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턴의 만유인력, 운동 법칙 쉽게 이해하기!!

  Рет қаралды 156,602

EBS Collection - Nature

EBS Collection - Nature

3 жыл бұрын

뉴턴이 1687년에 출판한 '프린키피아'는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저작 중 하나이다.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의 해체를 선언하며 새로운 물리학의 시작을 알렸다. 갈릴레이의 지상계 운동과 케플러의 천상계 운동을 모두 하나의 법칙으로 통일해 설명하는 체계는 자연과학의 새 지평을 열었다. 영국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천재 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사과와 지구 사이에는 서로 끄는 힘(인력)이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우주의 모든 물체들 사이에는 서로의 질량을 곱한 것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는 인력이 작용한다고 생각했다. 이를 만유인력의 법칙이라 한다. #뉴턴 #애플 #운동법칙

Пікірлер: 154
@junecho7504
@junecho7504 7 ай бұрын
정말 천재적인 다큐 만들어주셔셔 감사합니다!!
@Chemi_Cross
@Chemi_Cross 2 жыл бұрын
빛의물리학 다시보기로 한 30번 돌려봄 개꿀잼 나레이션 하시는분도 진지한게 너무 재밋음ㅋㅋ
@larkspur6200
@larkspur6200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진짜로
@shunjixu6278
@shunjixu6278 Жыл бұрын
참으로 대단 하십니다.. 천재 이십니다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user-hc9gg1ox6n
@user-hc9gg1ox6n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 재밌다. 개꿀잼이다.
@itw6393
@itw6393 3 жыл бұрын
수면제로 딱이네요! 잘 볼게욧 감사합니다.
@user-un6on1br4u
@user-un6on1br4u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인정
@Hello-sz3px
@Hello-sz3px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user-eq6vq9jl6v
@user-eq6vq9jl6v 2 жыл бұрын
Mtod
@user-el1ef9pl8l
@user-el1ef9pl8l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졸라웃곀ㅋㅋㅋ
@user-ddejsbsdks
@user-ddejsbsdks 2 жыл бұрын
무7련 무7련...
@kanuboy.m
@kanuboy.m 2 жыл бұрын
진짜 천재긴 천재다 ㄷㄷㄷㄷ
@miltonjeong8436
@miltonjeong8436 10 ай бұрын
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거 시간이 흐르는 작용의 반작용으로 질량이 있는 물질은 시간저항을 받아 시공간위에서 아인슈타인 의 중력 그림처럼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면서 만유인력을 갖게된다. 즉 아인슈타인 중력 그림에 풍선위에 공이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는 힘이 시간이 흐르면서 저항이 생기는 시간저항. 질량이 무거운 물질은 시간저항값이 커져서 그 주위는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무한대에 가까운 블랙홀은 시간이 0 에 수렴하지만 시간 정지는 될수없고. 빛은 질량이 0 이라서 시간과 같은 속도로 이동이 가능해서 시간이 0 이 가능.
@superrrbaek
@superrrbaek Жыл бұрын
이거 풀영상 어디서 보나요? 찾아도 나오질 않아ㅠ
@Sanghyeon-Lee
@Sanghyeon-Lee 2 жыл бұрын
멀리있는 달을 끓어 당기는 힘과 가까이 땅위에 있는 인간을 땅에 붙어 있게 만드는 중력이 같은 힘인것 같은데.. 도대체 어떤 가속도의 힘이 땅에 붙어 있게 만들고 달을 지구 주위궤도를 돌게 만드걸까?
@anything44083
@anything44083 2 жыл бұрын
뉴턴이 사과 떨어지는걸보고 중력의 관계를 알았다는건 사람들이 지어낸 이야기일 확률이 높습니다.
@mahammubara7422
@mahammubara7422 2 жыл бұрын
갈릴레오 뉴턴 아인슈타인...등등 세상에 나타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학자들 보면 진짜 경외심밖에 안느껴진다
@cosmos6024
@cosmos6024 2 жыл бұрын
우와~
@user-yh6jp6ix7w
@user-yh6jp6ix7w 2 жыл бұрын
지구등 행성이 둥근 공 모양인 이유가 있군요 이것들이 우연히 공모양일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msmorado
@msmorado Жыл бұрын
수학 물리학 1도 모르는데도 이건 재밌어요
@Chemistry_Physics_Biology_Math
@Chemistry_Physics_Biology_Math 8 ай бұрын
이게 곧 수학이고, 물리학입니다 .. 배울수록 어렵지만 재미나지요. 학교에서 가르치는 수업은 정형화된 주입식, 암기식 수업이라 재미가 없는 경우가 많아요.
@flex_ru295
@flex_ru295 11 күн бұрын
재밌어요...
@user-my8on2pk6d
@user-my8on2pk6d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질문있어요 한국사람 이라 이해못하는건데 만유인력은 케임브리지대학교수님이 어떻해 사과떨어지는것을 보고 달과 지구가 공전하는것을 생각했어요?왜냐하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증명할때 뉴턴의 만유인력을 생각하기때문이에요 저는 이과이거든요 쿨롱의 법칙은 뉴턴의 만유인력을 어떻해 실험을 통해 왜 공식이 나왔을까요?참고로 말하자면 쿨롱은 프랑스사람입니다.한국사람이라면 문과아닌이상 어캐 만유인력법칙을 증명하는건지 뉴턴의 생각이 무엇인지 말해주세요 진심으로 답변부탁드립니다.케임브리지대학생들꼭 답변해주세요
@SteelBloodQueen
@SteelBloodQueen 3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인류가 사과가 떨어지는걸 본 사람은 뉴턴만이 아니다. 예전에 어딘가에서 본글인데.. 기억에 많이 남아 있는..
@oilvetree5434
@oilvetree5434 2 жыл бұрын
난 본 적이 없네;;
@user-ii8sm2tt4t
@user-ii8sm2tt4t 2 жыл бұрын
나도 ㅇㅅㅇ 본적이업움
@user-me8yo3rt5w
@user-me8yo3rt5w 2 жыл бұрын
전 본적있고 그래서 뉴턴이 정말 대단한거죠
@user-sj2dc1vj9q
@user-sj2dc1vj9q Жыл бұрын
떨어지는 게 꼭 사과일 필요가 있나;
@kyh8524able
@kyh8524able 2 жыл бұрын
이분 농구잘하시네
@user-un1jr4tw5l
@user-un1jr4tw5l 2 жыл бұрын
뉴턴은 매일 오줌을 싸면서 오줌이 아래로 떨어지는걸 보고도 중력을 발견하는데 사과가 필요했다…
@atomickezam
@atomickezam Жыл бұрын
중럭은 가속도 즉 g=a 달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지구도 같이 떨어짐 그러면 안떨어짐 와우... F=MA에서 많은 도출이...
@YT-jw1nt
@YT-jw1nt 2 ай бұрын
그와중에 농구 왜 이렇게 잘해 ㅋㅋ
@ngjpgjgj9319
@ngjpgjgj9319 2 жыл бұрын
빛의 물리학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과학을 사랑하고 평소에 친구와 이야기 소재 거리로 하는 문화가 올까요?? 과학자 과학강국을 원하지만 , 평소 일반인은 과학이나 우주 이야기들 하면 외면 받기 쉽상이죠.
@larkspur6200
@larkspur6200 2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입니다
@user-zl1om5gu6t
@user-zl1om5gu6t 13 күн бұрын
먹고살기힘든데 이딴거에 관심이 있을수있음?
@anetteseong987
@anetteseong987 2 жыл бұрын
수면제는 아니고 재미있어요.~~~^---^
@puppy2628
@puppy2628 2 жыл бұрын
버스에서 만약에 제가 탔는데… 운전석 근처에 있을때 버스가 출발했어요… 그랬는때 뒤로 움직이면 더 빨리 뒤에 도착하잖아요… 만약에 이걸 두겹의 원이 겹처서 서로 반대로 움직인다면 그 안에 있는 물체는 어떻게 될까요? 더 빨리 움직일까요? 아님 그대로 일까요?
@hsb9904
@hsb9904 2 жыл бұрын
버스가 출발할때 뒤로 간다고 더 빨리 뒤로 가는게 아님. 그건 버스안에 있는 본인기준임
@MC-no8iq
@MC-no8iq 9 ай бұрын
비슷한 것 중 하나가 물방울이 아닐까 싶은데 물방울도 주변에 왜곡되고 빛도 굴절되고 가까이 가면 서로 끌어당기고
@Chlalsgurwnrdj
@Chlalsgurwnrdj 7 ай бұрын
아니 근데 달이 지구쪽으로 관성의힘이 작용해야죠
@Buuuuunnnn111
@Buuuuunnnn111 2 жыл бұрын
7:51
@user-gr5ii5xr2e
@user-gr5ii5xr2e 2 жыл бұрын
공실험 절대저렇게안되죠!
@user-db7tq6se2x
@user-db7tq6se2x 2 жыл бұрын
4:40 땅을 계속 낮추면 지구 주위를 돌 수 있다는 부분이 이해가 안돼요.ㅠㅠ 땅이 계속 낮춰지다 보면 결국 중력을 가진 물질은 없어지잖아요?ㅜㅜ 어떻게 도는거지?
@user-rp6uw8gx1g
@user-rp6uw8gx1g 2 жыл бұрын
공을던지면 포물선으로 떨어지니 계속 깍다보면 결국 원으로됨.
@taper6
@taper6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이 부근에서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가 '결론에서 도출되는 완전한 원 모형'을 평면, 즉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대지의 형태가 적용된다고 은연 중에 믿어버리기 때문인 것 같아요. 사고실험을 해 본다면, 규모가 거대한 원 모양의 땅에 서서 공을 다시 한번 던져 보세요. 그 공은 중력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떨어지고, 곧은 평면상에서 떨어지는 궤도와 마찬가지로 똑같은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질 거예요. 공이 분명하게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일치하지만 사람들의 시선으로 본다면 그 피사체는 원의 주위를 끝없이 돌고 있는 거죠. 시바견님 말대로 땅이 계속 낮춰져 결국 중력을 가진 물체가 없어지기 위해서는 공이 떨어질 때마다 그 각도가 점점 수직과 근접하게 되어야 해요.
@aeneaearaecea
@aeneaearaecea 2 жыл бұрын
@@taper6 그렇게 복잡하게 생각할거 없고, 속도가 있기 때문에 포물선을 그리는 거라고 정의하면 됩니다. 최초에 농구공을 사람이 던지잖아요. 이동하려는 힘이 끌어당기는 힘과 균형을 가졌을때 저렇게 되는 겁니다. 이동하려는 힘에 끌어당기는 힘이 추가되어 오히려 물체는 가속을 하게되죠. 우주선의 스윙바이 같은 개념이 이를 통한겁니다.
@taper6
@taper6 2 жыл бұрын
@@aeneaearaecea 오호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Chemistry_Physics_Biology_Math
@Chemistry_Physics_Biology_Math 8 ай бұрын
@@aeneaearaecea 설명이 정확하시네요, 뉴턴은 달이 원 ’운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포물선 형태로 떨어진다고 봐야하죠,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의 운동은 그저 직선 운동이겠지만 중력이 작용하여 아래로 끌어내리면 우리가 알고있는 농구공의 포물선 형태가 돼요, 그냥 수직으로 바로 처박힌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안될 수 밖에 없죠
@Sunmin-Kim
@Sunmin-Kim 2 жыл бұрын
뉴턴의 만유인력, 운동 법칙으로 쉽게 잠들기!
@Mer-de-la-lune
@Mer-de-la-lune 2 жыл бұрын
3:42~7:24
@brandonkim76
@brandonkim76 11 ай бұрын
여기서 그 중력은 어디서 오는가? 를 증명해내 아인슈타인......
@333movie
@333movie Жыл бұрын
달이..언제 ?
@lightdark1188
@lightdark1188 10 ай бұрын
중력은 사람을 찢어
@Martian417
@Martian417 2 жыл бұрын
답답한게 어느 자료도 어째서 질량이 있는 물체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지는 설명을 안했네요. 이게 핵심인데. 혹시 설명해주실 분 있을까요?
@minyoungkang8991
@minyoungkang8991 2 жыл бұрын
그건 아직까지 아무도 몰라요! 뉴턴도 아인슈타인도 중력의 원인은 밝히지 못했어요.
@Chemi_Cross
@Chemi_Cross 2 жыл бұрын
오죽하면 뉴턴도 중력이라는 근본을 알수가 없어서 모른다고 솔직히 말했죠 ㅎㅎ
@JohnB-hm5nf
@JohnB-hm5nf Жыл бұрын
중력은 가짜임
@krkim2241
@krkim2241 Жыл бұрын
그거 알아내면 노벨상 200개 받음
@krkim2241
@krkim2241 Жыл бұрын
@부힙멍청ㅋㅋㅋㅋㅋ 시공간의 휘어짐 때문에 중력이 생기는게 아니라, 시공간의 휘어짐이 중력 때문에 생기는거야 잼민이 애매하게 주워들은거로 조잘대누 ㅋㅋ
@chimy_tv
@chimy_tv 2 жыл бұрын
뉴턴이아니라 과학실험자 뉴턴
@SeongyuKim-fm2gf
@SeongyuKim-fm2gf 2 жыл бұрын
밥먹을때 보는 영상...뼈속까지 이과인
@user-px7bs2yt6m
@user-px7bs2yt6m 2 жыл бұрын
왜 나는 수학 과학이 재밋을까..
@jinshiksung
@jinshiksung Жыл бұрын
낮은 에너지 레벨
@awesome-mz2lj
@awesome-mz2lj Жыл бұрын
하와의 사과, 윌리엄 텔의 사과, 뉴튼의 사과.
@user-tb6mm9vp7u
@user-tb6mm9vp7u Жыл бұрын
중력에대힌 원리적인 이야기나오고 중력파이야기나올줄…
@cool-lf2fo
@cool-lf2fo 2 жыл бұрын
잡아당기는게 아니라 질량이 큰물체가 만든 시공간의 곡선을 질량이 작은 물체가 그곡선을 타고 떨어지는게 아닌가요? 무슨 자력이 있는거처럼 서로 잡아당긴다??
@Chemi_Cross
@Chemi_Cross 2 жыл бұрын
이건 뉴턴버전의 중력이고 본인이 말한건 엘로견트 유니버스 이런데서 보고 배운 아인슈타인버전의 중력이에요. 그내용은 이거 뒷부분에 구체적으로 더 나와요
@user-kn3nq9sl5n
@user-kn3nq9sl5n 2 жыл бұрын
뉴턴선생님 왜 미분을 만들었어요 ㅠㅠ
@user-iz7wy7pe6q
@user-iz7wy7pe6q Жыл бұрын
존나 천재다
@q07060
@q07060 2 жыл бұрын
순수과학은 왜 유럽에서 발전했을까요? 그들의 과학에 대한 사고방식은 동양인들과 어떻게 달랐을까..
@JooNGEE
@JooNGEE 2 жыл бұрын
유럽인들이 더 개인주의적이고 자유를 중시 여기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사고력이 발달한거예요 그에 비해 동양인은 개인주의를 죄악시여기잖아요. 예컨대 우리나라에서 무조건 윗사람 말 들으라고 하는것처럼 동양에서는 집단주의적 권위가 심했고, 그런 권위는 개인의 사고력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어요 그래서 동양에서는 순수과학이 발전하지 못했고, 뿐만 아니라 상업혁명,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못했죠 인류학적으로 봤을때 집단주의가 인간의 본능에 더 가까워요. 즉, 동양인은 그저 본능적으로 행동했을뿐이고 서양인은 개인주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유를 억압하는 요소를 깨부수기 위해서 혁명을 했던거죠
@gentri86
@gentri86 2 жыл бұрын
아랍 이집트를 침략 한게 유럽이라
@skykim6513
@skykim6513 2 жыл бұрын
동양은 네니요가있고 서양은 네와 아니오만있지
@laque6097
@laque6097 Жыл бұрын
서양은 자연철학 동양은 인간철학 때문 입니다.지나가던 철학자가~
@orbit__
@orbit__ 2 жыл бұрын
잡아 당기는 힘은 왜 생긴거죠?
@guitarkirk44444
@guitarkirk44444 Жыл бұрын
아무도 모름
@atomickezam
@atomickezam Жыл бұрын
공간의 휘어짐 때문에 당기는 힘이 생깁니다 왜 생기냐? 근본적인 원인은 빅뱅 초기 왜 당기게 됐는지 물어봐야 됩니다
@user-hh4yx4sq5o
@user-hh4yx4sq5o 26 күн бұрын
물과소금😢ở 중력,,,일끼ㅡㅡ🎉😢
@2s0n2u5
@2s0n2u5 7 күн бұрын
뉴턴의 만유인력, 운동법칙으로 쉽게 잠들기!
@steve-k115
@steve-k115 2 жыл бұрын
잠이 안 와서 왔어요
@kimminung1806
@kimminung1806 2 жыл бұрын
3:23 나이키
@ebw8374
@ebw8374 Жыл бұрын
구심력을 어렵게 설명해주시네요
@user-gr5ii5xr2e
@user-gr5ii5xr2e 2 жыл бұрын
공실험은 잘못된거같은데...
@StoneFly82
@StoneFly82 2 жыл бұрын
저시대에 오로지 생각만으로 저렇게 이론을 도출해내는게 싱기방기... 근데 지금 세대에 태어났으면 롤에 빠져 게임폐인 신세겠지 ㅋㅋ
@joshpark7824
@joshpark7824 3 жыл бұрын
뜬금없지만 가볍다와 무겁다의 정의는 누가정한걸까
@user-do1wj2gy3o
@user-do1wj2gy3o 2 жыл бұрын
가볍다와 무겁다는 상대적인 표현입니다
@SEXS1
@SEXS1 2 жыл бұрын
가볍다와 무겁다는 인간이 정한거임 1키로와 10키로를 두고 1키로는 가볍다 10키로는 무겁다 할수도 있는거고 10키로와 100키로를 두고 10키로는 가볍다 100키로는 무겁다 할수도 있는거임
@abcdef14352
@abcdef14352 Жыл бұрын
피라미드 지을때 노예들이 가장먼저 말했을듯
@spung0715
@spung0715 Жыл бұрын
@@abcdef1435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f9wd7mz1z
@user-rf9wd7mz1z 3 ай бұрын
그래서 그때 그 여자랑 부딪혔구나
@vandaleye
@vandaleye 9 күн бұрын
왜 잡아당기는데요?? ㅋㅋ
@user-gi3wr3wf4p
@user-gi3wr3wf4p 9 ай бұрын
난 돌머리인가 아직도 이해가 안돼~~
@user-cz4ts1ed8o
@user-cz4ts1ed8o 2 жыл бұрын
중력 없다 무거운 물체 뜨니까 250ml 제로콜라 뜨고 50그램 계란 가라앉아 중력이 있다면 제로콜라 왜 안가라앉아 중력이 떨어진다며
@sykh0000
@sykh0000 Жыл бұрын
우리 친구는 중학교때 부력이라는 힘을 안 배웠니?
@jwkim8361
@jwkim8361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피곤해지네...
@IIllIllIIIllI
@IIllIllIIIllI 3 жыл бұрын
비트코인은 왜 떨어지나요...
@Hello-sz3px
@Hello-sz3px 3 жыл бұрын
ㄴㅈ이야
@user-jo9nm7dq9z
@user-jo9nm7dq9z 2 жыл бұрын
반대편에 서있는 사람 입장에선 올라가고 있습니다.
@user-hc9gg1ox6n
@user-hc9gg1ox6n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puppy2628
@puppy2628 2 жыл бұрын
자연의 법칙인 중력을 따르나 봅니다… ㅋㅋㅋ 그래도 다시 오르네요…
@Jondugi
@Jondugi 2 жыл бұрын
코인인력의 법칙 때문입니다
@user-wd1vh2ji3e
@user-wd1vh2ji3e Жыл бұрын
이양반 주식을 왜 하셔서 말년에 쯧쯧 그러나 업적은 대단하다
@user-cr7bq8xs8m
@user-cr7bq8xs8m 2 жыл бұрын
비문학 쓰벌,,,,ㅠㅠㅠㅠㅠㅠㅠ
@deaf9870
@deaf9870 2 жыл бұрын
그냥 처 먹지 그랬냐
@user-fj5pi5xb1j
@user-fj5pi5xb1j 2 жыл бұрын
뉴턴의 이론은 틀렸잖아요,아인슈타인이 다 설명해줬는데
@SEXS1
@SEXS1 2 жыл бұрын
꼭 틀린것만도 아님 뉴턴은 중력을 힘으로 봤고 아인슈타인은 중력을 시공간의 왜곡으로 본거임 인공위성을 띄울때 상대성이론을 쓰던 뉴턴법칙을 쓰던 결과는 똑같은데 뉴턴법칙이 더 간단하고 단순해서 아직도 뉴턴법칙을 사용함
@nunjaragi
@nunjaragi 2 жыл бұрын
@@SEXS1 ?무슨 소리죠? 뉴턴 역학은 아인슈타인 중력방정식이 일상에서의 근사값이라 인공위성이나 로켓이나 이런 연구할때는 다 아인슈타인 중력장으로 컴퓨터 계산해서 하는데요
@usernamefrueu1837t2
@usernamefrueu1837t2 2 жыл бұрын
@@nunjaragi 9.8N머시기가 개구라였다니 ㄷ ㄷ
@Chemi_Cross
@Chemi_Cross 2 жыл бұрын
@@nunjaragi 대학이하의 단순 이해와 계산에서는 뉴턴식을 쓴다는 뜻 같은데 이 문맥을 이렇게 받아버리네.. 파이를 초딩에선 3으로 쓰고 고등에서는 파이 자체로 쓰는거랑 같인거자나요 그치만 실제 기술개발에선 3.14159222222 쓰는거자너
@user-uu7sj8co1u
@user-uu7sj8co1u 11 ай бұрын
만유인력 비논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구석기시대이론 저런 모순된 이론을 믿다니 ㅉㅉ 멍청하기 그지없네
@user-qw3jn7bd7i
@user-qw3jn7bd7i 2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걸 법칙이라고 만든 인간들...
@05cw
@05cw 5 ай бұрын
이딴 개구라를 믿으니까 이 나라가 이 모양이지 으이구
@limbaksa
@limbaksa 2 жыл бұрын
여기 다큐들은 왜 다 노잼임
@ngjpgjgj9319
@ngjpgjgj9319 2 жыл бұрын
님께서 과학에 관심이 없으시니까요... EBS에서 방영한 (빛의 물리학) 을 짤라서 영상 올린거네요.
@limbaksa
@limbaksa 2 жыл бұрын
@@ngjpgjgj9319 ...저 과학 좋아하는데요...
@user-hc9gg1ox6n
@user-hc9gg1ox6n 2 жыл бұрын
재밌는데... EBS가 취향에 안맞으시면 코스모스 보싈? 다큐도 있고 책도 있습니다 츄라이 츄라이
@gy5322
@gy5322 2 жыл бұрын
@@limbaksa 기본이 부족해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 하거나 그쪽이 이 내용을 이해하고 싶을 만큼의 흥미가 없기 때문이겠죠
@limbaksa
@limbaksa 2 жыл бұрын
@@gy5322 (영재고 합격자)
@user-sp8dy6qk4i
@user-sp8dy6qk4i Жыл бұрын
뉴턴은 현상만 본것이지, 원인을 안 것은 이니야. 엄밀하게는 애들 수준이지. 인력은 끌인 힘력인데 원인은 불의 힘이야. 우리 모두가 모여서 지금 컴퓨터를 보고 있는 것도 불의 힘이고. 전원 불의 힘이 있으니 애초의 원소물질들을 캐고 생산해서 불의 힘이 있는 사람들이 불의 힘으로 공장을 가동해서 컴퓨터를 생산해서 불에너지 힘으로 가동 운송되는 자동차 등 운송시스템을 이용해서 배송을 받아서는 각자들의 집에서 지금 이시간들에 전기에너지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것이잖아? 불의 작용인 끌인 힘력 인력의 작용인데 천지자연 모두가 불의 작용에 그 행동하는 영향력이 있는 것이지. 불을 몰랐던 뉴턴은 조금 애들 수준인거야. 만분지 일 조금만 얘기했어.
@pluoi7109
@pluoi7109 Жыл бұрын
난 뜰딱들이 정규교육을 받지 않고 고립된 자기세계 안에서 이상한 사이비 과학구축해서 그걸 진짜로 믿는 게 너무 한심스럽다.. 모르는 게 있으면 제발 멍청한 너의 두뇌로 너의 잘못된 지식으로 억지로 이해하려고 하지마. 차리리 이해가 안되면 이해가 안 된 채로 남겨둬.. 물리학의 언어가 수학인데 그 수식들을 대중들을 상대로 쉽게 말로 설명하는 순간부터 본질에서 멀어진다.. 뜰딱 한 마리의 생각만큼 물리학이 만만한 것이 아니란다..
@user-cq8vp7dy7b
@user-cq8vp7dy7b 2 жыл бұрын
멍청한것들~행성이 끌어당기는 것하고~우주가 끌어당기는것은 이유는같지만~상황은달라~지구에만살던~옛날사람들~상상을 따르지말라~
@SEXS1
@SEXS1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뭘끌어당겨 ㅂㅅ인가 우주는 멀어지고있구만 그리고 상황이 다른건 니네 가정사겠지ㅋㅋㅋㅋㅋㅋㅋㅋ물결 존나 치는거보니까 40대인거같은데 니도 옛날사람임ㅋㅋㅋㅋㅋㅋ
@user-zw9fn2kp5f
@user-zw9fn2kp5f Жыл бұрын
하나님이 이우주를 만들었고 과학은 신의영역이며 얼마나 신비로운것인가.. 늘 신비로운것을 보여주고 있는것인데 이 신비로운일에 반하는 것을 해야 영적인것인가? 너무 인간중심적인것아닌가?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물은 아래로 물은 항상 수평을 불은 위로 소변은 치마와 바지를 벗고 싸는게 당연한 이치이거늘 잘 생각해라
@dhqwjqj8298
@dhqwjqj8298 Ай бұрын
초등학교밖에 안나오신거같은데... 지금 직업은 노가다뛰시는것 같고..
@homo8454
@homo8454 Ай бұрын
4:45 와 소름이돋네그냥 ㅋㅋㅋ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관성의 법칙? 그건 운동에너지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 사례지 중력이랑 대체 뭔 상관이더냐 ㅎㅎ 급출발은 뒤로 급제동은 앞으로 급회전시 반대방향으로 이 당연한 물리적 운동 법칙이거늘 ㅎㅎ 아가들아 중력 그런거 없어 공기란 거대한 밀도체 즉 덩어리 속에서 살기 때문에 안 뜨고 붙어다니는 이유가 답이야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Жыл бұрын
공기는 어떻게 지평좌표계에 고정한거죠?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user-eu2wd2fk7s 그건 질량이 존재하니까 그런거지 ㅋㅋ 조물주가 그리 만들어놨다는데 신이아닌 우리 인간이 뭘 알게소 ㅎㅎ 단지 세월이 지남에 따라 과학이 발달하면서 그에 맞게 인간들의 지적능력도 업그레이드가 되는게 당연하고 ㅎㅎ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내 글 다 읽어보고 반박하려거든 둥근이유와 돈다는 이유와 당긴다는 증거 이유를 학교서 배운대로 말고 더더더 발전된 상식과 더더더 확실한 논리원리적 으로 눈에 보이듯 확실하게 설명해라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둥근지구를 본 사람은 그 누구도 1명도 없어 높이 올라가봤자 얼마나 올라간다고 ㅋㅋ 둥근 쟁반이 있어 완벽한 수평에서 눈의 시점이 1mm정도 올라가도 큰 변화는 없어 그 1mm가 고도 30여km라 보면 될거야 뭐 2,3mm도 될거야 ㅎㅎ 진공에서 산화제 첨가해서 움직이네 뭐네 하는데 절대 진공에선 작용반작용은 작용이 안된단다 만약 가능하다면 그건 작은 실험체인 진공챔버나 몇백평짜리 진공실이기도 하지 이런 경우는 진공대비 공기의 분포율이 크기 때문에 가능은 해 그러나 무지막지한 우주라는 거대한 진공속에서는 작용은 하되 반작용은 절대 못해 헬기든 제트비행기든 모든것은 덩어리체인 밀도층 즉 공기층을 빨고 내뱉고의 작용 반작용의 물리적 원리를 이용하는거야 아그들아 NASA도 첨엔 우주는 100%진공이라 한 적은 없어 단지 2% 3% 5%등등 있다고 했어 수소로 채워져 있다는 등등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등등 음모론이 생기자 달착륙 영상 자료들 모두 도난 당했다느니 등등 우주에 자꾸만 무엇을 발견했다느니 등등 계속 아무말 대잔치 차리더라 그리고 우주는 무한 하다는데 왜 쓸데없이 계속 팽창한다는 우주배경복사 어쩌고 ㅋㅋㅋ 대체 니들은 어디까지 믿을거냐 무식한것들아 뇌가 들었으면 바로 캐치해야지 맨날 우물 안 개구리마냥 외쳐댈래? 븅신짓들 하지말고 날 무시도 하지마
@Moooooong817
@Moooooong817 Жыл бұрын
지구가 평평하다고? 너가 육지에 서서 너의 눈과 수직으로 가는 배를 바라보면 점점 배가 아래로 사라진다는것 부터가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구가 평평하다는 근거는? 이슬람인들이 메카방향으로 절을 해야하는데 워싱턴에서 메카는 북동쪽에 있음. 근데 너 말대로 지구가 평평하면 워싱턴에서 북동쪽으로 직선을 그었을때 메카로 향해야 하지만 유럽쪽으로 향함. 그 직선은 지구를 평면이 아닌 구로만들면 포물선이 됌. 하지만 지구가 구 라고 가정하고 북동쪽을 그으면 메카에 도달하게됌. 그것 말고도 월식으로도 증명이 됌. 달과 태양사이에 있는 지구가 달에 도달하는 태양빛을 가려서 둥글게 월식이 일어나는거고. 너말대로 지구가 평평하면 그게 불가능하지? 또한 지구가 평평하다면 우리나라가 아침일때 우리반대편에 있는 국가도 아침이어야함. 하지만 지구가 둥글기때문에 우리가 태양에 빛춰질때 반대편은 정면에 달을 향해서 밤이 되는거임. 너가 비행기 비행경로를 평면화면으로 봤을때 포물선을그리며 가는 이유또한 지구가 둥글어서 그 길이 가장 빠르기 때문임. 이상한 뇌피셜 싸지르지말고 너보다 똑똑한사람들이 증명한거니깐 방구석 아인슈타인 빙의할시간에 다른공부를 하자.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Moooooong817 끝으로 백신 절대 맞지말고 비타민c위주로 잘 챙겨먹어라 그게 앞으로의 삶에 가장 위대한 결과물이 될 것이니라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Moooooong817 물은 수평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갖고있어 아가야 알겠냐 무엇이든지 자연의 법칙 이치처럼 쉽고 당연하고 답이니라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Moooooong817 지구가 평평해서 니가 전등하나 커놓았다고 미국서 니 전등을 보겠냐? 보이것냐 아가야 불가능혀 ㅎㅎ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Жыл бұрын
@@Moooooong817 무전기의 전파는 원래 전리층에 반사되어 상대방에게 가는거야 공부좀 혀라 몇천km의 송수신 성능이라면 만약에 6,400km의 송수신 거리가 가능하다고 가정하자 그럼 둥근지구서 전리층을 이용하는 전파가 가것냐 꼴통아 ㅋㅋㅋ
우주 탄생의 비밀, 빅뱅 이론
14:4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508 М.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Эффект Карбонаро и бесконечное пиво
01:00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지동설을 증명한 과학자
4:16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4 М.
[투머치사이언스] 아인슈타인 VS 뉴턴, 중력파는 무엇인가?
9: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Рет қаралды 28 М.
석탄, 석유, 전기 에너지의 발전 과정
13:18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43 М.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빛의 물리학  '빛과 원자'
14:44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44 М.
À quoi ressemble vraiment un atome ?
19:19
Balade Mentale
Рет қаралды 780 М.
The video you must watch if you know Newton
18:32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84 М.
Iphone or nokia
0:15
rishton vines😇
Рет қаралды 990 М.
Карточка Зарядка 📱 ( @ArshSoni )
0:23
EpicShortsRussia
Рет қаралды 612 М.
Mi primera placa con dios
0:12
Eyal mewing
Рет қаралды 576 М.
Нашел айфоны в мусорке!
0:32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27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