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3배 이상 가능? 과적 차량을 피해야 하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619,339

픽플러스

픽플러스

Жыл бұрын

#1톤트럭#적재량
※ 제작지원
- 내손안의 자동차 전문가, 인포카!
인포카 제품구매링크 : smartstore.naver.com/infocar/...
- 세차용품의 모든 것, 엔공구!
소비자몰 : n09.co.kr/?ref=7MCFuPdS
비투비몰 : n09b2b.co.kr/?ref=t0RUgHFh
:: 내 차 팔 땐 픽플러스!
- www.pickplus.net/
:: 폐차할 땐 막차폐차!
- makcha.co.kr/
:: 촬영의 안전을 위해 관계자가 함께 동행하고 있습니다.
:: 실험 차량 중 모자이크는 협력 폐차 업체의 요청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실험 차량은 픽플러스와 협력 폐차 업체의 차량이며, 영상에 따라 폐차 차량으로 진행됩니다.
※ 비지니스 제휴 문의
info@pickplus.net

Пікірлер: 1 800
@user-zg5jb5dc7t
@user-zg5jb5dc7t Жыл бұрын
차는 가는 것보다 서는 게 더 중요한데, 영상을 보니까 그 위험성이 확실히 나타나네요 유익하고 좋은 실험이네요
@jiy9759
@jiy9759 Ай бұрын
시멘트 파렛트 2개 실은거 봤습니다 40키로×5×10단 × 2파렛트
@사람냄새
@사람냄새 Ай бұрын
농촌지역은 할수밖에 없는게 농약하려면 사람포함 1.5t까지 됩니다
@LDK_DongKi
@LDK_DongKi Жыл бұрын
과적 차량들이 고속도로 뿐 아니라 도심에도 많아서 이번 실험 영상이 확실히 와닿네요... 보면 불안불안했는데 이젠 무서워졌어.. 단속이 어려우니 내가 피해야지...
@treepark1783
@treepark1783 Жыл бұрын
@@user-lp2tf5fg5x 1톤트럭은 과적단속을 안합니다. 다만 사고시에 과적으로 인한 문제로 처벌이나 보험금 지급에 문제가 있을 뿐이죠. 5톤 이상부터는 과적을 단속합니다. 고속도로 톨게이트 이런데 대형화물 트럭들은 반드시 무게 측정하는 계근대를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거기서 과적시 단속이 많이 되어서 과적을 안합니다. 과적 하다 몇번 걸리면 영업용 번호판 빼앗깁니다.
@Yes_you_
@Yes_you_ Жыл бұрын
호루를 무슨 차높이 두배로 올려서 앞이 하나도 안보이게 만드는 차도 많아요.. 그런 차가 앞이 정체라고 핸들 확 트는 바람에 사고날뻔 한 적도 있었고요
@sns948
@sns948 Жыл бұрын
@@Yes_you_ 꽃배달 차들이 호루가 높아요~화환이나 나무 화분땜시롱~~
@Mazwell5681
@Mazwell5681 Жыл бұрын
@@treepark1783 차량관리법위반으로 적재적량이상 적재사고시 형사처벌...
@Dummy0000
@Dummy0000 Жыл бұрын
​@@Yes_you_앞차가 핸들 확 튼다고 사고가 왜 나나요 안전거리 띄우고 가면 사고 안납니다
@griffin2546
@griffin2546 Жыл бұрын
평소에 궁금하던 내용을 자세하게 알려주시고 참 유용한 정보인것 같습니다 ~~ 항상 잘 보고 갑니다 ^^
@mw-fw9cj
@mw-fw9cj Жыл бұрын
언덕에서 주로 트럭들이 사고가 났었는데 주로 하나같이 브레이크 고장이라는데 과적이 이유가 될수 있는거네요
@dirtyvibe9573
@dirtyvibe9573 Ай бұрын
브레이크 과열됐을듯
@mw-fw9cj
@mw-fw9cj Ай бұрын
@@dirtyvibe9573 과적때문이라고
@fkfkfkfkkkfkfkkfkfkf
@fkfkfkfkkkfkfkkfkfkf Жыл бұрын
나도 차가 가라앉을거라 생각했지 제동에 이상이 생길 줄은 몰랐다 직접 해서 보여주는 정확하고 믿음가는 이 채널 난 좋은 거 같다
@user-ps1hf5ip1h
@user-ps1hf5ip1h Жыл бұрын
허용치를 벗어나니 당연히 밀릴 수 밖에 없죠
@bbul
@bbul Жыл бұрын
바퀴 면적만 크면 충분히 멈출듯
@treepark1783
@treepark1783 Жыл бұрын
차체는 문제가 안되고 타이어가 문제가 됩니다. 과적시 타이어가 견디질 못해서 펑크가 납니다.
@YoungukJo
@YoungukJo Жыл бұрын
ㅇㅈ
@hadden9776
@hadden9776 Жыл бұрын
@@treepark1783 복륜이라 3톤까진 버팁니다. 3톤 싣고 고속주행만 않하면 터질 정도는 아닙니다.
@user-dc4nc3jo6b
@user-dc4nc3jo6b Жыл бұрын
자동차가 잘못하면 가는 지옥.. 저 포터는 생전 어떤 죄를 지었길래..
@rainbowk4681
@rainbowk4681 Жыл бұрын
포터는 생전에도 저렇게 실어다녔을 수도 있어요.....
@user-xf1xc2go2z
@user-xf1xc2go2z Жыл бұрын
포터의 명복을...
@JohnBro_world
@JohnBro_world Жыл бұрын
마이티랑 같이 현대차에게 대항했었다고 하네요
@dr.1537
@dr.1537 Жыл бұрын
포터가 아니라 봉고지요오
@A8Dn
@A8Dn Жыл бұрын
@@dr.1537 특히 5단 수동 봉고면 포터랑 확연히 다른 차죠. 당대의 A 엔진보다 더 힘 좋았던 J 엔진이 들어간...
@TheLaimunt
@TheLaimunt Жыл бұрын
대형 화물차 뿐만 아니라 소형 화물차도 적극 단속해야 하는 이유를 제대로 검증해주셨네요. 크나 작으나 화물차는 화물차. 차체의 강성은 둘째 치더라도, 제동이 안되는 차량은 흉기나 다름없지요. 이 영상이 널리 알려져서 도로 위가 좀 더 안전해지면 좋겠습니다.
@CRUISERLEE
@CRUISERLEE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인력이….. 공무원 줄여라 어쩌고 동사무소에 노는 애들 어쩌고 이런말 나오는데 가능할리가요…
@kimjihoon26
@kimjihoon26 Жыл бұрын
물론 과적하지 않는게 이상적이고 당연하겠지만…생각보다 화물량은 사회 경제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실제로 스타렉스 화물용은 포터나 봉고의 전면부 사고충돌시의 위험성을 대체하기위해 출시됬다가 앞이 길지만 적재함이 작다는 이유로 사용자들의 회물량 기대치를 만족시키지 못해서 바로 단종되고 말았죠…결국 사용자마저 본인들의 안전보다 눈앞에 보이는 단순한 경제적 이익을 선택한 것이죠 사용자들은 두,세번 혹은 그 이상 운행할거 한번에 가길 원합니다. 화물차들이 기준의 2,3배 혹은 그 이상을 적재하는 경우들이 많다고 보는데…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용자의 양심에만 기대하기엔 쉽지 않은 현실적인 부분이 있죠…
@xd3589
@xd3589 Жыл бұрын
카메라 여기저기 진짜 ㅈㄴ 달아두고 과속이나 신호위반 이런거 할때마다 싹 다 벌금전가해야지 하루에 백번이고 천번이고 ㅇㅇ 그돈으로 고용해서 쓰죠
@CRUISERLEE
@CRUISERLEE Жыл бұрын
@@xd3589 레알.... 과적 단속인력 늘려야함
@siesta11
@siesta11 11 ай бұрын
@@CRUISERLEE 그걸 현재는 공무원과 공무직이 짝을 이뤄서 하고 있는데 쉽지가 않음. 인원 늘리기가
@user-mu8li3jt5y
@user-mu8li3jt5y 11 ай бұрын
좋은 교훈이 되는 내용 진심 고개숙여 감사 드립니다.
@ku3994
@ku3994 Жыл бұрын
농산물 센터나 공장등 부지내에서 3~4톤씩 싣고 짧은 거리만 왔다갔다 하며 쓰이는 차량들이 있죠. 연식도 좋고 키로수도 적은 차량들이 중고시장에 나오면 짧은기간 그렇게 혹사 한 차량이 아닌가 꼭 의심 해보기 바랍니다.
@rmki1fukleejm11
@rmki1fukleejm11 Жыл бұрын
@ls-8441 느검마
@user-pb3nf8sv1c
@user-pb3nf8sv1c Жыл бұрын
@ls-8441ㅇㅋ
@JohnLee-ln6no
@JohnLee-ln6no Жыл бұрын
공사장 봉고차들도 시멘트100포, 기타 자재로 무지 싣죠.
@sunbear625
@sunbear625 Жыл бұрын
근데 왜 계속 안쓰고 중고로 나오나요
@hkcsilver96
@hkcsilver96 Жыл бұрын
@@sunbear625폭탄돌리기죠
@lullulullu7
@lullulullu7 Жыл бұрын
적정량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실험 감사합니다~
@jinchan0110
@jinchan0110 Жыл бұрын
​@ls-8441응 안 들어가고 신고할게
@ilbanine
@ilbanine Жыл бұрын
@ls-8441넵
@YOPY-mu7gh
@YOPY-mu7gh Жыл бұрын
그 적정량 마진이 1톤 트럭에서 ㅎㄷㄷ하긴 합니다. 옛날 '야무진'이라고 현 르노, 전 르삼, 전전에 삼성차에서 일본의 포터/봉고 같은 차 라이센스 생산해서 망한 썰 영상 재밌어요. 추천드림ㅋㅋ
@0o1123
@0o1123 Жыл бұрын
제주도 가보면 적재함이 꺾인 채로 다니는 트럭이 가끔 보이는데 과적 데미지가 너무 세게 들어가서 그런 겁니다.
@jinchan0110
@jinchan0110 Жыл бұрын
@@0o1123 굳이 제주가 아니더라도 적재공간이 뒤틀린 트럭 자주 보입니다...
@cheonyoury
@cheonyoury Жыл бұрын
실험영상 보는것도 ㅈㄴ 위험해 죽겠는데 이것들이 도로위에 과적해서 다니고 있는거 보면 어우;;; 끔찍하네요. 항상 좋은 실험 영상 감사합니다
@mod-support
@mod-support 11 ай бұрын
포터 화물차주 입장에서 너무나 도움되는 영상이였습니다.
@aalsksksk2243
@aalsksksk2243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실험정신에 박수를 보냅니다.
@user-le9mv8pj5q
@user-le9mv8pj5q Жыл бұрын
실험을 통한 유익한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과적은 하지 맙시다~~
@Cruel_Light
@Cruel_Light Жыл бұрын
실험하는 내내 혹시나 사고가 날까 봐 조마조마했습니다 위험한 실험이지만, 경각심을 크게 일깨우게 하는 영상이라 생각합니다
@driveismylife6378
@driveismylife6378 Жыл бұрын
해주셨군요! 감사합니다 픽플 짱짱맨~
@user-vu2dj9dp8h
@user-vu2dj9dp8h Жыл бұрын
직접 보여주니까 믿음이 가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user-gy7mp8le1j
@user-gy7mp8le1j Ай бұрын
@APROBONG
@APROBONG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 밟아도 쭈욱 밀리는거 보고 식겁했습니다. 진짜 피해다녀야 겠어요
@--94
@--94 Жыл бұрын
아마 타이어 트레드 다 달아서 더 쉽게 밀리는듯 8:07
@atk--
@atk-- Жыл бұрын
우와~ 실험정신에 박수~~
@user-be5gf2hx7y
@user-be5gf2hx7y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잘보고 갑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보는것만으로도 심각하네요
@user-mx1kl9pi3j
@user-mx1kl9pi3j Жыл бұрын
시골에서 양파작업 몇일 한적 있는데 한망에 20kg 짜리 양파망을 200개 내외(4톤) 싣고 창고까지 수십번 왔다갔다 하는일을 했습니다.다른 용달차도 시즌이라 양파 작업 많이 했는데 타이어 펑크나서 주저 앉은 차 하루에 2~3대는 무조건 봤습니다.ㅋㅋㅋㅋ
@cartagong
@cartagong Жыл бұрын
어찌저찌 굴러는 가도 제동이 될까 싶었는데 저렇게 밀릴줄은 상상도 못했네요. 브레이크 디스크나 패드의 마모도 있겠지만 짐 실은 큰 차들은 피하는게 답이네요
@Hi_there_1226
@Hi_there_1226 Жыл бұрын
페차장이라 바닥에 기름이 흥건 하네요 아마 이것 때문에 밀리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user-iy7zf6mx4g
@user-iy7zf6mx4g Жыл бұрын
@@Hi_there_1226 맞아요. 노면이 미끄러워서 그래요. 흙가루도 노면바닥에 뽀얗게 앉아있어요.
@user-vo1nb3eo9u
@user-vo1nb3eo9u Жыл бұрын
원래 정상적인 차량이면 구동력보다 제동력이 더 크죠... 폐차직전 수준 차량이라 브레이크가 막장수준이었거나 위험성을 보여주기 위해 과장한거라 봐야
@korea1.1
@korea1.1 Жыл бұрын
​@@user-vo1nb3eo9u 맞아요 저도 보통 2돈500기본 실고 다니는데 저정도 언덕은 전혀 무리없어요
@mnm9139
@mnm9139 10 ай бұрын
​@@korea1.1과적하신다는 소리네요. 이번 주차장 붕괴 사건 욕하신 건 아니죠?
@crystal__9204
@crystal__9204 Жыл бұрын
실험이 확 와닿습니다!!
@user-ep9hs4fh7u
@user-ep9hs4fh7u Ай бұрын
이거 계속 실험해서 적재기준을 다시 정해주셧음 하네요 ㅎ 너무 유익한 영상임
@sa86rana
@sa86rana Жыл бұрын
과적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교보재 잘보고 갑니다.
@user-oy8dv6vs7h
@user-oy8dv6vs7h Жыл бұрын
25년전에 상사에서 알바할때 중력분밀가루15kg 200~250포씩 싣고 배달 다니고했는데 기차길앞 요철지나가면 진짜 운전석이 한참들려있다가 내려오고 그랬었음 그땐 20대초반이라 겁이없긴했는데 ㅋ
@aniprofilepicture
@aniprofilepicture 11 ай бұрын
대단하네요 실험정신에 박수치고 싶다가도 너무 위험해보여요. 보는 내내 간담이 서늘하네요.
@kcrollerskate3404
@kcrollerskate3404 Жыл бұрын
실험 감사합니다 👍
@igalluk
@igalluk Жыл бұрын
예전에 1.5, 1.4 였고 지금은 1.2t인 차와 그냥 1톤 차 겉 모습은 큰 차이가 없죠. 1.5가 시작이어서 그런지 지금도 1.2톤차가 보통 1톤 보다 1.5배 정도 더 싣는 거로 많이들 생각하죠. 차제도 원감 절감의 영향인지 예전보단 덜 튼튼해진거 같다고들 하더군요.
@momokai2458
@momokai2458 Жыл бұрын
바닷물에 쥐약이라서 그래요 차체가 원래 일본처럼 처음 만들때 아연도금을 하고 올려야 하는데 원가절감으로 그냥 올려버림 그래서 활어차나 바닷가차들 보면 철이 과자부스러기처럼 썩어서 폐차됨 현기차가 화물자 독점하고 있어서 경쟁차가 나와야지 고치지 절대 안고침 그냥 사고나면 죽는다는 생각으로 타야함
@user-sf1gr9ed1t
@user-sf1gr9ed1t Жыл бұрын
바다 물은 어느 차나 쥐약 입니다. 시맨트 건물도 부식 시키는게 해풍이고요. 수입차 또한 한국 수입해들어오면 간단하게 탈부착 가능 한거 떼고 점검후 녹있으면 그라인더 사포로 일부 도장 벗긴후 빠다 칠하고 거기다 페인트 칠 합니다. 대부분 수입차가 바다를 건너 오기 때문에 그작업 하고 들어온다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소형트럭은 99%가 현기 챠량이기 때문에 비교 대상이 없습니다.
@user-xl7ev4pf9x
@user-xl7ev4pf9x Жыл бұрын
차량 하부를 보면 차이가 있어요. 1톤은 쇼바가 있지만 1.2톤은 판스프링이 붙어있죠. 그만큼 무게짐에 특화되어있다는 소리구요. 애초에 과적을위한 차로 만들어진거에요.
@user-kh8fm1cd4m
@user-kh8fm1cd4m 11 ай бұрын
98년식 포터, 2004년 경에 2.4톤까지 실어 봤는데, 다른 문제는 없었고 방지턱 넘을 때마다 하부가 닿아서 위험하더라고요.
@ohlaksil
@ohlaksil Жыл бұрын
제동의 성능이 낮아지는군요. 고마운 실험입니다. 고생하셨어요.
@user-nv3fi5pl2z
@user-nv3fi5pl2z Жыл бұрын
봉고모는데 확실히 짐 싣었을때가 더 부드러운 느낌이 들만큼 힘이 좋게 설계된 차라는 느낌은 듭니다. 근데 영상 마무리에 모닝위에 차 돌려놓는거 왤케 귀엽냐
@mkduuwbaml
@mkduuwbaml Жыл бұрын
폐차직전 포터라 후륜브레이크가 컨디션이 안나오고, 그나마 잡히는 전륜은 폐차장특유의 기름범벅 모래덮인 길이라 제동이 더 안들었던것 같네요 실제로 2-3톤 과적이 일상수준인걸 보면 공도 다니는 차들은 저정도까지 밀리진 않을걸로 보입니다
@NsupKn7iP0ff5e1TBD3-JA
@NsupKn7iP0ff5e1TBD3-JA Жыл бұрын
첫 직장 다닐때 2005년식 당시 신형으로 나왔던 포터 인터쿨러 모델로 자동차부품 3톤씩 싣고 타지로 납품 다녔는데 진짜 고속도로 주행보다 국도 코너길이나 내리막길 브레이크 제동이 잘 안되어서 훨씬 위험했던 기억이 나네요.지금 생각해보면 목숨걸고 일했었네요..그때의 기억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지금도 가끔 꿈꾸면 브레이크 꾹 밟아도 차가 계속 밀리는 꿈을 꾼다는......
@ktkjs3463
@ktkjs3463 Жыл бұрын
그거 길몽입니다
@dsk1199
@dsk1199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요 구형 포터 논터보 90마력짜리 폐기물급 트럭으로 개당 4~5톤짜리 거대 농수로관 옮기는데 1단 풀악셀쳐도 속도가 20km였고 그마져도 정지하려면 풀브레이크로 수초씩 걸렸어요 도로포장공사나 농수로공사에서 하던일인데 브레이크 밀려서 사고나는꿈을 평생 꾸네요
@wyrot
@wyrot Жыл бұрын
저는 밀린 경험도 없는데 그런 꿈 꿔요
@YTYTYTY7
@YTYTYTY7 Жыл бұрын
3톤이 내뒤에 있다 생각만해도 ㅎㄷㄷㄷ
@mintlemon9377
@mintlemon9377 Жыл бұрын
포터 그냥 휠이 작아서 뭘해도 밀림 공차에서도 풀브레이크 땡기면 그냥 쭉밀림
@user-ok1oi4ou8s
@user-ok1oi4ou8s Жыл бұрын
무사히 촬영을 마쳐서 다행입니다.
@IMintChocoI
@IMintChocoI Жыл бұрын
늘 실험정신 대단합니다.픽플러스 화이팅!!!
@yho2447
@yho2447 Жыл бұрын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오토는 언덕올라가다 미션나가면 답없죠 또한 포터나 봉고 뒷바퀴끼리 붙어버리면 마찰로 인해 타이어가 터지거나 불날수도 있어요
@user-zq6gn7ri9c
@user-zq6gn7ri9c Жыл бұрын
픽님 차바퀴가 한쪽으로만 계속 충격이 있을경우 휠얼라이먼트가 얼마나 불량이 되는지 실험도 보고싶어요
@user-qx9uf6fn7l
@user-qx9uf6fn7l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godbless253
@godbless253 Жыл бұрын
뒤가 너무 무거워서 앞바퀴가 떠버리니 제동이 잘 안되는군요 ㄷㄷㄷ
@user-ct8em6xv5u
@user-ct8em6xv5u Жыл бұрын
역시 IS가 인정하는 세계적인 트럭 포터르기니,봉고르기니
@realbiny9083
@realbiny9083 Жыл бұрын
zzzz
@downhell9797
@downhell9797 Жыл бұрын
외계인도 사갈듯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i2ug5ht4h
@user-ci2ug5ht4h Жыл бұрын
역시 픽플.. 짜릿해
@user-hy5jc9ye4d
@user-hy5jc9ye4d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마티즈에서 빵터졌습니다 ㅋㅋㅋ 날씨가 더워 지는데 헬맷을 바꾸는게 어떠 실런지요 자전거 헬맷에 복면 마스크? ㅎㅎ
@TVU_Video
@TVU_Video 11 ай бұрын
스피더님, 이번 실험의 경우엔 낙하방지 그물을 사용하시는 게 좋았을 것 같습니다. 화물이 경사로에서 굴러떨어질까봐 조마조마하네요.
@user-uo3xv8fn7l
@user-uo3xv8fn7l 11 ай бұрын
6:12 차가 밀리는게 아니고 수동차량은 클러치를 밟아야 멈춥니다. 내리막에서 1단넣고 브레이크만 밟아봐야 안멈춥니다. 공차상태에선 시동이 꺼지지만 내리막에 짐까지실려 밀리니 시동이안꺼지죠 마지막에는 클러치 브레이크 같이 밟아줘야합니다. 그리고 뒷바퀴가 굴러가니 의심해봅니다.😊
@user-qe9ti7je1w
@user-qe9ti7je1w 2 ай бұрын
짧은 지식이지만 1단이면 바퀴가 오히려 뒤로 굴러가려할때 오히려 추가적인 제동력이 생겨야하는거 아닌가요?
@ssexmaster
@ssexmaster Ай бұрын
저정도 속도에서 클러치 안 밞았겠습니까? 안그럼 진작에 시동 꺼졌지 ㅋㅋ 그리고 뒷바퀴는 굴러가는게 당연합니다 원래 브레이크 분배가 앞브레이크 쪽에 더 많고 뒷브레이크 분배가 낮아서 그럽니다
@scrollcho
@scrollcho Жыл бұрын
보는내내 손에 땀이 나는건 또 처음임.. 실험을 목숨걸고 하는군요 ㅎ
@bbwanbbwan9490
@bbwanbbwan9490 Жыл бұрын
이런 실험 너무 좋아요 후.. 진짜
@user-xe9pi7ql3u
@user-xe9pi7ql3u Жыл бұрын
전에 일하던 회사가 건설기계 관련 회사였는데 고객이 포터 또는 봉고 1~1.2톤으로 3.5톤짜리(실측하면 3.8톤) 굴착기를 싣고 거기에 버킷까지 올려서 4톤을 싣고 다니는걸 목격했죠 ㅋㅋㅋㅋ 아무리 스프링, 쇼버, 브레이크 보강을 했다고는 하지만 싣는 과정에서 2축 바퀴가 거의 다 눌릴정도로 꽉 눌립니다 다 싣고 나서도 바퀴가 눌릴대로 눌려서 대충 1.5인치 정도만 남은채로 괜찮다면서 가버리던 고객 생각나더군요..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하체 풀튜닝을 해도 고중량에 무게중심이 높기까지한 굴착기를 싣는건 위험하죠 굴착기는 마이티를 불러야 합니다
@user-xe9pi7ql3u
@user-xe9pi7ql3u Жыл бұрын
@@Mar_Sara 뭐 우리는 그러면 안된다 한들 굴착기보유 고객들이 괜찮다며 포터, 봉고 끌고와서 0.8~1.7톤급도 아니고 2~3.5톤급을 싣고가니 할말이 없죠. 그런분들은 마이티에도 5.5톤급을 싣더랍니다
@sns948
@sns948 Жыл бұрын
​@@Mar_Saraㅋㅋ 이런말 뭐하지만 일명 미니 포크레인이라고 하면서 님이 말씀 하신대로 1.2나1.5톤 차량 보강 조금 한차량 가지고 와서는 맨날 이렇게 싣고 다녔다면서. 괜찮다고 싣어 달라고 하죠. 02부터는 4.5이상 마이티로 운행하는게 맞는건데 웬만한 나이드신 굴삭기 기사님들은 깡그리 무시하고 보강만해서 싣고 다니죠. 과적을 식사하듯이 하심ㅎㅎ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user-xe9pi7ql3u 안타깝네요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sns948 아이고...
@zero3355
@zero3355 Жыл бұрын
수박차라고 산지수박나르는차가 쇠휠이깨질정도로 싫고나르다 바퀴빠지는걸 수도없이봄
@rich-son1
@rich-son1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했음ㅎㅎ 👍
@user-jr7xk8ik6q
@user-jr7xk8ik6q Жыл бұрын
쇼바나 엔진출력이 되니까 과적 해도 된다고들 알고 있는거 같은데 제동이 진짜 문제였네요 이거 정말 좋은 실험이었습니다!
@0906car
@0906car Жыл бұрын
스피더 강차장님 월급 많이 주세요..
@Mad_bread
@Mad_bread Жыл бұрын
이 썸네일과 제목을 어떻게 참아
@kwonhuykmuyng
@kwonhuykmuyng Жыл бұрын
1단 엔진 브레이크 + 브레이크 써야 합니다. 안전 운전 하세요 ~ ㅎㅎ
@원할머니보고쌈
@원할머니보고쌈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옛날부터 해달라고 한건데 드디어 해주네요!
@user-cq4jm1cl6m
@user-cq4jm1cl6m Жыл бұрын
운전면허 딴지 얼마 안되었고 방학 때 알바로 공장 납품일 해봄 오자마자 포터로 4톤 까지 실어서 납품가라고함 그냥 멋도 모르고 몰면되겠지 했는데 진짜 내리막 브레이크 안먹힘 겁나 실겁하고 하루하고 바로 때려침ㄷㄷㄷ
@user-xf3ob5rj1u
@user-xf3ob5rj1u Жыл бұрын
뒷바퀴 브레이크호스가 터진듯 정상작동되는 브레이크였으면 제동에는 문제없었을듯 보이네요 물론 과적은 금물 !!
@user-qi8ve2tn2s
@user-qi8ve2tn2s 11 ай бұрын
어릴때 알바를 했었어요 트럭은 처음 몰아봤는데 1톤 쫌 넘는 파렛트를 2개가 보통... 많으면 3개까지...하아 지금 같아선 못하지만 그때는 식은땀 흘리면서 다른 형들도 다하니깐... 내리막길에 브레이크 한번 제대로 밀리는거 느끼고 몇일있다 관뒀어요 ㅎㅎ
@IsaccNewten
@IsaccNewten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차량 고장으로 견인차로도 쓰는걸 봐선 엄청 힘이 세긴한데 장거리 운행은 진짜 힘들어 보였습니다.
@bin8092
@bin8092 Жыл бұрын
추수철 농협에서 알바하면서 1톤 트럭에 6.5톤 실어 오는 사람도 봤습니다 ㅋㅋ 휠이 땅이랑 붙어있더라고요
@kend9351
@kend9351 Жыл бұрын
똥싸는소리
@boss10w
@boss10w Жыл бұрын
1.2톤 아닌가요 ㅋㅋ 1톤에 6톤 넘게 ㄷㄷ 차 퍼질듯;
@bin8092
@bin8092 Жыл бұрын
@@boss10w 저도 제 눈을 의심했습니다 ㅋㅋ
@user-un8yv7bq8x
@user-un8yv7bq8x 9 ай бұрын
@@boss10w가능합니다 콤바인이 한번 부으면 1500리터인데 4번 붓고도 갑니다
@dooyoungchun293
@dooyoungchun293 Жыл бұрын
예전 회사에서 5톤 축장차에 26톤 실은담에 화성에서 포항까지 보낸적 있음....옆에서 보는데 그큰 타이어 사이드 월이 1/3으로 줄어드는데도 화물차주는 50만원 더준다니까 가시더라구요...상사가 시켜서 어쩔수 없었지만 진심 타이어 근처도 못가겠더라구요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Жыл бұрын
와 겨우 건당 50만원으로 차 버리는 짓을 하는군요...추후 차량 수리비가 더 나올것 같은데 ㅋㅋ
@nolimheloi5606
@nolimheloi5606 Жыл бұрын
@@user-js4to2um8f 예전에 현장사람들한테 들었는데 화물차주는 돈 얹어줘도 하기싫은데 저런 일 안받아주면 다음부터는 아예 안불러버리니까 울며 겨자먹기로 한다고 하더라구요 철강회사였는데 회장이 죽어버리고 아들이 경영하면서부터 계속 과적요구해서 현장이랑 차주랑 거진 매일마다 다퉜었음 ㅜ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Жыл бұрын
@@nolimheloi5606 아..그런일이 있었군요...차주도 자기 트럭이 밥줄이다보니 과적이 싫어도 어쩔수 없이 하는경우도 있었군요..
@user-FindingObserver
@user-FindingObserver Жыл бұрын
유통이나 화물쪽엔 아직도 이렇게 구시대적인 마인드를 가진 업자들이 많으니 이렇게 화물운전자도 고통받고, 다른 운전자들도 고통받는거죠...언제쯤 뿌리뽑힐련지
@user-vo1nb3eo9u
@user-vo1nb3eo9u Жыл бұрын
@@nolimheloi5606 진짜 과적 단속걸리면 화주한테 벌금 같이 먹여야하는데 걸리던 사고나던 차주만 돈내니까 막 시키는듯
@concrete8447
@concrete8447 Жыл бұрын
과적하면 사고가 나는것과의 별개의 문제로 도로포장을 변형 또는 파손시킬수있기때문에 정말 지양해야 합니다 혼자서만 쓰는 도로 아니잖아요...
@ssondalove
@ssondalove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는내내 조마조마하고 걱정되었습니다. 정말입니다
@Won_Sik
@Won_Sik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실험 해주시는군요 ㅜㅜㅜ 실험해달라고 1년여전부터 댓글달았었는데 이제라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3톤실코 밀리는건 브레이크 손봐야합니다 차량 상태가 별로였네요
@Blacker02
@Blacker02 Жыл бұрын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내리막길에서 무게 때문에 밀립니다
@hadden9776
@hadden9776 Жыл бұрын
밀리긴해도 저건 풀브레이킹도 아니고 브레이크 밀린다고 보여주느라고...ㄷㄷ 시동 꺼질 때 보면 멈쳐서는거 보면 뭐.....
@sns948
@sns948 Жыл бұрын
잘 보시면 밀리는게 브레이크가 밀리는것보단 무게때문에 제동상태로 타이어가 그냥 그대로 미끌리는겁니다.
@hadden9776
@hadden9776 Жыл бұрын
@@sns948 브레이크 제대로 작동되면 3톤 정도면 저정도 경사 버팁니다. 그리고 바퀴가 멈쳐서 내려가는게 아니라 후륰 바퀴 계속 굴러가잔아요. 미끌리는거랑 다르잔아요
@sns948
@sns948 Жыл бұрын
@@hadden9776 그쵸. 저상태로라면 그렇죠. 그래서 브레이크가 밀리는것보단 이라고 썼죠. 브레이크가 안밀린다는게 아니고 브레이크도 밀리고 있죠. 그리고 저건 짧은 실험이고 항상 3톤이상 과적으로 다니면 제동장치 못버팁니다. 디스크 뒤틀림. 캘리퍼 고착. 과속하다 급제동시 베이퍼록 현상 발생 죽음의 길입니다.
@naru21c
@naru21c Жыл бұрын
과적하면 안된다는걸 보여주셨네요~ 차량에 적재정량이 적혀있는게 괜히 있는게 아니죠~ 제발 1톤이건 수십톤 차량이건 화물기사님들 적재정량좀 지켜주세요…😢
@user-fi3pp4et2c
@user-fi3pp4et2c 6 ай бұрын
기사한테 지키라고 하면 지켜지나요... 저도 2.5톤만 올리면 너무 좋죠 ㅠ 차도 가벼워서 운전 편하지.. 그 현장 몇번 더 들어가면 갈때마다 돈인데 적게 실어 오면 좋죠 ㅠ
@219farm
@219farm Жыл бұрын
현재 시골에서 농사 짓는 농부입니다. 지금 한참 양파 상차하는 시긴데요. 예전에 제가 작업할 때 3.8톤씩 밭에서 싣어서 이동했었어요. 영상 속 2륜 차량은 아니고 축 한단 올린 4륜 킹캡차량이었습니다. 지금도 시골 도로엔 기본 3톤씩 싣은 양파 작업차량들 매일 봅니다. 시골이라서 대수롭지 않게 느끼고 있었는데 도시에서 저런 차량보면 걱정 되겠어요~
@SproutFather
@SproutFather Жыл бұрын
OBD 스캐너로 뒷바퀴가 없다는 걸 진단하다니... 놀라운 제품이네요.
@hooniyaaa
@hooniyaaa 11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실험으로 영상을 제작해주시는 픽플러스에 감사드립니다, 근데 이번 영상에서 살짝 아쉬운 점이 적재함에 엔진을 왜 고정을 안 하시고 실험을 강행 하신건지 통제된 상황이라 그러셨을 수도 있지만 안전사고란게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는데 직접 운전하시는 스피더님이나 주변에서 촬영하시는 VJ님들 안전에 좀 더 신경 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hnk2603
@hnk2603 7 ай бұрын
알아서 하는거지 오지랖은 ㅋㅋ
@jina6120
@jina6120 6 ай бұрын
​@@hnk2603말투보니 싹수가 에효 ㅋㅋ
@user-yd2rh7gi2l
@user-yd2rh7gi2l Жыл бұрын
주류배달 할때 개구리포타에 4톤반까지 술짝 실고 운행 해봤습니다 앞바퀴가 문짝 까지 내려갔지만 운행도 잘 하고 다녔습니다
@gx8raympm2zj54
@gx8raympm2zj54 Жыл бұрын
적재함에 지게차로 승용차 층층이 한대 두대 세대 쭉쭉 실을 줄 알았는데 뭔가 예상과 다른 실험방식이었네요
@user-danger88
@user-danger88 Жыл бұрын
픽플님 전에 데쉬보드커버 씌우고 에어백 전개했던 영상 있잖아요! 하나 더 궁금한게 생겼는데 에어백 터지는 라인에 데쉬보드커버를 그만큼 짤라서 터지는거랑 아예 구멍을 내서 터지는거랑도 좀 궁금한데 그것도 한번 찍어주시면 안될까요????
@Train_Mustang
@Train_Mustang Жыл бұрын
짐 잔뜩 싣고 언덕 올라갈때는 아예 올라가버려야지 중간에 멈춰 버리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더라고요 어쨌든 스피더님 건강보다 실험결과가 더 중요하니 영상 자주 올려주십시오
@sns948
@sns948 Жыл бұрын
뒤로 밀리면서 조향도 안되고 자칫 차량 전도되어 뒤집어 지죠~
@whitezillin
@whitezillin Жыл бұрын
읽다보니 막줄이..뭔가 이상하네요 😅
@user-os4qx3fk1v
@user-os4qx3fk1v Жыл бұрын
엔진 한개당 4기통으로잡고 32기통 봉고3군요..
@kimpanda_love
@kimpanda_love 11 ай бұрын
진정한 남자의 스포츠카 ㅎㄷㄷ
@FUNNY_CAR
@FUNNY_CAR Жыл бұрын
새차로하면 올라갈듯합니다 저도 예전에 정비하면서 과적 봉고 포터들 공기압 뒤 70~80까지 넣어달라하시는분들 종종계셨어요 극구 말류해도 짐 많이실어야된다고 과적은 목숨내놓는거랑 같습니다 펑크나거나 급선회시 전복가능성 매우높구요 브레이크또한 매우많이밀립니다
@user-ly4fd7rd5e
@user-ly4fd7rd5e Жыл бұрын
위차량의 경우 앞브레이크는 잘 잡히는것 보니 LSP또는 LCR 이라고 불리는 브레이크 안전장치가 파손되어 뒷바퀴에는 제동력이 제대도 전달되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포터. 봉고의 경우 화물 중량에 따라 브레이크 배분을 달리해주는 장치가 있습니다
@user-mu3ie6ov3u
@user-mu3ie6ov3u Жыл бұрын
후레임이 버틴다는게 기술력이 ㄷㄷㄷ,,,,,, 이게 폐차인거하고 어느정도 주행가능 차량하고는 성능의 차이가 있어요.
@user-un8yv7bq8x
@user-un8yv7bq8x Жыл бұрын
봉고3가 뒷차축이 워낙에 강해서 왠만해선 안부서져요 포터 봉고3 못따라가요
@Oh-ho_yeheh
@Oh-ho_yeheh Жыл бұрын
​@@user-un8yv7bq8x근데 포터보다 봉고가 녹이 더 잘슬어서 적재함 빵꾸나고 그럼..
@user-in9en8zw7y
@user-in9en8zw7y Жыл бұрын
@@Oh-ho_yeheh 적재함은 뭐 5~60만원이면 새걸로 다는데요뭐 ㅋㅋ 프레임만 튼튼하면 그만임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프레임 자체만 따지고 보면 리베로가 가장 튼튼하죠
@Misericorde1234
@Misericorde1234 Жыл бұрын
이정도 실험만해도 충분하다고 보임 진짜 아무리 무리해도 2톤이 맥시멈인듯
@user-un8yv7bq8x
@user-un8yv7bq8x Жыл бұрын
6톤까지 실려요 그래도 팔팔해요
@95c8c8
@95c8c8 Жыл бұрын
6톤 오바자제좀
@user-fu2cj4ze8v
@user-fu2cj4ze8v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과적시 문제점 유익했어요. 단 아쉬운점은 폐차 직전인 1톤차라서 브레이크가 너무 밀린다는것. 1톤 포터만 4대째 쓰면서 농사인 하는데 가을철에 벼 실고 다니면 저정도까지 밀리진 않아요. 적제중량은 지키는게 안전운전 지름길 입니다.
@yunhyoking
@yunhyoking Жыл бұрын
포터르기니, 봉고르기니 1톤트럭 엄청 튼튼하네요 👍
@MRPANDA-xu3uz
@MRPANDA-xu3uz Жыл бұрын
1톤트럭의 프레임이 몇톤을 적재하면 두동강이 날지도 궁금합니다!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 Жыл бұрын
무쏘스포츠 화물칸에 자갈 가득실으니 두동강나던데 ㄹㅇㅋㅋ
@user-gs5hq7pq5y
@user-gs5hq7pq5y Жыл бұрын
봉고나 포터는 일단 3~4톤은 실제로 적재후 주행도 가능합니다. 문제는 외국 화물차는 그렇게 실으면 차대바로 뽀개집니다
@user-un8yv7bq8x
@user-un8yv7bq8x Жыл бұрын
@@user-gs5hq7pq5y제가 벼농사 지어서 봉고3 짐칸에 양곡통 실고 콤바인 6번 부어서 6톤을 실어도 차가 견뎌요
@user-rd5xg1wb9d
@user-rd5xg1wb9d Жыл бұрын
​@@user-un8yv7bq8x 즈기요, 그거 한 두번은 그렇게 실을 수 있겠지만, 그 정도 과적하고 비포장도로나 과속방지턱 여러번 다니면 차대가 V자로 접힐 수 있어요. 제가 강구조물 4~5톤은 우습게 싣고 다니던 차를 봤는데, 캐빈 바로 뒤에서 프레임이 꺾여서 운전석이 살짝 하늘을 보고 있더군요. 이게 얼마나 위험한 상태인지 조금만 찾아보시면 소름이 돋으실 겁니다.
@user-in9en8zw7y
@user-in9en8zw7y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포터봉고가 독점하는 이유가 과적이 가능해서 인데 예전에 일본에서 1톤시장 노렸다가 과적 못버티고 런했습니다
@user-we7lg1if3x
@user-we7lg1if3x Жыл бұрын
실험에 사용된 차량은 구형엔진(J엔진) 이라 힘이 부족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요즘 포터 봉고에 쓰이는 A엔진이 힘이 좋죠.. (실제로 2.5톤 마이티 내로우캡은 A엔진이 들어갑니다)
@9-hyungbongo
@9-hyungbongo Жыл бұрын
수치 말고 실제로 타보면 J3가 가장 잘나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123~6에서 133으로 넘어간 분들이 오히려 나쁘다고들 하죠
@user-bq4si5re5v
@user-bq4si5re5v Жыл бұрын
A2엔진 5세대,6세대 현 7세대까지 DPF,요소수추가로인해 수치상133마력은 나오기힘듭니다 오히려 구형모델이 출력은 낫습니다 다만 영상속 모델이 구형이지만 엄청난노후화로인해 제동력과 폐차장의조건 기름,오일이 쩔어있는 바닥이라 더미끄러지는게아닐까싶네요
@kkhlove1004
@kkhlove1004 Жыл бұрын
​@@user-bq4si5re5v 정확하십니다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user-bq4si5re5v구형봉고 J엔진은 제작할때 ECU 건드려놔서 출력 안나오지 않나요? 맵핑해서 락 풀어주면 193마력에 40토크 넘게 나오는데 봉고3 특유의 짧은 기어비빨까지 받아서 초반 치고 나가는거나 언덕 올라가는건 무지막지하죠 이건 A엔진도 마찬가지지만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2023년식 포터나 봉고는 인젝터를 보쉬제 최신형 타입으로 회귀해서(이전까지는 델파이, 덴소 사용) 분사압력도 2천바 넘었고 가변터보차저까지 달아놔서 실출력 많이 상승했어요
@user-kq1js3im4b
@user-kq1js3im4b 11 ай бұрын
저희회사에서 4.5톤짜리제품도 실고다녔어요 ㅋㅋㅋ 포터짱입니다 진짜
@user-wx2hm4zu4v
@user-wx2hm4zu4v 11 ай бұрын
최근에 면허를 1종으로 따서 그런가 왠지 트럭이 익숙하네요 ㅋㅋ 그리고 과적이 참 위험해 보이네요 ㄷㄷ
@Rwinter119
@Rwinter119 Жыл бұрын
폐차장 바닥을 보면 기름층이 상당히 있는 것 같아요 도로 사정이 좋았다면 조금 다른 결과가 나왔을 것 같기도 하네요
@jaychoi8474
@jaychoi847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기름끼때문에 쭉쭉밀리는듯하네요
@contizlee8634
@contizlee8634 Жыл бұрын
말씀처럼 폐차 차량이라 안그래도 타이어가 안좋은데 노면상태도 미끄러워 보이네요. 과적 당연히 위험한 것 맞은데 영상은 좀 많이 과장되어 보이긴 합니다.
@user-pb9vf3gc5b
@user-pb9vf3gc5b Жыл бұрын
@@contizlee8634 네 앞바퀴잠겼는데 뒷바퀴는 그대로 도는것도 보이네요
@contizlee8634
@contizlee8634 Жыл бұрын
@@user-pb9vf3gc5b 앞바퀴는 락이 걸렸는데 뒷바퀴는 도는 원인을 추측하면 몇가지 추려볼 수 있습니다. 1. 일단 기본적으로 전륜축 제동력에 비해 후륜축 제동력이 절반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보통 앞바퀴에 먼저 락이 걸립니다. 후륜이 먼저 락이 걸리면 차의 뒤가 돌아버릴 수 있기 때문에 원래 락이 걸려도 전륜이 먼저 걸리도록 세팅됩니다. 2. 다음으론 저 차가 워낙 노후되었기 때문에 뒷바퀴 제동력 자체가 안나오고 있는 상황일 수도 있습니다. 라이닝이 다 닳아있거나 브레이크실린더가 터져있어도 이상하지 않죠. 3. lsp 밸브 고장으로 하중이 가해졌음에도 추가적인 제동력 조정이 안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user-cl3ds7yh3e
@user-cl3ds7yh3e Жыл бұрын
@@contizlee8634 5:13 여기 보시면 타이어가 바닥면과 정상적으로 접지된 상태에서도 브레이크가 밀린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7:13 여기서도 타이어 접지 상태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차가 뒤로 밀리네요 그리고 과적 차량이 무슨 깔끔한 노면에서 무조건 새차로만 달리는거도 아닌데 노면상태가 이상했을거다, 브레이크나 타이어가 이상했을거다, 확실하지도 않은 뇌피셜로 핑계대시는 이유가 무었인지 참....
@Hyeon2662
@Hyeon2662 Жыл бұрын
바퀴 트레이드가 거의 없는데요? ㅋㅋㅋㅋㅋㅋ
@user-ov5wf5lw3l
@user-ov5wf5lw3l 11 ай бұрын
트레드 아인교
@user-rx4xr1do1r
@user-rx4xr1do1r 6 ай бұрын
브레이크가 앞을 더 강하게 잡게 세팅되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아무래도 뒤쪽에 무게가 많이 실리니까 앞바퀴가 좀 떠서 그런게 아닐까 싶어요 사이드도 같이 조절하면 어느정도 컨트롤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user-hu4we8ke7y
@user-hu4we8ke7y 9 ай бұрын
시골에선 보통 쌀농사 기준 기본1.6ton 많이적재하면3ton 곡물이송기와 까득 쌀채우면 거의 4ton되지않나싶어요 이정도면 앞바퀴 가끔들리고 판스프링이 깨지거나 차대 휩니다.
@Kanel913
@Kanel913 Жыл бұрын
사이드미러 접고 달리면 연비가 얼마나 올라가는지 궁금해요
@user-eu2yl9dv7u
@user-eu2yl9dv7u Жыл бұрын
11년째 1톤 화물차 운행하고 있는 오너입니다. 해당영상처럼 구형의 화물차의 경우 2톤의 짐을 싣는것은 정말 굉장히 위험합니다. 경사지에 올라가다 시동이 꺼지면서 제동, 조향 불능으로 그냥 낭떨어지로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물론 차량 상태가 좋고, 판스프링 보강 및 타이어(복륜) 공기압만 늘리면 2~3톤은 충분히 적재하고 다닐 수 있습니다만, 항상 안전이 최우선이라는거 생각해주세요!!
@kingot226
@kingot226 Жыл бұрын
5톤차도 장비(굴삭기) 싣고 다니는차들도 밑에 갈빗대라고하죠 다 보강하고 다니는데 실질적으론 과적이죠 돌아다니는 화물보면 5톤차들 많게는 초장축 쓰리축까지 봤습니다 축당중량으로 무게측정하기때문에 총중량은 이미 10톤가까이 되죠 안전이 우선이라면 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봅니다
@gom1036
@gom1036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잡혀온 기준이 1톤이다보니... 하지만 지금은 보강이라는 방법을 통해 강화시키면 그에 합당하게 적재량도 올라가야 한다고 봅니다.
@birth10n18
@birth10n18 Жыл бұрын
@@gom1036 영상에서 보셨듯 차량 내구도, 좀 더 쉽게 말하면 많은 과적에도 버티는 강성을 말하는게 아닙니다. 과적시 차량 제조사가 보증(?)하는 성능들을 온전히 낼 수 없고, 특히나 안전에 직결되는 제동력이 상당부분 상실되는 문제가 생기지요.
@smkingdoms2807
@smkingdoms2807 Жыл бұрын
과적의 안 좋은 예를 잘 보여준 영상이자 실험이었습니다 제발 우리 중 대형 화물차 기사님들 돈도 이지만 법규와 건강을 챙기십다 과적하는 차량들 넘 무서워요
@jskim8906
@jskim8906 Жыл бұрын
ㄷㄷㄷ 진짜 과적이 무섭네요 ㅎㄷㄷ
@user-uq7oc8qj2w
@user-uq7oc8qj2w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진짜 잘만들었긴하네..ㄷㄷ
@user-ld8dd3ci8c
@user-ld8dd3ci8c Жыл бұрын
봉고르기니 보단 포터르기니가 힘이 더좋고 많이 실린다는 옛어르신들 말씀이 많더라구요. 농어촌 지역가면 밭에 4륜포터로 농산물 과적으로 실고 진흙길 산길 오르락 내리락 하는거 보면 대단한거 같아요 ㅋㅋㅋ 포터가 대중화가 안된 90년대 까지만해도 세렉스가 그 한몫을 했었죠
@user-gs5hq7pq5y
@user-gs5hq7pq5y Жыл бұрын
포터와 봉고의 차이는 적재중량 1.2톤차량의 유무입니다. 1톤과 1.2톤은 200키로 차이지만 차량구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포터는 1톤만있고(하체구조가 반쯤 승용차) 봉고는 적재중량 1.2톤 차가 있어요(하체구조 대형화물차)
@user-un8yv7bq8x
@user-un8yv7bq8x Жыл бұрын
저희 시골에 포터 왔다가 1달만에 쫓겨났습니다 밭에 들어갔다가 차축 깨져서 트랙터에 질질 끌려갔어요 그래서 할아버지한테 현대 직원 욕 먹었어요 싸구려 팔았다고
@nice-Park
@nice-Park Жыл бұрын
포터르기니 아닙니다...포터쉐 입니다..봉고르기니, 포터쉐..세계 명품 1톤트럭 양대산맥 입니다.
@user-ty4ht8ud1l
@user-ty4ht8ud1l Жыл бұрын
포터.. 밭에서도 잘다나긴하는디 ㅋㅋ 사륜쓰려면 봉고가 낫쥬
@user-gs5hq7pq5y
@user-gs5hq7pq5y Жыл бұрын
@⏪걸그룹리더후방주의영상봐 🅥 어 안갈거니까 좀 꺼져
@user-iw1in2mu5v
@user-iw1in2mu5v Жыл бұрын
다이소 5천원짜리 연료첨가제 성능이 궁금합니당!!!! (저렴해서 가성비냐 아니면 무쓸이냐가 너무 궁금해요!!!!)
@__________a__________
@__________a__________ Жыл бұрын
가격생각해보면 ... 답나오죠
@mcmk777
@mcmk777 Жыл бұрын
저렴해봐야 용량차이로 알고있어요
@user-iw1in2mu5v
@user-iw1in2mu5v Жыл бұрын
@@__________a__________ 아하 ㅠ 그러면 돈을 더 보태서 시그니처(제일 비싼거)로 넣는게 좋겠네용...? ㅠ
@__________a__________
@__________a__________ Жыл бұрын
@@user-iw1in2mu5v 제일비싸다고 효과제일좋은것도아니에요 그레도 픽플에서 첨가제 실험해준거잇으니 그거참고하시고 구매하시면될거같네욬
@meto4794
@meto4794 Жыл бұрын
대충타도 40만씩 우숩게 탈수 있음 차 고장나서 바꾸는것보다 질려서 바꾸는게 태반이니 그냥 타세요
@user-cj5fw7dj6l
@user-cj5fw7dj6l Жыл бұрын
그렇지, 실험전에 차체의 하중 내구력은 가장 문제가 아니고, 엔진 힘이 그 다음 문제고... 가장 큰 문제가 제동력일텐데... 결과 역시 그러함. 바퀴 싸이즈가 있기에 캘리퍼를 올려봐야... 특히 공도에서 트럭 앞으로 휙휙 들어가는 사람들 있는데, 짐이 실린 무게 때문에 제동 거리가 장난 아니게 늘어남. (나중에 경각심 고취를 위해 가능한 가장 큰 트럭으로 적재량에 따른 제동거리 증가 영상을....) 스피도의 쫄보력이 기상 천회 실험 컨텐츠를 만드는 픽플의 가장 중요한 안전 장치! ㅋㅋㅋ
@PhalTin39
@PhalTin39 Жыл бұрын
고생했다 기아봉고3트럭아 그리고 제일 중요한 스피더님도요
@user-xf1xc2go2z
@user-xf1xc2go2z Жыл бұрын
is인지 탈레반인지가 대공포 설치하고 미사일터렛 설치한사진 인터넷에서 본적있는데. 설치하는것 자체가 엄청무거워 보이고 발사할때 충격까지 버티는거 보면 평지다니는건 4톤은 문제없을것 같은데.
@boss10w
@boss10w Жыл бұрын
힘이 좋은 차인듯.. 자랑은 아니지만 엊그저께 2톤 싣고 가는데 무게가 총 중량이 3900가량 나오는데도 언덕에서도 잘 올라가네요. 브레끼도 평소보다 쪼금 더 밀리는 느낌밖에 없네요 미리미리 밟을 필요는 있는데 크게 문제 없는듯 ㅋㅋ 무엇보다 차는 크게 상관없는데 운전하는 내가 더 쫄려😂
@user-in9en8zw7y
@user-in9en8zw7y Жыл бұрын
힘은 둘째치고 프레임을 너무 튼튼하게 만든게 문제죠 ㅋㅋ 일제 트럭마냥 1톤이상 적재하면 프레임 접혀버리게 만들어야 경각심을 가지죠
@boss10w
@boss10w Жыл бұрын
@@user-in9en8zw7y 저것도 어떻게 보면 다 판매전략아니겠어요 ㅋㅋ 딱 1톤만 실리면 누가 사겠어요 과적이 일상인 나라에서
@mnm9139
@mnm9139 10 ай бұрын
결론은 법으로 최대 적재중량×1.5 정도에서 프레임 부서지게 만들면 과적을 못하겠군요.
@sinamon3908
@sinamon3908 11 ай бұрын
이왕이면 실험할때 이렇게 하는것보다. 적재함에 물건을 싫고 타이어 눌린것을 옆에서 찍는게 아니라. 뒷바퀴 뒷면에서 한쪽에 두개씩 있는 타이어가 눌려서 몇톤에서 서로 붙게 되는지 그리고 언덕길 오를때 그냥 한번에 오르는것보다 중간에 한번 완전히 정지했다가 다시 출발이 가능한지 그걸 실험 했다면 좋았을걸 합니다. 그러면 이 영상이 모든 화물종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영상일 수 있었는데.. 아쉬움이 남는 실험이었네요..
@xingfu1976
@xingfu1976 Жыл бұрын
픽플러스님. 동영상 잘보고있습니다.자동차에 대한 궁금증을 많이 해소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급발진에 대비해서 발생시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동영상을 만들어 보는게 어떻습니까. 최우선 대책을 평시에 연습을 해놓으면 급발진시 당황하지않게 대처할수 있을겄같습니다. 저가 연습하는방법은 옳은지 조언을해주세요. 늦은밤길 혹은 새벽에 국도를 운전할때 1km이상의 직진길이 주어질때. 앞뒤로 차가 없을때 급발진 대처연습을 이렇게 합니다. 첫번째 기어를 N단에 놓고 (동력차단) 두번째 스마트버턴을 연속3번누릅니다.(시동끔)앞이 캄캄해집니다. 세번째 브레이크 를 힘껏밟는다. 네번째 N단상태에서 브레이크에서 발을 때고 시동버턴을 한번 눌러 시동을 겁니다. 다섯번째 기어를 D단에 놓고 달린다. 이런순서대로 기회가 있을때 자주연습을 합니다. 연습할때주의할점은 시동이 끄지면 전조등이 끄지므로앞이 캄캄해집니다.당황하지 않고 핸들을 잘잡아 직진주행을 유지합니다.그래서 꼭 넓은 국도 .직진길 .교차로가 없는길에서 연습을 합니다.가로등있으면 더좋고요.
침수차 팔면 감빵 보내야 하는 이유
9:02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370 М.
라보는 얼마나 위험한 걸까?
8:31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482 М.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얼음바퀴, 다시 만들어 보았습니다
13:40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자동차 견인, 함부로 하면 정말 X됩니다
6:44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809 М.
택시가 엔진 수리 없이 100만 킬로 탈 수 있는 진짜 이유ㅋㅋㅋ
10:13
모래바퀴에 도전해 봤습니다
13:51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530 М.
롤렉스가 왜 인기 많은지 모르겠다는 45년차 시계장인
14:00
직업의모든것 All about jobs
Рет қаралды 959 М.
못 위를 달려도 안 터진다? 실험해 봤습니다.
8:03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217 М.
Водитель был в шоке от увиденного #дуракинадороге #shorts
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