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다큐] 한글, K-콘텐츠 타고 세계로 - 1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Рет қаралды 381,109

연합뉴스TV

연합뉴스TV

Жыл бұрын

[특집다큐] 한글, K-콘텐츠 타고 세계로 - 1부
최근 몇 년 새 한국 문화 콘텐츠가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주목할 점은 이렇게 케이팝,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겁니다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 열풍을 몰고 오기까지!
그 뜨거운 현상을 집중 조명해 봅니다!
PD 이용은
AD 이현진
#한글 #K-콘텐츠 #케이팝 #한국어 #문화콘텐츠 #방탄소년단 #오징어게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www.yonhapnewstv.co.kr/

Пікірлер: 243
@noeyeehmik0613
@noeyeehmik0613 Жыл бұрын
방탄소년단 정말 존경합니다
@obpl8085
@obpl8085 Жыл бұрын
방탄이 한글보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 전세계 아미들은 다 알고 있죠~ 일단 예전 한글날이 되면 방탄노래 한국어 가사를 한글로 써서 트윗에 올리는 행사를 매번 했었죠! 외국인들이 한국어로 된 가사를 직접써서 올린 그 모습들은 정말 감동적입니다!! 그리고 하이브에서 만든 한글교재는 해외대학의 교재로 채택되기도 합니다 그 영향은 일부가가 아닌 전세계!!
@34hg30
@34hg30 Жыл бұрын
문화의 힘이 세계를 지배한다.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창조적인 지식은 높은 부가가치를 창조한다. 김대중 98년 취임첫해 표현의자유. 무한 창작의 자유 보장. 문화개방정책ㅡ 한류붐 최초 일본서 시작. 역대 정부 처음으로 DJ 정부 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지원. 한국 콘텐츠 진흥원.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부천만화 정보센터.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 e스포츠게임 스타리그 온라인중계. 명칭 세계최초 김대중의 6T정책중 CT. 스타리그.온라인 첫중계.게임. 한류.웹툰 뽀로로가 세계 최초. 최고가 됫죠. 98년 김대중 취임첫해 표현의 자유.언론.창작의 자유.집회시위의자유 완전 보장하자 봉준호.김지원감독 등 좋은 감독들 다나오기시작햇고.표현의 자유 보장기사가 일본 언론기사에도 나왔다 김영삼은 문민정부 였지만. 완전한 언론의 자유가 없었고 김대중때 비로소 모든 자유의 족쇄가 다풀렷다. 자유가 보장되자. 좋은영화.드라마 나오고. 일본개방. 겨울연가. 욘사마. 시작으로 한류가 시작되고 번성하는 한류유산을 갖게 됫다. 한글.한식.문화.화장품.관광까지 전세계인들이 모두 한국을 알게된 한류시작과 확장도 김대중의 자유보장. 문화예술 각종정책임. 김대중의 6T정책중 CT 문화기술 ㅡ 스타리그.온라인 첫중계.게임. 한류.웹툰 뽀로로가 세계 최초. 최고가된 정책 ◆CT=게임·애니메이션·캐릭터는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하고, 영화·음악 ·방송영상은 아시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문대 이상의 정규교육과정에 ‘콘텐츠 특성화 학과’의 증설을 추진한다. 또한 전략 분야별로 매년 10개 안팎의 유망 콘텐츠를 조기 발굴해 해외수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스타 프로젝 트’를추진하며 ‘월드사이버 게임즈%’(올해 12월),‘디지털 콘텐츠엑스포’(2002 년) 등 개최.
@IPSELENTIFOREVER
@IPSELENTIFOREVER Жыл бұрын
BTS의 영향력은 어마무시..군대 징집으로 대체불가 외교관을 잃는구나..ㅠ
@user-fh6td9vg3l
@user-fh6td9vg3l Жыл бұрын
방탄 보유국으로 우리는 자랑스러워해야함
@Wavesu
@Wavesu Жыл бұрын
방탄 끝남
@user-qn7dy4sp4k
@user-qn7dy4sp4k Жыл бұрын
방탄조끼나 더 챙기자
@IPSELENTIFOREVER
@IPSELENTIFOREVER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의 민간 외교관이 사라지겠군..ㅠ
@lsassdfasx
@lsassdfasx Жыл бұрын
이게 케이팝이 영어권애들도 거부감없이 들린다고함 우리가 팝송을 듣는거처럼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자연스러워졌네요
@ebs9451
@ebs9451 Жыл бұрын
두 달 전에 콜롬비아 여행하고 왔는데, 콜롬비아 페레이라라는 작은 도시의 버스터미널 앞에서 길을 잃었었는데, 지나가던 한 콜롬비아 젊은 여성분이 제가 그저 자기가 드라마에서 보던 아시아인이라는 이유로 한 마디 말도 안 통하는데 자기 일도 제쳐두고 친절하게 가방도 들어주고 길도 안내해주더라구요ㅜㅜ 조심스레 어느 나라에서 왔냐(고 하는 것 같이)고 묻길래 "꼬레아 델 수르"라고 하니까 너무 기뻐하면서 반가워 하던 모습이 너무 인상적이었습니다.
@jonyjungs
@jonyjungs Жыл бұрын
태국은 정말 한류가 지금 최고죠에요...꾸준히 잘 관리해서 케이 한류 영원히 함께 했으면 합니다.
@user-qn7dy4sp4k
@user-qn7dy4sp4k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인가요?
@user-zq1wv1dx9x
@user-zq1wv1dx9x Жыл бұрын
리사가 성공해서 더 한류가 뜨는 듯...
@user-oc2gn1wc9u
@user-oc2gn1wc9u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 문정권때 수상한 감독 포함 거의 좌파 감독들 정보검색해면 나옴 ㅋㅋ
@JKJ0509
@JKJ0509 Жыл бұрын
Kpop, kdrama, kmovie 등의 한류열풍, 일본 의 무역보복에 대한 대처능력, 코로나에 대한 대처능력, G8 국가로의 진입 가능성까지 타진되고 있는 일련의 상황에 대해 어리둥절해 하는 사람들이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나라와 우리 겨레가 갑자기 뛰어난 나라와 겨레가 됐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갑자기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원래 우리의 모습이 이제야 발현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모습이 고조선의 모습이고 고구려의 기질입니다 세계 4대 문명이라고 불리는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문명보다 앞선 문명이 내몽골 쪽에서 발견 되었는데 그 문명이 우리의 문명과 같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아시아 문명의 근원이 중국의 황하 문명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그보다 약 3천년이나 앞선 문명이 있었고 그 문명이 중국에 전해져서 황하 문명이 탄생했던 것입니다 그 문명을 홍산 문화 또는 요하 문명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요하 문명이 중국이 아니라 우리의 문명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입니다 신석기 시대의 빛살무늬 토기, 청동기 시대의 비파형 동검, 고인돌 처럼 돌로 만든 무덤 등은 중국이 아니라 우리의 문명인데 요하 문명에서도 이러한 유물과 유적들이 발견된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 짐작하건데 우리의 조상들은 아시아 문명의 근원을 일구었고 고조선과 고구려는 아시아의 종주국이자 세계 최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가졌던 것입니다. (홍익인간의 뜻도 우리가 문명을 주변 민족들에게 전해줘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했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수나라가 그렇게도 고구려를 멸망시키려 했으나 살수대첩에 의해 무참하게 실패했는데도 불구하고 당 태종 이세민이 내부의 반대를 무릅쓰면서까지 고구려 원정을 단행했던 이유는 우리 겨레를 꺾지 않으면 아시아의 진정한 패자가 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겨레가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문화적으로 매우 뛰어났기 때문에 중국의 입장에서는 이 상태를 방치했다가는 중화패권주의를 이룰수 없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당나라도 전쟁에서 패하여 우리 겨레에게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었고 우리 겨레는 독자적인 천하관을 가지고 아시아의 패자로 군림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고구려와 대진국(발해)의 멸망으로 인해 그 위상을 잃어갔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중국에 대한 사대, 일제시대에는 식민사관에 의해 우리의 원래 모습을 잊고 살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해방 후에도 친일 청산을 하지 못한 결과 식민사관에 의한 왜곡된 역사를 배워왔기 때문에 우리는 원래의 모습을 망각한채 살아왔던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그 DNA가 다시 우리의 몸속에서 꿈틀대고 있습니다 이제 다시 우리의 원래 모습으로 되돌아갈 시간이라고 일깨우고 있습니다 고조선의 모습, 고구려 기질을 발휘할 때라고 말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 중화사대사관과 일제식민사관에 의해 왜곡된 우리 역사를 바로 잡아서 우리의 원래 모습을 되찾아야 합니다 그래야 현재 일어나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가능하며 미래를 제대로 설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user-ht8qh3yd9z
@user-ht8qh3yd9z Жыл бұрын
한류로 어릴때부터 한국어 접한 애는 모국어처럼 자연스래 익힌거같은데
@abigfishinasmallpond3026
@abigfishinasmallpond3026 Жыл бұрын
팝송을 너무 좋아해서 중2때 영어를 엄청 공부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정말 격세지감이다. 한국어가 이렇게 인기있는 언어가 될 줄 꿈에도 몰랐다. 기분 좋은 변화가 반갑다.
@chris-un7nr
@chris-un7nr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영어는 안늘어요 ㅠ
@JKJ0509
@JKJ0509 Жыл бұрын
한류 현상에 대해 이제는 어리둥절해 하거나 믿기 힘들다는 인식에서 탈피해야 합니다. 우리 민족의 원래 모습이 발현되고 있다고 인식해야 합니다. 그 동안 우리는 일제 식민 사관과 중화 사대 사관에 의해 우리 민족의 역사가 한반도를 벗어나지 않았다고 배웠기 때문에 한류열풍에 대해 어리둥절해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의 역사는 대륙사와 해양사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좁은 반도에 갇힌채 외세의 침략만 당한 것이 아니라 넓은 대륙과 바다를 지배했습니다. 고조선의 강역은 중국의 동부 지역, 내몽골 지역, 발해만 지역, 만주 지역, 한반도를 포괄했습니다. 고조선의 유물인 고인돌과 비파형 동검의 분포 범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삼국시대에는 고구려가 만주 지역과 내몽골, 발해만 지역을, 백제가 중국의 동부지역과 남부지역, 한반도의 서쪽 지역, 일본을 장악했습니다. [삼국사기] [고구려 모본왕 본기] 2년(49) [후한서] [광무제 본기] 25년(49) [후한서] [동이열전] [삼국사기] [고구려 태조왕 본기] 3년(55) 고구려 1대 태왕 추모왕(주몽)의 연호는 ‘다물’입니다. 다물은 옛 땅을 되찾는것을 뜻하는 ‘다시 무르다, 되물리다’입니다. 즉 고구려는 고조선의 땅을 되찾기 위해 끊임없이 서쪽을 공략했습니다. 모본왕때 고구려가 후한을 공격한 지역은 북경을 포함한 화북 지역입니다. 그런데 요동태수가 화친을 청했다는 것은 후한이 전쟁에서 지고 항복한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요동태수입니다. 고구려가 후한의 화북 지역을 공격했을때 고구려의 맞상대가 요동태수였다는 것은 그 지역이 요동지역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즉 고대의 요동은 북경 인근 지역이었던 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인식하는 요동은 요나라때부터 굳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고구려는 모본왕때 후한의 요동을 공격해서 요서 지역까지 차지했고, 태조왕때 요서에 10개의 성을 쌓았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고구려는 요동 지역을 두고 중국과 1진 1퇴를 반복하다가 광개토태왕때 요동을 완전히 장악합니다. 수나라와 당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했을때 수당군이 집결한 지역은 북경 근처의 탁군입니다. 그런데 왜 수당군이 탁군에서 집결했는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만약 한국 군대가 북한으로 처들어간다면 어디서 군대가 집결하겠습니까? 당연히 휴전선 근처에서 집결해서 북한으로 가겠죠? 하지만 목포나 부산에서 집결해서 북한으로 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마찬가지입니다. 그 당시 고구려와 수당과의 국경이 북경 근처였기 때문에 수당군이 탁군에서 집결했던 것입니다. 그러면 고대 요동의 위치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지역과 달라집니다. 북경 근처에 요동과 요서 지역이 있었던 것입니다. [삼국사기] [최치원 열전] [삼국사기] [백제 동성왕 본기] 10년(488) [자치통감] 영명 6년(488) [남제서] [남제서] [백제전] 동성왕이 위나라 군사를 물리치는데 공을 세운 백제 장수들에게 관직을 수여하고 이를 남제에 통보한 국서가 나온다. 그 중 한 구절은 라는 것이다. 면중왕에서 도한왕으로 승진시켰다는 것으로 백제 황제 수하에 서열에 따른 여러 왕이 있었다는 뜻이다. 이외에도 로 승진시켰다고 [남제서]는 말하고 있다. [송서] [백제전] [송서]에는 백제 개로왕 여경이 송나라에 라고 요청했다는 기사가 있다. 그러나 요청했다는 것은 윤색이고, 사실은 통보한 것이다. 흉노는 황제인 대칸이 중앙을 다스리고, 우현왕과 좌현왕이 좌우 강역을 다스렸는데, 대륙과 반도와 해양에 걸친 대제국 백제도 넓은 강역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서 백제 임금 아래 우현왕과 좌현왕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중국에도 알려져 있어서 [양서] [백제 열전]에 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구당서] [백제전]에는 라고 해서 백제왕이 거주하는 왕성이 둘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동왕성은 한반도, 서왕성은 대륙에 있었을 것이다. 백제는 요서와 일본은 물론 각지에 담로(후국)를 갖고 있던 황제국이었다. [통전] [백제전] 요서군과 진평군이 오늘날의 유성, 북평(북경) 사이라고 위치까지 표시해 놓음 [양서] [백제전] 여기에서 백제가 도읍을 대륙에서 반도로 옮긴 것인지는 연구가 필요해 보임 [북사] [백제전]에는 라고 되어있고, [주서] [백제전]에는 라고 기록되어 있다. 한반도 백제 본국이 중국의 왼쪽에 있을 수 없으므로 중국 내부에 백제의 영토가 있었다는 증거이다. [남제서] [백제전]에 의하면 백제 장군들이 북위와 싸워 승리한 후 남제가 광양, 조선, 대방, 광릉, 청하, 성양의 태수직을 백제 장군들에게 제수했다. 물론 실제로는 동성왕이 제수한 후 남제에 통보한 것이다. 광양은 현재의 하북성 융화로서 난하 상류 유역이고, 광릉은 현재의 강소성 양주 지역이며, 청하는 현재 산동성 익도이다. 그리고 하남성에는 아직도 백제라는 지명이 여러 곳에 존재한다. [수서]에는 라는 기록이 있다. 이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백제가 동아시아 국제 해상 교역의 중심으로 성장한 것이 분명하다. 또한 중국 북부 요서 지방과 남부 광서성 장족 자치구에는 라는 지명과 한반도 관련 유물들이 존재한다. 베트남 인접 지역 광서성 장족 자치주 옹영현에는 이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그리고 전라도에서만 보이는 맷돌, 외다리 방아, 서낭당 등이 있다. 안에는 가 있다. 라는 지명은 과거 군사적 목적의 성이 있었다는 증거이며 이곳에 백제성이 있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광서성 장족 자치주 남령으로부터 3시간이나 걸리는 산촌에는 라는 지명이 아직도 사용된다. 그런데 그 곳 주민들은 를 가 아니라 로 발음한다. 즉 백제는 고조선의 영토를 되찾기 위해 중국 대륙의 북부 요서부터 동부와 남부 광서성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서 담로국을 설치한 것이다. 고구려에는 다물(담울=담으로 친 울타리, 즉 고구려 성을 뜻함) 정신이 있었다면 백제에는 담로가 있었던 것이다.
@user-yy5vi6pg8l
@user-yy5vi6pg8l Жыл бұрын
BTS가 다했다
@jwj3637
@jwj3637 Жыл бұрын
블핑도 좀....
@mschoi2383
@mschoi2383 9 ай бұрын
이런 방송 영상을 보면 정말 한국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뿌듯합니다. 우리가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는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그에 따른 우리 문화를 올바로 가꾸고 아름답게 사용하는 시민의식도 성장하길 바랍니다.
@user-vr1ky3wz2v
@user-vr1ky3wz2v Жыл бұрын
김구선생-오직 갖고싶은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chocookieland
@chocookieland Жыл бұрын
김구 선생님을 테러범이라고 매도하는 뉴라이트 부일매국노 정진석이 여당 비상대책위원장이라니 ㅠㅠㅠ
@hwadong486
@hwadong486 Жыл бұрын
한국어는 어렵지만 한글은 배우기 쉬우므로 국가와 해외진출 기관 및 기업들이 한글 및 발음을 외국인들에게 적극 전파하면 좋겠어요. 우리가 영어 알파벳과 발음은 다 알듯이 말이죠. 이 정도만 해도 엄청난 영향을 줄 거라고 봅니다.
@aa-gq1fw
@aa-gq1fw Жыл бұрын
이젠 노래 죄다 영어로 만들듯 지금도 반이상은 영어더만 ㅋㅋ
@sjmoon36
@sjmoon36 Жыл бұрын
⁰⁰
@user-sj8rl6rl6c
@user-sj8rl6rl6c Жыл бұрын
미국은 항상 마약 갱 ㅅㅅ 같은 것만 노래 주제인데 케이팝이 착한 노래를 무의식적으로 원하고 있던 착한 서양 사람들 잘 파고 든듯. 인터뷰나 케이팝 팬들 보면 하나같이 순둥순둥하게 생겼네
@chris-un7nr
@chris-un7nr Жыл бұрын
K-POP, DRAMA, MOVIE 등 독창적이고 젊은이들이 좋아할만한 이슈를 이끌어낸적이 가장 주효했지만, KZfaq 등 온라인 플램폼이 이것들을 홍보하고, 확산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통로가 되었습니다
@centurionrome8161
@centurionrome8161 Жыл бұрын
살다 살다 진짜 이런 날이 올줄이야....ㅠ 80년대 싸우디 근무하고 돌아오신 아버지한테 일제제품 하나 사달라고 온 친인척들이 달라 붙었던 기억나네. 그때만 해도 경제로 세계를 호령하던 일본이 참 부러웠는데......
@user-kq7dn3wm4o
@user-kq7dn3wm4o Жыл бұрын
BTS 군대 면제가 여론으로 예민해서 걱정입니다.
@user-tb1li1vk1k
@user-tb1li1vk1k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신기한 현상.
@user-nl2dy5dv6g
@user-nl2dy5dv6g Жыл бұрын
국문학 전공하는 학생분들 참 대단하시다
@JK-gy4oq
@JK-gy4oq Жыл бұрын
정말 자랑스럽네요~♡
@user-sj9pl3px5z
@user-sj9pl3px5z Жыл бұрын
세종학당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겠네요. 단순히 언어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잘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zoeycho1385
@zoeycho1385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이네요 ㅎㅎ 2부 기다립니다
@user-zx9cs1or7u
@user-zx9cs1or7u Жыл бұрын
배우기 정말 힘든 게 한국어지만 배우고 나면 정말 행복할 것이다. 병아리 소리가 너무 예뻐서 기록하고 싶은데 삐약 삐약이라고 소리나는 그대로 정확히 적을 수 있는 문자는 한글밖에 없는 것만 해도 어딘가? 언젠가는 한국어가 세계의 공용어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skye9541
@skye9541 10 ай бұрын
BTS 지민 노래중에 소복소복 이라는 노래가사를 대처할 영어단어가 없어서 전세계 팬들이 소복소복 가사그대로 배우고 단어를 이해하며 소리가 예쁘다고 다른한글 단어들도 써서 서로 공개하던때도 있었죠.
@wwkk8815
@wwkk8815 Жыл бұрын
월마트에 진열된 두꺼운 BTS 책. BTS 이후로 급증하는 미국내 한류 열풍. BTS 이전엔 삼성도 엘지도 일본회사로 알던 미국에 사는 사람들이 BTS 이후엔 한국이 어디있는지도 알고, 심지어 한국어에도 관심을 갖게되었다. 영국에 비틀스, 미국에 항공모함, 일본에 플레이스테이션, 한국엔 BTS.
@Sojderti
@Sojderti Жыл бұрын
이게 지금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게 문제가 아니고 우리 애들이 한국어를 잘 못해요. 어휘력도 부족하고. 마지막 인터뷰한 친구가 무려 한글교육스타트업 대표라면서 잘못된 단어를 선택해서 쓰고 있어요. 놀면뭐하니에 나오는 미주. 종갓집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걸 보고 진짜 깜짝 놀랐다. 사자성어도 잘 모르고, 이러다가 우리 애들이 외국인들보다 더 한국어를 못하게 될 것 같아요. 큰일입니다. 지금.
@chris-un7nr
@chris-un7nr Жыл бұрын
이란 여학생이 한국드라마만 보고, 한국어를 배운적이 없는데, 거의 한국대학생수준의 한국어 수준이 되었다는게 믿어지지가 않네요
@user-xy4xr4ht9k
@user-xy4xr4ht9k Жыл бұрын
어학당 수가 너무 적은거같군요. 프랑스같은 경우엔 경쟁률이 수백대 일이라고 들었는데 한국어를 배울수있는 학원수가 세계 곳곳에 많이 있어야 배우는 학생수도 늘어나고 대중적인 인지도도 높아질거같습니다.
@jakean3234
@jakean3234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가 영어 배우는데 영어 어학당을 다니진 않죠 좀 전문적으로 배우고 싶으면 파고다 어학원이나 해커스 이런 사립 어학원을 가죠 오히려 이런 어학원들이 국내 내수시장만 빼먹을 생각말고 해외진출 해서 어학당보다 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죠
@gkfnlee7736
@gkfnlee7736 Жыл бұрын
외국인들이 듣기에 한국어의 발음과 울림이 굉장히 독특하고 아름다운 소리로 들린다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가사가 진정성이 있고 심금을 울리며 독특한 목소리로 전달을 하니 스며들수 밖에 없을 겁니다
@byungjoolee5153
@byungjoolee5153 Жыл бұрын
내가 몇년전에 낸 책 "달고 짠 아이디어들" 2편에서 말했듯이 BTS는 군 면제나 기본교육만 받고 군 복무 면제를 해주자고 주장했는데, 국회나 병무청은 무얼하고 있는지 한심하기만 합니다! (본인은 오래전 군필자)
@lee18nom1
@lee18nom1 Жыл бұрын
우리말을 아끼고 사랑합시다~~~
@deanlee6435
@deanlee6435 Жыл бұрын
다 세종대왕님 덕분이지. 한글의 위대함.
@8439hauy
@8439hauy Жыл бұрын
🇰🇷의 사랑 해주시면 돈을 얼마나 버는지 모르겠다 한국 코리아 사랑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ez4dw7om8i
@user-ez4dw7om8i Жыл бұрын
한글이 대단한 이유, 한국 문화의 영향력, 2부 기대합니다.
@user-ic1cx4ej7b
@user-ic1cx4ej7b Жыл бұрын
케이팝 아이돌이 진짜 애국자다 다 케이팝 때문이다 방탄 뿐만아니라 방탄 블핑을 필두로 진짜 모든 아이돌들이 주목 받지 하나의 칸텐츠로 자리매김한듷
@freeman4823
@freeman4823 Жыл бұрын
scarborough fair을 들으면서 scarborough가 어디있는데지 찾아봤고 스코틀랜트에 있다고 해서 스코틀랜드를 가고 싶었고 가사를 보면서 파슬리 세이지 로스메리 타임..등이 허브라는 것도 알았고.등등..나도 20대엔 그랬다..팝송에 미쳐서 영미를 동경했었다.. 외국인이 k pop들으면서 한글과 한국문화에 관심있게 되는 것을 충분히 이해한다.
@chriskim7123
@chriskim7123 Жыл бұрын
이란 남자 유학생 진짜 잘생겼다
@user-gc7pl7go5b
@user-gc7pl7go5b Жыл бұрын
시작은 방탄입니다!! 감사하고 고맙네요! 방탄이여 영원하라!!
@user-vq6wm2gy9i
@user-vq6wm2gy9i Жыл бұрын
감사하다....더 발전되고 오래도록 유지됐으면...그리고 나의슈퍼스타 박효신도 해외진출했음 좋겠당...이미 너무나 슈퍼스타지만....♡
@GLee-pj8wt
@GLee-pj8wt Жыл бұрын
2부도 곧 나왔으면 좋겠네요.
@nature1901
@nature1901 Жыл бұрын
이 시점에서 주위를 살펴보면 지금은 주춤하지만 일본의 강점을 배울필요가 있다 일본은 하나의 컨텐츠로 파생시키는 상품들이 많다 애니매이션을 만들었으면 그것으로 구쯔를 만들고 그 애니 음악으로 콘서트를 하고 이렇게 파생되는게 많다 우린 K팝이란 좋은 소재를 가졌음에도 구쯔상품등 파생된 상품이 부실하거나 부족하다 컨텐츠를 가지고 상품화하는 능력을 더 키워야 한다
@frhyewfwd2579
@frhyewfwd2579 Жыл бұрын
재밌다~ 2부 기다릴게요 !
@user-xy8zq5hs5c
@user-xy8zq5hs5c Жыл бұрын
동남아에서 굉장한 인기던데 인종차별좀 하지 맙시닷 여행와서 상처받고 가겠어요
@Kor_Camtaro
@Kor_Camtaro Жыл бұрын
10년전만해도 한국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그런 나라였는데 이렇게까지 발전하다니 괜히 뿌듯하네요ㅎㅎ
@user-yz2qo3oe7z
@user-yz2qo3oe7z Жыл бұрын
춘향전 베벵이굿 허생전 이런걸 세로 드라마 많들어서 넷플릭스 올리면 어떨까요 세롭게 오천년 최고 흿트작 디자인은 세종대왕님 한글임 오늘 한글날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 3 ай бұрын
한국 콘텐츠는 지속적인 혁신과 실험을 통해 새로운 장르와 스타일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창작자들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며, 세계적인 시장에서 돋보이고 있습니다.
@user-jj5zp9ih9o
@user-jj5zp9ih9o Жыл бұрын
그것은 고유의 우리 말과 우리 만의 문자 한글이 있어서 가능한것 입니다. 우리 말 우리 글을 아름답게 사용합시다.
@user-vq6wm2gy9i
@user-vq6wm2gy9i Жыл бұрын
한글 제대로 공부하고 시조나 문학작품공부하면 눈물펑펑인데 ㅠ
@user-nd7qu7py4f
@user-nd7qu7py4f Жыл бұрын
오랜기간 꾸준히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알리는 실적과 공적이 있으므로 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한국외교부, 한국교육부 등에 취지를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면 다소의 지원을 받을수 있을 겁니다
@user-pw6fi5dh3b
@user-pw6fi5dh3b Жыл бұрын
중간에 이란 학생들 한국어를 따로 공부한 적이 없이 한국드라마만 보고도 한국인과 대화가 가능했다는 것 놀랍네요... 외국어 교육의 방법을 새로세워야 될 것 같은것이,, 한국에서는 아무리 기초를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해도 못알아 듣는데....
@user-ws3qc6jz4t
@user-ws3qc6jz4t Жыл бұрын
제가 cover dance 오랫동안 즐겨 보아 왔습니다. 예전 빅뱅, 슈주, 샤이니등등 활동 시기에는 동남아 , 남미 위주로 커버팀들이 많았지만 현재는 미국 유럽. 커버팀들 정말 많아요. 특히 러시아, 스페인, 프랑스, 영국 ~ 여전히 국뽕 아니냐라고 말하시는분들 있는데 수년간 보아온 제 입장에서는 확실히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ic7bx7yi3i
@user-ic7bx7yi3i Жыл бұрын
눈물난다 말아먹지 말자
@user-jc1oc4sx5p
@user-jc1oc4sx5p Жыл бұрын
김구 선생님 하늘나라에서 좋아 하시겠다
@user-db1cu4ic2f
@user-db1cu4ic2f 10 ай бұрын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이맞네~
@wizjim87
@wizjim87 Жыл бұрын
이게 오래갔으면 좋겠는데, 확 식어버릴까봐 걱정이네
@ou0429
@ou0429 Жыл бұрын
KPOP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으니 식상하지 않고 계속 발전해야겠지요
@user-zq1wv1dx9x
@user-zq1wv1dx9x Жыл бұрын
식는게 문제가 아니고 인구가 초스피드로 줄어드는게 더 걱정입니다 지금의 세계적 붐인 한국문화를 지탱해 줄 인구가 없어 그 다음은 어떻게 이어갈지?
@zinu_115
@zinu_115 Жыл бұрын
한국 문화는 지금 이대로 두면 자연스럽게 성장할테니 굥씨는 제발 아무짓도 하지마라!!
@MultiJongho
@MultiJongho Жыл бұрын
12:51 겨울이 지나면 봄은 오는거야 ㅋ 제 마음에도 그 가사를 새기고 싶네요 ㅋ
@user-of8kb7jg8b
@user-of8kb7jg8b Жыл бұрын
한글교재 굿즈도 만들어야겠네
@obpl8085
@obpl8085 Жыл бұрын
이미 방탄회사에서 만들었어요
@user-si6nn7nz5t
@user-si6nn7nz5t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전세계 공용어가 한글이 될것임..ㅎㅎ
@user-bn1my9py2e
@user-bn1my9py2e Жыл бұрын
서구권만 조명되서 아쉽네.. 사실 한류를 만들어준 가장 큰 공신들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정말 컸지... 동남아는 다 알테고 일본 중국에도 진짜 한국 문화 매니아들 많음
@what9264
@what9264 Жыл бұрын
거긴 이미 2000년대에 많이 다룬 방송이 많았어요
@janbeers2002
@janbeers200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이룰수 있게 해준 외국 ott기업한테 삥뜯을려는 하는 몇몇 한국 국회의원들하고 기업들한테도 그만하라고 전해주세요 . 무슨 망사용료 내라고 소송걸고 있습니다.
@NEWEJEL
@NEWEJEL Жыл бұрын
90년대 후반에 훗날 한반도가 세계의 수도가 되고 한국어가 세계 공용어가 된다는 예언이 있었는데 그걸 보고 실소를 금치 않을 수 없었다. 근데 0.0000001%는 기대해볼 만 하네 ㅋㅋㅋ
@user-nu9qn6sy9r
@user-nu9qn6sy9r 10 ай бұрын
앞으로 한국어와 한글은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한류가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머지 않아 세계의 공용어가 되어 전인류가 배우게 될 것입 니다.
@user-or8xw9ub9l
@user-or8xw9ub9l Жыл бұрын
한국어로 하는, 웅변이나, 정치연설은 최고의 감동을 느낄 수 있다
@salomej9948-note
@salomej9948-note Жыл бұрын
세계공용어 또는 공용문자가 되기를ᆢ
@june-vx3yl
@june-vx3yl Жыл бұрын
정신나간 소리 ㅋㅋㅋ
@saycluaa
@saycluaa Жыл бұрын
24:00 북마크
@koreapatriotism1869
@koreapatriotism1869 Жыл бұрын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에 관심을 가지면 자연스럽게 그나라의 언어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user-vf8fy6wf3x
@user-vf8fy6wf3x Жыл бұрын
30년전 영어샘이..말하셧지..ㅋ 한국어가 세계어가 되지 않는이상 영어는 꼭 배워야한다..
@msdigital7065
@msdigital7065 11 ай бұрын
요즘은 노래에 영어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편하게 알아듣는 반면 더 많은 것을 잃을 것이다.
@user-iu4jz7xs1w
@user-iu4jz7xs1w 3 ай бұрын
참 신기한 일이야 인구많은나라도 많고 머리좋은나라도 많은데 자국 문자/언어에 신경쓴 나라는 많지가 않네 세종대왕님이 대왕인 이유. 그사회가필요한부분을, 가려운부분을 긁어준 그분
@mammon123
@mammon123 Жыл бұрын
저게 계속 유지되려면 망사용료 관련사항부터 폐기조치 되야할것 같은데.
@jjangya
@jjangya Жыл бұрын
우영우 너모 재밋엇움ㅠㅡㅠ
@pilgrimjung5912
@pilgrimjung5912 Жыл бұрын
그만큼 한국에서 가수나 연예인이 된다는건 머리터진다는 얘기지
@user-lk6vn5wu2z
@user-lk6vn5wu2z Жыл бұрын
15:40 코로나와 같이 중국어는 갔구나~
@user-jj5zp9ih9o
@user-jj5zp9ih9o Жыл бұрын
오겜 2탄 만들어 주셔요. 한번 더 오겜 바람을 일으켜 보아요.
@deliapenamuzo1385
@deliapenamuzo1385 Жыл бұрын
For favor subtitulo en Español 🇪🇦 gracias
@mjmoon100
@mjmoon100 Жыл бұрын
한국어 공부.. 그래 좋아.. 하지만 이 현상이 지속되려면.. 한국어 공부를 해서.. 먹고 살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영어 공부하는 이유가 뭐야??? 취직에 도움이 되고 실행활에 도움이 되니까.. 일본어던 중국어던 불어던 외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거의 같다. 한국어도 그들에게 그런 역활을 해야 지속적인 영향력이 생긴다.
@morticianj
@morticianj Жыл бұрын
한국어에 없는 발음을 표현하기 위해 철자나 표기를 추가하거나 변형할 필요가 있는 듯
@doj6455
@doj6455 Жыл бұрын
bts는 만 35세까지 병역연기해주자. 면제따위로 논점을 흐리지 말고.. 저들처럼 국익에 도움되는 아티스트가 있나?
@user-zq5xj9lq7w
@user-zq5xj9lq7w Жыл бұрын
한글 다큐2부를 다음주..??
@DzzLk
@DzzLk 4 ай бұрын
나는 그들을 사랑하고 영화는 더 좋습니다
@hjk7644
@hjk7644 Жыл бұрын
나도 싸이는 참 안타까웠어 노래가 떠버려서 다음 어떻게 할까 안타깝더라구
@Auto02yun
@Auto02yun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국회에 받침니다...어떤게 국익이고, 국격을 이렇게 높인 사람들이 과연 지금까지 이나라에 누가 있었나... 공평에 정의를 다시 생각해보고 ..군입대 법을 다시 만드시길...
@wasnow8278
@wasnow8278 Жыл бұрын
미국 원정출산,초딩유학이 이제와 시너지를 불러일으킬 때가 온걸까
@user-te8gy1mt8w
@user-te8gy1mt8w Жыл бұрын
아니 미국은 00데이 엄청 많네 ㅋㅋㅋㅋㅋ 남은 날짜가 잇나? ㅋㅋㅋ
@philliplee6884
@philliplee6884 Жыл бұрын
다소 수박 겉핡기식 취재이네요. 대만에서도 k 콘텐츠 인기가 엄청나요. 하지만 이게 한국어 학습열기로 이어진다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어요. 지역별로 온도차가 많다고 생각돼요.
@user-xr5su6po7t
@user-xr5su6po7t Жыл бұрын
군대 면제해쥐라 대통령 본다 잘한다
@user-yh1eo2jg7c
@user-yh1eo2jg7c Жыл бұрын
용병 정이는 SF 형식을 취했지만 광대한 스케일과 디테일 사람과 슬픔 기계이면서 감정은 아직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영화는 보여 주었다 외국영화는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끌어간다 그러나 한국영화는 각가지 주제가 영화에 포함 된다 기계에 감정이 있다 기계에 사랑이 남았다 기게에도 고통이 있고 숨겨진 영역 속에 기억이 있다는 설정은 매우 인상적이다
@jdr.431
@jdr.431 Жыл бұрын
윈윈하는 수익창출법 있어야 됨..
@easymathbyduncan5594
@easymathbyduncan5594 Жыл бұрын
최초 훈민정음에 있던 자모음 중 현대 한글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들을 추가해서 외국어 발음을 표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MV-AGUSTA-F4RR
@MV-AGUSTA-F4RR Жыл бұрын
BTS
@user-iw3vr2jj6l
@user-iw3vr2jj6l Жыл бұрын
우리에게 콩글리쉬가 있듯이 그들에게도 그들만의 절충안이 생기겠죠. 당연한 현상이고 콩글리쉬가 미국 영국으로 역수입되듯이 그런것들도 역수입되는 건 잘못됐다가 아니라 넓게 퍼지고 적응하며 변하고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user-sj8rl6rl6c
@user-sj8rl6rl6c Жыл бұрын
뜬금없긴 한데 이런거 보면 박정희 아니었으면 어떻게 됬을까 생각만 해도 아찔하네
@user-wc4qr5ut1l
@user-wc4qr5ut1l Жыл бұрын
각 대학들 특히 지방 중국.베트남 불체자 양성 업소 하지 말자
@user-jp5gk7om5u
@user-jp5gk7om5u Жыл бұрын
한국어가 아직까지도 일본어보다 적게 배우는 언어라는게 충격이다ㅡㅡ;;
@sparklingwater7904
@sparklingwater7904 Жыл бұрын
요즘 젊은이들은 한국어 수강 신청이 일본어를 앞지릅니다
@user-jj5zp9ih9o
@user-jj5zp9ih9o Жыл бұрын
오ㆍ겜 좋아.
@jiral577
@jiral577 Жыл бұрын
25:02 '한글'은 수단이예요. 스크립터가 스크립트를 잘못 써줬는데 그걸 또 모르고 그냥 읽어버리셨네... 한국어 = 한글이 아니잖아요. 지금 주제는 '한국어' 아닌가요? 프로가 왜 이래 아마추어처럼...
@user-db1cu4ic2f
@user-db1cu4ic2f 10 ай бұрын
오징어게임의 날!!!!!!!!!! 할로윈 같은? ㅋㅋㅋ
@CHENALCLOSE7
@CHENALCLOSE7 Жыл бұрын
일본 아이들이 연주하는 아리랑을 듣고 보고 제 눈시울이 뜨꺼워지는 것은 왜일까요?
@bigbabarian7449
@bigbabarian7449 Жыл бұрын
가장 아름다운 언어 한국어 > 프랑스어 >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는 음악가사도 드라마나 영화의 대사도 감정전달이 안된다는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Жыл бұрын
싸이만 억울ㅡㅡ
남미에 부는 한류의 시작 '칠레 Kpop 콘테스트' 72시간|[여행다큐] KBS 20120902
43:14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99 МЛН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MTN] 한류 관광이 되다 / 머니투데이방송
22:43
MTN 머니투데이방송
Рет қаралды 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