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미터, 무게 13톤! 우리나라에서 가장 웅장하고 아름다운 범종이 만들어지는 과정│천 년을 잇는 소리│종의 탄생│한국의 종 (Korean Bell)│

  Рет қаралды 786,341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3년 2월 27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범종장인 1~2부>의 일부입니다.
범종(梵鐘)은 불가에서 사용하는 종, 즉 불교의 종을 말한다. 특히 한국의 범종은 그 독특한 아름다움으로 20세기 초부터 국내외 고미술학자들의 지대한 주목을 받았다. 그리하여 ‘한국 종’(Korean Bell)'이라는 세계적인 학명으로 불릴 만큼 예술품의 대열에 오른 범종을 만드는 곳이 있다.
보신각종, 세계 평화의 종, 충북 천 년 대종.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만한 범종을 만들어낸 이곳에서는 9개의 용해로에서 쉬지 않고 쇳물을 끓이고, 거푸집을 깨 범종을 만드는 일이 계속된다. 직원 10명, 최소 경력 20년, 이들의 몸에 베인 직업윤리야 말로 장인 정신이 아니고는 설명할 방법이 없다. 천년을 이어갈 소리를 만드는 이들, 혼을 담아 범종을 만드는 범종장인을 만나보자.
최고 50톤 규모의 범종을 제작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춘 한 범종공장. 이곳은 겨울 혹한을 무색하게 하는 열기 속에서 하루를 시작한다. 문양을 디자인하고 거푸집을 만들어 쇳물을 붓는 일까지, 범종을 만드는 일은 장인들의 정성으로 이뤄진다.
높이 3.3m, 무게 13여 톤에 달하는 범종을 제작하는 일은 그 어떤 노동보다 고된 작업이다. 먼저 9개의 용해로를 모두 가동해 18톤의 쇳물을 만들어야 한다. 최고 온도 1,200도까지 치솟는 용해로 앞에서 5시간이 넘게 뜨거운 쇳물을 끓이고 이것을 한 데 모으는 일은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야 한다. 거푸집에 18톤의 쇳물을 부을 준비를 마친 작업장에는 긴장감이 맴돈다.
쇳물을 붓고 3일 동안 건조를 마친 거푸집을 해체하는 일은 그야말로 중노동이다. 거푸집을 쓴 범종은 무게만 31톤. 때문에 건설기계까지 동원했지만 범종을 옮기는 과정 중 계속해서 돌발 상황이 발생한다. 매캐한 모래 먼지 속에서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이 계속되고, 문양 사이사이에 단단하게 굳은 조각들을 하나하나 직접 다듬어 준다.
범종을 만드는 과정은 같지만 단 하나의 범종도 같은 소리를 내지 않는 이유는 오로지 수작업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 소리가 천 년을 간다는 범종. 1,200도의 뻘건 쇳물이 하나의 범종으로 탄생하기까지, 장인들의 혼을 담은 열정을 만나보자.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범종장인 1~2부
✔ 방송 일자 : 2013.02.27
#극한직업 #범종 #주조 #대장간 #장인 #기술 #전통 #대형 #생산 #제조 #과정 #불교 #미술 #예술

Пікірлер: 176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3년 2월 27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범종장인 1~2부>의 일부입니다.
@user-zu7nw9dg6w
@user-zu7nw9dg6w Жыл бұрын
69ㅂㅇ
@user-zn8ov7qt1h
@user-zn8ov7qt1h 9 ай бұрын
😅0
@user-ev5wr1zp5v
@user-ev5wr1zp5v 6 ай бұрын
@DavidKim-rs3fp
@DavidKim-rs3fp Жыл бұрын
이런 작업을 1300여년전에 했다는것이 놀랍다
@user-uf8yr8xx5d
@user-uf8yr8xx5d Жыл бұрын
20톤에 달하는 범종을 천년 전에 만들때 기계화된 오늘 날도 힘든데 얼마나 큰 대사였을까 생각하면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불사가 아니었다면 가능했을까요. 깊은 불심이 가능하게 했을까요.
@user-zi8tc8of6y
@user-zi8tc8of6y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저렇게 힘든데. 그 옛날 에밀레종은 어떻게 만들었을지 말이죠
@aa-pb9zo
@aa-pb9zo Жыл бұрын
에벌래
@g.p.238
@g.p.238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만들어질때까지 녹였다 만들었다 녹였다 만들었다 그렇게 했다고 합니다
@user-jk5un2hl8l
@user-jk5un2hl8l 6 ай бұрын
@@aa-pb9zo 염라대왕이 너 잡아오게 저승사자가 곧! 갈거래...
@user-vb1sv5tc8e
@user-vb1sv5tc8e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대종은 무늬와 조직이 세밀하고 정교함이 그대로 살아있네요! 옛선인들은 저 어려운 공정을 어떻게 관리하고 제작했는지 정말 위대함이 느껴집니다.
@user-ed7ei4rn3f
@user-ed7ei4rn3f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저러겠 힘든작업이 옛날선조들은 얼마나 힘이들어을까 대단하네 대단해
@user-xz3kh3rw2p
@user-xz3kh3rw2p Жыл бұрын
불구덩이에서 연꽃을 피어내시는 분들 수고가 많으싶니다 범종을 만들어 수출을 하면 좋겟네요
@korbalmaths
@korbalmaths Жыл бұрын
땀흘리는 노동의 숭고함은 비단 이 영상 뿐만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죠. 땀의 결실 덕분에 우리가 문명의 이기를 누릴 수 있구요. 그 숭고함이 존경 받는 세상이 우리가 사는 대한민국이면 좋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bo9qf4bq3i
@user-bo9qf4bq3i Жыл бұрын
장인정신으로 일합시다. 감사드립니다. 국민은 존경합니다
@shim89
@shim89 Жыл бұрын
기계 힘을 빌려 만드는것도 이렇게 힘든데 옛날엔 도대체 어떻게 한거지 ㄷㄷ
@user-gz3ct8zv6v
@user-gz3ct8zv6v Жыл бұрын
불교 종 만드시는 분들이라 그런지 다들 말에 무게가 엄청 나시네요 존경합니다
@heeikson5033
@heeikson5033 Жыл бұрын
현대에도 이렇게 힘들고 기계로도 쉽지 않는데 옛날에는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 당시의 기술들이 새롭게 신비롭게 느껴집니다.
@Rain_grass
@Rain_grass Жыл бұрын
다들 하나같이 도인같은 외모시네요 뭔가 직업과 참 잘어울리십니다 대단해요
@user-eu6us1nx8l
@user-eu6us1nx8l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이큰종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ㅡㆍㅡ 지금은 기계의힘을 빌려서도 이정도인데 ㅎ 대단들 하셨네요 선조들의 노고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hoonsong6615
@hoonsong6615 Жыл бұрын
요즘이야 예전방식을 참고해서 현대 장비나 시설로 일부 대처해서 만든다지만, 그 당시에는 그 작업을 순전히 인력으로 했을텐데 정성이 상상이 안되네요
@user-gt2tt4ck8n
@user-gt2tt4ck8n Жыл бұрын
에밀레종, 봉덕사의 종이라는 별명을 갖고있는 성덕대왕 신종의 무게는 자그마치 22톤 이나 되니 오래전 신라인들의 주조기술과 지극 정성에 경의를 표한다.
@user-mn7ic1pr1u
@user-mn7ic1pr1u Жыл бұрын
성덕대왕 신종 무게가 18.9톤 이라고 나와 있네요.
@godhandong
@godhandong 7 ай бұрын
저시대에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fisher0191
@fisher0191 Жыл бұрын
종소리도 한국 종 소리가 제일 기품이 있는 것 같습니다. 중국 일본은 웬지 경박하거나 둔탁한 소리....... 종소리는 한국 종이 제일 기품 있고 마음을 두드리는 소리라고 봅니다. 항상 안전 작업하세요.
@michellepark7616
@michellepark7616 Жыл бұрын
범종의 최적화된 구조를 완성하기 위해 뜨거운 불길 앞에서 작품을 만드시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jumjumjum
@jumjumjum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쩔쩔매는데 옛날에는 도대체 어떻게 했던거지?
@tulflee4384
@tulflee4384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훌륭하고 경이롭기까지 한 예술품의 운반차량이 쪼끔 아쉽네요.
@user-jh3up1kz6w
@user-jh3up1kz6w Жыл бұрын
직업이시겠지만 범종제작하시는 분들. 그리고 철주물로 각종 장비.기계부품 만들어 내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무탈건강행복 돈도 많이 버십시오!
@user-yh1eo2jg7c
@user-yh1eo2jg7c Жыл бұрын
종을 제작 하는 것은 현대 기술 도 까다롭고 어렵다 우리 조상들 1500년 부터 범종을 만들었다 대단한 기술이다 종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포가 생기지 말아야 한다 또한 재질 강하면 깨지기 쉽다 우리 조상들은 그 것을 알고 청동으로 만든 종을 만들었다 청동은 연하지만 울림이 좋다 녹이 슬지 않는다
@cjsrnrdptj1009
@cjsrnrdptj1009 Жыл бұрын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지금의 기술로도 만들 수 없는 범종을 만들었을까요? 불가사의.
@user-tj1xh5de2s
@user-tj1xh5de2s Жыл бұрын
신라범종.. 대단하네
@user-fn3zq7qj7f
@user-fn3zq7qj7f Жыл бұрын
범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자세하게 알게돼서 감사합니다~2022.12.20.(火)11:35.
@robinlee3297
@robinlee3297 Жыл бұрын
이런 기술은 대가 끊기면 다시는 범종 복원이 불가능한 기술이니 잘 유지해 나갔으면 좋겠네요. 하루 아침에 축척된 노하우가 아닐텐데....
@keigokim2106
@keigokim2106 Жыл бұрын
저출산에 대물림하기 싫어서 끼리 끼리 만나지도 않고 이미 한국 자체가 대가 끊기게 생겼는데 무슨 ㅋ
@user-fy8nh7ul5y
@user-fy8nh7ul5y Жыл бұрын
니가 가서해라
@luckeyman1664
@luckeyman1664 Жыл бұрын
반장님~!! 쇳물이 튀는데, 어째서 보안경과 안전모를 쓰지 않고 작업을 합니까?
@user-dbsqkqhrnrwladmsaornrsh
@user-dbsqkqhrnrwladmsaornrsh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올라오기도 전에 쇳물통을 들어올리는건 너무 위험해보이네요. 안전한 작업으로 노동자들이 안다쳤으면 좋겠네요.
@user-ef8uc1dg8p
@user-ef8uc1dg8p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선생님
@ktbs0815
@ktbs0815 Жыл бұрын
환풍 시설도 없네?
@user-ko2kt5jk5z
@user-ko2kt5jk5z Жыл бұрын
종만드시는거보니 저런분안게시면 정말 종은 보기힘들어질것갓내요 종치시는거보니 소리가 너무 좋아요 늘 건강하셨으면합니다 화이팅입니다
@user-wq3fh9uf3z
@user-wq3fh9uf3z Жыл бұрын
작업하시는 분들에게 감사함과 존경심을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기중기로 기계의힘이 무거운걸하는데 신라시대때는 무엇으로 들고 만들엇을까. 참으로 궁굼하다.
@Zizonsungmin
@Zizonsungmin Жыл бұрын
기중기에 사람 수십명이 달라붙었겠죠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 Жыл бұрын
작품이 완성되어 나갈 때 눈물이 글성이는 감회가 눈물로 나오시는 군요 자식을 성장시켜서 시집장가보내는 마음보다 더 큰 감회가 아닌가 싶습니다. 인간은 회귀성이 존재하지만 작품은 한번내보내면 돌아오지 않으니까 그 감정이 이루 헤아 릴 수가 없는 것입니다.
@user-ne8hl7dr6v
@user-ne8hl7dr6v Жыл бұрын
얼마에요? 궁금해
@user-bc4cl2rg8q
@user-bc4cl2rg8q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장인의 숨결과 정성이 느껴져서 가슴이 박차네요~
@user-xu5sl4qo5m
@user-xu5sl4qo5m 7 ай бұрын
이렇게 일하시는 분들이 예술가요 애국자 이십니다 앞으로도 건강하게 행복하시길 기원드립니다
@Cmoung
@Cmoung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모든분들 고생많으셨읍니다 어떻게만드는지 궁금했는데 잘보았읍니다 땀만이 흘리신 모든분들께 대단하시다는 생각이듬니다 건강하세요
@user-bm6vi6xn2p
@user-bm6vi6xn2p Жыл бұрын
정말 보통일이 아니네요 ~지금 이시대에도 저렇게 힘드는데 그옛날 신라시대에 기술이 발달되지도 않은 상태에 만들어졌으니까 사상이 안되네요 정말 존경하고 칭찬하고 싶습니다 고생도많셨고 훌륭합니다 잘보아서 감사합니다 모둨께 행복과 건강을 빕니다
@user-ds7on3sy3x
@user-ds7on3sy3x Жыл бұрын
그냥 예술 그 잡채
@BK-im5hp
@BK-im5hp Жыл бұрын
진짜 역대급이네요 이런힘든거는 한번 경험해봐도 좋을거같습니다. 극한직업을 보면서 나는 참 편하게 사는구나 느낍니다 종도 아름답고 사람들도 아름답습니다.
@user-xe9vg1lo4b
@user-xe9vg1lo4b Жыл бұрын
13톤짜리 종인데 5톤축차에 실어가네 ;; ㄷㄷㄷ
@youtubelogout
@youtubelogout Жыл бұрын
안전 빵점 모든게 낡았다
@user-bl7wf7cq5f
@user-bl7wf7cq5f Жыл бұрын
이제는 한글로 만들면 좋을것같다는 나만에생각
@user-qp6fs6jd1g
@user-qp6fs6jd1g Жыл бұрын
남은 훈장의 상처들이 한국을 이끌어가는 끊임없는 정신력 입니다.
@gholbang
@gholbang Жыл бұрын
캬 진짜 잘만들더니 이렇게 어마어마한 정성과 노력이 들어가서 그렇네요
@user-wk2xe8ez6q
@user-wk2xe8ez6q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싶니다. 수고들했습니다.
@flyhigun
@flyhigun Жыл бұрын
나이먹고 다시가본 경주 국립박물관 . 에밀레종보고 와 소리 밖에 안나옴.
@user-cm4wu7io2o
@user-cm4wu7io2o Жыл бұрын
안전장비가 안보이네요. 없는 것도 아닌데 21세기에 저런 작업이라니,,,,
@user-cg8tw6rf6z
@user-cg8tw6rf6z 6 ай бұрын
정말 장인들이십니다~~존경합니다~^^
@jurgenhofmann4824
@jurgenhofmann4824 Жыл бұрын
Super Arbeit 👍👌
@bizprocess8158
@bizprocess8158 Жыл бұрын
작업자 분들 화이팅
@Putinmen
@Putinmen Жыл бұрын
Достойно, мастерство, традиции, уважаю. Который в ушанке главный. Но звучание так себе, где то упустили рецептуру.
@user-gz4ss4po1b
@user-gz4ss4po1b Жыл бұрын
@pranken90
@pranken90 Жыл бұрын
빛의 파동
@user-sv7ig1do4r
@user-sv7ig1do4r Жыл бұрын
저 위험한 작업에 안전장구 미착용? 위험하다고 말하면서 안전장구는 없나요 시청자로서 극정이 되네요
@super-JEI
@super-JEI Жыл бұрын
종의 문양이나 글씨가 1500년전 신라시대 종에 비해서 너무나 선명하고 확실하내요. 1500년전 기술은 지금처럼 정밀하게 조각하는 기술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1500년이 지나서 풍화되어 닳아저서 희미해진 것인지 그것이 궁금하다. 10여년전에 신라범종이라고 주장하는 종이 중국에서 들어왔는데, 지금 전남 보성 모 사찰에 있는데 그 종을 보면 문양이 매우 선명하여 1500년 된 종이라고 믿기지가 않은데 과연 중국산 모조품인지 아닌지 어떻게 구분할수 있는지 궁금하다.
@ktkim8945
@ktkim8945 Жыл бұрын
범종 하나 만들어지는데 많은 공정과 힘든 작업이 수반되는군요.
@maler2846
@maler2846 8 күн бұрын
십년전 영상에서도 고생하시는 것 생생한데 지금보니 안전도구라고는 종이 마스크가 다네요. 요즘에는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
@eos9998
@eos9998 Жыл бұрын
세계평화의종 38톤... 엄청나군
@user-ou5ed7vg4f
@user-ou5ed7vg4f Жыл бұрын
원씨들이 많네요
@Ippark
@Ippark Жыл бұрын
29:55 고생들은 하셨는데, 불량인 듯 싶네요. 크랙 수준이 아니라 완전 갈라진... 안타깝네요.
@godhandong
@godhandong 7 ай бұрын
작대기로 종 두께 보는거 기가차네 ㅋㅋㅋ 십자 레이저로 센터 맞추고 작업하면 정확할듯
@sungyongjeong9866
@sungyongjeong9866 Жыл бұрын
신라성덕대왕신종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신의 작품이라 뭐라 표현 할 수 없다. 아직도 그때의 소리를 밝혀내지 못하는 구나!
@jjshim1
@jjshim1 Жыл бұрын
구리합금을 자꾸 쇳물이라고 해서 정말 쇠로 종을 만드나 하고 헷갈렸네요 ㅎㅎ 원래 쇳물이라고 부르는 건가?
@user-il5jo1oj3f
@user-il5jo1oj3f Жыл бұрын
정말 아름답다.
@godhandong
@godhandong 7 ай бұрын
종 왁스칠 하고나니 간지 돋네...저래서 만드는구낭
@user-yq2mw5wh8f
@user-yq2mw5wh8f Ай бұрын
순수하게 가격이 궁금하네요
@UncleGomtang
@UncleGomtang 9 ай бұрын
딱 보니까 신라시대에도 호이스트가 있었네. 없었다면 말이 안되네요 ㅋㅋ 존경합니다.
@user-gz8gu7re7l
@user-gz8gu7re7l 6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화력을 얻기위해 나무를 얼마나 태웠을까요?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Жыл бұрын
종의 두께를 대포의 포신을 깎듯이 종의 내부를 일정하게 만들면 음계를 조절 할 수 있을까요? 궁상각치우 라든가 서양식으로 도레미파쏠라시도로 만들면 연주종들을 여러개 설치하고 노래를 연주 하게 할 수 있을까요? 국악 악기로 쓰는 편종처럼.
@user-fy8nh7ul5y
@user-fy8nh7ul5y Жыл бұрын
됨.
@dennislee178
@dennislee178 Жыл бұрын
4.5톤 최대적재량 차량에 13톤을 싣고가네요 .
@ahndre7
@ahndre7 6 ай бұрын
11톤트럭입니다
@user-yw1xu8rg5v
@user-yw1xu8rg5v 7 ай бұрын
👏👏👏
@user-dv3nk7zf1c
@user-dv3nk7zf1c Жыл бұрын
종의 기원?이네요..
@user-gd8co2ur8p
@user-gd8co2ur8p Жыл бұрын
지극정성으로...
@coffeefield7692
@coffeefield7692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도통 이걸 어찌 만들건까요…??
@seungminlee2479
@seungminlee2479 Жыл бұрын
책임감이 강하신분들이네요 존경합니다
@MyEyeSand
@MyEyeSand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얼마에요?
@god3585
@god3585 9 ай бұрын
저기서일하면 눈썹이 많이나나봐요... 짱구눈썹이 몇명이양
@kor22-24
@kor22-24 Жыл бұрын
💝
@user-ps1ij2uv2d
@user-ps1ij2uv2d Жыл бұрын
1100도 쇳물도 저리 뜨거운데 인공태양에서 핵융합 하기위해 만드는 1억도는 가히 상상히 안 가네.. 일 하시는 분들 화상입지 않게 조심조심하세요
@user-yq2mw5wh8f
@user-yq2mw5wh8f Ай бұрын
순수하게 궁금해서 그런데 무형문화재 저 분은 역할이 뭐에요.
@user-sy5kv1zn7h
@user-sy5kv1zn7h Жыл бұрын
이 큰종은 어디가면 볼수.잇나요 ?
@user-lf1xx9pi7o
@user-lf1xx9pi7o Жыл бұрын
큰절에 가시면 종각에 있습니다
@tommylee2867
@tommylee2867 10 ай бұрын
On the origin of species Tiger Bell
@user-rx9pv7xw3m
@user-rx9pv7xw3m Жыл бұрын
전통방식문화아날로그😊😊😊😅❤❤❤❤존경합니다,AI보다뛰어나요🎉
@jogyuo3383
@jogyuo338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과학 적이며 기계의 힘으로 만들지만,천년전의 신라에서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저는 이해가 안갑니다!지금도 이렇게 어려운데요.아무튼 기술자,장인 여러분 수고가 많았습니다!저는 천년전의 공법을 알고싶습니다.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감사합니다!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Күн бұрын
음... 저정도 규모면 공장 내에 고정식 크레인을 설치하는 게 좋지 않냐는 생각이 드네요.
@user-cm2yj1go5p
@user-cm2yj1go5p 8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비천상의 얼굴은 성덕대왕 신종 이 얼굴전체를 형태만 있고 조각하지 않은 것은 의미가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 이종은 뚜렷한 인면상이 조각 되어있는데 신종을 모방 하면서도 중요한 인면 조각에 대한 것은 간과한 부분이 있는듯 합니다 철학 부재 라 할수도 , , ,
@user-yi7ic4iu7f
@user-yi7ic4iu7f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런 좋은 일 하시는 분 들이 돈을 많이 벌으셨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후학 양성도 되구요...최소한 연봉 1억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bi2je6dj5v
@user-bi2je6dj5v Жыл бұрын
작업 방법이 너무 위험하네요 눈 보호구도 없고 안전에 위험해 보입니다
@-iyagi.com-
@-iyagi.com- Жыл бұрын
9:33 종 깨진것 아닌가요
@Adam_Lilith
@Adam_Lilith Жыл бұрын
9시 12분 글자 위에 반달 모양 머리카락처럼 된거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어차피 저게 세라믹 굳어진것이기 때문에 세라믹 가루로 된 지점토로 메꾸주고 사포질 하면 표시 안납니다. 어차피 쇳물온도 때문에 단단해지고요. 실재 저부분을 어떻게 메꾸는지는 알수 없지만 현재에도 점토로 된 은이나 금 제품을 파는데 그건 성형하기도 쉬워서 지점토처럼 원하는 모형을 사용자가 만들고 그대로 구우면 그게 화학 반응이 일어나서 단단한 금이 되고 은이 되는..제품마저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마 뭔가 점토같은 세라믹 제품 사용하지 않을까 싶네요, 찾아보면 현대기술로 여러 세분화된 제품들이 많이 나옵니다 액체 세라믹,액체 금, 뭐 이런식으로 말이죠. 아마 알아서 다 처리했을 겁니다.
@ebj1600
@ebj1600 Жыл бұрын
이야~~ 월급 많이 받아야 되겠다….
@user-jk5un2hl8l
@user-jk5un2hl8l 6 ай бұрын
가격은?????
@kabsoochoi6529
@kabsoochoi6529 Жыл бұрын
원씨 집안 가내 공업 수준이네. 범종 두께를 구부린 철사로 맞춘다고? 무형문화재 준 사람들 벌받을듯
@user-ql1cl6ls4x
@user-ql1cl6ls4x Жыл бұрын
역시 아무도 일하는 관리자급 누구도 사람걱정안하네 거푸집 걱정 새로 다시 만들어야될 걱정만 하네 ㅋㅋㅋㅋ이러니 젊은사람들이 안하지
@billowkim7496
@billowkim7496 Жыл бұрын
가격은 억단위 겠죠?
@csicsi7099
@csicsi7099 Жыл бұрын
이 공장은 나름 최신식이네..작업자들이 보호안경만 쓰면 더 낫겠다..
@user-zb2so1oq7y
@user-zb2so1oq7y Жыл бұрын
쩐다
@user-ew4mi4go1k
@user-ew4mi4go1k Жыл бұрын
보안경도 없네;
@user-ou2ss2fh6h
@user-ou2ss2fh6h Жыл бұрын
1등
@noalchuck
@noalchuck Жыл бұрын
안전 고글을 쓰는 사람이 하나도 없네요. 3M 투명 보안경 2천 5백원 밖에 안하는데.
格斗裁判暴力执法!#fighting #shorts
00:15
武林之巅
Рет қаралды 87 МЛН
Wh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3탄] 이제야 속을 알 수 있는 황토볼흙침대
9:27
허준흙침대TV
Рет қаралды 15 М.
How they Scrap and Recycle Gigantic Aircraft
18:11
FRAME
Рет қаралды 62 М.
07년생 자퇴생이 알려주는 자퇴 장단점!!📚
3:05
ToRung short film: he is a good friend😍
0:36
ToRung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БАСПАНАҒА ТАЛАСҚАН БАУЫРЛАР/ KOREMIZ
46:53
Көреміз / «KÖREMIZ»
Рет қаралды 228 М.
Aramızda dağlar var 😂 #funny #viral #shorts
0:12
HASAN TARHAN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Он сломал стену, но зачем?🤔
0:35
Pacan233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