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들이 큰 차를 좋아하는 이유. SUV 탄생의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718,765

지식횡단

지식횡단

9 ай бұрын

땅이 커서가 아니다? 미국차가 점점 커지는 이유와 미국차들의 역사를 알아봅니다.

Пікірлер: 615
@vivabusan
@vivabusan 9 ай бұрын
아무리 정책을 피하기 위해서라지만 일본이나 유럽처럼 골목이 많다면 불가능 했을 듯. 따라서 땅이 넓고 직선도로가 많아서 차가 커질 수 있었음. 캐나다도 마찬가지.
@Pppkppkppk
@Pppkppkppk 9 ай бұрын
ㅇㅇ 그건 이제 부수적인 요인
@Generallee85
@Generallee85 9 ай бұрын
석유보유량 세계 1위 미국 클라스- 미국사는데 요즘 기름값 너무 올랐네요 ㅠㅠ 일반유 리터당 900원대
@trei222
@trei222 9 ай бұрын
​​@@Generallee85염장지르네 ㅡㅡ
@misokhee
@misokhee 9 ай бұрын
​@@Pppkppkppkㄱㅍㄱ❤4❤4 ㄱ4777
@Generallee85
@Generallee85 9 ай бұрын
@@trei222 😅
@ston.k444
@ston.k444 9 ай бұрын
환경 자체가 차 사이즈는 신경쓰지 않아도 충분.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
@Jh-wt6jl
@Jh-wt6jl 9 ай бұрын
언급한 내용은 일부의 이유이고 다른 이유 몇개를 주가하자면 미국은 넓은 땅이기때문에 대중교통인프라가 강할수없고 그때문에 가족구성원마다 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빠의 차는 좀 더 트럭이나 다목적차 엄마의차는 대형 SUV의 패밀리카 등의 목적성이 높아진 결과이죠 그리고 미국브랜드차들이나 타브랜드들도 내놓는미국 전용모델들은 트렁크가 큰데 이건 마트문화가 크게 작용하는것이죠 코스트코같은 창고형마트에서많은것을 사다보니 적재량이 많은 트럭이나 SUV를 선호하죠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9 ай бұрын
땅 넓이는 상관없음. 미국인의 80%가 도시에 모여살고있음. 국토가 더 넓은 러시아가 미국보다 큰차를 쓰는것도 아니고.
@Jh-wt6jl
@Jh-wt6jl 9 ай бұрын
@@user-ri73bdis88h7 대중교통 인프라가 중요한게 지하철같은 대중교통보다 차량유지하는 유류비가 갭차이가 적죠 그리고 도시에 80프로가 살지만 그도시의 대중교인프라와 주거권과 업무지구의 사이의 교통인프라가 국내같지않습니다 그리고 그사이의 거리도 국내같지않죠 그래서 차가 필수가 되면서 아빠차 엄마차 아들차 딸차등등 한집에 소유하는 차량 대수가 커지면서 각차들이 목적성이 강화되는거죠 그러니 소나타만 4대가지진 않게된다는거죠 쉐보레 트래버스나 포드 익스플로러가 미국서 인기좋은 이유가 이런 특화성이죠 그리고 세컨카는 중대형세단이나 준프리미엄세단 자식들은소형 SUV들이 대세조
@user-ni9pk8qv7d
@user-ni9pk8qv7d 9 ай бұрын
미국인들의 생활습관을 모르고 쓰신듯한데 실제 대형마트가 한국처럼 지하철이나 버스로 접근하기 좋은곳에 위치한 대형마트보다 차량접근이 용이하고 주차장이 넓은곳을 선호하는 것또한 미국인들의 생활방식이며 여가생활시 픽업으로 비포장길 다니는걸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미국인들이기에 도시에80%가 산다고해도 오프로드를 즐기거나 캠핑가거나하는 문화가 일반적인 상황을 이해하면 승용보다는 픽업과 SUV가 인기있는이유를 알것입니다 @@user-ri73bdis88h7
@user-km7fc3bp8y
@user-km7fc3bp8y 9 ай бұрын
😅😅😅
@nebigfish
@nebigfish 9 ай бұрын
1. 애를 많이 남. (3-4명은 기본) 2. 짐을 많이 실어야 함. - 장을 조금씩 자주 보는 문화가 아니고 가끔 왕창 보는 문화. , 집을 손수고쳐야 하는 문화 3. 아이들 대학 개학할때 방학할때 기숙사 짐 왕창 싣고 날라야 함. 4. 동부는 눈 많이와서 4wd suv 필수.
@jabcdjaa5595
@jabcdjaa5595 9 ай бұрын
마트가 차로 1시간 거리에 있는건 기본
@든이
@든이 9 ай бұрын
3~4명이 기본은 뭔 아프리카냐?
@ph00ny1
@ph00ny1 9 ай бұрын
@@jabcdjaa5595 That only applies if you live in rural areas. Most suburb and metropolitan areas are heavily saturated by grocery chains
@nebigfish
@nebigfish 9 ай бұрын
@@든이 ㅋㅋㅋ 경제적으로 여유로워서 애를 많이 낳는 것도 있고 종교적 이유로 피임을 하지 않는 문화도 있습니다. 애들을 키우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큰 행복이고 축복이라 생각하는 가장들의 생각도 큰 이유인 듯 합니다. 저랑 친한사람은 시간이 천천히 흘렀으면 좋겠다고 말을해요. 왜 그러냐 물으니 애들이 훌쩍 커버려 대학간다고 떠나면 너무 슬플것 같다고 말을해요. 저 같은 경우 얼른컷으면 하는 생각인데요 ㅎㅎㅎ 그 사람은 퇴근하고 애들하고 놀아주고 함께 밥먹고 하는 순간이 제일 행복한 시간이라고 늘 말해요. 아 참고로 미국 직장은 보통 아침일찍 출근하고 4-5시에 퇴근합니다.
@seungheon1000
@seungheon1000 8 ай бұрын
우리랑 사는 스타일이 많이 다르조. 뉴욕 정도를 제외하고 거의 3-4명이 기본이구요. 마트에서 차문 열리면 6-7명 나옵니다. 정말 가족단위로 함께 매일같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빠가 애들학교 엄마 직장 다 데려다주고 데려오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특유의 개척 정신때문에 먼곳에서 자기영역을 일궈 사는게 그들의 멋입니다.
@user-bo6fo9kd3g
@user-bo6fo9kd3g 9 ай бұрын
이거 과거부터 유명한 이야기죠. 땅 넓고 인건비 비싸서 배달 시켰다가는 배달비가 엄청 나오기 때문에 트럭을 이용해서 왠만한 것은 실어와야 합니다.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대중교통도 충분하지 않아서 마트에서 장보면 잔뜩 사와야 하죠. 특히 식품값이 엄청 싸기 때문에 많이 실어올수 있어서 픽업을 선호하죠
@centurionkwk
@centurionkwk 8 ай бұрын
그럼 냉장고가 어마어마 하겠네요.
@user-qb6zd2tw2u
@user-qb6zd2tw2u 7 ай бұрын
집 옆에 마트 지으면 경찰이 잡아가는 자유의 나라
@initiativegoo6167
@initiativegoo6167 9 ай бұрын
북미는 한국과 다르게 물건을 사면 배달비는 불포함입니다 (가끔 해주는곳도 있슴) 고로 자신의 차에 실어서 집으로 옮겨야하며 그것이 안될경우 차를 렌트하거나 유하율같은곳이나 아님 벤이나 픽업이있는 사람을 고용하죠 그러나 금액이 생각보다 상당히 높고 가끔 팁도 줘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니 큰차가 아무래도 필요로하는 상황이 더욱 많습니다.
@haha-yf6xk
@haha-yf6xk 9 ай бұрын
오호 재미나군요
@chadp6297
@chadp6297 8 ай бұрын
uhaul을 유하율이라고 하는거 첨보네요
@daydreamer-td8vt
@daydreamer-td8vt 7 ай бұрын
이분 말씀이 정말 맞습니다. 포터리반에서 300불짜리 사이드 테이블을 전시품 세일로 79불에 샀는데 차가 작아서 직접 못가져 가면 배달비가 100불이 넘습니다. 팁까지 주면 120불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크지요. 이런 이유로 정원 안가꾸는 도시 거주민도 주중에는 짐나르고 주말에는 야외로 갈려고 픽업 타는 사람들 꽤 있습니다.
@chriskim9544
@chriskim9544 6 ай бұрын
@@chadp6297 미국에 사는분이 아니라 그러신듯. 이케아, 토이잘러스 와 같은 예죠.
@chriskim9544
@chriskim9544 6 ай бұрын
@@daydreamer-td8vt 그외에도 무거운차를 타면 속이 울렁거리는 노인이나 아기들도 편안해합니다. 프리웨이 타면 주행거리도 많이 늘어나니 가족이 많을 경우 장거리 여행에 좋죠. 또 가벼운 접촉사고일때 소형차는 범퍼가 찌그러져도 픽업트럭에는 기스나는 정도로 끝나는 경우도 있어서 수리비가 1000달러 미만인 경우 내잘못으로 수리비가 발생하면 소형차만 눈물 나는 경우가 생기죠.
@user-pi2tl8iu6z
@user-pi2tl8iu6z 5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gn4fw9us7k
@user-gn4fw9us7k 8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단백하고 좋아서 구독, 좋아요 눌러요😂
@moneydogged
@moneydogged 8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pokronews
@pokronews 9 ай бұрын
구독합니다
@oxygen2236
@oxygen2236 9 ай бұрын
미국은 땅이 넓고 인건비가 비싸다보니 마트나 가전 매장에서 물건을 사서 직접 옮기는 경우가 많은데, 침대나 쇼파 같은걸 직접 옮겨야 되는 경우가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픽업 트럭이 필요하고, 이사 갈때도 이사 비용이 너무 비싸서 직접 짐을 나르는 경우도 있어서 픽업 트럭이 생활의 필수품이 될 수 밖에 없지. (이사할 집이 아~주~ 멀면 자동차도 이삿짐 센터에 맡기고 본인들은 비행기 타고 감)
@tkafpqudtlsrladmstn
@tkafpqudtlsrladmstn 9 ай бұрын
미국 처음 놀러갔을때 집에서 마트까지 차타고 30분넘게 갔던것에 놀랐고, 마트크기가 트레이더스보다 몇배는 더 큰것에 놀랐고(심지어 마을에 몇개 더 있는 마트중 하나라고 하더라구요)카트도 한국것보다 더 컸던것 같네요. 그리고 풀사이즈 픽업에 짐을 다 때려넣는것에 놀랐습니다. 미국친구는 아이넷의 가장인데 마트갈땐 픽업, 가족들이랑 외식할땐 SUV탄다고 그러더라구요. 도로환경, 기름값 이런거보다 주거환경이 그렇습니다. 그리고 전 텍사스 놀러간것인데 기름값 별로 안쌉니다. 주변에선 미국기름값은 5백원내면 50리터 넣는다 라는 얘기가 많은데 그건 미국안가본 사람들 얘기고 실제로 무연 가솔린은 한국보다 약간 더 싼정도 리터당 1100원인곳도 잇엇고 국제유가 가격도 영향이잇엇겟죠? 보통 900~1100원 한다고하더라구요. 고옥탄일수록 더 비싸고 오히려 싼 연료는 바이오연료였어요. 리터당 거의 450원? 그래서 다들 바이오연료를 넣더라구요. 아니면 완전 저옥탄(80~85RON?)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9 ай бұрын
😅 어느 능지 빻은 놈이 500원에 50리터를 넣는다고 말함? 유유상종임?
@Smile_loop
@Smile_loop 9 ай бұрын
미국은 갤런이라 리터당 얼마 따지기 머리 아픈데 최근엔 대충 갤런당 4불 정도 했던거 같아요. 한화로 5,200원 정도? 한국 미국 소득 차이도 있으니 대충 미국인 유류비 체감하면 리터당400원 정도 한다고 생각하면 딱일 듯 해요.
@kim-bl9yu
@kim-bl9yu 9 ай бұрын
미국은 1갤런 약 3.8리터 입니다. 요즘은 많이 올랐지만 코로나전 싼 지역은 평균 2.2달러 였습니다. 그리고 소득차이가 커서 체감차이는..
@ksignedoff
@ksignedoff 9 ай бұрын
​@@Smile_loop전혀아님. 한국에선 미국처럼 집밖에 나갈때마다 차타는게 아니라 미국인들처럼 기름 많이 안넣음. 미국인들이 한국인들보다 한달에 기름 두세배는 더씀. 체감 유류비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같다고봐야됨.
@Smile_loop
@Smile_loop 9 ай бұрын
@@ksignedoff 글쎄요 한국인은 걸어다니나요…?
@quelok947
@quelok947 9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GMC Sierra 3500 Denali 같은 차들 보면 진짜 웅장하고 개멋있음 예전에 달라스에서 어쩌다 타게 됐는데 픽업트럭 승차감이 쩔긴함
@whatisdoingtoday9453
@whatisdoingtoday9453 9 ай бұрын
좋은가요. 디젤이라 처음에는 좋은데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 덜덜 떨리던데. 아닌가요
@quelok947
@quelok947 9 ай бұрын
@@whatisdoingtoday9453 미국은 가솔린보다 디젤이 더 비싸서 웬만한 픽업트럭들 가솔린 쓰는데 가끔 디젤 쓰는 픽업트럭이 있긴하더라구요 duramax diesel 버전이 따로 있을 정도인데 한국은 잘 모르겠네요
@igozoa
@igozoa 9 ай бұрын
@@whatisdoingtoday9453미국 풀사이즈 픽업트럭은 V8 가솔린이 많아용
@ph00ny1
@ph00ny1 9 ай бұрын
@@whatisdoingtoday9453 These heavy duty truck diesels are pretty smooth also very powerful to boot. You can haul around 10k+ lb without much effort
@ph00ny1
@ph00ny1 9 ай бұрын
@@igozoaThere is a lot of diesels in 3/4ton and up (2500/250 or higher). Primary reason being it's much more efficient while pulling/carrying a lot of weight. Also the amount of torque makes it easier to operate in those conditions. Folks typically buy 1/2 ton pickups which are mostly occupied by gasoline based engine
@yourdaum1
@yourdaum1 9 ай бұрын
TV를 하나 사도 배달비가 다 별도라 픽업트럭 같은게 있으면 좋았죠. 요즘은 온라인으로 주문하면 배달은 무료로 다 해주지만 예전엔 모든게 돈돈..
@user-nc7tn7pn1o
@user-nc7tn7pn1o 9 ай бұрын
기존 프레임 이외에 일체형 SUV는 크로스어버가 아니라 모노코크타입 SUV 이고 주로 승용차에 쓰이던 샤시 방식이라 승용에 가까운 SUV라고 해서 차의 성격이 경계를 넘는다는 크로스오버 차량이라는 뜻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de1ip7cm2t
@user-de1ip7cm2t 9 ай бұрын
아는척 잘난체
@JohnKim-jx4kw
@JohnKim-jx4kw 9 ай бұрын
​@@user-de1ip7cm2tㅋㅋ..맞는 말인데 지랄떠노..??? 미국인들은 일반 크로스 오버형은..걍 SUV.. 트럭과 같이 프레임 위에 얹은 SUV(?)는.. (JEEP, TOYOTA 4RUNNER, NISSAN PATHFINDER 등) 지금도 트럭이라고 호칭합니다..
@ph00ny1
@ph00ny1 9 ай бұрын
@@JohnKim-jx4kw Both names are frequently used. I highly doubt folks understand that some of the fullsize SUVs are body on frame to boot
@sychoi2005
@sychoi2005 8 ай бұрын
​@@user-de1ip7cm2t피해의식,자격지심도 심하면 병이래
@shy1897
@shy1897 9 ай бұрын
미국은 길 차선 주차장이 다 크고 넓어서 시원시원해지고 자연스레 여유가생김..그러다 우리나라에들어왔더니 경부고속도며 순환도로들이 왜이렇게 골목처럼 작게느껴지는지.. 한동안 깝깝했음
@chriskim9544
@chriskim9544 6 ай бұрын
한국도로에서 달리다가 캘리포니아의 도로를 달리면 시원시원하죠. 근데 텍사스 도로 달리다가 캘리포니아 도로를 달리면 좁아터져서 폐쇄공포증 생길지도 모른다는건 않비밀이죠.
@user-lm3ri9wl2g
@user-lm3ri9wl2g 9 ай бұрын
미국 대형 픽업트럭 판매량은 매년 100만대 이상이며 남녀노소 구분없이 모든 가정에 픽업트럭 1대 이상은 소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사람들 중에서 이해못한다는 분들 많은데 문화자체가 너무 달라서 이해하고 자시고할 문제가 아니죠. 저기는 픽업트럭이 필수인 국가입니다.
@zzit_drumtong
@zzit_drumtong 9 ай бұрын
미국의 비효율적인 주택구조가 또...!
@user-op7vy5ny4r
@user-op7vy5ny4r 9 ай бұрын
필수인사람도 있겠지만 전혀 짐을 안싣고 픽업자체를 좋아해서 사는사람이 픽업구매자의 79퍼이상이란 통계가있음 ㅋㅋ. 픽업이 필수는 아님
@taehoon3078
@taehoon3078 9 ай бұрын
시골에서 봉고포터가 잘 팔리는 이유랑 같을 등ㅋ
@japa8006
@japa8006 9 ай бұрын
픽업 트럭은 필수임. 미국 에서 single family home 하우스 오너로 한번 살아보면 단번에 이해가 되실거임. 매일매일은 아니지만 꽤나 종종 큰 짐을 실을 일이 생김.
@user-op7vy5ny4r
@user-op7vy5ny4r 9 ай бұрын
@@japa8006 미국에 10년째 살고있슴다
@hankkim5584
@hankkim5584 8 ай бұрын
땅이넓고 대증교통 별로에 오지도 많고 장거리 운전이 많아서 연료탱크 커야하고 짐도 많이 적재 따라서 차체가 커지고 승차감 및 직진성능 중시
@goodman3296
@goodman3296 9 ай бұрын
저런건 모르겠고 편해요. 엄청 편해요. 8월에 한달간 달라스에서 와이오밍 몬타나 워싱턴 오래곤 캘리포니아를거쳐 한달간 여행해보니 왜 미국인들이 큰차를 타는지 저절로 알게되요. 내차는 쉐비 타호예요. 로드트립에는 큰차가 너무 좋아요. 또 8기통 한번 타보면 그 이하 차타면 답답해요.
@mjc.2875
@mjc.2875 9 ай бұрын
땅이 넓어서 마트한번가기가 쉽지않음. 그래서 한번갈 때 대량구매를 하는데 차가 작으면 불편함.
@sk-rz8ye
@sk-rz8ye 9 ай бұрын
미국 사람 자체가 크고 거친일들을 하는 사람이 많고 미국은 주별로 날씨 도로 사정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안전을 우선시 하기 때문에 과시나 과소비 하는 사람도 있지만 차사고가 많이 나고 한번나면 크게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큰 차를 선호합니가 하지만 지금은 인플레와 개스비 인상으로 점점 세단을 많이 타죠ㅡ그래도 여전히 SUV를 제일 많이 타고 백인들이나 건축일 블루칼러 직업의 사람들은 트럭을 많이ㅜ탑니다 미국 30년 이상 살아보면 알아요
@mando7670
@mando7670 24 күн бұрын
뭔 헛소리임 미국 최근에 SUV 점유율은 더 늘었고 블루칼라들이 픽업,suv가 아니라 중산층 이상도 SUV는 기본 한대씩 갖고있음
@jayKorea1290
@jayKorea1290 9 ай бұрын
요거 재미있네요.!!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이해되었네요ㅋㅋㅋㅋ 왜 현기,일본 준중형 세단이 바글바글한지 초대형 SUV, 픽업트럭이 있는지
@DAVID-ft2dr
@DAVID-ft2dr 9 ай бұрын
와... 그래서 GM 크루즈 말리부 임팔라 이런게... 판매량도 저조하고... 결국에는 단종했군요.. 재밌네요 잘봤습니다.
@user-gc3yq3ci2m
@user-gc3yq3ci2m 9 ай бұрын
현대차 타고다니세요? 열심히 타세요 화이팅
@fabercastellgrafvon1832
@fabercastellgrafvon1832 8 ай бұрын
미국은 세단도 엄청나게 크고 길어요 ㅋㅋㅋ 저희 할아버지께서 1990년형 캐딜락을 타셨는데 일반형이 5.6미터였으니 G90 리무진보다도 무려 30cm나 더 길죠... 수산물 시장에서 도매업하셨는데 그 큰 차로 좁은 시장골목 지나다니시느라 고생이 많으셨죠 ㅋㅋㅋ 이승만 박정희를 좋아하셔서 캐딜락을 사셨는데 나중에는 벤츠를 안 산걸 두고두고 후회하신....
@user-fl6fq2ji8v
@user-fl6fq2ji8v 6 ай бұрын
닉네임이 학용품회사맞나요
@foodyst
@foodyst 9 ай бұрын
미국차의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을듯.. 미국인들이 좋아하는 차는 여전히 대배기량의 우렁찬 힘이 느껴지는 차를 선호해 왔죠. 연비? 그런거는 뒷전이었습니다. 픽업트럭이나 머슬카, 대형세단 같은 차들이 인기를 끌게 됐는데, 거기에 한가지 또 중요한 관점이 있습니다. 바로.. DIY... 미국영화를 보면 유럽에선 거의 없는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차주가 직접 차를 관리하고 고치고, 마치 취미나 일상 생활처럼 차를 만집니다. 도로를 달리다가 차가 멈추면 내려서 본넷 열고 뚝딱 고치죠. ㅋㅋ 땅이 넓어 차는 필수고, 워낙 땅이 넓고 수리점도 멀기 때문에, 직접 고쳐야 하는 상황이 많고, 때문에 자가수리를 하려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도 큼직하면서 튼튼해야 합니다. 수리 공간도 넓어야 편했죠. 요즘처럼 전자장비들이 대거 채용된 차는 그럴 수 가 없고, 당시에도 상대적으로 오밀조밀한 유럽차는 자가수리가 불편했음... 60-70년대를 지나고, 요즘이야 연비가 중요해 지고, 전자장비가 대거 채용되면서 자가수리의 광경은 거의 없어졌다지만, 여전히 대배기량, 특히 자연흡기의 향수에 빠진 사람들이 많은 만큼 큰차를 선호하는 추세는 계속된다고 봐야 할겁니다.
@user-vg5hk5fl3s
@user-vg5hk5fl3s 8 ай бұрын
북미는 인건비가 비싸서 물건 배달, 각종 수리 비용이 커서 직접 수리나 운반해야 하는 문화라서 큰 차가 필요합니다. 상대적으로 주차장, 도로가 넓어서 별 부담이 되지도 않는 여건이 크죠. 은퇴해서 콘도나 유지보수 다 맡기는 방갈로 주택단지로 입주하면 다시 차가 작아집니다.
@mcy2756
@mcy2756 5 ай бұрын
덩치가 크니까요 ㅎㅎㅎㅎ 마트가려면 너무 멀죠 ㅋㅋㅋ 잘나와야 연비 7-8나오겠네 ㅎㅎㅎ
@tanjin0831
@tanjin0831 9 ай бұрын
미국은 땅덩어리가 넓어서 큰 차도 걱정 없이 끌 수 있어서 부러움.. 한국에서는 솔직하게 쏘나타 케파도 큰 차임.
@user-ud5yq7ml7d
@user-ud5yq7ml7d 9 ай бұрын
렉스턴 칸인데 실력만되면 부담스럽지않고 어디든가요
@user-kz1jv5gi1r
@user-kz1jv5gi1r 9 ай бұрын
​@@user-ud5yq7ml7d구도심 지하주차장 못갈껀데요;
@user-tp1wq9ps1v
@user-tp1wq9ps1v 9 ай бұрын
@@JohnWick-mz9dz뚜벅이 티남ㅋㅋㅋㅌ
@tanjin0831
@tanjin0831 9 ай бұрын
@@user-ud5yq7ml7d 에스컬레이드로 좁은 주차장 도장깨기 하시는 분도 있는 거 보면… 실력만 있으면 골목길도 큰 차로 다닐 수는 있는데 문제는 좁아터진 주차칸입니다. 전에 투싼 끌었었는데 정중앙에 반듯하게 주차해도 옆 차 때문에 내리기 어려운 적이 꽤 있었어요.
@user-ud5yq7ml7d
@user-ud5yq7ml7d 9 ай бұрын
일단 서울에서 주차장을 이용못한적은 없엇어요 주차자리도 서로 양보해서 기둥에 가깝게 주차하면 제차 세대 들어가도 될거깉더라구요
@ph00ny1
@ph00ny1 9 ай бұрын
Folks buy pickup trucks because 1. Have toys to haul around (dirt bikes, atvs, jetskis, boats, etc) 2. Lot of folks like to do work around the house (carrying around lumber, dirt, gravel, etc) 3. Some folks carry around camping trailers 4. It's simply easier to just haul stuff around without worrying about the "cargo" area getting scratched up 5. Lots of room for family and it's actually very comfortable 6. For folks with farms or commercial business, you get a lot of tax break
@joonhan1541
@joonhan1541 9 ай бұрын
And cheap gas.
@ph00ny1
@ph00ny1 9 ай бұрын
@@joonhan1541 Cheap gas isn't that cheap anymore
@Werry_Rang
@Werry_Rang 9 ай бұрын
@@ph00ny1 still way cheaper than most other countries
@jkrjacob
@jkrjacob 8 ай бұрын
하지만 유럽은 로마시대에 깔린 도로가 좁고 또한 돌로 포장된 도로 이지만 미국은 대부분이 비 포장도로라서 바퀴가 작으면 빠지고 더구나 인구밀도가 낮아서 어디서 빠지면 나오지도 못해요. 그래서 미국인은 큰 차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바퀴가 큰 차량이 필요한 것이었죠!!!!!
@user-tv6fs9be4q
@user-tv6fs9be4q 6 ай бұрын
도요타 툰드라…트럭인데 승차감이 의외로 좋았습니다ㅎㅎ V8사운드도 너무 좋았내요~
@user-yk382p53jh
@user-yk382p53jh 9 ай бұрын
뭘 사도 전부 배달 잘 되는편인 한국과는 거리가 멀죠... 크기만 커도 트럭있었으면 하는 마음이 바로 듭니다. 안살수가 없었어요...
@rockymountain3901
@rockymountain3901 9 ай бұрын
차 집 티비는 크면 클수록 좋다
@user-wy4xb9qe6m
@user-wy4xb9qe6m 9 ай бұрын
추가 중간다리포함
@user-hh7xn7pk2e
@user-hh7xn7pk2e 9 ай бұрын
남한 한정 미국차급 크기면 안좋다(대도시기준)
@ANGEL-st9xr
@ANGEL-st9xr 9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차 크면 불편
@sonbum99
@sonbum99 9 ай бұрын
키가작아서 그런지 전 소형차가 편안하네요
@user-ww5ww5uh8o
@user-ww5ww5uh8o 9 ай бұрын
통빨도
@akka7556
@akka7556 9 ай бұрын
2500 시리즈 서버벤 보유중인데 저는 towing 을 자주해서 딱 좋네요. 요즘 픽업들은 더 크더라구요.. 세단 몰다가 이거 타면 “죽진 않겠군” 느낌이 딱 옵니다.ㅋㅋ
@user-df5tv7tl6n
@user-df5tv7tl6n 9 ай бұрын
주차장의 문제가 더 크죠.. 미국의 국민분양 주택에 의무적으로 들어가 있는 차고의 역할이 더 중요했다고 봅니다.
@2ndvision2
@2ndvision2 9 ай бұрын
쉐보레 서버번이 최초의 suv 포드 러나바웃이 최초의 픽업트럭 작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판매 탑3가 지엠, 도요타, 포드인데 그러고 보면 도요타가 대단하긴 함. 현지 조상들 사이에서 하드캐리ㄷㄷ 현기도 전략모델들 추가가 필요한듯 싼타크루즈 이런 장난감 말고 좀 제대로 된거
@ThePen9963
@ThePen9963 6 ай бұрын
현기가.못해서 안하는 줄 아나 ㅋㅋ
@chriskim9544
@chriskim9544 6 ай бұрын
혼다도 닛산도 못 뚫은 픽업트럭에 도요타는 대단하죠. 매니아층도 있고. 현기는 이제 suv도전이니.
@Next-Truck
@Next-Truck 9 ай бұрын
이제 얼마후 테슬라 사이버 트럭이 장갑차같은 모양과. 크기를 과시하며 다니는걸 보게 되겠죠. 무조건 큰거 좋아합니다. 안전 과시 편의성에 실용성이. 있으니까요. 주차문제 없고.
@ddadngddd
@ddadngddd 8 ай бұрын
솔직히 한국에서 팰리세이드정도되면 왠만한데 주차안된다. 그래서 불편함. 한국에선 마트도 10분거리 왠만한건 배달다되고 어딜가나 식당많고 모텔많고 큰차 필요가없다. 그럼에도불구하고 큰차사는 이유는 99% 가오때문이지. 큰차=나자신 자존감을 큰차에서 얻으려는 심리가 상당부분 작용한다고보면됨. 한국이나 일본 유럽같이 인구밀집도가높은 지역에선 suv가 필요없는차임. 세단이나 왜건이 어울리지
@vivimos1
@vivimos1 Ай бұрын
팰리세이드가 주차가 안된다고? 그거보다 전후좌우 더큰 카니발이 몇대나 팔린지 앎?
@vivimos1
@vivimos1 Ай бұрын
애를 안키워봤나본데 애기 태우고 내릴때 세단은 애기안고 허리굽히고 기어들어가듯 태우는게 진짜 힘듦 suv나 카니발은 서서 태울수있어서 무지편하고 공간감에서 오는 안락함도 무시못함 뇌피셜을 당당하게 써두셨네요
@davidh3049
@davidh3049 9 ай бұрын
가장 큰 이유는 세금공제가 아닐까요. 최대총중량이 2.7톤이 넘어가야 세금공제를 받거든요. 때문에 저도 큰차 샀습니다
@neoeobz
@neoeobz 9 ай бұрын
정책이 얼마나 중요한 또 일깨워주는 군요.
@user-ui8eb9tk7g
@user-ui8eb9tk7g 9 ай бұрын
큰차를 선호하는건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패밀리카문화가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아빠가 되면 가족 모두가 탑승할수 있어야 하고, 다양한 목적을 한대의 차로 다 해결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큰차가 필요한거죠. 우리나라 아버지들이 카니발을 사는것 처럼요. 미국인들을 보면 패밀리카로 풀사이즈suv를 사더라도 세컨카까지 suv를 사지는 않습니다. 이런것만봐도 suv가 좋아죽겠어서 사는게 아닌거라 생각해요.
@user-jc1rq5oq5z
@user-jc1rq5oq5z 9 ай бұрын
미국땅이워낙넓어서 시멘트도로 다있는게아니라서 그럼 비포장도로가많아서 세단은 몰기가힘듬
@user-jy2nh2iz2r
@user-jy2nh2iz2r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도로 나 도심 상황 봐서는 경차나 박스카가 확실히 맞는방향같네요 주차 지형도 걱정이구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도로나 도심 환경 보면 유럽이나 일본처럼 컴팩트 카가 인기 있어야 하는데 보이는게 중요하고 자동차도 재산 취급해서 오히려 미국처럼 큰차를 선호 하는거 같습니다...
@oceanbreezehj
@oceanbreezehj 7 ай бұрын
픽업트럭은 간지가 짱임
@abxjsjcnjencnf
@abxjsjcnjencnf 8 ай бұрын
일주일에한번 왕복 3시간거리의 쇼핑마트가서 쇼핑한 식량들 최대한 많이 담아와야하니까 미국은 땅당어리가넓어서 좀 외곽지역같으면 마트만 왕복몇시간임 장보려면 맘먹고 한번갔다올때 최대한 많이 담아와야하고 그래서 창고형마트들도 미국에서 발달한거임 그리고 자율주행같은거도 미국같은 나라를 위해 만들어진거지 우리나라에서는 필요가없음 미국같은데는 다른 주로 가려면 네비에 직진으로 1000키로 후 우회전 이런식으로 뜨기때문에 그 긴거리를 운전대 붙들고있으면 피로도가 심하기때문에 그런 주행을 도와주기 위해 나온게 자율주행임 우리나라같은 도로에서는 필요도없고 할수도없음. 말로는 도심에서도 정밀하게 자율주행가능하다고 하지만 자율주행에 맡기는 사람 한명도없고 가능하지도 않음 지금단계에서는
@user-hq1hv4sj9b
@user-hq1hv4sj9b 8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gv80타도 크게 느껴지는데.... 미국에서 x7 팰리세이드 도로에 지나다녀도 작아보임...RAM, GMC같은거 보면 진짜 웅장함 ㄷㄷㄷㄷ
@Australia789
@Australia789 7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펠리세이드 타는 사람이 있군요...ㅋ
@user-he9ms6wd7p
@user-he9ms6wd7p 5 ай бұрын
펠리세이드 거의 없습니다 ~~ㅎ
@rukka5404
@rukka5404 4 ай бұрын
미국은 delivery service 가 거의 없고 인건비가 비싸서 거의 직접 트럭에 싣고 옮겨야 함. 또한 자연재해가 워낙 심하다보니 4륜구동 이 필요하고 안전함.
@user-hw3mo3yx6g
@user-hw3mo3yx6g 9 ай бұрын
5년차 풀사이즈 픽업 오너입니다. 타본결과 불편합니다.그러나, 그 불편함을 감소하면서도 탈만한 매력이 있습니다. 1억5천 가까운 돈을 주고 타면서, 그가치가 아깝게 느낀적은 없습니다. 다음 차량도 풀사이즈 생각하고있습니다.
@Kimtiger0
@Kimtiger0 9 ай бұрын
아...포드나 GM이 갑자기 세단라인을 줄이던게 이거구나...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9 ай бұрын
천하의 캐딜락도 CT5빼고는 전멸했죠. CT6는 중국전용모델이됐고
@BBGlyn
@BBGlyn 9 ай бұрын
그냥 전세계적으로 세단자체가 안팔려요. 그래서 그래요.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9 ай бұрын
@@BBGlyn 중국에선 세단 잘나갑니다. 오죽하면 중국전용모델이 득시글하겠음
@siniro15
@siniro15 9 ай бұрын
포드와 쥐엠 세단은 워낙 똥차라 그래요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9 ай бұрын
@@siniro15 아니 애초 자기네 본진에서 세단이 안팔려서 라인업을 크로스오버와 SUV로 집중하는데 뭐라는겨? 그랜저 K8은 미국에 수출도 못하는데
@cacarote12
@cacarote12 9 ай бұрын
개인주택에 땅도 크고 석유도 수출국
@user-mu1dv1mj1h
@user-mu1dv1mj1h 7 ай бұрын
픽업트럭은 다용도로 쓰기에 좋으니 많이 선호하는 것 같아요 무엇보다 픽업트럭이랑 사고 난 적이 있었는데 탱크 같이 느껴지더라구요 램이었는데 세단이었던 전 문짝 다 날아가고 램은 휀다에 데미지 조금 그때 “아 픽업트럭 탐난다” 했어요 ㅎㅎ 그리고 잠시 한국에 갔을때 느낀건 주차장 너무 좁고 길도 복잡; 픽업트럭 하다못해 에스컬레이드 숏바디도 주차 힘들겠다 기계 주차도 절대 못 들어가겠다 요런거 ㅎㅎ도로 다녀보니 막히면 얘네는 기어 기어 앞으로 계속 가는데 한국은 막히면 그자리에 서 있고 차종을 봐가며 양보하더라구요 깜빡이 키면 더 안 껴주고 그런건 좀 확실히 많이 다르다 느꼈네요
@user-nj6df4mm1w
@user-nj6df4mm1w 9 ай бұрын
걍 도로 다녀보면 일반 승용차는 사고 났을때 깔려죽겠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동급 아니라도 suv는 타야겠다는 생각이 들죠
@user-ee9dt3vy6k
@user-ee9dt3vy6k 9 ай бұрын
구독합니다!
@vikramrahulpranavrajesh
@vikramrahulpranavrajesh 4 ай бұрын
3:34 이 스포티지가 놀랍게도 최초의 도심형 SUV 타이틀을 가져갔죠.
@wannaplay27
@wannaplay27 9 ай бұрын
정부정책, 정치가 세상을 바꾸는 방법.
@jaykim4989
@jaykim4989 8 ай бұрын
한가지 더 보태자면, 작은차는 기름통이 작아서 기름 엄청 자주 넣어야해서 불편해서 안탑니다…
@user-bb5jk6iw7c
@user-bb5jk6iw7c 5 ай бұрын
미국 트럭 승차감 상당히 좋아요. 차 길이에서 오는 편안한 승차감이 있습니다
@gnt6321
@gnt6321 9 ай бұрын
땅이 넓어서 장을 보러갈때 한번에 잔뜩사오다보니 큰차가 필요해질수밖에 유럽은 왜이리 작은겨..
@morgeth3566
@morgeth3566 6 ай бұрын
ㄹㅇ인게 지금 네덜란드 사는데 차들이 대부분 폭스바겐 골프같은 소형 햐치백들이 많습니다.
@YeolGiJeongSeung
@YeolGiJeongSeung 8 ай бұрын
3:34 의 스포티지는 사실 프레임이 있기에 직전에 설명힌 크로스 오버와는 맞지않네요 ㅜㅜ 차라리 1세대 싼타페를 예시로 들었으면 좋았을것 같아요
@user-cc5ro5nz8g
@user-cc5ro5nz8g 9 ай бұрын
미궁 SUV에는 감동이 있다
@user-yw2be5uh5y
@user-yw2be5uh5y Ай бұрын
최근들어 우리 아파트 차들이 투박 스럽게 너무 커졌어요. 주차장이 너무 좁아요. 큰 차들만 폭발적으로 불어나고 있네요.
@getsome3015
@getsome3015 19 күн бұрын
한국인들도 큰차를 좋아합니다~ 덩치가 작은데도 말이죠~ 신기해~
@pingping-e2286
@pingping-e2286 8 ай бұрын
미국이 큰차를 좋아하는 이유 : 광활한 땅,레져가 발달한 문화, 오프로드 등등... 한국이 큰차를 좋아하는 이유: ???
@user-lt3hz6dq3u
@user-lt3hz6dq3u 8 ай бұрын
저건 진짜 연비좋은 차를 만들기 위한법이아니라 큰차를팔면 마진이 많이 남는 자동차 회사들을 위한 법이 아닐까
@user-sm5ee4wg5r
@user-sm5ee4wg5r 8 ай бұрын
원래! 그들은꿈도커고 덩치도커고 마음도커고 나라도커요!
@benjaminlee3866
@benjaminlee3866 7 ай бұрын
일단 땅이 넓어서 가능한듯. 일반 아파트에선 주차가 거의 불가능하고 진짜 비싼 고급아파트(나인원,ASF)에서도 픽업트럭은 주차 빡셀거같은디😂
@user-wc1uq6dm3r
@user-wc1uq6dm3r 9 ай бұрын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타고싶다 드림카
@jamesyun2109
@jamesyun2109 8 ай бұрын
차가 큰이유는 땅덩어리가 커서, 2-3시간 거리는 동네 근처 간다는 계념, 그런 땅어리를 4인 가족이 세단, 소형차에 구겨서 탄다 상상해보심이.. 요즘은 연비를 극대화 하기 위해 실내 천장도 낮고, 180이상 체격은 곱추같이 핸들잡고 운행햐야함. 머리다 눌리고, 애가 어리면, 유모차 한대 실으면 공간 없음. 기왕지사 같은 돈이면 차는 커야, 엔진이 강해야 생각하는 사람임.
@Koreanrevinruralarea
@Koreanrevinruralarea 8 ай бұрын
좀 더 추가하자면, 미국의 경우, 대도시나 대도시 주변 교외지역의 경우는 -풀사이즈 SUV 보다는 미니밴 수요가 더 많은 편입니다. -아무리 미국이 땅이 크다고 해도, 도심지에서 풀사이즈 SUV 나 픽업은 운전하기 굉장히 힘듭니다. -미국에서 주로 팔리는 미니밴: 오디세이, 시에라, 패시피카 등등을 보면 생각보다 운전하기 편하게 세팅이 되어있습니다. 풀사이즈 SUV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덩치도 작은 편이구요. -거대한 풀사이즈 SUV나 픽업은 주차도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 미드사이즈 SUV + 미니밴 조합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대도시권역에서 벗어나고 농업이 주산업인 시골로 내려가면 -풀사이즈 픽업 혹은 풀사이즈 SUV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죠. -도시권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운전이나 주차도 매우 편한편입니다. 또 코스트코, 샘즈, 월마트 등등에서 한번에 대량으로 장을 보는 문화이여서 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견인을 하는 경우도 풀사이즈 SUV 나 픽업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캠핑카 견인 목적 외에도 -중대형 잔디깍이 머신을 트레일러에 올려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쿼드바이크 혹은 UTV라고 해서 농장이나 목장에서 사용하는 소형 오프로드 차량을 트레일러에 올리는 경우 -가축을 위한 건초를 트레일러로 옮기는 경우 -말을 키우는 경우, 말을 싣고 트레일러오 옮겨야 하는 경우 등등입니다. 이런 경우 미드사이즈 SUV 나 미드사이즈 픽업으로는 아무래도 힘에 부칩니다. -미드사이즈 SUV나 픽업은 엔진출력이 받쳐주더라도, 견인 고리에 실리는 Tongue weight 때문에 차량 뒤쪽이 주저 앉고 차의 앞쪽이 들려버립니다. -풀사이즈 SUV나 픽업의 경우 일단 중형 캠퍼나 트레일러를 견인 할 수 있게 설계 되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상대적으로 덜 할 뿐더러, 기본적으로 프레임 온 바디 구조이기 때문에 견인하중도 넘사벽입니다. -대형 캠퍼나 트레일러를 견인해야 하는 경우는 아예 디젤 엔진이 올라간 슈퍼듀티 클래스 픽업으로 구매를 하구요. 때문에, 미국에서 풀사이즈 차량들이 인기가 많은 이유는 오히려 실용적인 이유가 더 많습니다. 차체가 길고 넓을 수록 장거리 운행시 요잉-피치-롤에 대한 스트레스가 덜하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9-10시간이 넘는 시간을 시속 120KM 정도로 크루징을 할 때는 날렵한 핸들링 보다는 거주성과 부드러운 서스펜션이 더 실용적입니다.
@user-ev5sb2pb7d
@user-ev5sb2pb7d 6 ай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으나 풀싸이즈픽업은 합판한장들어가는 넓이인듯
@user-gc4zm9zg6u
@user-gc4zm9zg6u 9 ай бұрын
아 이런채널 너무 좋음
@seol_hyenu
@seol_hyenu 9 ай бұрын
80년대 까지만해도 디트로이트의 전장 6미터급 빅세단들이 굴러다녔던거 보면 그냥 큰세단이 큰suv로 유행타고 넘어간듯
@kim0505100
@kim0505100 5 ай бұрын
스스로 큰 물건도 가져와야 할만큼 배달비가 높은 탓도 있겠지만 좌우간 마초적인 것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과거 미국영화를 봐도 농부들이 60년대 올드한 트럭을 타고다닌다던가 하면서 이차가 어쩌구 하면서 트럭부심 부리는것을 볼 수 있슴 컨트리적인 서부 개척시대 같은 낭만의 감성이 여전히 남아있는거 같음 직접 문의 페인트칠을 한다던가 DIY도 동일선상의 연장
@atenbore
@atenbore 8 ай бұрын
책상에서 정책을 세우면 현장에선 대책을 세운다!!!
@ejkseason4148
@ejkseason4148 9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4년 2개월 살다 왔습니다. 미국 차가 클 수 밖에 없는 요인 중에 심리적인 부분이 차지하는게 꽤나 큽니다. 우리나라처럼 좁은 땅덩어리에 인프라가 얽혀있고 국민 대다수가 엄청나게 짧은 반경 내에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이어져있는 것과 다르게 미국은 차를 타고 조금만 이동하면 그냥 타지에요. 즉 차는 곧 척박한 외부 환경에서 온전히 내가 누릴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고 차 안에 최대한 많은 짐을 싣는 문화가 발달해 있습니다. 대신 차 관리를 제대로 안해주기 때문에 차 안에 쓰레기 더미가 쌓여있는 경우가 허다하구요. 미국도 메트로폴리스 일대나 고도로 발전한 산업지구같이 안락함을 추구하고싶은 지역에서는 일본차 + 독삼사 or 폭스바겐 + 현기차 세단 많이 탑니다. 여담으로 요즘 미국 20대들은 엘란트라나 트레일블레이저 진짜 많이 사요... 근데 미국에서는 엘란트라가 4천만원이어서 포지션이 애매합니다. 그래서 결국 그돈씨로 디자인도 구리고 옵션도 빈약하나 품질만큼은 보증된 도요타나 혼다를 사고 맙니다. 쓰다 보니 드는 생각이 우리나라는 이 좁은 땅덩어리 안에서 뭐 그렇게 큰 차로 과시를 못해서 안달이 난건지
@user-hc9bv2dh6f
@user-hc9bv2dh6f 9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큰차타면 문화 우리나라에서 큰차타면 단순 과시?
@ssgneo2289
@ssgneo2289 9 ай бұрын
​@@user-hc9bv2dh6fㅇㅇ
@user-cq1gh2nx6n
@user-cq1gh2nx6n 9 ай бұрын
​@@user-hc9bv2dh6fㄹㅇ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9 ай бұрын
아직 배가 덜 고프니까 그런 듯
@han002k
@han002k 9 ай бұрын
​@@ecap2179일본으 경차에 대해서 횐상이 있으신듯 하네요
@shp0913
@shp0913 9 ай бұрын
와 ㅋㅋsuv탄생배경이 이랫구나
@peaceful9803
@peaceful9803 9 ай бұрын
부딪혀서 안다칠려면.. 중간은 사야돼..
@user-nq4xk5mt2g
@user-nq4xk5mt2g 8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SUV의 최대장점은 승하차시 몸을 구기는 과정이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운전시 시선처리가 편안하다는 점
@B-qg1jb
@B-qg1jb 9 ай бұрын
그만큼 깔려죽는 사람이 많아졌죠. 위험해서 없앴다는 팝업라이트가 무색하게
@user-cx1ox8ns9h
@user-cx1ox8ns9h 5 ай бұрын
부럽네~ 클수록 안전하기도 하겠지
@user-bm2zf8lw7j
@user-bm2zf8lw7j Ай бұрын
1번째 이유 땅덩어리가 넓고 이동하는 거리가 많아서 그래요
@hyentaek1273
@hyentaek1273 8 ай бұрын
일본은 골목길이 많아서인지 근면 검소한 성품인지 소형차를 많이 선호하고 있고 한국은 좁은 국토지만 크고 비싼차를 타야 대우를 받는 이상한 허영심에서 대형차를 선호하고 좁은 도로 많은 차들로 인해 교통사고가 끊이질 않는데 이때 정면 추돌로 죽기 싫어서 대형 SUV를 선호하는 사람들도있다
@son7lee19
@son7lee19 7 ай бұрын
1.25배속으로 말씀하시면 더 큰 성공을 이루실 것
@Seeopyung
@Seeopyung 8 ай бұрын
그리고 작은차는 큰차들이 많으니 위험해서 어쩔 수 없이 안전을 위해서 큰 차를 사게 되요ㅠㅠ
@user-kwon474
@user-kwon474 6 ай бұрын
미국에 가보니 도요다와 F150 이 50% 나머지는 일본 승용차들이 거의 대부분이더군요 국산 엘란트라(아반떼)가끔 보이고요
@user-el2vo6uo3c
@user-el2vo6uo3c 9 ай бұрын
2:36에 나오는 연두색차 차종이 뭔가요 ? 이쁘네요
@logunk5969
@logunk5969 4 ай бұрын
연비 나뽄 고배기량 세단과 머슬카는 왜 퇴출이 안된거죠?
@user-fm7zl9zh4z
@user-fm7zl9zh4z 4 ай бұрын
미국이 저유가일 때는 기름값이 싸고, 편하고, 가속력이 좋아서 그렇지만, 무엇보다 사람들이 유럽형(소형, 저배기량, 고연비) 차를 별로 안 좋아해요(독일차는 비싼차라서 논외. 다만 E클래스도 제일 깡통이 V6 3.5L인 적도 있었음). 일본회사 차들도 세단은 일본 내수시장에서는 차가 너무 크고 유지비도 많이 든다고 철수한 미국 공장제 대배기량 캠리/어코드 위주로 팔립니다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9 ай бұрын
트럭을 제외하면 큰차는 한국이 더 많음. 미국에는 작은 차가 참 많음. 주로 출퇴근용. 한국은 주로 패밀리카라 작은 차가 잘 없음.
@terrychoikorea114
@terrychoikorea114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어이가 없네 일반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은 아니군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8 ай бұрын
@@terrychoikorea114 ㅋ⫬ㅋ⫬ㅋ⫬ 미국인임. 한국 가보고 깜짝 놀람. 차가 너무 길어서. 비율이 잘못된 차들 같음.
@terrychoikorea114
@terrychoikorea114 8 ай бұрын
@@northbynorthwest999 나도 미국인임. 한국가면 렉서스 nx가 rx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음. 전체적으로 차가 작아서 펠리세이드 엄청 커보이지만, 미국에선 혼다 파일럿, 토요타 하이랜더 수준임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8 ай бұрын
@@terrychoikorea114 그래? 신기하네. 세단이 너무 길지 않아, 한국은?
@FvhTshYLlFQxjx2RUaqc2g
@FvhTshYLlFQxjx2RUaqc2g 8 ай бұрын
뭔 말같지도 않은…
@neutralizerm5240
@neutralizerm5240 8 ай бұрын
5~60년대 뷰익이나 캐딜락은 대형차가 아니였나요 ㅎ?
@user-sb6un2ss3g
@user-sb6un2ss3g 9 ай бұрын
울 나란 좁은 주차장에 SUV 옆차량 문도 열 열게 주차해 놓아 짜증나는데.
@cosmicdust22
@cosmicdust22 8 ай бұрын
이런 광고문구가 생각난다. 실용성보다는 과시용이다. 여자들이 명품가방사는 것과 똑같다. 동네 픽업들 거의 빈차로 다님. 실버라도 픽업트럭있었 경험으론 짐은 밴이 더 많이 편리하게 실을 수 있고 지붕이 있어 비도 안맞고. 근데 중요한건 픽업타면 도로에서 무례한 일 당하는 일이 현저히 적다는 점.ㅎㅎㅎ
@linainverse4783
@linainverse4783 6 ай бұрын
미국 캐나다에서는 누가 뭘하든 크게 신경안씀 비교도 안하는 편이고 이건 분명 장점이다 한국인은... 더이상 말을안할란다
@slowslowslowslowslow
@slowslowslowslowslow 8 ай бұрын
수년전 미국에서 경제가 어려운 일이 발생되었는데 청문회가 열리고 미국의 대표 브랜드 3사의 대표는 청문회에 끌려나왔습니다 온갓 변명을 다 들어주던 의원이 결국 가장 궁금했던 질문 한개를 던짐니다 "이렇게 어려운 시기에 왜 팔리지도 않는 대형차만 계속 만드는건가요? 기아나 현대처럼 한국 경차를 만들어서 판매하는게 경쟁력이 높아보이는데 그럴생각은 없는가?" 묻더군요 질문을 받은 대표는 완전 난감한 표정으로 더이상 둘러델수도 없어서 솔찍하게 답변했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경차를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저렇게 저렴하고 갠찮은 품질을 가진 경차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술은 아직 못가졌습니다" 했더니 의원은 "그래서 커다란 차만 계속 만든건가요?" 했더니 맞다고.... 하더군요 저는 그당시 영상보고 깜놀했습니다 찾아보니 우리나라 경차가 하청업체 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겠되었어요
@DongGeonKim-zu7mz
@DongGeonKim-zu7mz 2 ай бұрын
미국 풀사이즈 휘발유 픽업트럭에는 로망이 있다 ㄹㅇ... 우리나라에도 캐딜락 시에라 나왔던데 존나 사고 싶더라
@user-fl1zr9ii2h
@user-fl1zr9ii2h 7 ай бұрын
현재 호주 거주하고 미국 캐나다 잠시 가본 교민인데 기본적으로 서구권+땅이 인구에 비해 여유로운나라=큰차 선호 더라구요. 일본에서는 보기도 힘든 하일럭스나 트라이톤 dmax, 셰보 콜로라도 포드 레인저들이 가정용차로 겁나 돌아다니고 더 큰 톱킥이나 실버라도도 어렵지않게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하일럭스나 트라이톤 dmax 만해도 카니발이나 스타리아보다 더 커보이는데 그보다 더 큰 차가 마음껏 돌아다니는거 보고 저도 한 3년 이스즈 dmax구형 몰아봤는데 여러가지로 편했습니다. 물론 승차감은 안좋고 가끔 뒷좌석 앉은분들은 허리아프다고 난리고ㅎㅎ 국내는 몰라도 해외살 예정이 있으시다면 경제력이 허가하는 한도에서 픽업 트럭도 한번은 몰아보는거 추천드립니다.
@user-gx1bk7ue5d
@user-gx1bk7ue5d 7 ай бұрын
만약 연료 효율 규정을 트럭에도 적용했다면.... 기술개발에 선을 썼을 것입니다.
@user-gc3yq3ci2m
@user-gc3yq3ci2m 9 ай бұрын
솔직히 미국차가 좋아 튼튼하고 급발진도 없고 자연흡기에 케이블방식으로 급발진도 단 1건도 없다한다 단점은 당연 연비겠지만 미국차가 벤츠.비엠보다는 더 좋긴하더라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4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완전 기계식인 플런저 방식 디젤엔진이 엔진오일이 실린더 유입으로 인핸 디젤오버런으로 인한 폭주나 캬브래이터 방식의 가솔린 엔진이어도 스로틀밸브 케이블의 고착화등으로 급발진 가능성이 있음 ㅋㅋ 뭐...평소 정비만 잘해주면 일어날 일도 없지만...
@user-xd4pn5gf9r
@user-xd4pn5gf9r 9 ай бұрын
우리 국민들도 좋아라 하는 것이지.... 돈이 없어 사지를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기도 하다 또한, 가지고 싶은 로망들이 많은 차들이지...... 나 부터도 그러하다 신의 눈
@valarmorghulis2884
@valarmorghulis2884 9 ай бұрын
잠깐 1:41 석유를 전적으로 해외수입에 의존?? 미국 소비량이 워낙 많아서 그렇지 생산량도 엄청난데
@user-ns4ro5vg4h
@user-ns4ro5vg4h 9 ай бұрын
저땐 셰일오일 생산을 안해서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9 ай бұрын
​@@user-ns4ro5vg4h셰일 없던시절에도 절반이상이 미국 국내에서 생산되었음.
@user-gn2gh9dj3n
@user-gn2gh9dj3n 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suv ram픽업 하고 밴 타는데 장거리 운전 suv 보다 훨씬 편하고 좋아요 토잉도 가능하고
@user-rz5cq4jm5r
@user-rz5cq4jm5r 6 ай бұрын
1:41 오류가 있네요 석유를 전적으로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던 미국이라는 멘트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미국은 산유국입니다. 원유가격의 척도가 되는 텍사스 중질유(WTI)가 바로 텍사스에 나옵니다. 워낙 미국의 석유소비가 많아서 해외수입을 하지만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한다는 내용은 큰 오류네요
미국차는 왜 무시당할까? 미국차 사느니 차라리 국산차 산다?
30:03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478 М.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실제 구매자들이 절대 사지 말라고 답한 미국 자동차 Top 10
11:24
미국 마스터 미국 정보의 모든 것
Рет қаралды 120 М.
미국인들은 왜 이리 큰 차를 좋아하는걸까?
6:34
지식냠
Рет қаралды 1,6 М.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롤렉스가 왜 인기 많은지 모르겠다는 45년차 시계장인
14:00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Рет қаралды 989 М.
소리없이 시작된 '해저케이블 전쟁'
22:32
압권 Apkwon
Рет қаралды 257 М.
어나더 레벨의 놀라운 발명품들
27:22
굉장한 실험실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