국은행은 더욱 엄격합니다
@solitude_0722
@solitude_0722 Жыл бұрын
1금융권 주주들이 누군지 아십니까? 외국자본입니다. 은행의 이익은 그들이 가져가죠..
@user-ke2fh2fd2t
@user-ke2fh2fd2t Жыл бұрын
평소 은행에 대한 관점이 정확했다는 사실에 뿌듯하면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려는 pd 수첩에 찬사를 보냅니다. 은행 믿지 맙시다 . 그리고 대안을 만듭시다.
@user-hd7im5ee3f
@user-hd7im5ee3f Жыл бұрын
대안 하기전에 일단 돈 갚으셔야죠
@user-qs3hz5dj7t
@user-qs3hz5dj7t Жыл бұрын
​@@maximus4063 .😢
@user-ko1bh3sk6d
@user-ko1bh3sk6d Жыл бұрын
가계부채 1900조 시대에... 빚 없는 서민이 어디있나?. 서민들 등골빼먹는 은행들.... 실태파악도 못하고 대책도 못 내놓는 한심한 금융당국. 전문가가 있어야 할 자리에 검사출신들을 낙하산으로 꽂아놓는 순간 서민들은 폭망으로 가고있다!!!
@user-kl3db9lc8l
@user-kl3db9lc8l Жыл бұрын
전문가가 있어야할 곳에 운동권 출신들 박아넣는건 괜찮고요? ㅎㅎ
@TrinSevenZ
@TrinSevenZ Жыл бұрын
빚없는데? 너만 있는거야 이 거지야
@minChominChoHae
@minChominChoHae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달랑 회계자격증 하나 있는 검사를 금감원장에 앉혀서 좋아졌냐? 공정과 상식의 금융강국이 됐냐고
@jhh8893
@jhh8893 Жыл бұрын
경제폭망으로 급하게 내달리고있는 현정권의 무능한 국가운영 퇴진이 답이다
@user-tm8lk4ps4m
@user-tm8lk4ps4m Жыл бұрын
​😂​​​@user-xg5cs6xv8w 코로나때 보편적으로 줘야하고 가계부채 최소한 줄여야 한다고 부르짓는 소리는 어디를 갔나. 나라가 빚을 지면 값는데 힘이 덜 되지만 개인이 빚을 지면 그만큼 더 힘들어 진다고 하던데 그 결과가 이제사 알게 되었나 개인은 회생하기 힘들다고 .
@skyrimsonata3629
@skyrimsonata3629 Жыл бұрын
국민 돈으로 배불리 40년전통이란다:국민은행 본점 35년다닌 친구가 하는말
@clip-English.
@clip-English. Жыл бұрын
은행들도 고통분담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정부가 강력한 금융정책을 실시해야 합니다.
@user-vs8wt2oc4x
@user-vs8wt2oc4x Жыл бұрын
이런방송을많이만들고!!!뉴스에서임펙트다루어야합니다!!mbc파이팅!!항상응원합니다
@user-gd5pp1sp7f
@user-gd5pp1sp7f Жыл бұрын
허경영 이미예고했는데. 이정도면.누굴탓할게아니다
@jkshin8197
@jkshin8197 Жыл бұрын
​@@kgjhgggigigigugiu 임펙트있게 다루라는 의미아닐까?
@kimsaam
@kimsaam Жыл бұрын
배신이 아니라 원래 은행이 저런 놈들임. 날 좋을 때 우산 빌려주고 비 오는 날 빼앗아가는 놈들.
@chanstmalone4016
@chanstmalone4016 Жыл бұрын
다시는 금모으기 운동같은거 하지 않겠습니다
@Alcoholgod
@Alcoholgod Жыл бұрын
은행만 대박 터졌네...
@user-wn5np1dq8k
@user-wn5np1dq8k Жыл бұрын
은행 . 건설사 망하면 절대 공적자금 대주지 말아라. 국민세금 정부 멋대로 쓰지마라.
@user-xc6vr8lk8u
@user-xc6vr8lk8u Жыл бұрын
당연하죠 국민은 나 몰라라하 하면 절대 가만 못잊죠
@user-ok5jk3kv5q
@user-ok5jk3kv5q Жыл бұрын
옳소!!
@steve-cs3bo
@steve-cs3bo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국민들이 호구라 시위같은거 따위 안하니 안 변하는거죠.ㅋㅋ
@user-bf8pc7pg4q
@user-bf8pc7pg4q Жыл бұрын
은행 망하면 걍 끝나는건데.....
@steve-cs3bo
@steve-cs3bo Жыл бұрын
@@user-bf8pc7pg4q ㄴㄴ. 안 망함 5대은행은 국가관리 차원에 있어서 괜찮고 나머지 듣보는 망하면 넣어둔 사람만 돈 당분간 종이되어있는거뿐이라. 망해도 괜찮은 은행들임. 근데도 살려내는거지. 낙수효과니 개소리하면서.
@user-xu8ep8vk3y
@user-xu8ep8vk3y Жыл бұрын
사연을 듣기만 해도 가슴이 답답해 지는데 저 한가운데 있으신 분들의 고통을 감히 상상도 못하겠다. 정치는 국민의 삶을 향상시키는게 목표인데 정치의 정자도 모르는것들이 다 차지하고 앉아있으니 나아질 기미는 보이지 않고 더 힘들어진다는데 참 막막하다.
@user-ds6op4sx6g
@user-ds6op4sx6g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사람살기가 참 힘든나라네요
@daum226
@daum226 Жыл бұрын
은행원의 성과금을 위해 국민들의 고혈을 쥐어짜는게 맞는가? 한국은행 이자보다 3%이상 못받게 해야 한다!
@illu7836
@illu7836 Жыл бұрын
예금자보호 5억하고 이자경쟁 붙혀 은행도 시장경제에 따라가게 해야 한다.
@user-bf8pc7pg4q
@user-bf8pc7pg4q Жыл бұрын
오오 이런 아이디어 굿
@illu7836
@illu7836 Жыл бұрын
@llllililiil 담합은 시장경제를 무너뜨리는 행위여서 정부에서도 예민하게 보는 사안이죠! 예금자보호 금액만 크게 늘리면 부실은행 다 도태되며 은행의 레벨링도 생길껍니다. 국민이 입맛에 맞게 선택할수 있는 선택권도 넓어지고 은행 자율제로 경쟁이 심화될껍니다
@user-zj9de6oq7t
@user-zj9de6oq7t Жыл бұрын
휴대폰 과열경쟁으로 소비자가 싸게 산다고, 방송꼴통통신위원회에서 싸게팔면 벌금 때릴테니 신고하라고 하는 나라에서 과연? 누가 얼마나 쳐받아 먹느냐의 차이일 뿐. 인간의 견장을 믿느니 윲시민이가 말하는 아무 가치가 없는 컴퓨터 코드 쪼가리 비트코인을 믿는게 빠를 것.
@user-ux7iw4hh1y
@user-ux7iw4hh1y Жыл бұрын
국회로
@heeeeee1355
@heeeeee1355 Жыл бұрын
자기들이 내야할 돈을 서민들에게 대출로 전가를 시키고, 예금자 돈으로 대출해주며 대출받은 사람들의 이자로 배를 채웠다.. 돌려막기 하고 이자 남은거 가지고 상여금 주면서 놀았단 소리?
@dbsrudtj
@dbsrudtj Жыл бұрын
자기들이 내야할 돈을 서민에게 대출로 전가시켰디른게 뭔소리신가요?
@Duruming13
@Duruming13 Жыл бұрын
금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공개하도록 법을 만들면 어떨까 싶네요.
@alexlee3830
@alexlee3830 Жыл бұрын
서민들 노약자상대로 과다. 수수료와 고리대금으로 매년 성과금 잔치하고 단순 서류업무 출납업무하며 연 7~8천씩 가져가는 날강도 집단들.. 금감원은 이미 본래의 기능을 잃은지 오래.. 결국 누군가 칼을 뽑아 금융권에 대한 강력한 세무조사등이 필요해보인다
@goddfather8180
@goddfather8180 Жыл бұрын
햇살론이 15.9% 이게 말이 됩니까!!!!
@net5713
@net5713 Жыл бұрын
답변도 못내는 가산금리.. 안내면 신용불량자 만들고.. 정부에서 개입할 필요가있다
@user-br8yc2jb7h
@user-br8yc2jb7h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방송 이네요
@user-ch4hr2mk5p
@user-ch4hr2mk5p Жыл бұрын
은행들 욕을 안 할 수가 없네요.
@jbl3039
@jbl3039 Жыл бұрын
은행은 우리를 고객으로 보는게 아님.. 사냥감으로 보는거지..
@user-tj4op9ps6v
@user-tj4op9ps6v Жыл бұрын
MBC앞으로도정확한방송부탁드립니다 항상응원하고열심히시청하겠습니다 MBC홧팅! 홧팅!화이팅!!♡♡♡
@user-wf1lo6fk3u
@user-wf1lo6fk3u Жыл бұрын
MBC응원한다고? 정치 편항적이고 민주당방송국인데 말이다ㆍ
@user-bn1ob2ys4m
@user-bn1ob2ys4m Жыл бұрын
​@@user-wf1lo6fk3u이재명 찍었나봄ㅋㅋ
@user-cw2ee7mg5g
@user-cw2ee7mg5g Жыл бұрын
​@@user-wf1lo6fk3u 국짐 똥꼬 빨아야 올바른 언론인가?
@nmaja-ld9lz
@nmaja-ld9lz Жыл бұрын
@@user-wf1lo6fk3u 에라이~
@nmaja-ld9lz
@nmaja-ld9lz Жыл бұрын
@@user-bn1ob2ys4m 에라이~
@user-bz3yz7kz4z
@user-bz3yz7kz4z Жыл бұрын
초 중 고 학생들에게 금융에관한 교육실시했으면 하네요 빚을지면 매달지출되는것도 적나라하게 교육했음 하네요 PD수첩 감사합니다!!!!
@hanidong
@hanidong Жыл бұрын
그거 하면 똑똑해져서 안시킴
@2Torrent
@2Torrent Жыл бұрын
문맹도 아니면서 상품설명서 1줄 읽는 것도 귀찮다고 안 보는데, 금융 교육이 뭔 대수인가 싶네요. 빚 지면서 무언가를 할려면 그보다 더 많은 이익을 내야 된다는 건 덧셈뺄셈만 할 줄 알아도 아는 상식이 아닌가?
@user-ll8jr7yq3l
@user-ll8jr7yq3l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를이해못하면은행을욕하는거지요
@jinlee85
@jinlee85 Жыл бұрын
아주 적절하고 현실성잇는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user-kd7jd6kr3k
@user-kd7jd6kr3k Жыл бұрын
이러니 누가 결혼하고 애낳고하겠냐..정말 이나라 큰일이다
@wq-cn3vb
@wq-cn3vb Жыл бұрын
무섭죠
@user-fu4ub5gg2v
@user-fu4ub5gg2v Жыл бұрын
마봉춘 당신들이있기에 진실을알게되어감사드립니다 기득권에 압박에굴하지 않는 참언론을 응원합니다
@pkkih77
@pkkih77 Жыл бұрын
올해 이사계획있는데 에그스타에 주문해야겠어요 힘내세요
@kcc853
@kcc85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그 은행 임원들이 뭘 특출나게 잘해서 그 보너스를 받죠?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바람에 한국 또한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 이자를 무지막지하게 거둬들인거지
@user-vk2qb2ts1l
@user-vk2qb2ts1l Жыл бұрын
이거에요... 미국금리 따라가다보니 이렇게된거지 금리내리면 한국돈은 휴지조각되긴해요....
@parkdr.5381
@parkdr.5381 Жыл бұрын
한국 가계부채는 이미 한국 경제가 감당 가능한 한계 임계점을 넘었음. 이건 작년 OECD 공식 보고서에 이미 나온 이야기들임. 더는 빚을 내서 뭘 할 수 없을 정도로 한계 벼랑끝까지 온 종착역이 2023년 지금 보고 있는 이 영상임. 이젠 그냥 소름 끼친다
@argos7able
@argos7able Жыл бұрын
부동산까페 가면 지금도 풀대출땡겨서 내집 마련해야된다고 선동중임
@user-mi7zh2sv9n
@user-mi7zh2sv9n Жыл бұрын
금감원이 국가기관이 아닙니다 국가기관으로 흡수해서 은행을 감시해야 합니다
@jhp2833
@jhp2833 Жыл бұрын
공공성이 있긴하지만 엄연히 민영기업인 은행을 국가에서 감시해야한다? 그러면 삼성이니, 현대니 다 국가에서 통제하지 그래요? ㅋㅋㅋㅋㅋ 아 근처에 그런 나라 하나 있긴하네요
@user-bn7tw5rb7y
@user-bn7tw5rb7y Жыл бұрын
​​​​@@jhp2833 그럼 은행 허가없이 누구나 할 수 있게 해줘야져 금산분리는 왜함?
@user-px8zn5kp6f
@user-px8zn5kp6f Жыл бұрын
@@user-bn7tw5rb7y 오....?
@oliviak.4312
@oliviak.4312 Жыл бұрын
대부분 금감원이 국가기관이라 생각하는게 다수. 퇴임하고 전관예우의 끝판왕. 국가기관으로 흡수해야 하는게 맞다고 봄.
@user-jh5xh5hw6u
@user-jh5xh5hw6u Жыл бұрын
은행,대기업 중 정부지원 안받는 곳 없다.
@user-lu3ey8di4z
@user-lu3ey8di4z Жыл бұрын
예전처럼 은행도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시중5대은행밖에 없으니깐 경쟁도 없고 서민들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지만 횡포로 느껴집니다
@user-fc2iw2yk2h
@user-fc2iw2yk2h Жыл бұрын
은행이 많아지면 어떤 현상이 벌어지는지도 모르고 그냥 뚫린 입으로 막말하네... 학교도 안나왔나..
@kyungtaeklee5811
@kyungtaeklee5811 Жыл бұрын
은행이 5개로 줄은 이유가 뭔지나 알고 글을 쓴건가?
@user-ke5fz3fi3v
@user-ke5fz3fi3v 8 ай бұрын
진짜 무식하네…ㅋㅋㅋㅋㅋㅋ
@Christoper1102
@Christoper1102 Жыл бұрын
하.... 벗어날수가없다 정말 ㅠ 😢
@suhyeonlee1008
@suhyeonlee1008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공감갑니다... 잘될때는 든든한 동반자, 안될때는 등돌리는 배반자...저도 약 1년간 빚으로 고생할때 제 1금융권은 도움이 안되었습니다. 갚을 자신이있고, 통장내역도 증빙할 수 있는데 대출 승인이 안나와요. 정작힘들때는. 그럼 자연스럽게 2금융.. 3금융.. 사채.. 고금리 쓰게 되는거죠. 그러면 자연스럽게 빚덩이가 굴러서 나락으로 가게되는 겁니다. 그래놓고 광고는 국민든든, 서민동반자.. 그 서민들 돈으로 성과금 잔치.. 참 기도 안찹니다
@user-rq7xz1um6t
@user-rq7xz1um6t Жыл бұрын
@TV뉴스네트 테크놀라지 도태남수준 ㄷㄷ
@tbq264
@tbq264 Жыл бұрын
@TV뉴스네트 테크놀라지 쿨찐특) 누칼협이란말 자주씀ㅋ
@junkman9010
@junkman9010 Жыл бұрын
맨땅에 헤딩하지말고, 괜찮은 아이템이나 사업이 있으면 국가에게 먼저 제출해서 지원 받자. 빚내서 사업한다. 라고 떠드는 사람들 보면, 맨땅에 헤딩으로 사업하는 사람들이 많던데. 국가가 창업 지원 센터 운영하면서 지원 잘해주고 있는데. 맨땅에 헤딩하는 사람들 이해가 안되어감...
@dgj568
@dgj568 11 ай бұрын
한국의 은행과 법원은 재벌들을 위한 곳이죠
@user-xe8rg5bt4o
@user-xe8rg5bt4o Жыл бұрын
돈은 감정이 없어....다루는 사람과 주체가 냉정한거지. 그런데 돈이 참 냉정해 보인다..다들 잘 이겨내시길..
@user-yd8ss2fv9k
@user-yd8ss2fv9k Жыл бұрын
언제부터 서민의 든든한 은행이었음? 은행이 생긴 그 순간부터 그런 적 단 한 번도 없었는데 ㅋㅋㅋㅋ
@user-xy1rl8ki3w
@user-xy1rl8ki3w Жыл бұрын
국민들 힘들때 시중은행들 빨대56조는 정말 심했다 그돈으로 지들 성과급 잔치나하고 정말 욕나온다 국가는 강력하게 대처안하고 뭐하냐 🤬
@user-rd8md8mq6v
@user-rd8md8mq6v Жыл бұрын
야 c 금감원장도 검사시키내..... 나중에 검사가 로켓도 쏘아올리는 거 아닌가?
@korea2130
@korea2130 6 ай бұрын
은행들의 지나친 예대마진 격차는 심하긴하죠. 은행들도 돈을 벌어야하는 기입이니깐 어느정도의 예대마진 격차는 그러려니 하는데요. 지금의 예대마진 격차는 너무하긴하죠.
@333movie
@333movie Жыл бұрын
나라는 늘 적자. 은행은 늘 흑자.
@user-gp7mf5pn6r
@user-gp7mf5pn6r Жыл бұрын
은행은 도둑이라고 봄!
@myownme53
@myownme53 Жыл бұрын
해 쨍쟁할 땐 우산 빌려주겠다고 아우성. 비내리면 우산 얼른 확 뺏어가는게 은행이다. 믿지말고 항상 조심. 대비하고들 사시길, 절대 동반자가 될 수 없습니다. 저들이 유지-yuji 하고 사는 건 난.갑 position. 이건 죽었다 다시 깨어나도, 안 바뀐다.
@skyboy09871
@skyboy09871 Жыл бұрын
저런 깨어있는 국회의원이 필요하다!!!
@drivers_club
@drivers_club Жыл бұрын
전국민 피같은 금모으기해서 살려놨더만 저 도둑놈들은 은혜도모르고 더 고혈을 짜먹고있네.
@user-fi6lm9sd7r
@user-fi6lm9sd7r Жыл бұрын
자영업자아니더래도 건축일하며 근근히살아오던 4식구 빚에빚이늘어 결국 집팔고 땅팔고 했는데도 도로 2천빚생겨나 집도절도 없이 살아가는 데 이게 인생인가싶다가도 억장 무너지고 그러네요 ㅜ
@user-so1fp5yd7y
@user-so1fp5yd7y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힘내세요 😢
@user-vh5cn1ko7q
@user-vh5cn1ko7q Жыл бұрын
혼자벌어서 못버팁니다 이혼하시고 혼자 벌고 혼자갚으시죠
@user-pk2ux4vk7n
@user-pk2ux4vk7n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
@user-pn6sg5vk3y
@user-pn6sg5vk3y Жыл бұрын
건설업이 ㅠㅡㅠ 어려우니 그 비슷한 계열인 저히도😢 심각하게 고려중입니다
@dorayodora
@dorayodora Жыл бұрын
​@@user-pn6sg5vk3y 노동자만 힘들군요 건설업계는 파티하던데요
@OhroraCH
@OhroraCH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시기 입니다. 서민들 이자로 성과 놀이하는 은행 해가 뜰때 우산을 빌려주고 비올 때 우산을 빼앗는 은행 우리도 할 수 있습니다. 뱅크런으로 은행들에게 갚아 줍시다.
@lapis621
@lapis621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램 제목 부터가 말도 안 되는....[서민의 든든한 동반자? 은행의 배신] ㅋㅋ 일반인은 아파트 당첨 되면 전세 월세 부모집에 얹히기 등등으로 겨우 입주 하는데......은행직원들은 무이자로 몇 년 씩 대출해서 아파트 중도금 잔금 다 갚을 수 있어서 이사도 안 가도 된다고 자랑질 오졌었는데~ 몇 년 됐지요?! 뱅크런 당할까봐 1일 출금량 제한, 입출금통장도 개인 당 1개로(대포통장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거짓말 하면서~만든 정책)
@user-hi6qi4su2k
@user-hi6qi4su2k Жыл бұрын
은행대신 한마디 해볼게요 : 니들이 뭘 할수 있는데?
@user-kc2zu3vq1k
@user-kc2zu3vq1k Жыл бұрын
​​@@user-hi6qi4su2k 꼬
@user-gd5pp1sp7f
@user-gd5pp1sp7f Жыл бұрын
허경영 이미예고했는데. 이정도면.누굴탓할게아니다 배급시대를.원하는데.국민이ㅎㅎ나라팔아먹자고.다들으쌰으쌰.
@jhp2833
@jhp2833 Жыл бұрын
그럼 전부 인출해서 집에 현금으로 쌓아두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 할 수 있긴 개뿔
@user-dp2ul6tr3v
@user-dp2ul6tr3v 10 ай бұрын
PD 수첩 , 대한민국 의 대표 프로그램 입니다 . 응원합니다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user-pn6sg5vk3y
@user-pn6sg5vk3y Жыл бұрын
임대료가 많이나가 아파트 팔고 적금깨서 2층삿가주택 간신히 사서 ㅠㅡㅠ 갚아가면 우리건물이라도 가지겠다 했는데 3달전부터 일은 끊기고 갑자기 3%시작이 4%로 천천히 올라가더니 갑자기2%를 한꺼번에 올리더디 6%가 되어 가게새만큼 이자가 되어가네요~~~ 무섭습니다. 코로나19때 보다 2배 힘들고, 무기력해지고 이정부에선 희망도 안보입니다 .
@user-xg9xd6gg8x
@user-xg9xd6gg8x Жыл бұрын
원래부터 은행업을 기울어진 운동장이라 했습니다. 그나마 관치금융 시절에는 특혜인 점을 감안, 되도록이면 큰 이익이 나지 않도록 스스로 몸조심했었어요. 사농공상의 뿌리깊은 인식이 남아있었던 터라 돈놀이를 해서 이익을 많이 낸다는 게 눈치보이던 시절이었죠. 지금 이 시대에는 그런 관념조차 사라져버렸습니다. 오로지 서민들을 상대로 원없이 후려쳐먹는 약탈자로 변한 겁니다. 아무튼 빚을 내서 무언가를 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투자론 강의에서 이야기하는 레버리지는 이제 구시대의 유물로 사라질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user-kw4bb4zn8e
@user-kw4bb4zn8e Жыл бұрын
돈없이 대출을 왜. 많이받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은행이야 이자 장사 해야 한다고 하지만 아무리 금리가 싸도 왜 빛을내서 장사하고 빛을내서 집을 사냐고요? 돈벌 자신있고 이자갚을 자신 있고 ㆍ또한 벌어서돈벌생각ㆍ집값올라 돈벌려고 한것 아닌가요? 그런분들 때문에 우리나라 젊은 미래세대가. 희망이. 없어지는 겁니다 빛내서 나라 ㆍ은행타령 하지 마시고 욕심내어서. 지금 힘들어진것. 사회따령 은행타령 나라경제타령. 하지마세요 부채 탕감도 해주심 안되고요. 본인이. 다 책임지심 되는겁니다 욕심이불러온. 답입니다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 Жыл бұрын
벌이가 없는데 숨만 쉬어도 나가는 공과금들이 살인적인 수준으로 힘들어하는 국민들 태반입니다. 생계비 대출받으려는 사람들만 몇십만명 이라면서 먹고살 돈도 없는데 꼬박꼬박 내라는 건보료등 공과금 보험료들 보면 진짜 분노가 끓지요.
@user-ci2oq2ql3i
@user-ci2oq2ql3i Жыл бұрын
국가의 리더들이 서민경제에는 관심 없고 어떻게든 임기기간 안에 자기들 배때기만 채울 생각만 하니까 점점 살기 힘든 나라가 될수 밖에...
@mylogic8413
@mylogic8413 Жыл бұрын
너가 리더 되도 그럴듯 인간은 이기적이고 비합리적이 동물이니까
@user-jz3bi3lh5l
@user-jz3bi3lh5l 7 ай бұрын
그래서 선거투표 현명하게 해야 되는겁니다 나도 어리석은 1인으로 한심하죠
@user-tx6mg3uh6p
@user-tx6mg3uh6p Жыл бұрын
공인중개사가 햇던 말 " 이동네 아파트 90%가 대출끼고 삽니다 " 이것이 우리나라 국민들 현실입니다. 고금리 시대는 국민 대다수에게 큰 고통인것은 틀림없죠
@user-ug4wi1tm4r
@user-ug4wi1tm4r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집값이 부채로 쌓아올린 개거품이라는 걸 중개사도 간접적으로 말하는건데 그걸 또 오른다에 베팅해서 풀대출 땡겨서 매도자한테 갖다바치고 있냐. 개한심ㅋㅋ
@wq-cn3vb
@wq-cn3vb Жыл бұрын
다 대출끼고 삽니다 변동으로
@user-ny7yn4fw1m
@user-ny7yn4fw1m Жыл бұрын
​@@user-ug4wi1tm4r ㅋㅋㅋ 돈없어서 집못사는 니가 승자임
@user-ug4wi1tm4r
@user-ug4wi1tm4r Жыл бұрын
@@user-ny7yn4fw1m풉~~~돈 없어서 세입자돈으로 등기치는 갭그지 니가 승자지 무슨~~ㅋㅋㅋㅋㅋ
@user-qm5jo7ck8v
@user-qm5jo7ck8v Жыл бұрын
전세제도는 폰지사기랑 다를게없다
@user-yf2hh7dr2p
@user-yf2hh7dr2p Жыл бұрын
뱅크런이 답이지 으흐흐
@user-ie7tm6sr2p
@user-ie7tm6sr2p Жыл бұрын
보는내내 한숨밖에 안나오네요 ..너무 안타깝습니다 ..
@Davidjohnson-ct7zh
@Davidjohnson-ct7zh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MBC PD수첩 정말 감사합니다. 정부 관료 출신들이 한자리 씩 차지하는 은행들~ 모피아가 사라지지 않는 한 ... 그러한 관행들이 없어 지지 않는한 계속해서 고통받는 사람들은 일반 시민들 이지요.
@user-kq7kj7cp6m
@user-kq7kj7cp6m Жыл бұрын
PD수첩인데요??
@user-sv4tx6cn8b
@user-sv4tx6cn8b Жыл бұрын
@@user-kq7kj7cp6m 맞아요
@sonagey
@sonagey Жыл бұрын
이게 핵심같습니다. 모피아와 금융권과의 유착관계가 제일 큰 문제입니다.
@danielkim5612
@danielkim5612 Жыл бұрын
민주당 출신들이 한자리씩 하고 있지요....
@user-sv4tx6cn8b
@user-sv4tx6cn8b Жыл бұрын
@@danielkim5612 민주당 출신 누구요?
@user-ys5ct5qo7h
@user-ys5ct5qo7h Жыл бұрын
은행의 모든 돈은 고객돈이고 예금이자 쥐똥만큼주고 그돈으로 대출이자는 폭등시켜 남기고 은행은 성과금 잔치를하며 양아치 짓꺼리를 하고있다
@user-yc9si5bs6h
@user-yc9si5bs6h 7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
@user-hyo_it
@user-hyo_it 5 күн бұрын
pd수첩 감사합니다.
@user-yf7nv5ms9h
@user-yf7nv5ms9h Жыл бұрын
자영업자입니다 ㅜㅜ 코로나때보다 더 힘들어요. 진짜
@dj-zl3ev
@dj-zl3ev Жыл бұрын
대통령이 굥이라 태평성대인데 자영업이 안힘든적이 있었나
@user-qt3lu6lk2g
@user-qt3lu6lk2g Жыл бұрын
폐업해라. 사람들 지갑만 노리는 장사꾼아
@peacekorea9179
@peacekorea9179 Жыл бұрын
정리할수 있음 얼른 정리하세요 경기침체 이제 시작이랍니다
@user-ik1fd9ov8r
@user-ik1fd9ov8r Жыл бұрын
장사 오래하신분들 경기 좋을때 아파트 몆채 가지시고 3층건물
@user-ou5kc7fm2l
@user-ou5kc7fm2l Жыл бұрын
손가락은 리스크고 은행의 리스크는 뭐냐고 물어보시면...
@lit367
@lit367 Жыл бұрын
빚내서 버티는것도 개인의 판단이고, 빨리 손절치고 나오는 것도 개인의 판단인데, 돈빌려준 은행 욕하는건 뭐임? 자기가 판단실수해서 빚더미 올라간건데.
@user-il2mj9th2p
@user-il2mj9th2p 11 ай бұрын
그래요 은행은 아주 조심하고 신중해야 되는 곳이죠. 무서운 곳으로 알고 살아야 함. 빚의 무서움을 자식들에게 교육시켜야 함. 근면.절약. 지금의 상황보다 못 하게 살아야 자본주의에서 노예가 아닌 자유인으로 살아 갈수 있다.
@dannypark1832
@dannypark1832 Жыл бұрын
백번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정치인들은 뭐하나? 은행폭리 규제하지 않고!! 물에 빠졌을땐 정부에서 구제해줬는데 정작 국민들이 힘들땐 본척도 안하는듯
@nothanku13
@nothanku13 Жыл бұрын
@@NEWSNET_TV🤬
@TENGA_TV
@TENGA_TV Жыл бұрын
규제요? 정부가요? 같은 한통속인데? ㅋㅋㅋ 문재인정부시절에도 바꾸지 못한게 삼성저격수인물의 금융감독원임명 실패였습니다.. 그당에서 목숨걸고 지킨게 금융감독원장자리였음... 이게 무슨이야기냐~~ 자기들 밥그릇은 목숨걸고 지켰다는건데 .. 규제는 무슨 ㅋㅋ
@user-zl4wz9xu5m
@user-zl4wz9xu5m 7 ай бұрын
​@@nothanku13😅
@Wanderer2310
@Wanderer2310 Жыл бұрын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를 더 내려버리면, 지들은 손해보는거 하나없고 예금자들돈으로 대출자들 지원해주는꼴이되네. 오히려 은행은 예대금리차가 벌어지는만큼 더 이득보네요. 완전 양아치네ㅎㅎ
@daum226
@daum226 Жыл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 은행들 문제있다! 신용1등급도 6-7% 이자를 받고 있다.ㅜㅜ 시브럴
@zzxw9488
@zzxw9488 Жыл бұрын
아니근데 고금리 시대 올거 예상못했나? 저금리 잔치일때도 미국은 계속 금리올릴생각이 있었고;;; 지금 세계적으로 금융시장이 붕괴위기인데 크레딧스위스랑 svb 채권시장이 지금 말이아닌데;;; 개인적으로 지금시즌에 이렇게 분위기 몰아가는거 이해안됨;;;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Жыл бұрын
와 소득도 안되는데 저렇게 빌리는구나... 은행잘못이 크네요... 앞으로 더 깐깐하게 대출심사 신용등급을 세분화해 대출이자 세분화가 필요합니다... 소득이 낮은데 저런 큰돈을 4%대로 빌려주다니... 가산금리를 더 높일필요가 커보여요
@dwh67
@dwh67 Жыл бұрын
은행 영업이익의 85%가 대출이자 정말 이자로 얼만큼 벌어들일까 의문이었는데 명확하게 나왔네요 시원하게
@AtoZoo
@AtoZoo Жыл бұрын
근데 원래 은행이 그렇게 돈 범 근데 지금처럼 기준금리 엄청 올라가면 예금은 엄청 많은데 대출은 안나가서 투자로 이익보는데 다 떡락하는 시기라서 세계 은행 다 무너지는 와중에 한국은행은 벌어감 일단 국민들 부채 힌국 미챴고 대부분 대출이 변동금리라 그런듯
@user-oi2st6nm2d
@user-oi2st6nm2d Жыл бұрын
은행은 원래 대출로 돈버는 거임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전세의 배신 - 전반부 - PD수첩 2023년6월20일 방송
33:53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