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직히 출석제도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 사.무.직 EP.15

  Рет қаралды 87,130

4FFICE

4FFICE

4 ай бұрын

"사"피스가, "무"엇이든 물어봅니다! "직"접! 😎
사.무.직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댓글, 이메일 통해서 언제든 제보해주세요🤗
📌 출연자를 향한 무분별한 악플은 '관리자의 권한에 의해' 삭제될 수 있으며, 법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악플 및 인신 공격은 삼가주세요!
-
📌 사피스 의 재미있는 영상과 더 함께하고 싶으시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많이 눌러주세요!
-
#서울대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KAIST
#사피스 #4ffice
:: 비즈니스 및 출연 문의 : smchelp@saramin.co.kr ::

Пікірлер: 157
@user-fl3of7mq4f
@user-fl3of7mq4f 3 ай бұрын
첫번째 패기있네 ㄹㅇ 천재일거같다 말살짝 더듬는거 까지 ㄹㅇ ㅋㅋㅋㅋㅋ
@user-gz7su1ch8s
@user-gz7su1ch8s 3 ай бұрын
딱 교수님들 말투
@user-yk9nh3mu9i
@user-yk9nh3mu9i 3 ай бұрын
아마도 외국에서 고등학교까지 살다가 온 분 같은 느낌입니다. 외국사례도 말하는 걸 보면 ... 인터뷰보니까 서울대는 외국경험있는 학생이 많은 느낌이네요. 서울대는 상방이 뚫려있는 느낌(?) . 즉 서울대 보다 더 좋은 학교가 없어서 서울대 간 느낌이드는 사람이 있는것 같아요.
@user-aka27rt1v0t
@user-aka27rt1v0t 3 ай бұрын
뭔가 머리에서 엄청나게 많은 일들이 너무 빨리 일어나서 말이 못따라가는 느낌ㅋㅋㅋㅋㅋㅋㅋㅋ
@aan7626
@aan7626 3 ай бұрын
박명수 닮음
@hmsdgb
@hmsdgb 3 ай бұрын
​@@user-aka27rt1v0t이거 ㄹㅇ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지나가는거 붙잡느라 버벅이는듯
@user-ny3uq3tf2h
@user-ny3uq3tf2h 3 ай бұрын
첫번째 분은 진짜 가둬놓고 공부와 연구를 병행시키고 싶다.. 나라에 필요한 인재다
@KLLLLL121
@KLLLLL121 3 ай бұрын
안 가둬놔도 공부와 연구만 할거 같음
@user-sm6bx5tx1y
@user-sm6bx5tx1y 3 ай бұрын
진짴ㅋㅋㅋㅋㅋㅋㅋㅋ 인정.. 안 잡아도 혼자 공부하실거같음
@oganesson_4080
@oganesson_4080 4 күн бұрын
​@@user-sm6bx5tx1y그대신 외국으로 가겠지
@floridasun312
@floridasun312 4 күн бұрын
미국으로 대학갔어야 더 날아다닐듯. 맞는말임..
@ooo-ik3mu
@ooo-ik3mu 3 ай бұрын
사회적 세뇌가 강하다 이거 진짜 공감입니다..... 몰아가는 느낌이 강하고 그 만들어진 분위게 금방 휩쓸리는게 문제..
@user-uv7vi7gw8w
@user-uv7vi7gw8w 3 ай бұрын
ㅇㅇ 너무 유행타려고 하고 자기만의 스타일이 없음 가짜뉴스나 댓글이나 인스타 게시물 좀 올라오면 선동되는것도 안타까움..
@callcarman1835
@callcarman1835 3 ай бұрын
그건 조선인들 종특이라 어쩔수 없음 ㅋㅋ 하물며 조선인에 관한 친일파들 어록에 그런내용 수두룩할정도니
@petraa4533
@petraa4533 3 ай бұрын
해외산지 10년째인데 정말 매일매일 사회가 세뇌한것들을 찾아냅니다. 진짜 신기하게 당연하게알던 사실이 거짓이었다는게 끝도없이 계속나와요
@thex3682
@thex3682 3 ай бұрын
첫번째분 ㅈㄴ ㅆㅅㅌㅊ멋있다 통념안믿는편이에요 그래서 연구를 할거에요 와..
@user-ht2gd3lu8d
@user-ht2gd3lu8d Ай бұрын
기승전연구
@user-wm6ld8wd4m
@user-wm6ld8wd4m 3 ай бұрын
"그래서 연구를 할거에요" 입만열면 투정.비판에서 끝내는게아니라 진정한 행동하는 지성...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3 ай бұрын
뜨끔...😮
@user-ny7zw5if9t
@user-ny7zw5if9t 3 ай бұрын
막상같이 일하면 존나 답답
@오늘은하얀색이네
@오늘은하얀색이네 3 ай бұрын
​​​@@user-ny7zw5if9t 막상 같이 일하면 존나 답답(방구석에 틀어박혀 자기보다 몇백배는 잘나가는 서울대생을 평가하며)
@KISCZZ
@KISCZZ 17 күн бұрын
​@@user-ny7zw5if9t니랑 같이 일한다는 거부터가 천재가 아닐 가능성 100%
@user-dq2vi2pw5d
@user-dq2vi2pw5d 10 күн бұрын
@@user-ny7zw5if9t저런 사람은 너같은 애랑 절대 같이 일 안하지....
@user-ils
@user-ils 3 ай бұрын
첫번째 학생분은 진짜 서울대가 못담는 그릇일 수도 있다
@user-yk9nh3mu9i
@user-yk9nh3mu9i 3 ай бұрын
서울대는 상방이 뚫려있는 느낌(?) . 즉 서울대 보다 더 좋은 학교가 없어서 서울대 간 느낌이드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소위 말하는 찐천재들....
@hac14379
@hac14379 3 ай бұрын
저분 카이스트 필인데?
@Geometry364
@Geometry364 3 ай бұрын
​@@user-qudtlsemfwhsskaksgdk연구환경 좋은 카이스트가 더 잘 어울린다는 뜻이잖아 답답아 ㅋ
@hac14379
@hac14379 3 ай бұрын
@@Geometry364 속이 시원합니다.
@user-yk9nh3mu9i
@user-yk9nh3mu9i 3 ай бұрын
@@hac14379 카이스트생은 약간 더 모범생 느낌이 납니다. 이과 공부에만 특화된 느낌입니다. 착한 느낌, 대기업 연구원 느낌.... 본 영상의 첫번째 분은 서울대 느낌이 맞는 것 같습니다.. 서울대생들이 오히려 약간 괴짜느낌이 좀 더 많이 나고 ,문과인데 이과느낌, 이과인데 문과느낌 , 음대생인데 코딩을 하고 ... 미대생이 수학박사를 따고....뭐 이런 경우도 있더라구요. 옷을 잘 못입는 사람도 있는것 같기도 하고 ㅋㅋㅋ... 경제과 학생인데 수학과 전공과목에서 에이뿔을 받아간다든지...물리과 출신인데 카레이서를 하고 수학교수인데 록밴드에서 기타를 치고 록커를 하고 등등....정말 찐 너드 내음을 맡고 싶으면 설대 물천 가면 많다고 하네요.
@user-uv7vi7gw8w
@user-uv7vi7gw8w 3 ай бұрын
2:43 이 분 말투나 나긋나긋한 분위기 약간 교수님 느낌인데 ㅋㅋㅋㅋㅋㅋ
@ssm6416
@ssm6416 3 ай бұрын
첫번째인터뷰학생매력이있네요
@user-uv7vi7gw8w
@user-uv7vi7gw8w 3 ай бұрын
첫번째처럼 그냥 자기 자신이 믿고 보고 배운것을 토대로 살아가는게 오히려 ㅈㄴ 남자다워 보이네 서울대라 그런가 자기 가다나 곤조가 확고해보임
@user-px3vw5ml5l
@user-px3vw5ml5l 3 ай бұрын
0:29 "전 그런 사회적인 통념을 잘 믿지ㅜ않는 편이에요" 찢었다
@roomnumber.18
@roomnumber.18 3 ай бұрын
첫번째분은 현재 한국 대학의 문제점을 제대로 저격하시네요 ㅋㅋ. 다만 지금 가장 큰 문제는 출석제도가 아니라 학점제한, 필수이수시스템 등의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배움에 있어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는것이 중요하다는걸 알지만… 그 외 관심분야에 시간을 더 투자하고싶은데, 필수이수과목 때문에 원하는 시간표 짜기가 아주 어렵거든요.
@rescue720
@rescue720 3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rickyedword1339
@rickyedword1339 3 ай бұрын
결국 혼자 공부하고싶어도 서울대란 간판은 따야하니 안다니고싶은데 다니는 느낌이네 첫번째분은 똑똑해도 중졸 고졸로는 증명하기 어려운게 현실이니
@UnifyP
@UnifyP 3 ай бұрын
서울대 첫번째와 마지막 학생 인터뷰 너무 맘에 든다. 이정도 패기는 있어야 역사에 이름을 남기지
@Pro-Western9391
@Pro-Western9391 3 ай бұрын
개뿔.. 저런 애는 진중권이나 변희재 같이 입만 터는 놈 밖에 안됨
@sunchw12
@sunchw12 2 ай бұрын
제가 듣던 전공강의 교수님중 한분도 자기는 출석체크를 하지않겠다고 선언하셨었죠. 대학에까지 배우러 왔으면 본인이 본인 의지로 배워야지 출석을 하면 뭐하나, 출석 자체에 점수를 거는건 학생을 공부시키려는게 아니라 통제하려는 거다 라는 논리로 말씀 하셨어요. 그러면서 미국은 출석 부르는 곳이 없다, 나는 출석 대신에 수업시간에 시험에 나올 부분을 집어주는 형식으로 성실성을 평가하겠다 하셨죠. 정말 대단하신 분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변화가 다른 학과까지 이어졌으면...
@yeongshouse9989
@yeongshouse9989 3 ай бұрын
입만 열면 사회가 어쩌느니 투정하는 바보들 사이에 (그래서 연구 할거다) 라는 행동을 보여주는 지성인의 모습이 너무 멋있다,, 뚜렷한 목적을 갖고있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urmyclsrn
@urmyclsrn 11 күн бұрын
2:55 고양이
@WHI_w
@WHI_w 3 күн бұрын
강의참석 요구당하는 분ㅋㅋㅋㅋ 쇼츠 댓글에서 말하듯이 진짜 세계최초상임 뭔진 모르겠는데 일단 뭐든 세계 최초로 할 것 같음
@love-lp7df
@love-lp7df 3 ай бұрын
첫번째 친구는 연구하라고 투자하고 싶은 분이네요~~~👍
@yoonsunreynolds5865
@yoonsunreynolds5865 Ай бұрын
첫번째분께서 언급하신 “사회적 세뇌가 강한 나라“라는 생각을 오래전부터 해왔습니다. 오래전부터 외국에서 살았는데, 외국에서도 그렇게 느껴질 정도로 정말 심해졌습니다. 정확한 진단이 올바른 치료를 가능케합니다. 저런 진단을 내릴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많아지길 바랍니다.
@user-vj7ez3ez3i
@user-vj7ez3ez3i 4 күн бұрын
세번째 분 외국인 학우분 같은데 진짜 헷갈릴 정도로 한국어 엄청 잘하신다 외국어 잘하는 사람들 진쩌 부러움…
@user-gw9sp8xe2r
@user-gw9sp8xe2r 3 ай бұрын
통념을 깨기위해 패딩에 대놓고 Fragile...크...
@user-qj4pq5pf3i
@user-qj4pq5pf3i 20 күн бұрын
두번째 존나 잘생겻다ㅠ
@user-nz5mc7ud8x
@user-nz5mc7ud8x 3 ай бұрын
첫번째 뭔가 달라보이고 4번째 여자분 규현 닮음
@hmsdgb
@hmsdgb 3 ай бұрын
~비관적~
@thoughtdesigner
@thoughtdesigner 3 ай бұрын
첫번째 후배님 바이브에 흠뻑 빠지겠네 완전 내스타일일세...😊
@user-nv1wl1hm3c
@user-nv1wl1hm3c 3 ай бұрын
진심 개멋있다!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3 ай бұрын
이번 24학번 신입생인데, 첫번째분이 말씀하신 '딱히 창의적이진 않은것 같다'에 동의합니다. 창의력 개발은 거의 학생 재량에 맡기는 편이고, 주입식 교육에 가까워요. 물론 강의 내용 자체는 수준이 높지만 학생들에게 요구하는게 고등학교랑 거의 같은것 같아요. 저는 오히려 영재원이나 창의력 학원에서 했던 경험이 더 연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이럴거면 대학교에 왜 왔고, 창의력에 관한 교양 수업은 왜 없는지 의문입니다.
@baron5756
@baron5756 2 ай бұрын
창의력은 대학 수업으로 해결하려고하지마시고 수업외적으로 좋은 활동 많이 찾아보시기바랍니다 그게 진짜 창의력이죠 일례로 서울대 공대생들 창업도 많이하고 국가에서 청년창업지원도 많은 걸로 알아요. 님이 무슨과일지는 모르겠지만 서울대 구성원인것 하나만으로 다양한 분야의 뛰어난 사람들과 네트워킹할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상상과는 전혀달랐던 대학에 실망하고 방황하던 스무살의 제가 생각나서 말씀드립니다. 10년 후 멋진 분이 되어있기를 바래요
@baron5756
@baron5756 2 ай бұрын
아 누가 또 꼬투리잡고 까내릴까봐 노파심에 덧붙일게요 ㅋㅋ 저는 바라요 말고 바래요로 일부러 씁니다 언중이 자연스럽게 사용하면서 변화,발전시키는 언어를 비표준어라는 이름으로 틀렸다고 규정하는 국립국어원의 폭력에 반대하는 의미에서요ㅋㅋㅋ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2 ай бұрын
@@baron5756 진심을 담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jejek790
@jejek790 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공부를 선택하는 친구들이 많았으면 좋겠네여 그리고 그 친구들은 취업이 어쩌고 급여가 저쩌고 하면서좀 전형적인 잣대로 길들여지지 않으면 참 좋겠네요 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user-zo4ou9jp1v
@user-zo4ou9jp1v 3 ай бұрын
진짜 저분은 멋지다 소신있는발언 공부만잘하고 생각을안하는 멍청한것보다 훨씬낫네
@xxxhyun7
@xxxhyun7 3 ай бұрын
0:41 알파님이시네.. 여기서 보니 반갑네요ㅎㅎ
@rurunoonoo
@rurunoonoo 4 ай бұрын
큰거왔다
@user-bu6cb3xm5v
@user-bu6cb3xm5v 4 күн бұрын
아니 두번째 분 인스타 없겠죠..? 하 반했다 미쳤다..
@user-qd6rs3ud4x
@user-qd6rs3ud4x 4 ай бұрын
역시 어디든 사바사 과바과..
@jinsiwoo321
@jinsiwoo321 3 ай бұрын
첫번째가 진짜 미쳤다
@stella79741
@stella79741 Күн бұрын
2번분은 연예계 데뷔 할 거 같은데.. 느낌적인 느낌
@user-yg9rj4vv6y
@user-yg9rj4vv6y 3 ай бұрын
첫번째분 너낌있다 오는분들 라캉이론 읽으러 갑시닷 레츠기릿
@tori1074
@tori1074 3 ай бұрын
강의참석을 요구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zxcv5570
@zxcv5570 3 ай бұрын
첫번째분 무슨 과이신가요?
@ttseok3037
@ttseok3037 3 ай бұрын
재료공학부래요. 다음인터뷰도 보니 검소하기까지함요 ㅎ
@user-rd7sb4ps7y
@user-rd7sb4ps7y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서술형에 강할 것 같다 첫째.. 당신 INTJ 맞지..?
@user-hn9se5gl3y
@user-hn9se5gl3y 3 ай бұрын
두번째 남성분 어느과이신가요?
@inssuuu7805
@inssuuu7805 Күн бұрын
첫 후배님이 말한건 ‘출석의 필요’가 아닌 ‘제도’로 인한 강제성은 옳지 않다라고 말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조금 선배로 느꼈던 건 저의 크기보다 훨씬 큰 그릇과 뜻을 가진 사람도 많았고 또한, 경험의 크기가 다른분도 많았었습니다. 서두가 길었습니다만, 제가 느낀 것은 나만큼 혹은 더 뛰어난 사람도 많이 모이는 곳이라고 생각하는 만큼 조금 열린 마음으로 생각한다면 대학에서 배울 가치는 많다고 생각합니다. 😊
@user-fe4hs5ut8z
@user-fe4hs5ut8z 3 ай бұрын
옛날껀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user-ux6ds6kp3u
@user-ux6ds6kp3u Күн бұрын
첫번째 분 같은 사람이 되고싶다
@jacklim6526
@jacklim6526 3 ай бұрын
머리스타일보고 90년대 인터뷰영상인줄
@user-gy4ud7mt5y
@user-gy4ud7mt5y 3 ай бұрын
두번째분 궁금하다
@user-hk4sx9go2f
@user-hk4sx9go2f 7 күн бұрын
신은 모든것을 주지않는다
@likebebel
@likebebel 3 ай бұрын
첫번째 분이 말씀하신 출석제도가 사라졌으면 좋겠다는건 대학의 취지랑 출석이랑 전혀 맞지 않는다는 의미인거 같아요. 출석은 결국 그 수업에 대한 성실함을 보는건데 대학은 고등학교와 다르게 성인들이 원하는 과목을 듣고 스스로 공부를 하는거에 목표를 두는겁니다. 출석은 결국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이라도 듣고 싶지 않은 내용이라도 대학이 취업과 연관이 되니 강제로 들어야하는 시간만 허비하는 제도라는거에요. 아마 그런의미에서 하는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그 이전에 족보라는 문제도 있지만요....
@user-bo6qc1ld8s
@user-bo6qc1ld8s Ай бұрын
첫번째 엠비티아이 백퍼 nt 그중에 intp일듯 그리고 저런 사람이 진짜 천재지
@thex3682
@thex3682 Ай бұрын
나 인팁좋아했네
@user-bo6qc1ld8s
@user-bo6qc1ld8s Ай бұрын
@@thex3682 난 싫어함 인팁 잇팁
@thex3682
@thex3682 Ай бұрын
​@@user-bo6qc1ld8s 힝 ㅜ 근데저도 인팁 싫어해요ㅋㅋㅋㅋㅋ
@user-dv5bv6ie7w
@user-dv5bv6ie7w 6 күн бұрын
ST 아님? 웬 N이 나옴
@user-bo6qc1ld8s
@user-bo6qc1ld8s 6 күн бұрын
@@user-dv5bv6ie7w 너는 뭔 S가 나옴 ST로서 ST 아님 저건 빼박 NT임
@hmsdgb
@hmsdgb 3 ай бұрын
내가봤을 때 처음 분은 AI랑 토론해도 이기실듯
@thex3682
@thex3682 3 ай бұрын
ㅇㅈㅇㅈㅋㅋㅋㅋㅋ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3 ай бұрын
교수들 공부나 연구 안하기로 일등인 나라가 우리나라 아니던가...혼자 공부하고 싶다는 얘기에 납득이 가네
@user-kt3uz9ux9k
@user-kt3uz9ux9k 3 ай бұрын
1번 뭔가 풀리지 않은 것들이 머리 속에서 많이 있는 것 같고 절대란 없어 보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이 항상 바뀌죠. 다 그냥 뭐랄까. 범생이는 스테레오 타입이 아닌가 몰고있다는 느낌 아닐까요.?
@user-in3wg7li7i
@user-in3wg7li7i 2 ай бұрын
일본의 국립대를 1년간 경험한 적이 있는데 일본의 이공계교수들은 연구실에 들어가서 나오질 않음. 식사도 밖에 나와 먹는 경우보단 죄다 정기배달을 받아서 연구실에서 해결함. 그냥 교수들 자체가 오타구 같음. 외부활동도 잘 안함. 그냥 수업 없으면 연구실에 꼭 박혀있음.
@pp-1954
@pp-1954 6 күн бұрын
첫번째 같은 사람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
@miseoneom3908
@miseoneom3908 3 ай бұрын
@whgdmstor
@whgdmstor Ай бұрын
두번째분 존잘..
@abc24011
@abc24011 3 ай бұрын
2번분 너드미 ㄷㄷ 꾸미면 존잘일듯
@jacklim6526
@jacklim6526 3 ай бұрын
2설영우 3원샷한솔
@user-ci9zo9eb2e
@user-ci9zo9eb2e 3 ай бұрын
주우재 닮은거 같은
@user-sb7nl2oh1l
@user-sb7nl2oh1l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sukung
@ssukung 3 ай бұрын
이게 대학원 진학하면 노예가 된다랑 뭔 상관?
@deus6228
@deus6228 3 ай бұрын
저렇게 진학하면 99퍼센트 대학원에 대해 돌아보게 될겁니다... 사회를 탓하고 난 믿지 않아 라고들 하지만 사회 통념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학습이 형성한 데이터입니다. 또 대학원 또한 작은 사회이기 때문에 그 안의 사회 활동을 견디기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습니다. 단적인 예로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시대적인 천재들도 대학원 시절에 우울감을 가졌죠. 물론 운이 좋아 나에게 맞는 랩실을 찾는다면 행복 연구할 수 있습니다.
@saranghandagoyo
@saranghandagoyo 3 ай бұрын
그래서 님 대학 어딘데요?
@saranghandagoyo
@saranghandagoyo 3 ай бұрын
학벌실명제 마렵다
@leemae_
@leemae_ 3 ай бұрын
⁠​⁠​⁠@@saranghandagoyo진짜 짠해서 댓글 닮.. 대학원 진학이 무조건 내가 좋아하는 연구에만 몰두할수 있는건 아님 본댓 말대로 랩실 잘 들어가야 가능함 교수님 성향 많이 타서 내가 뭘 하든 나몰라라 하는 사람도 있고 0부터100까지 본인 마음에 드는 방식을 원하는 사람도 있고 심지어 회식이나 유흥거리 좋아하는 교수만나면 그냥 필참인거임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졸업 안 시켜주면 몇년이든 그냥 굴러야함
@saranghandagoyo
@saranghandagoyo 3 ай бұрын
@@leemae_ 저사람이 저런말을 안들어봣을까? 지나가는 초등학생이 님보고 시간아껴라 돈아껴라 등등 인생조언하면 님이 얼마나 어이가 없겠어요 조언이 맞냐 틀리냐도 중요하지만 조언을 하는 대상이 누구인지도 중요함
@deus6228
@deus6228 3 ай бұрын
@@saranghandagoyo 과학기술원이요
@llll-ir7db
@llll-ir7db 2 ай бұрын
그 누구도 저런 부류와 같이 일하고 싶지 않는다. 고집불통에 이상한 신념까지. 세상은 혼자사는게 아니라는것부터 깨달아야할텐데
@user-dd3bs9ve3r
@user-dd3bs9ve3r 9 күн бұрын
ㅋㅋㅋ이상한 신념이라뇨 님한테 피해준거있음?? 왜케 꼬였노 그냥 그런갑다~ 하면 되지
@mafia_42
@mafia_42 5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user-dd3bs9ve3r
@sunjungha9731
@sunjungha9731 3 ай бұрын
진짜 싼 한국대학 👍👍👍
@seolheekim6770
@seolheekim6770 4 ай бұрын
좋아요
@user-xt6oy1tf5n
@user-xt6oy1tf5n 3 ай бұрын
킹누 닮앗다
@warrior.of.light888
@warrior.of.light888 13 күн бұрын
[The relativistic effect on the phase shift of the frequency invalidates the time extension]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is less original, but it seems contextualized by the research of other scientists. My strong feeling is that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does not represent pure and dedicated scientific research. Although his works are fundamental and very high-profile, this is why his works should have included considerable self-observation and experimentation, as seen in the dedicated works of Max Planck and other scientists. Rather,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seems to originate from or refer to the studies of other scientists. Since Einstein's research is very contextualized by the research of other scientists and his research is less original, it is unfortunate and problematic that a scientific review or criticism of Einstein's research to forge it must first accurately forge the research of other scientists, so that attempts to forge Einstein's research can begin. If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had been Einstein's original study, it would not have been. Einstein seems to have carefully formulated the theory of relativity so that it is not easy to try to forge it. Einstein's theory of special relativity argues that time should be taken away from the independence of time and made 'natural', where the appropriate time (t) depends on the gravitational effect or the relativistic effect and is expressed as t < t', where t' is the time extension, and the classical mechanical expression that contradicts this expression is t = t', where time (t, t') is absolute. Einstein's equation of time expansion is wrong because it is a speculative equation based on the classical Doppler formula. The experimental results given below were able to refute and completely disprove the speculative equation of time extension. Special relativity theory says that the appropriate time (t) depends on the relativistic effect expressed as t
@hoticecream2846
@hoticecream2846 3 ай бұрын
첫번째 분은 부디 연구직으로 가주길.. 직장인으로 이런사람 만나면 너무 힘듦.. 개인적으로 서울대 출신들 직장 동료로 좋아하지 않음..
@user-ww66ww
@user-ww66ww Ай бұрын
끼리끼리 놀면 돼져 ㅋㅋㅋ 탑끼리 놀먄 돼고 찌끄래기들은 찌끄래기끼리 놀죠; 찌그래기시죠?? 같이.아울려요 ㅎ
@user-ss6bq7sk8m
@user-ss6bq7sk8m 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서울대생들도 너같은 하류인생들이랑 엮이기 싫어할듯
@le_moment_film
@le_moment_film 2 ай бұрын
세번째분 외국인?
@user-oh2wd3fb5j
@user-oh2wd3fb5j 15 күн бұрын
아 쇼츠로 봤을때 옛날인터뷰영상인줄 알았는데 최근이었구나 ㅋㅋㅋㅋㅋ
@user-ul9ct9hi4x
@user-ul9ct9hi4x 3 ай бұрын
두번째분 예전에 스튜디오샤 알파님이신 것 같은데..
@Glass0824
@Glass0824 3 ай бұрын
만족스러움
@kaitokuroba_1412
@kaitokuroba_1412 2 ай бұрын
첫번째는 카이스트상이다.
@Dudurami
@Dudurami 3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가 딱 이랬을듯.. 어둠의 아인슈타인
@Sinchulwoo
@Sinchulwoo 3 күн бұрын
0:17 애들아! 책에 있는 그대로 읽어주면서 학생들 가르치는 강사나 교수 있으면 무조건 교수평가때 F줘라 내가 대학교 3학년때 그런 시간강사 교수가 있었는데(학벌도 화려함.중앙대 단국대 숙대등등 출강) 그 수업을 1.2학기 1년을 들었지...문득 이건 아닌거 같다는 생각을 2학기 가을쯤 생각이 들어서 다른 교수의 유튜브 강의영상을 봤는데 서울대 교수가 비전공 학생들 대상으로 하는 강의였는데 정말 놀랐다 강의도 너무 재밌었고 나는 전공관련수업 이었고 그 서울대교수 강의는 무려 비전공대상 강의여서 전공생과 비전공생 모두 이해할수 있으면서도 수준높은 강의를 보고나서 너무 억울했지.. 그때 뷰라리를 탁 치면서 그 시발련 좆같이 가르치고 있었는데 왜 난 가만히 있었지 시발 내 등록금?? 나처럼 후회하지마라
@user-mf8cb1fj5q
@user-mf8cb1fj5q 3 ай бұрын
두번째 오빠 인스타 좀 알려주세요
@user-ht2gd3lu8d
@user-ht2gd3lu8d Ай бұрын
의치한약수
@jiyeon212
@jiyeon212 3 ай бұрын
역시 이공계는 웬만하면 대학원 염두해두는구나
@user-nj1to6vq2j
@user-nj1to6vq2j 3 ай бұрын
학사로는 아무것도 못함 진짜
@CucumberHater
@CucumberHater 3 ай бұрын
단순히 좋은직장 고연봉받고싶으면 필요없음
@user-aka27rt1v0t
@user-aka27rt1v0t 3 ай бұрын
​@@CucumberHater그건 전자전기나 화공이나 기계쪽
@whatever6903
@whatever6903 3 ай бұрын
찐(따)
@lylieyjason2440
@lylieyjason2440 3 ай бұрын
아니 코로나가 엄청 위험한 거 아니었다고 그럼 그 안위험한 병에 죽어나간 700만명은 뭐지?
@user-qp9pk9kz7r
@user-qp9pk9kz7r 3 ай бұрын
결국엔 걸릴 사람들이 다 걸렸고, 거리두기가 경제만 힘들게 한 뻘짓이란 걸 아직도 못 깨달음?
@hanzohtr1308
@hanzohtr1308 3 ай бұрын
기저질환있던자들이 죽는거죠. 코로나만을 직접적 원인으로 사망한사람은 없음
@user-zo7uh3ex5u
@user-zo7uh3ex5u 3 ай бұрын
감기마냥 코로나 4번걸렸는데 멀쩡함 노인이나 몸약한사람들이나 돌아가신거고
@wowaka-906
@wowaka-906 3 ай бұрын
코로나 사망 대부분에 노인인 건 모르나?
@user-dq2vi2pw5d
@user-dq2vi2pw5d 10 күн бұрын
난 백신 한번도 안 맞고 안 걸렸는데....
@spring-of-history
@spring-of-history 7 сағат бұрын
코로나 드립은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ㅋ 알지도 못하면서 왜 떠드는 거야 ㅋㅋ
@user-du3bk4ff6u
@user-du3bk4ff6u Сағат бұрын
드립이 아니라 팩튼데?
@user-xs3dd8nu8z
@user-xs3dd8nu8z 10 күн бұрын
근데 코로나가 위험했던건 맞지 않나..?
@keedoosung1352
@keedoosung1352 Күн бұрын
동아시아가 특히 코로나로 자유를 많이 억압했죠
@spring-of-history
@spring-of-history 6 сағат бұрын
@@keedoosung1352무슨 ㅋ 오히려 유럽쪽도 빡세서 폭동 일어나고 그랬구만 ㅋㅋ
@keedoosung1352
@keedoosung1352 5 минут бұрын
@@spring-of-history 저는 터키에서 지내다 왔는데 한국이 심하게 규제한거 맞아요 님은 그저 한국에서 뉴스로 전해준 이야기를 듣고 말하는거겠죠?
@user-kd5hp2os5c
@user-kd5hp2os5c 3 ай бұрын
사회통념으로 서울대 가놓고 ㅋㅋ
@user-hz2be4cx1u
@user-hz2be4cx1u 3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를 하지 서울대가 좋은건 사회적인통념이나 위치가 아니라 교수진 수업의질 시설 모든게 전국 최상위 니깐 좋은거다 사회통념이 서울대가 좋다인거면 지잡대 가야되냐?
@thejocker1055
@thejocker1055 3 ай бұрын
진짜 개멍청
@saranghandagoyo
@saranghandagoyo 3 ай бұрын
그럼 사회통념 버리고 어디갈지 얘기해보셈
@whaleofeuropa
@whaleofeuropa 3 ай бұрын
@user-gn6lu7wm9s
@user-gn6lu7wm9s 3 ай бұрын
열등감 ㅈ대노 잡대련 ㅋㅋ
@user-dt4gv4to3t
@user-dt4gv4to3t 5 күн бұрын
근데 두번째 사람 정보는 안주시네요
@user-hn9se5gl3y
@user-hn9se5gl3y 3 ай бұрын
두번째 남성분 어느과이신가요?
Find the real Top 1% Student In Korea in a voice chat room
10:56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수능 전국 100등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18:32
나는 사장님
Рет қаралды 427 М.
졸업한 고등학교에서 몰래 급식 먹고 오기
8:01
융덕 Yungduck
Рет қаралды 211 М.
Who is the average SNU graduates | 1994
15:57
film94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9 сынып оқушылары: ЖАЛАҢАШ МАССАЖ/ KOREMIZ
46:23
Көреміз / «KÖREMIZ»
Рет қаралды 39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