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 빈집 "그냥 냅둬유"..철거 안해? 이행강제금 '후덜덜' (뉴스토리) / SBS

  Рет қаралды 980,077

SBS 뉴스

SBS 뉴스

2 ай бұрын

전국에 시골 빈집은 약 9만 채. 전국 농어촌에선 해마다 늘어가는 빈집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정부는 올 7월부터 안전상의 위험이 우려되는 빈집에 대해 최대 천만 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SBS 뉴스토리팀은 농어촌 빈집의 실태와 해결 방안을 집중취재했습니다.
#뉴스토리 #빈집 #이행강제금
#SBS뉴스 #8뉴스 #실시간 으로 만나 보세요
라이브 뉴스 채널 SBS 모바일24
▶SBS 뉴스로 제보해주세요
홈페이지: news.sbs.co.kr
애플리케이션: 'SBS 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카카오톡: 'SBS 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페이스북: 'SBS 뉴스' 검색해 메시지 전송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live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1 500
@user-jf6eh5wn3i
@user-jf6eh5wn3i 2 ай бұрын
반드시 부과해야 한다. 빈집이 아니라 건축폐기물이다
@parkherenow
@parkherenow 2 ай бұрын
이제 똥값이 되가니 더 어려워질지도,,,,팔아봐야 돈도 않되니 방치해버리는것,,,남이 피해으루보건말던,,,자기도 가격이 떨어져서 피해을 봤다고 생각하는 듯,,,
@user-uk3wm3lk1d
@user-uk3wm3lk1d 2 ай бұрын
점유취득시효 때문이라도 절대 철거하면 안됨 ( 사실상 시골에서 땅을 비워둔다? 누가 농작물이라도 심었으면 그 농산물 함부로 못치움, 최소 1년간 수확할때까지 내가 못들어가고 심지어 거기다가 남이 과수라도 심거나 농막같은거 만들거나 마을진입로나 혹은 주차장으로만들면 진짜 법으로 해결해야하는데 특히 도로로 쓰이게 되면 자기땅인데도 주인도 못사용함 동네 주민들이 다 동네주민편을 듬 20년 되자마자 점유취득시효 걸고 땅까지 빼았김 , 일단 점유취득시효 법부터 없애고 무단사용시 철거법 만들어야함
@user-ik1uk2xm1o
@user-ik1uk2xm1o 2 ай бұрын
실상도 모르고 욕하면 안되지 시골 빈집을 거저 먹으려고 하니 안팔지 ㅡ 몇푼 받느니 차라리 그대로 놓아두는게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부에서 관리비를 줘서 관리하도록 해줘라 안판다고 뭐라 하지말고 비싸게 줘봐라 얼른 팔거다
@user-wv8dt7kx5z
@user-wv8dt7kx5z 2 ай бұрын
귀신 나올거 같아 젊은 사람들 이사도 안간다. 폐가는 지방 소멸 이유중 하나다.
@pyj5459
@pyj5459 2 ай бұрын
당신이 뭔대 부과하라 마라야??
@user-rz6bj4ol4g
@user-rz6bj4ol4g 2 ай бұрын
방치된 빈집은 사적인 사항이 아니고 주변 주민들이나 사회에 문제를 일으키는 공적 문제가 되게 됩니다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타인에게 피해는 주지 말아야죠
@user-lx9pw4nv6f
@user-lx9pw4nv6f Ай бұрын
맞아요. 그런 사람들이 자기가 현재 살고있는 동네에 기피시설 같은거라도 생길라치면 거품 물고 달려들죠. 자신이 시골 동네에 싸놓고 있는 똥은 개인의 사유똥이라고 하면서..
@user-rv1ol5fj6j
@user-rv1ol5fj6j 2 ай бұрын
빈집이 아니라 폐가임. 빈집이라고 하면 사람이 살 수있는데 비워놓은 것처럼 오해할 수 있음
@user-hf1ot9yy5t
@user-hf1ot9yy5t 2 ай бұрын
남에땅에 지은집일가능성이많다 내땅내집이면 벌써헐어버렸을것이다 벌금을 엄청물려야된다 쓰레기 집들이많다 시골경관이 말이 아니다
@user-kk9fz2dp7l
@user-kk9fz2dp7l Ай бұрын
​@@user-hf1ot9yy5t너집에도 벌금 물릴까 집이 못생겼으니 철거할까
@user-lo2lq8zc6v
@user-lo2lq8zc6v Ай бұрын
⁠@@user-gl3fe2yt4k지역 자체가 소멸하는데 재개발이요? 살기 바빠서 신경은 못쓰고, 또 밀어버리자니 미련이고 해서 못치우는게 크다고 봅니다
@user-gy4fl7sm2q
@user-gy4fl7sm2q Ай бұрын
@@user-gl3fe2yt4k 뭔 재개발이여 이사람은 진짜 그냥 머리에 아무것도 안들었네. 저런 곳은 개발자체가 생각조차 없는 동네라고 뭘알고 좀 말하라고
@eung-ae12345
@eung-ae12345 Ай бұрын
@@user-gl3fe2yt4k 무식하면 뭔 말이든 못할까 ㅋㅋㅋㅋㅋ 저런 깡촌에 재개발 호재가 언제 뜰 줄알고 ㅋㅋㅋ 그냥 돌아가신 부모집 신경 못쓰고 방치해 두는거지 대부분
@allspice518
@allspice518 2 ай бұрын
시골집 임대받아서 쓸만하게 만들어 놓으면 얼마 안 가서 집주인이 핑계대면서 뺐어 버리는 심보도 조심,,,,,,
@user-oz1zd7cp3y
@user-oz1zd7cp3y 2 ай бұрын
반대로 힘없고자식도없는 노인 집뺏고 사기치는놈도 있어유
@piesunny
@piesunny Ай бұрын
집주인은 0원 빈집 → 7000만원에 팔아 먹을 수는 공짜 리모델링 개꿀 ~ 꺼억 ~ 세금 꿀꺽 & 5년 후 매수자 돈 꿀꺽 냠냠 잘먹었습니다 시골 빈집 지자체 세금을 투입해서 리모델링 해주고 (예 : 홍성군 빈집 1채에 7000만원 리모델링 세금 투입) → 집주인은 임차인한테 5년 임대 후 → 집주인이 100% 임차인 내쫒고 → 세금 7000만원 공짜로 리모델링 해준 집을 비싸게 팔아먹는게 100% 집주인만 개꿀 → 세금만 낭비하는 빈집 리모델링 임대 사업 빨리 정책 없애라 대한민국 대한국인 세금 10원도 안들어가고 환경 정비하는게 좋다 빈집 철거 안하면 2024년 7월부터 이행강제금 1000만원 이상 부과하는거 아주 좋다 이행강제금 5000만원 이상 부과해서 빈집을 더 빨리 없애라
@user-gy7hx4wd7v
@user-gy7hx4wd7v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시골사람들이더못됐어요~ 잘보시고 계약할때10년아니면20년계약을해야 사는동안꼼짝못하게하고 사는동안이라도 편하게살아야됩니다~
@user-pz3iu5yf6p
@user-pz3iu5yf6p Ай бұрын
저 아는분도 빈집이니 월세도 필요없고 들어와서 고쳐서 살아라 기간은 10년이상..살아라해놓고 월세 대신 살면서 사비 들여 대문도 달고 집다운 집으로 고쳐서 살고 있으니 말같지도 않은 핑계를 대며 자기들이 들어와 살아야 하니 집을 비워 달라함 옆에서 지켜보던 나도 이런일이 있을수 있으니 아예 처음부터 제대로 된집에 월세로 사는게 나을거라 말해 주었지만..결국 3년 남짓 살다가 상처 받고 그집에서 떠났음 집주인과 세입자를 다 아는 입장에서 참 마음 아팠었네요ㅠ.ㅠ
@user-ke8kp1dx9f
@user-ke8kp1dx9f Ай бұрын
@@user-lp2tf5fg5x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사람들때문이죠
@user-js7od6le7d
@user-js7od6le7d 2 ай бұрын
엄마가 살던 집이라 놔두는게 아니라 돈이 안되니까 방치하는거겠지. 이행강제금아주 반갑네요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이제 7월부타 난리나겠네요. 어쩌면 일본처럼 1원주택도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user-jv7my2jl6z
@user-jv7my2jl6z Ай бұрын
​@@pop5770😂😂
@mariapark8309
@mariapark8309 Ай бұрын
1원 주택은 커녕 돈을 줘도 안삽니다.
@Corea-Chess
@Corea-Chess Ай бұрын
정부가 시골 텃새와 말도 안되는 걸로 횡포부리는 이장들 잡지 않으면 시골지방에 아무도 안내려옵니다!
@apdlvmf00
@apdlvmf00 Ай бұрын
@@mariapark8309ㅋㅋㅋ ㄹㅇ 골치아픔
@lifesnice4531
@lifesnice4531 2 ай бұрын
일단 발전기금부터 법으로 금지시켜야 할 듯 시골 좋은면만 부각시키지 말고 부정적인 것부터 없애라.
@komdoli
@komdoli 2 ай бұрын
발전기금은 원래 법으로 안내도 상관없는검니다 달라해도 안줘도 되는검니다
@user-ot1os1wq7c
@user-ot1os1wq7c Ай бұрын
발전기금으로 동네 노인회.청년회.부녀회 단체여행 비용으로 쓰는데 않내면 상상도 못한다 큰일나요
@user-ke8kp1dx9f
@user-ke8kp1dx9f Ай бұрын
발전기금? ㅋㅋㅋ 귀농한 사람들한테 돈 억지로 뺏는 돈
@user-ot1os1wq7c
@user-ot1os1wq7c Ай бұрын
발전기금만 돈뜯는 방법인가요 부녀회입회비. 청년회입회비65세까지 노인회입회비 모아둔 기금이 몇천있으니 공평하게 1인 한목내고 들어오시오
@JMKinv
@JMKinv Ай бұрын
안내고 버티고 살수있을거같죠? 계속 알게 모르게 왕따 불이익 줍니다.
@user-sb4er9wc6u
@user-sb4er9wc6u 2 ай бұрын
이행강제금 을 물려야 됩니다 우리동네도8채나 있는데 흉물도 이런 흉물이 없어요. 외부사람이 세을 달라고 해도 안줍니다 줘도 수리다하고 집답게 만들고 나면 갖은 핑계을 대고 내쫓습니다 그리고는 또 비워놓고 그렇지 않으면 엄청난 세을 달라고 합니다 시골사람들. 사고가 도시보다 더 이기적이고 아주 나쁩니다. 철저하게 조사해서 강제이행뿐만 아니라 강제로 부서버려라 동네가 말도 못하게 더럽다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이행강제금을 이용해 해당 마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니 1석2조의 정책이네요.
@user-hm4no2fm6h
@user-hm4no2fm6h Ай бұрын
옳소 거지같은 욕심만 많아서
@cky5280
@cky5280 2 ай бұрын
연로하신 분들은 많은데,젊은이들은 내려오지않고 빈집은 늘어나고,정비해서 환경을 바꾸어야합니다!
@user-hf1ot9yy5t
@user-hf1ot9yy5t 2 ай бұрын
대다수 남에땅에 다지은집들이 많다 다쓰러져가는집 헐지않는다 남에땅에지은집이라서 몆십년 세조금씩주다 집값받고나가려고한다 그래서 빈집들이많다 자기땅자기집이면벌써 헐어버렸을것이다 벌금을 물려야된다
@user-vp4hb4lp2q
@user-vp4hb4lp2q 2 ай бұрын
우리동네도 빈집투성이….길도좁고 !!!! 욕나오네 ㅜㅜ
@mintlemon9377
@mintlemon9377 Ай бұрын
정비가 더 비쌈 철거해야함
@user-hf1ot9yy5t
@user-hf1ot9yy5t Ай бұрын
@@mintlemon9377 쓰레기집들 다헐어없애서시골종 살기좋은마을 로하자 제발 쫌
@user-no6kk3vv9m
@user-no6kk3vv9m Ай бұрын
젊은이들이 시골가서 놀면 나라가 망함;;
@user-yg9zg9lc2u
@user-yg9zg9lc2u 2 ай бұрын
한번 천만원 벌금내고 끝나는게 아니라 다음년도에도 매년마다 천만원씩 이행강제금이 나오기때문에 엄청난 부담이 될수밖에 없음
@alisonkang1980
@alisonkang1980 7 күн бұрын
그래야 말 듣죠
@user-yr4fx4jx4t
@user-yr4fx4jx4t 2 ай бұрын
빈집도 빈집이지만 묘도 문제다 주인도 모르는 묘지도 이제는 정리해야 할때다
@man-jq5hx
@man-jq5hx 2 ай бұрын
도대체 시골에다가 시체를 묻는 이유가 뭔지 저도 잘 모르겠어요. 자기 명의면 다인지 참 의문입니다.
@ninono2993
@ninono2993 2 ай бұрын
​@@man-jq5hx자기 명의 땅이면 다지 ㅋㅋ 이건 또 뭔 신박한 소리임
@grandprix002
@grandprix002 2 ай бұрын
자기 땅이면 다행이지 자기땅도아닌 남의땅에 묻고 나중에 발견해서 다른데로 이장하라니까 이장료 내라능 사람들도있음
@Staatssi
@Staatssi 2 ай бұрын
@@man-jq5hx 자기 땅이면 다 맞아
@ApexGolem
@ApexGolem 2 ай бұрын
@@grandprix002 자기땅에 안묻으면 어디다 묻음??ㅋㅋㅋㅋ 이분 위험한 사람이네... 자기땅에 묻은 가족묘도 다 파내라고 할사람이네 ㅋㅋㅋ개무섭네
@ttkk9040
@ttkk9040 2 ай бұрын
이래야 제대로 된 거래란게됨... 폐가뿐만이아님 . 전국에 빈호텔 망한 오피스텔건물등등등 천지임
@user-hq9tw8ru2u
@user-hq9tw8ru2u 2 ай бұрын
좋은소식이네 보기도 흉하고 마을을 망친다. 하루빨리 부과해야된다
@user-jo7gt3kw8o
@user-jo7gt3kw8o 2 ай бұрын
미국은 자기집 잔디 안깎아도 벌금 물더라 강제 이행해서 처분하던지 싹 밀어서 깨끗하게 토지유지 하게해야함
@djdjdkdwed
@djdjdkdwed 2 ай бұрын
우리나란 쓰레기 버려도 가만두는데 뭔 잔디타령 ㅋㅋㅋ절대 못따라간다
@uhhytfffffddssthgffrrdh
@uhhytfffffddssthgffrrdh 2 ай бұрын
도시사람 별장으로 쓸수있게 관련법 안바꾸면 지방에 일자리없는 한국산업 구조상 절대해결 불가 ㅎㅎ 무조건 도시사람이 살수있어야지 그외에는 방법1도 없음ㅎㅎ
@luciferred2099
@luciferred2099 2 ай бұрын
니가 가서 살어 ㅋㅋ
@user-we6ct6ii9n
@user-we6ct6ii9n 2 ай бұрын
한국인들특징이 각나라마다 상황이다른데 꼭 지들이 보고싶은거만 편집해와서 주장함 한국만큼 분리수거병걸린 나라가없는데 왜 그건 미국처럼 대충안버림? 미국은 130-140억까지 자식한테 무상증여가되는데 한국은왜5천만원따리임? 국민들수준이 이러니까 미국은 상속세50퍼다뭐다하면서 세금만 종나게 뜯어내고 국민이 비국민보다 살기어려워지는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ngling1130
@mingling1130 2 ай бұрын
​@@user-we6ct6ii9n 증여세 알 게 뭐야, 맞는 말 하는데 꼭 이렇게 헛소리 하면서 딴지 거는 애들이 있더라. 상속 포기하라고해
@polarbear3886
@polarbear3886 2 ай бұрын
빈집 방치하는 건 또 다른 형태의 저장강박인 듯 집 안에 물건 쌓아두는 건 본인만 괴롭지 집은 인근 주민을 괴롭힘
@user-dp8ob6mo4j
@user-dp8ob6mo4j 2 ай бұрын
사겠다고 팔라하면 집값 오르나하고 오를까봐 안판다는 어르신들도 계시더라구요
@polarbear3886
@polarbear3886 2 ай бұрын
@@user-dp8ob6mo4j 그러게요 ㅜㅜ
@user-eu9is1rp9y
@user-eu9is1rp9y Ай бұрын
정확한 지적이시네요.
@user-un1tm8qw3v
@user-un1tm8qw3v Ай бұрын
저장강박 측면도 있지만.. 부동산의 경우 과거에 가격 오름세로 누구는 팔았더니 손해봤다. 반대로 누구는 샀더니 이익 봤다..는 사례가 부지기수라서 긴가민가한 애매한 상황에서 섣불리 애매한 가격에 팔고 싶지 않은 것..
@polarbear3886
@polarbear3886 Ай бұрын
@@user-qi7vd7ru5u 탐욕과 무기력... 저장강박의 한 형태 맞아요
@user-vj6yn7hw8w
@user-vj6yn7hw8w 2 ай бұрын
저런 빈집이 많으면 거의 폐가 수준이며 지나가기도 무서우니 빈집세를 매겨야만 된다
@user-dt1il1vb5c
@user-dt1il1vb5c 2 ай бұрын
잘된 법입니다 그냥 두는건 흉물이고 오염이고 도시사람들 시골에 가면 환영 해주시고 그랬으면 좋겠네요. 법칙금 잘됐습니다.응원합니다
@user-rh8vu1fp4l
@user-rh8vu1fp4l 2 ай бұрын
반드시 필요한정책이네ᆢ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2 ай бұрын
부모님이 사셨던 곳이라 팔수 없다고 생각하면 관리좀 하고 가끔 내려가서 지내기도 해야지 흉가로 두면 돌아가신 부모님 가슴에 대못을 박는거여..부모님 핑계는 왜 대나...부모님 영혼이 들렀다가 눈물만 흘리고 자식들 원망하실듯...
@user-sd6je2np8s
@user-sd6je2np8s 2 ай бұрын
나중에 비싸게 팔아먹어야지 이거임
@user-lo5md4od7f
@user-lo5md4od7f 2 ай бұрын
도시에도 많다. 진짜 으스스하다. 빨리 폐기시켜야 함.
@Red-ym8ky
@Red-ym8ky Ай бұрын
건설사 사장님과 그 사장님들에게 뇌물 받는 공무원, 지자체 국회의원들이 싫어하십니다.
@gyeongsulee5001
@gyeongsulee5001 2 ай бұрын
사람이 살지 않는 시골 주택은 자연으로 복원 시켜야한다.
@user-cq1qs4st3z
@user-cq1qs4st3z Ай бұрын
자연복원?ㅋㅋㅋ 자연이 좋은줄아시나?
@HelpGod3
@HelpGod3 2 ай бұрын
팔지도 않음, 관리도 안함, 욕심은 넘쳐남-나중에 고가판매, 늙어서 가겠다함. 동네는 흉물스러워짐. 벌금이 답🎉🎉🎉🎉🎉
@user-ip6cb3pq8o
@user-ip6cb3pq8o 2 ай бұрын
진짝부터 했어야지 . 관리 못하면 싸게 팔던지. 법을 더욱더 강하게 해라 . 영국에게 배워라. 지자체 는 일들해라. 지겨보긴 무엇을 지켜봐 ~ 똑바로 일을하라.
@user-xe1ip6or7z
@user-xe1ip6or7z 2 ай бұрын
냅둬.. 1년에 1조씩 세금충당하고 좋네. 지금이야 집주인들이 어쩌나보고 있는데 이웃의 일본보면 답 나오지. 괜히 1000원집같은 것들이 나오는게 아냐. 일본에서는 이미 시행중이거든 한국이 뒤늦게 따라하는건데 이거 매년1000만원 부담하는거 엄청 압박임.
@user-wq6lv2jg1r
@user-wq6lv2jg1r Ай бұрын
수리를하려해도못하게함종종이래나아냅둬유수리못헤하게해서무너져내리면한푼도안두고내쫏으려고면에서무료로해주려고해돈면까지찻아가서못하게하면서집무너져내릴깨만기다림보일러도못놓게함얼어죽어라이거야
@eung-ae12345
@eung-ae12345 Ай бұрын
@@user-wq6lv2jg1r 띄어쓰기 좀 해라
@user-ok3vs4xw7f
@user-ok3vs4xw7f Ай бұрын
이탈라아도1유로 주택 넘쳐남 우리나라도100원주택 쏟아질듯...!!
@user-pj2ml3qw2g
@user-pj2ml3qw2g 2 ай бұрын
시골에 빈 집은 너무나도 많지만 정작 빌려주지는 않아요 동네에 사람사는 집보다 비어있는 집들이 훨씬 많아요 빈집을 활용해서 마을들이 좀더 사람이 살고있는 생기있는 동네가 되었음~
@user-pm2vt8lj3u
@user-pm2vt8lj3u 2 ай бұрын
시골 가실때 동네 분위기를 어는 정도 파악 하시고 가셔야 합니다, 텃세가 심한 지역이 있어요
@user-tv8fe3xi1y
@user-tv8fe3xi1y 2 ай бұрын
유튜브들이 만든 소설이 95% 겠지 실제로 소설가가 상황극 만들어 유튜브 장사 하는 분들도 많고 (본인이 직접 말함 소설이라고)
@user-de7uc9en5r
@user-de7uc9en5r 2 ай бұрын
어촌이 심하지
@user-yn7dd3uy2y
@user-yn7dd3uy2y 2 ай бұрын
외지인들이 땅사고 집짓고 사는데.. 멀또 텃새여 ㅋㅋㅋㅋㅋ 적응 못해서 나가는걸 텃새 타령ㅋㅋㅋㅋㅋ
@HelpGod3
@HelpGod3 2 ай бұрын
저는 그런거 못느끼고 살아요, 좋은분들이 더 많아요. 나쁜것만 하도 나와서 그런듯.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2 ай бұрын
일부 못된 이장이 온갖 부정을 하고 사는데, 누군가 도시사람이 들어와 못하게 헐까봐 사전 방해공작.
@user-wm6rb4id3s
@user-wm6rb4id3s 2 ай бұрын
일본도 집주인이 없거나 돈이 없으면 지자체가 사들여서 철거하거나 리모델링해서 되팝니다.
@mijerya7688
@mijerya7688 2 ай бұрын
저런 시골집도 몇천에서 몇억 합니다 ㅋ
@user-sr5tj2ny8n
@user-sr5tj2ny8n Ай бұрын
@@mijerya7688 어디서..그런 말도안되는소리가나오는거임??;;;
@goat.in.hunger
@goat.in.hunger Ай бұрын
​@@mijerya7688그 시골은 강남구 압구정동 소재 시골인가요?
@FOFORI
@FOFORI Ай бұрын
@@mijerya7688 몇천은 그래도 땅값이 있으니까 할수 있다 치지만 무슨 몇억이나. 그런 시골집 어디있음?
@ckenchi142
@ckenchi142 Ай бұрын
@@mijerya7688 ㅈ도 모르면서 아는체하는 잼민이 검거
@user-jq6rq2kk3x
@user-jq6rq2kk3x Ай бұрын
잘됐네요. 흉물스런 건축물들 좀 없애주세요. 집 말고도 많잖아요!!!
@HK-pz9sf
@HK-pz9sf Ай бұрын
시골 이장들에게 마을 발전에 관한 과도한 권한을 주어서, 돈이나 뜯어챙기고 비리나 저지르게 하지말고, 읍면 단위에서 저렇게 빈집 관리하며 외지인 유입정책 펼지면 좋겠습니다.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2 ай бұрын
자기 고향을 흉물로 만드는건 분명히 아니다. 자신들도 고향에 오면 무서울 것이다.
@user-qz1cv1ci3y
@user-qz1cv1ci3y 20 күн бұрын
생각이 많겠지... 부모님이 여기저기 뭍어 있으니 ...
@user-cb5lv2hf2w
@user-cb5lv2hf2w 2 ай бұрын
도시에도 빈집이 계속 늘어나고 넘쳐나는데 굳이 시골빈집까지 다 허물어야한다
@user-zq2cj7rg3q
@user-zq2cj7rg3q 2 ай бұрын
시골빈집 타령하기엔 수많은 아파트들도 미분양나고 사람안사는 마당에 그것부터 빡세고 과다하게 세금처리해야 시골빈집을 지지고 볶던 어쩌던 공신력이 생길듯
@user-dh9bz4ck8q
@user-dh9bz4ck8q Ай бұрын
이번 정책은 매우 환영입니다. 저희동네도 여러채 있어요.
@user-vw9mn4wx1n
@user-vw9mn4wx1n 2 ай бұрын
참 시골 빈집만아니라, 도시빈집도 해결해주시죠? 도시빈집은 한 1억때림 되나..
@user-st8yn7eg9y
@user-st8yn7eg9y 2 ай бұрын
빈집 철거하면 나대지가 되어 토지 재산세가 급격히 올라가고,철거후 2년 경과하면 비사업용 토지로되어 양도시 세금이 중과되니 방치하지요
@MKimID
@MKimID 2 ай бұрын
공감이 되는 내용입니다, 빈집 철거 강제 전에, 나대지에 대한 형성평을 먼저 해결해야할 것 같습니다.
@jbmedia727
@jbmedia727 2 ай бұрын
전기 수도 인프라 국가세금
@user-ki9im2vt6w
@user-ki9im2vt6w 2 ай бұрын
욕심때문에 팔기는 싫고, 동네 분위기 엉망 되는건 신경 안쓰고, 남한테 피해주면서 얼마나 잘 살거라고 그러십니까. 괜히 점보러가지 마시고 좋은일을 하십시오. 세금 낼건 내야지!
@soohancho5719
@soohancho5719 2 ай бұрын
​@@user-ki9im2vt6w손해보기 싫어하는 사람들 탓하지 말고 바뀐 상황에 맞는 제도 정비를 정부에 요구하는게 먼저지요
@junyjun
@junyjun 2 ай бұрын
법 취지를 잘못 이해 하시고 계시는 듯 하네요? 뉴스 영상을 다시한번 보세요. 집을 저렇게 방치하면 폐가가 되서 주변에 피해가 되죠?우리 옆집이 폐가가 되서 방치되고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방치하지 말고, 임대를 주던지 관리를 하던지, 도저히 여력이 안되면 팔라고 하는것입니다. 난 다 싫고 내가 가지고 있고싶다 하면, 그때는 철거를 해서라도 가지고 있는거죠.
@user-ev7un6qi2y
@user-ev7un6qi2y 2 ай бұрын
참잘한 법인것 같습니다ㅡ박수를 보내ㅂ니다
@user-dl3vi5fu9y
@user-dl3vi5fu9y 2 ай бұрын
시골 빈집 문제 많아요 흉물이고 무서워요
@user-fo6tg8bo9e
@user-fo6tg8bo9e 2 ай бұрын
배째라 집주인이 버티면 1000만원 강제 이행도 싸니 3000만원 강제 이행을 계속하면서 해마다1000만원씩 증가하는 법률 입법 하면 됩니다
@FOFORI
@FOFORI Ай бұрын
이행강제금이란게 보통 그걸 이행하지 않으면 가산세 붙지 않나요? 아마 가산세 붙을걸요
@pop5770
@pop5770 Ай бұрын
솔직히 매년 1000만원만 물어도 알아서 철거를 하던 임대를 주던 할껍니다. 아무런 페널티가 없으니 버티는 거지요.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2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되가네...이제 시골집 관리안하고 방치하면 1원에 판다고 내놔도 이행강제금 때문에 살사람도 안나오는 때가 올듯..
@user-wm6rb4id3s
@user-wm6rb4id3s 2 ай бұрын
집주인이 돈이 없는 것이라면 정부나 지자체로 귀속되서 철거하든지 리모델링합니다 걱정마세요 물론 집주인이 돈이 있음에도 이행 안하면 강제금때리죠. 일본도 집주인이 없거나 돈이 없으면 지자체가 사들여서 철거하거나 리모델링해서 되팝니다.
@user-fw9ky9oj4d
@user-fw9ky9oj4d Ай бұрын
건축폐기물이네요.시골에서 사는데 그런집이 정말 많아요.지나갈때면 무서워요.관리안하면 벌금이라고 내라고해야해요.
@user-wm3tb4re7u
@user-wm3tb4re7u 2 ай бұрын
강제철거 자체는 환영함 문제는 철거비용이 지나치게 비쌈 시골 빈집 인구유출 타령만 하지말고 일자리와 엄청나게 비싼 건축비와 땅값이 비쌈 또 특유의 폐쇄적 문화에 텃세도 있고 시골 차별도 심함 아파트는 인구 많다고 근처에 가로등 부터 도로도 새로 내주고 혜택이 있지만 기존 마을은 기껏 해봐야 경로당 개축 해주는게 전부임
@user-gb7dr5bn1q
@user-gb7dr5bn1q 2 ай бұрын
시골에 사람이 자꾸만 줄어드는 이유는 시골은 청년들이 모여서 놀 공간이 없다 노인중 노인은 경로당에 가겠지만 어지간한 노인은 가봐야 막내처지기에 안가게된다 그렇게 그들은 집에서 머물게 되는 시간들이 무료하고 볼거리도 줄어들고 대화도 줄어들고.. 부부 생활을 이어가는 가정이라면 두사람이 대화라도 하겠지만 혼자인 가정에서는 과연 누구랑 대화를 해야하는가 갈곳이라고는 면소제지에 몇곳 있겠지만 그곳들 역시 문닫는 시간은 초저녁이면 문을 닫는수준이다 시골은 저녁이면 갈곳 놀곳 어울릴 사람들이 없다보니 불이라도 밝은 시내로 나가게 되는 것이고 소통이 안되는 시골을 생각지 않게 되는것이다 나는 고향에 가도 만날사람 대화 할 사람 갈곳도 없더라 고향집에서 부모님과 대화하는 시간 외에 텔레비젼 보는것뿐~ 소통이라는것을 할 수 있도록 그런 공간을 유지시켜주는 일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해야만이 사람들이 시골을 다시찾을것이다 낯선 시골에 아무도 모르고 시골엔 밤도 더 빨리 찾아오는데 .. 1.2년 버티다 다시금 도심으로 나오게 되는 현실이 반복되지 않도록 만남의 공간과 프로그램을 정부차원에서 지원해주고 연구하는것이 필요하다
@janhyang3249
@janhyang3249 2 ай бұрын
사람이없는데 모일곳만있으면 뭐함ㅋㅋ
@berufchoi5168
@berufchoi5168 2 ай бұрын
@user-ke8kp1dx9f
@user-ke8kp1dx9f Ай бұрын
텃세가 있어서 사람 줄어드는거에요. 귀농한 사람을 내쫓은건 다 누굽니까. 하여간 돈에 미친 시골사람들 또 돈달라고 여기서 구걸하네
@ckd1022
@ckd1022 2 ай бұрын
과태료 1천만원 뱉어라고 한다고 처분하겠냐. 5천만원 정도는 과태료 처분해야 처분을 하든 철거를 하든 할거다.
@user-yt1lu8ni9n
@user-yt1lu8ni9n 2 ай бұрын
일년에 한번 매년부과하면 됨
@gyeongsulee5001
@gyeongsulee5001 2 ай бұрын
천만원이 작은돈은 아니죠.
@ckd1022
@ckd1022 2 ай бұрын
@@user-yt1lu8ni9n 헐~ 매년? ㄷㄷㄷ:::
@jeom_dol_choi
@jeom_dol_choi 2 ай бұрын
공시가의 반을 때리는게 공평함
@user-yt1lu8ni9n
@user-yt1lu8ni9n 2 ай бұрын
@@ckd1022 그래야. 자기들이 살던가. 팔던가 치우던가. 하지. 그러지않으면. 그대로 방치할거고 그방치로인해 동내가 흉측하게 되고 사람들이 떠나가게되고 마을이소멸됩니다. 극약처방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user-zg1nf6gm2d
@user-zg1nf6gm2d 2 ай бұрын
빈집이 문제 아니에요.. 텃세가 제일 문젭니다..
@user-ft2nu8th7l
@user-ft2nu8th7l 2 ай бұрын
관리 되든 안되든 묘는 다 없애는 세상 오길....
@user-qf9tp5dc4s
@user-qf9tp5dc4s 2 ай бұрын
국회법 빨리 통과시키길요
@youngimkim5881
@youngimkim5881 Ай бұрын
2026년부터 시행된대요
@viewee22
@viewee22 Ай бұрын
​@@youngimkim5881 ? 올해 7월 부터인데요? 영상에 나옴
@kdh8609
@kdh8609 2 ай бұрын
다필요없고 빈집방치 1년이상되면 국토로 귀속 이한방이면 다해결됨
@user-tb4zt5yb2w
@user-tb4zt5yb2w Ай бұрын
그건 넘 북한같잖아 개인소유인데
@tymin2680
@tymin2680 2 ай бұрын
아니 처리하고 싶어도 처리가 안 되는 집도 있습니다. 나라에 그냥 반품하고 싶은 집... 세금 뜯을 생각만 하고 정말;;
@user-zq3qp7zq1x
@user-zq3qp7zq1x 2 ай бұрын
스위스 자기집앞에 잔디를 깎지않아도 엄청난 벌금을 낸다고 한다 아무리 자기 재산이니까 자기 맘대로 한다고 해도 이건 아니지
@user-sc9hu1ud2s
@user-sc9hu1ud2s 2 ай бұрын
한국살면서 뭘 스위스 이야길 하고잇어 .. 젤 멍청한 논리. 뭐하면 미국은 뭐 이런데 우리나라는 이렇다. 뭐하면 어느국가는 뭐 이런데 우리나라는 이렇다. 그럼 이민가서 거기가서 살든지. 로마가면 로마법을 따라야지.
@sylee481
@sylee481 2 ай бұрын
빈집 ????............폐가....철거해야 되는데, 흉물로 방치하는 것..........벌금, 과태료 부과해야 된다.
@user-in9uh1gy6j
@user-in9uh1gy6j 2 ай бұрын
멍청한거야 모자란거야
@milky23.
@milky23. 2 ай бұрын
상가는 물건을 내놓았는데 안들어 온거고 빈집은 그대로 냅둬 주위를 불편하게 한건데...​@@meta9814
@user-yu2ss4mp9t
@user-yu2ss4mp9t 2 ай бұрын
@@meta9814 안전상 이유도 있지만...빈집가면...쓰레기가 그렇게 많음...냄새도 역하고 보기에도 안좋고...치울려고 해도...사유지라 지자체에서 못치움...관리 못할거면 이런식으로 이행강제금으로 팔게 유도하는게 맞음...폐가랑 상가공실을 비교하는건..진짜 지능에 문제 잇는거같음...
@user-yu2ss4mp9t
@user-yu2ss4mp9t 2 ай бұрын
@@meta9814 빈집을 찾아 다니는게 아니라..옆집이 빈집이라고..근데 그 빈집이 쓰레기 ㅈㄴ 쌓여잇어...냄새도 나고 지자체에 민원 넣어도..사유지란 이유로 해결이 안대..그래서 나온게 이행강제금이자나..그리고 뉴스를 잘봐야지..빈집이라고 그냥 이행강제금 무는게 아니고..안전우려가 있거나 주변경관을 훼손한경우자나..쓰레기집 말하는거...관리못할거면..어떻게든 강제적으로 판매를 유도하거나..철거시키는게 맞지...그리고 먼 일본 케이스를 갖다 붙이냐..일본하고 민족성..문화가 다른데 왜케 갖다 붙여대냐..멍청하게...아이큐가 2자리세요??
@stormy1703
@stormy1703 Ай бұрын
그럼 당신이 매입해서 살던지..
@mstkeum7036
@mstkeum7036 2 ай бұрын
적당히 고쳐놓으면 집주인은 둘째치고 주변이웃들이 부채질해서 세 더 올리라고 그럴듯. 시골사람들 의식이 장난아닙니다.
@user-jm9rp5vo2o
@user-jm9rp5vo2o 2 ай бұрын
세입자 연락두절되면 명도소송해야하고 골치아프다 그러느니 걍 빈집으로 두는거지 그리고 세입자가 각종쓰레기까지 투척해두면 답이없다
@seokkwanyun8902
@seokkwanyun8902 Ай бұрын
누가 들어가서 살면 인당 4천억 지급한다면요?
@jin-op1dd
@jin-op1dd 2 ай бұрын
빈집주인들과 지자체에서 연계해서 시골살이체험등으로 시골빈집활용 많이 했으면 좋겠어요
@user-gy4fl7sm2q
@user-gy4fl7sm2q 2 ай бұрын
되도 않는 소리 하지마소 시골살이 체험? 그게 얼마나 갈거 같소 ㅋ
@user-pu8qq2hy6c
@user-pu8qq2hy6c 2 ай бұрын
얼마 못가더라도 해봐야지
@chacoalcarrier48
@chacoalcarrier48 Ай бұрын
@@user-pu8qq2hy6c 시골체험은 많이 해보고 실패도 해본 소재야 주변에 관광지가 없는데 깡촌 누가 가겠냐 그렇다고 편의점같은 편의시설이라도 가까이 있는 것도 아니고
@user-kj6jn9ze7t
@user-kj6jn9ze7t 2 ай бұрын
저런곳보면 아프리카 오지보다도 더하넹~~시골 다니다보면 저런집들이 시골경치를 갉아먹는 주원인입니다. 한숨만 나오죠.! 강제시행이 꼭꼭꼭 필요합니다!
@user-lz2ym2yp3h
@user-lz2ym2yp3h 16 күн бұрын
빈집과 폐가는 확실히 구분되어야합니다. 빈집은 사람이 살 수 있어야 합니다. 시골에 돌아다니다 보면 사람이 살 수 없는 폐가 진짜 많습니다.
@user-sz2ys6ly4c
@user-sz2ys6ly4c 2 ай бұрын
울 동네도 총가구수가 30가구수인데,빈10년 넘은 집이 네집이 있다
@user-ks3ft7sk2z
@user-ks3ft7sk2z 2 ай бұрын
저도 빈집이라서 가족상의하에 팔자했는대 한명이 반대해서 그냥 제가 아파트팔고 리모델링해서 들어가서 사는대 추운거 빼고는 너무 좋내요
@user-gy9xy5mc8h
@user-gy9xy5mc8h 2 ай бұрын
그 반대하는 한명은 근거가 뭐였는지 궁금합니다
@user-zj4nd8sq4z
@user-zj4nd8sq4z 2 ай бұрын
지가 들어가 살던가 살지도 않으면서 반대만하는 ~쯧쯧~
@choijoy2668
@choijoy2668 2 ай бұрын
@@user-gy9xy5mc8h 관심 받고싶었던게 아닐가요
@user-ks3ft7sk2z
@user-ks3ft7sk2z 2 ай бұрын
@@user-gy9xy5mc8h ㅎㅎ 가족의 문제는 다른집 이야기인줄 알았는대 똑같이 분배하면 딱좋은대 그중에 욕심쟁이가 있으면 분쟁이 생기죠
@user-pu8qq2hy6c
@user-pu8qq2hy6c 2 ай бұрын
​@@user-ks3ft7sk2z그중 장남이 문제
@ssp973
@ssp973 2 ай бұрын
배째라 는 식으로 나오는 집들은 강제 철거 해버리자~
@user-sw7ve9ou5t
@user-sw7ve9ou5t 2 ай бұрын
3개월간 수도,전기,가스 사용이 전혀 없으면 빈집으로 간주하고 소유자에게 이행 강제금 500만원을 부과하고, 이의 제기하면 절충안으로 소유자와 지자체가 철거 비용을 나누어 부담하는 방법으로 철거 진행했으면 함.
@user-qq6tj3xx7l
@user-qq6tj3xx7l 2 ай бұрын
혼자 사시는 노인분 많은데앞으로 얼마나 더 흉물스럽겠나 일년동안 관리 안할꺼면 철거를 하든 팔든해야지 ... 세금을 내던지 전국이 다 흉물 스럽다!!!
@foolishman2586
@foolishman2586 2 ай бұрын
빈집관리금 이라면 이해 하겠는데 왜? 앞에 시골이라는 수식어를 붙여놨음? 도시 빈집은 해당사항 없남? 젠트리피케이션이 시작되어 월세가 너무 과도해 기업체들도 나가버려 걍 공실로 내버려두는 도심 빈집도 많던데
@chacoalcarrier48
@chacoalcarrier48 Ай бұрын
도시는 시골이랑 단위가 달라서 함부로 손 대기 어려울 거 같은데
@syk6950
@syk6950 Ай бұрын
도심은 보통 공동주택이니까요
@whuibb
@whuibb Ай бұрын
도시 빈집 찾아보시면 이해 되실듯 ㅎㅎ
@Red-ym8ky
@Red-ym8ky Ай бұрын
건설사 사장님들과 국회의원님들이 싫어하십니다
@101hwyca
@101hwyca 2 ай бұрын
한국은 사고방식이 정말 희안해 자기 물건이니 자기 멋대로 한다 좋은데 자기 물건 관리 제대로 하면서 그런말 해라, 시골에 방치 된 폐가 볼때마다 흉물스럽고 앞으로가 걱정이다. 일본 따라하자는게 아니라 좋은 점은 배우고 우리도 개선하자. 관리가 안되는 시골집은 1년에 천만원씩 과태료 부과하고 인구 소멸이 빠른 지자체는 서로 합쳐라. 지자체가 먼저 정신 차려야 되는데 쯧쯧
@Red-ym8ky
@Red-ym8ky Ай бұрын
정부: 너 방에서 니가 뭘 하던 자유인데... 너 방이 이게 뭐냐?! 여기 침대 밑에 먼지 쌓인 거 안 보이냐? 청소 깨끗이 안 하면 세금 물리겠다. 아 맞다. 청소해도 세금 물릴 거야 너 방 갖고 있잖아.
@user-vk8wd7lc9y
@user-vk8wd7lc9y 2 ай бұрын
있으나마나한 법이네 항상 예외사항이라는것 때문에 실효성은 없다 조건에 해당되면 무조건이라는 딱 하나의 조항만 있어야 가능하다
@MKimID
@MKimID 2 ай бұрын
저런 빈집들이 차지 하고 있는 것은 그냥 토지만의 문제가 아니라, 도로/상하수도/전기등 인프라를 점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것는 사유재산이라는 것으로만 주장할수 없다 봅니다. 지자체에서는 더이상 이에 투자를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시골 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이죠. 분명 강력하게 강제금을 처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지와 나대지의 세금 평평성을 맞추는 것도 먼저 해야할 일로 생각됩니다.
@MKimID
@MKimID 2 ай бұрын
@@namuwind101 대부분이 지자제에서 직/간접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네에서 십시일반 만들었어도, 그 인프라가 낭비되는 것은 동일합니다. 그 상하수도의 유지비를 100%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것고 분명 있지만, 지자체에서 직/간접적으로 지원을 해야하기 때문이죠. 공공 상하수의 직접적인 관리와는 다소 다르지만, 크게 보면 결국 세금이 낭비되는 것은 비슷합니다.
@ramremram
@ramremram 2 ай бұрын
​@@namuwind101상하수도 뿐만 아니라 도로도 마찬가지죠 원 댓글러는 잘 알지도 못함서 시골 땅 싸게 후리쳐 사고 싶은 생각인가 여론 호도 열심히 하네요😂
@user-lr1ni4mj6p
@user-lr1ni4mj6p 2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일 하시는군요 !
@user-mv7nk4ei1l
@user-mv7nk4ei1l 2 ай бұрын
허름한 시골집은 1가구2주택에서 빼주는 정책이나 생겼음 좋겠음. 그래서 별장처럼 쓰게하면 관리도 되고 불법 농막도 줄고, 그리고 주인들도 시골집이 팔려야 팔죠~ 헐값에 넘기느니 방치하는게 큰데…
@user-se3jm6yl1i
@user-se3jm6yl1i 2 ай бұрын
저런 폐가같은 집에 들어가 살아도 마을 주민들은 텃새부리고 이장을 비롯한 완장찬 사람들이 발전기금 등으로 돈을 뜯어내고 끊임없이 왕따시켜 살 수가 없다.
@user-bl4uw1vo2v
@user-bl4uw1vo2v 2 ай бұрын
저런곳에 누가 가서 살어 .. 저런데두 돈이 많아야 들어가서 살지 ㅠㅠ
@user-qj2hw8wl2j
@user-qj2hw8wl2j 2 ай бұрын
돈이많아도 불편합니다 저런 외진곳은 ...
@user-yt2ku9te9e
@user-yt2ku9te9e 2 ай бұрын
돈 많으면 문화 의료 교육 중심지인 서울에서 살죠 ..
@user-do4mz6dw8p
@user-do4mz6dw8p 2 ай бұрын
1년이상 방치 하는 빈집 보유세를 강하게 부과해라 매도하든 철거하든 소유권자가 빨리 결정 처리 하도록 하여 실거주하는 주민들이 깨끗하게 살도록 하자😂😂😂
@harimau298
@harimau298 2 ай бұрын
전문 철거업체랑 지자체 정치 나부랭이들, 지자체 공무원들의 짝짝쿵 카르텔이네요. 철저한 감사가 우선 필요하겠습니다. 공청회 한번도 없이 이렇게 일방적으로 시골부터 편파적으로 진행해도 되는 것입니까 ? 서민들이 조오젓으로 보이나 봅니다. 그따위로 정치 질을 하니 총선에서 개박살난 것입니다. 국힘당은 정신 차리세요. 이법을 발의한 국힘당 국개의원은 아마 낙선 되았지요 ? 충청도 어디 지역구라고 하는 것 같은데...이번 총선에서 충청도에서 국힘달 개박살 났지요? 실제로 시행되면 서민들 폭동 일어납니다. 폭동.
@user-qg2bn9un2h
@user-qg2bn9un2h 2 ай бұрын
빈집관심은 많은데 임대는고쳐놓고 후일이걱정이고 생각보다 매매는적음
@nicon2586
@nicon2586 2 ай бұрын
빈집 뺏으려는 수작은 아니겠죠??
@blue1570k
@blue1570k 2 ай бұрын
쓸만한 빈집 빼고 패가는 모두 철거해야 합니다 공무원 숫자도 줄이고 예산도 줄여야지 언제까지 이런 비효율에 세금을 씁니까 공간이 비고 주인이 바뀌어야 새로운 산업 농업이 사는거임 그리고 농지거래 규제 없애야함
@harimau298
@harimau298 2 ай бұрын
철거할 돈이 없다. 셀프철거 할려고 하니 안된다고 한다. 전문 철거업체에 의뢰해야 한다고 한다. 결국 철거업체와 지자체 장치꾼들, 공무원들이 짝짝쿵 카르텔 아니겠나 ? 힘없는 서민들만 스럽네요. 시행하면 엄청난 폭동이 일어날 것이 예상되네요. 이따위로 서민을 죽이는 행정을 하니 국민들로부터 외면을 받는것은 당연하다. 셀프철거 허용해라.
@moveanddogati5267
@moveanddogati5267 Ай бұрын
패가는 어떤집을 말하는건지
@Red-ym8ky
@Red-ym8ky Ай бұрын
그걸 누가 정하죠? 정부가? 설마 정부가 사유재산을 국가 마음대로 처리하는 사회를 원하시는 건가요? 그럼 윗동네 김정은 발 닦으러 가시면 됩니다
@adgytt
@adgytt 2 ай бұрын
외국노동자들이 많은곳은 텃새가 덜해요 농촌지역은 외국노동자 없인 돌아가지 않으니깐요. 저희 친정집 주위로 다 외국인인데 서로 챙겨 주면서 살더라구요.
@user-gy4fl7sm2q
@user-gy4fl7sm2q 2 ай бұрын
그게 왜그런 줄알아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나만 해도 농사일 같은거 힘든거 뻔히 아니가 안할려고 하니까 다들 책상에 앉아서 에어컨 바람 쐬면서 일하고 싶지 더운데서 땀뻘뻘 흘리면서 일하고 싶은 사름들이 없거든 그러니 동남아시아에서 싼 값으로 일 시킬수 있고 그들도 자기나라에서 보다는 돈이 많이 벌 수 있으니까 그런거임 제발 현실을 알고서 말하라고
@moontee3516
@moontee3516 Ай бұрын
철거 해보면 앎 철거하는데 철거하는 비용만 끝이 아니라 건축 폐기물 등으로 폐기하고 건축 폐기물 옮기는 것도 돈임.... 그렇게 철거해서 빈땅 되면 세금은 공지라고 높아짐 농사라도 해야 세금이 줄어드는데 본업에 병행할 때 농사도 일이년 할만하지 10년 20년 한다 생각하면 고역임 임대업 하기위해 건물 올린다 해도 억대 들어가고 임대 될지 안될지도 모르지 사실상 철거 후 땅을 팔아야 하는데 팔리는 땅이면 몰라 안팔리면 그건 또 고역이고 그렇게 방치됨 저 공무원들 땅 투기 막는 목적인지 공지 세금이 더 빡시고 철거하고 처리하는데 돈은 들어가고 도시 외각이면 건물 올리자 하니 투자비 대비 돈이 될까 싶고 팔자 하니 시골에는 구매자 없거나 저렴하게 팔라는 사람 뿐임 걍 계륵이라 방치되지 빈집을 철거해 만들어진 공지의 경우 공지 거래 전 까지 공지 세금이라도 줄여주면 집주인이 돈이 없으면 빈집을 팔고 투기꾼들이 빈집 구매해서 라도 철거라도 하겠지
@user-yr3nx9io5o
@user-yr3nx9io5o Ай бұрын
임대를하든지 매매를하든지 이도저도 아니고 방치하면 반드시 부과해야한다
@ljk33137458
@ljk33137458 2 ай бұрын
벌금만 먹이니까 반응이 안좋지...지자체운영금이든 정부 지원금이든 당근도 먹여줘야지 기간내 조치가 되면 30프로든50프로든 지원을해준다거나...그럼 어느정도 반응이 있지않을까요??ㅋ
@user-sz6kk1pc5r
@user-sz6kk1pc5r 2 ай бұрын
문제는 좋은 집이 빈집이 된다는 게 아까움
@user-tr5kc5by2s
@user-tr5kc5by2s 2 ай бұрын
시골 사람들이 욕심은 많아서 살지도 않으면서 어떻게든 비싸게 팔려고 냅두는거. 이행강제금 강하게 물려서 관리하던 처분하던 조치를 취해야함.
@knature9807
@knature9807 Ай бұрын
이건 진짜 시골이건 도시건 빈집 관리 안하면 진작에 이행강제금을 시행했어야 했다. 저런 흉물로 인해 불안하고 무섭고 주변 마을 가치도 떨어진다. 방치하는 사람들 이유를 들어보면 어릴때 추억이 있던곳이고 살던곳이라 누구한테 팔기 아깝다. 팔려고 맘먹었어도 헐값에는 못주고 주변 시세보다 훨씬 비싸게 내놓는다(팔리면 횡재, 안팔려도 상관없다는 식), 나중에 가족끼리 시골체험에 시간날때 휴식하러 잠시 쉬었다 가는 용도다. 이런 답변이 가장 많다. 사유재산이라해서 주변 사람들 눈은 신경 안써나보다. 관리를 못할거 같으면 세를 주던지 아니면 방세는 안받더라도 살면서 관리만 좀 해달라는지 하면 될걸 그런거 조차도 안한다. 저런 방치한 집들은 사건사고가 일어날 빌미를 제공하며 주변 경관까지 해치기에 반드시 이행강제금을 집행해야 할 것이다.
@user-mo3di6ow9r
@user-mo3di6ow9r 2 ай бұрын
열심히 고쳐서 살게 해놓으면 나가라 한다는데, 방지책이 확실히 있을까요?
@user-cv1qo9ls1f
@user-cv1qo9ls1f 2 ай бұрын
처음부터 계약서를 확실히 써야지요. 임대기간을 확실히 보장하고 그전에 나가라하면 수리비를 보전받는 식으로요. 그걸 거부한다면 아예 그 집임대를 포기하고 다른데를 알아봐야죠. 그리고 애초에 구매한 것도 아니고 남의 집을 빌려사는데 큰 돈들여 수리하는 것도 말이 안되죠. 영상에 나온 빈집소개유투버 김경만씨의 의도도 최소한의 투자로 임대빈집에서 1~2년 살이보면서 시골생활에 적응하면서 여유를 갖고 아에 구매할 빈집을 구하거나 땅을 사서 집을 지으라는 거죠. 그저 시골살이의 환상으로 처음부터 땅사고 집지어 살다가 시골살이에 적응못하고 도시로 돌아가면 금전적으로 큰 손해가 나니 그런 시행착오와 금전작 손실을 최소화하기위해 임대빈집에서 일단 살이보라는 취지인 거죠. 수리후 집주인의 횡포를 걱정하는 댓글에 김경만님이 남의 집수리에 얼마나 큰돈을 들이려 하느냐고 최소한의 금액으로 잠시 거주할 정도로만 수리하며 자기 집을 찾거나 지으라고 하죠. 김경만님이 소개한 80여채의 빈집중 중복소개되는 집도 있는데 거긴 임대살던 사람이 1~2년만에 자기집 구해 이사나가서 다시 소개되는 사례죠.
@user-do8ob4cb4d
@user-do8ob4cb4d 2 ай бұрын
저런건 동의받고 철거 해야지
@user-ox9vb4py8q
@user-ox9vb4py8q Ай бұрын
빈집 사려고 해도 매매도 안되고 이런 정책은 꼭 펼쳐서 낭비를 막아야합니다.
@user-ln1ob8th9d
@user-ln1ob8th9d 2 ай бұрын
농촌을 죽이더니 이젠 윽박까지....상생의 사회였으면 빈집이 사회문제가 되지도 않았다.
@FawkesKorea
@FawkesKorea 2 ай бұрын
이행강제금 처분 빨리 빨리
@user-qv5hp1iz4o
@user-qv5hp1iz4o 2 ай бұрын
진짜 잘하는 일입니다ㆍㆍ꼭해야 할일입니다ㆍㆍ
@marsv5300
@marsv5300 Ай бұрын
앞으로 안팔리는 시골집 늘어날텐데 저렇게 관리안되는 집은 국가에세 강제 철거하거나 그게 싫으면 국가에 반납할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네요
@user-eu5lg8sp1s
@user-eu5lg8sp1s 2 ай бұрын
시골쪽으로 갈수록 측량해보면 경계 많이 달라질듯. 내땅에 옆집이 침범하고 나도 침범하고 서로 물고 물림. 그래서 시골땅 사서 집지으려는데 저런 폐가가 내땅 침범해있으면 철거안해주면 집도 못지을 수도 있기때문에 빈집 철거는 법적으로 해야함. 시골엔 땅주인과 집주인이 다른경우도 많으니 내땅에 빈집 맘대로 철거하면안됨 ㅠ 그래서 빈집강제철거가 필요함.
@user-nf9te4ct2j
@user-nf9te4ct2j 2 ай бұрын
촌에가면..흉가가 너무많아요.
@user-jiekdhso
@user-jiekdhso 2 ай бұрын
1회성으로 끝나선 안된다 조치안되면 매년 부과해야한다..
@user-tl9us2ur3p
@user-tl9us2ur3p Ай бұрын
농촌 빈집뿐 아니라 펜션등 모든 건축물로 확대해서 정비해죠
@user-rh6cg9go7i
@user-rh6cg9go7i 2 ай бұрын
너저분한 마을이 있고 깨끗한 마을이 있어서 귀촌도 잘해야 됨.
@user-lc4cu1qu3g
@user-lc4cu1qu3g 2 ай бұрын
빈집 채우기를 바라기 전에 텃세부터 잡아라
@SWOh-xx4me
@SWOh-xx4me 2 ай бұрын
부모님이 살고 계시다 돌아가시면 자식들이 물려받는데, 부동산에 내 놔도 팔리질 않으니 그냥 방치하는 빈집이 많음. 우리 할머니집도 20년째 안팔림... 부동산에 내놔도 안팔리니까... 그렇다고 공터로 놔두면 쓰레기 산 되거나 동네사람들이 제멋대로 사용함.
@Red-ym8ky
@Red-ym8ky Ай бұрын
ㄹㅇ... 철거비만 1억 3천을 부르는데 그 돈이 어디 있냐고... 그래서 지자체에 도움을 요청했더니 우린 세금만 물릴 테니까 니들이 알아서 치워라 하는데 기가 막혀서 ㅋㅋ
@holi-pop
@holi-pop Ай бұрын
사람 욕심에 돈 더 받고 싶으니 안팔리는거에요. 시골 촌구석인데 근처 100~200평 정도에 구가옥 정도면 일이천만원에 금방 나갑니다. 욕심부리면 안팔리니 땅값만 받고 내놓으면 됩니다. 싫으면 이제 강제이행금 내시면 되구요. 빨리 입법되어 시행되면 좋겠네요.
@Hanbang-Hanbang
@Hanbang-Hanbang 2 ай бұрын
??? : 발전기금 내놔~ 안주면.. 가만 안둬~
@komdoli
@komdoli 2 ай бұрын
발전기금 안줘도 되는거니까 걱정마세요 법으로 효력 하나도없어요
@user-ze5ei9ri4r
@user-ze5ei9ri4r 2 ай бұрын
법적으론 안줘도 되지만 분위기로 안주면 괴롭지
@2Aiden2
@2Aiden2 Ай бұрын
법을 몰라서도 노인들 상대할 힘이 없어서도 아니죠.. 괴롭힘이 엄청나죠.. 사람 질력나게 만드는
@user-yr4fx4jx4t
@user-yr4fx4jx4t 2 ай бұрын
빈집이 시골에만 있나요 도시에 빈 아파트도 많아요
@harimau298
@harimau298 2 ай бұрын
도시에 있는 짓다가 수년간 방치된 흉물 아파트 상가 레저시설....들을 먼저 장리정돈 해야 합니다. 도시 빈집은 법적인 문제가 복잡하지 힘없는 시골집들을 시범으로 조지네요.... 나쁜 정치꾼들, 철거업체들, 지자체 공무원들.... 철거전문 회사 주식을 마구마구 구매해 놓을 시기네요. 7월 이후 엄청나게 주가가 상승하겠네요. 철거전문업체 주식을 계속 구매해 놓으세요.
@suesue4848
@suesue4848 2 ай бұрын
​@@harimau298 1.상장한 철거 업체가 얼마나있음? 2.지자체 공무원은 돈이 없어서 먹고살기도 힘듦
@cyh88179
@cyh88179 2 ай бұрын
농촌으로 들어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텃새가 너무 세서 못 들어가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듯
@yoonmin37811
@yoonmin37811 2 ай бұрын
무조건 강제 부과 꼭 하길~!!!
@user-nh6ol1zp7o
@user-nh6ol1zp7o 2 ай бұрын
시골집은 인구소멸지역이라 누가 구매할려나??? 똥값일듯....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2 ай бұрын
막상 사려면 의외로 비싸요.
@user-jb8xr6og2u
@user-jb8xr6og2u 2 ай бұрын
@@user-ub3wd4nx3g이게 함정…
@user-sc9hu1ud2s
@user-sc9hu1ud2s 2 ай бұрын
시골 농지도 평당 몇십은 하는데..농지보다는 비싸야 될꺼아냐 .. 그리고 시골집은 보통 마당까지 다 잇고해서 은근 평수가 큼.. 무슨 완전 헐값 똥값 생각하고 살려고하니깐
@bluegold8322
@bluegold8322 2 ай бұрын
2030년대 이후 초고령사회를 지나 본격적인 인구 감소가 시작되면 도시에서도 이런 문제가 비일비재 할 것! 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이 한국 부동산의 65~70%를 소유하고 있다고 함 즉 다주택자들이 가장 많은 세대도 50대 이상입니다. 이세대들이 향후 사망하면 사망한 사람 수 보다 빈집이 더 많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한국의 인구감소, 고령화 문제를 주로 비슷한 일본에서 찾는데 사실 지방이나 농어촌을 보면 한국의 전반적인 인구감소.고령화 문제의 미래가 보입니다.
@user-uk3wm3lk1d
@user-uk3wm3lk1d 2 ай бұрын
점유취득시효 때문이라도 절대 철거하면 안됨 ( 사실상 시골에서 땅을 비워둔다? 누가 농작물이라도 심었으면 그 농산물 함부로 못치움, 최소 1년간 수확할때까지 내가 못들어가고 심지어 거기다가 남이 과수라도 심거나 농막같은거 만들거나 마을진입로나 혹은 주차장으로만들면 진짜 법으로 해결해야하는데 특히 도로로 쓰이게 되면 자기땅인데도 주인도 못사용함 동네 주민들이 다 동네주민편을 듬 20년 되자마자 점유취득시효 걸고 땅까지 빼았김 , 일단 점유취득시효 법부터 없애고 무단사용시 철거법 만들어야함
@user-vs9xq5dt1g
@user-vs9xq5dt1g 7 күн бұрын
그런 사유도 있군요.
@user-ur6yp1sq1v
@user-ur6yp1sq1v 2 ай бұрын
철저하게 과태료를 매년 천만원씩 확실히 때려야 하겠제에 ~~? 몰락하는 농어촌을 살리는 정치 질을 해야 하겠제에 ~~?
@harimau298
@harimau298 2 ай бұрын
농촌 더 쥑이는 정책이다. 엄청난 폭동이 일어날 것이다. 투기꾼들이 이제 시골빈집까지 헐값에 구매해서 비싸게 팔려고 지랄들을 합니다.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