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 지나가던 우체부가 우연히 발견한 석굴암!

  Рет қаралды 15,436

storybook

storybook

Күн бұрын

■ 오랜 역사와 지진 ■
00:00 우체부의 석굴암 발견
01:09 (통일신라) 석굴암 창건
01:27 (고려) 외면 받은 석굴암
01:42 (조선) 잊혀진 석굴암
03:07 석굴암의 지진 기록
■ 일제시대 석굴암의 수난 ■
04:21 일제강점기 석굴암의 수난
04:47 석굴암 해체
05:44 1차 콘크리트의 비극
■ 현대 석굴암의 수난 ■
06:40 2차 콘크리트의 비극
07:28 에어컨으로 유지되는 석굴암
07:55 석굴암의 과학적 원리
---------------------------------------------------------------------------------------------------------------------
✔ 석굴암의 팔부신중 위치와
광창의 유무는
학자들간의 논란이 있습니다.
✔ 팔부신중 위치는
다수설을 채택했습니다.
✔ 광창의 유무도 다수설을 채택했습니다.
----------------------------------------------------------------------------------------------------------------------
#석굴암#유네스코#문화재#유적#문화유산#역사#지식#UNESCO#Seokguram#Heritage

Пікірлер: 36
@graycain
@graycain 13 күн бұрын
저정도 깨지고 무너졌음 원판을 새로 깎아 끼워 넣지 않는한 공구리 밖에 답없었겠구만. 그리고 바닥이 차가웠다고 한들 물이 존재 하는한 포화 증기압에서 수분이 증발 해서 습해지긴 마찬가지. 차가우면 시간이 지나면 주변 대기도 차가워 지기 때문에 결로 현상이 발생함. 찬 물으로 제습은 한계가 있고 공기중 수분을 직접 제어하는 에어컨 제습을따라갈 수가 없음.
@storyBGS
@storyBGS 6 күн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user-fn6gt1ek5y
@user-fn6gt1ek5y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storyBGS
@storyBGS 2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heedongyang4599
@heedongyang4599 11 ай бұрын
일본학자가 비를 피하려다 폐허에서 가만히 보니 불상 이 있어 발견되었다고 들었는데,,,,,,
@storyBGS
@storyBGS 11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댓글 감사합니다.
@jmc9678
@jmc9678 2 жыл бұрын
통풍이 잘되고 바닥이 차갑게 물이흘러 내부 습기가 바닥으로 모이게 했다고 하는데 통풍이 되게 하는건 공기 총로를 만들면 되지만 이것으로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것은 믿기지 않습니다. 그리고 바닥에 차가운 뭏이흘러 습기가 응결된다고 해도 내부습기를 대기보다 낮게 유지하지는 못할것 같네요. 모든것이 습기로 인한 소손되는데 시간을 길게 할수는 있지만 완격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지금의 항온항습 시설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storyBGS
@storyBGS 2 жыл бұрын
좋은 분석이 담긴 댓글 감사합니다.🙂
@dioxin2768
@dioxin2768 2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일본애들이 잘못한걸 지지하는 소리는아니지?
@user-qm1im5oi4i
@user-qm1im5oi4i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지금보면 복원을 잘못한건 맞는데 당시엔 선진기술이였고 일본본토의 탑이나 성들도 시멘트로 복구했다함 대놓고 망칠려고 공사를 수년 동안한다는건 말이안되는듯
@jameymosengren7378
@jameymosengren7378 Жыл бұрын
님 말대로 망칠려고야 했겠어요 ㅋㅋ 의도가 안중요해서 그렇지
@user-ep5yt9om2h
@user-ep5yt9om2h Жыл бұрын
일제가 제대로 한건 아니지만 오히려 해줬으니 고맙다고 해야함 일제라도 복원을 안해줬다면 우리는 현재 석굴암을 볼 수 있었을까? 그리고, 일제가 100% 하지는 못함 당연히 거기에 방법이 적혀있는 것도 아니고 조선에 그런 일지가 남아있는 것도 아니고 당신은 레고를 설명서 없이 100%완벽하게 조립할 수 있습니까? 완벽하게 복원한건 아니지만 조선이 400년동안 외면한걸 일제는 감사히 복원해준걸 우리는 고마워해야함 일제가 안해줬다면 우리는 현재 석굴암을 못봤을거임
@storyBGS
@storyBGS Жыл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user-rp6wi7hz3x
@user-rp6wi7hz3x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종특징 : 잘되면 내탓, 못되면 남탓
@TV-gy6cx
@TV-gy6cx 2 жыл бұрын
저 우체부만 아니였어도
@storyBGS
@storyBGS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user-ds9fo2og7j
@user-ds9fo2og7j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일본 피해망상은 어마어마 하지
@user-fn6gt1ek5y
@user-fn6gt1ek5y 2 жыл бұрын
이게 일본 욕하는거냐? ㅋㅋ 팩트로 얘기하는데 그냥 정치질 영상만 처보다가 팩트도 구분못하고 정치병자처럼 얘기하네
@storyBGS
@storyBGS 2 жыл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user-yg4dd3td7v
@user-yg4dd3td7v Жыл бұрын
우체부가 발견하지 않았더라면 어땟을까.. 차라리 복원기술이 발달된 현대에 발견 되었다면 좋았을텐데.. 천년이라는 세월을 버텼는데 고작 백년 가량을 더 못버텼을까 하는 아쉬움..
@user-sy1jw1hc9n
@user-sy1jw1hc9n Жыл бұрын
잘 되연 그리될 수도 있지만 운이 나쁘면 관공서의 통제가 미치기 전에 민간인들이 석재를 건축자재로 몽조리 반출해버릴 수도 있음.
@user-qm1im5oi4i
@user-qm1im5oi4i Жыл бұрын
조선때도 복구공사는 대충 했다함. 우체부가 발견안했다면 그냥 묻혔을듯 합니다
@user-cp6fr5ej2x
@user-cp6fr5ej2x Жыл бұрын
레고랜드^^ 김해고인돌^^ 무령왕릉발굴 못 봤음?
@user-ep5yt9om2h
@user-ep5yt9om2h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아마 발견안되거나 혹은 폐허가 되어있겠죠 그러면 우리가 현재 볼 수 있었을까요? 일제가 그나마 무너지기 전에 복구해준건데 일제한테 너무나 고마움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그나마 볼수 있게라도 했으니까
@chipmunk_
@chipmunk_ Жыл бұрын
바로 건설업자가 석채해가서 아예 역사속으로 사라졌을듯
@honeybees46
@honeybees46 2 жыл бұрын
발견되기 전까지는 수풀에 가려 버려지다시피한 석굴암을 그나마 일본애들이 손보고 단장해서 겨우겨우 살려낸건데...날림보수공사니 문화재훼손이니 떠드는 거 보면 참 낯짝두꺼운 우리들입니다!ㅉㅉㅉㅉ-♧
@storyBGS
@storyBGS 2 жыл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user-fn6gt1ek5y
@user-fn6gt1ek5y 2 жыл бұрын
정신병자인가 내용을 듣지도 않고 그냥 댓글달기? ㅋㅋㅋ
@user-zw4ij1rv3p
@user-zw4ij1rv3p 2 жыл бұрын
ㄹㅇ 그냥 일제가 냅둬서 흔적도없애야했음
@nimbus4041
@nimbus4041 Жыл бұрын
여긴 주로 찬일 정신병자들이 득실거리는구나
@user-qd9zh4ub8r
@user-qd9zh4ub8r Жыл бұрын
일제가 의도적으로 엉망으로 복원을 한게 문제죠. 문화재란 원형그대로로 보존을 해야 역사적이지. 지들 입맛대로 복원하면 안하느니만 못하죠. 일제는 지들 입맛대로 복원한겁니다. 지들이 무슨권리로??? 일제가 공사를 안했다면 한국 학자들이 원형그대로로 살려냈을겁니다
KBS 역사스페셜 - 석굴암 불상에도 색을 칠했다 / KBS 19991016 방송
58:48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32 МЛН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경주 황남대총(남분) 발굴, 1975|PLAY ▶ 박물관 아카이브
20:29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0 М.
[BTN특집] 불국사와 석굴암 - 지상에 세운 이상향
25:08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Рет қаралды 3,3 М.
경주 천마총 발굴, 1973|PLAY ▶ 박물관 아카이브
37:17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230 М.
무당, 무속 세계에 대한 모든 것(신의 종류, 신병, 굿 등)
28:27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562 М.
The World Heritages of Korea Series - Seokguram (Clay Animation)
5:15
국가유산청 Korea Heritage Service
Рет қаралды 194 М.
The World Heritages of Korea Series - Bulguksa
4:20
국가유산청 Korea Heritage Service
Рет қаралды 135 М.
한국의 성씨 7회 경주 김씨
31:34
상생방송STB
Рет қаралды 224 М.
He sees meat everywhere 😄🥩
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