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변화의 근원은 물리학에 있다?! 김상욱 교수님이 말하는 물리학의 근본부터 활용까지!

  Рет қаралды 94,771

tvN STORY 티비엔 스토리

tvN STORY 티비엔 스토리

Жыл бұрын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세상의 지식을 삶의 지혜로
프리미엄 특강쇼 <어쩌다 어른>
[목] 저녁 8:20 tvN STORY
#티빙에서스트리밍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71
@blank_white_
@blank_white_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의 말씀하시는 방식이 좋아요. 아는 내용이라도 또 보게 됩니다 ㅎㅎㅎ
@michaelchoi5238
@michaelchoi5238 Жыл бұрын
Dear Mr. Kim, I could say this talk was the best summary of about 2/3 hundred years physic’s. I guess Korean got blessed because of your knowledge donation like this. I hope lots of great people put their efforts to solve earth wise issues in future. Talk like this will be the seed information. It was great talk. Mr. Kim you are the person who has beautiful mind 👍
@user-eq3jg4dq9d
@user-eq3jg4dq9d 8 ай бұрын
How could you know the context of this content?
@choicopy7779
@choicopy7779 Жыл бұрын
보고 또 봐도 재밌네요
@user-jx8ji2mh4t
@user-jx8ji2mh4t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입니다.
@isis7957
@isis7957 Жыл бұрын
왜 이건 풀버전 안보여줌??
@paikkh
@paikkh Жыл бұрын
중학교 때 물상선생님이 진공상태일때 닭털과 닥터가 같이 떨어진다 기억나네요
@gmh1053
@gmh1053 Жыл бұрын
사람의 호흡 조금도 인간이 알지 못할만큼 큰 데미지를 주겠죠. 언어로는표현할수없죠
@user-se5hw1qi9l
@user-se5hw1qi9l Жыл бұрын
😃
@user-eq3jg4dq9d
@user-eq3jg4dq9d 8 ай бұрын
6:00 9:20 13:00 공기저항과 중력을 분리하지 못한 아리스토텔레스 18:15
@user-ux1xq4eg1y
@user-ux1xq4eg1y Жыл бұрын
...학교 도형이랑 다르다...이제 막 전개도 했는데 ...어...공부해야겠다......
@hainetkorea
@hainetkorea Жыл бұрын
모든 변화의 근원은 물리학에 있다 ? 결론: 정답입니다. 생명의 기원에서부터 탄생 그리고 진화의 과정은 물리학이 최우선 입니다.
@hoon2614
@hoon2614 Жыл бұрын
누구는 파리 날라다는거 보고 그냥 잠드는데 누구는 시간이 뭐지 하면 상대성이론이 나오는거야?
@user-fw4rd1uz1m
@user-fw4rd1uz1m Жыл бұрын
마찰력이 없을때 .. 라는 가정이.. 필요하겠죠?
@Lee02777
@Lee02777 Жыл бұрын
지킬앤하이드 박사네요..
@user-ri7bi2bw7j
@user-ri7bi2bw7j Жыл бұрын
수학을 하게되면, 물리가 궁금해질거고,물리를 하게되면, 우주가 궁금해진다. 고로 머리가 터진다😅
@cs259700
@cs259700 Жыл бұрын
좌표평면은 데카르트 이전에도 있었다고 함. 데카르트가 위대한건 대수학과 기하학을 통합하여 세상을 방정식으로 이해하는 법을 발견한것임 근대과학의 문을 열어줄, 감각보다도 신뢰가 높으며 단순하지만 강력한 도구를 인류에게 선물함
@Lee02777
@Lee02777 Жыл бұрын
실험과 증명
@user-px6um1gw9h
@user-px6um1gw9h Жыл бұрын
여기에 나오는 여배우 이름이 뭔가요?
@zokioki515
@zokioki515 Жыл бұрын
수학이라는게 세상을 이해하는 언어라는걸 손쉽게 느낄수 있는 한편이였네요
@user-ug9ng5zj1e
@user-ug9ng5zj1e Жыл бұрын
응 아니야
@Yun-xq5ow
@Yun-xq5ow 11 ай бұрын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말한 유명한 말이있죠, 우주는 수학이라는 언어로 표현되어있다.
@MonkeY_unOfficial
@MonkeY_unOfficial 5 ай бұрын
@@user-ug9ng5zj1eㅋㅋㅋ수학 못했죠?ㅋㅋㅋㅋ
@user-qi8nh9ky9w
@user-qi8nh9ky9w Жыл бұрын
아는 게 있나? 양자역학을 어느 정도 이해할까? ㅎ ㅎ
@dschai0220
@dschai0220 Жыл бұрын
제가 노자 도덕경 1장을 해독해 보니 어떤 완전수의 약수와 배수로 이루어져 있는데 혹 이해하실 만한 분이 있을까요?
@dschai0220
@dschai0220 Жыл бұрын
@가나다 내 유툽에 올려놨다.
@dschai0220
@dschai0220 Жыл бұрын
@가나다 논리적 구조는 올려놓았는데 수학적 구조는 아직 못올렸습니다. 완전수 28로 쓰여졌는데 좀 난해합니다.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Жыл бұрын
13:38 에서 F=ma, F=mg ,ma=mg , a=g 여기서의 식은 서로 같은 무게의 물체로 실험했을때에만 해당하는 식입니다,서로 다른 무게의 자유낙하운동은 m1,M2 ,g1,G2,f1,F2 이값들이 서로 전혀 다르죠 ㅎㅎ 박사님처럼 다 같다 라고 말하시는분은 중학교 교과과정을 다시 복습해보셔야할듯합니다 이값들이 서로 전혀 다른데 속도V가 일정한 이유는 F가 일정한것이 아니라, V1 = m1 × f1 , V2 = M2 × F2 이 두식에서, 작은 질량에 가한 작은 힘의 V1과 큰 질량에 가한 큰 힘 V2 가 일정하기 때문에 V1과 V2가 일정한 겁니다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Жыл бұрын
F1= g1, F2 = g2 빼먹은 수식이 있었네요,말로 하자면 작은 물체에 가해지는 중력은 작은 힘으로 여기서 발생하는 물체의 속도v1와 , 큰 물체에 가해지는 큰 중력의 힘으로 발생하는 속도 V2 를 비교 해보면 v1= V2 임을 알수가 있죠
@quruliforgame
@quruliforgame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그 이야기를 한게 아니라 뉴턴 법칙에 의해, 힘은 질량x가속도인데 지구의 물체에 존재하는 모든 질량을 가진 것들은 중력이 작용하고 그때 중력가속도g가 적용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모든 지구의 물체는 같은 중력가속도로 움직이며 동시에 낙하한다는 의미로 저 수식을 이야기한거지 좌변과 우변이 서오다른 질량이든 같은 질량이든 이런 내용을 말하시는게 아님
@user-ly6mj8qu3d
@user-ly6mj8qu3d Жыл бұрын
그럼 마일 센티 이런단위는 어디서 왔나? 1mm 폭을 요만큼하자는 정의를 누가 만들었냐고 ^^ 저거때문에 태양의거리 달의거리 화성의거리를 알수있는건데..국민학교 딱졸이라 잘 몰라서말야
@jungwookrlee
@jungwookrlee 8 ай бұрын
미터(m)은 1799년에 프랑스의 과학아카데미에서 발표한 SI단위계에 속해있는 길이의 단위입니다. 흔히 미터법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단위계에서 1m는 빛이 진공에서 1/299 792 458 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로 정의 됩니다. 마일(mi)은 17-18세기 미국에 정착된 미국 관습 단위계에 속해있는 길이의 단위입니다. 한국에서 쓰는 돈, 평, 근 등의 단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위의 객관성과 일관성 때문에 과학에서는 미터법을 사용합니다. 실제로 미터법의 단위를 사용하지 않아 계산 오류로 인해 탐사선이 추락하였던 사례도 있습니다.
@user-iz4xy1mj6n
@user-iz4xy1mj6n Жыл бұрын
@Lee02777
@Lee02777 Жыл бұрын
엄밀한데 대충..
@user-wm8tm4kk2d
@user-wm8tm4kk2d Жыл бұрын
요약: 하나님이 없는이유 F=ma
@yoursmilefor2368
@yoursmilefor2368 2 ай бұрын
이새끼 병신인가.. 정작 뉴턴은 그 속에서 신을 느끼고 알았다고 하는데
@user-ke9in5cg3z
@user-ke9in5cg3z Жыл бұрын
숱자 ㅂㄱㅋ 수핱 ㅋㅋ
@CorrectionWaves
@CorrectionWaves Жыл бұрын
떨어지는데 닿지 않는게 아니라 아직 닿지 않은거란 설명이 더 맞지 않을까요. 에너지를 가진 물체가 등속원운동을 할 수 없는.. 달도 떨어지고 있는데 아직 닿지 않았을 뿐. 실제로 달과 지구의 거리는 매년 가까워지고 있는게 측정되고요.
@davidhan9979
@davidhan9979 Жыл бұрын
달 은 년마다 3 센티정도씩 멀어지죠
@JWJ-qj1cb
@JWJ-qj1cb Жыл бұрын
멀어지고 있습니다
@soeulpictures
@soeulpictures Жыл бұрын
얘 우주신 모시는 좌파라길래 이제 안봄
@user-xg9ow1sl7b
@user-xg9ow1sl7b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그랴.. 유사 일본인 윤죄앙이나 모셔. 아님 전과 19범 쥐박이라든가..
@soeulpictures
@soeulpictures Жыл бұрын
@@user-xg9ow1sl7b 그래서 대안은 보찢 전과자?
@user-bg2ij4bs6y
@user-bg2ij4bs6y Жыл бұрын
우주신? 먼 알수없는 뻬액거림이세요?
@user-zx6xc9dx5n
@user-zx6xc9dx5n Жыл бұрын
김상욱 선생님! 제발,, 로렌츠 변환식이나 제대로 이해하고 설명하십시오. 로렌츠 변환식도 모르면서 아는척 좀 하지 마십시오. 제발,, 부탁드립니다.
@user-uv8yd7bh8p
@user-uv8yd7bh8p Жыл бұрын
물리학자가 로렌츠 변환을 모르는게 말이됨?
@kazman1099
@kazman1099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전공한 분이 대학 1학년때 배우는 로렌츠 변환식을 이해 못한다고요? 댓글 단 분이 뭔가를 이해 못했을 확률이 더 높아 보이네요
@user-rr5fj3om2x
@user-rr5fj3om2x Жыл бұрын
학계에선 별로 인정 못 받는 교수입니다. 논문 연구 성과가 별로 없고, 늘 같은 내용의 설명만으로 발전이 없는 분.
@whys21
@whys21 Жыл бұрын
학계에서 인정을 못 받는다고요? 완전한 양자정보엔진을 가장 처음 제안한 분이시고, 그 사고실험의 논문이 이미 2013년도에 한번 학계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었습니다. 님이 학계에 계시긴 합니까?
@Faker602
@Faker602 Жыл бұрын
그럼 인정받는 교수는 누구죠??
@user-rr5fj3om2x
@user-rr5fj3om2x Жыл бұрын
동대학 박사과정입니다. 어떤 논문의 센세이션을 말하시는건지. 양자정보엔진은 1960년대부터 나온 양자역학 분야이며, 무엇을 가장 처음 제안했다고 하시는건지.. 전혀 사실이 아니세요. 전혀
@user-bf2jn9xq3n
@user-bf2jn9xq3n Жыл бұрын
글쎄요. 동대학 동학과 93학번 출신인데 그 이유가 김상욱교수를 판단할 근거로는 좀 부족하게 보이네요. 물론 학자로서의 연구성과 중요하죠. 근데 물리학에서 남아 있는 연구꺼리 얼마나 되나요? 변주만이 남은거 아닙니까? 실험물리학에서는 여전히 많은 프로젝트가 남아 있겠지만요. 현시대 물리학자의 가장 중요한 소명은 오히려 대중과 물리학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상기와 같은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요.
@566luca5
@566luca5 Жыл бұрын
@@user-bf2jn9xq3n 훌륭하십니다
@Doodoo2322
@Doodoo2322 Жыл бұрын
물리학이 저런 놀라운 결과를 준다고 예찬하지만 저런것들이 결국 정치와 결합되어 무기만드는 것에 쓰입니다. 상대성이론으로 e=mc2 을 가지고 원자탄을 만들었습니다. 뉴턴의 물리 이론은 이후에 결국 세계대전 이라는 끔찍한 살육의 전쟁을 만들었고요 . 물리학을 너무 예찬만 하는거 같은데 물리학의 발전은 자칫 인류의 멸망에 빠르게 다가가는 것입니다 . 물리학으로 기반된 문명의 발전은 전보다 더 많은 새로운 지식과 세계관을 준것은 맞지만 그로 인해 공장짓고 도로깔고 무기만들어서 지구환경 싹다 개판되고 사람들도 많이 뒤지는 것입니다
@whys21
@whys21 Жыл бұрын
e=mc2는 원자폭탄과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90년대에 일본으로부터 잘못 알려진 음모론인데, 이걸 믿는 분이 아직도 계시는군요. E는 에너지, m은 질량, c는 광속입니다. 즉, 에너지는 질량 곱하기 광속의 제곱이라는 것 뿐입니다. 지구환경을 개판 만든 것은 인간의 욕심이지 물리학이 아닙니다.
@user-je7vz1dh6e
@user-je7vz1dh6e Жыл бұрын
@@whys21 지식으로 논박하는 모습이 멋지세요
@user-jw9uj6je8b
@user-jw9uj6je8b Жыл бұрын
중력이론이 있건 없건 만유인력의 법칙이 있건 없건 추락사고는 계속 생깁니다
@Doodoo2322
@Doodoo2322 Жыл бұрын
@@user-je7vz1dh6e 개소리오지노 ㅋㅋ
@hancooksaram2312
@hancooksaram2312 Жыл бұрын
해당 주장에 대해서 김상욱 교수님이 다른 프로에 나와서 하신 말이 있습니다. ------- [현대 사회에 악플은 큰 문제가 되고 있는데 그 주범은 세종대왕이다. 세종대왕이 우리나라 말을 쉽게 쓸 수 있는 한글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 만약에 어떤 사람이 맥주병으로 사람을 내리쳐서 상해를 입혔다면 역사상 유리를 가장 처음 만든 사람이 그에 대해 잘못을 한 게 되나요? 어떤 공무원이 불법을 저질렀다면 그 공무원에게 월급을 준 납세자들이 잘못을 한 게 되나요?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FOOLED THE GUARD🤢
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ЕГОР СЪЕЛ ИНСТРУМЕНТ? 😳😅  #shorts
0:19
Зубландия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Which water gun will you get it?
0:26
YJTOYNIKOLA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Мама помогла Папе 🥹❤️ #shorts #фильмы
0:50
Sion princess funny Donut Challenge
0:38
SION /紫音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Как делать слайм ИЛИ кто пранканул Милану ?
0:26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