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 광어, 새우까지 배양육으로 먹게 될까? 배양육의 미래 (곽재식x궤도)ㅣ10분토론 / 14F

  Рет қаралды 141,852

14F 일사에프

14F 일사에프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최초로 '배양육'을 소재로 한
디즈니 플러스 오리지널 드라마 '지배종'.
드라마에 등장하는 배양육에 대한 궁금증과
앞으로 펼쳐질 배양육의 미래에 대해,
곽재식x궤도 과학자 둘의 불꽃튀는 토론이 시작된다.
*본 영상은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10분 토론ㅣ매주 토요일 업로드
#지배종 #배양육 #대체육

Пікірлер: 230
@orbit_ap_ple
@orbit_ap_ple Ай бұрын
이제는 아무렇지 않게 30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코너 이름부터 웃긴 프로그램ㅋㅋㅋㅋㅋㅋ
@iml3075
@iml3075 Ай бұрын
주지훈배우님과 곽재식 작가님 이 동갑이란게 제일 놀라웠습니다 시간이 모두에게 다르게 흐른다는걸 세삼느낍니다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Ай бұрын
상대성이론?ㅋㅋㅋ
@pentatonics
@pentatonics Ай бұрын
디폴트값의 격차가 너무 컸던건가🤔
@user-fo1qg5pj9c
@user-fo1qg5pj9c Ай бұрын
기후. 환경 이야기하면서 배양육. 곤충육 개. 소리 하는 자들은 딥딥 하슈인
@user-tt4wq9jy5i
@user-tt4wq9jy5i Ай бұрын
​@@user-ce4lz4jj1d평행이론 ㅋㅋ
@Amber-to1zs
@Amber-to1zs Ай бұрын
상대성 이론 완벽하게 이해하는 방법
@MIRYO1230
@MIRYO1230 Ай бұрын
10분 토론이 20분 분량으로 나오더니 오늘은 무늬만20분이야ㅋㅋ 꽉찬 20분대인 29분이네~ㅋㅋ 좋네요ㅋㅋ
@user-co8hb3dw8w
@user-co8hb3dw8w Ай бұрын
110분 토론으로 바꿉시다~~~~~~~~~
@lupin9305
@lupin9305 Ай бұрын
ㅇㄱㄹㅇㅋㅋㅋ
@user-bluering
@user-bluering Ай бұрын
질이 떨어지더라도 가격이 월등히 낮다면 많은 사람들이 그걸 찾을겁니다. 고기 뷔페에 나오는 고기가 최상급 고기가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그 가게를 이용하는 것처럼 질은 나쁘지만 않을 정도만 되어도 성공적일테지요.
@Gggwin
@Gggwin Ай бұрын
이미 미국 스타트업에선 서민들한테 크게영향받는 김밥같은 식당엔 대체육, 콩계란같은거 계발해서 납품한다더라구요 맛이나식감, 영양학적으론 완벽하진않지만 단가가 맞아서 쓸수밖에없으니 집에서 해먹는 건 마트에서 진짜고기,진짜계란 사먹고 식당은 이젠 중국산김치아무렇지않게먹듯이 당연히 배양육재료 반찬같은거 먹을듯
@sejinJ
@sejinJ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식품공장은 몇년 전 계란파동에다 코로나도 겹쳐서 콩가루로 만든 대체 계란 많이 쓰게 됐어요 이거도 물론 가격 때문이고 기업은 영양부분은 아예 고려 안하구요 가격이 싸고 맛이 비슷하게 나는게 목적임 물론 식재료가 눈에 직접 안보이니까 가능한거죠
@user-wl3kr8zr9y
@user-wl3kr8zr9y 6 күн бұрын
맛알못은 늘 승리한다
@spot-ai-fy
@spot-ai-fy Ай бұрын
궤도가 광기력으로 밀리는건 처음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ostbutter001
@lostbutter001 Ай бұрын
배양육을 구이용처럼 맛있게 먹으려니 안맞는거지 국거리용ㆍ패티용 등 식감에서 크게 중요하지않고 최대한 고기때려박은 가성비 요리를 위한 목적에서는 단가만 진짜 미친듯이 낮추면 대성공할거임. 카레ㆍ미역국ㆍ부대찌개 싸게해먹을수있을듯ㅋㅋㅋㅋㅋ
@user-yx9bu6um9u
@user-yx9bu6um9u Ай бұрын
그렇네영 꼭 실제고기를 완벽히 대체할 필요있나싶네여 라면에 건더기스프라던가 좋잖하
@Gggwin
@Gggwin Ай бұрын
그쵸 식당입장에선 영양이나 완벽한식감보단 비슷한맛에 단가만 낮추면 무조건 써야죠 중국산김치처럼 아무렇지않게 먹게될듯
@Rebecc4choi
@Rebecc4choi 20 күн бұрын
진짜 고기를 매일 스테이크만 먹는 것도 아닌데 구운 고기에만 집착하는게 묘하긴 해요.
@jungmeeyoun9512
@jungmeeyoun9512 19 күн бұрын
버거 패티 정도를 생각한다면 배양육이 나쁠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Rebecc4choi
@Rebecc4choi 4 күн бұрын
소세지도 완전 가능하지 않나 싶네요!
@user-bs4pm8mn3u
@user-bs4pm8mn3u Ай бұрын
배양육..이란거에 1차놀래고 주지훈님과 교수님이 동갑이라는거에 2차 놀랬어요 😂
@1thank2you3
@1thank2you3 Ай бұрын
솔직히 쪼큼씩 늘려서 3시간짜리 10분 토론도 좋음. 시간은 상대적이니까.ㅎㅎㅎㅎㅎㅎㅎ
@tintinryoryo
@tintinryoryo Ай бұрын
각각 1000분 토론도 가능한 두 분을 모시고 10분 토론이라니 ㅋㅋㅋ
@carpkingk
@carpkingk Ай бұрын
22:10 조승원기자님 허탈한 표정이 이번화 하이라이트인듯 😂
@user-pq7ku8zc3d
@user-pq7ku8zc3d Ай бұрын
10분토론이지만 30분에 육박하는...그렇지만 이건 쇼츠라는거🤣🤣🤣🤣
@seyseyseysey87
@seyseyseysey87 3 күн бұрын
풀버전 주세요!!!!
@roadholic
@roadholic Ай бұрын
배양육이 대중화 되면 고기로 빈부의 차가 나눠질 거예요. 지금도 나눠져있긴 하지만 진짜 고기를 먹을 수 있느냐 배양육을 먹어야만 하느냐로 나뉘면 참 볼만할 듯
@user-oq7bp9bp6d
@user-oq7bp9bp6d Ай бұрын
오히려 나중에는 살아있는 동물을 죽여서 먹어...? 미개해 ... 라는 인식일지도 몰라요
@Bora_san
@Bora_san Ай бұрын
합성섬유 발달로 수요는 엄청 줄었고 셀럽들은 공공연히 입기 꺼려하지만 여전히 비싼 모피랑 비슷해지지 않을까요...? 소 자체는 소가죽 같은 수요가 있을꺼 같음. 곰탕은 배양육으로 끓일 수 있나?
@andjuly216
@andjuly216 Ай бұрын
빈부의 차로 먹는 식재료 종류나 등급 나뉘는 건 지금도 그러하니깐 뭐 모르고 살거나 금방 적응할 것 같음.
@user-wg2vq8sx1q
@user-wg2vq8sx1q Ай бұрын
인조는 결국 한계가 있음
@user-np7tv4ek7x
@user-np7tv4ek7x Ай бұрын
유일한 답은 결국 재생농업 밖에는 없음. 국가적인 사업으로 발전 시켜야됨. 인간은 모든걸 알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결국 아무것도 모름. 우리가 아는 선에서 먹어도 괜찮다고 판단 할 뿐이지 우리가 모르는 결핍이나 문제점이 있을 수 밖에 없음. 상대는 대자연 이기 때문임. 결국 지구에 자연적으로 자라난 동식물들을 섭취하는것이 어느 방식보다도 안전함. 그것이 하나님이 인간에게 누리게끔 허용한 유일한 음식임.
@faceoff2762
@faceoff2762 Ай бұрын
우리들은 이미 많은 식품들을 실험실에서 만들어 먹고 있습니다. 맛소금이나 화학조미료 같은 것들...
@user-yy5lh7vy9k
@user-yy5lh7vy9k Ай бұрын
아나운서님은 궤도님이랑, 기자님은 곽작가님이랑 케미가 잘맞아서 번갈아가면서 나오시는것도 재밌네요ㅋㅋㅋ
@mannie.k3304
@mannie.k3304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너비아니 업체서 광도하나 줘야하는거 아닙니까ㅎㅎ
@JAEYOUNGLEE0328
@JAEYOUNGLEE0328 Ай бұрын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주제이네요. 사실상 우리 식탁 앞에 곧 올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user-eh5du9lz3k
@user-eh5du9lz3k Ай бұрын
곽작가님 넘 귀여워. 나도 떡갈비. 한표.
@SANTAtellyou
@SANTAtellyou Ай бұрын
떡갈비 VS 스테이크 토론 잘 봤습니다 ㅋㅋㅋ
@user-zw6hq5le5c
@user-zw6hq5le5c Ай бұрын
딱 들었을때 조금 거부감이 있긴 하지만 여러모로 미래를 위해 필요한 연구라는 생각이 드네요
@juehuialmaseo1574
@juehuialmaseo1574 29 күн бұрын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이 프로 재밌네요.
@ranmanim
@ranmanim Ай бұрын
국내에서 궤소리에 대항할 사람은 곽작가의 작가 센스 밖에 없다
@user-xg1ci1nc7e
@user-xg1ci1nc7e Ай бұрын
배양육 이산화탄소 배출이 엄청나다는데…. 친환경이라 말 할 수 있을까요?
@jessicalee4405
@jessicalee4405 Ай бұрын
궤도님 정확하십니다..지배종에 인공장기도 나오는듯해요..5회나6회쯤
@user-zk4qq7fy4v
@user-zk4qq7fy4v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배양육은 아직 소비자가 먹어볼수 없지만. 이벤트나 세미나에서 시식해볼수 있죠 ㅎ 영상에서 언급했던 해산물 배양육을 시식해봤는데. 아직은 갈길이 멀다고 느꼈네요ㅎ 그래도 가격이 싸다면 괜찮을거라 생각했는데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아직은 배양육이 더 비싸다고 하더군요. 영상에 언급됐던 독도새우 배양육도 그냥 새우 배양육이겠지만 가격차때문에 독도새우로 포지셔닝한것으로 보이더라구요.ㅎㅎ
@kwon_awe_some
@kwon_awe_some Ай бұрын
재식이형👍
@MrShhyun
@MrShhyun Ай бұрын
29분 짜리 10분 토론 잘 봤습니다 🥳🥳
@Jadeforest
@Jadeforest Ай бұрын
너무나 정치적인 사람 입장에서 보면 결국 배양육이 상용화되고 현재 축산업은 지속가능성에 어려움이 있다는 말이 의미하는게 먹는 고기에서도 빈부격차가 유의미하게 맛으로 차이가 생기는게 아닐까 상상하게 되네요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정교한 맛있는 배양육과 평범한 노력으로 만든 맛없는 배양육과 신선도가 제한적이고 생산이 줄어든 고급 고기.. 맛이 그려지는것 같아요
@lou2sly
@lou2sly Ай бұрын
10분토론(30분)
@kijinchoi1192
@kijinchoi1192 Ай бұрын
마블링 자체도 3d프린터로 재현했다는 기사를 본 적 있었는데, 아직 잘 안 알려졌을까요?
@sev534
@sev534 Ай бұрын
믿고보는 재식이형.
@user-yo9mk4jw8k
@user-yo9mk4jw8k Ай бұрын
일단 배양육이 나오면 나는 그걸먹을듯
@Yarorepapa
@Yarorepapa 25 күн бұрын
드디어 괴물민수형이 이긴건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거 볼라고 어그로 끌었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세계관 최강자들의 싸움아니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u1tt6fc4r
@user-nu1tt6fc4r Ай бұрын
다음 주제..주지훈vs곽재식...어떻게 같은 나이일까...과학적으로 증명해주세요.
@user-cg5rf7ko7k
@user-cg5rf7ko7k 16 күн бұрын
헐...곽재식작가님 72년생 아니었어요?? 사실 62년생 말할려다가 72로 내린건데!!! 😂😂😂
@FactoryNo.592
@FactoryNo.59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대체육이 대량생산이 더 쉽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드는데 친환경적일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TaeGu-Poodle
@TaeGu-Poodle Ай бұрын
4:09 와 새삼 소름돋네.. [like:0] 22:10 조승원기자님 허탈한 표정이 이번화 하이라이트인듯 😂 [like:6] This Comment generated by KZfaq Timestamp Comment Collector. *youtube-timestamps-dot-goosepeak.du.r.appspot.com*
@ianoptics72
@ianoptics72 Ай бұрын
과학 아재 토론 대잔치.....
@doritosare7396
@doritosare7396 11 күн бұрын
배양육을 주제로 토크를 배양해 보았더니 30분으로 늘었군요? 좋은 배양이네요.
@user-mh9se1ii6p
@user-mh9se1ii6p Ай бұрын
곽작가님 8시간도 넘게 이야기 하시는분인데, 30분도 짧죠 ㅋㅋㅋㅋㅋ
@user-jg3wj4ee1q
@user-jg3wj4ee1q Ай бұрын
실험실에서 세포 키울때는 아예 항생제에 풍덩 담궈서 키우는데 배양육도 그런지 궁금하네요 사실상 그거 말고는 방법이 없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user-nw6gp8fh3p
@user-nw6gp8fh3p Ай бұрын
비건들은 배양육 나오면 먹으려나? 궁금하네요
@lupin9305
@lupin9305 Ай бұрын
비건 목적도 여러가지니 그에 따라 다르겠죠. 건강,다이어트,종교 목적 안 먹음. 윤리적 목적 먹음
@user-bluering
@user-bluering Ай бұрын
동물을 죽인다는 것에 반발해서 고기를 안먹는 사람들은 배양육을 안 먹을 이유가 없겠지요.
@user-fr1bd1np2u
@user-fr1bd1np2u Ай бұрын
먹지 않을까용
@power6275
@power6275 Ай бұрын
동물을 죽여서 만든게 아니라서 비건한텐 오히려 좋을거같은
@hecaiont
@hecaiont Ай бұрын
비건이 되는 이유가 다양해서 트라우마 때문에 고기 못먹는 사람들은 소용없을것 같음.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Ай бұрын
오늘도 나왔다 제목만 10분토론
@mino5965
@mino5965 Ай бұрын
다가올 미래같아서 무섭긴한데
@user-yn1vs9lx4x
@user-yn1vs9lx4x Ай бұрын
근데 저 마블링 이슈는 3D프린팅 고기로 극복 가능하지 않나요?? 이건 배양육과는 다른 문제인가요?
@user-fx8fw9qz5e
@user-fx8fw9qz5e 16 күн бұрын
10분이 아닌 10분 토론
@cdd4756
@cdd4756 8 күн бұрын
담양 가서 비싼 한우 떡갈비 먹고 떡갈비에 대한 인식이 매우 크게 바뀌긴 했음.. 거의 달지 않게 만들더라 개존맛
@user-ht5ot8nj5h
@user-ht5ot8nj5h Ай бұрын
미국 배양육에 투자해놨는데 주가 계속 하락중... 인간의 도덕심을 과연 믿어도 될까요? 친환경에너지를 중요시하는 독일 포함 유럽도 약간 한발짝 빼는 추세인데, 인간의 욕망과 자본주의가 도덕적 소비와 얼마나 공생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됩니다.
@hy20120
@hy20120 Ай бұрын
배양한 새우살이랑 소고기, 돼지고기를 섞어서 패티만들면 될듯
@Jasonmraz643
@Jasonmraz643 26 күн бұрын
배양육이든 대체육이든 햄버거랑 동그랑땡 정도까지는 대체됐으면 좋겠다
@user-vy2km5hd4i
@user-vy2km5hd4i 20 күн бұрын
김경일교수와 설민석강사가 동갑이라서 놀랐는데 곽재식작가님과 주지훈배우도 동갑이라니 또 한번 충격...
@user-nf3dh8by3f
@user-nf3dh8by3f Ай бұрын
나도 떡갈비… 스테이크는..
@ms07771
@ms07771 Ай бұрын
공대 공혁준 폼 미쳤다
@dogbenefit2373
@dogbenefit2373 Ай бұрын
궤도 또 나오네
@user-hs5pg2nu7f
@user-hs5pg2nu7f Ай бұрын
궤도 여기서는 당하고 있네..
@lllllllllllllllllllllllllIIIIl
@lllllllllllllllllllllllllIIIIl Ай бұрын
4:09 와 새삼 소름돋네..
@layssaltvinegar6280
@layssaltvinegar6280 Ай бұрын
정답은 gmo 방식을 따라가는 거다... gmo가 소비자한테 선택을 받으려고 했는가? 아니다. 생산자와 유통망에 침투하는 것을 1번 목표로 했다. 배양육도 마찬가지다.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마진을 높여주는 방식으로 유통업자에게 먼저 선택돼야 한다. 법은 만들어지는 것에 시간이 오래 걸리니 대규모로 유통망을 갖추고 다수의 소비자들이 먹고 있으면 그 뒤에 규제가 올 것이다. 그 때 가서 그거에 맞추면 된다.
@lupin9305
@lupin9305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드라마 지배종 스토리처럼 정치권에 로비도 들어갈것 같아요.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공통적으로 대표적인 식품 대기업들이 배양육에 참여하고 있기도 합니다(미국 타이슨 푸드, 한국 씨제이 등등)
@sunsettv7051
@sunsettv7051 Ай бұрын
배양육이 보편화되면 분명 가격은 싸질겁니다. 자연적인 고기는 가격이 엄청 오르겠죠. 고급 음식화 되어서
@user-cj4yv2hi1k
@user-cj4yv2hi1k Ай бұрын
3분부터 배양육 이야기 시작
@filezipper6217
@filezipper6217 Ай бұрын
반찬으로는 떡갈비 밥을 반찬으로 먹는다면 스테이크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 Ай бұрын
쥐실험 얘기하니 예전 쥐 등에 사람귀달려있던거 보고 기겁했던 기억이 있네요
@lv99ant
@lv99ant 12 күн бұрын
배양육 식감이야 떡갈비 형식으로 떡을 넣어서 올릴수도 있고 아니면 과도기적으로 배양육 50%에 일반육 50% 섞어서 써도 될거고 맛은 각종 첨가물로 없는 맛도 내는 시대인데 곧 해결되리라 봄. 가성비만 나오면 충분할듯
@user-oq4pz6ki8n
@user-oq4pz6ki8n Ай бұрын
곽을사랑하는
@zldzhd285
@zldzhd285 Ай бұрын
오늘도 그득~~한 토론 잘보고갑니다 얼렁 돼지고기맛으로 배양이 퍼져서 고기가 싸졌으면 좋겠어용
@dallae4766
@dallae4766 Ай бұрын
소는 누가 키울거야 소는
@opp5217
@opp5217 Ай бұрын
10분?토론
@mool_tissue
@mool_tissue Ай бұрын
배양육이 끝없이 발달하다보면 진짜 고기를 질적으로 넘어서는 수준이 될 지도 모르죠?(영양이든 식감이든 모든면에서) 그 때도 부자들이 질 떨어지는 진짜 고기를 먹을까요?
@user-qk3ri1ru6j
@user-qk3ri1ru6j Ай бұрын
인융도 배양육 으로만들면 개꿀맛일듯
@user-dm2uo5jn3v
@user-dm2uo5jn3v Ай бұрын
뼈도 만들수 있나 뼈먹고싶은데
@gimgimg1mgim
@gimgimg1mgim Ай бұрын
무혈청 배양육은 비건들도 먹을 수 있을라나?
@JungKwangho
@JungKwangho Ай бұрын
식품과학을 25년넘게 하고 있는 사람이 보고 있자니.. 차라리 SF소설을 쓰시죠. 라고 하고 싶네요. 당장될 것처럼 얘기하시는데, 전 10년후에도 말씀하신 미래는 오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식품은 사람이 입으로 몸안에 음식물을 넣는 것에 관한 산업이므로 안전성, 도의성, 선입관 문제때문에 변화가 급격하게 찾아오는 분야가 아니니까요. 배양육만봐도 가격, 맛 모두에서 아직까지 격차가 너무 큽니다. 예로 든 패티는 고기 100%가 아니라 고기를 10%만 쓰고도 만들 수 있는 제품이라 이걸 우리가 생각하는 그 대체육 제품이라 할 수 있느냐.. 에 대한 문제도 있습니다. 배양육 10%는 여전히 비싸지만, 나머지는 싼 원료를 사용하여 가격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죠.
@beaversworld
@beaversworld Ай бұрын
너비아니보단 스테이크가 취향인 1인인데 배양육이 친환경적이고 축산업에 혁신적일수 있지만 인간의 미식과 맛을 향한 탐미적 기호 역시 발달해서(미슐랭식당 찾아다니듯) 오히려 경제적 여유있는자들은 천연의 식재료를 찾고 그외에는 급식먹듯 배양육을 먹게 될 건 아닐지 하는 우려(?!)를 해봅니다
@dintcat6106
@dintcat6106 20 күн бұрын
인육을 먹지 않는 이유가 윤리적인 문제도 있지만 바이러스에 대한 종 장벽이 없어 위험하기 때문이라는데 배양육이 극도로 발달하면 인공 인육을 먹기도 할까요?
@user-uj8kp2wr1z
@user-uj8kp2wr1z 17 күн бұрын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배양육을 치킨처럼 튀겨서 먹는다 라는 날이 오면 좋겠네요.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Ай бұрын
한국은 배양육 기술이 성공해도 국회에서 막을 겁니다. 농민들 생계, 식량 안보 어쩌고 하면서.
@John_Bae
@John_Bae 10 күн бұрын
헉 동갑... 주배우 엄ㅁ청 놀랬을 듯
@leechoi57
@leechoi57 Ай бұрын
떡갈비는 과학입니다 진지
@JoE_0314
@JoE_0314 9 күн бұрын
궤도님...신기루님 닮았어요...
@j2l599
@j2l599 Ай бұрын
인구가 100억이 넘을 예정인데 현재 축산으로는 수요를 감당할수가 없음 그러므로 배양육이 발전을 해서 나머지 파이를 먹어줘야 인류가 고기를 먹고 살수 있는거임 자연산은 비싸지는거고 양식은 싸지겠지~ 이게 헛소리가 하니고 축산연구원이랑 술마시다 나온 얘기임
@lupin9305
@lupin9305 Ай бұрын
오 재밌네요. 근데 세계 인구 증가율은 빠르면 2030년대 부터, 중간이면 2040년대 부터 감소로 보합에서 감소로 갈것으로 추측되기도 합니다. 물론 국가별 정책에 따라 꾸준히 늘어날 수도 있구요(역시 얼리어댑터 코리아.. 0.65..)
@mool_tissue
@mool_tissue Ай бұрын
@@lupin9305 하지만 고기를 섭취하는 인구는 빠르게 늘어요. 예를들면 중국 경제가 발전하면서 중국의 육류 소비량은 급증했습니다. 인도, 동남아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나고 있고, 아프리카에서도 그런식으로 될 겁니다. 현재 축산으로는 늘어나는 고기 소비량이 감당 불가능 하다는 것입니다.
@seungwonum4406
@seungwonum4406 Ай бұрын
진행자가 주락희 선생님으로 바뀌셨ㄴ요?환영합니다! 사운드는 왜 이모양인가요
@rhffnagg827
@rhffnagg827 Ай бұрын
ㄹㅇ듣기 불편함 마이크 음향
@mabake
@mabake Ай бұрын
궤도 왤케 잘생김
@hyeminii
@hyeminii 11 күн бұрын
결국 진짜 인공장기로 갔다고 한다…
@user-wl3kr8zr9y
@user-wl3kr8zr9y 6 күн бұрын
내 바텀과 탑이 만났네
@cellics
@cellics 15 күн бұрын
배양육 맛이 없다고 하는데 나중엔 고기의 맛에 대한 사람들의 기호가 하향표준화 되어서 오리지널 스테이크 맛을 아는 사람들이 죽어 없어지면 다들 원래 고기맛은 이런거야 하면서 잘 먹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떡갈비 러브 😊
@Joo-ry1gt
@Joo-ry1gt Ай бұрын
배양육엔 영양소가 어떻게 될까?
@Master_Seo
@Master_Seo Ай бұрын
@user-yn3up4hn5o
@user-yn3up4hn5o 18 күн бұрын
싸고 맥도날드 패티나 스팸 퀄리티만 돼도 배양육 위주로만 먹을겁니다
@5tormtr0093r
@5tormtr0093r Ай бұрын
축산업이 배출하는 메탄가스만 생각해도 온실가스 측면에서 인공배양육이 개이득 아닌가요? 라고 일단 댓글달고 시청 시작하겠습니다. 역시 궤도님이 메탄가스 말씀해주시네요 그리고 heme 단백질만 추가하면 배양육도 고기맛 난다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저도 떡갈비요 묻지마 떡갈비
@user-gm9ed5zb1v
@user-gm9ed5zb1v 18 күн бұрын
메탄가스 온실효과 과장이라는 이야기가 있음...독점왕 빌게이츠같은 인간들이 배양육산업에 투자해서 육류산업 독점하고 싶어서(이거 독점하면 윈도우팔이는 비교가 안되는 수익)
@guk07061
@guk07061 Ай бұрын
예전에 궤도랑 우정잉이랑 배양육 이야기가 실제로 드라마로 나오가니 궤소리가 웅장해진다 ㅋㅋ
@scy426
@scy426 Ай бұрын
인간은 산업혁명을 통한 대가로 한없어 보이는 발전을 누렸을지 몰라도, 심각한 격차에 시달리는 한편, 각종 문제 해결 명목을 위시로 한 권위체의 통제를 면치 못하게 될 거다.
@user-yx9bu6um9u
@user-yx9bu6um9u Ай бұрын
스님은 배양육 드셔도 되나욤?
@ABC-rk7fj
@ABC-rk7fj Ай бұрын
축산업은 환경 오염 문제랑 배양육 대항마에 대해선 답을 할 수 없음 ㅋㅋ
@chhpark1
@chhpark1 20 күн бұрын
결국 가격이 문제인데.......
@merong_mong
@merong_mong Ай бұрын
근데 벌레보단 낫지 않을까
@kisadootwo
@kisadootwo 25 күн бұрын
아 스테이크가 안되는건가.. 그럼 너무 아쉽다.. 스테이크가 되어야지..
@user-yh2lx2bz8v
@user-yh2lx2bz8v Ай бұрын
29분이니까 20분대 영상입니다 ~ 30분이라고 하면 오해함
@user-cj1uu7mt3l
@user-cj1uu7mt3l 29 күн бұрын
배양육은 역시 피가 없기 때문에 피맛까지 구현하려면 쉽지 않을듯
@moonroof2
@moonroof2 Ай бұрын
황사장님?
@antonyoh1676
@antonyoh1676 Ай бұрын
배양육은 미래를 위한 먹거리가 맞는 건 같은데… 자연환경파괴의 주범은 인간이고 산업화가 지속되면 환경보호 보다는 파괴가 지속될 거라 본다.. 그렇다면 앞으로 먹거리를 생산 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할 것으로 보이고 이로인해 배양육, 그린팩토리가 활성화 될 것인데… 또하나의 문제점은 베스와 같이 먹거리를 위한 양식이 배양육으로 줄어들면 그동안의 가축들은 방사가 될 것이고 그러다보면 무분별하게 자연에서 번식하고 또하나의 자연파괴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먹이사슬이 파고로 인한 녹지 부족 현상 등…
@user-vp5zf3yw9q
@user-vp5zf3yw9q Ай бұрын
가축을 방사시킬 이유는 없죠. 배양육을 판매함과 동시에 자연육을 불법화한다면 모를까, 여전히 자연육의 수요는 소수나마 남을꺼고 가축의 숫자는 충분히 자연스럽게 줄여나갈 수 있어요. 예를들면 닭 같은 조류는 유정란을 부화시키지말고 그냥 소비자에게 팔아버리면 자연히 숫자가 줄어들게되죠. 다른 가축도 암-수 분리시켜 교배시키지 않으면 됩니다. 인공 수정도 그만두고요.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차원론이 궁금했던 배우 박정민의 결말
36:01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630 М.
해산물 소비량 세계 1위, 한국이 주꾸미에 진심인 이유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