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만 원짜리 일본의 국민 책가방, 란도셀이 인기 있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260,092

지식횡단

지식횡단

7 ай бұрын

일본만의 초등학생 책가방 문화 란도셀. 비싸고 무거운데도 인기 있는 이유는?

Пікірлер: 650
@manonle_v
@manonle_v 6 ай бұрын
전체주의도 전체주의지만 학교에 책을 못 두게 하는게 제일 나쁜 것 같다… 진짜 무거울텐데
@styrht8216
@styrht8216 6 ай бұрын
문제되서 요즘은 책 두고 다니게해요~
@user-nj3dy9we3d
@user-nj3dy9we3d 6 ай бұрын
​@@styrht8216오호~
@user-nq6dl3sk3z
@user-nq6dl3sk3z 6 ай бұрын
애들한테 참을성 키우게 하는 거라 우리 하고는 사고 방식이 다르지.
@user-vn4hc123tl2b-harp
@user-vn4hc123tl2b-harp 6 ай бұрын
갤럭시느낌..
@user-pz1oo6xy5m
@user-pz1oo6xy5m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노페패딩이 교복이였던적 있었자나 그거랑 똑같은 느낌이지 뭐 전체주의 타령?
@tmlee5844
@tmlee5844 6 ай бұрын
1학년 입학시 20kg 안되는애들도 많은데 책넣으면 10kg에 달하는 가방이라니.....
@user-yx5br2bp4x
@user-yx5br2bp4x 6 ай бұрын
그 말은 천가방에 넣어도 9키로란 말임 즉 가방이무거운건 가방무게문제가 아니라 학교에책을 못놔두게하는문제임
@tmlee5844
@tmlee5844 6 ай бұрын
​​@@user-yx5br2bp4x님 말도 맞지만 책 안넣어도 1.5키로는 무거움요. 그냥도 1.5라고 나옴. 한국에서 인기있는 제품 비교하면... 제일 무거운 봉통 뚜껑있는게 800대고 닥스 폴로도 무거운 축에 속하는데 650이고 제일 가벼운건 300그램대임... 100그램차이도 크다고 엄마들이 고민해서 구매함요.. 되게 열심히 여기저기 댓글남기고 계시네요. 물론 책 다들고 다니는거 개선되어야 할 부분 맞고 가방도 무거운게 팩트.
@lupin9305
@lupin9305 6 ай бұрын
@@tmlee5844걍 책 다 넣어다니게 만드는 문화부터가 문제가 맞고 요즘은 책 두고다니게 한다 함. 란도샐은 무게보단 교복처럼 회사끼리 담합해서 올려놓은 가격이 제일 문젠거고요.
@user-yx5br2bp4x
@user-yx5br2bp4x 6 ай бұрын
@@tmlee5844 1.5키로가 뭐가 무거워요 ㅋㅋ 보냉병에 물채워서 천배낭에 넣어도 그 무게 나오겠네..애들 유치원때도 소풍날이며 그정도 무게 잘만들고 다녀요 등에 맸을때는 무게가 분산되기때문에…학기초에 우리애들도 책 다 들고오면 어른이들어도 허걱 해요(책나눠줄때) 그 어떤 가방을 줘봐요 안무겁나.. 등에 매면 가방무게보단 어깨에 쿠션감 가방 바닥처짐 그런것이 피로도와 더 관련있어요 저 애 셋이고 막내가 중학생이에요 슐라젠부터 칸켄백 노스기능성부터 나이키 엘리멘탈천가방까지 가방만해도 종류 재질별로 많이 사봤는데 가벼운짐은 가벼운 가방이 무거운짐은 무게가 나가도 각이잡히고 탄탄한게 피로도를 줄여줘요 란도셀을 옹호하는게 아니고 한국이나 일본이나 가방무게때문에 10키로 운운하는게 말이 안되는거죠 초등가방이 10키로라 무거우면 애초에 가방무게와 상관없이 무거운걸 짊어지고 다니는거라구요..500그램가방이어도 9키로를 메고다니는거잖아요
@hmjeon8609
@hmjeon8609 6 ай бұрын
그렇게 언 무거워..
@aspiresamori9696
@aspiresamori9696 6 ай бұрын
신기하네..70년도에 봤었는데 아직도 변하지 않은 가방이라니…
@leeloolee777
@leeloolee777 6 ай бұрын
일본은 옷이나 스타일 같은 건 외국처럼 어떻게 입어도 남들 신경 안쓰면서, 이런 것들에선 콱 막혀있군요.. 아직도 카드보다 현금 위주이고, 관료주의에 집단주의 중심이라.. 바뀌기 어려운 것들이 분명히 존재하는군요. 좋은 설명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3248Mephisto
@3248Mephisto 5 ай бұрын
그것이 문화죠 뭐 ㅎㅎ 피해만 안 간다면 존중..
@user-pz1oo6xy5m
@user-pz1oo6xy5m 5 ай бұрын
노페패딩 같은 느낌이지
@Today-as-well_lilly
@Today-as-well_lilly 6 ай бұрын
세일러 복도 그렇고 란도셀까지 은근 군복에서 학교로 가져온 문화가 꽤 있었구나
@user-in1rq4wf9m
@user-in1rq4wf9m 6 ай бұрын
가쿠란은 프로이센군복 세일러복은 영국해군복 란도셀은 네덜란드군장 일본이 서양과 교역하면서 서구화에대한 열망을 드러내는부분이라 봐야합죠
@user-mr7io7gp6u
@user-mr7io7gp6u 6 ай бұрын
코트도 있쥬
@SyouBong
@SyouBong 6 ай бұрын
그래서 실제로 가쿠란 같은 옷 입고 다른나라 입국심사하러 가면 군인이냐고 묻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samy5930
@samy5930 6 ай бұрын
월요일 조회(점호), 교장님(대대장) 훈시, 조례+종례 모두 군대 문화죠~
@user-mv2vz6tj3h
@user-mv2vz6tj3h 3 ай бұрын
군대가 근대화의 상장이기 때문입니다. 교육한번 받지못한 서민층들도 군대를 통해 기본적인 사회화와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죠. 물론 동양이나 아메리카 원주민 등지는 다르긴합니다.
@doyle245
@doyle245 6 ай бұрын
무게에 제일 놀람.. 초등학생이 어떻게 8kg 가방을 메고 등하교를 하는지ㅎㄷ
@user-zp9gn4px8r
@user-zp9gn4px8r 6 ай бұрын
가방은 가볍고 사용하기 편리해야한다
@MSSSS-te9fw
@MSSSS-te9fw 5 ай бұрын
일본에 있을때 회사사람에게 물어봤더니 기본 6만엔정도는하는데 다른이쁜가방사면 어떻냐고 하니까 안하면 이지매 당한다고 합니다..
@user-fh7bq2fb4s
@user-fh7bq2fb4s 6 ай бұрын
저 란도셀 무게가 상당해서 아이들 어깨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어 일부 공립학교에선 천으로 만든 가벼운 가방을 들고 다니자는 여론도 있었는데 잘 안 되고 있는 듯 해요
@styrht8216
@styrht8216 6 ай бұрын
요즘 가벼운 란도셀도 많이 나오고 있어요~
@dupyohong7128
@dupyohong7128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책 무게만 할까ㅋㅋ
@TimothyPark0323
@TimothyPark0323 6 ай бұрын
가벼워도 결국 란도셀입니다. 태블릿 들고가는 날은 남성 어른에 들기에도 무겁네요
@nok3958
@nok3958 4 ай бұрын
이제는 연봉이 한국과 비슷하다는데 초딩 가방이 60만원이라니 ... 가방 회사 카르텔이 엄청 영향력을 발휘했을 것 같다.
@user-qo2rg8yf1g
@user-qo2rg8yf1g 3 ай бұрын
@@dupyohong7128일본 교과서도 똑같은데 갑분책무게ㅋㅋ
@michaelchoi898
@michaelchoi898 6 ай бұрын
드래곤볼 거북이 등딱지 수련이 왠지 여기서 파생된거 같은 너낌이네요
@DS-on2bb
@DS-on2bb 6 ай бұрын
😂😂
@user-ng9xz7zk3b
@user-ng9xz7zk3b 6 ай бұрын
지진전에 란도셀에 깔려죽것따 ㅋㅋㅋㅋㅋ
@user-qm3lc7ll8d
@user-qm3lc7ll8d 6 ай бұрын
일본은 진짜 옛날스러운걸 너무좋아해
@user-6626
@user-6626 6 ай бұрын
과거에 더 잘살앗으니 현실도피지 뭐 추억보정이거나
@qifjwjdjwjdjslaywq1tyh
@qifjwjdjwjdjslaywq1tyh 6 ай бұрын
@@user-6626 이게 ㄹㅇ인듯
@SyouBong
@SyouBong 6 ай бұрын
​@@user-6626뭐 그렇게까지 말하기 보다는 좋게 포장해서 낭만파라고 해 두죠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멍청하긴.. 영국 영향이다. 영국이 그러한 습성이 많은데 서구 문물 받아드리면서 그 습관도 들어왔다. 게다가 남에게 지베당한 역사가 없으니 더더욱..
@user-on9ch8nt9n
@user-on9ch8nt9n 6 ай бұрын
⁠@@SyouBongㅋㅋㅋㅋㅈㄹ
@user-vg3tg4ke6v
@user-vg3tg4ke6v 4 ай бұрын
일본 특유의 경직된 문화... 마치 모든 게 정형화 된 듯한 느낌이랄까? 멘트도 그런 것이 참 많아서 놀랄 때가...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경직되었는데 60년간 세계 2위의 착의적인 국가라..
@user-cv5sb3bc1o
@user-cv5sb3bc1o Ай бұрын
한국은 ㅋㅋㅋ
@myeonghuiyun8113
@myeonghuiyun8113 6 ай бұрын
우리 할머니께선 내가 어렸을 적에 무거운 거 들려고 하면 키 못 큰다고 절대 들지도 못하게 하셨는데.^^
@user-bg3uk4zc1j
@user-bg3uk4zc1j 6 ай бұрын
고생을 사서 한다라는 말을 이럴때 쓰는거구나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모르는건 가만있으면 중간은 간다는 말이 이럴때 쓰는거구나
@user-xq4lz7mc1u
@user-xq4lz7mc1u 6 ай бұрын
6~70년대 한국 국민학생들도 저 모양의 가방을 메고 학교에 다녔음. 내 생각에는 일제시대에 이입된 국민학생 가방 문화가 그 시절까지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됨.
@user-gg5zi4ev3d
@user-gg5zi4ev3d 5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70인 저도 62년도에 국민학교 입학할 때 아버지가 2:27에 나오는 똑같은 가방을 사주심요 어린 마음에 친구들과 달랐던 가방이 부끄러웠음요 어린시절 기억을 소환하네요
@madokamagika9474
@madokamagika9474 3 ай бұрын
그 시절을 배경으로한 검정고무신에도 나오죠
@user-uq3xq3gm6q
@user-uq3xq3gm6q 2 ай бұрын
캐산 아님 짱가 캐릭 가방이 짱이엿죠. 난 캐산이였음
@user-nr6ch6ok7b
@user-nr6ch6ok7b 6 ай бұрын
일종의 문화라고 봐줘야할 거 같긴 한데...가방은 끈만 달라도 가볍게 느껴지짐 근데 저건 가방 끈도 아파 보임..
@joyunseong
@joyunseong 6 ай бұрын
키가 못 크는게 저 무게 때문 아니냐 ㅋㅋ
@user-ct3oc7to9o
@user-ct3oc7to9o 6 ай бұрын
진짜 일수도 ㅎ
@dogdogpuppy
@dogdogpuppy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얘기하는줄
@user-ni5mq7nu2q
@user-ni5mq7nu2q 6 ай бұрын
​@@whgdmstkfkaemf그건 유전자가 열등해서 그래요
@user-yx5br2bp4x
@user-yx5br2bp4x 6 ай бұрын
가방이 문제가 아니라 다 들고다니게해서 책무게가 문제인거지 ..가방은 초등 천가방도 1키로정도는 나가는데 그럼 란도셀이랑 1키로차이정도…책을 다 들고다니게하니 8키로가 넘는거지..
@user-pi2di7rd1y
@user-pi2di7rd1y 6 ай бұрын
한국여자 가슴작은 이유는 머냐...
@user-kr1qs7lv2p
@user-kr1qs7lv2p 6 ай бұрын
책가방은 가볍고 튼튼하면 된다 비싼건도 필요없고
@inhaj0719
@inhaj0719 6 ай бұрын
요즘 좀 풀리는 추세라고 하더라고요 란도셀
@user-yx5br2bp4x
@user-yx5br2bp4x 6 ай бұрын
가방이 무거운건 란도셀 때문이 아니잖아 책을 다 짊어지게하는 학교방침때문이지 그래봐야 천가방이랑 란도셀은 1키로도 차이안나고…나도 어릴때 가방이 천근만근 무거웠는데..겨울에 미술시간 서예하는날은 아직도 기억날 정도임 7교시에 해당하는 책 공책 보온도시락에 벼루까지…고등학교때 첨 사물함 생겼는데 이것은 신세계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7 ай бұрын
결혼도 출산도 선택이 된 시대에 아이를 키우기로 결정한 부모에게는 가성비보다는 가심비가 중요할테니 앞으로도 안없어질듯.
@user-iz6rq9xt1n
@user-iz6rq9xt1n 3 ай бұрын
유치원엄마들도 원에 방문시 검은색정장에 진주목걸이 원칙임. 안입으면 왕따한다던데..
@user-yz7kd2hz1b
@user-yz7kd2hz1b 3 ай бұрын
국민학교 입학할 때 저거 사서 메고 갔는데.. 교과서의 철수와 영희도 저걸 메고 있는데.. 입학후 얼마후 한 순간 싹 다 사라졌음. 소가죽으로 된 딱딱한 가방임.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Ай бұрын
무거워서 애들 키 안 큰다고 하니까 일제히 다 갖다버린듯
@user-hl1ke2ut5m
@user-hl1ke2ut5m 5 ай бұрын
이번에 일본갔었는데 아이들이 등교도 늦게하고 가방도 우리나라처럼 천가방 가지고 다니던데요
@bbbhechu
@bbbhechu 6 ай бұрын
어릴 때 보던 에그엔젤 코코밍에서도 애들 다 저거 매고 다니던데...
@uropa
@uropa 6 ай бұрын
재료를 가벼운걸로 개량하야 겠네요
@Kumataro216
@Kumataro216 5 ай бұрын
란도셀은60만원~100만원 정도이고, 1학년에서 ~6학년 졸업때까지사용합니다.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아뇨 10만원에서 150만원까지 다양합니다
@user-pj7cq8tw4d
@user-pj7cq8tw4d 6 ай бұрын
1968년그땐국민학교 입학햇죠. 저가방보면 생각나네요.어머니가 가방을사다줫는데 빨간저가방였어요. 시골이라다른친구들은 가방도없이 천으로된책보를 하고다녔는데 나만유독. 빨간것은 여자들이나하는거라고놀려서 안매고다닐려고 햇던기억이납니다.
@user-ht6co7ie1n
@user-ht6co7ie1n 5 ай бұрын
참나.. 독특한 문화네. 희안하다 정말
@duckheechoi9868
@duckheechoi9868 4 ай бұрын
우리도 60년대까지는 똑같은 가방 메고 다녔죠. 다만 초등학교 2학년 까지만. 3학년부터는 손에 들고다니는 가방으로 바뀌었는데, 란도셀은 무겁기도 하지만 무척 불편함. 뭔가 넣고 꺼내려면 일단 어깨에서 내려놓고, 잠금 풀고 열고 닫고, 다시 메려면 누군가 도와줘야 했죠. 가방 무거운건 중학교때. 교과서, 노트, 도시락은 물론 체육복, 실내화, 미술도구, 주판, 지리교재 (교과서, 노트, 백지도, 지리부도), 시간표에 겹치는 날은 완전 노가다. 게다가 비 오는날 우산까지. ㄷㄷ (아 2982 야!)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그정돈 아니고 그냥 튼튼하고 널직한 가방였어요 누가 메는데 도와줘야 하는건 1학년 입학때 뿐 ㅋㅋㅋㅋ 딱히 무겁지도 않음. 나중에 더 가벼운 합성피혁 란도셀이 가격싸서한국 시장을 대체 함.
@user-sp3xt2hy2n
@user-sp3xt2hy2n 6 ай бұрын
와 60만원 ㅎㄷㄷ 나라마다 가방매는건 자유라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60만원은 비싸긴하네
@user-qd3dn5lx9u
@user-qd3dn5lx9u 6 ай бұрын
엄청 오래 메니깐 6년 할부라 생각하면 편함
@user-mo7ww1gq6n
@user-mo7ww1gq6n 6 ай бұрын
정작 초등학교 교육비는 한국이 넘사 아님? 물론 나쁘다는건 아니고 오히려 좋은거지
@cuvhowbndlk
@cuvhowbndlk 6 ай бұрын
?? 보통 가방 사면 100만원쯤 쓰지 않음 디올이나 몽클레어 사면 100은 그냥 넘는데..?
@user-rj6hr6cm3h
@user-rj6hr6cm3h 6 ай бұрын
​@@cuvhowbndlk초등학생 책가방 말하는데 요즘은 초등생들 책가방을 몽클이나 디올에서도 구매하나보군요
@jonghan8370
@jonghan8370 6 ай бұрын
​​@@user-rj6hr6cm3h음...명품 가방 초등학교 저학년인데도 메고 다니는 아이들 많아요 키즈관련 매장 운영하느라 아이들 많이 오는데 생각보다 명품 가방 메는 아이들 많더라구요
@user-tx7hk3nu7v
@user-tx7hk3nu7v 5 ай бұрын
어릴 때 일본 살면서 매고 다녔는데 애들이 매고 다니기엔 진짜 무거워요...그렇다고 혼자 편한 소재로 만든 가방 쓰기에도 눈치 보이고 좀 괜찮은건 가격도 비쌈
@akira307-jp
@akira307-jp 6 ай бұрын
4:22 초등학생이 개발하고 어른들이 ㅈㄴ게 비판했다고 뉴스에도 나왔죠
@eliyahaverial
@eliyahaverial 6 ай бұрын
그거 아주 일부 극소수의 의견을 가지고 일본을 깎아내리려고 우리나라에서 확대 생산된 내용이던데요. 정작 대부분의 보통의 일본인들의 여론은 편리하다거나, 어린아이가 저런 생각을 해낸게 기특하다거나, 참신하다라는 의견이 주류였음.
@akira307-jp
@akira307-jp 6 ай бұрын
@@eliyahaverial 전 일본 뉴스를 말하는건데요... 일본 거주자라서 상황을 아주 잘 알죠 애들이 개발한거 대견하다고 하는 어른, 비판하는 어른을 비판하는 어른 등
@user-rd8wq3tw9s
@user-rd8wq3tw9s 3 ай бұрын
​@@akira307-jp한국이나 일본이나 어른들이 아이들의 창의력을 비판하는건 똑같네요...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그건 한국 국민들이 선동과 날조 에 약한다는걸 실토 하는겁니다 ^^
@user-fl7hk4do3x
@user-fl7hk4do3x 6 ай бұрын
2,3만엔짜리가 주로 많이 팔림 존네 튼튼하기는 함
@user-vy6dn4oh5v
@user-vy6dn4oh5v 6 ай бұрын
군국주의 향수다 옛날 군국주의에다 전체주의 시대때 저렇게 통일해서 살아온 향수가 아직도 남아있다
@user-vl8be8cu6j
@user-vl8be8cu6j 24 күн бұрын
👍
@user-tv2ru4lu1u
@user-tv2ru4lu1u 4 ай бұрын
60여년 전 우리나라도 국민학교 입학하면 저 가방 메고 다녔다.....3-4학년 되면 들고다니는 가방으로 바뀌었고.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30년 전에도 란도셀 매는 애들 많았어요 합성피혁 란도셀였죠.. 반일선동하던 한국 정치인들 때문에 일본 용어 쓰지 못하게 해서 그 가방이 란도셀 였다는 것조차 다 자라고 나서 알았네요..
@eejay4319
@eejay4319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MZ가 아이폰 쓰는거랑 별반 다를 바 없는 이유네요.
@hwayeon0828
@hwayeon0828 3 ай бұрын
지진 날때 머리보호용이라 들었는데.울아들 초등입학때 사주고 싶었지요.ㅋㅋ
@hpark904
@hpark904 6 ай бұрын
책이라도 교실에 두고 가게 해주지 저 무거운 가방에 책들을 매일 메고 다니게 하다니.. 일본도 참 갑갑한 나라네 ㅎ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개인 캐비넷 있습니다만?
@tnsnnss
@tnsnnss 3 ай бұрын
@@user-ii4el7cc1z3:40
@capiain3
@capiain3 6 ай бұрын
옛날 국민학교 시절 한때 저런 가방 한 시절이 있었다.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1915년 부터 쭈욱 저 가방였죠.. 살돈 없으면 보자기 가방.. 학교 자체가 일본 합병 때문에 생긴 교육기관이니 똑같은건 필연.. 국민 학교까지 존재하다가 일제 용어 없앤다고 초등학교로 개명할때 지금의 천 가방으로 일제히 바뀜..
@만사가귀찮은어른이
@만사가귀찮은어른이 6 ай бұрын
일본 실제 초딩은 뭘 맸는지 관심없었고 만화에선 그냥 그리기 편해서 다 저런건줄 알았는데 아니였구나
@henrys4131
@henrys4131 6 ай бұрын
고중량 가죽 가방 자체가 무거워서 키가 안클듯.
@leechanghyun
@leechanghyun 2 ай бұрын
이미 늦게 발견한거 같지만 이 채널 뜰거 같아서 뒤늦게 올라탑니다 ㅋㅋㅋ
@user-ni3zk7fy7u
@user-ni3zk7fy7u 3 ай бұрын
우리랑 똑같네..명량,서울의봄 재밌다면 그냥 우르르.ㅋ
@marianollinas4812
@marianollinas4812 6 ай бұрын
4:38 ㅋㅋㅋㅋㅋ 저항없이 터졌네 ㅋㅋㅋㅋ
@snowman_winter
@snowman_winter 6 ай бұрын
저 정도로 튼튼하다고? ㅋㅋㅋㅋㅋㅋㅋ
@user-ei2rm3jw7w
@user-ei2rm3jw7w 6 ай бұрын
저 가방 귀엽긴한데... 안쓰럽기도함.
@user-ce8zy4ku1w
@user-ce8zy4ku1w 3 ай бұрын
마케팅 오지게 잘했네ㅎ
@baskasunda
@baskasunda 5 ай бұрын
전체주의가 일본이 좀 특출난건 맞겠습니다만, 서양학교들도 학생들의 가방, 학용품들을 학교에서 지정하는범주로 제한합니다.
@bagyunbburing
@bagyunbburing 4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태어났었으면 사물함이 없고 급식 돈 내야하고요 중국에서도 태어났으면 수시가 없으니 가오카오(수능) 무조건 봐야하고 미국에서도 시험 합격할 때까지 학년이 올라가고요 부실 급식이 문제이네요ㅠㅠ 학교 가는게 힘들지만 다른 나라 학교에서도 문제가 많네요
@olivia_g8229
@olivia_g8229 6 ай бұрын
나라마다 문화가 있는거죠
@kwanglee5142
@kwanglee5142 4 ай бұрын
나도 어릴때 저런 가방 메고 다녔음
@jeanyork6163
@jeanyork6163 5 ай бұрын
나도 어릴때 나팔꽃이 새겨진 가죽란도셀을 메고 다녔는데 아주 탄탄하고 튼튼해서 오래 사용할수 있고 모양도 이뻐서 참 좋았던것 같았다
@Justlikethat2978
@Justlikethat2978 6 ай бұрын
겨울에 반바지 교복도
@Ido3j999
@Ido3j999 3 ай бұрын
처음에 뭉치 개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angtaizong599
@tangtaizong599 6 ай бұрын
사첼가방 느낌나서 예쁘긴 한데, 저학년에겐 좀 크고, 고학년에겐 작은거 같아요..ㅠㅠ
@user-wf9mt9cw6k
@user-wf9mt9cw6k 6 ай бұрын
저 가방이 예뻐 보이는 사람도 있군요. 전 웃기게 생겼다 생각했는데 ㅋ
@user-om2tl6cy6k
@user-om2tl6cy6k 5 ай бұрын
샤넬을 욕보이네
@tangtaizong599
@tangtaizong599 5 ай бұрын
@@user-om2tl6cy6k 그...저런 가방 뚜껑이 본체를 덮는 형식의 가방을 사첼백이라구 해요. 브랜드 샤넬과 다릅니다 ㅠㅠ!
@user-fm1kw2ob9u
@user-fm1kw2ob9u 4 ай бұрын
​@@user-om2tl6cy6k쫌!
@goansekd
@goansekd 6 ай бұрын
책보자기에 싸고 다니면 초등학생도 매장당하는 사회분위기군요.
@yongbinsong9676
@yongbinsong9676 Ай бұрын
집단이 우연히 지성이란 걸 발견할 확률은 있으나 이게 주의가 되면 대단히 불행하고 무서운 사회가 되는 거지. 개인이나 국가나 모두. 일본이나 조선이나 하는 짓 보면 비슷해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워서 그런가.
@jungsookpark9120
@jungsookpark9120 3 ай бұрын
60년생안데 그때 빨간 가죽가방을 매고 다녔는데 큰장미 찍힌.
@riceshower8935
@riceshower8935 4 ай бұрын
1킬로 차이는 별 거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가방이 무거워지면 1킬로 차이가 얼마나 큰지 알게 됩니다.
@user-ez5jq1dk7w
@user-ez5jq1dk7w 4 ай бұрын
실용성은 별로지만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 이라서 내눈엔 이쁘긴함
@user-pj9uy9vt1i
@user-pj9uy9vt1i 6 ай бұрын
내가 60년대 메던게 저것이었구만. 그렇다면 일제시대부터 사용했었다는건데.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맞음 학교자체가 일제 시대에 생긴거니
@user-ft8te7rw4s
@user-ft8te7rw4s 4 ай бұрын
보면 볼수록 나라가 희안하네
@snowman6816
@snowman6816 4 ай бұрын
그냥 가방이 이쁘다
@user-zr7dy2oe5k
@user-zr7dy2oe5k 6 ай бұрын
란도셀도 그렇지만 일본 유치원, 초딩들은 영하 날씨에도 반바지 입고다님, 노란 모자에
@user-yx5br2bp4x
@user-yx5br2bp4x 6 ай бұрын
일본은 특정지역외엔 제주도보다 따뜻해요 어릴때부터 추위에 단련시켜서 감기에 잘 안걸린다 한것 같기도…전 엄마가 감기걸리면 병원비가 더 든다고 어릴때 난방을 아끼지 않았는데 그래선지 추위 엄청 타요 장단점이 있는듯
@user-zr7dy2oe5k
@user-zr7dy2oe5k 6 ай бұрын
@@user-yx5br2bp4x 저 도쿄에서 15년 살다왔는데 일본은 어디보다도 집이 가장 춥습니다.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user-zr7dy2oe5k 그건 님이 외노자라 가난해서..
@vannikim4571
@vannikim4571 5 ай бұрын
근데 귀요미긴 하던데
@user-dy4jy9ke3b
@user-dy4jy9ke3b 4 ай бұрын
바퀴센스 천재인듯 ㅋㅋㅋ
@oasis_suminsam
@oasis_suminsam 6 ай бұрын
아니... 그 많은 초등학생중 누군가는 다른 가방을 매고 싶어하지 않을까?
@user-us7bg6pn4r
@user-us7bg6pn4r 6 ай бұрын
북한은 핵가방 줌
@lobe7989
@lobe7989 6 ай бұрын
존나 불편해보이고 왜 사는지 모르겠지만 전교생이 다 메고있는데 내자식만 안사줄순없는 일이죠
@user-xg1bn5tb4x
@user-xg1bn5tb4x 3 ай бұрын
저가방 엄청가볍습니다 일반책가방의 절반정도의 무게입니다
@yjch2445
@yjch2445 6 ай бұрын
일본판 노스페이스 등골브레이커구나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그정도는 아니란다. 중고도 많이 풀리고.. 생각보다 란도셀 안 매는 곳 많거든.. 구두에 가방까지 통일 된 곳은 사립이나 공립 중에서도 학교 재량으로 하는 곳이 있을 뿐이다. 단화랑 가방 통일 없는 곳 많단다.
@user-pj4yg5dz6y
@user-pj4yg5dz6y 6 ай бұрын
농담이 아니라 진짜 가방 땜에 키 안 크는 거일걸
@MJJ-pb9nf
@MJJ-pb9nf 6 ай бұрын
저 학교다닐때 아디다스 박스형 가방에 책 이빠이 넣고 다녔는데 지금 185 넘음요 책가방메고 뭔 행군하는것도 아니고 꼴랑 하루에 한시간안팍으로 메는데 키는무슨ㅋㅋㅋ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MJJ-pb9nf제 말이...
@jayisaaccutler
@jayisaaccutler 4 ай бұрын
@@MJJ-pb9nf 그거 안맸으면 키 190넘었음
@seoldiary3338
@seoldiary3338 6 ай бұрын
애들 건강,불편함보다 집단주의를 우선시하다니 끔찍한 사회다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5 ай бұрын
뭐가 끔찍하지?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선동에 잘당하는 한국인 ㅋㅋㅋ
@user-vl8be8cu6j
@user-vl8be8cu6j 24 күн бұрын
제대로 보셧군요
@subinka8735
@subinka8735 4 ай бұрын
뭉치는 도시락가방인가..
@user-lm7gt7ti9y
@user-lm7gt7ti9y 3 ай бұрын
와 거의 무게가 군장수준인데? ㅎㄷㄷ
@user-dr1mm3pd3f
@user-dr1mm3pd3f 2 ай бұрын
일본은 변화를 싫어하는건지 무서워하는건지 암튼 란도셀가방 뿐만 아니라 현금을 사용하는 등... 그래서 일본이 경제적으로 한국을 앞섰다고해도 문화와 인지도에서 밀리는건지도 모른다. 결국 변화를 싫어하면 경제도 밀리는것은 시간문제일거다.
@user-ds2xk9cl9g
@user-ds2xk9cl9g 6 ай бұрын
가죽으로 만든거도 아닌데 왜 60만원이여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최고급 가죽입니다. 합성피혁 란도셀은 10만원에요
@user-sr6ef1ln8r
@user-sr6ef1ln8r 6 ай бұрын
ㄷㄷㄷ 8키로나.. 애들도 어린데
@user-sn9tm1wk6f
@user-sn9tm1wk6f 6 ай бұрын
가방이 예쁘기는 한데 성장기에는 도움이 안될 것 같네요. 하기사 저 대학때는 이스트팩이 전국 모든 대학생 공식 가방처럼 의무도 아닌데 의무인듯 전부 똑같이 이스트팩 메고 다녔던거 생각하면 남의 나라에 뭐라 말할 입장은 아니긴 하네요.
@guardhope
@guardhope 6 ай бұрын
이스트팩은 그래도 가벼웠죠. 1박 여행갈 때도 쓰기 좋고요. 근데 란도셀은 무거워서 좀..
@hehe-xw4kk
@hehe-xw4kk 5 ай бұрын
그건그냥 유행이고 학생들 본인이 원해서 메고다닌거고 부모에의해서 저런무겁고 비싼가방을 어린초딩들한테 매게하는거랑 비교하는건 좀 안맞는거같네요;;
@sfk1031
@sfk1031 6 ай бұрын
광고는 깃털처럼 가볍다고 하고 실상은 졸라 무겹고 다른 가방을 하면 왕따당할까봐 못하고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누가 왕따 시키는지요? 실제 보고 떠드는건가요? 지금까지 처음보는데?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누가 깃털 처럼 가볍다고 함? 가죽 무게지 ㅋㅋㅋ 별로 안무거움 1kg정도.. 라도셀 왕따 없음 ㅋㅋㅋ
@yaricoo
@yaricoo 6 ай бұрын
그냥 가죽말고 다른 소재로 가벼운 란도셀을 만들면 되겠네.
@Minyoung2012
@Minyoung2012 6 ай бұрын
저 1학년 때 저 가방 메고 한 1달?정도 메고 다녔는데 너무 무겁고 불편해서 안 메고 다녔어요.선생님깨서도 항상 물건 꺼내기 편하게 지퍼있는 가방으로 가져오라고 하셨어요.
@user-kh7du4dn2j
@user-kh7du4dn2j 6 ай бұрын
와 엄청 비효율 적이네 ....우리나라는 사물함 이랑 책상 서랍에 교과서 다 두고 다니고 숙제나 공부할 과목만 2권 정도 들고 다니고 책가방이 가벼워서 좋은데 일본 초딩들은 매일 군대 행군이구나 ,,
@sophia4716
@sophia4716 4 ай бұрын
옛날 국민학교 때 내 쓰리쎄븐 가방 생각난다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오 중산층 등장
@user-fl8ny6ly9l
@user-fl8ny6ly9l 6 ай бұрын
마자 화자 앤도 마이 부라자😂아니 학생얘기에 또 생각나게하네 아옼ㅋㅋㅋㅋㅋㅋㅋ
@user-yr4zq9cv7f
@user-yr4zq9cv7f 6 ай бұрын
몇 학부모는 실용성등 다른 모양을 사주고싶어도..이상하게시리 왕따나 엄마들도..엄마들사이 왕따가 형성된다고함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누가요? ㅋㅋ
@user-yr4zq9cv7f
@user-yr4zq9cv7f 6 ай бұрын
@@user-ii4el7cc1z ㅎㅎ 일본사시는 한국사람 유튜버? 가 입학하면서 란도셀을 샀는데..은근 왕따분위기가 있어..지레 란도셀 샀다는분..비정상 회담 거기서도 입학에대해 친척들의 선물과반응..봤어요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user-yr4zq9cv7f 유튜버나 언론 말구요.. 거긴 반일선동 대잔치라 믿고 거르는 곳인데.. 지인이나 직접 보고 이야기 하시는건가요
@user-yr4zq9cv7f
@user-yr4zq9cv7f 6 ай бұрын
@@user-ii4el7cc1z 좋은건 좋고 싫은건 싫고 하는거요..거긴..친일이요?.하고 극단적인 반응할필요까진..사는사람이 란도셀을 하고싶어 하는건 아니라잖소..전체주의가 그렇다는데..그냥 보고읽음되지..지적하는 당신이 더이상함..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user-yr4zq9cv7f ㅋㅋㅋㅋㅋㅋㅋ 논리 딸리니까 반일로 몰아세우는 수준.. 유튜버나 언론 중 가장 좌편향된 것 들고와서 증거라 내놓는건 뭔 심보인지.. 실제 일본 살아보거나 지인도 아닌 뇌피셜을 팩트로 내놓는 것에서 웃고 갑니다.
@user-ni5cm7us5t
@user-ni5cm7us5t 6 ай бұрын
1970년도에 우리도 난도셀 사용했었음
@user-yo3ud3wj6l
@user-yo3ud3wj6l 4 ай бұрын
란도셀 업체 개꿀이네
@yt-ww2zr
@yt-ww2zr 6 ай бұрын
튀는걸 싫어하는 일본 문화때문아닐까? 남과 다른 가방을 하면 주목받게되고 나쁘게는 이지메당하기도 해서
@lali4847
@lali4847 4 ай бұрын
거기서 다른 가방 쓰면 이지매당하겠지
@lloydjang3374
@lloydjang3374 5 ай бұрын
맞네..키 작은 이유가..어릴때 저리무건운것을 들고다니......크것나..
@sdh0430
@sdh0430 3 ай бұрын
한국에도 잔스포츠 이스트백이 있었지
@steampunk329
@steampunk329 6 ай бұрын
기괴한 전통. 그리고 선진국인데 왜 학교에 사물함이 없나?
@user-kr1qs7lv2p
@user-kr1qs7lv2p 6 ай бұрын
훔쳐가기도하고 책테러당하는 경우가 많아서래요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사물함 놔봤더니 공부나 숙제 안해와서요 ㅋㅋㅋㅋ 일본은 한국보다 모두 20년전에 다 해본 국가입니다. 학교에 사물함 먼저 놓은것도 일본이에요 ㅋㅋ 그래서 부정적인 학교는 사물함 뺏고 , 필요하다고 판단한곳은 사물함 있지요. 모두 교장 재량임.. 심지어 가방 자체를 폐기한 학교도 있지요 ㅋㅋ 전자 학교도 일본이 먼저 시작함.
@NADA--NADA.
@NADA--NADA. 5 ай бұрын
이가방이랑 겨울에도 반바지입는 문화 일본 종특인듯
@adiasnadano
@adiasnadano 5 ай бұрын
20년전에 일본에 살다 온 지인의 딸이 갖고 온 란도셀이 100만원이라고 해서 신기했던 기억. 아직도 란도셀이 대세라니 신기함.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그건 님지인이 님에게 자기 비싼 란도셀 사줬다고 자랑하는거임 ㅋㅋㅋ 님이 해외를 몰라서 자랑이 안먹힌거.. 란도셀 보통 많이 사는건 30만원 잴싼건 10만원임. 솔직히 30만원 이상부턴 품질 차이가 없음. 30만원짜리 가죽도 중형세단 시트에 쓰는거랑 동급인데 명품 브랜드 값 차이 일뿐..
@user-tj1xm3kk4i
@user-tj1xm3kk4i 5 ай бұрын
60만원? ㅎㄷㄷㄷㄷ
@user-ke6lg1uc9e
@user-ke6lg1uc9e 6 ай бұрын
교과서 사물함에 두고다니지않나 일본은 사물함이없나 우리아이들은 다 사물함에 넣어놓고 숙제있는 교과서만들고 다니더만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6 ай бұрын
있어요
@ICEMAN-vk1eb
@ICEMAN-vk1eb 4 ай бұрын
가격이 일본서민들하고는 거리가있어보이네요.~
@user-en2rr6sb8i
@user-en2rr6sb8i 4 ай бұрын
600g넘는건 무겁다해서 이번에 가방 500g대 사줬는데..저가방은 보기만해도 묵직하네요.
@No_Moo_Hyun
@No_Moo_Hyun 2 ай бұрын
네 1KG 해요 .. 가죽이라
@songes3058
@songes3058 25 күн бұрын
가방 하나 살 때도 남 눈치를 봐야된다니...
일본 초딩들이 메고 다니는 비싼 가방의 정체
10:15
민조엥minjoeng
Рет қаралды 342 М.
미국 학교의 급식은 왜 부실할까?
7:49
지식횡단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олучилось у Вики?😂 #хабибка
00:14
ХАБИБ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What's in my bag?🎒 Korean Middle School Bags | beauty, school supplies
12:58
포켓TV / Pocket TV
Рет қаралды 660 М.
미국인들은 왜 더 이상 교회에 가지 않을까?
7:10
지식횡단
Рет қаралды 220 М.
앤디 워홀의 문란한 성생활 팩트체크
16:41
책트폭행
Рет қаралды 689 М.
일본에서 란도셀을 메는 진짜 이유
8:06
안협소
Рет қаралды 53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