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 6000m 심해 환경에 스티로폼 곰을 집어 넣어봤더니 그 결과는? | 인터뷰쿠키 EP02

  Рет қаралды 1,197,386

과학쿠키 [Science Cookie]

과학쿠키 [Science Cookie]

3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sciencecookies_
=============================================
Shooting Info
- Sony A6500 Body, 16-50 Bundle Lens
- Samsung GALAXY S8+ with UHD Setting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Пікірлер: 1 000
@snceckie
@snceckie 3 жыл бұрын
0:57 분명 venus 푸티지를 구입했는데, 왜 자세히 보니 화성일까요...
@sanctifyme
@sanctifyme 3 жыл бұрын
???: 아무튼 이웃한 행성임
@user-tf7mm7ip2s
@user-tf7mm7ip2s 3 жыл бұрын
이거..풍선이 터지지 않는이유는 뭔가요?
@nolifer0327
@nolifer0327 3 жыл бұрын
@@user-tf7mm7ip2s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원래 풍선이 터지는 이유는 고무가 더이상 바틸 수 없을때까지 늘어나서 터지는거지만, 이 싱험은 팽창이 아니라 수축이기때문에 터질일은 없습니다
@user-hc4qx1ns9n
@user-hc4qx1ns9n 3 жыл бұрын
'금성' 푸티지를 구입하셨다고요?
@user-qh4zn4wy9q
@user-qh4zn4wy9q 3 жыл бұрын
왜긴요, 화성 갈 끄니끄아~~
@user-it8zn8mo2i
@user-it8zn8mo2i 11 ай бұрын
타이타닉 잠수정 보다가 여기까지 이르렀다 ㅋㅋㅋ
@eksldhqpeptm12
@eksldhqpeptm12 11 ай бұрын
2222
@pluto__0
@pluto__0 11 ай бұрын
정류장 = 나무위키
@jin2zzang
@jin2zzang 11 ай бұрын
미투
@user-nr8zj7kt7f
@user-nr8zj7kt7f 11 ай бұрын
저두요ㅋㅋ
@user-vu1zj6nx3l
@user-vu1zj6nx3l 11 ай бұрын
저두
@choongmanhan5031
@choongmanhan5031 11 ай бұрын
타이타닉 잠수정 때문에 이영상 조회수가 뜻하지 않게 어부지리로 급상승 하고 있습니다.
@eejsks
@eejsks 11 ай бұрын
ㅇㅈ
@user-wg4bm4bm9k
@user-wg4bm4bm9k 3 жыл бұрын
이런채널이 있다는게 감사할뿐
@user-wt4vt9rd1g
@user-wt4vt9rd1g 3 жыл бұрын
ㄹㅇ...
@user-vn2kf6qt5v
@user-vn2kf6qt5v 3 жыл бұрын
저런거 만드시는 분들도 대단한거 같아요. 그나저나 영상 퀄이 점점 올라가네요
@user-bc5ml4bi7v
@user-bc5ml4bi7v Жыл бұрын
오늘 처음 보게 되었는데요. 여타 유투브영상과 달리 군더더기 없고 실용적이고 유익한 정보 영상이 가득하네요. 감사합니다. 화이팅~
@user-gw6qd1ur2r
@user-gw6qd1ur2r 2 жыл бұрын
국내에 이런 연구소가 있다는게 너무 신기했고 연구소에서 어떤일을 하는지 알 수 있어서 재밌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영상 많이 올려 주세요!!!
@mil_duck
@mil_duck 3 жыл бұрын
오늘 처음 이 채널 영상 본건데 마음이 편안해지고 지식도 얻을수 있어서 구독했어용
@Lunar_Princess_Ranni
@Lunar_Princess_Ranni 3 жыл бұрын
7:35 웃는게 악마같아.....
@MK-tb6rb
@MK-tb6rb 3 жыл бұрын
2:23 거의 사방에서 유압프레스 누르는 수준이네..... ㄷㄷ
@user-fb3ru3uv9m
@user-fb3ru3uv9m 3 жыл бұрын
???: 애들아! 우리 초코파이 넣고 실험해보자! 0:10 ??????
@user-xx1fq7mg3h
@user-xx1fq7mg3h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마침 최근에 봤던 영상이었는데
@living_poison
@living_poison 3 жыл бұрын
음?
@user-xk7ph5mu3k
@user-xk7ph5mu3k 3 жыл бұрын
먹을거로 장난치지 마라 ㅋㅋㅋㅋㅋㅋ
@s07r07c
@s07r07c 3 жыл бұрын
???:뭐야 이 미니어처는
@user-nl4dx5em2v
@user-nl4dx5em2v 3 жыл бұрын
그냥 압축되서 초콜렛이 되어 있을 듯.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6 ай бұрын
해양에 대한 영상들은 주로 해외영상이 많았던 것 같은데, 우리나라에도 이런 멋진 연구소가 있었네요. 재미있는 실험을 보면서 더 똑똑해지는 거 같아서 좋네요. 감사합니다.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9 ай бұрын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youngyicify
@youngyicify 3 жыл бұрын
몰랐던 분야에 대한 인터뷰! 너무 재밌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쿠키님! 만세~~~~~~에!
@hongjuseo6639
@hongjuseo6639 3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언제봐도 목소리도 표현도 전달력이 좋으심
@arikkarihea
@arikkarihea 3 жыл бұрын
ㅇㅈ 게임영상 제외하고 긴영상 안넘기고 다 보는거 오랜만임
@2448su
@2448su 11 ай бұрын
취향참~독특하다 너
@wandererskyblue
@wandererskyblue 3 жыл бұрын
3:04 이때 과쿠님 목소리너무 햇살순수활발한사람같아서너무조아요
@hggyfryu
@hggyfryu 11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중성적이셔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mozzi_with_hat
@mozzi_with_hat 3 жыл бұрын
1:00 화성처럼 생긴 금성..?
@vv9960
@vv9960 3 жыл бұрын
지표면 에디션인가
@user-du4cv2iq3b
@user-du4cv2iq3b 3 жыл бұрын
화성은 저거보다 훨신 뿌예요
@user-nn1sj9sj8b
@user-nn1sj9sj8b 3 жыл бұрын
@@user-du4cv2iq3b 저거 화성 맞는데요
@user-du4cv2iq3b
@user-du4cv2iq3b 3 жыл бұрын
@@user-nn1sj9sj8b ??ㄹㅇ?
@kendjne3
@kendjne3 3 жыл бұрын
@@user-du4cv2iq3b 영상속 사진은 화성이 맞음
@jwowo4294
@jwowo4294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과학알려주는 이세돌씨같음ㅋㅋㅋㅋㅋㅋㅋ
@jason_cha
@jason_cha 3 жыл бұрын
나는 왜 양세형이 생각났지 ㅋㅋ
@user-rr4vy1xr6x
@user-rr4vy1xr6x 3 жыл бұрын
말이나 행동이 여성스러움
@LEEByungdon
@LEEByungdon 3 жыл бұрын
여성분인줄 알았어요.
@user-vk3ps2kv3i
@user-vk3ps2kv3i 3 жыл бұрын
이세돌 딱히 좋은 목소리는 아닌데 ㅋㅋ
@user-sm3sg9lb4t
@user-sm3sg9lb4t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이세돌이라고요? 재밌네요. 천문과학 을 탐구하면서 이세돌이라는 이름을 들먹이는 걸 보면 님도 꽤 로멘티스트로군요. 아니 바둑애호가...이세돌 왕팬...다음엔 바둑알을 넣어보라고 해야겠군요.ㅋㅋㅋ
@user-jw8rr3qg6h
@user-jw8rr3qg6h 11 ай бұрын
이런 채널이 있다니.. 바로 구독 좋아용
@4Tevil
@4Tevil 3 жыл бұрын
오 신기하네요!! 바로 구독!!
@-musicon7216
@-musicon7216 3 жыл бұрын
바다에 자주 들어가면서 항상 압력 때문에 압력평형을 유지하는 이퀄라이징을 하거든요. 3~4미터만 물속에 들어가도 압력이 쉽게 느껴지고, 더 깊이 갈수록 압력이 높아진다는걸 몸으로만 느끼다가 눈으로 보니 정말 신기하네요 ^^ 늘 궁금하던것인데 잘 봤습니다. (구독은 예전부터 했고, 오늘 멤버십 가입 했네요 ㅎㅎㅎ 잘부탁드려요~)
@function-nb5ze
@function-nb5ze 3 жыл бұрын
학교 에서 비슷한 내용 을 배우는데 실험이 너무 보고싶었었는데 이런 걸 보여주는 채널이 있을줄이야... 얻어가는 시간이었습니다.
@gerosez7644
@gerosez7644 3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는 못참치~!
@chun_bae
@chun_bae 3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 짱이다..
@user-tony_db_bang
@user-tony_db_bang 3 жыл бұрын
저걸 버티는 카메라 그는 대체...
@tha5607
@tha5607 3 жыл бұрын
카메라는 밖에서 찍겠죠
@rnjsgur1215
@rnjsgur1215 3 жыл бұрын
@@tha5607 영상 안봄?
@tha5607
@tha5607 3 жыл бұрын
@@rnjsgur1215 영상은 안봤어 보다가 좀 시시해서 끔 안에서 찍은거라면 유전시추시 심해에 들어가는 라이져 파이프라는 것이있는데 그런 재질로 만들었겠죠
@user-hz5do3kr6q
@user-hz5do3kr6q 3 жыл бұрын
@@tha5607 이게 그 설렌다는 반존대인가
@tha5607
@tha5607 3 жыл бұрын
@@user-hz5do3kr6q 위에서 존대 안해주길래 예의상 반존대 해줌
@yttv4049
@yttv4049 3 жыл бұрын
국내에 저런 시스템과 연구소가 있고 그것을 연구하는 연구자가 있다는게 대단함
@strv1030
@strv1030 3 жыл бұрын
별로
@user-gh3hm8ue4q
@user-gh3hm8ue4q 3 жыл бұрын
@@strv1030 넌 저기 입구도 못가면서 왜그러냐...
@temperate2265
@temperate2265 3 жыл бұрын
쿠키님 영상 잘보께요 감사합니다
@FastLuton
@FastLuton 3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날이갈수록 좋아지네
@user-gn8oc6bb2n
@user-gn8oc6bb2n 3 жыл бұрын
카메라가 제일 단단하네 ㅋㅋㅋㅋ
@nicespirites1460
@nicespirites1460 3 жыл бұрын
어라 그러게 ㅋㅋㅋㅋ 렌즈 안박살나나
@tmddkqo5260
@tmddkqo5260 3 жыл бұрын
@@nicespirites1460 카메라는 수조 바깥에서 찍은거 아니에요? 아님말고
@user-xk7ph5mu3k
@user-xk7ph5mu3k 3 жыл бұрын
@@tmddkqo5260 ??? 6k bar버티는 카메라라고 설명 했는데요...
@toogyun
@toogyun 3 жыл бұрын
@@user-xk7ph5mu3k 안 봤을 수도 있지 머
@aaaaaaaaaaaaa.
@aaaaaaaaaaaaa. 3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인가 중학교서 공기는 압축이 되는데 물은 압축이 안된다고 주사기를 이용해서 실험하며 배웠던 것 같은데 챔버에 물을 더 주입함으로서 압력이 높아지는 원리가 신기하네요 600바로 가입하기위해서는 얼만큼의 물이 더 주입되는건지 궁금하네요 구독중이지만 약간 스마터에브리데이 스타일로 예제도 풀어주면 더 유익할것 같습니다 ㅎㅎ
@First_law_of_Thermodynamics
@First_law_of_Thermodynamics 3 жыл бұрын
저랑 같은 생각을 하셨네요. 저도 궁금하네요.
@user-ic3gp6xp6m
@user-ic3gp6xp6m 2 жыл бұрын
Hydrostatic pressure는 3면이 구속되어있을때 위에서 하중을 작용할시 4방향 균일하게 압력이 발생됩니다 그 크기는 수중에서도 마찬가지죠 완벽하게 sealing이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600bar로 위에서 물을 눌러주게 되면 수조 내부에도 동일한 압력이 걸립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물의 체적탄성계수는 무한대에 가까울정도로 압축이 어렵기때문에 체적에는 큰변화가 없죠 한마디로 물을 더 주입하는게 아니라 위에서 꾹 눌러주는겁니다 600bar만큼의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수심이 6000m가 되어야하는데 실험실에서는 절대 그렇게 만들수가 없죠
@aaaaaaaaaaaaa.
@aaaaaaaaaaaaa. 2 жыл бұрын
@@user-ic3gp6xp6m 그렇겠죠. 다만 실린더챔버의 체적의 변화는 재료 물성상 있을걸로 추측이 되고, 그게 600Bar의 환경을 조성할 때 얼마의 체적변화로 평형상태가 유지되는가가 궁금한 문제인 것입니다.
@user-yy1mn4sw4r
@user-yy1mn4sw4r 3 жыл бұрын
재밌는내용이네요 ㅎㅎ 조회수는 예전만 못하지만 힘내고 유익한영상 꾸준히부탁드려용~ 근데 쿠키님은 몇짤인가?20대중반인가
@user-kf1sx2qg3b
@user-kf1sx2qg3b 3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 최고🥺
@ohhaewon0225
@ohhaewon0225 3 жыл бұрын
와 알고봐도 신기하네요
@zaqplm-hf5hj
@zaqplm-hf5hj 3 жыл бұрын
"압력, 500배"
@user-ci1jm4ne1j
@user-ci1jm4ne1j 3 жыл бұрын
"그아아아앗"
@NEWSUPERAEROCITY
@NEWSUPERAEROCITY 3 жыл бұрын
게이야....
@drinked-coffee
@drinked-coffee 3 жыл бұрын
그/아/아/앗
@RASKOLNlKOV
@RASKOLNlKOV 3 жыл бұрын
압력 523배
@slavetocode
@slavetocode 3 жыл бұрын
손오공이냐구
@kang-minjo4921
@kang-minjo4921 3 жыл бұрын
쿠키님 대본 좋아지셨네요. 이젠 좀 편하게 듣기 좋네요
@user-xe4kr3nc9b
@user-xe4kr3nc9b 3 жыл бұрын
다시한번 손고쿠의 대단함을 느끼는 영상이군.
@user-cq1qp2oj7x
@user-cq1qp2oj7x 3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 계속 떠서 봤는데 순식간에 훅 줄어드는거 진짜 신기하네...심해 압력 생각하면 살짝 무서워짐 ㄷㄷ
@Starcell170
@Starcell170 3 жыл бұрын
600배가 되는 압력을 견디는 카메라 대박
@user-yy1mn4sw4r
@user-yy1mn4sw4r 3 жыл бұрын
후원가입해따 후후 착한유튜버
@Talpadak
@Talpadak 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user-br7bb6pd7r
@user-br7bb6pd7r 11 ай бұрын
최근에 장난감잠수정타고 졸부몇이 훅 가더니 역주행 관련영상이 떡상하는 군요...
@rynexwon426
@rynexwon426 11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의 인도를 따라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역시 타이탄호 사건이 공로가 크군요 ㅋㅋ
@rimijamie2971
@rimijamie2971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user-di4ki4fp7b
@user-di4ki4fp7b 3 жыл бұрын
굉장희 귀한영상 잘 봤습니다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2 жыл бұрын
저런 압력속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은 얼마나 튼튼한거야..
@666.Deicide
@666.Deicide 3 жыл бұрын
와 난 저 탱크안에 엄청난 압력까지 물을 집어넣을 수 있는 펌프가 더 신기함
@hgim11582
@hgim11582 3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KimDoHyeon
@KimDoHyeon 3 жыл бұрын
저도요
@day_day
@day_day 3 жыл бұрын
나만 그런 생각한게 아니구나ㅋㅋㅋㅋ
@user-vn2kf6qt5v
@user-vn2kf6qt5v 3 жыл бұрын
와 맞아요
@user-mj7kh9fj7e
@user-mj7kh9fj7e 3 жыл бұрын
파스칼의 원리?
@Physics_OT
@Physics_OT 3 жыл бұрын
압력을 높이기 위하 물을 밀어넣는 펌프의 구조와 원리가 궁금합니다.
@user-kq9uq9ih2p
@user-kq9uq9ih2p Жыл бұрын
03:39초에 실험 설비 원리설명 부분에 오류가 있네요!! 액체는 비압축성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한정된 부피안에 물이 계속 쌓인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그냥 펌프를 이용해서 물을 물로 눌러준다고 생각하면 될거 같아요ㅎㅎ
@modelerarnold3125
@modelerarnold3125 3 жыл бұрын
와... 저도 소싯적에 고압 실험 자주 했었는데, 600bar를 견디는 카메라라니... 대단하네요. 보통은 300bar 넘기기도 힘든데. 조립식의 모든 부품들은 실링에 의해서 버틸텐데... 300bar면 거의다 터지거든요. 일반적인 실링이 아닐것같네요.
@user-ko4nu6tx4i
@user-ko4nu6tx4i 3 жыл бұрын
대박 왕 신기하네요..ㄷㄷ 가끔 "심해에서 동물이 발견됬다!!" 하면서 보여주는 영상 보게되면, 되게 조그마한 해면스폰지들인 경우가 엄청 많더라고요 . (이번 남극 심해에서도 발견된 동물도 마찬가지고요 ) 조그매서... 흥미롭게 느껴지지는 않았는데 과학쿠키님 영상보니 심해에서 발견되는 조그마한 해면동물들이 저 스티로폼처럼 작아져있는 걸수도 있겠다란 생각도 드네염 왕신기..
@user-we7ow2uo5q
@user-we7ow2uo5q 3 жыл бұрын
상명중에서 저의 과학 선생님이 쿠키님 좋아해요 수업 시간에도 예시 영상으로 봐요 앞으로 재밌는영상 찍어주세요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 3 жыл бұрын
항상 👍👏🙏
@user-db7hp5su7v
@user-db7hp5su7v 3 жыл бұрын
풍선은 터질줄 알았는데 기압의 200배나 높아지는데도 곱게 줄어드는 변화만 보여서 상당히 놀라웠습니다..글구 심해 압력이 금성보다 11배나 높다니 지구에 살아서 그런지..압력만 놓고 봤을때 바닷속이 우주보다 더 위험하다는건데 막연한 예상을 깨는 신선한 충격이에요..저렇게 깊은 심해에도 생물이 살고 있을지 참 궁금하네요ㅎㅎ
@user-hy1ci7bc7b
@user-hy1ci7bc7b 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안에 든게 공기이고 풍선 자체도 재질이 부드럽고 잘 늘어나니까요
@Mofe__
@Mofe__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넓다보니 당연히 비교적 안전한 곳이 있는거지 우주가 훨씬 위험한게 사실 입니다
@user-io3vu1cg1w
@user-io3vu1cg1w 11 ай бұрын
​@@Mofe__? 우주 대부분의 환경은 텅텅빈 공간입니다 지구 대기권만 벗어나면 다른 성간물질간의 간격과 밀도가 너무 낮고 환경 변화가 없어서 우주공간이 훨신 안전한게 맞습니다 실제로 우주공간에 수십초간 맨몸으로 노출되고도 생존한 사례가 있지만 심해는 그렇지 못합니다
@Mofe__
@Mofe__ 11 ай бұрын
@@user-io3vu1cg1w 탐사 난이도를 기준으로 우주가 위험하다고 말한건데 환경 자체를 기준으로 하면 심해가 위험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user-io3vu1cg1w
@user-io3vu1cg1w 11 ай бұрын
@@Mofe__ 탐사 난이도도 시간,거리상의 문제일뿐이지 위험요소나 변수의 가능성이 훨신 적은 우주가 비교적 더 안전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만...
@user-sd2ep5cr3u
@user-sd2ep5cr3u 3 жыл бұрын
“중력 500배.”
@doyun4172
@doyun4172 3 жыл бұрын
ㄱㅇ야....
@user-om4mg7mh3r
@user-om4mg7mh3r 3 жыл бұрын
@@doyun4172 너 뚱뚱하지
@user-rb2ek3do4k
@user-rb2ek3do4k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ark_chanmin718
@park_chanmin718 3 жыл бұрын
@@user-om4mg7mh3r 궁예질 오지네 ㅋㅋ
@user-om4mg7mh3r
@user-om4mg7mh3r 3 жыл бұрын
@@park_chanmin718 미안해 안나댈게...
@Sseo_HYung
@Sseo_HYung 3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님 목소리 계속 듣다가 웃음소리 들으면 도티님 같아서 가끔 놀람..
@user-bc5ml4bi7v
@user-bc5ml4bi7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ij5xn8mj8l
@user-ij5xn8mj8l 3 жыл бұрын
난 이분 목소리가 제일 신기함
@user-zr1dl3dv9d
@user-zr1dl3dv9d 3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jb5rs9rf6u
@user-jb5rs9rf6u 3 жыл бұрын
남자도 여자도 아님
@user-ih9uq7xv7e
@user-ih9uq7xv7e 3 жыл бұрын
@@user-jb5rs9rf6u???: 그건 니가 성인지감수성이 부족한거야
@perrarl3024
@perrarl3024 3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 꽤있음 중성보이스
@tuiop390
@tuiop390 3 жыл бұрын
@@user-ih9uq7xv7e 페미는 정신병
@user-bv5ud5lh7v
@user-bv5ud5lh7v 3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잘 보았습니다! 쿠키님의 영상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어떠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알 수 있었어요! 쿠키님께서 다양한 분야의 내용들을 다루어주셔서 식견을 넓힐 수 있는 것 같아요! 이 다음 영상에서는 나노에 관하여 다루어주실 것 같은데 어떠한 내용들을 다루어주실지 궁금한 마음이 들어요! ^0^
@dojang002
@dojang002 2 жыл бұрын
와아!~~~ 감사합니다.
@user-hw6dp2cg2o
@user-hw6dp2cg2o Жыл бұрын
"그러쿤요" 목소리랑 말투 심쿵 "냥냥냥 째미쪄요" 요딴 말투 목소리보다 더 좋음 내용 좋군요.
@user-yy8ic8tr5h
@user-yy8ic8tr5h 3 жыл бұрын
600배가 되는 펌프성능무엇
@inx2853
@inx2853 3 жыл бұрын
진짜 신기함
@user-kq3de5om6v
@user-kq3de5om6v 3 жыл бұрын
성능확실하구만.
@user-rf5hp6zi5r
@user-rf5hp6zi5r 3 жыл бұрын
괘씸하거든요..?
@tmddkqo5260
@tmddkqo5260 3 жыл бұрын
@@user-rf5hp6zi5r 크아아아악!!
@user-ww2uq9qm8r
@user-ww2uq9qm8r 3 жыл бұрын
파스칼 원리 이용한게 아닐까요
@user-vi3oo9qe4c
@user-vi3oo9qe4c 3 жыл бұрын
심해에 정말 작은 새우들이 멀쩡하게 생존하는 것이 신기하더군요. 그것도 열수구 근처에서..
@nyangnyang534
@nyangnyang534 11 ай бұрын
열수구?
@ebri.
@ebri. 11 ай бұрын
일단 작으면 수압 영향을 덜 받긴하죠
@gas2002
@gas2002 11 ай бұрын
옥토넛?
@LASDARI
@LASDARI 11 ай бұрын
@@nyangnyang534 바닷속 화산같은 느낌 ㅇㅇ
@user-pf6nq5rj3s
@user-pf6nq5rj3s 3 жыл бұрын
와 이런게 진정한 유투버
@in_spirit_and_in_truth
@in_spirit_and_in_truth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dean9928
@dean9928 3 жыл бұрын
이런 목소리는 과학입니다.
@tha010021
@tha010021 3 жыл бұрын
ㄹㅇ 목소리만으로 가늠불가
@user-biotech
@user-biotech 2 жыл бұрын
하세기!
@soondori3364
@soondori3364 11 ай бұрын
구독합니다
@seeyoualways
@seeyoualways 3 жыл бұрын
쿠키님 목소리가 매력이있으시다 ... 이런말이 실례라면 죄송합니다 라는 말씀을 미리 말씀드리고싶네요 뭔가 목소리가 중성적인 매력이있으신것같아요 살짝 허스키하신면도 있으시고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에 충분히 양쪽다 어울릴만하고 매력있으신것같아요~ 너무 잘봤씁니다~ 구독하고갑니다!
@kizer8691
@kizer8691 3 жыл бұрын
와 저기에서 생명이 어떻게 살까...진짜 대단하다...
@rurouni628
@rurouni628 3 жыл бұрын
풍선 실험.. 보일의 법칙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예시였던것 같아요 ㅎㅎ
@user-li4ee3fg1s
@user-li4ee3fg1s 3 жыл бұрын
제가 과학쿠키를 보면서 내자신이 과학에 관심이 있는줄 처음알았네요 아직은 무슨소린지 이해를 못하는부분도 있지만 정말많은걸 생각하게 되네요
@user-lr5zm3jc4c
@user-lr5zm3jc4c 3 жыл бұрын
집에서도 약간 비슷하게 경험할 수 있음 일단 고무장갑끼고 그 담에 어느정도 깊이가 있는 그릇 (아무거나 괜찮음)에 물을 채우고 손을 넣으면 장갑이 찌그러져요 ㅋㅋㅋ
@user-vs6he6bt6t
@user-vs6he6bt6t 3 жыл бұрын
호오 버티는건가요? 그렇다면... 압력 500배! 그아아아아앗!!!!!!!!
@kangwoochan
@kangwoochan 3 жыл бұрын
저기 구멍 조금만 생겨도 엄청 위험하겠네요ㄷㄷ
@user-kj7dt5zs9x
@user-kj7dt5zs9x 3 жыл бұрын
@@2687JangJiHyeok [압력=면적×힘]이니까 터질때 나오는 힘은 들어간 물의 양이 클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질꺼에요 최대로 넣었는데 터지면 파편도 파편이지만 터지면서 나온 충격파가 연구소를 넘어 광범위하게 휩쓸겠죠
@user-biotech
@user-biotech 2 жыл бұрын
@@user-kj7dt5zs9x 어..음..그정도일까요?
@wjwjejesjx
@wjwjejesjx 3 жыл бұрын
근데 압력이 높아지면 물이 부피도 줄어들건데 누르는 동시에 물을 더 추가해주는건가요? 처음부터 불을 많이 넣는거라면 얼마나 줄어드나요?
@user-es5cy5xy6c
@user-es5cy5xy6c 3 жыл бұрын
06:47 압력을 넣기 전에 0bar상태라고 설명해주셨는데 혹시 1bar여야 하는 거 아닌가요? 기본 기압은 당연히 받고 있을 테니깐 1bar일 거 같아서요.. 혹시 모니터에 표시된 0.0bar는 가중압력 수치를 말하는 거 아닌가 싶고.. 우주의 진공 상태가 0bar라고 배웠던 거 같아서요 몰라서 그냥 여쭤봅니다~~^^
@snceckie
@snceckie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1bar에서 영점 잡혀있더라고요
@onepinebrush
@onepinebrush 3 жыл бұрын
풍선 터질줄알았는데 부피가 줄어드네
@fhana97
@fhana97 3 жыл бұрын
풍선 터질줄 알았는데 안터지고 작아지기만 하는군요...
@user-rs3wb7uj9t
@user-rs3wb7uj9t 3 жыл бұрын
커저야 터지죠 ㅋㅋ
@fhana97
@fhana97 3 жыл бұрын
@@user-rs3wb7uj9t 약간 깔고 앉아서 풍선 터트리고 노는것처럼 수압으로 누르니까 터질줄 알았죠 ㅋㅋ
@Kim-ob9tj
@Kim-ob9tj 3 жыл бұрын
@@fhana97나도 터질거라 생각했는디. 지금보니까 공기도 같이 압력받아서(작아져서)그런듯ㅋㅋ
@user-to1my9bm8s
@user-to1my9bm8s 11 ай бұрын
농구공이 한번에 들어가지않고 천천히 들어가도 찌그러지나요? 해군특수부대 훈련할때 감압하면 들어간다고 하던데 농구공도 그런식으로 적응시키는게 가능한지 궁굼하네요
@user-ty6re2ct3i
@user-ty6re2ct3i 3 жыл бұрын
와우.. 신기하네요~ㅋㅋ 풍선 밖으로 나올때는 다시 커지는 건가요^^?
@kimsungchurl
@kimsungchurl 3 жыл бұрын
그쵸 풍선속의 공기가 사라진게 아니라 단지 수축되어서 찌그러져있을 뿐이기에 기압이 내려가면 다시 수축된공기가 팽창되면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godsonivi
@godsonivi 2 жыл бұрын
@@kimsungchurl 넘나리 신기한것
@Quid_butler
@Quid_butler 3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물고기 뭐냐 그놈은 이런 큰압력에서 나올때 느낀 고통은 얼마나 클까
@CombatPolarbear
@CombatPolarbear 3 жыл бұрын
너?
@jammin112
@jammin112 3 жыл бұрын
@@CombatPolarbear 물속에선 정상적인 얼굴인데
@Zero-qq7wx
@Zero-qq7wx 3 жыл бұрын
오 맞아요 영상보면 심해물고기는 잡혀서 물밖으로 나올때 부레가 입밖으로 튀어나오더라구요 마치 인간이 우주복없이 우주로 나간거마냥 ㅋㅋ
@user-ek1ly3hy9t
@user-ek1ly3hy9t 3 жыл бұрын
@@Zero-qq7wx 우주에 맨몸으로 나간다고 몸이 부풀지는 않아요 영하 170도 정도라 얼어죽긴 하지만...
@engineer-wannabe
@engineer-wannabe 2 жыл бұрын
@@user-ek1ly3hy9t실제로는 얼어죽는것 보다 질식해 죽는다고 해요. 우주는 거의 진공 상태라 열이 복사형태로만 빠져나가기 때문에 신체가 서서히 식어나가게 됩니다.
@laceneck4540
@laceneck4540 11 ай бұрын
저런걸 3억 내고 직접 경험할 수 있었구나
@ShibuyaKanon
@ShibuyaKanon 11 ай бұрын
3억짜리 관짝
@nowwwoo
@nowwwoo 3 жыл бұрын
첫 영상 찍을때 어떻게 찍은건가요?? 카메라가 버틸 수 있나요??
@uh...m
@uh...m 3 жыл бұрын
ㅇㅈ
@snceckie
@snceckie 3 жыл бұрын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된 카메라입니다! 실험장치 전용 카메라에요! (수압 600bar까지 견딥니다!)
@nowwwoo
@nowwwoo 3 жыл бұрын
@@snceckie 헉! 친절히 답변까지!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First_law_of_Thermodynamics
@First_law_of_Thermodynamics 3 жыл бұрын
챔버의 압력이 오르는 비랑 물이들어가는 양의 비율이 엄청 궁금하네요.ㅋㅋㅋ
@user-tl9bc3xi9b
@user-tl9bc3xi9b 3 жыл бұрын
"압력 500배"
@user-xo7wv5it2h
@user-xo7wv5it2h 3 жыл бұрын
0:57 이건 화성 아닌가요??
@snceckie
@snceckie 3 жыл бұрын
앗 Venus를 구입한 건데 지금보니 화성같기도 하네요!?
@user-jz4sq3nz1u
@user-jz4sq3nz1u 3 жыл бұрын
화성은 극에 빙하가 있습니다
@user-wj6xp7gr9o
@user-wj6xp7gr9o 3 жыл бұрын
곰돌이 쭈그러드는거 귀엽네 ㅋ
@user-nf3kz9ee2n
@user-nf3kz9ee2n 3 жыл бұрын
사진이 화성 같은데요...? 0:57
@user-er9oo8bz6w
@user-er9oo8bz6w 3 жыл бұрын
와 내가 저기 있다고 생각하니깐 으 상상만 해도 끔찍하네
@user-kj7dt5zs9x
@user-kj7dt5zs9x 3 жыл бұрын
쿠르츠게작트 채널-마리아나해구에 핵폭탄을 떨구면 어떻게 될까에서 해구 압력이 생물이 들어갔을때 어떻게 되는지 나오더라구요... 끔찍해...
@user-jv4ni1dp1q
@user-jv4ni1dp1q 3 жыл бұрын
여기 압력 올리는데 물을 더 넣어서 가압한다는대, 그럼 6000m물속 압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부피의 물보다 얼마나 많은 양의 물을 넣어야 하는건가요?
@user-12wkddsaks
@user-12wkddsaks 3 жыл бұрын
심해로 갈수록 우리 심장도 저렇게 된다는거겠네요
@user-gq5lp3lb7r
@user-gq5lp3lb7r 3 жыл бұрын
그럼 저거 다시 빼면 풍선에 다시 바람이 들어간 상태로 나오나요????(
@user-tl1dm6bj3x
@user-tl1dm6bj3x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뭔 계속 오오 그렇군요 그렇군요 ㅋㅋㅋㅋㅋㅋㅋ존나 웃기네
@BlackGreen_
@BlackGreen_ 3 жыл бұрын
쿠키님 혹시 자막에 쿠키님 이름 뒤에 얇게 노란 분리선 놔주시면 안될까요? 읽는데 햇갈리네요
@user-ml6eb3qf6p
@user-ml6eb3qf6p 11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은 정확하다
@md.1397
@md.1397 3 жыл бұрын
중력 500배도 실험해 주세요
@2jaemyungE
@2jaemyungE 11 ай бұрын
압력 500배!
@user-np5se8xr1r
@user-np5se8xr1r 3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이승국이라해서 천재 이승국인줄
@apple308278
@apple308278 3 жыл бұрын
내 친구 이름 이국승 ㅋㅋㅋㅋㅋㅋ
@lordacton5858
@lordacton5858 3 жыл бұрын
볼까말까... 볼까말까...하다가, 좀 보니까! 어릴적 친구 승국이가 두둥!!!ㅋ 과학쿠키님덕에 친구찾았네요~^^;;;ㅋㅋㅋ
@user-bw4oy1kg6y
@user-bw4oy1kg6y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kyubokhan3937
@kyubokhan3937 3 жыл бұрын
관광잠수함 탔을 때 밖에 농구공 달아놓았는데 서서히 찌그러져서 저런 극적인 장면은 못느꼈어요
수심 6000m, 우주만큼이나 혹독한 심해 탐사를 위하여
23:39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547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347 М.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
과학자들조차 99년간 풀지 못했던 문제가 밝혀지다! | 과학쿠키 다큐 단편
13:32
눈에 보이지 않는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 나노 | 다큐쿠키
26:5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33 М.
이 블록 같이 생긴 물질이, 방사능 물질을 막는 데 쓰인다고!?
24:18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3 М.
뉴턴 vs 라이프니치의 미적분 이야기 | 문명과 수학
20:2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바다는 실제로 얼마나 깊을까요?
19:46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