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어떻게 줄일 것인가. 철강산업의 도전

  Рет қаралды 445,682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포스코의 유료광고가 포함된 영상입니다.
0:00 ~ 7:18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산업
7:18 ~ 15:10 철강산업에서 왜 이산화탄소가 많이 나오나?
15:10 ~ 결국 기술이다.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453
@hyeok3074
@hyeok3074 Ай бұрын
민희진 덕분에 웃고있는 슈카면 개추~
@user-lm6df5sb1u
@user-lm6df5sb1u Ай бұрын
아직 확정이 안나서 하다가 나락갈수도 있는데 하겠음
@user-jy3xd5ev5i
@user-jy3xd5ev5i Ай бұрын
왜 우슴?
@user-ub4ur2zb2c
@user-ub4ur2zb2c Ай бұрын
원래 이런건 뜨거울때 다룬다고~ ㅋㅋㅋㅋㅋㅋ
@CBRN-115
@CBRN-115 Ай бұрын
연애인들 감정 싸움따위 ㅋㅋㅋㅋㅋ
@originalmelon
@originalmelon Ай бұрын
히히덕 쿵더러러
@user-jm1ww1wt9u
@user-jm1ww1wt9u Ай бұрын
수소환원 방식은 기술이 어려운 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이 어마어마하게 떨어진다는 게 문제 수소를 넣어줘야 하는데 수소 자체가 에너지를 투입해야 만들 수 있고 부산물로 물이 나오는데 물이 증발하면서 잠열로 용광로의 온도를 빼앗가 가기 때문에 추가로 가열을 해줘야 함.
@user-fz9yv9hn3f
@user-fz9yv9hn3f Ай бұрын
너... 당진,광양,포항 셋중 한곳에 살지...?
@MrColname
@MrColname Ай бұрын
원래 친환경이라 포장하고 그만큼 가열 및 에너지 투입해서 에너지 손실 보는거임 말만 친환경이죠
@Pjh6588
@Pjh6588 Ай бұрын
@@MrColnameㄹㅇ ㅋㅋ 친환경으로 포장된 비효율의 극치
@Pang-yoon
@Pang-yoon Ай бұрын
@@MrColname핵융합만 완성된다면 그때부턴 진짜 친환경
@user-jm1ww1wt9u
@user-jm1ww1wt9u Ай бұрын
@@user-fz9yv9hn3f 지금은 여의도 삽니다. ㅎ
@user-xw1en8kr9s
@user-xw1en8kr9s Ай бұрын
마지막 쿠키까지 잘 봤습니다.감사!!
@user-ex2qm2kc3l
@user-ex2qm2kc3l Ай бұрын
형 어제 포럼에서 봐서 좋앗어여 !!!!!!😊
@ESG-bd5mq
@ESG-bd5mq Ай бұрын
몰랐던 부분 알게되어 유익&젬나네요~ 견학장면 길었어도 좋았을듯.
@hayeonkim7838
@hayeonkim7838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정보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user-ou1qg1vy6s
@user-ou1qg1vy6s Ай бұрын
중요한 문제를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어떻게 그린 수소를 만들까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포스코는 그동안 비효율적인 공정을 없애는 방식을 보여주며 성공해왔죠. 이번에도 수소를 만드는 방식에서 그런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꼭 가고 싶은 회산데 꼭 취업해서 수소환원제철을 같이 이뤄나가겠습니다!
@yeomjiwon
@yeomjiwon Ай бұрын
포철전회장니이신지 연임도셨는지 혁신가로 유명하신 분 계신데.
@LCH0228
@LCH0228 Ай бұрын
그린수소는 한국가스공사나 현대제철을 가셔야...
@user-bo6mh6be7y
@user-bo6mh6be7y Ай бұрын
현직 제철소 제강부에서 근무하는데 철강에서 가장 탄소많이나오는게 코크스 공정임. 코크스 없으면 고로 자체가 안굴러가는데 그렇다고 전기로로는 고부가가치 강판을 만들기가 힘듬 거긴 스크랩철이라고 흔히들아는 고철들 녹이기 때문에 보통 건축데로 쓰이는 h빔 같은거 많이 만들지. 지금 제철소들 중국 덤핑으로 힘든게 사실자동차강판이 가장 비싼 강종중 하나인데, 이게 꽤나 제강처리가 복잡하고 까다로워서 가장 돈많이 되는 강종중 하나. 앞으로 한국 제철산업은 영상에 나온 것처럼. 탄소 얼마나 줄이냐에 따라 그 미래가 걸려있음.
@user-bj1xe9gm1d
@user-bj1xe9gm1d Ай бұрын
똥물쟁이 ㅎㅇ
@user-bo6mh6be7y
@user-bo6mh6be7y Ай бұрын
@@user-bj1xe9gm1d 오 너두?
@user-be2fh5wq3f
@user-be2fh5wq3f Ай бұрын
제철소는 빨리 탈출해라ㅋㅋ 멍청하게 계속 다니지말고
@user-bo6mh6be7y
@user-bo6mh6be7y Ай бұрын
@@user-be2fh5wq3f 그래서 연봉 얼마나 버시나 멍청하게 제철소다니는놈 보단 잘벌고 그런얘기하시는거겠죠? ^^ 제철소 생산직본사 직원들 대부분 자격증 두자리수에 기능장 있는 사람도 많아서 밥은 충분히 벌어먹는답니다.
@user-rw7zx9nj9f
@user-rw7zx9nj9f Ай бұрын
ㅇㄷ
@kylu1314
@kylu1314 Ай бұрын
슈카형 강의와서 너무 빨리갔어
@thisdds
@thisdds Ай бұрын
LA블루캡도 한번 착용해주세요~
@LOTD
@LOTD Ай бұрын
(오늘의 교훈) 질문: 탄소 배출은 어떻게 줄여야 할까? 정답: 바로 기술이야 17:45
@LOTD
@LOTD Ай бұрын
기술: 역시 자네야
@user-MIN5045
@user-MIN5045 Ай бұрын
뭔가 대한민국 산업 성장의 심장처럼 느껴지네요. 철강은 진짜 어디 안들어가는 곳이 없으니깐요.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user-ro7hb4zf5s
@user-ro7hb4zf5s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철강의 소비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기위해 아파트 건설에 철근을 덜 넣는거군요?
@ttkk9040
@ttkk9040 Ай бұрын
친환경 아팟이었내. ㅋ고오급
@dsbee26
@dsbee26 Ай бұрын
무너져서 사람이 없어지는것이 곧 환경보호 ㄷㄷ
@user-gl9gq6fc4z
@user-gl9gq6fc4z Ай бұрын
ㅂㅅ
@akthfdyd
@akthfdyd Ай бұрын
​@@dsbee26 안무너져도 출산률로 50년내 친환경을 달성하는 다이내믹 꼬레아
@mina4865
@mina4865 Ай бұрын
발상의 전환 ㄷㄷ
@sexmaster
@sexmaster Ай бұрын
포스코 광고주: 싱글벙글
@user-nd6pn4vc8h
@user-nd6pn4vc8h Ай бұрын
역시 자네야!
@pilsnerurquell6227
@pilsnerurquell6227 Ай бұрын
그치만 포스코 주주는..
@kinggeun9916
@kinggeun9916 Ай бұрын
주주도 죽고 직원도 죽는중ㅋㅋ
@Mbappe-better-than-jotland
@Mbappe-better-than-jotland Ай бұрын
다음 의상 루피 추천드립니다 ㄷㄷ 밀집모자 잘 어울려요 덜덜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Ай бұрын
이번 강의도 잘 들었어요.깨끗하고 아름다운 환경과 자원을 위해 노력하는 철강산업 응원합니다. 더 나은 주제로 사랑받는 모습까지 기대할게요!
@urmatewilllookafteru2191
@urmatewilllookafteru2191 Ай бұрын
포스코 1차면쟙 앞두고 있는데 감사합ㄴ다
@user-xy2rb9mj6v
@user-xy2rb9mj6v Ай бұрын
포스코도 흥하고 대한민국도 흥해라!
@user-on5yp9kd7o
@user-on5yp9kd7o Ай бұрын
이 형은 모든분야 척척박사고
@user-lr4rt2nz2h
@user-lr4rt2nz2h Ай бұрын
포스코에서 강의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파이넥스는 기술적 난관이 아직까지 크고 24시간 풀로 못돌려서 갈길이 먼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이넥스를 사용하게 되면 기력발전의 연료가 없어지는 것 또한 해결해야하는 문제입니다.
@user-tu5rs9pq6v
@user-tu5rs9pq6v Ай бұрын
냉연근무중입니다. 돈안되는사업이죠
@tanguri1092
@tanguri1092 Ай бұрын
?? 상용화된지가 언젠데 아직 24시간 풀로 못 돌린다는 소리를..
@jwp-yh8wh
@jwp-yh8wh Ай бұрын
@@tanguri1092 파이넥스 공장에서 불 자주나던데요 -지나가던 포항시민-
@thejiseokkim
@thejiseokkim Ай бұрын
수소환원제철 하셔야죠
@user-qv7uc2uo4c
@user-qv7uc2uo4c Ай бұрын
쇳가루 너무 날려요
@parkerq2740
@parkerq2740 Ай бұрын
견학영상 더 길어도 멋졌겠네요 😄😄
@user-to6mh8hh5e
@user-to6mh8hh5e Ай бұрын
금투세좀 다뤄주세요
@user-cj7tv5rw2k
@user-cj7tv5rw2k Ай бұрын
👍
@ililliil6041
@ililliil6041 Ай бұрын
👍
@user-yf5re1il3o
@user-yf5re1il3o Ай бұрын
형님 포항오셨었네요!! 반갑습니다^^
@user-kd6yd7ql2k
@user-kd6yd7ql2k Ай бұрын
역시 믿고 보는 유튜버
@ljg3794
@ljg3794 Ай бұрын
마침 너무 관심있는 부분이였는데요, 관련된 자료(논문이나 홍보자료)있으면 보고싶네요~
@High-trend9
@High-trend9 Ай бұрын
오늘 모자 귀여우십니다 :)
@user-sr4rr1ij2q
@user-sr4rr1ij2q Ай бұрын
잘보고 가요~ ㅎㅎ
@ruilee5458
@ruilee5458 Ай бұрын
현직자입니다. 오늘도 야근했네요😂
@user-yh2uv8hk8t
@user-yh2uv8hk8t Ай бұрын
정비직이면 돌발 어서오고
@mns7397
@mns7397 Ай бұрын
화이팅이요
@user-ql6el1rv5v
@user-ql6el1rv5v Ай бұрын
고생많으시내요
@user-nm3nt2qt3q
@user-nm3nt2qt3q Ай бұрын
화이팅입니다😊
@Cheeseburger5647
@Cheeseburger5647 Ай бұрын
Hi Jane!
@ki-kwangsong5618
@ki-kwangsong5618 Ай бұрын
탄소배출량 줄이겠다고 탄소를 자연적으로 흡수하는 바다를 매립하는게 전체적으로 친환경인지 맞는지는 모르겠음 전형적인 한국식 개발 접근법이긴한데 또 현실적으로 모든 곳에 같이 있어야 하는건 맞고 참 쉽지 않은 문제네요
@whijinkim6069
@whijinkim6069 Ай бұрын
현대제철은 뭐 하고 있나요?
@gongbuhajagu
@gongbuhajagu Ай бұрын
석화산업의 대응도 다뤄주세요
@davidkim582
@davidkim582 Ай бұрын
파이렉스 말만들었는데 뭔지 설명을 잘 들었습니다.
@user-fy3lj8pg4z
@user-fy3lj8pg4z Ай бұрын
형님 포항 변두리까지 와서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에프터 서비스까지는 필요없습니다
@downhillermr9
@downhillermr9 Ай бұрын
90년대 초에서 중반까지~ 포항제철과 광양제철 출장을 몇 번 갔었는데~~ 그 압도적인 규모에 놀랐었죠. 귀가 먹먹해질 정도의 진동과 소음.. 그리고 뜨거운 불꽃까지 말입니다. 지금도 기억이 나는군요. 지금은 포스코 주주로서 남아 있습니다 ㅎㅎ
@_dayfeeling
@_dayfeeling Ай бұрын
민희진이슈 다룰꺼라 주제선정고민 하나 덜해도 되는 동동이면 개추
@user-cv4yz6rl6v
@user-cv4yz6rl6v Ай бұрын
슈알못이네 ㅋㅋ 원래 그런 위험한건 안다룸
@Oliver_80
@Oliver_80 Ай бұрын
이번 주는 킹민연금인데?
@user-dc3ok2pw5g
@user-dc3ok2pw5g Ай бұрын
여초들 민희진이 이길거같으니깐 아주 신낫음 회사입장에서 저렇게 감정적으로 자폭하는 사람은 위험인물임
@user-cv4yz6rl6v
@user-cv4yz6rl6v Ай бұрын
@@user-dc3ok2pw5g 내가봤을땐 여론 뒤집으려고 각잡고 미친개모드 발동한 것 같은데 ㅋㅋ
@user-wc3bh3gg3k
@user-wc3bh3gg3k Ай бұрын
​@@user-dc3ok2pw5gㅋㅋㅋ 넌 같은상황에서 뭘 할거냐 ㅋㅋㅋㅋ
@user-xf9sg4cw9v
@user-xf9sg4cw9v Ай бұрын
물 만드는 거면 다른데서도 사용할 수 있으니 유용할듯
@user-lb7vc1jm6k
@user-lb7vc1jm6k Ай бұрын
철강은 국가기간산업이죠 응원합니다
@user-bz1du4eu8p
@user-bz1du4eu8p Ай бұрын
EU 미국 다 저소리하다가 막상 그때되서 자국물가 치솟으면 다 취소되요. 중국 보조금가지고 시비걸다가 돈되는건 지들이 보조금뿌리고있고..결국 이러다 말거에요.
@user-ox1oi5fz8m
@user-ox1oi5fz8m Ай бұрын
뉴비라 잘 몰라서 질문하는데 왜 인트로에는 새우가 등장하나요?
@Dark..Knight
@Dark..Knight Ай бұрын
15:19 자네가 거기서 노래를 불렀구만
@user-cc7qp4rn7u
@user-cc7qp4rn7u Ай бұрын
전기에너지 생산하는 기업 종목 추천좀 해주세요~~
@Deserttt8
@Deserttt8 Ай бұрын
잘봤어요
@user-ne9eu2mr7f
@user-ne9eu2mr7f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yq6bd2dw8j
@user-yq6bd2dw8j Ай бұрын
시설을 지하에 만들고 천장에 나무를 거꾸로 심어서 위에 고인 이산화탄소 -> 광합성으로 조금씩 처리?
@SherlockLee
@SherlockLee Ай бұрын
5:24 아르셀로미탈은 인도가 아니라 룩셈부르크 기업입니다 ㅎㅎ
@beelee2186
@beelee2186 Ай бұрын
침몰한 거북선 찾기 복원 이야기 해주세요 칠천량 뻘밭이라 남아 있을 가능성 없을까요??? 과거 해군에서 포 찾았다고 거짓 보고해서 난리난적도 있고
@siren1339
@siren1339 Ай бұрын
결국 수소를 만드는 방법까지도 청정하게 바꾸지 못한다면 의미없는 쌩쑈고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어떻게든 빨리 넘어가야 한다
@user-up5wm5mb8p
@user-up5wm5mb8p Ай бұрын
포스코 화이팅!!
@GOA7520
@GOA7520 Ай бұрын
쇳물 테라피는 또 처음 보네요 ㅋㅋ
@user-sx8it9zo7d
@user-sx8it9zo7d Ай бұрын
포스코 일할때ㅠ너무힘들었는데.. 엔지니어 화이팅
@Live12321
@Live12321 Ай бұрын
19:49 거기가 그림의 거기가 아닌데요 ㅋㅋ ㅋㅋ
@mojito_origin953
@mojito_origin953 Ай бұрын
형 일요일날 하이브 대 민희진 전쟁 경제적 관점으로 분석해줘
@sukduruga777
@sukduruga777 Ай бұрын
순수 수소 100% 환원제철의 기술은 개발되었고 문제는 수소의 조달. 북미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이트 수로로 다시 철강산업은 선진국의 산업이 될지도...
@moonanimalworld9236
@moonanimalworld9236 Ай бұрын
여기 내용은 참고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gu2kb5ot5z
@user-gu2kb5ot5z Ай бұрын
일반인들도 포스코 견학 프로그램 정말 잘되있고 기념관, 홍보관 모두 정말 훌륭합니다
@Emnpce
@Emnpce Ай бұрын
미래를 바꿀 기술혁신 성공했으면
@user-ml9tt2up7q
@user-ml9tt2up7q Ай бұрын
CCUS 법안 마련시 당초 탄소 배출원에서의 포집만을 대상으로 하려다가 DAC(공기중 탄소 직접포집) 기술도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를 최종 받아들였다는 걸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발간한 책자를 보면 로우카본의 DAC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답니다.
@user-sy2yz6bf6i
@user-sy2yz6bf6i Ай бұрын
여태까지 철강을 만들 때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해서 이산화탄소가 많이 나오는줄 알았어요
@user-uj1lp8bd1n
@user-uj1lp8bd1n Ай бұрын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성공시킨다고 해도 수소는 어디서 구할까요? 요즘 지구 내부에서 수소가 생성되기 때문에 천연가스 캐듯이 캐면 된다는 이야기도 많이 나오던데.. 그게 가능하다면 다행이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결국 바닷물을 전기분해 해서 모아야 할건데.. 그러려면 막대한 전기가 필요할거고.. 그 전기는 과연 뭘로 조달할지...ㅋ 포스코 혼자 기술 개발한다고 끝나는 이야기가 아님.
@user-qd6tv9we5x
@user-qd6tv9we5x Ай бұрын
결국기술이다 !
@user-hc6vf4vq4l
@user-hc6vf4vq4l Ай бұрын
위험한 곳 갈 때는 직원들이 코빼기도 안보이네요 ㅋㅋ
@gr8ur866
@gr8ur866 Ай бұрын
건설과 어업은 혁신이 필요하겠구나
@yunorang
@yunorang Ай бұрын
광양은 전기로로 새로 고로를 만든다고 하네요~ 전라남도가 re100 일환으로 지원한다 하네요
@user-my3bb6tr7o
@user-my3bb6tr7o Ай бұрын
문과의 질문 수소랑 만나는 공법이 열을 사용하는 방식이라면 수소가 폭발하지 않나요?
@user-gs3pk4vh3z
@user-gs3pk4vh3z Ай бұрын
결론: 폭발하는 게 맞아요. 수소를 일부러 폭발(또는 연소)시켜서 철광석을 환원시키는 게 수소환원제철이에요. 수소가 폭발하는 과정(수소 + 산소 -> 물)에서 산소가 필요한데 용광로 안에 산소가 있는 것은 철광석(산화철) 뿐이니까 수소가 반응하기 위해서 철광석의 산소를 뺏는 거에요. 이런 원리를 활용하는 게 HyREX(수소환원제철)이고 일부러 폭발(또는 연소, 산화)시키는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탄소가 들어간 석탄이나 석유는 산소와 반응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만 수소는 탄소원자가 없기 때문에 산소와 반응해서 물만 만들어내니까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아요. 투입량을 조절하는 식으로 산화되는 속도를 잘 조절하면 폭발하지 않고 연소(느리게 산화)하게 만들 수도 있어요.
@JSEO-cr1by
@JSEO-cr1by Ай бұрын
나도 이생각부터 했는데, 문과 다 똑같구나 ㅋㅋㅋ 뭐 훌륭한 이과분들이 알아서 다 잘 문제없게 개발하겠지만... 근데 위험하지 않도록 투입량을 조절하면 생산량이 줄어들지는 않나요?
@KikiTur
@KikiTur Ай бұрын
바다 매립말고 그냥 바로 옆 산 통째로 밀어서 보안 걱정 없게 해주면 안되나.. 매립보다 산하나미는게 더 나을거같은데
@rockdeadly9233
@rockdeadly9233 Ай бұрын
금투세좀 다뤄 스윗 BS아
@user-yv5qq4gh7l
@user-yv5qq4gh7l Ай бұрын
뉴진스랑 사진찍었다고 설레던 슈사장이 눈썹 치켜들고 하이브주가 얘기할 거 생각하니 ㅋㅋㅋㅋ 이번주 눈에 훤하네
@kelv3340
@kelv3340 Ай бұрын
회사에서 듣던 얘기를 슈카형이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니까 뭔가 기분이 이상하군요ㅋㅋ 잘 봤습니다!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Ай бұрын
세계 기업 시총순위 100위까지 나열한걸보면 미국과 유럽기업들이 사실상 대부분이고 세계를 장악하고있던데 그중에서 정작 철강기업은 단 한개도없더군요.. 미국도 유럽도 세계적인 철강기업이 없습니다. 아마 이런이유가 철강자체가 고부가가치 산업이 아니라 그런것같은데 사실 철강은 매우 중요한 산업입니다. 특히 해군력유지에 있어 필수적인데 세계 경제 상위 선진국들이 철강을 나몰라라하는사이 중국은 미친듯이 투자를하니 개인적으로 좀 우려됩니다..
@user-jb3px3mx3c
@user-jb3px3mx3c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대한민국에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각 선진국들이 소외할때 꾸준히 투자하고있으니까요
@user-hz9ld3wb7y
@user-hz9ld3wb7y Ай бұрын
​@@user-jb3px3mx3c한국이 제일 뒤떨어지는게 현실... 고망간강 못 만들어서 잠수함도 최대수심 비교도 안됨
@user-wl2sx3pl8k
@user-wl2sx3pl8k Ай бұрын
왜 없음 미국 뉴코, 유럽 아르셀로미탈 포스코 홀딩스랑 시총 비슷하고 뉴코는 57조로 포스코 홀딩스보다 높은데 제대로 알아보고 말하세요
@daniellee197
@daniellee197 Ай бұрын
@@user-wl2sx3pl8k 100대 기업임?
@jimmy4747
@jimmy4747 Ай бұрын
철강은 필요로하는 직업 전문성이 IT보다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사업 진입장벽이 낮습니다. 그렇기에 경쟁이 너무 심해서 가격 똥값임. 마치 태양광전지 생각보다 만들기 쉬워서 가격이 똥값이된거랑 마찬가지겠져
@user-ml9tt2up7q
@user-ml9tt2up7q Ай бұрын
이메일로 자료 보내드렸습니다~
@lsj0102
@lsj0102 Ай бұрын
슈카쌤이 왔다가셨다니
@minu9632
@minu9632 Ай бұрын
솔직히 우리나라 기업 좀 팍팍 밀어주자 그래야 전 세계에서 안뒤쳐진다
@jjitjjaiming
@jjitjjaiming Ай бұрын
기업키우려고 감세해주고 혜택많이주면 그쪽지지자들이 들고일어납니다..ㅠㅠ
@user-my1sq1ys8w
@user-my1sq1ys8w Ай бұрын
도대체 뭘 팍팍 밀어줘야 하는건데 ㅋㅋㅋㅋㅋㅋㅋㅋ규제,r&d 지원 말고 뭐가 있는데 ㅋㅋㅋ 세금 깎아주면 기업이 성장한다더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 미국은 뭐 세금이 0이라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과 자본력을 가지게 된거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어이가없다 진짜 ㅋㅋㅋ
@user-ed2py4dq2n
@user-ed2py4dq2n Ай бұрын
공기로 석유만드는 기술인 이퓨얼 에대해서 다뤄줬으면 좋겠어요
@LEEkyouho
@LEEkyouho Ай бұрын
이퓨얼로 사용되는 에너자량보다 만드는대 더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왜 씀? 친환경 아무리 중요해도 최소한 에너지생산 해야하는데 이퓨얼은 에너지를 잡아먹는걸요??? 핵융합발전, 다이슨스피어 같은게 완성되서 에너지 수급은 사실상 무한이고 그 에너지를 어떻게 저장운송 하느냐의 문제로 가면 모를까...
@tkdtn9795
@tkdtn9795 Ай бұрын
제철소에서 일하지만 파이넥스 품질은 고로 못따라가고, 분진만 겁나 많고.. 전세계적으로 고철 스크랩 녹여서 고로 품질 못따라갑니다.
@Gelfoss
@Gelfoss Ай бұрын
@user-tl3pw2rp7p
@user-tl3pw2rp7p Ай бұрын
형 항공모함 안만들꺼야??
@SatanNest
@SatanNest Ай бұрын
옳소 질소 이산화탄소...
@FullBalgi
@FullBalgi Ай бұрын
와 작년 한수원면접때 나온 질문이네 ㅋㅋㅋ
@user-sd3id8xi7x
@user-sd3id8xi7x Ай бұрын
그래서 그 잘난 수소는 뭘로 만듬? 결국에는 석탄에서 얻거나 부생수소 아님? 물 전기분해하는 건 결국 에너지가 필요한 거고 에너지 분야는 철강보다 더 이산화탄소를 많이 발생시키는 분야인데... 조삼모사 아님?
@yeomjiwon
@yeomjiwon Ай бұрын
수소를 얻는. 방법이 여러가지더라구요. 땅에서도 그냥 나오는 데도 있고
@user-xf7cw5re2h
@user-xf7cw5re2h Ай бұрын
철을 재련하는데 코크스 탄소덩어리를 쓰는 이유는 에너지가 가장 적게 들기 때문임. 뭔가 큰 기술 같은거 아님. 그냥 대량의 에너지를 청정에너지로 만들면 됌. 뭔가 대단한 기술 없음. 오히려 에너지 보존을 무시한 기술을 만든다는 것이 개사기임.
@user-xf9sg4cw9v
@user-xf9sg4cw9v Ай бұрын
하이렉스 공장 멋있네
@JohnLennon_1980
@JohnLennon_1980 Ай бұрын
고마운 분들
@user-hh2ce4wb7j
@user-hh2ce4wb7j Ай бұрын
초전도체가 빠를까 이산화탄소를 없애는게 빠를까?
@user-mq2il2pc5c
@user-mq2il2pc5c Ай бұрын
현직자였던 사람입니다. 재밌게 봤습니다
@FactoryRocker
@FactoryRocker Ай бұрын
포스코 화이팅....!
@dhkcldhkdhk
@dhkcldhkdhk Ай бұрын
수소 좋죠. 근데 어떻게 도입합니까? 운반이 쉽다는 암모니아는 독성때문에 선박 운송 보험도 못들고 크래킹 부지와 인수기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고, 액화수소는 기술이 없습니다. (선박 및 저장탱크) 현 기술 수준으로 2030년 이후에야 액화수소 도입이 가능할거같은데 청록수소같은 기술이 빨리 개발되었으면 좋겠네요. 수소 인프라 까는거도 쉽지않을거고요
@parkwonik
@parkwonik Ай бұрын
형 이과도 어려워
@ddunddun22
@ddunddun22 Ай бұрын
에코프로에이치엔
@user-bb9mj8sj6d
@user-bb9mj8sj6d Ай бұрын
이산화탄소는 모아서 농사하는데 쓰면됨
@tropicalinvest
@tropicalinvest Ай бұрын
숙제는! 채팅! 없어서! 좋더라!
@user-jm4zl2mc4u
@user-jm4zl2mc4u Ай бұрын
우린 좀더 일찍 만나야 됬어 잘보고갑니다,
@goyangee1
@goyangee1 Ай бұрын
광양제철소가 진짜 큰데
@hyunhochoi8705
@hyunhochoi8705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철기시대를 끝내야 지구 온난화도 끝낼 수 있겠네요 19:25 어라 자막이..
@yjj2826
@yjj2826 Ай бұрын
철강산업이 탄소를 엄청나게 배출하는 산업이었군요. 하긴 24시간 용광로를 꺼뜨리지 않으니....빨리 친환경 신기술이 나오길 바랍니다.
@yeomjiwon
@yeomjiwon Ай бұрын
이산화탄소
@roseofmaria
@roseofmaria Ай бұрын
단순 포스코 홍보에서 끝이 아니고 궁금증이 많이 해소된 좋은 영상이엇따
@juno_kim
@juno_kim Ай бұрын
이젠 슈카성 보고 하루를 마무리.. 드론 날리러 가는것도 까먹었음.. ㅋㅋㅋ
@juno_kim
@juno_kim Ай бұрын
@@user-lee.g.w 아니에요. 예전보다 그래도 많이 풀려서 좋아요. ^^ 바닷가나 산, 시골풍경 등등 ^^
@user-xn7pj2vx3v
@user-xn7pj2vx3v Ай бұрын
미남 뷰티유투버가 많이 똑똑하시당❤
@user-zv6tt8wp3q
@user-zv6tt8wp3q Ай бұрын
고로에서 노래하는게 개웃김ㅋㅋㅋ
@user-ie7ro4cl2y
@user-ie7ro4cl2y Ай бұрын
현대제철 다니는데 반갑네요 ㅎㅎ
@jihokim7010
@jihokim7010 Ай бұрын
네 현대제철 주주입니다.. 화납니다. 주가... ㅋㅋㅋㅋ
@user-lz7ym5xw7r
@user-lz7ym5xw7r Ай бұрын
@@jihokim7010 ㅋㅋㅋㅋ 저도 반토막 나있습니다.
@hosikE1234
@hosikE1234 Ай бұрын
경쟁사 산업스파이 하러왔따!!
@user-me6cp6dm7f
@user-me6cp6dm7f Ай бұрын
반가워요 당진 사람이에요
환경보호 비용, 누가 내야 하는가
24:4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97 М.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illion
00:20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중국판 '잃어버린 30년'의 공포
33:0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300만 평 모래벌판에 세워진 철강 회사 이야기 / 14F
16:16
14F 일사에프
Рет қаралды 159 М.
불치병 환자들의 희망, 기적의 유전자 치료제
27:0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80 М.
미국인들의 압도적 국민차
25:1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세상을 움직이는 철(Fe)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6:5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ПЕСЕНКА С ПОДВОХОМ 😉 ч.5
0:59
KEKTAR
Рет қаралды 883 М.
Сюрприз для матери|смотреть до конца😂
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