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과 1차대전은 닮은꼴? | 전쟁사, 국제정세, 러시아, 우크라이나

  Рет қаралды 612,745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지식Play

Жыл бұрын

#전쟁사 #국제정세 #러시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침공과 1차대전은 닮은꼴?
21세기 긴 평화의 시대는 끝났을까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Пікірлер: 1 100
@ljs2358
@ljs2358 Жыл бұрын
15:08 우리는 전통적으로 남의 나라에 덜 개입하고, 우리가 정의롭게 살면 적이 우리를 안 건드릴 거라는 오랜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근데 그건 착각일 가능성이 높다. - 병자호란을 예시로 들며 말씀하신 교수님의 통찰력에 100% 동의합니다.
@nonzizoo
@nonzizoo Жыл бұрын
이건 명언 입니다
@user-uj2xc4sy3f
@user-uj2xc4sy3f Жыл бұрын
근데 우리나라 진짜로 착하게 살아왔긴 했음...
@user-mw9wf5wv5j
@user-mw9wf5wv5j Жыл бұрын
@@user-uj2xc4sy3f 착하고 싶어서 착한게 아니라 나쁘게 행동할 힘이 없어서 5천년내내 쳐맞기만 하니까 착해진거죠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왜란 호란 권위자 한명기 교수님도 같은 말씀을 하셨죠.
@Dubumental
@Dubumental Жыл бұрын
이와 비슷하게 일반인이 말하면 문화 사대주의자니 빨갱이니 하며 온갖 모욕을 받습니다 너가 정치인이냐 학자냐 난리납니다…. 지배이대올로기로 주입된 역사관은 그야말로 성역입니다 학력 배경 때고 누구라도 소신있게 자기 주관을 말할수 있는 사회가 아니면 역사가 재평가 되는 열린 사회로 나갈수 없습니다 엄숙한 터부로 말할수 없는 역사가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그저 내신점수 과목일뿐이죠 이렇게 자국의 역사도 부정하는 나라가 어떻게 국제사회에서 전통성을 인정받고 당당히 주권을 지킬수 있을까요 지금 현정부를 보면 참담합니다
@houseiilac2949
@houseiilac2949 Жыл бұрын
“그걸 깨달은게 아니라 우리는 억울한 일을 당했다“ 이 한마디가 한국인의 정체성을 관통하는 정수인 것 같습니다. 겁이 많은 민족. 그런데 시대는 우리가 가만히 있고 싶다고 그저 방관자로 가만히 두지 않을 것 같습니다.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Жыл бұрын
역사를 배우는게 자기반성을 하고 앞으론 이러지 말아야겠다는 걸 알아서 미래에 대처해야하는데 ‘우린 선량한 민족인데 주변이 죄다 나빠서 억울하게 당했다!’ 이러고 있음
@user-jr2em4lt8m
@user-jr2em4lt8m Жыл бұрын
우리가 가만히 있다고 인정받는것이 아니라 "비겁하다"라고 찍힌다는거죠. 중립이 이나 정의, 또는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비겁함"은 어디에도 끼지 못하는 어마 어마한 댓가를 요구할껍니다. 이제는 선택을 해야할 때는 맞습니다. 주고 받아야 한다라는 거죠.
@user-lc1fd9lq3l
@user-lc1fd9lq3l Жыл бұрын
@@user-ni7dj2oe2r 그게 유교사상이죠. 아직도 말만 유교를 혐오하지 전혀 달라진게없음
@user-ir5kk5wb6w
@user-ir5kk5wb6w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늘 둘로 분열해왔고 그 둘의 분열은 이도저도아닌 선택을 하게된것임 하나의 선택또한 자멸의 길일수도있음
@sineiraetstudio9444
@sineiraetstudio9444 Жыл бұрын
한 쪽을 선택해서 폭망할 수도 있지만, 아무 쪽도 선택하지 않고 3자로서 방관만 하고 있으면 결국에는 거의 확실하게 폭망할 것임. 이것이 국사와 세계사의 공부하면 얻을 수 있는 교훈임. 대한제국은 러일 전쟁에서 중립을 지켰지만, 일본이 러시아제국을 이긴 후 한반도에 대한 압도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그것이 결국 일제의 한반도병합으로 이어진 것임. 마찬가지로, 2차대전 전 독일의 제3제국(나치)과 영국 프랑스 등의 서유럽 사이에서 중립을 선언한 나라들이 있었음. 네덜란드, 벨기에, 스위스 등이었는데, 나치독일은 이들 국가들이 중립을 선언했다는 사실은 완전히 무시하고, 개전 후 곧바로 프랑스를 점령함과 동시에 네덜란드와 벨기에 등을 군사적으로 접수했음. 스위스는 그나마 산악지형 국가인데다 나치독일의 전쟁수행상 전략목표달성에 필요한 핵심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독일의 침공을 피할 수 있었던 것임. (그리고 나치독일이 석유 등 전쟁에 필요한 물자를 중동이나 남미등에서 수입하려면 독일 마르크화를 중개해 줄 국가가 필요했고, 금융업이 발달했던 스위스는 그 목적에 맞았기 때문에 독일이 중립국으로 남겨뒀던 것임.) 결론적으로, 중립을 지켜야할 때가 있고, 어느 한 쪽을 선택해야 할 때가 있다는 것임. 안타깝게도 한국이 미국과 중국 양쪽에서 꿀을 빨 수 있던 시기는 끝나고 있음. 역사는 선택을 해야할 때 중립으로 남아있으려고 고집을 부린 국가들은 예외없이 혹독한 댓가를 치렀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음.
@Hyucklee73
@Hyucklee73 Жыл бұрын
17:56 "협상이란 것은 내 손에 총이 있을때 하는 것"이라는 마피아 격언을 떠올리게 되네요. 참으로 공감합니다
@user-returnfromhell
@user-returnfromhell Жыл бұрын
16:07 와 이건 진짜 맞는 말.. 억울한 것만 기억하고 어떻게 하면 재발하지 않을까는 전혀 생각 안하는게 한국인들의 현실.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역사란 그저 한, 억울함을 기록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음. 한국사에서 교훈이란 건 존재할 수가 없음.
@hlee3584
@hlee3584 Жыл бұрын
와 ㅋㅋㅋ 공감하고가요! 억울함ㅋㅋ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Жыл бұрын
학폭 당하고 방구석 폐인되서 미래 생각 못하고 빌빌대는 찐따같음
@user-bd5qm2zv9b
@user-bd5qm2zv9b Жыл бұрын
생각하지 않는 건 아님 그런 인물들이 주요 직책에 많이 포진하지 못하는 게 한국의 현실이라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인 듯
@yjh4723
@yjh472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이 외교를 못하는 이유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4 ай бұрын
일본 학자가 "한국은 도덕 쟁탈전을 벌이는 하나의 거대한 극장이다" 라고 했죠. 그저 도덕만(지적질) 최우선으로 하고 , 선비질만 하면서 안주 하는 국민성 이죠. 조선 500 년간 같은 민족을 노비로 부렸죠. 누구 하나 노비 해방을 외치지 않았죠. 그저 선비질만 하구요.
@user-ks5zy4of1r
@user-ks5zy4of1r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국방 채널 전쟁사에서 재밌게 보고 이렇게 김지윤 박사님 채널에 나와서 더 반갑네요 앞으로도 두 분 다 건강하시고 즐겁고 행복한 나날들 보내세요~😃
@user-kd4fn2pv8k
@user-kd4fn2pv8k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 반갑네요.
@user-gd7li8ts3g
@user-gd7li8ts3g Жыл бұрын
⁹8ㅂㅃㅁ
@usersuperdopa
@usersuperdopa Жыл бұрын
앞으로 기분 개같으면 너부터 갈굴거야
@user-vn8bl8mc4t
@user-vn8bl8mc4t Жыл бұрын
유튜의 순기능 똑똑하시고 배우신 분들의 지식을 보다 쉽게 획득 할수 있다는 점. 너무 감사합니다.
@user-ny2nx2fg2f
@user-ny2nx2fg2f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틀렸어요. 분명 1. 승패의 기준이 정해진건 없다 2. 설령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점령하더라도 얻을건 없다. 3. 그렇기에 러시아가 이길수도 없는 전쟁을 일으킨게 착오다. 1번때문에 2번3번과 그 뒷얘기 전체가 부실해졌습니다. 전쟁은 브렉시트와 유럽내부갈등, 트럼프 유럽때리기. 그리고 코로나로 인한 자국이기주의. 국경폐쇄로 갈등심화. 중국의 부상에 우크라이나까지 유럽에 밀착하려하자 푸틴이 전쟁선포를 했습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에 친러도 많고, 전쟁이후 동부크림반도 근처 육상 지역을 점령했고, 나토는 별명이 이빨빠진나토고. 언론방송과 달리 유럽초물가상승에 각국이 나서지 않고. 친러국가로 돌아선 나라들이 더 많고. 미국의 은행은 파산하고 강달러에 다른 나라 불만은 많고... 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세계농업시장 3위와 1위인데. 난방비도 감당못했던 영국상황에서 빵값과 유류비 상슴 그리고 프랑스 시위. 또, 우크라이나 동부권은 천연가스가 있음. 근데 방송에서 안 나오지만 우크라이나가 온전했다면 러시아 가스밸븜을 막을 수도 있는 땅이었음. 그런데 이제 그게 끊긴것. . 희망회로와 달리 국제정세는 다르게 흘러감. 미국신문과 타임지보다 부정확하고 편파적인 한국신문...그리고 카더라와 부정확한 유튜브에 비판기능없는 사람들
@mhroh7580
@mhroh7580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스탠스에 관한 부분은 정말 맞는 말이네요 아직도 우매한 이상에 빠져 중립을 지킬 수 없는 위치 임에도 중립이 마냥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안일함...
@user-pg1ir1xt8n
@user-pg1ir1xt8n Жыл бұрын
스위스인줄아는
@DC-jt7ye
@DC-jt7ye 4 ай бұрын
​@@user-pg1ir1xt8n스위스는 주변국에 양해를 구하고 영세중립국 한국은 그냥 미국 따까리 전장국가
@DC-jt7ye
@DC-jt7ye 4 ай бұрын
​@@user-pg1ir1xt8n맞는 말은 아프다.
@jshin5991
@jshin5991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최고십니다. 개인적으로 진짜존경하고 정말 지금과 같은 과도시기, 혼란기에 더더욱 조명 받아야할 지식인이라 생각합니다🔥
@Hoectun
@Hoectun Жыл бұрын
정작 러우전쟁은 예측도 못함 ㅋㅋㅋ 결과론만 지껄일 줄 알지 ㅋㅋㅋㅋㅋ
@Min.Kyeong-cheol7Div.637fa
@Min.Kyeong-cheol7Div.637fa Жыл бұрын
두분 박사님의 대담이 와닿습니다. "평화를 지키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할 때"라는 결어가 특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의 내적 원인이 무기가 없을 때라고 하신 말씀이 각 국가지도자들이 새겨두어야 말씀을 하셨습니다. 정말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속에서 대만해협과 남중국해 문제는 우리나라와 뗄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는 데에 외면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수출입항로의 주요 통로가 그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줄타기만 할 것이 아니라 힘을 갖춰야 할 이유가 있다고 봐야 하는 것입니다. 힘을 갖췄을 때에 자유와 평화가 보장된다는 교훈을 잊어서는 안되겠습니다.
@chanokim
@chanokim Жыл бұрын
편집자 상 주셔야 합니다. 자료의 충실성과 편집 리듬과 속도감이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게 만드네요. 편집자 대단해요.
@user-jn6hl1wh1x
@user-jn6hl1wh1x Жыл бұрын
두 박사님의 최상의 콜라보 ㄷㄷ 세계다크투어도 같이 겹치시고 여러모로 두 분 인연이 많으시네요. 김지윤 박사님이 토전사 팬이라고 하시니 두 박사님 팬으로서 정말 감개무량 합니다! 앞으로도 2차, 3차 아니 무한대 회차 부탁드립니다. 두 분 전공이 겹치는 부분도 많아 앞으로도 콜라보하면 극강의 시너지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 합니다!
@user-rw8bf7oj8c
@user-rw8bf7oj8c Жыл бұрын
ㅂ,0
@user-ev6zq7bx1f
@user-ev6zq7bx1f Жыл бұрын
핵무기가 파멸을 부른다고요??😢 우크라가 핵무기 폐기프로그램에 서유럽과 미국의 꼬드김에 속아 지금 대도시가 초토화되고 있다요😂 우크라가 지금 핵무기를 보유했다면 푸틴이 침공했을까요? 절대 안하죠😂 모스크바가 공중분해되니깐😢 여기서 교훈은 부칸 김정은이는 절대로 핵포기하면 골로 가는구나 란걸 자기 두눈으로 보고 느끼겠죠.. 이렇듯 전문가들도 이러케 관점이 다르니 전혀 다른 답을 만들어낸다요😅
@user-zx2ge2rz1d
@user-zx2ge2rz1d Жыл бұрын
학부도 같이 연대출신😊
@yjchoe1947
@yjchoe1947 Жыл бұрын
처음 박사님께서 "주먹이 있으니까 패고 싶지 않느냐." 라는 말씀이 현실주의 입장을 너무 잘 표현한 듯 해 빵 터졌어요ㅋㅋㅋ 우크라이나 전쟁 말고도 최근 시진핑 주석이 중국 군사 안보예산을 늘린다는 소식을 접했는데요, 국제정세가 어떤 방식으로 급변할지 감히 예측할 수가 없네요...ㅠ 늘 좋은 콘텐츠 감사해요, 박사님!❤
@yjchoe1947
@yjchoe1947 Жыл бұрын
@@0017shin 네 SMK 이해하신 바도 맞습니다. 저는 군사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국가가 낮은 국가에 전쟁이 걸 가능성이 높다고 이해했기에 저렇게 말한 것 입니다. 어찌되었든 핵심은 힘의 불균형이 전쟁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니까요.
@j-kl9ce
@j-kl9ce Жыл бұрын
개돌빡같은 비유임. 칼들고 전쟁하던 과거에나 맞는 비유지. 지금으로 치면 주먹이 아니라 잭나이프(핵무기) 하나씩 들고있는 셈임. 상대를 찔러 죽일 수 있지만 나도 분명 어딘가 찔릴거고, 재수없으면 싸움에 이기고도 죽을수 있는 상황인거지(상호확증파괴). 이런 상황이면 본인이 직접 칼을 휘두를까? 아님 옆에서 알랑거리는 꼬붕놈한테 대신 싸우라고 시킬까? 당연히 후자 아니냐? 그래서 대리전이 일어나는거다. 지금 우크라가 치르는 전쟁처럼. 미국은 절대 중러와 직접 싸우지 않는다. 대만 한국 일본을 시켜서 대신 싸우게 하겠지. 어느 한 편을 든다는게 총대 대신 매겠다는 거나 마찬가지다
@jacobcho97
@jacobcho97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보면서 너무너무 속이 시원해졌습니다. 딴 동네 전쟁이 우리와 무슨 상관이냐는 의견에 혼자 속앓이 할 일이 있었다보니, 오늘 두 분의 이야기가 너무 공감됩니다. 감사해요~♡
@dontblockme9441
@dontblockme9441 Жыл бұрын
양다리 전략이라는게 불가능한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없다는데 크게 공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점을 꼭 알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느쪽 편도 들지 않으면 우리는 괜찮을 거다 라는 허황된 망상 속에서 손 놓고 있는 현실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reaganreagan-xz5yr
@reaganreagan-xz5yr Жыл бұрын
양다리 정책 실패 사례: 김대중 햇볕정책, 노태우 한반도 비핵화 선언, 노무현 동북아 허브 정책, 문재앙의 김정은-트럼프 사이 중개자론 확실한 실리 정책 성공 사례: 미국이 반대한 이승만의 대한민국 건국, 케네디가 싫어한 박정희의 군사혁명 성공과 베트남 전쟁 참전
@caesar580
@caesar580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지금 대통령이 속으로 생각할걸 겉으로 까서 중국을 도발함. 중국 의지하는 경제를 생각하면 속에 비수를 숨기며 대만문제는 최대한 티안나게 준비해야 하는데 중국의 분노가 미국, 일본보다 한국을 더 향해있음. 언젠가 중국과 전쟁 하더라도 이런 방식은 아니지....
@user-vc8mc7go6v
@user-vc8mc7go6v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지네요ㅠㅠ임용한 박사님과 김지윤 박사님의 만남이라니ㅣㅣㅠㅠㅠㅠㅠ퓨ㅠ
@inseokhwang435
@inseokhwang435 Жыл бұрын
항상 깨어 있어야 하고 주변 국제정세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다시한번 깨우쳐 주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user-nr7zn3jv5q
@user-nr7zn3jv5q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굥완용은 희생없이 나라를 통째로 넘겨주는 거에요. 쉽게 통치하라고!
@hsbang438
@hsbang438 Жыл бұрын
@@user-nr7zn3jv5q 그새끼는 인민재판 해야해
@leeCHyu
@leeCHyu Жыл бұрын
​@@user-nr7zn3jv5q ㅋㅋ 문재인은 그래서 북한에 넘겨줄라고 가서 정은이 똥꼬빨면서 빌빌기다가 연락소 폭파당하고 헌법에 적힌 주적이 북한이라는 말도 못했냐??
@user-bd5qm2zv9b
@user-bd5qm2zv9b Жыл бұрын
​@@user-nr7zn3jv5q 나도 윤석열 정책들이 마음에 들지는 않는데 나라를 넘긴다는 말은 왜 하는 거임 ㅋㅋ
@user-xp9iv3od1r
@user-xp9iv3od1r Жыл бұрын
​@@user-nr7zn3jv5q 중국한테 굽신거리는 이재명 어리둥절.
@user-zy7eg8rd8q
@user-zy7eg8rd8q Жыл бұрын
억울한 과거때문에 현재에 우리가 택해야 하는 길이 오판되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임용한 교수님 자주 나와주셔서 미래를 보고 나아갈수 있게 강의 많이 해주세요
@nooneneedtoknow
@nooneneedtoknow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스트리밍에서 이 채널 스탭분들의 편집실력에 감탄을 몇 번을 하시네요. 진짜 인포그래픽이나 자료활용등이 깔끔하고 전달력도 좋은데 시간압축도 잘 된 것 같습니다. 뭣보다 영상에서 두 대담자 분들의 핵심을 잘 살린 편집이라 진짜 탑퀄리티 영상이 나왔네요.
@MAIHAMA7329
@MAIHAMA7329 Жыл бұрын
두 채널 모두 구독하는 구독자이고, 두분의 콜라보 소식을 듣고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었는데 정말 명불허전의 대담이었습니다. 게임의 룰은 바뀌었고 이제 우리는 선택을 해야 할 시간이 왔다... 정말 묵직하고 뼈아픈 분석인 것 같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야기만 나올 줄 알았는데 더 중요한 내용이 뒤에 있었네요. 정말 좋은 토크였고 앞으로도 두분 활동을 기대합니다.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Жыл бұрын
와.. 임용한 박사님.. 정말 좋아요. 저는 지금 정치를 하는 분들이 박사님의 얘기에 귀를 귀울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eeGangHwan
@LeeGangHwan Жыл бұрын
우와! 김지윤 박사님과 임용한 박사님이 같은 자리에 계시다니!!! 😮 두분 채널 다 구독중이라 더 반갑습니다
@tootoo9605
@tootoo9605 Жыл бұрын
15:59 "다른 사람한테 주지도 않고 받지도 않으면 맞을 일도 없다는 생각을 갖고 살아왔어요. 그게 언제 깨졌냐? 20세기 와서 깨졌어요." "(그런데) 그걸 깨달은 게 아니라 우리는 엄청 억울한 일을 당했다. 또 이것만 기억하고 오는 거예요." 이게 정말 한국인들에게 던지는 냉혹한 팩트폭력이다. 그간 수십년간 진행되어왔던 한국 역사 교육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보이는 듯하다. 어느 정도 나름 규모 있는 나라의 국민들 중에서 국제 문제, 국가적 문제를 쟤는 착하고 쟤는 나쁘고, 우리는 아무 짓도 안 했는데 쟤네가 우리 괴롭혔어 하는 식으로 파악하는 집단은 한국인들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miaaa1488
@miaaa1488 2 ай бұрын
윗분부터 이미 국제관계를 착하고 나쁘고 도덕으로 판단하잖아요. 그게 틀렸다는 겁니다. 힘이 있어서 다른 나라를 치는 걸 악이라고 규정하고 끝. 그게 아니라 그 역학 관계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하는 겁니다.
@user-xv8po6gt3e
@user-xv8po6gt3e Жыл бұрын
정묘 병자호란때랑 지금의 의식이 별로 차이가 없는것 같다는 말씀에 극히 공감합니다. 우리나라 역사교육에서 문제가 광해군의 중립외교라는 허상을 만들어내고 인조가 배금을 하니까 청나라가 조선을 침공했다라는 식으로 가르치니까 중립외교는 좋은것(사실 중립외교도 아니었지만)이라는 허상으로 가는것이 안타깝네요.
@yeongseokkim2193
@yeongseokkim2193 Жыл бұрын
진짜 문제에요 광해군 띄워주는바람에 사람들이 역사를 완전히 잘못알고 그걸 여기적용하려니 계속 이상하게 가죠
@Hoectun
@Hoectun Жыл бұрын
ㄹㅇ 광해군 왜 띄워주냐 정작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랑 적극적으로 맞서 싸운 북인들은 중립외교에 부정적이었는데
@user-jv4vh1er2b
@user-jv4vh1er2b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어떻게 가르쳐야되는지 로드맵을 가르쳐주실 수 있나용?? 듣고 참고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조선은 후금이 더 성장할 수 없도록 군대를 동원해 명과 선제공격을 시도해야했다?가 될 수 있을까요??
@user-xv8po6gt3e
@user-xv8po6gt3e Жыл бұрын
@@user-jv4vh1er2b 사실 조선은 그당시에 후금과 싸워서 이길만한 전투력은 전혀 없었습니다. 지훈우님께서 말한대로 명이랑 합쳐서 여진을 초반에 밟는건 세조때나 가능했지 광해군때의 사르후전투에서는 개박살이 났죠. 문제는 강홍립이 항복하는 과정에서 한 말이 너무 우리들이 듣기 좋게 해석된다는 겁니다. 후금이랑 싸우고 싶지 않았는데 어쩔 수 없이 왔다. 이거는 사실 굴욕적인 말입니다. 원병으로서 왔고 싸우다가 사로잡혔는데 사실 올 마음 없었어 하는건 살고싶어서 아무말이나 내던지는거죠. 이것이 광해군의 중립외교라 포장되는겁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항상 여진 거란이 중국을 정복하기전에는 한반도를 치고 들어갔습니다. 광해군때에 전쟁이 일어나지 않은것은 어디까지나 후금이 준비중이었던것에 지나지 않죠. 그런데 우리나라 교과서는 광해군이 중립외교 잘했는데 현실인식도 못하는 인조가 광해군 내쫓고 친명배금해서 전쟁이 일어난거다라고 가르치고 있는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임용한 박사님이 다른 영상에서 말씀하셨지만 중립외교는 힘이 강해야 성립되는겁니다. 스위스처럼요. 조선도 말년에 중립국선포했지만 일본이 상큼하게 씹었죠. 미중대립에서 우리 중립외교하자라는 말이 흔히 나오는데 중립외교를 지금 교과서에서 가르치는 중립외교로 받아들이면 큰일난다고 생각합니다.
@2rm730
@2rm730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광해군은 중립 외교를 하지도 않았는데 어이없음...
@user-xf6pg1db4y
@user-xf6pg1db4y Жыл бұрын
작위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휘말리지 않고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구나.. 세계시민으로서 의식 수준과 경제 수준 사이의 갭이 아직까지는 있을 수밖에 없는 게 자연스러운 일이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봤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언론이 해줘야 할 일을 수행하고 있는 박사님의 채널은 참 귀하네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4 ай бұрын
일본 학자가 "한국은 도덕 쟁탈전을 벌이는 하나의 거대한 극장이다" 라고 했죠. 그저 도덕만(지적질) 최우선으로 하고 , 선비질만 하면서 안주 하는 국민성 이죠. 조선 500 년간 같은 민족을 노비로 부렸죠. 누구 하나 노비 해방을 외치지 않았죠. 그저 선비질만 하구요.
@user-mx6jz9mq1z
@user-mx6jz9mq1z Жыл бұрын
김지윤 박사님이 전쟁사 대가이신 임용한 박사님을 모셔올 줄은 몰랐네요!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mcchurros1345
@mcchurros1345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은 언제 들어도 듣기 쉽게 이야기 해주시네요. 방구석에서 수준높은 두분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user-mb7pt3nt6s
@user-mb7pt3nt6s Жыл бұрын
세계정세 격변기에 무엇이 국익에 도움될 것인지 생각이 많아지는 영상이네요. 좋은 내용의 영상 감사합니다.
@user-mt7sw7fe3o
@user-mt7sw7fe3o Жыл бұрын
전쟁이 이래도 저래도 일어나는 것이라면 우리의 의지와 상관 없이 일어나는 것이라면 항상 전쟁을 준비하고 있는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다.
@user-db8ld1sb6u
@user-db8ld1sb6u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중국과는 경제를 미국과는 안보를 외치는 정치집단 부터 퇴출시켜야 함. 본인들도 그게 안된다는 것을 알면서 대국민 선동이나 하고 있으니. 강한 힘과 단단한 동맹만이 평화를 보장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동서고금 그리고 인류가 멸망할때까지 변할 수 없는 진리임
@user-cr3zd2cx9y
@user-cr3zd2cx9y Жыл бұрын
존경하고 좋아하고 박사님 두분이 함께 나오시다니 시너지가 배가 되네요 이런 기획 무척이나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wf6ng2rw7t
@user-wf6ng2rw7t Жыл бұрын
이시대 진정한 지식인 두분이 뭉쳤군요! 정말 좋은 자리 만드셨습니다 김지윤박사님!
@minjunseo9997
@minjunseo9997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다른 나라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에는 관심이 없던 제가 반성을 하도록 만드는 영상이었습니다. 앞으로는 남의 나라 일도 내 일처럼 생각해야 하겠습니다. 깊은 교훈을 주신 두 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os4137
@ros4137 Жыл бұрын
와~진짜 션션하게 말씀~ 너무 잘하시네요 김지윤씨가 왜 좋아하는지알겠어요!👍
@user-xn7lr6ym1q
@user-xn7lr6ym1q Жыл бұрын
중립외교 줄타기 외교를 외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정말 그게 가능한 시기인지 의문이 많습니다. 오늘 영상을 보니 그 의문이 더 짙어지네요. 이런 담론이 더 활발하게 논의되어서 우리가 어디로 가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지 그냥 남얘기만 듣고 판단하는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각자 진지하게 고민해 봤으면 좋겠네요.
@Kjy_Play
@Kjy_Play Жыл бұрын
고민이 묻어나오는 의견과 댓글 감사합니다.
@user-ll7yg4kp3x
@user-ll7yg4kp3x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지리상 절대 중립이 안되죠 ...명청시대만 봐도...외교를 잘해야 살아남는 현실....
@newtern1
@newtern1 Жыл бұрын
지금의 한국은 선진국에 속하지만 식민지배에서 해방 후 전쟁에서 승리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군사력 6위라도 강대국은 아님 전쟁에서 승리를 맛본다면 강대국 대한민국이 되고 세계에서 강대국 이미지와 세계를 이끌어갈 위치가 올라감과 동시에 자리가 굳건해지고 발언하는 목소리가 강해지고 영향력 있게 되어짐.
@DoneJinx
@DoneJinx Жыл бұрын
@@djcjfisjsq ㄹㅇ 스위스가 군사력 잘 증강해서 중립국화 성공했다라고 하지만 스위스 은행이 없었으면 중립국화 못 했음. “날 건드리면 너도 ㅈ 되는거야” 싶은 어떤 게 없으면 중립국화는 못함. 그냥 괴뢰국화 되는거지. 북한이 핵무장한 이유도 이거라고 생각함. 북한은 적어도 미국도 중국도 러시아도 못 건드리는 국가라서 사실상의 중립국이라고 보면 됨. 북한이 중립국이라는 것은 물론 북한이 중러와 동맹이지만 전쟁이 정권에 위협이 된다면 중립을 외칠 수 있는 결정권이 있어야 됨. 그걸 보장해 주는게 핵무기고. 만약 미국이 중국에 전쟁을 선포한다면 한국은 중립을 외칠 수 있을까? 이게 중립이 가능한 나라와 괴뢰국의 차이라 생각함.
@scv7321
@scv7321 10 ай бұрын
@@newtern1 6위이기 때문에 중립도 가능한겁니다. 청나라 명나라때 비교하면 안되죠.. 그리고 우리는 북한과 전쟁중이기 때문에 대만 문제만큼은 중립 박아도 될 명분은 충분히 있습니다.
@danielc9986
@danielc9986 Жыл бұрын
정곡을찌르는말씀들에 많은공감을하게됩니다.^^
@user-td4gf1ff8w
@user-td4gf1ff8w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지난 60년간의 평화시기는 유효기간이 거의 끝났기때문에 새로운 시대에 맞는 처방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인식은 항상 늦는다는 것입니다...하루라도 빨리 인식하고 준비할수있도록 통찰력있는 말씀 계속 부탁드립니다😅
@user-eo2kk7oy1d
@user-eo2kk7oy1d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영상 고맙습니다^^
@wakawakakilo5164
@wakawakakilo5164 Жыл бұрын
토크멘터리 전쟁사에서 항상 보던 분인데 너무 좋네요! 기대 만빵
@Pocari413
@Pocari41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아하시는 분이 오셔서 즐거워하시는 게 보이네요 영상 보면서 저도 즐거웠습니다 알찬 영상 감사합니다
@ph9304
@ph9304 Жыл бұрын
중립도 봐가면서 해야지 지금 세계화는 거의 종말인데 아직도 중립타령하는 버러지들한테 꼭 보여주고싶네요
@Poodle_Hong
@Poodle_Hong Жыл бұрын
명청 교체기 병자호란과 현재 상황 비교 멋졌습니다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gp5zt9xn1s
@user-gp5zt9xn1s Жыл бұрын
잠깐잠깐 등장하는 자료의 수준이 엄청 나네요 간단한 걸로 보이지만 나름 알아보고 공부해야 할 것들인데 대단합니다 진짜 명품은 디테일에서 수준이 다른 법인데, 매번 영상 볼 때마다 명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gatejojo9807
@gatejojo9807 Жыл бұрын
두분의 콜라보 금상첨화 입니다~현실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국가정책~
@NICKNAME-ig9vh
@NICKNAME-ig9vh Жыл бұрын
중립이라는 잘못된 키워드 때문에 현실을 똑바로 보지 못하는 겁니다. 이건 중립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갈등에 어느 수준까지 개입할 것이냐 의 문제입니다. 즉, 개입을 하냐마냐도 아니고, 과연 어느 수준까지 개입 하는 것이 적절할까 의 문제입니다. 당연히 개입의 단계를 높일수록 몇몇 주요국과는 갈등을 겪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게임에 참여하지 않고 방관할수록 정세가 우리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움직일 것입니다. 주변국들은 판을 조금이라도 자국에 유리한 상황으로 당겨오려고 애쓰는데 가만히 있으면 탈락자 자리에 가장 먼저 앉게 될 겁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한반도가 전쟁터가 되는 것을 막고싶다면, 그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가장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하는건 한국 본인입니다. 가만히 있으면 건드리지 않을것 같지만 그 반대입니다. 방관할수록 가장 큰 피해자가 되는 겁니다. 그 어느때보다도 국가의 명운이 걸린 발걸음을 적극적이면서도 신중하게 내딛어야 할 시점입니다. 어떻게 적극성과 신중함 그 두 가지가 양립이 가능한가 라고 묻는다면, 사람이든 조직이든 소극적일때 오히려 실수를 더 많이 하게 된다는 대답을 하겠습니다.
@NICKNAME-ig9vh
@NICKNAME-ig9vh Жыл бұрын
그 동안의 한미 간의 외교란, 2003년 이라크 파병과 2008년 한미FTA 라는 두 개의 거대한 토대의 연장선에 불과했습니다. 정작 저 정책들과 연관되었던 정부들은 엄청난 지지율 타격을 받았지요. 그러나 그 이후의 정부들은 선배 정부가 깔아놓은 포장도로 위를 편하게 걸으면서 그것이 마치 자기 업적인 양 포장하기에 급급했습니다. 중국이 부상하기 전까지 미국의 압도적인 질서 아래서, 세상에서 가장 손쉬운 외교를 해 온 주제에 말입니다. 그러나 2023년 현재 시점에서, 그 약발은 끝났고 이제 새로운 국면에 부딪혔습니다. 최근에 한국의 외교가 표류하는 이유는 최근의 정부들이 하고 싶은 것만 하려고 한 업보입니다. 마치 징징대는 애새끼 처럼요. 경제적으로 손해도 안보면서 안보도 보장받고 싶고, 또 국내 지지율도 높게 유지하고 싶고, 주변국과의 기싸움은 이겨야하면서 동시에 미국과 중국 모두로부터 돈을 벌고 싶은 것 아닙니까? 여기서 하나만 포기해도 국민들이 벌떼같이 물어뜯겠죠. 솔직히 지금까지는 저게 어느정도 다 가능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미국이 주도하는 질서 안에서 이라크 파병과 한미FTA로 설정된 한미관계를 끼고 편하게 걷기만 하면 되었거든요. 근데 이제는 그렇게 못합니다. 상황이 바뀌어서 그나마 덜 중요한것을 하나씩 하나씩 포기해야 한단 말입니다. 이제는 국민들도 꿈을 깨고 현실을 받아들여야 해요. 과거에 노무현 정부는 이라크 파병을 결정하고 지지기반이 다 날라갔는데 그것에 옳은 결정이었건 틀린 결정이었건 간에, 국가적 전략을 결정하는데 국민들 눈치나 보면서 방향타도 못잡고 벌벌 떨면서 해야할것도 못하는 몇몇 정부보다 그게 훨씬 낫습니다. 내가 누구들이라고 말은 안 하는데 절대로 대통령을 해서는 안되는 유형이 있습니다.
@seungwoochoi9619
@seungwoochoi9619 Жыл бұрын
좋은글 감사합니다!
@suquemi
@suquemi Жыл бұрын
캬 쓰레기 같은 댓글 중 유일하게 배우신 분의 안목에 박수칩니다.
@LivingUS2013
@LivingUS2013 Жыл бұрын
아니 임용한 박사님까지 ㄷㄷㄷ 섭외력 짱
@Kjy_Play
@Kjy_Play Жыл бұрын
회심의 섭외였습니다.. 제가 진짜 좋아하는 분^^
@user-hv5zu6yh6d
@user-hv5zu6yh6d Жыл бұрын
🎉와🎉 김지윤 박사님과 임용한 박사님의 콜라보라니!! 두분 채널 구독자로써 너무 기쁩니다❤❤
@Kjy_Play
@Kjy_Play Жыл бұрын
제가 진짜 토전사 & 임용한 박사님 팬이에요..!! 함상토론회에서 뵀을때 달려가서 소리지르면서 인사했다는 ㅋㅋㅋ
@user-kq6zb3fc8g
@user-kq6zb3fc8g Жыл бұрын
토전사 애청자입니다. 역시 안목이 있으십니다. 전 정주행만 5회중입니다.
@user-hv5zu6yh6d
@user-hv5zu6yh6d Жыл бұрын
​​@@Kjy_Play 저도 토전사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진짜 최소 1일1토전사 하는데 제가 너무 팬인 두 박사님이 콜라보를 하시다니!! 너무 행복하네요❤ 다음에 또 여러번 콜라보 해주세요!!!
@free-tw9bi
@free-tw9bi Жыл бұрын
@@Kjy_Play 토전사200회중 단연최고는 187화의 진주만공습편이엇습니다. 모든전쟁 대담영상의 초최고의 명강의..
@AARon-pi3or
@AARon-pi3or Жыл бұрын
@@free-tw9bi 저는 진주만 뿐만 아니라 일본 전국시대편도 정말 재밌게 봤어요. 한국사 제외하고 삼국지 만큼 인간 대소사가 있는 스토리가 있다는걸 처음 알게 되었어요.
@ewkpfjmsrpok
@ewkpfjmsrpok Жыл бұрын
항상 배우고 갑니다. 더 많은 컨텐츠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friendwhale8086
@friendwhale8086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감사합니다. 정말 알찬 내용이네요
@user-ig2bk3uj9c
@user-ig2bk3uj9c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통찰력 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user-it6tm3xt2i
@user-it6tm3xt2i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두 분의 콜라보도 좋은데 대화에서 나오는 통찰력에 감동합니다.😊
@user-wk1pv7dz5w
@user-wk1pv7dz5w Жыл бұрын
두분 박사님..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jq1oi9ke8c
@user-jq1oi9ke8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언제나 잘 듣고있어요
@dosert
@dosert Жыл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김지윤 박사님과 임용한 박사님이 같이 나오시다니 꿈만 같네요 ㅋㅋ 영상 잘 보겠습니다.
@changholee4554
@changholee4554 Жыл бұрын
아쉬움이 남은 짧은 영상이였지만, 고급영상이였습니다. 두 분 박사님과 재밌게 편집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user-zi9vk7ts5j
@user-zi9vk7ts5j Жыл бұрын
좋아요, 버튼 먼저 누르고 시청중입니다😊
@illilliill9213
@illilliill921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대담이네요 감사합니담ㅁ
@jaysonlim6777
@jaysonlim6777 Жыл бұрын
핵심을 꿰뚫는 머리와가슴에 확 와닿는 내용이였습니다. 단군할아버지의 탁월한 부동산안목때문에 자손들이 참 어려운 선택을 계속 하면서 살아가야지만 좀더 나은 세상이 되기위해 더욱 배우고 노력하고 변해가려고 해야겠습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user-qd1uc3rl1d
@user-qd1uc3rl1d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은 처음에는 좋았죠
@rein3712
@rein3712 Жыл бұрын
첨언하자면 단군할아버지가 최초로 터 잡으신 곳은 석유 천연가스도 나오고 농업생산력도 비료 안 뿌려도 되는 그런 지역이였습니다 그걸 뺴앗아간 중국한테 뭐라하셔야죠 ㅋㅋㅋ
@dokichiro
@dokichiro Жыл бұрын
스튜디오가 정말 예쁘고 인터뷰 분위기에 잘 어울립니다~!! ^^
@lyjun95
@lyjun95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지식, 감사합니다 박사님.
@FearnotOnly
@FearnotOnly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유익한 시간이였습니다. 다음에 다른 주제로 한번더 모실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VintageXO79
@VintageXO79 Жыл бұрын
오늘은 내용도 내용지만 제가 각각 TBS랑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사 하차하셨을 때 안타까워하고 분노했던 두 분이 함께 있는 모습 보는게 기분이 참 좋습니다! 사람들이 보는 눈이 없어서 자기들이 어떤 분들 놓친 지도 모르고 ... 두 분 같이 있는 모습 또 볼 수 있음 진짜 좋겠네요~
@lagnablade
@lagnablade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paulsaint2366
@paulsaint2366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이야기와 통찰 감사합니다
@user-mm6be1qv7u
@user-mm6be1qv7u Жыл бұрын
항상 유익하고 즐겁고 건전한 프로 ..잘보고있고 계속 잘 보겠습니다.
@joahsalami8567
@joahsalami8567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었어요 한국에서 세계, 과거까지 오가며 인사이트를 제시해주시는데 한 영상으로도 이런 기승전결이 있다니..!! 더 길었으면 좋겠는데 아쉬울 정도예요! 그리고 두 분 대화를 보는데 문득 김지윤 박사님이 적절히 서머라이징 하시는 것, 화제 연결하는 것에서 내공이 보였어요!! 지식 채널은 많지만 게스트가 오셨을 때 대화가 정말 군더더기 없다고 느끼는 건 이 채널만 한 데가 거의 없는 것 같아요ㅎㅎ 오늘도 잘봤습니다❤
@seansong75
@seansong75 Жыл бұрын
믿고보는 김지윤의 지식플레이!
@WEATHERARANG
@WEATHERARANG Жыл бұрын
아니 이 놀라운 조합을 보게 되다니!!정말 고맙습니다😃
@bichonfrise0000
@bichonfrise0000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 재미있게 말씀하시면서도 핵심을 정확히 짚어서 설명해주시니 이해하기 쉽네요 오늘 내용 너무 유익했고 다음에 또 모셨으면 좋겠어요
@user-bs1sw3vx6z
@user-bs1sw3vx6z Жыл бұрын
우아!!!!!!!! 김지윤 박사님과 임용한 박사님 조합 상상해봤었는데 현실이 되었네요..두분 정기적으로 콜라보 콘텐츠도 상상해봅니다.!!!!
@hjyj5403
@hjyj5403 Жыл бұрын
지식과 고견이 명품입니다.~
@user-zz1xo1wr5x
@user-zz1xo1wr5x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phochumong
@phochumong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시간 가는 줄 몰랐고 19분이라는 시간이 너무 짧았어요🎉🎉🎉
@narigosakamoto
@narigosakamoto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역사학자 임선생까지 섭외성공하셨군요 🎉 영상의 퀄리티가 날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
@user-mh7tb8ur8i
@user-mh7tb8ur8i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공부할 수록 세계사를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이 절실해 지더군요. 한국사만 배우면 일종의 국뽕 때문에 세계흐름을 못읽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대표적인게 광해군을 성군처럼 교육하는 것입니다. 광해군은 그 당시 기록을 보면, 양반층/백성층 모두에게 반감을 주는 인물이었습니다. 경제 성과로 꼽는 대동법도 광해군 본인은 극렬하게 반대했었구요. 외교는 친명이면서 반청은 약하게 했는데.. 광해군 시대는 누르하치 시대여서 만주족 내부 통일도 마무리 하지 못해서 조선을 칠 생각까지는 못했습니다. 인조시기에도 누르하치가 살아 있었을 때는 후금은 조선을 공격하지 않았었습니다. 청태종이 등극하면서 조선/내몽골을 본격적으로 침략하고 굴복시킨 후에 명 공격을 준비했죠. 이게 광해군의 중립외교로 둔갑해서 교육을 시키니 국민들의 역사이해가 많이 떨어지게 되었죠.
@user-jv4vh1er2b
@user-jv4vh1er2b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어떻게 가르쳐야되는지 로드맵을 가르쳐주실 수 있나용?? 듣고 참고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조선은 후금이 더 성장할 수 없도록 군대를 동원해 명과 선제공격을 시도해야했다?가 될 수 있을까요??
@njhok5360
@njhok5360 Жыл бұрын
​​@@user-jv4vh1er2b원댓글러와 비슷한 걸 느끼는 사람으로 말하자면, 한국사를 공부할 때 같은 시기에 다른 국가들의 모습을 같이 공부하세요. 타 학문(국제정치학,경제학)도 같이 공부하면서 거기서 얻은 관점을 적용하는것도 좋고요. 예를 들어 개화기를 공부하겠다하면, 당시 국제정치사를 다룬 책, 일본 근현대사를 옆에 펴놓고 하는 겁니다.
@LuvG2004
@LuvG2004 Жыл бұрын
제가 너무너무 좋아하는 두분을 한 자리에서 보네요 임용한 교수님 전쟁사 읽어 드립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user-fz5cl7ir6s
@user-fz5cl7ir6s Жыл бұрын
역시 임박사님. 머리가 띵하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MC-rn5vc
@MC-rn5vc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의 혜안은 항상 무릎을 탁 치게 만들죠!
@itarst
@itarst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을 타채널에서도 뵈니 좋군요😊
@user-vx6fe5pb7c
@user-vx6fe5pb7c Жыл бұрын
두 박사님 고맙습니다.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정말 두 분 다 좋아하는 분들이어서 행복하게 보고 갑니다.
@user-bi5ri4ul2l
@user-bi5ri4ul2l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임용완 박사님 마지막 전망.... 소름끼치게 딱 맞네요. 러시아 전술핵 배치 시작하는 시점을 보니...무장을 함으로써 평화를 지키려고 할 것이다. 군비를 감축함으로 평화를 지킨다는 어젠다는 이제 무너졌군요. 사실, 긴 평화의 시대는 어쩌면 그 여파일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대외적인 군비감축 선언은 결국 대놓고 주먹질은 하지 않겠다는 선언이었으니... 근데 그게 이제 깨진다면...한 20년간 군비증강의 시대가 온다면, 진짜 그 뒤엔 어마어마한 한방이 터지겠군요. 베트남전이나 중동전쟁이나 한국전쟁같은. 근게 거기에 강도를 수백배로 뻥튀기 시킨. 러시아가 밸라루스 지역에 전술핵 배치를 공언하고 핵협정을 사실상 완전 파기해버렸으니, 한반도에 미국 핵을 배치하는것도 먼 일이 아니네요. 중국 견제가 아니라 러시아 견제용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더 높아진듯. 우리에게 북한이 없고 통일된 국가였다면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비무장 완충지대 역할을 할 수도 있었겠지만, 북한이 머리 위에 딱 있으니...우리는 고종시대나 1950년대처럼 여전히 러+중-미 대리전 국가로 너무나 좋은 맵이네요 진짜...광해군 뺨치는 초초초초외줄타기 외교가 너무너무 중요한 시점이네요. 근데 일단 그 첫단추를............아 진짜 모르겠다...
@Jaguar-Hamm
@Jaguar-Hamm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의 중립외교는 서인들이 조작한거에요 실제로 대규모 군대 파병하고 몰살당함 머 밀지를 보냈다 이런거 다 개소리임
@user-vi4qk3ce5j
@user-vi4qk3ce5j Жыл бұрын
하루라도 빨리 쿼드 가입하고 대만을 도와야죠 계속 양다리하면 미국에 버림받고 중국 속국되는데 그래서 한 미일 동맹 이 중요 반일 자존심 개나줘
@batingro4000
@batingro4000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기존의 여야에서는 어떤 인물도 안보이고 정치판을 확 바꿀수 있는 바보같은 천재가 아니면 안되지요. 그 사람 바보같은 천재가 있지요. 허경영
@user-bd5qm2zv9b
@user-bd5qm2zv9b Жыл бұрын
​@@user-vi4qk3ce5j 응 일본은 빠져
@llilillillillil
@llilillillillil Жыл бұрын
@@user-bd5qm2zv9b 이딴 패배주의때문에 우리나라 망하는거임 일본없으면 지금 동북아시아 왕따인데 ㅉ 일본한테라도 붙어먹어야 산다
@user-pj1bp2vu6m
@user-pj1bp2vu6m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너무 멋있어요. ^_^
@coalissome
@coalissome Жыл бұрын
정말 감탄하면서 영상 시청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user-kh4po6no2f
@user-kh4po6no2f Жыл бұрын
두분 콜라보 자주 부탁드려요! 좋은영상 두분모두 감사드립니다 😊
@Chooyunchun
@Chooyunchun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임용한 박사님이랑 콜라보 하시다니 정말 좋아하는 두분이 같이 나와서 정말 좋네요 ㅎㅎ
@user-kc7xe4dm5v
@user-kc7xe4dm5v Жыл бұрын
최애 지성인 두분의 만남이라니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user-qj4cd1vf7m
@user-qj4cd1vf7m Жыл бұрын
ㄹㅇ 제일 좋아하는 지식인 두분이 이런 코너를 같이하다니 ㅠㅠㅠ 영상 너무 좋아서 오프라인 저장해놓음
@hunenori
@hunenori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의 마지막 멘트가 뇌리에 깊이 남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Harmony_Korea
@Harmony_Korea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 잘 보겠습니다
@user-yj4wr4ww4i
@user-yj4wr4ww4i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우리 나라가 경제 대국이라는 말도 있지만 현재의 저로서는 미래에 대한 대처가 참으로 미흡하고 극으로 치닫는 강대국들의 등살에 태풍 앞의 촛불 격으로 암담한 상황인 것 같아 마음이 아프네요. 부디 남의 잘못된 면만 보고 싸우는 한심한 정치인들이 많은 현시점보다 혜안을 가지고 준비를 하는 리더들과 그를 따르는 의식 있는 국민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TongQue1
@TongQue1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임박사님 모시고 양안전쟁에 대비한 한국 처신문제에 대해서 깊은 강의 한번 더 들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gdtt6485
@gdtt6485 Жыл бұрын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않고 속내를 들어 내지 않는 중립외교가 필요한데. 윤도리도리가 자기가 하는길이 옳다고 주장하는 주장외교를 하고 있으니 그게문제임. 외교라는건 자신의 길을 정확히 긋는게 아니라 언제든지 안전판을 만드는 작업인데, 윤도리도리는 줄긋기를해서 그게 문제라 보임. 한국의 처신이라는건 모자란 대통령을 뽑지 않는게 중요한것임. 외교라는건 줄긋기 줄서기가 아니라 그줄을 내가 재편할수 있는 판을 만드는 게임임. 그게 미국이 가장잘하는것이고. 힘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이걸 잘하느냐 못하느냐임.
@ebonytears6714
@ebonytears6714 Жыл бұрын
@@gdtt6485 중립외교? 영상은 다 보고 댓글 다는거임? 영상에서 주구장창 하고 있는 얘기가 중립외교로 박쥐짓 하는 시대는 이미 끝나고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시기라고 하고 있는데 윤석열이라고 자기 지지율 떨어질꺼 알면서 일본이랑 관계 정상화 했겠음? 미국에서 시키니까 하는거 아님. 박근혜가 멍청하게 친중짓하다가 미국한테 쪼인트 제대로 까이고 바로 위안부 합의 했었지. 할머니들 죽기전에 돈받겠다 했는데 정의연이랑 윤미향이가 방해한거고. 좌파판사가 국제법도 무시하고 멋대로 일본기업 자산동결 판결 내리면서 일본도 한국에 대한 신뢰가 아예 없어진거고. 김대중 정권 때가 가장 한국과 일본이 사이좋은 시기였다는거 알긴 함?
@authorpark6085
@authorpark6085 Жыл бұрын
@@gdtt6485 중립외교라는 건 이제 불가능합니다. 현 대통령에 대한 호오를 떠나서 그냥 실제로 그렇게 됐습니다. 한때는 문재인 대통령을 중심으로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외교전략이 성공하는 것처럼 보였던 시기가 있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참혹하게도. 0이 됐죠. 심지어 이제는 다시 중립외교를 말할 수는 없는 시기가 왔습니다. 지금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그런 얘길 할 겁니다. 왜냐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그 시절과는 비교할 수도 없이 깊어졌으니까요. 민주당이고 국민의힘이고 나발이고. 윤석열이 아니라 뭐 박정희 박근혜 이명박 심지어 노무현 김대중 대통령이 다시 살아 돌아오신다 하더라도 중립외교는 먹히지 않는 국제정세가 도래했습니다. 외교전략을 바꿔야 할 시기가 온 겁니다. 미국이 블록화를 진행하기로 마음먹은 이상 선택해야 한다. 선택의 시간이 이미 왔다는 얘기가 임용한 박사님이 하는 얘깁니다. 이해가 안가면 14:33부터 다시 보십쇼. 우리가 스위스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까? 진심으로? 우리가 그런 정치력, 외교력이 된다고 봅니까? 줄긋기 줄서기는 이미 시작됐고, 한국이 아무리 나는 줄서기가 싫어요 그거는 너희들 싸움이지 우리는 안싸워 해봤자 휘말릴 수밖에 없는 위치라는게 이 영상의 핵심입니다. 전혀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셨네요. 안타깝게도...
@myway_j_1418
@myway_j_1418 Жыл бұрын
​​@@gdtt6485 이걸 보고 그따위 해석을 한다고요? 정작 한국인의 OECD 문해 순위는 젊은 층은 최상위급이고 586 세대 이상은 최하위급이라더니 님도 486, 586 세대라어 문해력이 그런건가.....
@bichonfrise0000
@bichonfrise0000 Жыл бұрын
​@@gdtt6485 영상 제대로 안보신것 같네요
@yzr-m1102
@yzr-m110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구라철보고 구독,알람 하러 왔어요~ 웃는모습이 참 기분좋은 웃음입니다 앞으로 자주 올게요~~
@user-os2po3gy8k
@user-os2po3gy8k Жыл бұрын
두분의 콜라보 너무 좋아요
@user-zk8br6iw8c
@user-zk8br6iw8c Жыл бұрын
존경하는 두 분을 함께 뵙는 것도 좋았고, 내용도 좋았습니다. 전략적 모호성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주변 정세가 이전보다 긴박해졌다고 봐야겠네요. 엄중해져가는 현실이 무섭습니다. -_-;;;
@kaih1305
@kaih1305 Жыл бұрын
격동의 시기인건 분명합니다.... 진짜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중국과 미국의 전쟁도 안난다고 할 수 없는.. 어쩌면 전초전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미중관계에서 대한민국의 위치에 대해서 교수님의 너무 정확한 말씀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U-Da-Hee
@U-Da-Hee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 영상은 절대 못참죠~!
@user-mk1il1ic1c
@user-mk1il1ic1c Жыл бұрын
더 많은 정보를 기대 합니다 잘봤습니다 !!
@NICKNAME-ig9vh
@NICKNAME-ig9vh Жыл бұрын
'나만 얌전히 있으면 아무도 날 건드리지 않을거야' 라는 생각을 가졌던 국가들은 비참하게 패망했고, 조금이라도 자기에게 유리한 판으로 만들기 위해 국제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던 국가들이 살아남았습니다. 약소국은 약한대로 강대국은 강한대로 각자의 여건하에서 최대한 적극적으로 행동해야만 살아남습니다. 가만히 있는 사냥감은 가장 먼저 잡아먹힙니다.
@hyunjunyoo9436
@hyunjunyoo9436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너무 짧게 느껴질 정도로 유익한 영상이네요. 가능하다면 임용환 교수님이 한번 더 나왔으면 합니다.
@eugenejung7067
@eugenejung7067 Жыл бұрын
정말 깨달음이 많은 강의였네요
@oopdd4660
@oopdd4660 Жыл бұрын
오 정말 좋아하는 두분의 콜라보 이건 놓칠수 없군요
천안문 항쟁은 중국을 어떻게 바꾸었나 | 중국, 천안문, 중국사
13:51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테슬라 자율주행 FSD 12.3.6 드디어 받아 해봤습니다! 어느 정도 향상? 개입해야? $tsla #tesla Software 2024.14.9
18:39
빈 살만의 사우디가 특별한 이유! 중동이 세계를 지배한다?
15:22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756 М.
아베 전 총리 피살 1개월! 일본은 지금? | 개헌, 통일교
22:13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298 М.
중국은 왜 티베트를 포기 못할까? | 중국, 티베트, 분리독립
12:48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998 М.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국가간 격차가 존재하는 진짜 이유는?
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