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발달 5단계

  Рет қаралды 47,756

Sprouts 한국

Sprouts 한국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는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라는 주요 5단계의 발달과정을 통해 인간의 성적 욕구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는지 설명합니다.
그는 특정 성감대에 집중되는 각 단계에서 갈등이나 트라우마가 발생하면 개인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데요.
그의 이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이러한 초기 경험이 우리의 성인기 행동과 정신 건강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는지 탐구해보겠습니다.
* 이 주제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해보세요 *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by 프로이트
product.kyobobook.co.kr/detai...
후원으로 영상제작에 힘을 주세요 🐦
/ sprouts
다른 언어의 채널들도 둘러보세요
영어: / @sprouts
스페인어: / sprouts español
독일어: / @sproutsdeutschland
태국어: / @sproutsthailand
중국어: / @sproutschinese
터키어: / sprouts türkiye
러시아어: / @sproutsrussia
페르시아어: / @sproutsfarsi
프랑스어: / @sproutsenfrancais
이태리어: / @sproutsitalia
에스페란토어: / @sproutsesperanto
포르투갈어: / @sproutsportugues
인도네시아어: / @sproutsindonesia
출처 및 수업자료 🎓
sproutsschools.com/
마음에 드시는 주제에 투표하시거나 새로운 주제를 제안해보세요 🔊
sprouts.featureupvote.com/
이 영상은 후원자분들의 도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Adam Berry, Anil Raut, ArkiTechy, Artur, azad bel, Badrah, Cedric.Wang, Christoph Becker, cnotv, Cory McAbee, David Markham, Delandric Webb, Digital INnov8ors, Dr. Matthias Müller-Mellin, Duane Bemister, Elias Reuss, Eva Marie Koblin, F J V Souza Fh, Gerardo Enrique Nieto, Izzy, jakob steensig, Jeffrey Cassianna, Jim Pilgrim, Joanne Doyle, Leonel, Liam Dalling, Linda Kinkead, Linus Linderoth, Lucia Simone Winston, Mambo no 9, Marcel, María, martin, Martin Streule, Martina Hrebenarova, Mathis Nu, Mezes.Macko, Michael Paradis, Natalie O’Brien, Okan Elibol, Oweeda Newton, Peihui, Povilas Ambrasas, Raymond Fujioka, SAMAR ABDULKADER DAKAK BADAWI, scripz, Solongo Ganbat, Stefan Gros, Taka Kondo, Takashi HIROSE, Thomas Aschan, Yassine Hamza, Yvonne Clapham 이 외의 많은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www.patreon.com/sprouts 에 오시면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한 이들
대본: Ludovico Saint Amour di Chanaz and Jonas Koblin
그림:: Pascal Gaggelli
채색: Nalin
편집: Peera Lertsukittipongsa
제작: Selina Bador
사운드 디자인: Miguel Ojeda
한글화 작업: 토리 ( onesweetfunnyday@gmail.com )
출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PSYCHOTHERAPY - Sigmun...
프로이트의 심리성적발달
www.verywellmind.com/freuds-s...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생애
en.wikipedia.org/wiki/Sigmund...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www.verywellmind.com/what-is-...
구강기에 대한 개괄
en.wikipedia.org/wiki/Oral_stage
챕터
00:00 도입
00:40 구강기
01:29 항문기
02:23 남근기
03:49 잠복기
04:28 생식기
05:29 무의식 연구
06:30 프로이트의 조언
#프로이트 #심리학 #오이디푸스컴플렉스
폰트적용: 나눔손글씨장미체, 메이플스토리, 레시피코리아

Пікірлер: 73
@SproutsKorea
@SproutsKorea 2 ай бұрын
프로이트의 이론은 현대 심리학으로부터 비판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죠. 물론 남근선망 등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도 있지만 무의식 연구의 선구자로 심리학적 치료와 상담의 방법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kanny6317
@kanny6317 2 ай бұрын
무의식이 나의 행동이나 판단에 영향을 끼친다는것을 느끼기 시작한게 30살 전후입니다. 생각보다 강력하고 벗어나가 힘들더군요. 차라리 인정하고 내가 그렇게 행동하고 판단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비했더니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SproutsKorea
@SproutsKorea 2 ай бұрын
본인의 내면을 잘 파악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것 자체가 능력이라고 생각해요. 그런걸 자기성찰지능이 높다고 한다더라구요. 현대를 살아가는 데 무엇보다 강력한 힘인 것 같아요. 👍
@how5555
@how5555 7 күн бұрын
멋지세요~
@lqssfourloo5255
@lqssfourloo5255 26 күн бұрын
처음 접했을 때 그 내용이 꽤 어려워서 읽다 말았지만 본능과 이성 사이를 잘 조율했고, 사회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일반화하는데 많은 고심을 했다는 것이 느껴졌어요. 특히 프로이트 이 사람은 성적인 내용보다 자아, 초자아, 무의식을 기술 하는 것에 시간을 많이 쏟은 것 같더라고요. 아예 무시하면서 살 수는 없고 영상에도 나와있듯 결국은 좋은 삶을 살아가는데에 있어 필요한 생각들인 것 같습니다.
@Beui20817
@Beui20817 Ай бұрын
스스로 혼자 생각하고 자신의 추악함이나 모든 면이 자기자신이라는것을 인정하는것이 시작인것같습니다.
@user-wv3qk9gu2z
@user-wv3qk9gu2z 14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 이론이 받아들여지기 힘든데(특히나 한국사람들이라면) 근데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듯합니다. 우린 그냥 뇌를 극도로 발달시킨 포유류잖습니까
@user-ug7jb4fy8x
@user-ug7jb4fy8x 13 күн бұрын
'특히나 한국사람'이라고 말씀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user-wv3qk9gu2z
@user-wv3qk9gu2z 13 күн бұрын
@@user-ug7jb4fy8x성적인것에 포커스를 많이 두었는데. 유교문화영향을 받은 한국사람에겐 조금 거부감이 들지않겠나. 라는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user-zw6ok4wq4n
@user-zw6ok4wq4n 12 күн бұрын
너무나 욕망수준에서 인생을 기술하려했다는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원초아와 초자아를 조정하는 자아조차 잠복기로 표현되는 시기에 받는 자극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결국, 과거의 욕망으로만으로 현재를 기술할 수 있다고 생각한 거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양심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꼭 과거의 욕망이 현재를 좌우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양심이라는게 실존한다는 의문을 던진다면, 저는 실존한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양심이라는 건, 과거의 내가 했던 행동을 현재에와서 반복하려는 마음인데, 이런 양심까지 욕망과 관련있다는 건 모르는 일이지만, 더 중요한건, 양심이 양심인 이유는 이타적이라는 것입니다.
@Chiquick
@Chiquick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해요 감사합니다😮😮
@SproutsKorea
@SproutsKorea Ай бұрын
감사해요!!^^
@user-fg1tf3zd9v
@user-fg1tf3zd9v 12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더 선호함 아들러의 미움받을 용기에서는 무의식은 없고 트라우마는 없다라고 주장하는데 원인 없는 결과는 없듯 환경에 따라 변화는게 사람이기에 받아들이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 많았음
@qpd5999
@qpd5999 11 күн бұрын
인지행동치료상담 하면서 상담사분이 진단해주실때 나오눈 무의식 관련 얘기들이 들을때 이해가 살짝 안되거나 부족한 부분들이 있었는데 이 채널 영상들 보고나니 이제 조금 윤곽이 잡히는 느낌이네요 좋은 영상들 감사합니다🙂‍↕️🐵
@Dalguma
@Dalguma 2 ай бұрын
심리에 대해 저도 유투브를 하고있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SproutsKorea
@SproutsKorea 2 ай бұрын
능력자시네요👍 대성하실거예요!!
@user-pd8dg9sv8u
@user-pd8dg9sv8u 14 күн бұрын
유튜브에 나온 유튜버들과 부모들의 행태와 현재 모습들을 보니까 이이론은 상당히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L0_N1
@L0_N1 7 күн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인트로 좌우음향 디테일 미쳤네
@user-ce3zl8gh1o
@user-ce3zl8gh1o 23 күн бұрын
출처를 보니 생각보다 훨씬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채널이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분명히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대중들에게 쉽고 빠르게 지식을 전파하고자하는 유튜브 매체의 특성상 생략하신 부분이 많을 것이고, 그에 따라 발생한 오해의 소지를 메우고자 이 댓글을 남깁니다. 저는 독일에서 정신분석 전공하고 있는 박사과정 학생이고, 석사논문 또한 한국에서 정신분석으로 썼습니다. 인증 원하시면 따로 이메일 알려주시면 인증하겠습니다. 1. 프로이트는 자신의 저술 어느 곳에서도 각 발달 단계가 정확히 몇 세에 이루어진다고 선언하고 있지 않습니다. 발달 이론은 '욕구를 방출하는 방법'에 대한 발달 이론인데요, 욕구 방출의 성숙은 신체 나이와 정확히 맞아떨어지지 않습니다. 1세에서 2세가 된다고 저절로 항문기에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것은 부모의 역할과 관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이가 자신의 욕구를 방출하도록 부모가 지지해주고 돌봐주는 것을 통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처럼 부모가 욕구를 방출하도록 허용하거나 금지함에 따라 아이가 부모에게 느끼는 감정이 있을텐데요, 문제는 이것이 한계를 넘어설 정도로 강렬하면 그것이 트라우마가 되어 그 단계에 고착되는 것이지요. 발달이 멈춰버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세상에 갓 태어난 아이가 어머니의 젖을 요구하지만, 어머니가 그것을 거부했다고 합시다. 아이는 좌절을 느낄 것이고, '세상은 나를 받아주지 않는 곳이구나' 라고 느끼면서 이것이 무의식에 저장됩니다. 이 좌절스러운 경험이 훗날 모든 인간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트라우마의 핵이 되고, 동시에 아이는 술이나 약물, 스마트폰 등으로 어머니로부터 느꼈던 좌절을 해결하려고 하겠지요. 이런 의미에서 술이나 담배, 스마트폰은 무의식적으로 젖가슴의 대체물입니다. 이것이 구강기 고착입니다. 2. 6:05 즈음 의식 수준과 전의식 수준에서 자아가 활동한다고 하셨는데, 자아는 무의식에 속하는 것입니다. 초자아, 자아, 이드 모두 무의식에 속하고, 무의식에서 활동합니다. 프로이트는 자아와 이드,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에 수록된 31번째 강의에서 분명히 그렇게 서술했습니다. 프로이트는 정신 기구의 법칙에 쾌락 원칙과 현실 원칙이 있다고 하지요. 쾌락 원칙은 나의 욕구를 방출하여 긴장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리비도를 방출하여 내 안에 쌓인 긴장이 없을 때 그것을 쾌락이라고 하지요. 그러나 우리는 마음대로 리비도를 방출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법과 타자가 존재하는 사회에 살고 있고, 그 규율을 지키는 것 또한 나의 생존에 중요한 것이니 말입니다. 이런 현실 원칙이 쾌락 원칙과 갈등을 일으켜서, 인간은 언제나 법과 공동체의 눈치를 보면서 쾌락을 방출해야만 하죠. 증상, 꿈, 실수 행위, 농담 모두 쾌락을 방출하여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입니다. 그런데 증상을 형성하는 것이나 꿈을 형성하는 작업 모두 리비도를 방출하기 위해 '자아'가 하는 작업인데, 우리는 그 과정들을 전혀 의식할 수 없죠. 우리는 '자아'를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산물'인 꿈의 내용, 현상으로 나타난 증상만 의식할 수 있습니다. 3. "콤플렉스는 없애려고 노력할게 아니라 온전히 수용하려고 애써야 한다 콤플렉스가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당하다" 프로이트가 말한 것처럼 편집하셨는데, 출처가 어디인가요? 도대체 어느 논문에서 프로이트가 저런 소리를 했지요? 이것은 전혀 프로이트의 해법이 아닙니다. 프로이트의 해법은 자신의 콤플렉스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고, 정신분석가와의 분석을 통해 자신의 콤플렉스를 의식화하여 그것을 이성으로 통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6:45 즈음에서 나타난 프로이트의 해법 또한 프로이트가 최종적으로 내놓은 해법과 거리가 멉니다. 이건 정신분석이라는 분야가 인정받기도 이전, 아주아주 초기에, 프로이트가 최면술을 이용해서 환자들을 치료할 때, 그러니까 1890년대쯤에 '카타르시스'라고 프로이트가 명명한 치료법입니다.
@user-pd8dg9sv8u
@user-pd8dg9sv8u 14 күн бұрын
이거 정말 중요함
@dkzldiak
@dkzldiak 10 күн бұрын
저는 9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사실 태어났을 때부터 아버지는 종교에 빠져서 없다시피 했는데 이런경우는 남근기에 큰 영향을 받았을까요?... 전 어니스트 같은 성격인것같긴 하네요
@azure7209
@azure7209 16 күн бұрын
일반적이지 않은 자신의 컴플렉스를 온전히 수용하기는 쉽지 않은거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여유증이 심해서 중1때까지는 친구들이랑 잘 지냈는데, 중3때 저의 컴플렉스가지고 따돌림 당한 경험때문에 성격이 많이 내성적으로 바뀌었어요. 애초에 컴플렉스를 받아들이는 자아가 강인해져야 하는데, 컴플렉스로 인해 자아가 유약해지니까요..ㅠ
@JY-pl2nc
@JY-pl2nc 17 күн бұрын
따흐흑... 크고 우람한 포신이 예사 기합이 아니었다....
@inhauniv
@inhauniv 16 күн бұрын
아~~~쎄이
@sharksking892
@sharksking892 19 күн бұрын
진짜 관찰력 통찰력이 천재적이다
@user-qe1zj1no1h
@user-qe1zj1no1h 27 күн бұрын
울나라 사람이라면 대학교1학년때 무조건 듣는 교육학개론에있는 내용이죠 대부분 교수들도 이건 넘 옜날꺼라 그냥 교과서 적인거라 대충 흘려들으라고 했음 본인도 미신같은유사과학 왜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그냥 어릴때 애들 한테 신경안쓰면 변태 된다 이거임
@user-st9nb5lc9z
@user-st9nb5lc9z 23 күн бұрын
교육학 교수라서 그럴겁니다. 20세기 세상을 바꾼 학자 중 아인슈타인, 다윈과 더불어 거론되는 프로이트입니다. 비판점도 있지만 의미가 큽니다.
@user-fg1tf3zd9v
@user-fg1tf3zd9v 12 күн бұрын
근데 연관있지 않을까 성적 취향 특이한 경우나 도착증있는 경우 그렇지않을까 싶은데 실제 사례들도 많ㄱ
@taechery
@taechery 13 күн бұрын
어니스트 공감되요
@ni-a-me
@ni-a-me 16 күн бұрын
그림은 직접 그리시는건가요?
@Depserver
@Depserver 14 күн бұрын
외국채널의 더빙 및 자막을 하는 공식채널일겁니다
@Gohosst
@Gohosst 17 күн бұрын
좀더 자세하게 알고싶네요. 샘플이부족해요..
@f8dnrazc
@f8dnrazc 9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이라고 보기엔 어렵네요...
@ehehhhheehee76
@ehehhhheehee76 18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는 빅토리아 시대 너무 억압된 성문화로 인해 모든 것을 성으로 연결시킨 인물. 인간 고유의 고차원적인 생각과 도덕, 환경은 신경쓰지 않았어요 무성적인 존재였던 여성과 아이들을 성적인 존재로 인식시켰으나 성인 남성을 동경한다는 것도 함께 주장하며 그 시대 전형적인 남성우월주의를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무의식이라는 것은 프로이트의 연구로는 증명되기 어려울뿐더라 그 무의식 속에 자신의 생각을 넣어 강요했다고 생각해요
@user-ns1ud5ql2e
@user-ns1ud5ql2e 10 күн бұрын
완전하고 영원한 행복과 건강은 없으나, 차선책으로 양질의 행복과 건강을 일시적이라도 많이 얻기 위해선 어렸을 때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내리는 습관"이 필요하고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후회든, 실수든, 슬픔이든 그것이 예정된 미래인 것이 보이더라도 아이가 이미 어떤 선택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으면, 그 순간부터 범죄가 아닌 하에야 부모는 아이의 선택을 최대한 막아선 안된다. +아이가 질문을 할 때 꼭 대답을 하고, 이유(원인)를 알려준다. 이 세상에 원인 없는 것은 없다. 전지전능한 신의 존재를 제외하고
@user-hx4ly8os3p
@user-hx4ly8os3p 2 ай бұрын
프로이트의 이론은 너무 성적인것에 몰두해있죠
@SproutsKorea
@SproutsKorea 2 ай бұрын
그 부분 역시 현대 심리학에서 비판하는 주된 관점 중에 하나이기도 하더라구요 😄
@nnuull5448
@nnuull5448 12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살아가면서 성적인 것이 아주 중요하니까
@user-sp4wz4jm6u
@user-sp4wz4jm6u 14 күн бұрын
네 미치는것 같아요
@user-pd8dg9sv8u
@user-pd8dg9sv8u 14 күн бұрын
?
@dbsehddnr3
@dbsehddnr3 16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가 데디이슈에 초석이였나?
@QSdhkYr5QqVy7in
@QSdhkYr5QqVy7in 10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옛날 4원소설처럼 세상을 설명하기 위한 훌륭한 시도였다는데서는 의의가 있지만 딱히 맞는말은 아니었던것같다
@takamitsuzai
@takamitsuzai 14 күн бұрын
나, 나는 항문기?
@user-yr1jp4yn1y
@user-yr1jp4yn1y 14 күн бұрын
망상 레전드
@jamesy9279
@jamesy9279 11 күн бұрын
Excellent 😎👍
@user-gr9il9xg9d
@user-gr9il9xg9d Ай бұрын
섹무새 프로이트 ..
@user-yd9il4lq6m
@user-yd9il4lq6m 15 күн бұрын
성진국 왜나라는?
@mirimiz0_o
@mirimiz0_o 21 сағат бұрын
여성들에게 남근선망 절대 없습니다 😂 그거 불편하게 왜 달고 다니죠? 😂😂 여성들은 태생부터 자신의 성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그걸 가부장주의 사회가 여성억압을 위해 파괴해버리죠.
@violet_sparow
@violet_sparow 29 күн бұрын
뭐야ㅋㅋㅋㅋㅋㅋ
@violet_sparow
@violet_sparow 29 күн бұрын
현대 심리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는 해도 현대를 살아가는 자의 시선으로는 헛웃음만 나오는 부분이 많네요 그래도 제 무의식이 어디서 기원했을지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인것 같네요
@onk108
@onk108 18 күн бұрын
페미는 남근선망에 미쳐버린거였구나 😢
@LeeKen7
@LeeKen7 17 күн бұрын
원래 문제있는 사람들은 과거가 심각하죠
@user-st9nb5lc9z
@user-st9nb5lc9z 12 күн бұрын
남근선망이 프로이트 이론 중 가장 난해하고 비판받는 점이 부분입니다. 현대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요.
@user-cv1ij4qh9p
@user-cv1ij4qh9p 29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 융, 아들러 셋은 이제 심리학이 아니라 정신분석학이라는 유사과학으로 분류되는데...갑자기 채널 격이 확떨어지네
@user-up3nl5lb8k
@user-up3nl5lb8k 29 күн бұрын
그들이 현재 심리학에 영향을 끼친건 팩트입니다. 애초에 여러 이론과 지식을 창시자나 연구가들이 말했던 말로 설명해주는 채널입니다. 유사과학이라는 말은 엉터리죠. 그건 님 기준인거고 여전히 위 3명의 심리학적인 연구는 학계에서도 활발히 인용중입니다. 그들이 가장 크게 주장했던 말이 현학계는 비판하지만 여전히 그들의 연구가 기초가 되는 이론도 많죠.
@user-cv1ij4qh9p
@user-cv1ij4qh9p 27 күн бұрын
@@user-up3nl5lb8k선생님 죄송한데 틀리셨습니다. 답글은 음슴체로 쓸게요 양해좀요. 1. 지대한 영향을 끼친건 맞음. 프로이트 및 그 두제자는 심리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엶. 2. 내 기준이 아님 유사과학맞음. 정신분석학은 더이상 과학이 아님. 포퍼가 말한 반증가능성이 없기때문. 대충봐도 프로이트를 계승한 라캉은 철학자로 분류되고 융의 이론은 신학정도에서 쓰이는 거로 앎 3. 활발히 인용하는것도 맞음. 그러나 논문의 핵심이 되는 이론으로는 절대채택하지 않음. 근 십여년간 SCI급 논문중 프로이트의 발달이론을 계승한 논문 없음. 이상이 학계의 주된 기류고 내가 공부하고 배운것임. 나도 대학원에서 신경과학을 전공하기전 학부생 때 정신분석학 줄기차게 읽어댔고, 교수님이 틀렸다고 오목조목짚어줬을때 무슨기분인지 아직도 기억이 남. 사람들은 프로이트가 심리학자였다고 그의 이론이 아직도 심리학일거라고 잘못알고 있음. (내가 그랬지) 심리학과에서조차 프로이트는 개론때만 다루고 대부분은 통계학을 배움. 이상은 과학사책 한권, 제대로 된 전문적인 심리학책 한두권 들춰보면 알수있는 내용. 구체적으로 어떻게 틀린지는 논문을 봐야 아는거고. 가령 융이 라마르크의 이론을 썼다던가 프로이트의 예측은 다빗나갔다던가. 프로이트가 자신의 이론은 경험적 증거를 필요로하지 않는다고 못박았던 일화라던가. 추천드릴 책은 핑커의 빈서판입니다. 저도 학부때 읽었습니다. 그래도 정 프로이트가 좋으시다면 계속 읽으세요.
@user-up3nl5lb8k
@user-up3nl5lb8k 27 күн бұрын
@@user-cv1ij4qh9p 감사합니다 배위갑니다
@user-st9nb5lc9z
@user-st9nb5lc9z 23 күн бұрын
심리학은 역사가 100년 남짓한 신생학문으로 과학과 인문학 언저리에 있습니다. 님의 글에서 심리학을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올리려는 욕구가 느껴지는데요, 님이 신경심리나 행동심리만을 심리학(=과학)으로 받아들이고 정신분석을 심리학으로 받아들이지 않아도 심리학 이론임은 틀림이 없고 바뀌지 않을겁니다. 그리고 창작자는 채널을 과학채널로 규정하고 있지도 않고 님이 말한대로 새로운 지평을 연 학자들의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격을 떨어트린다고 느끼는 건 과한것 같네요. 이정도면 일반인들이 보기엔 충분히 양질의 컨텐츠입니다.
@kgdrihocidw
@kgdrihocidw 18 күн бұрын
궁금한데 그럼 프로이트의 이론과 정신분석학은 앞으로도 과학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없나요? 트라우마를 치료할때 정신 분석학적 접근을 하는 것에 대해 심리학계나 정신의학계는 어떻게 생각을 하나요? 현대 심리학은 어린 시절의 경험이 어른이 돼서 미치는 영향 자체를 고려하지 않으려는 기조인건가요?(이거는 제가 상담을 받아보면서 느낀 개인적인 생각이긴 하고 실제 심리학계의 의견은 잘 모르긴 합니다)
@user-lv3lv2li8o
@user-lv3lv2li8o 23 күн бұрын
프로이트 그냥 정신병자같은데ㅋㅋㅋㅋㅋㅋㅋ 아니 너무 극단적인거아님?
사람을 미워하는 사람이 행복할 수 없는 이유 | 행복의 기원
11:16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65 М.
흔히 사용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10가지
3:59
심리툰 Psych2Go Korea
Рет қаралды 61 М.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КАХА и Джин 2
00:3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What To Do When Our Child Says “I Hate You”
17:18
Peace and Parenting with Michelle Kenney, M. ED
Рет қаралды 9
폭력이란 무엇인가? (feat. 시몬 베유)
8:24
개념쌓기
Рет қаралды 2,8 М.
알베르 카뮈 - 부조리한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
26:44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자존감 높은 사람은 절대 하지 않는 한 가지 행동 (김경일 교수)
16:15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441 М.
인간의 뇌는 위험한 도박을 했다 | 뇌 가소성, 뇌과학 이야기
9:18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