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기어 말이 맞음

  Рет қаралды 192,397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 600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보충 -자꾸 내연기관 때 드럼의 단점만 강조하지 말고, 전기차에 와서 발생한 디스크의 단점을 생각해 보세요. -저는 폭스바겐의 주장을 무조건 믿자는게 아니고, 그들의 주장이 합리적이라면 그 또한 생각해 보자는 겁니다. -드럼이 괜찮다면 왜 고급 전기차에 드럼을 사용하지 않느냐?는 말이 또 보이는데요. 앞으로 고성능에 맞는 분진이 없는 브레이크가 또 개발되어 들어가지 않을까요? (폴쉐의 PSCB처럼요.) -저는 드럼 브레이크가 무조건 좋다고 하는게 아니에요. 드럼을 사용한 이유가 합당하다면, 그 또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에요. -전기차에 와서 드럼 브레이크가 디스크 브레이크에 비해 제동성능, 발열 컨트롤 성능이 떨어진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혹시 찾으시면 얘기해주세요.
@612scalietti
@612scalietti Жыл бұрын
서로생각하는게 다른거고 받아들이는게 틀린데 뭐든 니편내편 가르고보는 사람들때매 참..
@josephyoon4384
@josephyoon4384 Жыл бұрын
그쪽 추종자 분들은 거기에서 나오지 마세요 ㅜㅜ 현기 전기차보다 좋은 중국 전기차 많이 사시고 즈그들끼리 좀 노세요
@nonamed25
@nonamed25 Жыл бұрын
공감하는 바입니다. 해석은 누가 맞고 누가 틀릴수도 있습니다. 때론 0가 100 그 사이 한 60즈음에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을수도 있습니다. 너무 한가지 시각에 매몰돼서 판단하기 보다는 열린 사고로 다채롭게 따져보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user-zz1nu1nt1j
@user-zz1nu1nt1j Жыл бұрын
그 사람들이 폭바 말을 못 믿는게 디젤게이트 때문이라서 생각이드네요.. 현대 싫어하는 사람들도 말하는게 현대를 믿냐 이런말을 자주하니깐요 아닐려나...;;
@gndaemonicus
@gndaemonicus Жыл бұрын
차읽남 id4 리뷰를 보시면 알수 있지만. 그분도 후륜 드럼때문에 차를 못살정도의 상품성은 전혀 아니다. 주행질감도 엄청 좋다고 평가 하셨고, 전체적인 자동차의 평도 좋다고 하시는 영상입니다. 하지만 드럼브레이크 한계주행테스트 보시면 후륜에서 연기가 많이 납니다. 전륜 디스크에 비해 발열 컨트롤을 못하고 있는 영상이 그대로 나옵니다. 그만큼 드럼브레이크의 구조적 한계는 넘지 못한 브레이크로 보입니다. kzfaq.info/get/bejne/jLB0hpt12bu4m2g.html 형. 남들 영상도 보고, 공부좀 하쟈. 형은 다양한 차량쉽게 접해볼수도 있잖아요. 그냥 차읽남님처럼 테스트 한번만 해도 바로 나오잖아요.
@supyoo
@supyoo Жыл бұрын
모트라인 말이 다 맞음. 1. 모트라인(윤성로)는 ID4 차량 전체에 대해서 (숲) 이야기 하고 싶었다. 드럼브레이크?? 모트라인은 일개 유튜버 나부랭이 이므로 기술적으로는 함부로 말하기 싫고 결과만 가지고 말하겠다. 일단 폭스바겐이 이유가 있어서 드럼브레이크를 단거란다. 핑계거리가 되니 반론의 결과가 나올때까지는 까지 못하겠다. - 일개 나부랭이로서 신중한 자세를 취하셨다고 라고 칭찬해주고 싶은데, 이걸 드럼옹호론으로 까는 사람들이 있다니.. 첫영상에서도 드럼이 일단 성능에 문제가 없는거 같다라고 했지 추켜세운적 없고 해명영상에서도 한번 더 설명함. 2. 오토기어(김정민)은 드럼브레이크가 성능에 문제가 없을수도 있지만, 회사의 워딩에 속아서 그걸 잘한거라고 칭찬하면 안된다. 라고 말했다. 이는 사실 모트라인의 워딩과 상반되는건 아니다. 기술적으로 좀더 아는 유튜버가 상인의 말을 그대로 믿지 말라고 경고한 것일뿐. - 좀 아는 유튜버는 기술적으로 접근해서 파악하고 좀 모르는 유튜버는 결과만 가지고 말하는 것이 서로 상반된 자세가 아니다. 둘다 현명한 자세이지. 3. 모트라인은 회전반경, 드럼브레이크등으로 드럼충들에게 신나게 까였지만, 언제나 그래서 차가 대단하다라고 결론내리지는 않았다. 주차등에는 회전반경도 중요하고, 여러분은 미처 생각해본적 없지만 회전반경 차이가 각 차들보다 생각보다 많이 난다고만 알려줬을뿐. 그래서 그차를 사라고 한적도 없다. 나 또한 영상을 구독하면서 내 아이오닉5가 후졌다고 생각한적 없다. 나에겐 회전반경이 감수할만한 문제이고 그렇다면 아우디 보다 내차의 가성비가 더 맘에들기 떄문이다. 윤성로의 회전반경 실험으로 아우디가 더 기술 좋은 차라고 생각이 바뀌지 않았다. 4. 오토기어는 회전반경 문제가 차의 기술적 차이라고 설명해줬다. 현대는 플랫폼을 통일하고 이륜 사륜 할것없이 동일한 회전반경으로 차를 만들었으며 아우디는 2륜에서 구동축이 아닌 바퀴의 조향을 따로 설계해서 회전을 더 주었다. 굳이 말하자면 기술력 차이가 아니라 신경을 더 써준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의 경우 조립 볼트도 사이즈를 통일하는 메이커라 당연한 방침이라 생각한다. 소비자는 선택을 하면 될 뿐. 결국 두 매체의 말이 다 맞으며, 서로 완전한 반대 선상에 있지도 않다. 오토기어는 기술을 파헤치고 나무의 품종을 살펴보는 리뷰어이며 모트라인은 품종따위는 잘 모르겠고 그래서 숲이 나에게 어떤가를 살펴보는 리뷰어다. 오토기어는 환경부 공인연비를 협잡질이 아니라고 파헤쳐주는 리뷰어고 모트라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운전하는 우리가 느끼는 것과 괴리감이 있으니 내가 한번 뛰어봐줄게 결과만 보자. 하는 리뷰어다. (물론 고속 항속주행 결과만 보여준다. 우리가 궁금한것은 시내연비가 아니라 얼마나 항속주행으로 멀리가나 이므로) 이 두 리뷰어가 각자 자기 보여주고 싶은것을 만들 시간에 충돌하는 것처럼 만들어서 서로 영양가 없는 영상을 3번이나 만들게 하는 씹선비들이 무한도전도 폐지 시킨거 아닌가?? 애초에 성로형이 ID4 를 올해의 성로차 라고 한것이 그들을 너무 자극했나??? 성로형이 나부랭이라고 느껴졌으면 올해의 차던가 말던가 무시하고 성로형이 유익했으면 그의 의도대로 큰 그림의 이야기를 들었으면 되는건데??? 나는 개인적으로 드럼브레이크단건 좀 후졌네. 근데 그만큼 타 편의기능 장점이 좋았나보다. 아무리 그래도 5천만원짜리 차를 데일리 카라고 몇몇 후진점을 눈감아 주는건 내 의견이랑 다르네... 라고 생각했음. 5천만원짜리 차면 그래도 브레이크던 뭐던 좀 넘치게 줘야지... 안그래? 형들?
@user-fp2dk6fd1o
@user-fp2dk6fd1o Жыл бұрын
장문이지만 이분말이 가장 옳은거같습니다. 물론 안볼사람은 안보겠지만
@nsc8018
@nsc8018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user-hh6ct6po7r
@user-hh6ct6po7r Жыл бұрын
공감해요.
@dr97hjh
@dr97hjh Жыл бұрын
같은생각입니다.
@Jun_10
@Jun_10 Жыл бұрын
이야~~~~~ 양쪽 채널 모두 너무 좋아하고 의견 존중하는 입장에서 이 글이 진짜 정답이네요!!!
@user-zz1nu1nt1j
@user-zz1nu1nt1j Жыл бұрын
근데 오토기어 무슨 영상인가 커뮤니티에 id버즈 드럼 들어가면 안산다고 하지 않았나요..? 내 기억이 어디선가 짬뽕된건가..;;;?
@grapefruit_jelly
@grapefruit_jelly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드럼으로 출시되면 안살꺼라했었어요
@user-oh1lz4gg1z
@user-oh1lz4gg1z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절대 안산다고 했엇음!!
@TV-sp4ww
@TV-sp4ww Жыл бұрын
일단 생산단가에서 차이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저는 공작기계 서비스엔지니어 입니다. 드럼브레이크는 2축이나 3축 기계로 손쉽게 가공을 할수있는 반면 디스크브레이크는 한번으로 끝내기도 쉽지않을 뿐더러 가공시간이 오래걸릴듯 보입니다. 시간이 곧 돈인데 ..생산단가가 차이가 나지 않을까요? 생산단가 차이는 곧 원가절감 이구요
@bibe453
@bibe453 Жыл бұрын
드럼이 확실히 생산단가가 낮다고 쳐도. 한참 설명하는게 드럼브레이크를 사용하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이게 요지라는거지. 유로7 실시되면 디스크 저분진 설계한다고 비용 더 나갈수도 있고. 이건 소비자들에게 가겠지. 개인적으로는 전기 승용차 후륜만 드럼 들어가고 딱히 이질감 없을 정도면 당장은 원가절감 효과가 난다고 해도 이유 또한 타당해보임. 회사입장에서도 쉽고 싸게먹히면서 결과값을 같게 할 수 있는 해결책 있는데 굳이 제동력 손해와 분진 발생량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다가 신기술 연구하면서 엄청 먼 길 돌아서 갈 필요까지는 없었겠지.
@user-is4el9sh7m
@user-is4el9sh7m Жыл бұрын
성로씨 너무 멀리 가지마! 제조사가 할법한 변명과 포장을 소비자 측에서 안해줘도 돼. 다른 분이 썼듯 원가절감이 뻔하지만 일상용으로 타기엔 부족함이 없고 전기차라 단점이 어느정도 상쇄 될꺼다 정도로 끝냈어여해. 왜 세세한 기술적인 이야기로 마치 드럼 vs 디스크 구도로 끌고가! 포인트도 벗어나고 방향도 좋지 않아. 너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로 들려.
@kiljohn
@kiljohn Жыл бұрын
핵심은 이것때문이지.. 제일 핵심적인 댓글엔 모트라인 대댓이 없네요
@gtr9794
@gtr9794 Жыл бұрын
@@kiljohn 본인도 아차 싶어서 일지도 ..ㅋㅋㅋㅋ
@kwl4506
@kwl4506 Жыл бұрын
이댓글이 핵심이네 ㅋㅋㅋㅋㅋ
@user-tq6xe1vj7r
@user-tq6xe1vj7r Жыл бұрын
원가 절감 맞아요ㅋ 기업은 원가절감해서 수익 창출이 목표 입니다. 다만 단순 원가 절감은 제품의퀄리티 하락으로 비슷한퀄리티에 원가 낮은거 쓰는건 당연합니다. 원가 낮출수 있는 개발에 투자 하는것도 당연 하구요. 원가 비싼걸쓰고 쓰레기로 만드는 회사를 믿거 해야죠.
@sojinseong6833
@sojinseong6833 Жыл бұрын
간단하게 한국에야 싸니 괜찮은데 독일에서 미친듯 까이는건 저렇게 원가절감 해놓고 가격이 6만유로라는거죠 ㅋㅋㅋㅋㅋ 거기다 최고속도 160ㅋㅋㅋㅋㅋ 아니 무제한 고속도로 있는 나라에서 저속도는 어이가 없는거죠
@user-us4km2ys5q
@user-us4km2ys5q Жыл бұрын
모르는 내용도 잘 이해했습니다. 내용에 충분히 공감이 가네요.
@wenchia_
@wenchia_ Жыл бұрын
테슬라 탑니다. 원가 절감 한답시고 서스 빼버려서 승차감이 어쩌고 저쩌고????? ㅋㅋㅋ 그래서 서스 했습니다~~ 맞는 말입니다~ 원가절감의 대명사 테슬라이지요~
@BLADE..RUNNER
@BLADE..RUNNER Жыл бұрын
굳이 드럼충이라고 멸칭을 쓰는 거부터가 잘못이지... 100가지 중 1가지가 맘에 안들어도 안살 수 있는 거고 99가지가 맘에 안들어도 1가지가 맘에 들어서 살 수 있는 게 소비자인데 뭘 그렇게 자기 주장이 맞다고 빠득빠득... 건강한 정신상태라기 보다는 나르시시스트에 가까운 듯한데 자기 객관화도 일기를 쓴다던지, 명상을 한다던지 훈련을 통해 가능하니까 고려해 보시구요.
@seokwoorhee2378
@seokwoorhee2378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모트라인 정말 좋아하는데 이번은 실망이 크네요. 드럼충이라...니
@shb3069
@shb3069 Жыл бұрын
이런식으로 대응하는거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뭐 일부러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자극적으로 만들어서 조회수 뽑으면 좋으니까요ㅎㅎ
@hkbayarea365
@hkbayarea365 Жыл бұрын
이모든 것이 장단점을 따질 때 가격이라는 변수를 따로 떼 놓고 생각하기 때문인거 같네요.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전기차라는 특수성을 고려해서 강점이 극대화 되고 단점이 커버 된다면 드럼을 쓰는 것이 크게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원가절감이라는 것이 무조건 나쁜 것이라는 인식이 생긴 것은, 단점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싼 부품을 썼기 때문이죠. 더 싼 가격에 전기차 특성을 고려해서 단점이 커지지 않고 장점을 그대화 시킬 수 있다면 그건 오히려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좋은 원가절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jaewookim7313
@jaewookim7313 Жыл бұрын
ID4에 같은 가격으로 하나는 디스크와 성능차이 없는 드럼을 끼워주고 하나는 디스크 끼워줄때 소비자가 어떤걸 선택하는지 보면 논쟁 끝. "소비자는 제조사의 입장에서 판단할 필요가 없다"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Жыл бұрын
백이면100 디스크 반박불가 😆
@dimitri_Kim
@dimitri_Kim Жыл бұрын
그건 비유가 잘못됐죠. 5천만원에 드럼할래? 5100만원에 디스크할래? 내지는 5000만원에 전륜2p+후륜드럼할래? 5000만원에 전륜1p 후륜1p할래? 정도여야 그럴싸 하지 않을지. 뭐 선택권이 있다면 나라면 100더 내더라도 디스크 할거 같긴 함. 원가절감할거면 그나마 옵션으로라도 할수 있게 해놨음 욕 덜 먹었을듯.
@user-ec4yb6fc4h
@user-ec4yb6fc4h Жыл бұрын
@@dimitri_Kim 지금 차 가격이 그대로라서 문제인거 아닌가요? 차 가격이 내렸나요?
@dimitri_Kim
@dimitri_Kim Жыл бұрын
@@user-ec4yb6fc4h 그건 판단불가죠. 중간에 차값그대로인데 옵션을 바꾼게 아니라 처음부터 저 구성에 저 가격이었으니까요. 원가 절감했다고 해서 제조사가 마진을 더 가져갔을거라는것도 억측이고 반대로 마진은 그대로에 차값을 낮춰서 출시 했다는것도 억측입니다. 제조사 주장은 이가격에 팔기 위해서 원가절감 한거라는 입장이니 그냥 소비자가 현재 시점에서 비싸다 싸다를 판단하면 될 문제라고 봅니다.
@user-ec4yb6fc4h
@user-ec4yb6fc4h Жыл бұрын
@@dimitri_Kim 애, 맞는 말입니다. 억측이죠. ^^ 다만, 전기차 가격이 저렴한건 아니죠. 그에 맞는 부품이 있어야 된다고 보는거죠. 타이칸에 드럼을 안쓰는 이유죠.
@ashhh2210
@ashhh2210 Жыл бұрын
현대차가 드럼 썼으면 토론이고뭐고 원가절감했다고 매장당함 ㅋㅋㅋ 폭바라서 토론이나 되는거지
@hwyeo80
@hwyeo80 Жыл бұрын
오토기어 모트라인 정말 말씀들 잘하십니다.저는 아우디 고급브랜드에도 드럼 브레이크가 적용될지 매우 궁금합니다.
@nuhehehe
@nuhehehe Жыл бұрын
q4에 들어갔자나요.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아우디 상위 기종에는 폴쉐의 PSCB가 들어갑니다.
@sorieil
@sorieil Жыл бұрын
영상을 잘 보세요...
@chartres89
@chartres89 Жыл бұрын
Q4 EV에 드럼 브레이크 들어갔습니다 (ID4랑 형제차)
@audia5softbackslins444
@audia5softbackslins444 Жыл бұрын
드럼브레이크,디스크브레이크. 내연기관 차랑은 다른 관점에서 봐야할것같아요.
@user-jn1ce9ii8m
@user-jn1ce9ii8m Жыл бұрын
논란을 누가 만드는지 참. 계속 아닌척하면서 저격하고 본인은 매너있는척 오지고 댓삭하고 보기좋은것은 나두고 보세요 얘도 그랬데요~~ 영상 링크해고 ㅋㅋㅋㅋㅋ 성로 스트레스 때문에 더 작아질라.
@shp3172
@shp3172 Жыл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내 말에 반대하면 내가 틀렸나 생각해보고, 그래도 내 말이 맞는 것 같을 땐 내 태도에 문제가 없었나 생각해볼 필요가 있음.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귀여운 것들 어디까지 하나 해보자 한번 ㅋㅋ
@shp3172
@shp3172 Жыл бұрын
@@Motline 귀엽게 봐주는 건 고마운데 생각은 좀 해보길.
@key_sight
@key_sight Жыл бұрын
명언이네요
@shchung487
@shchung487 Жыл бұрын
​@@shp3172 니 머리에 대입해봐 ♡ 쇠교수 테슬라 100달라 간다고 구라치고 도망간 구라새끼야 ♡ 민망해서 노트북 빨고 잇다 ㅋㅋㅋ
@cjyoubird
@cjyoubird Жыл бұрын
근데 드럼브레이크는 ABS시스템에서 불리할 수 없는 방식 아닌가여?? 이 점이 궁금해지네여
@user-ed6vb5cm4w
@user-ed6vb5cm4w Жыл бұрын
에비 시스템 시스템
@hdi08
@hdi08 Жыл бұрын
섬세한 ABS 컨트롤을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더 낫긴 합니다. 드럼은 아무리 섬세해도 디스크만큼은 안돼요.
@sorieil
@sorieil Жыл бұрын
@@hdi08 회생브레이크가 더 섬세합니다..
@sqnhanq
@sqnhanq Жыл бұрын
결론 났네요. 오토기어는 소비자 중심으로 얘기하고 모트라인은 제조사 입장에서 얘기하네요.
@bong9905
@bong9905 Жыл бұрын
그러네
@user-mu2my7jf7b
@user-mu2my7jf7b Жыл бұрын
다른거 볼거 없어요. 기업 편에서 설명하면 그냥 끝인거에요. 계속 우기는건 이유가 있는거죠. 이번 계기가 모트라인의 전환점이 될겁니다. 신뢰를 잃으면 회복이 어렵죠.
@user-xv3uv8ku6w
@user-xv3uv8ku6w Жыл бұрын
폭스바겐 컨티넨탈 광고 문구 읽어주면서 이걸 믿겠다는데 그럼에도 사리 분별이 안되는 사람들은 뭘까요? 언제부터 자동차 리뷰어가 제조사 광고 문구를 보고 이러니 믿습니다.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까? 이래도 이상한걸 모르다니ㅎㅎ
@user-nm2gu7if8g
@user-nm2gu7if8g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대단하시네요
@Garacer
@Garacer Жыл бұрын
이것저것 시도 해보는게 좋다고 봅니다. 선택은 소비자가 하면 되는거구요.
@ybh2864
@ybh2864 Жыл бұрын
가성비고 원가절감이고 모고 모르겠어요. 자동차 100년 시대를 거슬러 오면서 디스크가 주로 박혀 있는 이유가 있을것이고 드럼은 꺼져버린 이유가 있을것인데 실제 운전만 해봐도 디스크가 보여지는거 포함 유지관리비용. 등 오너입장에서 모두 디스크가 압승 이것도 어떻게 압승인 건지 궁금하다고 답글 다실건가요 성로형?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저도 내연기관 기준으로는 말씀하신 부분에 100% 동의해요! 하지만 지금은 전기차를 얘기하고 있고, 전기차 방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드럼브레이크를 얘기하고 있기에 함부로 판단해선 안되는 영역이라는 말씀을 드리는거에요!
@racesuey
@racesuey Жыл бұрын
성능+원가 절감 두가지다 팩트일수가 있는데 왜 이런 애기가 나오는건지 모르겠네요. VW 북미법인이 이미 해외 언론 인터뷰에서 성능(단일 제동과 주행거리), 원가 절감 두개 다 맞다는식으로 인터뷰를 했습니다. 해외에선 이미 철지난 떡밥이에요. VW 북미 법인 인터뷰보면 드럼브레이크가 평소에는 회전저항이 아에 없고 전기차는 회생제동 때문에 브래이크 걸릴일이 거의 없기에 드럼브레이크로도 충분하다. 평소에는 회생제동으로만 다니다 가끔 급브레이크시 브레이크가 걸리면 드럼 브레이크가 유리하다... 라고 하면서 드럼 브레이크로 인한 원가 절감 + 전기차 가격 저하에 대한 코맨트는 답변을 안했습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드럼 브레이크가 더 저렴하거든요.. (이건 폭스바겐 부품 시스템에서 가격만 떠봐도 찾아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차 가격이 비싸기에 이러한 원가절감으로 차량 가격을 낮추는게 유리하고 필요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테슬라를 예로 드셨는데 테슬라 모델3에서 속도계 빠지고 요즘 독일 브랜드들이 터치 버튼류들 넣어서 사용성이 올라갔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두가지는 확실하게 가격 절감을 위해서 했다는게 정론이거든요. 한국에서는 별로 문제가 없는것 같지만 유럽 미국에서는 골프 핸들 터치 패널 문제가 많아서 빠르면 내년부터 빼버리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모델 3 사용자들 불편해서 속도계 달고 GPS 핸드폰이랑 연결해서 속도뜨게하는건 한국에서만의 현상이 아니죠 그리고 ID.3 GTX 고성능 트림에는 후륜에도 디스크 브래이크가 장착된다고하는데 이럴 경우 드럼 브레이크의 장점 (단발 제동, 주행거리 증가, 원가절감)보다 고성능 차량이기에 여러번 제동하는게 더 중요해서 그런것이겠죠?
@swjang4504
@swjang4504 Жыл бұрын
이런 팩트 댓글엔 성로씨 얌전하네.
@gewfsdfsdfsfgg7140
@gewfsdfsdfsfgg7140 Жыл бұрын
@@swjang4504 성로씨 여깁니다 왜 가만히 있나요 이런 댓글은?
@user-ec4yb6fc4h
@user-ec4yb6fc4h Жыл бұрын
환경을 생각 안해서 쓰는거죠. ^^ 생각하면 드럼 써야죠.
@user-jp8gj6nc4y
@user-jp8gj6nc4y Жыл бұрын
재밌는 사실은 자기 차에 드럼할래 디스크할래 물어보면 다 디스크 선택함..
@user-gg8tv2gt6v
@user-gg8tv2gt6v Жыл бұрын
원가절감 맞다고봄. 보통회사에서 원가절감이 아니면 상품성때문에 밖에서 보이는 부품은 바꾸지 못함. 더 기술 개발해서 문제를 보완함. 참고로 원가 절감한만큼 차값 내려가지 않음. 400만원짜리 헤드라이트는 100에서 200만원치 부가가치 창출함. 그리고 사람들이 있어보여서 구매함. 디스크 브레이크처럼. 자동차 기술은 편의성, 성능, 원가절감으로 발전함. 이중에 해당 안되면 개발안함.
@FlameREDD
@FlameREDD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싼 부품으로 대체하면 원가절감이 맞습니다. 테슬라가 레이더를 빼고 오토파일럿을 구현한다고 하는데, 그것도 원가 절감이죠. 원가절감 자체가 나쁜건 아닙니다. 더 적은 비용으로 같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 기업 입장에선 선택하는게 아주 당연한거죠. 하지만 원가를 더 쓰고 더 좋은 성능을 내게 만들어서 소비자들에게 이득을 돌려준다는 선택지도 분명히 있도, 원가를 줄여서 가격을 줄인다는 선택지도 분명 있습니다. 원가 절감의 이득이 소비자들에게도 돌아가야 모든 면에서 납득 할 수 있는 겁니다. 누구를 위한 원가절감이냐 하는 문제만 남는겁니다. 드럼브레이크의 성능은 열이 오르기 전에만 좋고, 지속적으로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성능이 디스크대비 더 빨리 열화된다는건 팩트입니다. 성능 절대치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저렴한 브레이크를 썼다는 사실을 지적하는게 잘못인가요? 스마트폰 예를 들면 애플은 경쟁사대비 램을 적게 씁니다. 물론 최적화 잘 해서 쓰는데 불편함 없다지만, 램이 많은 모델과 적은 모델을 비교해보면 차이는 분명 납니다. 램 적게 쓴 것에 대해 원가절감이라고 지적할 수 있는 부분 아닌가요? 혹자는 이렇게 말 하겠죠. 그렇다면 비싼 상위모델 사면 되는거 아니냐구요. 그렇다면 id4나 q4 etron보다 더 상위 제품을 구입하라는 이야기밖에 안되는거 아니겠습니까? 애플 아이폰에서 더 높은 램이 더 큰 만족감을 준다 처럼, 디스크 브레이크가 드럼 브레이크 대비 더 나은 안정성을 보이는건 사실입니다. 램을 적게 넣는건 원가 절감인 것이고, 드럼 브레이크를 쓴 것 또한 원가절감임은 틀림 없습니다. 다만 램을 적게 써도 사용상 큰 불편감은 없고, 드럼 브레이크를 써도 일상 주행간 큰 불편감 없을 것 또한 사실입니다. 다만 이런 원가 절감 대목에서 지적 받는 것은 이 원가 절감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이익이 되냐 하는겁니다. 단순히 뭐 브레이크 15만km 보증하는게 드럼에서 디스크로 바꾸는데 상응하는 이득으로 여겨지진 않는다는겁니다. 말 한 대로 디스크 브레이크의 후륜 패드도 그만큼 안닳아서 교환 주기가 길어질거구요. 커넥티드도 빼고, 브레이크도 바꾸고 하면서 많은 원가절감이 들어갔는데, 소비자들에게 그 이득이 얼마나 돌아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의미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 부분들이 다른 경쟁차량 대비 분명 열세인데, 열세이지만 상관없어 라고만 하고 넘어갈 수는 없다는거죠. 문제 있어? 문제 없으면 괜찮아! 이런 논리로 귀결 되는게 제조사가 가장 원하는 것입니다. 설령 일상적으로 문제가 없더라도 그 이익이 소비자들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야 맞다고 봅니다. 테슬라가 레이더를 빼고 원가 절감을 한 만큼 차가 저렴해지던가, 그만큼 성능을 개선 했으면 레이더까지 넣고 더 좋은 성능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던가요. 그런걸 이야기 해야 제조사들이 자극받지 않을까 싶네요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전체적으로 뛰어난 상품성을 갖고 있다 생각합니다.
@user-ct9to8ji4y
@user-ct9to8ji4y Жыл бұрын
물리적인 재료들을 아끼는게 원가절감입니다.
@nurungiiii
@nurungiiii Жыл бұрын
@@hare10041 저도 오 괜찮은데? 하다가 통신모듈 없는거 보자마자 이건 ㄹㅇ살놈만 사는차다 싶었음ㅋㅋ
@Ah_pic_14
@Ah_pic_14 Жыл бұрын
그럴거면 아반테(n말고 일반)에 4p 브레이크 달아달라 얘기하세요 돈 들이면 좋아지는 건 당연한 시장 이치입니다 차량마다 컨셉이 있고 그 컨셉의 실용구간+@에서 별 문제가 없다면 싸게 가는게 맞습니다 원가 조금 포기하고 소비자에게 좋은 성능? 그걸 몇천만원짜리 파는 수십만대 파는 회사한테 바라는 건가요? 그런거 포람페한테 바라는 거에요 적은 대수를 팔이도 마진을 남길 수 있다는 회사나 그렇게 하는 거지 대중차 브랜드가 그걸 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 ㅎ 회사 망하라는 겁니다
@MKL2328
@MKL2328 Жыл бұрын
@@Ah_pic_14 혹시 4p가 무조건1p보다 잘선다고 생각하는건 아니지?
@pstarke1066
@pstarke1066 Жыл бұрын
드럼브레이크를 옹호하면서 운동성능을 논한다? 본인이 앞뒤안맞는 얘기 하고있는건 모르시죠?ㅎㅎ 그리고 유럽가봤으니 아시겠지만 거긴 산은커녕 언덕 구경하기도 힘든 평지 그자체인반면 우리나란 언덕길 고갯길 많은 산악지형임 이런 환경차이를 싸그리 무시하고 기업서 어련히 알아서 잘하지않았겠냐고 얘기하는건 진짜 리뷰어로서 선넘는 발언인데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포르쉐 행사를 간적이 없는데 무슨 미친소리임. 그리고, 드럼브레이크 때문에 ID.4 운동성능 거지같다는 근거부터 찾아보렴.
@pstarke1066
@pstarke1066 Жыл бұрын
@@Motline 전기차 회생제동이 아무리 좋다한들 무게탓에 내리막 와인딩코스에선 브레이크 밀리는 증상이 생기는데 디스크보다도 제동 지속성이 떨어지는 드럼브레이크가 운동성능이 좋다구요??
@jingu86
@jingu86 Жыл бұрын
다른부품보보다 싸니까 쓰는게 원가절감이 맞다니까. 제조사입장에서 싸니까.쓰는게 원가절감이지. 환경문제 고 머구 결국 싸니까.쓰는거라니까 먼소리인지 디스크브레이크도 환경규제 가능한데 디스크보다 드럼이 싸니까 쓰는거라니까. 먼자꾸 이유가잇응거다 들어보자 이러고잇네. 원가절감은 매출원가를 낮추고 이익을 남기는 제1순위항목이니까. 성능이 더좋지만 비싸서 안쓴다/ 성능은 구리지만 싸니까 쓴다 이게 원가절감이다. 근데 안전과 환경에 직결된 문제이니 이부분은 원가절감의 싼부품은 위험하니 문제를 제기하자 이부분인데 흠. 수리비문제가 아니라 생명과 직결되느안전문제 라서 제기하는 문제 일텐데 주장의 핵심을 모르시넹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무슨 기업한테 사기당한 피해의식이라도 있음?
@user-rt5hi5pb9f
@user-rt5hi5pb9f Жыл бұрын
어떤 카메라 쓰시나요? 색감 너무 좋아 버리고
@MochaDesert2296
@MochaDesert2296 Жыл бұрын
얘길 들어보니 공감 가는 내용이네요.
@user-qe6df9en3o
@user-qe6df9en3o Жыл бұрын
전형적인 물타기에 본질흐리기네요. 본인의 의견에 살부쳐서 이야기한다고 드럼충이라 이야기하며, 다른영상의 앞뒤 자르고 이야기하는 모습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환경규제도 좋고 드럼브레이크도 다좋습니다. 하지만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것도, bmw egr사건처럼 시간이 지나서 나올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소비자는 알지못하죠, 하지만 일게 유튜버도 알지못한다고 하시면 많은 구독자가 알지못하는 사실이 문제가 없다고 받아들이는 오류가 생길수 있습니다. 정말 환경을 생각해서 만든 드럼이라면 앞뒤를 다했어야 했겟죠 거기다 전기차로서의 이점도 있다면 더더욱 앞뒤를 해야죠. 아직 아떤것이 좋은지는 모르지만 자동차 유튜버라면 사실에 조금더집중해주시고 , 자동차 회사들의 와치독이 되어줄 필요도 있습니다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아직 무슨 문제가 있는지 모르는데 왜 까냐고ㅋㅋㅋ
@user-qe6df9en3o
@user-qe6df9en3o Жыл бұрын
@@Motline 모르니깐 사실이 집중해주고 자도차 회사들의 와치독이 되어달라는겁니다. 폭바의 디젤게이트, 현대의세타엔진, 다카타 에어백처럼 당시에는 아무도 몰라지만 큰회사가 소비자를 속이고 비용을 아끼려했고 에어백이 나를 지키는게 아닌 내목숨을 위협할수도 있다고 나중에 알았습니다. 현재 문제가 없으니 까지마라? 그말이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무책임한 말이 될수 있는지 생각해주시고 이런부분이 나중에 문제가될수도 있다라고 정보전달도 해주세요
@3355ss
@3355ss Жыл бұрын
누구편드는거 아녜요.. 운수업 종사자 입장에선 승용에서는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으니 못느끼겠지만, 상용차들은 디스크가 성능도 좋고 안전상으로도 좋습니다.(드럼의 가장 큰 취약점은 드럼 안쪽에 물이차면 브레이크가 안듣는다는 거지요. 여름 폭우 하수도 막혀 물바다 되면 드럼만 탑재된 차량들은 정말 조심해야 됩니다. 경험자임.. 시동끄고 압빠진 브레이크마냥 딱딱해지며 쭈우욱 밀려나감) 원가적으로 봤을땐 디스크타입이 훨씬 더 비싼건 맞아요. 상용차에서는 드럼 기본에 디스크옵션 넣으면 비용이 꽤 들어갑니다. 그리고 제동력도 디스크 옵션 넣은차가 훨씬 좋아요(요즘은 국내 상용차도 드럼보단 디스크 기본적용 되는 추세 입니다). 드럼 좋은점은 휠이 디스크에 비해 다소 깨끗하게 유지된다는거... 물론 드럼커버 벗겨내면 재가 쌓여있지만...
@3355ss
@3355ss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드럼이 원가절감이라 생각할 수 없는게.. 디스크타입 넣으면 그만큼 차값 올려받으면 되는거 아닌가 싶네요.
@user-vl5gj5us7p
@user-vl5gj5us7p Жыл бұрын
디스크타입이 제동력이 좋고 분진이 덜쌓이고 정비성도 좋은건 맞지만 화물차 특성상 고중량이라 내구성에선 너무 취약하더라구요 상용차 정비했는데 신형마이티경우 짧게오신분은 4만키로도 못타시더라구요 디스크가 정비사에게도 훨~씬 편하고 돈도 되고 합니다....
@ohjonghyen3095
@ohjonghyen3095 Жыл бұрын
드럼충? ㅋㅋㅋ 양쪽 채널 즐겨보는 일인 인데 거만이 하늘을 찌르네… 차알못 시절이랑 다른 사람이 됐네 반박시 니말이 맞다니깐
@voiceonetop8654
@voiceonetop8654 Жыл бұрын
야는 너무 모르는데 신념은 너무 강하니깐 그 확신의 찬 눈빛과 언행은 광기에 가깝다
@user-yj2ig4qj4z
@user-yj2ig4qj4z Жыл бұрын
좀 실망이네요. 영상 초반에 사용한 버즈 구입 희망한다는 부분에 당사자가 당시에 드럼이 들어가는 걸 알고 구입을 희망한다고 했는지 확인이 된건가요. 당시에 기본적인 사양 말고는 정확하게 공개된게 없던때 아닌가요. 확인하고 자료화면으로 쓰신거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런식의 조롱은 자신의 인격에도 타격이 되지 않을까요. 각자의 의견은 다를수 있고 갑론을박이 있을수 있지만 타인을 조롱하는건 아닌거 같네요.
@YoonSungro
@YoonSungro Жыл бұрын
확인도 안된 차를 좋다고 산다고 하면 됩니까?
@user-yj2ig4qj4z
@user-yj2ig4qj4z Жыл бұрын
@@YoonSungro 성로씨 말대로면, 논리가 부족하네요. 그영상에서 그차를 어떤 용도로 쓴다고 하던가요? 캠퍼로 개조해 쓴다고 하지 않던가요? 캠퍼는 주용도가 가족과 나들이에 쓰지 않을까요? 그런데 기존 내연기관에서 퇴출된 제동장치가 중량도 더 무거운 차에 들어 갈거라고 생각했을까요? 더구나 그 당시에는 더더욱 알수 없었을거구요.
@alstjr6019
@alstjr6019 Жыл бұрын
공감. 비교 우위논리는 피해야합니다.
@Jason-Lee.
@Jason-Lee. Жыл бұрын
드디어!!
@user-uj9zi1cs8g
@user-uj9zi1cs8g Жыл бұрын
영상 인트로 수정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드럼 장착되면 무조건 안산다고 주인장이 공개적으로 이야기 한걸로 아는데??? 7개월전 영상 ㅎㅎㅎ
@user-zn1gf1jg8c
@user-zn1gf1jg8c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말 궁금증에 여쭈어봐요! 비꼬거나 시비 아닙니당~ 혹시 그 7개월전 영상이 어떤건지 공유 좀 가능하실까요??
@user-uj9zi1cs8g
@user-uj9zi1cs8g Жыл бұрын
@@user-zn1gf1jg8c 12초에 인용된 아이디버즈 영상이 올라온게 7개월 전이란 이야깁니다. 오토기어 주인장이 저차를 애정하는데 나오면 무조건 산다고 당시에 이야기 했었죠. 하지만 현재는 드럼 장착에 대한 소식이 들려오면서 만약 드럼으로 아이디버즈 출시되면 절대 안산다고 공개적으로 이야기 한걸 말씀드리는겁니다. 말꼬리 붙잡고 저격을 하려니 인과관계가 엉망이 되는것이죠. 모르는 사람이 볼때는 드럼 달린 버즈는 산다면서 왜 드럼 깜??? 이런 논리가 되는겁니다. 그러니 저격 소리나오는거죠.
@birth10n18
@birth10n18 Жыл бұрын
원가절감이라는 부분이 부정적으로 느껴지는건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직관적인 경험이 적어서가 아닐까요? A라는 제품이 있다고 할 때,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원가절감을 한 모델로 연식변경(...)이 되었다고 해보죠. 소비자가 봤을 때 성능이나 외관등 차이점은 없어보이는데 가격은 다소 내렸다? 이러면 직관적인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겠지요. 그런데, 여러가지가 바뀌거나 혹은 새로운 모델이 나오면서 원가절감을 해서 이렇게 제품이 나왔다라는 상황이 되면... 비교대상이 없는곳에서 오는 부정적인 경험이 먼저 들어올 수 있지 않나 합니다. 원가절감을 통해 소비자가 얻는 이득이라는 부분을 "공식적"으로 확인하기 매우 어려운 것이 부정적으로 다가오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dukkytv3728
@dukkytv3728 Жыл бұрын
이놈은 진짜... 하는말마다 거짓 투성이네... 돈을 뒤로 얼마나 제조사한테 받아 먹었으면 리뷰보다 가끔씩 하는말: 세팅이 잘된 토션빔은 멀티링크보다 승차감이 좋다?! 희대의 개소리만 하다가 어느순간 전기차에는 회생제동이 있기때문에 드럼브레이크가 디스크 보다 효율적이다?! 진짜 사람 맞는가 싶네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SM6 리뷰 보고 옵니다 :) 근데 진짜 인간적으로, 저희만큼이나 브랜드 협찬차 안받고 꼴리는대로 리뷰하는 채널 있어요? 있다면 참고해서 더 노력할게요!
@dukkytv3728
@dukkytv3728 Жыл бұрын
​@@Motline 성로형 제발 좀 M4깔떄 (M이주는 재미가없다 펀칸데 재미가없다는말) 솔직히 이제 리뷰어 다됐구나 하면서 칭찬했는데 가끔 이게 어그론가 아니면 진심인가 헷갈리때가 있어 이번건 진짜 아니였음 진심 진짜 절대 해명한 논리도 너무 빈약함 (드럼이 디스크보다 싼건 다들 아는데 원가절감 근거를 가지고 오라니?! 무슨소리야?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꼭 봐줘요
@KimKyungHo1980
@KimKyungHo1980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번 건은 윤성로 씨가 논점 일탈의 오류를 범하거나, 유사한 사건을 나열하여 본질을 흐리고 있다 생각합니다. 원가 절감이라는 어휘를 두고 말장난을 하고 계신다는 생각도 듭니다. 절감이라 하면 절약하여 감소시킨다는 뜻 입니다. 테슬라가 라이더/레이더 의존성이 높은 시스템을 버리고, 화상인식 AI을 성공시킨 것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절약해서 감소시킨 것이 아니라, 혁신을 했다고 합니다. 엔진 다운사이징도 6기통을 4기통으로 줄였다고 4기통 출력으로 출시하는 것이 아닌, 터보 기술 활용 등 상품성 유지를 위해 제조사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세월이 흐르며 드럼 브레이크에 약간의 개선이 있었을 지 몰라도 "제동 불안정성"이라는 본질적 상품성 결여에 대한 개선이 없기 때문에, 절약해서 감소시켰다는 의미로 절감이라 할 수 있습니다.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글 쓸 시간에 영상 다시 보세요. 그리고 드럼이 디스크의 단점을 커버하는 부분에 대해서 다시 글 남겨주세요.
@user-yq1gy3bm9o
@user-yq1gy3bm9o Жыл бұрын
3:00 테슬라 오너입니다. 말씀하신거 전부다 테슬라 원가절감 맞습니다ㅎㅎ 진심입니다.
@taeyounghan80
@taeyounghan80 Жыл бұрын
오너는 아니지만 제가 보기에도 원가절감 맞음. 그래서 싸게 팔수 있었다고 봅니다. 지금은.....
@chimpsmith3974
@chimpsmith3974 Жыл бұрын
테슬라 주주입니다. 말씀하신거 전부다 테슬라 혁신입니다ㅎㅎ 진심입니다. 테슬라 한주 사주세요. 있으면 더 사주세요.
@UZUGROOVE
@UZUGROOVE Жыл бұрын
기업 입장에선 원가절감이죠. 근데 소비자 입장에서 나빠진게 없다면 소비자들 입장에선 손해가 아니죠. 깔 이유가 없습니다
@nhbeachhouse
@nhbeachhouse Жыл бұрын
@@UZUGROOVE 원가절감을 안한 차량과 한 차량이 가격이 같다면 소비자들의 입장은요? 원가절감을 기업 입장에서 했는데, 가격이 그대로 라면요? 원가 절감이 소비자들 입장에서 손해가 아닌 경우는 가격이 비싸 접근이 힘든 소비자들이 원가절감으로 인해 가격이 싸져서 구입이 가능해졌을때 입니다. 현대에서 원가절감을 엄청나게 하던 시기를 보면 진짜 몇백원 원가절감때문에 중대한 하자가 발생한 사건이 여러개가 있었죠. 발생안한것도 많았지만요. 전 세대의 차량에는 뒷자석에 옷걸이를 걸 곳이 있었는데, 원가절감으로 빼버린다던지 하는 것들이죠. 이게 어떤 소비자 입장에선 쓰지도 않는 기능이기에 나빠진게 없다라고 할 수 있지만, 그 기능을 쓰던 사람에게는 손해죠. 있던게, 또는 좋던게 나빠진거니깐요. 물론 그 원가 절감으로 차량가격이 떨어지진 않았죠 ㅎㅎ
@UZUGROOVE
@UZUGROOVE Жыл бұрын
@@nhbeachhouse 그래서요? 원래 쓰던 기능보다 못해졌나요? 기업이 무슨 자선사업가임? 성능이 그대로면 어떻게 원가절감을 하던 댁이 무슨 상관? 기업이 열심히 기술 개발해서 원가절감한건데 댁이 기술개발하는거에 뭐 버태줬음?
@user-gi9wi5qh8r
@user-gi9wi5qh8r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좋아요. 박병일이랑 싸울때는 너무 원사이드해서 솔직히 재미없었는데 이 건은 치고 박고 보는 재미가 있네요 ㅎㅎ
@ggh4627
@ggh4627 Жыл бұрын
모든 장비는 원가절감을 위해 재료와 부품의 최적화를 합니다. 브레이크에 민감하면 문짝 철판 두께 측정해서 얇아질때마다 욕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user-eu1rx2mj4y
@user-eu1rx2mj4y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선 중간만 하랬는데.. 무조건 좋다 나쁘다라는 모아니면 도의민족 웅장해진다..
@yhk59
@yhk59 Жыл бұрын
테슬라에 모니터 하나 달려있는거 원가절감이냐? 라고 하셨는데 원가절감 맞죠. s랑 x엔 계기판 있거든요. 참고로 전 모델3탑니다. 어디가서 계기판없는거 원가절감이냐고 하면 그렇다고 합니다.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3이랑 Y는 그 컨셉에 맞는 완벽한 조합이었다고 생각해요.. 모니터가 하나 되면서 오히려 스티어링 앞에 어중간하게 있던 계기판 가려서 안보일 일도 없고, 무조건 가운데로 집중되도록 만들어서 오히려 시야가 편해지는 느낌이더라구요. 그리고 그걸 노리고 만들었다는게 느껴졌기 때문에, 원가절감의 목적으로 만들었단 생각은 안들었네요!!
@yhk59
@yhk59 Жыл бұрын
@@Motline 네 저도 처음엔 '테슬라는 계기판이 없어도 되는 차구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모델 S타보고 나니 '아무리 테슬라 UI라도 계기판이 있으니 더 편하구나' 싶더라구요. 그 후로 이건 원가절감이 맞구나 하고 느꼈네요. 물론 성로님 의견도 존중합니다.
@scratch-giggs
@scratch-giggs Жыл бұрын
성로형님이 열내서 드럼브레이크 옹호 해줄 필요 없어요!!!
@user-nm3tl5om7s
@user-nm3tl5om7s Жыл бұрын
안전에 민감한 브레이크니 민감할수 밖에 없는데 요즘 누가 드럼브레이크 경험해본 운전자가 과연 몇명이나 될까요?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네요. 직접 느끼지 않는 이상.
@user-cw1py3vm1u
@user-cw1py3vm1u Жыл бұрын
그 옛날 드럼브레이크 차 타면서 디스크브레이크 달린차 꼭산다라고 생각했던 아재 입장에서는 드럼브레이크 받아들이기 너무 힘드네요, 드럼브레이크가 디자인 면에서 싼티나게 하는건 맞지 않나요? 아무리 외관디자인 잘 뽑아도 드럼 넣으면 욕먹지 않을까요? 다 떠나서 가죽 시트는 천연이나 인조나 잘 구별 못하고 레이더 있는지 없는지도 몰랐고 근데 드럼은 티가 너무난다는 생각은 나뿐인가? 개인적으로 휠쪽 디자인도 엄청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1인인데...
@user-jc5bw9ve6t
@user-jc5bw9ve6t Жыл бұрын
x5 타다 ev6 gv60 타다 이번에 다시 ix3 로 갈아탄 지나가는 유져1 입니다. x5때 분진 생각보다 많이 나오더라구요. 그게 그 브레이크였는지는 제가 지식이 얕아 잘모르지만 현기탈때는 안나오던 디스크 분진이 x5때는 있더라구요. 장단점이 있겠죠. 모.. 확실히 x5가 제동이 좋았어요.
@woodee1814
@woodee1814 Жыл бұрын
독일차 OEM순정패드에는 자성물질이 포함되어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휠에 분진이 붙어서 분진이 마치 많이 나오는것처럼 보이는거죠, 단점은 소음이 많이납니다. 이런사실이 거짓이라고 하는 사람들 있는데,, 국산에서 만든 사제패드 써보시면 바로 아실겁니다. 소음 안나는 대신 제동이 조금 밀려요 그리고 분진이 대기중으로 날라가게되니 마치 안나오는것 처럼 느껴지는거구요
@phkair
@phkair Жыл бұрын
@@woodee1814 아.... 이번에 비엠 처음 타봤는데 세차할때마다횔에 분진 엄청 묻어있길래 브레이크 이상한가 했는데 원래 많이 날리는거였군요;;;
@woodee1814
@woodee1814 Жыл бұрын
@@phkair 아니 많이 날린다기보다.. 자성이 있어서 휠에 붙는거라니까
@MySkyline32
@MySkyline32 Жыл бұрын
외제차들 특히 독일차의 경우 브레이크 패드가 로우스틸 패드가 많이 들어갑니다. 로우스틸의 장점은 마찰열로 인해 고온으로 올라가도 제동력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것과 패드의 수명이 길다는겁니다. 단점은 소음, 분진 발생과 디스크 마모, 저렴하지 않은 가격입니다. 현기차에는 일부 차량에 한해서 특정 옵션을 넣지 않는 이상 유기질 패드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일부 차량이라 하면 모하비, 팰리세이드, 아반떼N, 벨로스터N, G70 이런 차량이죠. 각 차량 카탈로그에 그 특정 옵션을 넣으면 로우스틸 패드로 바뀌는데 소음, 분진이 발생한다고 명시돼있습니다. 유기질 패드의 장점은 소음,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것과 저렴한 가격입니다. 단점은 마찰열로 인해 고온으로 올라가면 브레이크가 밀리는겁니다. 각 패드의 차이를 정확하게 느끼신겁니다. 다만 그 원인을 모르신것뿐이죠. 국내와 해외의 교통상황이 달라서 순정으로 들어가는 패드가 다른 이유가 될 수 있겠죠. 독일의 아우토반이나 미국의 뻥뚫린 직선도로. 한국의 좁아터진 골목길에 왕복2차로가 양옆 불법주차로 1차로가 돼버린 도로. 뻑하면 나타나는 방지턱과 인구밀집으로 인한 교통체증. 현기차에 로우스틸 패드를 순정으로 출고하면 타는 내내 끼이이익 대고 뻑뻑대고 장마철만 되면 전국의 수많은 현기차가 아주 지랄을 하고 다니겠죠. 그럼 환장하겠죠?
@jongyunlee1689
@jongyunlee1689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속도제한 160이라 디스크 필요없을것같기도 하고, 가격자체가 드럼바꾸면서 단가낮춰 5490뽑은거면 구매메리트는 만들어지지않았나 생각합니다ㅎ 다만 (카와우기준) 회생제동 성능도 떨어지는데 드럼채용한거라 저는 손이안갈뿐~이죠ㅎㅎ
@Michaelcoffee
@Michaelcoffee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현대기아 자동차 그룹에서는 어딜 더 선호 하나요? 궁금!
@mgc9503
@mgc9503 Жыл бұрын
현시점에서 지금 id는 리콜 사태 심각한거 보니 오토기어 말이 맞네요.
@justinHHan
@justinHHan 5 ай бұрын
오토기어 지지하는사람들 기본 현기빠들이고 수입차 타본적도 없는사람들임
@Jun_10
@Jun_10 Жыл бұрын
제일 이해 안 가는건 1. 전기차는 회생제동 때문에 후륜 브레이크를 거의 사용하지 않아 녹, 이물질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2. 유로7 대응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 분진을 줄이기 위해 드럼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이 두 주장은 완전 상반되는 주장 아닌가요!? 거의 안써서 녹이 생기는데 왜 환경오염 시키나요? 이해불가..
@Jun_10
@Jun_10 Жыл бұрын
@@hare10041 그럼 무게를 줄여야하는데 더 무거운 드럼브레이크를..? 그냥 원가절감은 맞는거 같아요.
@kevinlee509
@kevinlee509 Жыл бұрын
와 다음영상은 ID4에 뒷 디스크 개조해서 드럼과 성능 비교 영상가나요?
@user-to6cd5ek6z
@user-to6cd5ek6z Жыл бұрын
차는 드럼을 안타봐서 잘 모르겠지만 오토바이는 드럼도 있고 디스크도 있어서 둘 다 경험을 해봤는데 개인적인 견해이고 전문적 과학적 이론적 근거가 아닌 느꼈던걸 적어보겠습니다 제가 느꼈던 드럼 브레이크의 장점은 디스크 브레이크보다 첫 빨 제동력이 훨씬 강했습니다 그런데 잦은 브레이킹시 열방출이 잘 안되서 그런지 어떨땐 살짝만 잡아도 확 잡힌다거나 어떨땐 잘 안잡힌다거나 하는 일정한 예상 되는 브레이킹이 어려웠습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드럼보다 확실히 제동력은 떨어졌습니다 안잡힌다는게 아니라 첫빨 제동 드럼보다 밀린다고 해야하나... 그런데 브레이크가 잘 식어서 그런지 브레이킹을 할때 제동력을 일정하게 가져다 주어서 제동거리를 어느정도 예측하기가 쉬웠습니다 정비 유지부분에서도 디스크 브레이크는 라이닝은 제외하더라도 보통 패드만 갈아주면 되었기에 유비지용과 공임이 적게 들었는데 드럼은 유지비용이 배로 더 들었습니다 오토바이는 두 바퀴이다보니 브레이크에서 오는 차체 흔들림이 심하여 4바퀴 자동차보다 안정성에서 떨어질 수 밖에 없는데 제가 타면서 느꼈던 경험으로는 제동력이 좋았지만 잦은 브레이킹시 브레이킹이 들쭉 날쭉한 드럼은 브레이크를 잡을수록 예상이 어려웠습니다 갑자기 너무 강하게 잡혀서 뒷바퀴가 옆으로 흘러 넘어질뻔한 적도 있었구요 ㅠㅠ 열 받아서 드럼이 붙어버렸나보다~ 이런말들 쓰시더라구요 첫빨 드럼보다 조금 밀려도 어느정도 제동거리를 예상할수 있는 일정한 제동력을 보여주는 디스크가 타기에는 더 편했습니다 스쿠터가 아닌 메뉴얼의 엔진기어를 사용하며 드럼이 달려있는 오토바이를 타면서 시내에서 규정속도를 잘 지켜서 다닐때라먼, 극한 주행을 하지 않는다면 드럼이나 디스크나 그냥저냥 별반 차이 없었지만 열이 많이 받는 운행을 하는 때에는 드럼과 디스크는 비교가 안될 정도였습니다 그 첫빨의 제동력이 일정하게 계속 주어진다면 저는 무조건 드럼을 선택하겠지만 그것이 되는 드럼브레이크 장착 기종을 타본적이 없어서 저는 항상 디스크 브레이크 장착 기종을 탈것 같습니다 이상 두바퀴 드럼과 디스크의 개인적인 차이점을 느낀걸 적어보았습니다~ 어디까지나 느낌입니다 전문적 과학적 이론적 근거로 말한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느낌입니다~^^
@user-wt8dj4rn2i
@user-wt8dj4rn2i Жыл бұрын
주행스타일에 따라 다른게 아니라 그냥 드럼은 별로에요 ㅠㅠ
@daewoo2118
@daewoo2118 Жыл бұрын
바이크 경력만 7년입니다. 드럼이 제동력 좋다는 근거가 뭔가요 그냥 쭉 미끌리는데.. 설마 오른쪽 앞브레이크로 잡고 말씀하신거면 그냥 지나가세요. 보통 뒷바퀴로 브레이크잡고 안될거같으면 앞브잡거나 속도 다 떨어졌을떄 앞브잡는거지 뒷브레이크 위주로 슬립안나게 잡는건데 급제동해도 쭉 미끌립니다. 그래서 항상 미리 브레이크 잡는거죠 밀리는구간까지 예상해서 그런데 그런 드럼쓸거면 abs가 의미가 없다구요.
@user-to6cd5ek6z
@user-to6cd5ek6z Жыл бұрын
@@user-wt8dj4rn2i 저는 자세하게는 모르지만 타고 다닐때나 정비유지나 공임비 등등에서 디스크가 훨~~~씬 나은거 같아요
@user-nc9co4zy2b
@user-nc9co4zy2b Жыл бұрын
바이크에 있는 드럼이 그대로 들어있는게 아닌데요. 이 사안에선 아무 의미없는 경험이죠?
@daewoo2118
@daewoo2118 Жыл бұрын
@@user-nc9co4zy2b 로드 클라리스 입문용 100만원대도 드럼 안써요 간혹 풀카본만들고 기어랑 브레이크 거지같은거 달아놓은 중국산꺼 하나빼고는 클라리스급에도 안쓰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좋으면 하이엔드급 드럼 쓰는 로드나 바이크가 있어야되는데 없죠 그럼 왜 없을까요? 3천만원 넘는 바이크 스쿠터 / 천만원 넘는 로드자전거에 그럼 드럼을 왜 안쓸까요? 카본이랑 기어에 몰빵하고 브레이크값 아끼면 되는데 왜 없죠?
@lucidgravityasgshsn
@lucidgravityasgshsn Жыл бұрын
어처구니가 없네. 드럼브레이크가 원가절감이란 건 폭바그룹의 저가 전기차에만 적용하는 데에서 알 수 있다. 벤츠에서도 안쓰고 아우디폭바의 상위 라인업에서도 안쓴다. 그리고 드럼브레이크성능이 디스크만큼 안정적이지 않으니 전륜엔 차마 못쓰고 후륜에만 쓰는 거고.. 이렇게 자연스럽게 추론이 되는건데 이런 걸 쉴드치면 안되지. 드럼이 디스크만큼의 성능은 못내지만 원가절감으로 썼다고 표현해야 맞는 거란다. 왜 자꾸 되도 않는 폭바 변호를 하려고 하지?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어딜 보고 변호를 한다는거임?
@jjpark7418
@jjpark7418 Жыл бұрын
@@Motline 니가 올린영상 그대로 봐보셈 변호라고 느낄 수 밖에 없음.
@user-ol2bl3oz1h
@user-ol2bl3oz1h Жыл бұрын
그냥 냅두세요 저는 두 채널 다 구독하고있습니다 이 영상제목 잘 올리셨습니다ㅋㅋㅋㅋ
@tastepioneer3568
@tastepioneer3568 Жыл бұрын
형 드럼충들 덕분에 할 일이 생기니 오히려 좋은거 아녜영~?!
@user-nn6et3ly3c
@user-nn6et3ly3c Жыл бұрын
과거 드럼브레이크가 비오는날에 많이 밀렸는데 지금은 괜찬나요?
@user-xm4gq9mq2t
@user-xm4gq9mq2t Жыл бұрын
다음부터 하체를 리뷰하거나 하면 다운사이징이라고 해주세요 알루미늄 안쓰고 철을 쓴건 원가 절감이 아니고 다운사이징으로 만들어서 철을 쓴거다 다음에 성능좋은 차에 드럼을 사용하지 않은면 그건 업사이징 한거구 드럼 사용하면 정상인거구 다운사이징은 브레이크없이 원패달인걸로 하지고
@swjang4504
@swjang4504 Жыл бұрын
잘한다 잘한다 하니깐 선을 넘네...
@user-mn3vi8bl6v
@user-mn3vi8bl6v Жыл бұрын
재미로 보는 유익한 채널입니다. 싸우지들 마요.
@Fire.Flower
@Fire.Flower Жыл бұрын
흠..... 회생제동에대한 매커니즘이 획기적이라면 인정.... 타사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못한 회생제동 성능을 가지고 회생제동 운운 할건 아닌듯.... 정비성으로 봤을때 주기적으로 드럼내부에 발생된 분진을 처리하는 방법(또는 정비주기)을 명시해두었다면 그나마 이해가 될만한 부분이네요...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 id4는 원페달 주행 되나요??
@user-kz6fg9sn1v
@user-kz6fg9sn1v Жыл бұрын
이게 아마 폭바라서 더 그런듯해요.. 이전 디젤게이트 뒤통수도 있다보니..
@MoonlightOnTheStreet
@MoonlightOnTheStreet Жыл бұрын
베이퍼록 페이드... 현상 날때까지 드럼 브레이크 이용 하실 분들이 과연... 있을까요...? 제 의문은 그거에요 기준이 다른데 자꾸 이쪽이 잘 못됐다고 하니까... 그러면서 관심이 없는거라고 하면서..... 관심이 있어... 마지막 말 공감..ㅋ
@WooRi_official
@WooRi_official Жыл бұрын
드럼 브레이크 장점은 내구성 단점은 방열과 오래쓰면 가루가 고여서 소리날 수 있다는거?
@origamiwith5226
@origamiwith5226 Жыл бұрын
근데 일단 거기랑 여기랑 댓글창 보면 대충 각 나옴. 여기랑 다르게 거긴 어떻게 영상에 반박하는 댓글이 진짜 하나도 없음. 그리고 조회수 대비 댓글수가 현저하게 적음. 이게 무슨의밀까
@kakrashini
@kakrashini Жыл бұрын
오토기어에서 ID버즈 드럼 달리면 안 산다고 댓글 달았습니다. 정보 수정 부탁드립니다
@user-xr8qt5fu1d
@user-xr8qt5fu1d Жыл бұрын
드럼이든 뭐든 반박하기 전에, 재난상황에서 본인이 제일 수혜입은것이 V2L기능이면서 ID4에 없는 V2L기능 본인은 쓸일없다면서 쿨하게 넘기는 모습이 아니꼽네요 반박을 하기 전에 본인이 한 발언에 실수한 부분은 인정한 후에 반박을 해야 씨알이 먹히지 않을까요
@user-cp1oo6cv5o
@user-cp1oo6cv5o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이런이슈가 있었네요
@justinlee3698
@justinlee3698 Жыл бұрын
0:10 이 부분은 다릅니다. 버즈 구입한다고 했던건 스펙이 안 나왔을 때 얘기고요.(당연 디스크 라고 생각하셨겠죠.) 현재는 드럼으로 나오면 절대 안산다는 입장 이십니다. - 팩트체크.
@josephyoon4384
@josephyoon4384 Жыл бұрын
입장대변까지 ㅋㅋㅋ
@user-zq2lz8dn6h
@user-zq2lz8dn6h Жыл бұрын
그냥 원가절감 맞고 전기차 특성에 써도 별문제가 없다는 점에 넘어가면 되는 문제가 아닌가싶은데...
@goyangyee
@goyangyee Жыл бұрын
드럼브레이크로 서킷 빡쌔게달려보실수있나요??
@andreasantos8079
@andreasantos8079 Жыл бұрын
분진 날림과 환경 이슈를 생각해서 드럼브레이크를 적용한거면 후륜이 아니라 전륜에 드럼브레이크를 넣는게 훨씬 유의미하게 결과를 만들지 않을까요? 성로 대표님 말대로 전기차는 회생제동이 있어서 물리 브레이크 사용량이 적고, 드럼브레이크를 적용해도사용성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면 더더욱 전륜에까지 드럼브레이크를 적용했어야죠. 폭스바겐이 그렇게 환경을 사랑하고 고객을 생각하는 깊은 뜻에 드럼브레이크를 사용했다면 ID4, Q4 외 폭바그룹 전차종에 전륜 후륜 가리지 않고 드럼브레이크를 확대 적용시켜주면 그쪽의 주장을 믿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제 말이 너무 억지 같나요? 근데 그거 아세요? 윤성로님이 영상에서 예시로 든 벤츠 인조가죽 예시나 엔진 변속기 없이 모터 하나면 된다는 예시는 심하게 비약적입니다. 벤츠가 인조가죽을 덜 싼티나게 잘 뽑긴 하나 최상급 모델까지 점점 야금야금 천연가죽 적용을 줄여가는 이유는 분명 있죠. 돈이 되니까. 그리고 전기차 모터나 배터리는 어지간한 내연기관 차의 엔진과 변속기를 합친 가격보다 일반적으로 비쌉니다. 아직까지는요. 예시를 한참 잘못 가져오셨어요. 더 나은 대안이 있는데 적용 안한 것과, 아예 필요가 없어서 적용 안한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전자가 딱 벤츠의 인조가죽 범벅이나 이번 폭스바겐 아우디 드럼브레이크 사태 같은 것이죠. 다다익램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최적화가 잘돼도 램은 많을 수록 좋다라는 말이죠. 브레이크나 안전사양도 똑같습니다. 아무리 평소 체감하기 어렵더라도 안전 관련 마진은 여유 있을 수록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처럼 반대의견을 가진 사람을 모조리 충으로 몰아가진 말아주세요.. 이게 순화한 표현이라고 하시는 건 고집 부리는 어린애처럼 보입니다.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것 처럼 안전에 대한 마진은 클 수록 좋기에 아직은 전륜에까지 드럼브레이크 적용이 힘든게 아닐까 생각되고, 또 id.4의 경우에는 모터가 후륜에만 걸려있기에 더더욱이나 전륜에 드럼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은 엄두를 내지 못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폭스바겐이 그렇게 환경을 사랑하고 고객을 생각하는 깊은 뜻에 드럼브레이크를 사용했다면 ID4, Q4 외 폭바그룹 전차종에 전륜 후륜 가리지 않고 드럼브레이크를 확대 적용시켜주면 그쪽의 주장을 믿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라고 말씀하신 것처럼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나중에 어떻게 되는지 한번 다같이 지켜보자!" 라는 식이었다면 당연히 문제의 소지가 없었을 거에요. 그런데, 드럼 브레이크에서 큰 단점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그 브레이크가 들어간 차량을 무조건적으로 비난하고 비하하며, 그 차량의 전체적인 상품성을 평가한 사람에 대한 무차별적인 공격이 이어진다면, 충 소리를 들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기차 모터 비유에 대해서 지적해 주신 것 처럼, 엔진이 모터로 바뀐것 외에도 배터리 및 기타 많은 시스템이 바뀌어야 하고 많은 돈이 들어갑니다. 브레이크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디스크를 드럼으로 대체하면서 많은 추가 개발과 보안장치들이 개발되어 탑재되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비유를 든 것입니다. 과연 엔진에서 모터 하나 바뀐 것이 그 하나만 보고 원가절감이라는 말을 들어야 하는 이유인지 말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단지 반대 '의견'을 가진 분들을 드럼충이라 표현한게 아닙니다. 근거도 없이 자신들의 말이 100% 맞다고 확신하며 상대방을 무지성으로 공격하는 이들을 통칭한 것입니다. 오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seokneymar6798
@seokneymar6798 Жыл бұрын
크.... 산토스님 진짜 말 잘하시네 논리적으로 이렇게 좀 하지 성로님 참 아쉽습니다.... 비약적이라는말 공감합니다
@dlscos
@dlscos Жыл бұрын
드럼브레이크,모니터 달랑한개=원가절감 무조건 맞음 아니다라고 우길수 있다는거자체가 어지럽다
@올런
@올런 Жыл бұрын
어찌보면 통합제어도 원가절감 맞는데 말이죠..? 그리고 보는 관점에 따라 8기통으로 배출규제 통과할수 있는데 4기통으로 내놨다면 원가절감이라고 할수도 있긴 하죠..
@sonson6639
@sonson6639 Жыл бұрын
모닝만 봐도 기본사양은 드럼식 옵션으로 돈주면 디스크타입으로 변경ㅎ 걸국 제조단가는 드럼이 쌀듯?ㅎ
@g_nukwak372
@g_nukwak372 Жыл бұрын
엔딩영상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좋습니다
@user-fp9be7zv9o
@user-fp9be7zv9o Жыл бұрын
헤드라이트 같은 경우엔. 우린 이런 기술 넣었어 라며 광고를 할수 있기도 하고 드럼브레이크는 사실 회생제동 등등 어쩌고 저쩌고 구형이 아닌 전자식이라 어쩌고 저쩌고 대충 말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뇌피셜을 말해봄요
@undteco
@undteco Жыл бұрын
참..고생이 많으시다.. 언어영역 선생님 하셔도 될듯^^
@mrsunappleify
@mrsunappleify Жыл бұрын
'폭스바겐에서 나오는 고가 또는 (고)성능 차량들에도 앞으로 드럼 방식을 쓸 것인지 물어보면 답 나옵니다. ' '같은 가격인 차량에 디스크 대 드럼 방식 차량일 때 여러분은 뭘 선택할 건가요?' 이 이상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어요. 추가로... 핵심(기본)만 볼 때, (준)고성능 차량 중 드럼 쓰는 차량이 있나요? 모든 시각을 떠나서, 우선 딱 한 가지만 볼 때, 드럼과 디스크 중 뭐가 성능이 더 좋은지 ? 이미 수십년 전부터 답 나오지 않았나요? 무슨 말들이 이렇게 많을까요. 이미 꽤 오래전부터, 국내서도 20년 이전부터 나오는 차량부터 심지어는 지금은 소형/경차 까지도 거의 다 디스크를 적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디스크가 가격이 더 비싸다는 건 누구나 검색만 해도 바로 알 수 있는데도요. 무슨 이런 설명들이 필요한가요? 결국 그 이유는 다른 의도가 있다는 거겠지요. 당연히 원가 절감이 됐을거라는 건 바보가 아니면 모를 수가 없고, 단지 얼마나 원가 절감이 됐고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가 관건이겠지요. 악셀과 브레이크 중 어느 게 더 중요한가요, 여러분 ?
@tv-zu8vz
@tv-zu8vz Жыл бұрын
혹시 신장도 원가절감인가용?
@id.5175
@id.5175 Жыл бұрын
이파리 드럼치는 애니메이션이 젤 웃겨요 ㅎㅎ
@nhbeachhouse
@nhbeachhouse Жыл бұрын
흠.. 드럼 브레이크가 디스크 브레이크 보다 성능이 떨어져서 승용차에서 점차 쓰이지 않게 되지 않다가 이제 아주 저렴한 모델 외에는 쓰이지 않게 되는 과정을 보아온 사람으로서 지금의 상황이 무척 재미있네요. 문제점이 많아서 쓰임이 적어지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다시 나오네요 ㅎㅎ. 그런데 id4드럼 브레이크는 서킷이나 굉장히 긴 내리막길에서 디스크 브레이크랑 비슷한 한계성능을 가지나봐요? 다른 차들 보니깐 서킷에서 회생제동을 적용시켜도 일반 내연차에 비해서 한계지점이 빨리오던데. 뭐 서킷을 안돌고, 전기차도 없는 저는 잘 모르겠네요.
@user-vl5gj5us7p
@user-vl5gj5us7p Жыл бұрын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하중이 내연기관에 비해 대략 200kg정도 무겁습니다 서킷에선 경량인것이 타이어와 브레이크에 부하를 덜 주고 무게가 많다면 격한 차량움직임이 어렵죠 제동성은 마찰면적이 넓을수록 제동력은 강해지겠죠 다만 서킷과 같이 급격한 제동에는 열배출이 불리한 드럼이 단점이 되는것이구요 원가 절감도 있을순 있겠지만 여기에서 설명하듯이 내연기관처럼 제동자체를 브레이크에만 의존하지않고 회생제동을 사용하기에 제동력자체로는 드럼이 더 이득이기에 사용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영상봐선 환경규제가 제일 큰 요소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ggoggojeong
@ggoggojeong Жыл бұрын
@@silverclip7666 이전 영상도 보시고 이 영상도 다시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디스크 브레이크의 환경적 문제 또는 전기차로 넘어오면서 새롭게 발생된 문제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적혀져 있던데.. '전기차 세계에서 회생제동을 주로 쓰다보니 브레이크 사용량이 낮아졌고 브레이크의 개입은 회생제동을 이용한 제동보다 더욱 높은 제동력이 요구될 때 이따금씩 개입되니 비교적 분진은 덜 나오고 냉간시 효율도 괜찮은 드럼을 쓴다' 이게 주제거든요? 내연기관도 서킷타고 와인딩 하는거 아니면 긴 내리막에서는 엔진브레이크 자주 이용하잖아요? 그런 상황에서 조차 주구장창 물리적 브레이크 밟다보면 '안전마진'이 중요하겠지만 운전을 그렇게 미련하게 하는 사람 잘 없잖아요,,, '원가절감'이라는 단어 빼고 이 주제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당 휴대폰 충전기 케이블 누락은 애초에 이 주제랑 잘 안맞는 듯 해서 언급안했어요. 자동차에 회사에서 소모품인 타이어나 와이퍼나 오일류 빼고 출고해주진 않잖아요?
@ybh2864
@ybh2864 Жыл бұрын
@@silverclip7666 랄부를 탁치고 갑니다. 👍
@piggybankG
@piggybankG Жыл бұрын
드럼이 반복사용시 제동력이 떨어지는건 맞는데 과연 일상주행에서 거기에 회생제동까지 있는데 아주가끔발생하는 긴급제동시 제동력이 모자라다 라고는 전혀 생각이 되질 않네요 용도에 맞게 쓰는거라고 보는게 대형화물차는 드럼씁니다. 내구성문제가 가장 크겠죠 ID4도 평범하게 사용하면 15만으론 다쓰기 택도 없을겁니다.
@user-ux5jb8js4y
@user-ux5jb8js4y Жыл бұрын
구매자 100명중에 99명이 서킷이나 긴 내리막만 차를 사용하는가..?
@choigaram1
@choigaram1 Жыл бұрын
드럼브레이크가 디스크브레이크보다 싸다는거 가져오라며 왜 말이 바뀜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무슨 말이 바껴요. 바뀐거 없음. 드럼을 원가절감 위해 넣었다는 근거 있으면 가지고 오세요!!
@choigaram1
@choigaram1 Жыл бұрын
그게 말장난이지 뭐야 어셈블리 가격 내밀면서 드럼브레이크가 디스크보다 싸지 않다고 말했으면서 그럼 제조사가 원가절감을 하기 위해 나눈 회의록을 훔쳐오라는거야 뭐야
@zermano
@zermano Жыл бұрын
@@choigaram1 아마 근거를 찾아올라면 컨티넨탈에서 폭바에 브레이크 납품하는 납품단가를 알아와야 할것같은데요 ㅋㅋ
@user-dodokdok24
@user-dodokdok24 Ай бұрын
@@Motline 모트라인 말하는 방식이 약간 용호수같네 ㅋㅋ
@eightfortune
@eightfortune Жыл бұрын
앞으로 현기 드럼브레이크 들어가도 실드쳐줄거죠?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당근이죠. 저 명장아저씨가 스마트스트림으로 현기 무지성 깔때 어떻게 했는지 아시잖아요!
@jechonkim
@jechonkim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자동차가 보급되고 많은 사용자가 생기면... 자연스럽게 결과가 나올듯... 어떤 방향으로 갈지.... 유튜버나 전문가 의견보다는 시장이 합리적인 방향으로 갈듯...
@daewoo2118
@daewoo2118 Жыл бұрын
이미 상위기종들은 다 디스크인데 뭔 결과드립이야
@skyson9490
@skyson9490 Жыл бұрын
리뷰하면서 드럼브레이크 문제 없어보인다 말 한마디 한걸로 일부 사람들이 돈받았네 뭐네 하며 욕먹는게 억울했던건 십분 이해가는데… 사람들한테 증거 있냐? 하며 화내고 다른 채널 운운하면서 비아냥대는건 좀 유치한거 아닌가요, 대표님 ㅎㅎ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오토기어가 자꾸 선을 넘어서 어쩔 수 없었어요ㅜㅜ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저도 엮이기 싫어요!!
@skyson9490
@skyson9490 Жыл бұрын
@@Motline 이전부터 일부 양구독자들의 극단적 발언과 분탕질로 방향이 이상하게 흘러가는거 같은데… 두채널의 구독자로써 아무쪼록 스무스하게 넘어가길 바랍니다~
@briankwon9927
@briankwon9927 Жыл бұрын
드럼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 대비 원가절감은 맞습니다. 구조적으로 방열성도 떨어지고 제동력제어가 비교적 어렵죠 다만 차 컨셉에 요구되는 제동성능에 드럼 브레이크로 충분하다면 납득은 갈 것 같습니다.
@sakyamuni-2251
@sakyamuni-2251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모두의 의견을 골고루 들어보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한쪽만 들으면 사람이 격해지는듯 근데 진짜 id4로 무슨 레이싱 하듯이 쏘고 다닐것도 아니고 컨셉에는 맞는것 같음.
@evechovictor8396
@evechovictor8396 Жыл бұрын
그래 이게 맞다고 오토뭐시기나 모트라인이나 둘 다 이상함 ㅋㅋㅋㅋ
@eskad
@eskad Жыл бұрын
@@evechovictor8396 성능이든 머든간에 어차피 엉덩이로 제동력 차이 느끼는 사람 ㅈ도 없을거고 쟁점은 원가절감이었음 윤성로가 원가절감 아니라 해놓고 이제와서 발빼는게 웃길 뿐임
@evechovictor8396
@evechovictor8396 Жыл бұрын
@@eskad ㄹㅇㅋㅋ
@user-mt7zy2qw8c
@user-mt7zy2qw8c Жыл бұрын
원가절감의 정의가 다른거같아요. 단순히 10원이라도 싸져서 원가절감이다?
@qweq3240
@qweq3240 Жыл бұрын
Id4 회생제동 강도 못바꾼다더만 드럼쓰는이유도 거기에 있는건가요
@ppap7809
@ppap7809 Жыл бұрын
아이고야... 자존심 싸움까지 가겠는데...
@He-jr2ow
@He-jr2ow Жыл бұрын
다필요없고 드럼 갖다버리라 하세요 드럼 타보고 고생한 1인으로써 다시는 드럼 브레이크차 안탐
@CurationCoffee
@CurationCoffee Жыл бұрын
드럼브레이크 사용하다보면, 브레이크 분진들이 드럼 내부에 가루 형태로 엄청 모이게되고. 이게 '일관된' 브레이크 성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타보신 분들은 아실꺼에요.
@He-jr2ow
@He-jr2ow Жыл бұрын
완전공감
@user-ul1cl8lc6i
@user-ul1cl8lc6i Жыл бұрын
윤씨가 가루가 밖으로 나와서좋다자나여? ㅋㅋㅋ 암이밖으로튀어나와야 암걸렸네 할사람임
@wisdom-cloudline
@wisdom-cloudline Жыл бұрын
A도 아니니 b도 아니다 테슬라도 아니니 폭스바겐도 아니다 기본적으로 논리가 연역적이지도 않고 귀납적이지도 않아요 드럼브레이크가 왜 좋은지 그리고 그게 좋다면 다른 제조사들도 따라가야 한다고 주장하는게 맞겠지만 본인도 아직 잘 모름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좋다고 한적이 없다니까?
@NPC_01
@NPC_01 Жыл бұрын
여기가 바로 막짤을 위한 빌드업 맛집이군요!
@user-vq8zt3np2q
@user-vq8zt3np2q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원가절감이라도 다 같은 원가 절감일까요. 더 내구성이 좋고 더 성능이 좋으며 신뢰도가 높으면서 가격은 낮게 하는 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 절감은 환영 받을 일이고 그 혜택은 제조사와 소비자 모두가 얻게 되는 것이지만 폭스바겐의 드럼 브레이크 적용이 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절감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뭐 회생제동 브레이킹 시스템이 혁신이라면 혁신일 수 있는데 거기에 묻어서 그냥 단순히 원가만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고 보이네요. id4에 드럼브레이크 들어가 있는 부분이 성능 저하 부분이 크게 보이지는 않는다 뭐 알겠습니다. 그런데 드럼 브레이크가 기술 혁신을 통해 디스크 브레이크를 넘어서는 더 강력한 성능에 더 내구성이 좋으며 더 신뢰도가 높아진건 아닌거 같아요 아무리 봐도 아니 그리고 페밀리카는 밟지도 않을거고 서킷가냐고 자꾸 그러는데 요즘 차중에 일반 주행에서 부족한 성능을 가진 차가 어디있나요 솔찍히 그런 생각이면 리뷰 왜봅니까 하체는 왜 살펴보고 구조는 왜 보고 전륜인지 후륜인지 4기통인지 6기통인지 싱글모터인지 듀얼모터인지 왜 따집니까 일반도로 살살 타는 데 지장없는데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싱글 듀얼은 제가 따진게 아닙니다. 그리고 현재 디스크 브레이크가 전기차에 들어갔을 때 발생하는 단점도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
@user-fe6gy9gn5r
@user-fe6gy9gn5r Жыл бұрын
오! 내가 하고싶은말이고 논리 쩌내요.. 그래도 드럼이 더 좋다고는 안했데요 근데 님글에도 또반박 계속 반박글 남기네요 이정도면 더 좋다고 하는거 아닌가요?
@bab.nyamnyam
@bab.nyamnyam Жыл бұрын
원가절감이고, 차후수익을 위함입니다. 성로님을 좋아하지만,, 이건 좀 그렇습니다. 환경규제에 맞는 패드 개발되어서 비싸더라도 그렇게 가야합니다. 드럼은 열받아서 안밟히면 죽는겁니다..ㅠ
@user-nh8mi8wy7p
@user-nh8mi8wy7p Жыл бұрын
전기차 타보시고 말씀하시는거죠? 비오는날 후륜전기차 원페달놓고 물고인 지하주차장에서 엑셀띠면 바로 뒷바퀴 털립니다 전기차로 넘어와서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가 반 영구적으로 쓸수있다고 하죠 id4 구매하신분들이 공도에서 서킷처럼 조지고다니다가 죽을일이 있을까요
@historysteve9888
@historysteve9888 Жыл бұрын
이파리 엽록소 드럼 드립, 비유 쩌네요.ㅎㅎ
@user-be7ky5mj2c
@user-be7ky5mj2c Жыл бұрын
전기차는 회생제동이 있으니 드럼으로 변경되어도 충분하뉴브레이킹은 나오겠죠 드럼은 디스크대비 과열시 브레이킹 밀림이 있고 디스크 대비 제작단가가 저렴하다는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건데... 솔직히 브레이킹 유지될려면 그만큼 기술이 들어가야겠죠 폭스바겐이 드럼을 사용했다고하니 원가절감이지 않갰냐고 생각할수있겠죠 워낙 양아치짓??을 많이 했으니깐요 지속적으로 좀 봐야할꺼같네요
@jongbeomkim5083
@jongbeomkim5083 Жыл бұрын
모트라인 참 좋아하고 차 리뷰는 거의 모카랑 이거밖에 안보는데 이번 브레이크 관련은 점점 뇌절하는 느낌. 대충 5분대에서 영상 끊었는데, 원가 절감을 커버하기위해 기업들의 노력? 말이가 방구가 ㅋㅋㅋㅋㅋ 다운사이징이 원가절감이랑 이어지는건가..? 천연가죽 안쓰고 인조가죽쓰면서 같은 돈 받는 벤츠는 욕먹어야되는거임 그냥; 물론 전기차 개발비 이런 부수적인 가격요인이 있겠지만 커버칠 이유가 없다는것. 그만합시다 싸장님!!!
@Motline
@Motline Жыл бұрын
아니 5분에 왜끊어
@gogogogogo316
@gogogogogo316 Жыл бұрын
@@Motline ㅋㅋㅋㅋㅋ이걸 5분에 끊네
@eijgb
@eijgb Жыл бұрын
논리적인 토론은 언제나 좋죠. 다만 비아냥거림은 굳이 필요하지 않을것 같구요.
@bluesky1135
@bluesky1135 Жыл бұрын
그냥 선택하게해주면좋겠다.옵션으로...그럼시끄럽지 않을텐데...
@comelyjh
@comelyjh Жыл бұрын
논증의 비약이 좀 있음. 대세에따른 엔진 다운사이징 원가절감은 물론 욕할순없음. 그리고 욕하지도 않음. 하지만 다분히 의도된 원가절감은 욕할수 있음. (드럼브레끼는 의도된 원가절감이라고 보여짐 환경문제 설득력없음) 헤드라이트 얘기는 좀;;; 그건 너무 티나는 원가절감이고. 그거 빠지면 id4의 경쟁력이 아예 바닥인데? 근데 뒷바퀴 드럼브레끼는 대부분 사람들은 눈치채기힘든 개꼼수긴하지. 환경문제라고 생각해도 id4 뒷바퀴만 드럼이라는건 도저히 납득이 안되는것도사실임 유로7기준에 맞추기위해서 어쩔수없이 썼다는 가정도 설득이 안됨 그 기준 때문이라면 다른 대부분의 독일 전기차에도 뒷드럼달고 나와야한다고 생각하지만 id4만 드럼을 썻기때문임. 드럼브레끼와 디스크브레끼 두가지를 계속 비교를할때 드럼 브레끼의 강점과 디스크 브레끼의 약점을 가지고 비교함. 올바른 비교라고 생각하지 않음. 허나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디스크브레끼가 더 좋은건 부정할수 없다고생각함 이유는 드럼은 퇴출됬고 디스크브레끼가 대부분 모든 자동차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것으로 증명됨 허나 일부 싼차들은 드럼을 채용함 그러나 영상에서는 드럼이 디스크보다 전체적으로 우월한것으로 얘기함 이해불가. 드럼이 싫으면 전기차도 타지말라는소리는 좀;;; 전기차는 지구온난화에따른 어쩔수없이 선택해야하는 필수 전제가 깔린문제. 안그럼 지구 멸망 인류 멸망함 헌데 드럼은 필수적인 항목은 전혀 아니라고봄. 헌데 드럼브레끼의 환경문제와 배터리의 환경문제와 동일시 하게 비교하는 발언으로보임. 지나친 비약. 드럼 브레끼의 제조사가 문제없다는 말을 너무 맹신한다는 느낌 받음. 소비자들은 부품의 질과 제품의 등급을보고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이 건전한 판단력임 제조사들의 답변이 판단의 본질을 이루게 해서는 안됨 그밖에 할말은 더 많지만 암튼 전반적으로 논리의 비약이 좀있고 맞지않는 예시로 싸잡아서 옳다는 식의 주장을 하는데 거부감이 강하게듬 그러나 일부 맞는 얘기도 하는것 같음. 참고로 전 성로님 좋아합니다. 유쾌하고 재밌고 배울게 많은분입니다. 잘 배우고있습니다.
미쳐 돌아가는 한국 자동차 판
15:19
모트라인 MOTline
Рет қаралды 282 М.
박병일 명장의 경고등 선동 총정리
12:04
모트라인 MOTline
Рет қаралды 202 М.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91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6 МЛН
일본차를 왜 우습게 보나? 국산차 보다 못한가?
20:00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105 М.
머리 쓰는 유즈맵은 흑운장이 원탑인 거 아시죠? 믿고 시청ㄱㄱ
20:55
아우디 프로모션 !! 6월에는 확실합니다
3:40
아우디 원탑
Рет қаралды 1,3 М.
이래서 제발 타보라고 그 난리였군!
15:43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146 М.
중국 대표 항공사는 과연 중국했을까?🇨🇳
16:54
또 떠나는 남자 ddoddunam
Рет қаралды 166 М.
트랙스 크로스오버, 실제로 타봐도 좋을까???
19:02
모트라인 MOTline
Рет қаралды 605 М.
자동차판 이중잣대 1위
8:49
모트라인 MOTline
Рет қаралды 210 М.
스틸?알루미늄? 오늘 끝낸다 드루와!
33:41
노보스인더스트리 NOBOSSINDUSTRY
Рет қаралды 92 М.
모트라인 반박하지 않는 이유
13:16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81 М.
#automobile #experiment #smartphone
0:15
Kashvi Giggling Fiesta "KGF"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РЕМОНТ ДОРОГ В ШВЕЙЦАРИИ
0:17
В ТРЕНДЕ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Водитель был в шоке от увиденного #дуракинадороге #shorts
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