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 공기압! 표준 공기압대로 맞추지 마세요

  Рет қаралды 734,503

차후차후 - 초보운전자를 위한

차후차후 - 초보운전자를 위한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 #타이어 공기압 #표준 공기압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맛춤뻡빌런 - • [Royalty Free Music] G...

Пікірлер: 391
@user-kq4kn8ed6c
@user-kq4kn8ed6c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셀프공기압으로 주기적 관리하는데 말씀하신데로 주행전에는 공기압경고등이 뜨더라구요;; 잘배워갑니다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느껴주시니 정말 감사드려요
@user-sl3vy6pn6l
@user-sl3vy6pn6l Жыл бұрын
저랑같은생각으로 공기압을 맞추시는군요^^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
@kji10103
@kji10103 Жыл бұрын
겨울과 여름 공기밀도 떼문에 수시로 체크 하는게 좋아요. 2~3달 정도에 한번씩은
@coolso5053
@coolso5053 9 ай бұрын
정답입니다 👍
@user-lb2qk2jn7n
@user-lb2qk2jn7n Жыл бұрын
진짜 차알못인데 정보감사합니다
@user-fu3mi7ik9i
@user-fu3mi7ik9i 10 ай бұрын
제 차는 싼타페CM입니다.. 전 전.후륜에 30 이라고 적혀있네요 참나 235/60R18 입니다 ㅠㅠ 38 넣으면 되겠죠
@MoonlightOnTheStreet
@MoonlightOnTheStreet Жыл бұрын
가까운데서 맞추거나 휴대용 공기압 충전기도 있고 근처 세차장이나 주유소, 충전소에도 있고... 이 얘기듣고 +4하면 차 통통 거리고 냉간시에도 34가 표준인데 38에서 안 내려가는 경우도 많고 계절에 따라 그리고 일교차에 따라서도 기온에 의해 도로 노면에 의해 공기압의 변동이 있는데.... 통통거리고 시끄러운거 싫어하는 사람들은 엄청 불편해짐... 38에서부터 냉간시에 안 떨어져서 주행시 또 +4 되면 42psi 이정도 되면 타이어가 꽤 서서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도 있죠 자동차 전문 유튜버이신거 같은데 너무 간단하게만 설명해 버리시는거 같아요. 예전에 최대치의 80%맞추라는 말처럼... 55psi가 max라 치면 44psi 넣으라는 말이었는데 그정도로 극단적인 건 아니지만 계절과 노면 온도도 영향이 있기에... 노면이 뜨겁거나 빠르게 주행하다 제동을 하거나 하지 않으면 심한 날은 30km정도 주행을 한 후에 32psi로 표준 공기압(36)보다 낮았고 주행하다보니 높아져서 34~35psi기에 냉간시보다 2정도 높아져서 38psi 정도 넣었더니 38psi 그대로 유지 주행하면 온도 올라서 42psi 고속 주행시 노면 안 좋으면 겁나 통통거려서 머리가 울려요 ㅠ 차에서 자주 확인하고 가까운데서 표준 공기압 넣으라는게 제일 현실적일거 같아요
@user-rr2xh1lp7h
@user-rr2xh1lp7h 11 ай бұрын
제차 같은경우 열간 공기압 나와있습니다. 수고하세요
@ggang21
@ggang21 Жыл бұрын
전기차는 배터리때문에 더 무겁다는데 전기차도 영상에 나오는 방법으로 맞추면 될까요?
@junkim1100
@junkim1100 Жыл бұрын
밤샘 주차후 휴대용 충전기로 가끔씩 표준 공기압에 맞쳐 운행하는 게 제일 좋음.
@j.wbmwgst-max
@j.wbmwgst-max Жыл бұрын
헐 휴대용 공기압 평상시 쓰는 사람이 있구나 ㄷㄷ 난 타이어 피스 박혔을때 임시로 바람넣고 근처 타이어 가게 가는 용도인줄 알고 그렇데 쓰는데
@junkim1100
@junkim1100 Жыл бұрын
@@j.wbmwgst-max 전 이륜차.승용차 모두 정기적으로 공기압 체크해가며 공기압 맞쳐주며 운행하고 이륜차같은 경우엔 솔투.텐덤에 따라 공기압 수시로 맞춤니다. 타이어 공기압 맞추러 운행하는 순간부터 타이어 열받어서 그냥 표준 공기압 맞추기도 힘들고요.
@henry_ryan
@henry_ryan Жыл бұрын
자전거타시나?
@junkim1100
@junkim1100 Жыл бұрын
@@henry_ryan이륜, 사륜 다 운행합니다 자전거는 운행 안 하구요.
@user-nz5yb7cc9r
@user-nz5yb7cc9r 8 ай бұрын
@@henry_ryan말 ㅈ같이하네
@user-or8uu9dq8m
@user-or8uu9dq8m Жыл бұрын
경고등은 리셋을 안해서 그런거지, 압력이 변해서가 아닙니다. 공기압센서의 기준은 리셋했을때 입니다.그냥적정압력이 입력되어있는게 아니지요. 기준이 달라졌는데 리셋을 안하면..
@user-uv9sc6hn3t
@user-uv9sc6hn3t Жыл бұрын
타이어의 편평비나 휠사이즈등을 고려해서 맞추면 좋을거같아요.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해요
@woong8854
@woong8854 Жыл бұрын
겨울엔 타이어 온도가 거의 비슷해요. 그래서 집에서 나와서 게이지 딱맞추지 않으면 성에길에서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많이넣는다고 주행성능과 연비가 좋아지는게 아닙니다. 여름엔 2~3정도 더 넣어주셔도 고속운행하면 42까지 돼요. 그래서 왠만하면 아침에 넣으라더군요. 연구결과에서 공기압을 많이넣었을때 어느수준까지는 연비향상에 도움되나 그수치를 넘어서면 도움이 전혀 안될뿐더러 차량 하체에 부담을 준다고 합니다. 또한 오히려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해칩니다
@burgerking8536
@burgerking8536 Жыл бұрын
계절에 따라 다름.. 고속도로 국도 등 어떤 도로인지에 따라 다름.. 그날 날씨에 따라다름... 냉간에 매뉴얼 대로 넣고 환절기에 냉간에서 조정하면 대개 맞음.
@user-ik7vu2ig2o
@user-ik7vu2ig2o 4 ай бұрын
운전석 문짝에 표기된대로 맞춰라. 자동차 회사가 괜히 써놓는게 아님
@mon2da
@mon2da Жыл бұрын
표준공기압에 10% 추가가 딱이쥬.
@Daebu7
@Daebu7 Жыл бұрын
이야 저거 고속도로 휴게소많이했는데 표준보다 좀더추가해야되군요!
@user-go8vo7tb4x
@user-go8vo7tb4x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ㅎㅎ 여름하고 겨울하고도 틀려요
@user-fu7nf5bt9u
@user-fu7nf5bt9u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은 타이어 맥스값에 70~80%정도 계산해서 넣으면 됩니다. B필러에 공기압은 해당 차브랜드에 순정 휠,타이어로 했을때 나온 값입니다.
@user-cf7sj3up5h
@user-cf7sj3up5h 8 ай бұрын
이게정답... 타이어 바꾸면 잘좀 살펴봐야함
@user-sc2qm6oz6f
@user-sc2qm6oz6f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주로 몇명이 타느냐에따라 더넣고 덜넣고하면됨 그리고 타이어 경고등은 4개 타이어중 한개의 공기압 편차가 클때 뜨는확률이 더큼
@user-hs3vn4iv1e
@user-hs3vn4iv1e Жыл бұрын
공기압 너무 올리면 제동성능에 안좋습니다 승차감 안전 위해 적정 공기압 맞춰주세요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타이어가 공기압에 예민 하더라 고요
@user-fu7nf5bt9u
@user-fu7nf5bt9u Жыл бұрын
@@arunariya5617 장거리운전을 많이하시면 적정공기압이 맞습니다. 달리다보면 1~2psi가 상승하고 최대 4~5psi가 상승합니다.
@user-yv9dh9qb5q
@user-yv9dh9qb5q Жыл бұрын
앞바퀴260정도 뒷바퀴는 270정도 유지하고 다니는데 더 낮춰서 다녀야 될까요?
@18google18seki
@18google18seki Жыл бұрын
측정 단위가 kPa 이라면 38~39 psi 에 해당 합니다. 타이어 맥시멈이 얼마인지 확인해 보시고, 80%정도가 적당해 보입니다.
@user-pf3yo3oe7g
@user-pf3yo3oe7g Жыл бұрын
공기압과 온도표시가 다되기때문에 문제없지요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공기압 나오는 차면 그렇죠^^
@ccmc7978
@ccmc7978 Жыл бұрын
+4 더 추가요.하하하^-^
@erickyee4198
@erickyee4198 Жыл бұрын
좋은 팁입니다. 원래 타이어는 공기가 아닌 질소가스로 채우는 것입니다. 그래야 온도 변화에 큰 압력변화가 없죠. 그러나 공기는 온도에 따라 팽창수축이 큰 편이라 4psi정도 더 넣는게 편합니다. 압력이 크면 타이어의 가운데 부분의 마모가 심해집니다. 반대로 낮으면 코너부분이 심하게 마모되죠.
@user-ss9uy5ww3f
@user-ss9uy5ww3f Жыл бұрын
공기 중 질소가 78%
@user-ss9uy5ww3f
@user-ss9uy5ww3f Жыл бұрын
@@erickyee4198 님 링크 글에는 공기랑 질소 차이가 1.3psi밖에 안나서 별 효과 없다고 써있는데요?
@user-ss9uy5ww3f
@user-ss9uy5ww3f Жыл бұрын
@@erickyee4198 kzfaq.info/get/bejne/rL-EdrGEx6nQonk.html
@erickyee4198
@erickyee4198 Жыл бұрын
@@user-ss9uy5ww3f ㅎㅎ~ 질소는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커서 압력변화에는 안정성이 크지만 그 외의 효과(연비 누출, 부식방지 등등)는 별로 없다는 것이구요.. 올리신 영상은 정확한 실험이 아니라 신빙성은 높지 않습니다. 어쨋든 제가 종사하는 산업 설비계에서는 모든 압력탱크(even-pressure purpose)에는 질소를 주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리고 스피드레이스카의 타이어도 모두 질소를 주입한다고 하더군요. 질소의 특성이 그렇다고 하니.. 그런줄 아는거죠~ ^^
@user-ss9uy5ww3f
@user-ss9uy5ww3f Жыл бұрын
@@erickyee4198 산업설비에는 산소 다 빼고 질소 채워넣죠. 타이어 질소 주입할때 산소 다 빼고 질소 넣나요? 타이어에 남아있던 공기+추가로 넣은 질소=타이어 중 질소는 몇%일까요?
@power1700
@power1700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이 적으면 승차감은 확실히 좋습니다만 그만큼 마모가 빠르고 연비가 안좋습니다 조금딱딱해도 빵빵한게좋습니다 잃는것보다 얻는게 더 많으니깐요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저도 승차감 보단 돈이 우선.. ㅎ
@user-kr8bj9ft8p
@user-kr8bj9ft8p Жыл бұрын
2
@dgkim3116
@dgkim3116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이일정 이상보다 더 높아도 편마모 일어납니다
@user-fu6oo2lb5c
@user-fu6oo2lb5c Жыл бұрын
공기압 높으면 접지력이 떨어집니다... 안전을위해 덜 넣는게 좋습니다 돈 몇천원 아낀다고 안전 팔고싶으면 40이상 넣으시고요
@nopay_noplay
@nopay_noplay 11 ай бұрын
공기압 높으면 접지력이 떨어지고 적정공기압일때보다 브레이킹시 차가 더 밀립니다 사고 안날수 있었는데 사고가 날수도 있다는겁니다 과연 어떤게 잃는게 더 클까요?
@machupicchuykm3683
@machupicchuykm3683 Жыл бұрын
승용차는 36 정도가 적정.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승차감은 더 좋아지겠네요 ^^
@user-dh5kx8zj9t
@user-dh5kx8zj9t 11 ай бұрын
차마다 휠인치마다 다름
@user-vb6lf6pp4n
@user-vb6lf6pp4n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복잡하게 세상 어찌상ㅅ? 그럼 짐 무게 승차인원 계절 온도 다 고려해서 그때그때 바꿔가며 타야지
@user-rx8ty9ny4b
@user-rx8ty9ny4b Жыл бұрын
승용차기준... 36 ~37. 달리면 2. 올라감. 겨울철에는 40~41 달리면 2올라감.
@DB-it4zd
@DB-it4zd Жыл бұрын
전 36 36 하지만 보통 승용차는 국민 공기압 38로 맞추지요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차가 튀는게 싫으셔서 그런가보네요
@chicken_beer81
@chicken_beer81 Жыл бұрын
냉간시때 공기압 넣는것이 좋으며 냉간시에는 34psi +3~4 넣으시고 열간시에는 + 4~5
@Bonghyun78
@Bonghyun78 Жыл бұрын
전주분 이시내요~~^^
@user-un4np2zh5u
@user-un4np2zh5u Жыл бұрын
차에 써있는건 출고용타이어값이겠지... 타이어마다 최대공기압이 조금씩 다른데....
@woong8854
@woong8854 Жыл бұрын
거꾸로 알고계신거예요
@tan2god
@tan2god Жыл бұрын
승차감 위주냐 스포츠성 위주냐에 따라서 달라짐
@user-skh1714
@user-skh1714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영상이네요~
@user-cl9ur2wv7w
@user-cl9ur2wv7w Жыл бұрын
공기압 맞추러 갈 때 계기판에 표시 되는 출발 공기압과 도착 했을 때 공기압의 차이만큼 원하는 공기압에 +해주면 대충 맞지 않나??
@user-ci5yd7ig1k
@user-ci5yd7ig1k Жыл бұрын
전 출발 전과 후 +말고 %로 계산하고 넣을 때가 있습니다. 약간 오버해서 넣고 후에 휴대하는 게이지로 다시 조정해요~
@lkd720
@lkd720 Жыл бұрын
타이어 공기압은 타이어에 표기된걸로 맞추시는게 맞습니다 일정시간,거리 주행후 온간시 적정치수에서 10~15 %빼고 넣으시는게 승차감도 좋습니다
@MoonlightOnTheStreet
@MoonlightOnTheStreet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게 맞다고 우기시는 분들에게 모르겠다! 그러면 표준에 맞추고 승차감과 연비 사이에서 본인 취향대로 살짝 가감해서 타는게 좋죠 --- 가까운데서 맞추거나 휴대용 공기압 충전기도 있고 근처 세차장이나 주유소, 충전소에도 있고... 이 얘기듣고 +4하면 차 통통 거리고 냉간시에도 34가 표준인데 38에서 안 내려가는 경우도 많고 계절에 따라 그리고 일교차에 따라서도 기온에 의해 도로 노면에 의해 공기압의 변동이 있는데.... 통통거리고 시끄러운거 싫어하는 사람들은 엄청 불편해짐... 38에서부터 냉간시에 안 떨어져서 주행시 또 +4 되면 42psi 이정도 되면 타이어가 꽤 서서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도 있음 자동차 전문 유튜버이신거 같은데 너무 간단하게만 설명해 버리시는거 같아요. 예전에 최대치의 80%맞추라는 말처럼... 55psi가 max라 치면 44psi 넣으라는 말이었는데 그정도로 극단적인 건 아니지만 계절과 노면 온도도 영향이 있기에... 노면이 뜨겁거나 빠르게 주행하다 제동을 하거나 하지 않으면 심한 날은 30km정도 주행을 한 후에 32psi로 표준 공기압(36)보다 낮았고 주행하다보니 높아져서 34~35psi기에 냉간시보다 2정도 높아져서 38psi 정도 넣었더니 38psi 그대로 유지 주행하면 온도 올라서 42psi 고속 주행시 노면 안 좋으면 겁나 통통거려서 머리가 울림 ㅠ --- 이렇게 댓글 달았습니다
@csk3811
@csk3811 Жыл бұрын
타이어에는 최대공기압 과 허용하중이 표기돼있지 않나요? 제차 타이어는 최대공기압 80psi 인데..
@MoonlightOnTheStreet
@MoonlightOnTheStreet Жыл бұрын
@@csk3811 아 온간시 적정치수에서 공가입을 뺀다는 말을 제대로 안 읽었네요 온간시에서 또 10~15%빼면 냉간시 더 내려가고, 거기에 일교차 심한 환절기나 겨울에 최근 차량들은 차량에 타면 경고 알림 계속 띄우겠죠
@floresta557
@floresta557 Жыл бұрын
근데 주행중 타이어 열받는 정도가 구동축인 앞바퀴에 비해 뒷바퀴는 덜합니다.
@user-uw3ix8bn5x
@user-uw3ix8bn5x Жыл бұрын
온도만 생각 하죠? 중량은 생각 안 하죠?
@user-gf5rp5ss1s
@user-gf5rp5ss1s Жыл бұрын
오일갈때 40으로 맞추면 1년동안 탈수있음. 그러면 다음오일갈때 또 넣어달라 하고 이렇게 반복하는게 속편합니다.
@user-py8yo1ii2b
@user-py8yo1ii2b 5 ай бұрын
겨울에 더넣으니 제동거리 길어지는 느낌나던데
@user-ks2lb1do4x
@user-ks2lb1do4x Жыл бұрын
전 집에서 셀프타이어 바람넣으로 가는곳까지15분정도 가서 36에 마춥니다
@interstella-co2wz
@interstella-co2wz Жыл бұрын
그리 맞추면 동절기에는 차가 통통 튀는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woong8854
@woong885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또한 슬립현상을 느끼실겁니다ㅠ
@yumbully
@yumbully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맞추는게 정답입니다. 차가튀는건 당신 차가 후져서 그런거에요
@interstella-co2wz
@interstella-co2wz Жыл бұрын
@@yumbully 에이~ 내 차가 당신 차보다는 더 좋을긴데? ㅋㅋㅋ
@Kim-young-chan
@Kim-young-chan Жыл бұрын
표준공기압 240 ? 써 있는데 서비스센타 다른거 정비 하러가면 꼭 280 맞춰서 넣어줌
@user-jc9nc7wl6x
@user-jc9nc7wl6x Жыл бұрын
표준공기압이 정답입니다. 승차감 접지력등 모두 제조사에서 알맞게 설계한 값입니다.
@user-fl1yb4po3y
@user-fl1yb4po3y Жыл бұрын
영상끝까지 보고 예기해라 잼민아
@user-yp3ow6gq3c
@user-yp3ow6gq3c 7 ай бұрын
카센터가면 다38~40psi로맞춥니다. 마티즈던 펠리세이드건
@nextthe6435
@nextthe6435 Жыл бұрын
석학들이 하라는대로 하는게 답
@user-unknownlv3
@user-unknownlv3 Жыл бұрын
서킷 32 33 . 공도 36 겨울 38 .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user-bv8if7jn8n
@user-bv8if7jn8n Жыл бұрын
서킷을 설렁설렁 타시는듯
@CBRF-dr4mo
@CBRF-dr4mo Жыл бұрын
타이어에 표시되있는 타이어공기앞과 차에표시되어있는 표이가 달라요 어디에 마추그나요 제차는 타이어에 50psi 로 표시되어있고 차에는34psi로 표시되어있는데 어디에마추나요
@user-bs6rg9ff2n
@user-bs6rg9ff2n Жыл бұрын
37~40 정도 넣으시면 됩니다 타이어에 표시되 있는거는 최대로 넣을수 있는 공기압이에요
@user-si3gt8oo4g
@user-si3gt8oo4g Жыл бұрын
타이어에 나온 공기압에 맞춰야지 자동차에 붙은 스티커는 순정타이어 기준임
@woong8854
@woong8854 Жыл бұрын
타이어에 나온값은 타이어 한계수치입니다. 차량본체에 붙은 수치를 따라야 합니다. 타이어값은 차량이 어느차종에 쓰일지 모르는 상태에서 단순히 타이어만의 한계수치 값입니다.
@user-si3gt8oo4g
@user-si3gt8oo4g Жыл бұрын
@@woong8854 타이어에 나온 공기압이 max 로 표기 된거 압니다. 제말은 그 공기압에 조건에 따라 적절히 맞추라는 말이죠 쉬운예로 suv 인 경우 타이어에 따라 35~60까지 변동율이 큽니다. 그런데 차량에 적혀진 공기압을 기준으로 한다? 전혀 맞지 않는 기준입니다.
@-Ryuta
@-Ryuta Жыл бұрын
이게 지금 계절 상관없이 표준인건가요???
@user28111
@user28111 Жыл бұрын
딱 맞춰서 타야죠.. 여름에도 정확히 맞줘주고 겨울에도 맞줘주고..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귀찮아서 ㅜ..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밤 낮으로 공기압이 변해요
@user28111
@user28111 Жыл бұрын
@@user-dy6li1cc8u 맞아요. 밤낮으로 변하죠 그래서 맞추기 어려운거죠 그러나 계절에 상관없이 아침에 공기압 기준을 잡으면 될것 같아요
@nopay_noplay
@nopay_noplay 11 ай бұрын
​@@user-mv2yi7sr3f 그 귀찮아서가 접지력 큰차이 생기고 공기압에 따른 접지력 차이로 제동거리 몇미터가 왔다갔다 합니다 그 귀찮아서 사고 날수있습니다
@user-rb2ss8ep5j
@user-rb2ss8ep5j 11 ай бұрын
아반떼 타이어 공기압 36주입 했는데 괜찮은 거요
@Lee-zc5cp
@Lee-zc5cp Жыл бұрын
요즘 옥션에 가면 2~3만원대 간편한 펌프 많아요 구매해서 우리나라처럼 봄 여름 가을 겨울 아침 저녁 4계절 변화가 심하므로 수시로 보충하고 빼고 간단해요 넘 낮으면 연비가 안좋고 넘 많으면 승차감이 안좋아요
@drkim7971
@drkim7971 Жыл бұрын
본인 차량이 트렁크쪽에 스페어 타이어가 들어가있는 예전 차량이 아니라면 공기압 펌프는 따로 구입 할 필요 없이 스페어 타이어 대신 들어가 있는 빵꾸 떼우는 기구가 공기압 펌프 기능도 같이 갖추고 있으므로 따로 구입할 이유가 딱히 없음. 그것도 모르고 따로 구입한다면 그건 돈지랄...하지만 스페어 타이어가 들어가는 옛날 차량이라면 따로 구입이 최선이 맞긴 함.
@Lee-zc5cp
@Lee-zc5cp Жыл бұрын
@@drkim7971 있는사람이 뭐하러 또구매를 할까요 상식적인 이야기 아닌가요? 술한잔 덜하고 유료 구입하면 여러 기능도있고 상당히 유익합니다
@drkim7971
@drkim7971 Жыл бұрын
@@Lee-zc5cp 님을 저격한 댓글은 아니구요..ㅎㅎ 님 댓글 보고 무지성으로 공기압 펌프 사는 사람들을 향한 댓글이에요. 사실 그걸 모르는 사람이 굉장히 많아요. 스페어 타이어 대신 들어가 있는 기구가 빵구 떼우는 용도인줄만 알고 공기압 펌프 기능까지 겸하는걸 모르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더라구요. 어느정도냐 하면 제가 작년에 차를 새로 구입할때 후보군 차량들 동호회 이곳 저곳에 많이 가입했거든요. 후보군 차량들 정보를 얻기 위해서 말이죠. 당연..다 최신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죄다 그 차량 카페들에서 공기압 기구를 공동 구매로 올려놓고 그거 샀다는 댓글도 무진장 많더군요. 다 최근 차량인데도 말이죠. 실제 단일 차량 동호회 카페 가서 검색해 보시면 아주 쉽게 보실수 있을겁니다. 상식적인건데 상식이 아닌 사람들이 아주 많다는 사실을요.
@doble_j.w
@doble_j.w 11 ай бұрын
​@@drkim7971알고 있지만 기본으로 들어가있는건 시거잭 타입이라 일일이 연결하고 다시 정리하기 번거로워서 무선으로 사는거죠 유선 타입 사는 사람은 돈지랄 맞긴하죠
@user-rm3is9jq3i
@user-rm3is9jq3i Жыл бұрын
표준공기앞으로함 문제없이 잘타는중 엔진오일 교환할때 같이 점검함
@oilboy
@oilboy Жыл бұрын
엥? 이말이 맞다고? 제조사가 그것도 생각 안하고 저렇게 적어놨다고?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냉간시 라서 그래요. 운행전. . 냉간시 라고 써있죠
@kuroihako2
@kuroihako2 5 ай бұрын
여름이나 겨울이나 냉간시 35.. 주행하면서 열 오르면 딱 40 됨... 주행시 맥시멈 40 이 되는게 나는 좋던데...
@user-os1iu5xx6n
@user-os1iu5xx6n Жыл бұрын
에고...미쳤다고 제조사에서 라벨까지 붙여놓아겄냐?개소리그만하고 정규공기압넣어라
@dgkim3116
@dgkim3116 Жыл бұрын
웃긴건 출고 차량도 B필러에 적힌 공기압으로 안나온 ㅋㅋㅋ
@user-il1hv5eb2b
@user-il1hv5eb2b Жыл бұрын
여름과 겨울 공기압이 다르고 경고등은 10떨어졌을때 뜸.4정도로 안뜸
@user-ym9yy7eu1g
@user-ym9yy7eu1g Жыл бұрын
전주분이신가보네요
@user-dh5kx8zj9t
@user-dh5kx8zj9t 8 ай бұрын
또 계절이나 외부 온도 따라서 다름.
@llllllllllllIIIIIIIIIIIII
@llllllllllllIIIIIIIIIIIII Жыл бұрын
쎄단40 SUV 45 연비 승차감좋고 안전하다
@user-ig1ih5br3e
@user-ig1ih5br3e Жыл бұрын
네다음 뚜벅이 45면 통통 튀긴다ㅋㅋ suv40넣어본적 있는데 40도 튀기더만
@user-ig1ih5br3e
@user-ig1ih5br3e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많이넣으면 접지력 부족으로 더 위험하다
@muoi_mol
@muoi_mol Жыл бұрын
psi는 압력이라서 suv가 무겁다고 더넣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charlie-adam
@charlie-adam Жыл бұрын
33정도 넣으면 핸들이 가벼워서 좋더라구요
@MKL2328
@MKL2328 Жыл бұрын
40이 딱은무슨..세단일경우 40맞추면 승차감 저하와 그립떨어지는게 체감된다...최적은 일반세단일경우 36이 적당함.
@user-mm8be9kb4m
@user-mm8be9kb4m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사용할때 공기압을 기준 잡아야죠.. 잘못된정보
@siiwoo0112
@siiwoo0112 Жыл бұрын
도로가 전주 신시가지군요 ㅎㅎ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 ㅎ
@siiwoo0112
@siiwoo0112 Жыл бұрын
@@user-mv2yi7sr3f 제가 전주 살아서요 ㅋㅋ
@cyber-backpacker
@cyber-backpacker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냄시~
@user-uc2tx4kk1u
@user-uc2tx4kk1u Жыл бұрын
​@@cyber-backpacker
@cyber-backpacker
@cyber-backpacker Жыл бұрын
@@user-uc2tx4kk1u ㅋ
@user-qk6jn7vl8l
@user-qk6jn7vl8l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사이드에 최대치보다 10퍼 아래 넣는게 좋음
@user-ib3xo4et2y
@user-ib3xo4et2y 7 ай бұрын
네짝 전부 38넣고 36쯤 나오덥니다 내차는 살짝 높게 넣는게 맞는듯
@priCa-oj4yf
@priCa-oj4yf 11 ай бұрын
여름엔 살짜구낮게 겨울엔 살짝높게
@S.Y.J
@S.Y.J Жыл бұрын
여름에는 36~38PSI 겨울에는 40PSI 넣으면 무난하죠 여름에는 온도가 높아 기존보다 타이어 압이 올라가고 겨울에는 추워서 압력이 내려가죠
@user-dv5gn2ye7h
@user-dv5gn2ye7h Жыл бұрын
겨울이 아니라 여름에 더 많이 넣어주세요 과학적 지식으로 사람들이 겨울에는 공기가 수축하니까 더 넣고 여름엔 팽창하니 적게 넣어야지 아닙니다 타이어 안쪽 공간 넓이가 정해져있고 타이어는 와이어(철심) 고무 등등 변형 가능한 재질이므로 여름에 많이 안넣으면 분자간 사이의 공간이 많아져 공기 분자 마찰열이 더 생겨서 더 많은 운동으로 인한 팽창에 불안정해집니다
@leesangju22
@leesangju22 Жыл бұрын
타이어에 써있는 맥스 공기압의 80프로에 맞추징...화물차중 짐많이 실는차들은 90% 표준공기압에 맞추면 연비지린다.. 표준공기압보다 +10정도 맞추어야 적정한듯.. 암튼 일반적인 운행상태에서 타이어의 형태가 온전하게 맞추는게 맞지않을 른지? 중요한사실은 타이어 공기압 백날 맞추어 바야 공기압 측정치의 오차가 20%된다는것은 비밀임..ㅋㅋㅋ
@user-fm5go7xq1g
@user-fm5go7xq1g Жыл бұрын
타이어는 보통 제조일로부터 몇년사용하면 교환해야해요?
@user-qs5xu5ju6b
@user-qs5xu5ju6b 11 ай бұрын
승용차 타이어 터지는 경우 거의 없어요 타이어회사 cs팀 4년 일했는데 본적이 없음 마모한계서 도달전까지 혹은 6.7년은 거뜬함
@nopay_noplay
@nopay_noplay 11 ай бұрын
타이어제조사 메뉴얼로는 생산일로부터 6년 보장입니다
@user-mm4rl1qz7c
@user-mm4rl1qz7c 2 ай бұрын
자동차회사에서 생각없어서 표준공기압 표기해놓은줄아냐? 타이어공기압 높게 넣으면 포트홀 과속방지턱등에서 하체부품들 죄다 작살난다. 표준공기압넣어야한다.
@stevejinwoolee1969
@stevejinwoolee1969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적정공기압은 타이어에 따라 다 다른거 아닌가;; 최대 한계치에 70-80%가 적정공기압이라고 알고있는데
@phkair
@phkair 11 ай бұрын
신차 출고하고 공기압 측정해보면 거의 50인게 함정....ㅎㅎ 물론 제조사 입장에서는 이차가 언제 팔릴지 모르니 빠방하게 넣어둔것이겠지만....ㅋ
@goekadlek
@goekadlek Жыл бұрын
1년 365일 38로 맞춰 놓는다. 여름엔 좀더 빵빵해 지고, 겨울엔 좀더 까라앉고. 딱이다.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네네 딱 좋아요 ㅎ
@ggang21
@ggang21 Жыл бұрын
표준 공기압은 36인가요?
@goekadlek
@goekadlek Жыл бұрын
@@ggang21 표준 공기압 이라는건 없어요. 차량마다 조금씩 다른데 겨울철을 생각할 경우 36을 넣으면 공기가 좀 빠지고 나면 차가 둔해지고, 운전성도 좀 그렇더라구여. 완전 제 개인 취향 입니다 ㅎㅎ
@ggang21
@ggang21 Жыл бұрын
@@goekadlek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goekadlek
@goekadlek Жыл бұрын
@@ggang21 별말씀을여 ㅋㅋ
@Reddot_AUTO
@Reddot_AUTO Жыл бұрын
일반주행 앞 38psi 뒤 35psi 서킷주행 스쿼어 28psi
@M850i
@M850i Жыл бұрын
이 사람 영상은 다 오보에 카더라 보고 올리는 것 밖에 없네 그냥 오피셜로 맞추면 됩니다 여러분
@user-ck7in1nk1j
@user-ck7in1nk1j Жыл бұрын
타이어 옆면에 적혀있어요
@positive_pers0n
@positive_pers0n Жыл бұрын
오보에 카더라 이지랄 하고있네 한국어로 말하는거 맞나요;;
@M850i
@M850i Жыл бұрын
@@positive_pers0n 다들 쓰는 말인데 한국인 맞으세요? 국어사전에도 있는 말인데 ㅋㅋㅋㅋㅋㅋ
@positive_pers0n
@positive_pers0n Жыл бұрын
@@M850i 이 사람 영상은 다 오보라 카더라("오보"라 하더라) 이런뜻인가요 무슨 일본어 마냥 생긴게 "이 사람 영상은 오보에 카더라" 이러는데 알아듣겠냐고 아ㅋㅋㅋ 본인 그럴줄알고 국어사전, 지식인 다 뒤졌는데 그딴 한국어는 없더라구요 설명좀 해주시죠 "오보에 카더라"가 도대체 무슨뜻인지ㅋㅋㅋㅋㅋㅋ
@M850i
@M850i Жыл бұрын
@@positive_pers0n 아니 이해를 못 하는 건 혼자 못하시는 거예요 왜 이해를 못 하지..? "오보" "카더라" 모르세요? 욕이나 할 줄 알고 참 그런데 정작 댁은 띄어쓰기도 잘 못하면서 남에게 욕하는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오보에 카더라" 이게 아니라 "오보"에 "카더라" 입니다 그리고 오보는 순수 우리 말이에요 이 무지한 새끼야 띄어쓰기 잘 못하시니 이해할게요 ㅋ
@user-rk4yl5sf1l
@user-rk4yl5sf1l Жыл бұрын
구태어 바람넣는데 신경쓸것없이, 통고무 타이어로 교체가 답이다! 승차감은 나몰랑!~~~
@user-ok2nu5ee9e
@user-ok2nu5ee9e Жыл бұрын
승용차 38 카니발 40 스타렉스 55 포터 60 70
@user-mj4jp7lw4g
@user-mj4jp7lw4g Жыл бұрын
11인승이상의차는 공기를 빵빵하게 채우고 다녀야
@user-ee3ys5pw2d
@user-ee3ys5pw2d Жыл бұрын
적정공기압을 차랑회사에서 정해준대로 맞춰 다니는거보다 4ps 정도 더 넣고 다니면 좋습니다. 순정압은 승차감에 맞춘겁니다. 그것도 정속일때 기준입니다. 물론 승차감은 좋을지라도 빗길. 코너길. 비포장에서 타이어손상율 높고 안전성에 안좋습니다. 순정압에 5인탑승시 타이어는 찌그러집니다.. 타이어가 찌그러진상태에서 주행은 열상승이 심하고 마모도가 심해지며 코너링시 차선이탈확률. 급차선 변경시 전복위험이 커집니다.. 보통 38에서 40ps 이 무난하고 여름겨울 안다지셔도 됩니다.. 여름엔 공기가 뜨거워 진다 어쩐다 하시는데. 타이어가 접지력에 의해 공기도 뜨거워 지는것이므로.. 타이어역시 부피가 늘어납니다.. 굳이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약간 차가 튄다는 분들이 계시던데 천천히 달리시는 분들은 뭐 할말없지만요.. ^^
@killerwhale3331
@killerwhale3331 Жыл бұрын
타이어가 뜨거워도 주입하는 공기는 차갑죠.. 1기압이나 더 넣는건 과합니다. 영상 처럼 넣었을때 장거리한번 뛰면 대략 42psi까지 올라갑니다 2psi정도만 더넣으면 되요.
@MrCho-yg5rraddfht4ehkkiurwdggg
@MrCho-yg5rraddfht4ehkkiurwdggg Жыл бұрын
주행중 37~38정도 되도록 넣으면된다
@ayayo320
@ayayo320 Жыл бұрын
타이어 냉간시에 표준 공기압대로 하면 됩니다.
@wnsdyd0150
@wnsdyd0150 Жыл бұрын
공기압 빵빵하면 연비가 늘어남
@woong8854
@woong8854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그럼 100더 넣으세요
@MoonlightOnTheStreet
@MoonlightOnTheStreet Жыл бұрын
그렇긴 한데 편마모때문에 자주 갈아야 하고 제동거리 늘어남 ㅋ 방지턱, 요철은 내친구 두다다다다 통통통통
@nopay_noplay
@nopay_noplay 11 ай бұрын
개소리하지마세요 냉간시 표준공기압 정확히 맞추면 그게 가장 연비도 좋습니다 34psi표준공기압인데 40넣으면 연비는 오히려 더 떨어집니다 그건 이미 실험으로 즣명되있는 데이터입니다
@fuck1818
@fuck1818 11 ай бұрын
​@@nopay_noplay연비는 공기압높은게 유리한데 데이터는 무슨 너거집 데이터냐
@nopay_noplay
@nopay_noplay 11 ай бұрын
@@fuck1818 잘 모르면 그냥 입닥치고계세요 타이어 공기압이 일정 이상 넘어가면 레이싱을 하는 매끈한 트랙이 아닌 각종 크고작은 굴곡이 많은 일반도로에서 실주행하는 일반 운전자들은 과공기압이 일정수치 넘어가면 오히려 연비가 떨어집니다 이론상 모든 운행의 조건이 매끈한 도로라면 공기압이 높아지면 마찰면적이 줄어들어 연비가 올라가는게 이론상 맞는데 일반운전자들이 주행하는 도로는 포트홀 같은 큰 굴곡부터 작은 굴곡들이 많은 도로입니다 일정 이상을 넘어가는 과공기압 상태에서는 수많은 크고작은 굴곡을 지나는 동안 적정공기압일때보다 구름저항이 커지게 되고 연비가 오히려 떨어집니다 무조건 공기압이 높을수록 연비가 좋아지는게 아닙니다
@qjonza256
@qjonza256 Жыл бұрын
그냥 다 접고 제조사 적혀있는데로 하면 이상없슴.
@gmvisck
@gmvisck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다시 열 오르면 더 빵빵해 지는 거쟎아..
@user-td9kh7wp8g
@user-td9kh7wp8g Жыл бұрын
열 오른 상태에서 38인거니까 별로 안 빵빵해지지..
@Flash_bang_boi
@Flash_bang_boi Жыл бұрын
국평오
@gmvisck
@gmvisck Жыл бұрын
@@user-td9kh7wp8g 바지에 지린건 똥 아닌가??
@user-bo6tb2gq1y
@user-bo6tb2gq1y Жыл бұрын
아니요 그게 아니고 타이어 공기압을 맞추러 가는길에 정비소로 갔으면 열이 받은상태니까 4를 더 해서 넣으라는거예요
@user-mu2on9cc6u
@user-mu2on9cc6u Жыл бұрын
진짜 말하는사람 마다 다름 나는 걍39~40넣고다님 이렇게 타면 한여름 달리면 42종도 겨울 40종도 뜨는거같았는데 이치수로 질이나서 이게 편하게느껴짐 약간 튀는 느낌이랄까 진짜 미세하게 탱탱한느낌
@hanseo14
@hanseo14 Жыл бұрын
연비도 상승하죠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정도로 맞춰요 ㅎ
@user-lk5nf9fw4c
@user-lk5nf9fw4c Жыл бұрын
타이어 마다 품질이 차이나서 타이어에 따라 값을 달리해야 한다네요 타이어 옆면에 공기압값이 각기 다는게 적혀있습니다. 깨알글자로 AMX 50? PSI 라고 타이어마다 값이 다르게 적혀있습니다. 최대값의 80% 적당하다고 합니다.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한여름 고속도로 달린다고 10% 더 올리는 모순 이죠 결국.. 써스펜션 보호 위함이죠 그렇게 타면 타이어 옆구리가 약해져요
@user-mu2on9cc6u
@user-mu2on9cc6u Жыл бұрын
25000타이어 앞뒤교체 50000만키로 운행 공기앞유지 타이어상태 아주양호함 타이어는 공기앞보단 급가속 급부래이크 급커브 고속영역 120이하 운행하시는 분이라면 공기앞에 타이어가 약해질수있다고 부지 말하지않아도 교체시기때 아주 양호할거라생각함 참저는 2년 뱌종도 타고 타이어교체하는듯하네욤
@bboyzz21
@bboyzz21 Жыл бұрын
전 33 34 정도? 38정도맞추니까 여름에보니 막47도올라가고 미쳤드라구요 ㅋㅋ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47까지 올라간거면 정말 뜨거운 날씨에 정말 고속으로 달리신거 아닐까요 ㅎ
@DB-it4zd
@DB-it4zd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이 47 떴다구요? 타이어 뭔데요?
@bboyzz21
@bboyzz21 Жыл бұрын
@@DB-it4zd 다시 생각해보니 47은 착각 같구요 45정도 까진 떴던거 같네요....타이어는 마제스티 입니다.
@bboyzz21
@bboyzz21 Жыл бұрын
@@user-mv2yi7sr3f 45입니다 잘못 적은거같네요 ㅋㅋ 요즘 울나라 여름이 어지간히 더워야죠 ㅠㅠ 그래서 전좀 내리고 다니는편입니다...겨울엔 약간 압이 내려가는 느낌이지만 그냥저냥 탈만한정도 입니다. ㅋ오히려 눈 있을땐 압이 적어야 그립도 좀더 생기고 머 빙판길은 답이 없지만요...ㅋㅋ
@DB-it4zd
@DB-it4zd Жыл бұрын
@@bboyzz21 저도 마제스티 써봤는데 38 넣었어도 최대 43까지는 뜬건 봤어요 보통은 41,42 뜨거든요 차마다 tpms 오차가 있나보네요 ㅎㅎ
@user-qg7iy3bf4u
@user-qg7iy3bf4u Жыл бұрын
36~38이 제일 적당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굿
@parati8150
@parati8150 Жыл бұрын
그냥 차주 원하는 값에 맞추세요가 정답임 ㅋㅋㅋ
@gkswjdgml1204
@gkswjdgml1204 Жыл бұрын
열 받은 상태여도 1 2 psi밖에 차이 안나는데..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 3 ай бұрын
타이어 압력 주행 + @
@Taek_life
@Taek_life Жыл бұрын
타이어옆면에 공기앞 맥스수치 써있음 거기에 80프로 넣는게 제일 좋은 상태입니다
@user-ov3vu6qj9p
@user-ov3vu6qj9p Жыл бұрын
차마다 무게, 밸런스 다 다른데 아니지 ;;
@Taek_life
@Taek_life Жыл бұрын
@@user-ov3vu6qj9p 맥스 80프로에서 말랑한 승차감 좋아하시면 5프로 선에서 줄이면 됩니다 막 달리기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안맞겠죠^^
@user-ck7in1nk1j
@user-ck7in1nk1j Жыл бұрын
정답
@peachcw200
@peachcw200 Жыл бұрын
현직 정비사입니다 현대기아 32psi 적정공기압 나와있는 차량은 30이하로 내려가면 경고등을 띄우는데 주행하고 공기압을 맞추시면 38~40정도 맞추시면 적당할겁니다 보통 기온 10도에 공기압이 10%정도 움직이는데 새벽에 나가려고 시동을 거신다면 공기압이 꽤내려간걸 보실수 있으실거에요
@user-hi3jz9vr8p
@user-hi3jz9vr8p Жыл бұрын
35표준에 37넣고 다닙니다 고속도로 운행시 40까진 올라가더라구요
@user-mv2yi7sr3f
@user-mv2yi7sr3f Жыл бұрын
네네 그정도면 굿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정품 타이어 .. 경우죠
@s2138
@s2138 Жыл бұрын
38 b 탁탁 튀어서 35 넣고다닙니다.
@luLu-qx4nc
@luLu-qx4nc Жыл бұрын
얘는 영상 몇개 나오길래 봤더니 뭐 다 잘못된 정보를....
@dream_Ganghwa
@dream_Ganghwa Жыл бұрын
컨셉인듯.. 디스크 열변형까지 거를타선이 없음
@user-kc3cw9kc2c
@user-kc3cw9kc2c Жыл бұрын
공기압을 보충하지마시고 공기압을 충분히빼고 다시 넣어주면됩니다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그것도 맞음. 새 공기 들어가면 같은 공기압 이라도 단단하더라 고요
@user-sx3st1gp1x
@user-sx3st1gp1x Жыл бұрын
공기도 유통기한 있음? 신박한 개소리일세..허허
타이어 전문가에게 물어봤습니다
10:14
-월포TV-월급모아 포르쉐
Рет қаралды 50 М.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TPMS 센서 고장? 배터리 부족 !'
1:00
하오르모터스 : 수입차 정비 전문
Рет қаралды 19 М.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Is it Cake or Fake ? 🍰
00:53
A4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What will be happened if car doesn't have tires?
7:28
픽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638 М.
타이어 공기압을 최대한(50psi) 넣어 봤더니...👀
10:37
카닥TV [카다기]
Рет қаралды 21 М.
DCT 미션 사용방법 주의!!
0:56
우리들모터스 중고차
Рет қаралды 261 М.
아우디 A4 모튤 504507 엔진오일 교환
5:24
오일파는남자
Рет қаралды 714
지금까지 자동차 공기압을 엉터리로 넣고 있었다니?!
0:53
Future bongcar 미래봉카TV
Рет қаралды 219 М.
타이어 공기압 넣기 #shorts
0:49
너도 운전
Рет қаралды 235 М.
[BMW F10 520d] 최상의 승차감을 위한 점검
6:35
채널 비비전
Рет қаралды 20 М.
Made in KZ?
4:18
Санжар Бокаев
Рет қаралды 82 М.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Ең жылдам Mercedes CLS // QAZ Kolesa.kz
14:01
QAZ Kolesa KZ
Рет қаралды 78 М.
СКОЛЬКО стоит содержание BMW X7? #авто #bmw #обслуживаниеавто
0:50
Виталий Нефедов | American Auto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