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분) 절친은 10만원, 안 친하면 5만원? 축의금 국룰부터 키오스크까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멋진 '어른'으로 사는 법! [어쩌다갓생] |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

  Рет қаралды 156,997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행복을 위한 시작점! 삶의 가이드가 되어 줄 '어쩌다 갓생'✨
늙는 건 필수, 성장은 선택!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어른의 기준과 역할들
00:00 변하고 있는 세대별 역할
16:04 나이마다 성취해야 할 '국룰'이 있다?
29:23 피할 수 없다면 멋지게 나이 먹자!
#사피엔스 #어쩌다갓생 #송길영마인드마이너

Пікірлер: 31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10 ай бұрын
00:00 변하고 있는 세대별 역할 16:04 나이마다 성취해야 할 '국룰'이 있다? 29:23 피할 수 없다면 멋지게 나이 먹자!
@user-ip3kj2wo5u
@user-ip3kj2wo5u 7 ай бұрын
나이가 많다고 다 어른이 되는건 아니죠~ 배움을 멈추면 늙어도 아이라는 취지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user-ui8ec3rm7j
@user-ui8ec3rm7j 7 ай бұрын
와.. 오늘 하루동안 벌어젔던 모든 일들이 이 영상에 다 있네요 ㅋㅋ 진짜 하나의 사회네요 이 영상 ㅋㅋ스트레스 받다가 혼자 ‘남과 비교하지 말고 나만의 기준, 나자신에 대한 비교’ 에 대해 생각하고 결론내렸는데 저의 생각에 더 힘을 보탤 수 있는 영상이었어요 우연히 본 영상인데 큰 힘을 얻습니다!! 30대 초반 내 인생 나만의 것!!
@user-mt3sc2ol1g
@user-mt3sc2ol1g 8 ай бұрын
진정한어른이 어떤사람인가에 대해 많이 공감되네요!❤
@user-lf6zu8fv5b
@user-lf6zu8fv5b 8 ай бұрын
말하시는 내용도 좋지만 말이 빨라서 제스타일👍👍👍
@kgearg
@kgearg 8 ай бұрын
1.5배속으로 보신거 아닙니까?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bukug269
@bukug269 2 ай бұрын
저는 항상 1.5배속 들어요 ㅎㅎ
@bukug269
@bukug269 2 ай бұрын
35살이 노산 어린편이라서 ᆢ우영우팩토리 가능성 높은듯
@LOFI-JuveteBeats
@LOFI-JuveteBeats Ай бұрын
이분 넘 명확하게 콕 집어주세요😊
@user-cs4in2mf5u
@user-cs4in2mf5u 8 ай бұрын
나이대 고민도 어쩔수 없지만 좀 철없이 사는것두 건강하게 사는비결일듯
@audaciouspony
@audaciouspony 7 ай бұрын
호기심과 배움의 즐거움. 나이가 들어도 호기심만 유지하고 배움의 갈망이 있다면 그로써 족하다. 그 배움을 공유하고 전파하는 일을 할 수 있다면.
@user-er5mi2we5s
@user-er5mi2we5s 8 ай бұрын
옛날은 일이 힘들고 의료가 좋지않고 온갖 고생해서 60이면 인생 끝물이죠 😂😂😂
@user-nc9pj8we2n
@user-nc9pj8we2n 7 ай бұрын
자유민주주의에서 자본주의에서 자유경쟁은 필수, 다만 소외된 분들의 최소복지를 다양하게 지원해야 특히우리나란 신분상승욕구가 강해 산업발전엔 강점이 되지만 경쟁에서받는 스트레스가 심하긴 하죠
@user-nc9pj8we2n
@user-nc9pj8we2n 7 ай бұрын
어른다운어른의 필수조건이 돈ㅠ
@user-zx1vt2xr2r
@user-zx1vt2xr2r 8 ай бұрын
좋아서 친구에게 보내요.이프로~♡♡. 우린 60대 청년기.ㅎㅎㅋㅋ
@user-oh2jr5qf7u
@user-oh2jr5qf7u 6 ай бұрын
책(시대예보)보다 훨씬 좋은내용 이네요.. 궁굼해서 왔어요.
@sollos...
@sollos... 7 ай бұрын
나이들면서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 나를알고 남을 알고 관계를 알기 시작했다...
@user-tc7fr7nm6d
@user-tc7fr7nm6d 6 ай бұрын
평균나이라는건 요양병원에서 연명하고 있는 분들도 포함된거죠?
@user-qp5ss9fj4d
@user-qp5ss9fj4d 7 ай бұрын
청첩장을 계좌번호와 함께 보내지맙시다. 거지들인가 싶어요.
@uGreensom
@uGreensom 6 ай бұрын
진짜 옆에서 누가 어쩌든... 남들이 뭘 하고 얼마나벌든... 그딴걸 왜 그렇게 신경쓰는거지?
@user-ug7nh9ug6o
@user-ug7nh9ug6o 7 ай бұрын
주제나 시사하는바가 먼지 모르겠어요. 나이대가 올라가고 있다??? 그래서 머..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7 ай бұрын
청춘과나이듦에대한다양한사회현상을얘기하고계시죠
@invekim5043
@invekim5043 7 ай бұрын
이 분 역시 요즘 시류에 편승하는 스타일이군요. "사회 안전판 부재, 사회 얼게의 문제" 등의 말로 "남 탓" 하기에 동참하고 있고요. 대한민국은 "자본주의" 국가이지만 국가 운영은 "사회주의" 형태죠. 대표적으로 개인의 노력을 인정하지 않는 "상속/증여세 체계"가 그렇습니다. 조부에서 손자 세대까지만 내려가도 재산의 대부분을 세금으로 빼앗기지요. 실제 요즈음 "사회 안전판"이 좋아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본인들이 근검절약하는 생활하면서 세계최고의 기업을 선택해서 20년 정도 꾸준히 장기투자하면 노후생활이 상당 수준으로 보장됩니다. 그렇지만 개인의 욕심, 타인과의 비교 등에 몰입되어 그런 선택을 하지 않는게 대부분이라 노후 불안이 일상화되고 있지요. 결론은 "개인의 선택"에 미래가 결정되는 것이지 결코 "사회 안전판 부재"의 문제가 아닙니다
@souk5291
@souk5291 7 ай бұрын
상속세 및 증여세에 대해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합법적인 개인의 노력과 성취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인정해야 한다. 2. 상속과 증여는 상속자나 증여자가 아무런 성취없이 재산을 갖는 행위이다. 3. 재산을 상속받거나 증여받는 것은 그 개인의 노력을 하지 않고도 이익을 얻는다는 점에서 1과 모순된다. 4. 그러나 국가는 상속을 받는 자 혹은 증여를 받는 자가 세금을 내는 조건으로 아무런 성취 없이 재산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이렇게 본다면 상속세 및 증여세를 내는 것은 오히려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나요?
@user-lp1cz6yc5b
@user-lp1cz6yc5b 8 ай бұрын
의마없는 말이 기네.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7 ай бұрын
공감하는 내용이 대부분 인데요
@YWG111
@YWG111 7 ай бұрын
김호영인지 뭔지 그만 좀 나왔으면 좋겠다. 뭔데 자꾸 나와
@user-ob8co6bh4i
@user-ob8co6bh4i 7 ай бұрын
재밋는데 왜
@user-dx2fg4kj5f
@user-dx2fg4kj5f Ай бұрын
왜 나오지말라는거지? 재밌고 시원한사람인데
He tried to save his parking spot, instant karma
00:2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Be kind🤝
00:22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20 М.
중간 관리자의 종말 f.마인드마이너 송길영 2부 [신과함께]
51:04
He tried to save his parking spot, instant karma
00:2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