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명의 학생들 앞에서 선택을 결심한 교수... 그의 행동에 학생들은 ...

  Рет қаралды 3,504,587

차누( ChanHoo )

차누( ChanHoo )

5 жыл бұрын

한 물리학 교수님의 강의에서
충격적인 그의 행동에 학생들은 ...
강의가 궁금하신 분을 위해
단진자 운동 강의 : • 8.01x - Lect 10 - Hook...
무게추실험 원본 :
• Video

Пікірлер: 2 900
@yyongdal
@yyongdal 5 жыл бұрын
나의 행복한 물리학 강의, 감명깊게 읽었던 책 중 하나죠ㅎㅎㅎ
@rainbowgc8297
@rainbowgc8297 5 жыл бұрын
왜 댓이 없찌
@user-pq5sr9dq1p
@user-pq5sr9dq1p 5 жыл бұрын
와우
@mintchocoL_
@mintchocoL_ 5 жыл бұрын
용돌이 공달이다
@복진양
@복진양 5 жыл бұрын
어용달님이다
@user-wx4se1bf8z
@user-wx4se1bf8z 5 жыл бұрын
???:고기 실험에만 관심있던게 아니군여ㅋㅋㅋㅋ
@user-hf4pg8du1n
@user-hf4pg8du1n 2 жыл бұрын
3:39 이론상으론 추가 원래 위치보다 더 높이 올라가지는 않으니 교수님은 안전하지만, 만약 실수로 손을 놓는 순간 무게추에 조금이라도 힘을 주면 무게추가 더 빠르게 가속해 원래 위치보다 더 높이 올라갈 수 있거든요
@user-mz4yt0609
@user-mz4yt0609 2 жыл бұрын
원위치로 돌아왔을땐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이 위치에너지로 변환되었을 높이라 크게 다치진 않을겁니다
@user-vo8zw3qd4p
@user-vo8zw3qd4p 2 жыл бұрын
@@user-mz4yt0609 저분 나이에 15키로 추가 느린 속력으로라도 턱에 꽃히면 아마 금은 갈겁니다.
@user-ln4jr9dz4f
@user-ln4jr9dz4f 2 жыл бұрын
왼손은 그저 거들뿐 그곳에 놓고 온다는 느낌이야
@user-mj2dv4vw6j
@user-mj2dv4vw6j 2 жыл бұрын
안 다치죠 자기가 손으로 힘준 만큼만 딱 남아서 칠테니까
@user-ln4jr9dz4f
@user-ln4jr9dz4f 2 жыл бұрын
@@user-mj2dv4vw6j 다쳐요 밀면 15키로그람에 준 에너지에서 공기저항으로 잃은 에너지 빼고 턱주가리 박살납니다
@mayak-aru
@mayak-aru 4 жыл бұрын
1:06 진짜 저 점선스킬 웬만한 교수들은 거의다 가지고있던데 이쯤되면 대학교수한테 점선그리는 기술은 필수스킬이 아닌가싶다
@user-gx8nn9pr3i
@user-gx8nn9pr3i 3 жыл бұрын
저거 꿀팁 칠판벽을기준으로 120도정도로 분필세워서 그리면 그려짐
@amuge089
@amuge089 3 жыл бұрын
+ 분필 길게 잡으면 잘됨
@user-ml2oq4ro6f
@user-ml2oq4ro6f 3 жыл бұрын
파키케팔로는 못함
@user-zw8tu3eo2f
@user-zw8tu3eo2f 3 жыл бұрын
???:드르륵이 안돼 드르륵이!
@user-wm9bp6li2o
@user-wm9bp6li2o 3 жыл бұрын
@@user-zw8tu3eo2f 수학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머리에 포물선 타투를 한 그..
@parkdukhoon
@parkdukhoon 3 жыл бұрын
물리학 교수이신 월터 르윈님이 자신의 학생들에게 책으로만 배우면 재미가 없을 수도 있는 이론들을 이해하기 쉽게 자신이 하는 거의 모든 수업에 실험을 빠지지 않고 하는 모습을 보고 그 준비성과 학생들을 위한 열정이 대단하신것같습니다. 저도 나중에 교사가 된다면 월터 르윈님처럼 열정이 있는 교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user-xw2lr7eu4s
@user-xw2lr7eu4s 2 жыл бұрын
장래희망이 교사쪽이신가요 응원합니다
@dbsdbs17
@dbsdbs17 2 жыл бұрын
독후감인줄 굿
@Josunin
@Josunin Жыл бұрын
저 분 학생 성추행해서 나락 갔습니다 하하
@goingmywaybird
@goingmywaybird 10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iv1jh8db2z
@user-iv1jh8db2z 5 жыл бұрын
빌 게이츠도 이 교수 강의 좋아했다고 하더라구요
@kdhde2726
@kdhde2726 5 жыл бұрын
하버드교수였구나...
@user-dv6yx3ll4g
@user-dv6yx3ll4g 5 жыл бұрын
@몽메타 빌게이츠 천재아님 능력자임
@user-sj8cw6qw2h
@user-sj8cw6qw2h 5 жыл бұрын
@@user-dv6yx3ll4g 다리 사이에서 빔나감?
@user-yd9jb9dp4r
@user-yd9jb9dp4r 5 жыл бұрын
@몽메타 빌게이츠가 천재라고 하는 사람은 그의 삶을 봤으면 좋겠다 진짜 아니 일주일이라도 빌게츠의 삶을 살면 아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삶을 살구나 라고 느낄텐데 ㅎㅎ
@Davaraya
@Davaraya 5 жыл бұрын
MIT 교수로알고있는데 하버드인가여?
@wonj29
@wonj29 5 жыл бұрын
저걸 놓으면서 조금만 힘을 줘도 운동에너지가 생겨서 충분히 다칠수 있는 상황임..
@haruhigyun
@haruhigyun 5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공을 손 위에 받치고 놓았죠.. 미는 자세로 힘을 잘못주면 턱이 박살날수도 있으니...
@bishstar5185
@bishstar5185 5 жыл бұрын
조금정도는 괜찮다고 봅니다. 초기속도가 일정수준 이하면요
@haruhigyun
@haruhigyun 5 жыл бұрын
@김원근 아 그렇군요~제가 물리를 잘 몰라서 ㅎㅎ 그럼 딱 제가 더 주는 힘만큼의 충격만 들어오는건가요? 그럼 세게밀지않는이상 크게 다치지는 않겠네용 ㅎㅎ
@Steam_cold
@Steam_cold 5 жыл бұрын
한학생이 나와서 치고 튀면 돌아가셨겠죠?
@madnessoverwatchdog
@madnessoverwatchdog 5 жыл бұрын
@@Steam_cold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쳤나
@ksh7534
@ksh7534 4 жыл бұрын
뭐랄까 대단하면서 광기가 있고, 똑똑해 보이면서 미쳐보여 멋있어..
@user-ov4ym3zr4t
@user-ov4ym3zr4t 2 жыл бұрын
물리가 너무 좋아서 미쳐버린 예
@dwry1080
@dwry1080 4 жыл бұрын
1:55 저강의중 유일하게 알아들은말
@user-tu5xz9ph5x
@user-tu5xz9ph5x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poki9746
@poki9746 4 жыл бұрын
ㅇㅈㅋㅋㅋㅋㅋㅋ
@user-lm9ig3zo4v
@user-lm9ig3zo4v 4 жыл бұрын
ㅇㄴ ㅋㅎㅋㅎㅋㅎㅋㅎㅎ
@H4n_uL
@H4n_uL 4 жыл бұрын
?
@user-xe2ef9nf7t
@user-xe2ef9nf7t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gg-jn6uk
@gg-jn6uk 5 жыл бұрын
예상은 했지만 분위기를 자꾸 이상하게 몰아가셔서 불안불안했다는..
@iv-to8mq
@iv-to8mq 5 жыл бұрын
ㄹㅇ 인정
@yee8494
@yee8494 5 жыл бұрын
에너지 보존 법칙의 원리를 안다고 해도 위험해 보이는 실험이니깐 불안한 느낌이 들 수 있음. 물론 개인차가 있겠지만
@Ww-pg5kk
@Ww-pg5kk 4 жыл бұрын
낭떠러지 앞에서도 사실 그냥 서있기만 하면 아무 문제 없는데 무서운거랑 비슷한듯..
@user-ys5qi1qo8i
@user-ys5qi1qo8i 4 жыл бұрын
윤현석 이거쥬 심리적 불안감 최고조임 퓨ㅠㅠㅠㅠ
@user-ov4ym3zr4t
@user-ov4ym3zr4t 2 жыл бұрын
15kg 짜리 무게추가 반동으로 다시 돌아와 턱뼈에 부딪치면 얼굴이 나갈수도 있는데 당연히 무섭죠.. ㅋㅋ
@half_moon_e
@half_moon_e 5 жыл бұрын
맞아요..진짜... 단순히 암기가 강요되는 강의가 아닌,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데서 그치는 강의가 아닌, 학생들이 진정으로 그 원리를 깨닫고 그것을 이해하고 그것을 '알게' 하는 그런 강의가 진짜 필요한 강의라고 생각합니다ㅠㅠ
@user-ik3qq4eo4m
@user-ik3qq4eo4m 4 жыл бұрын
4:05 대학생도 말안듣는건 똑같네
@42490
@42490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농담이였으니까...솔까 저 브금안깔고 그냥 수업듣던학생들은 조크로 받아들이고 웃어야정상임
@lyuseunghui
@lyuseunghui 3 жыл бұрын
제가 캐나다 사는데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장난많이쳐요
@user-lk2hc5tk9y
@user-lk2hc5tk9y 3 жыл бұрын
@@lyuseunghui 어 또보네요
@ababb12122
@ababb12122 3 жыл бұрын
저걸 진지하게 받아들이는것 자체가 저 수업을 들을 조건이 안되는거죠 ㅋㅋㅋㅋㅋㅋ
@user-yi3pn6rg7m
@user-yi3pn6rg7m 3 жыл бұрын
@@ababb12122 ㄹㅇ 조크인줄도 모르는데 자연대를 어케감
@user-yp4dt8nk8e
@user-yp4dt8nk8e 3 жыл бұрын
1:05 가장 깜짝 놀란 곳
@user-ho1uf6yi2b
@user-ho1uf6yi2b 3 жыл бұрын
한석원이 할수없는것
@using_namespace
@using_namespace 3 жыл бұрын
@@user-ho1uf6yi2b 드르륵이 안돼! 드르륵이!!! 이런 망할!
@user-ut4cl8jc5j
@user-ut4cl8jc5j 3 жыл бұрын
분필을 세우고 칠판에 힘을 약간 빼고나서 줄을 그으면 된다. 고 했는데 안되네 시발
@using_namespace
@using_namespace 3 жыл бұрын
@@user-ut4cl8jc5j 그거 물백묵은 잘 안되요
@user-ut4cl8jc5j
@user-ut4cl8jc5j 3 жыл бұрын
@@using_namespace 글쿤요 ㅠ
@hannahseo9042
@hannahseo9042 5 жыл бұрын
Walter Lewin 이 교수는 MIT에서 정말 전설적인 교수이지만 MIT에 가시면 현재 모든 강의 영상들이 삭제되어있고 유튭에서 돌아다니는 강의들만 간간히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몇 년 전 이 교수는 자신의 여학생을 성희롱한 사건데 연루가 되어서입니다. 저희 물리쌤도 이 교수의 강의를 틀어줄 때 항상 하시는 말이 강의는 좋아하되 교수 자체는 좋아하지 말라고. 혹시나 물리에 대한 궁금증이 들어도 절대 사적으로 이메일 보내지 말라고 주의를 주실 정도로 요즘 평판이 떡락한 교수입니다
@user-tf4ro7mr3d
@user-tf4ro7mr3d 5 жыл бұрын
왜 이메일도 보내지말라는거? 이메일은 상관없잖어
@jeekm948
@jeekm948 5 жыл бұрын
그럼 이메일 보내던가
@hojuncheon9546
@hojuncheon9546 5 жыл бұрын
@@user-tf4ro7mr3d 사적으로 친분이 생기는걸 미연에 방지하는 의미에서 말한게 아닐까요?
@hannahseo9042
@hannahseo9042 5 жыл бұрын
@@user-tf4ro7mr3d 그 사건이 온라인통해 발생한 사건이라 그래요
@-Random_Games-
@-Random_Games- 5 жыл бұрын
Hannah Seo 허위사실인거 같은데 허위사실가지고 교수님 명성 깎지맙시다
@single-bungle
@single-bungle 5 жыл бұрын
1:06 교수 만렙 스킬
@orangkae8838
@orangkae8838 5 жыл бұрын
저거쉽던뎁
@기라티나
@기라티나 5 жыл бұрын
전 어렵던뎁
@premiumyoutube266
@premiumyoutube266 5 жыл бұрын
저거 개쉬움
@premiumyoutube266
@premiumyoutube266 5 жыл бұрын
발표수업 한번하면 마스터가능
@Qgual
@Qgual 5 жыл бұрын
ㅇㅈ 저거 너무 어려워요ㅠ
@user-dx6wm6ri2v
@user-dx6wm6ri2v 3 жыл бұрын
4:14 바쁘신 분들
@user-D.Breeze
@user-D.Breeze 3 жыл бұрын
땡큐~♡
@WA_HEART
@WA_HEART 3 жыл бұрын
땡큐~♡
@user-qf9vf1qw3v
@user-qf9vf1qw3v 3 жыл бұрын
Thank you~♡
@user-xi2fd6kh2e
@user-xi2fd6kh2e 3 жыл бұрын
땅끄~💕
@user-D.Breeze
@user-D.Breeze 3 жыл бұрын
아니ㅋㅋ 뒤에 다 ♡가 있어ㅋㅋ
@egg0928_
@egg0928_ 3 жыл бұрын
1:06 이번영상중 제일 신기한거
@TV-uz9gl
@TV-uz9gl 2 жыл бұрын
???:드르륵이 안돼! 이런망할..!
@user-zp1vv6nf9p
@user-zp1vv6nf9p 5 жыл бұрын
와 눈물이 난다 교수님이 자신의 몸을 바춰서라도 제자를 똑똑하게 가르치려고 무모한 실험을 하다니 나는 교수라는 직업은 정말 대단한 직업인것 같다
@pti134
@pti134 2 жыл бұрын
바쳐서
@tsuhsienwang4754
@tsuhsienwang4754 2 жыл бұрын
그냥 재밌어서 하시는거 같은데 ㅋㅋㅋㅋㅋㅋㅋ
@DreamicSea
@DreamicSea 2 жыл бұрын
그냥 옆으로 나와서 잡고 놓으면 될 것을 저건 그냥 킹부러지 ㅋㅋㅋㅋㅋ
@Rare_nickname
@Rare_nickname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안 부딪힐 걸 아시고 하신 거 아닌가요
@user-fh2ue8qm3q
@user-fh2ue8qm3q 2 жыл бұрын
국어교수는 대단한직업리 아니라고 생각하는듯 ㅋㅋ
@bunyojojuljalhey
@bunyojojuljalhey 5 жыл бұрын
어떤 학점이 나오든 이 강의를 수강했다눈 사실 자체로 상당히 만족할 듯..
@rlgus-vc6oe
@rlgus-vc6oe 2 жыл бұрын
개소리 ㄴㄴ f나오면 재수강인데
@qazws2756
@qazws2756 2 жыл бұрын
@@user-nd1ip8yj2f 어땋게 수강함?ㅋㅋ
@Potato_server
@Potato_server Жыл бұрын
​@@rlgus-vc6oe교수가 싫어할듯
@user-sz5kb4ur9x
@user-sz5kb4ur9x 4 жыл бұрын
우리의선생님들도 저런 열정으로 저런 열정으로 가르쳐야합니다. 감격의,감동의 눈물납니다
@invocar180
@invocar180 3 жыл бұрын
4:28 "Physics works, and I'm still alive" 개멋있네ㅋㅋ
@user-dg7gi5xj5w
@user-dg7gi5xj5w 5 жыл бұрын
처음봤을땐 에이뭐야 그냥 맞아도 죽진않겠네 이생각했는데 공의높이와 교실크기를보니깐 와...이생각밖에안들더라
@user-bh3rn5wz5j
@user-bh3rn5wz5j 5 жыл бұрын
@웨이레 끝까지 못읽으세연?
@user-es8ri4zk8z
@user-es8ri4zk8z 5 жыл бұрын
@웨이레 난독이세요?
@user-gh6ew6qw9p
@user-gh6ew6qw9p 5 жыл бұрын
웨이레 한국어 못하세염?
@user-wc3mm3gi5k
@user-wc3mm3gi5k 5 жыл бұрын
@웨이레 본격병신인증ㅋㅋㅋㅋㅋ
@user-eu9ez7ez8q
@user-eu9ez7ez8q 5 жыл бұрын
@웨이레 시비세연?
@NG_0022
@NG_0022 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 대단하다 자신의 목숨을 걸고 학생들에게 정확한걸 알려주려는 교수님의 모습에 박수를 드립니다
@착살단
@착살단 3 жыл бұрын
4:46 못봤나여 무슨 목숨을 걸어요ㅋㅋ;;
@NG_0022
@NG_0022 3 жыл бұрын
@@착살단2년전껄ㅋㅋㅋㅋ
@착살단
@착살단 3 жыл бұрын
@@NG_0022 아 2일전 인줄
@mmaa2935
@mmaa2935 2 жыл бұрын
목숨을 건 건 아닌데... ㅋㅋㅋㅋㅋㅋ 교수도 농담삼아 한 말이잖아요
@NG_0022
@NG_0022 2 жыл бұрын
@@mmaa2935 ㅖ
@user-iz5vr2lu1l
@user-iz5vr2lu1l 4 жыл бұрын
놓을때 조금이라도 힘을 줬으면 닿긴 닿을수도 있음 근데 조금의 힘만큼 닿는거라 다치진 않음
@user-tv8zq8yh3x
@user-tv8zq8yh3x 4 жыл бұрын
마찰력때문에 ㄱㅊ
@hosuav
@hosuav 3 жыл бұрын
15kg의 조금의 힘이죠ㅋㅋㅋ
@user-dj8wg5sp7n
@user-dj8wg5sp7n 3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진짜 다칠까봐 쫄리면서 저 교수님의 실험 의지가 대단하면서 존경스럽게 느껴진다
@JokebearTV
@JokebearTV 5 жыл бұрын
01:05 뭐임 점찍는 기계임
@user-dw6sp1su5h
@user-dw6sp1su5h 5 жыл бұрын
저거 기술이 있음 저도 어덯게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Im.not_user
@Im.not_user 5 жыл бұрын
해파리瀣 칠판이랑 분필이 수직이 되게 잡고 꾹 누르고 쓰면 저렇게 됨
@apro8900
@apro8900 5 жыл бұрын
저 저거 할수있음ㅋㅋㅋㅋㅋ
@JokebearTV
@JokebearTV 5 жыл бұрын
@@apro8900 ㄹㅇ? ㅋㅋㅋㅋㅋ개대단
@user-de6gu8qn5x
@user-de6gu8qn5x 5 жыл бұрын
@@JokebearTV 현 고딩인데 이러고 놈
@ygyy474
@ygyy474 5 жыл бұрын
왐마 개쫄렸네 ㅋㅋㅋㅋㅋ 차누님 영화리뷰쪽도 노리는겁니까??ㅋㅋㅋ
@sino7352
@sino7352 4 жыл бұрын
@시청자 이
@tggfsevv133
@tggfsevv133 3 жыл бұрын
@albedobond3827
@albedobond3827 3 жыл бұрын
이 훌륭한 분을 이렇게 편집하시네 ㅋㅋㅋ 몇 년 전에 저 영상 직접 보면서 저분에게 감탄하고 빠져들었었는데 그래서 이거 영상 틀자마자 음습한 편집에도 걍 웃음 ㅋㅋ
@Seohyeon_jang
@Seohyeon_jang 3 жыл бұрын
1:05 이 와중에 점선 ㅋㅋㅋ
@user-vo6cz5xn3z
@user-vo6cz5xn3z 5 жыл бұрын
1:22공대생 취향;;;
@user-xd8xy6fn2r
@user-xd8xy6fn2r 5 жыл бұрын
채웒ㅇ
@imma758
@imma758 5 жыл бұрын
단진자 기본공식 핡
@im_taebin
@im_taebin 5 жыл бұрын
;
@seongjuhong5133
@seongjuhong5133 5 жыл бұрын
진동ㅋㄱㄱㄱㅋㄱㄱㅋㄱㄱㅋ
@AAAA-vp7ej
@AAAA-vp7ej 5 жыл бұрын
판서 최고다
@user-fp6ue5vc4o
@user-fp6ue5vc4o 5 жыл бұрын
섬낼보고 영화 리뷰 채널인줄 알고 봤너니 차누님이네요 (젠장..!)
@user-ew9cx4ds6w
@user-ew9cx4ds6w Жыл бұрын
자신을 이용해서 수업을 이끄는 모습이 ..물리학에 대한 사랑과 열정을. 그대로 보여주시는듯해 감동입니다 . 배우는 제자들의 자부심도 클듯하네요 ..멋진 분이십니다
@user-ze1qb4wn8p
@user-ze1qb4wn8p Жыл бұрын
이런 선생님들 더더 많이 있으면 좋겠다..
@syldris
@syldris 5 жыл бұрын
이거, 당연히 15kg무게추가 턱에 닿지 않으리라는 걸 알고 있어도, 혹시 있을 사고때문에 심장 쫄리는거 아시죠...?
@user-vy6pi1hh7c
@user-vy6pi1hh7c 5 жыл бұрын
뭐 예를 들어서 무게추를 단 끈이 끊어져서 교수님쪽으로 날아오거나하는 경우정도?
@user-fl9nz3ws5i
@user-fl9nz3ws5i 5 жыл бұрын
@@user-vy6pi1hh7c ㅋㅋ 장애인
@user-zo1zy8wl3t
@user-zo1zy8wl3t 5 жыл бұрын
난또 교수님이 실수로 앞으로 나오는줄
@user-bu3sr2hu5x
@user-bu3sr2hu5x 5 жыл бұрын
공 놓을때 힘 조금만 더줘서 밀었으면 대참사였음
@user-ev9wv8up7s
@user-ev9wv8up7s 5 жыл бұрын
@@user-fl9nz3ws5i 장애인 비하발언?
@user-mr5lc9kf2y
@user-mr5lc9kf2y 5 жыл бұрын
이번영상은 진짜 인상 깊네여... 대단한 분이시네요. 본인의 분야와 교육자로써는 굉장한 분이신거같습니다.
@user-wv3xj4ut2y
@user-wv3xj4ut2y 5 жыл бұрын
와...이분 진짜 대단하시다.. 진짜 수업에 열정을 다하시네요.. 존경스럽네요
@user-hm5ek2zd2m
@user-hm5ek2zd2m 4 жыл бұрын
다치지 않을거란 알아도 정말 대단하시다...
@May-ue8rs
@May-ue8rs 5 жыл бұрын
4:30 웃는거 소름돋네 ;;
@user-ul6bt9vp2d
@user-ul6bt9vp2d 3 жыл бұрын
?
@user-hd5rs9un6p
@user-hd5rs9un6p 3 жыл бұрын
왜...?
@user-ic2ui1jl5j
@user-ic2ui1jl5j 3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mu3bs7oc1x
@user-mu3bs7oc1x 3 жыл бұрын
이해못함
@sincho0118
@sincho0118 3 жыл бұрын
@@user-mu3bs7oc1x 헋 털견!!
@o-o1108
@o-o1108 5 жыл бұрын
보통 추가 무거워도 어느정도 공기저항도 있어서 끝까지 돌아올 순 없음..
@user-qm7jl5qi9h
@user-qm7jl5qi9h 5 жыл бұрын
공기와의 마찰열로인해서 역학적 에너지보존이 안된거죠
@Solamon_Eula
@Solamon_Eula 5 жыл бұрын
@@user-ww3xx1js3k 진공에 마찰 제로라도 중력에 의한 에너지 보존으로 정확히 처음 위치까지만 올라갑니다
@o-o1108
@o-o1108 5 жыл бұрын
처음 위치도 끝까진 못감..
@user-ew4qm1hx8c
@user-ew4qm1hx8c 5 жыл бұрын
영상보니까 추가 최대 높이까지 올라갔을 때 줄이 반동하는거 같은데 이건 에너지가 보존 될 때 영향없는건가여?
@user-uk6co9nr4t
@user-uk6co9nr4t 5 жыл бұрын
@@user-ww3xx1js3k 뭔소리야 턱만 닿을텐데
@엘
@엘 5 жыл бұрын
와.. 공식에 오르가즘 느낀건 처음이네.. 공식의 토씨 하나하나도 진하고 깔끔하다
@user-uf7vf3fj5j
@user-uf7vf3fj5j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을 가르치려는 열정이 너무 대단하신것 같네요.
@zinnny0
@zinnny0 5 жыл бұрын
대학가면 진짜 저렇게 강의해주시는 교수님 있으면 좋겟다 ㅜ
@user-bi8mt7zo2c
@user-bi8mt7zo2c 5 жыл бұрын
4:14 눈물겨운 장면이다 ㅜ.ㅜ 와 ㅋㅋ
@user-st1ci7hh4y
@user-st1ci7hh4y 4 жыл бұрын
3:37 옆으로 보면 빡빡이아저씨가 새둥지에 누워서 타조알 들고있음
@user-ten2_zilong
@user-ten2_zilong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t5gd6qf6g
@user-st5gd6qf6g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mount101
@mount101 3 жыл бұрын
ㄹㅇ이네 ㅋㅋㅋㅋㅋ
@euler1881
@euler1881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s4km1jo6z
@user-ss4km1jo6z 3 жыл бұрын
너어는..
@grady085
@grady085 Жыл бұрын
너무 열심히 하시고 재밌으신 교수님이네요ㅎㅎ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5 жыл бұрын
유명한 짤로도 유명한 유명한 교수의 유명한 실험 영상ㅋㅋㅋ 저 실험끝나고 교수가 인터뷰한ㅁ말이 진국이쥬
@sss6849
@sss6849 5 жыл бұрын
뭐랬는데요? 이대열을 만든 사람으로써 밑에까지 안가게 답을 적습니다 물리학은 내 성적 취향을 만족시키는 항문이다 라고 했다네요
@user-ff8sr2kr1i
@user-ff8sr2kr1i 5 жыл бұрын
뭐랬는데요?
@l.like.youtube
@l.like.youtube 5 жыл бұрын
뭐랬는데요?
@Zun-_-
@Zun-_- 5 жыл бұрын
뭐랬는데요?
@user-gw8tv3ru1z
@user-gw8tv3ru1z 5 жыл бұрын
뭐랬는데요?
@lineherz
@lineherz 5 жыл бұрын
진정으로 수업에 열정이 있는 존경스러운 교수님이시네요... 강의를 본 학생분들은 다른 건 다 몰라도 죽기 전까지 저 실험 장면은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차누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ho9rn3lx8g
@user-ho9rn3lx8g 3 жыл бұрын
0:11 오킹 ㅋㅋㅋㅋ
@user-nh5pq2ps4e
@user-nh5pq2ps4e 3 жыл бұрын
고무치형사 ㄷ
@user-ny9xf4oo3d
@user-ny9xf4oo3d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febist5884
@febist5884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
@user-dr8tx5lr6k
@user-dr8tx5lr6k 4 жыл бұрын
놀랐쟈나요!!!
@user-tf4cg4bl1h
@user-tf4cg4bl1h 5 жыл бұрын
4:15 초에 진짜 쫄아서 심장 안드로메다로 날아갔잖아요;;;;흐어어 진짜 너무 철렁했다ㅠㅠㅠ
@user-2356
@user-2356 5 жыл бұрын
4:19 노래 제목도 wrecking ball(공사장에서 쓰이는 진자)이네요 ㅋㅋㅋ의도하신건가
@sellyon8790
@sellyon8790 5 жыл бұрын
의도한듯
@user-fl4cr9mu8g
@user-fl4cr9mu8g 5 жыл бұрын
뮤직비디오도 함 보세요 대형 무게추가 연일 움직입니다 ㅋㅋㅋㅋ
@sellyon8790
@sellyon8790 5 жыл бұрын
@@user-fl4cr9mu8g 무슨의미죠?
@sellyon8790
@sellyon8790 5 жыл бұрын
@8 8 1 9 당연한거 아닌가여?
@user-ob3gy8dx6j
@user-ob3gy8dx6j 5 жыл бұрын
븅신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기네
@user-ju4wi9zv2l
@user-ju4wi9zv2l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 너무 대단하신 것 같아요.... 저는 물리를 별로 안 좋아하지만 꼭 배워보고 싶네요
@user-ck8ew1vq1o
@user-ck8ew1vq1o 3 жыл бұрын
좋은사람에 대해 정말 조사하였네요 구독과 좋아요 누르고 가요
@dongdongmann
@dongdongmann 5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생각해보니 우리나라 과학의 문제점은 차누님이 전에 말씀하신 것처럼 주입식 교육이라는 점이다. 물론 주입식 교육이 완전히 좋다고도 말할 수 없고 안좋다고 말할 수도 없다. 하지만 과학을 학교, 학원에서 배우는 과정에서 물리, 화학 등의 사람들이 '어려워, 따분해, 왜 해'라는 말이 나오는 현상이 일어난다. 즉, 과학에 대해 흥미를 버린 채 과학을 '의식적으로 억지로 포화된 상태의 배에 음식물을 집어 넣는 것'처럼 '하기싫지만 대학 진학 때문에 배우는 것'으로 사람들은 인지하게 되고 따라서 과학의 즐거움을 잃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과학 그 자체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과학을 주입식으로 이론'만' 배우는 것을 싫어할 뿐, 실험과 같이 우리가 '직접' 느낄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인간들은 배우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따분해하지 않는다. 비슷한 예로는 음악이 있다. 우리는 학교 또는 평소에 음악을 접할 때는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흥미를 느껴 심지어는 노래 또는 음악을 200원 같은 저렴한 가격부터 오페라 등의 수십 만을 육박하는 가격을 지불하면서도 음악을 하려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음악은 인간과 음악 사이에서 '대중매체(SNS, TV 등)'가 둘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이상의 역할을 하는 도구가 상용화되어있기 때문이다. 과학과 인간을 이어주는, 음악의 '대중매체'역할을 해주는 것이 바로 무엇일까?라는 질문에는 '실험! (EXPERIMENT!)'라는 대답이 가장 적합한 대답일 것이다. 최근에야 긱블, 지식인미나니, 공돌이 용달 등의 과학 실험 유튜버가 등장함으로서 과학의 대중화되는 과정에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타 국가에 비해서 매우 부족하여 '상용화'라는 세상에 갓 머리를 내민 지렁이와 같다. 내가 생각하기에 과학의 대중화를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과학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미국과 같은 과학 선진국은 과학쇼와 같은 과학의 흥미를 선사해주는 것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것의 역할을 해주는 가장 비슷한 환경이 과학관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기 때문에 조금만 차에 타고 운전해도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친 과학관들이 많다. 과학관에서는 과학, 또는 실험을 하는 프로그램을 자주 열어 사람들의 호기심을 열어야 한다. 두 번째로는 교육과정 측에서의 개편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과정이 단순히 대학을 가기 위한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단순히 시험으로 학교를 가는 제도가 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국어 수학 영어 과학와 같은 과목들이 시험을 위한 과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공부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는 이 것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실험'이라는 과목을 추가했다. 하지만 교육부의 의도와 다르게 이론공부만 하고 끝나는 경우가 많다. 실험이라는 과목에서 실험을 하지 않는다. 단지 과학을 보충하는 과목에 지나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교육자(선생 교수)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과학은 '암기과목'이 아니라 '이해하는 과목'이라는 것을 학생들로 하여금 느끼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자신들이 느꼈던 것처럼 말이다. 우리는 과학을 이해하기 위해 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증명이 아니라 직접 오감으로 느끼게 할 수 있는 실험이다. 인간들은 실험과 같은 플랫폼으로 이해하면 그것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위에 차누님이 소개한 교수님처럼 학생들이 배우는 도중에 실험을 자주 해야한다. 실험이 아니더라도 학생들이 몸소 배울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우리가 열린 마음(OPEN MIND)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우리는' 과학은 따분해, 노오오잼'이라는 닫혀 있는 관점에서만 과학을 접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진짜 순수하게 재미있는 부분조차 고여있는 생각에 빠져 재미없다고 느끼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만약에 과학을 흥미있는 과목이라고 느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렇다면 우리는 과학은 재미있어 라는 생각에 타인들이 어려워하거나 흥미를 느끼지 않는 부분도 좋은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그만큼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다. (사실 '공부'라는 표현보다는 '경험'이라는 단어가 더 적합할 것이다.) 우리는 과학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경험하면서 흥미를 가져야 한다. +) 하다보니 이야기가 산으로 갔네요. 이 이야기 너무 장문이라도 다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nigward8822
@nigward8822 5 жыл бұрын
3줄 요약좀 아무나
@user-pe3wi2ql4y
@user-pe3wi2ql4y 5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세상에 경험만큼 좋은 공부가 있을까요.
@user-db3vw6yu3s
@user-db3vw6yu3s 5 жыл бұрын
흐음... 수학, 과학 교육과정은 다른 나라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논리적 체계는 감탄스럽습니다. 단 말씀하신대로 교육자, 입시체제가 문제있는거 같습니다. 또한 정부의 자금지원도 너무부족합니다. 일본의 교육체제가 한국과 상당히 비슷하지만 시설과 자금, 그리고 현재한국과 차이점인 우민화 정책의 유무가 큰영향을 미친거같습니다...
@user-su3ud2br6o
@user-su3ud2br6o 5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대부분은 메타적인공부를 추구한다. 즉, 왜 그런지, 어째서 그런지. 나아가 반박을 반박하고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와 같은 철학적인 탐구를 좋아한다. 이 세상은 신기한 것들로,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들로 가득 차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잘 웃는 이유도 이때문이다. 그들의 입장에는 삶 그 자체가 즐거움이기 때문에. 니체의 정신의 3단변화의 꼭대기에 아이가 있고, 피카소등 여러 예술의 거장들이 아이와 같아지고 싶어하는게 아마 이때문 아닐까 싶다. 아이들은 항상 뛰놀아도 지치지 않는다. 그것이 재미있고 행복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넘친다. 물론 말초적인 즐거움을 느끼면 마약 도박등 중독의 길을 걷지만, 아이들은 항상 삶 그 자체에서 행복을 얻는다. 직장인들, 사회인들이 피로에 항상 묻혀사는 이유다. 일이 행복하다면 더하고 싶다. 행복을 더 얻고 싶기 때문에 아무리 일을 해도 피로하지가 않다. 돈때문에 억지로 일하는거다.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항상 힘들어하는 학생들에게 수학이면 수학 그 자체를 탐구하기 보다는 시험 성적에 최적화된 공부아닌 노동을 시키는건 하기 싫은 일을 하는 어른들이고, 하기 싫고 단순하고 효율만을 중시하는 교육을 받은 학생은 그런일을 하고 그런걸 시키는 어른이 된다. 아인슈타인이 그래서 대단하다. 주입식 교육을 강요하는 학교를 때려치우고 자신의 천재성을 펼친 사람이니까. 수학,과학,국어등등.. 우리는 멍청한 교육때문에 벌써 각 분야의 21세기의 아인슈타인같은 천재들을 죽이고 있다.
@user-if5hl4mr7s
@user-if5hl4mr7s 5 жыл бұрын
@@user-su3ud2br6o 그리고 인간은 아는것을 설명하는걸 좋아한다. 제가 추천하는 인간적인 공부법은 토론이 제일좋고, 혼자 하신다면 사색이나 공상을 하시는걸추천 하지만 이것도 지식이 있어야 하니이해부터할것. 그물망식으로 깊이 파고 들어 이해한후 하루뒤에 확인하면 알수있습니다. 반복을 할때는 이해를해서 그지식을 갖고 싶으면 하시는겁니다. 내가 대통령되면 지식들 다긁어모아서 대도서관 건설한뒤 모든사람들이 보게 하고 학교없앨겁니다.
@CAPTIN_NALJOON
@CAPTIN_NALJOON 5 жыл бұрын
정말 교수의 열정과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에 대한 자부심이 너무 멋지고 감동적이네요 ㅠㅠ
@user-xy9xk5tg6c
@user-xy9xk5tg6c 4 жыл бұрын
밀때 조금이라도 압력이 가해지거나 궤도를 이탈했으면 위험했을 텐데 그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열심히 강의해 주시는 교수님이 멋지네요.
@user-xe8mh9vs3r
@user-xe8mh9vs3r 3 жыл бұрын
살아있는 생생한 증명이네요ᆞ 머리속에서 눈으로 끄집어 내어주시는 능력자 교수님ㆍ리스펙
@user-ib7hn6qx7q
@user-ib7hn6qx7q 5 жыл бұрын
4:30 핫 학 학 학
@tongssi
@tongssi 4 жыл бұрын
???:우리 행동이 최고다
@kimbelyjo1666
@kimbelyjo1666 3 жыл бұрын
조커?...
@user-ld8on1ii5h
@user-ld8on1ii5h 5 жыл бұрын
용달님:먹방 차누님:양치 ???뭐지 먹방을하고 양치를 하려는 것인가
@user-pp3bd8ol2u
@user-pp3bd8ol2u 5 жыл бұрын
요리하실분도 나오실듯ㅋㅋㅋ
@yjh9243
@yjh9243 3 жыл бұрын
1:06 그 와중에 드르륵 자연스럽네
@user-lb9ku9ou2g
@user-lb9ku9ou2g 3 жыл бұрын
??? : 드르륵이 안돼! 드르륵이!
@dday839
@dday839 2 жыл бұрын
공기저항때문에 추의 높이가 전보다 더 낮아질걸 알았지만 더빙이 뭔가 저거때문에 돌아가셨다는듯한 내용이어서 끝까지 봤다 .........심장 터지는줄...
@user-dh3ho1wh2q
@user-dh3ho1wh2q 5 жыл бұрын
교사가꿈인저에게 깊은생각을 하게만드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_sxxnk
@_sxxnk 5 жыл бұрын
알람뜬거 보고 찬후님 유튜브 아닌줄 알았네요ㅋㅋㅋㅋㅋㅋㅋ 깜짝이야...
@user-kv2bc1kl2p
@user-kv2bc1kl2p 4 жыл бұрын
1:16 진짜 칠판도 깔끔하게 쓰신다..
@joda1223
@joda1223 4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 고맙습니다
@user-zv8of2vc7c
@user-zv8of2vc7c 5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 정말 마음에 들어요. 주입식 공부 보다는 이런 가르침을 통해서 배우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은 가르쳐준다고 뭐든지 빨아들이는 스펀지가 아닙니다. 진정으로 이해하고 깨달음을 통해 "배운다"는것을 명심해주셨으면 좋겠네요..
@user-oq9wh6yt7l
@user-oq9wh6yt7l 5 жыл бұрын
웃는거 너무 귀엽잖아요 ㅎㅎ 목소리도 넘나리 좋다
@roreran99
@roreran99 5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수님이 더 많아지면 좋겠다
@user-a_3nj1
@user-a_3nj1 3 жыл бұрын
아아..ㅅ바..마지막에 턱에 안다으실때 엄청 안도의 한숨을 내셨데요..ㅜㅜ
@user-tb9ep7jh1p
@user-tb9ep7jh1p 5 жыл бұрын
4:30 웃음 소리 누가 귀여우래요. 넘 귀엽자너 ㅠㅠ
@user-zc3og7wc6g
@user-zc3og7wc6g 5 жыл бұрын
저런 교수님이 우리나라에도 생기면 좋겠다
@silll3132
@silll3132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들 머리스타일은 전세계 공통이군 열정적인 교수님은 존경심과 동시에 과제 폭풍이... 살려줘...
@hikenlego9835
@hikenlego9835 2 жыл бұрын
사실 예상했어도 차누님 영상구성 덕에 손에 땀을 쥐고 영상을 봤네요ㄷㄷㄷ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dustinjun265
@dustinjun265 5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무시할수 없다 저런 공식이 그냥 나온게 아니다 선배님들의 경험과 지식 등이 있기에 틀리지 않음을 확실한 저교수가 전세계의 진자일정 운동을 자신있게 제대로 보여준 자이다
@user-wp4ks8rn2h
@user-wp4ks8rn2h 2 жыл бұрын
찢었다.
@wsy5779
@wsy5779 5 жыл бұрын
되돌아오는 중간에 줄이끊어져서 교수님 불알이 박살났으면 났지 턱이 날아갈 일은 없음
@user-gh6ew6qw9p
@user-gh6ew6qw9p 5 жыл бұрын
이건 사탄이다 ㄹㅇ사탄이다
@user-xk7dz8qe6g
@user-xk7dz8qe6g 5 жыл бұрын
실수로 힘 살짝 주면 턱 박살남
@jamespark7139
@jamespark7139 5 жыл бұрын
ㅋㅋ 내가 고자라니
@ehween
@ehween 5 жыл бұрын
너어어는 머머리다
@user-du4tf1zv7r
@user-du4tf1zv7r 4 жыл бұрын
@@jamespark7139 ?
@wynter2178
@wynter2178 2 жыл бұрын
사실 이론적으로는 절대 다치지 않으시라는 걸 알고 있었지만 심란한 브금이랑 제목 때문에 괜히 조마조마 했네요 ㅋㅋㅋㅋ 전 화학쪽이지만 교수님 정말 멋있으십니다...
@privateyoutube
@privateyoutube 3 жыл бұрын
너무 열정적이여서 점선도 잘그리시네
@fanPDstudio
@fanPDstudio 5 жыл бұрын
크.. 진짜 물리를 사랑 그이상으로 좋아하는게 대단하신것 같네요. 잘보고 갑니다
@user-eo2ew9dj2g
@user-eo2ew9dj2g 3 жыл бұрын
왜 밑에 있을까
@joowonlee3958
@joowonlee3958 3 жыл бұрын
@@user-eo2ew9dj2g 찐인대다 2년전인데 올라가시질 못하네.....
@user-gt9sc1mg9c
@user-gt9sc1mg9c 5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턱이 깨지지 않을 거란걸 예상하고 있었지만 교수님이 추 놓으실때 순간적으로 쫄았다.. 핳
@Rock-wp8lh
@Rock-wp8lh 3 жыл бұрын
2:16 ???:곷자 라니!!!!!
@dusaME64
@dusaME64 4 жыл бұрын
뭔가 저런 선생님 좋습니더
@user-yv1pn6zb7g
@user-yv1pn6zb7g 5 жыл бұрын
차누님 목소리가 너무 꿀이라...몰입해서 보게됨.....
@user-pb5ig2ei5g
@user-pb5ig2ei5g 5 жыл бұрын
저도 간호학과 교수가 목표인 간호학과 학생인데요 정말 저희 나라도 이런 열정적인 교수님들로 넘쳐나는 학교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ㅠㅠ
@rowan7425
@rowan7425 3 жыл бұрын
와 나도 공부 진짜 열심히 해서 저런 수업 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듬 아직 고등과정의 물리학을 배우고 있지만 언젠가는 대학교에 가서 좀 더 깊은 물리를 배워보고 싶다
@dongwookkim2712
@dongwookkim2712 3 жыл бұрын
젊은이... 대학 물리는 정말 환상을 다 깨부시는 과목일세. '아니야... 조금이라도 재밌을거야'....부정하고있겠지만... 절대 그렇지 않아.
@user-hw1zl4or7m
@user-hw1zl4or7m 3 жыл бұрын
와......진짜 깜짝놀랐자나요ㅜㅜㅜ
@금강석
@금강석 5 жыл бұрын
처음에 몰랐는데 강의 듣고 아 딱 저기서 멈춰서 안다치시겠구나 알게됨ㄷㄷ
@dorldi13254
@dorldi13254 4 жыл бұрын
여기 뭔 싸우는 댓글들이 많음 여기보다 백배더 똑똑한분이 현실에서 증명하는데 여기서 뭘 더 적어야함 ㄹㅇㅋㅋ
@Readers_road82
@Readers_road82 2 жыл бұрын
진짜 교수님 존경스럽다
@user-dk5cd6ok6x
@user-dk5cd6ok6x 4 жыл бұрын
아익 깜짝이야ㅜㅜ 나 심장움켜지면서 봤잖아ㅠㅠ 와 나 진짜 놀램 ㅠㅠ
@AngieShin-qj5qk
@AngieShin-qj5qk 4 жыл бұрын
2:22 왼쪽 위에 여자분 그 수능 만점받으셨다는 그분 아닌가
@콥
@콥 4 жыл бұрын
어? 그럴수도?
@user-sl5vr9hj1x
@user-sl5vr9hj1x 4 жыл бұрын
오 미친
@user-rf1sv2ys3d
@user-rf1sv2ys3d 4 жыл бұрын
와드
@TV-og3oc
@TV-og3oc 4 жыл бұрын
ㅇㄷㅇㄷ
@user-em7bu1pr1i
@user-em7bu1pr1i 4 жыл бұрын
ㅇㄷ
@Yeopapa
@Yeopapa 5 жыл бұрын
1:05 분필을 칠판과 수직으로 놓은다음 꾹 누른다는 느낌으로 그으시면 됩니다 가로는 세로 연습하시고 마스터하신다음에 연습하세요
@user-ii9tl3nv4q
@user-ii9tl3nv4q 3 жыл бұрын
드르르르르륵
@sols1958
@sols1958 3 жыл бұрын
마스터하면 저걸로 0 모양도 가능
@kim_hs
@kim_hs 3 жыл бұрын
그거 할시간에 공부하면 전교 1등 ㅆㄱㄴ
@sols1958
@sols1958 3 жыл бұрын
@@kim_hs 마스터 하는데 1시간 걸림;; 공부 한시간으로 전교 1등 못해요 이사람아! 꿈깨! 야자나 신청해!
@kimbelyjo1666
@kimbelyjo1666 3 жыл бұрын
@@kim_hs 응아니규요
@user-nf3ph3jr3r
@user-nf3ph3jr3r 2 жыл бұрын
아무생각 없이 댓글 보는데 유튜버 분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깜짝…… 무슨일이야
@shk8776
@shk8776 4 жыл бұрын
그와중에 목소리 진짜 너무 좋으신거 아닙니까... 죄송하다며 웃으시는데 진짜 제 콩팥 꺼내드릴 뻔 했네요
@user-ku1qd8cv3k
@user-ku1qd8cv3k 5 жыл бұрын
4:30 비열한 웃음소리 흨학핫핫
@user-ij8cd5yu2k
@user-ij8cd5yu2k 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강의에 열정을 다하시는 모습이 너무 멋지다
@Minzaecho
@Minzaecho 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이네요
@bassh318
@bassh318 2 жыл бұрын
드르륵 되게 잘하시네,,
@user-ne9ey9sj7m
@user-ne9ey9sj7m Жыл бұрын
저 추가 만약 턱을 부셨다면 턱이 부셔진 사실보다 수십년간 믿어 온 에너지보존법칙이 무너진 사실에 충격이 더 클것이다.
@ssssp_0822
@ssssp_0822 3 жыл бұрын
3:44 이게 제일 웃긴데ㅋㅋㅋ시청자들 걱정하게 하려고 일부러 알면서도 저런얘기하는거ㅋㅋㅋ
@user-yq7qp4ig2j
@user-yq7qp4ig2j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 넘 좋아요ㅠㅠㅠㅠ교수님 진짜 다치시는 줄 알고 흐흑ㅠㅠ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각운동량 보존법칙 (과천 과학관)
0:21
쭈니쌤의물리교실
Рет қаралды 664
Забота от брата 😂 #shorts
0:31
Julia Fun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The clown snatched the child's pacifier.#Short #Officer Rabbit #angel
0:26
Средний палец и собака 🤯
0:25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