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가 필요없는 선조들의 목공기술

  Рет қаралды 5,796,064

방구석지구촌

방구석지구촌

2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600
@user-oc9fr8bi6i
@user-oc9fr8bi6i 2 ай бұрын
건설업계 현직자입니다. 우리나라 전통기법으로는 한옥기둥하부의 돌의 생김새에 맞게 나무하부를 깎아 수직으로 세우고 모두 짜맞춤을 하여 지었으나, 요즘에는 짜맞춤이라 해도 몇백년전보다 기술이 떨어집니다. 다 넉넉하게 재단해서 기술좋게 생산된 접착제 등 다른쪽의 기술이 발전했으니까요. 하지만 몇백년전 사찰 가보면 진짜 경이로울정도입니다. 미니어처 만드는 세심함의 몇십배의 세심함으로 정교하게 지은거 볼때마다 각 시대에 맞는 최고의 기술력을 목도하게 됩니다.
@뚱뚜웅이
@뚱뚜웅이 Ай бұрын
님도 대단하시지만 과거에 있던분들도 대단
@user-ju6fb8by3z
@user-ju6fb8by3z Ай бұрын
옛날 한옥 지을 때, 지금 아파트 올리는것 처럼 맨땅에 공구리? (철근심고 시멘트 붇는거)작업이 있었나요?
@user-oc9fr8bi6i
@user-oc9fr8bi6i Ай бұрын
@@user-ju6fb8by3z 기초작업이라고 하는데 전통한옥은 주춧돌이라고 돌이 현대의 기초작업입니다.
@wr9319
@wr9319 Ай бұрын
설명도 대단하시고 과거에 있던분들도 대단
@user-pd2ph2xe2z
@user-pd2ph2xe2z Ай бұрын
그땐 권력으로 사람을 갈아넣어서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피라미드도 사람이 쌓아올렸다고 생각하면... 조상님들이 얼마나 빡세게 일했을지 상상도 안가네요 ㄷㄷ
@AlisonDigby
@AlisonDigby 2 ай бұрын
사실 우리나라도 조금만 더 전쟁이 적었고 침략을 덜 당했다면 꽤나 오래된 건축물들이 많이 있었을텐데 그건 좀 아쉽습니다.
@NightN6
@NightN6 2 ай бұрын
건축물이 무사하지 못했을때가 몽골 침략 부터임. 유목민들은 어차피 정착생활도 안하고 떠돌이들이라 건축이나 예술 이런거 가치를 잘몰라 걍 태워버림 ㅋㅋ 근데 일본은 유목민이 아니여서 그런지 그냥 훔쳐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r9de8is3b
@user-sr9de8is3b 2 ай бұрын
사실 그 긴 말들은 일본이 지랄만 안했으면으로 축약할 수 있는게..ㅋㅋ
@pqjbrhdj
@pqjbrhdj 2 ай бұрын
@@user-sr9de8is3b그때뿐만이 아니라 고려때 삼국시대 다 전쟁 오졌지 모.. 일본 607년에 지은 신사 그때는 우리 삼국시대니까
@user-xh1ts9lb3v
@user-xh1ts9lb3v 2 ай бұрын
​@@user-sr9de8is3b우리가 임진왜란 이후로 일본과 전쟁을 한 적이 있나요?
@iongiongiongiong
@iongiongiongiong 2 ай бұрын
@@user-sr9de8is3b일본보단 625가 더 큰데
@peterpetism
@peterpetism 2 ай бұрын
흰개미가 없어서 가능했던 기가막힌 기술
@막내시크
@막내시크 2 ай бұрын
하..흰개미 다시생각해도 너무소름이야 진짜😢
@hand_fetish_
@hand_fetish_ 2 ай бұрын
토종 흰개미도 있긴 있었는데 식성이 달라서 안먹었던걸로 알고있음
@MomToiletInvasion
@MomToiletInvasion 2 ай бұрын
ㄹㅇ 흰 바퀴벌레...​@@막내시크
@user-iv7vf4fu8b
@user-iv7vf4fu8b 2 ай бұрын
과거부터 흰개미는 존재했습니다 우리나라 토종 흰개미만 4종류입니다 새로운 종류의 흰개미가 유입되었다는거지 원래 국내에 흰개미가 없던 것은 아닙니다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ай бұрын
있긴 했음. 그래서 주기적으로 보수를 해줬는데 그래서 유지비가 ㅎㄷㄷ함.
@user-sl4ts6lr1g
@user-sl4ts6lr1g 2 ай бұрын
못이나 나사를 박으면 거기서부터 균열이 생기고 오래 못 가는데 이렇게 하면 목재 자체의 문제가 아니면 균열의 위험이 훨씬 적음
@WhythisGGoraji
@WhythisGGoraji 2 ай бұрын
오~
@user-lw7zl3id2j
@user-lw7zl3id2j 2 ай бұрын
​@@relly0816어 불지르면 뭐든 끝나 빡통아
@user-lw7zl3id2j
@user-lw7zl3id2j 2 ай бұрын
​@@relly0816UFC 보면서 누가 인류 최강인가 토론 하고 있을 때 응 총쏘면 그만이야 라고 하는 새끼네
@yonglee791
@yonglee791 2 ай бұрын
@@relly0816너는 왜 싸질러져서 그모양이냐?
@oring_a
@oring_a 2 ай бұрын
안물안궁 ㅋ
@go-sun-twi
@go-sun-twi 2 ай бұрын
가끔보면 저게 되나 싶은것들이 많음 ㅋㅋㅋㅋ 애밀레종도 위에 무게 받아주는 부분 교체하려고 했는데 죄다 망가졌다잖음 대체 그당시에 나무에 뭔 가공을 했길래 금속도 망가지는걸 수천년을 간건지 ㅋㅋㅋㅋㅋ
@user-hv9ii2co3j
@user-hv9ii2co3j 2 ай бұрын
그거 지금은 해결된걸로 앎. 아마 다마스쿠스처럼 자재를 여러겹으로 겹쳐서 꼬고 다시 겹치는 방식으로 만들었다고 들었음
@user-wj5uy7eo3g
@user-wj5uy7eo3g 2 ай бұрын
CLT라고 고층목조건물에 쓰는 목재가 있습니다
@user-ip1bb8oi1t
@user-ip1bb8oi1t 2 ай бұрын
​@@user-wj5uy7eo3g고층건물을 목제로 짓기도 하는군요
@acorn0_o
@acorn0_o 2 ай бұрын
​@@user-wj5uy7eo3gCLT는 현대공법 아닌가요 수백년전엔 없었을 텐데요
@go-sun-twi
@go-sun-twi 2 ай бұрын
​@@user-ip1bb8oi1t전쟁통에 타서 그렇지 목탑도 높게 짓고 꽤 있었어요
@zacca857
@zacca857 2 ай бұрын
물성평가 쪽 연구하고 있는 사람인데요. 기차 바퀴 관련 연구하기위해 바퀴를 지지하려고 표면경화된 알미늄 지지대+유압재키를 활용해서 고정시키는 중인데, 한달도안되서 바퀴무게때메 유압재키가 고장나서(재키 뽑기를 잘못했을 수도?) 임시방편으로 나무판자 덧대서 쓰고 있는데 3년이 지낫지만 아직도 멀-쩡합니다. 금속관련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솔찍히 재료가 목재로 쓰이는 모든 것들의 건전성을 가짢게 본게 없잖아 있었지만, 이 멀쩡한 나무를 보고 왜 인류 역사상 목재만큼 오래쓴 재료가 없는지 매일 깨닫는 중입니다..그런의미로 목공수분들 존경합니다.
@user-mp5om6pf3e
@user-mp5om6pf3e 2 ай бұрын
당연히 별로일 거라고 얕잡아 보게되는 것 중에, 의외로 편견 이상으로 위대한 것들이 있는 거 같더라고요
@ses030
@ses030 2 ай бұрын
근데 어쩌라고요
@user-mp5om6pf3e
@user-mp5om6pf3e 2 ай бұрын
@@ses030 느1금마요
@user-kf1ly2bh3z
@user-kf1ly2bh3z 2 ай бұрын
유압재키조차도 결국 항복되는 무게를 나무가 버티다니
@user-fd6mn2lz1y
@user-fd6mn2lz1y 2 ай бұрын
​@@ses030닉값하네
@user-bg1hx5bu3r
@user-bg1hx5bu3r 2 ай бұрын
진짜 오래된 사찰은 못이없음 쇠못을 박으면 나무가 썩거든
@user-eq8sl5ew7l
@user-eq8sl5ew7l 2 ай бұрын
못이없으면 집을 완성시킬 수 없습니다.
@user-bg1hx5bu3r
@user-bg1hx5bu3r 2 ай бұрын
@@thanoswasright..-_-.......1 예전에 못이있는데 쓴지 안쓴지 그건모르겠지만 나무에 못이 박히면 금방썩는다고 알고있슴요
@user-cy9um8kz3o
@user-cy9um8kz3o 2 ай бұрын
그냥 쇠가 비쌈 사람이 영차영차 하면 되는데 궂이 비싼 쇠못을 쓸 이유가 없음
@user-gv1yy2jd1c
@user-gv1yy2jd1c 2 ай бұрын
과학시간 때 애미 장례식 갔냐? 졸라 무식하네
@user-yt1ix1vt4m
@user-yt1ix1vt4m 2 ай бұрын
@@user-cy9um8kz3o 훨씬 튼튼해요. 쇠못 박는 방식보다
@京極サツキ
@京極サツキ 2 ай бұрын
외관상으로 봐도 못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깔끔해 보여서 낫더라고요.
@user-dw2gf9fc5u
@user-dw2gf9fc5u Ай бұрын
🔝🙀
@IT_TMI
@IT_TMI 2 ай бұрын
내장 목수 하면서 일 마치고 저녁에 짜맞춤가구를 따로 배우고있는데... 홈에 딱 들어갈때 쾌감 지립니다... ❤
@user-bi7ss8so2g
@user-bi7ss8so2g 2 ай бұрын
일에 진심이시네요
@유운-T사생활M유A출l
@유운-T사생활M유A출l Ай бұрын
못이나 나사를 박으면 거기서부터 균열이 생기고 오래 못 가는데 이렇게 하면 목재 자체의 문제가 아니면 균열의 위험이 훨씬 적음
@user-ry3gu3iv6w
@user-ry3gu3iv6w 2 ай бұрын
우리 윗집에는 짜맞춤의 달인이 산다.
@user-ul7gc9lj1b
@user-ul7gc9lj1b 2 ай бұрын
손 없이도 짜맞춤 하는거 보면 ㄹㅇ 달인인듯
@user-pr8ex6om9j
@user-pr8ex6om9j 2 ай бұрын
ㄱ😊
@kotorilaala
@kotorilaala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해했다
@hyukjang7794
@hyukjang7794 2 ай бұрын
아 그짜맞춤ㅋ 그건 맞춤짜가아닐까요
@ddeeriring
@ddeeriring Ай бұрын
인간 짜맞춤...?
@user-ys4fm9on8n
@user-ys4fm9on8n 2 ай бұрын
신기한건 저런 견고한 건물도 사람 손길 발길 끊기면 무너짐... 아마도 군불도 때고 닦아주고 하는게 그런거 같은데
@reply4641
@reply4641 2 ай бұрын
사람 안살면 귀신같이 부식됨
@yoon_DDing_DDong
@yoon_DDing_DDong Ай бұрын
신기하다
@user-hb1in9sq5g
@user-hb1in9sq5g Ай бұрын
그래서 어디는 일부러 사람들이 드나들게 한다는 말도 들었어요. 사람이 드나들며 쓰고 관리해줘야 오래 가는 듯.
@hgkim2512
@hgkim2512 Ай бұрын
그래서 유흥준이 집은 사람이 살아야 되는 거라고 했죠.그러다가 숭례문 태워먹었지만 그런 미친놈만 없으면 맞는 말이예요.
@chaos7588
@chaos7588 22 күн бұрын
사람이 없음 벌레들이 너무많이 생겨서
@sunshine-qx7vd
@sunshine-qx7vd 2 ай бұрын
목구조 집에 안 좋은게...소리가 삐걱삐걱 나는거더라고...어릴때는 무서웠어...더구나 밥에 또는 혼자 있을때...
@jamieseo9771
@jamieseo9771 2 ай бұрын
그래서 그소리때문에 자객이 함부로 침입을 못했답니다 ㅎ
@user-mv6wk5lx8r
@user-mv6wk5lx8r 2 ай бұрын
그거 귀신이 걷는 소리입니다. 집 밑을 한번 파보시길 권장드립니다.
@Fury_is_Best
@Fury_is_Best 2 ай бұрын
​@@user-mv6wk5lx8r 집 아래에서 럴커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대로 놔뒀더라면 정말 위험할뻔했는데 댓글덕분에 살았습니다.
@ice_ame_ricano
@ice_ame_ricano 2 ай бұрын
​@@user-mv6wk5lx8r예쁘노?
@pathesiar
@pathesiar 2 ай бұрын
그게 저 짜맞춤을 잘못했을때 생기는거죠. 딱 맞아야 하는게 틈이 벌어지면 소리가 나죠. 뭐 일본에선 침입자 방지대책으로 일부러 그렇게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냥 잘못만든 겁니다.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2 ай бұрын
저기에 옻만 칠하면 완벽방충시스템..
@reply4641
@reply4641 2 ай бұрын
비용때문에 불가능
@user-xg7oz5xc5n
@user-xg7oz5xc5n 2 ай бұрын
​@@reply4641불가능 아닙니다.요즈음도 여유가 되는사람들은 옻칠 합니다.
@TheJinNK
@TheJinNK 2 ай бұрын
호류지는 백제인들이 지은 창건당시 건물은 불타서 사라졌고 600-700년대에 재건한게 현재 입니다
@ishsjddjsljd9935
@ishsjddjsljd9935 2 ай бұрын
하지만 흰개미 라는 재앙을 피하지는 못하였다..
@kimseongil--7449
@kimseongil--7449 2 ай бұрын
그래서 저 방식으로 만든 가구가 상당히 비싸다고 하더군요.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2 ай бұрын
원목은 옛날에도 비싸요. 그래서 일본이 우리나라 나무 몽땅 훔쳐가서 벌거숭이 산 만들었어요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2 ай бұрын
​@@user-dy6li1cc8u 역사를 어디서 배웠나요? 우리나라 산이 황폐화된 것은 바닷물을 끓여서 소금생산하는 방식과 국민들이 땔감으로 써서 민둥산 된것임. 그후 천일염이 일본에서 들어오고 무연탄의 보급과 산림녹화로 민둥산이 해결된 것임.
@user-yd5xh5xd9e
@user-yd5xh5xd9e 2 ай бұрын
​@@user-dy6li1cc8u 아무리 일제강점기를 겪었다지만 조선때부터 민둥산 천지였던 걸 일본탓 하기에는... 너무 감정에 매몰되신 듯 하네요
@kiyongkim7651
@kiyongkim7651 2 ай бұрын
@@user-dy6li1cc8u 이미 조선말기에 황폐한 산 투성이였음. 지금 북한을 보셈. 다 장작으로 써버리니 민둥산투성이
@jkluchiano4490
@jkluchiano4490 2 ай бұрын
@@user-yd5xh5xd9e 민둥산이 천지인데 호랑이가 그렇게 많이 살았다고요? 너무 친일에 매몰되신거 같네요
@user-ns2er2ci7n
@user-ns2er2ci7n 2 ай бұрын
전통 목재 레고 ㄷㄷ
@mellong654
@mellong654 Ай бұрын
우와.... (건축에 대해 전혀모르는 일반인으로서 느끼는 감상으로..) 나무가 저렇게 잘리고 가공되어서도 여전히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음.... 진짜 대단하다
@gwpark2936
@gwpark2936 2 ай бұрын
유럽에 오래된 건물들이 몰려있는 동네가 많은 것처럼 우리나라도 별거 아닌 주택단지나 상가지역에 저런 한옥 건물 많이 있는 거리가 있으면 분명 보기에는 좋을텐데.. 환경 등등 여러 문제가 있으니 현실적으로는 볼 수가 없어서 아쉽네요 다른 분들 댓글처럼 전쟁만 아니었다면 조금이나마 더 보존이 되었을까 싶기도 합니다
@pr9519
@pr9519 2 ай бұрын
더 이전에 일제가 다 망쳐놓은 것 같음. 걔네들땜에 우리 고유의 건축양식이 계승되지 못하고 단절된 탓에 전후 복구 과정에서 옛날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어지게 되지 않았을까 싶음
@IAMEXLOVER
@IAMEXLOVER 2 ай бұрын
❤️ 유럽 마냥 도시 풍광이 좀 더 풍요롭고 다채로웠을텐데 여러 모로 아쉬움. 새마을 운동으로 죄다 시멘트와 슬레이트 지붕으로 싹다 갈아치운 게 마지막 가장 큰 치명타였음.
@user-qj5jg8py4c
@user-qj5jg8py4c 2 ай бұрын
​@@pr9519 석굴암이나 불국사만 봐도 그냥 조선 시대부터 먹고살기 힘들어서 관리 자체를 안했음. 걍 마야문명 어디 촌구석에 있는거마냥 보통 사람들은 몰랐음.
@trillions4451
@trillions4451 2 ай бұрын
​@@pr9519걍 625때 다 부셔지고 다시 짓는과정에서 한옥을 지을 필요가없으니깐 안지은거임
@Kimdjeiei
@Kimdjeiei 2 ай бұрын
​@@pr9519일본이 했다고 생각하는건 지양해야함 걍 한옥보다 콘크리트 건물이 효율적이고 좋아서 바뀐거지
@user-pi6ve5ts4p
@user-pi6ve5ts4p 2 ай бұрын
판옥선 설계방법
@nowbird
@nowbird 2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회사 콘고구미는 1400년전 백제 출신 건축기술자 유중광이 일본 오사카에서 만든 회사로 주로 일본 사찰을 만들어 일본 건축기술 발전에 이바지했음
@junghc0321
@junghc0321 2 ай бұрын
환빠에요??
@skyfaraway
@skyfaraway 2 ай бұрын
금강조가 백제 출신이라는건 일본에서도 인정하는건데..?
@skyfaraway
@skyfaraway 2 ай бұрын
@@user-yi1hh8tr9u 聖徳太子の命を受けて、海のかなた百済の国から三人の工匠が日本に招かれました。この内の一人が、金剛組初代の金剛重光です。工匠たちは、日本最初の官寺である四天王寺の建立に携わりました。重光は、四天王寺が一応の完成をみた後もこの地に留まり、寺を護りつづけます。
@user-zd8sy4lh6p
@user-zd8sy4lh6p 2 ай бұрын
​@@junghc0321백제가 일본 형님 이었던 것은 정사야
@sspskk55
@sspskk55 2 ай бұрын
​@@skyfaraway 그렇다면 인류의 요람 아프리카는 도대체 ㄷㄷ
@inkyuchoi3337
@inkyuchoi3337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 한옥이 이 기법인데... 비 맞고 뒤틀어져도 같이 뒤틀어져서 더 견고해짐... 대단함 ㅋㅋㅋ
@user-op5ex8vr1p
@user-op5ex8vr1p Ай бұрын
이런 정확한 정보 너무 좋아요. 같은 내용 인데 다른 정보인 것들도 많아서 불편했는데, 정확한 정보 감사합니다
@nyangnyang3295
@nyangnyang3295 2 ай бұрын
흰개미가 이 영상을 좋아합니다.
@warjinping
@warjinping 2 ай бұрын
607년? ㅋㅋ 우리나라가 삼국시대 시절이네 ㅋㅋㅁㅊ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몽골만 아니었어도 대부분 남아있었을듯....
@user-ii4fw1rt9v
@user-ii4fw1rt9v 2 ай бұрын
6.25가 제일 컸음 국토 80%가 초토화 되었으니...
@blkty9478
@blkty9478 2 ай бұрын
@@user-ix1hp7cr2v 응6.25
@theokim0
@theokim0 2 ай бұрын
임진왜란때 목조건축물 대다수가 전소했다고 들었는데 아님?
@user-ii4fw1rt9v
@user-ii4fw1rt9v 2 ай бұрын
@@theokim0 임진왜란은 일본군이 무조건 한양만 보고 달렸기 때문에 생각보단 건축물피해는 많지 않았고 설령 손실되었어도 목조건물로 다시 지었죠 조선시대니깐요
@user-oi4fl6qn9f
@user-oi4fl6qn9f 2 ай бұрын
건축과 재학중인 학생인데 건축용어로는 조인트라고 하죠 목재의 종류 , 접합기술, 크기계산 하중전달등 손이 갈게 많아 작업자들의 페이도 엄청 쌔다고 하더라고요 저런 건축물들은 정말 아름답고 수렴하더라고요 나중에 돈 많이 벌어서 저런 집 짓고 살고싶네요 ㅋㅋ;;
@wnnwwnwnnwnw
@wnnwwnwnnwnw 2 ай бұрын
내 밑으로 수렴 수려라고 지적하지마라
@jadeelix594
@jadeelix594 2 ай бұрын
@user-dpdi838dj1 빠구리 ㅋㅋㅋㅋㅋㅋㅋ
@user-lv1mq7qc3j
@user-lv1mq7qc3j 2 ай бұрын
@@wnnwwnwnnwnw 하지 말라니까 더 하고 싶어지잖아요
@rururaran106
@rururaran106 Ай бұрын
모양 딱 맞게 쏙 들어가는 거 보기만 해도 기분 좋다🤭
@user-ih1so1kj7c
@user-ih1so1kj7c 2 ай бұрын
가구를 예로 들면 동양은 짜맞춤, 서양은 조인트라 합니다. 한국도 짜맞춤에 대해 오랜 역사를 가졌고, 일본도 당연 마찬가지 입니다. 다만 얕은 지식이지만, 건축에 대해서 일본은 한국과 다르게 암과 수를 아주 빡빡하게 끼워 넣는 방식이고, 한국은 약간의 여유를 두고 끼워 맞추는 방식이라 합니다. 적어도 집을 짓는 구조목은 삼나무 및 육송 같은 소프트 우드 입니다. 단단한 북미 백참 혹 화이트오크 월넛 가구재 ( 제재목 ) 이 아닌, 소프트우드로 제작 하기 때문에, 실제 계절기에 따라 나무의 수축팽창이 생각보다 클 수도 있습니다 ㅎㅎ 실제 목재소에서 치목 ( 한옥을 짓기위한 나무를 가공하며 짜는 작업 ) 하시는 것을 보면 전기톱으로 통나무를 아주 미세하게 다듬고, 줄자로 mm 단위로 체크하며 작업하더라구요 ㅎㅎ 가구 만드는 목수인 입장에서, 한옥목수분들 아주 존경하는 입장이구요.. 나무에 대한 이해도나 가공 지식 스킬들이 아주 대단하셔요.. 한옥목수분들께 비하면 전 완전 소목이네요 ㅎㅎ;;😅😅
@user-tm2ku9py2u
@user-tm2ku9py2u 2 ай бұрын
가구 만드시는데 소목장 맞는거 아닌가요?
@KooKoo09
@KooKoo09 2 ай бұрын
님 내가 볼땐 가구만드는 목수가 아니라 목공 배운지 한 일년 플러스마이너스 정도 되는 거 같은데 글쓴 거 보니까... ㅋㅋ
@RKPC
@RKPC 2 ай бұрын
@@KooKoo09당신은 얼마나 잘났길래 남을 평가질하는지?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 이런 정보글은 영상 이해에 도움돼서 고마운데 비판도 아닌 비난만 쏟는 건 무슨 심보인가요? 그렇게 잘났으면 당신이 글 한번 맛깔나게 써 보세요.
@user-ih1so1kj7c
@user-ih1so1kj7c 2 ай бұрын
@@KooKoo09 7년 가구목수 목공방 운영중인데요..?
@KooKoo09
@KooKoo09 2 ай бұрын
@@user-ih1so1kj7c 소목과 대목은 이미 구분되어 다른 분야인대 한옥 짓는다고 무조건 그거에 비하면 나는 소목이라 하시니 드린 말씀 입니다 비하여가 아니라 원래 소목과 대목은 다른 분야인데 같은 분야에 기량 차이로 보시는 거 같아 말씀 드림 겁니다 제가 좀 너무 장난스럽게 답글을 달았네요 죄송합니당
@user-hu7kt1ew9x
@user-hu7kt1ew9x 2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그저 짜맞춤이라는 전통기법이 있으며, 그 예로 한옥과 호류지가 있다고 소개했을 뿐인데 댓글이 왜 이리 창난거지?
@KR.H.S
@KR.H.S 2 ай бұрын
몰?루 ㅋㅋ
@user-kh1hk8rh3y
@user-kh1hk8rh3y 2 ай бұрын
왜냐하면 한국은 목재를 다루는 기술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났고 짜맞춤은 우리만의 고유기술이었는데 임진왜란 얘기만 나오면 판옥선은 못을 안썼고 왜선은 못을 썼네 이러고 살았는데 알고보니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용된 방식이며 600년대 일본에서도 사용한 방식이라니까 인정할수 없는거지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2 ай бұрын
지금은 스테인레스못이 있습니다. 짜맞춤은 인건비를 감당못해 문화재나 가능하죠.
@user-ux7mj7lf4u
@user-ux7mj7lf4u 2 ай бұрын
판옥선이 이기술로 만들어졌습니다
@user-oz6lk6vu9m
@user-oz6lk6vu9m 2 ай бұрын
마음이 편해지는 영상인데 저기 살집 끼인다면 쥰내 아픈걸로 안끝날것같음
@foreverpericles
@foreverpericles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전쟁만없었으면 문화재가 건재했다. 몽골에 항복하면서 기운이 약해짐. 황룡사9층목탑은 아직까지도 안타까운 조상의 유적이다.
@user-du2ku6up3r
@user-du2ku6up3r 2 ай бұрын
근데 항복 안했어도 다 부시고 다녔을텐데 비슷한거 아님?
@user-du2ku6up3r
@user-du2ku6up3r 2 ай бұрын
ㅇㅏ 아닌가
@user-fe1cz8pt8z
@user-fe1cz8pt8z 2 ай бұрын
앞으로 그런일이 일어나지않도록해야한다는것이 핵심이네요. 그게 가능했다면 얼마나 진보된 한국이었을까. 낭만이 여기에 있넺
@user-jc7ho4ir6f
@user-jc7ho4ir6f 2 ай бұрын
몽골에 개박살났으면 이미 약해진 기운 아닐까?
@user-vh5ty7gl3t
@user-vh5ty7gl3t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중국,몽골,일본한테 발린건 그냥 약소국이라는거임. 국뽕빼고 팩트만 말하면 우리나라는 계속 따까리포지션이었음.
@HH-wp4ue
@HH-wp4ue 2 ай бұрын
흰개미가 좋아 합니다
@user-fh8dw4kr7o
@user-fh8dw4kr7o 2 ай бұрын
혹시 흰개미세요..?
@user-yn4yg7db9f
@user-yn4yg7db9f 2 ай бұрын
ㅇㅇ 이사람 아니 이개미 세계적으로유명한 흰개미임
@user-ey1em8hm8d
@user-ey1em8hm8d 2 ай бұрын
나 흰개미굴인데 얘 흰개미 맞다 ㅇㅇ
@twindo4266
@twindo4266 2 ай бұрын
나 흰개미 옆집 사는 두더지인데 얘 흰개미 맞다
@user-ey1em8hm8d
@user-ey1em8hm8d 2 ай бұрын
@@twindo4266 두더지는 그런 말투 안써요
@beefy9777
@beefy9777 Ай бұрын
진짜 나무는 미친 효율의 자재다.
@Shawn__
@Shawn__ Ай бұрын
독서 시간에 나왔던 지문인데 반갑네요
@user-fi1zf9zy9o
@user-fi1zf9zy9o 2 ай бұрын
목수기술중 최고봉
@carpenterwook
@carpenterwook 2 ай бұрын
조금이라도 틀리면 버리고 다시처음부터 깍아야함..
@dangerousvaccin2450
@dangerousvaccin2450 2 ай бұрын
실리콘 붙이면 안되나요? 다시 깍기 힘들어요
@wnfma-zn2rz
@wnfma-zn2rz Ай бұрын
중간중간 나무 움직이는 소리 좋네요
@hanbinyi5127
@hanbinyi5127 Ай бұрын
이건 심지어 국어 지문으로 출제된 내용이었는데.. 재밌네요 다시 보니
@Harry_Mione
@Harry_Mione 2 ай бұрын
불만 안 나면 목조건물 진짜 오래 감. 장경판과 장경판전이 그렇게 오래 보존되는 데엔 이유가 있지
@Icon1790
@Icon1790 2 ай бұрын
부실공사 안해서 멀쩡한거임
@wn3645
@wn3645 2 ай бұрын
딱 들어맞는거 개쩌네 ㅋㅋㅋㅋㅋㅋㅋ
@user-vm5vg9dq8v
@user-vm5vg9dq8v 2 ай бұрын
이음과 맞춤 정말 아름답죠
@user-tg7le3vm1m
@user-tg7le3vm1m 2 ай бұрын
내가 지금 저것땜에 엄청 고생중임 영원한건 없다 15년쯤 지나니 썪은부위 생기고 벌레꼬이고 비오면 습기 머금어서 그게 몇날멸일감 냄새도나고 그냥 콘크리트가 정답임
@user-om9ni3ii2g
@user-om9ni3ii2g 2 ай бұрын
썩어요? ㅋㅋ 지붕과 창문배치를 잘못하셨나보네요 나무는 뭐하셨나요?
@Murararide
@Murararide 2 ай бұрын
흰개미 외에는 본인 관리 탓이지
@Nan-Jobnom-era-grungemolla
@Nan-Jobnom-era-grungemolla 2 ай бұрын
화작 지문에서 봤으면 개추
@user-co8jj8gt3e
@user-co8jj8gt3e 2 ай бұрын
충청도 사람이라 그런가 답답한거 모르겠거 그랬구나 그랬구나 다 듣고 있엌ㅎㅋㅎㅎㅋㅋㅎㅋㅎㅋㅎㅋ
@34Park
@34Park 2 ай бұрын
마음이 편안해지는 기술이네요
@user-mz2yb7rk3s
@user-mz2yb7rk3s 2 ай бұрын
이거 화작 지문에 나옴 ㅋㅋ
@user-fe1cz8pt8z
@user-fe1cz8pt8z 2 ай бұрын
선조들의 지능과 지혜가 와... 과학이 발전할수록 편리함에 절여지고있는거같음. 편리함을 활용하는것이 아닌,
@user-vq2rn1nx4g
@user-vq2rn1nx4g 2 ай бұрын
그게 그거임
@DANGEO
@DANGEO 2 ай бұрын
짜맞춤은 무늬가 또 예쁨
@user-ic7qg7fc1n
@user-ic7qg7fc1n 2 ай бұрын
뭔가 기분이 조아지네요
@user-xv2wi1wd7n
@user-xv2wi1wd7n 2 ай бұрын
그래서 조선 수군의 판옥선 거북선들이 충파가 가능했죠.. 물을 먹으면 나무가 뿔어서 더 단단해지기 때문이쥬 ㅎㅎ
@user-wn6wt5ne5o
@user-wn6wt5ne5o 2 ай бұрын
그리고 당시 조선군의 판옥선의 재료가 소나무와 참나무였는데.. 소나무와 참나무의 특성상 목질이 치밀하고 단단해서 삼나무로 만든 일본군 함선보다 더 내구력이 뛰어났음. 물론 단점으로는 내구력이 좋았지만, 삼나무에 비해서 같은 면적 대비 무게가 더 나아가서 속도가 느렸음.. 아까 전에 말했다 싶이 소나무와 참나무가 삼나무 보다 목질이 치밀해서임...
@user-ej3tq6kj3o
@user-ej3tq6kj3o 2 ай бұрын
​@@user-wn6wt5ne5o 어치피 현대랑 달리 그땐 물살을 완전 극복할 방법이 거의 없어서 완벽한 아웃복싱이 불가능해서 느려도 '니가 뭘 할 수 있는데' 마인드로 두들겨 배서 압박하면 이겨버렸음 게다가 국가 땅덩이 크기 이슈로 대양 전투도 아니고 골목전투 위주라...... 굳이 현대 게임으로 비교하자면 딜탱vs원딜 인데 그 탱이 존나 쎈 원거리 스킬이 있다 개념이라.... 가만히 맞아주는거 아니면 일본 입장에서도 당대 조선수군은 이론적으로도 파훼법은 '없음' 그걸 해내는 원균 당신은 대체......
@user-sf3uz7ds6h
@user-sf3uz7ds6h 2 ай бұрын
과거나 현대나 체급이 깡패다.... 저때 판옥선이 전함 이라면 일본 함선은 걍 고무 배 수준.,.?😊
@user-om9ni3ii2g
@user-om9ni3ii2g 2 ай бұрын
​@@user-ej3tq6kj3o 원균이 패한 이유가 매복한 왜군이 야간에 기습했고 부산까지 급하게 가서 다시 돌아오다고니 군심이흔들렸고 다들 피곤한 상태로 있다가 ㅜ.ㅜ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ай бұрын
물을먹은 나무는...쇠보다 질기다..!
@이니마Leenima
@이니마Leenima 2 ай бұрын
못이 없는데 망치질 소리가 들리던 이유
@생각좀하자
@생각좀하자 2 ай бұрын
대신에 걸을때나 잘때 삐걱 소리 들림 ㅋㅋ
@leddeee
@leddeee 2 ай бұрын
일본이 우리 문화재들 안불태웠으면 준나 많이 남았을텐데
@fuashole
@fuashole 2 ай бұрын
흰개미 풀면 와르르 무너지려나
@user-jq8tc5ys2f
@user-jq8tc5ys2f 2 ай бұрын
와... 대단하다 저걸 어떻게 정확히 맞추지?
@hsj9632
@hsj9632 2 ай бұрын
짜마추면 됩니다 ㅎ
@user-mikuia
@user-mikuia 2 ай бұрын
숫장부라고 한쪽을 먼저 그려서 만들고 그 모양에 맞춰서 암장부라는 반대쪽을 만듬
@DiGIMon74
@DiGIMon74 2 ай бұрын
나름 다 방식은 있긴함. 막상 시키면 못하겠치만 ㄱ ㅋㅋㅋㅋ
@mananabas79
@mananabas79 2 ай бұрын
저건 보여주기식이고 실제 목조주택이나 가구는 오차 심합니다. 저건 오랜 시간 걸려서 뽐내기용
@kumomadori
@kumomadori 2 ай бұрын
ㄱㅊ처럼 튀어나온게 수 ㅂㅈ처럼 들어간게 암
@umbrella_coffe
@umbrella_coffe 2 ай бұрын
흰개미: 와 숙성된 나무 뷔페다!!!
@highcue2021
@highcue2021 Ай бұрын
저도 술마시고 전날 기억을 주로 짜맞춰보는데요 이불킥 기억이 더욱 견고해지더라구요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2 ай бұрын
일본에 유적물 보면 우리나라엔 없는 으리으리한거 많거든 그거 다 우리조상님들이 저랬겠구나 하면 됨 어차피 우리조상님들이 만든거 맞음
@user-dc8rw9mm2x
@user-dc8rw9mm2x 2 ай бұрын
천년고찰들 저렇게다지워놔서 신라시대때부터 버티고서있죠
@user-gv4pt1ft7s
@user-gv4pt1ft7s 2 ай бұрын
지어
@kimss9988
@kimss9988 2 ай бұрын
일제시대에 일본에서 복뤈 해줬음
@K_SH0702
@K_SH0702 2 ай бұрын
우리가 부ㅇ숴줘야지 ㅋㅋㅋ 눈 에는 눈 이 에는 이
@IQ139
@IQ139 2 ай бұрын
흰개미 : 이 집이 맛집이라매?
@user-xs5sn7ui9v
@user-xs5sn7ui9v 2 ай бұрын
2023 3월 교육청 화작지문이노ㅋㅋㅋㅋ
@jamesschoi87
@jamesschoi87 2 ай бұрын
저런식의 조리법은 일본이 고도로 발달되어있죠
@SKULL_2047
@SKULL_2047 2 ай бұрын
이러면 반일국뽕들이 대댓글로 뭐라할텐데...
@dkc2018
@dkc2018 2 ай бұрын
설마? 일베는 아니라는 가정하에 설명해드림. 호류지(법륭사)의 가람은 쇼우토쿠 태자(574~622)의 감독 아래, 백제의 공인(기술자)들에 의하여 시공되었다는 사실은 의심할여지가없다 고 말하고 있다. 불교 미술사학자인 나이토우이치로우교수가 법륭사 건축 양식에 대해서 일본에는 일찍이 불교 건축의 빼어난 기술이 백제로부터 전해졌으며, 그 나라로부터 불공 등도 건너와서 가람의 경영에 임했다. 그 결과 시텐노우지, 호우코우지 등의 대가람을 일본에서 처음 볼 수 있게 되었다. 두말할 나위도 없이, 그 무렵 일본 사원 건축은 백제로부터 그 기술을 습득한것이 고밝히고 있다. ㅡ일본국은 역사 수정주의의 앞잡이 노릇은 여기서 멈췄으면 함.
@dkc2018
@dkc2018 2 ай бұрын
​@@SKULL_2047 일베임? 백제 기술이라고 일본 교수와 역사학자들까지 일본에서 스스로 인정한 기술을 반일국뽕? 한국 사람 맞냐?
@KDA_Ahri
@KDA_Ahri 2 ай бұрын
​@@dkc2018메신저 공격 말고 논리적인 주장을 해주시면 생산적이고 좋을거 같네요
@SKULL_2047
@SKULL_2047 2 ай бұрын
@@dkc2018 여봐 반일국뽕 나오잖아...
@º.스톤.º
@º.스톤.º 2 ай бұрын
*딱☆* 들어맞는거~! *크으~ 즥이네~!!*
@JesusChristEvangelicalism
@JesusChristEvangelicalism 2 ай бұрын
호류지는 670년에 화재로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습니다
@jinnycheck595
@jinnycheck595 2 ай бұрын
짜맞춤이 아니라 장부맞춤이라고 해요
@mitedang1215
@mitedang1215 2 ай бұрын
나무 조이고
@user-iy8ct1qr8l
@user-iy8ct1qr8l 2 ай бұрын
얘는 참!
@항공사건사고
@항공사건사고 2 ай бұрын
ㄴㅁㅈㅇㄱ
@voice6089
@voice6089 2 ай бұрын
뽀나나 마즐라구
@cyanblue7856
@cyanblue7856 2 ай бұрын
ㄱㅇㅈㅇㄱ
@Inexplicable-fx9uy
@Inexplicable-fx9uy 2 ай бұрын
유튜브쟁이들은 그런 거 잘 몰라 임마!!
@user-ey2ms7ly5h
@user-ey2ms7ly5h 2 ай бұрын
대박 멋있다 저런 집 짓고 집에서 살아보고 싶음
@user-eq4cl8gz4t
@user-eq4cl8gz4t 2 ай бұрын
임진왜란 판옥선도 저런식으로 건조해서 튼튼했음.
@DGJung
@DGJung 2 ай бұрын
하드카운터 흰개미
@user-ko2xv8jc2x
@user-ko2xv8jc2x 2 ай бұрын
단점은 화재에 취약하는점 입니다. 한순간 집이 훌러덩 타버릴수 있으니! 조심.
@루나집사
@루나집사 Ай бұрын
조립 시킬 때 쾌감 지릴듯..
@user-ow6lc7ve3c
@user-ow6lc7ve3c 2 ай бұрын
왜 저렇게 하는지 몰랐는데 못질보다 내구성이 좋아서였군.
@SuddenGrow
@SuddenGrow 2 ай бұрын
낮에 돋보기 하나로 해체 가능
@cjooc6015
@cjooc6015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e9ux8fs8z
@user-ce9ux8fs8z 2 ай бұрын
ㅋㅋㅋ
@ddackdae
@ddackdae 2 ай бұрын
기술력은 인정하되 빼앗긴건 기억할것
@user-gw3cg8ws4y
@user-gw3cg8ws4y 2 ай бұрын
호류지는 백제기술자들이 넘어가 지은 백제 건축기술과 형태기 오롯이 묻어나는 건물입니다.
@user-jx7mb2rc8l
@user-jx7mb2rc8l 2 ай бұрын
맞춰질때 쾌감 지리네
@Tlqkf-wn6vp
@Tlqkf-wn6vp 2 ай бұрын
딱딱 들어 맞아서 속 ㅈㄴ 시원다
@user-vs3jj8vi7c
@user-vs3jj8vi7c 2 ай бұрын
참고로 일본 목조기술 원천은 백제 기술자들이다. 일본이란 지명자체도 백제를 다른 국가에서 부를때 부르던 이름이였다.
@weatherbe92
@weatherbe92 2 ай бұрын
목재는 벌레생깁니다
@nmmr7
@nmmr7 2 ай бұрын
마감을 하잖니 멍청아
@user-Anotherdream
@user-Anotherdream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진짜 ㅋㅋㅋㅋ폴레마감처리 까지 다하는데 무슨 ㅋㅋㅋ
@uclasia5596
@uclasia5596 Ай бұрын
대학 교양수업에서 우리나라 전통 한옥들의 우수함이 돌을 깍은게 아닌 돌에 나무를 맞춰 짜맞춤되어 견고하다고 배웠는데 이후 몇년뒤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게 다 우리나라가 석재기술이 덜 발달 되어 나무를 깍은거라고 폄하했는데 진짜 마음 아팟다. 이젠 이런 쇼츠도 나오니 말하지만 목공기술이 엄청 발달했던거지 석재기술이 덜 발달한게 아님 진짜…
@user-hv1me7kn5j
@user-hv1me7kn5j Ай бұрын
진짜 평생 기억에 남는 선생님이셨겠네요.. 비록 다 이해하기에는 전 너무 어리지만 살면서 가장 인상적인 조언이었습니다
@giloj4014
@giloj4014 2 ай бұрын
호류지 사원은 호류겐!~~ 한방으로😅
@user-de1rr3ov5w
@user-de1rr3ov5w 2 ай бұрын
내추럴
@1sung_daily
@1sung_daily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p1cg1yq9t
@user-vp1cg1yq9t 2 ай бұрын
큰 지진에도 600년 버틴 거면 여기서 중국이 철근 골조가 아닌 나무 골조로 건물을 만든다는 기술은 가히 존경 스럽네요
@cryingcatakealook
@cryingcatakealook 2 ай бұрын
저렇게 짜맞춤 공법으로 조립한 다음에 목재와 목재가 결합된 부분에 못 대신 나무 조각으로 쐐기까지 박아 넣으면 목조 구조 전체를 아예 박살내려는거 아니면 무너질 생각을 걍 안함 그 정도로 튼튼함
@Gidalyeoss-eo
@Gidalyeoss-eo 2 ай бұрын
옛날에 만든 초가집들은 매년 보수를 해줘야한다는데 이건 정확한 계산없이 대충지어서 그런건가?
@user-vl5gj5us7p
@user-vl5gj5us7p 2 ай бұрын
초가집들 대부분 보수는 지붕이나 벽 보수가 대부분인걸로 알고있어요 틀이되는 목재는 어지간해서 보수할정도 망가지진않습니다 물론 문화재같은데 사용되는 목재는 코팅, 방청등 여러 작업을 추가로 했기때문에 더 짱짱한거고 보통 서민이 사는 초가집은 그렇게 추가작업이 없을가능성이 높겠죠
@noname-cs1cc
@noname-cs1cc 2 ай бұрын
그건 초가집 자체의 재료문제 입니다 특히 지붕 지푸라기라서 우리나라 기후상 썩어요 그래서 주기적으로 갈아야 합니다 그리고 벽이 흙이라서 지붕보다 덜하지만 모든게 나무 아니면 돌 기와로 이루어진 기와집 보다 보수를 많이하죠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ай бұрын
매년 보수하는건 지붕의 풀들이 썩어서 새로얹는거고. 그래서 60년대에 슬레이트와 함석판이 보급됐을때 농촌에서 열광함.
@way-of-joiner
@way-of-joiner 2 ай бұрын
ㅇㅇ 그런걸 하고 사는 1인
@user-op7yn6zc6x
@user-op7yn6zc6x 2 ай бұрын
앰생
@user-fy1zp2lx8d
@user-fy1zp2lx8d 2 ай бұрын
@@user-op7yn6zc6x 니엄
@user-fy1zp2lx8d
@user-fy1zp2lx8d 2 ай бұрын
@@user-op7yn6zc6x 니 엄도 니 보면 똑같은 생각할듯
@yuda0313
@yuda0313 2 ай бұрын
와 대단하시네요
@yuda0313
@yuda0313 2 ай бұрын
​@@user-op7yn6zc6x근데 님은 뭐임?
@Ddkd133
@Ddkd133 2 ай бұрын
이게 조선 배에도 들어갔음 판옥선이나 거북선 등 왠만한건 못으로 잘 안박았음 그래서 임진왜란때 충파를 견뎌내고 이길 수 있던 기술 중 하나였음..
@user-cv7gb1ur8n
@user-cv7gb1ur8n 2 ай бұрын
최대의 적은 불과 흰개미지...
@user-mr5hi5xq9k
@user-mr5hi5xq9k 2 ай бұрын
일본은 10년마다 보수공사한다. 한마디로 새로 짓는다
@user-lq5rk2pc4c
@user-lq5rk2pc4c 2 ай бұрын
일본 목조기술은 정말 유명하지 !!!
@user-dw4lu8cn5k
@user-dw4lu8cn5k 2 ай бұрын
백제에서 다 가르쳐줬다는게 진짜 신기함 백제 목조건축 기술이 대박이죠 오죽하면 신라 황룡사 짓는데 백제 기술자 아비지를 불렀겠음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2 ай бұрын
공간지각력이 높은사람이어야 저걸 할수있을듯. 한선도 저렇게 건조해서 판옥선이 ㅈㄴ튼튼했음. 그래서 대포도 쏘고 왜선에 당파도 치고 함
@두부팔고싶다
@두부팔고싶다 Ай бұрын
“러브젤 나오는 버섯”
@BeaVer-Home
@BeaVer-Home 2 ай бұрын
아파트 골조 대신 저기술로 가능 할까요?
@user-np1yk2ejj1wd
@user-np1yk2ejj1wd 2 ай бұрын
되겠어요?^^
@user-xg8lf7ho6y
@user-xg8lf7ho6y 2 ай бұрын
LH아파트 보다는 안전할듯
@user-on4xr1yy6d
@user-on4xr1yy6d 2 ай бұрын
느그 아파트 나무로 지어줄까?
@user-xg8lf7ho6y
@user-xg8lf7ho6y 2 ай бұрын
@@user-on4xr1yy6d 드립이잖여
@songssb0322
@songssb0322 2 ай бұрын
​@@user-on4xr1yy6d 노가다개잡부충임? 개천박하노
@natsudeshita
@natsudeshita 2 ай бұрын
아니 한국 꺼 일본이 뺏어 왔다는 논리 마치 중국의 주장을 보는 듯 하다
@user-pq8qv5qc6r
@user-pq8qv5qc6r 2 ай бұрын
그런말 한 적 없는데..
@Janissary1212
@Janissary1212 2 ай бұрын
전통 목공 기법이랬지 어느나라꺼라고 한적없음 예전부터 널리 퍼져있던 기술이고 한옥과 호류지를 그 예시로 든것임 도대체 뭘 어떻게하면 이따구로 알아들을수있는지 모르겠네
@natsudeshita
@natsudeshita 2 ай бұрын
@@user-pq8qv5qc6r 댓글들 말하는 거임 오빠
@tchazo-olowin4793
@tchazo-olowin4793 2 ай бұрын
​@@user-pq8qv5qc6r그 주장하는 사람들 무조건 있음 나도 수십번 봄
@dkc2018
@dkc2018 2 ай бұрын
일본 교수와 전문가 등, 일본 스스로 백제 기술자들이 직접 지어주어 그 기술을 일본에서 볼수있다고 인정하는데, 자국의 역사를 자랑스러워 하긴 커녕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편들며 당당하면, 뭐라해야하지?
@bono6133
@bono6133 2 ай бұрын
이거 강동원이 목공할때 쓰는방식이라던데 대단
@user-yn4zb1kx6v
@user-yn4zb1kx6v 2 ай бұрын
고구려때 성도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었다 하더라구요
Best way to connect three trees/Korea Woodworking
8:21
Hammer sound 망치 소리
Рет қаралды 134 М.
Glitterbomb 3.0 vs. Porch Pirates
22:11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A teacher captured the cutest moment at the nursery #shorts
00:33
Fabiosa Stories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Jumping off balcony pulls her tooth! 🫣🦷
01:00
Justin Flom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ЧУТЬ НЕ УТОНУЛ #shorts
00:27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Amazing weight loss transformation !! 😱😱
00:24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Building a Beeeeeacon in Survival
9:42
히카후포티츠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HYDROVENT HV1501 시연 영상
6:04
JeWorthy Co.,Ltd
Рет қаралды 635
EXPLODING Glitter Bomb 4.0 vs. Package Thieves
16:54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Locking device by turning four knobs / Woodworking DIY
9:33
검은별 공작소 B-Star Crafts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World's Largest Horn Shatters Glass
9:16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10 tools for beginners in woodworking at home
9:47
구름하우스 The DIY
Рет қаралды 663 М.
1st place Mousetrap Car Ideas
14:06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تجربة أغرب توصيلة شحن ضد القطع تماما
0:56
صدام العزي
Рет қаралды 63 МЛН
Vision Pro наконец-то доработали! Но не Apple!
0:40
ÉЖИ АКСЁНОВ
Рет қаралды 21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