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과 비트겐슈타인 :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Рет қаралды 161,012

5분 뚝딱 철학

5분 뚝딱 철학

3 жыл бұрын

깨달음에 관한 다음 세 편의 논문을 요약했습니다.
“깨달음의 패러독스와 사적언어논증”(홍창성)
“비트겐슈타인과 성철” (김영필)
“조주의 선문답에 대한 언어비판적 분석” (김원명, 김필영)

Пікірлер: 605
@user-tr3gk4uk8o
@user-tr3gk4uk8o 3 жыл бұрын
나이 60이 되어서야 이렇게 책상위에 적어 놓았습니다. 공부와 숙련은 다르다 공부와 수행은 다르다 공부와 깨침은 다르다 김필영 선생님 공부하고 있어서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존경합니다.
@warriet29
@warriet29 2 жыл бұрын
아... 이 글도 어렵네요.
@rlawt369
@rlawt369 3 жыл бұрын
저번 한학기 동안 대학에서 불교철학 강의 들으며 배운 것 보다 이 영상 한편에서 배운 것이 더 많습니다. 정보전달 능력이 굉장하십니다. 이런 영상을 유튜브 알고리즘에 딱 떠서 클릭 한번으로 볼 수 있다는 것에 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wj1hg3ub5m
@user-wj1hg3ub5m 3 жыл бұрын
미투~~~~~^♥^~~~~~
@user-lu4fw1mo5w
@user-lu4fw1mo5w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이런 내용을 엄청나게 방대하게 다루는게 대단하죠!! 진짜 다루는 철학자 엄청 많더라거요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2 жыл бұрын
김필영 선생님은 정말 교수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Tpp20
@Tpp20 2 жыл бұрын
웃프네요🤣🤣🤣
@san_lee0022
@san_lee0022 2 жыл бұрын
대학교에서 만나는 교수님들은 랜덤인 반면에 유투브에서는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사람들이 인정받기 때문에 더 좋은 것 같네요
@deer.bug.
@deer.bug. 3 жыл бұрын
불교는 진짜 어렵지만 매력적인 학문인 것 같습니다...ㅎㅎ
@irnavy0613
@irnavy0613 3 жыл бұрын
헛소리임을 알기위해 계속 헛소리를 해야되는게 인간 숙명이구나.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3 жыл бұрын
오! 깔끔하네요
@leekidong1
@leekidong1 3 жыл бұрын
옷~~~~
@user-yx3tx7xg8k
@user-yx3tx7xg8k 3 жыл бұрын
이것도 결국 헛소리 너도나도 헛소리
@succeed_you
@succeed_you 3 жыл бұрын
굿
@Neokids123
@Neokids123 3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goldenbuglab
@goldenbuglab 3 жыл бұрын
지눌 스님의 말씀이 더 와닿네요. 깨달음은 깨달음인데, 그게 모든 것에게 적용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wonderer7997
@wonderer7997 3 жыл бұрын
참 아이러니 하네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말 많은 수련과 공부를 하지만 결국 진정한 깨달음은 그 모든것에 대한 생각들을 내려놓는 것이라니
@holymoly9854
@holymoly9854 3 жыл бұрын
말할수없는것엔 침묵하라-비트겐슈타인-
@5pm_Hazyblue
@5pm_Hazyblue 3 жыл бұрын
영상의 논증과 결론이 모두 멋집니다. 불교에서 무기(無記)라고 하는 결론인 것 같습니다. " '의미가 있느니 없느니' 말하는 것 자체가, '저승이 있느니 없느니' 말하는 것 자체가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 헛소리다. " 라고 하셨죠. 하지만, 모든 것이 헛되지는 않습니다. 사람이란 늘 망각하는 존재라서 심지어 깨달음조차 깨달았다 하더라도 가만히 있으면 생경해기지 마련이지요. 그렇기에 절에 가면 있는 불상, 불경, 수행의 계, 부처... 불교 밖에 있는 철학, 논리, 논증, 유튜브... 심지어는 악한사람 아수라장 무논리 가짜뉴스 등등 세상의 추한것들까지도(이경우엔 반면교사) 모두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으로서 필요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유튜브 영상으로 늘 철학의 달을 가리켜주시길!
@user-si9ht8sl1p
@user-si9ht8sl1p 3 жыл бұрын
과거의 말씀은 참고하되 현실에 맞게 바르게 살아야겠습니다. 깨달음이란 나의 모순을 찾아가는 것이 깨달음으로 가는길이라 생각되며 깨달음을 찾는순간 그때 부터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를 생각해 보며 진정한 삶의 길을 찾아 가는것이 아닐런지... 감사합니다.
@ho-ong
@ho-ong 2 жыл бұрын
제게 있어 너무나도 유익한 헛소리 오늘도 고맙습니다.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YDJS-yy1fx
@YDJS-yy1fx 2 ай бұрын
9개월 전 선생님의 비트겐슈타인 영상을 보고 생애 최고조로 깊은 환희를 느끼고 크디 큰 깨달음을 얻은 뒤 다시금 이 영상으로 찾아왔습니다만 이번에도 역시 그 황홀한 환희는 그대로군요. 깨달음이란, 영상에 나온것 처럼, 본디 개인만의 영역이자 한 단어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에겐 1이 진정 깨달음이 될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2가 진정한 깨달음이 될 수 있는 것 처럼 말입니다. 결국 중요한것은, 자신만의 그 불가형언한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이겠지요. 이런 영상들이 모두 제 인생의 신념이자 가치관이 되었다는 점에 무한히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만의 '깨달음'을 또 하나 만든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user-xp9gz5fg9k
@user-xp9gz5fg9k 3 жыл бұрын
아침에 듣는 북소리가 날 깨우네요. 항상 고맙고 감사 드립니다 좋은 말씀에 . . .
@user-sd3ni4fi9x
@user-sd3ni4fi9x 6 ай бұрын
강의 좋습니다. 깨달음 참 매력적입니다. 성철 스님은 책읽지 말라 했지만 자기 밑에 제자들은 책을 많이 읽고 가방끈이 긴 사람들만 두었다 하더군요. 아마 가방끈이 길어야 책 읽지 마라하는 말도 이해한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my_info
@my_info 3 жыл бұрын
20년간 독서로 인해 깨달은 점은 딱 두가지로 요약되었어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일체 유심조... 그냥 생각하는대로 보이는게 세상임 그리고 다 경전이나 언어에 속지 말라고 이야기 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이나 성인들... 자신들은 엄청나게 텍스트를 읽어서 그 경지까지 간게 팩트임
@user-jb8zf8sr1k
@user-jb8zf8sr1k 3 жыл бұрын
꽤 의미있는 주제였습니다. 동양철학을 배우다보면 이런 오묘한 맛에 빠지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어느샌가 깨달음에 더 다가가 있는 저를 만나게 됩니다. 어쨓든 손가락만 보고 있더라도 그것의 방향도 언젠가는 보게 될테니 말입니다~ 훌륭하신 강의 감사합니다^^
@user-ed9mp3do5h
@user-ed9mp3do5h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결론이 좋은 말씀입니다 훌륭하십니다 💖👍 따로이 깨달을 것이 없다는 것을 아는 것이.. 깨달음이라는 환상놀음 입니다 하늘에 핀 무지개를 쫒아서 무지개만 보고 걸어가다 낭떠리지 에 떨어져 죽습니다 깨달음 쫒다 인생 망가지고 폐인되는 경우 허다 하지요 가짜에 속아 환상놀음을 하다 허송세월 하는 것입니다 성철스님이 어느정도 수준이신지 는 모르나 세상속에서 사람들과 부대끼며 사셨더라도 그 마음상태 유지가 가능하셨을까요? 그 진여의 자리, 깨달음 자리에서 24시간을 머물수 있으셨을까? 하는 의문이 있지요 진짜 공부는 온실 속에서 하는 게 아니고 생존의 처절한 전쟁터예서 해야 제대로이죠 스님들에 대한 그런 환상 갖지 맙시다 그러나 믿고 싶습니다 훌륭하신 고승님들, 스님들이 진실을 알았고 , 아는 만큼 행동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고 말이죠 우리들 모두 노력합시다 위선자가 되지 않기 위해 ..
@user-wj1hg3ub5m
@user-wj1hg3ub5m 2 ай бұрын
몽산법어애 그런 말이 나옵니다,,,,사람들이 들끓는 시장 속애서도 화두 일념이 된다면 큰 깨달음을 얻을 시긱가 다가온 것이라고,,,,,,
@ccorea33
@ccorea33 3 жыл бұрын
대박ㅜㅜ 이토록 세련된 주제에 세련된 영상이라니!! 감사합니다
@udy6156
@udy6156 3 жыл бұрын
지눌스님의 수심결과 육조의 육조단경 모두 재밌게 봤는데요. 돈오돈수 돈오점수 깨닫고 난뒤에 보면 다르지 않습니다. 산 정상에 올라 뒤돌아보고 너 어디로 왔니? 했더니 a코스로 온사람 b코스로 온사람. 코스만 달랐을 뿐입니가.근기에 따라 자기에게 주어지는 길이 다른거죠. 정상에 올랐으나 올라온 길이 다르기에 둘다 같다 할 수도 없고. 어느 한길이 낫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진실은 다만 길이 달랐을 뿐. 모두 진실. 중도입니다. 사실 근기,돈오돈수,점수라고 하는 것도 관념적으로 표현한 것이지 실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없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달을 가리킨 손가락이 존재하는 것처럼요. 내 모순을 알아보고 참회하고 감사함이 마음그릇에 차면 스스로 알게되지요. 나는 똥만드는 기계란 사실을 ㅎ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금강경- 유투버님의 깊이 있는 헛소리에서 내공이 느껴집니다. 꾸벅
@user-wj1hg3ub5m
@user-wj1hg3ub5m 3 жыл бұрын
아쭈, 쫌 아는것 같은데??? 하하하하,
@user-lf4ek1cm6q
@user-lf4ek1cm6q 3 жыл бұрын
우리 고등학교 철학선생님도 맨날 학생들한테 똥만드는 기계라고 하셧는데ㅋ
@user-gn6ru5ee2b
@user-gn6ru5ee2b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동양철학은 성찰하여 평안한 행복을얻고 서양철학은 지식을쌓아 지혜로 행복을 얻는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시선의 장르/철수김원태 행복한삶. 긍정(절대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사는삶 . 불행한삶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사는삶 잘사는삶 희락과 고통의 리듬을 조화롭게 잘타는삶.. 정의란? 반칙없는 옯바른마음과 균등한 분배다. 또 정의는 지혜로운 눈으로 세상에 시선을 던지는것. 즐거운삶. 긍정과 사랑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죽음을 굴복시키고 행복을 느끼면서 사는삶.
@mose012600
@mose012600 3 жыл бұрын
깨달음의 구분이 좋았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feelkorea1
@feelkorea1 3 жыл бұрын
🧡🧡영상 즐감하고 갑니다. 건강한 하루되세요. 응원합니다. 👍👍👍
@taemoshin
@taemoshin 2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진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mm4no1jt5v
@user-mm4no1jt5v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에서 간만에 좋은 방송 만나 아주 재미지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치구들과 선후배들에게 인연따라 알리는 중입니다. 흥해라 흥해~~~~~얼씨구 좋타~~~~~
@sogi6911
@sogi6911 3 жыл бұрын
곱씹어서 생각하게 되는 멋진 주제네요.. 감사합니다!
@user-sd3ni4fi9x
@user-sd3ni4fi9x 2 жыл бұрын
영상, 강의, 모두 멋지네요.. 깨달음이 존재한다고 가정해도 그것을 말로 책으로 기술할 수 없고 햬도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보는 셈이니... 불가의 각이란 철저하게 '사적언어'라는 것이 이해됩니다. 더더구나 깨달았다는 사람들끼리 서로 아니라고 하는 판국에 이르면...과연 그 '깨달음'이란 것이 추구할 가치가 있는 것일까 하는 생각에 이릅니다. 암튼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onbliss
@onbliss 3 жыл бұрын
참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ngel0409
@ngel0409 3 жыл бұрын
정말 항상 그렇게 유익하네요ㅎㅎ 감사합니다 :)
@bookstoremaster1023
@bookstoremaster1023 3 жыл бұрын
고딩 때 꿈과 물리공부로 색즉시공을 깨우친 바로서....... 학교가 미션스쿨이라서 법사님한테 말했다가 속세에서 깨달음을 얻는것도 좋은 공부라고 하셨습니다.....
@user-kv4in6go2o
@user-kv4in6go2o Ай бұрын
제겐 헛소리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kimgookhyun_1999
@kimgookhyun_1999 3 жыл бұрын
오늘 본 영상은 5분 뚝딱 철학 영상 중에서 최고였습니다! 그리고 선생님! 선생님께서 영상 200여 개 정도 만드실 생각이라고 하셨는데, 영상에 대해 부탁드려도 될까요? 무리한 부탁일진 모르지만 299개까지 영상을 만들어 주실 수 있나요? (농담반 진담반입니다)
@NEO-sz6ff
@NEO-sz6ff Жыл бұрын
완전 흥미진진 , 넘넘 잘 봤습니다. !!!!
@singclair8814
@singclair8814 Жыл бұрын
좋았습니다~!
@user-gk6rl4yu6i
@user-gk6rl4yu6i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ㆍ솜결
@user-yb6mp3gi1y
@user-yb6mp3gi1y 3 жыл бұрын
.... 인류의 가장 큰 비극은, 궁극적인 자유를 얻은 극소수의 깨달은자들의 가르침을, 깨닫지 못한 자들이 마음대로 편집하고 해석하는데서 일어난다......!
@wingsoverfries
@wingsoverfries 3 жыл бұрын
휴학 중인데 다시 대학교에서 교양을 듣는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많이 배워가요.
@user-ts2oi3wf1k
@user-ts2oi3wf1k 3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입니다 배우고 갑니다
@user-ow7rn1pi3w
@user-ow7rn1pi3w 3 жыл бұрын
인간은 뇌에서 언어로만 생각할 수 있다. 어떠한 체험은 다양한 감각에서 시작되지만, 결국 최종적으로는 뇌의 알고리즘을 통해 어떠한 단어로 도출되어 생각할 수 있을 뿐이다. 비트켄슈타인은 이것을 언어놀이라고 표현하였다. 노자의 사상처럼 “깨달음”을 어떠한 문장이나 언어로 정의 한다면 그것은 더이상 깨달음이라고 하기 어렵다. 인간은 뇌에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현상을 해석하고 언어를 통해 이야기를 지어낼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것이다. 하지만 아무것도 아닌것이 또 모든것이 될수도 있는 것이다. 이 내용이 참 현묘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 제 댓글도 헛소리 입니다ㅠ
@taegonkim3292
@taegonkim3292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user-uw1ut4ss2q
@user-uw1ut4ss2q 3 жыл бұрын
저 분들의 생각의 깊이를 도저히 따라갈 수 없네요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 밖에 들지 않았습니다.
@user-nv2fg3my9z
@user-nv2fg3my9z 3 жыл бұрын
재수공부하다가 쉴 때 마다 옵니다..영상 감사드립니다
@user-cu6kh5sy6k
@user-cu6kh5sy6k 3 жыл бұрын
아이고 이귀한걸..아침부터 꼭꼭씹어먹겠습니다..
@user-rh7pz8en6z
@user-rh7pz8en6z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lias_34
@elias_34 3 жыл бұрын
김해사는....
@user-kx8vt2by7w
@user-kx8vt2by7w 3 жыл бұрын
뚝딱님의 관점으로 풀어나가는게 재미있네요~ 감사해요
@nicolask6083
@nicolask6083 2 жыл бұрын
김필영 선생님 감사합니다
@user-bw9jz2pl6u
@user-bw9jz2pl6u 2 жыл бұрын
깨달았다고 하는 순간 또 다른 깨달음이 시작된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igzynzoogangB
@bigzynzoogangB 3 жыл бұрын
무수히 쌓인 북마크와 나중에 볼 동영상에 일침을 가하는 성철스님의 말씀이 인상적입니다
@7080fusionArt
@7080fusionArt 3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동양철학하면 생소하실텐데 드디어 말문을 조금씩 여시는것 같아 기쁩니다
@autotokalon7
@autotokalon7 3 жыл бұрын
부처님도, 비트겐슈타인도, 니체도 공통적으로 하는 말 "나를 넘어서 너만의 것을 찾아가라" 비트겐슈타인은 자기논리를 사다리처럼 타고 올라간 후엔 걷어 차버리라고 말했는데 적절한 비유 같아요ㅎㅎ 이론, 지식을 넘어선 진리.
@booktube_afternoon
@booktube_afternoon 3 жыл бұрын
저는 종종 배를 타고 갔으면 배에서 내려야지 배를 타고 있으면 강을 건너지 못한다고도 비유합니다. 손가락과 달의 비유와 같죠. 헛소리긴 하지만, 헛소리도 손가락이나 배 쯤으로 생각해보면 좋겠네요. 배도 손가락도 필요하니까요. 오늘 영상도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주제를 쉽게 잘 정리해주시는 건 선생님의 탁월한 능력이고, 그만큼의 고심과 노력이 있었겠지요? 감사한 마음 듬뿍 남깁니다~^^
@user-me8rw8hd3h
@user-me8rw8hd3h 3 жыл бұрын
와우
@user-ue6fc9vj2v
@user-ue6fc9vj2v 3 жыл бұрын
오늘 아침 방송시청하고 새삼 한가지 깨달었습니다. 역시 철학은 어렵다는것을. . . ㅎ
@user-cr4us5uv9k
@user-cr4us5uv9k 3 жыл бұрын
/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집착을 버려야 하나, 깨달음에 대한 집착은? cf)러셀의 이발사 역설 ; 자기 수염을 깎지 않는 사람만 잘라주는 이발사, 자기 수염은? -> 자기 수염을 깎을수도 없고, 깎지 않을 수도 없다. -> 깨달음의 패러독스로 연관 수행을 통해 집착을 하지 않는 습관이 배이면 굳이 버리려 하지 않아도 버려짐 / 돈오점수 : 단박에 깨닫고 점진적인 수행, 고려 지눌스님 vs 돈오돈수 : 단박에 깨닫고 수행은 불필요, 고려 보우스님, 성철스님 -> 둘은 다른 깨달음? 아니면 정도가 다른 깨달음? -> 깨달음은 사적체험이므로 알 수가 없음 / 비트겐슈타인의 '사적 언어 논증' "내 상자안에는 딱정벌레가 들어 있다." ->다른 사람의 상자 속에 딱정벌레(사적 언어)가 들어있는지 알 수 없다. ->주관적 경험(사적 영역)은 결코 알 수 없다. -> 언어의 달콤함에 빠져 꿀통함정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철학자들 비판 깨달음의 분류 - 지적인 깨달음 : 공 사상의 이해, 연기에 의해 변화하며 실체/본질은 없음 - 열반적 깨달음 : 체험으로서의 깨달음, 성철스님이 주장하는 진정한 깨달음 ~> 선불교 :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언어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비트겐슈타인은 깨달음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불가능하다는 '철학적 논의'를 하므로 모순!
@user-gr8tf7vb3b
@user-gr8tf7vb3b 3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참 잘 만드셨네요
@Chris-cp6uj
@Chris-cp6uj 3 жыл бұрын
철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어찌보면 깨달음을 얻어가는 수행의 길과 비슷한것 같네요.^-^딱딱하지 않고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요즘 혼자 생각하며 공부해가는 기회가 많아지는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pm8wm5yc6e
@user-pm8wm5yc6e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ej9yh2rd8d
@user-ej9yh2rd8d 3 жыл бұрын
비트겐을 보고 들어왔는데 성철스님을 만나뵙네요. 감사합니다 ^^
@sunshinehappy1238
@sunshinehappy1238 Жыл бұрын
어릴적 중학생때 우연히 보게된 성철스님의 영원한자유라는 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후 오랜시간이 흘렀네요. 언어로는 한계가 있고 여기 유트브에서 언어로 얘기하는 것처럼 말 언어는 어떤 동기, 무브먼트를 유발할 수 있는 힘이긴 합니다. 그치만 모든 갈증을 해소하기엔 1프로도 부족하죠... 삶은 실제가 아니고 실제와 같은 착각이 드는 연극일 뿐인것 같아요(본인의 의지가 들어간, 여기서 의지도 현생의 의지) 성철스님도 본인이 아닌이상 우리가 깨달으신 분이다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언어에는 한계가 있고 그 안에서 말씀을 전하셨으므로. 성철스님이 하신 말은 딱히 새로운 얘기가 아니기도 하구요.. 관련 서적 조금만 봐도 알수가 있느니, 하지만 저같은 사람들 깨우침에 입문할 수 있도록 도와주셔서 너무나 감사한 스님이십니다.
@love1_
@love1_ 3 жыл бұрын
와 ~ 너무 감사해요. 👍
@lovelybbo123
@lovelybbo123 3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개인적으로 깨달음이라는 주제가 잡념과 온갖 감정이 많은 저에게는 흥미로운 주제거든요.
@ydh344
@ydh344 3 жыл бұрын
사적 언어 논증의 요지는 깨달음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가 아닌가가 아닌 깨달음이라는 것 자체가 매우 개인적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에, 세상에 흩뿌려진 글과 언어에 현혹되거나 철학적 논의를 하는 등의 활동에 쓸떼없는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깨달음의 철학적 논의는 불가능하다는 철학적 논의는, 깨달음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아닌 깨달음과 같이 언어로 상세히 표현될 수 없는 어떠한 개념들에대한 철학적 논의이기에 충분히 의미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적 언어 논증의 요지를 깨달음의 객관적 여부가 아니라고 받아들인다면, 그 자체로도 의미가 없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3 жыл бұрын
동양철학 감사합니다. 재미있네요.
@user-gc5vl6hz8q
@user-gc5vl6hz8q 3 жыл бұрын
깨달음의 정의는 뭘까요? 틀을 깨고 어딘가에 다다른다~그걸 깨달음이라고 배웠습니다. 아기가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모든 게 처음부터 완벽한 건 아닌데... 각자의 정의와 개념에 따라서 언어는 가변적임을 알기에 블교에서의 깨달음 논쟁은 언제나 공허하게만 여겨집니다. 잘 먹고,잘 살면,그게 가장 잘 깨달은 사람입니다. 이 문구 또한 물질적인 해석만을 하는 사람은 어쩔수 없이 그 또한 그렇게 살면 그 뿐이고요.... 항상 철학의 현실적 조명을 해주시는 영상들에~감사합니다!
@user-el2lv8rw2q
@user-el2lv8rw2q 3 жыл бұрын
필영형님항상감사합니다
@TV-lh6tn
@TV-lh6tn 3 жыл бұрын
언어의 한계를 꼬집는 성철 스님의 말이나 노자가 '도'라고 말하는 것이 '도'가 아니라는 말이 상통합니다. 이론만으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만은 인정하고 싶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user-ul5bn1xj3u
@user-ul5bn1xj3u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말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침묵해야 한다. - 비트겐슈타인
@eunsunglee8533
@eunsunglee8533 Жыл бұрын
깨달음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봐라. 불교를 공부하는 많은 사람들이 수행으로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 완전한 깨달음(열반)에 이르기를 바래봅니다.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평안하라. 안락하라.
@gkong2731
@gkong2731 3 жыл бұрын
으 너무 좋은 영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eslee0070020
@eslee0070020 3 жыл бұрын
끊임없이 생각하라. 책은 목표로 가기위한 생각의 사다리이다.
@user-xc2ok6ef7d
@user-xc2ok6ef7d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wincup
@wincup 3 жыл бұрын
선추천 후감상~!
@user-jc9vp1cu1g
@user-jc9vp1cu1g 2 жыл бұрын
오늘의 작가님 이야기도 헛소리일 수도 있겠다는 마지막 멘트 미소짓게만드네요. 삶에 지혜가되는 헛소리도 있을까요 ? ㅎㅎ
@user-bj2pv5ud3n
@user-bj2pv5ud3n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영상입니다
@keepgoing5129
@keepgoing5129 3 жыл бұрын
성철 스님의 선승 오계, 저는 못 지켜요. 그냥 깨달음 없이 많이 자고, 말도 많이 하고, 책 보면서 간식도 먹고 돌아다니며 색계에서 즐겁게 살렵니다.(구독자 10만 달성, 실버 버튼 개봉기 올려주시기를 기대하며 축하드립니다!)
@sangyongpark2137
@sangyongpark2137 2 жыл бұрын
선승 5계를 지키며 사나 색계에서 화식을 즐기며 육체의 편안함과 안락을 즐기며 사나 결국에는 같습니다. 모든것은 그저 하나의 꿈과 같습니다.
@sugasung
@sugasung 3 жыл бұрын
형님~ 마지막 맨트(저의 모든 소리는 헛소리였던 것 같습니다.) 졸라 멋지십니다*^^*
@gui_94
@gui_94 3 жыл бұрын
와 10만축하드립니다!!!
@user-ji1zi5cf7w
@user-ji1zi5cf7w 3 жыл бұрын
깨달음 뒤에 뭐가 있지?에 대한 생각~ 무상무념, 침묵,아름다운세상, 사랑, 자유로운 영혼
@user-iv6np5pq5n
@user-iv6np5pq5n 2 жыл бұрын
5분뚝딱철학 덕분에 행복합니다^^
@user-zr2hs6hj9n
@user-zr2hs6hj9n Жыл бұрын
오!~~~~매불쇼 구독함
@clarahan4203
@clarahan4203 2 жыл бұрын
와, 최고네요.. 그동안의 논쟁이 주질없음을 느끼네요
@nanakim5117
@nanakim5117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소개해 주신 논문도 찾아 보겠습니다
@TV-nc6ev
@TV-nc6ev 2 жыл бұрын
달그자체ㅡ달을 지각하는것ㅡ손가락을 보는것ㅡ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ㅡ달을 보라는 깨우친 스승의 언어와 목소리ㅡ그 목소리덕분에 달을 보고 달을 알게되는 과정 전체 모두 교육적 대화의 상호작용성ᆢ김필영선생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_____dew
@_____dew 3 жыл бұрын
개인의 사고는 개인의 언어를 넘어설 수가 없죠 언어에 집착하고 싶지 않지만 또 그러지 못하는 저의 패러독스입니다ㅠ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user-kv4mi8nv6d
@user-kv4mi8nv6d 3 жыл бұрын
10만명 돌파 축하드려요~~
@user-if1qi4en8c
@user-if1qi4en8c 3 жыл бұрын
'꿀맛에 오도가도 못하고 꼼짝도 할 수없는 가련하고 어리석은 파리 신세=어리석은 인간의 모습', '조주의 명쾌한 신발짝 답변' ~오묘하고 심오한 선생님의 훌륭한 강의!⚘
@user-zy4ux7db1q
@user-zy4ux7db1q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가끔 생각해보던 것이었는데 영상을 보고 나니 생각이 정리 되네요. 10만 구독자 축하드립니다~ㅎㅎ
@user-wj1hg3ub5m
@user-wj1hg3ub5m 3 жыл бұрын
산을 물이라고 하는 놈도 머저리고, 산을 산이라고 하는 놈도 머저리다. 내가 머저리임을 아는 것으로 족하다. 그 이외의 것을 알려고 하는 놈은 쓸데없이 욕심만 많은 놈이다.
@asdasdasdww6001
@asdasdasdww6001 3 жыл бұрын
아니지, 머저리가 모든 사람을 머저리로 만들려고 한다면, 그거 자체로 죄악이지. 필요악 몰라?
@asdasdasdww6001
@asdasdasdww6001 3 жыл бұрын
저 비트겐슈타인 새끼 말은 그냥 연관 관계적 생각을 포기하겠다는거 아님? 자기 무능을 합리화하는 것에 불과함. 인생을 초자아 없이 살아가겠다고? 그래서 거기가서 꺵판 피우셨나봐. 감정을 제거하겠다고 마음먹었다고 감정이 사라지는게 아닌데, 재귀정의 명제나열 자승자박 그 자체인듯.
@dongwonkim5043
@dongwonkim5043 3 жыл бұрын
@@asdasdasdww6001 이런 말을 하는 본인도 머저리~
@Conan2296
@Conan2296 3 жыл бұрын
머 저리 말이 많아 ! ^^
@user-wj1hg3ub5m
@user-wj1hg3ub5m 2 жыл бұрын
니들이 머저리를 알어?
@user-mw6kq1zq7q
@user-mw6kq1zq7q 3 жыл бұрын
귀한 강의 영상 늘 감사합니다 👍👍👍 그런데 세 시간 자면 깨달음이고 뭐고 세상 다 귀찮습니다 ㅋㅋ
@user-rg2ob5pq3t
@user-rg2ob5pq3t 2 жыл бұрын
😅
@user-rd6oz2gp7n
@user-rd6oz2gp7n 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z5mc7sy6p
@user-mz5mc7sy6p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j3ok5yv8g
@user-tj3ok5yv8g 3 жыл бұрын
이런 의문은 수준을 고려하지 않아서 나오는 것이라 봅니다. 일단 깨달을려면 깨달음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근데 깨달음을 추구하는 것은 소위 에고인데 그 에고를 초월하는 것이 깨달음이기에 결국에는 깨달으려는 욕망도 버려야 합니다. 언어적 가르침도 마찮가지죠. 초반에는 많이 들어서 채워야 합니다. 왜냐면 그래야 방향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끝으로 갈수록 비워내야 하죠. 궁극의 진리는 형상이 없는데 언어는 자동적으로 어떤 상을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모순이라고 하는 것은 과정을 고려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과정마다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시작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것과 끝나는 단계에서 필요한 것이 다릅니다. 근데 그런 과정과 수준을 무시하고 본다면 모순처럼 보이지요
@user-wb2kt2dv6h
@user-wb2kt2dv6h 3 жыл бұрын
광고 타임이 꼭 쉬는 시간 같네요.쉬어가며 열심히 들었 습니다~^^
@yi5922
@yi5922 3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한 모든 이야기는 저의 헛소리인 것이죠’ 라는 작가님 만의 유머~~ 오랜만에 웃습니다~😀
@user-fz2pq5nn7x
@user-fz2pq5nn7x 3 жыл бұрын
깨달은바 없이 깨달음을 얻고싶습니다
@user-ju4zn6kt1x
@user-ju4zn6kt1x 2 жыл бұрын
예전 말을 통한 깨달음은 방편이라 들은적이 있는데 같은 맥락의 이야기를 철학적 논의대상으로 삼으니 또 새롭네요. 정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다만 제 짧은 지식으로는 언어의 단계에서 깨달음에 대한 배척은 원효가 주장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이러한 주장이 원시불교에서도 나타난다고 볼 수 있을까요?
@ccorea33
@ccorea33 3 жыл бұрын
'성철스님', '깨달음' 너무좋습니다! 동양철학도 다뤄주세요~!!
@DJAi5396
@DJAi5396 3 жыл бұрын
구독자 10만명 축하드려요~~
@AK-ip9fd
@AK-ip9fd 3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 볼수록 철학과 졸업하면 실업자 되고, 철학하면 배고프게 살 수 밖에 없다는걸 실감한다.
@yeseulhan9792
@yeseulhan9792 3 жыл бұрын
ㅠ..
@bless0414
@bless0414 3 жыл бұрын
4차산업혁명과 인문학 4차산업혁명에서 인문학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혹은 어떤 관련성/연관성이 있나요??+ 인문학의 정의도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인문학이 중요해지고 있는 이유는 우리가 기술의 발전으로 편리성이 증가하게 되었지만 의외로 기술에 맹목적으로 빠지다보니 인간 윤리나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학문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인문학이 결과적으로 인간의 감수성이나 사고에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기계와 융합시키고 기계를 만들때 결합이 되어야 비로소 우리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문학은 보통 인류가 가지고 있는 기본 소양 정도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ㅡ 출처. 네이버 지식인.
@bless0414
@bless0414 3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의 가장 기초는 철학과 신학입니다.
@bless0414
@bless0414 3 жыл бұрын
왜 CEO는 인문학에 열광하는가? 요즘 기업들은 ‘인문학의 시대’에 산다. 수많은 기업 CEO들이 인문학을 기업 내부 교육에 적용하고 있다. 인문학 CEO 양성과정은 이제 흔한 것이 되었으며, 기업 임직원들은 기업 내·외부에서 인문학 교육을 받는다. 유명 기업교육 전문업체 사이트에서도 인문학 교육과정을 쉽게 찾을 수 있다. 17년 동안 디즈니의 CEO를 맡았던 마이클 아이스너는 인문학도 출신이다. 그는 세상의 모든 일이 인간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점을 들어 문학의 유용성을 강조했다. 문학을 전공한 탓인지 그는 창의력과 경영가의 마인드를 동시에 가진 보기 드문 리더라는 평가를 받는다. 철학을 전공한 휴렛팩커드의 전 CEO 칼리 피오리나 역시 철학으로부터 수많은 정보를 하나의 핵심으로 통합하는 법을 배웠으며, 더 많은 사람들이 인문학을 배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알리바바, 홀푸드, 유튜브 등 거대기업의 수장들이 인문학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홍수가 터진 듯 넘쳐나는 근래의 인문학 열풍은 불과 10년 전만 해도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왜 인문학은 주목받고 있는가? 그에 대한 답은 인문학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에 있다. 인문학은 삶과 인간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평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현상들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혜를 얻을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때문에 인문학은 기존이 물질만능주의 사회와 인스턴트식 학문에 피로감을 느낀 사람들에게 일종의 탈출구가 된다. 동시에 기업 CEO들에게는 새로운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출처. 미디어 SR
@user-wj1hg3ub5m
@user-wj1hg3ub5m 2 жыл бұрын
ㅎ,ㅎ,ㅎ,
@gbc1827
@gbc1827 3 жыл бұрын
구독자 10만명 돌파! 실버버튼 인증해주새요 선생님 ㅎㅎㅎ
@bigsuntv262
@bigsuntv262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과 내용 항상 감사드립니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는 저도 나름 고민해 보았던 문제입니다. 제가 나름대로 정리본 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논쟁에 있어서는 아주 중요한 요소 하나가 빠져있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것이어서, 논쟁이 커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놓쳐버린 것입니다. 그 요소는 바로 수련을 하고 있는 각각의 한명의 수련자 그 개인입니다. 수련을 하는 것은 결국 한명의 사람이므로 이 존재를 빼놓고 돈오돈수니 돈오점수니 하는 논쟁은 무의미하게 됩니다. 즉 돈오돈수 돈오점수의 주체는 바로 한명 한명 개인의 수련자가 됩니다. 이것을 인간이라고 하는 종 전체를 기준으로보면 오류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그 한명의 수련자가 돈오돈수형의 기질을 가졌다면, 그 사람에게는 돈오돈수가 맞고, 그 수련자가 돈오점수형의 기질을 가졌으면 그 사람에게는 돈오점수가 맞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다분히 이론적인 면에서 보았을 때 그렇다는 것입니다. 실질적인 측면을 보았을 때는 돈오돈수형의 인간은, 수련자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돈오점수가 맞게 됩니다. 돈오돈수냐 돈오점수냐 이 자체에만 빠져버리면 오히려 다른 큰 것을 놓치게 됩니다. 좀더 넓게 보고 다양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언어의 한계성과 사고의 틀에 갖혀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즉 결론은 "둘다 맞다"인데 "이것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가 됩니다. 아무튼 아침 일찍부터 좋아하는 내용의 영상을 볼 수 있어 기분 최고입니다. ^^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십시요 화이팅입니다 ^^
@user-zy4ux7db1q
@user-zy4ux7db1q 3 жыл бұрын
명쾌하네요ㅎㅎ 👍👍
@user-jb8zf8sr1k
@user-jb8zf8sr1k 3 жыл бұрын
님의 글을 제 블로그에 옮기고 싶은데 허락해주세요~ 댓글의 내용이 넘 좋습니다^^
@heran6899
@heran6899 3 жыл бұрын
님의 글이 더 이해를 깊게 해 주네요. 철학적 논의가 헛소리라고 하더라도 왜 스님마다 다른 주장을 하셨는가에 대한 고찰은 의미가 있지요. 사실 저는 깨달음과 수행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다만 같은 수행이라도 깨닫기 전의 수행과 깨달은 후의 수행은 차원이 좀 다른 것 아닐까 하고 생각했지요.
@bigsuntv262
@bigsuntv262 3 жыл бұрын
@@user-jb8zf8sr1k 황송합니다. 감사합니다.^^ 빅썬이라는 출처만 표시해주시면 얼마든 옮기셔도 좋습니다.
@user-jb8zf8sr1k
@user-jb8zf8sr1k 3 жыл бұрын
@@bigsuntv262 그럼요~♡ 감사합니다^^
@alfredokim3103
@alfredokim3103 3 жыл бұрын
성철스님은 마지막으로 이런말을 하셨죠. " 내 말에 속지 마라 "
@user-we4rw2dr5s
@user-we4rw2dr5s 3 жыл бұрын
네 성철스님은 진정 깨달은 사람이죠...자기는 아무것도 알 수 없으며 모른다는 것을요
@kimdoojeen
@kimdoojeen 10 ай бұрын
@@user-we4rw2dr5s내말에 속지마란말에 속지마라고 한거 같습니다.
@dukahn7820
@dukahn7820 3 жыл бұрын
아고 형님 간만에 들어 옵니다. 잘 지내시죠 ^^ 재미있는 애기네요. 그런데...이영상보니 형님이 오늘 깨달으신 부처님 같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 보살. 일천만겁조우....
@user-jv9dw8nn6z
@user-jv9dw8nn6z 2 жыл бұрын
다시 한번 보아도 명쾌한 정리에 감동입니다. 첨언이지만 붓다의 육성(아마 일부만)을 기록했다는 니까야를 보면 깨달음보다는 '해탈'이라는 말을 주로 사용하며 비교적 명확한 언어로 정의를 내렸습니다. 니까야를 보면 선에서 말하는 순간적인 깨달음(뭐라 부르든)은 브라만교(힌두교의 전신)에서 말하는 범아일여의 성취에 가깝고 이를 비판하고 극복했다는 붓다는 해탈을 수행을 통해서 모든 번뇌가 사라졌고(삼애에 들었을 때나 삼매에서 나왔을 때나) 다시 윤회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안다라고 표현합니다. 역시 주관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최소한 스스로는(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면) 확인이 가능할 것 같아요. 중국에서 만들어진 선불교보다 오히려 기원전 6세기의 붓다가 '해탈'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대승비불설은 이미 불교계에서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승으로의 발전이라고 억지를 부리지요. 대승은 브라만교이고 선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짝퉁이라는 주장이 불교학자들 사이에서 들립니다.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불교철학이 이해한 시간의 성질 : 시간이란 무엇인가?
24:24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93 М.
쿤달리니란 무엇인가?
8:44
명상하는 작가, 김유래 Origin kim
Рет қаралды 23 М.
[선방토크] 견성을 왜곡시킨 성철스님 _240320
18:57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15 М.
신을 죽이고 미쳐버린 니체 (통합편)
20:33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68 М.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 비트겐슈타인의 미학
27:52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62 М.
〔월말 김어준〕 함부로 재생금지. #철학 #박구용
24:16
월말 김어준 〔audio magazine〕
Рет қаралды 53 М.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