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잘 보는 유전자는 따로 있었다? 유전자가 시험 점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다큐프라임│

  Рет қаралды 200,251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8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6년 2월 10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교육대기획 시험 2부 시험은 기술이다>의 일부입니다.
“우리에게 시험이란 무엇일까?”
수능 약 70만명, 토익 약 200만명, 공무원시험 약 45만명...
2015년, 대한민국은 ‘시험 공화국’이다. 학생들은 시험을 위해 공부하고, 성인들은 미래를 위해 시험을 준비한다. 천문학적인 사교육비, 숱한 교육 관련 문제들은 결국 시험의 문제로 귀결된다. 시험 하나로 인생이 바뀔 수 있는 우리 사회! 시험은 단순한 통과의례 이상이다. 시험은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하나의 커다란 이데올로기다.
“시험이 사람을 만든다”
모든 사람은 시험에 통과하기 위해 몸을 맞춘다. 그래서 시험은 그 시험에 맞는 사람을 만들어 낸다. 모든 사회는 저마다 다른 형태의 시험을 가지고 있으며, 그 시험들은 사회의 가치관, 교육철학, 이념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시험을 보면 그 사회를, 사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과연 우리의 시험은 어떤 사람을 만들어 내고 있을까?
“무엇을 평가해야 할까?”
시험은 어디까지나 평가하고 측정하는 도구다. 그렇다면 우리는 학생을, 인간을 과연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 걸까? 어떤 능력을 평가해야 할까? 그리고 그 평가는 얼마나 정확할까? 시험이 말해줄 수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그리고 앞으로의 시험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지 성찰해 본다.
EBS 교육대기획 시험은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을 ‘시험’이라는 사회 현상의 측면에서 접근했다. 공교육의 목표가 ‘좋은 성적표’를 받아오는 것에만 집중되어 있는 현실에서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정한 평가’는 어떤 것일지에 대해 고민하는 교육 다큐멘터리가 될 것이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교육대기획 시험 2부 시험은 기술이다
✔ 방송 일자 : 2016.02.10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시험 #유전자 #학교 #수능 #사교육 #연구 #교육 #다큐

Пікірлер: 721
@Uuuu_youuU
@Uuuu_youuU 5 ай бұрын
공부를 그렇게 잘하진 못했던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나도 공부머리가 없는 사람으로 태어남. 내가 아이큐가 낮은건지 이해력도 딸리는 탓에 수학과학같은 이과과목은 항상 밑바닥점수였고 수학과외를 받아도 선생님으로부터 이 학생은 이해가 느려 가르치기 힘드니 돈을 더 받아야겠다는 소리도 들었음. 심지어 기억력도 딸려서 남들 세번보고 외울때 나는 10번은 읽고 또 읽고 달달 외워야 겨우 시험볼때까지 안까먹는 수준이었음. 그나마 정치와 법, 역사같은 문과과목은 스스로도 좋아하는 과목이었기에 대부분의 시간을 투자해 달달 외워 그나마 8~90점대, 3등급 언저리를 받아냄. 근데 공부 잘하는 애들은 같은 과목을 나보다 절반의 시간만 투자해도 1,2등급을 싹쓸어감. 게다가 나머지 과목들도 다 당연한듯 1,2등급. 학교에서 서연고 가는 애들 부모 직업 알아보면 대부분 공부잘해야 가질수있는 선생님, 교수, 연구원 같은 직업. 여기서 공부가 환경과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타고남, 즉 유전이 중요하다는 걸 느꼈음. 내가 노력이 부족했었던걸까…최소한 내가 좋아하는 과목들은 교과서가 너덜너덜해질정도로 달달외우고 최대로 노력해도 공부머리 있는 똑똑한 애들을 절대 못따라갔다는 사실이 아직까지도 비참한 열등감으로 남아있음. 그래도 뭐 내가 비록 공부는 못했지만 사회성이 좋고 일머리는 있어서 나름 잘먹고 잘살고 있긴 함.
@llllIllllllIIIIlllO
@llllIllllllIIIIlllO Сағат бұрын
사회성이 최고죠!
@user-qv7mk8gk9e
@user-qv7mk8gk9e 6 ай бұрын
인생이든 시험이든 걱정하는 사람보다 도전적인 사람이 성공할 확률이 높은데, 그 이유를 알 수 있는 내용이네요..다만, 평소 걱정이 많은 사람이라면 여러번 반복학습하여 자신감을 얻는 것이 필요한 것같습니다.
@garlee8223
@garlee8223 4 ай бұрын
자연선택상 여러 형태의 사람이 공존하는건 그 번식성공률이 대체로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도전적인 사람은 성공할 확률이 높은데 반대로 파산하거나 사고등으로 비참함 최후를 맞이해 파멸할 확률도 높습니다.
@dhgksthf1004
@dhgksthf1004 5 ай бұрын
걱정쟁이형이라면 도파민이 늦게 분해되는걸 이용해야 함 최대한 시험장에서의 환경을 조성해 실전을 연습처럼 연습을 실전처럼 조성할 수만 있다면 걱정쟁이형이어도 딱히 시험에서 디메리트가 아니게 됨
@user-qf4mt1zq7l
@user-qf4mt1zq7l 5 ай бұрын
문제는 그걸 혼자서 다 하기에는 시간이나 비용이 많이 쓰이기 때문에 그걸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학부모의 부담과 마음고생이 만만치 않다는 생각이 드네요.
@user-dv9qs1hd3c
@user-dv9qs1hd3c 5 ай бұрын
내가 걱정쟁이형이라 재수는 기본임 ㅠ
@user-db8ym6xp3x
@user-db8ym6xp3x 5 ай бұрын
이게 뭔소리야..?
@garlee8223
@garlee8223 4 ай бұрын
추가 훈련이 필요하고 설령 아무리 훈련하더라고 위험부담에 대한 인지 상황자체의 차이때문에 불리함은 변하지 않습니다. 전사형이 훈련받는다고 해도 평상시에 걱정쟁이 형과 같은 특성을 보일수 없는것처럼요. 전사형도 모의고사를 봅니다. 걱정쟁이 형도 봅니다. 우린 할수 있는 준비를 다하기 때문에 특별한 추가 훈련이나 학습을 해서 극복한다는건 공허한 개소리입니다. 상대도 같은 훈련을 하고 격차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붉은 여왕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전속력으로 달려야 제자리를 유지합니다. 무리하면 넘어지거나 지쳐서 오히려 뒤쳐지죠.
@user-chanwon
@user-chanwon 4 ай бұрын
5:21 나도 시험날 설*를 했쥬😅6:49시험의기술.테스트와이즈니스 8:02 두가지요소 10:02 측정오차 11:00콤트유전자 15:42사고를 하는데유리
@Lesser_Kim
@Lesser_Kim 8 ай бұрын
교육도 중요하고 공부도 중요하지만 인생의 방향성을 빨리 찾는게 제일 중요한것 같다.. 사람이 기본이 잡히고 중심이 잡히면 나중에 뭘 해도 잘하게 되있음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8 ай бұрын
참고로 우리나라 교육은 아무 쓸모없는 교육입니다. 국,영,수 미친듯이 주입식으로 교육을 받죠? 관련 업종 제외하고 살아가면서 우리가 과연 그정도 단계의 심화된 수준의 내용을 써먹을까요? 수학 - 덧셈,뺄셈,나눗셈,곱셈,분수만 할줄 알아도 사는데 아무 지장이 없구요 영어 - 우리가 필요한건 회화,리스닝이지 독해만 주구장창 가르치는게 아님 한국인들의 독해 수준은 원어민인 영국인보다 뛰어남 근데 대화가 안됨 가장 중요한게 대화인데 참 모순된 교육이죠? 국어에는 문학 ,언어 부문이 있죠 문학에서는 시를 외우게 하고, 시인의 내적갈등과 외적갈등 이딴걸 외우게 하는데 도대체 이걸 왜 외우는지 아직도 모르겠음 우리가 시인이 될것도 아니고 그래 언어는 뭐 우리가 살아가면서 말 잘하면 좋으니깐 상관은없음 문제 읽으면 말빨도 좋아지니깐 이딴 주입식 교육 시킬 시간에 하나라도 아이들이ㅡ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는 경험을 시키는게 가장 좋은거임 자연의 순리대로 상식적인 교육만 가르치고 놀게 해야됨 그 과정에 애들이 답을 찾을 테니깐 부모가 자식한테 이거해라 저거해라 강요하는순간 그 애는 그저 로봇으로 길러질 뿐임
@iparken
@iparken 8 ай бұрын
성공경험이 중요함
@user-jk3eg3ue3i
@user-jk3eg3ue3i 8 ай бұрын
@@ghijkabcdef6887 우리나라 교육이 주입식 교육이라고 말하는거부터 공부를 해본적이 없으신듯 물론 내신은 적은 범위 내에서 암기식으로 커버가 가능하지만 수능은 아님 게다가 각 과목이 차지하는 두뇌적 발달을 너무 생각치 않고 표현했는데 간단하게 수학이라는 과목을 얘기해보자면 수학을 배우는 목적은 논리력과 추론 능력의 향상을 가져다줌 한창 성장기 수학을 통해 우리 뇌의 저 부분이 발달한다는 거임 수학이란 언어적 표현을 수학적 표현으로 즉 복잡한 언어적 표현 방식 대신 간단한 언어인 수학적 언어로 바꾸는걸 해줘야하는데 이는 수학적 개념이 정리가 된 이후 이를 식으로서 변형하는 과정에서 지능에서의 논리력 추론 능력이 향상을 가져오게 되는데 이 부분은 사회생활하면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함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8 ай бұрын
@@ghijkabcdef6887대학교 공부때문에 그런거를 배우는것도있음 물론 전공 말고는 무쓸모긴함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8 ай бұрын
@@user-whiterabbit 유럽식 교육이 진짜 효율적임 우리나라를 에를 들자면 외식조리학과 경쟁률 빡센데 음식에 대한 상식이나 실력으로 경쟁을 붙혀야지 성적으로 들어간다는것 자체가 웃긴거.... 외식조리학과 보통 수능 2등급 정도는 맞아야 들어갈 수 있는데 들어가면 수학으로 요리하는것도 아니고 교육이 모순 그 자체임 유럽은 졸업시험은 보는데 난이도가 어렵지 않음 학창시절때 배우는 교육은 진짜 인간이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상식선에서 가르치기 때문에 학생들이 우리나라처럼 고통받지 않아도 되니깐 시간이 많아서 다양한 경험도 하고 연애도 하고 그러면서 자기 꿈도 찾고 그 꿈이 대학교를 가야 될것 같다면 자기 전공 찾아서 가는게 대학임 유럽은 대학도 다 국가에서 대주기 때문에 부담없이 공부가 가능함 본인이 목표로 세운 꿈을 이루기 위해 대학을 간것이라 더 열정적으로 공부함 (우리나라는 부모가 가래서 가는곳이 대학)
@user-xt3do6wn8v
@user-xt3do6wn8v 7 ай бұрын
교육계의 이런 연구들이 평가방법의 다양성을 지향하고 결국은 대입시험도 수능을 벗어난 형태로 다양하게 간다는건데, 결과는 진짜 능력의 측정이 아닌 자본의 영향력이 측정된다는 거죠. 현재 대입도 미국을 따라 그런방향으로 가고있고... 그냥 sat처럼 수능 여러번 보게 해서 최고 점수 쓸수 있게하는거만 하면 안되나요 수능 하루에 벌벌떠는 아이들이 불쌍하네요...
@user-gt1bv8xd3r
@user-gt1bv8xd3r 6 ай бұрын
심지어 요즘 미국대학들은 sat도 포기했습니다;; ㅋㅋ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5 ай бұрын
1년에 수능 여러번보는게 더 고통일듯 일단 난이도와 응시자수준이 매번 다른데 이걸 합쳐서 본다는것 자체가 운이 엄청나게 큰 비중을 차지하게돼서 오히려 학생들한테도 부담만 늘어날뿐더러 매년마다 불수능 물수능 말나오지만 그나마 남들도 그 해 같은 시험을 봤기때문에 별말없이 넘어가는건데 물수능응시자와 불수능응시자를 합쳐서 비교한다? 형평성 문제있다고봄 (사실 형평성하면 수시가 제일 문제인데 이게 진짜 자본의 영향력이 큼 수시없애고 정시100하는게 제일 공평함) 원한다면 재수 삼수 하면되는거고 굳이 1년에 수능 여러번 보는건 단점밖에 없음 그리고 수능은 첫 관문일뿐 성인되면 시험의 연속임 자격증시험 공무원시험 대학교시험 고시 국사 토익 뭐 시험아닌게 없음 본인의 노력을 증명하는 수단은 점수뿐 수능이 무섭고 보기싫은애들은 수능점수 안보는 학교가면 그만임
@user-ik8io7ex7u
@user-ik8io7ex7u 6 ай бұрын
이제 진정한 팩트가 나오기시작하네. 재능이지 공부는
@gmeguming8435
@gmeguming8435 4 ай бұрын
과거 이걸 간파한 소수의 사람들이 진실을 말하면 돌맞았죠..
@iijliljllij
@iijliljllij 4 ай бұрын
외우는재능
@user-wc3bh3gg3k
@user-wc3bh3gg3k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영상안봤냐
@nameless4530
@nameless4530 29 күн бұрын
@@user-wc3bh3gg3k 전사형이 잘 본다는 게 팩트라는 결론인데. 영상 안 봤냐?
@songhyeonpark3421
@songhyeonpark3421 5 күн бұрын
학문을 깊이 닦는 높은 수준의 공부는 재능이 없으면 불가능할수도 있음. 그러나 한국 교과과정 상 공부는 재능이건 뭐건 노력만 하면 됨 재능이 공부의 영향을 주더라도, 한국 교과과정에서 좋은 점수가 안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노력을 전혀 안했기 때문임. 재능이 딸려도 노력하면 되는 수준의 교과과정을 가진 나라가 한국임. 자기가 학업 못하는걸 제발 ㅈㄴ 짧고 일부분의 연구결과를 담은 영상을 보고 이 모든 것이 진실이다 하면서 재능탓하지 마시길
@drm3352
@drm3352 6 ай бұрын
그 어느 때보다 연구 동기가 확실했던 연구ㅋㅋㅋㅋㅋㅋ 하지만 공감... 사실 시험이 어느정도 그룹핑은 가능해도 줄세우기는 더더욱 어불성설임. 우리나라 전국 1등해서 최고 법조계 갔어도 별 아웃풋 없음...
@user-wz2bs4yp8e
@user-wz2bs4yp8e 8 ай бұрын
6:14 수능 창시자 처음봄. 이사람때문에
@user-zz4tq3yd7h
@user-zz4tq3yd7h 4 ай бұрын
당신이..... 당신이 여기가 어디라고 나와
@sisira_1124
@sisira_1124 2 ай бұрын
​@@user-zz4tq3yd7h😂😂😂 앜 미친ㅋㅋㅋㅋ
@s2r121
@s2r121 6 ай бұрын
아이들 가르치는데 이미 공부로 될성부른 아이들은 아기 때 부터 다릅니다. 기억력, 이해력, 습득력, 집중력, 인내력은 기본이고 자신이 아는 지식을 서로 연결지어 생각하면서 사고를 해요. 항상 왜?라는 물음표를 찍어 생각하기를 좋아합니다. 반면 정반대의 아이들...안타깝지만 미디어 노출이 많은 요즘 아이들을 보면 생각하는 것 자체를 하려하지 않아요. 타고난 머리도 없는데 성실함도 없고 포기도 빠르고 의욕도 없고 오로지 즐거운 것, 자극만 추구합니다.... 학습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질 것이라고 봅니다.
@nanrnagde
@nanrnagde 5 ай бұрын
요즘애들이 그러는게 아니에요. 원래 차이가 심했고, 그걸 이제야 보기 시작한겁니다. 우린 그걸 "노력"이란 단어로 무시해왔을 뿐이지요
@s2r121
@s2r121 5 ай бұрын
@@nanrnagde 제가 15년 전부터 아이들을 가르쳤습니다. 예전 아이들과 요즘 아이들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어요. 신체 성장은 빠르지만 정신연령이나 지적 수준은 떨어지고 있는게 과잉보호하는 양육 방식으로 의존적이거나 인내심이 없고, 미디어 노출의 부정적 영향이 크게 보인다는 얘기였습니다.
@ceo7753
@ceo7753 8 ай бұрын
와 자기자식 바보 아니라구 연구를 해서 증명하시는 교수아빠ㅋㅋㅋㅋㅋ
@wisiasa
@wisiasa 8 ай бұрын
그게아니라, 자기는 100점 맞는데 왜 내 자식은 90점일까? 하며 90점 맞아서 멍청하다 생각하는, 개잡스런 사고방식 가진 부모임.
@ijivateilikaansaksie
@ijivateilikaansaksie 8 ай бұрын
@@wisiasa 개잡스러운 것은 아니지 않나? 부모가 충분히 지능이 높다고 보여지는 성과를 냈었는데 자식이 지속적으로 그에 떨어지는 성과를 내니까 의문이 드는 것은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데?
@wisiasa
@wisiasa 8 ай бұрын
@@ijivateilikaansaksie 영상 다시봐 90점이 멍청하다고함.
@ijivateilikaansaksie
@ijivateilikaansaksie 8 ай бұрын
@@wisiasa 아니 지들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멍청한거 맞지,,
@wisiasa
@wisiasa 8 ай бұрын
@@ijivateilikaansaksie 상대적으로 멍청하다고 얘기 한적이 없어. 그런 사고를 할 수 있는 인간이 아님.
@alphak4581
@alphak4581 6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입시, 시험 등등에만 매몰되면 안되고 빠른 인정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공부도 재능이라는 걸 인정하지 않으니 동아시아가 불행한 것
@JinnYoungKim
@JinnYoungKim 6 ай бұрын
한국이 그래서 학생들 행복도가 꼴찌이고 의대몰빵 이러는 전세계에 유례없는 결과가 나온듯요. 국까이든 국뽕이든 한국이 망했다는건 인정합시다.
@zzanguya
@zzanguya 4 ай бұрын
이해력+기억력+집중력+끈기가 있어야 공부를 잘 하는데 각 요소는 타고남이 분명 있고 그걸 얼마나 환경적으로 뒷받침해 주느냐에 있음. 결국 이렇든 저렇든 부모 잘 만나야 함.
@hiyunifamily6093
@hiyunifamily6093 8 ай бұрын
생물적 유전뿐만 아니라 환경적 유전도 영향이 크다. 아빠가 티비만 보면 그것이 학습되며, 욕 하는 아빠를 봐도 학습되며, 잘 웃는 아빠의 행동도 다 학습이 된다. 나는 딸 아이의 행동과 언어 사용하는 것을 보며 깜짝 놀랄 때가 많다.
@helookscool
@helookscool 8 ай бұрын
그 환경적 유전이 이크는 결과는 5%미만일것이다.
@Wonaudo
@Wonaudo 8 ай бұрын
티비만 보는 아빠, 욕하는 아빠.......그자체도 다 유전입니다.... 애들앞에서 자기절제도 못하는 이유가... 유전입니다.....
@hyeonmin90
@hyeonmin90 8 ай бұрын
결론은 부모가 교육에 관심이 있어야 함. 아빠가 서울대 의사라 해도 티비만 보거나 게임을 하고 책, 교육, 연구에 관심이 없으면 자녀에 악영향을 줌. 아빠 뿐만 아니라 엄마도 똑똑해야 하고. 거기다가 친조부가 정치도박에 빠지면 나락가는 거임.
@user-ib3pc7ey9t
@user-ib3pc7ey9t 8 ай бұрын
​​​@@helookscool솔직히 성격은 환경의 영향이 크죠. 공부에 영향 미치는 건 IQ라서 유전 맞고 환경은 5% 미만 맞아요!
@ik964
@ik964 7 ай бұрын
같은 유전자라서 같은 환경적 기질이 더 쉽게 학습되는거.
@hdl1015
@hdl1015 6 ай бұрын
인생의 방향성을 먼저 잡고 노력을 쏟아붓자..
@cogitoergosum9182
@cogitoergosum9182 8 ай бұрын
방금 김사부3 보고왔는데 대박 ㅋㅋㅋ 수쌤 목소리가!!!
@ILoveJungSungHa
@ILoveJungSungHa 7 ай бұрын
콩콩팥팥.. 유전자의 힘..ㅋㅋ .인생의 온복이 부모 잘 만나는 거!! 흙수저-금수저처럼 물질적인 자산을 굳이 다 포함하지 않아도 바르게 사는 부모를 보고 자라는 아이는 좋은 인성으로 좋은 인생을 살겠지.. 왜냐하면 생활습관의 힘마저도 ... 부모에게서 물려받는 유산 ㅎㅎ
@user-zm2is7tm6i
@user-zm2is7tm6i 8 ай бұрын
연구결과는 전체를 보되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봐야하고 인간에 대한 일부분의 부분만을 알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으니 이 짧은 영상내용이 진실이고 모든것이다라고 받아들이는 일없길..
@jeanhigh3357
@jeanhigh3357 Ай бұрын
반대로 생각하면 공부 성적이 좋다고 "저 사람 똑똑하다."라고 단정짓는 사고에 경각심은 되는 거 같아요. 시험 운이 좋은 사람들이 있어요. 평소 실력보다 잘나오는... 반대로 평소실력보다 점수 잘 안나오는... 그러니 반수하는 친구들이 나오겠죠... 평상시 내가 성적이 더 잘나왔는데...수능 때 점수가 적게 나왔다... 운도 실력이라고 하는데... 운은 그냥 운...인복 처럼...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8 ай бұрын
유전자도 있고 부모와 자라온환경을 통한 학습도 있고 스스로 깨닫고 진화나 퇴화되는 성장도 있고 이 세가지가 합쳐져서 성격 외모 지식 지능이 생겨남. 유전자는 바로 윗세대를 닮기도 하지만 윗윗 세대를 닮기도 하고 윗윗윗세대를 닮기도 함. 유전자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몇가지 정보만이 사람을 구성하는데 사용됨. 즉 복불복이라 이거지. 그래서 같은 부모밑에서 나와도 외모 성격 성향 다 다른거임. 내자식인데 왜 나랑 다르냐 라는 말은 진짜 초단순한 생각인거임.
@user-jx6mg6wk5g
@user-jx6mg6wk5g 8 ай бұрын
바로 윗부모 유전이 아니라는거지 태생적으로 모든 게 타고난다는 건 이미 다 알려진거지. 컴퓨터가 0과1의 무수한 조합이듯 유전자 배열도 agtc의 조합임 부정할 수가 없다
@user-Griezman
@user-Griezman 7 ай бұрын
@@duanecherenek 조부모가 지능 낮고 질병있으면 어머니가 에이급이라도 손주까지 개피봅니다
@user-nx6ej1ku9l
@user-nx6ej1ku9l 6 ай бұрын
일리있습니다. 다만 유전공학은 유전이 결정적이라는 유물론에 입각하여 자기 학문적 위상만을 위한 결론에 집착하느라 심리학 정신의학과는 주장이 엇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아동심리의 경우 타고나는 그 성향에 대해서는 그 어떤 분야도 제대로 설명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타고나는 성향이 매우 중요하다는...
@JinnYoungKim
@JinnYoungKim 6 ай бұрын
@@user-nx6ej1ku9l 그냥 속시원하게 말합시다. 그렇게 따지면, 왜 N수했는데도 (당연히 허수는 제외합시다.) 다들 의대 못감??? 난 한국이 애초에 공부는 노오력으로 가능하다는 새빨간 거짓말에 속여서 한국에 애국심 다 떨어짐.
@JinnYoungKim
@JinnYoungKim 6 ай бұрын
@@user-nx6ej1ku9l 님말부터 틀린것이 이미 의사선생님들과 손주은 강사님이 다 유전으로 결정된다고 했습니다. 네 맞아요 목숨을 걸거나 하면 될지 모르겠네요. 일반화? 이미 미국 교수들도 인정했는데요? 그리고 저기요 선생님. 노력은 제가 부정안했는데요? 노력이야 당연히 자기의지로 해야죠. 왜 뜬금없이 명문대 출신이시라면서 경제력을 갑자기 끌고 오시는지요? 보편적인 타당성이요? 당연히 아~주 길게해서 인서울간다쳐요. 거기서부터도 공부 못따라가면 나가리 되는거고요. 님 강사맞아요? 게다가 의대를 왜 끌고왔냐면, 요새 애들 의대에 몰빵해서 그런거고요. 솔직히, 공대생들 사이에서도 이미 한국을 떠나서 과학자되거나 아니면 인서울 들어가도 대학에 적성과 상관없이 취업하고(만족하면 모르겠으나, 그게 아니니까 한때 공무원 열풍이 분것이고.)
@formcom-fg3np
@formcom-fg3np 8 ай бұрын
그냥 공부잘하는 유전자가 있고 운동을 잘하는 유전자가 있고 정치나 사회 쪽에서 뛰어난 유전자가 있고 음악을 잘하는 유전저가 있으니 그 유전자를 잘 발현 시켜주게끔 교육을 해야죠 유전자가 여러 영향을 미치지만 시스템은 그걸 토대로 최대한 개인의 능력치를 써먹을수있는 방향으로 발전해야죠 모든 사람은 적어도 한개는 자기 재능이 있으니까.
@ajchoitvajchoidianshi
@ajchoitvajchoidianshi 8 ай бұрын
끄덕끄덕
@user-jx6mg6wk5g
@user-jx6mg6wk5g 8 ай бұрын
하나도 없는 것도 재능이겠죠 ㅋㅋㅋㅋ 그런 사람도 있습니다... 구석기시대에 이미 도퇴되어야 하는 유전자인데 싸튀충들이 많아서 살아남은 나같은... 그렇게 살아남는 것도 재능이라면 재능이겠네요... 무수히 도태되어 멸종된 자들 중에 살아남았으니
@fullness52
@fullness52 8 ай бұрын
'공부 잘하는 유전자' 라는 것부터가 오류이죠. 공부의 뜻은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것' 이고 여러가지 분야가 있는데 공부라는 말이 앉아서 학습서를 보고 지식을 습득하는 단순한 이미지로 고착화되어 사회 전반적으로 공부 잘하고 못하는 아이를 분류하는 기준이 된거죠. 운동을 배우고 악기를 배우고 그 밖의 기술을 배우거나 익히는 모든 활동 또한 공부이고, 각자의 재능이나 노력을 인정하고 그에 맞춰 특화교육을 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formcom-fg3np
@formcom-fg3np 8 ай бұрын
@@fullness52 저도 공부라는건 모든 사람이 해야하는 거라 생각해요 제가 좀 극단적인 예시를 들다보니 오류가 조금 있었네요 그리고 저도 정부가 아이들한테 적성에 맞는 걸 하도록 유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날개가 없는 사람한테 날라고 할 순 없으니까
@user-ve1lb5yy2n
@user-ve1lb5yy2n 8 ай бұрын
그런거 없음 그럼 운동도 공부도 뭐도 아무것도 못하면 쓸모없는 인간이게?
@jieunko665
@jieunko665 8 ай бұрын
연구주제가 왜 우리아들은 이모냥일깤ㅋㅋㅋㅋ
@Love-forever-912
@Love-forever-912 5 ай бұрын
당연한 말을 잘도 풀어서 설명하시네요…
@JKYK-kk5xf
@JKYK-kk5xf 7 ай бұрын
연구자가 말씀한 것처럼 한 사람을 평가하는데는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로 정리되는군요 겅험상 부모 세대가 공부를 잘 했어도 자식들이 공부를 그 만큼 따라가지 못 하는 경우가 많던데 .... 환경이 또한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겠네요
@JinnYoungKim
@JinnYoungKim 6 ай бұрын
환경이 당연히 중요하죠. 강남의 자식들이 더 부유한 층이라서 성적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고요. 근데, 반례도 있긴 합니다. 장승수 변호사님도 양아치 건달이셨는데, 막노동하시면서 6수끝에 서울법대 들어가시고 졸업후 변호사되셨고요, 박진영이라는 선배도 부모님 이혼후 할머니 손에서 자라면서 막노동하시다가 EBS로만 공부하고 서남의대(지금은 폐교되어서, 다른데로 가셨는지 모르겠지만)가셨습니다. 박승현이라는 선배는 33살, 공무원 7년동안하고 100만원씩 썼는데도 못 했습니다. (간혹 합격했다고 글이 올라오는데, 이름 다 가려놔서 신빙성이 없음.)
@user-zv1ok5od1b
@user-zv1ok5od1b 5 ай бұрын
@@JinnYoungKim 원래 췌장암 말기 환자나 식물인간도 일어나는 사례가 가끔 있음. 그래서 더 악질적인거임. 안될 확률이 훨씬 높다는걸 알면서도 희망을 못 버리게 만드니까.. 심지어 환자는 죽으면 주변에서 안타까워하기라도 하지 공부는 실패하면 패배자로 몰아가니까 더 안좋음.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user-zv1ok5od1b 하긴 극소수 사례를 뻥튀기 하는게 정말 악질이죠...
@HyunA_Sings2977
@HyunA_Sings2977 2 ай бұрын
저도 걱정쟁이형이었는데, 시험칠 때는 아무 생각 안 하고 그냥 밀어붙였음. '아, 뭐 될 대로 돼라! 나는 그냥 열심히 하기나 하자!'라고 생각하면서... 그렇게 하니까 성적은 잘 나오더라구요. 좀 뻔뻔한? 마음도 때로는 필요한 것 같아요!
@user-ie4cf8ip6k
@user-ie4cf8ip6k 6 ай бұрын
수능도 ncs도 노력하면 의대갈것 같지만 본질은 재능을 측정하는 우생학적 도구임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ncs 본적없음? 전공은 복붙수준으로 준비가 가능한데 뭔 ㅋㅋㅋ
@user-lp4sq7lj1x
@user-lp4sq7lj1x 8 ай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이다. 나도 걱정형 하지만 일단 어떻게든 시작만하면 누구보다 잘한다. 많은 것으로 한 사람을 봐야지 성적이 다가 아니다
@Horang2.
@Horang2. 6 ай бұрын
격투게임을 예로들면 똑같이 처음시작했는데 제각기 실력이 압도적으로 차이가남 그림을 똑같이 처음접했는데도 구도자체가 서로 제각기임 공부도 마찬가지로 어느 수준에(어느정도 수준까지는 노력으로 커버됨) 이르러서부터는 노력의 한계라기보다는 재능에서 갈림 대신 공부머리가 좋은 사람이 손재주가 좋을수도 있고 손재주가 좋은 사람이 공부머리가 뒤쳐질수있고 사람마다 다 제각기라는거 기술이든 공부머리든 어느 수준에서부터는 재능에서 갈리는건 확실함 지금도 가물가물하게 생각나는게 6살때 한살차이나는 7살 동네형이 맨손으로 냇가에 물고기를 잡질않나 설명서없이 프라모델을 조립하지않나 참 대단했다 그사람의 재능도;;
@user-xn1el3eb6p
@user-xn1el3eb6p 7 ай бұрын
Struggle a lot 은 형편이 없다로 해석되나요? 많이 어려워 했다.가 옳지 않나요?
@boseongkim1014
@boseongkim1014 7 ай бұрын
승진님이 맞습니더
@cogbrain2479
@cogbrain2479 6 ай бұрын
형편없었다라고 워딩하는게 맥락에 좀 더 들어맞고 영상 초기의 자극적인 워딩이 영상 지속 시청률을 높일 수 있어 의도한 바가 아닐까 합니다.
@sweetpour
@sweetpour 5 ай бұрын
오.. COMT 유전자 발현 정도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해서 더 알아봐야겠네요! 저는 제가 걱정쟁이형이라서 수능을 2번이나 봤어요 감사합니다
@Students07Korean
@Students07Korean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저도 걱정쟁이 ㅜㅜ
@Leechoco
@Leechoco 4 ай бұрын
근데 후속연구가 많이 필요해보임. Ex) 각 그룹에 따라 평소 도파민 양을 조절해주는 약물을 투여했을때 학습 성취도가 어떻게 변했는지까지 진행돼야 제대로 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듯
@EarthmanJade
@EarthmanJade 8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경쟁이 있는 내신 성적, 대학 입시 등에서는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자신이 걱정쟁이형이라면 실력을 더 키우는 걸로 보완하면 되는 거 아닐까 싶어요. 시험을 없앨 수는 없으니까요.
@tonying2047
@tonying2047 8 ай бұрын
시험을 없앨 수는 없으니 시험에서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불공정을 밝혀내서 조금이라도 없애자는 취지인 것 같아요
@user-vh7nn4ze6v
@user-vh7nn4ze6v 8 ай бұрын
시험에 따른 보상이 과잉되지 않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것은 그 사람의 실제 역량이라기 보다는 시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대응능력이 평균 수준보다 높거나 낮다는 것만을 알아낼 수 있는 것이지요. 우리사회에서는 높은 성적대의 학벌이 그 사람의 일상적인 능력, 지성, 성격, 배경 등을 포함하여 많은 것을 대표한다더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기 때문에 학벌에 따른 보상이 다른 사회와 비교하였을 때 과잉되게 주어집니다. 결국 바꿀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인식이지요.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8 ай бұрын
근데 시험없는 세상이 존재 할 수는 있는건가? 형태만 다를뿐 전세계 어딜가도 테스트가 없는곳이 없는데
@user-xu6qx6mz2z
@user-xu6qx6mz2z 8 ай бұрын
​@@BigJohnsonMine 공부를 적게해서 발생되는 걱정이 아니라,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는 누구나 있는데,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를 제어하는 능력치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의미죠. 강도를 만났을 때 무섭고 두렵지만 먼저 공격하는 사람과 무섭고 두려움 때문에 온몸을 벌벌 떨고 주저 앉는 사람의 차이 같은거죠. 후자의 사람이 복싱, 주짓수 등 싸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고 해서 전자의 사람과 같아질 수는 없는 것 처럼요. 똑같이 싸우는 기술을 배우고 연마를 해도 전자에게 지는 확률이 훨씬높겠죠.
@user-xu6qx6mz2z
@user-xu6qx6mz2z 8 ай бұрын
달리 방법이 있을까요? 공정한 룰, 공정한 심판이 있는 스포츠 선수들도 타고난 유전자를 가진 선수가 유리하잖아요. 다만, 학교 성적으로 한 사람의 인생 전체를 결정해 버리고 있는 사회 인식이 문제인거죠. 어떤 방식으로 평가를 하던 이런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결국엔 똑같을 거에요.
@cap5714
@cap5714 6 ай бұрын
와 걱정쟁이형인데 10퍼센트밖에 없다는 점도 흥미롭네요. 생존하는데 그만큼 불리해서 그런것일까… 평소에 긴장 잘하고 예민한데 신비로운 유전의 세계
@user-pf2oq9wc7k
@user-pf2oq9wc7k 6 ай бұрын
겁많은 사슴이 생존에 유리하다는데 님은 잘 살아남는 쪽 아닐까요
@kallmannsyndromepatient
@kallmannsyndromepatient 5 ай бұрын
사람들중에 긴장 많이 하고 걱정이 많다는건 윗세대 유전자가 약자라는거 아닐까요? 사슴비유를 해도 같은 사슴들 사이에서도 서열이 있고. 약자 사슴이 있듯이. 사슴 무리안에서도 걱정과 긴장을 많이 하는 사슴이 있을게꺼예요. 이건 포식자를 향한 긴장과 걱정이 아니라 같은 사슴들사이에서 권력 다툼을 말하는거
@user-pf2oq9wc7k
@user-pf2oq9wc7k 5 ай бұрын
@@kallmannsyndromepatient 제가 말한 '겁많은 사슴' 이라는 건 사슴 무리중에서 포식자에 대한 긴장과 걱정이 많은 쪽을 말한 거.
@user-pf2oq9wc7k
@user-pf2oq9wc7k 5 ай бұрын
@@kallmannsyndromepatient 긴장하고 걱정하는 게 약자임을 의미하는 건 아닐거에요. 역사를 보면 진시황 같은 인물도 권력의 정점에 다다른 후에는 긴장과 불안 속에 살았을 걸요.
@kallmannsyndromepatient
@kallmannsyndromepatient 5 ай бұрын
@@user-pf2oq9wc7k 사슴이 다른 동물을 두려워하는것과 같은 사슴 무리에서 같은 사슴들간에 암묵적 서열다툼의 두려움은 다른거라고봐요. 사람이 다른 동물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살하나요? 사람이 시험못쳤을때 받는 스트레스는 같은 사람들 사이에서의 암묵적 권력관계에 대한것이예요.
@MKS-yq5ce
@MKS-yq5ce 8 ай бұрын
노력의 배신, 공정하다는 착각 같은 내용인가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8 ай бұрын
비슷한듯
@jameskim2863
@jameskim2863 8 ай бұрын
반도체나 전자기기에도 수율이 있어서 양품과 뿔딱이 갈리듯, 사람도 수율이 있지 않나 싶네요
@user-ze8vz1bb5h
@user-ze8vz1bb5h 6 ай бұрын
비유가 경이롭네요
@-Namul
@-Namul 6 ай бұрын
표현이 기가맥히네요
@jeromepowell0
@jeromepowell0 6 ай бұрын
ㄹㅇ 경이로운 표현이다
@StockRoyalRoad
@StockRoyalRoad 2 ай бұрын
ㄹㅇ 기가 막히네
@babyp5009
@babyp5009 6 ай бұрын
울아들은 첫시험은 항상 망치는 형이었다ᆢ 본인두 이유를 모름 항상 중간고사는 망치고 기말고사는 시험범위가 더 많은데도 잘봄~ 고1때 또 첫중간고사 망치길래ᆢ 내신 폭망해서 정시준비시키려 했는데ᆢ 또 기말이랑 수행에서 주요과목 거의 만점 받고 3년동안 내신1등급유지해서 설공대 감ᆢ본인두 왜 첫시험은 범위도 적고 쉬운데도 항상 점수가 잘안나오는지ᆢ이유를 모름
@freef2715
@freef2715 6 ай бұрын
옛날 선생들도 그소리했는데 ㅋㅋ 시험도 잘보는애들이 계속 잘보고 운동도 잘하는 애들이 계속잘하고.. 운전 기가막히게 하는 애들도 운전면허 필기시험은 아슬아슬하게 붙고.. 사람마다 재능이 다른건 확실한듯요.
@TV-ff8qj
@TV-ff8qj 5 ай бұрын
다른정도를 넘어 천차만별이죠. 보통 재능이 평범과 비범 이분법적인 구분(+바보 까지 많아야 삼분법)을 하는데 저는 1등부터 100등까지 100분의 1정도는 나눠야 한다고봄.
@user-gc2dq2cg6b
@user-gc2dq2cg6b 6 ай бұрын
내가 항상 생각해오던 시험 잘 치는 애들의 특징이었는데 .. 역시 그렇군
@user-pm8ex9qg7c
@user-pm8ex9qg7c 6 ай бұрын
근데 친형제자매인데 한명은 상위0.1프로의 천재중의 천재고 한명은 아이큐가 100도 안되는 경우는 뭐일까..교육환경은 비슷했다ㅜ
@user-jt8mz8kr3r
@user-jt8mz8kr3r 8 ай бұрын
항상 노력하는 만큼 알고있는만큼 성적으로 연결되지않는 아이를보며 안타까웠는데~
@bababam16
@bababam16 5 ай бұрын
만약 걱정쟁이형인 사람한테 평소에 도파민에 많이 노출되게 해서 도파민 자체에 둔감하게 만들면 어떻게 될까?
@user-fp5gn7bd4w
@user-fp5gn7bd4w 8 ай бұрын
공부를 잘하고 못하고가 유전자 때문이 라고 나오지도 않는데 왜자꾸 능지얘기만 함? 시험이라는 중대한 상황에서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 유전자를 타고나면 시험을 잘 볼 수 있다는 게 결론인데
@EJLim-xx5oy
@EJLim-xx5oy Ай бұрын
연구자 자신, 아내, 부모님 모두 머리가 좋은데 아들이 성적이 안나와서 연구를 시작한건데, 연구결과 아들이 걱정쟁이형이라는것을 알게되죠. 그러면서 끝맺음 때 ‘제 아들은 머리가 좋았을겁니다. 그렇지만 시험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걱정쟁이형이라 시험을 못보는겁니다‘ 라고 말해요. 즉 지능은 유전이다라는것을 전제로 깐 대목이라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chaltomato7522
@chaltomato7522 5 ай бұрын
될 놈 안될 놈 태어나면서 다 결정이 되는 거구나!!....그런데 인생은 각자 다른 문제에 다른 해답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eirene6675
@eirene6675 7 ай бұрын
이 나라 대부분의 고학력자들은 절대 이걸 인정안하고 까내리기 바쁨. 왜? 이걸 인정하면 본인이 받은 점수에 비해 덜 노력했다는 걸 인정하는 거니까. 시험 잘보는 유전자와 장기시험공부 잘하는 재능이 있어 출발선부터 다르다는 걸 인정하기 싫으니까. 그러니 전부 '내 사례'를 거들먹거리며 얘기함. 그게 아니라고 수많은 연구결과가 말하는데도. 인간은 본인이 아무리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납득해도 감정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인정하기 싫어함. 그러나 개중에도 김진짜, 함익병, 윤도영처럼 본인이 장기시험공부에 적합한 재능이고, 시험을 잘보는데도 그걸 솔직하게 인정하는 사람들이 있음. 그 사람들은 본인한테 무슨 이득이 있다고 그걸 인정하겠음?
@aa-kp8dy
@aa-kp8dy 6 ай бұрын
너가 착각하는게 고학력자들은 과정이 어떻든 결과적으로 고학력이라 뭘갖다대든 기분이좋음ㅋㅋㅋㅋ 본인 점수에 비해 덜노력했는데 스카이갔다? 그것또한 극찬임 어쨌든 고학력이잔아 ㅋㅋ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또 또 또 재능탓하노 ㅋㅋㅋ
@user-if4ld3uw9k
@user-if4ld3uw9k 5 ай бұрын
고학력 아닌 사람들이 더 그렇겠지 ㅋㅋ 어떻게든 공부하나라도 노력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해야 인생 원동력이 되니까 ㅋㅋ
@britishsorthair
@britishsorthair 5 ай бұрын
아닌데 공부잘하는애들 다 인정함 유전이 상당부분 차지한다고
@user-yn3pm4so5r
@user-yn3pm4so5r 5 ай бұрын
저학력자들은 고학력자들의 노력과 재능을 인정하지 못하고 까내리기 바쁜 게 우리나라 현실😅
@youcantata
@youcantata 6 ай бұрын
시험 점수는 한계가 있다는 건 누구나 알지만 다른 좋은 대안이 없으니 쓰는 것임. 회사나 대학에 100 명 신입 모집하는데 1만명이 지원하면 빠르고 객관적으로 골라낼 수단이 시험밖에 없음.
@pearl-yk5qo
@pearl-yk5qo 8 ай бұрын
수능이나 고시 준비를 할 때 비슷한 환경에서 수많은 모의고사를 치르고 당일 컨디션을 조절하는 이유가 저 변수를 컨트롤하기 위함 아닌가?? 걱정유전자가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성향이 그렇다는 걸 파악하고 준비를 더 철저하게 할 수밖에 없지요. 시험 당일 자기가 긴장을 많이 해서 시험을 망친다는 것조차 스스로 인지를 못 하면 답이 없는거고.
@maximsupreme
@maximsupreme 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업무환경도 마찬가지이지요. 대개의 업무들은 시험처럼 제한된 조건(시간, 비용, 자원)들이 주어져 있고, 그 조건들을 지켜가며 수행해야 합니다. 나 좋을 때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dylanl.3366
@dylanl.3366 5 ай бұрын
측정오차를 줄이려면 시험을 여러번 보면 됨. 이건 너무나도 당연한 소리임. 이 영상은 방향성이 너무 회의적이고 보고나면 어쩌자는거임? 이 생각밖에 안 듦.
@HJJJO302
@HJJJO302 Ай бұрын
같은 영상을 봤는 지 의심스럽네 저 측정오차가 어떻게 발생되는지 모름? 기존 무압박 상태에서 공부할 때 실력이 발화가 안되면서 측정오차가 발생하는데 그걸 여러번 처 잰다고 바뀌겠냐? 근본적으로 시험 치지 않을때 실력이 안 나오는데
@thicno8133
@thicno8133 5 ай бұрын
세상은 원래 유전과 가정 내 자본에 의해 그 자리가 태어날때부터 고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난한 사람이 백날 천날 노력한다고 사실상 부자가 될 순 없으며, 기껏해봤자 부유한 중산층이 상류층으로 가게 됩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노력을 해야 하는 이유는 자신의 조건이 어떻든간에, 결과가 어떻든간에 노력하는 경험 그 자체가 소중하며 귀중한 경험이 되기 때문입니다.
@neo42642
@neo42642 5 ай бұрын
시대가 격변할때는 소수의 계층이동이 있을때도있죠
@StockRoyalRoad
@StockRoyalRoad 2 ай бұрын
어제의 나보다는 나아지고 내가 속한 고만고만한 집단에서보다는 나아지니까 노력을 하는듯함 노력을 통해 C-에서 C+인생으로 B-에서 B+인생 정도의 업그레이드라고 할까
@nomadic3116
@nomadic3116 8 ай бұрын
열심히라는 기준이 달라~ ㅎㅎㅎ 이런 애들 진짜 열심히 시키면 병난다~ㅎㅎㅎㅎㅎ 마음 비우고 니스텟에 맞는 대학가고 일자리찾아~
@ron304
@ron304 8 ай бұрын
시험은 시험에 맞는 유전자만 우수하다고 평가함 수능이든 NCS든 고득점은 다 유전자임 IMO금상 은상 받는 천재도 수능 언어 외국어는 잘나온다는 장담 절대 못함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내 친구 부모님 둘 다 국민학교밖에 안나왔는데 ncs 90점맞음 ㅋㅋㅋ 또 부모가 특별했다고 말할거냐?
@user-gb7gv8su7g
@user-gb7gv8su7g 5 ай бұрын
​@@kimchiman51부모님이 머리가 나쁜게 아니라 경제적인 사정 등 외부요인때문에 공부를 할 수 없었던 케이스죠. 친정 시댁 부모님들 모두 가정형편 또는 여자는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할아버지의 생각때문에 소학교까지만 나오셨지만. 남편이나 저나 제법 공부 잘했습니다^^
@kimchiman51
@kimchiman51 5 ай бұрын
@@user-gb7gv8su7g 시험에 영향을 준 유전자가 없는데 무슨 유전자라는거임 ㅋㅋ 저런 가정환경이면 그 부모의 조부모도 공부 안하고 예전엔 농사나 짓던 사람들일게 뻔한데
@º.스톤.º
@º.스톤.º 5 ай бұрын
유전자고자시고 인생은 될놈만 되는게 맞어 *모든사람이 다 역경을 이겨내는게 아닌것처럼*
@helookscool
@helookscool 8 ай бұрын
난 걱정쟁이형인가부네......공부만 하면 초반에는 집지이 엄청 잘되는데, 1시간만 지나도 머리가 너무 아파옴....흑흑...한 3시간쯤하면 거의 리타이어임...
@user-nx6ej1ku9l
@user-nx6ej1ku9l 6 ай бұрын
걱정쟁이라서가 아닙니다. 공부하면 당연히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여 피곤해집니다^^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원래 그게 정상인데?
@kmcmegastudy
@kmcmegastudy 6 ай бұрын
기회의 평등 대신 조건의 평등이 옳지. 자본으로 굴러가는 능력주의는 의미를 상실한 지 오래.
@user-br4sy6jq9z
@user-br4sy6jq9z 8 ай бұрын
영상 요약 우리 아들은 나와 같이 우수한 머리를 갖고 있지만 시대가 변해 평가하는 도구가 달라져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wisiasa
@wisiasa 8 ай бұрын
자기는 100점 맞는데 왜 내 자식은 90점일까? 하며 90점 맞아서 멍청하다 생각하는, 개잡스런 사고방식 가진 부모임.
@user-Griezman
@user-Griezman 7 ай бұрын
@@wisiasa 부모가 100점요? 부모둘다 서울대 수석인 집안은 거의 없죠 울부모 둘다 고졸이고 이모네 둘다 대졸교수인데 십대때 자식키우는거 다르더라구요
@wisiasa
@wisiasa 7 ай бұрын
​@@user-Griezman 학교 시험 점수를 지능 점수로 생각하는 무식한 싸이코패스들입니다.
@wirition
@wirition 8 ай бұрын
재능, 환경 같은 개인이 극복하기 힘든 요소가 있을 순 있지만 수능이 어렵긴 해도 설의 노리지 않는 한 노력하면 어느정도 커버됨 설령 안된다고 해도 2,3등급 맞을 거 6,7등급 맞을 순 없는 거고 최고가 아니라 최선이라도 노려야죠 그게 아니면 공부 말고 예체능 같은 진로를 택하든가
@user-jx6mg6wk5g
@user-jx6mg6wk5g 8 ай бұрын
그 참... 보통 1등급 애들은 노력하면 2,3등급은 가능하다고 하고 3,4등급 애들은 그래도 하기만 하면 5등급은 받는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그들이 7등급 수준의 지능과 끈기를 가졌다면 노력을 하고 싶을까요? 과연 하기만 하면 진짜 될까요?... 절대 아니죠...
@Gmtqkfwjrdks
@Gmtqkfwjrdks 8 ай бұрын
​@@user-jx6mg6wk5g끈기가 그정도면 의지가 없는거고.. 지능이 평균 아래라도 공부하면 아무리 낮아도 4이상은 받을 수 있습니다. 안 된다면 무지성으로 문제만 풀거나 이해는 안 하고 외우기만 하는 방식 등 잘못된 방향으로 공부하는 게 아닐까요?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8 ай бұрын
Sky간사람은 일반고에서 공부 잘하는 학생이 많아도 전교에서 1년에 1명도 안나와요 2~4년에 한명 나오지 서울대의대 1년에 약 100명정도인거 알기는함? 남들이 인정해주는 인서울및 명문대학 반에서 1~3등만 가고 나머지는 다 못가는게 현실인데?
@eirene6675
@eirene6675 7 ай бұрын
어느정도 커버된다고 그게 설의 및 의대하고 상위권 명문대까지 커버된다고 생각하는 게 레전드네요.
@aa-kp8dy
@aa-kp8dy 6 ай бұрын
의대 서울대는 재능맞는데 건동홍만해도 걍 순수노력임. 요즘 3등급만나와도 건동홍가는데 3등급도 재능이라하는 빡대가리들 없제?
@EarthmanJade
@EarthmanJade 8 ай бұрын
어쨌거나 이 영상은 어그로를 잘 끄는 영상이었네요ㅋㅋ🎉
@user-pg4bx9zf1s
@user-pg4bx9zf1s 7 ай бұрын
머리 좋은것도 열심히 노력하는 끈기도 운동능력도 모두 유전의 영향이 크다. 현대의 능력주의도 사실 엄청나게 불공평 한것
@user-zq6tu4ey2c
@user-zq6tu4ey2c 7 ай бұрын
그 불공평한 이유를 부모나 조상탓으로 책임소재로 돌리는거일뿐임
@JiwoongKIM8
@JiwoongKIM8 6 ай бұрын
국가대표, 올림피아드, 올림픽 그런 레벨에 가려면 유전자가 필요할 수 있지. 하지만 그냥 고만고만한 수준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나는 유전자가 별로라서 끈기가 좋지 않아' 주문을 반복적으로 뇌에 새기고 있는데 뭘 한들 무슨 소용인가. '불공평한 능력주의'를 제대로 알고 보면, 한국에서 태어났으면 빈민층 아니고서는 운 나쁜 것은 아님.
@Raccoonsworldsnack
@Raccoonsworldsnack 6 ай бұрын
공평해야할 이유가 어딨나 유전자 좋은 인간이 살아남는 것이 옳다.
@user-ie4hq1gr8f
@user-ie4hq1gr8f 6 ай бұрын
Adhd가 아닌 이상 자유의지까지 전적으로 유전자로 치부하기엔 우생학적 사고에 빠질 우려가 있음 그리고 최근 연구결과 용불용설마냥 획득 형질도 후대에 유전됨 (후성 유전학이라 함) 공부 존나 열심히해서 획득한 지능이 자식에게 유전될 수 있다는 얘기 , 즉 유전자결정론 맹신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라
@TV-ff8qj
@TV-ff8qj 5 ай бұрын
​@@user-ie4hq1gr8f인정할건 인정하고 해야 오히려 결과가 잘나온다고 봄. 노력으로 커버한다는 이상적인 이야기만 하면 허황된 망상을 심어주고 메타인지 박살나서 오히려 허송세월 보낼수도.
@user-gb7gv8su7g
@user-gb7gv8su7g 5 ай бұрын
학창시절. 잠도 줄여가며 열심히 공부하는 친구를 지겨본 적이 있는데. 중요하지않은 것에 줄치고 동그라미 치고 있어서 너무 이상하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cleanearth3506
@cleanearth3506 4 ай бұрын
모든 조건, 환경, 요인..다 따져 보면 엄청난 경우의 수... 마치 우주의 별을 세는 격이지. 하지만 나는 학교다닐때 공부 못했다고 자신이 아이큐가 낮거나 공부 머리가 아니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우리는 학교를 다닐 때 한가지 방법으로만 공부를 배운다..어떤 과목은 선생이 잘 가르쳐서 점수가 높을 수 있고, 어떤 과목은 선생이 죽어라 주입식 교육만 시켜서 그 방법이 나랑 안맞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학교의 진도는 매우매우 빠르다.. 선천적으로 천천히 해야 이해가 되고 공부를 잘 하는 타입이 있을 수도 있는데 진도를 못 따라 가니까 점수가 안나온다...그냥 학교가 나랑 안맞는거다..내가 공부 머리가 없는게 아니라. 아이가 문제가 아니고 부모가 문제다. 똑똑한 부모는 그걸 알아차리고 다른 대안을 선택한다. 그래서 아이는 다른 대안에서 나은 결과를 보일 수가 있다. 그러나 바보 부모는 왜 못하냐고 다그친다. 그리고 자기 자식이 바보라고 한다. 그래서 똑똑한 사람은 똑똑한 사람을 낳은게 아니고 똑똑한 선택을 해서 똑똑한 아이가 된거고, 바보는 계속 바보짓을 하니까 자식도 바보로 만드는 거다.
@user-jg4uh2id6k
@user-jg4uh2id6k 6 ай бұрын
그럼 걱정쟁이형은 어떻게 공부해야하죠???
@beginner_writing
@beginner_writing 8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재미있네요. ^^ 근데 내용에 찬성할 수는 없네요. 대략 살펴보면, x=T+E 방정식에서 1. T의 중요성을 의도적으로 깎아내렸다는 느낌입니다. 아이들을 가르쳐보면 T의 차이가 많이 남을 알 수 있죠. 2. E의 중요성은 명확하지만, T보다 크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시험을 봤을 때 90 점 받은 학생과 80 점 받은 학생의 평소 학습수준을 옆에서 살펴보면 차이가 분명하기 때문에, 우리는 시험점수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문제 수가 지나치게 적거나 하는 문제가 있는 시험의 경우는 제외!) 따라서 E의 영향은 5 점이 채 안 될 것입니다. (물론 저도 100 점 맞을 수 있는 시험을 40 점 맞거나, 40 점 맞을 시험을 100 점 맞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서, 아주 특별한 경우에 E가 아주 커질 수 있다는 걸 인정합니다.) 3. COMT 유전자의 중요성은 명확합니다. 근데 이 유전자는 E에 관여하는 게 아닙니다. 이걸 고려해서 위 방정식을 수정하면 이렇게 됩니다. x=(T+E)*c 근데 여기에서 c에 큰 문제가 있는 학생이라면, 평소에도 그 문제가 보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똑똑한 사람이지만 일을 못한다거나.... 기존 교육자들도 이를 모르지 않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으니까 그냥 놔둘 수밖에 없죠.
@user-hx7xc7qp1h
@user-hx7xc7qp1h 6 ай бұрын
지극히 공감합니다. 30년 수많은 아이를 가르친 사람으로써 같은 의견을 보냅니다.
@hyungs4556
@hyungs4556 8 ай бұрын
그냥 대충 열심히 살자. 유전자 따로 있다고 해도 노력없이 이룰 수 있는 것은 없다. 괜히 핑계거리 만들지 말고 가지고 있는 것과 놓여진 상황에 최선을 다할 수 밖에 없다. 한 번 남 탓하면 끝도 없다.
@wayfereralpha7072
@wayfereralpha7072 8 ай бұрын
걍 트랜스휴머니즘이 답이다 이거 부정하면 섭리충 꼰대
@user-yb5wz4eu2x
@user-yb5wz4eu2x 8 ай бұрын
​@@user-ip2co9nl6k 틀려서가 아니라 달라서 입니다
@user-Griezman
@user-Griezman 7 ай бұрын
유전자 좋으면 인생이 다르긴해요
@qq6763
@qq6763 6 ай бұрын
나는 암기머리는 없지만 포기하지 않고 책임감있는 유전자를 가진듯 그덕에 여기까지옴
@user-pk2no5bj3c
@user-pk2no5bj3c 6 ай бұрын
그 끈기가 재능임 서울대평균 지능 생각보다높지않음
@user-oe9zw6bq2m
@user-oe9zw6bq2m 6 ай бұрын
탈모는 유전이라고 믿으면서.. 공부는 노력하면 된다는 믿음.. 이게 바로 기적의 논리
@newaccount_330
@newaccount_330 5 ай бұрын
머리카락은 단백질이고 뇌는 지방이니까 환경에 따른 유연성은 다르지..
@user-ee6co6vd8s
@user-ee6co6vd8s 5 ай бұрын
탈모는 직접적인 화학반응이고 공부는 되게 복합적임. 그걸 동일시 생각하는게 기적의 논리죠
@user-gs2kd3fb3t
@user-gs2kd3fb3t 5 ай бұрын
공부가 왜 유전이노ㅋㅋㅋ. 대치동은 왜 가노 유전이면?
@makemeglorious0000
@makemeglorious0000 5 ай бұрын
공부가 유전이면 손웅정한테서 손흥민이 어떻게 나온거임? K리그에서도 자리 못 잡은 유전자에서 어떻게 EPL 득점왕이 나옴? 하여튼 ㅈ문가 따위가 논문 한 편은 커녕 어떠한 학문적 고찰도 없이 지극히 전문성 ㅈㄴ 없는 지 따위 뇌피셜로 기적의 논리 ㅇㅈㄹ ㅋㅋㅋㅋㅋ
@user-nj7ti3xg8o
@user-nj7ti3xg8o 5 ай бұрын
⁠​⁠​⁠​⁠​⁠​⁠@@user-gs2kd3fb3t 축구학원 야구학원 달리기학원 노래학원 피아노학원 수영학원 있으니까 예체능도 재능아니고 노력맞지?
@joyce3508
@joyce3508 7 ай бұрын
저도... 걱정쟁이형이긴한데 미리 준비하고. 연습하면. 편안해져서 시험은 잘쳤는데...뭔가 너무 실험자의. 편견이 강한거같은데...
@user-ht2gd3lu8d
@user-ht2gd3lu8d 8 ай бұрын
그냥 당연한 말 아닌가
@woojumeonji
@woojumeonji 7 ай бұрын
같은반 친구는 시험날만 되면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고통받았었지..
@user-rx1fv9ub3t
@user-rx1fv9ub3t 7 ай бұрын
당연히 모두가 공부로 성공할수는 없잖아..
@gold378
@gold378 6 ай бұрын
환경 + 심리적 요인이 크지 ~
@user-pe8rc3qo4d
@user-pe8rc3qo4d 6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전국의 모든 학부모가 봐야 한다..
@sturdyyyyyyyy
@sturdyyyyyyyy 6 ай бұрын
N수생도
@JinnYoungKim
@JinnYoungKim 6 ай бұрын
전국의 모든 학부모가 보려면 교육부부터 이 영상을 시청해야죠. 당장 노오력으로 극복가능하다고 아직도 새빨간 거짓말하는 자들이 넘치는데... 걍 이나라는 망함.
@user-ge8xm2fh2b
@user-ge8xm2fh2b 5 ай бұрын
​​​@@JinnYoungKim ㄴㄴ 노오력으로 어느정도는 커버가 가능하기는 합니다. 이건 재수를 여러번 해보면 정말로 느껴집니다. 하지만 노오력도 올바른 방향의 노오력이 필요합니다. 시험에서 공부를 해야하는 집단군이 있다고 하면 공부말고 훈련을 해야하는 집단군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문제집을 풀어야되는 학생이 있다고 하면 그거말고 모의고사를 시간재고 풀어야하는 학생이 있다는 겁니다. 쉽게 말해서 시험 당일날의 부담감을 철저히 줄이는 훈련이 더 필요한 사람이 있다는 겁니다. 머리속에 인풋하는 것과 아웃풋을 하는건 명확히 다르니까요..... 보면 이런 아이들의 특징은 뭔가 압도적인 점수를 뽑아내는 과목이 따로 있고 어떤 분야는 처참한게 백퍼센트였네요..... 노오력으로 어느정도 커버 가능하다는 겁니다. 시험에서 어디에서도 잘하는 부분이 없다는 건 그냥 공부를 안했다는 거구요.... 예를 들어서 수학을 시험볼때 킬러도 푸는데 비킬러인 앞에서 개쉬운 더하기나 뺄셈에서 실수가 나오는 이유또한 거기에 있습니다. 요즘 거의 모든 메이저 학원에서도 루틴이 중요하다고 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구요..... 다른 말로는 이제 공부의 차원이 예전과는 달라졌습니다. 이젠 기성세대인 물로켓 시대가 아닌 스스로의 호르몬도 조절할 정도로 자가관리가 철저해야 되는 시대가 왔다는 것이죠...... 이 영상의 핵심도 거기에 있는 겁니다. 걱정을 줄일 정도로 더 많이 철저히 대비를 해야 시험을 그나마 덜 망친다는 것이구요.....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user-ge8xm2fh2b 실수? 뭐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수 있겠죠. 뭐 저도 수학과영어는 그래도 학점 좋게나왔으나 국어는 너무 처참했습니다 그래서 7년동안 공무원 준비한 박승현 등꼴브레이커는 님말따라 노오력을 잘못된 방향으로 쏟았다이거죠?
@user-ge8xm2fh2b
@user-ge8xm2fh2b 5 ай бұрын
​​@@JinnYoungKim네 정말로요...... 사실 수능이 약하면 기본적인 점수만 맞고 논술로 빠지는 방향도 더 현명하지요 보세요 수능은 45문제를 80분간 봅니다. 매우 하드한거죠 문제는 논술은 긴시간을 시험에 투자를 하니 보다 성적이 남들보다 잘나온다는 겁니다. 저도 수학에서 문제는 다푸는데 앞에서 자꾸 덧셈 뺄셈을 실수하더군요 하지만 논술로 가면 보다 실수가 적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지문을 훨씬 잘 분석해서 비문학은 좋았는데 언어와 매체같은 빠른 시간을 투자해야하는 곳에서 펑크가 나더라고요...... 또한 탐구에서는 백분위 95가 나오는 상황도 나왔네요...... 말 그대로 제가 잘하는게 따로 있다는게 너무나 눈에 보인다는 겁니다...... 자기에게 맞는 시험전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겁니다. 또한 반년간 문제만 풀때는 성적이 처참했는데 실전훈련을 6개월한게 훨씬 성적이 좋아졌습니다. 정신적 부담을 컨트롤 하는게 성적 상위권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겁니다. 자신에게 더 도움 되는 방향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고시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긴 시간동안 문제를 연구하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동안 최대한 쏟아내는 방향으로 훈련을 하셔야된다는 겁니다. 특히 수능은 이걸 적절히 보여줍니다. 보세요 수능은 대게 1년간 빡쎄게 준비를 합니다. 다른말로 재수를 한다는것은 속성교육을 받는 다는 소리구요...... 그러니 만약 겁쟁이 유전자라면 남들보다는 훨씬 더 많은것을 알아도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그럼 공부를 왜 합니까? 스스로의 호르몬을 조절하는 노력을 해야 하지요. 몸에는 향상성이 있습니다. 쉽게말해 스스로의 몸에 향상성을 설계해두면 보다 과잉 도파민 상태를 짧게 이어지게 되는 것이죠. 아침에 그 시간에 시험을 보는게 익숙해지면 초반 20분간은 긴장하더라도 20분 이후에는 조금 더 할만해진다는 것이죠 익숙한 활동을 함으로서 긴장은 몸에 향상성으로 인해서 줄어들구요..... 뭐 물론 전사형 보다는 같은 노력대비 효율성이 떨어지겠지만요...... 그럼에도 전사형이라고 다 열심히 공부를 하지는 않았으니 열심히 공부한 전사형 학생보다 살짝 성적이 떨어진다고 높은 대학을 못간다는게 아니게 되니까 별 상관이 없어집니다.
@DARK-ds4ij
@DARK-ds4ij 6 ай бұрын
참 모르겠음 21년 살면서 시험이란 시험은 많이 봤지만 한번도 시험볼때 떨거나 걱정한적없는데 시험은 못봄 ㅋㅋㅋㅋ 문제의 답을 그냥 모르겠음 ㅋㅋㅋㅋㅋ
@StormBackHit
@StormBackHit 5 ай бұрын
저도 떨림은 별로 없는 무신경한 편에 가까운데 그냥 단순히 기억력이 빨리 휘발되는 편이라 답을 그냥 모르겠음 ㅠ 공부는 아니지만 그래서 커서도 휴대폰에 이것저것 대분류 소분류 엄청나게 해서 2~3차적으로 백업시켜서 기억시키고 꺼내볼 수 있게끔 함 그렇게 안하면 휘발됨 ㅠㅠ
@belreach4909
@belreach4909 6 ай бұрын
부모님 두분 다 고졸입니다 맞는거 같습니다 솔직히..
@user-pk6hw7cg4h
@user-pk6hw7cg4h 8 ай бұрын
그런 연구가 있었다는 외에 아무 시사점도 없는 다큐이네요 이게 혹세무민... 촤소한의 길라잡이는 제시해주셔죠 수능으로 인생을 측정하는 세대인데 아쉽네요
@user-bk5jz8gm2n
@user-bk5jz8gm2n 5 ай бұрын
시험은 기술이에요. 공부가 아니라. 그러니 부모 중에 국가고시 합격한 사람에게 태어난 아이들은 시험을 잘칠 확률이 높아요. 시험이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방법으로 공부해야 붙는다는 걸 부모쪽에서 이미 시행착오를 겪고 자녀에게 알려주거든요.
@kimchiman51
@kimchiman51 5 ай бұрын
그래서 콩 심은데 콩 나지
@user-bk5jz8gm2n
@user-bk5jz8gm2n 5 ай бұрын
@@kimchiman51 그럼에도 변수는 집안의 재력이요. 기술은 배우면 돼요. 돈 주고
@user-lq6sw1hq1x
@user-lq6sw1hq1x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기술도 대가리가 있어야 가능한 얘기지 아이큐 80짜리한테 기술을 백날 알려줘봐야 공부 자체를 이해하거나 외워쳐먹질 못하는데 뭔 기술이여
@user-ce1gc9ue4g
@user-ce1gc9ue4g 8 ай бұрын
네가 걱정하는 것은 연습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라고 어디서 본것 같은데..?
@gmeguming8435
@gmeguming8435 4 ай бұрын
과거 학업에 유전적 영향이 절때없고 전부 후천적인 노력에 달렸다는 믿었죠.. 절대다수 진실을 받아들이지 못했어ㅠ
@abase5079
@abase5079 5 ай бұрын
유전적인 이유 당연히 있지 근데 후천적으로 친구,선생,교육환경 등에 따라서도 굴곡이 생기는 것도 팩트임. 아무리 천재로 태어나도 그 천재성을 유지 못하면 일반인 되는거임 ㅇㅇ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님경험임?
@user-jm9uo5xr5d
@user-jm9uo5xr5d 6 ай бұрын
연습을 덜하면 걱정쟁이 준비가 잘되면 전사형으로 되던데..
@kimchiman51
@kimchiman51 6 ай бұрын
중립형인듯
@future_MBpresident
@future_MBpresident 6 ай бұрын
시험점수는 T+E인데 우리는 이 E(주변환경)도 실력이라고 교육받죠
@rogue2586
@rogue2586 4 ай бұрын
조카 둘이 있는데 큰 아이는 공부 열심히 하고 바른 생활 하는데도 성적이 안좋고 둘째 아이는 공부는 관심없고 하루종일 컴퓨터 게임만 하는데도 성적은 상위권에 들고 영재로 발탁되어 수업 받더군요.
@subtext1977
@subtext1977 5 ай бұрын
전 기억력도 정말 안 좋고 언어능력도 뛰어나지 않은데, 시험은 잘 봅니다. ㅎㅎ 저는 전사형인것 같아요.
@TwomImoKing
@TwomImoKing 5 ай бұрын
교육이란 유전자에 맞게 진행 되어야한다 유전자가 안될색기인데 그의 시간을 그 유전자에 안맞는부분에 허비하게 하는게 그사람에대한 죄고 고문이고 학대다
@randomvariable1337
@randomvariable1337 6 ай бұрын
영상만 놓고보면 저 교수는 자기자식이 반드시 머리가 좋고 그렇기 때문에 시험을 잘 봐야한다는 전제를 깔고 살았던 것같음 왜냐하면 자신들도 그렇고 자신들의 부모도 시험을 잘보고 똑똑했으니까 근데 그러다보니까 자식한테 과도한 압력을 준게 아닐까? 어린나이에 받은 압력에 짖눌려 시험을 망치는 경험이 하나 둘 쌓였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아이가 걱정쟁이형 성격이 되었을 수 있겠다 생각이 듬
@user-ur2km4bg5i
@user-ur2km4bg5i 5 ай бұрын
솔직히 공부머리는 유전자임 그게 아니라면 조오오오오온나 노력해도 될까말까
@user-oc2sq7yl1e
@user-oc2sq7yl1e 7 ай бұрын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syh5320
@syh5320 8 ай бұрын
그래서 걱정쟁이는 어쩌라고요. 걱정쟁이도 시험은 잘봐야할거 아니야. 해결 방법은 없어요?
@user-xc8oh1em7j
@user-xc8oh1em7j 8 ай бұрын
시험 환경과 비슷하게 해서 모의고사를 많이 봐야겠죠? 유재석도 무명 시절에는방송에서 덜덜덜 떨었습니다. 양궁 선수들이 평정심이 높은 이유는 실제 상황과 비슷하게 훈련을 해서 그렇다고 봐요.
@BoBo-funfan
@BoBo-funfan 8 ай бұрын
김주환선생님 멘탈에 관련된영상보시면 도움되지않을까싶어요~!
@user-vt2ey6eb5j
@user-vt2ey6eb5j 8 ай бұрын
그냥 가까운 내과나 정신과가서 인데놀 처방받아서 먹으세요 그게 제일 확실함
@마이야히
@마이야히 8 ай бұрын
쫄지말고 시험이랑 평소랑 같은 효과를 내도록 연습해야지 뭐 어쩌겠어요.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8 ай бұрын
걱정쟁이는 그냥 연습을 덜 한것입니다 어떤 문제가 나오든 해결 가능한 자신감이 있다면 걱정할 일이 있을까요? 님 초등학생 1학년 수학시험 보면 긴장하시나요? 누구든 생소한 문제를 보면 불안감이 생깁니다 그걸 최대한 극복하기 위해서 모의고사를 보는거구요
@user-dt8kg7gg2f
@user-dt8kg7gg2f 5 ай бұрын
노력도 재능이고 암기도 재능이다 공부재미를 느끼는건 최고의 재능이다.
@miosarang
@miosarang 8 ай бұрын
약간 초과하는 도파민 성공열쇠
@Mxxmxxy
@Mxxmxxy 8 ай бұрын
음... 어쨌든 이 내용대로라면 걱정쟁이형은 전사형보다 능력이 떨어진다고 보는게 맞는듯. 원래 머리는 좋은데 시험이 스트레스를 줘서 그래요... 가 변명이 될 수 없는게 사람이 살면서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모든 순간이 스트레스 투성이인데 그럼 그런 순간들마다 항상 본인이 타고난 지능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거잖아. 그럼 걍 능력이 떨어지는거라 봐야지. 구슬이 서말이어도 꿰어야 보배인데 꿰지도 못하는 구슬 많이 들고있으면 뭐함
@annakim958
@annakim958 8 ай бұрын
경쟁보다는 혼자 연구하거나 그런 직업에 잘 맞죠
@knyi9815
@knyi9815 7 ай бұрын
걱정쟁이형은 사고와 언어능력이 전사형보다 좋다는데요. 시험이라는 제도로 학생들을 평가하는게 맞지 않다고 해도 시험이 곧 능력이고 온 세상의 전부인 줄 아는 우리나라 사람들
@aa-kp8dy
@aa-kp8dy 6 ай бұрын
시험한방으로 승부보는 직업이 아닌경우에는 빛을 볼 수 있다는거지
@mrhoho
@mrhoho 5 ай бұрын
요약 : 지능에 대한 유전자에 대한 말은 하나도 없음. 이 영상은 시험 불안증에 대한 유전자에 대한 영상임
@user-ih4qm1yk4l
@user-ih4qm1yk4l 5 ай бұрын
시간아낌ㄱㅅ😊
@patlee3238
@patlee3238 6 ай бұрын
결론은 부모를 잘 만나야 한다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5 ай бұрын
우리나란 하나의 시험만으로 모든걸 평가하는데 ㅋㅋ..
@user-qy1zj7jg5p
@user-qy1zj7jg5p 7 ай бұрын
걱정쟁이형 여기여기 ㅠㅠㅠㅠ😢😢😢
@wkdkoedyqd8
@wkdkoedyqd8 6 ай бұрын
운동도 재능이 있듯 머리 공부도 재능이 있는건 당연한거
@user-qn2kh1jr9h
@user-qn2kh1jr9h 8 ай бұрын
근데 이상하게 모든 면에서 다 잘하는 아이들도 있잖아요~😅😅
@user-whiterabbit
@user-whiterabbit 8 ай бұрын
그냥 유전자가 다 타고난애들이 있음 그런애들은 부모도 그런경우가 많고
@junehyun9279
@junehyun9279 6 ай бұрын
A는 학교공부. B는 운동. C는 음악 이렇게 재능이 골고루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습니다. 공부+운동+사교성 다 뛰어난 아이가 있고, 다 평균이하인 사람도 있어요. 머리 좋은 아이가 피아노도 잘치고 그림도 절 그려요 ㅠㅠ 슬프게도
@phulyzi
@phulyzi 5 ай бұрын
근데 실험군을 어떻게 뽑았는지는 모르지만 이건 일반적인 지능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나 통용될 결과같음. 무슨말이냐면 경계선지능은 고려 안된 느낌임. 정말 미안하지만 이들은 확실한 인지능력 저하가 보이고 의외로 15%가 여기에 해당할 정도로 꽤 흔하고 이 경우엔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함. 얼마전 고속버스민폐녀도 그렇고 이게 적반하장의 의도적 진상이 아닌 이 사람은 왜 이런 사고방식에 갇혀서 남의 피드백에 반응을 못 하지? 왜 사회규범과 논리적인 설득을 한 후에도 소귀에 경읽기지? 하는 뭔가 부족해 보이는 진상들이 대게 여기에 속함. 길치 중에서도 그냥 길을 못 기억하는 길치는 상관없는데 길을 잃으면 당황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판단을 못하고 지도도 안보고 발만 동동거리는 유형도 여기에 해당됨. 뭐 말이 길어졌는데 어쨋든 이런 부류는 대게 인지능력, 학습능력이 실제로 떨어지기 때문에 어릴때부터 부모가 캐치해서 특별히 교육해주거나 학교에서도 따로 관심을 가지는 등의 노력이 필요함. 이럴 경우엔 많이 완화된다고 하니까. 근데 여기 영상은 이런거에 오히려 등한시하게 하는 내용들이라서 걱정돼서 써봤음. 유전자? 시험을 보는 스킬? 그거만이 원인인것처럼 만든 이 다큐는 일반 보편적인 사람들을 향한 내용인거 같고, 만약 경계선 지능을 가진 사람 혹은 아이라면 그에 맞는 방법을 강구해야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었음. 글이 너무 길어져서 누가 읽을까 싶긴한데 한명이라고 도움됐으면 좋겠네요.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걍 격리시킵시다
@dgdagdt7863
@dgdagdt7863 16 күн бұрын
어른들 대학 가던 시대야 환경이 되는 친구들만 공부했으니 머리 따질 일이 없었지, 요즘은 할 거 없으면 공부하는 시대임. 뭐 강남 애들은 고액 과외 받아서 상대가 안된다고? 어차피 머리 안되는 애들은 설대 수학과 출신한테 과외 받아도 못 알아 먹어요ㅋㅋ 돈 많은 집안 자제들이 사교육 덕분에 공부 잘하는 부분도 있겠지만은, 결국은 공부 잘한 부모한테서 받은 유전자가 가장 큰 요인임. 애당초 8학군 부모들이 뭐로 부를 축적했겠냐고ㅋㅋ 공부 잘했으니 좋은 학교 가거나 전문직 된거고, 끼리끼리 만나 결혼하니 머리 좋은 친구들이 생겨나는거지. 전쟁 끝난지가 70년이 지나가는데, 아직도 개천에 있다면 그건 그냥 가붕게가 맞는거다
@nochina5597
@nochina5597 5 ай бұрын
요즘 공부머리는 유전이 아니라는 주장 교사들이 자꾸 하던데 그건 교재랑 학습자료를 팔아먹어야 하니까 그런거지 ㅋㅋㅋㅋ 학생들이 일찍 포기해버리면 돈으로 따지면 손해잖아 ㅋㅋㅋ
@kimeugene1027
@kimeugene1027 6 ай бұрын
측정오차가 그렇게 중요하다면 어떻게 시험 잘보는 학생이 항상 잘보지요? 말도 안되는 주장.ㅎㅎㅎ
@citizen_lsy
@citizen_lsy 4 ай бұрын
에이..씨.. 제목부터 팩폭하네....
@domddom3629
@domddom3629 5 ай бұрын
당연히 유전자임.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Why exactly are poor people poor?
15:57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