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CATCH] How to overcome the South Korean Demographic Crisi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Рет қаралды 565,869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Күн бұрын

#LowBirthRate #AgingPopulation #Population #LowBirthRateAgingPopulation #SeoulNationalUniversity #GraspingtheSituation #SNU #demographiccrisis
[SNU CATCH] Overcoming the Unprecedented Challenge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in Korea?
| Professor Kim Tae-yu
00:00 Opening
00:23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what are our current approaches?
00:52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the population issue
04:21 Measures to overcome the valley of death
08:38 Can the "two-crop society" succeed?
Planning and Production by SNU Communication Team
※ The contents of this video reflect the personal opinions of the scholar and do not represent the official stan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Пікірлер: 3 400
@SeoulNationalUniversity
@SeoulNationalUniversity Жыл бұрын
※ 특정인물 비하, 단순 비난, 차별적 발언, 원색적인 욕설 등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댓글은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함께 행복한 댓글 문화를 만듭니다. ⏰타임라인 00:00 오프닝 00:23 저출산 고령화, 지금 우리의 대처는? 00:52 인구 문제의 본질 04:21 죽음의 계곡을 넘기 위한 대책 08:38 이모작 사회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user-or8mi2bg3s
@user-or8mi2bg3s Жыл бұрын
안락사 합법화가 시급합니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Жыл бұрын
저출산 관련 오늘자 저녁 뉴스에 달린 댓글 하나 긁어왔습니다. 📰📄 내 벌이로는 원룸이 다인데 이래도 좋다는 여자는 있을지 몰라도 그래도 좋다는 장인-장모는 없다. 서울 하늘 아래 맞벌이를 한다해도 평생 아파트는 살아볼 수 없다. 혹여 내 자식인들 그게 가능할까? 내 세대서 끊내는 게 합리적인 거 아닌가? 노비는 없어졌다는데, 내가 노비인 거 같고, 내 자식도 그러할 것이고, 나와 내 자식으로 인해 건울주들이 먹고 살텐데 말이다. 2023.05.11. 22:44 답글4 공감/
@steve-cs3bo
@steve-cs3bo Жыл бұрын
​@매매 이민자 와도 문제는 한국사람들 안 하는 산업에 일해서 높은 수준의 질을 가진 노동력이 아니라 지원금이랑 범죄 예방에 돈이 더 들어갈 수 있다는게 문제죠~
@steve-cs3bo
@steve-cs3bo Жыл бұрын
젊은층들이 일자리가 많이 생기려면 대기업만 키워줄게 아니고 중견기업들을 더 키워주고 대기업으로 커질 수 있게 해주어도 모자른데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소규모의 기업들을 보호하는거에 반대하는거에서 말 다하지 않았습니까.. 교수님? 대기업들이 중소 중견기업들의 기술을 빼가도 보호는 커녕 오히려 처벌 강화한다는 얘기에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반대하는 나라에서 기업들이 잘 크긴 어렵겠지요. 가까운 예로는 의료쪽 관련해서도 아이디어 가져갔다고 하는 뉴스기사도 있고요. 제가 아는 사례만 해도 음식업계에서 유명한 그 대기업이 일반인한테 샘플 받아서 대규모로 만들고 일반인한테 소송들어오니깐 로펌회사 변호사들 여러명 고용해서 망하게 하신 분도 있는걸요. 그 기업이 어디라고는 말씀 안 드리겠습니다만.. 그리고 친일파들 재산 빼앗아서 청산시켜야지요. 서울에 한 모 대학교도 친일파 자손의 대학교인데 같은 성씨에서 한 쪽은 친일파 한쪽은 독립운동가 집안인데 친일파이셨던 집안은 잘 살고 독립운동 하셨던 집안은 보통수준으로 살고 계십니다. 친일파 숙청만 해도 엄청난 돈을 가져올 수 있는데 절대 그럴일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현직 국회의원분들 중에서도 계시고. 제가 말한대로 친일파 후손집안이 대학교 총장으로 있으면서 막대한 부를 쌓았으니깐요.
@user-py4lo4sk2u
@user-py4lo4sk2u Жыл бұрын
김태유 교수 는 한국 최고 의 통찰력 갖춘 리더
@user-gw6bn6qz1i
@user-gw6bn6qz1i Жыл бұрын
제일 끔찍한건 사다리 다 끊기고 중간계층으로 희생당하며 살아도 말년에는 복지 다 끊긴다는거 ㅋㅋ
@fate0106577
@fate0106577 Жыл бұрын
정답 ㅋㅋㅋㅋ
@user-or8mi2bg3s
@user-or8mi2bg3s Жыл бұрын
안락사 합법화 하면 됩니다.
@user-ng9jr8jt7y
@user-ng9jr8jt7y Жыл бұрын
심지어 미래에는 돈을 존나벌어도 대강 번사람이랑 세금때문에 비슷해질듯 그래서 시발 왜 열심히 벌어야되지? 대강 사는 저새끼랑 비슷한데 하고 공산주의 마인드 될듯
@user-ld9oh1pp8c
@user-ld9oh1pp8c Жыл бұрын
개인연금 준비 하셔야죠
@ICEBOY93
@ICEBOY93 Жыл бұрын
자닌한데 맞는말같음
@ssjjqq
@ssjjqq Жыл бұрын
당장 주변을봐라.. 밥그릇 안뺏기려고 일도못하면서 좋은자리는 다 차지하고있는사람들이 있는데. 대체 왜 그런사람들도 젊은사람이 부양해야 하냐
@user-hb4ex4zx6r
@user-hb4ex4zx6r Жыл бұрын
웃긴 거는 네가 말하는 그런 기득권은 누릴 것을 다 누리고 죽음. 반대로 그들을 부양하는 세대는 저출산으로 부양할 세대가 없어 지옥 페이즈2 시작임 ㅋㅋㅋㅋ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Жыл бұрын
팩트
@user-kj4qf6em3o
@user-kj4qf6em3o Жыл бұрын
본인도 언젠가는 그럴 날이 올 거임. 과연 본인은 직장에서 정말 잘하는 사람인가? 생각해 보길 바람. 본인이 20%에 속해서 주도적으로 일을 해나가는 사람인지, 80%에 속해서 그저 하루하루 맡겨진 일을 처리하는 사람인지. 뭐, 말로는 나는 일 잘하는 사람이라고 하지만 본인 양심이 잘 알겠지요?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Жыл бұрын
@@user-kj4qf6em3o 제일 좋은건 부모 잘만나거나 코인 대박터져서 평생 일 안해도 되는 사람들이노 ㅋㅋㅋ 일 잘할 걱정같은거 없음
@user-ju7sb7ul7n
@user-ju7sb7ul7n Жыл бұрын
​@@user-kj4qf6em3o 무른 말임 저 사람은 시스템을 지적했자너
@user-gy4lz8tk3o
@user-gy4lz8tk3o 10 ай бұрын
역시 교수님들은 다르시다. 대학에 다닐 때 인구 감소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적은 인구로도 잘 살아가도록 하는 논의와 대책이 필요하다는 강의가 인상 깊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었으면 좋겠다
@hokifoki
@hokifoki Ай бұрын
적은 인구로 잘 사는 건 가능하지만 많은 인구에서 적은 인구로 감소하는 사회에서는 그게 불가능하니까 인구감소에 다들 집중하는겁니다. 저 교수님이 말하는 것 전부 일본시스템이랑 똑같이 제 살 갉아먹기 하자는 소리입니다. 인구감소를 막는 답이 아니라요. 저런 정책을 하면 할수록 인구감소의 영향기는 길어지고 한국의 침체기는 길어지는 겁니다.
@n0w0u
@n0w0u 11 ай бұрын
돌이킬 수 없는 극심한 저출산 상황에서도 끊임없이 애를 더 낳아야한다고 허공에 소리치는 바보같은 정책만 듣다가 다가오는 역피라미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존재해야 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니 처음으로 공감이 갑니다..
@mysterio5837
@mysterio5837 10 ай бұрын
그걸 일본은 해냈고 이젠 한국의 거의 두배의 인구. 옆나라 보면 배울게 많은게 전치적인 사적인 감정이..그 자존심이 뭐라고
@user-mt1wj9ff5v
@user-mt1wj9ff5v 9 ай бұрын
이런애들때문에 반드시 이민가야지. (^^)
@user-mt1wj9ff5v
@user-mt1wj9ff5v 9 ай бұрын
교수라고 하면 뭔가 대단한 정책을 생각해낸것처럼 보이는 빨아주는 애들이 너무많아.
@user-yy8bj2bj4m
@user-yy8bj2bj4m 6 ай бұрын
@@user-mt1wj9ff5v 일단 아이를 낳아야 되는게 맞는데 뭔 이상적인 얘기만 펼쳐 놓은거 보고 바로 설득돼서 저러는게 진짜 왜 대중들이 개돼지라 하는지 알겠음 역피라미드가 왔을 때 그 여파와 피해는 저 교수가 말한것 이상으로 상상할 수 없는 충격이 있을텐데
@user-fj6en1ii6y
@user-fj6en1ii6y 5 ай бұрын
명언 그자체
@user-kw7bg2cf9q
@user-kw7bg2cf9q Жыл бұрын
지금 청년들은 20년뒤의 미래보다 지금의 현실 하루하루가 더 무섭습니다. 국가를 생각하기 이전에 내가 먼저 죽게 생겼습니다. 그런 청년들을 이기적이라고 매도 하거나 이기적이라고 공격까지 하는 세상입니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hjlee7914
@hjlee7914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 반대 아닌가? 여기 댓글만 봐도 알수 있지.
@Haozz-rj9jd
@Haozz-rj9jd Жыл бұрын
@@gaon1405 참 시야가 좁다 좁아.. 인터넷에서만 세상을 인식하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중국 북한 사이버 전사거나 할 가능성이 높네
@user-ur3gf4uh5e
@user-ur3gf4uh5e Жыл бұрын
@@gaon1405 뉴스공장에서 자주 뵀어요 반갑습니다 밭갑시다 ~
@fly-gon59
@fly-gon59 Жыл бұрын
제가 이전에 들었던 "안 낳으면 나라가 망하지만, 낳으면 내가 먼저 망하는데 누가 낳고 싶겠어요?"라는 말이 너무 공감됩니다...
@ekgns019
@ekgns019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대안을 제시하는 지식인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MyGomdi
@MyGomdi Жыл бұрын
내 먹을 빵이 모자라니 나 밑에 있는 놈들이 더 오래 일해서 내 먹을 빵을 마련하라는게 대안이요? ㅋㅋ
@user-gb9jm1qk8h
@user-gb9jm1qk8h Жыл бұрын
​@@MyGomdi "그냥 뒤질때까지 일이나 처 해 하층민들아" 이거랑 똑같음 ㅋㅋㅋ
@Musket_Ukraine
@Musket_Ukraine Жыл бұрын
그럼 니들이 서울대 교수가 제시한 대안보다 더 나은 걸 가져와 봐
@MyGomdi
@MyGomdi Жыл бұрын
@@Musket_Ukraine 솔선수범 해봐~
@user-rb4od1kp2m
@user-rb4od1kp2m Жыл бұрын
문제는 대안이 클리어하게 들리지가 않습니다...
@anyone3119
@anyone3119 11 ай бұрын
젊은 세대들이 사회생활을 시작도 안했는데도 의욕이 없고 미래가 없다고 하면서도 왜 그런지에 대한 이유를 일목요연하게 대답하는 게 없었는데 교수님의 말씀에서 많은 답을 얻은 것 같습니다.
@OoIlIlIl
@OoIlIlIl 11 ай бұрын
2023년 여성부예산 1조 5678억원. " 여성부폐지" 하나로 2030남자 수백만표 땡겨와서 대통령 당선되어놓고, 수백만명 뒤통수 그냥 때려버리는디- 대통령도 사기치는 이 나라에서 출산율이 오를리가...ㅋㅋㅋㅋㅋ
@user-wd1jd4bj2z
@user-wd1jd4bj2z 5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6학년때 수능 모의고사 푸는 금수저집애들과 성적으로 20년간 다투다가 대학으로 서열메기고 등급으로 가축도축하는것처럼 줄세우기 당하면서 취직은 일본보다 3배어렵고 집값은 일본보다 비싼 이나라에서 젊은세대들이 자살을 왜안하는지 이해가안감 자살해도 무죄아닌가?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기성세대와 젊은세대가 서로 이해를 못하는것이고 기성세대의 잘못이 더크지 경험이 많은쪽이 나이값을해야되고 이해를 해야되는 부분이니
@cleanjin1
@cleanjin1 11 ай бұрын
썩은 정치인들이 눈앞의 인기몰이에만 혈안이되어 정작 이러한 국가의 존립과 직결되는 중차대한 문제에는 눈을 감아버리죠. 답 없습니다.
@kleopard6642
@kleopard6642 Жыл бұрын
정치권은 외노자가 답이라던데요? 국민보다 노예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들을 보고 화가치밀었네요..
@jk-gn2fu
@jk-gn2fu Жыл бұрын
그거 아니면 로봇임 결국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Жыл бұрын
난 외노자가 끼칠 영향이 너무 무서움.... 길가는데 왠 중동남성 2명이랑 한국여자(딱봐도 생긴게 한국여자) 한명이 유모차 끌고 지나가는디 한국여자라 히잡쓰고 걸어가더라.... 무슬림남자와 결혼하면 아내도 무슬림이 된다는 율법이 있어서 그런거 같은데 이런 다른문화가 결합되면서 다양한 갈등이 생기고 내부분열 내전 이런걸로 치닫진 않을까 무서움 그리고 점점 글로벌화 되면서 이제 한민족이라는게 의미가 없어지고 있는데 만약 무슬림의 자녀가 커서 정치인이 된다면? 한국도 무슬림국가가 되진 않을까
@chansu_shin
@chansu_shin Жыл бұрын
로마가 외국인에게 의존했다가 망했다죠 ^^ 국경도 외국인이 지키게 해서 뚫리고 ^^
@min_s128
@min_s128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미 국내 노동자들은 수준이 너무 높아져서 대학 졸업자가 80%가 넘는데 우리나란 제조업 기반이라 대학 졸업장이 필요한 직업이 50%도 채안됨. 그럼 대졸자 중 나머지 30%는 대학 졸업 필요없는 곳에서 일하며 4년+@를 날린게 되는데 분해서라도 그런데선 일 안하려고 하지 않겠나 ㅋㅋ
@DuEDaM4
@DuEDaM4 26 күн бұрын
농장주나 소작농이 필요하지 평민은 가족먹을수있는 땅이필요함
@user-du3ek8qs9b
@user-du3ek8qs9b 11 ай бұрын
저출산, 비혼 과 관련된 사회문제의 맥을 제대로 못짚는 국가와 지식인들땜에 답답했는데, 교수님의 통찰력을 보면서 일부 해소되었습니다. 절대적 인구수보다 중요한 장수시대에 인간본연의 가치와 존엄성을 지켜나갈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주셔서 더욱 감명받은것 같습니다.
@user-eo3rj8lb3e
@user-eo3rj8lb3e Жыл бұрын
지식인들은 역시 대단합니다. 어떻게 저런 해결책을 낼 수가 있을까요.. 정치인들이 좀 반영했으면 좋겠네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jh1cm3nc2c
@user-jh1cm3nc2c Жыл бұрын
대다수가 비판만하고 대책은 내놓지않는 이 시대에 해결책을 제시할수있는 교수님이있기에 미래가 있는것같습니다.
@BFFWILLA
@BFFWILLA Жыл бұрын
공격~!🫡
@travis_pickle88
@travis_pickle88 Жыл бұрын
공격!
@LL-yo3ik
@LL-yo3ik Жыл бұрын
누가 대책을 내놓지않고 대안을 생각하지 않았겠음?? 다들 다수를 위한 일들이니까 검토하고 비판하면서 신중을 기하느라 철회한 것들이지. 이렇게 방구석에서 아무 생각없이 품평만 하면서 남의 말 한 마디듣고 "아 대안없나보다" 하는 인터넷 익명의 1인보다는 비판이라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훨씬 바람직한 사람들임. 무슨 대안 대책 해결책이 한 사람 머리속에서 뚝딱 만들어져서 튀어나오기라도 하는 줄아니까 이런 태평한 소리나 하는거지
@user-jh1cm3nc2c
@user-jh1cm3nc2c Жыл бұрын
@@LL-yo3ik 네 님도맞고 저도맞습니다.
@7mmalltheway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LL-yo3ik 음음 아니애요. 뉴스나 대형 유튜버들이나 조회수 뽑으려고 자극적이고 듣기 좋은 내용들 만으로,솔루션은 없는체 불만만 고취 시키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뭐 국제 경제, 사회적 환경을 인정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살아날 방법을 모색하는 내용 정도 조차 고갱님들 눈치 보느라 제시 안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에요.
@bxjsiwuegev
@bxjsiwuegev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정치권의 제일 큰 문제는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게 제일 큰 문제임. 실패에 관대하지 않는 사회는 결코 발전할 수 없다는걸 한국이라는 나라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정책 또한 실패를 두려워해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것
@user-ks1je4je3m
@user-ks1je4je3m Жыл бұрын
말하는순간 표 떨어지는데 어떤 정치인이 하나요? 표가 안나오면 누군가 책임감으로 할수 있죠. 근데 이건 말하는순간 표가 떨어져요. 정치인 탓 할수는 있지만 결국 돌고돌아 국민들 수준에 맞는 정치인이고 자기 얼굴에 자기가 똥칠하는 겁니다
@7mmalltheway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표만 떨어지나요? 이래도 쌍욕, 저래도 쌍욕, 그래서 이제는 숨만 쉬고 있어도 쌍욕… 모든 문제를 타인에게만 전가 하려는 습성이 장착된 나라는 희망이 없습니다. 천주교 미사에서 괜히 ‘내탓이오 내탓이오 내탓이오 소이다’ 하고 여러번 되뇌이게 하는게 아니다라고요.
@usersbk
@usersbk Жыл бұрын
ㅋㅋ이젠 일안하는걸 쉴드치는 저능아들도 나오는군
@fact7568
@fact7568 11 ай бұрын
한국이란 나라는 솔직한 실패와 무능보단 지나친 완벽주의로 갈려는 사회죠 위선적으로 살지말라고 해도 모자랄 판에요
@layssaltvinegar6280
@layssaltvinegar6280 Ай бұрын
​@@user-ks1je4je3mㄹㅇ 이게 팩트
@YY-cn9ec
@YY-cn9ec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어려운 내용을 시민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력있게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다들 함께 고민해 나가야 겠네요
@callc4466
@callc4466 11 ай бұрын
기승 전결이 이렇게 깔끔할수가.. 문제다 문제다만 하지 문제의 해결책은 내기 쉽지않았거든요.. 너무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terryy6819
@terryy6819 Жыл бұрын
저출산에 대한 현상만 진단하는 정책이 아니라 구조를 설계하는 정책의 필요성.. 정말 감탄하고 갑니다!
@user-vn8ib9xw8r
@user-vn8ib9xw8r Жыл бұрын
노년층이 지혜롭다는 생각은 농업시대 뿐입니다. 10년단위로 급변하는 4차시대에는 걸림돌이 될수있습니다.
@tour-de-tour
@tour-de-tour Ай бұрын
시대 변화에 맞게 적응 못하면, 부끄러운 도태의 역사를 되풀이 하는거죠… (일제 식민이나 IMF나… 국제 흐름 인식도 못하고 우물안 개구리처럼 나태하게 대비도 안 했던 전근대적 1차-2차산업 사고방식에 여전히 고립된 분들이 위에 있으니까요) 기술 경쟁을 위한 세대 교체 준비가 더디게 만드는… 유교식 사상이 걸림돌이 될 수 있겠습니다. 행정 관료들이 IT 테크에 무지한 것도 큰 걸림돌이구요. 서구가 원하는대로 동북아 경제는 호구가 되겠죠.
@ahahahahaha4194
@ahahahahaha4194 Жыл бұрын
이 나라는 청년들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말할 자격도 없습니다. 출산율 늘리는걸 무슨 스타크래프트 저글링 늘리는 것마냥 생각하는 높으신 분들이 저 지랄하는데 뭘 더 바랄까요?
@dongweonshin7777
@dongweonshin7777 11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본 고령화 문제에 대한 동영상 중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hipstang4549
@hipstang4549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통찰력에 진심으로 감탄했습니다! 실패한 정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렇게 설득력있게 제시하는 모습이 너무 인상적입니다. 허무주의, 극심한 갈등이 만연해진 한국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지식인들이 힘을 합쳐 국민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탈출구를 제공해줘야 할 시기입니다.
@muup1272
@muup127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미 허리디스크 터진 상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수술 아직 시작 전 상태임
@user-rh2ce1bz9u
@user-rh2ce1bz9u Жыл бұрын
기업문화가 안 바뀌면 인구문제는 답이 없습니다. 문제는 이 기업문화는 베이비세대인 기성세대들이 만들어놨죠. 그리고 또 그들이 정치인입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교제 반대 , 결혼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qf6te4yj2o
@user-qf6te4yj2o Жыл бұрын
바뀌려면 아예 뒤집어 엎는 혁명 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그게 가능하겠습니까. 저는 절대 안된다고 봅니다
@windstar-rj3or
@windstar-rj3or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독일정도의 정치와 기업문화가 되야 가능할까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의 기업과 정치로는 불가능합니다
@user-kw4qm6px2f
@user-kw4qm6px2f 2 ай бұрын
당장만 봐도 기성세대들이 청년세대만큼 일을 못함. 그런데 우기기는 가장 잘 우기고… 표수 많아서 권력도 많음. 기업문화를 바꾸려면 기성세대들이 손해보니까 절대 변하지 않을거임
@user-gq4it8pb1q
@user-gq4it8pb1q Жыл бұрын
인생 1막과 2막의 직업과 역할을 나눈다는 말씀이시겠죠.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실현되는 순간이 올때면 교수님의 이 영상이 다시 떠오르겠네요. 사회적문제를 고민해주시고 대안까지 제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ur9pi5xm7f
@user-ur9pi5xm7f 7 ай бұрын
교수님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실천할 때라는 것에 적극 동감합니다.
@ysp3302
@ysp3302 11 ай бұрын
청년입니다 이민갈겁니다 니들끼리 알아서 잘사세요
@Korea_Relax_Walk
@Korea_Relax_Walk 3 ай бұрын
나도 갈꺼임
@user-tu5xy7ic6d
@user-tu5xy7ic6d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ㅌㅋㅌ
@MMMM-qg7ln
@MMMM-qg7ln 3 ай бұрын
너무 이기적이야..한국에 들어와서 의료보험 혜택 볼 생각하지마세요...
@ysp3302
@ysp3302 3 ай бұрын
@@MMMM-qg7ln 받을거 다 받고 뽕뽑고 가겠습니다 화이팅
@piter_31
@piter_31 3 ай бұрын
ㅎㅎ 어디로 갈 건데요?
@comodo965
@comodo965 Жыл бұрын
이모작 안해도 되는 사람은 능력있고 노후 준비가 된 사람들이라 사회에서는 필요로 하는데 본인은 안해도 되는데 반해 정작 이모작 해야 하는 사람들은 그 능력이 사회에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문제 겠죠
@user-ji7ks7le1n
@user-ji7ks7le1n Жыл бұрын
이게 허를 찌르네요
@user-nl3lw1uo2o
@user-nl3lw1uo2o Жыл бұрын
띵언 모든 부분을 반박가능케 함
@hel814
@hel814 2 ай бұрын
팩폭.....
@ghjeong584
@ghjeong584 Ай бұрын
엄청난 통찰이십니다. 어떤 분이신지 만나 뵙고 지혜를 구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user-fx5wo2ix7x
@user-fx5wo2ix7x Ай бұрын
이게 문제네 😂 웃프다 정말
@eugenekhim2451
@eugenekhim2451 Жыл бұрын
백날천날 얘기해봐야 아무소용없음 어떤 좋은 정책이건 결코 실행되지 않을것이고 실행하지 않을테니까 자연소멸은 필연적인 미래임
@Leo1228_
@Leo1228_ Жыл бұрын
누가 얘기하느냐 누가 듣느냐가 다르죠
@wooseokjeong7391
@wooseokjeong7391 Жыл бұрын
내가 5060대라면 정년 늘리는 정책지지? 정년퇴직으로 연금받고 평생노동 마침표 찍는데 그걸 포기한다? 절대안함. 정치인들이 어거지로 밀어붙인다해도, 203040대들이 지지한다해도 506070대까지 합쳐서 머릿수로 밀어붙이면 그냥 그선에서 컷임
@deadcat9371
@deadcat9371 11 ай бұрын
민주주의의 단점이죠 많은 표를 보유한 노인들 눈치를 보느라 정치인은 미래를 개선할 필요성을 못느끼고 결국 정체된체로 다 같이 공멸할 것입니다.
@user-nl2te7rf6c
@user-nl2te7rf6c 7 ай бұрын
명확한 해결책을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뉴스에 출생률이 떨어져서 국가소멸까지 얘기하기래 불안했었는데 걱정과 우려가 해결됐습니다.
@nickname1265
@nickname1265 Жыл бұрын
여태까지 본 저출산 및 대한민국의 초고령사회의 해결법을 제대로 짚어준 명강의입미다😮 제발 정치인들이 이런걸 보고 정책을 펼쳐야하는디
@1634gj
@1634gj Жыл бұрын
사람 갈아 먹으면서 성장한 나라인데 그것도 거의 끝물이고 그 사람 머릿수가 줄어들기 시작하니 밑천이 다 드러나는 중ㅋㅋㅋ
@user-ht7zq7sm5t
@user-ht7zq7sm5t 9 ай бұрын
통찰력 있는 분석 잘 보았습니다! 좋은 콘텐츠입니다.
@user-wz6ly4py4n
@user-wz6ly4py4n 11 ай бұрын
어쩌다가 들어왔는데, 사회를 통찰 하시는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강의네요 이래서 나라의 미래를 물어보거든 고개를 들어 관악산을 보라고 하는거군요.. 꼭 이모작사회가 실현되길 바랍니다 !
@user-ok4dw5io4l
@user-ok4dw5io4l Жыл бұрын
항상 인구수감소에 대해서 대책없는 걱정과 불안을 조장만 하는 강의대부분이였는데 새로운 생각을 할수있게끔 도와주시는 강의였습니다.
@user-hs9ub5yv3c
@user-hs9ub5yv3c 10 ай бұрын
인구감소.. 불안조장? 아니지... 우리가 말하는거 언론에서 말하는거는 인구감소라서 말하는게 아니라 적정인구도 유지하지 못할 정도로 급하게 저출산으로 이어지는걸 우려하는거잖아..
@Gloria_Aria
@Gloria_Aria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이 맞음. 해결방법은 두가지임. 1. 출산을 늘리는 것(이미 효과없고, 실패함) 2. 노인인구를 줄이는 것(노인인구 기준 나이를 높이고, 노인인구를 더 일하게 하여 세금을 더 걷고, 소비도 활성화 시킴) 우리나라는 두번째 방법으로 갈 가능성이 높음. 현재 0~50대까지, 죽을 때까지 일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chansu_shin
@chansu_shin Жыл бұрын
정치인 대부분이 노인이여서 노인을 위한 나라를 만들어버림 ㅋㅋㅋㅋ 두번째 방법도 씨알이 안 먹힐 예정 ㅋㅋㅋㅋㅋㅋ
@jjang6484
@jjang6484 Ай бұрын
지금 세금혜택 노인세대들이 세금을 얼마 안 냈다는게 가장문제.세금도 덜내고 혜택만 더받다 감..폰지 사기
@user-hf8ht4oo2n
@user-hf8ht4oo2n 9 ай бұрын
이렇게 대안까지제시해주다니 훌륭하십니다 조은방법으로 보입니다 그길로가야할듯합니다
@paulwalker6945
@paulwalker6945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잘봤습니다. 특히 9:51 이 부분을 보고 드는 생각이 있는데요. 10:23 이 부분도 마찬가지이고 지금 청년들을 일모작 직업으로 갈 수 있고 유도하고 이모작 직업은 경절 단절 여성과 베이비부모 세대한테 주면 된다고 하셨는데 나이는 20대고 제가 편의점이라든가 쿠팡 쪽에서 알바를 대충 해봤는데 저 뿐만 아니라 남자들은 상하차라든가 몸으로 활동하는 일을 즉 신체활동을 주로 하는 담당을 하고 있고 여자들은 물품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상표가 뒤집어져 있으면 스캔에 제대로 읽히지 않기 때문에 상표가 위로 가서 손으로 한번 쉭 해서 뒤집는 등 그냥 일어서서 손만 몇 번 움직이면 되는 쪽의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걸 보고 교수님의 말씀 듣고 딱 무슨 말인지 알았습니다. 쉽게 말해 그 일모작 직업 쪽에서도 몸으로 일하고 힘쓰는 힘든 직업은 청년들이 하고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남자들이 하고 신체활동이 거의 없는 편한 직업들을 여자가 하고 그리고 공무원이나 복지 쪽 여름이나 겨울에 사무실에서 편하게 에어컨,히터 틀고 일하는 스타일의 이모작 직업들은 경력 단절 여성? 과 베이비부모 늙은 사람들이 하고 이렇게되면 적어도 남성에 대한 인식이라던가 대우가 좋아야되는데 현실은 어떤지 교수님은 아시나요? 군대 비하 발언은 기본이고 남성 혐오에 국가 법은 점점 더 여성 쪽으로 유리하게 바뀌고 무슨 한국 남성 청년들이 국가에 노예입니까? 한국 여자들의 뒷바라지나 하는 노예입니까? 그런 식으로 한국 남성들 세뇌 시키려고 해도 한국 남성들은 절때로 한국 여성들과 윗세대의 교모한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습니다. 한국 남성 인권을 회복 시키고 불필요한 여성 인권 관련 법을 없애고 여자들은 눈높이를 자기 수준에 맞는 남자와 살게 해야지 자기 수준에 맞는 않는 남자만 바라보다가 결혼 적령기는 지나고 애꾿은 국가탓하는 한국 여성들과 그 윗세대 스윗영포티 4050대들의 환상적인 콜라보 덕분에 한국 남성들이 자국 여성과의 결혼을 기피하고 다들 결혼은 안하다 보니 지금 대한민국이 이런 꼴이 됐지요. 그냥 해결방법은 없습니다. 이대로 대한민국은 소멸해서 베트남 인구 늘려서 이중 나라 만들던가 중국의 속국이 되는 게 훨씬 낫습니다.
@Null_pointer_
@Null_pointer_ Ай бұрын
개추
@happymoon360
@happymoon360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현재 대한민국 문제를 여러 관점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채널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이번 영상은 제 생각과는 많이 다르기에 의견 남겨봅니다. 은퇴하는 장년층을 공무원으로 채용하는게 과연 현실적인 대안이 될까요? 과연 그분들이 교수님이 말씀하신 이해심, 포용심, 인내력이 뛰어나셔서 높은 생산성을 보일까요? 교수님이 예를 들어주신 이모작 직업군 '전문 서비스직, 관리직, 행정직, 사무직'에 과연 은퇴연령의 장년층이 어울릴까요? 말단 행정직 공무원들이 블라인드에 올리는 글만 봐도 답이 나옵니다. 그분들은 일하지 않습니다. 일해도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현대 3:1 , 삼성 5:1 채용 경쟁을 뚫고 들어오신 분들이 700:1, 1,000:1 경쟁 뚫고 들어온 세대에게 일 시키는 것만 봐도 답 나오죠. 하이닉스 신입사원이 공정하지 못한 성과급에 분노하며 전체 메일을 돌린 이유가 있을 겁니다. 또 인구 25% 이상을 차지하는 1,700만 베이비 부머 세대의 공무원 임금은 어디서 충당하죠? 노동시장에서 일하는 청년층이 부담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 아닌가요? 공무원 채용, 복지 예산 늘리자는 얘기는 청년층에 빨대 꽂자는 얘기로 밖에 들리지 않습니다. 저는 국민연금을 포함한 각종 연금부터 개혁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예로 1996년 입직한 5급 사무관의 연금은 280만원이고 2015년 입직한 사무관의 연금은 177만원입니다. 교육직도 1996년 입직은 219만원 2016년 이후 교육직은 146만원 수령합니다. 기여율은 반대로 높아지고 있죠. 개혁전 7% 였던 기여율이 2020년 부터 9% 적용되고 있습니다. 청년층은 더 많이 내고 덜 받게 되는거죠.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인구도 많은 세대가 적은 자산을 보유하고 인구도 적은 세대보다 많은 연금을 수령하고 그 연금은 청년 등 뒤, 빨대를 통해 나옵니다. 세대별 자산 규모 차이도 크죠. 베이비 부머 세대는 3저 호황에 부동산 혜택을 가장 많이 본 세대이고 지금 청년 세대는 막차 타고 자산 디레버리징에 고통받고 있죠. 지금 가장 많은 예산 편성이 필요한건 청년 세대입니다. 같은 서울대 조영태 교수님이 말씀하신 바와 같이, 청년 세대는 복지 예산이 아닌 투자라 생각하고 과감한 예산 편성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지금과 같은 인구구조에서는 투표를 통한 청년세대 의견 반영도 어렵다 생각합니다. mz를 한꺼번에 묶는 이유가 속된말로 '쪽수가 딸려서' 라는 생각이 드네요. 청년은 그 정도 인구수로 묶여야 의견을 들어줄까 말까 하니까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
@user-yr6pi2ng1m
@user-yr6pi2ng1m Жыл бұрын
난 이해는 하겠는데 이런거 이해 못하는 사람으로 기준을 정해서 이야기해야하고 번지르르하게 하지말고 간단하게 주거,교육,복지 문제 이 세가지 정도만이라도 의지를 가지고 해결한다면 충분히 가능해서 결혼해서 출산율이 올라갈 수 있음.
@PsyQ6643
@PsyQ6643 Жыл бұрын
결국 영감들 기득권ㅠ연장해서 더해 쳐먹겠다? 틀니를 박살내 버리고싶네 은퇴 용역직으로 사용해야지 노인네들은
@user-mm3ky7yj2g
@user-mm3ky7yj2g Жыл бұрын
세대간 전쟁이 필요할듯 합니다 봉합이 안될듯..
@kangSeoJJin
@kangSeoJJin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교수였던 사람이 저정도 마인드인 거 보면 진짜 답이 없다고 생각함. 자기 세대 자기 마인드로만 문제를 이해하고 바라보지, 실제 피해를 입는 피해자들 입장은 전혀 생각을 하지 않는 거임.
@user-kp3ul1cz2y
@user-kp3ul1cz2y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정치인들 보면 현실적으로 불가능임. 그냥 한번 폭삭 망해서 리셋되는 게 빠릅니다.
@user-je7bh6zr7q
@user-je7bh6zr7q Жыл бұрын
종족 자체가 ㅄ 종족이라서 망해도 똑같음 서양인들의 세계가 답임.
@davidjeon1141
@davidjeon1141 8 ай бұрын
좋은 제안이네요. 걱정만 하고 문제만 제기하지 말고 이런 대안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정책에 반영하면 좋겠네요.
@user-gk8lb4nq8q
@user-gk8lb4nq8q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이게 바로 학문적인 이론적인 예측이 필요한이유죠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성은 이론이 단기전인 대응과 현장지원은 정책과 여론이...
@user-bd7km7vc4g
@user-bd7km7vc4g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입니다 간단명료하게 잘 정리되어 빠른말씀으로 지루하지않게 집중되어 잘이해 했습니다 서울대 클라스
@user-ti3ys8hw1l
@user-ti3ys8hw1l Жыл бұрын
알맹이는 없고 언제올지도 모르는 ai나 얘기하면서 예측불허한 부분가지고 마치 지들이 뭔가 안다는듯이 얘기하는거도 기가막히고 나라 망한거 뻔한데 안망한척 하는거도 딱 서울대교수다운 발상이네 한자리씩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밥그릇만 챙기다 나라망한건데 어떻게든 큰일 아니다 씩으로 말하는거도 웃기고 대도안한 편집기술만 넣고 화려함만 부추기고 뭐 chat gpt? ㅋㅋㅋㅋㅋ 뭐 30년뒤면 남자 혼자 출산하는 기술나와서 어차피 해결됨 이런소리하는거랑 뭐가 다름
@younghanalee7874
@younghanalee7874 Жыл бұрын
청년들 비난하지마. 지금 나라 돌아가는 꼬라지를 봐라. 이런나라에서 너같으면 애낳고 싶겠니.
@user-uo5mf9gz7z
@user-uo5mf9gz7z Жыл бұрын
지들이게으른걸나라탓
@ryanjung5855
@ryanjung5855 Жыл бұрын
진찌 지금 청년세대 나라탓에 진절머리가 남..
@user-qi6iw4kv6l
@user-qi6iw4kv6l Жыл бұрын
​@@ryanjung5855 진절머리 나는 건 니놈 정신머리고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Жыл бұрын
@@ryanjung5855 일단 저성장고물가는 팩트임. 여기서 청년 탓을 한다는거부터가 본인 능지가 매우 딸린다는 것
@user-ju7sb7ul7n
@user-ju7sb7ul7n Жыл бұрын
567세대는 어디시대에 다시 태어나고 싶나요? 1. 당신이 태어난 그 시기 2. 2023년 어느날
@user-ey4by6fh6d
@user-ey4by6fh6d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말이 쏙쏙 뇌리에 박힙니다..😳
@alterpaper
@alterpaper 10 ай бұрын
도망치십시오. 대한민국은 여러분을 책임지지 않습니다.
@gwakhyuk
@gwakhyuk Жыл бұрын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시기라는 건 맞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보다 지금 살아내고 있는 청춘들에게 좀 더 포커스가 되면 좋겠다.
@lawscool8359
@lawscool8359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we-hw1nw
@we-hw1nw Жыл бұрын
교수님, 100세 시대를 현명하고 질이 높은 생활을 위하여 현실적이고 과학적인 의견 감사합니다!!! 정치, 행정적으로 교수님의 말씀이 적용될 수 있도록 누군가가 좀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추천하고 갑니다 … 건강하세요!! ^^
@Kai-Shin
@Kai-Shin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생각은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말씀처럼 행동으로 보여줘야죠. 서울대가 앞장서서 55세 이상 인력들을 적극 채용하면 좋겠네요.
@taehoonkim7819
@taehoonkim7819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젊은 교원들을 노년층으로 고용하고, 젊은 교원들은 4차산업 직종으로 훈련받을 수 있도록 모범을 보이면 좋겠네요
@Korea_Relax_Walk
@Korea_Relax_Walk 3 ай бұрын
응 안해
@TheLJY15
@TheLJY1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 들으니 진로설계,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그리고 직업교육과 전직을 위한 직업정보 수집 및 체계화가 정말 중요한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타래처럼 엉켜있던 것들을 하나씩 풀다보면 이 위기도 극복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coffee_soju
@coffee_soju 6 ай бұрын
진짜 이게 강의다 정말 가슴을 울리는 강의 감사합니다
@muuuuuseeee
@muuuuuseeee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원해서 태어난 것도 아닌데 사회가 등에 지워준 짐이 너무 크고 무겁네요. 이제 좀 내려놓으려고 합니다. 열심히 살아도 인정받지 못하는 세상.... 누가 살고 싶을까요?
@butters2396
@butters2396 Жыл бұрын
10000% 동감해요 범죄 안저지르고 성실히 살면 노예되는 세상이죠. 큰 도둑은 부자고 작은 도둑은 감형되는 그런 세상
@syk6950
@syk6950 Жыл бұрын
빨리 가는 것도 방법
@user-we3pl5cs1u
@user-we3pl5cs1u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개념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는 목적 때문에 논리 비약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교육체계나 생산성에 대한 정의, 노력에 대한 합당한 가치부터가 정의되어야 겠네요. 이미 교수님이 언급한 것은 그렇게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이미 몇몇 산업 현장에 특히 공무직에서는 관련 직종들이 이미 적용되었고, 일찍이 유동지능으로 더 이상 일을 하기 어려운 분들이 결정지능관련 직종으로 전환하여 20년 이상 일하신 분들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불만은 역시나 돈문제였습니다. 유동지능은 확실히 고부가 가치 직종들이 많은편 입니다. 결정 지능 직종 대부분은 극소수의 분야만 제외하고 대부분 낮은 부가가치 직종들인게 현장입니다. 이로 인해 같은 시간 대비 성과를 낼 수 있는 것들이 차이 나다보니, 결정 직종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했더라도 소득이 낮아 생산성이 정말 낮습니다. 오히려 " 이 돈 가지고 뭣하러 열심히 하는가? " , " 이전에 비해 100만원 이상 차이나는데 왜? " 라는 식의 되물음이 있을 뿐입니다. 어차피 인간의 욕망은 이전에 받았던 것에 비해 현저하게 보상이 적으면 행동거지가 좋지 못하는게 당연하나, 결정 지능으로 순화시킨 나이드신 분들의 생산성을 이끌어낼 좋은 직종 개발이 먼저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교욱체계나 생산성에 대한 정의, 노력에 대한 가치가 먼저 선행되어야 할겁니다. 차후 후속 연구들을 한다면, 나이드신 분들에 대한 생산성 향상과 이를 위한 교육체계 개선, 노력에 대한 합당한 가치기준 들이 제시되었으면 하네요. 결국, 젊은 세대와 나이든 세대가 가장 크게 격돌하는 문제는 해당 연구처럼 " 현실적인 돈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
@bodali6753
@bodali6753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인 말씀이네요. 늙었다고 해서 가치가 낮은(소위 뒤치다꺼리)일을 하고 싶은 사람은 없죠..😢
@morriconekorea
@morriconekorea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존경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감동❤
@ThinkWithSteven
@ThinkWithSteven 10 ай бұрын
유동지능, 결정지능 그리고 일모작직업, 이모작직업이라는 독특하고 똑똑해보이는 용어를 사용했을 뿐이고, 요약하면 정년 연장 하자는 말이잖아요. 두가지 질문이 생기는데요. 1. 정년 연장은 많은 선진국에서 논의되고 있는데, 성공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서 유의미한 수준의 정년 연장이 이뤄진 사례가 있나요? 2. 영상 내용에서 말하는 일모작직업 종사자가 나이가 들었다고 이모작 직업으로 직업을 바꾸는게 더 효율적인게 맞나요? 직관적으로 생각하기엔 나이가 들어서도 은퇴 없이 같은 분야에 계속 종사하면서 전문성 쌓는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user-fl3bu2yc5s
@user-fl3bu2yc5s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저서로 내주시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퇴직하셨는데도 말씀이 현역못지않게 명쾌하셔서 이해가 잘 됐습니다.
@user-kl2oy8nn4x
@user-kl2oy8nn4x Жыл бұрын
교수님처럼 나라 걱정하는분들이 정치를 해야 발전이 될텐데 참.... 훌륭한 말씀 잘 들었습니디
@hororoja2253
@hororoja2253 Жыл бұрын
정치에 잡아먹힐거임
@user-dt2it8nu1f
@user-dt2it8nu1f Жыл бұрын
뽑은 유권자들 잘못이 더 크다는 생각은 안해보셨나요
@user-hj9rx5iu3u
@user-hj9rx5iu3u 11 ай бұрын
나라 걱정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저 교수님 뿐만이 아니고 말이죠. 이해관계자가 많아서 그걸 다 조정할 수 없을 뿐이지요. 수도권집중화로 인한 폐해 모르는 사람이 없지요? 정부공공기관 강제로 대전으로 전부 다 이전시키는 대통령 긴급명령이 나온다고 하면 어떨까요? 서울대부터 본을 보여서 지방으로 보내는 겁니다.
@user-fx6rs1oh2z
@user-fx6rs1oh2z 11 ай бұрын
이렇게 영상으로 좋은 강의를 보게 되어 감사합니더
@user-wv2zq5im8j
@user-wv2zq5im8j 5 ай бұрын
통찰력과 대안제시 감사합니다. 믾은 생각을 하게되네요
@user-dh6bi2og4y
@user-dh6bi2og4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정말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강의를 보고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이모작 사회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모작 일자리수가 우리나라 청장년층의 일자리를 웬만큼은 보장할수 있어야 하지 않나요? 현재 우리나라는 일모작 직업과 이모작 직업을 다 합쳐도 청년일자리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청장년층을 일모작 직업으로 이동시키는게 가능한지 여쭙고 싶습니다 결국 그게 가능하려면 제조업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는게 선행되어야 하는걸까요?
@brianlim9362
@brianlim936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딕션이랑 딜리버리가 너무 좋습니다
@tubeyou5806
@tubeyou5806 Жыл бұрын
맥딜리버리
@tuiontu4194
@tuiontu4194 9 ай бұрын
한국말에 대체단어가 충분히 있는데도 굳이 영단어로 말하는 이런 볍싄들을 보면 마음이 참 깝깝허다
@user-oo1nd5jh9
@user-oo1nd5jh9 5 ай бұрын
@@tuiontu4194난 이런거에 욕을 박는 너의 인성이 더 답답하다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4 ай бұрын
영어로 다말하지도못함 ㅋ
@ksprolano201
@ksprolano201 11 ай бұрын
명쾌한 인사이트에 공감합니다.. 꼭 교수님의 인구문제 해결안이 정부차원에서 검토가 되고 마지막 말씀처럼 빠른 시행안에 나왔으면 하길 바랍니다.. 이제 실행할때 입니다
@carterpark1521
@carterpark1521 11 ай бұрын
이미 답 없습니다 이 흐름을 막을 수는 없으며, 지금 아이들 세대는 이민 탈출에 성공하는 사람이 승리자가 되는 시대가 될 겁니다.
@user-yy1vr6gr5c
@user-yy1vr6gr5c 11 ай бұрын
이미 이민 탈출에 성공하는 사람은 승리가 되는 시대는 되었습니다
@flaxnermr.6569
@flaxnermr.6569 Жыл бұрын
프랑스 보면 일하기 쥰내 싫어하는게 인간 본성인데 결국 죽을때 까지 일해야 한다는거구나.. 우린 진짜 저주받은 세대다..
@yh2boy
@yh2boy Жыл бұрын
근데 프랑스는 연금 좀 생각보다 많이 내는거 같더라구요
@fff-mv3jf
@fff-mv3jf Жыл бұрын
근데 죽을 때까지 일하는게 원래 정상임. 안 그런 나라들이 극히 일부 선진국인거고. 그게 싫으면 젊을때 돈 ㅈㄴ 모아서 건물 하나 사두셈
@yh2boy
@yh2boy Жыл бұрын
@@fff-mv3jf 젊을때 돈 ㅈㄴ 모아서 건물 올릴정도 면 우리나라 좋은 나라임 사실상 은행 융자
@user-ph4ew9cb3f
@user-ph4ew9cb3f 3 ай бұрын
죽을때까지 일하는게 당연한겁니다
@seo3146
@seo3146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본 저출산 관련 컨텐츠 중에 제일 공감이 가고 이해가 되는 내용이네요! 제시해주신 개념을 널리 홍보해서 공감대도 만들고 정부정책에 반영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
@hhong15
@hhong15 6 ай бұрын
말씀 잘하시고 메세지 좋고 편집 좋고. 정말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최근 본 저출산 관련 영상 중에 손꼽을 정도로 유익하네요
@yoonsimon
@yoonsimon 10 ай бұрын
훌륭한 대안입니다.
@shaheenshin7927
@shaheenshin7927 Жыл бұрын
전 교수님 같은 분이 참 좋습니다, 명확한 방향을 알려주시잖아요
@user-ym6rc7vw1z
@user-ym6rc7vw1z Жыл бұрын
진짜 암울한와중에 한줄기 빛같은 내용이네요.. 처음으로 뭔가 숨쉴 구멍이 생긴 기분이에요. 아 무조건 망하는게 아니라 이렇게 가면 그래도 버틸수는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처음으로 들게하는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대한민국의 모든 걸음이 현명하고 지혜로운 쪽으로 내딛어졌으면 좋겠네요..
@golmokgil85
@golmokgil85 9 ай бұрын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받아들이고 이제는 유연한 사회와 국가로 가야죠..그러면서 조금씩이라도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 나갈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절망적 상황에서 이런 지혜로운 강의로 희망을 발견할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user-tb1qe7de5u
@user-tb1qe7de5u 9 ай бұрын
해결할 능력이 부족
@I_want_to_be3
@I_want_to_be3 6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사회 시간에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는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주제탐구를 하다 교수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모작 사회에서 장년층들이 이모작 업무를 하면 청년층의 자리를 빼앗지도 않게되며 그들의 노후 생활비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니 정말 멋있는 아이디어네요.
@Document088
@Document088 Жыл бұрын
한국 사회 각 조직에서 68-76년 분들 보면 한국 사회의 가장 좋은 부분만 누리고 가시는 느낌이죠. 80년대생 후배들도 아직 말 잘 듣고 부동산도 빵빵 올라주고. 근데 그 분들 부양하라고 그 뒷세대는 은퇴 못하고 일해야 된다고 하니 힘이 좀 빠지는 결론이네요.
@user-df5ne8ws5v
@user-df5ne8ws5v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교수님의 명철한 강의처럼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경제정책을 조속히 시행하여 국가와 국민이 함께 성장하고 행복한 시대를 만들어가야 한다
@user-rd6kh4sb9c
@user-rd6kh4sb9c Жыл бұрын
ㅈ.ㄹ
@user-wg9gr1yy5e
@user-wg9gr1yy5e Жыл бұрын
외국인 이민 ㄱㄱ
@user-jd5he3nc2r
@user-jd5he3nc2r 6 ай бұрын
이미 늦었음
@user-kt6kd5lu8k
@user-kt6kd5lu8k 8 ай бұрын
와, 멋진 내용입니다. 감탄했습니다!
@aresssssa
@aresssssa 11 ай бұрын
대안은 처음봤습니다. 감사합니다
@blackwhiteday
@blackwhiteday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으로 이런 영상 보게되니 유튜브의 순기능을 실감하네요 공감안되는 부분도 있지만 😅 좋은 영상이에요 인사이트얻고갑니다👍
@user-sp5zc8wi1v
@user-sp5zc8wi1v Жыл бұрын
근래 본 저출산 강의 중 가장 와닿고 현실적인 강의였습니다! 좋은 강의 들을 수 있게 영상 제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u5hp1zp7j
@user-du5hp1zp7j 5 ай бұрын
설득력이 올해 본 정책제안 중 최고인 것 같아요
@gggnn7957
@gggnn7957 5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컨텐츠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setkorea_revolution
@resetkorea_revolution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생각하던것을 더 깊이, 더 자세하게 더 디테일하게 말씀해주셔서 공부 많이 했습니다. 처음 영상으로 뵈었는데, 감사하다는 말씀 전하고 싶습니다.
@user-dh6bi2og4y
@user-dh6bi2og4y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전에 조영태교수님의 저출산 문제 해결관련 영상을 보고 감명 받았었는데 이번에는 고령화 문제를 다뤄주셔서 서울대학교측에도 무한히 감사합니더
@Zisjehydhdu
@Zisjehydhdu 4 ай бұрын
멋진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 이런 분이 진정 전문가고 나라를 생각하는 애국자고 이 시대 참된 "어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user-dk4gh7yf1w
@user-dk4gh7yf1w 11 ай бұрын
나라에선 이런얘기 귀담아듣지않고 미친듯이 세금만뜯고 있습니다
@anon-zq2jc
@anon-zq2jc Жыл бұрын
장년층을 복지 공무원으로 채용하면 임금은 무슨 돈으로 줍니까? 복지나 그거나 재원은 둘다 같은 세금인데 그게 해결된거에요? 4차산업은 일자리가 무한합니까? 장년층 일자리 주려고 청년층 일자리 뺏고 또 경쟁으로 내몰면 청년층은 자동적으로 취직이 된답니까? 지금 기성 세대는 젊을때 노년층 부양이란걸 해본적이 없잖아요 한국에서 부양이라는건 지금 젊은층에게만 새롭게 부여 된 의무입니다. 본질은 간단한거에요 지금 기성 세대가 욕심을 버려야 한다는겁니다. 젊은층들 일자리 뺏지 말고, 권력도, 자산도 젊은층에게 내놓아야 해결 될 문제인데 이 나라는 원래 공익과 공생이라는 관념이 없어요 그러니까 자국민을 착취하던 노비 제도도 500년 넘도록 해결 못하고 외세에 의해 해결된거죠.
@leedong12345561
@leedong12345561 Жыл бұрын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교제 반대 , 결혼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fate0106577
@fate0106577 Жыл бұрын
민족성의 한계지. 뭐. ㅋㅋㅋㅋ
@kepco4075
@kepco4075 Жыл бұрын
ㄹㅇ구구절절 맞는말이다..
@user-sc7vz4ej6i
@user-sc7vz4ej6i Жыл бұрын
어.....사족을 붙이자면요. 노예제도 해방이 우리가 특별히 늦은거 아닌데요. 미구구노예제도 해방이랑 조선 갑오경장이랑 몇년 차이 안나요. 노예 해방이라는게 뭐 서구문물에서 민주주의가 막 발전해서 나온게 아니라 그냥 산업구조가 바뀌어서 노예보다 노동자가 더 필요해졌을 뿐입니다. 사람 사는거 다 비슷합니다.
@unsaltedpistachios
@unsaltedpistachios Жыл бұрын
비판만 하지 않고 대안을 제시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이해가 쏙 되네요
@sloppyfilm
@sloppyfilm 11 ай бұрын
아주 작은 물꼬를 터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큰 물결이 되길 바랍니다
@schoolmonkey1875
@schoolmonkey1875 5 ай бұрын
와😮😮 이런 해결책은 그동안 어떤 언론이나 정치인도 해주지 못한 얘기였습니다 ㅠㅠ 이모작 사회의 성공을 꿈꾸며 ㅠㅠ 강의 감사합니다
@dhnm1881
@dhnm1881 Жыл бұрын
간만에 누구도 얘기해주지않은 너무나도 새로운 이론이고 좋은 강의였습니다👍🏻 개인의 미래도 다시 계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근데 댓글달면서 보니 교수님의 말씀 자체를 이해를 제대로 하지않고 불평불만부터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안타깝네요 ㅜ
@abcdefuace
@abcdefuace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좋은 생각입니다. 교수님 생각을 사회에 반영해야합니다! 실제로 그렇습니다. 제 어머니께서 69세 아버지께서 75세 되셨는데, 어머니께서 동사무소 복지팀에서 아르바이트 하시고 아버지께서 농사지으시고 가끔 예전 전문성 이용되는 프로젝트를 감독하십니다. 부모님께서 보람도 느끼시고 건강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런 부모님을 보면 현재 제가 40대임에도 너무젊은시기라는 생각을 합니다. 이제 10년정도 준비해서 이모작으로 넘어가야겠지요. 지금 어르신들 보면 75세쯤 되어야 건강이 불편해서 은퇴하실 시기가 되는구나 싶습니다. 60대분들은 진짜 젊으십니다. 교수님 생각을 사회에 반영할 구체적 방법들을 하루빨리 실행에 옮겨야합니다!
@bali_life
@bali_life Жыл бұрын
부모님 연배나 40대라고 하시니 아마 저랑 비슷하거나 조금 젊으실 것 같은데요, 저희는 부모님이 그런 모습을 보이시는게 그렇게 보이는데, 지금 20-35세 사이 젊은이들은 본인들 취업도 잘 안 되는 마당에 이모작 사회 운운하면 헛웃음도 안칠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은 고사하고 배달일에 잡다한 알바하며 근근히 버티며 양질의 일자리를 찾고, 한편으로는 집이 없어 결혼도 못하는 판에 이모작 사회라고 75세까지 열심히 일해서 75세 이후 노인을 부양하는 사회로 가자는 비전은 공감도 할 수 없고 공유할 생각도 없을 것 같습니다. 제 아이들에게 말할 엄두도 안 나네요. 이모작의 전단계인 약 50세까지의 첫 경제활동기가 제대로 풀려야 두번째 경제활동기를 즐겁게 맞이하는 마음이 생긴다고 봅니다. 냉정하게 지금이 경제적으로 전후시대보다 나쁜가요, 그렇다고 imf때보다 못 사나요. 그게 아니라 상대적 박탈감, 어제보다 전혀 낫지 않은 오늘이 주는 심리적 문제, 낮은 에너지 레벨, 동기부여가 안 되는 게 문제죠. 그런데 이모작 사회라는 건... 청년들에게 정말 악몽처럼 느껴지지 않을까요. 당장 그럼 그들은 우리는 연금을 75세부터 받으라는 거냐... 할텐데요.
@tomshin6529
@tomshin6529 Жыл бұрын
@@bali_life 당장은 솔직히 청년들 일자리도 부족하고 정년연장이 좋을 리 없겠지만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새로운 분야 개척으로 또 한번 무수한 일자리 창출이 쏟아질 걸 예상하여 해당 대안을 제시한 것 같네요. 한강의 기적처럼 1차 농업사회에서 2차산업인 제조산업으로 간 것 처럼요. 교수님 말씀처럼 그런 방향으로 국가가 나아간다면 희망적이라고 생각합니다.
@bali_life
@bali_life Жыл бұрын
@@tomshin6529 그 예상이 틀릴 거라는 생각을 해야 된다는 거죠. 4차산업혁명이 무수한 일자리를 만들어 낼 거라는 예측이 틀리면? 냉정하게 지금 보면 플랫폼 비지니스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는 압도적으로 줄어들고 파트타임이나 일부 자본가들과 사업자들에게만 돈이 되는 사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게임회사나 it회사들은 그 어떤 경우에도 일자리 창출 효과는 적습니다. 결국 제조업이 일자리를 만들어온 게 지난 50년 입니다. 4차산업혁명이 뭔가 가져올거라는 건 기대일 뿐이고 실제로그 기반이 될 5g도 제대로 안 되는 게 현실이고요. 급격히 탈석유, 탈탄소, 친환경발전도 지금 유럽부터 다 방향 재설정하며 예측을 벗어났죠. 변수들이 넘치게 많은데 그저 막연히 제4차산업혁명이 많은 일자리를 새로이 창출한다는 기대는, 제가 보기엠 없어지는 일자리를 대체할 정도도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 자본주의가 고도화되면 빈익빈 부익부, 부의 편중은 심화되죠. 영질의 일자리가 늘어날 거라고 하는 건 자본주의가 대중을 홀려서, 혹은 호도해서 물길을 일부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전략적 방법일 수 있다 봅니다. 지식계층 역시 자본과 함께 하지요. 무슨 음모론이 아니라 방향성이 그렇다는 겁니다. 4차산업혁명이 일자리를 폭발적으로 창출할 거라는 건 환상일 거라는 게 제 시각입니다. 4차산업혁명은 제가 보기엔 사라지는 일자리를 대체할만큼의 양도 만들지 못할 겁니다. 그로 인해 아주 일부 사업가나 창업자, 일부 계층은 더 큰 부를 얻고 대다수일반 서민층은 더 가난해지고 더 살기 어려워지는 사회를 만들 거라 봅니다.
@user-xr4cd5se3e
@user-xr4cd5se3e Жыл бұрын
어린 복지공무원으로 어르신들은 채용되어 들어오면 적응못하시고 주변인들에게 피해만 주면서 돈 똑같이 받아가는 사람입니다... 좀 심한게 나이가 많다고 진급 성과금은 또 다 가져가지요^^ 허나 국민이 공무원들 무시하는데 내가 너보다 나이 많다고 큰소리 낼 상황 되면 달라지려나요 매일 민원제기하는 국민들 상대 전담 공무원 해주시면 감사할텐데 아마 못견디실테고(사람이 못견딥니다.) 또 점점 신규 공무원 뽑는 수가 적고있어 걱정입니다. 임금인상률도 너무 적어 하루하루 힘이 드네요...
@tomshin6529
@tomshin6529 Жыл бұрын
@@bali_life 동의합니다. 막연히 4차 산업혁명으로의 방향성을 잡아서 올인한다고 한 들, 한강의 기적 때와 시기도 다르고 시민의식 경제수준 등 모든게 달라서 당연히 실패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꼬는건 아니고, 필자님이 생각하시는 방향성은 따로 있으신지요? 왜냐면 지금 이대로라면 벌써부터 파국을 걷고 있는 형편에 이대로 가면 당연 흑빛 미래는 뻔할테고, 결국 교수님의 주장대로 사회가 움직여 일종의 베팅을 하여야 하는 방법 밖엔 없다고 봅니다. 초반에 언급했듯이 비판론자는 많았지만 대안 제시를 한 사람은 없었던 것 처럼요
@user-od2vx8ty3m
@user-od2vx8ty3m Ай бұрын
좋은 지적과 제안입니다.
@THEHORSFIELDII
@THEHORSFIELDII 11 ай бұрын
프랑스 사회가 지금 연금 문제로 난리지만 우리도 마주할 문제임. 저 교수님 말씀대로 젊은이들에게 부양의 짐을 다 넘길 수 없으니 은퇴 연령을 늦춰야 한다. 그게 지금 프랑스가 하고 있는 일이고 우리도 얼른 바꿔야 한다.
@aradugon
@aradugon Жыл бұрын
이게 출산문제라고 출산에 투자하면안되는거임... 실제로 결혼을 할사람은 청년층인데, 대학교졸업하고 안정적인 직장을 가져야 연애도 하고 결혼으로 이어지는건데 그 첫번째가 안되고 있는거임.. 안정적인 직장있고, 미래가 보이면 사랑하는사람만나서 결혼하고 아이낳고 살게되어있다.. 내가 돈을 벌어서 10년쯤 벌고 모으면 집을 살순있겠구나 하는 희망이 있어야하는데 그런게 없으니... 다 나비효과인데, 처음부터 뜯어고쳐야한다. 청년들이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직을 해서 좋은 양질의 일자리를 갖는게 첫번째임.. 중소기업에 대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가 줄어들수록 좋은거라고 생각함..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Жыл бұрын
👍🏻
@user-zl2zx2ez7c
@user-zl2zx2ez7c Жыл бұрын
이게 다 서울중심문화 때문임... 대도시 제외한 중소도시에서는 집이 서울 반값도 안되는데 서울 집값이 몇십억씩 해버리니까 사람들이 그게 한국 집값 평균인 줄 암
@user-kw4qm6px2f
@user-kw4qm6px2f 2 ай бұрын
제일 가장 큰 문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소득격차가 3~4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user-kz8jj7rh7j
@user-kz8jj7rh7j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말씀도 잘하시고 많은 깊음을 주십니다. 감사합니다.
@user-ux6sk1wt7p
@user-ux6sk1wt7p 11 ай бұрын
세대간의 이해와 존중이 너무나도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정치인들은 자기 배 불리기 바쁘니 이쪽은 크게 기대안하는게 좋을거같고..
@sjj202
@sjj202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들 수록 특히나 요즘같은 시대는 미래 직업 대안이 절실히 필요한데 교수님 말씀 들으니 뭔가 희망이 느껴집니다.역시 서울대
@user-uq4jr8pi1o
@user-uq4jr8pi1o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지식인이구나.. 암울한 세상이 활력을 되찾으면 좋겠습니다.
@pangpang-ic4wu
@pangpang-ic4wu 5 ай бұрын
국가가 지원을 해서 완전히 인재로 키우는 테크트리를 타고 있는 젊은이 입니다. 저는 일모작을 향해 잘 가고 있군요. 이모작도 항상 염두해두고 55세쯔음이 되면 이모작으로 갈아타는 계획을 지속적으로 고려해봐야겠어요 .. 애 낳으라고 소리만 지르는 정치인들 보다가 지식인을 보니 너무 마음이 상쾌합니다.
@user-kc6xu6je6m
@user-kc6xu6je6m 7 ай бұрын
일모작 이모작.. 언뜻 들었을때는 정말 좋은 해결방안이지만, 결국에 몸편하고 정년보장되는 안정적인 사무직과 관리직,공무원 등을 장년층이 독차지 하겠단 얘기 밖에 안돼는게 아쉽네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능력을 너무 경시하지 않나생각돼네요.
@user-st3yo9tz5r
@user-st3yo9tz5r Жыл бұрын
이런 멋진 강의를 볼 수 있게 해주셔서 서울대와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또 하나 배우고 갑니다. 잘 보았습니다.
@beyonda5404
@beyonda5404 Жыл бұрын
말씀해주신 내용을 전부 이해할수 없지만, 미래의 후손들을 위해서 엄청난 비전을 제시해주셔서 가슴이 뜁니다. 젊은층의 부담을 덜어주시면서 어르신들도 눈치밥 먹지않고 당당히 사회의 구성원이 될수있는 방법을 알려주셨는데, 꼭 실현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40대 중반입니다. 제가 노년이 될쯤이면 교수님 말씀처럼 70대까지 일하고, 후손들에게 손벌리지않고 끝까지 사람역할을 하는 세상에서 살고 싶습니다.
[SNU Catch] Marriage and Family are "luxury goods"? The Future of Families | Professor Chin Meejung
13:39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16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Каха инструкция по шашлыку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ADHD? 우울증? 병원가기 전에 꼭 보세요.
5:15
초싸이어인 김가츠
Рет қаралды 452
[SNU Catch] The dark future demographic cliff portends: is Korea already on the road to extinction?
16:01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SNU Catch] The thought of 'wanting to eat' ruling the brain? How to get away from food addiction |
13:34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18 М.
[SNU Catch] Why do rental(Jeonse) scams worth billions keep happening? Causes and solutions
12:42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75 М.
[SNU Catch]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ers Unveil NEW Bedbug Insecticide!
14:18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45 М.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