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종류 [원목, 집성목, 합판, MDF] 가구위주 정리

  Рет қаралды 52,625

만고사

만고사

3 жыл бұрын

인테리어를 하면서
많은분들이 원목! 이렇게만 생각하고 계시는 분들이 은근 많아요.
목재의 종류에 관해서 한번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촬영된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 중에 한가지 방법일 뿐 입니다.
모든 인테리어 기술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용 방법이 다르기에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단의 자막은 이해를 돕기위에 첨부하였으나
자동 자막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든것이라 오탈자가 많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영상이 조금이라도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궁금한점이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문의사항 : dinelpersonal@gmail.com
#목재 #집성목 #원목

Пікірлер: 46
@jwseo44
@jwseo44 3 жыл бұрын
저도 목재는 좀 아는데...전공도 했고 ...내용중 옹이는 다 있는데...침엽수 계열이 옹이가 많은 이유는 수령이 적은 나무를 많이 사용해 옹이 많은것 처럼 보이는거고 활엽수는 수령이 많이 자재를 사용하다 보니 옹이가 이미 심재부분으로 들어가서 덜 보여서 그런 현상임...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조언 감사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침엽수의 경우 성장하며 본체(몸통)부분에서 가지가 하나 하나 옆으로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구조라 옹이가 많고, 활엽수의 경우 몸통에서 위로 가지가 뻩어있고 그 가지들 위로 잔가지가 갈라지는 구조라 옹이가 적은거라 알고 있었거든요 그리고 소프트우드에는 옹이에 레진(관솔)이라는게 존제하여 더욱 옹이가 진하게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제가 본 참고자료입니다 www.wood-database.com/wood-articles/what-is-wood/ 그런데 말씀하신 그런 이유가 있군요 목재를 전공하셨으니 믿음이 가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jwseo44
@jwseo44 3 жыл бұрын
@@Mangosa 네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가 쉽게 보는 원목의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수령에 차이에 의해서 그런 현상이 보이는건데요...침엽수같은 같은경우는 보통 수령이 많이 되어봤자 30년이라서..외부에 옹이가 많아 보이는 경우고요..활엽수 같은경우는 수령이 그거보다는 휠씬더 오래된 나무를 사용해서 그런 현상이 보이는겁니다. 활엽수는 심재부분에 들어가면 옹이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런부위들은 산업적으로 보통 포장재에만 이용되니 그런겁니다
@jwseo44
@jwseo44 3 жыл бұрын
@@Mangosa 그리고 올만에 보니 아는 내용이 나와 좋아서 그런거니...이해 바랄께요
@rachelchallenge3388
@rachelchallenge3388 3 жыл бұрын
초보에게 정말 좋은 유튜브입니다!! 감사합니당ㅎㅎ
@jinabae9283
@jinabae9283 3 жыл бұрын
차분히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번창하세요^^
@user-fp7es2oz2j
@user-fp7es2oz2j 3 жыл бұрын
나무공부 하는데 길라잡이 역활을 해주시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hdb1383
@ahdb1383 3 жыл бұрын
목재업계 종사자입니다..이미 다알고있는 내용인데 정말 쉽게 포인트만 잡아서 잘 성명하시는거 보니 부럽네요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초보라 쉽게 설명할수 있는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user-hw2yc2mc7k
@user-hw2yc2mc7k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
@user-fj9wj7cu3t
@user-fj9wj7cu3t 3 жыл бұрын
진짜 포인트만 딱 알려주네 겁나 깔끔함 대박 재능있으시다ㅠ
@hongtaesun
@hongtaesun 3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 감사합니다^^
@Borissal_
@Borissal_ 3 жыл бұрын
쉽게 이해가 되도록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보려 했는데 성공했네요^^
@dayeonkwon606
@dayeonkwon606 3 жыл бұрын
목재 공부하려니 막막했는데 이해가기 쉽게 깔끔하게 설명해주셨네요! 다음편이 얼른 보고싶어요 :)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아 감사합니다~다음편도 만들어야겠네요 ㅎㅎ
@user-qu5et7yt7z
@user-qu5et7yt7z 2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설명 차분하게 하시니 귀에 쏙 들어오네요..
@Mangosa
@Mangosa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BlessedFollowers
@BlessedFollowers 3 жыл бұрын
체계적이고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손수 나무로 이것 저것 만들었는데 동영상을보고나니 나무에 대해서 더 잘 알게되었네요. 구독하고가니 많은 정보 기대할께요~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앞으로 목공에 관련된 내용도 많이 다룰 예정입니다.~^
@머구리
@머구리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yw5jr9qg9l
@user-yw5jr9qg9l 3 жыл бұрын
순서대로 차곡차곡 설명을 잘하시는것 같아요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Yi_Ryeong
@Yi_Ryeong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dlxowl10
@dlxowl10 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user-bb8tm3qf2s
@user-bb8tm3qf2s 3 жыл бұрын
@@Mangosa 33
@user-ut3jz5ug9r
@user-ut3jz5ug9r 7 ай бұрын
좋은설명 감사합니다 화분다이로 쓸 나무판을 찾고있는데 어느나무가 좋은지 추천해주세요
@user-xj8iu7ns9n
@user-xj8iu7ns9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도움 많이 됐어요
@Mangosa
@Mangosa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space_forest
@space_forest 5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질문이 하나 있어서요..? 집성목으로 텃밭상자를 만들어 오일스테인으로 마감을 하고 외부에 설치해서 비 맞거나 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내부에서만 사용을 해야 하는건가요..?
@user-mk1mw1id6q
@user-mk1mw1id6q 11 ай бұрын
하드우드 강도 순위 와 특수목 에 대해서 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user-te1ot5jw8i
@user-te1ot5jw8i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외부 방부목에 비가 안오게 샷시를 해서 비는 안맞게 할예정이고 방부목 자리에 장판을 깔예정입니다 방부목이 틈새가 있어서 그걸 막고 장판을 깔아야되서 합판이나 어떤 자재로 깔아야할지요?
@user-nh5wb2mr1o
@user-nh5wb2mr1o 2 жыл бұрын
'집성제의 접합방식 종류 3가지' 요약해주세요!!
@Mangosa
@Mangosa 2 жыл бұрын
핑거조인트 말씀하시는 건가요??
@sookoh863
@sookoh863 3 жыл бұрын
원목은 좁죠... 넓지도 않고~ ㅎㅎ 그쵸..
@user-mq2mn1cy4f
@user-mq2mn1cy4f 3 жыл бұрын
자알 보았습니다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wseo44
@jwseo44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mdf는 목분이 아닌 섬유소를 사용하다고 하는게 맞음...목분이나 칩의 개념이 들어가면 pb라고 하는게 맞는데요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엄밀히 따지면 fiber와 particle을 구분하는게 맞지만, 실생활에서 통용되는 구분법과 설명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양해 부탁드립니다.^^
@user-dl8gy4dk2l
@user-dl8gy4dk2l 3 жыл бұрын
형님 외국은 통원목마루를 쓰는데 우리나라는 합판위에 원목붙여놓고 원목마루라고 하나요 원가절감인가염?
@Mangosa
@Mangosa 3 жыл бұрын
원가절감 이유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렸하고 온습도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목재의 평창과 수축이 심합니다. 그래서 마루의 벌어짐 들뜸 현상등이 일어나기 쉽죠. 때문에 변형이 적은 합판을 이용하는 거고요.
@jwseo44
@jwseo44 3 жыл бұрын
원목는 길이방향 방사방향 등에서 따라 수축율이 100배정도 차이가 납니다...그래서 합판을 베이스로 하는게 더 안전합니다,
@pilgrimtv8498
@pilgrimtv8498 2 жыл бұрын
원목은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거래하는 업체가 따로 있나요?
@Mangosa
@Mangosa 2 жыл бұрын
그때 그때 다릅니다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스테인과 바니쉬의 차이 | 목재 마감방법 | DIY
12:08
목재 저렴하게 구매하려면? 전문가처럼 가격비교하는법!
8:47
이승석 Woodworker Lee
Рет қаралды 53 М.
자작나무합판
2:20
인천나무꾼
Рет қаралды 3 М.
#목조주택 패널 _ osb와 합판의 장단점, 가격 비교
14:02
이팀장마스터빌더
Рет қаралды 21 М.
무늬만 원목인 가짜 원목가구?! 속지 말고 소재 따져보세요
9:05
이승석 Woodworker Lee
Рет қаралды 13 М.
진짜 '원목'과 무늬만 원목인 '무늬목'을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2:15
Вечный ДВИГАТЕЛЬ!⚙️ #shorts
0:27
Гараж 54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The little girl just wanted to help 😭😳😔
0:45
Family Fast Five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Переобулся в воздухе🙀
0:31
Алексей Корчун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