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즈상’ 허준이 교수 “실수 없이 완벽하게 하기보다 마음이 시키는 공부했으면”

  Рет қаралды 133,991

경향티비

경향티비

Күн бұрын

00:00 김나영 박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00:51 Q. ‘수포자’가 양산되는 이유? 나아가야 할 방향
02:26 Q. 한국의 초,중,고 학생들이 수학 공부를 많이 해서 탈인지, 적게 해서 탈인지?
03:53 Q. 허준이 교수의 순수 수학연구는 발명인가? 발견인가?
04:59 Q. 밀도 있는 취향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
06:12 Q. 부모로서 아이들과 수학 공부하는 방법은?!
08:21 Q. SNS에선 ‘한국이 허 교수님에게 뭘 해줬냐’라고도 한다
09:14 Q. 수학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에게 말하는 수학의 매력
11:06 Q. 수학연구를 하다 어려운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13:06 Q. 한국의 수학박사들이 사라진다?!
14:44 Q. 한국의 교육이 이랬으면 어땠을까 하는 게 있었나?!
#필즈상 #허준이 #수학박사
〈제작 유명종 PD yoopd@khan.kr〉

Пікірлер: 123
@lawscool8359
@lawscool8359 Жыл бұрын
자식이 수학잘하길 바라는 부모보다 수학을 수단으로 의사되길 바라는 부모가 많은게 현실이죠
@sojourner6699
@sojourner6699 Жыл бұрын
칄학적이시고...논리적이시고 정직하시고....바르시고....너무 멋진 분이십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
@user-jp3ho4zz2w
@user-jp3ho4zz2w Жыл бұрын
SNS에선 ‘한국이 허 교수님에게 뭘 해줬냐’라고도 한다. 가상세계의 다른사람이 다른루트를 거쳤다면 지금의 나는 없을것. 정말 답변이 명품이시네요
@yan-hw
@yan-hw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한국에서 교육 받았는데 해준게 없다니. ㅉㅉ
@user-hy1yt7gq5v
@user-hy1yt7gq5v Жыл бұрын
소년 같은 인상이 참 좋네요 행복한 수학자 같아요
@doyunnam3124
@doyunnam3124 Жыл бұрын
자신의 체력에 맞게 수학 공부를 꾸준히 하다보면 성장하게 될 거라는 말씀이 기억에 남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z7ou9kk3r
@user-vz7ou9kk3r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사회를 위해 능력 써주세요 👍 어른들이 해야하는 일은 아이들의 용기가 배신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 👍 발명아니라 발견 👍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인터뷰내용 넘좋다! 질문을 잘 선정해서 햇당!
@rhosoojin191
@rhosoojin19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 기본적으로 공부하는 거 좋아하니까 온라인 평생교육 시스템이 질적으로 강화되면 좋을 거 같아요~
@skylar3767
@skylar3767 4 күн бұрын
11:06 대한민국 고2로 살아 가며 수시로 대학 가기 위해 수행이며 진로 관련 프로젝트며 한학기 동안 물1.화1.생1을 끝내야 되는 교과 과정에서 힘겨워 다 놓아 버리고 싶다고, 울고 있는 딸에게 교수님의 말이 큰 위로가 될 것 같아요. 딸에게 저의 조급함 보다 돌아 가도 괜찮다는 말을 해 줄 수 있는 믿고 기다릴 수 있는 부모가 부모가 되야겠구나 ~~~ 교수님 영상 보며 생각해 봅니다.
@borawon1
@borawon1 Жыл бұрын
참 말씀을 차분하게 잘하시네요^^
@jayn1442
@jayn1442 Жыл бұрын
수학 박사님도 원리의 중요성을 알기때문에 아이하고 한 문제 푼다고하는데 공부의 깊이를 따지자면 이렇게 공부하는게 맞음.. 다른 대부분의 집에선 하루에 몇 십장씩 감시받으면서 수학문제 품...ㅎ
@sjmary08
@sjmary08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아내분도 같은 수학자로서 대단하신분이시고 정말 좋으신분이시네요~~♡♡
@user-yg97f5hfvh
@user-yg97f5hfvh Жыл бұрын
좁은 범위를 완벽하게, 실수 없이 빠르게 이거 정확히 한국 교육이 학생들한테 요구하는 거 아닌가
@user-xn3ne3ee3q
@user-xn3ne3ee3q Жыл бұрын
한국교육이 좀더 나은 방향을 찾아 바뀌어야죠.
@shgwlakyo8006
@shgwlakyo8006 Жыл бұрын
범위가 많으면 많다고 난리 그래서 범위를 줄이고 좀 더 깊게 사고하게 문제를 내면 어렵다고 난리. 어떻게 바꾸든 할 놈들만 합니다
@user-ug9xl3ob1q
@user-ug9xl3ob1q Жыл бұрын
@@shgwlakyo8006 범위의 문제보다는 뭔가 그저 문제를 맞추느냐 틀리느냐 로만 평가하는 방식을 비판하시는 의도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생각의 깊이보다는 몸이 기억하는 풀이 계산 유형 이런 거만 배우는 게 대부분이니깐요
@thepatriarch0314
@thepatriarch031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2028학년도 수능부터는 수학의 범위를 넓혀서 문제의 난도를 다소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deleted_user_7392
@deleted_user_7392 Жыл бұрын
미국처럼 시험 난이도는 공부를 열심히 했는가 볼 수 있는 수준으로만 하고 에세이랑 활동기록으로 다방면에서 평가하는 게 맞음. 깊게 사고하게 한다고는 하는데 보통은 다른 사람이 해놓은 깊은 사고를 외우는 거지. 수학의 정석 실력문제 반 이상 자력으로 푸는 사람 잘 없을걸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1:03 나 이거 너무 공감!!!
@sjmary08
@sjmary08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에 폭넓고 깊게 공부하라는 말씀에 기억에 남네요!! 경쟁하고 평가받는데 집중하지말라고 하시네요..
@user-db3vw6yu3s
@user-db3vw6yu3s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속시원한 소리 들어봅니다… 교육과정은 문제가 없고 교과서가 진짜 잘 만들어진건 맞는데 사회구조상 경쟁체제가 너무 심하다보니까 수능이 이상해진거 같아요.
@pAO29Ex
@pAO29Ex Жыл бұрын
허준이 교수는 검정고시 쳐서 수능 남들처럼 보고 정시로 서울대 갔음
@thepatriarch0314
@thepatriarch0314 Жыл бұрын
경쟁 체제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그게 과잉이 되어 피로한 사회가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수능 제도(정시)는 올바른 제도라고 봅니다. 교육도 학술 중심 교육으로 가는 게 옳다고 봅니다. 그래서 사걱세같은 꼴통은 싫죠. 하지만, 지나친 경쟁은 개개인을 피로하게 만들고 정신적으로 피폐하게 만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둘 사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제도적으로 필요한 것이죠.
@user-br7qy4rd6f
@user-br7qy4rd6f Жыл бұрын
@@pAO29Ex 그때 그래서 수능 힘들어하셨다고 했음
@mayjay29uup
@mayjay29uup Жыл бұрын
멋있다
@Zeddy272
@Zeddy27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흔히 하는 착각중의 하나가 한국만이 수포자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생각하고, 이게 문제라 생각하는데..이 자체가 잘못된 출발입니다.국민의 80% 정도가 대학을 가는 나라.중국, 한국, 일본 빼고는 떠오르지가 않네요🤔 서양에서 수포자가 이슈가 안되는 것은 대학이 강제가 아닌, 즉 다시 말해 수학이 강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수학은 재미있지만 누구에게나 어려운 학문입니다.예를 들어 대학입시에 농구가 필수라면 농포자는 안 나올까요?미국도 수학과 대학이 필수라면 우리와 별반 상황이 다르지 않습니다.그리고 사실상 미국에도 사커맘이라 그래서 아이비리그 또는 상위권 목표로 하는 한국 엄마와 별반 다르지 않은 치마폭 문화는 이미 있습니다. 한국만의 교육과정이 문제가 아니라 작은 영토, 자원의 부재가 태생적으로 문제라 생각합니다.만약 한국도 대학이 선택이었다면 지금과는 상황이 달랐을겁니다.🤔 4차 산업 혁명의 시기에 AI와 양자역학에 어마어마한 국가예산을 쏟아부으며 앞으로 치고 나아가는 중국과는 달리, 한국은 아직도 여전히 정치와 사회 문제 일순위는 집값 잡기인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허준이 교수님의 필즈상 수상은 너무 기쁘지만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사실은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네요😥 이것은 국적을 미국으로 선택한 허준이님의 선택을 비난하는 것이 아닌 인재를 미국에 뺏길 수 밖에 없는 한국의 현실이 서글프다는 얘기입니다.
@doridotos
@doridotos Жыл бұрын
알지도 못하면서 길게 써놨네
@slee8601
@slee8601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수학교육이 다른 곳보다는 낫죠. 하지만 최상위권 기준 이런 단점이 있다 말씀하신거고. 한국이라고 그렇게 넓고 깊게 파고 싶은 애들이 없지 않을텐데, 그런 애들이 발굴되지 않는 시스템적인 오류에 대해서 한 말씀하신거 아닐까 싳습니다. 교육 전반적인 문제라기보다. 그리고 정치인도 아닌데 국적 군필 좀 따지지 마세요. 이런 사람들 데려다가 서울대 카이스트 교수시켜야 우리나라 발전이 있는 겁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자문만 받아도 우리나라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들 국내에 좋은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해외로 이공계 박사 인재 유출이 많은건데, 님같은 사람들이 세치혀로 내뱉는 이런 말은 국익에 전혀 도움되지 않습니다. 삼성 다니는 사촌이 유학중에 영주권 신청을 하더군요. 혹시 몰라서 해둔다고. 아이 둘 딸린 사십이 목전인 가장인데, 사십 넘으면 명퇴해야할지도 모르는 직장에 뼈를 묻으라고 할 수 있습니까? 박사 유학까지 하고 치킨 튀길지도 모르는 미래가 기다리고 있는데.
@pAO29Ex
@pAO29Ex Жыл бұрын
1. 미국도 수학이 그냥 재밌는 아이(평범 주립대)와 수학이 재밌고 잘하는 아이(명문대)는 다릅니다. 스탠포드 교수였고 현재 프린스턴 교수인 허준이 박사 말대로 미국 명문대에서는 한국 출신 학생의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아시아 출신은 무리의 평균은 높지만 최상위권의 실력은 매우 빈약합니다) 2. 수학은 수학 그 자체로 중요하지 근미래의 산업의 경쟁력을 위해 강화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AI 시대에 노동자 생산 위주 교육은 맞지 않지요. 한국 개발자들은 남의 것 따라하고 익히는 데에 정신이 없는데 한국의 수학과 공학을 위해 당장 필요한 것은 인구/주택 밀도의 감소와 집에 창고입니다. 그런데 아파트 공화국에서는 통일이 되지 않는 한 창고 있는 집 보편화되기 힘들죠.
@origkik
@origkik Жыл бұрын
저런 사람이 나오려면 그만큼 인력 풀이 많아야, 나올 확률이 커지니까 그렇죠. 특히, 자원없는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인재의 중요성이 크고요. 그리고 인재를 판가름하는 쉬운 방법 중에 하나가 - 이렇게 말하면 안타깝지만, - 수학, 물리학 등의 과목이지요.
@user-le1tv8fj7m
@user-le1tv8fj7m 5 күн бұрын
자 집값은 이제 한풀 꺾였으니 이공계에 투자합시다😅😅😅
@user-zq1om3te8s
@user-zq1om3te8s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모든 학생이 국영수과사 등등 모든 과목을 전부다 잘한다는거 자체가 이상한거 아님?ㅋㅋㅋㅋ 모든걸 다 잘흡수하고 잘하는 애들이 있는가 하면 수학은 엄청 못하고 국어는 엄청 잘하는 애들도 잇고 뭐 다 그런거 아니겟나.... 빨리 깨우치고 잘되는 방향으로 가야지
@mintprape
@mintprape Жыл бұрын
@문현식 뭔 말도 안되는 소리임? 님 말대로라면 세상 모든게 국영수면 국영수 잘하면 그림도 잘 그리고 체육도 잘하고 개발도 잘하고 노래도 잘하고 춤도 잘 추고 바둑도 잘 두고 게임도 잘하고 사업도 잘하고 요리도 잘하고 술도 잘 마시고 세상 모든걸 다 잘하겠네 ㅋㅋ
@mintprape
@mintprape Жыл бұрын
@문현식그런 헛소리나 하니까 님이 아무 분야에서도 정상에 못오른거임
@pAO29Ex
@pAO29Ex Жыл бұрын
@@koidance 님이 쓴 막줄에 답이 있네요. 그런 기본 독해력 즉 정보를 받아들이는 가장 일반적인 능력이 국영수입니다. 그걸 잘하면 일단 주변이 지잡대 시장통 할렘이 아닌 환경에서 학문이든 사업이든 취직이든 시작을 하게 되는 거죠.
@dj-pf4cj
@dj-pf4cj Жыл бұрын
@@koidance 근데 국영수 잘한다고 꼭 사회에서 성공하는건 아니지만 꼭 성공하는 사람 보면 전부다 고등학교 수준이 학문은 가지고 논사람이 대부분임 솔직히 한국 교육 비판하니까 뭣도 모르면서 비판하는 애들이 대부분임 솔직하게 점점 4차산업이다 뭐다해서 사회나 자본시장 기업에서 요구하는 두뇌수준은 높아져 가는데 기본적은 중등수학 고등수학도 제대로 못하면서 무슨 창의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키워내는게 한국 교육 타령 이타령인지
@10bega
@10bega Жыл бұрын
다잘해야된다 결국 ㅋㅋ 허준이 교수님이 넓고 깊게 파라고 하는 말씀하시잖냐 ㅋ 특정분야만 알면 그냥.공장부품이되는거야
@user-np9dx8ww6t
@user-np9dx8ww6t Жыл бұрын
담백하다
@user-ns5xe8tv7z
@user-ns5xe8tv7z 7 күн бұрын
저렇게 머리좋은 부모는 잔소리 안해도 자녀들이 천재적인 인재로 자라남. 결국 DNA.
@jypark2934
@jypark2934 Жыл бұрын
진짜 존경합니다
@dmgmaxify
@dmgmaxify Жыл бұрын
2:01 공감합니다!
@user-kw5cx1tf5l
@user-kw5cx1tf5l Жыл бұрын
내가 처음부터 알아봤어 수학은 세상이야 허준이는 세상의 중심이야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좋게 이야기 해서 한국 출신 학생들이 준비가 부족하고 능력이 부족하다는 말을 아주 젊잖게 말해서 그렇지, 한마디로 불쌍하고 어리석다는 것이다. 그 많은 공부를 고생하면서 하고, 다른 문화권에서 오는 수 많은 학생들보다 한참 부족하다. 참으로 한국 교욱의 정책자들이 정말 반성해야 한다.
@jhpark5459
@jhpark5459 10 ай бұрын
저는 수학을 좋아합니다!~~ 수학의 본질은 자유로움에 있다
@jongkeumchoi3521
@jongkeumchoi3521 Жыл бұрын
11:06~13:06 호기심을 잃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해가며 연구에 매진하도록 하겠습니다.
@rhosoojin191
@rhosoojin191 Ай бұрын
저출산이 심화되서 수험생보다 대입정원이 몇배가 되면 한국의 입시문제가 해결될 수도 ㅎㅎ
@iolalife8707
@iolalife8707 Жыл бұрын
저건미국이라 가능해요
@user-uh4mb3hh2u
@user-uh4mb3hh2u Жыл бұрын
ㅋㅋ 단이 얘기 너무 웃겨요
@DanJJSTChoi
@DanJJSTChoi Күн бұрын
자녀들이 공부를 잘하려면 부모가 충분히 기다려줘야 함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16:08 의외다... 내 추측엔, 박사님은 애들이 현실에서 문제거리 가져오게 할 줄 알았는데...
@pAO29Ex
@pAO29Ex Жыл бұрын
그건 공학의 목표이지 수학이나 과학의 목표는 아니니까요
@user-mi4jt7ng3l
@user-mi4jt7ng3l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교육상 일단 대학을 가야 적성을 펼치든지말든지 할거아닙니까
@user-hb2en5vw4e
@user-hb2en5vw4e 4 күн бұрын
수학을 공부헤야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내 취미는 잠이나 수영ㅋㅋ
@CourtneyW-jr6fx
@CourtneyW-jr6fx 11 ай бұрын
Wheres the husky botato
@Glorusi55
@Glorusi5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이고 이미상위권 애들이 의대가는걸 선호하는거 보면 말다했지
@sd68127
@sd68127 Жыл бұрын
반박하려면 필즈상타고와야됨ㄷㄷ
@hjk9222
@hjk9222 Жыл бұрын
스파클은 좀..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어려워 하는 사람들에게 ㅁㄹ하는 수학의 매력? 어떻게 수학을 공부해야 하나? 라를 질문과 같은 맥락에서 내가 저 말을 해석해 주겠다. (내가 항상 해주고 싶었던 말이기도 하다.) 수학이 나도 무척이나 재미 있었던 학문이고, 신비롭게도 느꼈던 학문이다. 만일 수학이나 물리학만을 공부할 수 있었다면 무엇인가 남길 수도 있었던 사람으로 한국교욱체계를 비난한다. 어째든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서, 수학은 누구에게도 재미 있는 것이다. 그러면 왜 재미 없다고 하는가? 딱 두가지다. 하나는 경쟁이다. 이 경쟁구조가 가장 큰 이유이고, 이것이 다른 모든 이유를 만든다. 그리고 두번째는 앞에서 말한 경쟁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올바로 공부하는 수학 공부 방법을 버리는 것이다. 내 말을 이해하는 사람이 있으려는지 모르겠다. 한국의 생각 못하는 인간들이 알 수가 없다. 안다고 하는 사람들은 착각이다. 내 말을 안다면 너는 이미 깨달은 사람이다. 그렇게 쉽게 알수가 없다. 그냥 멀리서 달이나 태양을 본다고 알수 없다. 그와 같다.
@user-re9rb8bl7u
@user-re9rb8bl7u Жыл бұрын
전 깨달았습니다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user-re9rb8bl7u 축하 합니다. 노벨상 하나 타세요.
@user-lx4vt8zn4k
@user-lx4vt8zn4k Жыл бұрын
그냥 유전자 지능이 우월한거지 ㅋㅋㅋ
@user-vz7ou9kk3r
@user-vz7ou9kk3r Жыл бұрын
일반고에서 힘들어하다. 자퇴 대성학원에서 재수해서 서울대 가심 대치동 학원이 수재를 어떻게 길러내는지 알겠냐 ㅋ
@karuna9211
@karuna9211 Жыл бұрын
다른 곳에서 보기로는 시인이 되려고 학교 공부가 필요 없어서 자퇴한 걸로 아는데요. 물론 이 분은 여기저기서 다 이야기하듯이 수학 말고는 다 잘했다고 하니 꼭 대치동 학원이 일반고 낙오자를 끌어올려 수재를 만들었다고 하는 건 과장이 아닐까 합니다. 중고등학교 다닐 때까지만 해도 스스로를 천재에 가깝다고 여겼다고 하니까요. 아무리 사춘기 자뻑이라도..
@morrischun2596
@morrischun2596 Жыл бұрын
American june hur have a nice time in korea!!
@deleted_user_7392
@deleted_user_7392 Жыл бұрын
대본 읽는 것처럼 말하네 ㅋㅋ
@sc3651
@sc3651 Жыл бұрын
허준이 교수님같은 아들 세계적 컴퓨터개발자 만들어 보기 위해 미국입시로 방향 틀었어요.잘 하고 있네요..확실히 미국 교육 스타일이 합리적인거 같고 우리 아들같이 느린 영재한텐 맞는 시스템 같습니다..휴 근데 돈 마니 벌어야될거 같네요^^
@user-wf2kx4mc5e
@user-wf2kx4mc5e Жыл бұрын
PRIDE OF THE U.S.A! JUNE HUH!!!
@user-wf2kx4mc5e
@user-wf2kx4mc5e Жыл бұрын
@@romikim4548 '인문학과 수학작 사고의 무덤인 한국인다운 댓글' 예. 이제 한국 최고의 댄스가수 유승준 국내에서 보고싶네요. ^-^♡♡
@slee8601
@slee860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왠 뜬금없는 반미운동? 국적이 달라도 당신보다 국익에 훨씬 도움될거임.
@user-wf2kx4mc5e
@user-wf2kx4mc5e Жыл бұрын
@@slee8601 'ㅋㅋㅋㅋㅋ 왠 뜬금없는 반미운동? 국적이 달라도 당신보다 국익에 훨씬 도움될거임.' 미군 물러가라고 했나?
@lukecatalan6611
@lukecatalan6611 Жыл бұрын
저분 허준이 나오는 영상 하나하나마다 '미국의 자랑! 허준이!' 댓글 도배하고 다녀요 ㅋㅋㅋ 얼마나 아니꼬왔으면 ㅋㅋ
@user-wf2kx4mc5e
@user-wf2kx4mc5e Жыл бұрын
@@lukecatalan6611 "저분 허준이 나오는 영상 하나하나마다 '미국의 자랑! 허준이!' 댓글 도배하고 다녀요 ㅋㅋㅋ 얼마나 아니꼬왔으면 ㅋㅋ" 자랑스러워서요. ㅋㅋ
@sundamlee5218
@sundamlee5218 7 күн бұрын
걍 학교에 평가문화 없애야 할듯요
@DanJJSTChoi
@DanJJSTChoi Күн бұрын
필요함 평가는 없으면 안 됨 차라리 특정과목에 집중할 수 있게 해 주는게 필요함
@jinyongoh
@jinyongoh Жыл бұрын
흰머리가 없으시네요. 신기하네
@bkkim5244
@bkkim5244 Жыл бұрын
30대임
@mongsilfamily
@mongsilfamily Жыл бұрын
허준이 교수랑 현우진 강사랑 누가 수학 실력이 더 위인가요?
@illl9337
@illl9337 Жыл бұрын
교수가 수학을 잘하나요 대학교 학생이 잘하나요?
@user-re9rb8bl7u
@user-re9rb8bl7u Жыл бұрын
갑갑하다,
@user-lr2dg7zb1m
@user-lr2dg7zb1m Жыл бұрын
고등수학 이랑 대학수학 이랑 비교불가 에요
@user-mw3ui4cf9t
@user-mw3ui4cf9t Жыл бұрын
고등수학만 가지고 비교한다면 현우진이 속도적으로는 압도하는데 수학 자체만 가지고 비교하면 당연히 수학자가 이김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 Жыл бұрын
입시가 모든걸 망치는거지
@jake251ad
@jake251ad Жыл бұрын
군대라도 갔다왔으면... 그럼 국적도 한국 국적으로 더 완벽했을텐데... 아쉽네...
@pAO29Ex
@pAO29Ex Жыл бұрын
서울대 물리학과에서 전공 성적이 바닥이었는데 국적이 한국이었으면 군대를 갔겠죠 대신 적절한 나이(20대 중반)에 수학으로 방향을 틀 사실상 막차인 변경 기회는 영원히 없었음
@lukecatalan6611
@lukecatalan6611 Жыл бұрын
대신 필즈상을 못탔겠죠ㅋㅋ 저분은 현명한 선택을 한겁니다
@user-bc9ni9hm6h
@user-bc9ni9hm6h Жыл бұрын
K-교육에 대한 거침없는 평가를 들어보고 싶었는데 말을 아끼네요.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경쟁 중심의 교육이 학생들 개인에게는 명확한 동기부여로 작용합니다.
@wi2hsh481isj
@wi2hsh481isj Жыл бұрын
아닌 경우가 있기에 확실이라는 표현은 옳지 않습니다.
@user-du1qx1xx4e
@user-du1qx1xx4e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janesong4340
@janesong4340 Жыл бұрын
경쟁이 동기부여가 되는 사람도있고 앎을 즐거움으로 여겨서 동기부여가 되는 사람도 있고 다 다르지요. 조금만 달라도, 모나게 여겨서 정때리는 한국문화의 사람들한테 어떻게 거침없는 평가를 할 수 있을까요. 성정도 그런분이 아니신것같고. 답답하게도, 검머외라고 까대는 편협한 한국에사는 한국인들도 수없이 많더만요… 😮‍💨
@madeleinej1268
@madeleinej1268 Жыл бұрын
엥???
@minzy_93
@minzy_93 Жыл бұрын
원래 많이 배울수록 언행에 조심스럽고 뭘 모르는 애들이 이렇다 저렇가 말 많음
@user-ty9xv4gm5n
@user-ty9xv4gm5n 2 күн бұрын
망할놈의 대한민국 이미 끝났어~ 공교육은 무너졌고 사교육이 엄청난 경제규모를 차지하고 있는데 무슨 개혁이 되겠어~
@jongwoochoi8010
@jongwoochoi8010 Жыл бұрын
교육부도 수학 교육의 방향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면, 국민들이 개 돼지가 안 되고, 나아가 기득권층을 누르고 승리를 하게 됩니다. 기득권층을 이걸 원하지 않습니다.
@user-fc5wi8bn6x
@user-fc5wi8bn6x Жыл бұрын
언제적 기득권층 얘기ㅋㅋcs지식있는 제대로된 개발자들 없다고 난리인 데 뭔 교육을 제대로 안시킨다고ㅋㅋ안하는 게 아니라 못하는 겁니다 님말대로 기득권층이 지식갖춘다고 올라오는 걸 싫다고 해봅시다 근데 지금 상황은 노예를 써먹어야 되는 데 쓸 수 있는 노예들이 없는 상황이죠 교육부가 일을 못하니까 각 종 학원들이 잘만 받아먹고 있는 거죠 글구 21세기 대한민국에 뭔 기득권 드립입니까 기득권도 돈 벌어야 되는 데 이 상태면 노예들이 아예 생산성이 없어서 돈도 안나오는 상황입니다
@happydrawing7309
@happydrawing7309 Жыл бұрын
일본식 교육이 우리나라를 많이 망쳐 왔죠. 빨리 뿌리뽑아야하고, 친일정당도 빨리 뿌리 뽑아야지요
@user-nn6cj1tu8m
@user-nn6cj1tu8m Жыл бұрын
이게 팩트
@lawscool8359
@lawscool8359 Жыл бұрын
????
@user-nn6cj1tu8m
@user-nn6cj1tu8m Жыл бұрын
내탓이여야 하면 게으른 젊은 이들만 취직 안되고 백수여야 하지만 다수의 젊은이들 심지어 서울대 나온 젊은이들도 백수가 많고 심지어 박사급도 비정규직입니다. 이게 사회적 문제이지 내탓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지요. 앞으로 교육의 방향의 변화없이 계속 이런식이면 창의성이 떨어지고 그러면 기업 경쟁력이 떨지고 그러면 소수의 재벌들은 국제 경쟁력이 떨어져 눈을 국제 무대가 아닌 국내 무대로만 눈을 돌려 중소기업을 잡아먹거나 골목 상권으로만 눈을 돌리게 되는것이죠. 결국 나라 경쟁력이 떨어지고 일자리는 계속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면 국민들이 계속 가난해지는 것이죠. 그러면 멕시코나 일본처럼 소수 재벌과 기득권들만 부자이고 나머지 국민들은 가난해져서 노예같이 되는것이죠. 그래서 그들이 국민을 보는 눈은 개돼지 노예인 겁니다.
@yglee011
@yglee011 Жыл бұрын
허준이 교수는 서울대에서 히로나카 하이스케 석좌 교수님을 만난 것을 천운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단언하는데 만일 그분하고 인연이 없었다면, 국제 수학자 협회에서 공로를 인정받은 해당 문제를 40세 이전에는 풀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일본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 히로나카 하이스케 교수님.
@user-wf2kx4mc5e
@user-wf2kx4mc5e Жыл бұрын
일본 최초는 코니히코 쿠다이라 선생님.....
@Glorusi55
@Glorusi55 Жыл бұрын
그 교수 만난 다른사람은 운을 지발로 찬건가
[SNU Catch] Mathematics and Life of Fields Medal Winner June Huh
14:14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76 МЛН
진짜 수학 일타가 알려주는 수학 학습법
9:32
[승제튜브] 정승제 공식 유튜브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224 М.
[2022 필즈상 수상 기념강연 및 해설강연] 필즈상 수상 기념강연_허준이 교수
41:52
고등과학원 수학부 | School of Mathematics, KIAS
Рет қаралды 13 М.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과 슈카의 숟가락
27:4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755 М.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