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진스님 풀소유 혜민스님에 대한 작심발언! 무소유라는 단어가 만든 이상한 편견 [다른 종교 같은 생각 4화]

  Рет қаралды 157,159

불광미디어

불광미디어

8 ай бұрын

불광이 묻고, 4대종교인 만남중창단이 답한다!
성진스님, 하성용 신부님, 김진 목사님, 박세웅 교무님이 전해주는 솔직 담백 이야기
진정한 무소유의 의미가 무엇일까?
톡톡튀는 입담으로 종교간의 벽을 허물고, 우리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4대종교 성직자들의 토크쇼!
다른 종교, 같은 생각 4회. 앞으로 쭈욱 이어집니다.
4편에서는 무소유의 올바른 의미에 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00:00:42: 풀소유가 문제인가? 왜 유독 불교에 엄격한가?
00:01:48: 성진스님 작심발언! 현재 무소유로 불교가 처한 문제
00:03:55: 무소유를 이해하는 방법? 불교!
00:07:30: 무소유를 이해하는 방법? 개신교!
00:10:10 무소유를 이해하는 방법? 천주교!
00:11:00: 무소유를 이해하는 방법? 원불교!
#종교인들의고민 #4대종교 #종교인토크
◇ 불광 블로그(공식) :
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www.bulkwang.co.kr/

Пікірлер: 174
@user-rj9tv8ll1l
@user-rj9tv8ll1l Ай бұрын
성진스님 존경스럽습니다. 저는 천주교 신자인데 맞습니다. 저희에게도…또 진보적인 생각을 하는 정치 세력에게도 필요한 말씀입니다.
@user-qz7rd2qb1u
@user-qz7rd2qb1u 3 ай бұрын
가지되 집착하지 마라는 뜻으로 이해하고 살았어요.
@user-on8ue9jq5q
@user-on8ue9jq5q 3 ай бұрын
성진스님 말씀만 들어도 마음이 편해서 좋아요
@user-ss5st4bn2z
@user-ss5st4bn2z Ай бұрын
무소유란 인연따라 오는것은 분별망상없이 받아들이고 머무는것들을 바라보면서 그것에 끄달리지 않고 인연따라 내려놓아야 할때 아무런 집착없이 내려놓으라는것
@user-vp4vz1cx4r
@user-vp4vz1cx4r 6 ай бұрын
본사가 추구해야 되는 게 스님들의 노후여야 하는데, 자꾸 절을 키우는데만 집중하니까요. 추구하는 바가 바뀌어야 합니다
@thelezard3378
@thelezard3378 3 ай бұрын
성진스님의 말씀에 또하나 배웁니다.
@sandgold2288
@sandgold2288 8 ай бұрын
기워입은 시절은 일제시대와 전쟁통에 다 그러했기 때문이었죠 종단이 책임지지 않는 스님들이 정말 어떤 종교인보다 무소유나 마찬가지죠
@user-nb6vp2zs6w
@user-nb6vp2zs6w 7 ай бұрын
혜민스님 사건이 터졌을 때 엄청 분노가 일었는데 그간에 제가 가르침을 잘못 이해하고 있었구나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구도자의 노후를 국가에서도 종단에서도 책임을 안 지니 시급히 특단의 조치가 있어야겠습니다.
@user-yo6yo7ux5r
@user-yo6yo7ux5r 6 ай бұрын
노후를 종단에서 책임안지면 자본주의 사회에 익숙하지 않은 스님이 어찌 살라고? ㅠㅠ
@user-tm7dr7ji9o
@user-tm7dr7ji9o 6 ай бұрын
혜민은 승려가 아닌 일반인으로 살았기때문에 비판받는것. 출가자가 절에 살지않고 일반집에 산다? 혜민은 스님 아니야. 그냥 불자야. 불자가 스님인척하니 비판받는것.
@gotamabuta
@gotamabuta 6 ай бұрын
불가에서는 처처가 부처라합니다. 혜민스님이 도적질한것도 아니고 자본주의 국가에서 열심히 정진하고 돈벌어서 나눔도하고 결국은 가진거 모두 종단과 주변인들에게 돌려주었는데 왜 이런 행위들이 비판을 받아야 하나요! 칭찬을해야지 ?!
@edwardu-ken2130
@edwardu-ken2130 4 ай бұрын
@@gotamabuta 사업가 주제에 스님인척하고 장사를 처 하니까 쌍욕먹는거야. 부처의 가르침을 지 사업의 수단으로 이용해서 사리사욕 채우는데 그따위로 돈벌꺼면 비판 받고 욕먹는건 감수해야지 미국인 주제에
@user-fz5td3cp8o
@user-fz5td3cp8o 3 ай бұрын
출판한책 인세와 각종방돔출연,강연등 수입으로된 재산이 모두종단의이름으로 ,나눔과 사회환원을 하셨는데 마녀사냥하듯 본질을 매도하는게 참 안타깝다...
@user-uy8pd1cl3r
@user-uy8pd1cl3r 6 ай бұрын
성진스님이 참 말씀 잘하시는듯 귀가 쫑긋
@user-so9of8vq3b
@user-so9of8vq3b 6 ай бұрын
무소유란 가지고 있는것에 집착하지 말라. 그것이 참다운 소유다. 지혜로운 말씀 감사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부터 감사하는 마음으로 시작하겠습니다.
@user-vb1ng3zc6o
@user-vb1ng3zc6o 7 ай бұрын
가졌다 안가졌다는 생각을 다놓야 함. 양면을 다놓는게 진짜 무소유. 색이공이고 공이색이듯 물질과 정신은 결국 하나의 모습입니다.
@user-ns8ek4yt5e
@user-ns8ek4yt5e 6 ай бұрын
물타기 같은데요. 법정스님께서 말씀하신 무소유는 갖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것만 가지란 말씀이셨습니디. 고무신, 등산화 문제가 아니지요. 되도록 비우란 말씀이셨습니다. 혜민 스님의 경우가 거기에 해당되지는 않아보이며, 훌륭한 스님들이 많이 계시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도 반성하셔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제발달타가 부처님께 주장한 5가지 극단적인 두타행(고행)을 할 필요는 없겠지만, 마하가섭 존자께서 두타제일이라고 칭송되는 이유 또한 되새겨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중도를 잘 지켜야지 중도라는 미명하에 악용해서는 안됩니다. 내 것이 아니라도 가까이 두면 영향을 받는 것이 사람입니다. 이미 깨달은 수행자가 아니라 공부 중인 수행자라면 근검한 편이 공부에는 이득이 많겠지요.
@ahava125
@ahava125 3 ай бұрын
@slowslow33
@slowslow33 Ай бұрын
좋은말씀이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user-zu3yz5ik4t
@user-zu3yz5ik4t 16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입니다. 깨우치는게 많으신 거 같습니다..
@user-lg7ch5ic1t
@user-lg7ch5ic1t 2 ай бұрын
4분의 말씀이 오늘처럼 공허하고 겉도는 순간은 처음이네요. 예수님의 가르침과 법정, 성철스님의 가난한 삶이 이렇게 혜민스님의 이중적 생활을 변호하는데 사용되다니. 그래서 혜민스님이 무엇을 가난한 자들과 나누셨나요? 종교인들은 그 종교의 중요한 가르침을 대중들에게 파는 장사꾼처럼 변질되어 가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건가요? 일부 스님들의 어마어마한 판돈 고스톱 놀음과 또 일부 신부님들의 주식투자, 골프 또 일부 목사님들의 교회 세습이 어떤 의미에서 두둔할 일인가요? 노후를 각 개인이 준비하는 의미? 그러면 청렴한 척은 말아야지요. 천주교는 은퇴 후 교구가 준비한 조용한 곳에서 소박한 삶은 사는데 보장되는 것은 의료 뿐이라네요. 그게 싫으면 개인이 나가 살아야 한답니다. 제 가게에 우연히 신부님들이 자주 오시는데...은퇴한 주교님과 유명한 신부님들은 거의 교구가 마련한 곳에서 사시네요. 그분들이 노후를 준비할 여력이나 영향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교황도 교황궁에서 살지 않고 다른 사제들과 함께 산다고 들었습니다. 오늘 성진스님은 매우 난처한 주제에 불교다운 접근이 아쉬웠습니다.
@user-po3pl1xj6j
@user-po3pl1xj6j 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oonbokPark-it9zm
@SoonbokPark-it9zm Ай бұрын
같은편 들기?
@yoonjihwan835
@yoonjihwan835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정말 진심으로 맞고 맞는 말씀이네요 종교계시는분 모순이 많다생각했는대 존경스럽네요 네분~요😊😊
@well-fed-sophist
@well-fed-sophist 6 ай бұрын
풀소유에 대한 조롱은 단지 그가 소유하였다고만 생긴건 아니라고 봅니다. 집착으로 점철된 모습과 행동이 그를 조롱거리로 만든것이죠. 요즘 세상에 차 없이 살 수 없으나 스님이 외제차를 타는것은... 소유의 문제가 아니라 소유로 드러난 그들의 집착이 문제로 보입니다.
@user-zu3yz5ik4t
@user-zu3yz5ik4t 16 күн бұрын
물질에 대한 소유욕이 생긴이상 수행은 떠났다고 봐야함 식욕 성욕 물욕 생기면 스님인가?
@user-qv1ov3zu8n
@user-qv1ov3zu8n 5 ай бұрын
불교는 모든 만물이 하나이니 아껴쓰고 감사해야한다는걸로 알고있어요.
@TV-fz2ru
@TV-fz2ru 3 ай бұрын
네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craig506
@craig506 3 ай бұрын
우리 고귀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욕 먹이는 혜민은 종교인의 자격이 없음. 소유에 대하여, 좋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user-qz3qe8vq5n
@user-qz3qe8vq5n 5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수행은뒷전이고 돈과명성을쫓는머리깎은제가자는되지는맙시다
@user-td6mq2qf9y
@user-td6mq2qf9y 6 ай бұрын
무소유는 필요 이상의 것을 곁에 두지 않는 것, 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책임져야 할 의무와 권리가 있다. 스님도 또한 그렇다. 스님들에게 완전히 헐벗은 가난과 무소유를 하지 않는다고 비난하는 것은 어리석고 비열한 짓이다.
@user-lp8zr7jz4x
@user-lp8zr7jz4x 3 ай бұрын
필요이상의것? 어디까지가 필요한건지는 주관적인것이라...ㅜ
@user-pg3im3nf5d
@user-pg3im3nf5d Ай бұрын
얼마나 가져야 스님인데요? 뉴욕 아파트? 명품차? 아이고 이러니 비난하지
@user-ph3ud2fr4f
@user-ph3ud2fr4f Ай бұрын
뉴욕 아파트, 고급 외제차 가졌다고 떠드는 사람은 많은데 증거대는 사람은 한 명도 안 나왔음. 증거 보여줄 수 있나요?
@howard1714
@howard1714 4 ай бұрын
성진 스님 말씀은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무소유"에 관하여는 전 다른 생각을 합니다. 세상에 보여지기 위하여 무소유를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번뇌의 시작 그것이 무엇인지요? 작은거 하나라도 내것이라는 집착 그런거 하나부터가 번뇌와 욕망 욕구의 시작이 아닌지요? 그런 의미에서 번뇌를 버리고 고뇌를 버리고 성불 하자는 뜻으로 무소유를 말하는것이지 보여주기? 그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그럼 성철스님과 법정스님은 보여주기 위해서 무소유를 가르치셨나요? 대중들에에 소유하지 말라 가르치셨나요? 해탈에 길에 도달 하고자 하는것이지 기어 입는것이 보여주기라는 의식으로 사람들이 생각하게 할 수 있습니다. 전 불자는 아니지만 어떤 계기로 불경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나 하나 깨달으면서 또 하나 하나 깨달고자 열심히 공부 하고 있습니다.
@user-sf5dw3dn1g
@user-sf5dw3dn1g 17 күн бұрын
법정의 무소유와 그런 류의 무소유는 엄청난 장삿질이기에...즉 중생들의 효과적 호주머니 털기이지요. 1년에 10달을 호화로운 크루즈 여행 5성급 이상 호텔 숙박의 최고 상위층이나 누리는 일 하면서 입 털어댄...솔직히 종교 사기꾼!
@user-sf5dw3dn1g
@user-sf5dw3dn1g 17 күн бұрын
한 때 유행한 무소유, 불자들과 일반인들 호주머니 털기에 대단히 유용했고 효과적이었던 장사 아이템이었지요. 무소유 오두막 기운 옷 등등으로 엄청난 부를 획득 호사스럽게 즐기며 살다 간 법정이 승자, 실체는 종교 사기꾼이랄까... 사리가 나왔으면 또 엄청 팔아 먹었을텐데 입꾹 한 것은 나와야 할 사리가 안나와서.. 수도를 별 않고 1년에 10달을 호화로운 크루즈 여행에 고급 호텔 생활을 즐겼으니 사리가 생길 시간이 없었고...또 승려가 김대중 꼬붕 즉 김일성가 추종하는 빨갱이 였으니 뭔 사리가... 말만 화려했던 인기인이었을 따름. 님이 훨씬 고상한 수도자인 듯 합니다.
@user-ce8zx3ek5t
@user-ce8zx3ek5t 3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dalkomband
@dalkomband 3 ай бұрын
스님이라고해서 완전한 무소유의 삶을 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속세의 사람들이 가진 물욕과 다름 없이 유명한 메이커 제품들로 풀소유하면서 살아간다면 스님의 존재이유는 무엇인가요? 출가하지 않고 불교학을 연구하는 학자와 무슨 구별이 있을까요? 소유에 대한 엄격함을 갖지 않으면 구도자로서 존경받는 것 또한 포기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xb6cq8il9q
@user-xb6cq8il9q Ай бұрын
성진 스님이 이야기 하셨네요 내가 여기 있다고 내것이 아니다 혜민이 욕을 먹은것은 누가봐도 개인 소유 욕망으로 행동했기 때문인겁니다
@user-ce8zx3ek5t
@user-ce8zx3ek5t 3 ай бұрын
스님~~
@user-dj9sn4rc1j
@user-dj9sn4rc1j 2 ай бұрын
회사원도 와이셔츠 입지 않도록 추세가 실용적인 의복입기를 지향하는데, 우리나라 스님들은 방송ㆍ법문시에 주름 빳빳하게 잘 다려서 입으셔야하는것이 거추장스런 일인듯 합니다 또한 외제차등 비싼 물품 갖고다니시는 스님들에 더불어 천도제ㆍ49제등 너무 비싼 비용으로 제사를 지내야하는 것도 절에 많은 시주돈을 낸 불자는 앞에 앉을 수 있게 하는 절의 행태를 보면 참 주식회사 ᆢ절 같은 생각이 듭니다 조계종 권력타툼이 어디 하루이틀 일이던가요ㅠㅠ 불자들의 시주돈을 귀히 여기라는ᆢ 그래서 체중도 늘리지 말라는 효봉ㆍ법정스님의 말씀을 소중하게 기억합니다 진정한 큰 스님들의 복지ᆢ 동감합니다 다만 대접받는 한국 불교가 아니기를ᆢ 기도합니다
@user-bs8dw3cq3y
@user-bs8dw3cq3y 6 ай бұрын
세상은 무한 변했는데 종교에 대한 편견은 여전히 그 자리.
@qrdigzx6461
@qrdigzx6461 2 ай бұрын
과학과 의료가 발전하는 세상에 종교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자체가 다행인지 아셔야죠 안 없어진걸 다행이다 생각하세요
@user-bs8dw3cq3y
@user-bs8dw3cq3y 2 ай бұрын
@@qrdigzx6461 과학과 의술이 아무리 빌전해도, 인간 정신세계의 공허는 메울수가 없지요.다만 양상이 바뀌겠지
@user-uf8uh5ig6h
@user-uf8uh5ig6h 18 күн бұрын
​@@qrdigzx6461시건방진 소리하네 네가 무슨 종교에 아량이라도 배푼것처럼 거들먹 거리는데 과학 이전에 종교가 인간의 사유를 지배했다
@freeeconomy
@freeeconomy 2 ай бұрын
이 스님의 눈빛을 보면 진실한지 아닌지 알수있다
@lovelykim1708
@lovelykim1708 Ай бұрын
내게 사는 동안 주어진 것들에 대해 집착하지 않고 감사함으로 나누는 것..
@user-lh6jy8gm6d
@user-lh6jy8gm6d 2 ай бұрын
무소유는 가지지 말라가 아니고 있다고 할 바가 없다라고 제 스승님께 배웁니다 부처님께서는 무상법을 말씀하셨습니다 그러기에 있긴 하지만 가지지 말라가 아닌 " 있다고 할 바가 없다" 라고 배웁니다 합장
@bosug75
@bosug75 8 ай бұрын
불교는 가난한걸 복을 짓지않아 생긴 결과로 봅니다. 그래서 일상에서 복짓는 습관을 가지라 말하죠. 그런데 부자한테도 복을 지으라 말합니다. 다음생을 위해.. 그런데 스님들한텐 소욕지족을 말합니다. 스님들은 이세상을 살아가는게 목적이 아닌 어떤형태로든 존재계에 존재하지 않는걸 목표로 수행하기에 존재계에 존재원인인 존재에 대한 갈망을 버리게 하기위해서
@user-ne2es1xl9w
@user-ne2es1xl9w 5 ай бұрын
불교 교단은 처음부터 걸식 문화였기에 신도들이 주는 데로 받아 먹는다. 그러하기에 무소유라는 말은 없다. ​불교 교단이 발달하면서 불교는 일반적으로 소욕지족(少慾知足)을 말한다. 특히 대승불교가 되면서 돈이 많고 적고는 論하지 않게 된다 그 재화(財貨;돈)를 바르게 취득하고 바르게 씀을 원할 뿐이다. 돈은 창의적으로 유용하게 잘 씀을 원한다. 돈을 죄악시 하지 말고, 돈을 인색하게 쓰고, 오용하기 때문에 비판하는 것일 뿐이다! 그 재화(財貨)를 연연해 하는가? 안 하는가? 의 그 차이점이다. 금덩어리가 있건 없건 自由로워지는 것이 진정한 "무소유"의 해탈입니다. 대승불교는 굳이 앉아서 할 필요가 없다. 움직이면서 돌아다니면서 모든 것을 쓰고 사용하면서도 깨달음을 성취한다. 21세게 현대불교는 어것을 당당하게 보여야 한다. 이것을 못했을 뿐이다. 미국 갈 때 비행기도 타야하고 일상생활에서 자동차도 휴대폰도 사용한다. 짚신 신고 살 수 있는 세상이 아니다. 출가 스님들도 대사회적인 일을 하기 위해선 基金[돈]이 필요하다. 이웃들에게 기부(寄附)도 해야 되고, 이웃을 돕고자 쓸 돈도 꼭 있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빼고 할 수 있는거라고는 아무것도 없다.부처님 당시 전법, 탁발을 하였지만, 지금은 탁발금지이다. 시대와 문화가 급속 변했는데, 고루한 옛날만 고수해서는 불교의 미래는 없다. 한국 불교는 제대로 된 "불교병원' 하나 없는 한국 불교의 지금의 현실이다. 이웃 종교는 中小 都市까지 대형병원이 하나씩 있는 현실이다. 한국불교도 적어도 大都市에 이웃들을 치료하고 봉사, 헌신 할 수 있는 불교병원 하나 씩은 꼭 있어야 한다. 도심지 복합문화포교당을 건립하기 위해 돈도 필요하고, 스님도 人間이기에 아프면 병원에도 가야하고 藥도 먹어야 한다. 불교는 그 재화(財貨;돈)가 바르게 쓰임을 원(願)할 뿐이다. 글구,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호도(糊塗)하는 말이 "無所有"이다. 붓다께서는 절대 필요하 것만 소유하는 단순, 소박, 겸약(儉約)의 상징인 "소욕지족(少慾知足)을 말씀하셨습니다. "無所有"란 말은 經典에 그 어디에도 없는 말입니다. 작고하신 法頂스님께서 유행시킨 말이지요. ​진리를 무슨 所有함, 소유하지 않음의 잣대로 평가를 하는지? 語不成說이다. 맞는 말씀, 과거의 틀에 갇혀 한 발도 못나가는 불교의 현실, 각자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하는 시대에 솜바지 합바지만 입고 살라는 고리타분한 과거 지향틀~~ 서양종교는 건물 빌딩 쭉쭉 올라가는데 ~~무소유 많이 해서 다 빼앗기고, 불교는 맨날 거지로 살아라~~돈도 없이 무슨 포교를 하는가? 에효​ 이 세상을 살면서 어떻게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는 "無所有"로 살아갈 수 있단 말인가? 불가능하다. 지금 당장 자기가 가진 것을 보자, 집, 휴대폰, 컴퓨터, 자동차, 카드, 옷, 신발, 절대 필요한 생활 도구들.... 無所有라고 해서 옷도 입지 않고 밖에 나가 보십시오. 바로 경찰서에 잡혀가요. 무소유는 겸약((儉約)의 정신으로 소욕지족(少慾知足)하라는 말이지, 아무것도 소유하지 말라는 "無所有"가 아닙니다. 無所有를 많은 분들이 잘못 호도(糊塗)되고 있습니다. 소욕지족(少慾知足)하고, 재화(財貨)의 有[있고], 無[없음]에 자유로운 것이 '붓다의 가르침'입니다. 이게 붓다의 가르침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jw4hb3ls4l
@user-jw4hb3ls4l 16 күн бұрын
중용의 마음으로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고..그게 깨달은 사람 아닐까요? 무조건 없는 게 깨달은 게 아니고요.. 저도 잘 모르지만 그래요^^
@user-oo7lv5nq2c
@user-oo7lv5nq2c Ай бұрын
지금요런 교묘한 혜민스변호 물타기에 넘어가면 안되는게 문제는 뒤로는 속세의 온갖짓 다해놓고 무소유컨셉으로 팔아먹은기 잘못이지 그전에 혜민스가 무소유타령하기전에 불교를 무소유 유소유로 평가한 사람은 없었다는게 팩트!
@user-hw6tt8ke1n
@user-hw6tt8ke1n Ай бұрын
꼭 필요한것만 소유하면 머리아플일 없다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Ай бұрын
무소유란 신체라는 틀에 메여 정진하는 뜻을 소모할 이유없이 오로지 자신의 정진에 집중하는 가짐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것이 성철 스님의 법문을 보면 신체는 그저 가지고 있다 떠나게 되는 것 뿐이며 법정 스님 역시 소유로인한 집착을 가질 이유없이 자신의 증진에 대한 뜻이 다른듯.
@hjj5370
@hjj5370 3 ай бұрын
법정스님 법문을 유튜브로 봤는데 가지지말라는게아니라 쓸데없는 것을 탐하지말라 .. 하셨는데 우민한 백성들이 알아들을지
@qrdigzx6461
@qrdigzx6461 2 ай бұрын
이런식으로 우민한 백성이니 하니깐 사람들이 종교인들을 극혐하는 겁니다 종교인들은 흐름도 모르고 트랜드를 못 따라간다구요 ㅉㅉ
@user-pg3im3nf5d
@user-pg3im3nf5d Ай бұрын
누가 우민한데요? 뉴욕 아파트에 명품차가 스님에게 탐하지 않는 수준인가? 참
@user-ph3ud2fr4f
@user-ph3ud2fr4f Ай бұрын
​@@user-pg3im3nf5d 뉴욕 아파트, 명품 차 증거 대보세요.
@guyhandsome2417
@guyhandsome2417 Ай бұрын
종교인도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바라보면 마음이 편해지죠. 종교인, 스님과 수행자가 꼭 일치해야만한다고 보면 번뇌가 이는거 같아요
@user-mm1cx3vb9s
@user-mm1cx3vb9s 9 күн бұрын
법정이 무소유를 말 할 때 이렇게 이야기 했음. 무소유는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것만 쓰고 불필요한 번뇌를 다 버리는 것임. 뭔가를 소유하려고 생각하면 어떤 것도 가질 수 없다는 그 의미임.
@user-mm1cx3vb9s
@user-mm1cx3vb9s 9 күн бұрын
저 스님 포함해서 지금 스님들이 법정을 이야기 한 다고 하는 것이 코메디인것임..ㅋㅋ 저기 천주교 신부 정도는 이야기 할 수 있음.
@user-fc9pv7kx7n
@user-fc9pv7kx7n 6 ай бұрын
저는 한참 전부터 무소유의 진정한 가르침은 물질을 가지지 말라가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욕심을 내지 말라는 뜻이라 배웠습니다. 사실 무소유에 대한 오해를 푸는 것은 이 설명으로 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더 붙일 게 없어요. 그런데 출연하신 분들의 말씀은 이 내용과 같은 듯 하면서도 다르다고 생각되는데요, 특히 무소유와 소유를 같다고 하시는 말씀은 위의 내용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무소유와 소유가 같은 뜻이라면 법정스님께서 굳이 무소유란 표현을 하시지 않으셨겠죠.
@user-yx5xs8ne1s
@user-yx5xs8ne1s 6 ай бұрын
어디서 아주 잘못들으신것 같은데요. 경전끼고 사는사람으로써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무소유는 스님말씀대로 살아있는 모든것은 가변적이고 왔다가 가는 순환을 가진다. 육신또한 혼이 잠깐빌려사는 것일 뿐이니 육신을 포함하여 그 어떤 물질에도 집착말라. 내것의 개념은 없다. 내게 잠시왔다 갈뿐이고 나의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뜻입니다. 필요이상 가지지말아라 라는 서술어 자체에 오류가있습니다. 가진다 가지지않는다의 분별조차 없는것이 무소유입니다. 모든것은 우주와 자연 순환의 절대적 진리와의 유기이며 하나다 =공이다. 이게 불교의 가르침입니다.
@ahava125
@ahava125 3 ай бұрын
욕심.
@Lia3349
@Lia3349 Ай бұрын
정치든 종교든 고행하는 성인의 모습을 자꾸 기대하니까 문제인듯 합니다. 이용해 먹는 자, 문제를 흐리는 자ᆢ 물리적으로 정말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이는 진정으로 남에게 빌붙어 사는 사람이겠죠. 나누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데 안 가졌단 걸 강조했다는 말씀 공감합니다.
@whynot378
@whynot378 6 ай бұрын
이분들 사이좋으시네ㅋㅋㅋㅋ
@user-xp1ro8dp9f
@user-xp1ro8dp9f 3 ай бұрын
성철스님 법정스님이 존경받는 이유는 왜일까요 ? 성진스님께 묻고싶네요 ? 지금 입고계신 가사인지 장삼인지는 잘모르겠으나 가격이 어느정도인가요 ?
@user-pg3im3nf5d
@user-pg3im3nf5d Ай бұрын
조계종은 반성해라. 도대체 그많은 신도들이 헌금한 돈으로 스님들 노후를 보살피지는 못하고 도대체 절이나 불상 뭐 하는 쓸데없는 짓에 돈을 쓰는거냐? 그래서 스님 스스로 돈 모아 뉴욕 아파트에 명품차가 당연하다는 괴변이 나오는거다.
@nayanaya
@nayanaya 2 ай бұрын
요즘 사람들은 무소유도 소유하고 싶어하죠.ㅋㅋ
@user-xz6rl6io3m
@user-xz6rl6io3m 2 ай бұрын
무...라는게 모든 것으로부터 삶의자유 즉,존재의자유성을 의미한다고 알고있음. 그래서 삶은 무소유고 무의미임!
@user-su1lu3ur2h
@user-su1lu3ur2h 3 ай бұрын
무소유에관한 이해는보편적이여야하지만 스님처럼다른 이해를 대중들에게바라면 언어에대한 유히적인 해석이니 불교교리를 들리는데로 10:57 이해하는 신도들은. 어떳게이해하며 깨달아가겠습니까 불교뿐아니라 다른종교에서도항상 말은 쉽게하지만 정확히 뜻을이해못하게하는거는 여러사이비나이단을 만든이유이자그런것에대한 가스라이팅에의한. 피해가 생기는거 라생각합니다
@user-bg3hy3wd2z
@user-bg3hy3wd2z 3 ай бұрын
언제부터 불가가 성직자 였나? 수행자지 그것도 출가 수행자 ㆍ 우리가 대처승을 사이비 정도로 생각하지만 지금 불가는 처만 없지 너무 수행자 삶과 멀어 진거고 ㆍ어디서 감히 합리화 시킬려고 하고있어 집착을 갖지말라 입으로만 떠드니 쌀찌고 고급승용차에 지랄들 하지 ㆍ출가수행자를 하지말고 그냥 세속에서 살면 풀소유든 빈곤자듯 누가욕을해? 본질을 흐리네 ᆢ전법은 행으로 이루어지는것 암기력좋은얄팍한 지식으로 떠드는게 아니고
@user-id9pp2yf7p
@user-id9pp2yf7p 6 ай бұрын
욕심을 버린다는것이 속세를 떠나고, 자아마저버려야하는것인데 이자들뿐만이 아니고 수도자라는 자들이 구도의길보다는 아전인수의 자기변명만 연구하고있다걸 보여주고있는, 한 마디로 영혼이없고, 궤변만있는 천박한 현실종교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네요. 종교가 이러니 영혼이 갈곳이 없습니다.
@user-uf8uh5ig6h
@user-uf8uh5ig6h 6 ай бұрын
니기미 가지마 누가 너더러 선택해달래 말은 구구절절 옳은것같은데 비정하고.냉소적이고 비판적이며 배려심이라고는 눈꼼만큼도없네 지가 뭐나 되는양 지각있는척 의식 있는척 난도질을 하고 자빠졌구만
@user-tm7dr7ji9o
@user-tm7dr7ji9o 6 ай бұрын
한국불교 스님들은 시주금을 사유재산화 하죠. 또 외제차를 타는 등 사치를 부립니다. 수행자는 돈에 대한 소유욕 자체가 없어야되며 불자들의 시주금에 감사하며 수행정진하는데 필요한만큼만 써야지 시주금을 빼돌려 사유재산화하고 외제차 비싼차 타고다니면서 사치를 부리면 안되죠. 불자도 아니고 그냥 종교없는 일반인도 차는 이동수단일뿐이라며 경차타고 다니는데 수행자가 고급차라니요 그것도 신도들 태워주는 승합차도 아니고 개인이 쓸 차로 고급차라니.
@user-ko2nq6ct3v
@user-ko2nq6ct3v 6 ай бұрын
인연따라 사람도 돈도 직위도 관계도 변할뿐이구나
@auoak9679
@auoak9679 Ай бұрын
근본적인 문제는 부처님 말씀을 모르거나 안들어서 그런겁니다 뜻도 모르고 부처님 가르침과 동떨어진 중국인에 의해 개작된 한자 불경을 보다보니 부처님 가르침을 멀리할수밖에 없습니다 부처님의 진짜 가르침을 알수있는 팔리어 번역본을 보세요 전체를 한번만 읽어봐도 윤회와 연기의 엄중함을 알게되어 소유의 헛됨을 이해하게 될겁니다
@arthun37
@arthun37 3 ай бұрын
자신들의 피조물로 하늘을 날아다니고 밤을 낮으로 만드는 요즘 세상에도 종교가 흥한다는게 참 아니러니 하네 정도의 차이는 있다지만 사람들의 불안과 믿음을 밑천삼아 장사를 한다는 점에서 대중종교나 사이비나 사실 별 차이 없는데 말이지
@ymnam5495
@ymnam5495 4 ай бұрын
돈많은 스님이라는건 수도승과 고행, 속세와의 작별 등의 관념과 애초에 성립이 안되죠 그럼 머리만 밀고 명상하고 폼잡으면 스님입니까??? 성인병이 걱정되는 스님은 첨이네요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5 ай бұрын
법정스님 수필 무소유로 스님들 의무처럼 되어있는데 무소유가ㅠ의무아니다 법정스님이 난초를 선물 받았는데 장기간 외출하게 되니 난초에 물을 줘야 하는데 걱정이 돼서 그ㅜ외출이 무척 힘들었다는 것이다 난이 없었다면 하지 않아도 될 근심이ㅠ생긴것 이다 때로는 없을때ㅠ자우로움도 있다는 얘기지 뭐 스님은 무소유해야 한다는 의무를 얘기한게ㅠ아니다
@user-ne2es1xl9w
@user-ne2es1xl9w 5 ай бұрын
내가 무조건 옹호하고 감싸자는 것은 아니다. 헤민도 배워야 할 것을 배우는 中이고, 그 누구도 자신의 일을 대신할 수 없다. 승려로서 자만(自慢)하고 방만(放漫)한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도 해본다. 다만 불교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왜 불교도들은 쉴드를 못처 주는가?"이다. 대중은 질투[특히 다른 타종교인들]와 그 우상(偶像)을 발가벗기고 싶어 하는 것의 희생물이다. 대중의 우상은 질투할 대상이다. 질투하시는 하나님, 남을 바라 볼 수 있다. 그게 우리들에게 고맙고 감사할 요소일 것이다. 내가 한 때 교회 다녔 셨는데, 그 교회에서 빨리 惡풀 달으라고 문자까지 왔어요. 言論의 선동 질을 부추기며.... 시기, 질투, 거의 모함, 인격 살인 수준, 등... 집중 포화를 때린다. 이건 아니다 싶다. 다른 종교를 가지신 분들 이때다 싶어, 스트레스 푸는 절호의 찬스다..... 서로들 격려하며 댓글 마구마구 달아 댓셨다. 단지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 하나로 이때다 싶어 걍 물어 뜯고, 시기, 질투, 비하, 조롱의 대상이 생긴 것처럼, 마녀사냥... 집중포화를 때린다. 세상은 자기와 다르면 우선 돌부터 던지고 파괴하고 본다. 이게 善을 가장한 악마(惡魔)이다. 불교에 대해 1도 관심없고 아무 생각 없이 살다가 자기보다 학력, 외모, 가진 능력, 돈, 시기, 질투.... 더 가진 거 보니 심사가 뒤틀린 것인지? 言論의 선동성(煽動性)으로 혜민스님 죽이기... 시기, 질투, 조롱, 배가 아프신지? 뭐! 불교의 스님들도 TV 출현, 강연(講演)도 하시고, 冊 出版해 인세도 받고... 자기 사는 집, 만든 것인데, 대체 뭐가 문제란 말인가? 범죄(犯罪)를 저지른 것도 아닌데..... 자기 노력으로 미국 명문 하버드大學 가고, 大學敎授도 되고, 강연하고, 冊 출판하는데, 대체 뭐가 문제란 말인가??? 걍 물어 뜯고... 이웃 종교에 계시는 분들은 이때다 싶어, 댓글로 자기 스트레스 확확 풀어대는 절호의 찬스, 댓글 폭탄 테러 대상처럼...! ​글구 혜민스님은 아직 60도 안된 스님이시다. 그 수익금이 어떻게 쓰일지 미래도 보지 않고, 그렇게 마녀(魔女)사냥식으로 나쁘게만 몰아치는지??? 안타깝도다!
@googri
@googri 4 ай бұрын
그런데 반대로, 종교인이 아무리 착한 일 많이 해도, 비싼거 가지고 있으면, 잘한건 보지 못하고 그 비싼거 가진 것만 기억하는게 사람들이다.
@user-rp5ev4ex1q
@user-rp5ev4ex1q 2 ай бұрын
무소유가 어디 있어요. 자기능력것 가지고 살다가 죽을땐 버리고 가는거지 재벌도. 똑같아요
@ji-sunjeong547
@ji-sunjeong547 Ай бұрын
없을수는 없음.. 사람이 먼가를 소유해야 살수 있으니.. 다만 떠날때 다 내려놓고, 집착 하지 말자...! 지 그래서 돌아가시면 그 스님이 보유했던 모든게 종단에 귀속되 후배들에게 분배되지.. 그리고 스님이 말한데로 모든 종교는 가난하지 않음.. 개신교가 개인 사업자고 레드오션이라 영업능력 없으면 가난 한거지, 시골에서 가장 많은 돈이 모이는데가 교회, 절임..
@user-dc1lx7vz3z
@user-dc1lx7vz3z 7 ай бұрын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으로부터 자유로운 것 소유에도 얽매이지 않고 무소유에도 얽매이지 않아 철저한 방편으로 사는 것
@user-mn5qn1ls7b
@user-mn5qn1ls7b 3 ай бұрын
팔락八樂: 정각正覺,열반涅般, 해탈解脫,보리菩ㅇ, 반야般若,삼매三昧, 무아無我,성불成佛이 다 추상적인 개념이고, 메타버스 속의 허상인데, 그 누구인들 안 힘들것나?
@user-fw9ji6vi3d
@user-fw9ji6vi3d 2 ай бұрын
무소유 설법하는데 노후대비를 넘어 풀소유하는게
@user-fq5qf9pt7j
@user-fq5qf9pt7j 6 ай бұрын
외제차 사용하시는 스님은 좀 보기 불편했습니다.
@user-yv8nh2tf1g
@user-yv8nh2tf1g 6 ай бұрын
네 스님 솔직단백 하신스님 나누는 삶이 필요합니다 종교인이 사회를 나누눈삶 뒷 바침해야 된다생각 합니다 영상잘봤습니다
@user-yv8nh2tf1g
@user-yv8nh2tf1g 6 ай бұрын
외체차는 자중해야지요 꼴깝하는 스님이지요 스님은 사회와 나누는 삶을 살아야지 존경받습니다
@user-ed9mp3do5h
@user-ed9mp3do5h 5 ай бұрын
혜민의 고급 스포츠카가 왠말인가 그럴거면 사업가를 해서 돈을 잘 벌어 타고 다니면 누가 욕을 하겠나 오히려 멋있다 하지 부처 팔아 돈벌어 스포츠카 를 .. 에휴 진짜 경악을 금치 못했다 종교인들 위선을 보고 있으면 진짜 욕이 아깝다
@user-oc6pw1hf6o
@user-oc6pw1hf6o 6 ай бұрын
허허
@lotusbeautiful2502
@lotusbeautiful2502 Ай бұрын
혜민스님 이슈가 터졌을 때 너무 어이없었던게 무지한 인간들이 시샘하는 걸로밖엔 안보였기 때문임. 서울 남산뷰 집에 수입차에 비싼 시계?? 그게 왜??? 방송 활동이 많았던 분이었으니 교통 편하고 활동하기에 걸맞은 위치에 있는 곳으로 집을 마련한 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시계나 차? 스님께서 직접 마련하신 것일 수도 있고 블자님의 시주였을 수도 있는데 그게 왜??? 하다못해 부처님처럼 왕자까진 아니어도 태생이 부잣집이었고 그래서 물려받은 재산이 많으신 분이었울 수도 있는데 그게 왜 문제가 되는지 이해할 수 없었음. 불교와 세상을 더 가까이 이어주시고 젊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주신 분인데 정말 못돼먹은 말들에 화가 많이 났었음.
@user-lk7to9gy9o
@user-lk7to9gy9o 12 күн бұрын
읋소
@user-eq3kq3td7n
@user-eq3kq3td7n 8 ай бұрын
😂
@user-zu3yz5ik4t
@user-zu3yz5ik4t 16 күн бұрын
입담이 좋으시고 체격 좋으시고 얼굴에 광 나시고... 스님복만 치우면 부동산 사업가 이신줄..
@mlkzen51
@mlkzen51 3 ай бұрын
무소유는 안 갖는게 아니라 .. 가졌으되 갖은바 없다는 . . 높은 차원의 말인데...
@user-sz1px2dx7n
@user-sz1px2dx7n Күн бұрын
요즘 사찰 주지스님들 천태만상 부처님 가르침과 너무 먼 건 사실이잖아요 무소유는 법정스님이 강조해서 그렇죠
@user-xu8di2tb7d
@user-xu8di2tb7d 6 ай бұрын
돌아올때가 다가왔다??정도의 느낌 무소유의 의미에 대한 각 종교 성직자들의 개념설명이 아니라, 플렉스님에 대한 변론?
@gotamabuta
@gotamabuta 6 ай бұрын
질문의 질이 ㅠㅠ
@meowbooks5045
@meowbooks5045 3 ай бұрын
무소유를 법정스님이 본의아니게 확! 띄워주시게 된 꼴인데 글을 제대로 읽었더라면 불교=없음이 아니라는걸 알았을텐데 뭐가 생겼는데 그로 인해 마음에 근심이 생겼으니 차라리 없는 것이 나을뻔했다는거였는데. 사람이 살고 있는 세상 속의 종교인 이상. 글자 그대로의 무소유는 없지요. . 혜민스님 뭐 싫지도 좋지도 않습니다만 그 분이 맘의 그늘은 없어보였네요. 아마 사람들이 그래서 그 분의 말을 그렇게 들었던 것 같습니다. . 근데 갑자기 외제차 등장하고 하니 다른 사람으로 보이는거지요. 환상과 다른 사람. 걍 그렇네요.
@user-zu3yz5ik4t
@user-zu3yz5ik4t 16 күн бұрын
경차 사려왔다가 벤츠 사게 되면 그건 물욕이예요 스님.. 여기저기 나오고 인기 등에 업고 돈이 눈에 보이고 더 좋은 거 비싼거 찾다보면 혜민스님처럼 되는 건 순식간임
@MuadDibTV
@MuadDibTV Ай бұрын
오온이 공하다.
@user-dq5jv2nq4e
@user-dq5jv2nq4e Ай бұрын
없을 무. 아니 불자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좋겠어요. 없을 무자는 존재가 없다는 의미가 있어요. 글자로 기록되기는 하지만 실제 존재하느냐는 별개 문제죠. 다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정리해봅니다. 그리고 부처님은 아상이 없다고 하셨는데 그에 따르는 소유는 논할 필요가 없습니다.
@user-ds8ix6no5q
@user-ds8ix6no5q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종교인에 대한 일반인들의 무지였네요 개인 재산은 인정합니다. 신도들한테 받은걸 개인이 소유하는것은 욕먹을 일이지만 원래 개인것은 소유하든 말든 자유입니다.
@user-tm7dr7ji9o
@user-tm7dr7ji9o 6 ай бұрын
개인재산은 안됩니다. 수행자는 돈욕심 자체를 부리면 안되요. 그저 시주금에 감사하며 수행정진에 필요한 정도만 쓰면되는거지.
@user-gl3vk6bj4u
@user-gl3vk6bj4u 2 ай бұрын
그럼 종단은 왜 필요한가요
@user-gw6hd1qt5t
@user-gw6hd1qt5t 6 ай бұрын
무소유 는 남에게 양아치 되죠
@user-ci3zx5wv8q
@user-ci3zx5wv8q 4 ай бұрын
스님 플라스틱은 있는겁니까? 무소유는 계시는 동안 너무빌려쓰지말고 최소한으로 살다가자 어짜피 있는것이 없는데~~~~^^
@madongggg
@madongggg 6 ай бұрын
사실 교회가 젤 부자같지만 젤 극단적으로 경제적으로 힘든 성직자분들이 많은것같은데 ㅠ
@sarang775
@sarang775 6 ай бұрын
교회가 너무 많기도 합니다^^
@user-uv7iv1uq4h
@user-uv7iv1uq4h 6 ай бұрын
논란은 논쟁은 안보고 안듣는 것이 낫다 머리 아프다
@user-vs5lb8ei2c
@user-vs5lb8ei2c 5 ай бұрын
무소유 속에 싹트는 무노동은ㅡ
@user-ev6gn1np6r
@user-ev6gn1np6r 13 күн бұрын
스님도 등산할때 꼭 고무신말고 등산화권장합니다..
@jolibdda
@jolibdda 23 күн бұрын
탐욕이 덕지덕지. 관상은 과학이다.
@bizwe
@bizwe 3 ай бұрын
한국불교의 문제점 ..? 사찰의 재산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망각 하는것.
@user-sz4dm1yi4i
@user-sz4dm1yi4i 6 ай бұрын
신부님 cg로 얼굴 확대하신줄...
@user-ne2es1xl9w
@user-ne2es1xl9w 5 ай бұрын
혜민스님은 지금 당장 이 현실 속에서 아파하고, 힘들어하는,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위안(慰安)과 용기(勇氣)의 에너지를 쏟아주는 大衆的인 스님이시다. 혜민스님을 죽이니 20~40대 아파하고 힘든 靑春들 위로하고 용기를 줄 사람이 사라져 버렸다. 한국 사회는 그만큼 에너지 상실한다. 이젠 누가 아프고 힘든 靑春들을 위로해 주지??? 한국 사회는 이런 아파하고 공감하며 활동적이며 세상과 호흡하며 사는 이런 분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한국 사회, 한국 불교는 너무 큰 에너지를 사장 시킨다. 넘 안타깝다. 사람을 자기 잣대로만 재단하지 말라. 삶은 다양한 것이다. 삶을 일정한 틀에 가두기 시작하면 삶들은 전부 진부해 진다.
@eyl2401
@eyl2401 5 ай бұрын
글쎄요... 단 한번이라도 그분의 책과 강의를 제대로 들었다면 이런 말을 하기 어려울텐데요.. 모든 말들이 그저 좋은 말을 짜집기한 속빈 강정이었으며, 그저 반반한 얼굴과 학벌로 어리숙한 사람드을 호도하였던것 뿐..
@user-xi7sg7os5d
@user-xi7sg7os5d 3 ай бұрын
그저 자기변명 자기 합리화. 교리가 어떻다 부처님 말씀이 어떻다. 불경의 가르침이 어떻다. 서리같은 계율 지켜야죠. 수행자면 공양밥 받아먿으면 참회하고 반성하고 계율 잘지키십쇼. 이 댓글도 비판한다고 짤리겠네... 청정범행 잘 닦아서 성불하십쇼
@qrdigzx6461
@qrdigzx6461 2 ай бұрын
글쎄요 이미 모든 종교가 신뢰가 너무 떨어져서... 믿음,신뢰를 다시 찾고 싶으시면 노력을 아주 많이 하셔야 하지 싶네요 소유를 하고 싶으시면 중생들에게 함부로 충고,조언을 하면 안되겠지요 사람들이 왜 풀소유 그분을 욕하는지 잘 알아보세요 거기에 답이 있습니다
@user-yo8yr4ov9d
@user-yo8yr4ov9d 5 ай бұрын
혜님 스님이 너무나 매도 되었어요 너무 안타 깝네요 명예 회복이 속히 이루어 졌으면 합니다 사실 저는 그사건 터지고 너무나 가슴 아팠어요 혜민스님 힘내시고 밖으로 어서 나오셨으면 합니다 스님 힘내시고 이런 영상으로 성진스님 혜명에 감사 드립니다
@skb22ggg
@skb22ggg 5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야
@user-pc5je8ei5k
@user-pc5je8ei5k 3 ай бұрын
수준이 높습니다...ㅜㅜ
@user88634
@user88634 2 ай бұрын
무슨 생각으로 출가를 하셨더랬길래 저렇게 현실 불만이실까.. 회의적인 생각이 든다
@applepink7
@applepink7 18 сағат бұрын
무소유주라는 말은 말의 어패 아닌지요? 소유주라 할 인간이 없는 무아니까 무소유도 없고 소유주도 소유도 없다. 이거는 완전 말의 어패. 말장난이라고 밖에 안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 의견은 어디까지나 비방 아니고요. 건전한 비판입니다.
@tv-zm1om
@tv-zm1om 16 күн бұрын
무소유?~간단히 말해요!~성진스님!~뭐가 그리 길어유~필요에따라 살되 욕망에따라 살지않는 삶!~끝!!!!!!아이구~~~공부쫌
@heeyoungyu9035
@heeyoungyu9035 3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구차
@user-jy7hg8gh7p
@user-jy7hg8gh7p Ай бұрын
꼭 이런댓글을 남기고 싶은지... 정말 같은 인간으로서 안타깝습이다. 좋은말씀듣고 혹시 나와 다른 의견이라도 경청할수있는 그런 사람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user-ob3qz6pc3q
@user-ob3qz6pc3q 4 ай бұрын
혜민스님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모습을 다시 보고 싶습니다. 무지와 시기 질투 미움으로 가득한 세상을 일깨워주시기 위해서라도 어서 오셔야합니다. 혜민스님, 2024년 어리석은 중생들에게 많은가르침 주세요.
@user-xe8mh9qx3w
@user-xe8mh9qx3w 3 ай бұрын
소유는 하되 집착하지 않는 게 맞다고 봅니다. 목사님이 외제차 타면 별로 신경 안쓰는데 스님이 외제차 타면 이상하게 봅니다.
@user-vp8xj7je3l
@user-vp8xj7je3l 6 ай бұрын
늙어면 사라지는게 불교아닌가? 노후를 걱정하는게 맞냐
@simonchoi5991
@simonchoi5991 5 ай бұрын
너는 무소유~ 나는 풀소유~
@user-rs5kc1sd4p
@user-rs5kc1sd4p 6 ай бұрын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스님 입고계신 승복이 얼마인가요? 사자암이라는 사찰 노스님께서 천만원짜리 승복도 있다던데...
@gongakscn
@gongakscn 6 ай бұрын
스님들 가사 제일 싼 합성섬유로 맞춘다고 해도 비쌉니다. 옛날과 달리 수공이 비싸니까요. 그런데 향봉스님 주위에는 어쩜 그리도 비싼 가사를 착용는 스님과. 신도에게 많은 시주금을 요구하는 스님들이 많은지 좀 궁금하네요.
@user-rs5kc1sd4p
@user-rs5kc1sd4p 6 ай бұрын
@@gongakscn지금 세상에도 꼭 조선시대 관복을 본딴 저런옷을 고집하는것도 이상합니다.인도식 복식도 아닌 불편한 저런건 계혁해야 할것 같네요. 수행자는 일상적이고 저렴한 옷 입고서는 수행이 안되고 깨달음에 이르지 못하는건가요?
@user-uf8uh5ig6h
@user-uf8uh5ig6h 6 ай бұрын
그사람 속된말로 꼴통 반골 반사회적 성향의 이단아 입니다 사람이 아집과 고집 아만으로 꽉찬 독고다이 입니다
@user-uy8pd1cl3r
@user-uy8pd1cl3r 6 ай бұрын
분별심을 갖추지않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법륜스님의 부처님이야기] 52화. 화가 없어진 사람
24:10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