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하나 때문에 아파트 개발 중단? 거대 바위의 정체는?

  Рет қаралды 1,140,884

스브스와이드

스브스와이드

2 жыл бұрын

#모닝와이드 #경남김해 #고인돌
경남 김해의 한 도심 속 거대한 바위가 나타났다는 제보.
가로 10m에 높이 3.5m의 어마어마한 크기!
그뿐만 아니라 바위의 무게만 350톤에 달한다고.
거대 바위의 정체는 바로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고인돌이었던 것!
발견되자마자 세계 최대 고인돌로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현대의 중장비 기술로도
해당 고인돌의 상석을 옮기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
수천 년의 역사를 거슬러 밝혀보는 고인돌의 비밀!
SBS '모닝와이드 3부' (2021.10.26 방송)

Пікірлер: 699
@seul1848
@seul1848 2 жыл бұрын
고인돌인거 알면서 뭘 수상한 목격담이라고 인터뷰를 합니까 주변에 산이 멀어서 굴러 온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면서 뭘 이런식으로 프로그램을 짭니까 그리고 아파트 개발은 중단한다는 건지 한다는 건지 말도 없고.... 이런 식의 방송은 그만 접기 바랍니다
@user-mp4gr9ti5v
@user-mp4gr9ti5v 2 жыл бұрын
진짜 ㅋㅋㅋㅋ초장부터 끝장까지 아가리
@Hangul_inventor
@Hangul_inventor 2 жыл бұрын
아 속이 다 시원하네 ㄹㅇㅋㅋㅋㅋ
@coolhand74
@coolhand74 2 жыл бұрын
Pd가 멍청해서 .......
@voyager1145
@voyager1145 2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Joh-ayo
@Joh-ayo 2 жыл бұрын
길가는 비둘기도 긴박한 브금이랑 아가리 털면서 방송거리 만드는 것들임
@theSubtheSub
@theSubtheSub 2 жыл бұрын
2:03 1톤무게의 차량이라고 해놓고 그림을 1톤 트럭을 예를 든것은 무지함에서 비롯된 오류다.최대적재량이 1톤이란 뜻이므로(실제론 더 많이 과적하기도 함) 1톤 트럭 350대에 나누어 적재해야할 무게라고 표현 했으면 이해도 더 쉽고 표현이 매끄러움. 차량 무게자체는 현대 포터2 차량 기준 .약1.8톤~2톤임. 방송계에서 1톤 비교할때 포터 트럭 그림 많이 써먹는데 그냥 차라리 승용차 그림으로 하고 1톤무게 차량이라고 하는게 나을듯. 참고로 승용차 공차무게: 모닝 0.9톤, 아반떼 1.2톤 , 소나타 1.4톤 , 그랜저 1.5톤 등등.웬만한 승용차도 1톤은 넘음.
@y2k2000y2k
@y2k2000y2k 2 жыл бұрын
비교 얘가 잘못되었음을 캐치 하셨으니 얼마나 답답하실까.그 심정 이해갑니다. 따로 댓글을 달았지만 갑갑하긴 마찬가집니다. ::고인돌의 무게 350t. 성인 남자가 지면에서 끌어당길수있는 무게는 통상적으로 최대 120kg이다.100 kg평균 잡고 350 t을 끌어낼려면 3,500명이다.성인 남자가 1t을 끌어당길수있다는건 통나무를 이용한다해도 거리와 체력적 한계를 고려하지 않는것 같다.:: 는 생각을 합니다, 학술적인 면이 정확하게 전달이 되어야 하는데 상식선에서도 이해못할 이야기를 하니 에효..... 교수가 그런데 학예사들은 말할것도없고 향토사학자라는 사람들의 썰도 개차반인건 마찬가집니다.
@user-tp3rs5ry3o
@user-tp3rs5ry3o 2 жыл бұрын
@@y2k2000y2k 그근처에 있던것이겠죠 빙하기에 떠내려왔던 미아석이 때마침 지배자의 죽음으로 바로 근처에서 옮긴것으로 추정됩니다. 저걸 몇백미터씩 옮기는건 무리죠 ㅎㅎ 몇미터나 옮겼을겁니다.
@user-yi2xy8jo7t
@user-yi2xy8jo7t 2 жыл бұрын
빙고.... 적재량과 공차중량을 햇갈리게 해놓음.. 350톤 이면...1톤트럭 예를 들지말고 차라리 5톤트럭 70대분의 적재량이라고 하던가.. 1톤트럭 으로 해놓으니 공차중량과 헷갈린듯. 1톤트럭으로 350번을 왕복해야할 무게라고 예를 들면 더 쉬웠을것을... 적어주신대로..경차도 요즘 1톤에 가까운 무게고 보통 세단이 1.5톤....suv가 2톤임.
@user-ol5or9sc3n
@user-ol5or9sc3n Жыл бұрын
88
@user-ol5or9sc3n
@user-ol5or9sc3n Жыл бұрын
99j9
@mtl9935
@mtl9935 Жыл бұрын
저 고인돌 세계최대 고인돌입니다 그런데 김해시에서 얼마전에 포크레인으로 밀어버렸어요 다훼손되버렸어요 현재 서로 책임만 떠넘기고 있다고하네요
@user-yo7cj8gm2z
@user-yo7cj8gm2z 2 жыл бұрын
김해 삼계동 주민입니다.. 저기는 아파트공사현장아닙니다...제목을 저 따우로 하니 오해할수있지만 벌써 바로뒤에 푸르지오가 신축끝났어요...저기는 딱 봐도 뭐가 들어올수 없는곳입니다...
@user-wx7ox8tx1z
@user-wx7ox8tx1z 2 жыл бұрын
근데 주변 잡석들 다 걷어냈는데 훼손이 심해서 문화재가 가능할려나...? 저걸 저 시대에 옮겨 온게 정말 신기하네요...현대 중장비로도 힘든걸..
@user-it5us1pv1k
@user-it5us1pv1k 2 жыл бұрын
고인돌 옆부분은 굴착기파쇄기로 부셔놓은거같네요
@jeddnabi7625
@jeddnabi7625 Жыл бұрын
@@user-it5us1pv1k 첨에 땅파다가 고인돌이란 생각도 못하고 왜 땅속에 암맥이 있지하고 깨부수다 나중에 이상하다 싶어서 신고한듯
@sgt943
@sgt943 Жыл бұрын
무식하네 옮긴게 아니라그자리에 있는걸 무덤으로 만든거
@user-kf8dh8ls4y
@user-kf8dh8ls4y 2 жыл бұрын
주위에 돌들을 치우지 않고 보전했으면 더 가치가 있을거 같은데 안타깝네요
@razer3249
@razer3249 2 жыл бұрын
저희집 바로 욮이라 아주 상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원래 저기는 개발전에 그냥 평범한 잔디 밭이였는데 어느순간 부터 공사를 하더니 공사한지 1년도 채 안되서 공사가 중단되고 위성사진을 보니 아주 커다란 돌이 떡하니 있더군요 그래서 그냥 그려러니 하고 넘기고 지냈는데 오늘 정체를 알게되었네요
@___-__-_
@___-__-_ 2 жыл бұрын
아주 상세히 설명해준다면서 정체를 이제 알아버리기 ㄷ ㄷ
@JAY-bq1rl
@JAY-bq1rl 2 жыл бұрын
집 바로 옆인데 뭐하러 위성사진으로 보세요..?
@razer3249
@razer3249 2 жыл бұрын
@@JAY-bq1rl 그냥 궁금 하잔아요
@user-jk6qb9pf5y
@user-jk6qb9pf5y 2 жыл бұрын
@@JAY-bq1rl 주변을 막아놨으니까
@djluciferypk
@djluciferypk 2 жыл бұрын
350톤 짜리 고인돌이면.. 진짜 대단한 사람의 무덤일 텐데!!
@user-ws7kj6uj7o
@user-ws7kj6uj7o 2 жыл бұрын
2:02 1톤 트럭은 공차중량이 1t 이라는 게 아니라 적재 중량이 1t 이라는 의미입니다. 최근 뉴스에 이런 오류는 오랜만에 보네요. 포터2의 가장 가벼운 모델이 1735kg이라고 제원을 밝히고 있네요.
@jamiek8870
@jamiek8870 22 күн бұрын
요즘 방송사들이 다 그렇죠 뭐...
@chsh851016
@chsh851016 2 жыл бұрын
시공사 입장에서 지뢰 밟았다는 표현이 딱맞네요.
@user-sq7cf4lh4f
@user-sq7cf4lh4f 2 жыл бұрын
3
@user-ir2pk4xz5b
@user-ir2pk4xz5b 2 жыл бұрын
똥밣은거지 ㅋㅋㅋ
@mjkim9193
@mjkim9193 2 жыл бұрын
@@user-ir2pk4xz5b 밟.
@user-yn3ge1yd4l
@user-yn3ge1yd4l 2 жыл бұрын
경주에서는ㅇ비일비재 하죠 주변땅 매입해서 터파기 어느정도 진행 될때 유물 나옵니다 그럼 아무도 몰래 덮고 반대쪽 터파기 합니다 또 나옵니다.. 포크레인 키 던지고. 문화재청에 신고 합니다
@user-tp3rs5ry3o
@user-tp3rs5ry3o 2 жыл бұрын
@@user-yn3ge1yd4l 다 짓고서 허가취소가 나올수 있으니 차라리 보상받고 나가는게 좋긴하쥬 ㅎㅎㅎ 문화재를 잘지켜야 합니다. 문화선진국 가려는 나라에서 문화재를 개차반 취급하면 안돼요 토건족 새끼들이 문제에요
@znfaos7
@znfaos7 2 жыл бұрын
셰계에서도 보기 힘든 거석 고인돌입니다...해당 김해시는 잘 보존하여 후대에 남겨주시길...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그때 일본은 세계에서가장큰토성인인덕천황릉을 맹금.조선은 바위덩이 굴려고인돌.미개함의극치임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_S2_ 아니그렇다고, 이집트에잏는피라미더가세계서가장큰돌무덤인디. 일본은세계서가장큰토능인 인덕천황릉이있다고 조선이 돌덩이굴려가요라며 고인돌맹글때 일본은 산만한큰토능맹글었다고. 인덕천황릉이 거진진시황능이나 징기츠칸능이나 거진거기라더라. 긍께좀깝치지말자.쫌 참고로한국이평화상돈주고살동안 베남은필즈상 대만은화학상2개 중국은 노벨상4개 일본은 문학상가튼쓰레기빼고과학상만37개받았다고. 제발쫌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_S2_ 중국은 진시황릉 일본이 인덕천황릉맹글때 조선은돌굴려가요라며 고인돌맹금. 그게다가아님.중국애들한티구녕장샇해서돈범. 세계적으로조선구녕장사는알아줌.
@user-uz6ok2cb2o
@user-uz6ok2cb2o 2 жыл бұрын
@@user-xl4uv2tx1i 뻥도 심하네 병원 가보세요. 과대망상증은 약도 없다는데?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user-uz6ok2cb2o 맞는데인덕천황릉 보면 거진 산이거든. 무덤이석능에서토능으로발전하는디. 인덕천황능은 이집트랑 중국 잉카등에 맞먹는단다. 인덕천황능에 호태왕능비교하면 ㅋㅋㅋ
@joaquinsorolla5860
@joaquinsorolla5860 Жыл бұрын
우와.. 고대에 350톤을 옮기다니.. 엄청난 권력자였나보네..
@user-hw9vv2fn9v
@user-hw9vv2fn9v 2 жыл бұрын
시내 한가운데 이렇게 큰 고인돌이 있다니 보고도 믿기지 않네요 옛날에 조상들도 대단하네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zxcvasdfqwerhjklm
@zxcvasdfqwerhjklm Жыл бұрын
훼손돼서 기사떴습니다. 황당
@yazada
@yazada 2 жыл бұрын
묘역 주변을 잘 보존하고 원래 형태로 복원해서 공원과 묘역지를 만들어야한다. 세계 1등인 곳이 김해에 생기다니 대단하다!!
@dentalmichang4326
@dentalmichang4326 Жыл бұрын
고대문화유산을 많이 가진 유구한 역사를 가진 대한민국은 작지만 큰나라임에 분명하다
@user-yd2te1vy8o
@user-yd2te1vy8o 2 жыл бұрын
어마 어마 합니다요 인간이 얼마나 위대한지 ^^그옛날선조는 정말 대단합니다
@metal28
@metal28 2 жыл бұрын
우왕 강력한 힘을 가진 족장의 무덤이구만!
@ihseo0185
@ihseo0185 2 жыл бұрын
깨는 것은 장비 이용시 쉽죠. 현상태로 옮기려고 하나 보네요
@307signal
@307signal 2 жыл бұрын
요거 규모는 작지만 진주 이반성 가산 중촌 가정집 안에 있어요 오래전 작은집이었네요
@user-hn8jb5jp8z
@user-hn8jb5jp8z 2 жыл бұрын
세계 최대 고인돌이라면 대단한 발견이네요. 오~한번실제로가서 구경한번해보고싶네요.
@jayk3784
@jayk3784 Жыл бұрын
대단함니다
@user-tp9kh4gp5u
@user-tp9kh4gp5u 2 жыл бұрын
경남이면 바둑판식 고인돌이지 탁상식이랑 다르게 기단돌이 작고 보통 모서리 4부분을 지지하는 형태임.
@user-zp1lv3jz2v
@user-zp1lv3jz2v 2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무덤 하나로도 사람은 뭉쳐야 강하다는걸 증명해주네요 호랑이 아니 흰수염 고래가 와도 날고 기어도 저 바위 못 옮길텐데 역시 사람은 함께 살아가야되네요 윗사람은 공경하고 아랫사람은 존중하며 살아야겠네요
@user-jk6qb9pf5y
@user-jk6qb9pf5y 2 жыл бұрын
계급사회를 뜻하는 고인돌을 보고 갑자기 오륜이 뭔 상관..
@sipi6212
@sipi6212 2 жыл бұрын
인부들 일당 제대로 줬을까 부터 생각해봐야 되는거 아니냐?
@user-mi7xw7bo1g
@user-mi7xw7bo1g 2 жыл бұрын
@user-ku1ju1tf8n
@user-ku1ju1tf8n 2 жыл бұрын
나라에서 사서, 공원화하였으면 좋겠습니다.
@dong-kyukim2833
@dong-kyukim2833 Жыл бұрын
갈아엎음
@mbongho90
@mbongho90 2 жыл бұрын
우와! 정말 엄청나네요! 저기다 아파트 짖지 말고, 좀더 잘 땅을 파고 어떻게 잘해서 사람들 구경하게 만드는것이 좋을거 같네요!
@user-sx2cr2hd8r
@user-sx2cr2hd8r 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우리나라는 전세계에 있는 고인돌의 90%가 우리나라에 있습니다 고인돌 국가인셈이죠.. 우리들이 잘 보존하고 가꾸어서 후손들에게 주어야겠지요.
@user-om5te7ke4y
@user-om5te7ke4y 2 жыл бұрын
1톤차가 무게가 1톤이라서 1톤트럭이아니구 차가 싫어서 이동할수있는무게가 1톤이라는건대 돌무게가 350톤이라고 1톤트럭이 350대라고 예를드냉 ㅋㅋㅋㅋ
@user-xl1xl6qv9b
@user-xl1xl6qv9b 2 жыл бұрын
헉 처음암
@user-ob4gp8ns9o
@user-ob4gp8ns9o 2 жыл бұрын
1톤트럭 무게는 약2톤 정도입니다
@user-fw5re8bb7n
@user-fw5re8bb7n 2 жыл бұрын
2톤까지 운반 가능한데 2톤 넘으면 오르막 못올라가요 40k 시멘트 50개가 1파레트인데 운반가능 ㅎㅎㅎ
@laputau3816
@laputau3816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1톤 트럭은 3톤까지도 거뜬히 운반할 수 있어 뼈대와 힘이 남다르죠.
@user-br5nj9fd4w
@user-br5nj9fd4w 2 жыл бұрын
3톤좀 넘게 싣는듯.. 근데ㅜ오르막 있으면..진땀뺍니다..바퀴가 서로 맞물리고 터질듯 함
@user-qx5gh2fx6c
@user-qx5gh2fx6c 2 жыл бұрын
처음 알아 본 사람 상줘야 한다. 저런거 나오면 중장비가 그냥 깨부셔 버리는데.
@solariofateam8737
@solariofateam8737 2 жыл бұрын
위에 깬흔적이 보임 ㅋㅋ 저거 먼지모르고 깨려다 너무커서 못깬거 같으네 ㅋㅋㅋ
@sjmtech7572
@sjmtech7572 2 жыл бұрын
@@solariofateam8737 ㄹㅇ 굴삭기 그 드릴같은거로 ㅈㄴ 때린 흔적이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7gate
@j7gate 2 жыл бұрын
몇천년 동안 부셔지고 사리지고 건축자재로 들어간 거만해도 전세계 최대로 많은수가 있었을겁니다 무지로 사라진 문화제만해도 엄청날건데 안타깝네요
@user-tp9kh4gp5u
@user-tp9kh4gp5u 2 жыл бұрын
다 보전하긴 무리 있지 ㅋㅋ 지금 조사된것만해도 1만5천개라는데 유적이라고는해도 공급이 많으면 의미가 줄어 드는거아니겠음.,, 발굴 조사 확실히 하고 최대한 보존하는 쪽으로 공원조성도 검토해야겠지만, 정 안되면 이전 보존 하는거도 맞다고 생각함.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user-tp9kh4gp5u 그렇죠, 규모가 큰것, 다른 것들에 비해서 문화적 가치가 높은것들만 보존하는거죠. 또, 고인돌이 아니고, 걍 굴러다니는 돌 일 가능성도 있는거고. 그 고인돌 들도, 어디에서 자연적으로 굴러다니던 돌 가져다 논 것이니. 채석장에서 인위적으로 캐온거 아닌담에야.
@user-oz7km4rr3j
@user-oz7km4rr3j Жыл бұрын
😊
@iaanwatford211
@iaanwatford211 2 жыл бұрын
부산 동래 舊원예고등학교터 부산전자공고를 검축할 당시 저 보다 몇배 더 큰 고인돌을 교서신축을 빌미로 깨뜨려버렸다 심문에도 크게 기사가 났었던 범죄다 제발 그때 그런짓을한자들을 좀 밝혀주었으면 좋겠다!
@user-ck7ij8dx2n
@user-ck7ij8dx2n 2 жыл бұрын
옛날 선조들은 어떻게 저큰돌을 옮겼을까요? 잘 보존 됐으면 좋겠습니다.
@zr_pts
@zr_pts Жыл бұрын
연지공원 앞쪽 저기 맨날 밟고다녔는데 고인돌이 있었다니 ㄷㄷ
@user-vr7rn1px7t
@user-vr7rn1px7t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아니라 전 셰계 이 지구의 최고의 고인돌이다 확실하게 보존하고 보존하고 보존하고 주변을 공원으로 만들어서 보호해라
@user-up9xe3bz2u
@user-up9xe3bz2u 2 жыл бұрын
이미 여기 저기 죄다 깨뜨려놨다.
@arrkaize
@arrkaize 2 жыл бұрын
세계의 고인돌 우리나라에 거의 다 있슴 ㅋㅋ
@hitbone007
@hitbone007 2 жыл бұрын
그럼 님이 보존사업 후원해여 말만 하지말고 행동으로 나서서 보존에 힘쓰십셔
@adeul297
@adeul297 2 жыл бұрын
저거 뽀사졌음?
@user-zj1vn3tg5b
@user-zj1vn3tg5b 2 жыл бұрын
저래봤자 동시대 이집트에선 피라미드 짓고있었음. 고인돌따위에 의미부여하는거 한국인뿐임
@user-wx6dl6qo6o
@user-wx6dl6qo6o 2 жыл бұрын
큰돌을 옮기는 것 보다 큰돌이 있는자리에 땅을파서 고인돌로 만들었을 수도 있지 않을까
@user-kv6sz4zc4x
@user-kv6sz4zc4x Жыл бұрын
질질 끌고가는 힘이랑 드는 힘은 차이가많이납니다
@user-cj4tj2gu5z
@user-cj4tj2gu5z 2 жыл бұрын
저 귀중한 유물을 잘 보전하고 잘 관리 해주세요~!! 너무 귀한 문화 유산 입니다.
@user-lu7dv6ly3p
@user-lu7dv6ly3p Жыл бұрын
바위앞 부분이 큰 곰의 얼굴처럼 보이네요.가이 경이롭습니다.
@user-sv6iy5yx7l
@user-sv6iy5yx7l 2 жыл бұрын
김해이면 금관가야의 옛 수도 입니다. 6개의 가야 국가가 존재했는데.. 옛 6개의 가야 영토를 가면 더 있지 않을까..싶네요
@koreatiger8449
@koreatiger8449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이땅에 아직 발굴되지않은 얼마나 많은 문화유산들이 있을까
@dipartcom6884
@dipartcom6884 2 жыл бұрын
남도 해안가에 가면 고인돌은 부지기수로 많아요.저렇게 큰건 드물지만요.
@user-yt8ke8xg8u
@user-yt8ke8xg8u 2 жыл бұрын
저렇게큰 고인돌은 또 처음보네;;;;;;;
@intime6071
@intime6071 2 жыл бұрын
건물만 짓지 말고 잘 조성했으면 좋겠네요~
@pj5121
@pj5121 2 жыл бұрын
볼더링 하기 정말 좋은 바위네
@Allallall788
@Allallall788 2 жыл бұрын
저 시절에 저정도 규모면 진짜 웅장했겠네 조경석? 깔아 놓은것도 상당히 아름다웠을것 같고
@user-qb1tf8sn7c
@user-qb1tf8sn7c 2 жыл бұрын
출토된 도자기로 년대측정추증하면 신석기 초기150,000년전 으로 생각됩니다^^
@camdunge8364
@camdunge8364 2 жыл бұрын
오.. 고인돌 같더라니! 큰바위 밑에 매장된 부속품 발굴하겠네여
@user-eb1sb4mc3o
@user-eb1sb4mc3o Жыл бұрын
이것은 고인돌 입니다 우리 시골에도 거리가 비슷한 큰돌이 논 가운데 에 군데 군데 있었습니다
@elfyuna
@elfyuna 2 жыл бұрын
대부족이었나보군요 엄청 무거운걸 ㄷ ㄷ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2 жыл бұрын
시공사 입장이야 지뢰를 밟은 것이지만 잊혀진 우리 선조의 유산 아니겠습니까. 보전해서 후손만대로 물려줘야합니다.
@user-tp3rs5ry3o
@user-tp3rs5ry3o 2 жыл бұрын
시공사 같은거 없었데요 ㅋㅋㅋ 원래 고인돌 발견으로 예산집행해서 발굴한거라네요 저걸 시공사들이 발견했으면 깨서 공사자재로 썻을겁니다. 돌가격이 얼마나 비싼데요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2 жыл бұрын
@@user-tp3rs5ry3o 💀
@chuimi
@chuimi 2 жыл бұрын
@@user-tp3rs5ry3o 아 그거 그렇게된건가요
@allegrorisoluto3728
@allegrorisoluto3728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고인돌.. 청동기시대 귀중한 유산이죠
@xylitol-gum
@xylitol-gum 2 жыл бұрын
2:03 정보) 350t은 1t차량 350대의 무게와 같다.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2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알고 싶지 않았던 정보였어요!
@solariofateam8737
@solariofateam8737 2 жыл бұрын
돌 윗부분에 돌 뿌셔진거 보니깐 조각내서 파내려했는데 ㅋㅋ 태어나서 처음보는 엄청 큰돌이 있네 ㅋㅋ
@KYLee-bp7qt
@KYLee-bp7qt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보존한다면서 주변 박석은 죄다 걷어버렸네? 보존 맞는건가?
@user-sz4ru8ye4c
@user-sz4ru8ye4c Жыл бұрын
빙하기에 밀려 내려온것도 아니고.. 사람들이 굴려다 놓을 크기도 아니고 본럐그자리에 있던 자연석으로 보인다면 깨서 버려야지요. 저 크기는 아니지만 큰 바위가 밭에서 발견되어 옮겨보려고 몇년을 끙끙대다 포기했던 어렸을적 기억이ㅈ나네요. 그 밭에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섰지요. 고인돌이 아니라면 보존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nicesmith7628
@nicesmith7628 2 жыл бұрын
요즘도 개인땅에 유물발견되면 땅주인이 발굴비용을 지불해야되지 않나요,,?? 저거 안옮기고 저자리에서 문화유산 등록해버리면 땅주인은 조졌네요,,,
@user-te8db9un1z
@user-te8db9un1z 2 жыл бұрын
댓글을 보니 오래전에 발굴이 되었다는군요. 으흠.. 근데 저 공간은 누구의 재산권이 있는것인가?
@youngsoo7199
@youngsoo7199 2 жыл бұрын
공사는 우째 되었나요 ?
@sin1850
@sin1850 2 жыл бұрын
그자리에보존하길바람니다.세계에서재일큰고인돌이라면.반드시 보존해야함니다
@brtstar-jl6pv
@brtstar-jl6pv 2 жыл бұрын
님 맞춤법은 보존하면 안됩니다
@buddy4718
@buddy4718 2 жыл бұрын
김해가 유물이나 이런게 많이 묻혀있어서 발굴하면 엄청난 유적지 도시가 될듯
@EveningSunTheKorea
@EveningSunTheKorea 11 ай бұрын
김해주변이 거의 경주 급인듯.. 가야가 정말 고대 국가중 엄청난 국가인듯...빨리 역사좀 제대로 알았으면 좋겠네
@deutschstudy7167
@deutschstudy7167 2 жыл бұрын
고인돌의 크기 만큼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잊혀지기 싫었 던 건가
@mamaso6478
@mamaso6478 2 жыл бұрын
돌 옮기는 고대인복장 왜 저따위로 그려? 원시인이야? 저 정도 돌을 옮길 정도의 사람들이 저런 짐승털조끼의 원시인 복장을 하고 있다는 발상 이제 제발 생각없이 그리지좀 말자. 제발
@user-xb5is5uf8s
@user-xb5is5uf8s 2 жыл бұрын
22청동기시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고조선시대입니당 고조선에서 저런옷입었나요? 교과서 검증만해도 이런 장면 안나옵니다
@KSST-111
@KSST-111 2 жыл бұрын
@@DRsolochu 중국에는 비단 없었습니다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2 жыл бұрын
@@KSST-111 아저씨는 실크로드라고 알아요?
@KSST-111
@KSST-111 2 жыл бұрын
@@DRsolochu 중국티베트인은 열등해 그딴거 없다
@sunnyan151
@sunnyan151 2 жыл бұрын
고대시대 문명을 이해 하지 못하는 식민사학자들의 덫이죠. 삼국사기 초기기록 부정에 고조선을 국가로 여기지 않는 태도. 문명국을 축소 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원시인으로 만들어 버리죠. 현대에도 재현하기 어려운 고인돌 축조.. 생각이 없는 자들의 고대문명 말살 의식이라 봅니다. 배운 자는 출토된 민무늬토기를 통해 이들 세력의 원류를 읽어 나가죠. 분명 많은 출토품이 있었을 텐데..
@stressbar
@stressbar 2 жыл бұрын
와..신기하네..
@user-ps1ur9be1r
@user-ps1ur9be1r 2 жыл бұрын
공사하다가 저런거하나떡나오면 시행사는 거의가 망하는데...
@Jesus-Christ_
@Jesus-Christ_ 2 жыл бұрын
여러분 여기 아파트 개발하다 발견한거 아닙니다.
@DoodoongArtMusic2848
@DoodoongArtMusic2848 2 жыл бұрын
더 컸을 듯 한데, 한 쪽이 엄청 파손 되었네.
@NaNaBathKimhae
@NaNaBathKimhae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발견되었는데, 주변개발이유로 흙으로 덮어놓고 개발 다 된다음 파내고 공개했다네요... 안그럼 아파트 못지으니까요...
@user-nq4ys4ms8z
@user-nq4ys4ms8z 2 жыл бұрын
돌이 크고 무거울수록 강성한 부족장의 죽음 아닌가?
@user-sw6pg6vo3w
@user-sw6pg6vo3w 2 жыл бұрын
기존에 있는 돌 밑에 박석을 깔고 무덤을 만든것은 아닐까요?
@tjfqlsths
@tjfqlsths 2 жыл бұрын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하루 빨리 등재되길 바랍니다. 세계 최대 고인돌이 김해에 있을 줄이야.
@sammanri
@sammanri Жыл бұрын
1톤 차량이 중량이 1톤이 아니라 권장 적재 가능한 무게가 1톤 입니다.
@user-ip5uf1ie9q
@user-ip5uf1ie9q 2 жыл бұрын
문화재를 보존하려면 그로 인해 손해를 보는 개인이나 회사에게 보상을 해야지.
@user-qp1sq3jz7o
@user-qp1sq3jz7o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이런일이 프로에서 몇년동안 돌덩어리를 캐고 있었다...크기가 궁금해서...저건 그냥 땅속에 있던 바위다...!!!
@user-gt7lp4yk5t
@user-gt7lp4yk5t 2 жыл бұрын
구산동 연지푸르지오 옆이네..
@user-vo6cz3nw7t
@user-vo6cz3nw7t 2 жыл бұрын
한반도는 온갖 형태의 군장 국가들이 발전했었으니. 그 형태가 완성되기 직전, 혹은 완성된 직후의 모습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junmokoo9
@junmokoo9 Жыл бұрын
근데 왜.. 처음 상태를 훼손했는지 궁금하네요.
@user-sz3se9he4l
@user-sz3se9he4l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지어보려다 건설회사는 손해가 많겠네요///
@user-qh8ku8rt7x
@user-qh8ku8rt7x 2 жыл бұрын
답답하긴 발파하거나 푸레카로 깨면 될 걸 뭐가 어렵고 이슈거린지?
@1246tonylee
@1246tonylee 2 жыл бұрын
지뢰 맞네
@user-oe8cc9lf6f
@user-oe8cc9lf6f 4 ай бұрын
추측건데 멀리서옮긴게 아니라 일단 바위가있는 장소를 지석묘로 선택했을 가능성이크다 바위밑부분 흙만 일정한 넓이로 파면은 가능하기때문이다 멀리에서 옮겨온게아니다 그때풍습은 지석묘로 사용할 바위가 어디에있나 바위밑에 그장소에 파서 매장하고 했을것이다
@chuimi
@chuimi 2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저러면 아파트 건설은 어떻게된대요 아예 포기해야하나
@ssidgythi6400
@ssidgythi6400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논두렁옆에 이유를 알수 없는 커다란 다위덩어리가 기억나는데 그것도 고인돌이였네
@jwbyon01
@jwbyon01 2 жыл бұрын
그냥 보아도 고인돌 !!!
@Sh-vb7fz
@Sh-vb7fz Жыл бұрын
이미 다 김해시 공무원이 다 훼손 했다고 합니다.
@tjq8824
@tjq8824 Жыл бұрын
고인돌본체 라기보다는 박석과 문화층 훼손입니다 사실 이게 더크죠 땅속의 기록을 작살냈으니 무사한 문화층으로찾는것이 급선무 일겁니다
@user-tl8cu1kk9q
@user-tl8cu1kk9q Жыл бұрын
​@@tjq8824 ㅊ
@user-dq4rt9go9u
@user-dq4rt9go9u 2 жыл бұрын
고대학자들은 아는게 별로없다 고인돌은 거석문화다 거인들의 문화다
@changlhee3561
@changlhee3561 2 жыл бұрын
레알 인정. 고대 왕들도 거인족들이 있다는 기록이 많더군요
@creamtaji5724
@creamtaji5724 Жыл бұрын
아파트 타령 지겹다 결국 훼손해서 복원 불가
@user-ml6cn5yb7c
@user-ml6cn5yb7c 2 жыл бұрын
아깝다 박석을 모두 제거했네 ㅜㅜ
@tjq8824
@tjq8824 Жыл бұрын
고인돌자체는 무손상에 안의 부장품은 발굴하였지만 박석의 손상과 땅의 기록이라 할수있는 문화층을 훼손시켜놨으니 참당할따름입니다 다시 조사했을때 건질수있는 문화층이라도 확보 되었으면 합니다
@leeheechang6656
@leeheechang6656 2 жыл бұрын
지금 고인돌을 파 묻은 상태가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도심에 있어서 접근성도 좋고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땅을 매입해서 고인돌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을 모색할만한데...
@user-gx5ho1ji4x
@user-gx5ho1ji4x 2 жыл бұрын
앞 부분 쓸데없는 분량은 왜 하나요?
@kevin_oh
@kevin_oh 2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아니라 공원이랑 문화재 장소로 만들어야지
@kjblueskyjp
@kjblueskyjp 2 жыл бұрын
아마도 5천년전의 고인돌로 추정 되내요. 억지로 파내 버릴려고 하지 말고 저 바위돌을 활용할수 있도록 그대로 두고 아파트의 각도를 좀 틀어 지면 될것 같아요
@user-sj3zj1sv7p
@user-sj3zj1sv7p 2 жыл бұрын
sbs가 ㅂㅅ같이 제목 정한겁니다 저기 아파트 지을땅도 아니고 이미 공원 짓기로 결정된곳이에요
@kasynara
@kasynara 2 жыл бұрын
1톤차가 1톤이구나...
@suek_shak_shok
@suek_shak_shok 2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큰 고인돌을 작은 박석과 함께 옮길수도 없으니 저 작은 구역만 빼고 아파트 지으면 안되려나?
@user-ym4sr6gq6w
@user-ym4sr6gq6w 2 жыл бұрын
규모가 300기 넘는 고분군도 구제발굴 후에 다 덮어버리는데, 별 기대는 안하는 김해사람 1인.
@user-qb8jc6ql2h
@user-qb8jc6ql2h 2 жыл бұрын
세계적 최대 큰 고인돌 이라니 그건 그렇다 치고 아파트 업자 와 관련 주민들은 우짜노
@user-ko7nf7vb8z
@user-ko7nf7vb8z 2 жыл бұрын
건설업자는 어케 되남 저런것도 실증법좀 만들어서 문화재 보호가치가 있으면 당장 공사업체 이자면제해주고 이전이 안되면 매입해서 공원화하는 구제 방법이 있어야 한다.
@pmike8060
@pmike8060 2 жыл бұрын
학자들에겐 소중한 연구자료. 건축업자 및 관련자들에게는 재앙..어지간하면 묻어버리고 공사진행하고 싶었겠지만 워낙에커서ㄷ 얼마전 강원도인가 거기는 저런 고인돌 유적이 하도 많아서 고인돌인거 파악하고도 동네곳곳에서 받침대나 이런용도로 사용되고 있던데ㄷ 발굴,발견이 다가 아니고 그 이후도 중요하다고 봄.
@user-eo5nu8zq8c
@user-eo5nu8zq8c Жыл бұрын
아파트 개발 중단하고 다른 땅 알아봐라 건설사
@IlIIIllIIlll
@IlIIIllIIlll 2 жыл бұрын
일단 문화재 발굴부터 절차대로하고 저거 분양받은사람들이랑 시행사에는 정부서 세제혜택으로 현물오가는거없이 윈윈하면 서로좋은거아님?
@user-ns1rt8dh9c
@user-ns1rt8dh9c 2 жыл бұрын
일부분 중장비로 깻구만, 한 400톤 나가는 건데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5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842 М.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30년째 한결같이 깨끗한 얼굴, 비에 젖지 않는 불상 미스터리!
7:35
영화 컨저링의 현실판? 대체 그 빌라에 무슨 일이
7:37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1 М.
풀리지 않은 한국판 피라미드의 비밀은?
8:13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53 М.
정체를 밝혀라! 한강을 유영하는 거대한 움직임
8:04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54 М.
300년도 넘은 비각, 왜 하필 바위 위에 세웠을까?
7:06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120 М.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Что произошло в ресторане!
0:16
Victoria Portfolio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She Took His Skittles And Discolored Him😲🥴
0:33
BorisKateFamily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КАК ОН РАССТРОИЛСЯ СНАЧАЛА 😂😂😂 #пранк #юмор
0:36
СЕМЬЯ СТАРОВОЙТОВЫХ 💖 Starovoitov.family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