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video

소수의 개수가 무한개인 이유 증명하기

  Рет қаралды 7,259

mathlab수학력발전소

mathlab수학력발전소

Жыл бұрын

소수의 개수가 무한대인 이유를 증명하는 2가지 방법을 알아봅시다.

Пікірлер: 16
@PiVillain
@PiVillain Жыл бұрын
첫번째 증명은 역시 간단하면서도 아름답군요☆
@question-mark.i
@question-mark.i Жыл бұрын
크으으 이 증명만을 이용하면 소수가 무한하다는걸 아주 당당히 증명할 수 있다. 어찌 이렇게 아른다운가.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다.
@user-gi3zl7nv9t
@user-gi3zl7nv9t 8 ай бұрын
N이 소수라는 말은 틀렸습니다. N이 소수일 수도 있지만, N이 합성수이고 N을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P보다 큰 새로운 소수가 P와 N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2부터 P까지 이외의 새로운 소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소수가 유한하다는) 전제는 깨졌으므로 증명은 똑같이 참이됩니다. 다만 N이 반드시 소수가 된다는 것은 틀렸으며 증명에서 오류입니다.
@gihyeokree4149
@gihyeokree4149 5 ай бұрын
P=13일 경우, N= 30,031 = 59*509
@SHKim-uv4wo
@SHKim-uv4wo Жыл бұрын
1번째 증명의 모순은 N에 +1를 하여 소수가 아니라고 단정한 것임. 2+1 = 3은 소수임. 만일 이것을 가정하기 위해서는 소수에 +1한 것이 어느 경우에도 소수가 아님을 먼저 입증해야함. 어느 경우에도 ~~~
@repair_goddess
@repair_goddess Жыл бұрын
P가 '가장 큰' 소수라고 가정했고, +1을 한 값은 P보다 크니까요.
@chqhxx
@chqhxx Жыл бұрын
그 모순을 이용하는게 귀류법의 핵심입니다. +1한게 소수가 아니어야 했는데 소수의 정의와 부합하기 때문에 모순, 따라서 가장 큰 소수는 없다 라고 되지요. 귀류법의 완벽한 예시라고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user-nd8nb1ib3l
@user-nd8nb1ib3l 6 ай бұрын
이걸 모순이라고 생각하는 건 좀 소름
@airem9004
@airem9004 Жыл бұрын
2번째 증명 방법은 처음 보네요
@user-xi8gf8lh6p
@user-xi8gf8lh6p Жыл бұрын
제가 수학에 문외한이라 잘 모르는 거일 수도 있지만, 두 번째 증명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 정리는 "한 소수를 가지고 그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모두 지워나가면 결국 1만 남는다"는 원리를 활용한 것 같은데, 그렇다면 제시해주신 공식은 비단 가장 큰 소수(N)뿐만 아니라 "모든" 소수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적당히 작은 소수 17을 생각해보면, 1부터 17까지의 자연수에서 2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는 8개, 나머지 중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는 3개, 나머지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는 1개, 7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 1개, 9로 나누어 떨어지는 1개, 11로 1개, 13으로 1개, 17로 1개입니다. 당장만 봐도 이 개수들은 17 * 1/2, * 2/3, * 4/5, * 6/7, * 10/11, * 12/13, * 16/17의 규칙을 따르고 있지 않습니다. 이들을 억지로 계산해봐도 17 * 92610/510510 = 3.0689... 정도가 나오네요. 이 규칙이 완전히 성립하기 위해서는, x의 배수를 지워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남아있는 수들을 x개씩 묶을 때, "마지막 묶음"이 x개로 완전히 나누어 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당장 1부터 N까지의 자연수 중 2의 배수들을 지워나갈 때, N이 홀수이므로 (1,2), (3,4), (5,6) ... 으로 묶이다가 (N-2,N-1), N으로 마지막 묶음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1부터 N까지의 자연수 중 2로 나누어 떨어지는 자연수의 개수는 N/2가 아니라 (N/2)-1이 됩니다. 같은 이유로 3의 배수, 5의 배수를 지워나갈 때 그 "마지막 묶음"의 개수에 따라서 계산식이 달라질 것입니다. 이를 소수를 찾는 원리가 아니라 단지 소수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수치적인 개념으로만 접근해서 한 소수 M에 대해 M * 1/2 * 2/3 * 4/5 ... M-1/M의 값을 계산해보면, M = 2일 때 2 * 1/2 = 1 M = 3일 때 3 * 1/2 * 2/3 = 1 M = 5일 때 5 * 1/2 * 2/3 * 4/5 = 1.333... M = 7일 때 7 * 1/2 * 2/3 * 4/5 * 6/7 = 1.6 M = 11일 때 11 * 1/2 * 2/3 * 4/5 * 6/7 * 10/11 = 2.2857.. M = 13일 때 13 * 1/2 * 2/3 * 4/5 * 6/7 * 10/11 * 12/13 = 2.4935... M = 17일 때 17 * 1/2 * 2/3 * 4/5 * 6/7 * 10/11 * 12/13 * 16/17 = 3.0689... 로, 상당히 "불규칙(?)"하게 "발산"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이게 모든 소수에 적용되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만약 그렇다면 가장 큰 소수 N에 대해 N * 1/2 * 2/3 * 4/5 * ... * N-1/N > 1이라는 식은 N이 가장 큰 소수가 아니라는 개념과 전혀 상관이 없어 보입니다. 애초에 모든 소수에 대한 그 값이 1보다 크고, 심지어 소수가 커질수록 계산값 역시 지속적으로 커지니깐요.
@mathlab8437
@mathlab8437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에는 처음에 17로 예를 드셨는데, N=2×3×5×7×11×13×17=4,594,590으로 매우 큰 숫자이고 모든 소수의 곱으로 되어있어서 모든 소수의 배수가 됩니다. 예를들어 5를 가장 큰 소수라 하면, 2×3×5=30이고, 2,3,5의 배수를 지우면 8개가 남는데 이는 2×3×5×(1/2)×(2/3)×(4/5)=8 과 일치합니다. 이것은 존재하는 모든 소수가 2,3,5이고 5가 가장 큰 소수라고 했기 때문에 생기는 모순입니다. 안지워진 7,11,13,17,19,23,29를 더 지워야하며, 이 안지워진 숫자들은 가정대로라면 합성수가 되어야 하는데 아닙니다. 그러므로 더 큰 소수가 존재해야하고 아는 가정에 모순됩니다. 제 영상에서 숫자를 지워나가는 부분이 오해를 불러일으킬수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ㅠㅠ 혹시 제가 잘못이해하고있다면 가르쳐주세요^^
@user-xi8gf8lh6p
@user-xi8gf8lh6p Жыл бұрын
@@mathlab8437 지금 보니 어제 새벽이라 그런지 질문을 완전 이상하게 했네요.. ㅋㅋㅋ 가장 큰 소수는 P인데 N을 소수로 생각해버렸나봅니다.. 소수의 곱이라는 것부터 이미 소수가 아닌데 말이죠.. 지금은 이해가 됐습니다! 이상한 질문해서 죄송합니다
@user-lm3ht8ow8n
@user-lm3ht8ow8n Жыл бұрын
아름다워요 랄랄
@user-kl2mn6ky1v
@user-kl2mn6ky1v Жыл бұрын
2번째방법이 혹시 에라스토테네스의 체를 응용하신건가요?
@user-mh2gh2feafd
@user-mh2gh2feafd Жыл бұрын
첫번째 증명과 두번째의 것을 각각 무엇이라고 부르나요?
@user-is5vu2rz5p
@user-is5vu2rz5p Ай бұрын
소수1>2배수 3배수 5배수 7배수11배수13배수
두자리 수 곱셈 빠르게 하기
3:15
mathlab수학력발전소
Рет қаралды 3,5 М.
IQ Level: 10000
00:10
Younes Zarou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Joker can't swim!#joker #shorts
00:46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How I Did The SELF BENDING Spoon 😱🥄 #shorts
00:19
Wian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칸토어 :무한이란 무엇인가? (feat. 힐베르트, 칸트)
17:21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98 М.
Cambridge Mathematician Reacts to 'Animation vs Math'
28:35
Ellie Sleightholm
Рет қаралды 398 М.
확률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배 높이기
16:42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377 М.
Why π^π^π^π could be an integer (for all we know!).
15:21
Stand-up Maths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Riemann hypothesis, what is it? - The 2nd supplimentary episode of Help Us
10:27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318 М.
IQ Level: 10000
00:10
Younes Zarou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