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연내 실전배치 된다는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Рет қаралды 73,491

슈퍼소닉TV

슈퍼소닉TV

Күн бұрын

[소닉PD의 밀리터리 토크쇼]
제품 광고 협찬 문의/ supersonictv@naver.com
#안승범 #소닉PD #디펜스타임즈 #K2 #KF21 #K9 #FA50

Пікірлер: 474
@user-vg3vz4gz9d
@user-vg3vz4gz9d Ай бұрын
급하게 서둘지 말고 차근차근이 해서 완성합시다.
@junfilyun2195
@junfilyun2195 Ай бұрын
날씨와 습도에 민감하니 만큼 보다 강력한 빔 조사가 가능하게 되었으면 좋겠네요^^
@user-pp3lp6hm8n
@user-pp3lp6hm8n Ай бұрын
실제 야전부대에서 운영해보면서 축적된 데이터로 차후 출력도 더 쎄지고 경량화된 레이저 무기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ㅎㅎ 국방에 힘써주시는 ADD 연구원분들, 엔지니어분들 항상 응원합니다!!
@user-pg2uv1ig4w
@user-pg2uv1ig4w Ай бұрын
저가드론 잡는데는 확실히 가성 훌륭일듯
@raffine3907
@raffine3907 Ай бұрын
미사일 격추를 한다는건 사실상 몇십년 후에나 가능할겁니다. 미사일은 이동하면서 회전도 하기때문에 한곳에 집중적으로 조사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이번 개발은 데이터를 쌓으므로써 더 빨리 좋은 효과도 더 나은 레이저방어체계가 빨리 나올것은 분명합니다.
@user-ko7dw3gm5l
@user-ko7dw3gm5l Ай бұрын
1식 발사대에 레이저 2대를 장착해서 사용하면 동시에 주사할때 2배의 효과를 노리고 각각 운영하면 2대의 드론 대응이 가능하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Ай бұрын
레이저는 발사 출력을 높이는 게 어려운 게 아니라 냉각이 어렵고 레이저 만들려면 전기를 캐피시터에 고압으로 충전해서 레이저 발진기에 공급해야 하는데 이게 어려운 겁니다. 레이저 자체는 100kw 200kw간단히 만들 수 있어요. 그런데 너무 열이 많아 냉각이 쉽지 않고 그만한 고전압을 방출할 커패시터 소형화가 어려운 겁니다.
@user-ib9hs2sh2v
@user-ib9hs2sh2v Ай бұрын
사거리 3km정도인데 몇대나 설치 해야할까요 휴전선 따라 동서로 설치하고 접경지역 섬에도 설치하고 ㅋㅋ 저 정도 스펙으로는 가능성 없는거 같은데 좀더 발전 시키고 발표를 하던지 오물풍선 내려 오니까 조급해서 성급하게 발표한거 같은데
@user-pr8sr7ng4v
@user-pr8sr7ng4v Ай бұрын
첫술에 배가 부를수가 있겠 습니까? 많은 실용 데이터가 쌓이고 계속 진화하고 개발하면 앞으로 기가막힌게 나올게 분명 합니다 응원 합니다
@MSkim-gq6xl
@MSkim-gq6xl Ай бұрын
아직은 많이 부족하나 첫술에 배부를 수 없는 법이니 더욱 개량되기 바랍니다.
@user-lw4em7fy1t
@user-lw4em7fy1t Ай бұрын
폴란드 언론에서 공개된 K-2전차 생산과 기술이전 폴란드 주변국에 수출하는 건등 관련한 현대로템의 K-2전차 폴란드 수출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z80softcard
@z80softcard Ай бұрын
레이저 펌핑에 필요한 에너지 대비 출력되는 레이저의 에너지 효율이 낮아서 실용상의 문제 때문에 레이건의 SDI는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러시아의 Stiletto 레이저 전차 사례가 있기는 합니다
@user-mr9gh5ji6l
@user-mr9gh5ji6l Ай бұрын
림픽에서 비궁에대해서도 다루어주세용
@user-rj4ij2fu7r
@user-rj4ij2fu7r Ай бұрын
소닉님 감기가 온거같읍니다
@user-gp8md2cy2q
@user-gp8md2cy2q Ай бұрын
그동안 개발한 연구진과 업체 감사! 미약하나 업체 도 먹고 살아야하기에 양산 지지합니다 점점 더 발전 되길!
@jmim5018
@jmim5018 Ай бұрын
시작이 반이죠 ᆢ아직은 출력이 약하지만 냉각장치 개선 출력 증강🎉 응원합니다
@jmim5018
@jmim5018 Ай бұрын
30이상 나와야 하는데 부칸것들이 하도 개랄지 개딸이상이라 20kw이상에서 선 배치한 듯
@mr.9k747
@mr.9k747 Ай бұрын
실용적일까? 고정 방어용으로는 가능한데 이동수단에 탑재해서 활용까지는 좀 더 가야할듯...여튼 연구원들 고생했어요!!!
@user-jw1vk2nf5u
@user-jw1vk2nf5u Ай бұрын
영국이 50kw급 개발 완료했고 이스라엘은 100kw급 미국은 300kw급 완료하고 2030년 이후에 Mw급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죠.
@noja1301
@noja1301 Ай бұрын
제가 아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1.걱정하시는 고속으로 기동하는 무인기도 격추 가능합니다. 자체 조준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고속 기동하더라도 계속해서 맞출수 있습니다. 빛의 속도로 광선이 날아가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2.시험평가를 좋은 환경에서만 한 것이 아닙니다. 거의 비 올것 같은 날씨에서도 사격을 했고 결과는 동일하게 격추했습니다. 3.세게 최초 전력화도 사실입니다. 현재 우리보다 높은 출력으로 개발하고 있는 국가가 있지만 레이져무기를 전력화 선언한 나라도,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나라도 없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moclykim8220
@moclykim8220 Ай бұрын
그건 니 망상이고 ㅋㅋ
@bluemajesty7616
@bluemajesty7616 Ай бұрын
@@moclykim8220 팩트를 망상이라 헛소리를 하네 . 직접 시험해봤냐
@Lemisser
@Lemisser Ай бұрын
관계자입니다. 이 분 말이 맞습니다.
@p4063415
@p4063415 Ай бұрын
​@@moclykim8220 관계자가 말하는걸로 망상이라 하는게 더 망상같네
@user-kz2vr7rr4m
@user-kz2vr7rr4m Ай бұрын
개소리 하고 자빠졌네. 1.우리군의 개발목표인 블록3에서 요구하는 100kw급 전력을 공급하려면 세종대왕급 함선의 전력을 풀로 끌어다 써야 한다. 이 블록3로도 고속으로 기동하는 무인기 격추가 안된다. 고속 기동하는 무인기를 격추하려면 최소 300kw급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소형핵원자로가 필요하다. 2.지난번 비가와서 이동형 표적 격추에 문제가 생겨 표적을 고정형으로 교체한 후 실험했다. 3.세계최초? 러시아가 2018년3월, 미국이 2018년말, 이스라엘의 아이언빔은 2020년8월17일 실전배치됐다. 알았냐? 공상과학 소설쓰지 말고 아가리 닥쳐라.
@jonghyeoklim4347
@jonghyeoklim4347 Ай бұрын
지금은 똥풍선만 막아도 장하다 생각합니다. 미사일용은 ADD 지하에서 SMR 붙여서 열심히 만드시고 계시겠죠
@user-dl6dc3jz1h
@user-dl6dc3jz1h Ай бұрын
사거리 안나와서 똥풍선 못막을걸
@ok.kr-sun
@ok.kr-sun Ай бұрын
지금 것은 그저 느린 똥 풍선 정도 잡으면 다행일 겁니다. 저걸 지금 실전 한다는 건 돈 낭비인데....너무 약하죠. 드론 잡을려면 500KW~1000KW 정도는 되어야 말이 됨.
@Loveteeth
@Loveteeth Ай бұрын
미국도 중공 풍선잡는다고 10억짜리 쐈음. 현실에선 미국도 풍선잡기 불가능임. 재밍포, emp탄, 레이저포 정도만 확실하고 전방확산탄, Rcws ,대공포 등은 낙탄때문에 사용못함.
@jonghyeoklim4347
@jonghyeoklim4347 Ай бұрын
@@Loveteeth 미국 풍선은 고도가 높은 정찰용이라서 F22 말고는 거기까지 올라가기 힘들었고 북한은 그냥 행사용 풍선임
@jaylee7718
@jaylee7718 Ай бұрын
@@jonghyeoklim4347 그게 문제가 아니라 사거리가 짧아서 촘촘하게 배치해야 행사용 풍선이라도 잡을 수 있는데 그게 힘듦. 풍선이 어디로 지나갈 줄 알고....
@user-rd6yv7vq2p
@user-rd6yv7vq2p Ай бұрын
파동포를 만들어야 하는군요
@user-uv2cr4zx5i
@user-uv2cr4zx5i Ай бұрын
쏘는곳에서는 1cm만음직여도 ㅣ천미터를 따라가요 충분해요~
@user-lw8is6cv3g
@user-lw8is6cv3g Ай бұрын
필요한 전력은 발전차가 따로 있나요? 아니면 근처 콘센트에 코드 꼽아서 사용하나요? 코드 빠지면 안나가겠죠?
@zhyunge2193
@zhyunge2193 Ай бұрын
레이저 포드 병렬로 연동하여 운용할 수 있다면, 단기에 고성능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물론 발전 용량확장이 큰 문제겠지만요 ...
@red_frogdjung3720
@red_frogdjung3720 Ай бұрын
안대표님 귀엽네요. ㅋㅋㅋㅋ
@user-jh8kk7es9z
@user-jh8kk7es9z Ай бұрын
긍정적으로 생각합시다,,첮발을 내 딛혓으니 앞으로가 기대합니다
@user-fi8pg1jn5u
@user-fi8pg1jn5u Ай бұрын
한발에 2000원 전채장비용은 어느정도인지요
@wlee7914
@wlee7914 Ай бұрын
세계최초라는 것은 개발이 최초가 아니라 부대실전배치를 최초로 했다는 것이다
@moclykim8220
@moclykim8220 Ай бұрын
말장난하냐
@danieljung1172
@danieljung1172 29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속도가 느린 gps기반의 자동유도되는 드론은 격추할수있을것같 네요. 그런데 fpv드론은 조종사 마음대로 조정이 가능해서 10초를 조사하는게 불가능해보이네요..어떨까요,
@user-jp3ql8cx6b
@user-jp3ql8cx6b Ай бұрын
레이저 평소 궁금했는데... 잘봤습니다
@user-jp3ql8cx6b
@user-jp3ql8cx6b Ай бұрын
레이저는 초속 30만km기 때문에 아무리 대상이 움직여도 AI 레이다로 계속 추적.요격만 되면 별 문제 없을 듯요 문제는 더 큰 대상을 요격하기 위해선 출력이 현재의 kw가 아니라 메가.기가급으로 향상이 되어야겠지요...
@wdkim8407
@wdkim8407 Ай бұрын
발사된 포탄을 추적해서 고속영상물 얻어 내는 것에 비하면 아음속 드론은 난이도가 낮을 듯 한데요..
@user-no8yn2pt4s
@user-no8yn2pt4s Ай бұрын
고생했어요
@user-vg2cj6my6r
@user-vg2cj6my6r Ай бұрын
드론을 최소 5대를 고속으로 거의 동시에 한꺼번에 공격하듯 돌진시키면서 격추가능한지 테스트 해봐야. 실전에서는 수십대가 떼거지로 달려들수 있으니.
@user-jz6lz3rb7w
@user-jz6lz3rb7w Ай бұрын
지금은 어렵겠죠 날씨 영향도 크니깐 현재보다는 미래를 보고 개발하기 바랍니다.
@cyberides
@cyberides Ай бұрын
엔진이나 보드를 불태우기 보다는 프로펠러나 방향타를 녹여버리는게 나아 보이는데요
@user-bj2iu2vr4z
@user-bj2iu2vr4z Ай бұрын
언론플레이만 하지말고, 민물가마우지 잡아보라
@hgk2292
@hgk2292 Ай бұрын
계속 실험하면서 미비한 거 보완해야합니다.
@user-kg8kv6os5t
@user-kg8kv6os5t Ай бұрын
F35를 주한미군이 아닌 주일미군에 배치하기로 결정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분석부탁드려요.
@ponuyyq1242
@ponuyyq1242 Ай бұрын
일단 dmz gp에 몰래 배치해서 상대편 초소에 레이저 조사해서 불좀 지르면 안됩니까? 어차피 어디서 쏘는줄 모를텐데 불구경도할겸
@ClusteredPlan
@ClusteredPlan Ай бұрын
소닉pd님이 타겟 추적이 가능하겠냐고 하셨는데 Ku밴드 주파수 대역 정도면 단거리 표적 락온에는 별 문제 없습니다. 레이저 빔은 주로 가시광선 대역을 중심으로 적외선, UV 대역도 가능한데...이 파장 영역은 공기 중에 산란이 많이 일어나서 안 대표님 말씀대로 장거리 공격은 불가능하고요. 미국이 MD 체제의 하나로 보잉 747 항공기 노즈에 레이저를 달아서 테스트 해 본 적이 있는데...최대 사거리가 300km로 짧아서 그 프로젝트는 폐기 되었습니다. 제가 2008년에 일본 '나라'의 나라켄에서 열린 미국 광학회(OSA, Optical Society of America) 학회에 다녀온 적이 있는데..록히드마틴과 노드롭 그루만이 빵빵하게 후원해줘서 학회 자체가 굉장히 풍족하다 못해 약간은 사치스럽게 진행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 일본 기업들은 자동차 점화 플러그를 레이저 플러그로 교체하려는 연구를 많이 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 미국은 역시 레이저 무기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단거리 표적이라면 요즘의 기술로는 ku밴드 레이다로 표적 락온을 하면 AI로 타겟의 예상 이동 경로까지 다 파악해서 레이저 빔을 조준할테니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봐야 레이저 무기는 파장이 너무 짧아서 결국은 안대표님 말씀대로 근거리 대공 수단 정도로밖에 쓰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kuya2849
@kuya2849 Ай бұрын
남북한의 다련장(방사포)와 잠수함의 전력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데 이에 대하여 좀 다뤄 주세요
@user-ko4nb3no6n
@user-ko4nb3no6n Ай бұрын
장비가격과 유지관리비용도 궁금해요.
@user-cr5xo6cw6k
@user-cr5xo6cw6k Ай бұрын
옳은말씀.가오리엑스개발진행상태도 말씀해주세요.
@tygang12
@tygang12 Ай бұрын
무기가 좋으면 뭐하겠노..당장 중간간부가 없어지고 있는데.... 저걸 운영 관리하는 간부가 없어지고 당장 저출산으로 일반병도 모자르는판에...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Ай бұрын
이런 고도화된 무기체계는 인력이 별로 필요없음.컴퓨터로 탐지/요격 함.
@user-pc8qr3nz8z
@user-pc8qr3nz8z Ай бұрын
날아오는 트론은 현재의 레이더로는 감지를 못 한다는데 어떻게 감지 하는지요?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Ай бұрын
레이더 성능에 따라 드론과 다른 물체 와의 구분이 가능함.드론 탐지는 레이더 전파 반사로 탐지 하는것과 드론의 원격조종에 사용하는 사용하는 전파주파수로 탐지함.
@happysong1617
@happysong1617 Ай бұрын
20초나 시간이 소요되면 대량 군집으로 공격해 들어오면 대응이 어려울것 같은데 대응방안이 있나요?
@user-tk8rt1fq8s
@user-tk8rt1fq8s Ай бұрын
실효성은 없어 보이지만 계속 업그레드 되면 언젠가는 1~2초 안에 파괴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user-gx6hx5sx5w
@user-gx6hx5sx5w Ай бұрын
흐리고 비오는 날에는 못 쏜다는데... 에휴~~~
@mkim468
@mkim468 Ай бұрын
무인기가 빠르게 움직이는데 레이저 무기가 따라 갈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인데 질문의 요지와 다르게 답변하는 부분은 바꾸셔야 겠네요.
@user-lx4pd6pf3b
@user-lx4pd6pf3b Ай бұрын
시작이 반이다
@tob9729
@tob9729 Ай бұрын
블럭1은 3키로이내 저속저난도기동 표적에만 유효
@user-ry9vx1gz7v
@user-ry9vx1gz7v Ай бұрын
출력을 받쳐줄려면 그만큼의 전력이 필요할텐데. 초소형원자로 개발도 해야겠군요.
@user-sf4kv7bb1f
@user-sf4kv7bb1f Ай бұрын
🎊🎉위대한 대한민국 🇰🇷 🎊 🎉
@user-iz6vu4gl3i
@user-iz6vu4gl3i Ай бұрын
파워를 10배 높일려면 10대를 연결하여 동기화 시키면 간단하지요. 그럼 한발에 2만원 들것네여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파워를 10배 늘리면 열이 10배 이상 오름. 다 녹아버림.
@user-ib9hs2sh2v
@user-ib9hs2sh2v Ай бұрын
사거리 3km 짜리를 몇개나 설치 해야하죠
@user-cz1sc4vt5n
@user-cz1sc4vt5n Ай бұрын
무인기에 반사 필름을 랩핑해도 효과가 있을까?
@user-ku7kx9qi1y
@user-ku7kx9qi1y Ай бұрын
차라리 지상의 레이더를 발전시켜서 무인기가 온다면 그 위치를 파악을 빨리 하도록 해서 대구경 총기로 조지는 방향으로 하는것이 좋을것 같네요 이게 가장 효율적일것 같습니다
@jonglimyun3837
@jonglimyun3837 Ай бұрын
KF-21 블록 1은 대지상 공격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제공 전투기로 소개되고 있는데요, 블록 1에 멍텅구리 폭탄이나 조종사가 별도의 단말기로 조작하는 KGGB를 장착하여 운용할 수 없나요? 폭탄을 장착, 분리해 주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고, 그러면 멍텅구리 폭탄, KGGB 등을 이용하여 블록 1도 제한적으로나마 폭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user-nj4fk1lh8r
@user-nj4fk1lh8r Ай бұрын
님 말씀이 맞습니다. 블럭 1은 제한적인 대지 임무(공격) 가능합니다. 정밀 타격용인 타우러스 같은 무기를 할용하지 못하는 것이지 멍텅구리 폭탄이나 KGGB는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ser-yi4cm4di3t
@user-yi4cm4di3t Ай бұрын
전투수상함 함포 대체용으로의 개발은 좀더 수월할거 같네요..........
@user-ot2zx9ds1q
@user-ot2zx9ds1q Ай бұрын
국내 TV뉴스 보다가 비슷한 의문점이들어 이해가안됐는데 여기서 일부는 풀리네요,,
@Five-star-Jung777
@Five-star-Jung777 20 күн бұрын
대공 무기체계에 서둘러 실전배치되길 바랍니다.
@kisadootwo
@kisadootwo Ай бұрын
양산화할 돈으로 연구를 더 해야하는것 아닌가?? 그게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식 아닌가? 아직 영상은 안봤지만..
@pj7244
@pj7244 Ай бұрын
서치 라이트 처럼 직진 지향성 재밍 기술은 없나요
@junbumcho3738
@junbumcho3738 Ай бұрын
20kw는 다른 나라에서는 실천배치 자격미달 아닌가요?
@gbcszcfdcvc001
@gbcszcfdcvc001 10 күн бұрын
22년 8월, 미해군 이지스함에 출력 60~150kw 레이저 무기 실전 배치, 단가 700원(중앙일보, 22.08.18.) * KFN에서도 보도 되었음(22.10월) 저 수준은 기존, 방사청 주관의 핵심기술 연구과제 사업으로 갔어야 한다 점점 국방무기 획득이 산으로 가는 게 장병이 적과 싸워 이기는 무기를 구입하는 본래 취지에서 멀어져 "이저 국내에서도 유사한 기능의 무기를 만들었다"는 자기 만족으로 전락하고 있다
@kevincho3879
@kevincho3879 Ай бұрын
10-20초를 계속 따라갈수 있나요?
@KOREAN.21C
@KOREAN.21C 27 күн бұрын
가능
@vtlmeafd
@vtlmeafd Ай бұрын
오물풍선 맞출 수 있는 걸까요?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Ай бұрын
실효성은 무조건 있는데 정비효율이 얼마나 나오는지가 문제겠죠. 저정도면 사람도 태울수 닜으니까요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레이저로 사람을 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Ай бұрын
@@cryingbug134 태워죽이는건 괜찮고, 눈을 멀게하는것만 안됩니다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user-mz3kk6fz9u 결국 안된다는 이야기죠 ㅎ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Ай бұрын
@@cryingbug134 된다는 이야기에요.
@horizon_43
@horizon_43 Ай бұрын
반사 가능한 물질로 드론을 만들면 어떻게 되는 거지?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Ай бұрын
빛을 반사가 가능 한거지 열을 막을 순 없음.
@sh2943
@sh2943 Ай бұрын
구름끼고 소낙비올때는 무용지물 되는것 아닌가요?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Ай бұрын
어차피 무인기도 악천후일때는 못 띄움.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Ай бұрын
현존하는 가장 빠른 드론 이동속도는 시속 360km로 이는 초속 100m임.레이저 대공무기 최대 사거리는 3km이기 때문에 비가시레이저를 10초동안 가열하면 드론의 목표 지점 도달하기 1km전에 완전히 태워 버릴 수 있음.최근에 수출하는 비궁,ciws,레이저 대공 무기들 전자동 방식임.
@user-nu8dk2bt3t
@user-nu8dk2bt3t Ай бұрын
레이저무기가 더욱 많이 개발되길바랍니다
@user-oo5yf4dl4b
@user-oo5yf4dl4b Ай бұрын
와!! 스타워즈가 현실로 ! 0:32 그것도 운디군이!! 신납니다!두분 감사합니다❤^^/~~
@joongj8282
@joongj8282 Ай бұрын
맞추는건 문제가 엏을듯..빛의속도니까 조준하자마자 맞는거지..문제는 화력이..
@jameshyunpark
@jameshyunpark 11 күн бұрын
이거 레이져 무기 대박이네요. 군집 드론은 잘 모르겠고 메뚜기떼 10억만마리가 돌아다니면서 농작물 피해 주는데 쓰면 좋겠네요. 중국 동남 아시아 아프리카....2천원이면 얼마야 ? 대충 1억도 안들이고 메뚜기떼 다 태워버릴것 같은데. 메뚜기로 군인들 실전 연습하기도 좋고. 잘 익은 고단백 메뚜기도 먹고요 ㅎㅎㅎ
@user-pz9lx1rm1b
@user-pz9lx1rm1b Ай бұрын
아파치 추가 구매는 어떻게 되고있나요?
@Sky79love
@Sky79love Ай бұрын
테스트 했다고 하잖아요 😊
@skb22ggg
@skb22ggg Ай бұрын
20초는 안된다 2초 이내로 줄여야 그나마 쓸까 말까다
@Loveteeth
@Loveteeth Ай бұрын
그거할려면 100kw + 100kw 연계하던지 200kw이상이어야 할듯,, 1초이내여야할듯 500kw는 되어야 무인기, 헬기,순항미사일 요격 가능할듯 2Mw 는 되어야 음속항공기, 포탄, 음속 미사일 요격 가능할듯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Loveteeth 그게 그냥 더한다고 되는게 아님
@AlpaAndromeda
@AlpaAndromeda Ай бұрын
외국에서는 전혀 관심 없다고 함. 실질적으로 효용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음.
@angelocho2499
@angelocho2499 Ай бұрын
여러 대가 한꺼번에 조져야 되겠네요.
@user-dc2io1tl8k
@user-dc2io1tl8k Ай бұрын
블록1은 사거리 2~3km에 고정형이면 우회하면 끝이고 극단적으로 휴전선 238km에 4키로마다 60대 정도 설치해도 3키로 이상으로 침투하면 끝인데... 북한도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ㅋㅋㅋ 쑈 좀 하지마라
@Unknown-wt1ev
@Unknown-wt1ev Ай бұрын
아니 질문자가 10~20초 비행체를 따라다니면서 조사 할수 있느냐고 물어보는데 생뚱맞은 대답만 늘어놓네 모르면 모른다고 말하면 되는데.
@user-bs6jr1qf9y
@user-bs6jr1qf9y Ай бұрын
빛의 속도라서 가능합니다
@jwookh9168
@jwookh9168 Ай бұрын
성능을 끌어 올리고 좀 더 소형화가 된다면 전차에 장착을 하면 좋겠네요.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면 전차가 드론에 너무 쥐약이라 ... 좀 더 발전해서 대전차 미사일에도 대응된다면 더 좋겠네요.
@jhstar_
@jhstar_ Ай бұрын
5발 = 1 대리운전
@user-jz5xc7vq6f
@user-jz5xc7vq6f 29 күн бұрын
이거 언론들 과장이 너무 심해요...저걸 우크라이나 전쟁에 보내면 쓰레기라 욕 먹을 듯. AESA 레이더도 아니고 광학 조중장비로 10초이상 쏴서 맞출 수 있을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WhoAUImaHuman
@WhoAUImaHuman Ай бұрын
30대 드론 지지는데 10초씩이라고 하면 5분. 5분이면 드론이 레이저 장치를 폭격하고도 남을 시간이 아닐까? 한마디로 실전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magandatv1924
@magandatv1924 Ай бұрын
야전 군인들이 있는 부대에.........대드론용,,, 1) RWCS 2 2) 파생된 비궁유도로켓 3) 레이저무기 4) 지대공미사일 이렇게 4개 정도로 같이 다니면...자폭용 드론 등은 어느정도 막을 수 있을 듯..............(이상 저의 생각입니다.)
@littlestep7660
@littlestep7660 Ай бұрын
10에서 20초 동안 발사하려면 무인기가 때로 몰려오면? 그냥 놓치는 드론이 다수일것입니다 1초정도에 폭파 할정도가 되어야 실전에서 효과가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비나 눈이 오는 환경에서도 효과가 되어야 하지요
@jmim5018
@jmim5018 Ай бұрын
아직 시작입니다 처음부터 kf21 최종설계 나옵니까
@ktcho2923
@ktcho2923 Ай бұрын
미사일 고기동도 지향하며 쫓아가는 dircm도 개발했는데, 아무리 드론이 고기동 한다해도....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10~20초 따라가는게 뭐가 어렵다고. 너무 옛날 이야기 하시는 것 같네요. 90년대 개발된 K2 사통장치도 그정도는 합니다.
@user-nj4fk1lh8r
@user-nj4fk1lh8r Ай бұрын
님!!! 죄송합니다만 DIRCM은 추적하는(쫓아가는) 장비가 아닙니다. 항공기에 장착되어 추적해오는 적외선 유도 미사일로부터 항공기를 보호하는 미사일 방어 체계입니다. 다시말해 적외선 유도 미사일의 추적을 방해하는 장비입니다. 우리나라가 미,프,이스라엘,등등에 이어 세계6번째로 개발한 장비입니다. 지향성 적외선 방해장비 DIRCM(Directional InfraRed CounterMeasures)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user-nj4fk1lh8r 그니까 레이져 빔의 타겟 추적능력에 대한 이야기잖아요. 마하 3으로 쫒라오는 공대공미사일이 타겟이라구요.
@sunkim5190
@sunkim5190 Ай бұрын
고열로 인한 부품의 내구성 한계로 부품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해서 고가 부품의 교체 비용이 크다는 단점도 크다고 하던데...쩝
@user-og8ck2cy1c
@user-og8ck2cy1c Ай бұрын
아직은 장남감 수준이 아닌가 하네요 사거리가 3KM 라 하고 20초 쏘아야 떨어진다고 하는데.고도3KM 미터 높게 날아오면 요격을못하죠그리고 작은무인기빠릅니다 그런데20초를쏘아야떨어진다면실효성이떨어 지지요 무인기가 그자리에 그냥 있나요 고기동 하면서날아가는데 5초이내격추되어야죠출력을높여서멀리 고열로 단숨에 격추 시커야 합니다 아니면 지금 아무 의미 없네요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Ай бұрын
700도의 열에너지를 가하는 것이 장난감은 아니겠지요.아무리 빨라 봤자 빛보단 엄청 느립니다.
@LreenMongmong2
@LreenMongmong2 Ай бұрын
레이저 특성상 기상 영향력이 크단 건 어쩔 수 없어도 최소 사거리 10km, 고도 5km에 드론 1기당 3초 내외로 격추가 가능해야 실전에서 대량으로 내려올 때 상대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무엇보다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이라서 북한이 위치 파악하고 우회 기동하면 그것도 답이 없을 듯 하네요.
@taenggu7454
@taenggu7454 Ай бұрын
10년동안 드론 업글 안한거 까먹었나??? K2 업글 유독 안하고 어직까지 능동방어 장치.안닮 성능 충분한데도 곰증해야 한다는 kida가 차후 성능 업글도 불가능한 레이져는 승인한거 보면 쎄하지 않나????
@user-ln1nu8nq1i
@user-ln1nu8nq1i Ай бұрын
kf-21 기술이 전반 적으로 유출되서 텔레그램으로 팔려고 하고 있다는데... 사실일까요?? :(
@eze9450
@eze9450 Ай бұрын
반사성 높은 물질에는 취약하다던데...아직은 보완적인 무기체계일뿐...산란도 잘되는 편이라 날씨영향도 많이 받고...
@cryingbug134
@cryingbug134 Ай бұрын
반사성 높아도 꽤나 잘 뚫어냅니다.
@cynicalko2124
@cynicalko2124 Ай бұрын
빛의 속도록 공격하는게 레이저의 특성이라. 레이더만 정확하면 요격률 100%는 의심의 여지가 없네요. 단 비오는 날, 안개가 많이 낀날, 흐린 날, 황사 및 미세먼지가 심한날에도 자기 성능을 발휘할지가 변수입니다.
@user-xt8jk9rb9s
@user-xt8jk9rb9s Ай бұрын
보여주기식. ㅜ 그래도 이만큼 이뤄낸 연구진들 응원합니다 청치적이나 실적 내세우기 들어가길 바랍니다
@jjjun2906
@jjjun2906 Ай бұрын
북한 무인기 대책이 전무에 가까우니 아직 문제가 많지만 이런거라도 배치하는건 맞는 방향 같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성능이 모자라고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는 무기를 세계 최초개발이니 하면서 뛰우는 언론들을 보면 한숨부터 나옵니다. 국제적으로봐도 30킬로 짜리 레이저는 정말 수준이하의 무기가 맞습니다. 이런걸 세계 최초 양산배치니 뭐니 하면서 뛰우다니요.-,-;;
@bbokdoong
@bbokdoong Ай бұрын
첫술에 배부를수없죠. 응원합니다
@UJ-ji7tb
@UJ-ji7tb Ай бұрын
시야를 넓혀서 내륙침투 대인용으로 설치해야
@nts6759
@nts6759 Ай бұрын
군도 실전 배치할 계획은 없었던 기술 실증용 정도의 시제품을 배치한 거죠. 원래 우린 군은 보수적이라 신무기 배치에 대단히 깐깐한데, 이번의 성급한 배치는 용산이 원인이라 추측.... 실제로는 실전성이 전혀 없음.
@junl6748
@junl6748 Ай бұрын
정확한 지적 입니다
@user-si8hv1it3l
@user-si8hv1it3l Ай бұрын
추적 레이더가 몇키로나 가능 할려나?
@joaquinsorolla5860
@joaquinsorolla5860 Ай бұрын
@@nts6759 공감. 풍선/드론 막지 못한것에 대한 비판여론을 "세계최초 실전배치" 라는 말로 무마하려는 시도라고 생각함.
@joongyulim2104
@joongyulim2104 Ай бұрын
고출력으로 가야 되는데,,, 초고압의 전기를 공급하는게 문제지..
@kimscott3496
@kimscott3496 Ай бұрын
한발에 2천원이라 페라리도 5km 가는데 2000원 한다고 하면서 싸게 탄다고 할 수 있을지.... 한발도 중요하지만 총 장비 가격도 중요 하지
@mugumahn6061
@mugumahn6061 Ай бұрын
처음은 미약하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 한걸음 한걸음 뚜벅뚜벅 황소 걸음으로 걷다 보면 언젠가 영광의 열매가 열리겠지.
@user-ek4cg1rc1d
@user-ek4cg1rc1d Ай бұрын
시험중이라고 생각합니다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Ай бұрын
시험 중은 아니구요. 타격을 위한 사전 정찰을 차단하는 겁니다. 정찰을 차단해서 공격할 정확한 좌표를 못 따게 하는 거자요.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 같은 곳에 냘아드는 취미용 드론도 대응하는 거구요. 공항 등에서 비행기에 위협이 되는 조류 퇴치에도 쓸모 있을 겁니다.
@user-nx1we9wj2d
@user-nx1we9wj2d Ай бұрын
산불은 어떸하나요
Kind Waiter's Gesture to Homeless Boy #shorts
00:32
I migliori trucchetti di Fabios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Revolutionary Uses for Leftover Styrofoam
00:19
Делай сам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How I Did The SELF BENDING Spoon 😱🥄 #shorts
00:19
Wian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Они так быстро убрались!
01:0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KF-21 2차양산 20대 개발일정 연기
17:05
슈퍼소닉TV
Рет қаралды 80 М.
대한민국도 차세대전차 K-3 본격 개발한다
19:31
슈퍼소닉TV
Рет қаралды 61 М.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해줄 무한동력, 백색수소? [백색수소 특별편]
33:29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초고대 지구가 리셋했다는 증거(핵전쟁의 흔적..?)
18:59
억만장자 투자자, 이거 보고 잠수정 탑승 거절했다
7:12
일간 소울영어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대한민국 해군전력 이대로 좋은가?
25:52
슈퍼소닉TV
Рет қаралды 36 М.
Kind Waiter's Gesture to Homeless Boy #shorts
00:32
I migliori trucchetti di Fabios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