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버전] 인간과 벌, 공존의 길 KBS 다큐공작소 20240110

  Рет қаралды 8,801

KBS 다큐공작소

KBS 다큐공작소

5 ай бұрын

#KBS #다큐 #다큐멘터리 #다큐공작소

Пікірлер: 13
@user-vb4oe5gv2i
@user-vb4oe5gv2i 5 ай бұрын
정말 훌륭한 내용입니다
@springjeong9878
@springjeong9878 5 ай бұрын
잘 보고 배우고 갑니다. 수고했어요.
@user-dx2dh3pe4r
@user-dx2dh3pe4r 5 ай бұрын
첫째도 농약 두째도 농약 다시 한번 생각하자 농약에 오납용
@TV-bx4hj
@TV-bx4hj 5 ай бұрын
공존의 길 이라.... 조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있어서... 종합해보면 기우변화로인해 겨울철 온도가 따뜻해지고... 응애와 농약 피해, 식량부족으로 체력이 약해진 벌이 따뜻해진 겨울 철 나와 활동 하다 낙봉이 심각해졌다 . 이런 결과로 CCD현상이 국내에서도 시작이 되었다... ?근거가 부족해도 너무 부족 한 것 같습니다.. 농가는 자기 벌 상태도 체크하지 않고 겨울은 무조건 추우니깐... 월동 잘 나라고 꽁꽁 싸매서 따뜻한 검은 솜이불에 노지에서 두니 벌통 기온은 올라가 꿀벌은 활동하게 되고 활동하니 식량 소모는 커지게 되고... 그러다보면 체력 바닥난 꿀벌은 낙봉이 되고... 농가도 이런 변화무쌍한 날씨에 전략이라는 것을 세워야 하는데 ... 무조건 관행농법을 따르니 안타깝습니다.... 농약에 대한 가치관은 모든 작물의 농부가 경각심을 가져야 하지만.. 꿀벌에 대한 양봉인의 생각은 더욱 많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꿀벌은 수만년 동안 진화하며 인류와 공존 하였습니다. 야생의 습성을 유지하는 벌을 잡아두고 내가 주인이니 내 방식대로 커라? 야생마를 길드릴때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아생마의 요구를 맞춰 주며 길드립니다... 제발 좀 더 꿀벌의 입장에서 양봉인들이 생각 해 주시길 바랍니다.
@hoatimvidieo
@hoatimvidieo 5 ай бұрын
☘️🌸💜105: NẾN CHÀO BẠN! CẢM ƠN BẠN MỘT VIDEO CHIA SẺ HAY LẮM.. CHÚC SỨC KHOẺ..!❤🔔🍯🐝
@seokydang
@seokydang 5 ай бұрын
01:09 아인슈타인은 그런말 한적 없습니다. 가짜 뉴스입니다. 벌들이 그만큼 중요한건 맞지요. 그렇지만 없는 말은 좀 하지말았으면.. 수신료의 가치! 벌들이 사라지는 가장 큰 문제는 면역력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과거에도 응애가 없었나, 말벌이 없었나요. 아니거든요. 똑같이 벌들을 잘 키웠고 옛날에는 진드기 응액 더 많았다고 합니다. 벌들의 면역력이 약해진 건 가장 합당한 논리는 농약때문입니다. 농작물에 뿌리는 농약과 더불어 벌들에게 뿌리는 농약을 너무 오랫동안 써왔습니다. 면역체계가 정상일리가 없지요. 일반인들은 모르겠지만, 꿀벌 키울때 응애와 진드기를 잡기 위해서 농약 많이 뿌립니다. 아니면 진드기 방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그나마 좀 유기산으로 방제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늘어나긴했지만, 디폴트값이 농약입니다. 5년간 농약 한번 안써도 유기산으로도 충분했습니다. 귀찮고 불편하고 어렵기때문에 안하는거지 하면 되는것을 안하는 측면이 좀 있습니다. 물론 유기산이 100%정답은 아니지만, 농약 사용은 확실히 좀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정벌 1통에 45만원은 진짜 극단적인 예시같고, 보통 20만원 중반대면 저희쪽은 다 들어갑니다. 45만원이면 저도 넣고 싶은데 연락좀 주시면.. 40만원에 ㅋㅋ 진짜 문제는 벌통값도 분명 올랐지만, 꿀 가격은 몇십년째 그대로입니다. 왜 다 오르는데 꿀값은 안 오르나요. 5년사이에 설탕값은 2배로 올랐습니다. 설탕은 벌들의 사료이기 때문에 필수입니다. 꿀 가격이 안 오르는 가장 큰 이유는 설탕꿀=사양꿀을 천연꿀이라고 속이고 파는 사람들이 너무 많기 때문인것 같기도 한데요, 어떻게 설탕으로 만든 것을 사양꿀이라고 하는건지.. 사양=설탕. 식품공전에도 꽃에서 꽃꿀을 물고 온 것이 꿀이라할 수 있는 것인데, 사실은 꿀이 아닌거죠. 참 앞뒤 안맞는 소리입니다. 협회도 방관하고, 소비자들도 관심없고, 결국 피해는 진짜 천연꿀 만드시는 분들이 고스란히 떠안습니다. 양봉업자들도 잘 먹고 살아야 선순환이 됩니다. 아몬드도 다 벌들이 수정한것이고, 딸기 참외 애플망고 논에있는 벼들도 대부분이 꿀벌의 역할로 결실이 만들어 집니다. 백번 양보해 꿀, 안 먹어도 됩니다. 하지만 꿀벌이 없으면 진짜 큰일 납니다. .. 에휴...ㅠ 할말 너무 많지만 이것도 긴 것 같아서 그만씁니다. 5년차 양봉업자로서 이런 다큐가 고맙지만, 한편으론 좀 현실을 더 적나라하게 얘기할 필요도 있다 생각합니다.
@user-mx3vn5io4u
@user-mx3vn5io4u 5 ай бұрын
상대성이론의 아인슈타인 박사가 아닌 동명의 어느 기자가 한 얘기로 알고 있습니다.
@cory-gd3nc
@cory-gd3nc 5 ай бұрын
웃긴건 유기농,자연농 한다는 사람들도 자연과 환경을 생각 한다면서 90%이상이 모종 심기전에는 토양살균하고, 열매 수확 작물은 꽃필때 총체벌래 잡는다면서 식물액비로만든 살충제를 뿌림 그러면 익충도 다죽어버림 그래서 과수원에서 꽃 수분할때 일일히 사람이 해줘야함 더웃긴건 참외밭에 꿀벌사와서 벌키우며 꽃 수수분을 하는데 식물액비로된 살충제도 뿌림,, 그러면 그 벌들 결국 다죽지,,, 또 해마다 꿀벌 사오는데 벌이있어야 사오지 ㅋㅋ 7080년 시절만해도 논두렁엔 콩을 많이심고 농로,국도,큰길가,강둑,하천제방에는 코스모스+잔디+ 다양한 초화류들이 많앗고, 하천가에는 클로버+다양한 초화류+잡초들이 많아 생태계 밀집군이 퍼져 있었는데,,, 요즘은 도심엔 잔디+ 도심 벗어나면 잡초 아니면 없슴 시골에도 꽃 한송이 보기 힘든 세상인데,, 벌이 뭐먹고 사나?
@TV-mp8qb
@TV-mp8qb 5 ай бұрын
벌이 줄어드는 이유 중에 하나가 약제의 지나친 사용입니다. 진득이도 사라지는 원인 중의 하나라고 하니까 벌통만 열면 무조건 속살만을 화초에 물을 주듯이 뿌려대는 분들도 많습니다 약재를 처리하게 되면 농도가 낮아질때 까지는 벌들은 유충을 돌보지 않겠지요. 그런 벌들은 약하게 태어나서 벌이 사라지는 원인 중의 한 가지가 되겠습니다..
@user-xj1ur4cn7m
@user-xj1ur4cn7m 5 ай бұрын
기후변화가 아니라 벌통이 문제구만.
@heaye
@heaye 5 ай бұрын
노예제 나라에서..먼 공존? 노예벌은 한겨울에도 설탕물만 먹으며 일해라! 일해!
@user-jr6ci3st5v
@user-jr6ci3st5v 5 ай бұрын
⭕⭕
@user-xj1ur4cn7m
@user-xj1ur4cn7m 5 ай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벌통 주변에서도 농민들이 스마트폰4G,5G,핸즈프리이어폰,에어팟 등 전자기기 사용 많이 하면서부터 꿀벌 개체수 감소가 전세계 현상이 된건데 그 어느나라도 도대체 스마트폰탓은 쏙 빼버리나. 요샌 죄다 기후변화탓이랜다. 검증도 없이.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풀버전] 점프 업! KBS 다큐공작소 20240117
28:39
KBS 다큐공작소
Рет қаралды 1,2 М.
왕대없이 아주쉽게 여왕벌을 분봉하는방법
40:51
금샘꿀벌농장(부산)
Рет қаралды 52 М.
[FULL영상] 벌집 입구를 페트병으로 막으면 벌어지는 일 MBN 160909 방송
31:58
특종세상 - 그때 그 사람
Рет қаралды 304 М.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