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쌤] 한국인 90%가 틀린다는 그 문제

  Рет қаралды 2,209,295

빠더너스 BDNS

빠더너스 BDNS

2 жыл бұрын

#문쌤 #문제풀이
[문제]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실제 오늘은? (제한시간 20초)
1) 수
2) 목
3) 금
4) 일
Instagram @bdnspresents

Пікірлер: 3 400
@user-ry9qj5lt5n
@user-ry9qj5lt5n 2 жыл бұрын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쉽게 설명해줌. 답이 일요일-> "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답이 수요일-> "어제가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어제를 바꾸느냐 내일을 바꾸느냐의 차이임.
@minsuksir.2850
@minsuksir.2850 2 жыл бұрын
오 명쾌한설명
@ydstudio_official
@ydstudio_official 2 жыл бұрын
근데 주말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성향, 문맥 상 일요일 쪽이 좀 더 자연스럽지 않나 싶네용
@뚜이
@뚜이 2 жыл бұрын
일욜이네 하고 클릭하니 답이 수욜도 있었네요ㅋ
@user-lm6cw6lj9z
@user-lm6cw6lj9z 2 жыл бұрын
근데 문제에서 구하라는건 어제가 내일이 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내일이 어제가 되는 경우인 수요일은 답이 되지 못하는거 아닌가요? 만약 수요일이 정답이라 하면, 어제가 화요일이고 내일이 목요일이니 화요일이 내일이 되면 금요일이 아닌 월요일이니까용.. “어제=내일” 이 아닌 “어제->내일”로 푸는게 더 문제에 적합하지 않나 싶네요
@Flamboiiii
@Flamboiiii 2 жыл бұрын
@@user-ry9qj5lt5n 그런데 수요일을 저 문장에 대입하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가 안 나와요. 오늘이 수요일이면 어제는 화요일이고,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라면 그럼 오늘은 금요일일텐데- 아니라 월요일텐데- 가 되어버림. “어제가 x요일이었으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가 문제가 아니고 (이 경우면 어제=목요일, 오늘=수요일이 정답이겠지만)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가 문제잖아요. 수요일을 답으로 만들기 위해서 문제 자체를 바꿔버리면 어떡함.
@skynolimit2467
@skynolimit2467 2 жыл бұрын
와 픠바 빠더너스 50만 넘 축하해요~ 볼수록 빠져드는 문상훈 ㅠㅠㅠㅠ 넘 좋아유~~ 친구들에게도 신나게 전파중인데 군대도 안 갔다온 저에게 군대 간접 경험 시켜준 문이병부터 이과인에 지리 듣게 하는 지리는 문쌤까지~~계속 빠며듭니다 100만까지 ㄱㄱㄱ
@nanooo5388
@nanooo5388 2 жыл бұрын
깐디깐디~!
@immigrationhyuk
@immigrationhyuk Жыл бұрын
준영이 설명하느라 칠판 더러워진거 진짜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ㅌ
@oxict4827
@oxict4827 Жыл бұрын
준영이는 맨날 남아 ㅋㅋ
@hisfan0366
@hisfan0366 Жыл бұрын
뒷부분이 진짜 현실 반영ㅎ 얼마전에 영화보다가 문쌤 나오더라고요. 은근 반가워했네요.ㅎㅎ
@user-rw9on7cq8u
@user-rw9on7cq8u 2 жыл бұрын
3:30 그래도 끝까지 설명해주시는 문쌤ㅠ
@wavydks
@wavydks 2 жыл бұрын
50만 추카해요~~ 빠더너스만의 웃음방향성이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화이팅!!
@leuni1808
@leuni1808 Жыл бұрын
준영이 설명해주느라 머리 까치집된거 개웃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y8ox9kl3g
@user-py8ox9kl3g 7 ай бұрын
도대체 저게뭔 개소리인가 싶네
@luvstagram
@luvstagram Жыл бұрын
답이 2개라 하는데 정확한 답은 일요일이 맞을듯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는 말은 지난날을 회상하며 지난날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말하는거 같은데 그럼 제시에서 말한금요일은 오늘 일요일보다 과거가 되서 답이 맞는데 답이 수요일은 경우는 어제인 과거를 말하며 오지도 않은 미래인 금요일을 말하는건 말에 문맥상 맞지 않은거 같음
@joy3938
@joy3938 4 ай бұрын
생일이나 애인과 데이트한날, 또는 크리스마스일 수도 있기 때문에 꼭 그렇다고 볼 수도 없네요 ㅋ
@user-vm7od4yu5j
@user-vm7od4yu5j 4 ай бұрын
말도 안되는 소리를 빨리만 하시고 계신듯..수요일이 답이 될려면 내일이 어제였으면 좋겠다가 문제가 되어야 합니다. 문제 문항에서 첫 어제에는 현재사실이 들어가야 합니다. 내일은 허구이구요 내가 재벌이었음 좋겠다. 여친이 소피마르소 김사랑이었으면 좋겠다. 내가 와 여친은 실제 나와 여친인듯. 답이 수요일로 가정하면 어제에는 화요일을 대입해야 합니다. 수요일은 오류발상입니다.
@user-ef6md6bs4x
@user-ef6md6bs4x 4 ай бұрын
@@joy3938? 수요일은 문맥상 안 맞다는데 데이트날이랑 크리스마스가 왜 나옴
@handlela
@handlela Ай бұрын
공인단체에서 답 두개라고 피드백해주면 좀 알아들어라 좀
@Sea_Blood
@Sea_Blood Ай бұрын
답두개가 말이안됨 이분말이 맞음 수요일이 답이면 내일이 어제였음 좋겠다로해야 맞는거지 ㅋㅋ 개억지 수욜
@meloneas
@meloneas 2 жыл бұрын
3:14 진짜 맞는 말이라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OMDOLLS2
@GOMDOLLS2 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일요일이지 하고 들어왔다가 문쌤 강의 듣고 예정에 없던 혼란에 빠져버림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fw6oo7kh5c
@user-fw6oo7kh5c 2 жыл бұрын
왜 일요일이죠...?
@aasap9287
@aasap9287 2 жыл бұрын
@@user-fw6oo7kh5c 오늘이 일욜 어제가 토욜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 토욜이 내일이었으면 낼이 토욜이면 오늘이 금욜
@watchbug5252
@watchbug5252 2 жыл бұрын
@@user-fw6oo7kh5c 어제가 내일이면, 오늘이 금요일=그저께가 금요일=오늘 일요일
@user-is9uq5gd1u
@user-is9uq5gd1u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ㅋ
@HJP0508
@HJP0508 2 жыл бұрын
ㄹㅇ 당연히 일요일이지 하고 들어왔다가 수요일도 말이 되는거 보고 신기하네요
@jykim4921
@jykim4921 Жыл бұрын
겁나 피터지게 설명 후 화요일이 답일 수는 없어 오열ㅡㅋㅋ 준영아 너는 모든 쌤들의 고통이구나
@user-vy9ur8om6f
@user-vy9ur8om6f Жыл бұрын
준영이 설명해줄때 겁나 재밌었네요 잘보고갑니다~
@hyeblossom1721
@hyeblossom1721 2 жыл бұрын
항상 문일병 포함해서 여러 시리즈들 보면서 가끔 킹받지만 재밌어하는 나를 보며 왜 구독자가 별로 없을까,, 의아해 했는데 드뎌 50만이네유 😭💛 드뎌 많은 사람들이 알아주기 시작했다 희희,, 50만 축하드리고 앞으로도 지금처럼 꾸준히 재밌는 영상 많이 올려주세오 👏🏻 백만 가쟈아아 -
@tkqkdl16
@tkqkdl16 2 жыл бұрын
진지하게 대본짰을 빠더너스 작가들 편집자들 소소한 연기임에도 메소드 연기하고 촬영한 빠더너스들 감사해요👏👏👏잔잔한 연기일줄알았는데 뒤에서 반전>< 50만 넘어서 저도 기뻐요🙂
@Valerian-1000
@Valerian-1000 2 жыл бұрын
영상 댓글에 적은거 복붙 했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면 수요일이 답이 될수는 절대로 없습니다. 🟥👉 야 나대지마라 👈🟥 1:20 오늘을 왜 금요일로 치냐고❗️ 니 말대로 오늘을 금요일로 치면 수요일이 나와 그건 맞아 근데 왜 오늘을 금요일로 치냐고 그 근거가 뭐냐고 문제의 문장 속에서 어떤 부분을 보고 하는말인데 말해봐 너 같은게 누굴 가르칠 수준이 되냐?
@gohome12
@gohome12 Жыл бұрын
A=B,B=A A=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B=그럼 오늘은 금요일일텐데 1.일요일인경우 A.토요일이 내일이면 좋겠다. B.그럼 오늘은 금요일이다. A=B 맞는말 토요일은 내일이다 오늘은 금요일이다. B=A 맞는말 오늘은 금요일이다 토요일이 내일이면 2.수요일인경우 A.화요일이 내일이면 좋겠다. B.그럼 오늘은 금요일이다. A =× B 화요일이 내일이면 오늘은 금요일이다 (오늘은 금요일이 아니라 월요일이라고 해야한다) B =x A 오늘은 금요일이다 화요일이 내일이라면 (화요일이 내일이라면 오늘은 월요일이다 수요일을 대입하면 오늘은 금요일이면서 수요일도 되버린다. 어떻게 오늘은 금요일이고 수요일인가? 정녕 그대는 연금술사인가?) 여기서 수요일 정답이라는애들 오늘이 금요일 이라면 내일이 목요일이어야 하니깐 목요일의 어제인 오늘은 수요일이겠네? 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거기서 지 스스로 문제를 바꿔서 푼 비u응신이고 B=A 개억지로 맞다고 해도 A=B 성립이 안되므로 수요일은 답이 될 수 없음
@231ent
@231ent Жыл бұрын
와 70만
@rams8758
@rams8758 Жыл бұрын
98.4만
@user-wo1dr1sh9n
@user-wo1dr1sh9n Жыл бұрын
차분하게 보고 있다가… 갑자기 칠판 개판된거 보고 빵터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5oon9yu
@5oon9yu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멍하니 보다가 화요일일수는 없어!!!!!!!! 에서 빵터졌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_muse
@A_muse 2 жыл бұрын
쌤 덕분에 내일이 어제인 것처럼 알차게 보냈어요~~!!! 매일매일 이러면 오늘도 늘 어제처럼 살 수 있을 것 같아요 : )
@user-xk9go8ok5h
@user-xk9go8ok5h 2 жыл бұрын
ㅇ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알고리즘 뜰 때마다 진짜 인강쌤이신줄 알고 와 한국지리 이 쌤한테 배우면 재밌겠다 하고 찾아보려 했는데 꽁트였군요ㅋㅋㅋㅋㅠㅠㅠ 연기 너무 잘하세요… ㄹㅇ 하이퍼리얼리즘
@user-kz9iu8cd4l
@user-kz9iu8cd4l Жыл бұрын
엥 이 시리즈만 알고리즘떠서 되게 재밌는 인강강사분이네 나때도 이런분 있었음 좋았겠다~ 이러고 있었는데 컨셉이었구나..ㅋㅋ
@user-vz2jg6vw8b
@user-vz2jg6vw8b Жыл бұрын
@@user-ov3ro6ih6k 인강쌤이 이정도밖에 안되면 그건 큰 문제 아닌가요
@user-ro3xl5oj1e
@user-ro3xl5oj1e Жыл бұрын
'A가 B다' 라는 문장을 우리가 받아들일 때 A가 B로 '등치'되어서 'B가 B다' 라는 의미가 될 수도 있고 B에 A라는 '지위를 부여'해서 'A가 A다' 라는 의미도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기 강아지를 데리고 지나가는 대머리 아저씨'가 '우리 아버지'다. 라는 문장에서 '우리 아버지'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으로 받아들일지 '저기 강아지를 데리고 지나가는 대머리 아저씨'가 '우리 아버지'라고 말하는 문장으로 받아들일지 정도로 이해하면 어떨까 합니다. (적고 보니 설명이 더 헷갈리네요) 즉 '어제'가 '내일'이라면은 '어제' , '오늘' , '내일'이 '내일' , '모레' , '모레의 내일'이 될 수도 있고 '그제의 어제' , '그제' , '어제'가 될 수도 있어서 오늘은 '모레'도 '그제'도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금요일의 모레'인 '일요일' '금요일의 그제'인 '수요일'도 되지요.
@KaInt02
@KaInt02 Жыл бұрын
일요일 나왔는데 수요일도 되네 ㅋㅋㅋㅋㅋㅋ쌤 되게 쉽게 설명해주신다
@user-ys9nz4ee1k
@user-ys9nz4ee1k 2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개웃겨 ㅋㅋㅋㅋㅋ 진짜 인강쌤같다 ㅋㅋㅋ 다음엔 올림픽 해설위원 해주시면 안돼용? ㅋㅋㅋㅋㅋ 개잘할듯
@Zoe-ly7rs
@Zoe-ly7rs 2 жыл бұрын
문댱훈 50만 축하해용 앞으로도 영상 많이 만들어줘요!!
@user-ic9xq1lw6l
@user-ic9xq1lw6l Жыл бұрын
그냥 식 하나를 만들어 보면 쉬움 실제 오늘을 n으로 놓고, 문제에서 말하는 어제는 n-1, 내일은 n+1로 놓았을 때 '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이므로 식으로 쓰면 'n-1이 n+1 이었으면 좋겠다'가 됨. 이때 n-1이 n+1의 자리를 차지했기 때문에 원래 n+1 뒤에 있던 n의 위치가 n-1 뒤에 있게 되므로 그 자리에는 n이 아닌 n-2가 오게 됨. 이때 금요일은 '가상의 오늘'이지만 '어제가 내일이 된 상황'에서는 '실제 오늘' 이므로 기존의 n의 자리에 오게 되는데 기존의 n의 자리는 n-2로 대치되었기 때문에 금요일이 n-2가 됨. 그러므로 '실제 오늘'인 n을 구하기 위해서는 '가상의 오늘'인 n-2에 2를 더하면 되므로 "n-2=금요일, 금요일+2는 일요일, 그러므로 n=일요일" 이라는 답이 나오게 됨. 만약 "n=수요일"이라는 답을 얻고 싶다면 '내일이 어제 였으면 좋겠다' 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n+1이 n-1 이었으면 좋겠다'가 됨 이 경우는 아까와 반대로 n+1이 n-1이 있던 자리로 가는 것임. 아까와 같은 풀이과정을 통해 "n+2=금요일, 금요일-2는 수요일, n=수요일"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됨. 그러므로 일요일과 수요일 모두가 하나의 문제에 대한 답일 수는 없음. (두 가지 답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문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question7823
@question7823 2 ай бұрын
쉽다더니 더 어렵게 설명
@user-ic9xq1lw6l
@user-ic9xq1lw6l 2 ай бұрын
@@question7823 문제 자체를 쉽게 설명하는 것보다는 문제의 구조에 대해 다루다 보니 조금 길어졌네요.
@ddurudduNARONG
@ddurudduNARONG Жыл бұрын
준영이 말이 맞을 수 있지 ㅋㅋㅋㅋㅋㅋ 앞에 문제 싹다 무시하고 뒤에만 보면 오늘은 무슨 요일일까?에 실제 오늘 요일을 말하는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건 생각도 못했네 ㅋㅋㅋㅋㅋ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는 준영이 ㅋㅋㅋㅋ
@user-qo7ii5bi6d
@user-qo7ii5bi6d 2 жыл бұрын
빠더너스 오십만 추카해욥!!!!숨길 순 없는 건 사랑 재채기 그리고 문상훈의 매력~ ❤️🎉
@syk3103
@syk3103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재밌는 유튜버가 50만이라니... 주변에 계속 홍보는 하지만 더 유명해졌으면 좋겠다 화이팅!!
@ye_picture
@ye_picture Жыл бұрын
이걸 왜 이제야 봤는지 모르겠지만 일 년 전 올라온 영상 덕분에 저희 집에서는 오늘 12시부터 새벽 3시 30분까지 열띤 토론의 장이 열렸습니다. 일요일과 수요일의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치열한 공방은 마치 모든 것을 뚫는 창과 모든 것을 막는 방패의 대립과 같았습니다. 덕분에 잊지못할 값진 경험 얻어갑니다. 새벽 4시가 넘은 지금 어머니는 오늘 즐거웠다고 하셨고 저는 슬프고 또 너무 기뻐서 많은 눈물을 흘렸지만 참 유익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실지는 모르겠지만 꼭 감사의 글을 넘기고 싶어 평소 달아본 적 거의 없는 댓글을 남깁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No_Channel
@No_Channel Жыл бұрын
수요일이 답이 아닌 이유 오늘이 금요일이길 바라고 잇음 -> 오늘은 금요일이 아니라는걸 문제에서부터 알 수 있는데 오늘을 금요일이라고 가정하고 문제를 해결함
@단근
@단근 Жыл бұрын
ㄹㅇ 뒷문장을 먼저말한거 아니고서야 금요일이라고 가정하는게 웃김
@sinlulusiera2843
@sinlulusiera2843 Жыл бұрын
왜 금요일이라는 가정을 한다는게 이상하다는건지... 실제 오늘을 찾기위해 역산을 하는거죠. 나는 X X + 1 + 1 = 3 나는 X를 구해야되. 그럼 나를 3이라고 가정하고. 3 - 1 - 1 = 1 아 X는 1이구나. 다만 원문장에서 복수정답이 나오는이유는 +1 +1 > 어제가 내일이라면. 이렇게 대체 되는부분인데 수식처럼 +1로 확정된게 아니라 어제가 내일의 요일이라면 어제의 요일이 내일이라면 이렇게 두개의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1이 -1로 변환되는거죠. 그냥 쭉 읽으면 어제의 요일이 내일이라면
@user-ij7xg9fw1h
@user-ij7xg9fw1h Жыл бұрын
@@sinlulusiera2843 이거지
@user-gv4yl5ji7w
@user-gv4yl5ji7w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수업중에 가장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bdns_wiki
@bdns_wiki 2 жыл бұрын
오늘 문쌤 오랜만에 잔잔하고 소소하고 귀엽다 ㅎㅎ
@carom_bear
@carom_bear 6 ай бұрын
문장에서 아쉬움이 느껴지니 백퍼 오늘은 출근을 앞둔 일욜밤이다
@user-wd6fj4qb5z
@user-wd6fj4qb5z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준영이 같은 애가 꼭 한명씩은 있었죠......ㅋㅋㅋㅋㅋㅋ
@lensreviewer
@lensreviewer 2 жыл бұрын
우왕문쌤 언능 브이로그도 찍어주세여 문상 기자도 기다리고 있어요ㅎㅎㅎㅎㅎ 너무 좋아여 구독자 500만까지 가즈아
@tkqkdl16
@tkqkdl16 2 жыл бұрын
홈비됴😀
@97BJ
@97BJ 2 жыл бұрын
3:22 방심하다 빵터져서 계속돌려봄 ㅋㅋ
@user-os8zv9kq2j
@user-os8zv9kq2j Жыл бұрын
일상 생활에선 기준이 되는 명확한 오늘이 있기에 일요일이 답이 되겠지만, 이 문제에선 그 기준이 없음. (어제=실제 어제라는 보장이 없다는거임. 물론 문장이 이상해지겠지만) 그러니 수요일과 일요일로 갈려버리는거임. 만약 '어제가 내일이었으면'을 '실제 어제가 내일이었으면'으로 기준을 명확하게 해주면 답은 일요일로 고정됨.
@SH_ONE1020
@SH_ONE1020 Жыл бұрын
정답!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문제에서 '어제'라는 말 앞에 실제라는 말을 붙여줬다면 논란이 없었을 것임. 다만, '어제'라는 말을 '실제 어제'로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봤기 때문에, 좀만 생각해보면 그다지 크게 논란될만한 문제까진 아니라고 봅니다.
@user-hf5qs1fu6q
@user-hf5qs1fu6q Жыл бұрын
답 안갈리고 일요일일거라 생각했는데 수요일 해석도 말이 되네요 잘 배워갑니다
@user-jj9eg6cs2m
@user-jj9eg6cs2m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개웃기다ㅋㅋㅋㅋㅋㅋ 이형은 천재다
@CutyDonLee
@CutyDonLee 2 жыл бұрын
나 예전에 물리문제 하나 갖고 선생님이랑 저런적 있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걸 보니 선생님 너무 감사하네 ㅋㅋㅋㅋㅋ
@wolyoung
@wolyoung Жыл бұрын
수요일이 답인 경우에 대체 왜 문장 순서를 바꾸는건지 설명해주실분!! 있는 그대로 순서대로 하면되는데 왜 금요일을 앞으로 끌어와서 생각하는건지 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가요
@user-vp9mt9ds4s
@user-vp9mt9ds4s Жыл бұрын
토,일을 고정적으로 쉬는 근로자 기준 답이 수요일 현재 일하는 중... 빨리 휴일이 시작했으면 하는 마음 답이 일요일 현재 휴일 마지막인 일요일... 출근하기 싫은 마음 전 이 문제를 풀때 이런 생각이 들었네요.
@user-ld8cn5ee7r
@user-ld8cn5ee7r 2 жыл бұрын
오십만 축하해요 똑또~!❤️❤️❤️❤️❤️❤️❤️ 빠더너스 구독 좀 해라! 제발~~~~~~~~~~~ 소리치던 게 엊그제 같은데 ㅠㅠ 빠더너스 완전 애정해요 영상 뜨면 바로 볼 정도로 재밌어요,, 건강하게 오래오래 봐요!
@sifanikalsa9790
@sifanikalsa9790 2 жыл бұрын
𝐒𝐩𝐞𝐜𝐢𝐚𝐥 𝐥𝐨𝐯𝐞 𝐜𝐨𝐧𝐭𝐞𝐧𝐭 𝐨𝐯𝐞𝐫 ❶❽ 𝐲𝐞𝐚𝐫𝐬 𝐨𝐥𝐝 Exclusive for *nude-datting.online* He's the person I love, he's my light day. The way the music flows and sounds is extravagant and fun. Girls is icon, legend, beautiful girl, princess, inspiration, a star. I could go on and on, understand this. I love NBA Girls.#垃圾
@dayeeeanny
@dayeeeanny 2 жыл бұрын
문일병쌤 50만 축하합니다 ❤️
@shk2826
@shk2826 Жыл бұрын
이게 답이 두 갠지 지금 알았네 ㅋㅋㅋ 오 수능은 한참 전에 봤지만 이 선생님 재밌네
@user-id2pb7tg1o
@user-id2pb7tg1o 7 ай бұрын
수학+코딩 느낌으로 해석하니 이제 이해되네요 1) 오늘이 수요일인 경우 오늘: 수 내일: 목 어제: x (변수) “어제(x)가 {목요일}이었으면좋겠다” = x에 {목요일} 대입 -> 어제가 목요일이면, 오늘은 금요일이 된다. 2) 오늘이 일요일인 경우 오늘: 일 어제: 토 내일: x (변수) “{토요일}이 내일(x)이었으면 좋겠다.” = x에 {토요일} 대입 -> 내일이 토요일이면, 오늘은 금요일이 된다.
@terrychong
@terrychong 2 жыл бұрын
그냥 단순하게 문맥 그대로 해석했을땐 바로 일요일 나왔었는데 해석 듣고보니 수요일도 가능하단 쌤의 말씀에 감탄이 크으~~~~
@user-lp7ez1lw4w
@user-lp7ez1lw4w 2 жыл бұрын
A 가 B 였으면 좋겠다 A=1,B=2 일때 A가 2가되는게 좋은거지 B가 1이 되는게 좋은게 아닙니다
@Valerian-1000
@Valerian-1000 2 жыл бұрын
영상 댓글에 적은거 복붙 했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면 수요일이 답이 될수는 절대로 없습니다. 🟥👉 야 나대지마라 👈🟥 1:20 오늘을 왜 금요일로 치냐고❗️ 니 말대로 오늘을 금요일로 치면 수요일이 나와 그건 맞아 근데 왜 오늘을 금요일로 치냐고 그 근거가 뭐냐고 문제의 문장 속에서 어떤 부분을 보고 하는말인데 말해봐 너 같은게 누굴 가르칠 수준이 되냐?
@thsqls
@thsqls Жыл бұрын
@@Valerian-1000 오늘을 금요일로 친 이유는 문제에서 오늘이 금요일이였으면 좋겠다고 했으니까 그렇죠
@Valerian-1000
@Valerian-1000 Жыл бұрын
@@thsqls 금요일이였으면 좋겠다는건 금요일이 아니라는거죠 생각을 해보세요 ㅋㅋㅋㅋㅋㅋ 그냥 문제자체를 마음대로 바꿔서 나온 답이 정답이라고 하는게 말도 안되고요.
@gohome12
@gohome12 Жыл бұрын
@@user-lp7ez1lw4w 1 = 2가 아닙니다
@gyaleuck
@gyaleuck 2 жыл бұрын
오 문상훈~ 구독자수 개커~ 50만 ㅊㅋㅊㅋ 내 밥친구니까 저 밥 못먹게 될때까지 계속계속 영상 만들어주세요
@Teemo_Buff
@Teemo_Buff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다닐때 맨날 혼자서 생각했던 말이라 굳이 안따져도 이거 일요일이네라고 바로 앎ㅋㅋ
@geobugi-
@geobugi- Жыл бұрын
준영이한테 설명들이 있었길레 칠판 상태가ㅋㅋㅋㅋㅋㅋ
@user-jz8iq4qk2r
@user-jz8iq4qk2r 2 жыл бұрын
0:04 쌤은 왜이렇게 오늘 서울스러우세요?
@gozziho
@gozziho 2 жыл бұрын
아 스토리가 맨날맨날 기발해ㅋㅋㅋㅋ 대단한 문쌤
@Mokyu_K
@Mokyu_K 8 ай бұрын
아무생각 없이 수요일 생각하고 영상 트는데, 재생 직전에 잏툐일인가? 했습니닼ㅋㅋㅋ
@user-uz8bq9jf6u
@user-uz8bq9jf6u 9 ай бұрын
수요일 밖에 답이 안되는데라고 생각했다가 고정댓글 보고 이해했다.. 좀더 길게 풀어 설명하면 (오늘이 수요일) : 아 어제(화요일)가 내일(목요일)이었다면(어제가 화요일이 아닌 목요일이 되고)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오늘이 일요일) : 아 어제(토요일)가 내일(월요일)이었다면(토요일이었던 어제가, 타임머신으로 내가 과거로 돌아가서 토요일이 내일로 바뀌면) 오늘이 금요일이었을텐데 미래형은 빨리 금요일이 왔으면 좋겠다는 느낌 과거형은 지나간 주말을 다시 맞이하고 싶다는 느낌
@user-cz4th2up5p
@user-cz4th2up5p 2 жыл бұрын
사실 주어진 문장 자체가 흠이 있지 않나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사실 두 번째 문장이 있어서 이해는 하고, 통사론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지만 저 첫 문장은 오롯이 뜻을 담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함. 해석에 있어서는 발화시인 “현재”가 어디에 걸리느냐가 중요하다 1) 일요일론 어제(오늘의 전날, 즉 토요일)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2) 수요일론 어제가 내일(오늘의 다음날, 즉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언어의 경제성을 생각해 과하게 생략해 버려서 의미론적으로 모호한 상황이 된 듯함.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일요일론의 손을 드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이 문장의 발화 시점이 현재이고 “어제”라는 단어가 발화 상 먼저 주어지기에 현재라는 기준점이 “내일”보다는 “어제”에 걸리는 게 자연스럽다는 생각… 현재라는 기준점이 뒤에 있는 “내일”에 걸리게 해석할 이유가 딱히 없달까… 틀렸다고 하기엔 그렇지만 굳이 그렇게 해석을…? 이라는 느낌입니다. 이상 뉴비 언어학도의 단상이었슴니다
@Gorany_1
@Gorany_1 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거같아요. 뒷문장을 보고도 수요일은 진짜 굳이 그렇게 해석을 하는사람들이 있다고? 싶음.. 수요일로 해석하기엔 단어 순서를 바꿔 '내일이 어제였으면 좋겠다' 라고 말하는 쪽이 자연스러움
@user-ju7od4my7n
@user-ju7od4my7n 2 жыл бұрын
둘다 답이 되는 상황에서 다들 주말이 지나가서 과거로 되돌리고 싶다라는 의견이 많으신데.. 수요일에 지겨워서 불금이 빨리 왔으면 하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여?ㅋㅋ 한글의 위대함이야기 할 때 이런거 안 따졌잖아요. 한글이 위대한거 아니? 아니? 한글이 위대한거 위대한거 아니? 한글이...... 복수정답 인정이지.
@IAMRHYME711
@IAMRHYME711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애초에 문제 지문 자체가 엉성해 보이네요
@user-ed2iw1pc5k
@user-ed2iw1pc5k 2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너무 웃기네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환불 해 줄테니 오지말라는거 킬포다ㅋㅋㅋㅋㅋㅋㅋ
@hyeokkk4191
@hyeokkk4191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문쌤 애독자는 아니지만 시간날 때 유튜버님의 영상을 간간히 챙겨보는 사람입니다. Q. 수요일을 문제의 가정에 대입합니다. 수요일의 어제가 내일, 즉 화요일이 내일이므로 오늘은 월요일이 되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의 가정이 성립될 수 없음. '오늘은 금요일일 텐데' 기준으로 하면 수요일이 정답이 될 수 있으나 이렇게 계산하게 된다면 실제 요일은 수요일과 금요일 두 개가 되어버립니다. 즉, '오늘은 금요일일 텐데'의 가정이 있다는 것은 실제 오늘은 금요일이 될 수 없는 사실로 금요일을 기준으로 생각한다면 문제의 오류가 아닌 정답 풀이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라는 가정이 있는 상황에서 오늘은 금요일이 아니라는 전제가 들어가야 하기에 1번을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금요일 기준의 어제는 목요일이 맞고 목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라는 말은 오늘은 수요일이다 라는게 맞지만, 그렇다면 수요일이 답일 경우 문제에서의 '오늘'은 수요일과 금요일이 되는 것으로 답이 될 수 없다 생각이 되네요..(가정의 금요일이 실제 요일로 되어버리는 아이러니한 상황) 쉽게 설명하자면 답을 수요일로 가정하고 다시 문제풀이를 해보면,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는 수요일 기준의 어제는 화요일입니다. 화요일이 내일이 될 경우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의 가정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반면 답이 일요일일 경우 문제의 내용이 모든 것이 일치합니다. 일요일 기준의 어제는 토요일이고 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한다는 오늘이 금요일인 것이 되겠죠, 그렇다면 실제 요일도 두 가지로 나오지 않고 제일 깔끔한 답이지 않을까요? 즉,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문제의 답이 나왔다면 문제에서 가정해놓은 가정 값들에 대입했을 때도 문제가 없어야 정답이지만, 수요일을 가정에 대입했을 때는 절대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라는 가정이 성립될 수 없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user-sg3yk3rq7g
@user-sg3yk3rq7g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이랑 똑같네요 왜 이 댓글이 없는지 계속 찾고 있었네
@eyTns
@eyTns Жыл бұрын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에서 대입을 할때 '어제'자리에만 대입이 가능한것이 아닙니다. '내일'자리에도 대입이 가능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그렇다고 했었는데 정확한 출처는 못찾겠네요) 적어주신대로 '어제' 자리에 대입한다고 하면 오늘은 일요일이 맞습니다. ['일요일하루전' 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라고 했을때 오늘은 금요일이 되니까요. 그런데 '내일'자리에 대입한다면 오늘은 수요일이 맞습니다. [어제가 '수요일다음날' 이었으면 좋겠다.] 라고하면 오늘은 금요일이에요.
@hyeokkk4191
@hyeokkk4191 Жыл бұрын
@됴쑨 마지막에 말씀드린 내용처럼 가정해놓은 가정 값들에 대입했을 때에도 문제가 없어야하는데 논리적 오류가 발생함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A+B=C라면, A=C-B, B=C-A 와 같이 오류 검토 시에도(어느 곳에 대입하더라도) 문제가 없어야하는게 정답이라고 할 수 있겠죠 논쟁을 하고자 댓들을 남긴 것이 아니라, 지난 22년 11월 27일 경 국립국어원 문의한 결과 11월 30일 답변을 받아 위와 같이 모호하게 해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답변이 어렵다는 회신을 받았습니다. 즉, 좋은 문제가 아니라는 이야기겠죠,,, 길고 지루한 댓글이었을텐데 관심 감사드립니다. 웃음 가득한 하루되세요 :)
@owhale
@owhale Жыл бұрын
문쌤 설명하면서 “오늘이 금요일이었음 좋겠다 그럼 어제가 내일일 텐데” 이렇게 앞뒤를 바꾸는 것부터가 문제에요
@owhale
@owhale Жыл бұрын
(금요일의) 어제가 (수요일의) 내일 (일요일의) 어제가 (금요일의) 내일 국립국어원 해석을 보지는 않았지만 둘 다 된다는 건데 지문은 아무리봐도 오늘이 금요일이라는 가정을 깔고 들어가는 게 아니어서 전자는 어색함
@user-im2xn3lq6t
@user-im2xn3lq6t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뭔가 귀에 쏙쏙 들어오네 ㅋㅋㅋㅋㅋㅋㅋ
@ksj2684
@ksj2684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급발진 개웃겨ㅋㅋㅋㅋ
@user-up1rq7tp6y
@user-up1rq7tp6y 2 жыл бұрын
0:56 딴 데 보다가 학생들 슬쩍 보고 됐어? 하는 거 현실 고증 미쳤다ㅋㅋㅋㅋㅋ ㄹㅇ 빵터졌네
@user-st3yz4zz7p
@user-st3yz4zz7p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 고개 숙이고 책 보고있다가 고개 들고 주변 살피면서 애들한테 됐냐고 물어보는거 ㅋㅋㅋ
@user-bp8dx3ql3w
@user-bp8dx3ql3w Жыл бұрын
일요일일경우, 어제가 내일이었음 좋겠다 = 토요일이 내일이었음 좋겠다. 수요일일경우, 내일이 어제였음 좋겠다 = 목요일인 내일이 어제였음 좋겠다. 어순이 바뀌면 더 자연스러운디.. 굳이
@HQKAI
@HQKAI 4 ай бұрын
답이 수요일이 될 수는 없지요.. 이 말을 하는 사람의 현재 시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말을 하는 사람의 현재의 시간(요일)에서 볼때에.. 어제가 내일이면 좋겠다.. 그렇게 된다면 오늘이 금요일이 될텐데.. 라는얘기 입니다. 다시말해 답이 수요일이라면.. 저 이야기를 하는 수요일날 당사자 입장에서의 어제는 화요일이 되는거고.. 화요일이 내일이면 좋겠다는 이야기가 되므로..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라는 말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말하는 시점을 생각하고 답을 생각해야하는데.. 말하는 현재의 시간은 빼버리고.. 오늘이 금요일이면 좋겠다고 했으니 금요일의 어제면 목요일이고..목요일이 내일이 되려면 오늘이 수요일이 된다..그래서 수요일이 정답이다 라고 말하는것은 말이 안됩니다. 현실의 시간과 가정하의 시간을 섞어버린거죠.. 다시말해.. '어제가 내일이 된다면' 이라는 '만약'이란 가정하의 결과물로서 '오늘이 금요일' 이 되는 것이므로 당연히 그 가정을 하고있는 현재는 금요일이 아니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그 말을하는 실제의 오늘이 무슨요일인지..즉 그 말을하는 현재의 시점의 요일을 알아보는것인데.. 뜬금없이 앞선 가정의 결과물인 금요일을 가져와서 금요일의 어제는 목요일이니까 목요일이 내일이되려면..수요일이 정답이다..라는건 이미 말을하는 오늘이 금요일이라고 해놓고.. 금요일의 어제인 목요일이 내일이 되려면 오늘은 수요일이다 라는 현재와 가정이 뒤섞인 금요일=수요일이 되는 말도안되는 답이 되어버리는 것이지요..
@user-ni9xn5vk4p
@user-ni9xn5vk4p 2 жыл бұрын
아 이번편 진짜 웃기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b1up9jy7r
@user-nb1up9jy7r 2 жыл бұрын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하는 시점은 '실제 오늘'이기 때문에 가상의 '오늘이 금요일일텐데'에서 오늘을 금요일로 놓고 문제를 푸는 첫 번째 가정은 틀린게 아닐까요? 답은 일요일입니다
@user-gj3sx7mf5b
@user-gj3sx7mf5b 2 жыл бұрын
저랑 정확하게 같게 생각하시네요.
@user-kh6kp3lc3z
@user-kh6kp3lc3z 2 жыл бұрын
나도 이렇게 생각하는데,, ‘오늘이 금요일이었으면 좋겠다’ 는 바람을 나타내는 문장. = 오늘은 금요일이 아님. 토요일이 어제에서 내일로 바뀔 때만 바람 속 오늘이 금요일이 될 수 있음. 현실에서는 토요일이 어제. = 오늘은 일요일. 첫 문장이 포인트임ㅜㅜ
@user-xo9zh2fd1q
@user-xo9zh2fd1q 2 жыл бұрын
두 답 모두 오늘이 금요일이 되는 가정을 놓고 문제를 푸는 것은 같습니다. 단지 중심이 어제가 되는냐 내일이 되느냐의 차이임.
@user-xo9zh2fd1q
@user-xo9zh2fd1q 2 жыл бұрын
@@yonghanju2550 아니죠. 실제오늘을 구하는 문제에서 실제오늘을 금요일로 가정한다는 것 자체에서 이미 오류입니다. 그냥 문제를 보고 오늘이 금요일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라는 겁니다. 그래서 답이 2개가 나올 수 있는거구요..
@user-story2.
@user-story2. 2 жыл бұрын
@@user-xo9zh2fd1q 그래서 1번 해석이 이상하다는 거에요..
@mirodayz
@mirodayz Жыл бұрын
준영이 답답했는데 끝까지 보고 나니 창의적인 아이임! ㅋㅋㅋㅋ 마치, “네가 버스 기사야. 첫 정거장에서 두 명이 탔고, 두 번째 정거장에서 한 명이 내리고 세 명이 탔어. 세 번째 정거장에서 두 명이 내리고 다섯 명이 탔어. 이때 버스기사의 나이는?”과도 같은ㅋㅋㅋ
@ragnaraw
@ragnaraw 5 ай бұрын
A가 B였으면 좋겠다라는 문장 자체가 중의적임. 예를 들어 "사과가 딸기였으면 좋겠다" 라고 하면 말 그대로 사과가 딸기가 되길 바라는 거고 (A가 B가됨) "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는 내일이 토요일이 되길 바란다는 거임. (B가 A가 됨) 보통은 A가 B가 되길 바라는 거고 A가 B가 될 수 있는 것들 중 하나라면 B가 A가 되길 바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예를 들어 1번이 당첨번호였으면 좋겠다, 월요일이 내 생일이면 좋겠다 등등) 일반적으로는 A,B에 어떤 단어가 들어가냐에 따라서 해석이 정해지는데 어제, 내일은 양 쪽 모두를 의미할 수 있어서 문장이 중의적이 됨. 설령 주어가 내일로 바뀌어서 내일이 어제였으면 좋겠다로 문제가 바뀐다고 해도 답은 그대로 수요일, 일요일임.
@user-ue7nl4yc1l
@user-ue7nl4yc1l Жыл бұрын
오 마지막 참신하다 ㅋㅋㅋ 앞의 문장은 훼이크였고 '실제 오늘'이라는 질문만 현실 세계 우리들에게 던지는 문제였다는 해석 ㅋㅋㅋ 펭귄 문제 같은 느낌으로 ㅋㅋㅋ
@user-qi1bw6bg2d
@user-qi1bw6bg2d 2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ㅠ BDNS스케치할때부터 팬이었습니다ㅜㅜㅜㅜ 항상 한결같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청년대표 문당훈과 빠더너스 힘내세요♥️
@tkqkdl16
@tkqkdl16 2 жыл бұрын
전 빠둥이 얼마 안되었지만 빠더너스 돈 많이벌길💕
@kankin6464
@kankin6464 Жыл бұрын
어제=내일 로 보느냐 어제->내일 로 보느냐의 차이 같은데 가정할 때 A->B 에서 A와B가 바뀔 수 없으니 수요일은 안 되는게 맞음
@BLANEL_BS
@BLANEL_BS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일요일이 맞잖아 무슨 수요일이야 ㅋㅋㅋㅋㅋㅋ
@BLANEL_BS
@BLANEL_BS Жыл бұрын
내일이 어제이면 좋겠다가 문제가 아니잖아 ㅋㅋㅋㅋ
@user-oo8eh1cl6x
@user-oo8eh1cl6x Жыл бұрын
A 가 처음에 저도 안되는줄 알았는데 생각해보면 수요일도됨
@user-oo8eh1cl6x
@user-oo8eh1cl6x Жыл бұрын
내일이 목요일 이니까 어제가 목요일이면 좋겠다하면 어제가 목요일이었은 까 오늘은?
@user-oo8eh1cl6x
@user-oo8eh1cl6x Жыл бұрын
어제를 화요일이라 생각안하면 쉬움 😊
@JohnsonSON1235
@JohnsonSON1235 Жыл бұрын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자폐아 연기 대박이셨어요(╹◡╹)v
@myoungsangs_time
@myoungsangs_time 2 жыл бұрын
이제 알겠네요 ㅋㅋㅋㅋ 수요일 정답인 경우 - 1인칭 어제(화)가 내일(목) 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어제가 (목)이니 금요일일텐데.. 그래서 오늘은 수요일. 일요일 정답인 경우 - 3인칭 '금요일일텐데'의 내일은 토요일인데 내일이었으면 좋겠는 '어제' 가 토요일이니까 오늘은 자동으로 일요일. = 단순하게 본인이 그 날 생각하는 것과 다른사람이 추리하는 것..? 이렇게 생각이 드네요 ㅋㅋㅋㅋ 결국 둘 다 맞는군요 :)
@user-lx2lq4ff2s
@user-lx2lq4ff2s 2 жыл бұрын
이거네요 ㅋㅋ 왜 영상해설에선 어제를 금요일의 어제로 잡는지 ㅠ 어제(화) 이게 맞는건데
@inj344
@inj344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인데 둘다 맞는 말이지만. 어제가 내일이었음 좋겠다라는 뜻이 어제가 중점이 되어서, 과거로 돌아가고싶다 라는 말같아 일요일이 더 자연스러운거 같네요..ㅎ
@user-yr4vl1hf5q
@user-yr4vl1hf5q 2 жыл бұрын
이 댓글보고 수요일 이해했네요 ㅠ 왜 수요일인지 돌려봐도 몰랐어요 ㅠ
@azureeden954
@azureeden954 2 жыл бұрын
수요일은 문법적으로 말이 안되지 않나요? 좋겠다라는 말은 현재시점에서 미래에 대한 얘기를 할때 쓰는 표현이니까 내일이 어제였으면 좋았을 텐데 또는 좋았겠다로 써야 맞는 문장이 되죠
@myoungsangs_time
@myoungsangs_time 2 жыл бұрын
@@azureeden954 '수요일'이 정답인 것과는 크게 상관이 없어 보입니다. '좋았겠다' 가 되면 금요일이 된 오늘을 상상하면서 하는 말이 될 것이고 '좋겠다' 가 되면 단순히 오늘이 금요일이 됐으면 하는 마음에 하는 말 일듯 합니다.
@Cho_Sitter
@Cho_Sitter 2 жыл бұрын
시리즈 7개 해서 매일 하나씩 올라왔으면 좋겠다 🥲
@handle2da
@handle2da Жыл бұрын
인강 어디서 볼 수 있어요??
@zimomi1517
@zimomi1517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일요일이라고 생각했는데 수요일도 맞을수 있다는 설명을 듣고 맞는 말인가 싶었음.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답은 일요일일수밖에 없었음. 그럼 이 차이는 왜 생긴걸까?라는 생각을 했음. 문제 :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나의 정리 = 어제가 내일이 되려면 엊그제로 가야한다. 즉, [엊그제가 오늘이라면 금요일일텐데... ] 가 된다. 금요일이 엊그제가 되려면 내일모래인 일요일. 이해할수없는 정리 = 오늘이 금요일이었으면 좋겠다. 어제가 내일인 엊그제 ... 금요일의 엊그제는 수요일이다. ....아직 이해할수 없음... 물론 설명자체를 이해 못한건 아님. 엊그제인 금요일과 금요일의 엊그제인 차이란건 앎. 문제는 문장순서를 바꿈으로 왜 이렇게 바뀌는이 이해가 안감. 특히 영상 설명에서 "문장순서를 바꿔" " 오늘이 금요일이었으면 좋겠어" 라고 하면서 왜 금요일의 어제가 언제냐고 묻는지가 답에 가까워지는건지 모르겠음. 금요일이 된걸 가정하는 시점에서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라는 조건이 충족되어 금요일이 된것. 그럼 충족된걸 가정한다면 어제가 아닌 내일을 찾아야 답이 나오는 것. 숫자로 따지면 -1,-2가 +1,+2가 되는.... 문장순서를 바꾸면 이항하듯이 -,+가 바뀜?? 아니 이항하듯 바뀐다더라도.... 어제가 내일은 엊그제 = -2, 수식으로 나타내면 x=요일, x - 2= 금요일, x= 일요일 문장순서를 바꾼다면 x = 금요일 + 2 , x = 일요일. 이게 내생각.. 하지만 복수정답에서 바꾼 문장순서는 x = 금요일 - 2, 혹은 금요일 = x + 2 ..?? x=수요일 이런건 이항할때 잘못했을 경우인데.... 그렇다면 문장순서를 잘못바꾼게 아닐까?.. 복잡한 어제가 내일인을 어제와 엊그제로 나눠보자. 1. 어제가 오늘이였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실제 오늘은 목요일이다라고 생각할수있는 사람?? 난 토요일... 2. 엊그제가 오늘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실제 오늘이 수요일이라고 생각할수 있는 사람?? 난 일요일... --> 난 안되지만, 위 설명대로 문장순서 바꾸면, 금요일의 어제가 오늘이다... 오늘은 목요일이 맞다. 금요일의 엊그제가 오늘이다... 오늘은 수요일이 맞다. 이번엔 과거 아닌 미래. 3. 내일이 오늘이 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토요일이었을텐데... --->문장을 바꿔.. 찬희가 오늘은 토요일이야~ 토요일의 내일이 언제야? 일요일요. 정답: 일요일 알겠지?? ..... 바뀌어진 문장에선 맞다. 하지만 그렇게 문장을 바꾸는게 이해가 안간다. 그래서 아무리 생각해도 난 오늘이 금요일.. 길게 썼지만 한줄요약하자면 금요일일텐데...가 순서바꾼다고 금요일이야.로 시점을 바꾸는데, 당연히 바뀌어야 할 어제가 내일이라는 시점은 안바뀌는지 이해가 안감... 문장순서를 바꾸면서 일부만 시점을 바꿈. 이유는 찬희라는 화자의 입장이라는 이유로. 하지만 화자에게도 시점이 바뀌면 어제가 내일이 되는것아닌가.... 누가 확실화게 설명좀... 왜 금요일일텐데라는 가정은 첫번째 문장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금요일이 될수있는건데... 어제가 내일이야라는 조건충족을 가정으로 금요일이야라고 설명하면서 왜 다시 금요일에서 조건충족을 시키려고 어제가 내일이야....하는지 좀 알려주소...
@user-zr7bt1wi9p
@user-zr7bt1wi9p 2 жыл бұрын
💛😘🥳👏🎉🎂50만 추카추카🎂🎉👏🥳😘💛 50만 기념 라이브 강의 해주세요 쌤~ 100만 되면 빠둥이 모아서 현장 강의했으면🙏 3:35 또데지 같은 손가락🌭
@user-bx3px3pg9x
@user-bx3px3pg9x 2 жыл бұрын
아 이걸 몇번을 다시 보는겨 ㅋㅋㅋ 문쌤 50만 축하해요
@Frog27beat
@Frog27beat 7 ай бұрын
국립국어원이 복수정답을 인정했다는데 빼액거리고 아니라는 댓글들을 보니 웃음이 절로나오네ㅋㅋㅋㅋㅋㅋ 복수정답이 아니라는데에 공감이 가는건 영상에 나온대로 문맥상 일요일이기에 저런말을 하는거겠지. 추리하는거밖에 없다 어제가 내일의 요일이었으면 좋겠다 vs 어제의 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냥 말이 생략되어있으니 둘다 가능한건데 주어가 목적어가 어쩌니ㅋㅋㅋ
@Juckern02
@Juckern02 7 ай бұрын
진짜 개열받음 무식한건 죄가 맞다
@Serebis
@Serebis 4 ай бұрын
둘 다 안가능한데? 수요일이 어케 가능하냐 ㅋㅋ
@user-ht6ur3tu3s
@user-ht6ur3tu3s Жыл бұрын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1. 어제를 내일에 대입한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2. 어제를 내일에 대입했으므로 가정세계 오늘=금요일 가정세계 내일=토요일 3. 이제 다시 돌아가서 생각하면 가정세계 내일=토요일 ->원래세계 어제=토요일 4. 따라서 원래세계 오늘=일요일 이렇게 생각했는데 어떻게 생각함 님들
@user-kn1se3pl6c
@user-kn1se3pl6c 2 жыл бұрын
경축 오십만🎆 요즘 최애 채널💕 늘 웃겨주셔서 감샤해요😘
@miyu927
@miyu927 2 жыл бұрын
일주일중에 가장 지루한 날인 수요일, 빨리 주말이 왔으면 하는 마음에 아 어제가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라는 맥락으로 생각해서 시간을 앞당기고 싶을땐 수요일, 이미 지나가버린 주말을 다시 되돌리고싶을땐 일요일. 이렇게 되네요 ㅋㅋㅋㅋ
@luqbarr
@luqbarr 2 жыл бұрын
웬만한 댓글 다 읽어봤는데, 어제와 내일 이 단어를 '진짜 요일'로 보는지 '일반 명사'로 보는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는 거 같아요. 예를 들어 어제가 주어이기 때문에 무조건 일요일이다 이런 댓글도 있는데 어제를 '일반 명사' 내일을 '실제 요일'로 생각하고, 필자가 '실제 요일'을 강조해서 문장을 작성했다면 수요일도 정답이라고 생각해요. 근데 솔직히 대부분은 그냥 흐름상 자연스럽게 어제를 '실제 요일' 내일을 '일반 명사'라고 생각해 답이 일요일이라고 생각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보통 '실제 요일'을 중점적으로 생각하고, 주어가 주요한 성분이어서 그런 거 같아요.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Жыл бұрын
이 문제에 정답이 갈린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럴 수가 없습니다. 답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시점을 생각해보면 간단합니다. "어제"는 실제시점이고 "내일"은 가상의 시점입니다. 그럼 기준으로 삼아야 할 건 무엇일까요? 우리가 생활을 하고 있고 문제에서 맞춰야 하는 것도 실제시점이니 당연히 실제시점을 기준으로 삼아야죠. "어제"를 기준으로 하면 토요일이 실제로는 어제인데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즉, 오늘이 실제로는 일요일이라는 얘기죠. 여기서 굳이 가상의 시점인 "내일"을 기준으로 삼는 건 불필요한 사족일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하고 또 중요한 건 실제시점이니까요. 한마디로 뜬구름잡는 얘기라는 거죠.
@user-bl3zt3gv5g
@user-bl3zt3gv5g Жыл бұрын
@@user-yr2eb1ul6w 그렇습니다 당신이 5등급이란것도 하나의 답입니다.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Жыл бұрын
@@user-bl3zt3gv5g ?????
@re101717
@re101717 Жыл бұрын
@@user-bl3zt3gv5g 5등급인지 어케알아요....?
@tys6652
@tys665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좋다
@HordeIsNothing
@HordeIsNothing Жыл бұрын
(1) 한국어 "a가/는 b다"는 일치관계를 서술하지 않습니다. 부분적인 속성을 서술하죠. 문장 구조상 a에는 상위개념, b에는 동등 혹은 하위속성이 위치합니다. 실제 사람A가 키우는 고양이가 코코일때, 코코라는 상위개념에는 고양이라는 속성, A의 고양이라는 속성등을 가지고 있죠. "코코는 고양이다", "코코는 개다" O (사실 관계가 아닌 언어논리구조 기준으로 '종'이라는 속성에 대해 서술) "고양이는 코코다", "개는 코코였으면 좋겠어" X 그리고 추가적인 요소나 특정환 상황에 의해 특정단어가 부분속성만을 가르키기도 합니다. "개들이 코코였으면 좋겟어" O (개 각각의 '개체'임을 명시한 상황에 의해 양측다 개체라는 층위로 맞춰짐) "내가 코코였으면 좋겠어" = "내가 고양이였으면 좋겠어" X (2). '어제/내일'의 의미는 1)'발화 당시를 기준으로 하루 전날/하루 다음날'이 중심의미이며 2)주변의미로 특정한 조건에따라 '특정한날의 전날/다음날'을 지칭할수 있고 (예: 내일의 내일) 3)추가로 '과거/미래'의 의미를 가집니다. 요일은 '날'에 따라오는 하위속성 입니다. 따라서 (1)에 의해 '내일'과 '목요일'은 층위가 달라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어" 와 "어제가 목요일이었으면 좋겠어" 다른 문장이므로 마음대로 바꿀수 없습니다. (3)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어"에서 어제와 내일이 특정한 조건없이 나왔으므로 해당 문장에서 어제/내일은 1)의 의미로 해석해야 하고, 의도야 어떠하든 문장 자체는 날 자체가 뒤로 돌아가길 바란다는 의미가 됩니다. 오히려 위 문장이 가질수 있는 중의는 "이틀전으로 돌아갔으면 좋겠어"와 "시간이 거꾸로 흘렀으면 좋겠어(계속)"의 두가지 의미를 지닐수 있고, 다만 오늘이 금요일일텐데라는 정황상 전자로 해석하는게 일반적이지만, 무리하게 후자로 해석한다면 오히려 그냥 금요일일수도 있겠죠.
@tkqkdl16
@tkqkdl16 2 жыл бұрын
50만 추카해요 제가 다 뿌듯❤️ 오버안하고 웃기기 더 힘들텐데👍
@user-ew6rg3ym9q
@user-ew6rg3ym9q 2 жыл бұрын
당훈쌤 50만 축하해요❤️❤️🐖🐖
@sifanikalsa9790
@sifanikalsa9790 2 жыл бұрын
𝐒𝐩𝐞𝐜𝐢𝐚𝐥 𝐥𝐨𝐯𝐞 𝐜𝐨𝐧𝐭𝐞𝐧𝐭 𝐨𝐯𝐞𝐫 ❶❽ 𝐲𝐞𝐚𝐫𝐬 𝐨𝐥𝐝 Exclusive for *nude-datting.online* He's the person I love, he's my light day. The way the music flows and sounds is extravagant and fun. Girls is icon, legend, beautiful girl, princess, inspiration, a star. I could go on and on, understand this. I love NBA Girls.#垃圾
@Potato0774
@Potato0774 Жыл бұрын
아마 수학적으로 생각하거나 프로그래밍 하는 분들은 이렇게 생각할 듯 1월 2화 3수 4목 5금 6토 7일 X-1 X X+1 (X는 오늘) 어제가 내일이 된다 -> X-1이 X+1이 된다 -> 각 항에 2를 더한다 X+1 X+2 X+3 X+2 = 5 (금요일로 가정) X=3 (수요일)
@rimbo453
@rimbo453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머리에 쏙쏙 안들어오게 설명 잘하시네요
@user-ip8zy3hf4q
@user-ip8zy3hf4q 2 жыл бұрын
0:49 풀어보라고 시간 충분히 준다하고 물건 조심히 내려놓는 잡음 들어가는거…… 진짜 현실고증이다 디테일 점점 섬세해지네 ㅠㅠ
@woochoiwoo
@woochoiwoo 2 жыл бұрын
아 준영이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문쌤 천재당
@grace-no.1
@grace-no.1 6 ай бұрын
문장 해석으로는 수요일도 될 수 있지만 수학을 하면 답을 구한 뒤 검산을 해봐야 하는데 구한 답을 문장에 대입하면 답은 일요일 밖에 안됨. 고로 문장만 보면 맞는거 같지만 월화수목금토일 이라는 전세계의 룰인 요일 진행 방향을 무시한 억지 해석이라 볼 수 있음. 수요일 대입 -> 화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user-sixtysixty
@user-sixtysixty 5 ай бұрын
어제가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mortenpedersen8673
@mortenpedersen8673 5 ай бұрын
​@@user-sixtysixty어제가 목요일이면 오늘은 당연히 금요일인데...뭘 어제가 목요일이면 좋겠다라는 바보같은 대입을 하니...문과면 인정
@user-sixtysixty
@user-sixtysixty 5 ай бұрын
@@mortenpedersen8673 (가정한 오늘=금요일의) 어제가 (실제 오늘의) 내일=목요일이면 좋겠다 그럼 (가정한) 오늘은 금요일일텐데
@mortenpedersen8673
@mortenpedersen8673 5 ай бұрын
@@user-sixtysixty 검산해보시길...연역적 사고해석은 아시지요?
@Wane_Moon
@Wane_Moon Жыл бұрын
이게 사람이 세월이 흐르면서 생각이 달라지나봄. 난 이걸 처음엔 관점차이로 봤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애초에 답은 일요일 말고는 될 수가 없잖아. 이게 만약 수요일도 답으로 인정한다면 말이 안되는게 저 생각을 수요일에 했다고치면 수요일의 어제는 화요일이고 화요일이 내일이 되는 요일은 월요일이잖아. 금요일이랑 상관이 없지.
@user-gg5fp4gy8y
@user-gg5fp4gy8y 2 жыл бұрын
30분 동안 동영상 멈춰놓고 가만히 댓글 정독하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서 드디어 이해함...와... 개운하다 진짜
@user-gj1cf6jl5c
@user-gj1cf6jl5c 2 жыл бұрын
저는 25분 ^^
@user-lp7ez1lw4w
@user-lp7ez1lw4w 2 жыл бұрын
안 해 말이 안되니까 A 가 B (A → B) B 가 A (B → A) 다른 말 도대체 왜 둘 다함
@assegai9586
@assegai9586 2 жыл бұрын
정답 4번 일요일 ㅋㅋㅋㅋ 그와중에 준영이 너무 웃겨 ㅋㅋㅋㅋ
@user-zp8yb5pn2v
@user-zp8yb5pn2v Жыл бұрын
1:40 맞춤 ㅋㅋㅋㅋㅋㅋㅋ
@user-zf6so6sx7n
@user-zf6so6sx7n 2 жыл бұрын
방시혁씨 50만 축하드려요~
@user-tt3zw1zz9j
@user-tt3zw1zz9j 2 жыл бұрын
난 어제처럼 즐거운 날이 내일도 일어나기를 바라는 문제인 줄 알았는데 아ㅋㅋㅋㅋ 문제읽기부터 막혔었네
@Lunus0
@Lunus0 Жыл бұрын
문제 푸는데 왜 눈물이 나죠? 아 어제가 내일이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이었을텐데.
@Seunghyun.
@Seunghyun. Жыл бұрын
3:19 결론 "문제가 쓰렠.."
@user-uw9vu1ul8m
@user-uw9vu1ul8m 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문세윤 선생님 컨셉할 땐 혀 짧은 발음을 안 쓰시네요. 디테일👏🥸
@sifanikalsa9790
@sifanikalsa9790 2 жыл бұрын
𝐒𝐩𝐞𝐜𝐢𝐚𝐥 𝐥𝐨𝐯𝐞 𝐜𝐨𝐧𝐭𝐞𝐧𝐭 𝐨𝐯𝐞𝐫 ❶❽ 𝐲𝐞𝐚𝐫𝐬 𝐨𝐥𝐝 Exclusive for *nude-datting.online* He's the person I love, he's my light day. The way the music flows and sounds is extravagant and fun. Girls is icon, legend, beautiful girl, princess, inspiration, a star. I could go on and on, understand this. I love NBA Girls.#垃圾
@D_Ark.S_Word
@D_Ark.S_Word 2 жыл бұрын
시간이 빨리 가서 어제가 화요일이 아니라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벌써 오늘이 불금인데. ->오늘이 수요일. 시단을 되돌려서 어제(토요일)가 다시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아직 오늘이 금요일인데. ->오늘이 일요일 두 경우 모두 평소 많이 사용 되는 문장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수요일에 직장동료나 학교친구에게 시간이 빨리가기 원하는걸 말한다고 생각해도 이해가 되고, 일요일에 지나가고있는 주말을 벌써 다시 그리워하게되는 심정으로 말한다고 생각해도 이해가됩니다. 둘의 차이는 어제가 내일로 바뀌길 바라는 것인지, 어제가 내일로 반복 되길 바라는 것인지 입니다. 즉, 바라는 것이 치환이냐 반복이냐의 차이입니다. 이는 화자가 '어제'나 '오늘' 등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태도 등으로 유추해야 하는 부분으로, 문제에는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수요일과 일요일 모두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user-vz8on4lq4z
@user-vz8on4lq4z Жыл бұрын
정답을 검토해봅시다 수요일이 오늘이라고 가정합시다 어제(화요일)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월요일일 텐데 일요일이 오늘이라고 가정합시다 어제(토요일)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D_Ark.S_Word
@D_Ark.S_Word Жыл бұрын
@@user-vz8on4lq4z 댓글을 검토해 볼까요. 수요일이 오늘이라고 가정합시다. 어제가 목요일(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일요일이 오늘이라고 가정합시다. 어제가 월요일(내일)이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화요일 일텐데 . 정답이 일요일만 맞다고 하고 싶으신 것 같은데, 이렇게 쓰면 수요일만 맞군요. 두 문장 다 요일을 어제, 내일로 바꿔 버리면 같은 문장이되는데 어떤 경우는 맞고 어떤경우는 틀리다고 할 수는 없겠죠. 화자가 '어제를 싫어해서' 어제->내일 이길 바란다면 어제와 내일의 순서와 상관없이 '내일이 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내일은 그대로여야 합니다. 오늘이 수요일일 때, 목요일(내일)이 어제였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오늘이 수요일일 때, 어제가 목요일(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화자가 '어제를 좋아해서', 어제=내일 이길 바란다면 어제와 내일의 순서와 상관없이 '어제가 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제는 그대로여야 합니다. 오늘이 일요일일 때, 내일이 토요일(어제)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오늘이 일요일일 때, 토요일(어제)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D_Ark.S_Word
@D_Ark.S_Word Жыл бұрын
@@user-vz8on4lq4z 문제에서 화자는 "~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라는 표현으로 '오늘이 금요일이길 바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자가 어제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문제 앞에 "어제 너무 최악이었어. 빨리 주말이 오길 바래."라는 문장이 있다면.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에서 오늘이 무슨 요일이 될까요? -정답이 오늘이 일요일 이라고 말하면, '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가 되는데, "오늘이 (7월10일)일요일인데, (7월9일)토요일 너무 최악이었어. 빨리 주말(7월9일/7월16일)이 오길 바래. (7월9일)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7월8일)금요일 일텐데." ('주말(7월10일)인데 주말(7월9일)이오길 바람 or 다음주말(7월16일)이 빨리오길바라는데 어제로 되돌아가려하는 오류+내일 최악의 날이 반복되는걸 바람') 같은 점심나가서 먹을 것 같은 뜻의 문장이 됩니다. -정답이 오늘이 수요일 이라고 말하면, '어제가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가 되어서, "오늘이 (7월10일)수요일인데, (7월9일)화요일 너무 최악이었어. 빨리 주말(7월13일)이 오길 바래. 어제가 (7월11일)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7월12일)금요일 일텐데." 같은 뜻의 문제없는 문장이 됩니다.
@D_Ark.S_Word
@D_Ark.S_Word Жыл бұрын
문제 앞에 "어제 너무 재미있었어. 다시 어제로 가고 싶어."라는 문장이 있다면.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에서 오늘이 무슨 요일이 될까요? -정답이 오늘이 일요일 이라고 말하면, '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가 되는데, "오늘이 (7월10일)일요일인데, (7월9일)토요일 너무 재미있었어. 다시 (7월9일)토요일로 가고 싶어. (7월9일)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7월8일)금요일 일텐데." 같은 뜻의 정상적인 문장이 됩니다. -정답이 오늘이 수요일 이라고 말하면, '어제가 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가 되어서, "오늘이 (7월10일)수요일인데, (7월9일)화요일 너무 재미있었어. 다시 (7월9일)화요일로 가고 싶어. 어제가 (7월11일)목요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7월12일)금요일 일텐데." ((7월9일)화요일로 돌아가고 싶은데 (7월12일)금요일이 되기를 바람) 같은 유체이탈 문장이 됩니다.
@2023asiancup
@2023asiancup Жыл бұрын
​@@D_Ark.S_Word쉬운걸 어렵게 설명하는 재주
@nxtwk.y23
@nxtwk.y23 4 ай бұрын
프로그래밍식 접근: 실제어제를 계산하려면 가정내일 --2일 한 값임. 따라서 강사의 접근은 맞음. 다만, 가정법은 일어나지 않은 일의 가정이라서 과거로의 역은 필수성립안됨 -> 어제 먼저 계산 ㄴㄴ 오프셋 우측임. 또한 내일은 과거일 수 없음. 실제오늘=실제어제+1 (정답: 일요일)
@user-fq2np6zi1w
@user-fq2np6zi1w Жыл бұрын
이분 진짜 강사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강사하시면 진짜 잘하실듯
@user-jy2rh2ef5j
@user-jy2rh2ef5j Жыл бұрын
와~ 최근 본 유튜브중에 제일 웃기다ㅋㅋㅋ
@Clatte82
@Clatte82 2 жыл бұрын
이 싸움을 이해해버렸다 우선 일요일만 정답이라고 얘기하는 사람의 입장을 보자면 문장의 특성상 "A가 B였으면 좋겠다"라는 문장이 있다면 A가 B로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의미가 내포되어있다 고로 "A가 B였으면 좋겠다"와 "B가 A였으면 좋겠다"는 다른 의미 쉽게 보자면 "이 종이가 5만원권이였으면 좋겠다" "5만원권이 이 종이였으면 좋겠다"의 차이 결과적으론 비슷해질지는 몰라도 내포하고자 하는 의미는 전혀 다른 상황이 되고 전자의 의미를 후자로 나타내기엔 어색한 상황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 어색함조차 무의미하게 되는 부분이 있는데 일요일이 답인경우 어제(토요일)가 내일이였으면 좋겠다에서 어제였던 토요일이 내일로 옮겨졌으면 좋겠다지만 수요일이 답인경우 어제가 내일(목요일)이였으면 좋겠다에서는 내일을 시간적인 내일이 아닌 목요일을 대신하는 단어로 쓰이며 어제의 요일이 목요일로 바뀌었으면 좋겠다가 된다 이걸로도 이해가 안간다? 일요일이 정답 -토요일(어제)이 내일(월요일)이였으면 좋겠다 -토요일이 내일이였으면 좋겠다 수요일이 정답 -어제(화요일)가 목요일(내일)이였으면 좋겠다 -어제가 목요일이였으면 좋겠다 특히 일요일만 정답이라고 하는분들이 문장의 주체가 되는게 앞에와야한다면서 잘못 짚고 계신데 여기서 중의적 의미가 생기는 이유는 어제랑 내일 둘 중 어느게 오늘을 기점으로한 시간 순서의 개념으로 둔거고 어느게 그 날에 있는 요일을 대신하는 단어로 사용된건지 확정할수가 없기에 이 문제가 중의적인 표현이 된겁니다 그럼에도 일요일을 먼저 떠올린 사람이 많은 이유는 우리가 어제와 내일이란 단어를 시간순서로서의 개념으로 쓰는것이 더 익숙하기때문
종이 빨대 쓰지 마
6:56
빠더너스 BDNS
Рет қаралды 864 М.
이거 출제자 누구냐
3:13
빠더너스 BDNS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6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UFC Vegas 93 : Алмабаев VS Джонсон
02:01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223 М.
오답률 99%라는 삼성 입사 문제
5:15
빠더너스 BDNS
Рет қаралды 579 М.
야구팬들이 항상 화나 있는 이유🤯 [엘코더]
12:55
[문쌤] 문과는 못 맞히고 이과는 틀리는 문제
3:33
빠더너스 BDNS
Рет қаралды 628 М.
실감나는 아편전쟁 7분 요약
7:31
빠더너스 BDNS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Mama Vs Tante‼️
0:13
Abil Fatan Key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проводница забрала пиво
0:59
RusRoflTime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Студия төрінде жобамыздың жемістері!
1:17:44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35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