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한류 행사 열리자 난리! 특집방송까지?

  Рет қаралды 156,292

트루코리아

트루코리아

28 күн бұрын

#한류 #해외반응, #외신반응
"자랑스러운 우리 민족, 우리 대한민국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트루코리아 채널에 제보 및 협업을 원하시는 분은 이메일로 문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ruekorea_@naver.com
참조
- “CityLine: Swept up in the Korean Wave”, WCVB Channel 5 Boston, 2024.05.13
사진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시카고미술관
MFABoston 공식홈페이지
보스톤미술관
넷플릭스
어도어
위버스
바른손이앤에이

Пікірлер: 120
@peterchoi6318
@peterchoi6318 26 күн бұрын
더 겸손하고 더 선한영향력을 끼치는 국가가 되자!
@user-me8jf6gk9g
@user-me8jf6gk9g 26 күн бұрын
요즘처럼 원본동영상이 가뭄인 때에 실제방송 좋네요. 구독합니다.
@user-wz1hs9oo7p
@user-wz1hs9oo7p 26 күн бұрын
오래도록 우리의 문화가 세계에 널리널리 퍼져서 단군할배의 홍익인간 정신으로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과 감동으로 다가가서 좀 착해지는 사람들이 많아지길 바라봅니다
@user-kk1cn6so1f
@user-kk1cn6so1f 26 күн бұрын
홍익인간은 지구촌 전 인류가 한 형제 한 가족 이란 의미ᆢ 이 보다 위대한 사상은 없죠
@darkcirclecrow6291
@darkcirclecrow6291 25 күн бұрын
영원할수가 없어 그언어 많이 써야되는데 한국어 하는 사람이 너무 적어 중국어 영어 러시아어 비해서 너무 극소수야 그래서 영원할수가 없어~~~~ 배우는 사람도 영어 중국 러시어 비해서 턱없이 부족해~~
@umyheartumysoul
@umyheartumysoul 24 күн бұрын
대똥령이 윤썩열. 게임오버.
@user-haviland1230
@user-haviland1230 23 күн бұрын
그래야죠 누군가 우리 , 경제, 문화 성장을 방해 하지않으면 충분히 꿈을 이룰것이라 생각합니ㅡㅏ
@user-nm1ml2ii5p
@user-nm1ml2ii5p 2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오랜 세월 동안 문화적으로 선진국이었습니다. 중국도 우리나라 문화를 통째로 삼켜버리는 도적질을 해서 우리가 싫어하지만, 17~18세기까지 늘 세계에서 가장 문명된 나라였고. 우리도 중국과 경쟁하고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같이 선진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어요. 산업혁명이후 동아시아가 근대문명에 뒤떨어져서 유럽과 미국에 약 200년 동안 뒤쳐져 있었지만, 이제 회복되어 가는 겁니다. 거지가 갑자기 부자되는거 아니고 망한 부자가 절치부심 끝에 다시 부를 찾는 것임을 알아야 겠어요
@kyungjo5292
@kyungjo5292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더 겸손해야 하고, 좀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
@user-jjg1999
@user-jjg1999 26 күн бұрын
영상편집이 좋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14 күн бұрын
독일처럼 동독 서독 경제교류하다가, 통일된다면, 세계강국으로 발전, 대륙진출 경제효과
@user-cx5pl6cg1g
@user-cx5pl6cg1g 10 күн бұрын
남북경제교류는 커녕 부칸경제제재하자고 난린데요~~^
@ysson9611
@ysson9611 22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올려 주신 것 진심 감사드립니다.
@arang_arang
@arang_arang 26 күн бұрын
한류우드~~~~~
@hdlee8759
@hdlee8759 26 күн бұрын
유투브 영상이 아니라 거의 메이저 언론사 취재영상이군요 .. 아주 고 품질 영상입니다.
@leemyalone9606
@leemyalone9606 26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SetZher
@SetZher 26 күн бұрын
가짜, 과장 국뽕정보가 판을 치는데 치여서 지쳐가고 있었는데, 이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17 күн бұрын
유엔 한글특허로 한글 공통어된다. 한글 최고
@user-qk5bb7ip9l
@user-qk5bb7ip9l 22 күн бұрын
누구도 부정할수 없는 영원한 슈퍼파워는 한글입니다
@grlee5048
@grlee5048 22 күн бұрын
아메리카 땅에서 조선왕조실록,임진왜란, 한글창제, 그랜드캐넌 석굴암....있었다....
@user-haviland1230
@user-haviland1230 2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zhaoyunzulong
@zhaoyunzulong 23 күн бұрын
한국의 문학작품도 세계화로 나갔으면 좋겠네요. 이제 슬슬 한글이 퍼져나가고 있으니.
@qqqsezon8510
@qqqsezon8510 24 күн бұрын
위대한 대한민국 👍
@highgo591
@highgo591 26 күн бұрын
정부주도로 한것이 무엇이 있어?, 민간이 한것이 아니었어?
@ianoptics72
@ianoptics72 26 күн бұрын
어린애구나.... IMF 이후에 김대중 정부가 얼마나 많은 것을 했는데....인터넷 망을 다 깔아서 세계 최고가 되었고,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문화 정책이 초기에 엄청 큰 힘이 되었다.
@WQW75share-vh5my
@WQW75share-vh5my 26 күн бұрын
@@ianoptics72 김대중, 노무현 - 지원 하고 간섭 안함. 이명박 박근혜 - 블랙리스트 만들고 탄압
@tunerk7
@tunerk7 26 күн бұрын
모든 나라는 자국의 문화산업이 강해지길 바라며 지속적으로 투자합니다. 그리고 선진국이라고하는 나라들 중에서 문화적힘을 가진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국민들의 역량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밑빠진독에 물붓는 격이지요.
@LForest.
@LForest. 26 күн бұрын
그만큼 부작용도있죠…너무 빨리 성장해서 보지못했던것들이 터지고있어요
@user-zx9cs1or7u
@user-zx9cs1or7u 26 күн бұрын
기적 같은 성장이란 말은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그렇게 무섭게 성장한 나라니까 통일 될 무렵 또 한 번 기적을 일으켜서 10년 안에 미국도 제끼고 세계 최강국이 될 거다. 한류도 마찬가지다. 그 무렵이면 세계의 톱스타 베스트 텐 중 절반이 한국인일 것이다.
@user-ff1bv5ej5c
@user-ff1bv5ej5c 26 күн бұрын
미국을 제끼기 전에 미리 싹을 자를텐데 그런 국가특급기밀을 유출하다니 너 어쩔려고 그래?😢
@naum834
@naum834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다른 나라와 약간 다름. 중국. 러시아는 미국의 적대국이고 일본은 미국을 공격한 적이 있었고 미국 기업과 대립각에 있었음. 하지만 한국은 기본적으로 미국기업과 협력하는 형태고 경쟁하는 분야가 작음.
@pmk98
@pmk98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기본적으로 상생을 원칙으로 해외에 진출하기 때문에 그것을 안다면 한국을 거부 할 나라는 적국 외엔 없을 겁니다. 동남아에서 사업하시는 분들보면 봉사활동도 많이 하시고 어려운 이웃들도 많이 돕더군요.. 물론 본인이 여유로울 경우입니다.
@user-nq5my1xy3b
@user-nq5my1xy3b 26 күн бұрын
후조선인 북쪽부터 통일할 수완을 발휘해봐라. 방향 잘못잡지 말고...
@TheNicechoiko
@TheNicechoiko 26 күн бұрын
순진하긴. 플라지 합의라고 들어봤나 미국이 성장하던 일본을 어떻게 밟았는지. 미국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부장관 시절 인터뷰는 봤나? '한반도의 지속적인 긴장은 미국의 국익에 도움이 된다'
@user-sn9rf8mk5w
@user-sn9rf8mk5w 26 күн бұрын
imf 이후 김대중이 문화시장 개방하자고 할때 모두 반대했었고 영화인들이 가장 극심하게 반대했었다. 그래서 탄생한것이 기존의 중소기업진흥원을 본딴 전국에 있는 컨텐츠 진흥원 ... 영화인들은 국가의 지원을 확약받고 한발 물러났고 정부는 약속을 지켜서 지원은 하고 간섭은 안한다는 이념으로 문화산업을 전반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춤과 음악 게임, 영화, 드라마, 웹툰, vr등이 대상이었다. 물론 아티스트들이 직접적으로 지원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 더 많겠지만 인프라를 확대하고 산업의 파이를 키우는데는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수 있다. 산업의 파이를 키우지 않는다면 재능이있는 사람들이 그 산업에 자신의 인생을 투자할 이유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user-ul1vb7uo2q
@user-ul1vb7uo2q 23 күн бұрын
문화혁명의 뿌리는 내가 심었다
@user-ug8nq1nc3f
@user-ug8nq1nc3f 11 күн бұрын
미국은 한나라가 너무 커질것 같으면 가지치기하고 전쟁의 소용돌이로 몰기도 한다. 지금 이런 분위기를 잘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yjc6362
@yjc6362 3 күн бұрын
협력과 상생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26 күн бұрын
경제급성장기가 20~30년 후 문화부흥을 가져옴.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26 күн бұрын
세상을 변화 시키는 것에는 참 많은 우연이 겹친다고 생각됩니다. 한류와 K팝이 세계적으로 흥행할 수 있게 된 배경엔 커버댄스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커버댄스가 청소년기의 젊은 세대들에게 또래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며 놀 수 있는 놀이 문화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아이러니 한 것은 커버댄스라는 것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문화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2010년 전후로 동남아, 특히 태국에서 커버댄스라는 이름으로 K팝 그룹 댄스 따라 춤추기 문화가 유행하면서, 우리 언론에서도 외국에서 이런 문화가 유행하고 있다고 보도될 정도였으니까요~ 심지어 2PM 뮤직 비디오까지 그대로 흉내 낸 태국 젊은이들의 영상을 보면서 깜짝 놀라기 까지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한 유행 배경엔 2PM 닉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고, 또 그 못지 않게 중국과 대만에서 먼저 불었던 한류의 파급 효과가 동남아까지 퍼졌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됩니다. K컨텐츠는 한국이 만들었지만, 그것의 영향을 받은 다른 나라들의 또 다른 유행이 글로벌 유행으로까지 퍼지게 된 것이라는 것이죠~ 예전엔 중국, 대만, 동남아 쪽의 유행엔 둔감해 지고, 서구 유럽쪽 유행에만 관심이 집중되는 것 같은데, 한류를 확산시키는데 크게 일조했던 아시아권 다른 나라들에도 관심과 감사를 표해야 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예를 들면 "한류는 한국의 문화이지만 곧 아시아의 문화다! 왜냐면 여러 아시아 국가들이 함께 동참하고 만들어 줬기 때문에 가능했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도 유행할 수 있게 된 것은 아시아 사람들의 사랑 덕분이다. 앞으로도 더 많은 사랑과 동참을 바란다~" 그러면 더 많이 아시아 사람들이 애착을 가지고, K문화의 흥행에 앞장 서 주기 않을까 싶습니다.
@normallife-kf1fq
@normallife-kf1fq 6 күн бұрын
BTS 제대해 완전체 되는 2025년에 폭발할 걸로 예상합니다. HYBE 주식 그때까지 차곡차곡 모으자!!!
@user-fh9uh4ys8j
@user-fh9uh4ys8j 25 күн бұрын
CJ가 큰일하네요
@user-cy7xs6xl2j
@user-cy7xs6xl2j 26 күн бұрын
한류라는 잔칫상을 푸짐하게 차려 놨으니 입맛대로 골라 드셔유~ 배 터질때까지유~
@namhaks0347
@namhaks0347 26 күн бұрын
한국문화는 훌륭했지만 진짜 인터넷의 발전 유튜브와 넷플릭스로 세계에 알려졌다
@seohenry6096
@seohenry6096 26 күн бұрын
june 가로 본능 애니콜 폰 아닌가? 오랜만이넹 ㅎㅎ
@jayyoo906
@jayyoo906 25 күн бұрын
가무는 인생을 즐기는 중요한 도구라는 것은 이 세상 모든 인간들이 잘 안다. 그러나, 그걸 상품으로 만드는 재주는 아무나 잘 할 수 없다. 지금 이 조그만 소수 민족이 그 걸 해 내고 있다.
@MissMyDogsCats
@MissMyDogsCats 9 күн бұрын
5:08~
@user-fi9ie8ub9v
@user-fi9ie8ub9v 24 күн бұрын
쉬리 포스터를 일본어로 씌어있는 1년 뒤인 2000년 일본 개봉 포스터를 썼네요;;
@user-kf5lk5se3w
@user-kf5lk5se3w 25 күн бұрын
제가 좋아하던 마이클 잭슨이 생각 나네요^^
@beshuah99
@beshuah99 26 күн бұрын
3:28 랜덤 플레이 댄스에서 본 사람 같은데? 4:06 영국 박물관 전시가 벌써 재작년?? 시간 참 빠르다 9:20 메이씨 백화점 앞에서 하는 RPD 종종 올라옴. 며칠 전에도 봤음
@user-qr2uk3dg5b
@user-qr2uk3dg5b 24 күн бұрын
팩트정리. 솔직히 비 서구권에 한정해서 다방면으로 서구권 수준까지 올라간 나라는 한국.일본이 유일함
@user-eb8yc7nb5w
@user-eb8yc7nb5w 26 күн бұрын
하지만 지금 너무걱정된다 언론과 문화인에게 압력을 정부와 정치계가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jJ-gf2ok
@jJ-gf2ok 6 күн бұрын
대통령만 제대로된 인간이었으면 쭉쭉 뻗어나갔을텐데 김거니가 아주 저렴하게 아~~~~주 겸손하게 만들어줬지
@___-et8dr
@___-et8dr 26 күн бұрын
왜 서양애들이 배꼽 인사를 하냐? ㅋㅋㅋㅋㅋ
@seokhko2376
@seokhko2376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데,,,ㅋ
@user-lz7px9cc3g
@user-lz7px9cc3g 25 күн бұрын
다 하나님 은혜입니다 교만하면 망합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흥하게도하고 망하게도. 하신 우리하나님 나의하나님 불쌍히여겨주시고 지켜주세요
@user-qd5zb7jm4x
@user-qd5zb7jm4x 26 күн бұрын
지하철에서 가로 본능으로 tv시청은 뭐냐?
@user-vs4gy5xj5j
@user-vs4gy5xj5j 22 күн бұрын
한류 부라ㄹ 훌떡까진 왕부라ㄹ
@chl2779
@chl2779 25 күн бұрын
하이브에 권고 하이브 등 기획사들은 안무가를 존중하고 그들을 격하게 돕고 창조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인기의 근원이니까요
@jaeminim2464
@jaeminim2464 26 күн бұрын
경제 문화 외교 정말 대단합니다. 그런데 또 다시 탄핵의 바람..미국 등 서방은 우리나라를 어찌 볼지??
@harrykim217
@harrykim217 23 күн бұрын
역시 IMF 이후에 우리나라가 급격히 발전했다는 기사에 동의함. 2000년 즈음에 일본보다 우리가 인터넷이 더 많이 보급되고 더 빠르다는 사실에 가슴이 웅장해진 기억이 남. 결국 IMF 이후 김대중 대통령이 기초를 닦고, 그 다음 노무현 대통령이 기초 위에 기둥을 세웠다고 본다.
@giant0012
@giant0012 26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지하철에서 TV보는 저 2G폰은 뭐임? 대체 언제 찍은 영상임?
@truekorea_
@truekorea_ 26 күн бұрын
해당 부분은 한류가 sns를 활용한 게 사실상 2007년 빠른 기술발전부터 시작된 것 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너무 늘어지는 부분만 편집했을 뿐 자체 영상입니다
@xiheon
@xiheon 26 күн бұрын
ㅡㅡ... 2007년이라고나와있잖아요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26 күн бұрын
한류에 구식 문화 끼워 팔지 마라. 한류를 즐기는 외국인들은 판소리, 농악, 한복 등 전통적인 것은 한 번 듣고 보도 입고 그걸로 끝이야. 침소봉대하며 혈세 낭비하지 마라. 인기 있는 것에 집중해서 고도화해야지.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26 күн бұрын
뭔 동남아 노예 같은 헛소리냐.. 문화상품에서 스토리 텔링이 얼마나 중요한데.. 그 스토리 텔링 중에 가장 강하거 오래가는게 전통 문화이고, 전통을 입히면 유럽, 미국 같은 선진국 애들 깜박 죽는다. 전통 스토리 텔링 없는 문화는 걍 흔한. 왔다가 사라질 유행일 뿐이야.. 유럽, 미국애들이 전통문화 없는 나라는 졸부 취급밖에 안한다.. 뭔 왜 ㄱ 스런 이야기를.. 쯧.
@user-oc3ld7mg8n
@user-oc3ld7mg8n 26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우수 문화강국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이 정치는 2찍들로 인해 하루하루 아르헨티나의 전철을 밟고 있다
@user-kd6hq1gq4i
@user-kd6hq1gq4i 16 күн бұрын
주사파들의 포플리즘정책으로 나라가 천조빚.망조다
@The702COMMANDOS
@The702COMMANDOS 26 күн бұрын
정부가 제일 못해
@Rupee77777
@Rupee77777 25 күн бұрын
좀 웃긴게 본토사람이 전시회 설명하는게 아니고 한국계 미국인이 영상소개하는게 웃기넹.. 전혀 기여한게 1%될까말까한 교포인들이 왜 나오지?
@user-cg6tu6cm9d
@user-cg6tu6cm9d 26 күн бұрын
김대중 대통령이 이나라를 만들었지. 참 대통령 한명이 이리 중요해
@maingeenapolia2510
@maingeenapolia2510 26 күн бұрын
꺼져 홍어야 ㅋㅋㅋ
@user-kd6hq1gq4i
@user-kd6hq1gq4i 16 күн бұрын
뭔소리야. 이승만과 박정희가 만든 나라다.
@user-cg6tu6cm9d
@user-cg6tu6cm9d 16 күн бұрын
@@user-kd6hq1gq4i 그래서 쫒겨나고 부하한테 총살당했죠? 4.19를 부정하는건 국가전복세력 북인데. 김정은 부하?
@haeok-gz2po
@haeok-gz2po 15 күн бұрын
들어보지도 못한 소리를 하시네...
@user-hu9vi8mq7t
@user-hu9vi8mq7t 10 күн бұрын
부정축재자란것은 삶은소대가리도 아는것을!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26 күн бұрын
K-POP은 위기.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100위 안에 단 한 곡정도, 죄다 쓰래기로 버려지는 앨범화, 마치 리지니 게임처럼 변모?
@d.qkaien2953
@d.qkaien2953 26 күн бұрын
님 케이팝은 디딤돌이지 케이팝이 한류의 최종형태가 아닙니다. 한류는 종합문화로 가는 것이죠. 그리스 로마 문화와 르네상스 등등을 하나의 장르로만 국한시키지 않고 종합적인 형이상학으로 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vanillaflavur7126
@vanillaflavur7126 26 күн бұрын
게임판에서 온 개저씨들이 작정하고 업계 망치고 있는 중. 악한 미꾸라지들...
@user-jt5ui9ck4q
@user-jt5ui9ck4q 26 күн бұрын
하이브가 한몫하고 있죠 음반밀어내기 찍어내기식의 아이돌 ㅋ 이번에 민희진 제보가 아주 큰거임... 눈앞에 돈때문에 계속 이런식이면 위기온다... 하이브 응원하는 사람들 많던데 정신을 좀 차려야함...
@sia.T
@sia.T 26 күн бұрын
​@@user-jt5ui9ck4qK POP이 위기라던 방시혁 본인이 K POP 엔터의 안좋은 짓은 다 하고 있음. K POP의 역대급 빌런이자 적폐의 몸통
@sia.T
@sia.T 26 күн бұрын
​@@d.qkaien2953K POP에 대해 잘 알아요? 제멋대로 디딤돌이라 규정짓는 것도 웃기는데 뭐 디딤돌이라 치고~ 디딤돌이 썪으면 무너지고 넘어지는데 뭔 개소리신지?
@geraldhan4024
@geraldhan4024 26 күн бұрын
한류 다큐나 소개 영상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하나같이 접근방식이나 내용이 천편일률적이고 100개중 99개가 하나의 영상을 보는것처럼 똑같음. 20여년동안 한류관련 다큐나 영상을 보아온 결과 앞으론 보지 않을 예정임. 10년후에 다시 한류관련 소개 영상을 본다면 등장 아이돌이나 작품 이름만 좀 바뀔뿐 지금처럼 똑같을듯... 왜 그렇게 예상하느냐면 20년, 10년전에도 그랬으니깐.. 진짜 개쓰레기인게 한류관련 영상물들인듯....
@user-fff6sw6yg1xx
@user-fff6sw6yg1xx 26 күн бұрын
놀고있네ㅋ
미국 뉴스에 나온 한류 인기 현황!  이 정도라고?
10:01
트루코리아
Рет қаралды 170 М.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인도 뉴스 한류 특집! 한국 역사까지?
9:44
트루코리아
Рет қаралды 74 М.
한식 열풍을 다룬 미국 아침 방송.. 그런데
9:04
트루코리아
Рет қаралды 67 М.
러시아방송이 만든 12분 한국 [영어번역본]
12:49
단골이슈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