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만 1만 명, 속수무책 리비아 대홍수

  Рет қаралды 1,125,903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9:26 막대한 피해를 부른 리비아 대홍수
9:26 ~ 13:05 어쩌다가 이렇게 확산되어버린 것일까
13:05 ~ 16:49 한편 옆나라 모로코의 대지진
16:49 ~ 20:16 유럽의 극심한 난민 문제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864
@CoffeeD_1
@CoffeeD_1 9 ай бұрын
저 남은 7만명도 정말 가슴아프겠다. 가족이나 친구가 죽지 않은 사람을 찾기가 더 어렵겠다.
@jeon.Pam99
@jeon.Pam99 8 ай бұрын
You're right, my friend and her brother survived her family of nine people.💔
@greatgatsby1425
@greatgatsby1425 9 ай бұрын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user-cx5yx9oc1h
@user-cx5yx9oc1h 9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user-ju3ur7ff1k
@user-ju3ur7ff1k 9 ай бұрын
ㅠㅠ
@l0vely10
@l0vely10 9 ай бұрын
1만명이 넘어서 "고인즈"가 좋은 표현입니다..
@nzstarful
@nzstarful 9 ай бұрын
@@l0vely10 너는 피임의 중요성
@user-gumyul
@user-gumyul 9 ай бұрын
​@@user-cx5yx9oc1hㅋㅋㅋㅋㅋ 리비아놈들ㅋㅋㅋㅋㅋ
@Drone0
@Drone0 9 ай бұрын
저렇게 건조한동네에서 홍수가 날거라고 누가 생각했겠어.....
@user-dn5pw1iz3d
@user-dn5pw1iz3d 9 ай бұрын
건조한 동네라서 바짝말라붙은땅은 물을 잘 흡수를 못한다고하네요.....참 안타까운일입니다.
@user-uz2xr5el8d
@user-uz2xr5el8d 4 ай бұрын
ليست جافة.
@Drone0
@Drone0 4 ай бұрын
@@user-uz2xr5el8d 그렇군요.
@Bori13123
@Bori13123 9 ай бұрын
이상기후에 영향 주는 나라들이 아니라 그 혜택을 못보는 나라에서 피해가 크게 나고 있는 상황이 너무 슬프네요 ㅠㅠ
@user-kx3dv2xn7k
@user-kx3dv2xn7k 9 ай бұрын
진짜 도덕적으로 너무나도 끔찍한 현상입니다.. 지금 당장 기후위기에 대응할 제도적 개혁이 필요한 순간입니다.
@hammer_madeinamerica
@hammer_madeinamerica 9 ай бұрын
독재 + 이권 다툼으로 국가 인프라 점검 안한 탓이지 이걸 왜 이상기후 피해자로 만드나요
@user-kx3dv2xn7k
@user-kx3dv2xn7k 9 ай бұрын
​@@user-nu5jk6ce9j거짓 선동하지 마세요. 현재의 기후 위기는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배출한 온실가스로 인한 것입니다.
@jarangsruun
@jarangsruun 9 ай бұрын
@@hammer_madeinamerica 보고 싶은대로만 보면 딱 그정도만 보입니다 ㅋㅋ
@user-hb8gu8fk7o
@user-hb8gu8fk7o 9 ай бұрын
@@user-nu5jk6ce9j 자연에서 도덕을 따지는게 아니라 여기서 얘기하는건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선진국보다 후진국들이 몰려서 받는게 정당하지 않다고 하는거 같은데... 실제로도 선진국이 기후변화 기후위기를 주도하지만 피해는 개발도상국, 후진국들이 많이 받고 있죠
@avocatdogg5262
@avocatdogg5262 9 ай бұрын
7만명중 2만실종이면.. 도시에 알던사람 4명중 1명은 죽었다는 뜻이네.. 진짜 끔찍합니다
@alexsnow195
@alexsnow195 9 ай бұрын
사람 목숨이 너무 허망하다...남의 나라지만 정말 가슴아프네요. 정치인들의 탐욕 때문에 제대로 보호도 못 받고 하루 아침에 목숨을 잃으셨을 분들 생각하니 내가 다 분통터지고 억울함.. 어딜가나 진짜 윗사람들이 잘해야 아랫사람들의 인생이 고달프지 않다는걸 다시 한번 깨닳아요.
@jeon.Pam99
@jeon.Pam99 8 ай бұрын
That's right, I didn't forgive the ugly politicians who destroyed my country.
@user-gm8lc3ne4k
@user-gm8lc3ne4k 2 ай бұрын
😢😢​@@jeon.Pam99
@ryoryo3495
@ryoryo3495 9 ай бұрын
명복을 빕니다. 작은 도시에 어찌그런 비극적인일이..ㅠ 너무 슬프네요 ㅠ
@mrbongbongy
@mrbongbongy 9 ай бұрын
정말 무서운게... 이번 자연재해를 보고 정말 개미들이 물에 쓸려가는거 같은 느낌을 받음. 돌아가신 분들 얼마나 무섭고 무기력하셨을지 짐작이 안됨. 우리는 인간이란 종을 너무 특별하게 생각하는듯. 결국 자연재해 앞에선 한없이 무기력할뿐... 우리나라도 지진, 홍수, 산불, 이런 자연재해에 앞으로 더 철저히 대비해야함.
@user-jn4yt1go1x
@user-jn4yt1go1x 9 ай бұрын
더 무서운건 왜 한국에는 홍수도 지진도 안 나냐는거임 신은 한국을 버리는가
@user-freedom187
@user-freedom187 9 ай бұрын
​@@user-jn4yt1go1x홍수 지진안나는걸 신이버렸다고 생각하는게 이상하지않음? 신이 보호하고있다고보는것도 아니고
@user-mm9vv6ty3u
@user-mm9vv6ty3u 9 ай бұрын
홍수, 지진 안 나도 알아서 소멸하는 중. 자연마저도 측은지심으로 바라볼 듯.
@user-jn4yt1go1x
@user-jn4yt1go1x 9 ай бұрын
@@user-freedom187 그건 니생각이고
@user-jn4yt1go1x
@user-jn4yt1go1x 9 ай бұрын
@@user-mm9vv6ty3u 아니지 나죽고도 끈질기게 살아남는데 그게 소멸이냐
@anna6255
@anna6255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영화나 게임에서나 나올법한 일이 일어나서 너무 안타깝네요.. 남은 사람들은 어떤 심정일지 ㅠㅠ 저 정도면 모두의 주변에 피해자 최소 한둘은 있을텐데
@flying_donggas
@flying_donggas 9 ай бұрын
나라가 바로 서지 않으면 고통받는 것은 평범한 시민들이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g.j4345
@g.j4345 9 ай бұрын
@user-rs3nm3pf5l
@user-rs3nm3pf5l 9 ай бұрын
​@@user-uo1uy3ic6z7년전부터 살 수가 있어야지 😂
@10293k
@10293k 9 ай бұрын
​@@user-uo1uy3ic6z◇~
@qlo_olp
@qlo_olp 9 ай бұрын
튜ㅔ
@user-ho1ti7mf1m
@user-ho1ti7mf1m 9 ай бұрын
누구 퇴임전까지 아홉시 통제 한것때매 너무힘들엇음
@jindodogtan
@jindodogtan 9 ай бұрын
17:04 유럽 친구들은 조상님들 원죄를 생각하면 난민 잘 받아줘야 됨. 우리나라가 난민 받는 거랑 경우가 다름
@user-bl7ux9bp6o
@user-bl7ux9bp6o 9 ай бұрын
모든 피해가 빨리 회복되길 빕니다
@sipit2890
@sipit2890 9 ай бұрын
아랍의봄 이후로 멀쩡한 나라가 없다는게 아이러니 하네 리비아는 어떻게 독재하던시절보다 더 개판이 되냐;; 카다피때는 그래도 기름에서 나온돈으로 인프라는 꽤 정비했던거 같던데
@user-xk5kj9ki9k
@user-xk5kj9ki9k 9 ай бұрын
미국 유럽이 대충 지들 좆대로 밀어버린걸 ㅋㅋ
@KAKAO_
@KAKAO_ 9 ай бұрын
독재가 나쁜건 아니지. 어짜피 저동네는 신정일치던데..
@Mr-nm7ss
@Mr-nm7ss 9 ай бұрын
@@KAKAO_ 리비아, 시리아나 과거의 이집트 이라크 같은 경우 아랍 사회주의라고 해서 세속주의, 민족주의를 추구한 나라들입니다 신정과는 관계없습니다
@Sketcherobrine
@Sketcherobrine 9 ай бұрын
무슨 일이 일어나면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요즘엔 그냥 '다음은 난가...?' 라는 생각부터 먼저 든다 세상이 무서워요
@BravaRoxy
@BravaRoxy 9 ай бұрын
하루가 멀다하고 아프리카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이 하나같이 슬픈일이네요. 자연재해에 쿠테타에 기후변화에 폭발적 인구증가까지... 그들에게 나아진 미래가 있기를
@user-im8ox7nz3u
@user-im8ox7nz3u 9 ай бұрын
2023도 정말 다사난해한 해가될것같다 ㅠㅠ
@user-jg3yy8ny9e
@user-jg3yy8ny9e 9 ай бұрын
기후위기, 자원의 무기화, 곡물가격상승. 아프리카는 점점 힘들게될거임
@user-bx5vs4lc2p
@user-bx5vs4lc2p 9 ай бұрын
근데 솔직히말해서 지금 유럽이 난민 꺼지라고 하는데 난민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잘보면 부족단위가 아니라 열강들이 찍찍 그은 국경선 내에서 부족들이 다투는 그림이 많음. 즉 자업자득임
@stephaniesong2008
@stephaniesong2008 9 ай бұрын
​@@user-bx5vs4lc2p진짜 너무 맞죠. 현재까지도 돈되는 사업은 다 백인들이 굴리는 실정이고 싸움도 열강들이 무기팔아먹는데 이용해먹는데 말이죠
@cocobaba142
@cocobaba142 9 ай бұрын
땅바닥을 뚫고 내려 갔으니 더 나은 미래 밖에 없을 듯
@junsukim6914
@junsukim6914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02년도 태풍 루사로 이론상 가능한 최대강수량에 근접하게 발생해서 강릉댐 터질뻔 했었죠. 그거 터졌으면 아마 전세계 수해기록 중 손에 꼽을 피해가 났을겁니다. 다행이에요~ 우리나라는 꾸준히 안전분야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지금도 곳곳에 풍수해가 발생합니다. 이상강우로 수방기준을 올리고는 있지만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죠...
@tr9527
@tr9527 2 ай бұрын
한국처럼 국민의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나라에 살고 계시니 행운이십니다.. 우리나라도 한국처럼 안전하길 바랍니다.❤
@junsukim6914
@junsukim6914 2 ай бұрын
@@tr9527 어느 나라 사람인지 모르겠지만 사는 나라가 앞으로 더 안전해지기 바랍니다.
@tr9527
@tr9527 2 ай бұрын
@@junsukim6914 감사합니다 ❤ 저는 리비아에서 왔어요
@junsukim6914
@junsukim6914 2 ай бұрын
@@tr9527 힘들었겠네요 ㅠ ㅠ 앞으로 좋은일민 있기를 화이팅~~
@togetherlisten
@togetherlisten 9 ай бұрын
큰 금액은 아니지만 리비아 대홍수 10만원 기부했습니다. 안타까운 재난입니다.. 지구가 아프네요.
@panasoic9949
@panasoic9949 9 ай бұрын
나는?
@user-ch3sq5oy8k
@user-ch3sq5oy8k 9 ай бұрын
9만8천원은 운영비로
@user-ne3ld6vs5j
@user-ne3ld6vs5j 9 ай бұрын
​@@user-ch3sq5oy8k가로세로충들은 슈퍼챗 쏘겠지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9 ай бұрын
너무 큰 비극이네요. 고인들의 명복을 🙏
@amykim3912
@amykim3912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작은 것이라도 조금씩 환경을 지키는 습관을 가져야 할 것 같네요..
@kwong.s5399
@kwong.s5399 9 ай бұрын
❤❤
@user-xh1sl2ni7y
@user-xh1sl2ni7y 9 ай бұрын
아쿠...그러려니 했는 데...자세한 소식듣고 보니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Sylvia-cb4bd
@Sylvia-cb4bd 9 ай бұрын
몇천명도 엄청 많은건데 2만명이 죽은거면 정말 끔찍하네요.지구환경보호에 더 노력을 가해야 할것 같습니다.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9 ай бұрын
리비아 인구 천만도 안된다고 이집트편에서 들었는데 1만명이면 진짜 어마어마한 숫자네요.
@user-kg9xp2vi1y
@user-kg9xp2vi1y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시신조차 찾을수없는 유가족의 맘은 얼마나 아플지
@jeon.Pam99
@jeon.Pam99 8 ай бұрын
Thank you
@ssr5t6y
@ssr5t6y 9 ай бұрын
환경재난은 점점 더 심각해질텐데 재난에 대처하는 시스템이 정립되어있지 않은 후진국-개발도상국들의 사람들부터 재해에 직격을 당하겠구나 싶은..
@user-mc4rg5iu6q
@user-mc4rg5iu6q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한명이라도 생존자가 늘기를 바랍니다
@user-ky8dv6cm9o
@user-ky8dv6cm9o 9 ай бұрын
삼고명..
@kniddle
@kniddle 9 ай бұрын
​@MargaretG.Martin-gn1sj 니 인생이 레전드다
@Not_Cho
@Not_Cho 9 ай бұрын
@@user-zw3iz1iu8d되도않는 유머 해보겠다고 계정까지 새로만들어서 똑같은 댓글 돌리고 다니는거 진짜 안타깝다
@Araryooo
@Araryooo 9 ай бұрын
@@Not_Cho그닥
@Sky.blueblue
@Sky.blueblue 9 ай бұрын
저희 아버지도 젊었을때 리비아에 건설일로 다녀오셨어요😢 이번에 tv보고 많이 놀랐다고 하시더라구요 ㅠㅠ
@sevenchanger8124
@sevenchanger8124 9 ай бұрын
저희 아버지도요..대우건설 다니셨었는데 리비아랑 파키스탄 출장 엄청 다니셨거든요..생존자들 많이 찾았으면 좋겠네요 ㅠㅠ
@user-bf1ry1ps5v
@user-bf1ry1ps5v 8 ай бұрын
저도 대우건설에서 리비아 파키스탄 다녔습니다 아버지 이름 알면 알것 같으네요 참고로 저는 박영운 이라고 합니다
@user-bf1ry1ps5v
@user-bf1ry1ps5v 8 ай бұрын
​@@sevenchanger8124😊
@sevenchanger8124
@sevenchanger8124 8 ай бұрын
@@user-bf1ry1ps5v 80~90년도때인거 같은데 토목쪽에 계셨던거 같아요..그리고 imf터지고...이건 뭐 말 안해도 아실듯..
@user-vn1kn3vw2p
@user-vn1kn3vw2p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이상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다들 가정에 평안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newjae1
@newjae1 9 ай бұрын
우리가 온난화 경고 처음 들려올때 들었던 온갖 자연재해들. 솔직히 허황된 이야기, 과장되었다고 생각 좀 했었는데 그게 사실로 점점 현실이 되는 세상이 두렵네요...
@user-im8ox7nz3u
@user-im8ox7nz3u 9 ай бұрын
지구가 분노하고 있다
@marioooo_ooooo
@marioooo_ooooo 9 ай бұрын
근데 저정도 피해는 댐때문이니 결국 인재인듯
@user-uo1uy3ic6z
@user-uo1uy3ic6z 9 ай бұрын
저건 인프라 문젠데?
@honeykris5113
@honeykris5113 9 ай бұрын
태풍 분다고 사람들이 죽은 게 아니라 민주화 이후 국가가 무정부 상태가 되면서 댐 보수 재건 같은 인프라 사업이 제대로 되질 않아서 생긴 인재입니다. 태풍 지진 한파 홍수 가뭄은 원래 인류 역사에서 항상 있던 일들이었어요.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honeykris5113 데르나 지방의 강수량은 원래 *'연간'* 20mm 입니다. 그런데 저날 하룻동안 400mm가 내렸어요. 기후위기로 인해 재난의 스케일 자체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user-yu7xi6vm9w
@user-yu7xi6vm9w 9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인간은 천적이 없으니 전쟁이 인간의 개체수를 조절했었는데 이제 전쟁도 안하니 자연이 직접나서는군....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user-tl5oq7cu3z 재난이 일어났을때 가장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빈자입니다
@user-zm7td1zo8v
@user-zm7td1zo8v 9 ай бұрын
홍수 한번 나면 피해규모가 엄청나네요 국내 메스컴이 잘 안다뤄서 몰랐는데 이런 주제 다뤄줘서 ㄱㅅ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user-hw8kx1du4c
@user-hw8kx1du4c 9 ай бұрын
와... 그야말로 허를 찌르는 "공격" 이였네요... 저런 동시를 보면 '댐이 무너지면 어쩌지' 같은 생각을 했는데 진짜 일어날지는...
@ChriseanKim
@ChriseanKim 9 ай бұрын
귀중한 지구 정보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세한 통계까지 Search 하시고 참 알기 쉽게 설명도 잘 해 주셨습니다. 가슴아프기도 하고 지구의 앞날이 참 걱정됩니다.
@j.j7634
@j.j7634 9 ай бұрын
사망자 단위가 어마무시하네요...
@user-im8ox7nz3u
@user-im8ox7nz3u 9 ай бұрын
사실상 전 인구의 0.3% 피해본거죠 정말 어마어마한 겁니다 🥶
@marioooo_ooooo
@marioooo_ooooo 9 ай бұрын
​@@happiermore9460홍수로 저규모의 사망자수는 머리가 좀 띵하네요
@user-fr4mg6vj3y
@user-fr4mg6vj3y 9 ай бұрын
​@@user-zw3iz1iu8d아 예 님말이 다맞아요 님 천재임
@Wearewestham
@Wearewestham 9 ай бұрын
정말 요즘 이런 일이 많이 일어나는 것 같네요 .. 참 안타깝고 우리나라에도 저런 자연재해가 올 수 있다고 생각하니 무섭습니다. 별개로 영상속 홍수 피해자 얘기하고 있을 때 채팅의 핑거스냅,타노스 등등 드립치고 있는게 참 .. 제가 진지충인건지 모르겠지만 피해자분들 힘내셨으면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user-uo1uy3ic6z
@user-uo1uy3ic6z 9 ай бұрын
무슨 일이 있든지 간에 농담할 자유는 있는 거임. 미국도 9.11 테러 가지고 농담 하고, 우리가 걱정해야 할 건 우리나라 상황임. 어차피 그따위로 '에엥 어떻게 그런 농담을 하실 수 있어요~'해도 우리나라 사람 말고 그 누구도 신경 안 씀.
@Wearewestham
@Wearewestham 9 ай бұрын
@@user-uo1uy3ic6z 비판하는 것도 제 자유니까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user-uo1uy3ic6z 역지사지해서, 이태원참사를 두고 중국인들이 "너네들 우리 미개하다고 놀리더니 수준이 우리랑 똑같네ㅋ" 라면서 쥐포구이 드립치면 나 같아도 기분이 상할거 같음.
@user-ci2rn5dw9n
@user-ci2rn5dw9n 9 ай бұрын
@@user-uo1uy3ic6z아오 쿨찐시치
@user-fm8qh8io1h
@user-fm8qh8io1h 9 ай бұрын
​@@user-uo1uy3ic6z그딴 게 정상이면 난 그냥 비정상 하련다
@killer23881
@killer23881 9 ай бұрын
서로 손잡고 이겨내도 힘들 지역인데 ㅋㅋ 서로 이득만따지다보니 ㅠ 슬픈일만 일어나는군요
@user-ji1so1uu7m
@user-ji1so1uu7m 9 ай бұрын
너무 안타깝네요 귀한 새명들이 자연앞에 순응할수밖에요 다연이 제일 무섭죠 리비아 모든국민들 힘내세요
@user-wu5ch2wf8h
@user-wu5ch2wf8h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인프라만큼은 선진국에 해당합니다. 사실상 저쪽 동네는 사람들이 몇 천명이 죽어나가도 대책을 안냅니다. 인식 자체가 '내가 쓰는 것도 아닌데 뭣하러?'입니다. 권력자 소수 지배층은 도로, 상하수도, 기반 시설에 대해서 아에 생각이 전혀 없어요. 우리는 사회인프라+경제인프라가 좋은 곳을 '부자 동네, 좋은 동네'로 인식하는데, 재내들은 '나 혼자 궁궐, 너랑 나만 궁궐'이면 당연히 자기들 동네 이외에는 사실상 황무지입니다. 제3세계에 지금까지 상당한 지원금이 사용되었음에도 경제성장률이 거의 그대로거나 오히려 꺾이는 경우가 있어서 이 나라들은 정말 '성장 의지'가 있는지 회의감이 들긴합니다.난만사태도 그렇고.
@user-oe1nu7jb6r
@user-oe1nu7jb6r 9 ай бұрын
댐이...우리나라의 댐들과 넘 다르군요. 비가 너무 오면 적당히 수문을 열어서 흘려보내고 해야하는게.... 저런 댐으로 가능한지가 궁금합니다...ㅜㅜ
@user-zd2gi4ux4l
@user-zd2gi4ux4l 9 ай бұрын
저 댐의 여수로는 모닝 글로리 타입으로,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 없이 수 십년 동안 잘 작동해왔죠. 이번 대홍수는 설계 홍수량을 까마득이 넘어서 댐이 붕괴했을 뿐! 우리나라는 여름철 대홍수가 빈발하기 때문에, 잘 아시는 것처럼 여수로가 댐체나, 댐 좌, 우측으로 매우 크게 만들어 두고 있죠. 그래서 크게 달라 보일 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저런 폭우가 쏟아져도, 가볍게 처리할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만, 저긴 비가 안오는 사막이었죠^^ 아, 저 댐의 모닝글로리 타입의 여수로는, 홍수시 "지옥의 입" 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물이 넘쳐 나가는 모습이 정말 아름답습니다^^
@geny1
@geny1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평화의댐이 저구조인데 관리가 잘되어 있죠
@user-zd2gi4ux4l
@user-zd2gi4ux4l 9 ай бұрын
@@geny1 평화의 댐은 CCRD가 아니라, CFRD 입니다. 수압에 대한 저항력이 3배 가량 더 높은 댐이죠. CCRD는 소양강 댐이 대표적이고, 내부에 진흙 차수벽이 있어서, 댐 체 부피는 CFRD 보다 훨씬 큰데, 오히려 안전율은 훨씬 낮습니다. CFRD와 여수로는 딱히 관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게 아니라, 그냥 방치해둬도 되는 거죠. CCRD는 내부 진흙층 때문에, 파이핑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어서 세밀하게 관리를 해줘야 하지만, 리비아 댐이 붕괴한 원인은 전적으로 설계 홍수량을 압도적으로 넘어가는 대규모 홍수로 인한 월류 때문입니다. 이건 관리해서 될 것이 아니고,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여수로를 대규모로 새로 건설하건, 댐을 아예 새로 만들건!
@Rinpndip
@Rinpndip 9 ай бұрын
저 아름다운 도시가... 댐 두대가 다 무너졌다는게 정말 소름입니다ㅠㅠ
@joowon-jung
@joowon-jung 9 ай бұрын
기상이변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금까지 만들었던 건축물과 농토를 거의 다 다시 만들어야 하고 다시 만든다고 해도 어떻게 만들어야 할 지 모른다는 것임. 건물 및 도로는 물론 상수도, 하수도, 전기설비등이 지난 수백년간의 기상상태를 보고 계속 같은 패턴을 유지될 거라는 가정 하에 만들어 진 것인데 (사실 기록을 보면 변화가 있어도 그 폭이 어느 정도 견딜만 했음) 기상 이변은 기존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기상을 보이기 때문에 기존 건물 및 인프라가 버틸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이 생긴다는 거임. (그러니 가장 비싼 동네인 강남도 홍수가 남. 물론 몇 년전에 기상이변에 대비하는 안이 있었는데 안한것도 있지만...) 게다가 그 기상 이변이 한 두해만 이상하고 전으로 돌아가면 버티겠는데, 전으로 안 돌아가고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계속 변할 것이라고 예측된다는 게 문제임. 더 큰 문제는 농토, 즉 농사임. 기상이 바뀌니 잘 자랄 수 있는 식물이 바뀜. 이건 먹고 사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서 더 문제...
@fsh45f
@fsh45f 9 ай бұрын
정보) 도시가 저 위치에 지어진 이유는 아주 오래전부터 저 강에서 흘러온 퇴적물이 쌓이고 쌓여서 사람이 살기좋은 땅으로 바뀌어서 저땅에 살게된거임. 언뜻보면 위에 사막이랑 별차이 없어보이기도 함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삼각주네용
@user-bp5qg8qy5m
@user-bp5qg8qy5m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user-vt6oo3wm5t
@user-vt6oo3wm5t 8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kktssy
@kktssy 9 ай бұрын
리비아의ㅡ게롤트 생각하신 분?
@Kuneu
@Kuneu 9 ай бұрын
갈 수록 자연재해가 심해져요 무서워요
@user-gk6sf7qn6j
@user-gk6sf7qn6j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Roxollox
@Roxollox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user-gr7no1li1f
@user-gr7no1li1f 9 ай бұрын
이형은 이런 주제안하는게 좋아 텐션이랑 흥이 많은 양반이라..
@parksaemiroo
@parksaemiroo 9 ай бұрын
사실 따지고보면 현재 아프리카의 혼란스러운 정국은 거의 대부분 유럽의 몇개 식민지를 운영했던 국가들인데, 적어도 자기들이 건들였던 나라와 그 국민들은 책임을 어느정도는 져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forzam3447
@forzam3447 9 ай бұрын
난민 발생해서 유럽으로 가는것도 그들의 업보인듯
@parksaemiroo
@parksaemiroo 9 ай бұрын
@@JasonPark1994 맞죠. 몇몇 배상금을 치뤄야 했던 나라들을 제외하면 자신들 스스로도 자멸할 나라들이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미 유럽이 손을 댔고 그 후폭풍의 인과관계가 어느정도 있다면 책임은 져야한다봐요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정보) 프랑스는 아이티가 독립을 하자 자기가 건설해준 것들 뱉어내라며 '근대화 보상금'을 청구한 전적이 있다.
@user-ow6ry2ks4x
@user-ow6ry2ks4x 9 ай бұрын
국가간에 그런 도의적 책임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nebhalabir1201
@nebhalabir1201 9 ай бұрын
😢
@cocoawhite7661
@cocoawhite7661 9 ай бұрын
배경화면의 도시는 어디일까요??
@Janggiho
@Janggiho 9 ай бұрын
먼 나라지만 안타깝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SanderRYu
@SanderRYu 9 ай бұрын
2:29 북반구에서 폭풍(열대성 저기압)의 방향은 바깥에서 안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요.
@Wuwuwuwu78
@Wuwuwuwu78 9 ай бұрын
처음알앗네요 어떤 원리죠..?
@user-yg5hg5cw2t
@user-yg5hg5cw2t 9 ай бұрын
​@@Wuwuwuwu78지구과학책 피시면 나옴
@zt1541
@zt1541 9 ай бұрын
세상에 어떻게 이런 비극이..
@yuesu
@yuesu 9 ай бұрын
고인의명복을빕니다
@changgueher1009
@changgueher1009 9 ай бұрын
건물 위에 자동차 올라가 있는 걸 보고 충격 먹었음 그리고... 난민은 난 너무 무서움... 무조건 들어는 난민에 대한 대처가 분명 안될텐데... 난민은 이해는 하지만 너무 난민되는 걸로 다 해결 될거라 생각 해버린 것 같음...
@goodlife84
@goodlife84 9 ай бұрын
채팅에서 웃는 사람들 보면 대체 왜 저러는지 이해할수가 없다.
@user-tg6re1ct5y
@user-tg6re1ct5y 9 ай бұрын
어릴때 바닷가에 살았는데 태풍도오고 땜도 터지고 그때 바다로 안떠내려 갈려고 필사적으로 탈출한 기억이나네요 한53년전의 일이에요
@nalk9724
@nalk9724 9 ай бұрын
재난 전에는 참 아름다운 도시였네요.... 이런 자연재해 앞에서는 그냥 죽으라는 말같다고 느껴집니다. ㅠ
@LOTD
@LOTD 9 ай бұрын
(오늘의 교훈) 평화의 댐: 북한의 수공을 방어하기 위해 1987년 착공 2006년 완공된 강원도 화천군에 위치한 댐
@jungcheon
@jungcheon 9 ай бұрын
수만명이 죽어간 재난을 보면서도 그저 그렇게 농담으로 드립치는 채팅치는 문화가 극소수라도 남아있는건..쉽지않네요. 사람이 때죽음을 당한건데
@AZ8513
@AZ8513 9 ай бұрын
중국 재해 주제 영상 댓글보면 기절하실 듯
@wrwsxf
@wrwsxf 9 ай бұрын
그게 이 채널 수준임
@user-vh2pv4yr8e
@user-vh2pv4yr8e 9 ай бұрын
​@@AZ8513진짜 미개한 짓입니다. 아무리 그 국가가 싫다해도 피해자들은 소중한 부모, 형제를 잃었을텐데...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하나가 죽으면 애사가 되지만 일만이 죽으면 숫자로 취급당하죠.
@BDDElectronic
@BDDElectronic 9 ай бұрын
댐이.... 사회 간접시설 관리가 안 되니 무고한 사람이 죽네요 ㅠㅠ
@user-et1vk9xd3c
@user-et1vk9xd3c 9 ай бұрын
지도자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사건이군요.
@SA-og7lf
@SA-og7lf 9 ай бұрын
석유항이 닫혀서 유가에 영향을 줬다던데. 태풍에 댐이 터진건지, 댐을 폭파한건지 알게 뭐람.
@dotorii
@dotorii 9 ай бұрын
잘 몰랐는데 이렇게 끔찍한 소식이었군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도시가 잘 복구되어야 할 텐데요
@WOoooo3
@WOoooo3 9 ай бұрын
영화 해운대 생각나네.. 고인의 명복과 신속한 피해 복구가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nicholas3861
@nicholas3861 9 ай бұрын
기후변화가 이렇게 무섭네요....
@caesar-invest
@caesar-invest 9 ай бұрын
와…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이런일이
@sweet_guy_is_back
@sweet_guy_is_back 9 ай бұрын
현대사회의 혜택은 우리나라 포함 일부 선진국들만...
@hanmin-ghost
@hanmin-ghost 9 ай бұрын
제발마우스포인트 알아볼수있게색깔좀넣어주세요 ❤❤❤
@user-ih6ro8tg8i
@user-ih6ro8tg8i 9 ай бұрын
며칠전에 쿠데타라더니 홍수까지 다이내믹코리아(x) 다이내믹리비아(o)
@user-mm8bv3di4o
@user-mm8bv3di4o 9 ай бұрын
소양강댐도 사력댐인데..... 관리가 중요한거지... 댐 종류가 중요한건 아닌데... 잘모르는 사람들은 저게 무슨댐이냐고...소양강 댐도 흙과 돌로 이루어진 한국 최대 댐이다. 세계 5위 사력댐
@ho9889
@ho9889 9 ай бұрын
20년간 내릴비가 한꺼번에 내린다면 어떠한댐도 버티기 힘들거라 봅니다. 관리부실의 차원을 넘었어요 리비아 홍수는...
@AKA_stv
@AKA_stv 9 ай бұрын
저긴 방류시설 자체가 안 되어 있잖아요.. 소양댐은 생각보다 관리 엄청 철저히 합니다.
@user-id9lf7mo3k
@user-id9lf7mo3k 9 ай бұрын
내가 리비아사람이면 음모론 생각할듯 폭발음같은게 누군가 개입된거 아닌가.. 그만큼 참 어처구니없는 원인이라ㅜㅜ
@user-oj3wn3hq7j
@user-oj3wn3hq7j 9 ай бұрын
배경화면 장소좀 알려주세요
@user-nu8dn2oy8e
@user-nu8dn2oy8e 9 ай бұрын
한분이라도 살렸으면 좋겠네요
@hesist
@hesist 9 ай бұрын
한강(북한강, 남한강)상류에는 댐이 7개 이상있는데.. 저 정도의 댐으로 막기 힘들었을 듯..
@Lee-hr7gp
@Lee-hr7gp 9 ай бұрын
하........ 아쉽습니다 그놈의 땜ㅜㅜ
@user-tv8cp1zd9i
@user-tv8cp1zd9i 9 ай бұрын
와... 사망자 2만명은 진짜... ㄷ ㄷ
@ganselife9804
@ganselife9804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그리고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
@prsh0525
@prsh0525 9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haemin8759
@haemin8759 9 ай бұрын
리비아는 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중후반까지 epc사업을 크게해서 한국 기업들이 많이갔죠.
@max-km
@max-km 9 ай бұрын
와디 데르나에서 와디وادي는 협곡을 뜻합니다.
@destiny1004s
@destiny1004s 9 ай бұрын
와 저거 복구하는데 디게 힘들겠다... 걍 도시하나가 사라진거라 봐야겠네 ㅎㄷㄷ
@c6h663
@c6h663 9 ай бұрын
40초전은 귀하네요
@destiny98
@destiny98 9 ай бұрын
해가 갈수록 자연재해 규모가 커지는 느낌
@limyoonwon
@limyoonwon 9 ай бұрын
와…
@hii_won
@hii_won 9 ай бұрын
ㅜㅜ 너무 압도적인 숫자라. ..와닿지도 않네요. 명복을 빕니다. 🙏
@mojito_origin953
@mojito_origin953 9 ай бұрын
예전 동아건설이 리비아 대수로 공사를 했었죠
@user-mm9vv6ty3u
@user-mm9vv6ty3u 9 ай бұрын
대우 아니었음?? 거긴 또 다른 곳인가🤔
@tizianogarcia5088
@tizianogarcia5088 9 ай бұрын
동아인지 대우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런 관리도 못하는 나라에서 40년을 무탈했을 정도면. 공사를 정말 완성도있게 잘 해놓았나보네요 ㅎㅎ
@user-zg5zg8uz2p
@user-zg5zg8uz2p 9 ай бұрын
희생된 모든분들께 명복을빌께요
@jeon.Pam99
@jeon.Pam99 8 ай бұрын
Thank you ❤
@myhope77
@myhope77 9 ай бұрын
이래서 정치인이 중요합니다 ㅠㅠ
@user-qe2ox5qj5c
@user-qe2ox5qj5c 9 ай бұрын
그전에 개개인의 시민의식이 더 중요함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user-qe2ox5qj5c 카다피의 독재는 시민의식으로 해결할만한 레벨이 아니었음ㅋㅋ 시위같은거 하면 드럼통에 담아서 사하라 사막에 묻어버리잖음
@user-zd2gi4ux4l
@user-zd2gi4ux4l 9 ай бұрын
@@user-rw3bk6wp4m 카다피 죽은 지 12년이나 지났는데, 독재자 몰아내고 혁명 이뤘다면서 지금까지 뭐 하고 있다가, 뜬금 없이 카다피 탓? 정치인 탓? 서로 이권 쟁취하겠다고 난리치면서, 댐이 무너지건 말건 신경도 쓰지 않는 다수의 국민들 탓이 아니고?ㅋㅋㅋ
@wlsrhkd5868
@wlsrhkd5868 9 ай бұрын
소양강댐에 우리 민족의 사활이 걸려 있다. 어떤 이유이던 붕괴 시는 하류 댐들까지 동시에 붕괴돼서 수도권은 초토화가 된다. 불행히도 연암인 편암이 기반암이다. 미리 양양까지 초대형 도수터널을 굴착해서 미력 하나마 유사시에 대비해야 한다.
@user-yn4xh3il9y
@user-yn4xh3il9y 3 ай бұрын
2024년현재 피해복구현황을 알고싶습니다.리비아는 한국 건설회사가 공사를수주 해서 성공시킨 연고가 있어 힘이있다면 도와주고싶네요.
@user-et1vk9xd3c
@user-et1vk9xd3c 9 ай бұрын
지구가 이 난리 나니 인생 따위가 뭔가 싶네요.
@user-ym3ch8iw2d
@user-ym3ch8iw2d 9 ай бұрын
우리도 한번 댐을 점검해보면 좋을 듯
@Yangzzi
@Yangzzi 9 ай бұрын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sweet_guy_is_back
@sweet_guy_is_back 9 ай бұрын
유지보수의 중요성...
@BIuewhaIe
@BIuewhaIe 9 ай бұрын
??? : 다이빙벨 투입해서 전원구조
@panasoic9949
@panasoic9949 9 ай бұрын
훈훈함 기사
@user-dg5dt7fs4b
@user-dg5dt7fs4b 9 ай бұрын
2:30 폭풍이 돌아가는 방향을 반대로 돌리셨습니다. 이과로서 불편하군요.
@dh6915
@dh6915 9 ай бұрын
저정도의 작은 댐에 저렇게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는걸 보니..... 중국의 산샤댐이 터지면 진짜 엄청난 피해를 입겠군요??? 글서 전쟁나면 산샤댐이 공격 목표가 될거라는 소리가 있는거군요ㅡ.ㅡ
@user-mm9vv6ty3u
@user-mm9vv6ty3u 9 ай бұрын
ㅇㅇ. 중국이 대만 침공하면 대만의 제일 목표가 샨샤댐이란 이야기가 있긴하죠.
@user-jx8bd9wx4n
@user-jx8bd9wx4n 9 ай бұрын
슬퍼요
@user-lu3rg2fm9e
@user-lu3rg2fm9e 9 ай бұрын
사력땜이라고 안심하지말고 보강작업해야 안되진다 높이 15m 이상은 높여야한다
@sanghyunpakr
@sanghyunpakr 9 ай бұрын
1만명?!
미 대선을 뒤흔드는 자동차 노조의 총파업
22:5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62 М.
본격 미국의 공격, 중동전쟁은 시작되는가
21:0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전쟁으로 횡재한 나라 노르웨이
22:1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샌프란시스코는 이대로 끝나는가
24:0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정신나간 사우디 신도시 프로젝트 The Line
34:4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이집트 : 제발 그만 낳아주세요!
20:5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영국인들에게 차를 금지하면 일어나는 일
27:3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61 М.
이제 중국은 어디서 쌀을 사나...
21:3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98 М.
60조원 테슬라 스톡옵션을 받게 된 머스크
26:2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35 М.
ela gostou da bicicleta kkk
0:23
Josue oficial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Hài một chút thôi
0:43
Đồng Việt Đức 1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ПЕСЕНКА С ПОДВОХОМ 😉 ч.5
0:59
KEKTAR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