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와이프가 한국 결혼식에 갔다가 깜짝 놀란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245,343

ぱく家(박가네)

ぱく家(박가네)

5 ай бұрын

일본에 사는 한일부부가 일본의 다양한 정보를 투머치토크!
한국에서는 알 수 없는 시사/경제/생활/문화등의 정보를
일본 현지인의 시선으로 알기 쉽게 이야기합니다.
[촬영날짜] 2024년1월27일 18:30~
◆라이브(생방송)◆
매주 수,토,일에 토크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일본 여러 동네를 여행하는 야외방송도^^
◆자기 소개◆
ー오상(박준식)ー
울산 출신 한국인, 2003년부터 일본거주, 교토대 졸업,
일본기업·외자계 기업 근무 경험,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ー츄미코(박미사)ー
아이치/미에현 출신 일본인, 도시샤대 졸업,
나고야대 법대 중퇴, 전 항공사 승무원, 한국어 계속 공부중(TOPIK 6급 취득자)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com
※구체적인 안건 내용 및 조건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은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63679079637391...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DGJxkxl
위의 링크에서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일본정보 #일본문화 #박가네

Пікірлер: 534
@user-zr9xx6xh5y
@user-zr9xx6xh5y 5 ай бұрын
아버지는 근엄하게 어머니는 울고계시고 친구는 웃고있고 ㅋㅋㅋㅋ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5 ай бұрын
엄마가 아직도 우나??어차피 결혼해도 친정옆에 살면서 자주 가지 않나??
@user-em7rm7qt7d
@user-em7rm7qt7d 5 ай бұрын
@@user-dp5sb3lr9m 각자의 성향마다 다른거지요^^
@E.Jaebong
@E.Jaebong 5 ай бұрын
ㄴㄴ 오상 입대할때 얘기하는거임 영상 초반에
@Ayasarika
@Ayasarika 5 ай бұрын
한국 결혼식을 여는 것 자체가 양가 부모님의 축의금 회수식에 가까운데, 요즘은 결혼하는 부부의 일이기도 하니 좀 더 콘서트?처럼 하는 경우가 많아졌대요 😂 약간 양가가족을 데리고 하는 행사라는 인식이 커진 것 같아요! 친구가 주례(거의 mc같은 느낌으로)서는 경우도 많다구 하네요!
@bradj5228
@bradj5228 4 ай бұрын
축의금 회수 목적?? ㅎㅎ 정확한 문화 배경도 모르면서.. 한국인의 생활 문화가 반영된 결혼 문화이지 돈받을려고 한다?? 본말이 전도된걸 맞다고 생각 하니.. 한심함..
@Ayasarika
@Ayasarika 4 ай бұрын
​​@@bradj5228ㅋㅋㅋ 한국 50~60대 아저씨 아줌마 사람들에게 물어보세요 다 그렇게 말하지... 전 직접 물어봐서 쓴 겁니다. 아닌 사람도 있겠지만 저런 사람도 있어요. 님도 물어보고 쓰세요. 전 부모님에게도 물어봤음. 이하 반박시 패드립으로 생각하겠습니다.
@bradj5228
@bradj5228 4 ай бұрын
@@Ayasarika 돈 회수가 결혼식 목적이라니.. 대단한 집안이네요.ㅎㅎ 본인 마음데로 이야기 하고 패트립 결론 까지. 대단 합니다. 👍
@garlee8223
@garlee8223 4 ай бұрын
@@bradj5228 엥? 그냥 다같이 돈모아서 얼굴도모르는 예식장 사장한테 돈주려고 하는거 아니였음?
@soundmagic2407
@soundmagic2407 5 ай бұрын
저런 비싼 봉투는 따로 가방돌이/가방순이한테 줘야하는데ㅠㅋㅋㅋ 18:47 ㅋㅋㅋ 한국 결혼식은 무엇보다 뷔페밥이 맛있어야 해서 신랑신부가 신경 엄청 많이 쓰죠ㅋㅋㅋ 요즘은 뷔페 싫어하는 분들도 있어서 답례품도 준비해야 하고 ㅋㅋㅋ 지방도시는 또 화려한 연출이 돋보이더라구요 수도권은 시간없어서 빨리빨리 하고 나가야함ㅋㅋㅋ 오늘 영상도 너무 재밌었어요!
@hugosea3573
@hugosea3573 5 ай бұрын
간소화, 결혼식이건 장례식이건, 정말 함께 기쁨이나 슬픔을 나눌 사람만 참석하는 자리가 되어야 합니다. 품앗이하듯...
@greentea9229
@greentea9229 5 ай бұрын
박가네 남편은 요즘보기드문 강직한 대단한 만담꾼!!!!👍👍👍👏👏👏 다른분들한테는 별일이 아닌것도 박가네 남편이 다루면 엄청난 재미덩어리로 바뀌는 재주는 👍👍👍
@user-ux7zi5md5o
@user-ux7zi5md5o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모든예절에 힘쓰던때가 있었죠. 하지만 허례허식이라고 다빼는 작업?이 들어간 이후로 실속과간편함 위주로 가다보니 첨엔 뜨악했던 식전에 밥먹는 경우까지 생기더라구요. 이젠 기본 빼곤 모든게 가능하지 않나 싶네요.
@Katselphrime
@Katselphrime 5 ай бұрын
수천년 이전부터 한국에서의 결혼은 두 집안의 결합을 위한 수단이자 이를 외부에 천명하는 잔치죠. 그래서 결혼하는 당사자가 아닌 양가 부모님이 실질적인 주인공이구요. 하지만 최근 들어선 스몰 웨딩이니 어쩌니 하면서 하객 수도 확연히 줄고 결혼식의 포커스가 신랑 신부 쪽에 좀 더 집중되는 경향이 생겼는데, 이걸 나이드신 분들은 (시대가 바뀌었으니 이해는 한다지만) 많이 아쉽게 여기시는 듯 하더군요. 그리고 댓글들을 보니 축의금을 앞에서 까냐 뒤에서 까냐로 이야기가 좀 나오는 것 같은데, 요즘 기준으론 집안이 부유하냐 안 하냐에 따라 갈립니다. 예식 비용 중 상당 부분을 결혼식 직후에 바로 지불해야 되는데, 여유 자금이 없다면 축의금을 받자마자 바로바로 까서 계산해야 비용 지불이 가능해지죠. 반면 충분한 자금 여유가 있다면 비용 처리는 당사자들 돈으로 하고 모든 게 마무리된 다음에 다른 곳에서 봉투를 깝니다. 그래야 계산할 때 실수할 가능성이 적으니까요. 한국은 모든 것들이 극단적인 실용성을 추구하며, 결혼식에서도 그런 사고방식이 그대로 묻어나오죠.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5 ай бұрын
애초에 일본 결혼식에서 답례품 주는 문화 저것도 원래 일본거 아니죠 유럽식임
@user-wk6ky6mz1t
@user-wk6ky6mz1t 5 ай бұрын
그 전은 잘 모르겠고 70년대까지 우리 결혼식은 대개 신부 집에서 했습니다. 그 때 하객들은 돈 보다 새로 꾸리게 되는 신혼 집에 필요한 것들을 주로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러한 전통은 결혼식장이라는 특별한 공간이 생기면서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산업사회 발달과 더불어. 70년대의 일부 지역과 대도시에 등장하더니 80년대엔 거의 전국이 결혼은 결혼식장에서 라는 문화가 확실하게 자리 잡게 되고 결혼문화도 전통이 사라지고 소위 "신식"이 정착하게 됩니다. 물물 교환 방식의 문화가 "금전"으로 변한 것입니다. 복잡한 절차와 이를 뒷받침해오던 결혼이라는 특별한 정신을 담아오던 유구한 전통은 그 흔적을 감추고 금전 품앗이로 신속히 전환된 것이지요. 요즘 참 아쉽습니다.
@biomass12
@biomass12 4 ай бұрын
맞아요 한국 결혼식이 가장 실용적입니다. 저는 다른 문화는 별론데 한국 결혼문화는 좋습니다. 허례허식 정말 싫어요. 데이트 단 둘이 하는게 좋지 지인불러서 사랑 어쩌고도 잘 모르겠고요. 어차피 좋은사람끼리는 따로 불러서 노는데요 뭐.
@kwonjeongmin
@kwonjeongmin 5 ай бұрын
아 두분다 귀여우셔 어쩜좋아 행복한 기운이 느껴지는 영상이내요 ㅎㅎㅎ
@user-ke4ce7nj6e
@user-ke4ce7nj6e 5 ай бұрын
이 영상이 빨리 나왔더라면 일본인 친구 결혼식에 흰 봉투에 축의금을 담아가지 않았을 텐데 친구가 흰봉투 보고 많이 당황했을 거 같습니다 ㅋㅋㅋ
@KnightSchumacher
@KnightSchumacher 5 ай бұрын
너무나 없어 보이는 봉투에 그렇지 않은 내용물. ㅋㅋㅋ
@user-ke4ce7nj6e
@user-ke4ce7nj6e 5 ай бұрын
네 내용물은 넉넉히 했으니 문제 없을겁니다 ㅋㅋㅋ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4 ай бұрын
겉으로 어쩌고 해도 본질적으론 내용물이 더 중요함.
@gsk6996
@gsk6996 5 ай бұрын
일본은 격식이 중요한듯...봉투모양으로 손님 계급을 나누고 봉투 열기도 시간 걸리고 봉투폐기도 힘들겠네요.누구나 같은 봉투를 쓰는 한국이 나아보입니다.
@asmrwithmewriter8589
@asmrwithmewriter8589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신랑 아버님 언급되어서 기뻐하시겠네요
@user-kl8ry4ji3c
@user-kl8ry4ji3c 5 ай бұрын
정말이지 두분~~너무너무 부지런하심. 잘 볼께요😊
@Marigold0124
@Marigold0124 5 ай бұрын
자기의 형편(?) 처지(?)를 노출하기 싫어 한다는데 들고 있는 축의금 봉투만 봐도 그게 다 읽히는데요? 개인적으로 이건 우리나라 봉투가 마음 편하게 느껴지네요.
@user-bd2ce5mk4l
@user-bd2ce5mk4l 5 ай бұрын
친구 컨텐츠까지 신경써주는 진짜 친구네요 ㅎㅎㅎ
@user-uk5nc5mc1m
@user-uk5nc5mc1m 4 ай бұрын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사회가 결혼식을 화려하게 하는 이유 : 살면서 1번만 할 마음으로 함. 유럽 미국 남미가 화려하게 안 하는 이유 : 이혼률 60%
@seoyul0831
@seoyul0831 5 ай бұрын
비슷할거라 생각했는데 한일 결혼문화가 생각보다 많이다르네요 ㅋㅋ 잘봤습니다
@rara3078a
@rara3078a 5 ай бұрын
어제 생방을 다음날 아침에 업로드
@yolly72
@yolly72 5 ай бұрын
모든 결혼식이 부모의 회수장치인건 어니고 부모의 사회적위치가 정점일때 결혼해주는게 자녀의 도리? 라는거죠. 대기업상무이사일 때 자녀가 결혼한다면 대박이죠. 자기가 뿌린거 회수 차원이 아님, 상상을 초월하는 앞자리수가 다른 금액이 들어옴. 눈먼돈 이라고하죠. 공금을 이용한 하청업체들의 뇌물 사각지대임
@cir3939
@cir3939 5 ай бұрын
한국의 관혼상례의 문화는 대가족 문화에 품앗이 문화에 마을의 잔치였던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금도 축의금과 손님에게 대접하는 것들에 좀 민감한 문화가 되었죠... 그리고 부모님의 인맥을 증명하는 문화가 되었죠...
@BeusDen-ty4fl
@BeusDen-ty4fl 5 ай бұрын
관혼상제마저도 인맥 경쟁의 영역이 되어버린 한국이란...
@yijoon99
@yijoon99 4 ай бұрын
전통사회에서는 통혼권이 한 가문의 사회적 위상을 가름하는 잣대였습니다. 신분이 낮은 평민임에도 부를 축적하면 양반가로부터 청첩장을 받으면 영광으로 알았지요. 가문의 지위와 평판이 높아졌다는 증표로 받아들였죠.
@kdyu178
@kdyu178 5 ай бұрын
결혼식 하객 중에 결혼 당사자가 지금까지 자라온 시절에 대한 기억을 조금이나마 공유하거나 교감이 있던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친척들 빼고) 사실 그런 사람들이 축하해주러 오는게 맞는건데 하객 중 태반은 신랑신부가 잘 모르는 사람들. 한번에 많은 돈이 들어가는 특성 상 품앗이 형태로 돕는 문화의 장점도 분명 있긴함.
@madeun
@madeun 5 ай бұрын
어제 라이브를 바로 올려주시다니 역시 박가네
@d-dung
@d-dung 5 ай бұрын
한국도 멀리서 온 친척들에게는 교통비를 주는 문화가 일부 남아있습니다. 모두에게 선물을 주는 것은 옛날(70년대)에는 있었는데 지금은 사라졌습니다.
@sonj.w5819
@sonj.w5819 5 ай бұрын
한국 결혼식은 부모가 주인공임. 청첩장을 봐도 000의 자(녀) 000라고 되어 있으며 하객맞이도 부모가 같이 함. 내 자녀가 결혼한다고 자랑하는 식인데 이게 요즘 젊은 사람들의 가치관과 차이가 있음. 하지만 부모들의 허례허식 마인드 때문에 현재로서는 결혼문화가 바뀌기 어려움.
@biomass12
@biomass12 4 ай бұрын
어...가족 중에 일본에서 결혼한사람도 있고, 저도 했습니다만.......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은 교회에서 주로 결혼을 하며, 주례도 대부분 백인으로 골라야 할만큼(신부 아닌 경우도 있으며, 상관없음) 할 것들이 많습니다. 한국에서 결혼하는게 얼마나 쉬운지 해보고 알게됐네요. 폐백도 금방끝나고...일본은 전통식까지 하면 정말 오래걸리고 돈 엄청나게 많이 깨집니다. 결혼한다고 4천만원 정도 썼다고 하네요. 동생이
@sonj.w5819
@sonj.w5819 4 ай бұрын
@@biomass12 한국도 4천만 원 이상 깨질 텐데요..?
@eisssssssss
@eisssssssss 5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사회생활 안 해서 모를 수도 있는데 친한친구 결혼 땐 접수대(?)에 내지 않고 신혼여행 경비로 쓰라고 친구에게 직접주기도 합니다. 지역차가 있으려나요? 서울수도권 친구들 결혼땐 전 이렇게 했어요.
@user-vm6mi2wh4o
@user-vm6mi2wh4o 5 ай бұрын
허허... 2014년 10년전에 UCC에서 결혼식 올린 사람으로서 깜짝 놀랍네요. 10년만에 가서 사진 찾아보니 이전보다 시설이 더 좋아진거 같습니다. 아쉽게 저는 뷔페를 먹어보진 못했지만😂 참석해주신 친지분들은 모두 맛있었다고 해주시더구요. 오늘은 집에가서 그때 영상 과 사진을 한번 꺼내봐야 겠네요😊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5 ай бұрын
결혼문화도 아마 점점 더 양극화될겁니다. 이미 진행중이구요. 화려하게 하는 사람들은 더 화려하게 할거고 그런거 필요없다 가까운 사람들만 모아서 간단하게 파티처럼 하려는 사람들도 늘고 있고. 반면 청년들에게 무료로 결혼식장을 대여해주거나 결혼을 지원해주는 지역사업들도 전개가 되고 있구요. 한국은 결혼이라는 조건의 허들이 너무 높은게 결혼포기로 이어져 저출산의 원인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앞으로는 점점 간소화 되지 않을까 싶네요. 이미 웨딩홀 이런 것도 많이 없어졌고요. 일본도 그런 과정을 거친 걸로 압니다. 버블기 일본의 결혼문화는 사치스러웠죠. 그 때가 웨딩업체들의 전성기였구요. 그리고 이후에 잘 나가던 웨딩업체들 대부분 망했죠. 한국의 웨딩문화도 그런 일본에게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업체들이 일본이 하는걸보고 한국에서 따라 비즈니스를 했으니까요. 한국은 옛날에는 결혼식 알바 뛰는게 대학생들에게는 쏠쏠한 주말 알바였는데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chajaemyung
@chajaemyung 5 ай бұрын
한국은 축의금이 매우 중요해. ㅎㅎㅎ 봉투 모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봉투 안의 돈이 중요 ㅎㅎㅎㅎ 부모님이 그 동안 지불했던 축의금 수금하는 날이 자식들 결혼식.
@user-sm7oy2ed8p
@user-sm7oy2ed8p 5 ай бұрын
그래서 나보고 결혼하라고 난리시구나...
@gongjapingpong
@gongjapingpong 5 ай бұрын
정말 멋진 친구이십니다
@user-hy3er2tx2d
@user-hy3er2tx2d 5 ай бұрын
따하잇!! 이건 멤버쉽+ 풀버전으로 다시 봐야겠네요!!!
@jbaek9329
@jbaek9329 5 ай бұрын
처남이 오상처럼 일본에서 일을 오래해 자연스레 일본인 처남댁과 결혼을 해서 참석했었는데, 제가 가본 일본 결혼식을 말하자면.. 시간 : 우리나라는 하객들 배려(라고 하고 대관시간을 맞추기 위해) 빨리빨리 한두시간에 끝나는데, 일본은 못해도 4-5시간은 하는? 그날 하루는 그 부부를 위해 풀대관을 하는 구조. 하객들도 그날 하루는 결혼식이라는 하나의 공연&의식 을 보기 위해 오는 느낌. 처남이 예식장과 미팅을 거의 대면으로 5번을 했다는 말에 놀랐는데 일본이라면 그럴만도 하네 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하객들 : 우리나라는 최대한 청첩장 여기저기 많이 뿌려서 한명이라도 많이 오게 하는 구조라면, 일본은 리스트에 누구누구 올지 확실히 정하고, 그들에게 정중히 참석의사를 묻고 온다는 의사를 듣고 청첩장을 주는.. 심지어 제 처남댁의 지인이 결혼할땐 처남댁에게 물어보고 그 자리에서 청첩장 주는게 아닌 주소 받아간 후에 우편으로 청첩장을 보냈다고 하더군요;; 일본 특유의 아날로그와 정성이 느껴지는 썰이었어요. 축의금 : 우리나라는 절친이 아니면 5, 10만원이 보통이고 결혼식 장소가 컨벤션이녀 호텔이냐에따라 차이가 더 있다면, 일본은 보통 코스요리이고 축의금도 최소 50만원 부터라고 들었어요. 그리고 영상처럼 봉투도 굉장히 차이가 납니다. 본식 : 신랑이 등장할때 신랑어머니가 정장 자켓을 새로 입혀주고, 신부가 입장할때 신부 어머니가 면사포를 벗겨주는 의식?을 꼭 하더군요. 또 다른 일본인 지인분 결혼식 참석했을때는 신랑신부가 식 전에 먼저 등장해서 “저희 결혼식을 시작하겠습니다” 라고 말하고 퇴장한 후 신랑신부가 다시 등장하기도 한.. 뭔가 친절하지만 신비감은 떨어지는 느낌ㅎㅎ 예식만 1시간 가까이 했던거 같네요. 특이한점은 한국에서 저희 한국인 가족이 온다고 의전을 붙여주었는데 그분이 북한말투를 쓰길래 재일조선인 분이란걸 알고 이것도 신기했습니다ㅋㅋ 피로연 : 처남 결혼식땐 연회장으로 이동해서, 헤드셰프와 웨이터들이 모두 도열하더니 오늘 요리는 무엇무엇이고 어떻게 준비했고 즐겁게 드시라는 말을 한 후에 시작되는, 확실히 대접받는 느낌이 들었어요. 축하공연과 경품추첨 : 피로연 행사도 코스요리가 진행될때 친구들이나 직장동료들이 축하공연을 준비해서 즐겁게 보여주고.. 또 나중엔 하객들을위해 준비한 답례품을 신랑신부가 직접 전달하는데 답례품 퀄리티도 축의금 액수(?)에 맞게 매우 좋았어요. 또 경품추첨행사도 퀴즈처럼 했는데 1등이 디즈니 미라코스타 숙박권이어서 매우 놀랐던 기억도 납니다. 최근에 심형탁 배우님이 일본인분과 결혼했고 방송에 결혼식 전체가 나왔는데 보면서 공감이 많이 되더라구요.
@user-xh5dh1uu6u
@user-xh5dh1uu6u 5 ай бұрын
저두 결혼하고 아시는 일본지인분께서 처음으로 이쁜봉투에 축의금 넣어서 주신 봉투 결혼한지 12년지났는데 아직 보관하고있습니다^^
@user-in6ry3nl4x
@user-in6ry3nl4x 5 ай бұрын
추미코의 통찰력 짱~~~!!!!
@user-uv9rk1le9f
@user-uv9rk1le9f 5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부모가 딸,아들 시집,장가 보내는데 드는 비용을 서로 돕는다는 오랜 전통이 계승되고있지요. 그래서 그 행사의 주체도 결혼하는 당사자가 아니라 부모이고, 손님들이 내는 돈도 '부조' 라고 하는거 아닌가요?
@user-ct6xh6ff3w
@user-ct6xh6ff3w 5 ай бұрын
츄미코상 보면 볼수록 인물나네요!^^ 두 분 부부 모두 볼매이십니다 ㅎㅎ
@ASASU.
@ASASU. 5 ай бұрын
20:28~22:28 츄미코짱....めっさ~可愛い!!!www 오상이 츄미코짱 넘 이쁘게 잘 나온걸 알고 뒷배경 이걸로 넘 오랜시간 일부러 끌은 감이 없잖아 있는게 아닌가 느껴질 정도로 카와이~~~~ ㅎㅎㅎㅎ
@BigJeong
@BigJeong 5 ай бұрын
아니 나때는 눈앞에서 봉투를 까진 않았는데? 뭔 결혼식 문화가 점점 천박해지고있냐 참 ㅋㅋㅋㅋ 놀랍다 놀라워
@ulraryo
@ulraryo 5 ай бұрын
결혼식은 부모님의 손님들이고 장례식은 자식들의 손님들이죠😅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5 ай бұрын
그래서 혼주는 원래 양가의 부모님이죠. 특히 어머니들임. 상주는 자식들이 하는거고.
@cir3939
@cir3939 5 ай бұрын
정답
@user-ct8bp7yi8j
@user-ct8bp7yi8j 4 ай бұрын
오 ~ 그런 깊은 뜻이 !
@user-mb4ho7kx1r
@user-mb4ho7kx1r 3 ай бұрын
정답이네요. 혼주. 상주..
@paradox-iu1sl
@paradox-iu1sl 5 ай бұрын
유럽이나 일본같이 산업화가 빨리 진행된 나라들의 문화란게 대부분 18~19세기에 만들어졌음. 예를들어 프랑스요리도 산업화+왕정붕괴로 왕실의 요리사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당시 왕실요리라는 얘기가 아니다) 새로운 문화란 얘기다. 관혼상제도 마찬가지임. 그들의 수천년의 역사의 산물이 아니라 대부분 최근에 만들어진거란 얘기다. 우리나라처럼 2차대전 이후로 독립이 된나라들은 그런 과정을 거치지 못하다보니 침략국의 문화와 당시 주류문화가 믹스되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음 문화의 상품화도 상대적으로 늦어졌고 조금 더 실용적으로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었음.
@Fred-sw9xg
@Fred-sw9xg 5 ай бұрын
츄미코짱 엘리베이트 등장 좋아하시는 거 보니 결혼식만이라도 한번 더 하셔야 할 듯 ㅋㅋㅋ
@user-oh6cc4mn4
@user-oh6cc4mn4 5 ай бұрын
박가네 부부 넘 귀여워 ㅋㅋㅋ👍👍👍👍👍
@user-zr9hl9jq5p
@user-zr9hl9jq5p 5 ай бұрын
많은 참고가되었어요 즐거운 결혼식 비교 좋아요
@jety9549
@jety9549 5 ай бұрын
한국 결혼식은 양가 혼주들이 평생 뿌린 축의금 거두어 들이는 아주 중요한 행사죠..
@user-gq7yu1qs9s
@user-gq7yu1qs9s 5 ай бұрын
저말이 너무 공감되네요 부모님을 위한 결혼식...
@lauraim1103
@lauraim1103 5 ай бұрын
사진속 츄미코상도 너무 귀여웠어요/^^/🤩 재미있는주제! 오늘 영상도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user-tv4ei3ir7g
@user-tv4ei3ir7g 5 ай бұрын
한국과 일본의 축,부의금 형식차이는 일본은 막부시대부터 내륙상업이 발전해 대놓코 보여주기 ! 한국은 축,부의금 봉투 차이는 있씀, 접히는부분이 왼쪽,오른쪽다르고 축문,조문(한자-대서소 대필,못쓰면 상것,못배운놈 취급)을 써 지폐를 감싼후 봉투에 담는게 기본이엇씀 ! 집이아닌 식장,식당에서 결혼,피로연 하면서 하객 답례품 때문에 사회문제가 커져 3공화국 새마을운동때 가정의례준칙을 만들어서 장례절차,결혼문화가 많이 간소화 된거임 ! 예식장 결혼식 텀이 짦으니 후딱밥먹고 메인이 사진찍기니까(결혼당사자,하객 모두) 실용적이죠 !
@seonoil6554
@seonoil6554 5 ай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jjkim6969
@jjkim6969 5 ай бұрын
보통 저런 특이 케이스일경우 식전에 좀 일찍가서 봉투를 따로 신랑이든 신부한테 개인적으로 주고 식권을 받는게 일반적인걸로 바뀌었습니다 ㅋㅋㅋ
@user-zl6uh6mp7i
@user-zl6uh6mp7i 5 ай бұрын
하코다테 야경 배경 너무 이뻐요~~ 항상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heartlesscat8230
@heartlesscat8230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축의금 접수대 옆에 지폐 계수기 놓고 드르르륵 돈 세는거 보셨음 기절 하셨겠네요. 물론 흔한 건 아니고 저도 딱 한번 봤습니다ㅋㅋ
@seodaniel9585
@seodaniel9585 4 ай бұрын
와, 재미있다 하고 보다가, 친구분 아버님 에피소드에서 빵 터졌네요 ㅋㅋㅋㅋ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frontend_ko
@frontend_ko 5 ай бұрын
제 꿈은 단둘이 모여서 결혼하거나, 가족만 모여서 결혼하는거에요
@user-be5br3us7k
@user-be5br3us7k 5 ай бұрын
갈수록 귀요미 되어가는 추미코님 ㅋ
@minimi9809
@minimi9809 5 ай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user-py4cz9rm1z
@user-py4cz9rm1z 5 ай бұрын
저희 결혼할때도 사람들 다 가신후에 돈봉투 개봉했고 멀리서 오신분들은 다 교통비 드렸습니다. 요즘은 바로 개봉한다니... 사람마다 다르지만 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봉투준비를 저런 힌봉투가 아닌 예쁜 봉투를 미리 준비해서 준비해놓았습니다.
@haeyoon2023
@haeyoon2023 5 ай бұрын
원래도 재밌지만 재밌네요❤❤❤🎉🎉🎉
@user-hc2er9tn3b
@user-hc2er9tn3b 4 ай бұрын
항상 응원합니다 오상~ 츄미코 화이팅입니다
@folhy7428
@folhy7428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결혼식은 혼주가 이제껏 뿌린 축의금을 회수하는 날이고 장례식은 상주의 현재 지위를 보고 가는 것이었다. 주인이 행사를 개최하는 사람이라면 장례식의 주인이 망인이 아니었고 신랑신부 역시 결혼식의 주인이 아니었던 것이다. 한국선 축의금을 받아 바로 예식장비를 계산하는 분위기니까 봉투에 의미를 두지도 않고 그자리에서 바로 셀 수도 있는 거겠지 한국이든 일본이든 남의 시선을 신경쓰며 다른 방향으로 발전한 결혼식 문화라 어느쪽이 옳거나 틀린건 아닐 것이다.그저 서로 행복하길 기원하자.
@qrop9775
@qrop9775 5 ай бұрын
너 결혼식 하객들은 전부 축의금 주는 사람들이고 니네 부모 죽었을때 오는 사람들은 전부 지위보고 오는 사람이네? 이딴 댓글이 추천받고 있네
@dongdong2727
@dongdong2727 5 ай бұрын
맞는말인데? 혼주, 상주의 개념부터 짚어본다면. 조문 갈때도 상주 위로하러 가는거지.
@pepper_soda
@pepper_soda 5 ай бұрын
​@@qrop9775 틀린말도 아닌데 왜 긁힘ㅋㅋ 심지어 생일선물조차도 남 생일선물 열심히 챙기는 사람들 심리속에 내생일때 받을꺼 상정하는게 없진않음
@squidward_tentacles92
@squidward_tentacles92 5 ай бұрын
@@qrop9775 맞는말인데 무슨ㅋㅋㅋㅋㅋㅋ 그사람들이 다 순수한 마음으로 오는줄아나?? 서로 상당하거나 잔치있을경우 머리수채우고 돈달라고 하는 기브엔테이크임 님은 그럼 친구결혼식이라해서 먼거리 일부러 시간내서 가서 돈 50만원냈는데 님 결혼식에 참석은 했는데 돈 10만원냈으면 어떨거같음??
@squidward_tentacles92
@squidward_tentacles92 5 ай бұрын
@@iiilillliiliil 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님 집안욕한거도 아닌데 집안욕하는 패드립쩌시네요 님집안은 잘배워드셔서 안에서 세시나보네요 많이 세시구요 보통 돈 받자마자 세는건 대부분 그렇게 합니다 저 역시 많이 다녔는데 식권받으면서 보면 다 세고있습니다 그리고 오상도 세고있었다고 하잖아요? 못배워먹은집안 결혼식 갔나보네요 뭐 어쨌든 많이 배운 뼈대있는집안이신거같은데 가문부심 뿜뿜하면서 남의집안 흉이나보며 다니십쇼ㅋㅋㅋㅋ 그리고 돈을 관리하는 자리입니다 믿을수있는 가족이면 맡기죠 보통 집안남자들이 관리합니다 근데 남자형제없는 집안도 있고 다 사정이 있는건데 그걸 못배워먹었다고 하는거보면 참.... 어디집안이신가요?? 뭐 집안에 대통령이라도 있습니까?
@tekkenzoro
@tekkenzoro 5 ай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ㅎ 봉투 인상적이네요
@lljljljlljll
@lljljljlljll 5 ай бұрын
13:20 요즘 비싼 곳은 연출 장난 아니더라구요 ㅋㅋ 막 화려한 영상이 ㅋㅋ
@Ohst_seoul
@Ohst_seoul 4 ай бұрын
박가네 채널 매일매일 잘보고있습니다아
@kairos521
@kairos521 5 ай бұрын
댓글도 그렇고 축의금 의미를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 축의금을 부조라고도 하는건 상부상조의 의미가 있습니다 큰 비용이 들어가기에 서로 조금씩 도와서 관혼상제를 하는거죠 그래서 결혼을 앞둔 집안은 장례식장도 안갑니다. 말로는 죽은 영혼이 깃든다고 해서 그렇지만 실제는 그 의미가 아니고 상호부조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자세하게 쓸 내용은 많지만 대충 이렇습니다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5 ай бұрын
부조금의 부조가 상부상조의 부조 한자와 똑같죠. 원래 그런 의미임.
@HJ_C
@HJ_C 5 ай бұрын
조금씩 도와서 관혼상제를 한다 의 상 이 장례식 아니가요?
@maatpon
@maatpon 3 ай бұрын
속물스러운 이 느낌의 솔직한 이런 박가네 참 좋다 ㅋㅋ
@user-pw9yt7qc9b
@user-pw9yt7qc9b 5 ай бұрын
아버님이 오래 된 구독자 라는게 정말 재밌네요 ㅋㅋㅋ 작년에 결혼식을 2번 다녀왔는데, 요즘 한국 결혼식 추세는 신랑이 신부를 위해서 춤도 추고 노래도 하는게 유행으로 보입니다. 영상 즐겁게 잘 봤습니다.
@슈가맘
@슈가맘 5 ай бұрын
와 다들 빠르시네!!!👍👍
@user-du8pm6yb6w
@user-du8pm6yb6w 5 ай бұрын
일본 결혼식 많이 안가는 이유가 있네 ㅋㅋㅋ 안친한데 축의금 기본 30만원 내야하면 돌날라가지 ㅋㅋㅋㅋㅋㅋ
@blokhin10
@blokhin10 5 ай бұрын
한국의 결혼은 집안과 집안의 결합이라는 느낌이 더 강하죠. 근데 친구님 멋지네요. 나를 팔아라... 라니ㅋㅋㅋㅋㅋㅋㅋ 멋집니다. 근데 아버님이 구독자 였다니... 빵 터졌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웃다가 배 아파 뒤지는 줄...
@contentadmin1
@contentadmin1 5 ай бұрын
와 옛날이야기 일본문화차이 일상 하나씩만 있어도 재밌는데 이번건 다 있어서 농축된 맛이 있네요 잘 봤어요
@presdepaul
@presdepaul 5 ай бұрын
축의금 봉투야말로 진정한 보여주기식 문화가 아닌가싶은... 아 물론 안가면 그만이면서도 신경은쓰이긴하다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5 ай бұрын
요샌 계좌로도 많이 부치죠 카톡도
@2yura
@2yura 4 ай бұрын
오오 그래서 저번 구독자 당첨 이벤트 선물에 고급리본묶은스타일의 포장을 해주신거였군요🎉
@user-em7ky6sv8x
@user-em7ky6sv8x 5 ай бұрын
한국은 혼주라고 해서 결혼식의 중심에 신랑,신부의 부모님이 있죠 일본 결혼 문화에 대해 알수 있는 재밋는 시간 이었네요^^
@junghoonchang7716
@junghoonchang7716 5 ай бұрын
내가 본 모든 유툽 컨텐츠 중 추미코님 추임새가 가장 훌륭. 절제되어 있고 명확하고 타이밍까지 훌륭. 진짜 교과서.
@user-uq8we7tj2u
@user-uq8we7tj2u 5 ай бұрын
目付きがはやい
@teamallin_tennis_seoul
@teamallin_tennis_seoul 4 ай бұрын
한국결혼식에 쇼크받으신 츄미코님 너무너무 귀여우세유 ㅋㅋㅋㅋㅋ 특이하지요 한국결혼식 ㅋㅋ
@ginashin9043
@ginashin9043 5 ай бұрын
^^좋아요
@wanytv4624
@wanytv4624 5 ай бұрын
그 결혼식때 오상 봤습니다 ㅋㅋ
@bakerk2107
@bakerk2107 5 ай бұрын
편집속도 이렇게 빠르다고? ㅎㅎ
@musicman4462
@musicman4462 5 ай бұрын
와.. 저기 14년전에 제가 했던곳이네요 ㅋㅋ 새롭습니다
@1luck_c
@1luck_c 5 ай бұрын
오상 저도 여기 2번이나 축의금 내려 다녀왔지요
@YellowSky5200
@YellowSky5200 5 ай бұрын
부부가 같이 나와서 좋습니다..
@user-or3xq2pu9f
@user-or3xq2pu9f 5 ай бұрын
오상 츄미코 마음 따뜻한 사람들 ❤
@Rnrgksfjqdnsgo
@Rnrgksfjqdnsgo 5 ай бұрын
박가네 일본문화 분석은 너무 좋아요. 일본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많이 주시고, 사업하시는 분도 많은 도움이 될 듯합니다. 늘 재미있게 봅니다. ㅎㅎ
@user-rj7wk4mo7c
@user-rj7wk4mo7c 5 ай бұрын
훈련소까지 따라 와줬으면 찐이지
@GetPension
@GetPension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백만 가즈아
@user-lw9or3pr7g
@user-lw9or3pr7g 5 ай бұрын
한 5년 전 쯤 남편 친구들이랑 제 친구들도 울산 컨벤션에서 결혼 많이 했는데 박가네에서 사진으로 보니깐 새롭네요
@StarBoy-rd7cd
@StarBoy-rd7cd 5 ай бұрын
봉투보단 금액이 중요하죠~친한 친구 결혼할때 100만원 축의금으로 냈는데 결혼식 끝나고 밤에 친구가 뭘그리 많이 했냐고 전화오더군요 자기 삼촌이 70만원 냈는데 제가 더 많이 냈다고 부모님이 놀랐다네요ㅋㅋ
@bath0819
@bath0819 9 күн бұрын
아 재밌어 ㅋㅋㅋㅋ요즘 진짜 하늘에서 내려오더라고요ㅋㅋㅋ그리고 퇴장때 신랑신부가 같이 춤추는 부분있고 ㅋㅋㅋ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5 ай бұрын
친구분 축하드립니다. 제 동생 결혼식도 울산 컨벤션센터 예식장에서 했네요. 개장한 그 다음날.
@greent1983
@greent1983 5 ай бұрын
2주 뒤 일본에 남편 사촌 결혼식에 참석해서 걱정이었는데 감사해요. 일단 돈봉투부터 사야겠네요😂😂😊
@reonhart1233
@reonhart1233 5 ай бұрын
축의금 봉투 보고 깜짝 놀랐네요. 일본은 저런 화려한 봉투를 쓰는군요.
@eisensteink6321
@eisensteink6321 5 ай бұрын
역시 의리의 오상
@yonghuihan7642
@yonghuihan7642 5 ай бұрын
요시 추미코 추카해요 오상과 결혼 추미코 한국말 마니잘해요
@hy20120
@hy20120 5 ай бұрын
사촌여동생 축의금 받는 역활하러 가야해서 옷입으면서 보고 있어요 한국은 축의금을 받자마자 까서 정리한다음에 결혼식 끝나서 그날 받은 축의금으로 결혼식비용을 바로 내는경우에요 그래서 전 아이패드+키보드 들고가서 엑셀에 바로 입력해서 정리를 할려고 합니다 ㅋㅋㅋㅋ
@djflsdk
@djflsdk 5 ай бұрын
역할 활머니 활아버지 활인마트 활례 분활 관활
@ek-nz7md
@ek-nz7md 5 ай бұрын
한국도 접수대에서 봉투 안깐다고 하시는 분들 많은데 봉투 까는 경우도 꽤 많아요 접수대 아래에서 적당히 안보이게 봉투 열어서 이름, 금액 장부에 적고 식 끝나면 돈이랑 장부랑 빈봉투(나중에 신랑,신부가 봉투에 적힌 하객 이름, 장부랑 비교해서 재확인)를 따로 신랑,신부한테 줍니다 그러면 정산실 가서 바로 예식장 식대 계산하기도 해요 저도 축의금으로 예식 끝나고 식대 정산 바로 했네요 신랑,신부가 결혼식 다 끝나고 저녁에 둘이 있을때 봉투 열어서 확인하는 경우도 있지만 하객이 조금 많은 결혼식은 특히 1,2차로 예식 현장에서 축의금 확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wsanghyo
@wsanghyo 5 ай бұрын
애시당도 부모님 축의금과 본인들 축의금이 달라서 분류가 필요하니, 그저이에서 까는 것은 이상함.
@ek-nz7md
@ek-nz7md 5 ай бұрын
​​​​@@user-le7gi6xc7w돈 받고 하객 눈앞에서 연다는게 아니라 대충 접수대 아래에서 안보이게 여는걸로 압니다 그래서 보통 접수대에 두세분씩 있죠 그리고 자랑이라뇨 그게 뭐라고 뭔 자랑;; 싸구려 예식장도 아니었고 하객도 많이 받아서 홀도 큰곳으로 했습니다 하객이 수백명이면 룸에 가서도 축의금 정산 하지만 그전에 접수대에서 돈 받을때도 1차 확인 필수로 하는 경우 많습니다 어디 지역 양반이신지는 모르겠지만 서울에서는 특히 당일 정산시 그렇게도 많이들 합니다
@ek-nz7md
@ek-nz7md 5 ай бұрын
​@@wsanghyo친구들한테는 따로 받았습니다 그리고 일단 정산은 분류 없이 당일에 하고 제 지인 축의금은 나중에 부모님께 따로 돌려 받았어요
@user-mk5qx7lv5g
@user-mk5qx7lv5g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pop5770
@pop5770 5 ай бұрын
한국에서의 결혼의 의미는 단순히 커플간의 결합만이 아닌 집안의 결합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user-ex1qi6jp7m
@user-ex1qi6jp7m 5 ай бұрын
박가네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24년도 승승장구하는 해가 되기를 바래요 오상 친구분 울산 동천체육관 내 웨딩홀에서 결혼식했나 봅니다 여기 웨딩홀 뷔페가 괜찮습니다
@user-wf1xu6kb5l
@user-wf1xu6kb5l 5 ай бұрын
역시 박가네 개념있는 콘텐츠
@trilce05
@trilce05 5 ай бұрын
ㅎㅎㅎ 일본인 츄미코짱의 시각이 재밌어요. 한국은 실용실용실용실용 빨리빨리빨리! 의 느낌이네요 ㅎㅎ
@user-jr2gu7xi6z
@user-jr2gu7xi6z 5 ай бұрын
결국 아침 8시에 일어나서 바로 보는건 실패했지만 어쩄든 복습 기가맥히다~
@aromata2245
@aromata2245 5 ай бұрын
한국의 혼인건수는 거짓말 하지 않죠 10년 전이 40만건이 넘는데 지금은 19만도 간당 8090년대생 인구수도 많은데
@AJPark-xw7zr
@AJPark-xw7zr 5 ай бұрын
결론이 팬미팅 ㅋㅋㅋ
한국에서 전기차 운전 해보고 깜짝 놀란 이유
20:23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197 М.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73 МЛН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한국가서 놀란 일본과의 식문화 차이
17:30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531 М.
한국과 다른 일본의 결혼식 문화 - 축의금의 차이 -
14:35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403 М.
일본서민들이 고층 아파트를 부러워 하는 이유
20:48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39 М.
중국 상하이에 출장갔다가 충격받은 이유
18:11
ぱく家(박가네)
Рет қаралды 397 М.
ПРЕДСКАЗАТЕЛЬ БУДУЮЩЕГО
1:00
КиноХост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That Feeling When You Pick A Hangnail🫢💀
0:17
Giggle Jiggle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