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의 초대형 신도시, 네옴시티 프로젝트

  Рет қаралды 669,592

궁금소

궁금소

Жыл бұрын

제작 : 정도영
사진 및 영상 출처 :
NEOM
Kevin MacLeod의 Lagoa v1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National Museum of the Marine Corps
Grand Circle Travel
Motionelements
위키피디아
Pixabay · Pexels · Coverrs · Videvo · Videezy.
yonhapnews
HISTORY
▬▬▬▬▬사용하시려면 아래의 출처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How to Tame a Wyvern - • "드래곤을 타고 하늘을 나는 기분이 궁금해?"
▬▬▬▬▬▬▬▬▬▬▬▬▬▬▬▬▬▬▬▬▬▬▬▬▬▬▬▬▬▬▬▬
자막 Copyright ⓒ 나눔템플릿 All Rights Reserved.

Пікірлер: 637
@muller_13
@muller_13 Жыл бұрын
기획은 아무나하지만 저걸 실행할수있는 재력이 진짜 개부럽다….
@audghks2012
@audghks2012 Жыл бұрын
돈낭비
@user-mz1rt1md9c
@user-mz1rt1md9c Жыл бұрын
@@audghks2012 너가 돈낭비지
@user-df7xr8vt9u
@user-df7xr8vt9u Жыл бұрын
​@@audghks2012 이러네
@xzxzxzxz9892
@xzxzxzxz9892 Жыл бұрын
기름없으면 진짜 아무것도, 왕실도없을것들인데 기름하나믿고 저러는거임
@xzxzxzxz9892
@xzxzxzxz9892 Жыл бұрын
@@user-mz1rt1md9c 너가 돈낭비는 뭔소리임 대체
@sssssplususer
@sssssplususer Жыл бұрын
우리학교 토목과 교수님들은 아직도 절대 못만들거라고 믿는데 난 아직도 도면을 계속해서 수정해서 결국엔 초안이랑 달라도 무조건 지을거 같음…나중에 꼭 성공해서 사우디 네온시티 건물 하나라도 시공해보고 싶다
@user-fi9te5zh2d
@user-fi9te5zh2d Жыл бұрын
니네학교 토목과 ㅣㅇ교수들은 조만간 아가리만털다 사라지겠구나
@user-wx1gh5zz5m
@user-wx1gh5zz5m Жыл бұрын
포크레인들 삽뜨는거보니 진짜 하고있긴한가봄 ㄷ ㄷ
@sumyooelectronics241
@sumyooelectronics241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높이 500미터에 폭이200미터면 과연 일조량이 아랫동네 까지 몇시간 아니 몇분 정도 들어올까? 높이가 200미터 폭이 500미터면 몰라도 그리고 높이 500미터에 풍압이 엄청날껀데 벽면을 유리 혹은 태양광이면 마감재가 버틸까?
@user-kp2eh1us4s
@user-kp2eh1us4s Жыл бұрын
네온시티 -> 네옴시티
@user-cr5el3pz5w
@user-cr5el3pz5w Жыл бұрын
@@sumyooelectronics241 그럼 두바이에지어진 초고층빌딩에있는 유리는 어떻게설명이되나요.. 다 방법이 있는거죠
@sinsiyun-1
@sinsiyun-1 Жыл бұрын
아마 더라인은 저 조감도 그대로 지어지진 않을 것 같다. 중간 중간에 계획이 정말 많이 바뀔 듯. 그래도 결국엔 완공도 될 것 같긴 하다.
@ycoin4966
@ycoin4966 Жыл бұрын
옛날 심시티 게임에서나 만들던 도시들을 진짜 만들려고 한다니까 신기하네ㅋㅋㅋ 잘되면 좋겠다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Жыл бұрын
응 불가능
@666Yourkarma
@666Yourkarma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닉네임을 보니 파괴시키는것만 가능하다고 믿는 인간인 듯
@wonsublee1864
@wonsublee1864 Жыл бұрын
C B c B. Ps ss s ss
@Jjjklljjjjj
@Jjjklljjjjj Жыл бұрын
중국이 도와준다면 충분히 가능함
@user-ns6ih8oe7o
@user-ns6ih8oe7o Жыл бұрын
불가능맞는데.. 유튭봐라 저게얼마나 허무맹랑한 소리인지
@last0709
@last0709 Жыл бұрын
말그대로 프로젝트지 건축전문가들이 봤을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부분들이 많다고 하죠 지금의 기술로는 한계가 보이는 곳들이 곳곳 있어서 과연 최종마무리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kellyj8011
@kellyj8011 Жыл бұрын
두바이도 전문가라는 새끼들 총출동해서 안된다고 햇는데 해냄 ㅋㅋㅋ맏지마라
@raf_simons
@raf_simons Жыл бұрын
대학원생 시키면 될거에요 ~
@user-lp9qv6cy6x
@user-lp9qv6cy6x Жыл бұрын
@@raf_simons ㅠㅠ
@user-pp6en4of3z
@user-pp6en4of3z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도 과거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었죠.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컴퓨터, 자동차, 비행기, 전구 등등 과거엔 말도 안되는 것들이었습니다.
@abracolorbural
@abracolorbural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지금쓰는것들이 예전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것들이다.
@Amigo_Traveler
@Amigo_Traveler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세계에 많은 공부가 될수있는 기회같음
@user-nc8pc4em6u
@user-nc8pc4em6u Жыл бұрын
결과가 어떻게 되든 역사에 큰 발자국을 남길 프로젝트네
@Muhammad_010
@Muhammad_010 11 ай бұрын
이 칭찬에 감사드립니다. 🫡🫡
@user-rn8xm9ou8o
@user-rn8xm9ou8o 8 күн бұрын
사우디나 중동이나 녹화산업도 잘 못하고 비싼 식물로 도배를 한다던데, 산세베리아 수출하던 시절의 사우디는 어디 갔나? 미국이 옥수수밭으로 도배를 하듯이 사우디나 중동은 산세베리아로 도배를 해버리면, 산세베리아는 따로 물을 안줘도 잘 살아남으니 공기정화에 탁월할텐데! 미국옥수수밭은 농약범벅 gmo라지만.. 산세베리아는 천연이라서 농약없이 물 적게 먹으면서 사막땅에서 잘 사는데! 산세베리아숲이나 만들지! 중동은... 사막땅에다가.... 미국의 옥수수밭 크기만큼!!! 사막에서 사는 산세베리아, 벼라별 다육식물, 선인장 아예 싹 깔아버리면 공기정화되어서 참 좋을 텐데..
@user-rn8xm9ou8o
@user-rn8xm9ou8o 8 күн бұрын
사우디나 중동이나 녹화산업도 잘 못하고 비싼 식물로 도배를 한다던데, 산세베리아 수출하던 시절의 사우디는 어디 갔나? 미국이 옥수수밭으로 도배를 하듯이 사우디나 중동은 산세베리아로 도배를 해버리면, 산세베리아는 따로 물을 안줘도 잘 살아남으니 공기정화에 탁월할텐데! 미국옥수수밭은 농약범벅 gmo라지만.. 산세베리아는 천연이라서 농약없이 물 적게 먹으면서 사막땅에서 잘 사는데! 산세베리아숲이나 만들지! 중동은... 사막땅에다가.... 미국의 옥수수밭 크기만큼!!! 사막에서 사는 산세베리아, 벼라별 다육식물, 선인장 아예 싹 깔아버리면 공기정화되어서 참 좋을 텐데..
@user-pp1br3xv5s
@user-pp1br3xv5s Жыл бұрын
궁금소님 오늘 영상도 잘보겠습니다❤️❤️❤️❤️❤️ 판문점 만행 사건 영상도 부탁드립니당❤️❤️❤️❤️❤️
@user-kv7pg3dd5s
@user-kv7pg3dd5s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일단 저 도시가 생긴다면 정말 큰 패러다임을 몰고 올 것 같음... 정말 영화에서나 보던 첨단시설로 가득 차서 시대가 변할 거 같다
@tokiya7235
@tokiya7235 9 ай бұрын
너무 혁신적아라 우려더 많고 시가 잘투도 엄청 많지만 저는 네옴시티 등 여러 프로젝트가 분명 성공하리라고 믿습니다. 빈 살만은 정말 세기의 인물입니다.
@migueljo7846
@migueljo7846 4 ай бұрын
오고 있어? 네ㅡ 옴! 🐀
@ohilyeojoh-a
@ohilyeojoh-a Ай бұрын
컷! ㅋㅋㅋㅋㅋㅋ
@user-qy3vj3ky8x
@user-qy3vj3ky8x Ай бұрын
응 170km아니 2km축소
@user-bj3yl8oy6q
@user-bj3yl8oy6q 29 күн бұрын
뭘 세기의 인물이야 그냥 기름부자지
@user-ky2iy5xp7w
@user-ky2iy5xp7w Жыл бұрын
가만히 있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긴 하지 도전하는 자는 아름답다!!
@user-rr9yn4dc7c
@user-rr9yn4dc7c Жыл бұрын
성공을 하든 실패를 하든 어쨋든 완공하면 이건 진짜 교과서에 실릴만한 사업이다
@Muhammad_010
@Muhammad_010 11 ай бұрын
Thank you. This praise is very powerful. Thank you 🫶🏻🫶🏻
@miaow12255
@miaow12255 Жыл бұрын
더 라인은 무모해보이더라도 옥사곤이나 신달라같은게 더 핵심인거같네요
@Adgshd37281
@Adgshd37281 Жыл бұрын
한 때 난리났었는데 이게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영상을 올려주는 시기까지 왔네 세월 개빠르다 ㅋㅋ
@user-ju4wi9zv2l
@user-ju4wi9zv2l Жыл бұрын
꼭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만들어서 많은 사람이 머리로만 그리던 미래사회의 모습을 수많은 국가들에게서 구현되는 시작점이 되길 바랍니다^^ 한국도 어쩌면 주요 도시들을 이어주는 지하도시 프로젝트를 사우디를 모티브 삼아 계획할 수 있지는 않을까요 ㅎㅎ GTX가 그 시작이 되구요! 즐거운 상상을 해봅니다~~
@user-xg4zg2vz3u
@user-xg4zg2vz3u Жыл бұрын
그럼 지상은 녹지화 공원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Жыл бұрын
가능하겠냐? ㅋㅋ 500m높이의 라인을 170km에 거쳐 건설해야하는데 ㅋㅋㅋㅋ
@user-ju4wi9zv2l
@user-ju4wi9zv2l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글을 못 읽으시나보네... 저거를 모티브로 하자고요... 똑같이 하자고 했습니까?
@user-yx9jh2em9n
@user-yx9jh2em9n Жыл бұрын
말같지도 않은소리
@user-hg7cg7yx7z
@user-hg7cg7yx7z Жыл бұрын
젊은군주의 도전. 그 말이 단순하게 멋진게 아니라. 많은돈을 지금의 안주와 유흥을 위해서 쓴다기보다, 실패의 가능성이 있어도, 발전할수있는 기대에 투자하고, 도전한다는게 멋있는거다. 그리고 자생국가를 만들 계획을 한다는 것 자체가, 국민들도 전부 계층 하나하나를 존중할수 있는 마음이 있으니까, 가능한 것이겠지. 우리나라처럼 신분을 생각하고, 계층을 중요시 여기며, 나보다 없어보이면 일단 멸시하는 분위기에, 갈라치기까지 하는 사회 때문레 특정 직업만 선호하는 구조가 지속된다면, 저런 자생국가는 도전도 못함.
@iz1388
@iz1388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중국이랑 다름없는 전제군주제 독재국가를 빨고자빠졌네 그렇게 국민생각하는사람이 언론통제, 반체제인사 암살같은짓을 함?
@user-hg7cg7yx7z
@user-hg7cg7yx7z 3 ай бұрын
@@iz1388 먼 멍청한 댓을..ㅡㅡㅋ 내가 어딜 빨어? 하여튼 상대방이 뭔 말하는지는 모르고 하나만 처 꽂혀가지고 싸우자고 달라드는 ㅅㄲ들 면상 좀 보고 싶네.
@user-wd2nj3uh3w
@user-wd2nj3uh3w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슴이 벅차오르네 ㄷㄷ 지린다
@qbang0212
@qbang0212 Жыл бұрын
일조량 문제는 이미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이 있어서 이야기가 좀 부족한 부분들이 있는 거 같네요 일조량보단 하늘을 볼 수 있는 특권으로 보는게 맞는 거 같단 생각이 드네요
@speculator_kim
@speculator_kim Жыл бұрын
돈으로 못하는건 없다만 다른건 몰라도 더 라인은 목표 한데로는 힘들것 같다 계획 층고를 낮추거나 길이를 줄이면 몰라도
@ThisVeryLife
@ThisVeryLife Жыл бұрын
기름국 특유의 허세가 잔뜩 들어간 느낌임. 오일머니도 잘써야지. 저런걸 우리는 낭비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MH-qz4lo
@MH-qz4lo Жыл бұрын
그냥 보여주기식임ㅋㅋㅋ 할 줄 아는 건 좆도 없는 나라가 어그로 끌어보려고 저러는 거
@cjh15tc
@cjh15tc Жыл бұрын
어그로임 불개능
@user-sv3gk9ei7v
@user-sv3gk9ei7v Жыл бұрын
미리 60만 축하드립니다🎉
@Muhammad_010
@Muhammad_010 11 ай бұрын
May God bless you, the sinful city, we welcome you, and thank you for the positive or negative comments, and in the end, thank you 🫡🇰🇷❤️‍🔥🇸🇦
@user-sv3tr5bf4b
@user-sv3tr5bf4b Жыл бұрын
저 프로젝트 발펴한 거에 반만 해도 진짜 엄청난 거임ㅋㅋ
@ymjoyfulable
@ymjoyfulable Жыл бұрын
완공되면 한번 가보고싶네
@jungheehan9881
@jungheehan9881 11 ай бұрын
성공을 기원합니다 ~~~~~~
@jhchae9679
@jhchae9679 Жыл бұрын
네옴시티프로젝트는 실패와 성공을 떠나, 현재의 과학기술을 2단계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것이다. 기업들에게는 인류역사상 가장 큰 R&D 사업이라 할 수 있다.
@hdywyqh9442
@hdywyqh9442 9 ай бұрын
대부분 산유국은 석유에 의존해 국제유가에 따라 경제가 달라지는데 사우디는 개혁개방으로 아랍국가 답지않게 발전해 나가는 모습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함
@user-bq4bt3hf6u
@user-bq4bt3hf6u 8 ай бұрын
유가가 떨어진적이 없어서 항상 경제부국인데다 베네수엘라 선례가 있으니 기민하게 대처하는거임. 역시 가진놈들이 더 발빠르게 대처함. 석유시대가 끝나도 사우디는 부국으로 남을거임
@kyu2902
@kyu2902 3 ай бұрын
ㄹㅇ 베네수엘라 마냥 좌파정권이 틀어잡아서 산업육성은 커녕 돈뿌리는 나라는 석유에 뭔일 터지면 한방에 골로가기 십상이죠
@user-ky7kn9iq3h
@user-ky7kn9iq3h 11 ай бұрын
빈살만 왕세자님은 성공 할수 있습니다 기대가 됩니다 화이팅♡
@user-wj9qj6yta15
@user-wj9qj6yta15 Ай бұрын
실패
@user-mq6ko9jr6x
@user-mq6ko9jr6x Жыл бұрын
원래 모든지 안된다고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야 더 빛이남.. 꼭 성공하길~~
@Chart_Manager
@Chart_Manager Жыл бұрын
성공하든 실패하든 역사에 남을만한 시도네
@user-se8hw5mt5h
@user-se8hw5mt5h Жыл бұрын
홍해처럼 깨끗한 바다 아마 없을거 같은데 오염은 시간 문제겠군~
@jasonkim7377
@jasonkim7377 Жыл бұрын
더 라인 관련해서 모두 햇빛이 해가 수직으로 있는 몇분만 해가 뜰꺼다 이러는데 그건 해의 진행방향과 수직일때 얘기 아닌가요?? 해가 뜨고 지는 방향인 동-서로 라인을 짓는다면 하루내내 햇볕이 드는거 아닌가요??
@Il-mr8ki
@Il-mr8ki Жыл бұрын
헐 개똑똑해
@user-mdjdjwin
@user-mdjdjwin 17 күн бұрын
ㄹㅇ
@djWjfkrhwkdsksclsi
@djWjfkrhwkdsksclsi Жыл бұрын
관광 목적이라면 두바이 처럼 화려하게 짓는게 원칙인데, 기능성에만 충실하는 걸로 봐선 옥사곤에서 근무할 직원들의 숙소로 쓸 예정 인듯. 다른건 제쳐 두더라도 거대 건축물로 지역을 단절 시키고, 자연 정화 작용을 무시한 댓가로 한방에 훅 갈지도. 화재는 두더라도 코로나 같은 전염성 바이러스 사태가 또 발생하면, 아무도 못살지.
@user-pr5xl3bq6k
@user-pr5xl3bq6k Жыл бұрын
기대된다
@deogsu3621
@deogsu3621 8 ай бұрын
무리한욕심으로 무너지는 바벨탑이 되지않길 바랄뿐입니다.
@vusqjatnv3896
@vusqjatnv3896 Жыл бұрын
가보구싶당
@user-idjeyxsa296
@user-idjeyxsa296 Жыл бұрын
망하든 흥하든간에 흥미진진한 계획이네요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Жыл бұрын
망함 ㅇㅇ 그알에서도 다뤘잖음 ㅋㅋ 500m 짜리 건물을 170km로 잇는다고? ㅆㅂ ㅋㅋㅋ
@user-idjeyxsa296
@user-idjeyxsa296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망하면 망하는거지 왜 욕을하십니까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Жыл бұрын
@@user-idjeyxsa296 님한테 한 거 아님 오해 ㅈㅅㅈㅅ
@W30410
@W30410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니 인생이 먼저 망할듯 ㅋㅋ
@user-mz1rt1md9c
@user-mz1rt1md9c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닉이며 프사 수준나옴
@user-rf3wj6uz6v
@user-rf3wj6uz6v Жыл бұрын
겉면을 강화유리로 하고 그 커다란 라인을 사다리골 모양으로 한다면 되지 않을까? 사다리골 바깥쪽에는 거주구역을 안쪽에는 여러 매장과 편히 시설 병원 학교 같이 만들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dyil5445
@dyil5445 Жыл бұрын
저런 면적이면 존재하는 가장 강도높은 강화유리로도 모래폭풍 못 막습니다
@user-rf3wj6uz6v
@user-rf3wj6uz6v Жыл бұрын
@@dyil5445 유리벽 중간중간에 철근을 넣거나 철로 만들어진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을 하면 되지 않을까요? 음… 안되나?
@user-rb9ec7ul4j
@user-rb9ec7ul4j 11 ай бұрын
​@@user-rf3wj6uz6v응 안됨
@hodon2762
@hodon276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진짜 돈만 있고 다른건 없는 나라..근데 그게 너무나도 부러운 나라..
@song228471
@song228471 Жыл бұрын
도심에 반사된 유리창과 거울에 새들이 들이박고 죽는 경우가 많은데 저곳은 온갖 새때들 죽음으로 골치아플 일들이 엄청날듯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Жыл бұрын
공장을 땅이 아닌 물 위에 세울 이유가 없으니 허상임. 휴양 시설 같은 경우는 쉽지. 나머진 실퍠
@JK-vt3mq
@JK-vt3mq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저런 기본적인 문제적말고도 생각을해보면 200미터안에만 돌아다니면 아무리 한쪽으로길어도 엄청답답하지. 우리가 멀리밖에도보고 산도보고 하는게 우리의 답답함을 얼마나 많이 해소시키는데 200미터안에서만 건물끼리 빽빽하게있으면 일부 밖에사람들빼고는 엄청 답답해서 우울증 정신병 유발할거임.
@user-si4nj5vd2l
@user-si4nj5vd2l Жыл бұрын
저기사는 사람들은 우울할 일이 없을거 같은데 ㅋㅋ
@user-mp1ll4mc5y
@user-mp1ll4mc5y Жыл бұрын
​@@user-si4nj5vd2l ㅋㅋㅋㅋㄹㅇ
@lalamu-land
@lalamu-land 6 ай бұрын
4개중 하나라도 야무지게 만들어도 좋겠어요
@Lucifer-en3hm
@Lucifer-en3hm Жыл бұрын
윌의 마음속 깊은 곳이 드러날 것 같아요.
@user-hg8yo1ke2h
@user-hg8yo1ke2h Жыл бұрын
독재가 이래서 무서운거여 정은이도 심심하면 지맘대로 심시티하잖아
@beautifulrose99
@beautifulrose99 Жыл бұрын
마지막은 잼민이들도 안 할 발상이긴 해도 나머지는 스케일이랑 재력이 대단하네 ㄷㄷ
@rlaeodn
@rlaeodn Жыл бұрын
왠지 성공할 것 같은데... 그것이 빈 살만 이니까...!
@user-it4su4ip6y
@user-it4su4ip6y Жыл бұрын
진짜 SF 영화에나 나올법한 도시네 망하든 흥하든 일단 완공되면 좋것다 구경이나하게
@user-sn6dg5uf4m
@user-sn6dg5uf4m Жыл бұрын
구경하는데 돈내야
@user-gi4wb3uc2s
@user-gi4wb3uc2s Жыл бұрын
지어면 안돼 너무 위험. 진짜 불나면 우짤려고~~
@cake456
@cake456 Жыл бұрын
나는 더라인 보자마자 떠오른게 열관리에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드는데.. 최첨단의 생활공간에서 나오는 에너지나 열은 어떻게 감당할런지... 양쪽 외벽도 태양광 패널이라서 열이 방출될만한 곳이 없음... 주변에 바다가 있는것도 아니고... 햇빛이 내리쬐는 사막 한가운데에 저런 구조의 건물을 짓는다는게.. 말이 안됨 다른 방구석 전문가 행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took89
@took89 11 ай бұрын
그냥 내 생각이지만 더 라인은 말로는 선형 도시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높은 마천루형 건물이 내부를 차지하고, 그 옆에 각종 관공서 건물과 주거지역이 주를 이루면서 단면상 원뿔을 유지하는 도시로 설계될거라 생각함. 자동차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불가능하겠지만 전철로 자동차의 물류량을 커버할 수 있을거고, 선형으로 짓는다면 전철의 감속 구간도 현저히 적기에 전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거임. 아마 에너지원은 태양열, 태양광, 풍력발전, 홍해를 통한 조력 발전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제일 현실적인 방안이 될것이며, 외부에 유리벽을 설치하지 않고 그냥 관공서 건물과 주거 지역에 날아올 먼지를 막아줄 방풍벽만 주거 지역 부근에만 설치하면 풍속에 따른 변형에 대한 문제도 해결이 가능할 듯.
@TV-in5fh
@TV-in5fh Жыл бұрын
보는 사람도 가고싶게 만드는 폼 미쳤다
@user-tc8fe2xe6i
@user-tc8fe2xe6i Жыл бұрын
진정 신과 자연에 도전하는 사업... 리스펙
@SHK1008YOUTUBE
@SHK1008YOUTUBE Жыл бұрын
빈살만… 제발 잘 이루어줘!!!
@user-oe8vr1gz4o
@user-oe8vr1gz4o 9 ай бұрын
진짜 바벨탑이네
@user-mdjdjwin
@user-mdjdjwin 17 күн бұрын
새로운 도전은 언제나 환영이야
@andrewkim8334
@andrewkim8334 Жыл бұрын
이런 과감한 시도가 있긴해야 하긴하는데 기대반 우려반인 프로젝트....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Жыл бұрын
불가능임 500m짜리 거울을 170km까지 이어야한다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ndrewkim8334
@andrewkim8334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정확히는 거울이 아니라 태양광 발전판이긴한데 ㅋㅋㅋ 그것도 좀 오바긴하죠...
@user-rt6ew7yw3c
@user-rt6ew7yw3c Жыл бұрын
한 200m정도로만 낮추고, 완벽한 선형구조도 어느정도 타협하면 해볼만 할수도
@skw1879
@skw1879 Жыл бұрын
@@user-rt6ew7yw3c 그게 불가능 하진 말이짆아
@Kimmanduk
@Kimmanduk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피라미드도 그렇게 탄생 했을 듯
@uj0211
@uj0211 Жыл бұрын
진짜부럽다...자원강국이란건
@yuni_143
@yuni_143 Жыл бұрын
우리 사우디는 돈이 많아서 살만 왕의 프로젝트는 반드시 성공할 것입니다 UKTY
@LoFTs
@LoFTs Жыл бұрын
사람을 알라의 곁으로 보내는 거랑 저 사업들이랑은 실현 가능성의 차이가 너무 크지 않나요...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Жыл бұрын
사우디의 미래가 암울하다. 이어린애가 공상영화를 너무 많이 본모양이다.
@user-ix1st3rc5z
@user-ix1st3rc5z 5 ай бұрын
❤❤빈살만 ^^
@ThanksNloves
@ThanksNloves Жыл бұрын
인도에서 만들어젔지만 세계적으로 쓰이고있는 아라비아숫자처럼 훗날 전세계에 영향을 끼칠 도시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user-ch7fk6qv3z
@user-ch7fk6qv3z Жыл бұрын
완공되면 진짜 지상낙원이다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Жыл бұрын
불가능임 ㅇㅇ
@user-gs3xd1kw2x
@user-gs3xd1kw2x Жыл бұрын
@@user-cs8cq5bb8z 어느 답글마다 다있네 ㅋㅋㅋㅋㅋㅋ 뭐가 그리 꼬움 ㅋㅋ
@user-rg1bv2lc1v
@user-rg1bv2lc1v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불편할것 같은데?? 가로폭이 저리 좁아서 나라면 답답할것같아
@user-ib8ms2kv3v
@user-ib8ms2kv3v Жыл бұрын
@@user-rg1bv2lc1v 아래쪽은 볕이 안들어서 사이버펑크 느낌 나는 빈민가 될 듯
@elmelody7442
@elmelody7442 Жыл бұрын
지상낙원이 아니라, 신시티 환락과 쾌락을 쫓는 타락한 정원이 될듯
@rafina2276
@rafina2276 Жыл бұрын
정적을 신속하게 정리하는 기술은 수천년전에도 많았는데..
@user-lr6fi9qg3v
@user-lr6fi9qg3v Жыл бұрын
저러니 지구가 아파하지.. 지금까진 지구가 기침만 했지만 몸살나서 심각해지면 감당할 수 없을걸!!
@boomga_4679
@boomga_4679 Жыл бұрын
새로운 도전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수있음 맨날 똑같우 도전만 해서 전세계에 똑같은 기술들이 넘친다면 발전은 없을수도있음 실패하면 그순간 나라가 없어질수도있지만
@user-hf6dk6oc7z
@user-hf6dk6oc7z Жыл бұрын
이후 공사중 엄청난 신기술이 나오는게 아니라면 최소한의 건축지식만 있어도 겉만 번지르만 건설 설계라는건 뻔하다...
@dykim8118
@dykim8118 Жыл бұрын
모두가 실패할거란 것들이 오늘날엔 당연시 되는 경우가 많죠
@user-vy7kk5qp1u
@user-vy7kk5qp1u Жыл бұрын
캬 맞말
@dyil5445
@dyil5445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인데 저 도시는 공학적으로도 불가능하고, 굳이 저렇게 지어야 되는 이유도 없음 하층부로 갈수록 일조량은 아예없는 수준에 좁고 협곡같은 비효율적인 도시는 전혀 이해할수가 없음 선구자 보고 비웃은 그 비웃음이 아니라 저렇게 거액을 들여서 저런 형태로 굳이 지어야하는 이유가 없어서 이해가 안됨
@KOREAN.21C
@KOREAN.21C Жыл бұрын
화재위험은 방화벽을 일정거리마다 촘촘히 만드는 것으로 해결할 것 같고, 일조량은 거울의 빛반사를 이용해서 지하 깊숙히 까지 보내거나 지하는 사람 살지 못하게 하고 다른 시설을 넣는 방법을 이용하면 어떨까 생각이 들고, 벽면의 풍압은 땅에서 건물로 이어지는 부분을 직각형태가 아니 피자의 1/4크기의 호 모양의로 바람이 지면에서 하늘로 타고 올라가게 만들어서 해결하면 좋을듯한데… 뭐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서 해낼듯 합니다. 해결못할 방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떤일를 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하고자 하는 의지일테니까요.
@cake456
@cake456 Жыл бұрын
형님 사막 한가운데에 내리쬐는 열과 내부 생활공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와 열 방출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KOREAN.21C
@KOREAN.21C Жыл бұрын
@@cake456 영상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깍두기 같이 사방의 벽을 빈틈 없이 세우진 않을거 같아요. 건축기법, 각 종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순환하게 만들어야죠. 우리도 현재 고층빌딩 회사에서 근무하는 모습을 봐도 사방이 다 막혀있지만 통풍시설이 잘 되어있어서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높이가 어느정도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위로 갈수록 바람도 많이 불고 온도도 낮으니까 그런점도 활용할 수 있지요.
@Il-mr8ki
@Il-mr8ki Жыл бұрын
정말 똑똑하십니다!!!!
@KOREAN.21C
@KOREAN.21C Жыл бұрын
@@Il-mr8ki 아니에요~ㅎㅎ 잡지식만 얕게 아는것뿐.
@chanelchanel4317
@chanelchanel4317 6 ай бұрын
네옴시티 잘 되기를 바랍니다
@user-bo2ce3nn2k
@user-bo2ce3nn2k Жыл бұрын
근데 바닷바람 불어오는곳에 정밀기계 다루는곳이 있어도 되는건가?
@sw_Double_O
@sw_Double_O Жыл бұрын
사펑 나이트시티가 진짜 존재하는구나
@Wewe-zh9pt
@Wewe-zh9pt Жыл бұрын
잘 가다가 공사가 멈추고 그대로 증발 될 프로젝트라고 본다
@jxak1584
@jxak1584 Жыл бұрын
진짜 죽기전에 가보고 싶네
@Kyo-Kusanagi
@Kyo-Kusanagi Жыл бұрын
ㅋㅋㅋ아니 자생은 자생인데 근데 공사 도중에 기도 메타 갈거 같던데 빠니 영상보니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j8yl6sn2z
@user-kj8yl6sn2z Жыл бұрын
관광 및 순례 분야의 사우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이 규모가 크고 다양합니다. Al-Ula시의 Journey through Time 프로젝트, Amaala 프로젝트, Red Sea Islands 프로젝트, Souda Company 프로젝트, Sandala 프로젝트, Qiddiya 프로젝트, Diriyah 프로젝트, Souda Company 프로젝트, NEOM 프로젝트, Makkah의 King Abdulaziz Road 프로젝트, Medina Vision 프로젝트 등
@user-bi8bf9fn4w
@user-bi8bf9fn4w Жыл бұрын
과학은자연을 이길수 없다 인간은과학이고 지구는 자연이다 명언
@kimhyunbo09
@kimhyunbo09 Жыл бұрын
미친거지... 안그래도 기후변화,지진 등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저게 가능하냐
@WIZONE2
@WIZONE2 Жыл бұрын
롯데타워가 좌우로 늘어난 형태로, 위로 갈 수록 좁아지도록 하면 기존보다는 그나마 나을 거고 햇빛은 양 면이 유리니까 딱히 고려할 문제는 아니지 않을까요? 조명도 빼곡히 설치할 거 같긴 한데
@cake456
@cake456 Жыл бұрын
유리가 아니라 태양광패널인데... ㅋㅋ
@syung_9038
@syung_9038 Жыл бұрын
저게 실패를하든 성공을 하든 진짜 존경스럽네..
@Muhammad_010
@Muhammad_010 11 ай бұрын
감사해요 🫡🫡
@BIRDYYYYYYY
@BIRDYYYYYYY Жыл бұрын
벽면을 거울로 만들면 조류 엄청 부딪혀 죽을것같은데 반사되는 태양광은 어쩔것이며 걍 심미적인 부분밖에 생각안한 온전히 인간주의적으로 계획된 시대를 역행하는 구조물;
@watame6974
@watame6974 Жыл бұрын
실패할게 뻔하긴해도 재밌는 사업이긴함 시도 자체가 좋음 화성간다는 일론머스크도 머리 잡았을듯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Жыл бұрын
더 라인 빼고는 다 실현 가능하고 이미 완성된 곳도 많음
@watame6974
@watame6974 Жыл бұрын
@@user-fz6hz3uc9x 더라인 빼고는 실현가능하다 이건 뭔 개소리임 ㅋㅋ
@user-ig8qg1xn4b
@user-ig8qg1xn4b Жыл бұрын
@@watame6974 할만한데?
@kikiki1890
@kikiki1890 8 ай бұрын
와 네옴시티 성공하면 역사가 새로 쓰여지네
@MrSinusu
@MrSinusu 11 ай бұрын
흠 영상을 보다 보니 외벽을 수직으로 강타하는 바람도 문제가 되겠지만 저 500미터 높의 긴 복도와 같은 구조에서 종으로 바람이 지나갈 때 베르누이 효과 때문에 바람이 엄청난 속도로 흐르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외벽을 저렇게 통으로 하면 절대 안 되고, 중간에 계속 구멍이 있는 형태가 되어야만 하고, 종으로 바람으로 관통하지 못하고 계속 중간 중간 빠져 나갈 수 있게 해야 하는 문제도 있겠네요. 보면 볼수록 문제가 많은 프로젝트인 듯. 그냥 빈살만이 사우디 왕조의 계승 전통을 깨고 억지로 왕이 된 것을 덮으려고 너무 무리한 짓을 하는 것 같네요. 이런 무리한 짓은 항상 비극으로 끝나게 마련인데 과연 결과가 어찌 될 지가 관전 포인트군요.
@juanescobar7653
@juanescobar7653 Жыл бұрын
엄청난 돈과 독재체제 하에서만 가능한 프로젝트로 전인류를 위한 실험이다
@user-ch8cz7vf2l
@user-ch8cz7vf2l Жыл бұрын
더 라인은 사실 초대형 거인들이 만들어진다....
@RelaxingMusicH
@RelaxingMusicH Жыл бұрын
사막 녹지화 자체도 지구환경 복구에 큰 도움 줄거같음
@Muhammad_010
@Muhammad_010 11 ай бұрын
كانت المملكة مروج و أنهار في وقت بعيد لكن يمكننا نزرع الأشجار و النباتات في كل ارجاء المملكة و هذا يتم تطبيقه الان و مع رؤيه 2030 ان شاءالله
@user-rf7eh3us9g
@user-rf7eh3us9g Жыл бұрын
난 저런게 좋기도 하지만 우리의 역사를 이제 못본다는게 한편으론 너무 아쉬울거같고 난 지금 사는게 좋아
@user-bs2lp3fg2l
@user-bs2lp3fg2l 9 ай бұрын
일조량이 제한적이라면 상층부만 재력이 더큰사람이 살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애초에 저 도시에사는 사람들은 왠만하면 재력가들일텐데 그걸노려서 상층부에 살기위해서 경쟁하고 더 많은 돈을 더쓰게 만들게 해서 수익을 노리려는 노림수도 있지 않을 까 생각이 듭니다
@goeunjeung71
@goeunjeung71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 역사 모음 만들어주세요
@_J_Lee
@_J_Lee Жыл бұрын
다른 도시들은 괜찮을꺼 같은데 더라인은 금방 무너질꺼 같음
@hamzi_chris
@hamzi_chris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완공 다되면 트로제나 갈예정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Жыл бұрын
완공되면 엄청날 거 같네여 ㅋㅋ
@user-kl6rk5ij6s
@user-kl6rk5ij6s 8 ай бұрын
돈으로 안되는거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그래서 저 프로젝트도 과감하게 실행한거고 기대가 됩니다
@gracekim403
@gracekim403 11 ай бұрын
개쩐다 잘 되면 2029년에 무조건 가야겠다
@user-bx3fk4lh6j
@user-bx3fk4lh6j Жыл бұрын
거의 Zootopia 현실판이네 ㅋㅋ 대박!!
@st-Justdoit
@st-Justdoit Жыл бұрын
근데 딴 건 몰라도 관광 산업에 대해서는 진심임. 네옴시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거라고 보지만 어떻게 될지는 궁금하긴 함 ㅋㅋㅋㅋㅋ
@Jana_Al-Dawish
@Jana_Al-Dawish 3 ай бұрын
احس متحمسه اشوف شكله على الواقع
@user-ty1ql9ys4g
@user-ty1ql9ys4g 9 ай бұрын
성공해서 한번 가야지
@user-od2kf9nu1n
@user-od2kf9nu1n Жыл бұрын
네옴시티 영화를 많이 본 것은 맞는데 과연 어떻게 구현될지는 궁금하네요
@hrfygrd441
@hrfygrd441 Жыл бұрын
역시 고대에도 엄청난 건축을짖더니 후손들이라서 그런가..
@jjs2163
@jjs2163 Жыл бұрын
저기서도 세상에 없는 바이러스는 만들어집니다
Is the Saudi Mirror Line Possible?
17:00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Balloon Stepping Challenge: Barry Policeman Vs  Herobrine and His Friends
00:28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La revancha 😱
00:55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Wood Automotive Group WAG TAG Pre-Owned Sales Event
1:08
Calgary Megalot
Рет қаралды 299
Saudi Arabia, Country that is not easy to travel - 【88】
12:19
빠니보틀 Pani Bottle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The Life of Saudi Arabia's Crown Prince Mohammed bin Salman
11:02
세상의모든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네옴시티 축소 소식, 어디까지 진짜일까?|크랩
6:11
한국인이 보면 화나는 사우디 마트 물가! 大 반전
17:02
파비앙 Fabien Yoon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170km long The Line in Cities Skylines
13:06
뻔뻔한 맹고 Mang_go
Рет қаралды 333 М.
Balloon Stepping Challenge: Barry Policeman Vs  Herobrine and His Friends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