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최고 수준 '식품 인플레'…예상 뛰어넘은 강력한 변수는 / SBS / 친절한 경제

  Рет қаралды 5,952

SBS 뉴스

SBS 뉴스

Ай бұрын

〈앵커〉
친절한 경제 이번 주도 권애리 기자와 함께합니다. 권 기자, 오늘(22일)도 물가 소식 한번 알아보죠. 최근에 우리 식품 물가상승률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요?
〈기자〉
OECD 평균 집계가 끝난 최신 자료인 지난 2월까지를 보면, 식음료 물가 상승률 우리나라는 1년 전에 비해서 6.95%나 올랐는데요.
같은 기간 OECD 회원국 중에서 세 번째로 높습니다.
우리 식품물가가 OECD 평균보다 더 오른 건 2년 3개월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사실 우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후로 OECD 안에서 식품 물가에 비교적 선방해 온 편이었습니다.
물가 때문에 얼마나 힘들었는데 무슨 소리냐 싶으시겠지만요.
세계적인 물가 상승세가 더욱 악 소리가 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는 좀 나았다는 겁니다.
문제는 이제 OECD 다른 나라들의 식품 물가는 점점 떨어지고 있는데 정작 우리는 지난해 여름부터 다시 오르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식품 물가가 20% 안팎씩 치솟던 독일 같은 나라들이 포함된 유럽도 최근 들어서는 우리보다 상승률이 낮은 수준으로 안정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전체 물가가 오르는데 식품 물가 상승세가 미친 영향이 일곱 번째로 큰 나라로도 OECD 안에서 꼽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과일 같은 신선 식품 가격이 너무 오른 게 영향이 크겠죠.
〈기자〉
식품 물가가 다시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8월, 5.21% 오르기 시작한 8월은 우리나라의 대표 과일 사과와 배가 기록적인 흉작을 보이기 시작하던 시기였습니다.
지난해 사과 수확량이 전년보다 30%가 줄어들면서 최근에는 사과 가격이 1년 전보다 88% 넘게 올라 있습니다.
식료품 물가 산정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과일과 채소 가격이 여러 가지 크게 오르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폭이 다시 커진 겁니다.
사과와 배는 수입이 되지 않죠.
수입했을 때 함께 들어올 수 있는 병해충에 대한 위험 평가가 끝까지 돼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한국 과수 농가의 대표 수입원인 사과와 배에 대해서 수입 빗장을 푸는 데 대한 부담감도 사실 큽니다.
그래서 지금으로서는 올해는 작황이 좋아져서 올가을부터는 사과와 배를 지금보단 덜 부담스럽게 먹게 되길 기다릴 수밖에 없는데요.
문제는 지난해 사과와 배 작황을 강타했던 기후 문제가, 기후 리스크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강력한 물가 상승 요인으로 점점 더 꼽히고 있다는 점입니다.
[박상현/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 : 전 세계 농산물 가격이 작황 자체가 워낙 불투명하다 보니까 뭐가 언제 튈지 모르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 부분은 금리 (변화 등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거든요.]
우리나라도 지금 과일 물가로 기후 문제를 온몸으로 느끼고 있지만요.
세계경제포럼이 각국의 주요 인사들과 전문가들에게 올해 인류에게 제일 큰 위협이 뭐일 것 같냐는 질문을 올초에 던졌을 때 기후 리스크가 AI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나 전쟁 불안 같은 것도 제치고 1번으로 꼽히기도 했습니다.
지난해는 기온 관측이 시작된 이래 지구가 가장 뜨거웠던 해로 기록됐죠.
우리 사과나 배뿐만 아니라 최근에 말도 안 되는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는 코코아나, 최근 몇 년간의 커피, 설탕, 올리브, 토마토 그야말로 대표적인 식재료들이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수확에 타격을 받아왔습니다.
〈앵커〉
지난주에 여러 번 전해 드렸던 환율도 큰 불안 요인이죠.
〈기자〉
올해 들어서 우리나라 돈의 달러 대비 가치 무려 7% 넘게 하락했습니다.
15년 전인 금융위기 당시보다 더 큰 하락폭입니다.
그런데 사실 올해 들어서 유럽 정도를 제외하고 달러 대비해서 웬만한 화폐들의 가치가 더 떨어지고 있기는 합니다.
그래서 미국이나 유럽을 제외한 지역에서 식품을 사 올 때는요.
달러로 환산했을 때 전보다 값이 좀 떨어져 있는 효과도 있어서요.
원화만 약해진 환경인 것보다는 수입가격 상승세가 약간 상쇄될 수 있는 측면도 있습니다.
문제는 달러 대비해서 가치가 떨어진 그 폭이 원화가 세계 주요 26개 나라 중에서 일곱 번째로 큰 편이라는 겁니다.
다른 나라 물건값이 달러로 환산했을 때 저렴해져서 누리는 가격 인하 효과보다는 원화 가치가 더 많이 떨어져서 수입 부담이 커지는 영향이 대체로 더 큰 상태라는 거죠.
여기에 당분간 유가도 불안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한동안 식료품을 필두로 한 물가 불안이 이어질 수밖에 없을 걸로 보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619385
☞[친절한 경제]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y/t/?id=100000...
#SBS뉴스 #OECD #물가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36
@sanglee7877
@sanglee7877 Ай бұрын
원래 기초 식품 가격은 세계 최고였음 여기에 더 빨리 오르는 중임 그럼에도 무지한 국민들은 "뭐가 비싸 농민들도 돈 좀 벌어야지" 헛소리 하고 있음 농산물이 비싼 가장 큰 원인은 대기업 독점 구조임(5군데 도매법인) 그리고 전기 가스등 공공 요금 폭등도 한 몫 했음
@grass88107
@grass88107 Ай бұрын
금리 안올리고 총선전까지 눈돌리기하니 개판된거지 부동상 경기 침체막을라고 금리 인상안하는게 말이냐? ㅋㅋㅋㅋㅋ
@sehyeoun4088
@sehyeoun4088 Ай бұрын
집값하락으로 개인들 파산하기 시작하면 일본처럼 장기침체 불붙이는거라 그런겁니다.
@user-uy3sf5cm3m
@user-uy3sf5cm3m Ай бұрын
@@sehyeoun4088경기침체로 끝날래 imf로 끝날래? 선택해라ㅋㅋ
@leehoyo
@leehoyo Ай бұрын
​​@@user-uy3sf5cm3m 야 금리 높이면 imf진짜 가니까 그러지 밥팅아
@user-uw7cx5rs8b
@user-uw7cx5rs8b Күн бұрын
권예리 가자님 힘들게 검색해서 늘 듣고있습니다 ❤
@sehyeoun4088
@sehyeoun4088 Ай бұрын
최고수준 저금리이니 당연한거 아닌가?
@KIN3751
@KIN3751 Ай бұрын
개도국 지위도 포기했는데 왜자꾸 오르냐 농산물 개방이나 해라
@lifestylek8983
@lifestylek8983 Ай бұрын
높이 높이 올라라 ㅋㅋ 이제부터 시작이야 화이팅😊
@user-qq6sg4we5i
@user-qq6sg4we5i Ай бұрын
금리 때문이다.하루빨리 올려라~한달벌어 먹는데 다 나간다.
@user-gd5kk2fn9t
@user-gd5kk2fn9t Ай бұрын
큰사발면 1150원~1300원으로인상
@DaNa-th4ud
@DaNa-th4ud Ай бұрын
코로나때도 잘나가던 우리나라인데 지금은 ... 투표가 이리 중요한겁니다.
@topaz1397
@topaz1397 Ай бұрын
외신에서는 oecd 물가안정률 세계2위 라는데...
@user-nt7nt4kc4d
@user-nt7nt4kc4d Ай бұрын
안먹고 안가고 안사고 안쓴다! 빡세게 최소2년 글고 적당히 2년 더! ㅠㅡ
@user-kq8ee6pw7e
@user-kq8ee6pw7e Ай бұрын
금리 올려야 하는데 못 올리고 있으니 ㅋㅋㅋ 진퇴양난
@user-ld4zd6vu8i
@user-ld4zd6vu8i Ай бұрын
윤통.국민의 힘 참 문제다.이러니 19%지지율나오지.
@managerb8719
@managerb8719 Ай бұрын
물가 잡으려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건 고등학생도 안다. 근데 금리 올리면 경기가 좀 냉각되고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텐데 부동산 지탱해 주려고 그동안 금리를 안올렸다. 결국 서민 물가 보다 부동산 가격이 훨씬 중요하다는 거지 이 정부는. 이제는 시기가 늦어서 금리를 올릴수도 없는 상태니 할수 있는게 없다.
@user-xl8ip2gr6n
@user-xl8ip2gr6n Ай бұрын
농민들이 중요하냐 국민들이 중요하냐? 어차피 물가오르면 우리나라 특성상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그냥 농수산물 수입개방하자. 진짜 죽겠다! 월급은 죽어도 회사에서 올려주지도 않는데 젠장.
@user-qw3md6ig6q
@user-qw3md6ig6q Ай бұрын
먹거리 가격 폭등 대단하네요.요즘 같아서 월 천만원 버는 사람이나 먹고 싶은거 맘대로 먹겠다.. 월 천버는 사람 얼마나 되죠? ㅎㅎ
@user-bk2zw9jn2h
@user-bk2zw9jn2h Ай бұрын
건설사편 방송국답네 금리 못올려서 원화 똥값되는걸 기후문제로 풀고있네
@user-bw7cp8oj3q
@user-bw7cp8oj3q Ай бұрын
00:47 AK47 47초에 그말대로 악소리
@user-ui8et3vf4s
@user-ui8et3vf4s Ай бұрын
이제 시작이다 일본처럼 장기침체 30년 갈 수도 있다 ㅋㅋ
@shlee3163
@shlee3163 Ай бұрын
애시당초 상업사회라면서 농사 못지게 한 과거정부들 잘못. 즉 6.25 참전국가들로부터 식품수입해야 해서 + 지방호족마냥 농민들 모아서 데모 일으킬까봐
@user-yt5rc9fo8q
@user-yt5rc9fo8q Ай бұрын
응 안먹어ㅋㅋ
@Masanajae
@Masanajae Ай бұрын
코로나보다 무서운게 대석렬
@young5449
@young5449 Ай бұрын
완전 무정부 상태구만
@daymay552
@daymay552 Ай бұрын
월급은 절반 물가는 2배 참 대단하다 윤석열 정부는 일하는 꼴을 못봤다 세금이 아까워 미치겠다 무능한것들에 세금나가는것
@user-ty8eg9pq8i
@user-ty8eg9pq8i Ай бұрын
2찍들 환호하겠네
@sangmoon1931
@sangmoon1931 Ай бұрын
농민위해 비싸고 감사히 사먹자
@TV-pu5ph
@TV-pu5ph Ай бұрын
권애리기자 ❤❤❤육덕진 몸매에 검스 신고 방송하는 매너 넘 좋아 💗 💕 👌 😊 😭 😍
@ParkKiHyun
@ParkKiHyun Ай бұрын
누구 때문이라고 말하면 압색 당할거같음
How I prepare to meet the brothers Mbappé.. 🙈 @KylianMbappe
00:17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
00:29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76 МЛН
Can you beat this impossible game?
00:13
LOL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How I prepare to meet the brothers Mbappé.. 🙈 @KylianMbappe
00:17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