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관광, 산업이 융합되는 '제물포르네상스' 인천은 과연 제2의 개항을 열어갈 것인가? [다큐온 KBS 20230819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7,462

KBS 다큐

KBS 다큐

10 ай бұрын

■ ‘최초’의 영예, 멍에가 되다
산업화 시대가 열리면서 인천은 눈부시게 발전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공단이 들어섰으며 해상과 육상 교통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경인선은 서울지하철과 연결됐으며 인천 지하철 시대도 열렸다. 인천국제공항 개장으로 인천은 세계적인 도시의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그 그늘 또한 짙었다. 도시가 급격하게 팽창하면서 원도심의 공동화와 상권 붕괴가 현실화되었다. 원도심에 즐비한 근대 유산들은 개발의 발목을 잡았으며 국제무역항이던 인천내항의 기능도 급격히 쇠퇴, 도시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말았다.
균형을 잃은 도시 팽창, 원도심 부활과 인천내항 개발이라는 과제가 인천에 주어졌다.
■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노력들
원도심과 인천내항을 살리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졌다. 인천내항의 사일로에는 축구장 세 배가 넘는 세계 최대의 벽화가 그려져 기네스북에 올랐다. 40년간 화학 공장이었던 곳은 기존 시설물을 활용하여 카페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었으며, 인근 포구의 쇠락으로 고립됐던 항미단길은 주민들의 협력으로 새로운 문화거리로 재탄생했다. 그리고 민간주도 도시재생사업인 개항로프로젝트는 60여 개의 노포들과 협력하여 가장 모범적인 성과를 거둬 개항로를 젊은이들이 애써 찾는 핫플레이스로 변신시켰다.
이런 활동을 통해 도시재생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은 주민들의 동의와 협업 체계 구축이라는 사실을 다시 확인했다.
■ 제2의 개항, 제물포르네상스
원도심 재생과 인천내항 개발을 위해 인천시는 원대한 계획을 발표했다.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였다. 인천과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사례가 본보기가 됐다.
특히 인천내항 개발은 제물포르네상스의 핵심, 원만한 추진을 위해 인천시, 해양수산부, 인천항만청 등 관계 기관이 모여 협약식을 체결했다. 순조로운 인천내항 개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인천내항의 거대한 곡물창고가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 상상플랫폼은
제물포르네상스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 이를 축하하듯 그 광장에서는 3천여 명의 내외국인이 모여 맥강파티를 즐겼다.
치밀한 계획과 세대를 이어가는 열정으로 추진해 나갈 ‘제물포르네상스’. 제2의 개항으로 인천의 새로운 시간을 열어갈 것이다.
다큐ON [제2의 개항, 제물포르네상스] (2023년 8월 19일 방송)
#인천 #변화 #복합문화공간

Пікірлер: 29
@Leemmmsss
@Leemmmsss 9 ай бұрын
개발보다 중요 한건 주차장~~ 개발해도 주차가 어려우면 가는거 포기 주차가 편해야. 사람들이. 많이 방문함
@charlesl8657
@charlesl8657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지금 중구(신포동)는 관광객들의 주차문제로 기존 주거 주민들이 점점 살기 어려운 상가지역아닌 상가지역으로 바뀌고 있어요. 진짜 주차 문제입니다. 단속도 안하고 주말이면 길 전체가 주차장처럼 변합니다.
@charlesl8657
@charlesl8657 Ай бұрын
@@eriolnam5179 이 동네 주차상황이 어떤지나 알고 댓글을 다는 겁니까? 사람이 안오는게 아니고 너무 많이 와서 난리입니다.
@hoakinsjim9702
@hoakinsjim9702 8 ай бұрын
관광지로 개발할거면 10억 투자해서 14억은 남긴다는 마인드로 시에서 투자해야하는데. 10억 투자해서 2억 남긴하는 마인드로 계획을 짜니 투자가 아무도 안들어옵니다. 주민 없는 관광지는 빛 좋은 개살구 입니다. 행사도 그렇습니다. 원도심 행사는 A급 스타하나 안오는데 신도시 행사는 S급이 오니 동네 분위기가 바뀔리가 없죠. 인천시의 자랑이라고 하면서 투자받기 위해 신도시에 행사하는건 이해합니다만 균형발전은 더욱 멀어진다는걸 아시면 좋겠습니다. 내부의견만 받지 말고 외부지역 외국인들한테 피드백을 받고 국제관광지로 인정 받아야지 80년대 유원지식 관광지는 버려야합니다.
@hookk3283
@hookk3283 8 ай бұрын
34:41 깨알같이 쓰신 마계인천
@greenberry2023
@greenberry2023 2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뭐죠...? 왜 저리도 정확히 써져있지
@charlesl8657
@charlesl8657 2 ай бұрын
마계인천은 인천 비하하려고 쓴말인데 그게 좋은건지 여기저기 써대기는...
@jayj3371
@jayj3371 3 ай бұрын
80년초 까지만해도 인천은 동인천, 제물포 빼곤 갈때가 없었습니다. 인천사람들 가까운 섬에도 안갔었습니다.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섬에서 오면 유학 왔다 했었습니다. 지금 인천에 진짜 인천인들 30% 밖에 없고, 다 타지인 들입니다.
@Jessica-lt6rz
@Jessica-lt6rz 8 ай бұрын
연안부두도 70년대 시골 읍 같은곳 지금 시골보다 못한곳입니다 원도심만 개발할게 아니고 이런 역사가깊은 이런곳부터 개발하고 관광지로 가꾸어야 하지않을까요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5 ай бұрын
재개발 보니깐... 어차피 개발되면 쥐꼬리 보상금 받고 원주민은 쫏겨 나는게 수순이라. 뭐 어차피 팔사람들은 그래도 개발해야 팔고라도 떠날수 있으니 좋을지도.
@user-gv6ql8us8e
@user-gv6ql8us8e 18 күн бұрын
@hjoshua853
@hjoshua853 9 ай бұрын
인천은 관광사업으로 더 발전될수있는데도 진짜 투자한번 안하는거같음 월미도 가보세요 90년대 그대로임 디스코팡팡이 그나마 생명줄잡아줄뿐 한심함 동인천 신포동 상권 다 쓰러져가고 차이나타운이 그나마 주말에 밥먹여주는꼴이고 과감한 계획도 없고 투자도 없고 한심함
@deeb3865
@deeb3865 9 ай бұрын
90년대도 많이 봐주신거에요 70년대에요 타임머신 시티 입니다
@jiheelee3175
@jiheelee3175 9 ай бұрын
Good 단독주택이 좋아요
@user-bp3hb2pq2v
@user-bp3hb2pq2v 9 ай бұрын
왜 전부 영어로 발라놨지. 기가 막히네?????
@deeb3865
@deeb3865 9 ай бұрын
개발이고 나발이고 대기오염, 공장에서 내뿜는 악취, 발암물질하고 폐수나 잘 관리하길. 그리고 대불호텔 원형그대로가 아니고 새로 지은거임...
@junhopark1005
@junhopark1005 9 ай бұрын
유정복 홍보 방송 이었네. 인천 매립지 종료도 못하는 유정복.
@user-bf6eb1kp2p
@user-bf6eb1kp2p 5 ай бұрын
마계인천 이부망천은 교통이 해결되지 않는이상 발전은 없다 관광지 개발해봐야 누가가냐 멀어서
@letsgo2853
@letsgo2853 4 ай бұрын
인천을 보면 일본이 우리나라 근대화에 얼마나 공헌 했는지 알 수 있음. 서해는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배들이 육지 근처에 정박 할 수가 없었는데 일본이 현대식 도크를 조선 최초로 인천에 건설하여 대형 선박들이 자유롭게 인천항에 들어 올 수 있었고 물동량이 엄청나게 늘어나게 됨. 인천항을 통해서 해외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물품들을 서울과 연결하기 위해서 조선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을 만듬. 개항, 근대화는 사실항 일본이 시켜준것임.
@sungminnoh8230
@sungminnoh8230 4 ай бұрын
지들좋자고 착취하려고 개발한거지 우릴위해서 했겠냐?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기반시설 80프로는 다 아작났어 뭔 개같은소리를 지껄여놓음
@packpock
@packpock Ай бұрын
​​@@sungminnoh8230 미개한 소리 하지마. 초기엔 수탈해갈려고 철도 항만 건설했지만 중후기엔 일본 땅이라 생각해 내선일체 내세우며 일본과 똑같이 SOC 조온나게 투자했어. 이게 여타 제국주의 국가들, 식민지 국가들과 일본, 조선의 차이다. 그리고 전쟁 나도 만들어놓은 SOC가 초토화 된게 아냐. 다리를 예로 들면 상판 몇곳과 교각 몇개만 파괴되었으니 전후 금방 뚝딱 고쳐서 쓸 수가 있어. 다리 교각 전부가 파괴되었다면 새로 싹 만들어야하지만 교각이 살아남았으면 상판은 금방 고친다. 우크라이나가 크림 대교 교각을 파괴 못해서 단시간에 상판 다시 올리고 고쳤지. 😅
@user-hg7dj5bi2z
@user-hg7dj5bi2z 7 ай бұрын
부평 독립이 원인천이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길임. 부평, 계양구 합쳐서 부평시 만들고 나머지 인천끼리만 모여 집중을 해야함. 송도가 서울이 멀어서 발전을 못했나? 청라-인천-송도 말 그대로 원인천으로 나뉘지 않은 이상 동, 중구는 발전 할래야 할 수가 없다.
@user-hg7dj5bi2z
@user-hg7dj5bi2z 7 ай бұрын
그리고 현재의 공주시가 경부선이 대전에 생기기 전 공주시로 못돌아가기에 경주시 같이 컨셉을 잡고 도시계획을 하듯이 이제 동,중구도 욕심 좀 내려놓고 받아들일 건 받아들여야 함. 그래도 저 밑에 마산보단 훨 낫잖아?
@user-mi3sn9be4x
@user-mi3sn9be4x Ай бұрын
인천이 고향인 본인이 보는 입장은 아무리 저런식 으로 개발 하려는 자체가 잘 될 수가 없다는 것 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중 뭐든 가장 열악 한 가운데 재정 자체가 없으니 동화마을 차이나타운 이런거 해서 시작 했다지만 한계 일 뿐 저게 관광이 되고 사람을 모이게 만들겠냐 결국 돈이 안된다 왠만해서는 그냥 쉬라고 알려 주고 싶네요
@bluesking0209
@bluesking0209 7 ай бұрын
인천은 도로 때문에 안 됨.. 그냥 이 정도 선에서 멈추는게 최선이지 더 이상 발전할 수 가 없음 동서 방향 도로는 그래도 폭 넓은 도로가 간혹 있지만 남북 방향 도로는 대부분 왕복 2차로... 그런 상황에서 뭔 개발~ 인천은 절대 투자하지 말아라.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2 ай бұрын
남북방향 : 제1수도권 순환 고속도로, 제2수도권 순환 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인천-서인천구간, 중봉대로, 봉수대로, 서곶로, 부평대로, 장제로, 남동대로, 경원대로및 송도대로 등 남북방향 주요도로 대부분이 최소6차로~10차로인데 무슨소릴 하는건지...
@cheol2597
@cheol2597 6 ай бұрын
마계인천은 부천을 침공하여 영토를 확장하라!!!
@user-hs5ki4ko1h
@user-hs5ki4ko1h 26 күн бұрын
부천은 국내최고 인구밀집도시로 경기도의 대만이며..인천..중국은 부천대만을 침공하여 통일을 이룩한다
@littleshinshin1188
@littleshinshin1188 5 ай бұрын
마계인천 포장하느라 애쓴다 ㅋㅋㅋ진짜 😊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인천시 특집 다큐] 인천대로, 인천의 미래를 열다
46:14
NIB남인천방송
Рет қаралды 4,7 М.
12 июня 2024 г.
1:01
Dragon Нургелды 🐉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Why didn’t Nika like my long and beautiful nails? #cat #cats
0:25
Princess Nika cat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The abandoned kittens finally found someone to love them, but... #cat #catlovers #ai #aiart #story
0:59
Meow Mow Cat Story 喵毛貓咪故事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