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video

시험 등수 없는 요즘 초등학교. 난생처음 성과주의를 경험해 본 아이들의 반응?ㅣ선행학습으로 인한 교실 속 교육격차ㅣ올바른 분배의 기준과 공정이란?ㅣ다큐멘터리Kㅣ

  Рет қаралды 735,979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Күн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3년 5월 3일에 방송된 <다큐멘터리K - 교육격차, 5부. 스포일러>의 일부입니다.
교실에서는 선행학습으로 벌어지는 성적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이는 이후의 학력과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학습 진도에서 시작된 작은 격차는 결국 인생에서 누릴 수 있는 보상의 격차로 이어지고, 능력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당연하게 여긴다. 그렇다면 선행학습으로 높은 성적을 얻어 좋은 대학과 직장이라는 보상을 얻은 사람들의 삶은 과연 행복할까?
선행학습과 입시 경쟁을 시작으로 전 세계 청년들에게 교육 현실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던진 설문조사 결과, 한국 학생에게서만 발견되는 특징들이 존재했다. 그들은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며, 자신의 성취가 노력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믿지만 정작 사회에서 청년이 성공하기 위한 요인으로 ‘노력’을 꼽는 비율은 현저히 떨어졌다. 모두가 노력하지만 노력으로 인한 보상은 적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던 것이다. 반면 한국을 제외한 4개국 청년 대부분은 성공하기 위한 제 1의 요인으로 ‘노력’을 꼽았다.
한국의 교육 현실을 톺아보기 위한 대규모 설문조사와 더불어, 올바른 분배의 기준과 공정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청년들이 스튜디오에 모였다.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부터 의과대학을 졸업한 학생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학생들이 유일하게 똑같이 답한 질문이 있었다. ‘내 자녀에게 내가 경험한 교육 시스템을 물려주고 싶은가?’ 과연 한국 학생들의 답변은 무엇이었을까? 우리의 교육 현실을 망치고 있는 ‘스포일러(spoiler:망치는 사람)’는 과연 누구인가?
✔ 프로그램명 : 다큐멘터리K - 교육격차, 5부. 스포일러
✔ 방송 일자 : 2023.05.03
#골라듄다큐 #다큐멘터리K #교육격차 #초등학교 #선행학습 #학생 #선생님 #청년 #성취 #사회 #성공 #성과 #성과주의 #교육 #보상 #대기업 #중소기업 #임금 #정규직 #비정규직

Пікірлер: 3 700
@tjfqlsths
@tjfqlsths 11 ай бұрын
선행학습을 해야만 점수를 잘 받을 수 있게 한 것부터가 반칙이다.
@user-il4or3ln2u
@user-il4or3ln2u 11 ай бұрын
1학년 입학시 부터 선행학습 안했으면 뒤쳐져요..
@doge7_7
@doge7_7 11 ай бұрын
​@@user-il4or3ln2u글의맥락을 이해못하시네
@user-yq4kc6bn1p
@user-yq4kc6bn1p 11 ай бұрын
공부를 목표도 모르고 죽어라하는게 문제죠
@ImEugene1109
@ImEugene1109 11 ай бұрын
선행학습을 안 해도 원래 하던 것만 해도 충분히 풀 수 있게 만들어야 하는 건 맞지만 선행학습을 하는 건 유리할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user-f_ck_you
@user-f_ck_you 11 ай бұрын
​@@doge7_7선행이아니라 뒤쳐지지않기위함을 말한거아님?
@user-qs8wp1oh9o
@user-qs8wp1oh9o 10 ай бұрын
처음에 반 성적이 좋아서 상금을 받았다는 거에 불공평함을 느낀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user-xt1ts5to3b
@user-xt1ts5to3b 7 ай бұрын
오ㅏ 소름
@MaverickStudium
@MaverickStudium 5 ай бұрын
오우
@user-hd7qd4qc8i
@user-hd7qd4qc8i 4 ай бұрын
정확한 지적이시네요
@웬티
@웬티 4 ай бұрын
와씨 듣고보니 그렇네
@FantasyCatta
@FantasyCatta 4 ай бұрын
저게 본성이라는 거겠지 본인들이 이득볼땐 입싹닫고 더 뜯어낼거보이면 다수가 뭉쳐서 뜯어내고 아이들실험에서 인간 본성이 보이니 씁쓸하네요
@0412kkc
@0412kkc 8 ай бұрын
6:08 7:05 이 친구 여러모로 참 대단하다 가치관이 다를 수 있는 건 그렇다 쳐도, 여러 친구들 앞에서 잘한 친구를 비꼬네요.
@4kwalker490
@4kwalker490 7 ай бұрын
사회나가면 이런사람들이 대다수입니다. 가정교육부터 그렇게 들어가지않았을까 싶습니다.
@user-so8ll7do9k
@user-so8ll7do9k 6 ай бұрын
ㄹㅇ사회저런애들많음커서…일은 대충하고 성과급은 열심히한사람이링 같은 금액으로 뭍히고 싶고
@user-ye9cg5ss5b
@user-ye9cg5ss5b 4 ай бұрын
와 저거 개 쌩년이네 저거 딱봐도 지가 1.2.3등 이었으면 존나 좋아하고 난리치고 애들 놀리고 개지랄 하고 여기서 나중에 소감얘기할때는 당연히 공부잘한 사람이 많이 가져야죠 ㅇㅈㄹ 할꺼같음
@user-vc6tp3cm9k
@user-vc6tp3cm9k 2 ай бұрын
저 마인드로 사는 분들 모두 이유없이 의문사 당하길 빕니다
@user-hh1wm4kx7w
@user-hh1wm4kx7w 2 ай бұрын
사회에서 저런 스탠스 취하는사람들 많다 😢
@jerrykim8322
@jerrykim8322 10 ай бұрын
아직은 석차를 따지는 시험을 접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이라 충분히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중학교 2학년이 되는 순간 아이들이 갖고 있던 생각은 여지없이 파괴되고 석차와 등급의 노예로 전락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입니다.
@junlee3297
@junlee3297 10 ай бұрын
그래도 우리나라의 그냥 숫자로 줄세우기가 가장 공평한 것임. 최소한 시험 점수에서 0.1 점이라도 더 맞은 학생이 합격시키는=최소한 운이라도 좋은 사람을 합격시키는 시스템이니. 미국같은 입학사정관제등 객관식 점수 나열해서 등수대로 뽑지 않는 뭐 이것저것 다양한 평가를 하자 어쩌자 하는 시스템들 가만 보면 결국 배경이 좋은 학생을 합격시키자는 시스템임. 조민 사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추천이니 논문 참여니 훨씬 불공평함. 솔직히 대학교 입장에서는 평범한 집 100점 맞은 애보다 60점 맞아도 재벌3세를 입학시키는 것이 그 대학의 아웃풋이 훨씬 좋음. 그러니 기부입학도 하고 이런저런 주관적 평가를 도입하려고 최선을 다하는 것임. 우리나라는 그래도 공평한 시스템임.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8 ай бұрын
이제 서로 비교하고 경쟁하면서 뒤떨어지는 애들은 패배주의에 빠지고 앞서가는 애들은 우월감에 심취해서 노력이니 재능이니 열심히 외쳐대겠죠. 협력보다 개인의 능력치를 강요하다보니 인재를 키울생각은 안하고 인재를 뽑겠다는 기업마인드가 팽배해 있죠.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8 ай бұрын
그냥 수능을 다시 70퍼 이상 비중으로 끌어올리는 게 나음. 수시는 고등학교 내내 수능을 나눠보는 거나 마찬가지라서 고등학교 입학일 = 평가일인 제도라 초, 중학생 때부터 선행할 수밖에 없음.
@user-yi2jj3qs7j
@user-yi2jj3qs7j 8 ай бұрын
앞부부만 보았을땐 꼭 밖이 아니더라도 눈치로 사람에게 너는 ㅇㅇ등이야, 라는 느낌을 내는 것 같았습니다. 그땐 성적을 안 보여주변 뭐해? 눈치로 나춰지는데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모르는게 약이고 아는 게 병이랄까? 많이 받은 친구는 넌 나와 달라 라는 생각을 할 것 같고 52만원 중 한명한테 20만원을 몰아 준다는 것은 공평라지 않다는 것 같습니다. 물론 우리가 공산주의가 되어야 한다는건 아닙니다 그럼 점점 내가 더 잘해야 겠습니다 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을 비교하면... 콩한쪽도 나눠먹자 초반에 이야기 했지요 웃는 얼굴 뒤에 슬픔이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아니면 나누어 주는게 상금이아니었으면 좋았을까요?
@hj-ku1bd
@hj-ku1bd 8 ай бұрын
석차 안따지고 랜덤뽑기로 대학가는걸 원하나요? 가진자들 자식 개구멍으로 보내기 제일 좋은제도?
@nymph0103
@nymph0103 11 ай бұрын
실제 사회는 저 교실보다 더 잔인하다는걸 알게되겠지
@bigpitcher3525
@bigpitcher3525 11 ай бұрын
그러고 끝이야?? 참 무기력한 삶이구나
@user-qu3vk3cf5s
@user-qu3vk3cf5s 11 ай бұрын
매사에 꼬여있는 삶을 사는구나
@seerin0158
@seerin0158 11 ай бұрын
그건 어른들이 쓰레기란걸 알게된다는 의미인데?
@wgyybrdsb
@wgyybrdsb 11 ай бұрын
니같은 놈들 덕분에 출산율 0.6에서 0.1로 나락가는중 ㅋㅋ 개꿀잼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11 ай бұрын
맞는말 했고만 댓글들 왜 저럼
@qbqbqb6022
@qbqbqb6022 11 ай бұрын
아직 초등학생이라 다같이 나누자는 결론이 나왔지 살면서 점점 입만 벌리고있는사람들 만나다보면 영상에 청년들이 한 실험처럼 생각이 점점 바뀔듯 그리고 영상에서 3등한테 꼽주는것처럼 잘한사람한테 뭐라하는사람들이 사회에서 제일 악임.
@user-c00ki4
@user-c00ki4 11 ай бұрын
저도ㅋㅋㅋㅋ 3등애 꼽주고 1등애꺼 삥뜯어가는 그림으로밖에 안보입니다. 우리때는 저정도의 금액차는 아니어도 항상 순응했기에. 요즘 애들이 대드는걸 보면 인류애가 사라져요.
@JE-tw9or
@JE-tw9or 11 ай бұрын
노력은 안하면서 노력한 애가 인정받는꼴은 못봄. 늘 억울하고 분함. 이게 요새 애들 정서
@user-sl9vf9bi4j
@user-sl9vf9bi4j 11 ай бұрын
반대로 남들보다 열심히 아둥바둥 살고있지만 사회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계속 하위층에 머물러서 못벗어나고 있는 안쓰러운 광경도 많이 보게되죠
@user-ix1ef9nj7m
@user-ix1ef9nj7m 11 ай бұрын
근데 나누는 반 1등하는 애는 옆반에서 1등한 애가 20만원 받는다고 하면 어떤 생각을 가질까 궁금하네요.
@leeps7996
@leeps7996 11 ай бұрын
@@user-ix1ef9nj7m반을 옮기고 싶겠죠 그러니까 영국ㅇ나 캐나다 의사들이 대부분 미국 가고싶어함
@LeeLee-bn9yz
@LeeLee-bn9yz 7 ай бұрын
근데 1, 2, 3등도 주변애들이 화를내고 뭐라할까봐 눈치를 보고 공평하게 나누는거지 본심은 더 챙기고 싶었을겁니다. 아마 1등부터 10등까지 성과제로 주고 나머지는 다 기본급 5천원만 좋더라면 저 판도는 무조건 바꼈을겁니다.
@LeeLee-bn9yz
@LeeLee-bn9yz 7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자기와 같이 성과로 많이받은애들이 3명뿐이고 나머지 다 기본급 받았는데 저기서 트롤짓하며 자기 이익챙기려는 애는 없죠 ㅋㅋ 주변에 적을 만들고 왕따로 직행하는 기분이 들거임
@yongholee2560
@yongholee2560 7 ай бұрын
@@LeeLee-bn9yz ㄹㅇ 그냥 왕따 당하기 싫으니까 인정하고 만거지 ㅋㅋㅋ 개짓거리임. 첨부터 결과를 정해놓고 실험이랍시고 애들 가지고 노는거임
@준수의게임채널
@준수의게임채널 10 ай бұрын
기여라곤 안한 애들이 3등한텐 꼽주고 1등거는 뺏어서 농갈라먹고... 이게 지금 어디가 좋은 실험이라는건지.
@user-tw8ii7cw7k
@user-tw8ii7cw7k 10 ай бұрын
능지테스트
@user-kj5mv1pt2l
@user-kj5mv1pt2l 11 ай бұрын
성과에 따라 보상을 받는건 당연하지. 모두에게 같은 보상을 줄 수는 없지 하지만, 그건 시작점이 같았을 때의 이야기 초등학교 반 안에서도 집에 돈이 많아 질 높은 교육을 더 잘 받는 친구가 있을 것이고, 반대인 아이가 있겠지 그런 부분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가난한 친구는 박탈감만 느끼게 되겠지 결국, 기본적으로는 성과주의를 유지하되 가급적 공정한 출발선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국가 차원의 노력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난다
@user-wy8wd7qc8x
@user-wy8wd7qc8x 11 ай бұрын
그럼 님도 재산 다 기부하고 가난한 사람들하고 똑같이 시작하세요.
@user-ho5ri9dz8m
@user-ho5ri9dz8m 11 ай бұрын
@@user-wy8wd7qc8x 꼭 이런 극단적인사람들이 있어 ㅋㅋ 세상살기 팍팍하지 않음? 음 이런생각을 갖은사람도 있구나 하고 지나가~ㅋㅋ
@user-pi8op6ji5h
@user-pi8op6ji5h 11 ай бұрын
와 댓글 내용 정말 똑똑하네...하면서 들어왔다가 답글보고 팍 식음 역시 책 열 권 읽은 사람보다 한 권 읽은 사람이 더 무섭다
@omogarikimchi8181
@omogarikimchi8181 11 ай бұрын
원래 세상은 불평등합니다. 집에 돈이 있냐 없냐만 불평등이 아니라, 개인의 지능이나 재능, 건강상태 등 모든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국가탓을 하게 되죠
@o-6877
@o-6877 11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말같네요 현실이 아니긴하지만요...
@whistlerj
@whistlerj 11 ай бұрын
이 실험은 일회성으로 끝나면 안됩니다. 저 아이들이 다시 시험을 치렀을 때, 1-2-3등 하던 친구들이 똑같은 노력을 보여줄 것인지와 평균 점수가 어떻게 차이나는지 까지 보여줘야 맞다고 보입니다. 전체 파이가 동일한 닫힌 사회에서 그 가치는 누가 만들 것인가, 발전은 어떻에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언급은 아무도 하지 않고있어요.
@aigoiaoidoi2215
@aigoiaoidoi2215 11 ай бұрын
아마 거의 똑같은 노력을 보여 줄껍니다. 최상위권을 차지 하는데는 내적동기가 크게 차지 하거든요. 아무리 돈을 많이 줘도 공부가 재미 없으면 못하죠.
@fernwinston143
@fernwinston143 11 ай бұрын
공부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겠죠. 님이 의구심을 보이는 부분도 가치관이 돈이라는 반증입니다. 내적동기는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우리나라가 유독 취약하죠. 돈 안되는 학문을 안하게 되는 기형적인 나라......
@user-id7mj6sb9b
@user-id7mj6sb9b 1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이비에스가 정말 재밌는 실험을 했는데 그이후에도 한번 더 실험했으면 좋겠네요 저는 타락한 어른인건지 저도 어릴때는 모두가 똑같이 나눠야한다 열불내고 그랬는데 ㅎㅎ지금은 이 영상보면서 저렇게 차이나게 돈을 나눠도 그러려니 이해가 되네요 ..정작 저는 5천원받는 학생의 입장과 다를바 없는 어른이지만요 모두가 무조건 똑같은 성과금을 받는다면 자본주의사회에서 열심히 하고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겠죠.. 열심히 일할 의욕도 못 느끼구요 영상의 친구들이 초6인데 이때면 사춘기 시작될때고 집단을 신경쓰느라 1위~3위친구가 반전체의 의견을 따라간 것도 있는거 같아요
@user-mk3op9hz2t
@user-mk3op9hz2t 11 ай бұрын
이렇게 실험을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6학년 전 학급을 A, B 두 그룹으로 나누고 A그룹은 총 상금의 절반을 학급별 성적순으로 나눠주고 B그룹은 저 실험에서 처럼 1/n학급으로 나눠 주면서 각 학급이 어떻게 나누는지를 보는거죠..단, 모든 학생은 이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하구요.. 즉 아래와 같은 상황인거죠.. - A 그룹은 각 학급의 개개인의 성적이 결과적으로 본인이 속한 학급이 받을 상금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인지. - B 그룹은 개개인의 성적이 본인이 속한 학급이 받은 상금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 - A, B 그룹 모두 서로의 룰을 알고 있다. 이런 설계로 실험을 했을 때 결과가 어떨지 예상이 안되네요..ㅎㅎ
@user-sp6yj2gr5f
@user-sp6yj2gr5f 11 ай бұрын
@@user-mk3op9hz2t 재밌는 실험이 되겠네요. B학급 상위권 학생들은 A학급 상위권 학생들의 높은 상금에 눈이가서 A'학급으로 옮기고 싶어할 것이고, A학급 하위권 학생들은 여기서 꼴등상금 받을바에 B'학급가도 믿져야 본전 이니 옮기고 싶을 것이고. 결국 A' 학급에 상위권학생들과 B' 학급의 하위권 학생들로 결국 나뉘게 된다면, 상위권으로만 구성된 A' 학급 학생들이 상금을 두 그룹으로 나누는것에 대해 항의가 생길 것이고, 결국 A' 그룹에 더 많은 알파상금을, B' 그룹엔 더 적은 1-알파 상금을 주게 될 방안을 마련할 것이고, 그래도 A' 그룹에서는 분명 상위권 이었던 학생들도 누군가는 그룹에선 하위권이 되어 적은 상금을 수령하게 되니, 다시 예전의 B그룹이 그립게 될것입니다. 따라서 정리하자면, A' 그룹에서 최상위권 '소수'들만 모여 절반의 상금을 1/n 으로 나누는 것으로 자기들끼리 합의롤 보고, B그룹에 남은 인원을 최대한으로 늘려 절반의 상금을 1/n 으로 나누는 것으로 합의를 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겠네요. 아주 이상적입니다. 그 누구도 불만없는 서로를 인정하는 사회.
@thinksp-io2tn
@thinksp-io2tn 3 ай бұрын
6:14 다른건 둘째 치고 이 장면이 가장 무서운 거 같음, 서로 친구니까 그냥 놀리는거지만 받은 애는 얼마나 불편하며 못 받은 애는 저렇게 말하다보면 없던 질투도 생길 것 같아
@user-koreabuss
@user-koreabuss 8 ай бұрын
오 재밌는 사회실험이네 ㅋㅋ 불만을 가지고 의견을 내는 사람, 결과를 수긍하는 사람, 받은 것에 조용한 사람 등등...
@alswp0404
@alswp0404 11 ай бұрын
chatGPT 왈: 이 영상은 성과에 따른 보상의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일부 중요한 측면을 놓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모든 학생이나 노동자가 똑같이 보상받아야 한다는 것이 공평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개인의 능력, 노력, 그리고 상황에 따른 차별적인 보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먼저, '성과에 따른 보상'이라는 체제는 일반적으로 노력과 능력을 격려하고, 개인이 더 열심히 일하거나 공부하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이는 결국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체제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주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공평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셋째, 학생들의 가정 환경, 개인적인 능력 등을 고려해서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성과에 따른 보상' 체제와 상충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러한 지원을 통해 학생들이 더 좋은 성과를 거두고, 그에 따라 더 나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보상을 모두에게 고르게 분배하는 것은 일시적으로 불만을 줄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을 적절히 보상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결국 사회 전체의 생산성과 진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ren4983
@iren4983 11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그리고 여기서 이어지는 성과주의 체제에서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 하는 부분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영상에서 우리 아이들이 보여준 것과 같이 지나친 성과주의로 인해 소외되고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 성과주의라는 레이스에 참여할 수 조차 없는 상황에 놓이는 집단이 생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둘째로는 다른 아이들보다 더 공부해서 반 평균을 올려줬음에도 3만원을 받은 1등 아이처럼 자신이 노력한만큼의 보상을 못받은 집단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우리의 사회가 첫째와 둘째 집단 중 어느 입장에 처한 사람이 많은지 판단해서 계속해서 그 균형을 맞춰 나가야 합니다. 첫째 집단이 많아 보인다면 우리는 복지와 분배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반대로 둘째 집단이 많다면 자유와 성장을 중점으로 사회를 이끌어야합니다. 그 어느것도 극단적인 방향으로 가선 안됩니다. 구성원 모두가 관심 갖고 스스로 적절한 절차를 통해 현 상황에는 어느 방향이 맞는지 판단하고 행동해준다면 멋진 나라가 될 것이라 믿습니다.
@BoundHealerB
@BoundHealerB 11 ай бұрын
경제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댓글이네요 잘보고갑니다
@user-wh1zd2od4j
@user-wh1zd2od4j 11 ай бұрын
배우신분이네요..^^ 좋은글입니다.
@user-nc2hs4rp7l
@user-nc2hs4rp7l 11 ай бұрын
단순하게 인원수 수치로만 해서는 안 되죠 1명의 천재가 1000명을 먹여살리는데 그리고 1등받은 아이가 소외감을 느끼겠지만, (너무나 그 아이가 인성적으로 훌륭하게도 박탈감을 가지거나 소외감가지는 모습 없이 친구들에게 양보를 했습니다 정말 멋졌습니다 만은) 영상에서는 그 아이가 소외감을 비친거보다는 당연히 나눠줘야하는거 아냐? 라는 모습만 비춰줍니다 보기 불편하더군요 모든 사람이 영상속 1등 아이처럼 자기가 노력한 만큼의 보상을 성인군자처럼 나눠줄 수 없고 1등하는 아이들의 행동에 제약이 생길수록 우리사회 전체가 얻을 보상총량은 낮아질겁니다 1명의 천재가 1000명을 먹여살립니다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댓글내용에는 동의하지만 단순인원수로 따져서도 안 되고, 비중있게 조절해야합니다
@graziachoees9773
@graziachoees9773 11 ай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laikim7496
@laikim7496 11 ай бұрын
1명의 천재가 1000명을 먹여살린다는 가정 자체가 격차 최소화 분배에서는 현실적으로 성립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따진다면 나머지 999명의 성과는 0이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아니지 않습니까? 결론적으로 아래 100명의 성과를 20명 분으로 끌어 올리기만 해도, 사회적인 효과로는 2000명 분입니다. 1등이 980으로 내려간다 하더라도요. 합의 공식을 너무 우습게 보시는 거 같네요.
@pickboocute9348
@pickboocute9348 2 ай бұрын
놀고 먹는 사람과 일해보면 알게되지-.- 공부도 열심히 하는아이 그럭저럭 하는아이 공부안하는 아이 모두의 노력이 똑같을순 없으니
@hains9726
@hains9726 10 ай бұрын
이 다큐 잘만들었네요 생각을 요약하고자 적어봅니다 결론은 성과와 기여도에 따른 보상을 분배하는 방법은 차등이 필요하다. 다만, 양극화는 줄이고 출발선이 달라 공정/공평한 경쟁을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기회를 주어야한다고 생각되네요. 열심히 한 사람은 노력에 대한 보상을 해야 조직(회사,국가)이 발전하고 너무 큰 차이는 하위그룹에게 의욕상실, 상위그룹에 대한 불만, 좌절,이탈 등으로 노동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범죄나 물의를 일으킬 확률이 높아질테니 말이죠 영상에서 선행학습 문제기준인 것도 출발점에 대해 좋은 시사점인듯하네요
@user-du6qq8es4b
@user-du6qq8es4b 11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많이가진 아이들에 상금을 뺏는거보고 소름돋았음..ㄷㄷ 저아이들은 저실험으로 내가 더 공부해야겠구나를 배웠을까 다른사람이 가진걸 뺏으면되는구나를 배웠을까..
@bihojang7125
@bihojang7125 11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상금 많이받은 아이의 돈을 빼앗아 나누어 가지네요. 그러고 만족하죠. 열심히 한 아이는 무슨 생각을 할까요? 열심히해도 다른 애들과 보수가 같네.. 보수가 같은데 굳이 더 열심히 해야할까요..?
@kmj205
@kmj205 11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고 토나오려고 하네요. 오천원 받고 좋아하다가 일등의 상금 보고 불만 갖는 아이들. 그들의 불만으로 인해, 이십만원을 받았다가 뺐기고 삼만원만 받게 된 아이... 충격적인 영상입니다. 일등아이의 마음에 큰 상처가 남을 듯 합니다. 어른이라도 감당하기 힘든 상처일텐데. 무슨 생각으로 이런걸 실험이라고 한건지... 어이없네요.
@Seol-tn9zr
@Seol-tn9zr 11 ай бұрын
정말요 초등학생이지만 너무 싫네요 노력도없이 똑같이 가질려고 하는게.. 미래의 밑바닥들
@youngjelim4091
@youngjelim4091 11 ай бұрын
​@@Seol-tn9zr 다른분이 댓글쓰신건데요. 반평균이 높은 이유가 1~3등 아이들이 캐리를 한건지? 상대적으로 반아이들 모두 타반보다 높은건지? 에 따라서 보상이 달라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1~3등 캐리였다면 차등을 주는것이 당연하며 반 전체 아이들이 타반 아이들 보다 높다면 모두 공평하게 나누는것이 맞지 않을까요? 회사에서도 보면 개인/단체 보상이 따로 있죠. EBS제작진들이 답을 정해놓고 만들다보니 디테일한 부분을 생각하지 못한듯 합니다. 그리고 1~3등외 5천원 준것도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꼴찌 5천원으로 설정해서 등수별로 엑셀 돌려서 등수에 맞게 차등지급 해야 성적에 따른 보상또한 공평 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대회도 아닌데.. 4등 5천원 3등 5.5만원 .. 점수차가 얼마 안난다면 4등 상실감이 클듯요.
@user-pp9mm2rd4q
@user-pp9mm2rd4q 10 ай бұрын
EBS의 실험설계 자체가 의도한 결과가 있는 경우였음. 공산주의의 시작이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함. 극소수만이 극단적인 인센티브를 받게 하여 나머지 인원 반발하게 유도한 실험임. 실제 건강한 자본주의 시장의 모습은 그렇지 않음.
@sadsad4363
@sadsad4363 11 ай бұрын
성과에 대한 임금격차는 당연한거고, 처음부터 출발선이 뒤쳐졌던 사람에 대한 보상은 임금이 아니라 복지차원에서 해야되는거임 성적이 낮게 나온 학생에 대해선 무료 강의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보상해야 하는거
@userininin
@userininin 11 ай бұрын
동감
@ljhosep9404
@ljhosep9404 11 ай бұрын
ㅇㅇ보상은 당연히 능력순이지 저 어린나이에 벌써부터 복지에 기대게 만드는 모습을 보니 참 이나라의 미래가 밝음
@cherryk119
@cherryk119 11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ALBN182
@ALBN182 11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skonmeme
@skonmeme 11 ай бұрын
도데체 그 성과라는 건 뭔가요? 매일 청소해서 거리가 깨끗하게 해서 한달에 150만원 버는 사람은 한달에 10억씩 벌어가는 병원 의사보다 성과가 적다는 건가요? 성과라는 건 정의하기 나름입니다. 그 정의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지나치게 편향됐구요. 이런 식의 평가가 남발되면 될 수록 우리나라 구석구석 지탱해주는 힘들고 거친 일들은 아무도 하려하지 않아 몰락할 겁니다.
@user-cr1cz6fy9r
@user-cr1cz6fy9r 11 ай бұрын
1,2,3등 덕분에 이 반이 선정되고, 문제가 어려워 포기했다는 아이들마저 상금을 받았는데 그 와중에 불공평하다고 똑같이 나누자는 다수의 결속이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줍니다. 기초생활수급자들의 이기적인 마인드를 수도없이 봐와서 봉사활동 그만두고 기부도 멈췄지만 여전히 그들에게 들어가는 세금은 너무 아까워요. 그들도 이런 식이거든요.
@user-qg1ph7ox4e
@user-qg1ph7ox4e 10 ай бұрын
무섭도록 나와 같은 시각으로 보는 분이 계셨네요 그리고 초등학교 등수를 왜없앴는지... 안타깝습니다
@user-du7yp7ql5i
@user-du7yp7ql5i 10 ай бұрын
당신이 어느 쪽에 속하든.. 빈부격차가 커질수록 세상은 험악해지고 살기 힘들어요.. 부의 재분배를 통해 격차를 줄이는 게 맞다고 봅니다.
@user-cr1cz6fy9r
@user-cr1cz6fy9r 10 ай бұрын
@@user-br2wo5mu1m 그런 좋은 말씀은 교회가서 꼬옥 해주세요~
@user-cr1cz6fy9r
@user-cr1cz6fy9r 10 ай бұрын
@@user-du7yp7ql5i 저 상황이 배푸는 자의 주도로 재분배가 이뤄지는 걸로 보이시나요? 제 눈에는 빼앗기는 걸로 보이는데요. 저렇게 1/n로 나누었을때 고마워하는 사람이 있던가요? 염치라는 걸 아는 학생이 한두명은 보이긴하네요.
@user-du7yp7ql5i
@user-du7yp7ql5i 10 ай бұрын
@@user-cr1cz6fy9r 단순히 저 상황을 가지고 한 얘기는 아닙니다만.. 나눌때의 기쁨을 아는 학생과 염치를 아는 학생들이 일부라도 있는게 낫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으면 세상이 너무 삭막할 것 같네요..ㅋ
@user-sb7gg7wj9s
@user-sb7gg7wj9s 8 ай бұрын
13:47 이 아이가 참 똑똑한것같네요. 상금을 등수별로 차등하지 않고 공평하게나눈다면, 1등한 반 내에서만 상금을 나누는게 아니라 같이 시험 본 전학년에게 나누어줘야하니 원래받았던 5천원보다 작아진다고 했을때도 학생들이 같은선택이였을지 궁금합니다. 저들의 선택이 성과 중심의 보상에 대한 생각 때문인지 알기에는 반쪽짜리실험인것같아요. 단순히 받을 수 있는 상금액수 때문일수도있어서.
@user-ky7ho4yo2z
@user-ky7ho4yo2z 11 ай бұрын
성과에 따라 임금에 차등을 두는건 맞다고 보지만 대신에 낮은 성과를 낸 사람을 방치하지 말고 더 올라갈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와 혜택들을 제공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Seoskful
@Seoskful 11 ай бұрын
@blessing-you 그런사람들은 아무리 다양한 기회와 혜택을 줘도 못 받아 먹습니다. 그런 열의와 능력을 가지고도 구조적, 제도적 문제로 기회를 부여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상이 되겠죠? 99명의 가난한 사람과 1명의 부자가 사는 세상이 행복하고 건전한 당연한 사회일까요? 불가능을 알지만 이상향을 설정하고 거기에 가까워지도록 노력해야 그래도 살만한 사회가 됩니다.
@softtwelve
@softtwelve 11 ай бұрын
@@Seoskful 왜 99명이 가난하고 1명이 부자에요 ㅋㅋ 북한이나 아프리카 독재국가 사십니까? 요즘 세상에 그 정도 열의와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기회를 부여 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없어요. 진짜로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 정도 열의와 능력이 없는데 있다고 착각하는 거에요.
@sungerum1
@sungerum1 11 ай бұрын
@@softtwelve님말도 틀린말은 아니지만 경영학에서 10프로의 법칙을 이야기한것 같아요. 100명중에 진짜 일을 시키면 10프로만 회사를 먹여 살리는데… 더 내용을 들어가보면 이 10프로는 중상층이고 결과적으로 한명이 사장이 부자이다. 라는 내용입니다.
@goyangyi
@goyangyi 11 ай бұрын
1.선행학습 = 부모의 재력 또는 영향이 크게 작용함. 2. 기여도에 따른 보상(성과주의)은 전체적 흐름으로는 옳음. 다만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점이 있는데 1번의 영향이 가장 크기 작용하기 때문임(출발선이 애초에 다르기 때문에 오블리제 오블리주의 필요성이 여기에 있기도..) 3. 공동체 전체의 성과는 상위 5~20%에 의해 결정됨. N/1의 가장 큰 폐해는 상위권 실력자들의 의욕저하와 무림승차자의 양산에 있고, 이것이 공산당이 망한 이유. 그리고 중국이 자본주의를 받아들인 이유기도 함. 결론) 성과제는 반드시 보완적 제도가 추기적으로 필요할 수 밖에 없음. 성과대로만 분배되어야 한다는 명제는 말처럼 단순한 명제가 아님. 대안) 보완적 성과제가 필요함 (예시) 1. 고성과자들에게 언제나 고보상 2. 고성과자와 저성과자들의 보상정도를 비밀로 하고, 중위권 성과자들의 보상 공개 (저보상 및 고보상 받은 자들의 의욕고취 : 저보상과 중위보상 차이는 크지 않아 죄절하거나 분노의 가능성이 낮아지며, 고보상자들은 중위권에 비해 자신의 보상이 높으니 의욕이 증가할 것) 3. 집단 내 소규모 그룹 형성 4. 고성과자들로 하여금 저성과자들에게 교육 및 피드백으로 교류 촉진 (하위 그룹의 상위그룹 이해 및 상위그룹의 하위그룹 이해로 서로 간 불신 제거) 5. 적재적소 포지셔닝을 위한 자기개발 장려 및 업무 혹은 공부꿀팁 공유
@1cePia
@1cePia 11 ай бұрын
성과에 따라 임금 차등 두는 직업군이 있어 그렇지 않는 직업군이 있다 예를 들먼 보험설계사 같은거지 개인이 누가 더 고객을 유치 시키느냐에 따라 인센티브가 달라지잖아 그리고 팀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은? 형사라고 해볼까? 범인 하나 잡는데 팀단위로 움직이잖아? 근데 내가 몸빵 해서 칼에 찔리고 범인 잡았어 그럼 성과는 같은 팀에 있는 A라는 애한테 가겠네? 결론은 A가 잡았으니? 협동은 개나주고 오로지 누가 잡았느냐에따라 성과를 생각하면 말이 안되는거지 즉 직업군에 따라 성과에 따라 차등을 하든 안하든 결정 되는거다 무지성으로 성과에 따라 임금 차등 두는게 아니라 노가다 현장에서도 성과 차등 둔다 치자 성과의 기준을 뭐라고 해야할까? 밑에서 벽돌 나르는 사람이 한기씩 하나하나 나르는데 위에 벽돌 뭐고 저거 시멘발라서 붙였나 어튼 붙이는 사람은 한번에 10개를 붙여 근데 벽돌 나르는 사람은 한번에 하나씩 올리니깐 뭐 일이 되겠나? 그럼 누가 성과가 높은데? 이거 물어보자 하나씩 벽돌 올리는 사람이 성과 높아? 한번이 벽돌 10개씩 붙이는데 하나 밖에 못올라 와서 하나씩 붙이는 사람이 성과가 높아? 답변 못하지 당연히 기준도 없고 존나 극단적인 예시니깐 즉 무지성 성과주의는 전라도 같은 마인드다
@Park-bf6yn
@Park-bf6yn 11 ай бұрын
본인 노력으로 얻은 것을 뺏어서 덜 노력해서 덜 보상받은 사람들에게 주는게 왜 공평하단건지도 모르겠고.. 3명제외 전부 5000원 받은 상황에서 많이 받은 3명이 제대로 목소리를 낼 수 있을런지도 모르겠고..
@user-oz3bh9sd9b
@user-oz3bh9sd9b 10 ай бұрын
어른들이 성적이랑 공부만 생각하는거에 대해서 비꼬는거같은데..
@MyWay0
@MyWay0 4 ай бұрын
보면 우리 사회도 학교에서 말 잘 듣는 사람들꺼 뺏어서 놀던 놈들 퍼주는 식임
@palmcoco7426
@palmcoco7426 3 ай бұрын
이후 성인들이 한 찬반투표가 오히려 많은 생각을 하게되는듯...3명에게 상금을 몰아주는게 아니라 꼴등까지 차등지급이었다면 학생들이 어떤 결론을 냈을지 궁금하네요
@jyb9889
@jyb9889 10 ай бұрын
이 실험이 생각할 부분을 준다는 건 맞는데 1~3등의 아이들에겐 주위 시선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고 다수의 의견에 따라 내가 가진 것을 빼앗기는 부정적 경험을 가지게 된 것 같다
@user-vc6tp3cm9k
@user-vc6tp3cm9k 2 ай бұрын
ㄴㄱ
@user-uq8nh4rn1w
@user-uq8nh4rn1w Ай бұрын
제 생각도 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음. 성과를 냈던 학생들어게 동기부여가 사라져 사회발전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될것이 분명함.
@e-je7010
@e-je7010 10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모두 자신감있게 말하는 게 정말 대단하네요!!!! 그리고 마지막 두 아이의 인터뷰…진짜 칭찬하면서 봤어요ㅠㅠㅠㅠ 어린데도 저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니…
@jjjj-jjj
@jjjj-jjj 11 ай бұрын
초2아이와 함께보며 얘기를 나눳습니다. 아이가 처음부터 분개했는데요. 가장 분개한 포인트는! 는 것입니다. 이미 이것부터 반 구성원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가 주어진게 아니라 '학교에서 선행하지마' 라는 규칙을 어기고 잘함/못함을 가른다? 이것부터가 기준선이 틀린것이라고 합니다. 선행을 한 아이들만 문제를 풀수있고-결과적으로 돈도 엄청많이 받고 선행을 하지않은 아이중에는. 선생님의 본수업을 들은뒤 노력을거쳐 높은 성적을 낼수있는 아이들이 분명히 있을텐데. 그 아이들이 본래 자기실력을 드러낼 기회도없이 난데없이 테스트가 진행되엇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그렇다면 만약. 선행의 범위로 테스트한것이 아니라 수업시간에 배운것으로 테스트를 했고 그것에대한 보상은 저렇게주었다면? 물으니 분배의 차이를 둘수는 있지만 20만원과 오천원의 차이는 너무 크다. 가혹하다 합니다. 1.2.3.그외 단계의 차이를 5000정도가 적당할것같다고 합니다. 셋째로 현실세계. 어른세계에서는 자본주의 사회이니까 성과에따른게 어쩔수 없겠지만 아이들이 지내는 '교실'에서 저런방식을 도입햇다는것에 불만을 표했습니다. 어른들의 실제세상은 저정도로 차이가 날수도있고 북한처럼 무조건적 똑같은분배 를 외쳐서 열심이던 사람까지 하향평준화가 되는것은 좋지않지만. 아이들세상.까지 저런식의 방식을 도입하는것은 옳지않다고 말하네요 ~~~ 다 보고나서 프로그램 필요에 의한 '실험'이라서 이런 무리한 설정을 한것이다. 라고 말해주었습니다 ^^
@Youngpearl
@Youngpearl 11 ай бұрын
우와... 마지막 인터뷰한 친구 정말 감동이네요. 현실적이다 아니다를 떠나서 저런 생각을 할 수 있다는게 참 멋있습니다.
@hdwoo7306
@hdwoo7306 11 ай бұрын
현실로 와서는, 못 하는 사람에게 더 많은 보상이 돌아가는 사회가 된다면 그날이 대한민국 문 닫는 날이 되겠죠...
@jamesmoriarty7076
@jamesmoriarty7076 11 ай бұрын
가정에서 부모님이 어떤 가치관을 심어줬는지 잘 보이네요. 가치관 건강한 부모님 밑에서 자란듯
@YameSense
@YameSense 11 ай бұрын
저 질문한 학생 조작된 것일 수 있음. 다큐가 조금 셋팅된것들이ㅜ많음.
@user-oe5iq4wi2s
@user-oe5iq4wi2s 11 ай бұрын
눈치 봐야죠ㅇㅇ 수렵채집인 인류 시절의 생각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너무 잘난 구성원은 질투당하거나 숙청당하기 쉽죠
@wings4213
@wings4213 11 ай бұрын
​@@hdwoo7306이미 출산율 0.7, 자살율 1위인 국가인데
@n.e.m.0
@n.e.m.0 9 ай бұрын
이 선생님 교육에 대해 엄청 진지하게 생각하는듯. 저번에 애들 운동장에 출발선 앞에 모아놓고 여러가지 주변 환경에 대한 질문 만들어서 대답에 따라 한발씩 앞으로 또는 뒤로 서게 해서 달리기 시킨것도 엄청 감탄했는데. 이번에 시험지에 선행학습문제 넣은것도 그런 태생적인 불공평에 대해 가정한거인듯
@choedj
@choedj 7 ай бұрын
이 다큐멘터리를 이 선생님이 기획했다고 믿는건가? ㅋㅋ
@n.e.m.0
@n.e.m.0 7 ай бұрын
@@choedj다큐에 대본이 있다고 믿는건가. 그렇다면 정말로 예능과 다큐를 구분 못하는건데 🤔
@choedj
@choedj 7 ай бұрын
@@n.e.m.0 그럼 다큐는 PD나 감독이 필요없겠네?
@n.e.m.0
@n.e.m.0 7 ай бұрын
@@choedj왜 필요없냐. 촬영은 선생이 하는게 아닌데?
@choedj
@choedj 7 ай бұрын
@@n.e.m.0 선생이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이끌어간다고 생각하네 다큐에는 대본도 없다고 ㅋ 다큐가 다 동물의 왕국같은줄 아네
@rackrack2
@rackrack2 7 ай бұрын
애들이 마지막에 하는 말은 사회주의죠 다만 그 사회주의는 이상주의로 이런상황이 지속되면 결국은 일도하지않으면서 얻어가거나 대충일하면서 이득만챙기려는 인원도 늘어날뿐더러 기존에 열심히 하던 이들도 열심히 하지 않게되는게 현실에서 나타났죠
@hoho-mx7zs
@hoho-mx7zs 11 ай бұрын
차이를 당연하게 여겨야 한다며 차이에 대한 논의 조차 하지 않으려는 어른들이 많은데, 아이들이 훨씬 깊이 있게 고민하고 솔직하게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말하네요. 아이들이 더 나은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더 좋은 교육을 받기 위해 어른들이 더 노력하였으면 하네요.
@rrootripes8126
@rrootripes8126 11 ай бұрын
그런데 애초에 가르치지도 않은 걸 평가하고, 그걸 성과주의라고 하는 것도 문제가 있음 저번에도 서강대 가서 쓸데없는 질문 남발하면서 수업 방해 해놓고, 한국 대학생들은 질문을 하지 않는다며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프로그램 편성한 것 보면 EBS논리도 헛점 투성이임. (수업시간에 질문을 하는 것도 다른 학생들의 수업권을 침해할 수 있고, 정말 필요한 질문이라면, 수업이 끝나고도 혹은 메일로라도 얼마든지 질문할 수 있음, EBS팀은 그냥 수업을 방해한거) 성과주의를 비판하려면 허수아비 때리지 말고, 학벌주의, 수능이 적절한지 직접적으로 비판하던가, 괜히 에둘러 애들 가지고 실험해서 선동하고 있네. 애초에 EBS가 성과주의와 수능을 논할 수준이 되지도 않겠지만
@user-fi5vs3fm5z
@user-fi5vs3fm5z 11 ай бұрын
어른들이란 사람들이 처음부터 당연하게 생각하지는 않았을겁니다. 동기부여와 배분이라는건 너무어려운문제고 시스템에 순응하고 내가 할일에 집중하자는 생각이 대다수일겁니다.
@ls-qq4iv
@ls-qq4iv 11 ай бұрын
근데 농어촌전형,기균,사회배려자전형 등등 상대적으로 안좋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충분히 배려하고있다고 생각하는데,,,,
@user-zg7kq8cp8w
@user-zg7kq8cp8w 11 ай бұрын
그럼 제발 북한으로 꺼지면 안됨? 자본주의 세상에선 경쟁 차별이 당연한건데 ㅋㅋㅋ 진짜 지능 낮은 개소리만 씨부리고 앉았네 ㅋㅋ
@goyangyi
@goyangyi 11 ай бұрын
1.선행학습 = 부모의 재력 또는 영향이 크게 작용함. 2. 기여도에 따른 보상(성과주의)은 전체적 흐름으로는 옳음. 다만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점이 있는데 1번의 영향이 가장 크기 작용하기 때문임(출발선이 애초에 다르기 때문에 오블리제 오블리주의 필요성이 여기에 있기도..) 3. 공동체 전체의 성과는 상위 5~20%에 의해 결정됨. N/1의 가장 큰 폐해는 상위권 실력자들의 의욕저하와 무림승차자의 양산에 있고, 이것이 공산당이 망한 이유. 그리고 중국이 자본주의를 받아들인 이유기도 함. 결론) 성과제는 반드시 보완적 제도가 추기적으로 필요할 수 밖에 없음. 성과대로만 분배되어야 한다는 명제는 말처럼 단순한 명제가 아님. 대안) 보완적 성과제가 필요함 (예시) 1. 고성과자들에게 언제나 고보상 2. 고성과자와 저성과자들의 보상정도를 비밀로 하고, 중위권 성과자들의 보상 공개 (저보상 및 고보상 받은 자들의 의욕고취 : 저보상과 중위보상 차이는 크지 않아 죄절하거나 분노의 가능성이 낮아지며, 고보상자들은 중위권에 비해 자신의 보상이 높으니 의욕이 증가할 것) 3. 집단 내 소규모 그룹 형성 4. 고성과자들로 하여금 저성과자들에게 교육 및 피드백으로 교류 촉진 (하위 그룹의 상위그룹 이해 및 상위그룹의 하위그룹 이해로 서로 간 불신 제거) 5. 적재적소 포지셔닝을 위한 자기개발 장려 및 업무 혹은 공부꿀팁 공유
@user-vo3tn9vo1r
@user-vo3tn9vo1r 11 ай бұрын
회사에서 일 안하고 날로먹으려는 분들 생각도 같이 옅볼 수 있었습니다. 같은 월급을 받는데 업무강도가 다르면 개빡치던데... 공평과 평등의 차이를 잘 알아야할거같습니다. 실험을 똑같이 노력하려 학습한것을 기준으로 하고, 대학생들에게는 구체적인 상황을 주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생각을 합니다. 대학생들의 대답에서 모두가 가정하는 상황이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cardosogorito8112
@cardosogorito8112 11 ай бұрын
루팡에 힘빠집니다.
@rokseong3984
@rokseong3984 11 ай бұрын
신입들이야 큰 차이 없어 협조적이기만 하면 좋은데 사바사바하며 정치질로 무임승차에 뒤통수 때리기가 하는 부류가 더 견디기 힘들죠.
@tuple4986
@tuple4986 11 ай бұрын
그래서 공평과 평등의 차이가 뭐라고 생각하나요?
@user-ob5bc9ed8r
@user-ob5bc9ed8r 11 ай бұрын
​@@tuple4986저기서 말하는 평등의 의미는 단순한 좁은 의미의 평등입니다
@bobdaily1903
@bobdaily1903 11 ай бұрын
​@@tuple4986몰라서물어보는?
@jinhojeon7265
@jinhojeon7265 10 ай бұрын
어른들이 저런 아이들의 마음을 닮을 수 있다면 좋겠다. 어리지만 성숙한 답변이었고 특히 마지막 인터뷰한 학생의 모습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저런 친구들이 많다면 좀 더 살만한 세상이 될 것 같다. 학업만큼 품성도 살아가는데 중요하다
@LeeLee-bn9yz
@LeeLee-bn9yz 7 ай бұрын
근데 1, 2, 3등도 주변애들이 화를내고 뭐라할까봐 눈치를 보고 공평하게 나누는거지 본심은 더 챙기고 싶었을겁니다. 아마 1등부터 10등까지 성과제로 주고 나머지는 다 기본급 5천원만 좋더라면 저 판도는 무조건 바꼈을겁니다.
@lagnarock6044
@lagnarock6044 7 ай бұрын
이렇게 아이들을 사회주의에 젖어들게 하는 교육방식으로 바뀌었구나. "나도 똑같이 노력했는데 결과가 다르다고 적게 주는건 차별이다." 노력은 누구나 할수 있다. 다만 그 노력의 방향이 제출자의 방향과 같은것이냐 아니냐가 중요한것이지. 그런식이라면 대학 시험 뭐하러 보냐. 다 어떤 방향으로든 노력은 했는데. 노력이라는 지극히 주관적인 잣대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결과를 비교하는것인데. 조직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주의 해야 하는것은 조직이 여러 방향으로 뻗어져 가는 사람들을 얼만큼 포용할수 있는가이다. 아이들의 집단이기주의를 보며 한국교육의 진짜 돌아올수 없는 강을 건너고 있다는것을 본 느낌이다.
@choms0228113
@choms0228113 11 ай бұрын
끝부분의 우리 아이들 인터뷰 내용이 가슴 뭉클할 정도로 감동입니다. 요즘 사회적으로 교육이 무너졌다고 할 정도로 개탄스러운 현실이지만 우리에게 아직 희망이 있는 것 같습니다.
@ljhosep9404
@ljhosep9404 11 ай бұрын
참 공산주의적 내용이네요 가슴이 옹졸해집니다
@user-nk2de9mq6t
@user-nk2de9mq6t 11 ай бұрын
​@@ljhosep9404ㅋㅋㅋ 지잡대도 못가는게
@ljhosep9404
@ljhosep9404 11 ай бұрын
@@user-nk2de9mq6t 인서울인데 뷴신련잌ㅋㅋㅋㅋㅋㅋㅋ 야 너 뭔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jhosep9404
@ljhosep9404 11 ай бұрын
@@user-nk2de9mq6t 씨알도 안멕힐 스펙으로 조질려고하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얼탱이없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l1ht1bw7h
@user-kl1ht1bw7h 11 ай бұрын
​@@ljhosep9404ㅉㅉ
@martinkim9612
@martinkim9612 11 ай бұрын
이게 과연 1, 2, 3등이 진정 만족해 하는 결론인지는 의문이네요 친구들의 분위기에 떠밀려서 저런 선택을 한것처럼 보이는건 내가 너무 속물이라 그런걸까? 이게 과연 제대로된 실험인가? 결말이 정해진 연극이고 아이들은 그 판에서 놀아난듯한 기분이 드는건 왜일까?
@death2948
@death2948 7 ай бұрын
1등기준 17만원이라는 돈을 린치를 피하기위한 보호비로 지출한 셈임
@user-sogu73jdnv
@user-sogu73jdnv 2 ай бұрын
@@death2948 왕따 당하는 것보다는 17만원으로 타협보는 게 싸지 않을까요? 흥부와 놀부 이야기에도 나오는 교훈이지요.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 10 ай бұрын
EBS에서 이따위 다큐를 찍어대냐? 세금 낭비가 따로 없네. 1,2,3등 한 아이들의 노력은 인정하지 않고 모두 똑같이 나눠야 공정하다가 결론이냐?
@tjdnfeo
@tjdnfeo 9 ай бұрын
성과에 따른 보상 차이가 없으면 누가 열심히 노력하지? 그게 공산주의 아님?
@GlitterSpace
@GlitterSpace 11 ай бұрын
좋은 성과를 내서 받은 보상인데 성과에 기여한 사람이 아닌 보상이 필요한 사람에게 더 많이 지급해야한다? 이런 사고라면 누가 굳이 성과를 내려고 노력할까요? 어짜피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일정 부분 지급이 될텐데. 성과에 대한 보상이 없으면 하향평준화가 될 뿐입니다. 공부하지 않아도 누구나 공평하게 서울대에 갈수 있다면 서울대의 의미가 사라질 뿐만 아니라 대학들의 하향평준화가 될겁니다.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따박따박 정부에서 돈이 나온다면 굳이 누가 일을 할까요? 적당히 그 작은 돈에 만족하며 사는게 더 편할텐데요? 학교에서 경쟁은 나쁜것이라고 배운 아이들이 사회에 나와 냉혹한 현실에 맞닥치면 얼마나 괴리감을 느낄까요?
@Maria-dy7kq
@Maria-dy7kq 11 ай бұрын
탑신초 아이들 너무 이쁘네요. 담임선생님이 잘 가르치셔서 자기 생각을 차분하게 말하는 모습이 잘 교육 받은 아이들이구나..생각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인터뷰한 친구는 완전 핵심을 짚어서 말하는 게 어른의 통찰력 보다 훨씬 낫습니다. 앞등수 친구들의 선량한 마음도 보석 같구요. 탑신초 어떤 학교인지 찾아보려 합니다.^^ ebs 정말 좋은 기획 감사합니다 😊
@yanghwang2949
@yanghwang2949 11 ай бұрын
탑신초 아니구 탑산초입니다 😊 그리구 일등얘는 선행학습을 하지 않는 친구라고 합니다
@karuna9211
@karuna9211 10 ай бұрын
@@yanghwang2949 일등한 아이가 선행학습을 하지 않은 친구라고 어디 나오죠? 선행 학습을 해야 풀 수 있는 문제라고 처음부터 못 박았는데요?
@LlLGgGBbBTtT
@LlLGgGBbBTtT 9 ай бұрын
​@@yanghwang2949얘가 아니라 애
@padoelec
@padoelec 9 ай бұрын
대가리에 똥만 들었구나.
@hanmabaki_0
@hanmabaki_0 4 ай бұрын
@@yanghwang2949중학교 문제도 나왔다는데 선행 안했다는게 말이 됨?
@chuccaru5753
@chuccaru5753 10 ай бұрын
당신이 김밥공장 합니다. 영업사원 두명을 뽑았어요. 김밥10개만들어 파는사람과 100개 만들어 파는사람. 월급을 같게 줬을때 누가 회사를 그만둘까요? 그가 회사를 그만뒀을때 누가 제일손해인가요? 급여를 차등으로 유지시, 김밥공장은 총생산110 경제입니다. 개인의 기분에 맞게 가려면 다함께 덜받으면 됩니다 100개만들어 판 사람은 더이상 100개팔지 않습니다 15개쯤 팔겠죠. 총생산은 25가됩니다. 경제가 손해봅니다. 상금은 상금이지 적게받는게 패널티가 아니죠. 어려움이 있겠지만 타인보다 나만의 중심을 잡고 살길바랍니다.
@user-jt8fd6vq9g
@user-jt8fd6vq9g Күн бұрын
같은 상황에서 스스로를 돌아보고 앞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원동력을 갖는 아이와 많이 가진 친구의 것을 탐내고 비꼬는 아이가 있는걸 보니 앞으로의 삶의 태도가 일찍이 정해졌구나 싶네요
@hyunpark793
@hyunpark793 11 ай бұрын
다니는 회사가 성과위주면 좋은회사 다니고 있는거니까 안심해라 현실은 성과보다는 지분과 정치영역의 파이가 큼
@user-bj4kt6pz2z
@user-bj4kt6pz2z 11 ай бұрын
모두가 같은 수준의 보상... 참 위험한 생각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우리나라가 잘 사는 이유는 자본주의의 기틀안에서 노력에 대한 보상이 있었기 때문일텐데... 물론 많이 받은자들이나 더 가진자들이 자원하여 나눔을 배푸는 것까지 나아간다면 더 아름다운 사회가 되겠지요. 결론은 모두가 같은 보상이라면 공부를 열심히할 동기가 생기지 않을것 같습니다. 인류와 각 나라들의 사람들은 부의 대무림, 가난의 되물림을 벗어나기 위해 몇 천년 동안 치열하게 공부해 왔습니다. 이 다큐에 대해 감성적인 판단보다는 더 깊은 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꾸끼
@꾸끼 10 ай бұрын
맞죠.. 자본주의이기에 성과에따른 높은 보상이 원동력이되는데.. 연차에따라 같은급여를 받는 공무원을 보면 누군 열심히하고 누군 대~충 해나가는걸 봐도 한눈에 알수있는데..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8 ай бұрын
​@user-ml5jd9mb4p니같은 사람 수천명이 내는 세금보다 가진 자 한명이 세금을 더 많이 냅니다.
@antpercy
@antpercy 8 ай бұрын
@user-ml5jd9mb4p 가진자들이 세금 1프로 내는게 당신이 평생내는 세금보다 많을 겁니다.
@user-ed4ms8dh7d
@user-ed4ms8dh7d 7 ай бұрын
제가 가진 생각을 저는 상스럽게 표현했는데 아름답고 우아하게 말씀하시네요 배우고 갑니다.
@MrRiversand
@MrRiversand 6 ай бұрын
@@꾸끼 ㅋㅋㅋ 그건 자본주의가 아니라 금본주의구요 그럼 지금 유럽의 영국, 프랑스, 독일처럼 못살수록 더 많은 혜택을 주는 국가들은 자본주의국가가 아니라는건가요?
@mjw8201
@mjw8201 10 ай бұрын
성적이 잘 나온 친구들 덕분에 반평균 올라가 받은 상금인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기여도에 따라 나누어 갖는 것이 옳죠. 처음부터 다 똑같이 나눠 줄거라고 했으면 아이들이 공부 열심히 해서 시험에 임할까요? 아이라서 그럴 순 있지만그렇게 하라고 유도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아 보입니다.
@humanchuchu4169
@humanchuchu4169 2 ай бұрын
불공평해야 유지가 되는 사회.... 잔인하지만 현실임. 다만 다같이 같이 가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해야함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11 ай бұрын
열심히 일한사람이 당연히 더 많은보상을 받는것이맞고! 형편이어려워 학업에 열심이지만 부진한친구들을위해.. 도와주는게맞다. 열심히공부한친구들은 제외하고..오히려 부진한 친구들을 보상해주면 누가 공부하는가? 인간이 그리완전한 동물이아니다. 본성은 그렇지않다
@xerographica
@xerographica 11 ай бұрын
13:47 인상 깊은 질문이다. 모두가 상위권 학생들의 상금을 분배하고 액수에 만족할 때, 이 학생은 상위권 학생들의 기여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본 것 같다. 결국 차등분배여도 모두에게 상금이 주어질 수 있었던 건 상위권 학생들의 영향이 크니까.
@dodmed956
@dodmed956 9 ай бұрын
차이와 차별에 대한 아이들의 인터뷰 내용이 가슴을 울렸습니다. 아이들이 정말 생각보다 성숙하게 답변하는 모습에 많이 놀라기도 했습니다. 아직 어린 아이들이 앞으로 커서 세상을 겪어 나감에 있어 더 나은 교육을 받고 차별과 차이에 대해 성숙하게 생각하고 좋은 가치관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세상이 오기를 응원하겠습니다.
@user-rr2xk1uf8c
@user-rr2xk1uf8c 8 ай бұрын
대외적으로는 보는시선이 있으니깐 공평하게 나누자고 하지요 ㅋㅋㅋ 블라인드였으면 하위층 빼고는 노력대비 보상으로 나누자는 의견으로 갈듯
@user-or3sm4hx6n
@user-or3sm4hx6n 8 ай бұрын
​@@user-rr2xk1uf8cㅇㅇ 그래서 난 모든 사람 앞에서 피력할 수 있는 의견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함. 블라인드 하에선 지구 멸망도 찬성하는 사람있을텐데
@HJYoon-kn2vf
@HJYoon-kn2vf 7 ай бұрын
@@user-or3sm4hx6n 무기명투표와 유기명투표 중 유기명투표가 더 옳다고 생각하는 방식ㅎㄷㄷ 군부독재에서 누가 어디에 투표했는지 알게 한 투표도 찬성하시겠네요ㅋ
@user-or3sm4hx6n
@user-or3sm4hx6n 7 ай бұрын
@@HJYoon-kn2vf 원래 논리를 반박못하면 메신져를 공격하거나 다른 이상한 논리를 끌고와서 물을 흐리는데 그래도 님은 메신져를 공격하는 하급방법을 쓰진 않았네요 보기 좋습니다.
@user-or3sm4hx6n
@user-or3sm4hx6n 7 ай бұрын
@@HJYoon-kn2vf 그렇지만 멍청한 건 제가 과연 군부독제체제 하에서도 유기명투표가 올바르다고 말했을까요? 그럼 님은 지금 저 교사분이 초등학생들에게 의견의 찬반을 직접 손을 들게 해 조사했는데 저 교사도 전두환마냥 군부독재 하의 찢어 죽일 놈이라는 거죠? ㅋㅋ
@user-abcd12346
@user-abcd12346 2 ай бұрын
세상은 공평하지 않아. 세상은 "결과(성과)위주다."
@kwanwoorho9842
@kwanwoorho9842 11 ай бұрын
1등부터 3등까지 모두가 "다른 친구들" / "부담"이라는 표현을 쓴 거로 봐서 교실같은 가까운 공동체 일수록 상대적 평등보다는 절대적 평등을 중시하는 경향이 보이기도 하네요. 5000원을 받은 공동체로부터 자신이 배척 될 수도 있다는 내면의 두려움도 보이고요.
@user-bl8ne2gj4n
@user-bl8ne2gj4n 9 ай бұрын
맞아요 왕따당할까좌 배풀어준거죠 ㅡㅡ 걍 뜯어간거지 양아치세끼들 노력의 차이는 생각도 안하고
@jason2876
@jason2876 7 ай бұрын
⁠@@user-bl8ne2gj4n아이들이 답변을했지만 자기노력이 분명있지만 선행학습이란 단어자체도 모를정도로ㅜ부모로부터 받은게 없는 아이도있지요. 거기에 양아치라는말이 들어가는것이 안맞는것같네요
@Khvicha_kvaratskhelia_
@Khvicha_kvaratskhelia_ 7 ай бұрын
모두에게 평등하게 나눠주는건 공산주의인데 모두에게 평등하게 나눠준다면 1의 일을해도 5천원을받고 1000의 일을해도 5천원을받기때문에 1000의 일을하는사람이 그에대해 박탈감을 느껴 모두가 1만해도 되는세상이 만들어지는데 모두가 1만하면 다같이 나눠도 100원만 받기에 무조건적인 평등을 원하는 사람은 북한에서 살아야함
@death2948
@death2948 7 ай бұрын
@@jason2876 그 말을 포함해도 상위의 친구들은 더 받을수 있는 성과급을 친구비 내지는 보호비로 뜯긴 것 이외의 무엇이 되지는 않습니다......
@Wisniewski1
@Wisniewski1 7 ай бұрын
@@jason2876 부모로부터 받은 것이 없다는 말부터 틀렸습니다. 저 교실에 있는 모든 아이들이 선행학습을 원할까요? 선행학습을 하지 못한 아이는 부모로부터 유기당한 것일까요?
@user-rq7uw4hz9l
@user-rq7uw4hz9l 11 ай бұрын
마지막 회색 옷 입은 아이와 파랑색 옷 입은 아이들 얘기가 가슴에 남네요..어쩜 저렇게 말을 잘할까...아이들이 모두 순수하고 착하고 똘똘하네요...😊
@gratitude-almond
@gratitude-almond 11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마지막 두 아이들 말이 참 따뜻하네요. 덕분에 끝까지 시청했습니다^^
@user-xr4df7vm5h
@user-xr4df7vm5h 11 ай бұрын
정신 차릴려면 멀었다. 앞으로 고생길이 훤하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세상을 살아봐라. 너에게 돌아오는 것은 가난과 후회뿐이리라
@haeleong
@haeleong 11 ай бұрын
@@user-xr4df7vm5h어효..님보다는 잘 살듯요
@わんだほーいー
@わんだほーいー 10 ай бұрын
@@user-xr4df7vm5h왜이렇게 부정적이세용 못하는것도 할수있게 만드는게 긍정과 노력이니까 화이팅해요😆👍
@hyeryunyou1024
@hyeryunyou1024 10 ай бұрын
당신의 결과물ㅡ🤑🤮😶‍🌫️
@gaonma5188
@gaonma5188 11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두친구에게 감명 받았습니다 부디 잘 커주길 바랍니다
@mapuanahula1744
@mapuanahula1744 11 ай бұрын
어린이들 마음을 보면서 많이 배웠습니다.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11 ай бұрын
근데 저렇게 안하면 노력할 필요가없지 점수를 잘 받은 애들은 다른 애들 놀때 공부를 한거니까 노력에 대한 보상은 줘야되는거 아닐까?
@springagain4455
@springagain4455 11 ай бұрын
왜 울컥할까. 저기에 나온 모든 아이들이 다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한번도 의심하지 않았던 성과주의에 대해..고찰해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user-ur5rb1dk6y
@user-ur5rb1dk6y 2 ай бұрын
공부못하는 애들한테 감정이입하지말고 잘하는 애 입장에서도 생각해봐~~~노력한애랑 안한애랑 똑같다면? 이 사회가 어떻게 될꺼 같음? 한국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생각 좀 하고 살자
@dannygu3578
@dannygu3578 5 ай бұрын
7:05 이 친구처럼만 안 되었으면 좋겠네요. 다신 이런 경험 하고 싶지 않다니 ㅡ 이쪽도 저쪽도 싫고 그냥 포기하고 싶다니 ... 기분은 알겠지만 그러면 안되요 ㅠㅠ
@hjj3952
@hjj3952 7 ай бұрын
모두 똑같이 분배하게 되면 누가 기여하려고 노력하게 될까요? 요즘 아이들 보면 너무 '평등'에 물들어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 상황이건 '평등'은 '정의'이고 '평등'한것이 곧 '공평'이라는 인식이 너무 지배적인것을 느낍니다. 저는 성악설을 믿는 사람이라... 인간은 기본적으로 노력보다 편안함을 추구하는 존재라 생각해요. 노력이나 기여도에 상관없이 똑같은 분배가 이루어진다면 그 사회는 유지가 가능할까요? 성과에 따른 차등은 분명 필요합니다. 다만, 차등분배가 박탈감이 느껴질 정도가 아니게끔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그러한 차등분배가 어렵고 불가능하죠. 이윤추구를 위해 인재가 필요하고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차등분배만한것이 있을까요?
@HJkimKOR
@HJkimKOR 11 ай бұрын
돈 보다 관계를 생각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참 기특하네요. 모두가 열심히 기여하고 모두가 공평하게 분배 받는 것이 현실에서 이루어진다면 정말 이상적인 사회가 되겠지만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통제할 수는 없는 한 실현 될 수 없을 것 같아요. 순수한 한 때의 시절에 할 수 있는 생각이 아닐까요? 그리고 다른 분들 얘기처럼 시작점이 다르다는걸 극복하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죠.. 그걸 극복한 사람은 반드시 자신의 노력을 보상 받으려 할 것이고요.. 문제를 잘 푼 아이들은 그 만큼의 시간과 노력, 자기 희생이 있었는데 관계의 불편함이 더 컸기에 그걸 반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저는 공부를 엄청 잘 하지는 못했지만 그만큼 재미있는 생활을 누렸다고 생각해요. 남들 학원 갈 시간에 놀고, 놀 때 또 같이 놀고..ㅋㅋ.. 그러고는 불공평하다고 말하기엔 어폐가 있는가 같아요.ㅋ.. 그래도 아이들이 생각하는 그런 세상으로 나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sakeL744
@sakeL744 11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조금만 읽으면 나쁜거 아닙니다. 공정하고 평등한 이론이며 공정하게 분배하는 사회이기 때문이지요. 저는 항상 영어를 2등했고, 항상 2등했으며 영어받아쓰기와 영어듣기시험과 단어시험 항상 100점받아왔어여 학력은 이공계와 영어쪽으는 성적이 좋았어여 저는 2등해서 상금 받게되엇어여 항상 제가 공부는 2등이라 항상 2등하였고 상금은 받았으나 애들을 맛있는거로 사줬다는 기억이 생생하게 납니다.
@user-qy9ne6es4m
@user-qy9ne6es4m 11 ай бұрын
요즘 학교교육을 보여주네요 하향평준화 ㅠ ㅠ 학교에서 상장을 받아도 반애들뒤에서 조용히 주고ㅠ 아이들앞에서 주면 안된다고하여서 저희아이도 집에와서 울었다는 ㅠ 친구들앞에서 받고 싶었다고요.. 잘하는애들을 숨기고 뭐든 평준화시키기 .. 상대적으로 잘하고 열심히 하는애들이 나서지 못하게 하는교육을 하고 있네요..ㅠ 요즘 학교교육이요 .. 문제가 많다고 봅니다~
@M12509
@M12509 11 ай бұрын
상장을 왜 뒤에서 주죠;; 이상하네요 서운했겠어요
@user-eb5ee9sw5n
@user-eb5ee9sw5n 11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좋은성과를 내면 칭찬받고 보상받고 좋은성과를 내지 못한 친구들은 축하해주고 더 노력해야지 가 되야하는데 성과를 내지못한 아이들의 상실감을 먼저 내세우며 뒤에서 몰래.. 이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향평준화라는 단어 저도 자주 생각합니다. 애들 바보만들고있습니다.
@티오피
@티오피 10 ай бұрын
성과가 있으니... 돈을 얻는거고 그 돈으로 성과낸 사람한테 돈을 더 줘서 더 좋은 성과를 내게 만드는게 맞는데;; \ 9:09에 나오는 학선이는...... 공무원 추천한다;
@user-it8sv6qc2e
@user-it8sv6qc2e 9 ай бұрын
그런데 솔직히 세상은 경쟁입니다. 곤충, 동물들도 경쟁을 하는데 인간이라고 경쟁을 안한다? 심지어 나무도 경쟁하면서 살아갑니다. 경쟁하지 않으면 도태됩니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에겐 그만큼의 무언가가 추가 되어야 하며, 그걸보고 그냥 포기하는 것은 경쟁을 포기하고 도태되겠다고 스스로 선언하는 것입니다. 그냥 포기했던 사람마저 다시 데려와서 같이 살면 좋지만, 그래도 안된다면, 그런 생각을 가진 유전자는 아이도 낳지 않고 결국 사라지는 유전자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jh-uq5wb
@jh-uq5wb 11 ай бұрын
저 실험의 핵심은 누가 얼마를 받았는지를 모두가 알고있다는 점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얼마를 줬는지도 전부 비밀로 부쳐졌다면 얘기는 또 달랐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user-ll2sf7us4d
@user-ll2sf7us4d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점점 사회주의화 되어가고 있군요. 남들의 노력보다는 남이 나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어가는 것 같아서 배아파서 열심히 노력한 사람의 것을 빼앗는 걸 경험하게 하다니. 1등을 한 아이는 진심으로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사회주의, 공산당이 옳다고 가르치는 실험 잘 봤습니다.
@doge7_7
@doge7_7 11 ай бұрын
하나는알고 둘은모르시네 ㅋㅋ
@Grace-vx5wk
@Grace-vx5wk 9 ай бұрын
공평과 공정은 다른거죠. 공정해야합니다. 당연히 더 노력한 사람에게 많은 보상이 주어져야죠. 다만 시험이 중1과정이 아니라 초6과정이었어야합니다.
@yot1026
@yot1026 10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콘텐츠네요 나중에 이런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도 갑자기 들구요 제작진분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정말 대단하시네요
@jinsnow1
@jinsnow1 11 ай бұрын
공동생산 공동분배가 결국 선이다 라는 결론을 만들어 놓고 실험을 설계한 나쁜 프로그램입니다. 아이들에게 교과과정 내의 문제를 내고 그에 따라 차등 보상을 해주면 대부분이 차등 보상에 대해 수긍하는 결과가 나올까봐 일부러 선행학습을 해야만 풀 수 있는 문제를 추가한거죠. 매우 부적절한 가치관을 심어주는 의도된 비열한 프로그램입니다.
@jsy5187
@jsy5187 10 ай бұрын
빙고.... 이곳에 들어와 댓글들을 읽으면서 아이들에 대한 칭찬과 격려 그리고 사회가 저렇게 되길 바라는 다수의 글을 접하면서... 지금 우리나라가 혹시 사회주의 국가였나...?!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실험은 그 실험을 만든 사람들이 유도한 방향데로 흘러가게 되어있습니다. 그런 분위기를 만들고 그것이 정답이니 다른 생각을 한다해도 과하게 드러내지 못하게 되지요. 이런식의 실험은 이미 많이 이뤄져왔습니다. 비슷하지만 모두 조금씩 다른 방식이었으며, 어떤 대학에서는 한 학기나 한 학년동안 내내 이뤄지기도 했었지요. 그것들중 대표적인 실험이, 그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성적의 평균을 균등하게 모든 학생들에게 분배하는 실험이었습니다. 처음엔 이런 사실을 알려주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치뤘고, 첫 시험 이후 성적분배 방식에 대해서 담당교수가 공표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음 시험,,,, 또 다음 시험,,,,,을 거친후 그렇지 않는 클레스와의 상대비교 결과는 월등하게 균등분배했던 교실의 성적이 낮았습니다. 다 같이 함께 멍청해진 거지요. 학교에서 교육해야하는 공정함은 그냥 무조건 N등분하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들도 그것이 부조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럼 아무도 노력안할것을 알고 있는 겁니다. 너무 과도하게 차이남을 막겠다며, 노력한 아이들에게까지 N등분을 강요하는 것이야말로 더 나아가고자하는 사람들에 대한 역차별인 겁니다. 그 노력에 편법이 없고 정직함을 기반으로 했다면...... 누구도 탓해서는 안되며 그로인한 혜택은 당연한 것이 되어져야만 합니다. 위에서 어떤 분이 이번 실험에 대해 고민해야만 하는 두가지라면서 글을 적어주셨지요. ---> 첫째는 영상에서 우리 아이들이 보여준 것과 같이 지나친 성과주의로 인해 소외되고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 성과주의라는 레이스에 참여할 수 조차 없는 상황에 놓이는 집단이 생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둘째로는 다른 아이들보다 더 공부해서 반 평균을 올려줬음에도 3만원을 받은 1등 아이처럼 자신이 노력한만큼의 보상을 못받은 집단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우리의 사회가 첫째와 둘째 집단 중 어느 입장에 처한 사람이 많은지 판단해서 계속해서 그 균형을 맞춰 나가야 합니다. 첫째 집단이 많아 보인다면 우리는 복지와 분배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반대로 둘째 집단이 많다면 자유와 성장을 중점으로 사회를 이끌어야합니다. 그 어느것도 극단적인 방향으로 가선 안됩니다. 구성원 모두가 관심 갖고 스스로 적절한 절차를 통해 현 상황에는 어느 방향이 맞는지 판단하고 행동해준다면 멋진 나라가 될 것이라 믿습니다. 이 또한 생각해야만 하며 무겁게 받야들여야만 합니다. 표면적으로는 그럴듯하지만 결국 이상과 현실을 착각하게 만드는 의도가 옳지 못한 실험이었을 뿐인 방송입니다. 이런 실험에서는 반드시 그렇게 N등분하는 옳지 못하다는 답을 가진 사람도 나와야하는 겁니다. 그렇게 말하는 것이 부끄럽고 해서는 안될 분위기를 만들면 안되는거지요. 그냥 생각없이 좋아 보이니 칭찬만하는 글들만 읽다가 정확하게 지적을 하시는 분의 글이 반가워서 주저리 길어졌습니다.
@rrrsdlfk6843
@rrrsdlfk6843 9 ай бұрын
당신이 자본주의국가라고 생각하는. 미국 최근에 SAT시험 없앴습니다
@1ad221
@1ad221 7 ай бұрын
​@@jsy5187그러게요 이건 실험이라고 말하고는 아이들에게 또다른 강요를 하고 있다 보여져서 눈살이 찌푸려지네요
@bibi77lee10
@bibi77lee10 4 ай бұрын
나도 보자마자 이 생각했음 배운 진도 안에서 시험을 치고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게 제일 공평한데.. 하긴 그래도 아직 이기적인 자아를 숨지지 못하는 초딩들은 성과에 상관없이 똑같이 나누자고 하겠네요
@starlightt20
@starlightt20 11 ай бұрын
인터뷰만 봐도 애들이 어떻게 살아갈지가 보이네요. 똑같이 시험 못봤어도 어떤애는 나도 더 열심히공부해서 상금많이받아야지 하는 학생이 있는반면 나는 어차피 안될거고 시스템이 불공평하다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있네요. 누가 나중에 성공하는 인생을 살지 보이는거 같습니다. 지식이나 가정환경 등도 중요하지만 근성이야말로 정말 중요한 덕목같습니다
@user-sk8up4js9p
@user-sk8up4js9p 11 ай бұрын
ㄹㅇ 6:26 부터 쭉 나오는 애들은 성적 올라갈 확률이 높을듯,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고 앞으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자존심을 지키고 인정하지 않냐 이싸움
@user-kk3gz2ty3u
@user-kk3gz2ty3u 11 ай бұрын
태도의 차이가 어릴때부터 느껴지네요
@user-ib4si7mf6x
@user-ib4si7mf6x 7 ай бұрын
ㅇㅈ
@user-nj3rl3uz9g
@user-nj3rl3uz9g 22 күн бұрын
근데 참 안타까운 게 다들 잘하는 것도 좋아하는 것도 다른데 그걸 왜 어릴 때부터 성적으로 평가하는지 모르겠음. 내가 생각하는 공부하는 이유는 내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판별하고 좋아하는 것은 최대로 능력을 발휘해서 강점으로 만들고 싫어하는 것은 나보다 잘하는 사람한테 시켜서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거라고 생각함. 물론 기본적인 공부는 해야 겠지만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한다면 그에 대한 목표의식과 흥미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 앞서 말한 부분들을 생각하고 애들이 공부했으면 좋겠다 ㅠㅠ
@shtshj
@shtshj 10 ай бұрын
시험, 경쟁, 서열화가 나쁜 것이가!!! 이것 덕분에 인류가 이만큼 발전한 것이다! 그런데 시험을 안보다니!!! 나라와 국민이 모두 저능아가 되어가고 있다! 놀자민국 대한민국
@hanmabaki_0
@hanmabaki_0 4 ай бұрын
그래서 니 대학 어디나왔노? 경쟁도 좋은데 너무 과하니까 그러는거 아니냐?
@junghunkim1842
@junghunkim1842 11 ай бұрын
실험 셋팅이 잘못된 듯. 노력정도에 따른 차등보상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고싶었다면 다같이 배운 범위에서 출제했어야 함. 그럼 열심히 수업듣고 복습을 착실히 한 사람이 차별적인 보상을 받았을 때에 어떤 생각이 드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다. 선행학습이라는 다른 변수를 두었기때문에 각자 느끼는 감정이 다를 듯. 물론 현실과 비슷한 세팅이긴하지만..
@romy0
@romy0 11 ай бұрын
제목이 교육격차인걸보면 노력만으로 따라갈수없는 다른것에대한 실험이겠죠
@user-dw8kk6fj5z
@user-dw8kk6fj5z 11 ай бұрын
실제 사회랑 비슷한 것 같아 오히려 실험 설계가 잘 된 것 같습니다. 사회는 출발선도 가진 자원도 모두 다르잖아요.
@leoyoon9748
@leoyoon9748 11 ай бұрын
@@user-dw8kk6fj5z 출발선 다르다고 50대 임원급과 20대 쌩 신입이 같은 파이 두고 경쟁하진 않죠. EBS가 꼬집으려는게 성과주의 무한경쟁주의인데 경쟁은 비슷한 위치 또래사이에서 가장 치열합니다. 그리고 그걸 가장 잘 비유할 수 있는 실험은 정규 교과과정 범위에서 시험을 보는거고요
@BooBooSet
@BooBooSet 11 ай бұрын
노력정도에 따른 차등보상을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아니라, 출발선이 다를 때 성과에 따른 차등보상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고 싶었던 듯 합니다.
@jknm1777
@jknm1777 11 ай бұрын
이 실험의 의도를 잘못 이해하신 듯..
@onroad4770
@onroad4770 11 ай бұрын
이건 다큐의 설정 자체가 결과의 평등을 강제하는 제작자의 프레임이다. 왜 선행이 없으면 고득점이 안되게 설계를 하는가? 실험을 하려면 공정한 경쟁이 될 수 있게 설계를 해놓고 해야지, 왜 고 성과를 얻은 사람이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다수에게 억압을 받을 수 있도록 보상(봉투)의 색깔도 티나게 하는가?? 이것은 방송의 제작자가 본인에 생각을 대중에게 강요하고, 속이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같은 경쟁의 상황에서 개인의 성취와 상관없이 같은 보상을 받아야만 한다면, 우리는 프로스포츠를 볼 이유도, 개인이 높은 성과를 얻으로 노력할 필요도 없다. 개인이 노력하고 성취한 정당한 보상을 보장하며,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같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상점이 되어야지, 부를 죄악시 하는 사회를 조장하는 것은 공산주의를 찬양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user-sandhater
@user-sandhater 10 ай бұрын
정확한 지적입니다
@user-lp9cl3gk5f
@user-lp9cl3gk5f 10 ай бұрын
그럼 반대로 성과를 못내는 사람이 나보다 더 많이 받는 것을 참을 수 있나요? 라는 질문에 답을 해보세요~^^
@joegame4576
@joegame4576 7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니까 "공정"에 대한 개념이 문제가 아니라 "열심"에 대한 개념이 더 문제네요. 대부분 아이들이 더 열심히 하면 더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보상은 열심에 대한것이 아니라 성과에 대한것임을 가르쳐야겠네요.
@jeehokim8212
@jeehokim8212 11 ай бұрын
이상과 현실사이에서 고민하는 많은 교육자분들께 박수를 보냅니다.
@ljhosep9404
@ljhosep9404 11 ай бұрын
참 공산주의적인 내용이네요 반시장주의 교육방침에 가슴이 옹졸해집니다
@yune5597
@yune5597 11 ай бұрын
💥교육선진국인 핀란드에선 어릴때부터 경쟁하지 않는법을 가르칩니다. 무한경쟁은 사회를 병들게 합니다⚡
@ljhosep9404
@ljhosep9404 11 ай бұрын
@@yune5597 제발 거기서 사시지..
@user-by7bn9dw8z
@user-by7bn9dw8z 10 ай бұрын
😢
@junsukim7022
@junsukim7022 10 ай бұрын
@@yune5597 그래서 핀란드가 잘 사는 나라인가요? 핀란드에 대해서 당신은 사우나 말고 뭘 아나요?
@user-tw4eg6lu7y
@user-tw4eg6lu7y 11 ай бұрын
어릴 땐 공산주의가 정말 좋은 줄 알았지... 얼마나 이상적이고 공평해 보이냐 착한 사람들만 있는건 아니라는걸 깨닫게 되는건 금방이었음
@yel_quack
@yel_quack 11 ай бұрын
다 나같을 줄 알고 했더니 나빼고 다 같더라...인 공산주의
@user-hs5vs5fv4g
@user-hs5vs5fv4g 11 ай бұрын
공산주의 극혐합니다 어떻게 모든 사람이 똑같이 일하고 똑같은 월급을 받습니까 내가 일한만큼 받아야하는데 요새 우리나라는 일하지도 않으면서 돈은 더많이 받아가려는 빈곤층이 더 많아진듯요 대학장학금도 성적이 아니라 못 살면 주는게 더 많아짐 정작 받은 장학금으로 명품백사던데
@워노
@워노 11 ай бұрын
공산주의가 인간의 본성을 더 잘알수있는 체제이지 아무리 잘한들 노력한들 못한들 보상이 똑같으면 어느 정신나간놈이 자기할일 열심히 하겟나
@user-bq4kk1xl7l
@user-bq4kk1xl7l 11 ай бұрын
이론적인 공산주의는 참 좋죠 사람이 이론과 다른게 문제지요
@sophiep.5428
@sophiep.5428 10 ай бұрын
어떻게 어릴 때 공산주의가 좋을 수가 있나요... 망한 것부터 보고 듣는데. 혹시 해방 이전 세대세요?
@user-to2gr2mm8m
@user-to2gr2mm8m 9 ай бұрын
결국 똑같이 나눠갖네요. 잘했던 학생들은 아쉬워하지만 소수이고, 다수에 의해 의사 결정하니 따라갈 수 밖에 없군요. 다수의 결정은 결국 공산주의 사회주의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걸 보여준 좋은 사례입니다. 선생님이 잘했던 학생들 때문에 반성적이 높아서 상금을 받은 것이라 이야기 하지만 씨알로 먹히지 않고 똑같이 나눠갖습니다. 그리고 그게 평등이자 공정이라고 다수가 외칩니다. 집단에 의해 소수의 의견은 비록 그사람이 가장 큰 공헌을 했어도 무시됩니다. 다음 시험에는 당연히 그 반이 상금을 못 받겠지요.
@samyun8609
@samyun8609 8 ай бұрын
내가 하고 싶은말 단순히 자기의 위치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뿐 연봉을 모든사람앞에서 공개하는건 진짜 에휴... 공산주의 사회주의랑 다를게 뭐임. 결국 거위배를 가른것과 다름없지
@yongyong-
@yongyong- 7 ай бұрын
진짜 보면서 자본주의 시장체제를 도입한 우리나라에서 공산주의처럼 생각하게 된다는게 너무 이상했음 이십대 다수가 성과주의를 택했지만 성과주의를 완전 이상한 괴념처럼 보는 소수의 이십대 보고 충격을 받음 모두가 잡은 고기의 총량을 공평하게 나눌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음 결국 경제발전을 위해선 공평하게 나누는 것이 아니라 고기를 더 잡을 방법을 생각해야지 고기를 많이 잡을수록 나눌 수 있는 것인데 성과를 많이 내면 보상을 더 많이 받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이 나랑 너무 거리감이 들었음
@kw-gd9bt
@kw-gd9bt 7 ай бұрын
근데 노력한 정도에 따라 얻는게 달라야 하지 않나 누구나 똑같은 보상을 받으면 그게 공평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노력한 사람은 뭐가 되는거임…
@user-cq6wq3ld5p
@user-cq6wq3ld5p 11 ай бұрын
6학년 담임인데 지금 아이들은 누가 백점 맞았다고 공개적으로 말해주는 것도 싫어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줄 세우기 하지 않고도요 어차피 6개월 뒤부터는 줄 세우기 할건데 말이죠ㅎㅎ 자본주의 사회에선 경쟁은 필수불가결하죠
@nakony1522
@nakony1522 11 ай бұрын
이게 처음이라 나오는 반응이지. 이것이 계속 된다면 상위는 동기부여가 없어지고 중간은 감사함이 없어지고 하위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방만하게 된다. 그게 인간이다.
@user-nx7qi3xt3r
@user-nx7qi3xt3r 8 ай бұрын
정말 악독하게 설계된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분들도 말해주셨지만 1. 아이들의 사회적 반응으로 자신들의 사상을 강화하려함 -아청법 저촉 2. 배운적 없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일부로 격차를 만들어서 부적절한 업적위주 분배를 조성함-기회의 평등× 3. 1, 2, 3등에게만 차별적 분배를 통한 이념과 사상 주입-진정한 업적분배 사회였다면 모두에게 차등을 줬어야 함 어중간한 분배를 통해 자본주의를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게함 4. 조작된 실험결과는 연구 진실성과 윤리에 어긋납니다.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에서 사는 사람들이 가질 수 없는 비율이었습니다. -어른들이 방문을 열고 들어갈때의 특정 비율 5. 실질적인 재화를 분배함으로써 갈등심화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킴 -이건 진짜 심각한거 아닌가요? 심지어 아이들에게 대본을 나눠주고 읽게한 연극같이 태엽같이 끼어맞혀지는 느낌이 들지 않았나요? 심지어 선동하는 학생도 보입니다. 한소희 학생 옆에요 이것은 아이들을 노동시킨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자신들의 영리를 위하여 아이들을 매수하려 도구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지요-아청법 저촉 6. 공영방송은 사상을 전파하는 도구가 아니라 바른 펙트를 전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 입니다. 교육적이긴 하네요 공산주의를 아주 잘 교육하였습니다- 아이들을 이용하여 거부감을 없애주셨군요! 7. 마지막으로 자본주의를 어쭙잖게 인정하는 태도는 올바른 결과를 전하기에 부적합하고 공산주의 사상만 강화하여 그 방향으로 주장을 강화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습니다. 공산주의의 결과는 어땠나요? 북한을 보시면 알잖아요?
@user-zi1xd8ew1m
@user-zi1xd8ew1m 8 ай бұрын
성과급으로 하는게 제일 맞지.. 성과급을 해야 성장을 하지 누구는 아무것도 해도 받고, 누구는 일(공부)만 한다면 같은 보상이라면 누가 노력을 함?
@alltime3006
@alltime3006 11 ай бұрын
전세계 어디에도 완벽하게 공평한 평등은 없다고 봅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성과를 낸 사람이나, 열심히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같은 급여를 지급한다면 열심히 일할 필요가 없지요. 이 또한 역차별입니다.
@user-wo6hw2hr4w
@user-wo6hw2hr4w 11 ай бұрын
뭔 어린애들한테 성과주의 예기를 합니까?? 그리고 이재용이 무슨 노력해서 회장이 된 것도 아니고.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8 ай бұрын
​@@user-wo6hw2hr4w이재용이 맡는 것이 가장 생산성이 높다고 판단해 주주들이 맡긴 것이죠.
@qwertykey105
@qwertykey105 11 ай бұрын
아이들 중에 더 큰 그림을 보는 친구들이 몇몇 있네요,,, 정말 맹점이 있는게 성과주의는 '능력주의'가 아닙니다 '어떻게든 성과만 내면 돼'라는 사회와 '노력해서 능력을 키우면 보상이 따른다'라는 사회, 둘 사이엔 엄청난 간극이 있죠 아마 성과주의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대게 후자의 모습을 생각하고 찬성하셨을 겁니다. 그러나...
@nibuoy5190
@nibuoy5190 11 ай бұрын
노력해서 능력을 키운것을 어떤 것을 기준으로 평가합니까 성과죠 그래서 성과 주의가 능력주의랑 같은 맥락 인것입니다. 나 열심히 노력했는데 시험 5등급 맞았어 이러면 서울대 들어가게 해주나요? 아니죠 나 열심히 노력했는데 3부리그 축구선수야 이러면 국가대표 축구 선수로 뛰게 해주나요? 아니죠 노력과 능력에는 성과가 따라 와야 그것을 인정해주고 보상을 줍니다 그러니깐 성과주의나 능력주의나 똑같은 말인 것입니다.
@qwertykey105
@qwertykey105 11 ай бұрын
​​​​​​​​@@nibuoy5190능력이 뛰어나다고 꼭 좋은 성과를 내는 건 아니라는 거죠 저또한 능력=노력이라고 한 적이 없습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노력하면 능력을 얻게되고 능력이 곧 성과로 이어질테니 "나는 성과주의의 혜택을 받는 대상일 것"이라고 착각한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현대의 노동구조에서는, 능력이 아무리 뛰어난들 보상이 그 '능력있는' 사람들에게 고루 돌아가기 어렵습니다. 영상에서 나왔듯 자원이 한정돼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더 개개인의 능력 외에도 많은 상황적 요소들이 판가름하는 일이 훨씬 많아요. 그외에도 세상엔 개인이 가진 능력과 재능을 간단하게 지워버리는 조건과 환경이 정말 많습니다.. 대게는 개인의 힘으로 어쩌지 못하는 것들이고... 그래서 성과주의를 능력주의로 오독하면 안된다는 의견이었네요^^..;; 글을 한번만 더 읽어보셨음 좋았을 것 같아요
@BooBooSet
@BooBooSet 11 ай бұрын
두 개념이 별개인 것은 맞지요. 다만 순수한 의미에서의 능력주의는 측정할 방법이 전혀 존재하지 않음. 그래서 그냥 성과주의를 받아들이기도 함. 적어도 성과주의는 측정은 되니까
@user-yn7gu4yw5k
@user-yn7gu4yw5k 9 ай бұрын
교육의 취지는 좋으나 세상은 냉정합니다. 모순적이게도 인간은 공평한 유토피아를 좋아하지만 인간이라서 불가능합니다. 인간은 그 본래 속성자체가 공평할 수 없습니다. 모든 사안에는 각자의 이해충돌이 생겨서 옳고 그름을 따지는게 의미가 없지요. 하지만 우리는 사회라는 곳을 살게됩니다. 그 사회가 원하는 것을 거스르고 살기는 많이 힘들지요 좋은 교육 잘 봤지만 살아남기위해서 공평해진다는건 말이안됩니다.
@user-vd1jw9ym3j
@user-vd1jw9ym3j 10 ай бұрын
이게 자본주의임 능력만큼 받아가는. 정의롭고 이상적인 사회에서는 격차가 40배가 아닌 더 줄어들어야 하는게 맞지만 자본주의 개인주의 사회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무한경쟁의 고리 속에 들어간다는 것 자본주의 또한 완벽한 모델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거지 하지만 이를 대체할 더 나은 대안이 없기 때문에 그냥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일 수 밖에 없음.
@dannygu3578
@dannygu3578 5 ай бұрын
어쩔수 없다는 말이 너무 슬픕니다. 아이들은 어쩔 수 있다고 믿고 있잖아요. 그 아이들의 믿음이 실현될 겁니다ㅡ 님만 옳은 것은 아니에요
@user-c00ki4
@user-c00ki4 11 ай бұрын
결국 여기서 제일 피본애->갈굼당한 3등, 돈뜯긴1등. 다수의 공부안한 어린이들이 공평을 외치며 언어폭행하는 장면 잘 봤습니다. 차라리 선생님이 나누면 좋았을텐데 선생님이 "너네 맘대로 나눠"하면 그냥 치킨이나 같이 나눠먹고 말던가. 돈을 뺏는 장면은 참담했습니다.
@goldfinger1225
@goldfinger1225 10 ай бұрын
공부 안한게 아니죠. 학교 교과 과정에 맞게 가고있는 애들이죠.
@joooooon-o6i
@joooooon-o6i 10 ай бұрын
선행학습을 하지 않은 아이들은 성과를 내지 못하는 환경에서 그것도 학교에서 그게 맞는거라고 생각하세요 ? 사회에선 당연히 성과 기준으로 임금이 높아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Jdpoker88
@Jdpoker88 8 ай бұрын
맥락을 벗어난 말이네요. 평균 시험결과가 다른 반 보다 좋아서 상금을 탄 것입니다. 그것에 대한 대우는 당연히 받는게 맞지 않나요?@@goldfinger1225
@j_oy7088
@j_oy7088 7 ай бұрын
공산혁명 조기교육ㅋㅋㅋㅋ
@삼성디아즈
@삼성디아즈 Ай бұрын
​@@j_oy7088소비에트 교육 ㅋㅋㅋ
@neeya6239
@neeya6239 11 ай бұрын
이거 보면서 눈물이 좀 나네요!! 결론은 아이보다 국가를 움직이는 어른들이 문제를 많이 발생시키고 있구나!! 아이들은 과도한 차이, 과도한 경쟁보다는 적절한 격차를 원하는거보면 부모의 소득불균형에 따른 교육에 격차가 있음을 많이 인지하고 있는거 같네요~ 현 사회의 과도한 경쟁으로 오는 단점을 축소판으로 보여주는거 같아요!! "부담"이라는 단어가 모든 사회문제를 초래가 하고 있다는걸 보여주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빠른포기, 상실감, 불공평등 지속적으로 이어지면 점점 사회가 3포, 5포, 7포세대로 점점 변화는거 보면서 시급하게 바꿔나가야 할 문제 인거 같습니다. EBS에서 좋은 실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아이들의 생각을 알수있어서 좋았던거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11 ай бұрын
돈은 공평한걸 싫어합니다.
@romy0
@romy0 11 ай бұрын
​@@ByungXin_of_Dead돈이 싫어한다는 공평의 기준은 누구의 기준일까요? 20만원을 가질수있었지만 결국 손에 3만원을 쥔 아이는 20만원이 내 노력의 가치기때문에 공평한 금액이라 생각할거고, 5천원뿐이었다가 3만원을 얻게된 아이들은 그렇게 똑같이 나누는게 공평하다 생각할텐데, 돈은 어떤걸 공평하다 생각한대요?
@sakeL744
@sakeL744 11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조금만 읽으면 나쁜거 아닙니다. 공정하고 평등한 이론이며 공정하게 분배하는 사회이기 때문이지요. 저는 항상 영어를 2등했고, 항상 2등했으며 영어받아쓰기와 영어듣기시험과 단어시험 항상 100점받아왔어여 학력은 이공계와 영어쪽으는 성적이 좋았어여 저는 2등해서 상금 받게되엇어여 항상 제가 공부는 2등이라 항상 2등하였고 상금은 받았으나 애들을 맛있는거로 사줬다는 기억이 생생하게 납니다.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11 ай бұрын
@@romy0 선생님의 부를 보시면 아실것 같습니다. ^^ 선생님의 삶속에서 대충사셨는지 열심히 사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오늘의 결과로서 양쪽에 어디에 서있는지보시고 그 편에서 생각하시면될것 같습니다. 애들은 계속 애들로 남아있지않으니깐요. 다른거는 몰라도 돈이나 좋은것들은? 한쪽으로 쏠릴가능성이 높으니깐요. 보통 각자가 원하는대로 삶을 바라보지만, 시계는 늘 한쪽방향으로 흘러가죠. 오늘도 원하는 하루되세요^^
@romy0
@romy0 11 ай бұрын
@@ByungXin_of_Dead 제 기준을 물어본게 아니라 돈의 기준을 물었는데요. 길게 쓰긴 했는데, 논점을 벗어났네요
@user-hs9xb8ck5l
@user-hs9xb8ck5l 10 ай бұрын
공부를 기준으로 잡는 경쟁에서는 공부를 잘하는 사람에게 많이 주는 게 맞지. 대신 다른 기준으로 하는 경쟁에서는 그걸 잘하는 사람에게 많이 줘야지. 그럼 된거잖아. 이 실험이 공부만 보여줘서 되게 문제인듯이 말하는데, 어느 분야든 아무것도 안하는 사람에게 성과를 똑같이 나눠준다면 열심히 한 사람에 대한 기만이지
@dannygu3578
@dannygu3578 5 ай бұрын
문제는 우리나라는 공부 성적순 딱 한가지로만 경쟁 하니까요. 적어도 대학갈때까지요. 근데 문제는 그 대학이란 결과가 또 평생을 좌우해버림.
@kwanglim2887
@kwanglim2887 11 ай бұрын
금강산 관광하신 건설업자분이 말씀하셨다. 북한 노동자들 약 40명이 계단 보수공사를 오전부터 하고 있었는데, 당일 관광이 끝나고 복귀할 때에도 작업진척이 거의 없었다고. 어차피 받는 배급은 공평하니 일을 안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 중 일부는 노동을 하기는 하지만, 대다수의 노동을 하지 않는 이들이 결과에 편승한다. 이게 공평한가? 본인의 존재 자체가 사회에 기여한다고 생각하는건가?
@_by2383
@_by2383 11 ай бұрын
아이들의 시선이 정말 신선합니다. 어떻게보면 다들 친구관계가 얽혀있기에 더 관계에 집중된 시선으로 볼수있었던게 아닌가 싶어요. 사회에서는 이런 원초적 감정들을 HR팀들은 어느정도 알고있어 항상 비밀리에 성과급을 주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Ebs가 ebs 했네요.
@ethospathos9013
@ethospathos9013 8 ай бұрын
맞죠… 저 상금은 성과급의 영역이고 생활비의 영역(식사메뉴나 자리 등)으로 들어오면 아이들도 얘기가 달라질겁니다
@user-le9id8yh3y
@user-le9id8yh3y 10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중간 기말고사 부활 시키세요… 기초학력 부족한 아이들 너무 많아요… ㅠ 학교에서 숙제도 안내주고 알림장도 안쓰고, 초등 저학년들은 일기 숙제도 없어요… 숙제 낸다고 학교에 민원 넣듯 전화를 너무 해대니까 선생님들도 시달리기 싫어서 책임감 가지고 공부 시키는 선생님들도 별로 없어요… 학부모들도 문제지만 무너진 교권만 말하고 달라지지 않는 선생님들도 많죠… 대한민국 미래가 참 안타깝습니다.
@user-li1hg9ro9h
@user-li1hg9ro9h 7 ай бұрын
마지막 장면이 아름다워 보이지만...첨에 사회주의사상에 사람들이 매료 되었다가 결국 실패한건 다 이유가 있음.. 만약 그 다음 시험에 1~3등 한 친구가 어차피 우리는 열심히 해도 3만원밖에 안주네 하면서 점수가 떨어지면 결국 반 등수가 떨어지고 그 반에 주어지는 상품권이 50만원에서 20만원으로 떨어지게 되어 있음..그러면 결국 학생마다 가져가는 상품권의 금액이 줄어들는데 그 비난의 화살은 결국 1~3등이 져야됨...15~20등 하는 애들은 1~3등이 예전처럼 점수가 안나와서 우리반이 상품권을 20만원 밖에 못 받앗다고 말하겠지.. 애초에 반별로 주어지는 상품권 자체가 이미 점수에 의해서 나누어 지는데 학생들이 그걸 1/N 씩 나눈다고 해서 학생들이 평등해지는건 아님.. 그냥 그 반 전체가 가난해질뿐임...이게 사회주의 국가 실패한 전형적인 패턴이였음. 저 장면에서 그나마 공정한건 50만원 중에 35-40정도는 성과로 배분하고 나머지 10-15정도를 평균으로 나누는게 그나마 가장 공정한거임... 현재 자본주의 국가의 시스템이 그렇게 되어 있음.. 단지 국가마다 성과배분과 평균배분의 비율이 다를뿐.
@vigne2000
@vigne2000 11 ай бұрын
높은 성적때문에 받은 상금.. 성적이 낮으면 못받았을것.. 내 성적이 평균이하였다면 기여가 없는 거고.. 그러나 기여라는 게 성적만일까?? 교실의 분위기..응원.. 그것또한 기여인듯..
@jini7118
@jini7118 11 ай бұрын
첫째는 중학교 들어 가면서 동네 수학 학원 보내고 둘째는 초5때 학교 처럼 누구나 가는 학원 보냈었는데 첫째는 중학교 졸업할때 수학상 받았었는데 선행은 절대 안했었고 오히려 쉬운것 부터 계속 시켰었는데 둘째도 이과 수학 1등급 받았는데 그시절은 기초를 튼튼하게 할필요가 있는것 같아요
@spmaster89
@spmaster89 11 ай бұрын
수치화 하기 어려운 것들도 분명 기여도에 올라갈 것인데 그 모든것을 다 반영하기는 어려우니 우리는 현재 가장 쉬운방법인 눈에 보이는 수치들만을 가지고 평가하는거 같아요 언젠가는 그런것들도 반영 해 줄 수 있는 세상이 되면 좋겠습니다
@user-bq8ps5ed3j
@user-bq8ps5ed3j 11 ай бұрын
맞는말이지만 기준이 워낙 주관적으로 새워져야해서 ..
@user-nn6cj1tu8m
@user-nn6cj1tu8m 11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허스키한 마지막에 두번째 남자아이는 매력남이네요. 선행을 안한 학생으로 처음 부분 영상에 나왔던 것 같은데... 오히려 선행하지 않는 아이가 자기 의견을 또박 또박 조리있게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의견을 내놓는걸 보니 다른 아이들의 단답형 의견과 달리 틀에 박히지 않는 사고를 하는 것 같았음.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자신이 공부를 잘하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는것 같고 자신이 이미 이 아이들보다 위라는 느낌이 은연중 느껴짐. 하지만 마지막에 나온 안경낀 친구는 공부도 잘하고 배려도 할 줄 아는 거 같아 흐뭇했음.
@wusan73
@wusan73 11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할 시간과 경험을 했다는 것이 좋아보였습니다.
@user-qr1cd2tn9u
@user-qr1cd2tn9u 9 ай бұрын
근로현장에서 일하는 있는데, 동료들과 같은 임금을 받고 있는데, 일은 제가 2배를 더 합니다. 다른 분들은 눈치가 백단이라 성심 성의껏 안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노동의 결과물이 매번 적은데. 제 일을 마치면 매일 동료들의 일을 도와주다 보니 결과적으로 2배 이상의 일을 하느라 물론 육체의 피로로 인해 매일 힘이 듭니다. 저 자신에 부끄럽지 않게 살기 위해 매일 성심성의껏 일하는 제가 바보인가요. 아님 회사의 시스템이 잘못된 건가요. 위 아이들 실험대로라면 다 똑같이 나눠 먹는 게 맞다는 것인지. 세상에 한가지 정답이 있는건지....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11 ай бұрын
신선한 시각과 실험이네요... 모두가 이익을 가져가되 꼴등과 1등의 격차가 납득이 된다면 모두가 상실감 없이 전체가 상승될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게 매우 합리적이고 좋은방향이네요.. 비록 전체이익을 공평하게 나눈다는게 실제 결말이지만 속으로는 모두 알고있는듯 해요
@bihojang7125
@bihojang7125 11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1,2,3등의 보수를 빼앗아 공평하게 나누는것 보고 놀랐네요. 열심히 일하던, 게을리 일하던 공평하게 나누는 세상이 정말 좋은 세상일까 생각해봅니다.
@star-ace
@star-ace 11 ай бұрын
나는 처음엔 1~3등에게 대부분을 분배한 차등 지급도 그럴듯 했고 아이들이 똑같이 나눈것 역시 그럴듯 하다 라고 생각을 했는데 후반부에 한 학생이 1~3등 때문에 전체 평균이 올라간거냐의 질문에 선생님의 대답이 무언가 매끄럽지 않았음. 1~3등 때문에 전체 평균이 올라 갔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1~3등 수준은 타 반에 비해 떨어지지만 중간층 수준이 상당히 높아 평균을 올렸을수도 있고 하위 학생들의 수준이 타 반의 하위 학생들에 비해 높아서 평균이 올라 갔을수도 있음 명확하게 타 반까지 개개인 모두의 성적을 공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금을 받은게 상위권 때문이라고 단정짓고 1~3등에게 몰빵에 가까운 분배를 한 것은 당연히 문제를 제기하고 불만이 나올수 있는 상황이라고 보여짐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11 ай бұрын
@@star-ace 오~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네요. 그렇치만 이미 반애들도 모두 1,2,3등이 공부를 나보단 잘한다라는 인정을 한거로 봐서 저는 상위권애들이 잘한거는 인정!! 근데 분배격차가 상실감이들 정도에 분배는 낙오자가 발생될수도 있기때문에 공평하게 나누자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봤거든요. 애들도 넌이미 선행학습이라는 지원에 결과니 공평하지 않아~ 만약 모두 배운거로만 평가했다면 너가 더 받는건 우리도 인정 하고 있다는 결론이라고 생각을 했어요.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11 ай бұрын
@@bihojang7125 1,2,3등도 아무리 잘났어도 반애들과 조직사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양보도 해야한다는걸 인정하는것이 놀라웠어요... 섭하지만 어쩔수 없다는걸 말하는걸 보고 어른보다 지혜롭구나를 배웠습니다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11 ай бұрын
@spyvooivv 헛소리 하는거보니 일본놈이네요
@user-idjxdjdu1234
@user-idjxdjdu1234 11 ай бұрын
이게 참 모두가 노력했기 때문에 나눠갖는다는 아이들의 태도와 모습이 성인이 되도 이어져야하는데 문제는 성인이 되면 노력하는사람만 노력하고 대다수는 그렇지못하고 혜택만 받아가려는 사람이 많은게 현실이라는게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저 순수한 시절이 부럽네요
@adallee4196
@adallee4196 7 ай бұрын
교육기관에 용공세력이 많다고하더니 이런거를 왜 보여주는 건지 다같이 공산주의 가자는 거죠 이상과현실은 다른거죠 중국이 예전에는 공산주의에서 지금은 사회주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indchang958
@indchang958 Ай бұрын
원래 콩 한쪽까지 뺏어먹는게 세상이다. 성과와 노력은 무조건적인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mathmelody583
@mathmelody583 11 ай бұрын
가정(상황)을 바꿔서 실험을 해봤으면 어땠을까요? 1.선행과정이 아닌 현행과정(최근 3개월 이내로 교육된 과정)으로 시험을 본다. 2. 차등을 영상처럼 급격하게 두지 않고 정규분포곡선의 -2시그마부터 0시그마 구간의 그래프 형태와 유사하도록 차등을 준다. -3시그마부터해도 괜찮구요. 사견이지만 이 2가지 가정만 바꿔도 상당히 다른 양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艾莎撒娇得到王子的原谅#艾莎
00:24
在逃的公主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Please Help Barry Choose His Real Son
00:23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